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3718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3718A
KR20220153718A KR1020210060786A KR20210060786A KR20220153718A KR 20220153718 A KR20220153718 A KR 20220153718A KR 1020210060786 A KR1020210060786 A KR 1020210060786A KR 20210060786 A KR20210060786 A KR 20210060786A KR 20220153718 A KR20220153718 A KR 20220153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layer
coating layer
panel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0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헌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0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3718A/ko
Priority to US17/564,869 priority patent/US11985777B2/en
Priority to CN202210498641.9A priority patent/CN115331546A/zh
Publication of KR20220153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37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6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7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detecting open or closed state or particular intermediate positions assumed by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e.g. detection of display lid position with respect to main body in a laptop, detection of opening of the cover of battery compar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liquid crystals
    • H01L51/5237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79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e.g. ESD treated surface for rapid dissipation of charg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표시 장치가 개시된다. 화상을 표시하는 일면 및 상기 일면의 반대인 타면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타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패널에 대향하는 일면 및 상기 일면의 반대인 타면을 포함하는 패널 하부층; 및 상기 패널 하부층의 상기 타면 상에 배치되는 폴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 하부층은 상기 폴딩 부재에 부착되지 않는 미부착부 및 상기 패널 하부층의 상기 타면 상에 상기 미부착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보호 코팅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멀티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표시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표시 장치는 멀티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표시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이동형 전자 기기는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최근 구부리거나, 접거나, 말 수 있는 가요성 표시 패널을 적용한 벤더블 표시 장치, 폴더블 표시 장치, 롤러블 표시 장치 또는 슬라이더블 표시 장치 등이 개발되고 있다. 위와 같은 표시 장치의 설계에 있어서 가요성 표시 패널의 손상 및 가요성 표시 패널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경감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표시 패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일면 및 상기 일면의 반대인 타면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타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패널에 대향하는 일면 및 상기 일면의 반대인 타면을 포함하는 패널 하부층; 및 상기 패널 하부층의 상기 타면 상에 배치되는 폴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 하부층은 상기 폴딩 부재에 부착되지 않는 미부착부 및 상기 패널 하부층의 상기 타면 상에 상기 미부착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보호 코팅층을 포함한다.
상기 보호 코팅층은 슬립 코팅층 및 AS(Anti-Static) 코팅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 코팅층은 상기 패널 하부층의 상기 타면 상에 배치되는 AS 코팅층 및 상기 AS 코팅층 상에 배치되는 슬립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 하부층은 메탈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딩 부재는 회전축을 제공하는 힌지 부재; 상기 힌지 부재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베이스 부재; 상기 제1 베이스 부재에 중첩되고 상기 회전축과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힌지 부재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베이스 부재; 상기 제2 베이스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과 거리가 가변되도록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 코팅층은 상기 표시 패널의 폴딩 시 상기 지지 부재 상에 밀착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이동 시 상기 지지 부재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보호 코팅층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이동 시 상기 제2 베이스 부재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의 슬라이딩 시 상기 보호 코팅층은 상기 제2 베이스 부재에 접촉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보호 코팅층은 상기 표시 패널의 폴딩 시 상기 패널 하부층과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이동 시 상기 패널 하부층과 상기 제2 베이스 부재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이 평평하게 펼쳐진 제1 상태,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표시 패널이 폴딩되는 제2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일면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슬라이드 이동된 제3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보호 코팅층은 상기 제3 상태에서 상기 폴딩 부재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보호 코팅층은 상기 제2 상태에서 평평하게 펼쳐지고, 상기 제3 상태에서 구부러질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2 상태 및 상기 제3 상태에서 곡률을 가지도록 구부러진 굴곡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굴곡부의 곡률 반경과 상기 제3 상태에서 상기 굴곡부의 곡률 반경이 상이할 수 있다.
상기 굴곡부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제1 곡률 반경을 가지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곡률 반경보다 큰 제2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보호 코팅층은 상기 제3 상태에서 상기 굴곡부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3 상태에서 상기 굴곡부가 형성되는 위치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굴곡부가 형성되는 위치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일면 및 상기 일면의 반대인 타면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타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패널에 대향하는 일면 및 상기 일면의 반대인 타면을 포함하는 패널 하부층; 상기 패널 하부층의 상기 타면 상에 배치되는 베이스 부재; 상기 패널 하부층의 상기 타면 상에 부착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패널 하부층의 상기 타면 상에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이동 시 상기 베이스 부재와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보호 코팅층을 포함한다.
상기 보호 코팅층은 슬립 코팅층 및 AS(Anti-Static) 코팅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 하부층의 상기 타면 상에 부착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이격된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 하부층은 상기 지지 부재와 중첩되되 상기 지지 부재에 부착되지 않는 미부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 코팅층은 상기 패널 하부층의 상기 타면 상에 상기 미부착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곡률을 가지도록 폴딩되되,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슬라이딩 시 상기 표시 패널의 곡률이 가변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제1 상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2 상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3 상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을 따라 절단한 표시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표시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B-B'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C-C'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D-D'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제3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 중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제1 상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2 상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3 상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제1 방향(X), 제2 방향(Y) 및 제3 방향(Z)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상호 교차한다. 예를 들면, 제1 방향(X)은 길이 방향(length direction)이고, 제2 방향(Y)은 너비 방향(width direction)이며, 제3 방향(Z)은 두께 방향(thickness direction)일 수 있다. 제1 방향(X), 제2 방향(Y) 및 제3 방향(Z)은 2 이상의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3 방향(Z)은 도면 상의 상측을 향하는 상측 방향, 도면의 하측을 향하는 하측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방향들은 상대적인 방향을 언급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화면이나 영상을 표시하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 휴대 전화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텔레비전, 게임기,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퍼스널 컴퓨터의 모니터, 노트북 컴퓨터, 자동차 네비게이션, 자동차 계기판,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외부 광고판, 전광판, 각종 의료 장치, 각종 검사 장치, 냉장고나 세탁기 등과 같은 표시부를 포함하는 다양한 가전 제품, 사물 인터넷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평면상에서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1)는 평면상에서 제1 방향(X)으로 연장하는 양 장변들 및 제1 방향(X)과 교차하는 제2 방향(Y)으로 양 단변들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표시 장치(1)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표시 장치(1) 또는 표시 장치(1)를 구성하는 각 부재의 면들을 지칭함에 있어서, 화상이 표시되는 방향으로 면하는 일면을 상면으로 지칭하고, 상기 일면의 반대면을 하면으로 지칭한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부재의 상기 일면 및 상기 타면은 각각 전면 및 배면으로 지칭되거나, 제1 면 또는 제2 면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표시 장치(1)는 표시 영역(DA) 및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화상이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에는 복수의 화소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영역(DA)은 표시 장치(1)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표시 영역(DA)은 표시 장치(1)의 하면 및 상기 표시 장치(1)의 상면과 하면 사이의 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더 배치될 수도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화상이나 영상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을 둘러쌀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예를 들면, 블랙 매트릭스와 같은 차광 부재가 배치되는 영역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영역(DA)은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부의 4변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폴딩 또는 언폴딩 가능한 폴더블 장치일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폴딩 영역(FA) 및 비폴딩 영역(NFA1, NFA2)으로 구분될 수 있다.
폴딩 영역(FA)은 표시 장치(1)의 폴딩 시 폴딩 또는 벤딩되는 영역일 수 있다. 비폴딩 영역(NFA1, NFA2)은 표시 장치(1)의 폴딩 시 폴딩 또는 벤딩되지 않고 편평함을 유지하는 영역일 수 있다.
