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2922A - 폴더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폴더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2922A
KR20230022922A KR1020230014795A KR20230014795A KR20230022922A KR 20230022922 A KR20230022922 A KR 20230022922A KR 1020230014795 A KR1020230014795 A KR 1020230014795A KR 20230014795 A KR20230014795 A KR 20230014795A KR 20230022922 A KR20230022922 A KR 202300229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variable support
hinge
set frame
folding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4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승오
윤영준
이신석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14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2922A/ko
Publication of KR20230022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29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6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05D3/14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four parallel pins and two 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05D3/18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sliding pins or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더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는, 힌지부, 힌지부에 힌지 연결되는 한 쌍의 세트 프레임 및 세트 프레임의 내측면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지지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고, 세트 프레임이 접혀진 접힘 상태와 세트 프레임이 펼쳐진 펼침 상태 간에 전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폴더블 표시 장치에 있어서, 펼침 상태에서는 세트 프레임의 내측면과 함께 표시 패널을 지지하도록 배치되고, 접힘 상태에서는 세트 프레임의 내측면으로 후퇴되도록 힌지부에 힌지 연결되는 가변 지지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펼침 상태에서 가변 지지부와 세트 프레임이 표시 패널의 전 영역을 평탄하게 지지하여, 표시 패널의 손상을 저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폴더블 표시 장치{FORDA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폴더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폴더블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을 평탄하게 지지하고, 표시 패널의 폴딩 시, 표시 패널을 수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확보되도록 힌지 구조를 개선한 폴더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의 모니터나 TV, 핸드폰 등에 사용되는 표시 장치에는 스스로 광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등과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등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플렉서블(flexible) 소재인 플라스틱 등과 같이 유연성 있는 기판에 표시부, 배선 등을 형성하여, 종이처럼 휘어져도 화상 표시가 가능하게 제조되는 폴더블 표시 장치가 차세대 표시 장치로 주목 받고 있다.
폴더블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과, 표시 패널을 지지 및 보호하는 세트 프레임을 포함한다. 그리고 세트 프레임은 표시 패널의 폴딩에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부에 힌지 결합된다. 이때, 폴더블 표시 장치가 폴딩될 때, 표시 패널의 폴딩 곡률 반경에 따라, 세트 프레임 및 힌지부에서 표시 패널의 폴딩된 부분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 세트 프레임 내에 이러한 공간을 형성하여 표시 패널의 곡률 반경을 확보할 수 있으나, 폴더블 표시 장치가 펼침 상태인 경우, 상기 공간에 중첩하는 표시 패널의 일부 영역은 지지되지 못한다. 따라서, 표시 패널의 평탄도를 유지하기 어렵고, 사용자의 터치 동작이나 필기 입력 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표시 패널이 손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폴더블 표시 장치가 폴딩될 때, 세트 프레임 및 힌지부에서 표시 패널의 폴딩된 영역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함을 인식하였다. 따라서, 세트 프레임 및 힌지부 내측면의 일부를 제거하여 표시 패널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나, 상기 공간에 중첩하는 표시 패널의 일부 영역은 지지되지 못한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 공간에서 표시 패널의 일부 영역을 지지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인식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표시 패널을 지지하면서도, 표시 패널의 수납 공간을 확보한 폴더블 표시 장치를 발명하였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폴더블 표시 장치의 펼침 상태 시, 표시 패널의 전 영역을 평탄하게 지지할 수 있는 폴더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폴더블 표시 장치의 접힘 상태 시, 표시 패널의 수납 공간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는 폴더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는, 힌지부, 힌지부에 힌지 연결되는 한 쌍의 세트 프레임 및 세트 프레임의 내측면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지지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고, 세트 프레임이 접혀진 접힘 상태와 세트 프레임이 펼쳐진 펼침 상태 간에 전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폴더블 표시 장치에 있어서, 펼침 상태에서는 세트 프레임의 내측면과 함께 표시 패널을 지지하도록 배치되고, 접힘 상태에서는 세트 프레임의 내측면으로 후퇴되도록 힌지부에 힌지 연결되는 가변 지지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펼침 상태에서 가변 지지부와 세트 프레임이 표시 패널의 전 영역을 평탄하게 지지하여, 표시 패널의 손상을 저감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는, 힌지부, 힌지부의 양측에서 각각 힌지부에 힌지 연결된 한 쌍의 세트 프레임, 세트 프레임의 내측면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지지되는 표시 패널 및 힌지부의 양측에서 각각 힌지부에 힌지 연결되고, 표시 패널이 펼쳐진 펼침 상태에서, 세트 프레임의 내측면과 함께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가변 지지부를 포함하고, 표시 패널이 접혀진 접힘 상태에서, 가변 지지부는 세트 프레임의 내측면에 수납될 수 있다. 따라서, 접힘 상태에서, 표시 패널의 수납 공간을 확보하여, 표시 패널의 곡률 반경 마진을 확보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폴더블 표시 장치에서 표시 패널의 전 영역을 평탄하게 지지하여, 표시 패널의 손상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폴더블 표시 장치의 폴딩 시, 표시 패널의 수납 공간을 확보하여, 표시 패널의 곡률 반경 마진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펼침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가 펼침 상태에서 접힘 상태로 전환될 때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접힘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접힘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 "위 (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구성 요소일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펼침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폴더블 표시 장치(100)는, 표시 패널(110), 세트 프레임(120), 힌지부(130) 및 가변 지지부(140)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110)은 영상이 구현되는 패널로,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표시 소자와 표시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 배선 및 부품 등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은 폴딩 영역(FA) 및 비폴딩 영역(NFA)을 포함한다.
폴딩 영역(FA)은 표시 패널(110)이 폴딩되는 영역으로,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펼쳐진 펼침 상태일 때, 평탄하게 유지되고,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접혀진 접힘 상태일 때, 폴딩될 수 있다.
