KR20110072610A - 작동유 탱크의 압력유지장치 - Google Patents

작동유 탱크의 압력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2610A
KR20110072610A KR1020090129613A KR20090129613A KR20110072610A KR 20110072610 A KR20110072610 A KR 20110072610A KR 1020090129613 A KR1020090129613 A KR 1020090129613A KR 20090129613 A KR20090129613 A KR 20090129613A KR 20110072610 A KR20110072610 A KR 20110072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tank
hydraulic oil
pressure
flow path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9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8981B1 (ko
Inventor
김형호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9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8981B1/ko
Publication of KR20110072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2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8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8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 B65D90/32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minimising the effect of, excessive or insufficient pressu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83Tanks, e.g. oil tank, urea tank, fuel 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2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preventing water-hammer or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upply Devices, Intensifiers, Converters, And Tele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작동유 탱크의 압력유지장치는 작동유 탱크(1)의 내부 압력과 외부 압력의 차이에 따라 상기 작동유 탱크(1)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외기를 상기 작동유 탱크(1)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에어브리더(100); 및 상기 작동유 탱크(1)의 내부 압력이 하한 압력보다 낮으면 상기 작동유 탱크(1)의 내부 압력을 상승시키는 가압 유닛(200)을 포함한다.
작동유 탱크, 고산지, 기압, 압력유지, 가압 유닛, 인터쿨러, 인출 파이프

Description

작동유 탱크의 압력유지장치{PRESSURE MAINTENANCE APPARATUS FOR OIL TANK}
본 발명은 고산지와 같이 기압이 낮은 지역에서 작동유 탱크의 압력을 일정 범위로 유지시킬 수 있는 작동유 탱크의 압력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굴삭기 등과 같은 건설기계는 각 작업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유압 시스템을 구비한다. 이러한 유압 시스템은 작동유를 저장하는 작동유 탱크과, 작업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와, 엔진에 연결되어 상기 작동유 탱크의 작동유를 상기 액츄에이터에 토출하는 복수의 펌프 및 상기 작동유 탱크, 액추에이터 및 복수의 펌프를 연결하는 배관 등을 포함한다.
상기 유압 펌프는 상기 작동유 탱크에 저장된 작동유를 각 액츄에이터로 압송시키며, 상기 유압 펌프에 의해 압송되는 압유는 각종 밸브에 의해 흐름 방향이 제어되어 각 액츄에이터로 보내져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키고, 각 액츄에이터에서 구동에 사용된 압유는 작동유 탱크로 드레인된다. 따라서, 상기 작동유 탱크의 작동유 양과 작동유 탱크 내부의 압력이 변동된다.
상기 작동유 탱크의 압력이 일정 압력보다 낮으면, 유압 펌프의 흡입 압력이 저하되어 유압 펌프의 부하가 증가한다. 반대로, 상기 작동유 탱크의 압력이 일정 압력보다 높으면, 작동유 탱크가 손상을 입거나 파손된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작동유 탱크에는 내부의 압력을 일정 범위로 유지시키기 위한 에어브리더가 마련된다. 에어브리더는 상기 작동유 탱크의 압력이 상한 압력보다 높으면, 작동유 탱크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여 압력을 낮추고, 작동유 탱크의 압력이 하한 압력보다 낮으면, 외부의 공기를 작동유 탱크의 내부로 유입시켜 압력을 상승시킨다.
