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1666A - 버튼 타입 배터리 및 그 제조 방법,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버튼 타입 배터리 및 그 제조 방법,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1666A
KR20230021666A KR1020227043999A KR20227043999A KR20230021666A KR 20230021666 A KR20230021666 A KR 20230021666A KR 1020227043999 A KR1020227043999 A KR 1020227043999A KR 20227043999 A KR20227043999 A KR 20227043999A KR 20230021666 A KR20230021666 A KR 20230021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housing
upper cover
tab
typ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3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빈 시에
닝 펑
롱윈 천
위시앙 쩡
즈다 웨이
용왕 왕
즈펑 왕
더셩 쉬
홍카이 린
Original Assignee
주하이 코스엠엑스 배터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2010496417.7A external-priority patent/CN111613739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110394741.2A external-priority patent/CN112993452A/zh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 코스엠엑스 배터리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주하이 코스엠엑스 배터리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21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16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09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with liquid, e.g. electrolytes
    • H01M50/627Filling ports
    • H01M50/636Closing or sealing filling ports, e.g. using l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9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of button or coin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3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button or coin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01M50/169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by welding, brazing or sold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4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6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ixing the leads to the electrodes, e.g. by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8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wound or folded electrode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01M50/555Window-shaped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4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 H01M50/566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by welding, soldering or braz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09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with liquid, e.g. electrolytes
    • H01M50/627Filling po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illing, Topping-Up Batteri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버튼 타입 배터리 및 그 제조 방법, 전자기기를 제공하며, 버튼 타입 배터리는 하우징, 전극 조립체 및 밀폐부재를 포함하고, 하우징 내에 수용 챔버가 구비되고, 전극 조립체는 수용 챔버 내에 위치하고, 하우징 상에 수용 챔버로 전해액을 주입하기 위한 액체 주입홀이 설치되고; 하우징의 외면에 함몰부가 설치되고, 함몰부는 수용 챔버의 내측을 향해 함몰되고, 함몰부는 액체 주입홀의 홀 개구 지점에 위치하며, 액체 주입홀과 연통되고; 밀폐부재는 하우징 외측에 용접되어, 함몰부와 액체 주입홀을 밀폐 커버한다. 본 출원의 버튼 타입 배터리 및 그 제조 방법, 전자기기는 안전성, 신뢰성이 보다 높다.

Description

버튼 타입 배터리 및 그 제조 방법, 전자기기
본 출원은 배터리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버튼 타입 배터리 및 그 제조 방법,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21년 04월 13일 중국 특허국에 출원한 출원번호가 202110394741.2이고, 출원의 명칭이 "버튼 타입 배터리 및 전자기기”인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 2020년 06월 03일 중국 특허국에 출원한 출원번호가 202010496417.7이고, 출원의 명칭이 "버튼 타입 배터리 및 그 제조 방법, 전자기기"인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모든 내용은 원용을 통해 본 출원에 결합된다.
버튼 타입 배터리는 외형 사이즈가 버튼과 같은 배터리를 가리키는 바, 일반적으로 그 직경이 보다 크고, 두께가 보다 얇다. 버튼 배터리는 부피가 보다 작기 때문에, 다양한 마이크로 전자 제품에 널리 응용되고 있으며, 예를 들어 웨어러블 전자기기 분야 및 의료제품 분야 등을 들 수 있다.
버튼 타입 배터리의 내부는 밀폐 공간에 속하기 때문에, 버튼 타입 배터리에 있어서 밀폐성이 극히 중요하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버튼 타입 배터리의 밀폐성이 떨어지므로, 버튼 타입 배터리의 안전성, 안정성이 모두 떨어진다.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는 버튼 타입 배터리 및 그 제조 방법, 전자기기를 제공하며, 안전성 및 안정성이 보다 우수하다.
상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는 아래와 같은 기술방안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제1 측면에 따르면 버튼 타입 배터리를 제공하며, 하우징, 전극 조립체 및 밀폐부재를 포함하고, 하우징 내에 수용 챔버가 구비되고, 전극 조립체는 수용 챔버 내에 위치하고, 하우징 상에 수용 챔버로 전해액을 주입하기 위한 액체 주입홀이 설치되고; 하우징의 외면에 함몰부가 설치되고, 함몰부는 수용 챔버 내측을 향해 함몰되고, 함몰부는 액체 주입홀의 홀 개구 지점에 위치하며, 액체 주입홀과 연통되고; 밀폐부재는 하우징 외측에 용접되어, 함몰부와 액체 주입홀을 밀폐 커버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제2 측면에 따르면 전자기기를 제공하며, 전자기기 본체와 제1 측면에 따른 버튼 타입 배터리를 포함하고, 버튼 타입 배터리는 전자기기 본체에 전력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제3측면에 따르면 버튼 타입 배터리를 제공하며, 하우징, 배터리셀 및 전도체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로우 하우징과 어퍼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 커버와 상기 로우 하우징은 밀폐 연결되고, 상기 로우 하우징과 상기 어퍼 커버는 둘러져서 상기 배터리셀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챔버를 형성하고, 상기 어퍼 커버 상에 상기 수용 챔버와 연통되는 관통홀이 설치되고, 상기 전도체는 상기 관통홀 상에 밀폐 커버되며, 상기 어퍼 커버와의 사이에 실란트링을 통해 절연 및 밀폐 연결되고; 상기 전도체 상에 상기 수용 챔버 내로 전해액을 주입하기 위한 액체 주입구가 더 설치되고, 상기 액체 주입구 상에 밀폐부재가 밀폐 커버되고, 상기 밀폐부재와 상기 액체 주입구 사이는 밀폐 연결되고; 상기 배터리셀은 제1 탭과 제2 탭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탭은 상기 로우 하우징의 이너 저벽 상에 버팅되고, 상기 로우 하우징의 이너 저벽과 용접되며, 상기 제2 탭은 상기 전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제4 측면에 따르면 전자기기를 제공하며, 전자기기 본체와 제3 측면에 따른 버튼 타입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 타입 배터리는 상기 전자기기 본체에 전력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제5 측면에 따르면 버튼 타입 배터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며, 전도체를 어퍼 커버의 관통홀 상에 밀폐 커버하여, 상기 어퍼 커버와 상기 전도체를 절연 및 밀폐적으로 일체로 연결하는 단계; 배터리셀을 로우 하우징의 수용 챔버 내에 배치하는 단계; 버팅부재로 상기 배터리셀 중의 제1 탭을 상기 로우 하우징의 이너 저벽 상에 버팅하여, 상기 제1 탭과 상기 로우 하우징의 이너 저벽을 접합하는 단계; 상기 제1 탭을 상기 로우 하우징의 이너 저벽 상에 용접하는 단계; 배터리셀 중의 제2 탭과 전도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버팅부재를 제거하고, 전해액을 상기 전도체 상의 액체 주입구로부터 상기 수용 챔버 내로 주입하고, 상기 전해액 주입 완료 후, 밀폐부재로 상기 액체 주입구를 밀폐 커버하고, 상기 전도체와 밀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제6 측면에 따르면 버튼 타입 배터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며, 어퍼 커버와 전도체를 절연 및 밀폐된 일체로 연결하고, 상기 전도체는 상기 어퍼 커버의 관통홀 상에 밀폐 커버되는 단계; 배터리셀 중의 제2 탭과 상기 전도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전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셀을 로우 하우징과 전도체를 구비하는 어퍼 커버가 둘러져서 형성된 수용 챔버 내에 배치하는 단계; 전도체를 구비하는 어퍼 커버와 로우 하우징을 밀폐 연결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셀 중의 제1 탭과 상기 로우 하우징을 용접하는 단계; 전해액을 상기 전도체 상의 액체 주입구로부터 상기 수용 챔버 내로 주입하고, 상기 전해액 주입 완료 후, 밀폐부재로 상기 액체 주입구를 밀폐 커버하고 상기 전도체를 밀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버튼 타입 배터리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구비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버튼 타입 배터리는 하우징, 전극 조립체 및 밀폐부재를 포함하고, 하우징 내에 수용 챔버가 구비되고, 전극 조립체가 수용 챔버 내에 위치하고, 하우징 상에 수용 챔버로 전해액을 주입하기 위한 액체 주입홀이 설치되고; 하우징의 외면에 함몰부가 설치되고, 함몰부는 수용 챔버 내측을 향해 함몰되고, 함몰부는 액체 주입홀의 홀 개구 지점에 위치하며, 액체 주입홀과 연통되고; 밀폐부재는 하우징 외측에 용접되어, 함몰부와 액체 주입홀을 밀폐 커버한다. 상술한 방안에서, 액체 주입홀의 홀 개구 지점에 함몰부를 설치하고, 함몰부의 개구부는 하우징의 외측을 향해 개방되고, 전해액 주입 완료 후, 액체 주입홀의 홀 개구 부근에 잔존하는 전해액은 함몰부에 수용되고, 하우징의 외면 상의 용접 영역에 부착되지 않으므로, 밀폐부재와 하우징의 용접 조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용접의 밀폐성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따라서 버튼 타입 배터리의 안전성, 안정성이 모두 보다 우수하다.