비폴딩 영역(NFA)은 표시 패널(110)이 펼침 상태 및 접힘 상태일 때 모두 표시 패널(110)이 평면 상태를 유지하는 영역이다. 비폴딩 영역(NFA)은 폴딩 영역(FA)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폴딩 영역(FA)의 폴딩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비폴딩 영역(NFA)은 펼침 상태일 때, 폴딩 영역(FA)과 일 평면을 이룰 수 있고, 접힘 상태일 때, 비폴딩 영역(NFA)은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세트 프레임(120)은 표시 패널(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110)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트 프레임(120)의 내측면에서 표시 패널(110)의 비폴딩 영역(NFA)을 지지할 수 있다.
세트 프레임(120)의 내측면을 이루는 면 중 표시 패널(110)의 하면과 접하는 세트 프레임(120)의 하면은 제1 하면(121), 경사면(122), 안착면(123) 및 제2 하면(124)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제2 하면(124)은 표시 패널(110)의 비폴딩 영역(NFA)을 지지하는 면으로, 세트 프레임(120)의 하면 중 제2 하면(124)에서 내측면이 가장 얕게 형성된다. 제2 하면(124)과 표시 패널(110)의 비폴딩 영역(NFA) 사이에는 접착 물질 등이 도포되어, 세트 프레임(120)에 표시 패널(110)이 고정될 수 있다.
안착면(123)은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펼침 상태 시, 가변 지지부(140)의 단부가 안착되는 면으로, 가변 지지부(140)가 걸쳐질 수 있다. 이때, 안착면(123)은 제2 하면(124)보다 낮은 단차를 가지므로, 가변 지지부(140)의 단부는 안착면(123)과 제2 하면(124) 간의 단차에 의해 제2 하면(124) 측으로 더 이상 이동할 수 없고, 안착면(123)에 안착되도록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안착면(123)과 제2 하면(124) 간의 단차는 가변 지지부(140)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경사면(122)은 안착면(123)에서 제1 하면(121)에 이어진 면으로, 제1 하면(121) 및 제2 하면(124)과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다.
제1 하면(121)은 세트 프레임(120)의 하면 중 제1 하면(121)에서 내측면이 가장 깊게 형성된다. 제1 하면(121)은 세트 프레임(120)의 하면 중 힌지부(130)에 가장 인접한다. 제1 하면(121)은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접힘 상태 시, 가변 지지부(140)와 접할 수 있고,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세트 프레임(120)의 힌지부(130) 측의 단부의 양 끝단에서, 힌지부(130) 측으로 연장된 제1 힌지 결합부(125)를 포함한다. 제1 힌지 결합부(125)는 힌지부(130)의 제1 힌지 축(131)에 힌지 결합될 수 있고, 세트 프레임(120)은 제1 힌지 축(131)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제1 하면(121), 경사면(122), 힌지부(130)의 외측면 및 제1 힌지 결합부(125)에 의해 세트 프레임(120)에서 리세스(recessed)부(127)가 정의될 수 있다. 리세스부(127)는 힌지부(130)에 인접한 세트 프레임(120)의 내측면으로부터 리세스된 영역이다. 구체적으로, 힌지부(130)에 인접한 세트 프레임(120)의 내측면은 힌지부(130)로부터 후퇴되어 형성된 빈 공간이다. 리세스부(127)는 제1 하면(121), 경사면(122) 및 힌지부(130) 사이의 빈 공간으로, 펼침 상태에서 리세스부(127)의 상측에는 가변 지지부(140)가 배치된다.
한편, 세트 프레임(120)의 내측면에 가이드 홈(126)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세트 프레임(120)의 내측면에서 제1 힌지 결합부(125) 측의 안내면에 가이드 홈(126)이 배치된다. 가이드 홈(126)은 안내면에서도, 안내면과 안착면(123), 경사면(122) 및 제1 하면(121)의 경계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안내면은 세트 프레임(120)의 내측면에서 측면 중 하나로, 세트 프레임(120)의 힌지부(130) 측의 단부의 양 끝단에서 제1 힌지 결합부(125)로 이어지는 측면이다. 따라서, 안내면은 제1 하면(121)과 수직하게 배치된다.
가이드 홈(126)은 가변 지지부(140)가 회전 중에 이탈되지 않도록, 가변 지지부(140)의 단부의 회전 궤적과 일치한다. 가이드 홈(126)에 가변 지지부(140)의 돌출부(141)가 끼워지고, 가변 지지부(140)는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접힘 상태 및 펼침 상태 전환 시, 가이드 홈(126)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안내된다. 따라서, 가이드 홈(126)의 일단은 펼침 상태 시, 가변 지지부(140)의 단부가 배치되는 안착면(123)과 인접하고, 가이드 홈(126)의 타단은 접힘 상태 시, 가변 지지부(140)의 단부가 배치되는 제1 하면(121)과 인접할 수 있다.
가변 지지부(140)는 표시 패널(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세트 프레임(120)과 함께 표시 패널(110)을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변 지지부(140)는 표시 패널(110)의 폴딩 영역(FA)을 지지할 수 있다. 펼침 상태일 때, 한 쌍의 가변 지지부(140)와 한 쌍의 세트 프레임(120)은 일 평면을 이룰 수 있고, 접힘 상태일 때, 가변 지지부(140)는 세트 프레임(120)의 내측면으로 후퇴될 수 있다. 즉, 가변 지지부(140)는 접힘 상태일 때, 세트 프레임(120)의 하면 측으로 회전하여, 세트 프레임(120)의 제1 하면(121)에 접할 수 있다. 다만, 가변 지지부(140)는 세트 프레임(120)의 제2 하면(124)과 달리, 별도의 접착 물질 등은 도포되지 않고, 표시 패널(110)과는 고정되지 않는다.
가변 지지부(140)는 가변 지지부(140)의 양측 단부 사이의 임의의 중간 지점에서, 가변 지지부(140)의 하면으로부터 힌지부(130) 측으로 연장된 제2 힌지 결합부(142)를 포함한다. 제2 힌지 결합부(142)는 힌지부(130)의 제2 힌지 축(132)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가변 지지부(140)는 제2 힌지 축(132) 상에서, 제2 힌지 축(132)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고, 가변 지지부(140)의 양측 단부는 제2 힌지 축(132)을 기준으로 회전 궤적이 결정될 수 있다.