그러나 상기 에어브리더는 평지에서는 작동유 탱크의 압력을 일정 범위 내에서 유지시킬 수 있으나, 고산지와 같이 기압이 낮은 지역에서는 에어브리더의 상한 압력과 하한 압력이 낮아진다. 따라서, 기압이 낮은 지역에서는 작동유 탱크의 압력은 하한 압력보다 낮은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유압 펌프의 흡입 기능이 저하됨은 물론 캐비테이션(cavitation) 현상으로 인해 유압 펌프로부터 이음이 발생하거나, 최악의 경우, 유압 펌프가 파손되는 경우까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고산지와 같이 기압이 낮은 지역에서도 작동유 탱크의 압력을 일정한 범위 내로 유지할 수 있는 작동유 탱크의 압력유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작동유 탱크의 압력유지장치는 작동유 탱크(1)의 내부 압력과 외부 압력의 차이에 따라 상기 작동유 탱크(1)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외기를 상기 작동유 탱크(1)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에어브리더(100); 및 상기 작동유 탱크(1)의 내부 압력이 하한 압력보다 낮으면 상기 작동유 탱크(1)의 내부 압력을 상승시키는 가압 유닛(2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가압 유닛(200)은 엔진(E)의 인터쿨러(20)를 통과한 흡입 공기를 상기 작동유 탱크(1)에 공급하기 위한 인출 파이프(210); 및 상기 인출 파이프(210)를 통해 공급되는 흡입 공기를 상기 작동유 탱크(1)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유입시키는 밸브 유닛(220)을 포함한다.
상기 밸브 유닛(220)은 상기 작동유 탱크(1)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인출 파이프(210)와 상기 작동유 탱크(1)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유로(222)가 형성된 하우징(221); 상기 유로(222)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221)에 마련된 개폐 부재(223); 및 상기 개폐 부재(223)와 상기 하우징(221)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 부재(223)를 상기 유로(222)가 차단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 재(224)를 포함한다.
상기 유로(222)는 상기 개폐 부재(223)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제1유로(222a); 및 상기 제1유로(222a)를 통과한 흡입공기를 상기 작동유 탱크(1)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제2유로(222b)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유닛(220)은 상기 제2유로(222b)를 개방시키는 개방위치와 상기 제2유로(222b)를 폐쇄시키는 폐쇄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상기 하우징(221)에 설치되는 역류방지부재(225)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역류방지부재(225)는 자중에 의해 상기 개방위치로 이동하며, 상기 작동유 탱크(1)에 저장된 작동유의 부력에 의해 상기 폐쇄위치로 이동한다.
한편, 상기 가압 유닛(200)은 일단이 상기 작동유 탱크(1)에 연결되는 인출 파이프; 상기 인출 파이프의 타단에 연결되어 공기를 상기 인출 파이프를 통해 상기 작동유 탱크로 공급가능한 펌프; 상기 인출 파이프를 통해 공급되는 흡입 공기를 상기 작동유 탱크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유입시키는 밸브 유닛; 및 상기 작동유 탱크의 내부 압력이 기 설정된 하한 압력보다 낮으면, 상기 작동유 탱크 내부 압력보다 높은 압력의 공기를 상기 작동유 탱크 내부로 공급하도록 상기 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에어브리더에 의해 작동유 탱크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를 일정한 범위내에서 유지시킬 수 있고 가압 유닛에 의해 작동유 탱크의 내부의 압력이 하한 압력보다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고산지 등과 같이 기압이 낮은 지역에서도 작동유 탱크의 내부 압력을 일정 한 범위 내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작동유 탱크의 내부 압력이 하한 압력보다 낮아져 유압 펌프의 흡입 기능이 저하되거나 캐비테이션(cavitation)에 의해 유압 펌프가 손상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압 유닛을 밸브 유닛과 엔진의 인터쿨러를 통과한 흡입 공기를 작동유 탱크로 안내하는 인출 파이프로 구성함으로써, 작동유 탱크 내부의 압력을 상승시키기 위한 별도의 압력 생성장치를 갖추지 않을 수 있고, 이에 의해 최소한의 비용으로 작동유 탱크의 압력유지장치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밸브 유닛을 하우징과 개폐 부재 및 탄성부재로 구성함으로써, 밸브 유닛의 구조를 간소화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밸브 유닛에 역류방지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밸브 유닛을 통해 작동유 탱크의 작동유가 인출 파이프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압력유지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유 탱크의 압력유지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작동유 탱크(1)에는 그 내부에 저장된 작동유(O)를 각 액츄에이터로 공급하기 위해 흡입측 필터(2)와, 각 액츄에이터로 공급되어 구동에 사용된 작동유를 작동유 탱크(1)로 귀환시키기 위한 배출측 필터(3)가 마련된다.