상술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결하는 기술문제, 기술방안을 구성하는 기술특징 및 이러한 기술방안의 기술특징에 따른 유리한 효과 외에,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버튼 타입 배터리 및 그 제조 방법, 전자기기에 의해 해결할 수 있는 기타 기술문제, 기술방안에 포함된 기타 기술특징 및 이러한 기술특징에 따른 유리한 효과는 구체적인 실시형태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 또는 종래기술에 따른 기술방안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아래에서는 실시예 또는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해 필요한 첨부 도면에 대해 간단하게 소개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첨부 도면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일 뿐, 본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창조적 노력을 거치지 않고도 이러한 첨부 도면으로부터 기타 도면을 얻을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버튼 타입 배터리의 전체적인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버튼 타입 배터리의 제1 탭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버튼 타입 배터리의 제2 탭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버튼 타입 배터리 중 커버 플레이트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버튼 타입 배터리의 다른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버튼 타입 배터리의 다른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버튼 타입 배터리의 다른 구조의 전체적인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 2에 따른 버튼 타입 배터리의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 2에 따른 버튼 타입 배터리의 분해 구조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 2에 따른 버튼 타입 배터리의 첫 번째 구조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 2에 따른 버튼 타입 배터리의 두 번째 구조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 2에 따른 버튼 타입 배터리의 세 번째 구조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실시예 3에 따른 버튼 타입 배터리의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실시예 4에 따른 버튼 타입 배터리의 다른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다.
종래의 버튼 타입 배터리는 밀폐 시트와 금속 하우징의 용접 시, 용접 밀폐성이 떨어짐에 따라 버튼 타입 배터리 안전성, 안정성이 보다 낮은 기술문제가 존재한다. 왜냐 하면, 액체 주입구를 통해 금속 하우징 내로 전해액을 주입할 때, 부분 전해액이 금속 하우징 상의 용접 영역 부근에 체류하여, 금속 하우징과 밀폐 시트의 용접 조작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본 출원의 버튼 타입 배터리는 액체 주입홀의 홀 개구 지점에 함몰부가 설치되어, 잔존 전해액의 체류부로서 작용되게 되므로, 전해액이 하우징 외면 상의 용접 영역에 부착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밀폐부재와 하우징의 용접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이점이 더욱 명확하고 이해하기 쉽도록, 아래에서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첨부 도면을 결합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에 대해 명확하고 충분하게 설명한다. 기재되는 실시예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일 뿐, 모든 실시예가 아님은 자명하다. 본 출원에 따른 실시예를 기반으로, 본 분야의 당업자가 창조적 노력을 거치지 않고도 획득한 모든 기타 실시예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실시예 1
아래에서는 첨부 도면을 결합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버튼 타입 배터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버튼 타입 배터리의 전체적인 구조도이고,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버튼 타입 배터리의 제1 탭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버튼 타입 배터리의 제2 탭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버튼 타입 배터리 중 커버 플레이트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1, 도 2,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버튼 타입 배터리(100)는 하우징(10), 전극 조립체(20) 및 밀폐부재(30)를 포함하고, 하우징(10) 내에 수용 챔버(11)가 구비되고, 전극 조립체(20)는 수용 챔버(11) 내에 위치하고, 하우징(10) 상에 수용 챔버(11)로 전해액을 주입하기 위한 액체 주입홀(50)이 설치되고; 하우징(10)의 외면에 함몰부(60)가 설치되고, 함몰부(60)는 수용 챔버(11) 내측을 향해 함몰되고, 함몰부(60)는 액체 주입홀(50)의 홀 개구(51) 지점에 위치하며, 액체 주입홀(50)과 연통되고; 밀폐부재(30)는 하우징(10) 외측에 용접되어, 함몰부(60)와 액체 주입홀(50)을 밀폐 커버한다.
상술한 방안에서, 액체 주입홀(50)의 홀 개구(51)에 함몰부(60)를 설치하고, 함몰부(60)의 개구부가 하우징(10)의 외측을 향해 개방됨으로써, 전해액 주입 완료 후, 액체 주입홀(50)의 홀 개구(51) 부근에 잔류하는 전해액이 함몰부(60)에 수용되고, 하우징(10) 외면 상의 용접 영역에 부착되지 않으므로, 밀폐부재(30)와 하우징(10)의 용접 조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용접의 밀폐성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므로, 버튼 타입 배터리(100)의 안전성, 안정성이 모두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액체 주입홀(50)의 홀 개구(51) 지점에 함몰부(60)를 설치하므로, 밀폐부재(30)와 하우징(10)의 용접점이 종래기술에 따른 액체 주입홀(50)만 갖는 구조에 비해, 액체 주입홀(50) 중심축선과의 거리가 더욱 멀고, 이에 따라 용접 조작이 더욱 유리하다.
여기서, 버튼 타입 배터리는 외형 사이즈가 버튼과 같은 배터리를 가리키며, 일반적으로 직경이 보다 크고, 두께가 보다 얇으므로, 버튼 타입 배터리는 외형으로부터 배터리에 대한 분류이다. 본 출원에서, 하우징(10)은 금속 하우징일 수 있고, 하우징(10)의 단면 형상은 원형에 제한되지 않고, 타원형, 다각형 등일 수도 있다. 후술하는 실시예는 버튼 타입 배터리(100)가 리튬 이온 배터리인 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도 2, 도 3을 참조하면, 전극 조립체(20)는 권취 코어(24), 제1 탭(25) 및 제2 탭(26)을 포함할 수 있고, 권취 코어(24)는 제1 전극시트(21), 제2 전극시트(22), 및 제1 전극시트(21)와 제2 전극시트(22)를 이격시키는 세퍼레이터(23) 등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권취 코어(24)는 원기둥 형태의 권취체일 수 있으며 수용 챔버(11) 내에 설치되고, 수용 챔버(11) 내에 동시에 전해액도 수용되어 있고, 제1 전극시트(21)와 제2 전극시트(22)는 세퍼레이터(23)에 의해 이격되며 권치되고, 한편, 권취 코어(24)의 중심부에 중공부(241)가 설치될 수 있다. 권취 코어(24)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단면 절연 접착제(242)가 설치될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제1 전극시트(21) 상에서 권취 외주에 가까운 위치에 제1 탭(25)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제2 전극시트(22) 상에서 권취 외주에 가까운 위치에 제2 탭(26)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제1 탭(25)과 제2 탭(26)은 각각 권취 코어(24)의 양단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으며, 제1 탭(25)과 권취 코어(24) 중심의 연결선과 제2 탭(26)과 권취 코어(24) 중심의 연결선 사이의 협각이 0°보다 크고 180°보다 작으며, 예를 들어 90° 내지 180° 사이에 있을 수 있다. 전해액은 하우징(10) 상에 설치된 액체 주입홀(50)을 통해 하우징(10) 내로 주입될 수 있다.
상술한 방안에서, 함몰부(60)가 수용 챔버(11) 내측을 향해 함몰된다 함은, 함몰부(60)의 깊이 방향이 수용 챔버(11)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는 것을 가리키고; 함몰부(60)가 액체 주입홀(50)의 홀 개구(51) 지점에 위치하며, 액체 주입홀(50)과 연통된다 함은, 함몰부(60)가 액체 주입홀(50)의 홀 개구(51) 가장자리 지점에 위치하며, 하우징(10) 외측을 향해 개구되는 것을 가리킨다.