가변 지지부(140)는 가변 지지부(140)의 세트 프레임(120) 측의 단부의 양 끝단에 배치된 돌출부(141)를 포함한다. 돌출부(141)는 세트 프레임(120)의 안내면 측으로 연장되어, 안내면의 가이드 홈(126)에 끼워진다. 따라서, 가변 지지부(140)가 제2 힌지 축(132)을 기준으로 회전할 시, 돌출부(141)는 가이드 홈(126)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힌지부(130)는 표시 패널(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한 쌍의 세트 프레임(120) 및 한 쌍의 가변 지지부(140)와 힌지 결합된다. 그러므로, 한 쌍의 세트 프레임(120) 및 한 쌍의 가변 지지부(140)는 힌지부(130)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힌지부(130)는 표시 패널(110)의 폴딩 영역(FA) 하부에 배치되고, 한 쌍의 제1 힌지 축(131) 및 한 쌍의 제2 힌지 축(132)을 포함한다.
제1 힌지 축(131)은 힌지부(130)의 양단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세트 프레임(120)의 제1 힌지 결합부(125)에 결합된다. 이때, 한 쌍의 제1 힌지 축(131)은 한 쌍의 세트 프레임(120)에 각각 결합된다. 예를 들어, 힌지부(130) 일측에 배치된 세트 프레임(120)에서의 한 쌍의 제1 힌지 결합부(125)에 하나의 제1 힌지 축(131)이 결합되고, 힌지부(130) 타측에 배치된 세트 프레임(120)에서의 한 쌍의 제1 힌지 결합부(125)에 다른 하나의 제1 힌지 축(131)이 결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100)는 2축 힌지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힌지 축(132)은 힌지부(130)의 양단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가변 지지부(140)의 제2 힌지 결합부(142)에 결합된다. 이때, 제2 힌지 축(132)은 한 쌍의 가변 지지부(140)에 각각 결합되므로, 2개의 제2 힌지 축(13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힌지부(130) 일측에 배치된 가변 지지부(140)의 제2 힌지 결합부(142)에 하나의 제2 힌지 축(132)이 결합되고, 힌지부(130) 타측에 배치된 가변 지지부(140)에서의 제2 힌지 결합부(142)에 다른 하나의 제2 힌지 축(132)이 결합된다.
한편, 폴더블 표시 장치(100)는 가요성의 기판에 표시 소자, 회로 등을 형성하여, 휘어져도 화상 표시가 가능한 표시 장치이다. 따라서, 폴더블 표시 장치(100)는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평탄하게 펼쳐진 펼침 상태, 그리고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상면이 서로 접할 수 있도록 접혀진 접힘 상태 간에서 전환이 가능하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펼침 상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펼침 상태일 때, 표시 패널(110)은 평탄하게 펼쳐지고, 표시 패널(110)을 지지하는 한 쌍의 세트 프레임(120) 또한 일평면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가변 지지부(140)는 세트 프레임(120)과 함께 표시 패널(110)을 지지할 수 있고, 가변 지지부(140) 또한 일 평면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가변 지지부(140)는 세트 프레임(120)의 제2 하면(124)과도 일 평면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이때, 세트 프레임(120)의 제2 하면(124)은 표시 패널(110)의 비폴딩 영역(NFA)을 지지하고, 가변 지지부(140)는 표시 패널(110)의 폴딩 영역(FA)을 지지한다. 따라서, 세트 프레임(120)의 제2 하면(124) 및 가변 지지부(140)는 일 평면을 이루고, 표시 패널(110)의 하부에서 표시 패널(110)을 지지하므로, 표시 패널(110) 또한 평탄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가변 지지부(140)의 세트 프레임(120) 측의 단부는 세트 프레임(120)의 안착면(123)에 걸쳐져, 세트 프레임(120)의 제2 하면(124)과 같은 일 평면을 이루도록 지지될 수 있다.
안착면(123)에 의해 제2 하면(124)과 수평하게 지지된 가변 지지부(140)는 리세스부(127)의 상측에 배치되어, 제1 하면(121)과는 이격된다. 그리고, 리세스부(127)는 아무것도 수납되지 않은 빈 공간으로 남을 수 있다.
한편, 힌지부(130) 일측의 가변 지지부(140)의 힌지부(130) 측 단부는 힌지부(130) 타측의 가변 지지부(140)의 힌지부(130) 측 단부와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가변 지지부(140)의 힌지부(130) 측 단부는 서로 마주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가변 지지부(140)의 힌지부(130) 측의 단부는 서로 오버랩되지 않고, 이격될 수 있다. 만약, 한 쌍의 가변 지지부(140)의 힌지부(130) 측의 단부가 오버랩되는 경우, 한 쌍의 가변 지지부(140)가 제2 힌지 축(132)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해하므로, 가변 지지부(140)가 손상되고, 표시 패널(110)이 평탄하게 지지되기 어려울 수 있다.
한편, 힌지부(130)의 하면(133)은 세트 프레임(120)의 제2 하면(124)보다 후퇴되고, 즉 힌지부(130)의 하면(133)의 단차는 제2 하면(124)보다 낮을 수 있다. 이때, 힌지부(130)의 제2 힌지 축(132)은 힌지부(130)의 하면(133)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힌지 축(132)은 세트 프레임(120)의 제2 하면(124)보다는 낮고, 제1 하면(121)보다는 높은 단차를 가질 수 있다. 제2 힌지 축(132)이 이러한 단차를 가짐으로써, 제2 힌지 축(132)에 결합된 가변 지지부(140)가 제2 힌지 축(132) 상에서, 제2 하면(124)과 일 평면을 이루어, 표시 패널(110)을 평탄하게 지지할 수 있다.