상기 작동유 탱크(1)의 내부는 작동유(O)의 공급 및 복귀의 양이 서로 다르므로 압력의 변동이 발생한다. 즉, 작동유(O)의 양에 따라 작동유(O)의 유면이 변 하여 공기실(A)의 압력이 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변동되는 작동유 탱크(1)의 압력을 일정한 범위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작동유 탱크(1)에는 에어브리더(100)가 설치된다.
그러나 에어브리더는 작동유 탱크(1)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에 따라 작동하기 때문에 외부 기압이 낮은 고산지 등에서는 에어브리더(100)의 상한 압력과 하한 압력이 낮아진다. 일 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 고산지에서 작동유 탱크(1)의 압력은 하한 압력(-0.02bar)보다 낮은 -0.2bar까지 낮아지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유압 펌프의 흡입 기능이 저하됨은 물론 캐비테이션(cavitation) 현상으로 인해 유압 펌프로부터 이음이 발생하거나 최악의 경우, 유압 펌프가 파손되는 경우까지 발생한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가압 유닛(200)을 마련하여 작동유 탱크(1)의 압력이 하한 압력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작동유 탱크(1)의 압력을 상승시키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유 탱크의 압력유지장치는, 작동유 탱크(1)의 내부 압력과 외부 압력의 차이에 따라 상기 작동유 탱크(1)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외기를 상기 작동유 탱크(1)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에어브리더(100)와, 상기 작동유 탱크(1)의 내부 압력이 하한 기준압력보다 낮으면 상기 작동유 탱크(1)의 내부 압력을 상승시키는 가압 유닛(200)을 포함한다.
상기 에어브리더(100)는 일반적인 에어브리더를 채용한 것으로서, 작동유 탱크의 내부의 압력이 외부의 압력보다 기준치 이상으로 큰 경우, 작동유 탱크 내부 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며, 작동유 탱크 내부의 압력이 외부의 압력보다 기준치 이상으로 작은 경우, 외부의 공기를 작동유 탱크 내부로 도입시키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에어브리더(100)는 작동유 탱크(1)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에 따라 작동함으로써, 외부의 기압이 변동하는 경우, 작동유 탱크(1) 내부의 압력을 일정한 범위내로 유지시킬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가압 유닛(200)을 별도로 설치하였다.
상기 가압 유닛(200)은 작동유 탱크(1)의 압력이 하한 압력보다 낮은 경우, 작동유 탱크(1)를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출 파이프(210) 및 밸브 유닛(220)을 포함한다.
