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9588B1 - 수충격선형제어밸브 및 이를 이용한 수충격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수충격선형제어밸브 및 이를 이용한 수충격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9588B1
KR100759588B1 KR1020060008213A KR20060008213A KR100759588B1 KR 100759588 B1 KR100759588 B1 KR 100759588B1 KR 1020060008213 A KR1020060008213 A KR 1020060008213A KR 20060008213 A KR20060008213 A KR 20060008213A KR 100759588 B1 KR100759588 B1 KR 100759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pressure
closing
valve
piston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8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8188A (ko
Inventor
이동근
윤재흥
박한영
노선민
정태희
Original Assignee
한국수자원공사
주식회사 삼진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자원공사, 주식회사 삼진정밀 filed Critical 한국수자원공사
Priority to KR1020060008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9588B1/ko
Publication of KR20070078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8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9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9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00Installations or systems with accumulators; Supply reservoir or sump assemblies
    • F15B1/02Installations or systems with accumulators
    • F15B1/022Installations or systems with accumulators used as an emergency power source, e.g. in case of pump fail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 F15B13/04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operated by electrically-controlled means, e.g. solenoids, torque-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F15B15/1423Component parts; Constructional details
    • F15B15/1457Piston r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16K37/00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fluid para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2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preventing water-hammer or noise
    • F16K47/023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preventing water-hammer or noise for preventing water-hammer, e.g. damping of the valve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01/00Accumu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충격선형제어밸브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수충격선형제어밸브는 펌프장 토출측 또는 착수정 유입측에 설치되며 개폐판의 회동에 의해 개폐되는 개폐밸브; 상기 개폐밸브의 전단 또는 후단에 구비되는 압력센서; 상기 개폐밸브를 유압에 의해 개폐시키는 개폐수단; 상기 개폐수단을 구동시키는 유압실린더 및 피스톤로드와, 유압펌프에 의해 상기 유압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는 파워팩과, 상기 파워팩과 연결되며 상기 압력센서에 의해 펌프장 토출측 또는 착수정 유입측 방향에서 상기 개폐판에 작용하는 토출압력 또는 유입압력이 설정압력값 이상 또는 이하가 되면 개방 또는 폐쇄되어 유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를 인출 또는 후퇴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개폐판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구비된 제어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수충격선형제어밸브는 삼중편심 버터플라이 밸브를 이용하여 밸브 개도의 개도를 조정하여 폐쇄되도록 함으로써 수충격 현상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고, 밸브가 완전 폐쇄된 후에도 수두 동요가 없이 압력수두를 유지할 수 있으며, 고가의 수충격 완화 장비를 대체하여 매우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수충격, 삼중편심 버터플라이 밸브, 스카치요크 구동방식

Description

수충격선형제어밸브 및 이를 이용한 수충격 제어방법{Smart Valve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Water Hammering using it}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충격선형제어밸브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수충격선형제어밸브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수충격선형제어밸브을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수충격선형제어밸브의 제어회로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수충격선형제어밸브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수충격선형제어밸브을 이용한 압력제어를 도시한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토출관 10: 개폐밸브
11: 개폐판 12: 시이트
20: 압력센서 30: 개폐수단
31: 회전축 32a: 장공
32: 회전판 33: 슬라이드너트
34: 유압실린더 35: 피스톤로드
36: 파워팩 37: 솔레노이드밸브
38: 유압펌프 39: 축압기
40: 게이트밸브 41: 스로틀밸브
42: 릴리프 밸브 43: 파이롯트 체크밸브
50: 제어부
본 발명은 수충격선형제어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관로에서 발생되는 수충격을 제어하기 위한 수충격선형제어밸브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수충격(Water Hammer) 현상은 관로에서 밸브 개폐시 또는 펌프가 기동하거나 정지하는 등의 경우에 유체의 흐름에 변화가 생기면, 압력이 파동하며 유속도 급변하게 되는 현상이다.