한편, 가변 지지부(140)의 돌출부(141)는 가이드 홈(126)의 일단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홈(126)은 세트 프레임(120)의 안내면에서 가변 지지부(140)의 돌출부(141)의 회전 궤적과 일치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가이드 홈(126)의 일단은 안착면(123)과 일 평면 상에 형성된다. 따라서, 펼침 상태에서, 가변 지지부(140)의 단부는 안착면(123)에 안착되고, 가변 지지부(140)의 단부의 양 끝단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141) 또한, 가이드 홈(126)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100)는 펼침 상태 시, 세트 프레임(120)이 표시 패널(110)의 비폴딩 영역(NFA)을 평탄하게 지지할 수 있다. 가변 지지부(140)는 표시 패널(110)의 비폴딩 영역(NFA)을 평탄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때, 가변 지지부(140)는 세트 프레임(120)의 안착면(123)에 단부가 걸쳐지고, 제2 하면(124)과 일 평면을 이루도록 지지될 수 있다. 또한, 가변 지지부(140)의 배치에 따라 가변 지지부(140)의 돌출부(141) 또한 가이드 홈(126)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펼침 상태에서 접힘 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가 펼침 상태에서 접힘 상태로 전환될 때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펼침 상태에서, 접힘 상태로 전환될 때, 폴딩 영역(FA) 양측의 비폴딩 영역(NFA)에서의 표시 패널(110)의 상면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이때, 표시 패널(110)의 비폴딩 영역(NFA)은 세트 프레임(120)의 제2 하면(124)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계속해서 평탄하게 유지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의 폴딩 영역(FA)은 폴딩 영역(FA)을 지지하는 가변 지지부(140)와 고정되어 있지 않으며, 비폴딩 영역(NFA)의 회전에 따라 폴딩 영역(FA)이 구부러질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의 비폴딩 영역(NFA)을 지지하던 한 쌍의 세트 프레임(120) 또한, 표시 패널(110)을 따라 제2 하면(124)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트 프레임(120)은 힌지부(130)의 제1 힌지 축(131)을 기준으로 한 쌍의 세트 프레임(120)의 제2 하면(124)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의 폴딩 영역(FA)을 지지하던 한 쌍의 가변 지지부(140) 또한, 표시 패널(110)을 따라 상면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세트 프레임(120)의 안착면(123)에 의해 지지되던 가변 지지부(140)의 세트 프레임(120) 측의 단부가 세트 프레임(120)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펼침 상태 시, 가변 지지부(140)의 세트 프레임(120) 측의 단부는 안착면(123)에 걸쳐지고, 단부의 양 끝단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141) 또한 가이드 홈(126)의 일단에 배치되었다.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접히게 될 때, 가변 지지부(140)의 세트 프레임(120) 측의 단부는 안착면(123)에서 경사면(122)을 지나, 제1 하면(121)측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아울러, 가변 지지부(140)의 단부의 슬라이딩에 의해 돌출부(141) 또한 가이드 홈(126)을 따라 가이드 홈(126)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펼침 상태 시, 가변 지지부(140)의 힌지부(130) 측의 단부는 힌지부(130) 하면(133)의 상측, 즉 내측면 상에 배치되었다.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접히게 될 때, 가변 지지부(140)의 힌지부(130) 측의 단부는 힌지부(130) 하면(133)의 상측에서 힌지부(130)의 내측면을 향해 회전할 수 있다. 즉, 가변 지지부(140)의 힌지부(130) 측의 단부는 힌지부(130) 하면(133)의 상측에서, 힌지부(130) 하면(133)에 가까워지도록 힌지부(130) 내측면의 측면을 향해 회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접힘 상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접힘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접힘 상태일 때, 폴딩 영역(FA) 양측의 비폴딩 영역(NFA)에서의 표시 패널(110)의 상면이 서로 마주한다. 이때, 표시 패널(110)의 비폴딩 영역(NFA)은 세트 프레임(120)의 제2 하면(124)에 고정되어, 평탄하게 유지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의 폴딩 영역(FA)은 비폴딩 영역(NFA)이 서로 마주할 수 있도록, 최대한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의 비폴딩 영역(NFA)을 지지하던 한 쌍의 세트 프레임(120) 또한, 표시 패널(110)의 비폴딩 영역(NFA)처럼, 세트 프레임(120)의 제2 하면(124)이 서로 마주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의 폴딩 영역(FA)을 지지하던 한 쌍의 가변 지지부(140)는 폴딩 영역(FA)이 구부러짐에 따라 표시 패널(110)을 지지하는 대신, 표시 패널(110)의 폴딩 영역(FA)이 접힐 수 있도록 세트 프레임(120)의 제1 하면(121)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가변 지지부(140)는 세트 프레임(120)의 제1 하면(121)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가변 지지부(140)는 힌지부(130)의 하면(133)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가변 지지부(140)의 세트 프레임(120) 측의 단부는 제1 하면(121)에 접할 수 있고, 단부의 양 끝단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141) 또한 가이드 홈(126)의 타단에 배치될 수 있다.
가변 지지부(140)의 힌지부(130) 측의 단부는 접힘 상태에서, 힌지부(130)의 하면(133)에 닿지 않고 이격될 수 있다. 만약, 가변 지지부(140)의 힌지부(130) 측의 단부가 힌지부(130)의 하면(133)에 닿는 경우, 가변 지지부(140)가 회전할 때, 힌지부(130)의 하면(133)과 충돌하여 손상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세트 프레임(120)의 제1 하면(121) 및 경사면(122)과, 힌지부(130) 사이의 공간으로 리세스부(127)가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펼침 상태 시, 리세스부(127)의 상측에는 가변 지지부(140)가 배치되었다.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접힘 상태로 변환됨에 따라, 리세스부(127)의 상측에 배치되던 가변 지지부(140)가 리세스부(127)를 정의하는 세트 프레임(120)의 제1 하면(121)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접힘 상태에서, 가변 지지부(140)가 리세스부(127)의 내측인 제1 하면(121)으로 이동할 수 있다.