제1 전극시트(21)와 제2 전극시트(22)는 모두 배터리 활성물질이 도포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탭(25)과 제2 탭(26)의 표면에는 각각 보호 접착제가 접착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액체 주입홀(50)의 전체 원주 방향 상의 용접 조작이 모두 영향받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함몰부(60)는 액체 주입홀(50)의 둘레 방향을 따라 홀 개구(51)를 둘러싸서, 함몰부(60)가 카운트 싱크 구조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으며, 카운트 싱크 구조로 설치하면 가공도 용이하다.
선택적으로, 액체 주입홀(50)의 직경 범위는 0.2 ~ 3mm일 수 있고, 예를 들어 0.5 ~ 1.5mm일 수 있고, 함몰부(60), 즉 카운트 싱크 구조의 직경 범위는 1.5 ~ 3.5mm이고, 예를 들어 2 ~ 3mm일 수 있고, 함몰부(60)의 깊이 범위는 0.01 ~ 0.2mm이고, 예를 들어 0.05 ~ 0.1mm일 수 있고, 여기서, 함몰부(60)와 액체 주입홀(50)의 횡단면 형상은 원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도 2, 도 3을 참조하면, 일 선택적인 실시형태에서, 하우징(10)은 로우 하우징(13)과 커버 플레이트 조립체(12)를 포함하고, 로우 하우징(13)과 커버 플레이트 조립체(12)는 공통으로 둘러져서 수용 챔버(11)를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0)을 탈착 가능한 두 부분으로 설치함으로써, 전극 조립체(20) 등이 수용 챔버(11)에 장착되기에 편리하다. 선택적으로, 로우 하우징(13)은 저벽(131)과 저벽(131)을 에두르는 측벽(132)을 포함할 수 있고, 측벽(132)의 하단은 저벽(131)과 연결되고, 이에 따라 로우 하우징(13)은 개구된 커버 구조로 형성된다.
본 출원의 버튼 타입 배터리(100)에서, 액체 주입홀(50)은 수요에 따라 하우징(10)의 상부 또는 바닥에 설치될 수 있고, 아래에서는 경우별로 설명한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일 선택적인 실시형태에서, 커버 플레이트 조립체(12)는 어퍼 커버(121)와 전도체(122)를 포함하고, 어퍼 커버(121)는 로우 하우징(13)의 상부에 연결되고, 어퍼 커버(121) 상에 관통홀(1211)이 개설되고, 전도체(122)는 관통홀(1211) 상에 밀폐 커버되며, 전도체(122)와 어퍼 커버(121)는 절연 연결되고; 액체 주입홀(50)은 전도체(122) 상에 위치하고, 밀폐부재(30)는 전도체(122) 상에 용접되어 함몰부(60)와 액체 주입홀(50)을 밀폐 커버한다. 전도체(122)의 재질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일 수 있고, 어퍼 커버(121)의 재질은 금속, 예를 들어 강철 또는 니켈일 수 있다.
여기서, 전도체(122)와 어퍼 커버(121)는 절연 연결되고, 예를 들어 전도체(122)와 어퍼 커버(121) 사이에 절연 실란트, 예를 들어 열융해 PP(폴리프로필렌) 접착제(123)가 설치될 수 있고, 이렇게, 가열된 상태에서, 전도체(122)와 어퍼 커버(121) 사이에 열융해 PP 접착제(123)를 통해 연결되어, 전도체(122)와 어퍼 커버(121) 사이를 절연 및 밀폐시킬 수 있다. 어퍼 커버(121)의 수용 챔버(11)를 향하는 내측벽 상에는 하우징 절연 접착제(124)가 더 부착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 절연 접착제(124)는 비금속 절연재질이고, 두께는 0.02 ~ 0.1mm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0.03 ~ 0.05mm이다.
도 2, 도 4를 참조하면, 커버 플레이트 조립체(12)의 구조도이다. 선택적으로, 전도체(122)는 보스부(1221)를 포함하고, 보스부(1221)는 어퍼 커버(121)의 관통홀(1211)과 대응되게 설치되며, 보스부(1221)는 전도체(122)의 기타 부분의 외측에 돌출되어, 관통홀(1211)을 통해 수용 챔버(11) 내부로 인입되고, 한편, 제1 탭(25)은 보스부(1221)의 하단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렇게 전도체(122) 상에 보스부(1221)를 설치함으로써, 보스부(1221)가 어퍼 커버(121)의 관통홀(1211)로부터 수용 챔버(11) 내부로 인입되어, 제1 탭(25)과의 전기적 연결이 편리하다. 일 선택적인 실시형태로서, 보스부(1221)는 예를 들어 스탬핑을 통해 형성될 수 있고, 보스부(1221)의 외부 프로파일은 관통홀(1211)의 가장자리부 프로파일과 대체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전도체(122)는, 보스부(1221) 주위에 설치된 오버랩 연결부(1222)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오버랩 연결부(1222)의 일단은 보스부(1221)와 연결되고, 보스부(122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뻗어지고, 전도체(122) 장착 시, 오버랩 연결부(1222)가 열융해 PP 접착제(123)를 통해 어퍼 커버(121) 상에 용접되도록 할 수 있으며, 보스부(1221)는 관통홀(1211)을 통해 수용 챔버(11) 내로 인입된다. 주의하여야 할 점은, 보스부(1221)의 측면으로부터 관통홀의 홀벽까지 기설정 간격이 존재하여, 전도체(122)와 어퍼 커버(121)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제1 탭(25)은 바로 보스부(1221)와 접촉할 수 있고, 즉 전도체(122)와 제1 탭(25)의 전기적 연결을 구현한다. 제2 탭(26)은 바로 하우징(10) 바닥 내측벽에 용접될 수 있고, 용접점은 권취 코어(24)의 중심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탭(25)과 보스부(1221)는 서로 용접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용접 마크(126)를 형성하고, 제2 용접 마크(126)는 전도체(122)의 밀폐부재(30)와 멀어지는 일면에 위치할 수 있고, 즉 도 2에서, 제2 용접 마크(126)는 전도체(122)의 하면에 위치한다.
밀폐부재(30)와 전도체(122)가 서로 용접되어 제1 용접 마크(125)가 형성될 수 있고, 제1 용접 마크(125)는 전도체(122)의 밀폐부재(30)를 향하는 일면에 위치할 수 있고, 즉 도 2에서, 제1 용접 마크(125)는 전도체(122)의 상면 상에 위치한다. 이렇게 제1 용접 마크(125)는 밀폐부재(30)의 일면 상에 위치하고, 밀폐부재(30)의 외관으로부터 용접 마크가 보이지 않으므로, 버튼 타입 배터리의 미관성을 증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용접 마크(125)와 제2 용접 마크(126)는 서로 어긋날 수 있고, 이에 따라 버튼 타입 배터리 전체의 외관 상의 평탄도를 향상시켜, 버튼 타입 배터리의 외관을 보다 우수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제1 용접 마크(125)와 제2 용접 마크(126)는 서로 중첩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용접 시, 제1 용접 마크(125)와 제2 용접 마크(126)가 서로 융합될 수 있고, 용접 견고도를 향상시켜, 버튼 타입 배터리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계속하여 도 4를 참조하면, 로우 하우징(13) 바닥이 위치한 높이에 대한 보스부(1221)의 돌출 단면의 높이는 어퍼 커버(121)의 하단면이 위치한 높이보다 낮으며, 즉 보스부(1221)의 하단면 다시 말하면 로우 하우징(13) 바닥에 대한 돌출 단면의 설치 높이(h1)는, 로우 하우징(13) 바닥에 대한 어퍼 커버(121)의 하단면의 설치 높이(h2)보다 낮다. 이에 따라 제1 탭(25)은 바로 보스부(1221)의 하단면에 오버랩 연결 및 용접될 수 있으며, 로우 하우징(13)의 내벽에 접촉하지 않는다. 물론, 어퍼 커버(12) 하단면 상에 하우징 절연 접착제(124)가 설치되는 경우, 절연 접착제(124)의 하단면을 어퍼 커버(121)의 하단면으로 간주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전도체(122) 상에서 보스부(1221)와 멀어지는 일면 상에 장착홈(1223)이 더 설치될 수 있고, 장착홈(1223)은 보스부(1221)의 위치와 대응되고, 액체 주입홀(50)은 장착홈(1223)의 홈 바닥에 위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밀폐부재(30)가 장착홈(1223) 내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밀폐부재(30)를 수용할 수 있는 장착홈(1223)을 설치함으로써, 이에 따라 밀폐부재(30)가 버튼 타입 배터리(100)의 표면에 돌출되지 않고, 외관이 보다 우수하고, 그리고 장착홈(1223)이 보스와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므로, 이에 따라 보스부(1221)의 돌출 높이를 충분히 이용하여, 전체 전도체(122)의 두께가 보다 균일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버튼 타입 배터리의 다른 구조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버튼 타입 배터리의 다른 구조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버튼 타입 배터리의 다른 구조의 전체적인 구조도이다. 도 5, 도 6, 도 7을 참조하여 액체 주입홀이 하우징 바닥에 설치되는 경우에 대해 소개하며, 본 방안에 따른 버튼 타입 배터리(200)는 상술한 방안의 기초 상에서 액체 주입홀의 위치를 변경하였으며, 전도체의 구조, 및 밀폐부재의 장착 위치도 이에 따라 변경하였다. 기타 구조는 상술한 도 2, 도 3에 도시된 구조와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반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로우 하우징(13)은 저벽(131)과 저벽(131)을 에두르는 측벽(132)을 포함하고, 측벽(132)의 하단은 저벽(131)과 연결되고, 상술한 바와 다른 점은, 액체 주입홀(70)이 저벽(131) 상에 위치하고, 밀폐부재(71)는 저벽(131) 상에 용접되어, 액체 주입홀(70)을 밀폐 커버한다.