특히 펌프장의 경우, 정전이 되면 펌프의 관성모멘트가 시간에 따라 감소하여 일정 시간 경과 후에는 토출관로 내 물이 역류하면서 펌프 토출측에 설치된 역지밸브를 급폐쇄시켜 "slamming 현상" 및 급속한 유속 변화로 "수충격(waterhammer)현상"을 발생시켜 높은 압력이 형성되어 밸브 또는 관로가 파괴되는 사고가 발생한다.
이러한 수충격현상으로 인한 관로의 압력상승으로 펌프, 밸브, 플랜지, 지지 물, 관로 등 설비가 파손을 일으키거나, 부압에 의해 관로가 압괴될 수 있으며, 수주분리가 생겨 재결합시에 발생하는 격심한 충격파에 의해 관로가 파손된다. 또한, 진동 및 소음이 발생하게 되며, 비정상적인 압력변동 때문에 자동제어계 등 압력 컨트롤을 하는 기기들이 난조(예를 들어, 펌프의 잦은 온오프작동 등)를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관로 내 압력이 과도하게 저하되거나 상승되는 수충격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에어챔버, 서지탱크, 또는 압력완화밸브와 같은 수충격 완화설비들을 사용하여야 한다.
이러한 수충격 완화설비는 고가의 장비이므로 설비비용의 증가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으며, 장치가 복잡하고 운영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압력을 제한하여 제어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관로 및 유동 조건 등에 따라 밸브 폐쇄 시간 및 개도를 달리 적용하여야 하고, 밸브 조정 시간 간격이 최소 1/100초 단위로서 상당히 정밀해야 정확하게 선형제어를 할 수 있게 되는데, 현장에서 밸브를 사용하는 조건은 정확하게 사전 프로그래밍 된 것과 정확하게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예상되고 밸브 개도가 약간의 오차가 발생하여도 밸브에서의 상승수두를 선형적으로 제어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관로에서 발생되는 수충격현상을 제어하기 용이 하도록 하는 수충격선형제어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수충격 완화장비가 필요없이 수충격으로부터 밸브, 펌프 등의 기기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수충격선형제어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밸브 개도에 따른 오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밸브에 작용되는 압력수두를 일정하게 하여 선형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수충격선형제어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충격선형제어밸브는 펌프장 토출측 또는 착수정 유입측에 설치되며 개폐판의 회동에 의해 개폐되는 개폐밸브; 상기 개폐밸브의 전단 또는 후단에 구비되는 압력센서; 상기 개폐밸브를 유압에 의해 개폐시키는 개폐수단; 상기 개폐수단을 구동시키는 유압실린더 및 피스톤로드와, 유압펌프에 의해 상기 유압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는 파워팩과, 상기 파워팩과 연결되며 상기 압력센서에 의해 펌프장 토출측 또는 착수정 유입측 방향에서 상기 개폐판에 작용하는 토출압력 또는 유입압력이 설정압력값 이상 또는 이하가 되면 개방 또는 폐쇄되어 유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를 인출 또는 후퇴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개폐판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구비된 제어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워팩에 의해 발생된 압력을 저장하며 정전시에 상기 유압실린더를 구동시키도록 하는 축압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유압실린더 및 피스톤로드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개폐수단은, 개폐밸브의 개폐판과 연동되도록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 연동되며 양측 소정부위에 장공이 각각 형성된 회전판과, 각각의 상기 유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 단부를 각각의 상기 장공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결합되도록 하며 피스톤로드의 섭동에 의해 상기 장공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슬라이드너트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충격 제어방법은 a) 펌프장 토출측 또는 착수정 유입측과 연결된 토출관 또는 유입관으로부터 토출압력 또는 유입압력을 압력센서에 의해 감지하는 단계; b) 감지된 압력이 설정압력값 이상 또는 이하가 되면 유압펌프에 의해 발생된 유압을 공급하는 파워팩과 연결된 솔레노이드 밸브가 개방 또는 폐쇄되는 단계; c) 솔레노이드 밸브 개방시 솔레노이드 