세트 프레임(120)의 내측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접힘에 따라, 한 쌍의 세트 프레임(120) 각각의 리세스부(127) 또한 서로 마주할 수 있다. 그리고 리세스부(127)의 상측에 있던 가변 지지부(140)가 리세스부(127)의 하측인 제1 하면(121)으로 이동함에 따라 한 쌍의 리세스부(127)는 서로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접힘 상태일 경우, 리세스부(127)와
빈 공간이던 리세스부(127)에 표시 패널(110)의 폴딩 영역(FA)이 수납될 수 있다. 따라서, 리세스부(127)에 표시 패널(110)의 폴딩 영역(FA)이 수납될 수 있으므로, 표시 패널(110)의 곡률 반경 마진을 확보할 수 있다.
곡률 반경이란, 곡면의 만곡 정도를 표시하는 값으로, 곡률 반경이 클수록 만곡은 완만하다. 예를 들어, 평면에서는 곡률 반경이 무한대이고, 표시 패널(110)이 많이 폴딩될수록 곡률 반경은 작을 수 있다.
한편, 표시 패널(110)의 곡률 반경이 작을수록, 폴딩 영역(FA)이 많이 접힐 수 있고, 폴딩된 폴딩 영역(FA)이 차지하는 공간이 작아질 수 있다. 반대로, 표시 패널(110)의 곡률 반경이 클수록, 폴딩 영역(FA)이 완전히 폴딩되기 어려우므로, 폴딩된 폴딩 영역(FA)이 차지하는 공간이 커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100)는 펼침 상태에서, 가변 지지부(140)가 리세스부(127) 상측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110)의 폴딩 영역(FA)을 지지할 수 있고, 접힘 상태에서, 가변 지지부(140)가 리세스부(127)의 내측면으로 이동하여, 표시 패널(110)의 폴딩 영역(FA)이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펼침 상태에서 표시 패널(110)의 비폴딩 영역(NFA)은 세트 프레임(120)의 제2 하면(124)에 의해 평탄하게 지지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의 폴딩 영역(FA)은 가변 지지부(140)에 의해 평탄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때, 가변 지지부(140)의 세트 프레임(120) 측의 단부는 세트 프레임(120)의 안착면(123)에 걸쳐져 평탄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될 수 있고, 가변 지지부(140)는 리세스부(127)의 상측을 덮으며, 세트 프레임(120)의 제2 하면(124)과 일평면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펼침 상태에서, 표시 패널(110)의 폴딩 영역(FA)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표시 패널(110)은 빈 공간인 리세스부(127) 상에 배치되더라도, 가변 지지부(140)에 의해 지지되므로, 평탄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100)는, 펼침 상태에서, 빈 공간인 리세스부(127) 상측에 가변 지지부(140)를 배치하여, 표시 패널(110)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표시 패널(110)이 평탄하게 유지되므로, 표시 패널(110)의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접힘 상태에서 표시 패널(110) 양측의 비폴딩 영역(NFA)의 상면은 평탄한 상태로 서로 마주할 수 있고, 비폴딩 영역(NFA)에 고정된 세트 프레임(120)의 제2 하면(124) 또한 서로 마주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의 폴딩 영역(FA)은 접힌 상태로, 한 쌍의 세트 프레임(120)에 각각 배치된 리세스부(127)와, 힌지부(130)의 내측면에 수납될 수 있다. 펼침 상태에서 리세스부(127)의 상측에 배치된 가변 지지부(140)는, 접힘 상태로 변환될 때, 리세스부(127)의 내측면인 제1 하면(121)에 접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가변 지지부(140)가 제1 하면(121) 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리세스부(127)의 상측은 개구될 수 있다. 접힘 상태에서, 세트 프레임(120)이 서로 마주함에 따라, 리세스부(127)의 상측 또한 서로 마주할 수 있고, 한 쌍의 리세스부(127) 각각의 공간 및 힌지부(130)의 내측면의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접힘 상태에서, 표시 패널(110)의 폴딩 영역(FA)은 접힌 상태로, 리세스부(127) 및 힌지부(130)의 내측면에 수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100)는, 접힘 상태에서, 가변 지지부(140)가 세트 프레임(120)의 내측면 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표시 패널(110)의 폴딩 영역(FA)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으로, 한 쌍의 리세스부(127) 및 힌지부(130)의 내측면으로 이루어진 공간을 크게 확보하여, 표시 패널(110)의 곡률 반경 마진을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가변 지지부(140)의 세트 프레임(120) 측의 단부의 양 끝단에 세트 프레임(120)의 안내면 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41)가 배치되고, 돌출부(141)가 끼워져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세트 프레임(120)의 안내면에 가이드 홈(126)이 배치된다. 가이드 홈(126)은 돌출부(141)의 회전 궤적, 즉 가변 지지부(140)의 단부의 회전 궤적에 따라 형성되므로, 가변 지지부(140)는 가이드 홈(126)을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반복적인 접힘 및 펼침에 따라 가변 지지부(140)가 반복적으로 회전하더라도, 가이드 홈(126)에 의해 회전 궤적이 안내되므로, 회전 궤적을 이탈하지 않을 수 있고, 가변 지지부(140)의 회전 궤적 이탈로 인한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손상 또한 최소화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접힘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5의 폴더블 표시 장치(500)는, 도 1 내지 도 4의 폴더블 표시 장치(100)와 비교하여 미드 프레임(550)을 더 포함하고, 다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폴더블 표시 장치(500)는 미드 프레임(550)을 더 포함한다.
미드 프레임(550)은 표시 패널(110)의 하면에 부착되어, 세트 프레임(120) 및 가변 지지부(140) 상에 배치된다. 미드 프레임(550)은 표시 패널(110)을 보호하고, 지지하기 위한 판 형상의 프레임으로, 표시 패널(110)과 접착 물질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미드 프레임(550)은 변형부(552) 및 평탄부(551)를 포함한다.