비폴딩 영역(NFA1, NFA2)은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비폴딩 영역(NFA1)과 제2 비폴딩 영역(NFA2)은 제1 방향(X)으로 배열되고, 폴딩 영역(FA)은 제1 비폴딩 영역(NFA1)과 제2 비폴딩 영역(NFA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제1 비폴딩 영역(NFA1)이 제2 비폴딩 영역(NFA2)에 겹쳐지도록 폴딩되거나, 제1 비폴딩 영역(NFA1)이 제2 비폴딩 영역(NFA2)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도록 구부러지거나, 편평하게 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장치(1)는 제1 비폴딩 영역(NFA1)이 제2 비폴딩 영역(NFA2)에 대하여 약 0° 초과 180° 미만의 각도를 이루도록 폴딩되거나, 약 180°의 각도를 이루도록 언폴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의 언폴딩 시, 제1 비폴딩 영역(NFA1), 폴딩 영역(FA)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은 두께 방향으로 상호 중첩되지 않도록 편평하게 펼쳐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의 폴딩 시,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은 두께 방향으로 상호 중첩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표시 장치(1)의 폴딩 시, 제1 비폴딩 영역(NFA1)과 제2 비폴딩 영역(NFA2)은 상호 경사지게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비폴딩 영역(NFA1)의 적어도 일부와 제2 비폴딩 영역(NFA2)의 적어도 일부는 두께 방향으로 상호 중첩되거나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의 폴딩 영역(FA) 및 2개의 비폴딩 영역(NFA1, NFA2)이 예시되나, 폴딩 영역(FA) 및 비폴딩 영역(NFA1, NFA2)의 개수 및 배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표시 장치(1)를 구성하는 부재들 역시 이들이 배치되는 영역에 따라 각각 폴딩 영역(FA) 및/또는 비폴딩 영역(NFA1, NFA2)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는 인폴딩될 수 있다. 상기 인 폴딩은 폴딩 시 표시 영역(DA)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폴딩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장치(1)는 표시 영역(DA)의 일부가 표시 영역(DA)의 다른 일부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폴딩되고, 표시 영역(DA)은 표시 장치(1)의 외장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부재에 의해 둘러 싸여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표시 장치(1)는 표시 영역(DA)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아웃폴딩 될 수도 있다. 자세하게는, 표시 장치(1)는 표시 영역(DA)의 일부가 표시 영역(DA)의 다른 일부와 서로 마주보지 않는 방향으로 폴딩되고, 표시 영역(DA)은 외부로 노출되어 표시 장치(1)의 외장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인폴딩 및 아웃폴딩이 모두 가능한 양방향 폴더블 장치일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가 폴딩된 경우, 표시 영역(DA)의 일부는 표시 장치(1)로부터 인출되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영역(DA)의 다른 일부는 표시 장치(1)의 내부에 위치하여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외부에 노출된 표시 영역(DA)의 일부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다시 표시 장치(1)의 내부로 인입될 수도 있다. 상기 표시 영역(DA)은 후술하는 표시 모듈(DM)을 의미할 수 있다.
표시 장치(1)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재는 표시 영역(DA)의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9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표시 영역(DA)의 인입 및 인출은 표시 영역(DA)을 제공하는 표시 모듈(DM) 및 이를 지지하는 슬라이딩 부재(도 6 내지 도 9의 'SLM' 참조)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표시 장치(1)가 언폴딩된 제1 상태, 표시 장치(1)가 폴딩된 제2 상태 및 표시 장치(1)의 일부가 슬라이딩된 제3 상태를 가질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상기 제1 상태, 제2 상태 및 제3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자유롭게 전환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상태는 제1 비폴딩 영역(NFA1)과 제2 비폴딩 영역(NFA2)이 하나의 평면 상에 나란히 배치되는 상태이고, 제2 상태는 제1 비폴딩 영역(NFA1)과 제2 비폴딩 영역(NFA2)이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고 두께 방향으로 완전히 중첩되는 상태일 수 있다. 제3 상태는 제1 비폴딩 영역(NFA1)과 제2 비폴딩 영역(NFA2)이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나 두께 방향으로 상호 완전히 중첩되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
제1 상태, 제2 상태 및 제3 상태는 각각 표시 영역(DA)이 완전히 외부에 노출된 상태, 표시 영역(DA)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상태 및 표시 영역(DA)의 일부만 외부에 노출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제2 상태는 표시 장치(1)가 완전히 폴딩된 상태 및 표시 장치(1)가 반쯤 폴딩된 상태, 표시 장치(1)가 인폴딩된 인폴딩 상태 및, 아웃폴딩된 아웃폴딩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상태는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 중 적어도 하나가 신장되도록 표시 장치(1)의 일부가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상태는 표시 장치(1)의 제1 비폴딩 영역(NFA1)과 제2 비폴딩 영역(NFA2) 사이의 각도가 약 180°인 상태이고, 제2 상태 및/또는 제3 상태는 표시 장치(1)의 제1 비폴딩 영역(NFA1)과 제2 비폴딩 영역(NFA2) 사이의 각도가 약 0° 이상 180° 미만 및/또는 약 180° 초과 360° 미만인 상태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표시 모듈(DM) 및 폴딩 부재(FM)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모듈(DM) 및 폴딩 부재(FM)는 제1 비폴딩 영역(NFA1), 폴딩 영역(FA)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표시 장치(1)의 상면을 이루고, 폴딩 부재(FM)는 표시 모듈(DM)의 하면 상에 배치되어 표시 모듈(DM)을 지지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가요성을 가져 적어도 일부가 벤딩될 수 있으며, 폴딩 부재(FM)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힘에 의해 표시 모듈(DM)을 벤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폴딩 부재(FM)는 힌지 부재(HG), 제1 베이스 부재(BS1), 제2 베이스 부재(BS2) 및 제3 베이스 부재(BS3)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 부재(HG)는 주로 폴딩 영역(FA)에 배치될 수 있다. 힌지 부재(HG)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베이스 부재(BS1) 및 제2 베이스 부재(BS2)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힌지 부재(HG)는 기계식 힌지 및 탄성 힌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힌지 부재(HG)는 힌지, 샤프트, 로터 및 캠 등과 같은 표시 장치(1)를 폴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이스 부재(BS1)는 주로 제1 비폴딩 영역(NFA1)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베이스 부재(BS1)는 힌지 부재(HG)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베이스 부재(BS1)는 일측이 힌지 부재(HG)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 베이스 부재(BS2) 및 제3 베이스 부재(BS3)는 주로 제2 비폴딩 영역(NFA2)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베이스 부재(BS2) 및 제3 베이스 부재(BS3)는 힌지 부재(HG)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베이스 부재(BS2) 및 제3 베이스 부재(BS3)는 제1 베이스 부재(BS1)가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베이스 부재(BS2)는 일측이 힌지 부재(HG)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3 베이스 부재(BS3)는 제2 베이스 부재(BS2)의 상기 일측의 반대인 제2 베이스 부재(BS2)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베이스 부재(BS2)는 힌지 부재(HG)와 제3 베이스 부재(BS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베이스 부재(BS2) 및 제3 베이스 부재(BS3)는 제1 베이스 부재(BS1)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평면상에서 제2 베이스 부재(BS2) 및 제3 베이스 부재(BS3)의 면적의 합은 제1 베이스 부재(BS1)의 면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의 폴딩 시, 제1 베이스 부재(BS1)의 가장자리는 표시 장치(1)의 가장자리를 이루는 제2 베이스 부재(BS2)의 가장자리 및 제3 베이스 부재(BS3)의 가장자리와 정렬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 제1 베이스 부재(BS1), 제2 베이스 부재(BS2) 및 제3 베이스 부재(BS3)는 표시 장치(1)의 외장을 이루는 커버 부재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베이스 부재(BS1), 제2 베이스 부재(BS2) 및/또는 제3 베이스 부재(BS3)는 표시 모듈(DM) 외 표시 장치(1)를 이루는 다른 구성, 예를 들면, 표시 모듈(DM)의 보호를 위한 보호 부재 및 전자 부품의 실장을 위한 프레임 부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제1 베이스 부재(BS1), 제2 베이스 부재(BS2) 및/또는 제3 베이스 부재(BS3)는 힌지 부재(HG)의 일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1의 A-A'을 따라 절단한 표시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표시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표시 패널(DP), 상기 표시 패널(DP)의 상면 상에 적층되는 상부 적층 구조물(US) 및 상기 표시 패널(DP)의 하면 상에 적층되는 하부 적층 구조물(L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적층 구조물(US) 및 하부 적층 구조물(LS)은 각각 제1 적층 구조물 및 제2 적층 구조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상기 표시 패널(DP)의 상면은 화상 또는 영상이 표시되는 면이고, 상기 표시 패널(DP)의 하면은 상기 상면의 반대면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DP), 상부 적층 구조물(US) 및 하부 적층 구조물(LS)은 제1 비폴딩 영역(NFA1), 폴딩 영역(FA)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에 걸쳐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부 적층 구조물(US) 및 하부 적층 구조물(LS)을 구성하는 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는 폴딩 영역(FA)을 기준으로 분리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분리에 의해 표시 장치(1)의 폴딩 시 발생하는 스트레스가 경감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화면이나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로서, 그 예로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OLED), 무기 발광 표시 패널(inorganic EL), 퀀텀닷 발광 표시 패널(QED), 마이크로 LED 표시 패널(micro-LED), 나노 LED 표시 패널(nano-LED), 플라즈마 표시 패널(PDP), 전계 방출 표시 패널(FED), 음극선 표시 패널(CRT)등의 자발광 표시 패널 뿐만 아니라, 액정 표시 패널(LCD), 전기 영동 표시 패널(EPD) 등의 수광 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터치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부재는 표시 패널(DP)과 별도의 패널이나 필름으로 제공되어 표시 패널(DP) 상에 부착될 수도 있지만, 표시 패널(DP) 내부에 터치층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터치 부재가 표시 패널(DP) 내부에 마련되어 표시 패널(DP)에 포함되는 경우를 예시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DP)은 기판(SUB), 기판(SUB) 상의 회로 구동층(DRL), 회로 구동층(DRL) 상의 발광층(EML), 발광층(EML) 상의 봉지층(ENL), 및 봉지층(ENL) 상의 터치층(TSL)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SUB)은 폴리이미드 등과 같은 가요성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기판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DP)은 휘어지거나, 구부러지거나, 접히거나, 말릴 수 있다.