밸브로부터 전달된 유압에 의해 유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가 인출되도록 하며, 솔레노이드 밸브 폐쇄시 솔레노이드 밸브로부터 전달된 유압에 의해 유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가 후퇴도록 하는 피스톤로드 구동되는 단계; d) 피스톤로드 구동에 의해 개폐수단이 작동되어 개폐밸브의 개폐판에 작용되는 압력이 일정하게 되도록 개폐밸브가 개방 또는 폐쇄되는 단계; 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계가 반복되도록 하여 설정압력값 이상 또는 이하의 토출압력 또는 유입압력에 의해 개폐판에 작용되는 압력을 일정하게 하여 수충격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b), c)단계에서, 정전시에 상기 유압펌프의 작동이 정지되면 상기 파워팩에 의해 발생된 압력을 저장하는 축압기에 의해 상기 유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가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펌프장 또는 착수정 등에서 정전으로 인해 생기는 슬래밍(Slamming) 현상 및 수충격(Waterhammer) 현상을 정해진 압력 범위 내에서 제어하는 수충격선형제어밸브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충격선형제어밸브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수충격선형제어밸브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수충격선형제어밸브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수충격선형제어밸브의 제어회로도이고,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수충격선형제어밸브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수충격선형제어밸브를 이용한 압력제어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충격선형제어밸브는 펌프장 토출측 또는 착수정의 유입측과 연결된 토출관(1) 또는 유입관 상에 설치되는 개폐밸브(10); 상기 개폐밸브(10)의 전단 또는 후단에 구비되는 압력센서(20); 상기 개폐밸브(10)를 유압에 의해 개폐시키는 개폐수단(30); 상기 개폐수단(30)을 설정압력값에 따라 개방시키는 제어부(50); 로 구성된다.
상기 개폐밸브(10)는 펌프장 토출측 또는 착수정의 유입측과 연결된 토출관(1) 또는 유입관 상에 설치되며 개폐판(11)의 회동에 의해 개폐되게 된다. 상기 개폐밸브(10)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출원한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242558호(고안의 명칭: 버터플라이 밸브)에 개시된 버터플라이 밸브의 구조와 유사한 구조로 되어 있다. 개폐판(11)은 경사진 시이트(12)와 면접촉할 수 있도록 되어 실링효과가 우수하며, 개폐판의 개폐작용이 용이하도록 회전축이 편심되어 있다.
상기 압력센서(20)는 상기 개폐밸브(10)의 전단에 구비되어 압력을 체크하게 되며, 체크된 압력이 설정된 압력이상이 되면 개폐판(11)을 개방시키도록 하며 체크된 압력이 설정된 압력이하가 되면 개폐판(11)을 폐쇄시키도록 상기 제어부(50)에 신호를 보내게 되어 개폐판에 작용하는 압력을 일정하게 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상기 개폐수단(30)은 상기 개폐밸브(10)를 유압에 의해 개폐시키는 역할을 하며, 회전축(31)과 장공(32a)이 구비된 회전판(32) 및 상기 회전판(32)을 회전시키는 슬라이드너트(33)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31)은 개폐밸브(10)의 개폐판(11)과 연동되도록 개폐판(11)과 결합된다.
상기 회전판(32)은 상기 회전축(31)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31)과 연동되며 양측 소정부위에 장공(32a)이 대칭되게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너트(33)는 각각의 상기 장공(32a)에 회전축(31)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결합되게 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너트(33)는 상기 회전판(32)의 장공(32a)에 각각 결합되며, 유압실린더(34)의 피스톤로드(35) 단부가 결합되어 피스톤 로드(35)의 섭동에 의해 상기 장공(32a)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상기 회전판(32)을 회전시키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유압실린더(34)의 피스톤로드(35)에 연결된 슬라이드 너트(33)는 스카치 요크 방식을 적용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개폐밸브(10)의 개폐작용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유압실린더(34), 