평탄부(551)는 평탄한 상태를 유지하는 영역으로, 표시 패널(110)의 비폴딩 영역(NFA)에 중첩한다. 그리고 폴더블 표시 장치(500)가 펼침 상태일 경우, 한 쌍의 가변 지지부(140)의 힌지부(130) 측의 단부는 서로 이격되고, 평탄부(551)는 한 쌍의 가변 지지부(140)가 서로 이격된 영역에 중첩한다. 즉, 평탄부(551)는 미드 프레임(550)에서, 가변 지지부(140)에 중첩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일 수 있다. 평탄부(551) 중 비폴딩 영역(NFA)에 중첩하는 평탄부(551)의 하면은 세트 프레임(120)의 제2 하면(124)과 접할 수 있고, 제2 하면(124)과는 접착 물질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폴딩 영역(FA)에 배치된 평탄부(551)는 한 쌍의 가변 지지부(140)의 힌지부(130) 측의 단부가 이격됨에 따라 가변 지지부(140)에 의해 지지되지 못하는 폴딩 영역(FA)의 일부를 대신 지지할 수 있다.
변형부(552)는 가요성의 영역으로, 가변 지지부(140)에 중첩한다. 변형부(552)는 펼침 상태일 경우, 가변 지지부(140)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변형부(552)의 하면은 가변 지지부(14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다만, 변형부(552)는 가변 지지부(140)와 접착 물질 등으로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 변형부(552)는 접힘 상태일 경우, 가요성을 가지므로, 표시 패널(110)의 폴딩 영역(FA)과 함께 접힐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미드 프레임(550)의 변형부(552)에 복수의 패턴(553)이 배치된다. 복수의 패턴(553)은 미드 프레임(550)의 변형부(552)가 가요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복수의 패턴(553)이 배치됨에 따라 미드 프레임(550)의 변형부(552)가 용이하게 접힐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110)의 폴딩 영역(FA)이 접힘에 따라 미드 프레임(550)의 변형부(552)도
도 5 및 도 6에서 복수의 패턴(553)의 형상은 슬릿 형상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복수의 패턴(553)은 미드 프레임(550)의 변형부(552)가 가요성을 가질 수 있는 패턴(553)이라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500)는 표시 패널(110)과 가변 지지부(140) 사이에 미드 프레임(550)을 배치하고, 미드 프레임(550)은 평탄부(551) 및 변형부(552)를 포함한다. 펼침 상태에서 미드 프레임(550)의 평탄부(551)는 가변 지지부(140)가 지지하지 못하는 표시 패널(110)의 폴딩 영역(FA)의 일부 영역을 대신 지지할 수 있다. 접힘 상태에서 가변 지지부(140)에 중첩하는 미드 프레임(550)의 변형부(552)는 가요성을 가져, 표시 패널(110)의 폴딩 영역(FA)과 함께 접힐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펼침 상태에서 미드 프레임(550)의 평탄부(551)는 표시 패널(110)의 비폴딩 영역(NFA) 전체에 중첩하고, 표시 패널(110)의 폴딩 영역(FA)에서는 가변 지지부(140)에 중첩하지 않는 영역에 중첩한다. 이때, 한 쌍의 가변 지지부(140)의 힌지부(130) 측의 단부는 가변 지지부(140)의 회전을 위해 이격될 수 있다. 평탄부(551)는 서로 이격된 가변 지지부(140)의 단부 사이의 영역에 중첩하도록 배치된다. 그러므로, 평탄부(551)는 가변 지지부(140)가 지지하지 못하는 표시 패널(110)의 폴딩 영역(FA)의 일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펼침 상태에서, 미드 프레임(550)의 평탄부(551)가 폴딩 영역(FA)의 일부분에 배치되어 가변 지지부(140)와 함께 폴딩 영역(FA) 전체를 평탄하게 지지할 수 있으므로, 표시 패널(110)을 평탄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접힘 상태에서 미드 프레임(550)의 변형부(552)는 가변 지지부(140)에 중첩한다. 이때, 변형부(552)는 복수의 패턴(553)이 형성되어 가요성을 가질 수 있고, 가변 지지부(140)가 지지하는 표시 패널(110)의 폴딩 영역(FA)에 중첩할 수 있다. 접힘 상태에서 가변 지지부(140)는 표시 패널(110)의 폴딩 영역(FA)이 평탄한 상태를 유지하지 않고, 접힐 수 있도록 가변 지지부(140)는 폴딩 영역(FA)을 지지하는 대신 세트 프레임(120)의 제1 하면(121) 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가변 지지부(140)에 중첩하는 미드 프레임(550)의 변형부(552)는 표시 패널(110)의 폴딩 영역(FA)이 접힐 수 있도록 표시 패널(110)과 함께 접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10) 하부에 미드 프레임(550)을 배치하여, 펼침 상태에서는 미드 프레임(550)의 평탄부(551)가 가변 지지부(140)가 지지하지 못하는 영역까지 지지할 수 있고, 접힘 상태에서는 미드 프레임(550)의 변형부(552)가 표시 패널(110)의 폴딩 영역(FA)과 함께 접혀, 폴딩 영역(FA)의 접힘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는, 힌지부, 힌지부에 힌지 연결되는 한 쌍의 세트 프레임 및 세트 프레임의 내측면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지지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고, 세트 프레임이 접혀진 접힘 상태와 세트 프레임이 펼쳐진 펼침 상태 간에 전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폴더블 표시 장치에 있어서, 펼침 상태에서는 세트 프레임의 내측면과 함께 표시 패널을 지지하도록 배치되고, 접힘 상태에서는 세트 프레임의 내측면으로 후퇴되도록 힌지부에 힌지 연결되는 가변 지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힌지부에 인접하여 세트 프레임에는 세트 프레임의 내측면으로부터 리세스된(recessed) 리세스부가 형성되고, 가변 지지부는 펼침 상태 시 리세스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접힘 상태 시 리세스부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펼침 상태에서 가변 지지부는 세트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접힘 상태에서, 가변 지지부는 리세스부를 정의하는 세트 프레임의 하면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힌지부의 하면이 세트 프레임의 내측면보다 후퇴되어 힌지부의 내측면이 형성되고, 가변 지지부와 힌지부의 연결부는 힌지부의 하면보다 상측에 배치되며, 가변 지지부의 힌지부 측의 단부는, 접힘 상태에서 힌지부의 하면에 닿지 않도록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펼침 상태에서, 가변 지지부와 세트 프레임은 일평면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펼침 상태와 접힘 상태의 변환 동안, 가변 