회로 구동층(DRL)은 기판(SUB)의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회로 구동층(DRL)은 화소의 발광층(EML)을 구동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 구동층(DRL)은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층(EML)은 회로 구동층(DRL)의 상면 상에 발광층(EML)이 배치될 수 있다. 발광층(EML)은 유기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층(EML)은 회로 구동층(DRL)에서 전달하는 구동 신호에 따라 다양한 휘도로 발광할 수 있다.
봉지층(ENL)은 발광층(EML)의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봉지층(ENL)은 무기막 또는 무기막과 유기막의 적층막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층(TSL)은 봉지층(ENL)의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층(TSL)은 터치 입력을 인지하는 층으로서, 터치 부재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터치층(TSL)은 복수의 감지 영역과 감지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상부 적층 구조물(US)은 표시 패널(DP)로부터 상방으로 순차 적층된 커버 윈도우(CW) 및 커버 윈도우 보호층(CWP)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CW)는 표시 패널(DP)의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CW)는 표시 패널(DP)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커버 윈도우(CW)는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 윈도우(CW)는 예를 들어, 유리나 플라스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커버 윈도우(CW)는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커버 윈도우 보호층(CWP)은 커버 윈도우(CW)의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 보호층(CWP)은, 예를 들면,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N(PolyEthylene Naphthalate), PES(Polyether Sulfone), PI(PolyImide), PAR(PolyARylate), PC(PolyCarbonate), PMMA(PolyMethyl MethAcrylate) 또는 COC(CycloOlefin Copolymer)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투명 고분자 필름으로 구현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 보호층(CWP)은 AF(Anti-Fingerprint) 코팅층 및 AS(Anti-Static) 코팅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 보호층(CWP)은 AF(Anti-Fingerprint) 코팅층 및 AS(Anti-Static) 코팅층 중 적어도 하나로 기능할 수 있다. AF(Anti-Fingerprint) 코팅층 및 AS(Anti-Static) 코팅층은 단일층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복수의 층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커버 윈도우 보호층(CWP)은 내지문(Anti-Fingerprint) 특성을 위한 물질 또는 대전 방지(Anti-Static) 특성을 위한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지문(Anti-Fingerprint) 특성을 위한 물질은 불소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대전 방지(Anti-Static) 특성을 위한 물질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입자, 카본블랙, 수분과 반응하면 이온 전도성을 지니는 계면활성제와 같은 전도성 첨가제를 포함하는 비전도성 고분자 또는 자체적으로 전도성을 가지는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내지문(Anti-Fingerprint) 특성을 위한 물질 또는 대전 방지(Anti-Static) 특성을 위한 물질은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몇몇 실시예에서, 발광 표시 패널상부 적층 구조물(US)은 표시 패널(DP)과 커버 윈도우(CW) 사이에 배치되는 편광 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편광 부재는 통과하는 빛을 편광시켜, 외광 반사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편광 부재(POL)는 편광 필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부 적층 구조물(US)은 인접 적층된 각 부재들을 결합하는 상부 결합 부재(UCM1, UCM2, UCM3)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결합 부재(UCM1, UCM2, UCM3)는 광학적으로 투명할 수 있다. 상부 결합 부재(UCM1, UCM2, UCM3)는 광학 투명 접착제, 광학 투명 레진 및 감압 접착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커버 윈도우 보호층(CWP)과 커버 윈도우(CW) 사이에는 제1 상부 결합 부재(UCM1)가 배치되어 이들을 결합하고, 커버 윈도우(CW)와 표시 패널(DP) 사이에는 제2 상부 결합 부재(UCM2)가 배치되어 이들을 결합할 수 있다.
하부 적층 구조물(LS)은 표시 패널(DP)로부터 하방으로 순차 적층된 고분자 필름층(PF), 패널 하부층(RM) 및 보호 코팅층(PCL)을 포함할 수 있다.
고분자 필름층(PF)은 표시 패널(DP)의 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고분자 필름층(PF)은 표시 패널(DP)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고분자 필름층(PF)은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PI),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술폰(PSF),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AC), 시클로올레핀 폴리머(C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 하부층(RM)은 고분자 필름층의 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패널 하부층(RM)은 제1 비폴딩 영역(NFA1), 폴딩 영역(FA)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패널 하부층(RM)은 패널 하부층(RM) 상에 적층되는 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다.
패널 하부층(RM)은, 보호 코팅층(PCL)을 제외하고, 표시 패널(DP)의 하면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층 중 최하층일 수 있다. 상기 최하층은, 보호 코팅층(PCL)을 제외하고, 표시 패널(DP)의 하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최대한 이격된 최외곽층(outermost layer)을 의미할 수 있다.
보호 코팅층(PCL) 및 패널 하부층(RM)의 하면은 표시 모듈(DM)의 하면을 이룰 수 있다. 이 경우, 패널 하부층(RM)의 하면은 표시 모듈(DM)의 하면의 대부분을 이룰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패널 하부층(RM)의 하면의 적어도 일부는 지지 부재(SF)에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패널 하부층(RM)은 제1 비폴딩 영역(NFA1), 폴딩 영역(FA)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에 걸쳐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하나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패널 하부층(RM)은 폴딩 영역(FA)을 기준으로 분리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패널 하부층(RM)은 복수의 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패널 하부층(RM)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층은, 예를 들면, 방열층, 쿠션층(충격 흡수층), 강성 보강층, 디지타이저, 전자파 차폐층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패널 하부층(RM)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 하부층(RM)은 메탈 플레이트일 수 있다. 패널 하부층(RM)은 표시 패널(DP)이나 표시 장치(1)의 다른 부분에서 발생되는 열을 확산시키는 방열층으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금속은, 예를 들면, 열 전도성이 우수한 구리, 니켈, 페라이트, 은 또는 이들 중 2 이상을 포함하는 합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패널 하부층(RM)은,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등과 같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패널 하부층(RM)은 고무, 실리콘, 우레탄 계열 물질, 또는 아크릴 계열 물질을 발포 성형한 스폰지 등 탄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패널 하부층(RM)은 외부의 충격을 흡수 또는 완화하는 쿠션층으로 기능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패널 하부층(RM)은 블랙 안료 또는 블랙 염료 등과 같은 광 흡수 물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패널 하부층(RM)은 패널 하부층(RM) 아래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시인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광층으로 기능할 수도 있다.