일 선택적인 실시형태에서, 커버 플레이트 조립체(12)는 어퍼 커버(121)와 전도체(72)를 포함하고, 어퍼 커버(121)는 측벽(132)의 상단에 연결되고, 어퍼 커버(121) 상에는 관통홀(1211)이 개설되고, 전도체(72)는 관통홀(1211) 상에 밀폐 커버되며, 전도체(72)는 어퍼 커버(121)와 절연 연결되고; 전극 조립체(20)는 제1 탭(25)과 제2 탭(26)을 포함하고, 제1 탭(25)은 전도체(72)와 용접 연결되고, 제2 탭(26)은 저벽(131)과 용접 연결된다.
액체 주입홀(70)이 저벽(131) 상에 설치되는 경우, 밀폐부재(71)와 저벽(131)의 용접점(A)은 저벽(131) 상에서 밀폐부재(71)에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고, 저벽(131)과 제2 탭(26)의 용접점(B)은 기타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용접점(A)의 위치를 회피함으로써, 두 용접점이 겹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체 버튼 타입 배터리 외관의 평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탭(25)에 대하여, 바로 전도체(72)와 용접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점은, 저벽(131)의 외면 상에 저부 장착홈(74)이 설치될 수 있고, 액체 주입홀(70)은 저부 장착홈(74)의 저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저부 장착홈(74)은 밀폐부재(71)를 수용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이에 따라 밀폐부재(71)가 저부 장착홈(74) 내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밀폐부재(71)를 수용할 수 있는 저부 장착홈(74)을 설치하며, 이에 따라 밀폐부재(71)가 버튼 타입 배터리(100)의 표면에 돌출되지 않고, 외관이 보다 우수하다.
본 출원의 버튼 타입 배터리에서, 전해액이 액체 주입홀 지점으로부터 권취 코어의 중공부 내에 주입되고, 함몰부는 잔류 전해액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며, 주액 후, 밀폐부재는 액체 주입홀과 함몰부를 커버하며, 원주 오버랩 연결, 용접을 통해 밀폐하며, 물론, 밀폐부재와 액체 주입홀 사이를 거의 동축으로 설치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버튼 타입 배터리는 하우징, 전극 조립체 및 밀폐부재를 포함하고, 하우징 내에 수용 챔버가 구비되고, 전극 조립체는 수용 챔버 내에 위치하고, 하우징 상에 수용 챔버로 전해액을 주입하기 위한 액체 주입홀이 설치되고; 하우징의 외면에 함몰부가 설치되고, 함몰부는 수용 챔버 내측을 향해 함몰되고, 함몰부는 액체 주입홀의 홀 개구 지점에 위치하며, 액체 주입홀과 연통되고; 밀폐부재는 하우징 외측에 용접되어, 함몰부와 액체 주입홀을 밀폐 커버한다. 상술한 방안에서, 액체 주입홀의 홀 개구 지점에 함몰부를 설치하고, 함몰부의 개구부가 하우징의 외측을 향해 개방되도록 하고, 전해액 주입 완료 후, 액체 주입홀에 잔류하는 홀 개구 부근의 전해액은 함몰부에 수용되고, 하우징의 외면 상에 부착되지 않으므로, 밀폐부재와 하우징의 용접 조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용접의 밀폐성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버튼 타입 배터리의 안전성, 안정성이 모두 보다 바람직하다.
본 출원은 전자기기를 더 제공하며, 전자기기 본체와 버튼 타입 배터리를 포함하고, 버튼 타입 배터리는 전자기기 본체에 전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본 출원에 따른 전자기기 중의 버튼 타입 배터리의 구조는 상술한 버튼 타입 배터리의 구조와 동일하고,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술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낱낱이 기재하지 않는다.
실시예 2
버튼 타입 배터리의 내부는 밀폐 공간에 속하므로, 버튼 타입 배터리에 있어서 밀폐성이 극히 중요하며, 관련기술에서는 우선 전해액을 배터리셀이 배치된 수용 챔버 내에 주입한 후, 전도체를 하우징 상의 관통홀 내에 관통 설치하고, 전도체와 관통홀이 리베팅되도록 하며, 전도체와 관통홀 사이에 절연되는 실란트링이 설치되지만, 전도체와 관통홀이 리베팅될 때, 하우징에 진동이 발생하며, 수용 챔버 내의 전해액이 실란트링 지점으로 비산되어, 실란트링이 부분적으로 실효되도록 하고, 밀폐성의 저하를 초래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버튼 타입 배터리에서, 전도체는 어퍼 커버의 관통홀 상에 밀폐 커버되고, 어퍼 커버와 전도체를 실란트링을 통해 절연 및 밀폐된 일체로 연결하고, 배터리셀을 로우 하우징의 수용 챔버 내에 배치하고, 배터리셀 상의 제1 탭과 로우 하우징의 이너 저벽을 용접하고, 전도체를 구비하는 어퍼 커버와 로우 하우징을 밀폐 연결하고, 배터리셀 상의 제2 탭과 전도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최종적으로 전도체를 구비하는 어퍼 커버와 로우 하우징을 밀폐 연결하고, 전해액을 전도체 상의 액체 주입구를 통해 수용 챔버 내에 주입하고, 전해액 주입 완료 후, 밀폐부재를 액체 주입구 상에 밀폐 커버하고, 밀폐부재와 액체 주입구를 접착 또는 용접 방식으로 밀폐 연결함으로써, 버튼 타입 배터리의 밀폐성을 향상시킨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버튼 타입 배터리는 하우징(10), 하우징(10)의 수용 챔버(1011) 내에 위치하는 배터리셀(20)과 하우징(10) 상에 설치되며 하우징(10)과 절연 연결되는 전도체(30)를 포함하고, 전도체(30) 상에 수용 챔버(1011) 내로 전해액을 주입하기 위한 액체 주입구(301)와 액체 주입구(3011)을 밀폐 커버하는 밀폐부재(40)가 설치되고, 밀폐부재(40)는 액체 주입구(301)와 밀폐 연결되고, 배터리셀(20) 상에 제1 탭(201)과 제2 탭(202)이 설치되고, 제1 탭(201)과 하우징(10)은 용접 등의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2 탭(202)과 전도체(30)도 용접, 접착의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하우징(10)과 전도체(30)는 각각 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셀(20)이 하우징(10)과 전도체(30)를 통해 전자기기에 전력을 제공하도록 한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은 로우 하우징(101)과 어퍼 커버(102)를 포함하고, 로우 하우징(101) 상에 로우 하우징(101)의 저벽을 향해 연장되는 오목홈이 설치되고, 오목홈은 배터리셀(2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챔버(1011)를 형성하고, 어퍼 커버(102)는 수용 챔버(1011)와 연통되는 개구 지점에 밀폐 커버되어, 로우 하우징(101)과 어퍼 커버(102)가 둘러져서 수용 챔버(1011)를 구비하는 하우징(10)을 형성하도록 한다. 여기서, 밀폐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어퍼 커버(102)와 로우 하우징(101) 사이에 밀폐 연결되고, 예를 들어, 어퍼 커버(102)와 로우 하우징(101) 사이에 대해 용접 등을 수행한다.