지지부의 세트 프레임 측 단부의 회전 궤적을 안내하도록, 가변 지지부의 일부는 세트 프레임에 끼워져 슬라이딩 방식으로 안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가변 지지부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돌출부가 세트 프레임의 안내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펼침 상태에서 돌출부는 리세스부 측으로 후퇴되지 않도록 세트 프레임에 걸쳐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세트 프레임 및 가변 지지부와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된 판 형상의 미드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미드 프레임은 가변 지지부에 중첩하는 영역에 가요성의 변형부를 포함하며, 변형부는 미드 프레임에 복수의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패턴은 슬릿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는, 힌지부, 힌지부의 양측에서 각각 힌지부에 힌지 연결된 한 쌍의 세트 프레임, 세트 프레임의 내측면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지지되는 표시 패널 및 힌지부의 양측에서 각각 힌지부에 힌지 연결되고, 표시 패널이 펼쳐진 펼침 상태에서, 세트 프레임의 내측면과 함께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가변 지지부를 포함하고, 표시 패널이 접혀진 접힘 상태에서, 가변 지지부는 세트 프레임의 내측면에 수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세트 프레임의 하면은 제2 하면 및 제2 하면과 힌지부 사이의 제1 하면으로 이루어지고, 제2 하면에서의 세트 프레임의 내측면은, 제1 하면에서의 세트 프레임의 내측면보다 얕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2 하면에 의해 표시 패널이 지지되고, 펼침 상태에서, 가변 지지부는 제1 하면과 이격되어, 제2 하면과 일평면을 이루고, 접힘 상태에서, 가변 지지부는 제1 하면에 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힌지부의 하면은, 제2 하면보다 하측에 배치되고, 가변 지지부는 가변 지지부의 양측 단부 사이 임의의 중간 지점에서 힌지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가변 지지부의 힌지부 측의 단부는, 접힘 상태에서 힌지부의 하면과 이격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500 : 폴더블 표시 장치
110 : 표시 패널
120 : 세트 프레임
121 : 제1 하면
122 : 경사면
123 : 안착면
124 : 제2 하면
125 : 제1 힌지 결합부
126 : 가이드 홈
127 : 리세스부
130 : 힌지부
131 : 제1 힌지 축
132 : 제2 힌지 축
133 : 힌지부의 하면
140 : 가변 지지부
141 : 돌출부
142 : 제2 힌지 결합부
550 : 미드 프레임
551 : 평탄부
552 : 변형부
553 : 복수의 패턴
FA : 폴딩 영역
NFA : 비폴딩 영역

Claims (14)

  1. 폴딩 영역 및 비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폴딩 영역의 하부에 배치되는 가변 지지부;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가변 지지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힌지부 및 세트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세트 프레임 사이에 제1 접착물질이 있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가변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미들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프레임은 변형부 및 평탄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물질은 상기 평탄부와 상기 세트 프레임 사이에 있는, 표시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부과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있는 제2 접착물질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와 상기 가변 지지부 사이에는 상기 제2 접착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표시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물질은 상기 가변 지지부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는 존재하지 않는, 표시 장치.
  8.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세트 프레임은, 상기 표시 패널의 비폴딩 영역을 지지하며, 접혀진 접힘 상태와 펼쳐진 펼침 상태 간에 전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힌지부는 상기 표시 패널의 폴딩 영역을 지지하는, 표시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지지부는, 상기 펼침 상태에서는 상기 세트 프레임의 내측면과 함께 상기 표시 패널을 평평하게 지지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접힘 상태에서는 상기 세트 프레임의 내측면으로 후퇴되도록 상기 힌지부에 힌지 연결되는, 표시 장치.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는, 상기 가변 지지부와 중첩하며,
    상기 펼침 상태일 경우에는 상기 가변 지지부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접힘 상태일 경우에는 상기 표시 패널의 폴딩 영역과 함께 접히는, 표시 장치.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부는, 상기 비폴딩 영역 전체에 중첩하며,
    상기 폴딩 영역에서 상기 가변 지지부와 중첩하지 않는 영역에 중첩하여 상기 폴딩 영역의 일부 영역을 지지하는, 표시 장치.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세트 프레임은, 내측면에서 상기 힌지부 측에 배치되며, 안착면, 경사면 및 제1 하면을 포함하는 안내면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지지부의 일단은 상기 힌지부의 힌지 축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세트 프레임의 상기 안내면에 배치된 가이드 홈에 끼워져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서 상기 안착면, 상기 경사면 및 상기 제1 하면의 경계를 따라 슬라이딩 되는, 표시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 상태에서는, 상기 가변 지지부의 일단은 상기 제1 하면에 평행하게 접하고,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1 하면 및 상기 경사면에 평행하게 접하는, 표시 장치.