패널 하부층(RM)은 제1 영역(A1), 제2 영역(A2)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제3 영역(A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A1)은 주로 제1 비폴딩 영역(NFA1)에 배치되고, 제2 영역(A2)은 주로 제2 비폴딩 영역(NFA2)에 배치되며, 제3 영역(A3)은 주로 폴딩 영역(FA)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영역(A1) 및 제2 영역(A2)은 제3 영역(A3)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1 영역(A1)은 제1 비폴딩 영역(NFA1)에 인접한 제3 영역(A3)의 일측에 연결되고, 제2 영역(A2)은 제2 비폴딩 영역(NFA2)에 인접한 제3 영역(A3)의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영역(A1), 제2 영역(A2) 및 제3 영역(A3)은 일체로 연결되어 제1 비폴딩 영역(NFA1), 폴딩 영역(FA)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에 걸쳐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패널 하부층(RM)은 하나의 연속적인 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영역(A1), 제2 영역(A2) 및 제3 영역(A3) 중 적어도 2 이상은 상호 분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영역(A3)은 생략되고, 제1 영역(A1) 및 제2 영역(A2)은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영역(A1)과 제3 영역(A3) 사이의 경계는 폴딩 영역(FA)과 제1 비폴딩 영역(NFA1) 사이의 경계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 영역(A2)과 제3 영역(A3) 사이의 경계는 폴딩 영역(FA)과 제2 비폴딩 영역(NFA2) 사이의 경계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영역(A3)의 일측 경계(제1 영역(A1)과 제3 영역(A3) 사이의 경계) 및 제3 영역(A3)의 타측 경계(제2 영역(A2)과 제3 영역(A3) 사이의 경계)는 각각 폴딩 영역(FA)의 일측 경계(폴딩 영역(FA)과 제1 비폴딩 영역(NFA1) 사이의 경계) 및 폴딩 영역(FA)의 타측 경계(폴딩 영역(FA)과 제2 비폴딩 영역(NFA2) 사이의 경계)와 두께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영역(A1), 제2 영역(A2) 및 제3 영역(A3) 사이의 경계들은 폴딩 영역(FA),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 사이의 경계들와 두께 방향으로 정렬되지 않을 수도 있다.
표시 장치(1)의 상태 전환 시, 제3 영역(A3)의 경계들과 폴딩 영역(FA)의 경계들, 나아가 이들을 구성하는 영역 또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위치는 일정하게 유지되거나,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상태에서 제3 영역(A3)의 경계들과 폴딩 영역(FA)의 경계들은 단면상에서 두께 방향으로 정렬되되, 제2 상태 및 제3 상태에서 두께 방향으로 정렬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제1 상태 및 제3 상태에서 제3 영역(A3)의 경계들과 폴딩 영역(FA)의 경계들은 단면상에서 두께 방향으로 정렬되지 않되, 제2 상태에서 두께 방향으로 정렬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제1 상태, 제2 상태 및 제3 상태에서 제3 영역(A3)의 경계들과 폴딩 영역(FA)의 경계들은 단면상에서 두께 방향으로 정렬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영역(A1)은 지지 부재(SF)에 부착되는 제1 부착부(AT1) 및 지지 부재(SF)에 부착되지 않는 미부착부(UT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영역(A2)은 지지 부재(SF)에 부착되는 제2 부착부(AT2) 및 슬라이딩 부재(SLM)의 슬라이딩 시 표시 패널(DP)의 굴곡부(DP_CV)와 반대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역곡률부(RCR)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영역(A3)은 표시 장치(1)의 폴딩 시 구부러지는 폴딩부(RM_FP)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 도 4 내지 도 11에서, 상기 제1 부착부(AT1), 미부착부(UTA), 제2 부착부(AT2), 역곡률부(RCR) 및 폴딩부(RM_FP)의 경계는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부착부(AT1), 미부착부(UTA), 제2 부착부(AT2), 역곡률부(RCR) 및 폴딩부(RM_FP)는 패널 하부층(RM)의 특정 부분 또는 특정 영역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부착부(AT1), 미부착부(UTA), 제2 부착부(AT2), 역곡률부(RCR) 및 폴딩부(RM_FP)는 패널 하부층(RM) 중 적어도 하나는 나머지와 구별되는 별개의 부재일 수도 있다.
제1 부착부(AT1) 및 미부착부(UTA)는 주로 제1 비폴딩 영역(NFA1)에 배치될 수 있다.
미부착부(UTA)는 제1 부착부(AT1)와 폴딩부(RM_FP)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미부착부(UTA)는 제1 부착부(AT1)와 폴딩부(RM_FP)를 연결할 수 있다. 미부착부(UTA)는 제1 부착부(AT1)보다 폴딩 영역(FA)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부착부(AT1)는 미부착부(UTA)보다 폴딩 영역(FA)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미부착부(UTA)의 크기는 제1 부착부(AT1)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평면상에서 미부착부(UTA)의 면적 또는 제1 상태에서 미부착부(UTA)의 제1 방향(X)의 길이는 제1 부착부(AT1)보다 작을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미부착부(UTA)의 크기는 제1 부착부(AT1) 이상일 수도 있다.
미부착부(UTA)의 크기는 폴딩부(RM_FP)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평면상에서 미부착부(UTA)의 면적 또는 제1 상태에서 미부착부(UTA)의 제1 방향(X)의 길이는 폴딩부(RM_FP) 이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미부착부(UTA)의 크기는 폴딩부(RM_FP) 이상일 수도 있다.
미부착부(UTA)에는 벤딩 강성의 저감을 위한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미부착부(UTA)는 하면에 형성되어 상면을 향해 함입된 복수의 홈부(G)를 포함할 수 있다. 홈부(G)의 너비는 단면상에서 상면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으나, 홈부(G)의 단면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벤딩 강성의 저감을 위한 패턴은 생략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미부착부(UTA)는 복수의 홀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폴딩부(RM_FP)에 상기 패턴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부착부(UTA)와 폴딩부(RM_FP) 사이의 경계는 폴딩 영역(FA)의 일측 경계와 두께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미부착부(UTA)와 폴딩부(RM_FP) 사이의 경계는 폴딩 영역(FA) 내 또는 제1 비폴딩 영역(NFA1) 내에 위치하거나, 제1 영역(A1) 내 또는 제3 영역(A3) 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제2 부착부(AT2) 및 역곡률부(RCR)는 주로 제2 비폴딩 영역(NFA2)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부착부(AT2)는 패널 하부층(RM) 중 슬라이딩 부재(SLM)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부분일 수 있다. 제2 부착부(AT2)는 제2 접착 부재(AD2)에 의해 슬라이딩 부재(SLM)에 부착될 수 있다.
역곡률부(RCR)는 제2 부착부(AT2)와 폴딩부(RM_FP)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역곡률부(RCR)는 제2 부착부(AT2)와 폴딩부(RM_FP)를 연결할 수 있다. 역곡률부(RCR)는 제2 부착부(AT2)보다 폴딩 영역(FA)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 부착부(AT2)는 역곡률부(RCR)보다 폴딩 영역(FA)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곡률부(RCR)는 단면상에서 힌지 부재(HG)에 인접한(힌지 부재(HG)에 대향하는) 슬라이딩 부재(SLM)의 일측 모서리 부분에 걸쳐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역곡률부(RCR)의 크기는 제2 부착부(AT2)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평면상에서 역곡률부(RCR)의 면적 또는 제1 상태에서 역곡률부(RCR)의 제1 방향(X)의 길이는 제2 부착부(AT2)보다 작을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역곡률부(RCR)의 크기는 제2 부착부(AT2) 이상일 수도 있다.
역곡률부(RCR)의 크기는 폴딩부(RM_FP)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평면상에서 역곡률부(RCR)의 면적 또는 제1 상태에서 역곡률부(RCR)의 제1 방향(X)의 길이는 폴딩부(RM_FP) 이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역곡률부(RCR)의 크기는 폴딩부(RM_FP) 이상일 수도 있다. 역곡률부(RCR)의 제2 부착부(AT2)에 인접한 부분은 제2 접착 부재(AD2)에 의해 슬라이딩 부재(SLM)에 접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역곡률부(RCR)의 크기는 미부착부(UTA)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평면상에서 역곡률부(RCR)의 면적 또는 제1 상태에서 역곡률부(RCR)의 제1 방향(X)의 길이는 미부착부(UTA) 이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역곡률부(RCR)의 크기는 미부착부(UTA) 보다 클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곡률부(RCR)와 폴딩부(RM_FP) 사이의 경계는 폴딩 영역(FA)의 타측 경계와 두께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역곡률부(RCR)와 폴딩부(RM_FP) 사이의 경계는 폴딩 영역(FA) 내 또는 제2 비폴딩 영역(NFA2) 내에 위치하거나, 제2 영역(A2) 내 또는 제3 영역(A3) 내에 위치할 수도 있다.