상기 인출 파이프(210)는 압력생성장치로부터 생성된 압력을 상기 작동유 탱크(1)에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압력생성장치로 엔진(E)을 이용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엔진(E)의 터보 챠저(10)에 의해 가압된 흡입 공기는 인터쿨러(20)에 의해 냉각된 후에 엔진(E)의 연소실에 공급된다. 이때, 상기 인터쿨러(20) 하류측 유로의 압력은 0.2bar ~ 1bar 정도이다. 즉, 상기 인터쿨러(20) 하류측 압력은 작동유 탱크(1)의 하한 압력(-0.02bar)보다 조금 높게 유지된다. 따라서, 작동유 탱크(1)의 압력이 하한 압력보다 낮은 경우, 인터쿨러(20) 하류측 압력을 작동유 탱크(1)에 전달하여 작동유 탱크(1)의 압력을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인출 파이프(210)의 일단을 상기 인터쿨러(20)의 하류측 유로에 연결하고, 상기 인출 파이프(210)의 타단을 상기 밸브 유닛(220)에 설치하였다. 이와 같이, 기존의 엔진(E)을 이용하여 작동유 탱크(1)의 압력을 상승시킴으로써, 별도의 압력생성장치가 불필요하게 되고, 이로 인해 최소 한의 비용으로 작동유 탱크의 압력유지장치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밸브 유닛(220)은 상기 인출 파이프(210)와 상기 작동유 탱크(1)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작동유 탱크(1)의 압력이 하한 압력(-0.02bar) 보다 낮으면 상기 인출 파이프(210)를 작동유 탱크(1)와 연통시키고, 상기 작동유 탱크(1)의 압력이 하한 압력 보다 높으면 상기 인출 파이프(210)와 상기 작동유 탱크(1) 사이를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밸브 유닛(220)은 하우징(221)과, 개폐 부재(223)와, 탄성 부재(224)와, 역류방지부재(225)와, 필터 부재(226)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21)은 상기 밸브 유닛(220)의 외관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볼트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상기 작동유 탱크(1)에 설치된다. 이러한 하우징(221)은 본 실시예와 같이 복수개로 분할되어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 하나의 구성품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하우징(221)에는 상기 인출 파이프(210)를 통해 전달되는 흡기 공기를 작동유 탱크(1)로 유입시키기 위한 유로(222)가 형성된다.
상기 유로(222)는 상기 개폐 부재(223)에 의해 개폐되는 제1유로(222a)와, 상기 역류방지부재(225)에 의해 개폐되는 제2유로(222b)를 포함한다.
상기 개폐 부재(223)는 상기 제1유로(222a)를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221)에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폐 부재(223)는 상단이 상기 제1유로(222a)에 삽입 및 인출되면서 상기 제1유로(222a)를 개폐시킨다. 이러한 개폐 부재(223)의 상단에는 환형의 신축부재(223a)가 설치되어 상기 제1유로(222a)을 기밀을 유지한 채로 폐쇄시킬 수 있게 된다. 한 편, 상기 개폐 부재(223)의 내부에는 상기 역류방지부재(225)의 상단이 삽입되어 상기 역류방지부재(225)의 상하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홀(223b)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 부재(224)는 상기 개폐 부재(223)를 상기 제1유로(222a)를 차단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상기 인출 파이프(210)와 상기 작동유 탱크(1)의 압력차가 상기 탄성 부재(224)의 탄성력보다 큰 경우, 상기 개폐 부재(223)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유로(222a)가 개방된다. 즉, 상기 탄성 부재(224)의 탄성계수에 의해 상기 상기 제1유로(222a)가 개폐되는 압력차가 정해진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탄성 부재(224)의 탄성계수는, 상기 작동유 탱크(1)의 압력이 하한 압력 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개폐 부재(223)가 하방으로 이동되도록 설정된다.
상기 역류방지부재(225)는 상기 작동유 탱크(1)의 작동유가 밸브 유닛(220)을 통해 작동유 탱크(1)의 외부, 즉 상기 인출 파이프(210)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작동유 탱크(1)의 작동유는 상기 작동유 탱크(1)를 넘치지 않을 정도의 양으로 작동유 탱크(1)에 채워진다. 그러나 장비가 경사지 등에 위치하여 작동유 탱크(1)가 기울어진 상태로 있거나 장비의 진동에 의해 작동유가 출렁거리는 현상에 의해 작동유는 작동유 탱크(1)의 외부로 넘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 부재(223)가 상기 제1유로(222a)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작동유가 넘치는 경우, 작동유는 제1유로(222a)를 통해 인출 파이프(210)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역류방지부재(225)는 작동유 탱크(1) 의 유면이 상승하면 상기 제2유로(222b)를 폐쇄하여 작동유가 인출 파이프(210)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역류방지부재(225)는 그 상단에 상기 개폐 부재(223)의 가이드 홀(223b)에 삽입되는 삽입부(225a)가 마련되며, 그 하단에는 상기 제2유로(222b)를 개폐시키는 개폐부(225b)가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제2유로(222b)는 하우징(221)의 하부에 원주 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된 통공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부(225b)는 상기 원주방향으로 다수개가 배치된 제2유로(222b)를 폐쇄할 수 있도록 하단이 폐쇄된 중공의 원통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역류방지부재(225)는 제2유로(222b)를 개방하는 위치(개방위치) 즉,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는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유면이 상승하여 역류방지부재(225)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역류방지부재(225)는 작동유의 부력에 의해 상승하면서 하우징(221)과 밀착되는 상태가 되고, 이에 의해 제2유로(222b)가 폐쇄된다. 즉, 역류방지부재(225)가 폐쇄위치에 있게 된다.