하우징(10)의 횡단면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의 임의의 형상일 수 있고, 이에 대해 본 실시예에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배터리셀(20)은 하우징(10)과 전도체(30)를 통해 전자기기에 전력을 제공하여야 하므로, 하우징(10)과 전도체(30)는 스테인리스강, 구리, 철 등의 금속 재질을 선택하여 제조될 수 있다.
어퍼 커버(102) 상에 관통홀(1021)이 설치되어, 어퍼 커버(102)가 환형 구조를 형성하도록 하며, 전도체(30)는 관통홀(10210) 상에 밀폐 커버되며, 전도체(30)와 관통홀(1021) 사이에 실란트링(50)이 설치되고, 실란트링(50)은 전도체(30)와 관통홀(1021) 사이를 절연 및 밀폐적으로 연결한다. 다시 말하면, 전도체(30)는 실란트링(50)을 통해 관통홀(1021)의 가장자리에 접착되며, 어퍼 커버(102) 상의 관통홀(1021)을 밀폐 커버한다. 여기서, 관통홀(1021)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등일 수 있다.
전도체(30)와 어퍼 커버(102) 사이의 연결 밀폐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가열 가압하는 방식으로 전도체(30)를 실란트링(50)을 통해 어퍼 커버(102) 상에 접착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실란트링(50)의 접착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도체(30)와 어퍼 커버(102) 사이의 연결 밀폐성을 향상시킨다.
나아가, 전도체(30)는 어퍼 커버(102)의 표면에 돌출될 수 있고, 어퍼 커버(102) 상에 전도체를 배치하기 위한 수용홈(1022)을 설치하고, 전도체(30)가 수용홈(1022) 내에 위치될 수도 있으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또한 전도체(30)의 상면은 어퍼 커버(102)의 상면과 일치하고, 전도체(30)는 실란트링(50)을 통해 어퍼 커버(102)와 절연 및 밀폐 연결될 때, 가열 가압 시, 실란트링(50)은 접착제 오버플로우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오버플로우된 접착제가 수용홈(1022) 내에 위치하며, 어퍼 커버(102)의 표면으로 오버플로우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어퍼 커버(102)의 표면이 보다 평탄하며, 버튼 타입 배터리의 전체 구조가 더욱 컴팩트하고, 버튼 타입 배터리의 전체 미관성을 향상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관통홀(1021)은 원형홀이고, 전도체(30)는 디스크 형상이고, 관통홀(1021)의 직경은 전도체(30)의 직경보다 작으므로, 전도체(30)의 가장자리와 관통홀(1021)의 가장자리 지점은 지름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분이 적층 설치되고, 관통홀(1021)과 전도체(30) 사이에 실란트링(50)을 통해 가열 가압하는 방식으로 이들을 긴밀하게 접착시키고, 고열 고압 하에서의 실란트링(50)은 관통홀(1021)과 전도체(30) 사이를 더욱 긴밀하게 연결시킬 수 있으므로, 버튼 타입 배터리의 밀폐성을 향상시킨다.
전도체(30)의 가장자리와 관통홀(1021)의 가장자리의 지름 방향을 따른 단일측의 적층 사이즈가 클수록 밀폐성이 더욱 우수하므로, 일 실시예에서, 전도체(30)와 관통홀(1021)의 지름 방향을 따른 단일측 적층 부분이 0.3mm보다 크거나 같으며, 이에 따라, 전도체(30)와 관통홀(1021) 사이의 밀폐 면적을 증가시켜, 전도체(30)와 관통홀(1021) 사이의 밀폐성을 향상시킨다.
나아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체(30) 상에 관통홀(1021)에 관통 설치되는 연장부(303)가 더 설치되고, 예를 들어, 전도체(30)는 T자형의 전도체(30)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연장부(303)와 관통홀(1021)의 홀벽 사이에 실란트링(50)을 통해 밀폐 연결되어, 전도체(30)와 관통홀(1021) 사이의 밀폐 면적을 더욱 향상시켜, 전도체(30)와 관통홀(1021) 사이의 밀폐성을 향상시킨다. 여기서, 실란트링(50)은 가용성 재질일 수 있으며, 실란트링(50)의 전해액 부식 방지성 및 밀폐성을 갖는다.
여기서, 실란트링(50)은 환형이며, 전도체(30)와 어퍼 커버(102)에 대해 가열 가압할 때, 실란트링(50)의 외측 가장자리는 전도체(30)와 어퍼 커버(102)의 접합 지점으로 오버플로우되고, 실란트링(50)의 내측 가장자리는 실란트링(50)과 어퍼 커버(102) 상의 관통홀(1021)의 가장자리 접합 지점으로 오버플로우되며, 이에 따라, 전도체와 어퍼 커버(102)를 연결시킬 때의 실란트링(50)의 연결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의 기초 상에서,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체(30) 상에 수용 챔버(1011) 내로 전해액을 주입하는 액체 주입구(301)가 더 설치되고, 액체 주입구(301)는 원형, 사각형, 다각형 등의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액체 주입구(301)는 전도체(30)와 동심으로 설치되고, 전도체(30)와 하우징(10) 중 배터리셀(2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챔버(1011)는 동심으로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밀폐부재(40)와 액체 주입구(301) 사이의 밀폐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액체 주입구(301)의 수용 챔버(1011)에 멀리 떨어진 일단에 카운트 싱크(302)가 설치되고, 카운트 싱크(302)의 직경은 액체 주입구(301)의 직경보다 크며, 카운트 싱크(302)와 액체 주입구(301)는 연통되며 축심이 동일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카운트 싱크(302)의 형상은 액체 주입구(301)의 형상과 동일하며, 즉 액체 주입구(301)의 형상이 원형일 때, 카운트 싱크(302)의 형상도 원형이고, 예시적으로, 카운트 싱크(302)의 깊이는 0.01 ~ 0.5mm 사이일 수 있다.
액체 주입구(301) 상에 밀폐부재(40)가 밀폐 커버되며, 즉 밀폐부재(40)는 카운트 싱크(302) 내에 위치하고, 카운트 싱크(302)의 깊이가 보다 작으므로, 밀폐부재(40)는 시트 형태의 구조일 수 있으며, 카운트 싱크(302) 내에 위치하여 액체 주입구(301)를 밀폐 커버하고, 밀폐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밀폐부재(40)와 액체 주입구(301)는 밀폐 연결되며, 예를 들어, 밀폐부재(40)와 액체 주입구(301) 사이는 용접될 수 있으며, 다시 말하면, 액체 주입구(301)를 통해 수용 챔버(1011) 내로 전해액을 주입한 후, 하우징(10) 외측에서 밀폐부재(40)와 카운트 싱크(302) 사이의 접합 지점을 용접시켜, 밀폐성을 향상시킨다.
예시적으로, 밀폐부재(40)는 밀폐 네일일 수 있고, 밀폐 네일은 카운트 싱크(302) 내에 위치하고, 밀폐 네일과 카운트 싱크(302)의 접합 지점을 용접 방식으로 일체로 용접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 네일과 액체 주입구(301) 간에 용접 방식으로밀폐될 때, 용접의 편의를 위하여, 카운트 싱크(302)의 직경이 밀폐 네일의 네일 헤드의 직경보다 크며, 밀폐 네일의 카운트 싱크(302) 내에 위치하는 부분에 용접 마크가 있으며, 다시 말하면, 용접 설비는 카운트 싱크(302) 내로부터 밀폐 네일과 전도체(30) 사이의 접합 지점에 대해 용접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레이저 용접 설비의 레이저빔은 카운트 싱크(302) 내에 인입되어 밀폐 네일과 전도체(30)를 일체로 용접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밀폐부재(40)는 카운트 싱크(302) 내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카운트 싱크와 실란트링 등의 방식을 통해 접착되어, 조작 공정을 간소화한다.