폴딩부(RM_FP)는 주로 폴딩 영역(FA)에 배치될 수 있다. 폴딩부(RM_FP)는 미부착부(UTA)와 역곡률부(RCR)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폴딩부(RM_FP)는 미부착부(UTA)와 역곡률부(RCR)를 연결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폴딩부(RM_FP)에는 표시 장치(1)의 폴딩 또는 슬라이딩 시 패널 하부층(RM)에 가해지는 스트레스의 완화를 위한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폴딩부(RM_FP)는 생략될 수도 있다.
보호 코팅층(PCL)은 패널 하부층(RM)의 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보호 코팅층(PCL)은 패널 하부층(RM)의 제1 영역(A1)에 배치될 수 있다. 보호 코팅층(PCL)은 미부착부(UT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보호 코팅층(PCL)은 일부가 제3 영역(A3) 또는 폴딩부(RM_FP)에 더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보호 코팅층(PCL)은 제2 영역(A2) 또는 역곡률부(RCR) 상에 더 배치될 수도 있다. 보호 코팅층(PCL)은, 예를 들면, 마스크를 이용하는 증착 공정, 건식 식각 공정또는 습식 식각 공정 등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미부착부(UTA)의 하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보호 코팅층(PCL)의 크기는 미부착부(UTA)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평면상에서 보호 코팅층(PCL)의 면적 또는 제1 상태에서 보호 코팅층(PCL)의 제1 방향(X)의 길이는 미부착부(UTA) 이상일 수 있다. 보호 코팅층(PCL)은 미부착부(UTA)의 하면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보호 코팅층(PCL)의 크기는 미부착부(UTA) 보다 클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호 코팅층(PCL)은 단면상에서 제1 부착부(AT1)와 미부착부(UTA) 사이의 경계보다 미부착부(UTA)와 폴딩부(RM_FP) 사이의 경계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보호 코팅층(PCL)은 단면상에서 미부착부(UTA)의 가운데 부분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고, 미부착부(UTA)와 폴딩부(RM_FP) 사이의 경계보다 제1 부착부(AT1)와 미부착부(UTA) 사이의 경계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보호 코팅층(PCL)의 두께는 미부착부(UTA)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호 코팅층(PCL)의 두께는 약 0.5nm 내지 100nm 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보호 코팅층(PCL)의 두께는 미부착부(UTA) 보다 클 수도 있다.
보호 코팅층(PCL)은 표시 모듈(DM)과 지지 부재(SF)의 접촉 시 발생하는 마찰력의 저감을 위한 슬립 특성 및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는 대전 방지 특성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질 수 있다. 슬립 특성 및 대전 방지 특성은 단일층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복수의 층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호 코팅층(PCL)은 단일층으로, 지문 방지 및 대전 방지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보호 코팅층(PCL)은 복수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층은 각각 서로 상이한 내지문 특성, 슬립 특성 및 정전기 방지 특성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보호 코팅층(PCL)은 슬립 특성을 위한 물질 및 대전 방지 특성을 위한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립 특성을 위한 물질은 내지문 특성을 위한 물질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슬립 특성을 위한 물질은 불소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대전 방지 특성을 위한 물질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입자, 카본블랙, 수분과 반응하면 이온 전도성을 지니는 계면활성제와 같은 전도성 첨가제를 포함하는 비전도성 고분자 또는 자체적으로 전도성을 가지는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보호 코팅층(PCL)은 커버 윈도우 보호층(CWP) 또는 커버 윈도우 보호층(CWP)을 구성하는 복수의 층 중 적어도 하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보호 코팅층(PCL)은 커버 윈도우 보호층(CWP)의 내지문 특성 또는 대전 방지 특성을 위해 커버 윈도우 보호층(CWP)에 적용되는 물질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내지문 특성을 위한 물질 또는 대전 방지 특성을 위한 물질은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하부 적층 구조물(LS)은 인접 적층된 각 부재들을 결합하는 하부 결합 부재(LCM1, LCM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DP)과 고분자 필름층(PF) 사이에는 제1 하부 결합 부재(LCM1)가 배치되어 이들을 결합하고, 고분자 필름층(PF)과 패널 하부층(RM) 사이에는 제2 하부 결합 부재(LCM)가 배치되어 이들을 결합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몇몇 실시예에서, 보호 코팅층(PCL)과 패널 하부층(RM) 사이에는 결합 부재가 더 배치되어 이들을 결합할 수도 있다.
도 6은 도 1의 B-B'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C-C'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D-D'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제3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 중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 도 6 내지 도 9에서 표시 모듈(DM) 중 표시 패널(DP), 패널 하부층(RM) 및 보호 코팅층(PCL) 외 다른 부재들의 도시는 생략되었다.
이하에서, 표시 모듈(DM) 중 표시 패널(DP) 및 패널 하부층(RM)을 위주로 설명하나, 이하에서 설명되는 표시 패널(DP) 또는 패널 하부층(RM)은 이를 포함하는 표시 모듈(DM) 전체를 의미하거나, 표시 패널(DP), 상부 적층 구조물(US) 및 하부 적층 구조물(LS)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도 있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힌지 부재(HG)는 주로 폴딩 영역(FA)에 배치되고, 제1 베이스 부재(BS1)는 주로 제1 비폴딩 영역(NFA1)에 배치되며, 제2 베이스 부재(BS2) 및 제3 베이스 부재(BS3)는 주로 제2 비폴딩 영역(NFA2)에 배치될 수 있다.
힌지 부재(HG)는 상호 이격되고 제2 방향(Y)으로 연장하는 제1 회전축(RX1) 및 제2 회전축(RX2)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베이스 부재(BS1)는 제1 회전축(RX1)을 기준으로 회전하고, 제2 베이스 부재(BS2)는 제2 회전축(RX2)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3 베이스 부재(BS3)는, 예를 들면, 슬라이딩 부재(SLM)와 같은 다른 부재에 의해 제2 베이스 부재(BS2)에 연결되어 제2 베이스 부재(BS2)와 함께 제2 회전축(RX2)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회전축(RX1) 및 제2 회전축(RX2)은 힌지 부재(HG)의 외부에 배치되는 가상의 축일 수도 있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베이스 부재(BS1), 제2 베이스 부재(BS2) 및 제3 베이스 부재(BS3)는 각각 두께 방향으로 함입된 내부 공간을 포함하되, 상기 내부 공간에는 지지 부재(SF), 힌지 부재(HG), 슬라이딩 부재(SLM) 및 플레이트 부재(WP)가 실장될 수 있다. 다만, 제1 베이스 부재(BS1), 제2 베이스 부재(BS2) 및 제3 베이스 부재(BS3)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표시 모듈(DM)의 하면 상에 배치되는 지지 부재(SF), 슬라이딩 부재(SLM), 제1 접착 부재(AD1) 및 제2 접착 부재(AD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SF)는 주로 제1 비폴딩 영역(NFA1)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 부재(SF)는 제1 영역(A1)과 제1 베이스 부재(BS1)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지지 부재(SF)는 제1 부착부(AT1) 및 미부착부(UTA)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제1 부착부(AT1)는 지지 부재(SF)에 부착되되, 미부착부(UTA)는 지지 부재(SF)에 부착되지 않을 수 있다. 미부착부(UTA)는 지지 부재(SF)의 상면에 배치되는 부분 중 지지 부재(SF)에 부착되지 않은 부분일 수 있다. 미부착부(UTA)는 지지 부재(SF)의 상면에 배치되는 부분 중 제1 상태 및 제2 상태에서 지지 부재(SF) 상에 안착되되, 제3 상태에서 지지 부재(SF)와 이격되어 구부러지는 부분일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에서, 미부착부(UTA)는 지지 부재(SF)와 이격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미부착부(UTA)는 지지 부재(SF)와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접착 부재(AD1)는 제1 부착부(AT1)와 지지 부재(SF)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AD1)는 제1 부착부(AT1)와 지지 부재(SF)에 직접 접촉될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AD1)는 제1 부착부(AT1)의 적어도 일부 및 지지 부재(SF)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AD1)는 미부착부(UTA)와 지지 부재(SF) 사이에 개재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AD1)는 미부착부(UTA) 및 보호 코팅층(PCL)과 이격되어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 접착 부재(AD1)는 제1 부착부(AT1)와 지지 부재(SF) 사이에만 개재될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AD1)는 제1 영역(A1)에 위치하되, 보호 코팅층(PCL)과 제1 방향(X), 제1 회전축(RX1)의 반경 방향 또는 제2 회전축(RX2)의 반경 방향(radial direction)으로 이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보호 코팅층(PCL)은 제1 접착 부재(AD1)와 접촉될 수도 있다.