상기 필터 부재(226)는 상기 인출 파이프(210)를 통해 유입되는 흡입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유로(222a)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필터 부재(226)는 상기 하우징(221)의 상부를 개방하여 교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작동유 탱크의 압력유지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평지에서 작동유 탱크(1)의 압력은 에어브리더(100)에 의해 도 5의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은 범위에서 가변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밸브 유닛(220)은 폐쇄된 상태가 되어 작동유 탱크(1)에 흡입 공기를 공급하지 않게 된다.
한편, 고도가 높은 산지와 같이 기압이 낮은 지역에서 작동유 탱크(1) 내부 압력은 하한 압력(-0.02bar)보다 낮은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인출 파이프(210)와 작동유 탱크(1) 내부의 차압에 의해 개폐 부재(223)에 하방으로 작용하는 힘은 탄성 부재(224)의 탄성력보다 크게 되고, 이에 의해 개폐 부재(223)는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제1유로(222a)를 개방시킨다. 그러면, 인출 파이프(210)의 흡입 공기는 제1유로(222a) 및 제2유로(222b)를 통해 작동유 탱크(1)의 내부로 유입되어 작동유 탱크(1) 내부의 압력을 상승시킨다. 상기 작동유 탱크(1)의 압력이 일정압 이상 상승하게 되면, 인출 파이프(210)와 작동유 탱크(1)의 내부의 차압이 낮아져 상기 탄성 부재(224)의 탄성력은 상기 개폐 부재(223)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힘보다 커지게 된다. 그러면 개폐 부재(223)가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제1유로(222a)를 차단시킨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의하면, 작동유 탱크(1)의 내부 압력이 하한 압력보다 낮아지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에 의해 유압 펌프의 흡입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캐비테이션(cavitatiton) 현상에 의해 유압 펌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장비가 경사지에 놓여 있거나 작동유가 출렁 거려 작동유의 유면이 상승하게 되면, 역류방지부재(225)는 작동유의 유면과 접촉되어 작동유의 부력으로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의해 제2유로(222b)가 폐쇄되어 작동유(O)가 밸브 유닛(220)을 통해 인출 파이프(210)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유면이 낮아지면, 상기 역류방지부재(225)는 자중에 의해 하강하게 되고, 이에 의해 제2유로(222b)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개방된 상태가 된다.