피스톤로드(35), 파워팩(36) 및 솔레노이드밸브(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50)는 압력센서(20)에서 감지된 압력이 사용자가 입력한 설정압력이상이 되면 개폐밸브(10)를 폐쇄하고, 설정압력이하가 되면 개폐밸브(10)를 개방시켜 개폐밸브에 작용하는 압력을 일정하게 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즉, 제어부(50)는 개폐밸브(10)의 개폐를 제어하여 개폐판(11)으로 통과하는 유량 및 개폐판(11)에 작용하는 압력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유압실린더(34) 및 피스톤로드(35)는 압력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개폐수단(30)을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피스톤로드(35)는 단부가 상기 개폐수단(30)의 회전판(32)에 형성된 장공(32a)에 결합되는 슬라이드너트(33)와 체결되어 상기 슬라이드너트(33)를 상기 장공(32a)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면서 상기 회전판(32)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판(32)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회전판(32)과 연동되는 회전축(31)이 회전을 하게 되고 상기 회전축(31)과 연동되는 개폐판(11)이 회전하게 되어 개폐판(11)의 개폐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개폐판(11)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6은 개폐판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파워팩(36)은 유압펌프(38)에 의해 상기 유압실린더(34)에 유압을 공급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37)는 상기 파워팩(36)과 연결되며 상기 압력센서(20)에 의해 펌프장의 토출측 또는 착수정 유입측 방향에서 상기 개폐판(11)에 작용하는 압력이 설정압력값 이상 또는 이하가 되면 개방 또는 폐쇄되어 유압실린더(34)의 피스톤로드(35)를 인출 또는 후퇴시킴으로써 상기 개폐판(11)이 개도각을 갖도록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역할을 한다. 솔레노이드밸브(37)가 개방되면 상기 유압실린더(34)의 피스톤로드(35)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유압이 전달되며, 솔레노이드밸브(37)가 폐쇄되면 상기 유압실린더(34)의 피스톤로드(35)가 후퇴되는 방향으로 유압이 전달되게 된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파워팩(36)에 의해 발생된 압력을 저장하며 정전시에 상기 유압실린더(34)를 구동시키도록 하는 축압기(39)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정전시에 축압기(39)에 의해 유압실린더(34)를 구동하도록 함으로써 수충격현상에 의한 기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미설명부호 40은 게이트밸브이고, 41은 스로틀밸브이며, 42는 릴리프밸브이며, 43는 파이롯트 체크밸브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수충격선형제어밸브를 이용한 수충격 제어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점선은 종래의 개폐밸브 폐쇄시 개폐판에 작용하는 압력을 나타낸 것으로 개폐밸브의 폐쇄시 펌프장에서 토출되는 물에 의해 개폐판에 부딪혀 압력이 상승되고 다시 반동에 의해 압력이 저하되며 이를 반복적으로 되면 압력이 저하되어 결국 소모되는 것을 나타낸다.
실선은 본 발명에 의한 수충격선형제어밸브를 이용하여 수충격을 제어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설정압력을 정하고 개폐밸브(10)를 폐쇄시킬 경우 압력이 상승하게 되면 개폐밸브(10)를 개방시켜 개폐판(11)에 작용하는 압력을 줄이고 압력이 하강하게 되면 개폐밸브(10)를 폐쇄시켜 개폐판(11)에 작용하는 압력을 줄이는 방식으로 개폐판(11)에 균등한 압력이 작용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수충격선형제어밸브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충격을 제어하게 된다.
펌프장 토출측 또는 착수정 유입측과 연결된 토출관(1) 또는 유입관으로부터 토출되는 토출압력 또는 유입되는 유입압력을 압력센서(20)에 의해 감지한다. 감지된 토출압력 또는 유입압력이 설정압력값 이상이 되면 유압펌프(38)에 의해 발생된 유압을 공급하는 파워팩(36)과 연결된 솔레노이드밸브(37)가 개방 또는 폐쇄되게 된다. 솔레노이드밸브(37) 개방시 솔레노이드 밸브(37)로부터 전달된 유압에 의해 유압실린더(34)의 피스톤로드(35)가 인출되도록 하며, 솔레노이드밸브(37) 폐쇄시 솔레노이드밸브(37)로부터 전달된 유압에 의해 유압실린더(34)의 피스톤로드(35)가 후퇴되도록 하여 피스톤로드(35)가 구동되게 된다.