반경 방향은 제1 회전축(RX1) 또는 제2 회전축(RX2)과 교차하되, 제1 회전축(RX1) 또는 제2 회전축(RX2)을 기준으로 제1 회전축(RX1) 및/또는 제2 회전축(RX2)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반경 방향은 제1 회전축(RX1) 또는 제2 회전축(RX2)과 직교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슬라이딩 부재(SLM)는 주로 제2 비폴딩 영역(NFA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SLM)는 제2 베이스 부재(BS2)와 패널 하부층(RM) 사이 및 제3 베이스 부재(BS3)와 패널 하부층(RM)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SLM)는 제2 부착부(AT2)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제2 부착부(AT2)는 슬라이딩 부재(SLM)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SLM)는 역곡률부(RCR)의 일부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역곡률부(RCR)의 상기 일부는 슬라이딩 부재(SLM)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슬라이딩 부재(SLM)는 제2 베이스 부재(BS2)와 제3 베이스 부재(BS3) 사이의 간격이 가변되도록 제2 베이스 부재(BS2)와 제3 베이스 부재(BS3)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간격은 제1 방향(X), 제1 회전제1 회전축(RX1) 또는 제2 회전축(RX2)의 반경 방향의 간격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SLM)는 힌지 부재(HG) 및/또는 제2 베이스 부재(BS2)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SLM)는 표시 모듈(DM) 및/또는 제3 베이스 부재(BS3)에 대하여 고정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SLM)의 슬라이드 이동 시, 표시 모듈(DM) 및/또는 제3 베이스 부재(BS3) 역시 힌지 부재(HG) 및/또는 제2 베이스 부재(BS2)에 대하여 상대 이동할 수 있다.
힌지 부재(HG)에 대향하는 슬라이딩 부재(SLM)의 일측은 제2 베이스 부재(BS2)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SLM)의 일측의 반대인 슬라이딩 부재(SLM)의 타측은 제3 베이스 부재(BS3)에 고정되되, 슬라이딩 부재(SLM)의 상부는 표시 모듈(DM)의 하면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 내지 도 9에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SLM)의 일측 및 타측은 각각 제2 베이스 부재(BS2)와 중첩되는 슬라이딩 부재(SLM)의 좌측 부분 및 제3 베이스 부재(BS3)와 중첩되는 슬라이딩 부재(SLM)의 우측 부분일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SLM), 제3 베이스 부재(BS3) 및 표시 모듈(DM)의 일측은 힌지 부재(HG), 제1 회전축(RX1) 및/또는 제2 회전축(RX2)과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슬라이딩 부재(SLM), 제3 베이스 부재(BS3) 및 표시 모듈(DM)의 일측은 대략적으로 제1 회전축(RX1) 및/또는 제2 회전축(RX2)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표시 모듈(DM)의 일측은 제2 비폴딩 영역(NFA2)에 배치되는 표시 모듈(DM)의 가장자리 및 이에 인접한 표시 모듈(DM)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SLM)는 지지 부재(SF)보다 힌지 부재(HG)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힌지 부재(HG)에 대향하는 슬라이딩 부재(SLM)의 일측은 힌지 부재(HG)에 대향하는 지지 부재(SF)의 일측보다 힌지 부재(HG)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의 슬라이딩 시, 패널 하부층(RM)과 제2 베이스 부재(BS2) 사이에 표시 패널(DP) 및 패널 하부층(RM)의 곡률 반경이 증가도록 변형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슬라이딩 부재(SLM) 및 지지 부재(SF)는 힌지 부재(HG)로부터 동일한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접착 부재(AD2)는 제2 영역(A2)과 슬라이딩 부재(SLM)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제2 접착 부재(AD2)는 제2 영역(A2) 및 슬라이딩 부재(SLM)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제2 접착 부재(AD2)는 제2 영역(A2) 및 슬라이딩 부재(SLM)와 직접 접촉될 수 있다. 제2 접착 부재(AD2)는 제2 부착부(AT2)와 슬라이딩 부재(SLM)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제2 접착 부재(AD2)는 제2 부착부(AT2)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제2 접착 부재(AD2)는 슬라이딩 부재(SLM)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는 역곡률부(RCR)의 일부와 슬라이딩 부재(SLM) 사이에 더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접착 부재(AD2)는 역곡률부(RCR)의 일부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제2 접착 부재(AD2)는 역곡률부(RCR)와 직접 접촉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2 접착 부재(AD2)는 슬라이딩 부재(SLM)와 제2 부착부(AT2) 사이에만 개재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태 및 제2 상태에서 슬라이딩 부재(SLM)는 제2 베이스 부재(BS2) 및 제3 베이스 부재(BS3) 내에 수납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상태에서 슬라이딩 부재(SLM)의 일부는 제2 베이스 부재(BS2)와 제3 베이스 부재(BS3) 사이에 노출될 수 있다. 제3 상태에서 제2 비폴딩 영역(NFA2)에 위치하는 표시 패널(DP)의 일부는 슬라이딩 부재(SLM)와 함께 이동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 영역(EXR)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DP)은 제2 상태 및 제3 상태에서 곡률을 가지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표시 패널(DP) 중 표시 장치(1)의 폴딩 또는 슬라이딩 시 구부러지는 부분을 굴곡부(DP_CV)로 지칭하도록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상태에서, 제1 비폴딩 영역(NFA1)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DP)의 일측 가장자리는 제2 비폴딩 영역(NFA2)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DP)의 타측 가장자리와 두께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제2 상태에서 제3 상태로 전환 시 또는 제3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 시, 제2 비폴딩 영역(NFA2)에 위치하는 표시 패널(DP)의 일부는 슬라이딩 부재(SLM)에 부착되어 슬라이딩 부재(SLM)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상태에서 제3 상태로 전환 시, 슬라이딩 부재(SLM)는 단면상에서 표시 패널(DP)의 타측 가장자리를 향하는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SLM)는 이에 부착된 표시 패널(DP)의 일부를 상기 일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DP)의 일부는 힌지 부재(HG), 제1 회전축(RX1) 및/또는 제2 회전축(RX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잡아당겨질 수 있다. 이 경우, 미부착부(UTA)는 폴딩부(RM_FP)에 연결된 일측이 지지 부재(SF)로부터 멀어지도록 벤딩될 수 있다.
반대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 시, 슬라이딩 부재(SLM)는 상기 일측 방향의 반대인 타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SLM)에 부착된 표시 패널(DP)의 일부는 힌지 부재(HG), 제1 회전축(RX1) 및/또는 제2 회전축(RX2)이 위치하는 방향을 향해 밀어 넣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미부착부(UTA)는 폴딩부(RM_FP)에 연결된 일측이 지지 부재(SF)에 밀착되어 편평하게 펼쳐질 수 있다. 상기 일측 방향 및 타측 방향은 상술한 반경 방향에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표시 패널(DP)의 일부는 리지드한 슬라이딩 부재(SLM)에 부착되고, 슬라이딩 부재(SLM)와 일체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1)의 상태 전환 시, 굴곡부(DP_CV)의 곡률 및 곡률 반경의 자연스러운 변화가 가능하다. 또한, 표시 패널(DP)이 슬라이딩 부재(SLM) 없이 단독으로 힌지 부재(HG), 제1 회전축(RX1) 및/또는 제2 회전축(RX2)을 향해 밀어넣어지는 경우 대비, 표시 패널(DP)의 좌굴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SLM)와 힌재 부재 사이의 거리는 표시 장치(1)의 상태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SLM)는 제2 상태에서 제3 상태로 전환 시 슬라이딩 부재(SLM)와 힌지 부재(HG)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3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 시 슬라이딩 부재(SLM)와 힌지 부재(HG) 사이의 거리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상태에서 제3 상태로 전환 시 또는 제3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 시, 제1 베이스 부재(BS1)와 제2 베이스 부재(BS2) 사이의 내부 공간의 크기 및 표시 패널(DP)의 굴곡부(DP_CV)의 크기가 가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부 공간의 크기 및 표시 패널(DP)의 굴곡부(DP_CV)의 크기는 제2 상태에서 제3 상태로 전환 시 증가하고, 제3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시 감소할 수 있다.