일 선택적인 실시형태에서, 배터리셀(20)은 권취형 배터리셀(20)이며, 구체적으로, 권취형 배터리셀(20)은 제1 전극시트, 제2 전극시트 및 제1 전극시트와 제2 전극시트를 이격시키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고;제1 전극시트 상에 제1 탭(201)이 설치되고, 제1 탭(201)은 용접 방식을 통해 제1 전극시트 상에 설치될 수 있고, 제2 전극시트 상에 제2 탭(202)이 설치되고, 제2 탭(202)은 용접 방식을 통해 제2 전극시트 상에 설치될 수 있고; 권취 과정에서 제1 전극시트, 제2 전극시트 및 세퍼레이터는 권취 시작단으로부터 일 방향을 향해 층마다 귄취되며 최종적으로 권취형 배터리셀(20)을 형성한다.
이해할 수 있는 점은, 배터리셀(20)의 제1 전극시트는 양극 시트일 수 있고, 제2 전극시트는 음극 시트일 수 있으며, 이때, 제1 전극시트 상에 설치된 제1 탭(201)의 양극 탭이고, 제2 전극시트 상에 설치된 제2 탭(202)은 음극 탭이며, 구체적으로 구현할 때, 배터리셀(20)을 수용 챔버(1011) 내에 수용하고, 양극 탭과 로우 하우징(101)의 이너 저벽은 용접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로우 하우징(101)이 버튼 타입 배터리의 양극으로 형성되되록 하고, 음극 탭은 전도체(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도체(30)가 버튼 타입 배터리의 음극으로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버튼 타입 배터리가 전자기기 상에 적용될 때, 로우 하우징(101)은 전자기기의 양극과 연결 도통되고, 전도체(30)는 전자기기의 음극과 연결 도통되어, 배터리셀(20)이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한다.
또는, 배터리셀(20)의 제1 전극시트는 음극 시트일 수 있고, 제2 전극시트는 양극 시트일 수 있으며, 이때, 제1 전극시트 상에 설치되는 제1 탭(201)은 음극 탭이고, 제2 전극시트 상에 설치되는 제2 탭(202)은 양극 탭이며, 구체적으로 구현할 때, 배터리셀(20)을 수용 챔버(1011) 내에 수용하고, 음극 탭은 로우 하우징(101)은 용접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로우 하우징(101)이 버튼 타입 배터리의 음극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양극 탭은 전도체(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도체(30)가 버튼 타입 배터리의 양극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버튼 타입 배터리가 전자기기 상에 적용될 때, 로우 하우징(101)과 전자기기의 음극이 연결 도통되고, 전도체(30)와 전자기기의 양극이 연결 도통되어, 배터리셀(20)이 전자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탭(202)은 전도체(30) 상의 수용 챔버(1011) 내에 인입되는 연장부(303)의 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에 따라, 제2 탭(202)과 전도체(30)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전기적 연결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여기서, 어퍼 커버(102)가 제2 탭(202)과 연장부(303)의 연결 시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장부(303)가 수용 챔버(1011)에 인입된 후, 연장부(303)의 수용 챔버(1011)를 향하는 일단이 어퍼 커버(102)의 내벽을 초과하며, 이에 따라, 제2 탭(202)과 연장부(303)의 단면이 연결될 때, 제2 탭(202)과 어퍼 커버(102)의 내벽 사이에 갭이 형성되며, 또는 어퍼 커버(102)의 내벽과 제2 탭(202) 사이에 절연층을 설치하여, 제2 탭(202)과 전도체(30)의 전기적 연결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설명하여야 할 점은, 제1 탭(201)과 하우징(10) 중의 어퍼 커버(102)는 용접, 접착의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제1 탭(201)과 제2 탭(202)의 전기적 연결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1 탭(201)과 제2 탭(202)의 둘레 방향 상에 균일하게 절연층을 설치할 수 있으며, 제1 탭(201) 또는 제2 탭(202)은 로우 하우징(101) 또는 전도체(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만 노출시키면 된다.
선택적으로, 권취형 배터리셀(20)은 권취 시 중심 위치에 배터리셀 캐비티(203)를 형성할 수 있으며, 배터리셀(20)이 수용 챔버(1011) 내에 배치된 후, 배터리셀 캐비티(203)와 액체 주입구(301)는 동심으로 설치되고, 이에 따라, 수용 챔버(1011) 내로 전해액을 주입할 때, 배터리셀(20) 중의 전극시트 및 세퍼레이터 등은 전해액의 주입을 방애하지 않고, 전해액 주입 효율을 향상시켜, 버튼 타입 배터리의 생산 효율을 향상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주입구(301) 지점으로부터 또한 배터리셀 캐비티(203)로 버팅부재(60)를 삽입할 수 있고, 버팅부재(60)는 기둥 형태의 구조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원기둥, 각기둥 등의 구조일 수 있으며, 하나의 기둥 형태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고, 둘 또는 둘 이상의 기둥 형태의 부재가 순차적으로 두미 연결되어 구성될 수도 있고, 제1 탭(201)과 로우 하우징(101)의 이너 저벽을 연결할 때, 우선 버팅부재(60)를 배터리셀 캐비티(203) 내에 삽입하여, 버팅부재(60)의 제1 단이 제1 탭(201)에 버팅되고, 버팅부재(60)의 제2 단에 압력을 가하여, 제1 탭(201)이 버팅부재(60)의 가압에 의해 로우 하우징(101)의 이너 저벽에 접합되도록 하고, 나아가 용접하며, 이에 따라, 제1 탭(201)과 로우 하우징(101) 사이의 용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탭(201)과 로우 하우징(101) 사이의 전기적 연결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설명하여야 할 점은,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버팅부재(60)의 제2 단은 하우징(10)의 어퍼 커버(102) 외부까지 노출될 수 있으며, 버튼 타입 배터리의 제1 탭(201)과 로우 하우징(101)의 이너 저벽을 용접 완료하고, 전도체(30)를 구비하는 어퍼 커버(102)와 로우 하우징(101) 사이에 밀폐 연결한 후, 버팅부재(60)는 배터리셀 캐비티(203)로부터 액체 주입구(301)를 따라 취출될 수 있다.