KR1020230014795A 2017-12-28 2023-02-03 폴더블 표시 장치 KR202300229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4795A KR20230022922A (ko) 2017-12-28 2023-02-03 폴더블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175A KR102497666B1 (ko) 2017-12-28 2017-12-28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0230014795A KR20230022922A (ko) 2017-12-28 2023-02-03 폴더블 표시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2175A Division KR102497666B1 (ko) 2017-12-28 2017-12-28 폴더블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2922A true KR20230022922A (ko) 2023-02-16

Family

ID=6705868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2175A KR102497666B1 (ko) 2017-12-28 2017-12-28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0230014795A KR20230022922A (ko) 2017-12-28 2023-02-03 폴더블 표시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2175A KR102497666B1 (ko) 2017-12-28 2017-12-28 폴더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240920B2 (ko)
KR (2) KR1024976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0815B1 (ko) * 2018-06-01 2023-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62389B1 (ko) * 2019-02-08 2024-05-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71543B1 (ko) * 2019-03-26 2024-06-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9992054B (zh) * 2019-03-30 2021-04-1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连接装置
BR112021024082B1 (pt) * 2019-05-31 2022-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ositivo de comunicação portátil incluindo membro de vedação
CN110599907A (zh) * 2019-09-05 2019-12-20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可折叠显示装置
KR20210050040A (ko) * 2019-10-25 2021-05-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0784570B (zh) * 2019-10-29 2021-04-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折叠装置及电子设备
KR20210059090A (ko) * 2019-11-13 2021-05-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1105712A (zh) * 2019-12-19 2020-05-05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
JP6952833B1 (ja) * 2020-05-20 2021-10-27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携帯用情報機器
CN111583803B (zh) 2020-05-26 2023-01-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屏支撑结构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KR20210153260A (ko) * 2020-06-10 2021-12-1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3805646B (zh) * 2020-06-15 2024-01-30 华为技术有限公司 折叠装置及电子设备
KR20220001038A (ko) 2020-06-26 2022-01-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20022003A (ko) * 2020-08-14 2022-0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20056294A (ko) * 2020-10-27 2022-05-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20240143051A1 (en) * 2021-03-01 2024-05-02 Sangkyu RYU Flexible display portable device
KR20220153718A (ko) * 2021-05-11 2022-11-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4466092B (zh) * 2021-05-27 2023-01-13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转动机构、支撑装置和电子设备
US11917780B2 (en) * 2022-03-08 2024-02-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nged device with a flexible display
KR102560389B1 (ko) * 2022-06-03 2023-07-26 윤태중 폴더블 디바이스용 힌지장치
KR102576270B1 (ko) * 2022-07-25 2023-09-06 윤태중 폴더블 디바이스용 힌지장치
KR102658378B1 (ko) * 2022-07-25 2024-04-16 윤태중 폴더블 디바이스용 힌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8817A (en) * 1990-04-27 1993-12-07 Kabushiki Kaisha Toshiba Portable computer with keyboard and having display with coordinate input tablet rotatably mounted to face either toward or away from keyboard when closed over keyboard
KR100704494B1 (ko) * 2005-11-30 2007-04-09 주식회사 에이텍옵티컬 안경용 스프링 힌지
JP5415199B2 (ja) * 2009-09-28 2014-02-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装置
US8363391B2 (en) * 2010-01-26 2013-0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terminal
ES2702795T3 (es) * 2011-07-11 2019-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Pantalla flexible con soporte de pantalla
EP3826278B1 (en) * 2011-07-11 2024-06-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with guided plates to support the display in the open position
US8605421B2 (en) * 2011-08-17 2013-12-10 Creator Technology B.V. Display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US8711566B2 (en) * 2011-09-02 2014-04-29 Microsoft Corporation Expandable mobile device
KR101285799B1 (ko) * 2012-02-03 2013-07-23 권성태 이동 단말기용 힌지장치
US8971031B2 (en) * 2012-08-07 2015-03-03 Creator Technology B.V. Display system with a flexible display
US20140123436A1 (en) * 2012-11-02 2014-05-08 Research In Motion Limited Support for a flexible display
US8971032B2 (en) * 2012-11-02 2015-03-03 Blackberry Limited Support for a flexible display
KR102150711B1 (ko) * 2013-05-28 2020-09-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JP5738927B2 (ja) * 2013-06-10 2015-06-24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電子機器
KR101875855B1 (ko) 2014-02-17 2018-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US9798359B2 (en) * 2014-02-21 2017-10-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CN106233362B (zh) * 2014-04-24 2019-04-05 夏普株式会社 显示装置
KR102202228B1 (ko) * 2014-06-11 2021-01-13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322377B1 (ko) * 2014-12-31 2021-11-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53760B1 (ko) * 2015-04-01 2022-01-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 장치
US10365691B2 (en) * 2015-04-09 2019-07-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KR102110975B1 (ko) 2015-06-23 2020-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의 곡률이 가변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KR20170028018A (ko) * 2015-09-03 2017-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820470B1 (ko) * 2016-06-28 2018-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TWM538308U (zh) * 2016-11-17 2017-03-11 First Dome Corp 薄型絞鏈
KR102460559B1 (ko) * 2017-07-04 2022-11-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23659B1 (ko) * 2017-09-25 2022-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08649A1 (en) 2019-07-04
US11240920B2 (en) 2022-02-01
KR20190080014A (ko) 2019-07-08
KR102497666B1 (ko) 202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7666B1 (ko)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366515B1 (ko)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62096B1 (ko) 표시 장치
US11558966B2 (en) Support memb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11223402B (zh) 可折叠显示装置
US10863641B2 (en) Foldable display apparatus
KR102583233B1 (ko) 폴더블 표시 장치
CN114582228B (zh) 可折叠显示装置
US10487550B2 (en) Support device for foldable flexible screen and a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CN105761615B (zh) 可折叠显示装置
US9651987B2 (en) Portable display device
KR20230035010A (ko) 라운드 지지대를 가지는 인아웃폴딩용 힌지장치
US9971380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KR20170057500A (ko) 폴더블 표시 장치
US20150257289A1 (en) Foldable display apparatus
KR20170139732A (ko) 롤러블 표시 장치
CN110865682A (zh) 具有多个显示器的膝上型计算机
KR20160083318A (ko)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065930A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US20240275875A1 (en) Foldable-display type portable terminal
KR20160087435A (ko) 표시모듈
KR20150059960A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CN108363458A (zh) 一种柔性显示设备
KR102480254B1 (ko) 폴더블 표시 장치
KR101686740B1 (ko) 접철가능한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전자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