제2 상태에서 굴곡부(DP_CV)의 제1 곡률 반경(R1)은 제3 상태에서의 굴곡부(DP_CV)의 제2 곡률 반경(R2)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곡률 반경(R2)은 제1 곡률 반경(R1)의 약 3배 내지 4배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상기 제1 곡률 반경(R1)은 약 0.5mm 내지 1.5mm이고, 상기 제2 곡률 반경(R2)은 약 1.5mm 내지 3.0m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2 상태에서 제3 상태로 전환 중 또는 제3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 중에, 굴곡부(DP_CV)는 제1 곡률 반경(R1) 이상 제2 곡률 반경(R2) 이하인 제3 곡률 반경(R3)을 가질 수 있다. 제3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되는 동안, 제3 곡률 반경(R3)의 크기는 서서히 감소하여, 굴곡부(DP_CV)의 곡률 반경은 제2 곡률 반경(R2)으로부터 제1 곡률 반경(R1)으로 점차적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부착부(UTA)는 제2 상태에서 슬라이딩 부재(SLM)에 밀착되어 평평하게 펼쳐지되, 제3 상태에서 슬라이딩 부재(SLM)로부터 이격되어 곡률을 가지도록 폴딩 또는 벤딩될 수 있다.
미부착부(UTA)는 제3 상태에서 표시 패널(DP)의 굴곡부(DP_CV)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미부착부(UTA)는 패널 하부층(RM) 중 제3 상태에서만 곡률을 가지도록 폴딩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미부착부(UTA)의 거동에 의해 제2 상태 및 제3 상태 사이의 전환 시, 표시 패널(DP)에 인가되는 스트레스가 저감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에서, 미부착부(UTA)는 지지 부재(SF)와 이격되어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미부착부(UTA)는 제2 상태에서 제1 부착부(AT1)가 부착된 지지 부재(SF)의 상면 상에 안착되고, 제3 상태에서 지지 부재(SF)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폴딩부(RM_FP)는 제2 상태에서 폴딩되되, 제3 상태에서 평평하게 펼쳐질 수 있다. 폴딩부(RM_FP)는 제2 상태에서 표시 패널(DP)의 굴곡부(DP_CV)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폴딩부(RM_FP)는 제2 상태에서 표시 패널(DP)의 굴곡부(DP_CV)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고, 제3 상태에서 표시 패널(DP)의 굴곡부(DP_CV)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보호 코팅층(PCL)과는 달리, 폴딩부(RM_FP)는 표시 장치(1)의 상태 전환 동안, 제2 베이스 부재(BS)에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폴딩부(RM_FP)는 패널 하부층(RM) 중 제2 상태에서만 곡률을 가지도록 폴딩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폴딩부(RM_FP)의 제1 방향(X)의 길이는 굴곡부(DP_CV)의 제1 곡률 반경(R1)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폴딩부(RM_FP)의 제1 방향(X)의 길이는 제1 상태에서 측정된 길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딩부(RM_FP)의 제1 방향(X)의 길이는 대략적으로 제1 곡률 반경(R1)을 가지는 가상의 원의 둘레의 절반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제1 곡률 반경(R1)이 약 0.5mm 내지 1.5mm인 경우, 폴딩부(RM_FP)의 제1 방향(X)의 길이는 약 1.5mm 내지 4.2m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역곡률부(RCR)는 제2 상태에서 편평하게 펼쳐지되, 제3 상태에서 곡률을 가지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역곡률부(RCR)는 제4 곡률 반경(R4)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4 곡률 반경(R4)은 제1 곡률 반경(R1) 및 제2 곡률 반경(R2)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자세하게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상태에서 제3 상태로 전환하는 동안 역곡률부(RCR)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상태에서 제3 상태로 전환하는 동안 제4 곡률 반경(R4)은 점차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반면에, 제3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하는 동안 제4 곡률 반경(R4)은 점차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제2 상태로 완전히 전환된 경우, 제4 곡률 반경(R4)은 무한대가 될 수 있다.
굴곡부(DP_CV)의 곡률 중심은 표시 패널(DP)의 상면 상에 위치하되, 역곡률부(RCR)의 곡률 중심은 표시 패널(DP)의 하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곡률부(RCR)의 곡률 중심은 표시 장치(1)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역곡률부(RCR)의 곡률 중심은 표시 장치(1)의 내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태 및 제2 상태에서 보호 코팅층(PCL)은 제2 베이스 부재(BS2)와 이격되되, 제3 상태에서 보호 코팅층(PCL)은 제2 베이스 부재(BS2)와 접촉될 수 있다.
제2 상태에서 제3 상태로의 전환 중 또는 제3 상태에서 제2 상태로의 전환 중에, 보호 코팅층(PCL)은 제2 베이스 부재(BS2)와 접촉한 후, 슬라이딩 부재(SLM)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제2 베이스 부재(BS2)에 접촉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보호 코팅층(PCL)은 상기와 같은 표시 장치(1)의 상태 전환 시 발생하는 표시 모듈(DM)과 제2 베이스 부재(BS2) 사이의 마찰력 및 정전기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호 코팅층(PCL)의 크기는 미부착부(UTA)보다 작을 수 있다. 자세하게는, 보호 코팅층(PCL)의 단면상에서 제1 방향(X)의 길이는 미부착부(UTA)의 제1 방향(X)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보호 코팅층(PCL) 및 미부착부(UTA)의 제1 방향(X)의 길이는 제1 상태에서 측정된 길이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보호 코팅층(PCL)의 크기는 미부착부(UTA) 이상일 수도 있다.
보호 코팅층(PCL)은 미부착부(UTA) 중 제2 베이스 부재(BS2)에 접촉하는 부분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호 코팅층(PCL)의 제1 방향(X)의 길이는 표시 장치(1)의 상태 전환 시, 표시 모듈(DM) 중 제2 베이스 부재(BS2)에 접촉되는 부분의 제1 방향(X)의 길이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2 베이스 부재(BS2)에 접촉하는 부분의 제1 방향(X)의 길이는 제1 상태에서 측정된 길이일 수 있다.
보호 코팅층(PCL)의 위치 및 크기는 표시 패널(DP)의 곡률 반경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보호 코팅층(PCL)은 슬라이딩 부재(SLM)의 슬라이딩 시, 표시 모듈(DM) 중 제2 베이스 부재(BS2)와 가장 인접한 부분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호 코팅층(PCL)은 표시 모듈(DM) 중 보호 코팅층(PCL)이 없다면 슬라이딩 부재(SLM)의 슬라이딩 시, 제2 베이스 부재(BS2)와 접촉되어 마찰이 발생하는 부분, 예를 들면, 폴딩부(RM_FP)에 인접한 미부착부(UTA)의 일측(미부착부(UTA)의 일부)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호 코팅층(PCL)의 제1 방향(X)의 길이는 제1 곡률 반경(R1) 및 제2 곡률 반경(R2)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호 코팅층(PCL)의 제1 방향(X)의 길이는 제1 곡률 반경(R1)의 약 6배 내지 20배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보호 코팅층(PCL)의 제1 방향(X)의 길이는 제2 곡률 반경(R2)의 약 1.2 배 내지 6배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제1 곡률 반경(R1)은 약 0.5mm 내지 1.5mm이고, 상기 제2 곡률 반경(R2)은 약 1.5mm 내지 3.0mm인 경우, 보호 코팅층(PCL)의 제1 방향(X)의 길이는 약 4.1mm 내지 9.5m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0의 실시예는 패널 하부층(RM)이 복수의 층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1 내지 도 9의 실시예와 주로 상이하다.
도 10에서, 패널 하부층(RM)을 구성하는 복수의 층으로 2개의 층이 예시되나, 복수의 층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패널 하부층(RM)은 제1 패널 하부층(RM1) 및 제2 패널 하부층(RM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널 하부층(RM1)은 고분자 필름의 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패널 하부층(RM2)은 제1 패널 하부층(RM1)의 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패널 하부층(RM1) 및 제2 패널 하부층(RM2)은 각각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층일 수 있다. 상기 기능층은, 예를 들면, 방열층, 쿠션층(충격 흡수층), 강성 보강층, 디지타이저, 전자파 차폐층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패널 하부층(RM1)은 방열층이고, 제2 패널 하부층(RM2)은 쿠션층일 수 있다.