용접 과정에서, 떨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만약 우선 로우 하우징(101)과 어퍼 커버(102)를 밀폐 연결한 후, 제1 탭(201)과 로우 하우징(101)을 용접할 경우 떨림이 발생하므로, 로우 하우징(101)과 어퍼 커버(102) 사이에 오프셋이 발생하여 로우 하우징(101)과 커버(102) 사이에 어긋남이 발생하게 되므로, 로우 하우징(101)과 어퍼 커버(102) 사이의 밀폐 연결이 느슨해지거나 또는 밀폐 연결이 실효되어, 최종적으로 버튼 타입 배터리셀의 밀폐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먼저 제1 탭(201)과 제2 탭(202)을 구비하는 배터리셀(20)을 로우 하우징(101)의 수용 챔버(1011) 내에 배치하고, 배터리셀(20)의 배터리셀 캐비티(203) 내에 버팅부재(60)를 삽입하고, 버팅부재(60)를 통해 제1 탭(201)을 가압하여, 제1 탭(201)과 로우 하우징(101)의 이너 저벽이 밀착되도록 하고, 다음 용접 설비를 통해 로우 하우징(101)과 제1 탭(201)을 용접시켜, 제1 탭(201)과 로우 하우징(101)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구현하고, 다음 전도체(30)를 구비하는 어퍼 커버(102)를 용접 또는 접착 방식을 통해 로우 하우징(101)과 밀폐 연결시키며, 로우 하우징(101)과 어퍼 커버(102) 사이에 용접 시 역시 떨림이 발생하지만, 버팅부재(60)는 항상 제1 탭(201)를 버팅하므로, 제1 탭(201)과 로우 하우징(101)의 내벽 간에 떨림에 의해 연결이 느슨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고, 제1 탭(201)과 로우 하우징(101) 사이의 연결 신뢰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로우 하우징(101)과 어퍼 커버(102) 사이의 밀폐 연결 신뢰성을 향상시켜, 버튼 타입 배터리의 밀폐성을 향상시킨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버튼 타입 배터리는, 구체적으로 구현할 때, 우선, 가열 가압 방식으로 어퍼 커버(102)와 전도체(30) 사이를 실란트링(50)을 통해 절연 밀폐된 일체로 연결하고, 배터리셀(20)을 로우 하우징(101) 내의 수용 챔버(1011) 내에 넣고, 버팅부재(60)를 배터리셀 캐비티(203) 내에 삽입하고, 버팅부재(60)의 제1 단은 제1 탭(201) 상에 버팅되고, 버팅부재(60)의 제2 단은 어퍼 커버(102) 밖으로 노출되고, 버팅부재(60)를 가압함으로써, 제1 탭(201)과 로우 하우징(101)의 이너 저벽 사이를 접합하고, 용접 설비를 통해 제1 탭(201)과 로우 하우징(101) 사이를 용접하고, 다음 전도체(30)를 구비하는 어퍼 커버(102)를 로우 하우징(101) 상에 밀폐 커버하고, 접착 또는 용접 방식으로 로우 하우징(101)과 어퍼 커버(102)를 밀폐 연결하고, 배터리셀(20) 상의 제2 탭(202)과 전도체(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버팅부재(60)를 취출하고, 전해액을 액체 주입구(301) 지점으로부터 수용 챔버 내에 주입하고, 전해액 주입 완료 후, 밀폐부재(40)를 액체 주입구(301) 상에 밀페 커버하고, 접착 또는 용접 방식으로 밀폐부재(40)와 액체 주입구(301) 지점을 밀폐 연결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버튼 타입 배터리는, 전도체가 어퍼 커버의 관통홀상에 밀폐 커버되고, 어퍼 커버와 전도체를 실란트링을 통해 절연 및 밀폐된 일체로 연결하고, 배터리셀을 로우 하우징의 수용 챔버 내에 배치하고, 배터리셀 상의 제1 탭과 로우 하우징의 이너 저벽을 용접하고, 다음 전도체를 구비하는 어퍼 커버와 로우 하우징을 밀폐 연결하고, 배터리셀 상의 제2 탭과 전도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최종적으로 전해액을 전도체 상의 액체 주입구로부터 수용 챔버 내에 주입하고, 전해액 주입 완료 후, 밀폐부재를 액체 주입구 상에 밀폐 커버하고, 밀폐부재와 액체 주입구를 접착 또는 용접 방식으로 밀폐 연결함으로써, 버튼 타입 배터리의 밀폐성을 향상시킨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전자기기를 더 제공하며, 전자기기 본체와 실시예 1에 따른 버튼 타입 배터리를 포함하고, 버튼 타입 배터리는 전자기기 본체에 전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버튼 타입 배터리의 구조와 동작 원리는 상술한 실시예 1에서 상세하게 기재하였으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 반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 따른 전자기기는 전자기기 본체와 전자기기 본체에 전력을 제공하는버튼 타입 배터리를 포함하고, 버튼 타입 배터리는 전도체를 어퍼 커버의 관통홀 상에 밀폐 커버하고, 어퍼 커버와 전도체를 실란트링을 통해 절연 및 밀폐된 일체로 연결하고, 배터리셀을 로우 하우징의 수용 챔버 내에 배치하고, 배터리셀 상의 제1 탭과 로우 하우징의 이너 저벽을 용접하고, 다음 전도체를 구비하는 어퍼 커버와 로우 하우징을 밀폐 연결하고, 배터리셀 상의 제2 탭과 전도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최종적으로 전도체를 구비하는 어퍼 커버와 로우 하우징을 밀폐 연결하고, 전해액을 전도체 상의 액체 주입구로부터 수용 챔버 내로 주입하고, 전해액 주입 완료 후, 밀폐부재를 액체 주입구 상에 밀폐 커버하고, 밀폐부재와 액체 주입구를 접착 또는 용접 방식으로 밀폐 연결함으로써, 버튼 타입 배터리의 밀폐성을 향상시킨다.
실시예 3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버튼 타입 배터리의 제조 방법을 더 제공하며, 아래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S101: 전도체를 어퍼 커버의 관통홀 상에 밀폐 커버하여, 어퍼 커버와 전도체를 절연 및 밀폐된 일체로 연결하고;
어퍼 커버와 전도체 사이에 실란트링이 설치되고, 어퍼 커버와 전도체 사이에 대해 먼저 가열 가압 방식으로 일체로 연결되도록 가압하고, 실란트링은 압력이 인가되어 변형됨으로써, 어퍼 커버와 전도체 사이의 밀폐성을 향상시킨다.
S102: 배터리셀을 로우 하우징의 수용 챔버 내에 배치한다.
S103: 버팅부재로 배터리셀 중의 제1 탭을 로우 하우징의 이너 저벽에 버팅하고, 제1 탭과 로우 하우징의 이너 저벽을 접합한다.
S104: 제1 탭을 로우 하우징의 이너 저벽 상에 용접한다.
S105: 배터리셀 중 제2 탭과 전도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S106: 버팅부재를 제거하고, 전해액을 전도체 상의 액체 주입구로부터 수용 챔버 내에 주입하고, 전해액 주입 완료 후, 밀폐부재로 액체 주입구를 밀폐 커버하고, 전도체와 밀폐 연결한다.
설명하여야 할 점은, 전도체를 구비하는 어퍼 커버와 로우 하우징을 밀폐 연결하기 전에, 우선 배터리셀 중의 제2 탭과 전도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어퍼 커버와 전도체를 실란트링을 통해 절연 및 밀폐적으로 일체로 연결하는 단계 전에,
어퍼 커버와 전도체에 대해 패시베이션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패시베이션 처리란 금속에 대해 강산화제 또는 전기화학방법으로 산화 처리하여, 표면이 비활성화 상태로 되도록 하는 즉 패시베이션하는 과정을 가리키며, 금속 표면이 쉽게 산화되지 않는 상태가 되도록 하여, 금속의 부식 속도를 늦추는 방법이다.
선택적으로, 배터리셀 중의 제1 탭과 로우 하우징을 용접하는 단계 전에,
액체 주입구로부터 배터리셀 캐비티에 배치된 버팅부재를 가압하고; 버팅부재는 배터리셀 중의 제1 탭을 가압하여 로우 하우징의 이너 저벽과 접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버튼 타입 배터리의 제조 방법에서, 전도체는 어퍼 커버의 관통홀 상에 밀폐 커버되고, 어퍼 커버와 전도체를 실란트링을 통해 절연 및 밀폐된 일체로 연결하고, 배터리셀을 로우 하우징의 수용 챔버 내에 배치하여, 배터리셀 상의 제1 탭과 로우 하우징의 이너 저벽을 용접하고, 전도체를 구비하는 어퍼 커버와 로우 하우징을 밀폐 연결하고, 배터리셀 상의 제2 탭과 전도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최종적으로 전해액을 전도체 상의 액체 주입구를 통해 수용 챔버 내로 주입하고, 전해액 주입 완료 후, 밀폐부재를 액체 주입구 상에 밀폐 커버하고, 밀폐부재와 액체 주입구를 밀폐 연결시켜, 버튼 타입 배터리의 밀폐성을 향상시킨다.
실시예 4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버튼 타입 배터리의 다른 제조 방법을 더 제공하며, 아래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S01: 어퍼 커버와 전도체를 절연 및 밀폐된 일체로 연결하며, 전도체는 어퍼 커버의 관통홀 상에 밀폐 커버된다;
S02: 배터리셀 중의 제2 탭과 전도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S03: 전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셀을 로우 하우징과 전도체를 구비하는 어퍼 커버가 둘려져 형성된 수용 챔버 내에 배치한다;
S04: 전도체를 구비하는 어퍼 커버와 로우 하우징을 밀폐 연결한다;
S05: 배터리셀 중의 제1 탭과 로우 하우징을 용접한다;
S06: 전해액을 전도체 상의 액체 주입구로부터 수용 챔버 내로 주입하고, 전해액 주입 완료 후, 밀폐부재로 액체 주입구를 밀폐 커버하고 전도체와 밀폐 연결한다.