한편, 본 발명은 꼭 본 실시예와 같이 한정되어 실시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반드시 엔진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이용하지 않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별도의 펌프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면 본 발명의 기본 목적은 달성될 수 있다. 펌프의 경우 앞선 실시예에서의 흡입공기를 대체하여 가압된 공기를 인출 파이프(210)를 통해 작동유 탱크(1)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밸브 유닛은 앞선 실시예에 설명된 밸브 유닛을 그대로 차용이 가능하다. 한편, 상술된 제어부는 작동유 탱크 내부 압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펌프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면 된다. 이러한 펌프의 구동은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준 압력을 그대로 사용하여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어부는 장비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에 본 기능만 추가하는 경우에도 그 구성이 가능하다. 이러한 제어부의 효율적인 제어를 위해 별도의 압력센서가 추가되어 작동유 탱크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여 제어부에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유 탱크의 압력유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작동유 탱크의 압력유지장치의 유압 회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밸브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밸브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 사시도,
도 5는 종래의 작동유 탱크의 압력 변화와 도 1에 도시된 압력유지장치가 적용된 작동유 탱크의 압력 변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작동유 탱크 100; 에어브리더
200; 가압 유닛 210; 인출 파이프
220; 밸브 유닛 221; 하우징
222; 유로 222a; 제1유로
222b; 제2유로 223; 개폐 부재
224; 탄성부재 225; 역류방지부재

Claims (5)

  1. 작동유 저장을 위해 건설기계에 설치되는 작동유 탱크(1);
    상기 작동유 탱크(1)의 내부 압력과 외부 압력의 차이에 따라 상기 작동유 탱크(1)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외기를 상기 작동유 탱크(1)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에어브리더(100); 및
    상기 작동유 탱크(1)의 내부 압력이 기 설정된 하한 압력보다 낮으면 상기 작동유 탱크(1)의 내부 압력을 상승시키는 가압 유닛(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유 탱크의 압력유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유닛(200)은,
    일단이 상기 작동유 탱크(1)에 연결되는 인출 파이프;
    상기 인출 파이프의 타단에 연결되어 공기를 상기 인출 파이프를 통해 상기 작동유 탱크로 공급가능한 펌프;
    상기 인출 파이프를 통해 공급되는 흡입 공기를 상기 작동유 탱크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유입시키는 밸브 유닛; 및
    상기 작동유 탱크의 내부 압력이 기 설정된 하한 압력보다 낮으면, 상기 작동유 탱크 내부 압력보다 높은 압력의 공기를 상기 작동유 탱크 내부로 공급하도록 상기 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유 탱크의 압력유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유닛(200)은,
    엔진(E)의 인터쿨러(20)를 통과한 흡입 공기를 상기 작동유 탱크(1)에 공급하기 위한 인출 파이프(210); 및
    상기 인출 파이프(210)를 통해 공급되는 흡입 공기를 상기 작동유 탱크(1)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유입시키는 밸브 유닛(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유 탱크의 압력유지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유닛(220)은,
    상기 작동유 탱크(1)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인출 파이프(210)와 상기 작동유 탱크(1)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유로(222)가 형성된 하우징(221);
    상기 유로(222)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221)에 마련된 개폐 부재(223); 및
    상기 개폐 부재(223)와 상기 하우징(221)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 부재(223)를 상기 유로(222)가 차단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2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유 탱크의 압력유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222)는,
    상기 개폐 부재(223)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제1유로(222a); 및
    상기 제1유로(222a)를 통과한 흡입공기를 상기 작동유 탱크(1)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제2유로(222b)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유닛(220)은,
    상기 제2유로(222b)를 개방시키는 개방위치와 상기 제2유로(222b)를 폐쇄시키는 폐쇄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상기 하우징(221)에 설치되는 역류방지부재(225)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역류방지부재(225)는,
    자중에 의해 상기 개방위치로 이동하며, 상기 작동유 탱크(1)에 저장된 작동유의 부력에 의해 상기 폐쇄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유 탱크의 압력유지장치.