상기 피스톤로드(35) 인출시에는 상기 피스톤로드(35)의 단부가 상기 개폐수단(30)의 회전판(32)에 형성된 장공(32a)에 결합되는 슬라이드너트(33)가 상기 장공(32a)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회전판(32)을 회전시키게 되며, 상기 회전판(32)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회전판(32)과 연동되는 회전축(31)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축(31)과 연동되는 개폐판(11)이 회전하게 되어 개폐판(11)의 개방되게 되어 개폐밸브(10)가 개방되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피스톤로드(35) 후퇴시에는 상기 피스톤로드(35)의 단부가 상기 개폐수단(30)의 회전판(32)에 형성된 장공(32a)에 결합되는 슬라이드너트(33)가 상기 장공(32a)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회전판(32)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며, 상기 회전판(32)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회전판(32)과 연동되는 회전축(31)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축(31)과 연동되는 개폐판(11)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개폐판(11)이 폐쇄되어 개폐밸브(10)가 폐쇄되게 된다.
전술한 과정이 반복되도록 하여 설정압력값 이상 또는 이하의 토출압력 또는 유입압력에 의해 개폐판(11)에 작용되는 수충격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정전시에는 상기 유압펌프(38)의 작동이 정지되면 개폐밸브(10)의 개폐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상기 파워팩(36)에 의해 발생된 압력을 저장하는 축압기(39)에 의해 상기 유압실린더(34)의 피스톤로드(35)가 구동되어 개폐밸브(10)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충격선형제어밸브는 삼중편심 버터플라이 밸브를 이용하여 밸브 개도의 개도를 조정하여 폐쇄되도록 함으로써 수충격 현상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고, 밸브가 완전 폐쇄된 후에도 수두 동요가 없이 압력수두를 유지할 수 있으며, 고가의 수충격 완화 장비를 대체하여 매우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Claims (5)

  1. 펌프장 토출측 또는 착수정 유입측과 연결된 토출관(1) 또는 유입관 상에 설치되며 개폐판(11)의 회동에 의해 개폐되는 개폐밸브(10);
    상기 개폐밸브(10)의 전단 또는 후단에 구비되는 압력센서(20);
    상기 개폐밸브(10)를 유압에 의해 개폐시키며, 상기 개폐밸브(10)의 개폐판(11)과 연동되도록 결합되는 회전축(31)과, 상기 회전축(31)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 연동되며 양측 소정부위에 장공(32a)이 각각 형성된 회전판(32)과, 각각의 유압실린더(34)의 피스톤로드(35) 단부를 각각의 상기 장공(32a)에 회전축(31)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결합되도록 하며 피스톤로드(35)의 섭동에 의해 상기 장공(32a)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상기 회전판(32)을 회전시키는 슬라이드너트(33)가 구비된 개폐수단(30);
    상기 개폐수단(30)을 구동시키며,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유압실린더(34) 및 피스톤로드(35)와, 유압펌프(38)에 의해 상기 유압실린더(34)에 유압을 공급하는 파워팩(36)과,
    상기 파워팩(36)과 연결되며 상기 압력센서(20)에 의해 펌프장 토출측 또는 착수정 유입측 방향에서 상기 개폐판(11)에 작용하는 압력이 설정압력값 이상 또는 이하가 되면 개방 또는 폐쇄되어 유압실린더(34)의 피스톤로드(35)를 인출 또는 후퇴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개폐판(11)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솔레노이드 밸브(37)와,
    상기 파워팩(36)에 의해 발생된 압력을 저장하며 정전시에 상기 유압실린더(34)를 구동시키도록 하는 축압기(39)가 구비된 제어부(5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충격선형제어밸브.