제1 패널 하부층(RM1)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패널 하부층(RM1)은 메탈 플레이트일 수 있다. 상기 금속은, 예를 들면, 열 전도성이 우수한 구리, 니켈, 페라이트, 은 또는 이들 중 2 이상을 포함하는 합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2 패널 하부층(RM2)은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등과 같은 고분자 수지로 형성되거나, 고무, 실리콘, 우레탄 계열 물질, 또는 아크릴 계열 물질을 발포 성형한 스폰지 등 탄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표시 모듈(DM)은 제1 패널 하부층(RM1)과 제2 패널 하부층(RM2)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을 결합하는 제3 하부 결합 부재(LCM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하부 결합 부재(LCM3)는 제1 하부 결합 부재(LCM1) 또는 제2 하부 결합 부재(LCM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의 실시예는 패널 하부층(RM)이 복수의 층을 포함한다는 점 외에 도 1 내지 도 9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이하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DM)의 단면도이다.
도 11의 실시예는 보호 코팅층(PCL)이 복수의 층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1 내지 도 9의 실시예와 주로 상이하다.
도 11에서, 보호 코팅층(PCL)을 구성하는 복수의 층으로 2개의 층이 예시되나, 복수의 층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1을 참조하면, 보호 코팅층(PCL)은 제1 보호 코팅층(PCL1) 및 제1 보호 코팅층(PCL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호 코팅층(PCL1)은 미부착부(UTA)의 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보호 코팅층(PCL2)은 제1 보호 코팅층(PCL1)의 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보호 코팅층(PCL1) 및 제1 보호 코팅층(PCL2)은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보호 코팅층(PCL1)은 대전 방지 기능을 수행하고, 제1 보호 코팅층(PCL2)은 마찰력 저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보호 코팅층(PCL1)은 대전 방지 특성을 위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보호 코팅층(PCL2)은 슬립 특성을 위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질들의 예시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예를 들면, 제1 보호 코팅층(PCL1)은 AS 코팅층이고, 제1 보호 코팅층(PCL2)은 슬립 코팅층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1 보호 코팅층(PCL1) 및 제1 보호 코팅층(PCL2)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1 보호 코팅층(PCL1) 및 제1 보호 코팅층(PCL2) 중 적어도 하나는 커버 윈도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질은 대전 방지 특성을 위한 물질 및 슬립 특성을 위한 물질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도 11의 실시예는 보호 코팅층(PCL)이 복수의 층을 포함한다는 점 외에 도 1 내지 도 9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이하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표시 장치
DM: 표시 모듈
FM: 폴딩 부재
DP: 표시 패널
RM: 패널 하부층
PCL: 보호 코팅층

Claims (20)

  1. 화상을 표시하는 일면 및 상기 일면의 반대인 타면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타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패널에 대향하는 일면 및 상기 일면의 반대인 타면을 포함하는 패널 하부층; 및
    상기 패널 하부층의 상기 타면 상에 배치되는 폴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 하부층은
    상기 폴딩 부재에 부착되지 않는 미부착부 및 상기 패널 하부층의 상기 타면 상에 상기 미부착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보호 코팅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코팅층은 슬립 코팅층 및 AS(Anti-Static) 코팅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코팅층은 상기 패널 하부층의 상기 타면 상에 배치되는 AS 코팅층 및 상기 AS 코팅층 상에 배치되는 슬립 코팅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하부층은 메탈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부재는 회전축을 제공하는 힌지 부재; 상기 힌지 부재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베이스 부재; 상기 제1 베이스 부재에 중첩되고 상기 회전축과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힌지 부재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베이스 부재; 상기 제2 베이스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과 거리가 가변되도록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코팅층은 상기 표시 패널의 폴딩 시 상기 지지 부재 상에 밀착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이동 시 상기 지지 부재로부터 이격되는 표시 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코팅층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이동 시 상기 제2 베이스 부재에 접촉되는 표시 장치.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슬라이딩 시 상기 보호 코팅층은 상기 제2 베이스 부재에 접촉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표시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코팅층은 상기 표시 패널의 폴딩 시 상기 패널 하부층과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이동 시 상기 패널 하부층과 상기 제2 베이스 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이 평평하게 펼쳐진 제1 상태,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표시 패널이 폴딩되는 제2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일면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슬라이드 이동된 제3 상태를 가지는 표시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코팅층은 상기 제3 상태에서 상기 폴딩 부재에 접촉되는 표시 장치.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코팅층은 상기 제2 상태에서 평평하게 펼쳐지고, 상기 제3 상태에서 구부러지는 표시 장치.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2 상태 및 상기 제3 상태에서 곡률을 가지도록 구부러진 굴곡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굴곡부의 곡률 반경과 상기 제3 상태에서 상기 굴곡부의 곡률 반경이 상이한 표시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제1 곡률 반경을 가지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곡률 반경보다 큰 제2 곡률 반경을 가지는 표시 장치.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코팅층은 상기 제3 상태에서 상기 굴곡부 상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상태에서 상기 굴곡부가 형성되는 위치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굴곡부가 형성되는 위치와 상이한 표시 장치.
  17. 화상을 표시하는 일면 및 상기 일면의 반대인 타면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타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패널에 대향하는 일면 및 상기 일면의 반대인 타면을 포함하는 패널 하부층;
    상기 패널 하부층의 상기 타면 상에 배치되는 베이스 부재;
    상기 패널 하부층의 상기 타면 상에 부착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패널 하부층의 상기 타면 상에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이동 시 상기 베이스 부재와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보호 코팅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코팅층은 슬립 코팅층 및 AS(Anti-Static) 코팅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하부층의 상기 타면 상에 부착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이격된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 하부층은 상기 지지 부재와 중첩되되 상기 지지 부재에 부착되지 않는 미부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 코팅층은 상기 패널 하부층의 상기 타면 상에 상기 미부착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표시 장치.
  20.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곡률을 가지도록 폴딩되되,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슬라이딩 시 상기 표시 패널의 곡률이 가변하는 표시 장치.
KR1020210060786A 2021-05-11 2021-05-11 표시 장치 KR2022015371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786A KR20220153718A (ko) 2021-05-11 2021-05-11 표시 장치
US17/564,869 US11985777B2 (en) 2021-05-11 2021-12-29 Display device
CN202210498641.9A CN115331546A (zh) 2021-05-11 2022-05-09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786A KR20220153718A (ko) 2021-05-11 2021-05-11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3718A true KR20220153718A (ko) 2022-11-21

Family

ID=83916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0786A KR20220153718A (ko) 2021-05-11 2021-05-11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985777B2 (ko)
KR (1) KR20220153718A (ko)
CN (1) CN11533154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20230745A1 (ko) * 2019-05-16 2020-11-19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76081B2 (en) * 2012-10-17 2015-03-10 Intel Corporation Integration of displays
KR102015398B1 (ko) 2014-07-16 2019-08-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14333B1 (ko) * 2016-09-08 2023-12-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421304B1 (ko) 2017-09-18 2022-07-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지지 부재 및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497666B1 (ko) * 2017-12-28 2023-02-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KR20200121151A (ko) 2019-04-15 2020-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모듈을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210056484A (ko) * 2019-11-08 2021-05-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KR20220120799A (ko) * 2021-02-23 2022-08-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985777B2 (en) 2024-05-14
CN115331546A (zh) 2022-11-11
US20220369486A1 (en) 2022-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1500B1 (ko)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US9164547B1 (en) Foldable display apparatus
CN113140157A (zh) 可折叠显示装置
KR20210126175A (ko) 표시 장치
US10254451B2 (en) Display device
KR20210130873A (ko) 메탈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20240103587A1 (en) Foldable display device with movable support body
CN218497718U (zh) 显示设备
US20240098916A1 (en) Foldable display device
EP4050452A1 (en) Display device
US11940846B2 (en) Display device
CN113192417A (zh) 可折叠显示装置
US11985777B2 (en) Display device
US11626565B2 (en) Display device
CN113129743A (zh) 显示设备
KR20220063834A (ko) 표시 장치
US11812655B2 (en) Display device having a support plate
CN114694499A (zh) 可折叠显示装置
KR20220012495A (ko) 반발력 측정 장치 및 반발력 측정 방법
US12007812B2 (en) Flexible display panel and flexible display device
US20230171902A1 (en) Display device
US20210091318A1 (en) Oled display and oled display device
KR20240056898A (ko) 표시 장치
KR20230107431A (ko) 표시 장치
KR20220030483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