KR1020090129613A 2009-12-23 2009-12-23 작동유 탱크의 압력유지장치 KR101648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613A KR101648981B1 (ko) 2009-12-23 2009-12-23 작동유 탱크의 압력유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613A KR101648981B1 (ko) 2009-12-23 2009-12-23 작동유 탱크의 압력유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2610A true KR20110072610A (ko) 2011-06-29
KR101648981B1 KR101648981B1 (ko) 2016-08-17

Family

ID=44403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9613A KR101648981B1 (ko) 2009-12-23 2009-12-23 작동유 탱크의 압력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89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64551A (zh) * 2014-04-03 2016-11-23 西门子医疗有限公司 用于包含制冷剂的低温保持器的限压阀以及超导磁体
CN108412750A (zh) * 2018-04-19 2018-08-17 盐城派威机械有限公司 一种防护性好的液压泵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7690A (ja) * 1991-11-22 1993-06-15 Japan Organo Co Ltd 外気遮蔽式液体貯蔵供給タンク
JPH08261346A (ja) * 1995-03-24 1996-10-11 Toyooki Kogyo Co Ltd 圧力制御弁
JP2004117355A (ja) * 2002-09-20 2004-04-15 Robert Bosch Gmbh 容器の気密検査方法および装置
KR200373003Y1 (ko) * 2004-09-23 2005-01-14 주식회사 세원 유압기계용 작동유탱크의 에어브리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7690A (ja) * 1991-11-22 1993-06-15 Japan Organo Co Ltd 外気遮蔽式液体貯蔵供給タンク
JPH08261346A (ja) * 1995-03-24 1996-10-11 Toyooki Kogyo Co Ltd 圧力制御弁
JP2004117355A (ja) * 2002-09-20 2004-04-15 Robert Bosch Gmbh 容器の気密検査方法および装置
KR200373003Y1 (ko) * 2004-09-23 2005-01-14 주식회사 세원 유압기계용 작동유탱크의 에어브리더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64551A (zh) * 2014-04-03 2016-11-23 西门子医疗有限公司 用于包含制冷剂的低温保持器的限压阀以及超导磁体
CN106164551B (zh) * 2014-04-03 2018-02-16 西门子医疗有限公司 用于包含制冷剂的低温保持器的限压阀以及超导磁体
US10113658B2 (en) 2014-04-03 2018-10-30 Siemens Healthcare Limited Pressure limiting valve for a cryostat containing a cryogen and a superconducting magnet
CN108412750A (zh) * 2018-04-19 2018-08-17 盐城派威机械有限公司 一种防护性好的液压泵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8981B1 (ko) 201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4182B1 (ko) 작업 기계의 유압 구동 장치
KR100868908B1 (ko) 수충격 방지 시스템
CN101263307B (zh) 伺服控制的计量提升阀
JPH04262072A (ja) 水圧モータ制御装置
KR20010093297A (ko) 고압펌프의 연료 흡입압력 제어용 밸브 시스템
KR20100049544A (ko) 가변 압축비 엔진용 유압 서플라이
KR20110072610A (ko) 작동유 탱크의 압력유지장치
KR100490479B1 (ko) 굴삭기용 홀딩밸브장치 및 홀딩밸브의 유압제어방법
KR101757747B1 (ko) 압축기 제어 시스템
KR101143868B1 (ko) 가스밸브어레인지먼트
JP6681039B2 (ja) 油漏れ検出機構を備えた油圧シリンダ装置
KR101188838B1 (ko) 유압회로 및 유압잭 시스템의 작동방법
KR101235563B1 (ko) 관로 압력을 이용한 체크 밸브 제어 장치
KR101737017B1 (ko) 프론트로더 유압장치
JP5130378B2 (ja) 大型2サイクル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弁作動システム
JP2017155931A (ja) 油圧装置及び該油圧装置の油圧シリンダ内の異物を除去する方法
CN204828113U (zh) 阀组件、包括该阀组件的液压系统和机器
KR102173945B1 (ko) 퀵오픈 릴리프 밸브에 의한 수충격 완화장치
JP2014084877A (ja) 油圧駆動システム
KR100622866B1 (ko) 항타기의 유압시스템
RU2668298C2 (ru) Управля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перемещением гидравлического цилиндра,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перемещением кольцевого затвора гидравлической машины и гидравлическая машина
KR100780452B1 (ko) 혼합역지변 유압제어시스템
RU89091U1 (ru) Гидропривод грузоподъемного механизма
KR100759588B1 (ko) 수충격선형제어밸브 및 이를 이용한 수충격 제어방법
KR102396713B1 (ko) 대형 저속 내연엔진 및 대형 저속 2행정 내연엔진의 실린더 윤활용 안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