  2. 삭제
  3. 삭제
  4. a) 펌프장 토출측 또는 착수정 유입측과 연결된 토출관(1) 또는 유입관으로부터 토출압력 또는 유입압력을 압력센서에 의해 감지하는 단계;
    b) 감지된 토출압력이 설정압력값 이상 또는 이하가 되면 유압펌프에 의해 발생된 유압을 공급하는 파워팩(36)과 연결된 솔레노이드 밸브(37)가 개방 또는 폐쇄되는 단계;
    c) 솔레노이드 밸브(37) 개방시 솔레노이드 밸브(37)로부터 전달된 유압에 의해 유압실린더(34)의 피스톤로드(35)가 인출되도록 하며, 솔레노이드 밸브(37) 폐쇄시 솔레노이드 밸브(37)로부터 전달된 유압에 의해 유압실린더(34)의 피스톤로드(35)가 후퇴되도록 하는 피스톤로드(35) 구동되는 단계;
    d) 피스톤로드(35)의 구동에 의해 개폐수단(30)이 작동되어 개폐밸브(10)의 개폐판(11)에 작용되는 압력이 일정하게 되도록 개폐밸브(10)가 개방 또는 폐쇄되는 단계;
    로 이루어지며, 상기 b), c)단계에서, 정전시에 상기 유압펌프(38)의 작동이 정지되면 상기 파워팩(36)에 의해 발생된 압력을 저장하는 축압기(39)에 의해 상기 유압실린더(34)의 피스톤로드(35)가 구동되고,
    상기 a) ~ d) 단계가 반복되도록 하여 설정압력값 이상 또는 이하의 토출압력 또는 유입압력에 의해 개폐판(11)에 작용되는 압력을 일정하게 하여 수충격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충격 제어방법.
  5. 삭제
KR1020060008213A 2006-01-26 2006-01-26 수충격선형제어밸브 및 이를 이용한 수충격 제어방법 KR100759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8213A KR100759588B1 (ko) 2006-01-26 2006-01-26 수충격선형제어밸브 및 이를 이용한 수충격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8213A KR100759588B1 (ko) 2006-01-26 2006-01-26 수충격선형제어밸브 및 이를 이용한 수충격 제어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2446U Division KR200414115Y1 (ko) 2006-01-26 2006-01-26 수충격선형제어밸브 및 이를 이용한 수충격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8188A KR20070078188A (ko) 2007-07-31
KR100759588B1 true KR100759588B1 (ko) 2007-09-18

Family

ID=38502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8213A KR100759588B1 (ko) 2006-01-26 2006-01-26 수충격선형제어밸브 및 이를 이용한 수충격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958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8273A (ja) 1997-04-15 1998-10-27 I Ee H:Kk バルブ開閉機構
KR20010009493A (ko) * 1999-07-10 2001-02-05 장인순 디지털제어 및 통신기능을 갖춘 유량조절밸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8273A (ja) 1997-04-15 1998-10-27 I Ee H:Kk バルブ開閉機構
KR20010009493A (ko) * 1999-07-10 2001-02-05 장인순 디지털제어 및 통신기능을 갖춘 유량조절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8188A (ko) 200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8908B1 (ko) 수충격 방지 시스템
KR101722078B1 (ko) 수배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20180142808A1 (en) Water piping system with slam mitigation function of check valv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140216407A1 (en) Fuel System Control
US20110037009A1 (en) Non-return valve
CN111720593B (zh) 一种多功能止回阀
CN105065244A (zh) 气动泵控制装置
EP1948919B1 (en) Apparatus for elimination of transient pressure spikes on stiff fluid systems
KR100759588B1 (ko) 수충격선형제어밸브 및 이를 이용한 수충격 제어방법
KR100759584B1 (ko) 스마트밸브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충격 제어방법
JP6375415B2 (ja) 高圧洗浄装置及び高圧洗浄車
KR200413339Y1 (ko) 스마트밸브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충격 제어방법
KR200414115Y1 (ko) 수충격선형제어밸브 및 이를 이용한 수충격 제어방법
KR101235563B1 (ko) 관로 압력을 이용한 체크 밸브 제어 장치
KR101790750B1 (ko) 체크밸브의 슬램 완화 기능을 구비하는 수배관 시스템
JP5735407B2 (ja) 慣性体の揺れ戻し防止装置
KR102198263B1 (ko) 펌핑 시스템
CN204827882U (zh) 气动泵控制装置
KR200177665Y1 (ko) 수충격 완화 장치
KR101791520B1 (ko) 충격 방지용 밸브 장치
KR20110072610A (ko) 작동유 탱크의 압력유지장치
JP6157871B2 (ja) 高圧洗浄装置及び高圧洗浄車
CN207610198U (zh) 除盐水不停机输送系统
JPH063280B2 (ja) 水路における送水装置
OA19952A (en) Water piping system with slam mitigation function of check valv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