설명하여야 할 점은, 전도체를 구비하는 어퍼 커버와 로우 하우징을 밀폐 연결한 후 배터리셀 중의 제2 탭을 전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도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버튼 타입 배터리의 제조 방법은, 구체적으로 구현할 때, 우선, 가열 가압 방식으로 어퍼 커버와 전도체를 실란트링을 통해 절연 및 밀폐된 일체로 연결하고, 전도체와 제2 탭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전도체와 제2 탭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셀을 수용 챔버 내에 배치하고, 전도체를 구비하는 어퍼 커버를 로우 하우징 상에 밀폐 커버하고, 접착 또는 용접 방식으로 로우 하우징과 어퍼 커버를 밀폐 연결하고, 액체 주입구로부터 버팅부재를 삽입하여, 버팅부재가 제1 탭 상에 버팅되고, 제1 탭과 로우 하우징의 이너 저벽을 접합하고, 용접 설비를 통해 제1 탭을 로우 하우징 상에 용접하고, 다음 버팅부재를 액체 주입구 지점으로부터 취출하고, 밀폐부재를 액체 주입구 상에 밀폐 커버하고, 용접 또는 접착 방식으로 밀폐부재를 전도체 상에 접착하고, 여기서, 밀폐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밀폐부재와 액체 주입구 지점에 밀폐재를 더 추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버튼 타입 배터리의 밀폐성을 향상시킨다.
우선 제1 탭과 로우 하우징의 이너 저벽을 용접한 후, 로우 하우징과 어퍼 커버를 용접할 때, 용접에 의해 제1 탭과 로우 하우징에 떨림이 발생하여, 제1 탭과 하우징 이너 저벽 사이의 용접이 느슨해지므로, 제1 탭과 로우 하우징의 전기적 연결의 신뢰성이 낮은 문제점을 초래한다. 본 실시예에서, 우선 로우 하우징과 어퍼 커버를 용접한 후, 제1 탭과 로우 하우징의 이너 저벽을 용접함으로써, 제1 탭과 로우 하우징의 용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탭과 로우 하우징 사이의 전기적 연결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본 명세서에서 각 실시예 또는 실시형태는 점진적 방식으로 기재되어 있으며, 각각의 실시예는 모두 기타 실시예와 다른 점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였고, 각각의 실시예 사이에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서로 참조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설명하여야 할 점은, 상술한 각 실시예는 본 출원의 기술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이에 대한 한정이 아니며; 비록 상술한 각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출원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들은 여전히 상술한 각 실시예에 기재된 기술방안에 대해 수정을 가하거나, 그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술특징에 대해 동등한 치환을 가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하며; 이러한 수정 또는 치환에 의해, 상응한 기술방안의 본질이 본 출원의 각 실시예의 기술방안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Claims (26)

  1. 하우징, 전극 조립체 및 밀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 챔버가 구비되고, 상기 전극 조립체는 상기 수용 챔버 내에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 상에 상기 수용 챔버로 전해액을 주입하기 위한 액체 주입홀이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함몰부가 설치되고, 상기 함몰부는 상기 수용 챔버의 내측을 향해 함몰되고, 상기 함몰부는 상기 액체 주입홀의 홀 개구 지점에 위치하며, 상기 액체 주입홀과 연통되고;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용접되어, 상기 함몰부와 상기 액체 주입홀을 밀폐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타입 배터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액체 주입홀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홀 개구를 둘러싸서, 상기 함몰부가 카운트 싱크 구조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타입 배터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로우 하우징과 커버 플레이트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로우 하우징과 상기 커버 플레이트 조립체는 공통으로 둘러져서 상기 수용 챔버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 조립체는 어퍼 커버와 전도체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 커버는 상기 로우 하우징의 상부에 연결되고, 상기 어퍼 커버 상에 관통홀이 개설되고, 상기 전도체는 상기 관통홀 상에 밀폐 커버되며, 상기 전도체와 상기 어퍼 커버는 절연 연결되고;
    상기 액체 주입홀은 상기 전도체 상에 위치하고,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전도체상에 밀폐 용접되어, 상기 함몰부와 상기 액체 주입홀을 밀폐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타입 배터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체는 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스부와 상기 어퍼 커버의 관통홀은 대응되게 설치되며, 상기 보스부는 상기 전도체의 기타 부분의 외측에 돌출되어,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수용 챔버의 내부에 인입되고;
    상기 전극 조립체는 제1 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탭은 상기 보스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타입 배터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와 상기 전도체는 서로 용접되어 제1 용접 마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용접 마크는 상기 전도체의 상기 밀폐부재를 향하는 일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탭과 상기 보스부는 서로 용접 연결되며 제2 용접 마크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용접 마크는 상기 전도체의 상기 밀폐부재와 멀어지는 일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용접 마크와 상기 제2 용접 마크는 어긋나고;또는
    상기 제1 용접 마크와 상기 제2 용접 마크는 서로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타입 배터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 하우징의 바닥에 대한 상기 보스부의 돌출 단면의 높이는 상기 어퍼 커버의 하단면의 높이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타입 배터리.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체 상에서 상기 보스부와 멀어지는 일면 상에 장착홈이 설치되고, 상기 장착홈과 상기 보스는 대응되고, 상기 액체 주입홀은 상기 장착홈의 홈 바닥에 위치하고,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장착홈 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타입 배터리.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로우 하우징과 커버 플레이트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로우 하우징과 상기 커버 플레이트 조립체는 공통으로 둘러져서 상기 수용 챔버를 형성하고;
    상기 로우 하우징은 저벽과 상기 저벽을 에두르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의 밑단은 상기 저벽과 연결되고, 상기 액체 주입홀은 상기 저벽 상에 위치하고,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저벽 상에 용접되어, 상기 액체 주입홀을 밀폐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타입 배터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 조립체는 어퍼 커버와 전도체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 커버는 상기 측벽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기 어퍼 커버 상에 관통홀이 개설되고, 상기 전도체는 상기 관통홀 상에 밀폐 커버되며, 상기 전도체와 상기 어퍼 커버는 절연 연결되고; 상기 전극 조립체는 제1 탭과 제2 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탭은 상기 전도체와 용접 연결되고, 상기 제2 탭은 상기 저벽과 용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타입 배터리.
  10. 전자기기 본체와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버튼 타입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 타입 배터리는 상기 전자기기 본체에 전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1. 하우징, 배터리셀 및 전도체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로우 하우징과 어퍼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 커버와 상기 로우 하우징이 밀폐 연결되고, 상기 로우 하우징과 상기 어퍼 커버는 둘러져서 상기 배터리셀을 수용하는 수용 챔버를 형성하고, 상기 어퍼 커버 상에 상기 수용 챔버와 연통되는 관통홀이 설치되고, 상기 전도체는 상기 관통홀 상에 밀폐 연결되며, 상기 어퍼 커버와의 사이에 실란트링을 통해 절연 및 밀폐 연결되고;
    상기 전도체 상에 상기 수용 챔버 내로 전해액을 주입하기 위한 액체 주입구가 더 설치되고, 상기 액체 주입구 상에 밀폐부재가 밀폐 커버되고, 상기 밀폐부재와 상기 액체 주입구 사이는 밀폐 연결되고;
    상기 배터리셀은 제1 탭과 제2 탭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탭은 상기 로우 하우징의 이너 저벽 상에 지지하며, 상기 로우 하우징의 이너 저벽과 용접되며, 상기 제2 탭은 상기 전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타입 배터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체 상에 상기 관통홀에 관통 설치되는 연장부가 설치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수용 챔버 내로 인입되고, 상기 제2 탭과 상기 연장부의 상기 수용 챔버를 향하는 일단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타입 배터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는 밀폐 네일이고; 상기 액체 주입구에서 상기 수용 챔버와 멀리이격된 일단 상에 카운트 싱크가 설치되고, 상기 카운트 싱크의 직경은 상기 액체 주입구보다 크고, 상기 카운트 싱크는 상기 액체 주입구와 연통되고, 상기 밀폐 네일은 상기 카운트 싱크 내에 위치하며, 상기 카운트 싱크와 밀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타입 배터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네일은 상기 카운트 싱크와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타입 배터리 .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셀의 중심 지점에 배터리셀 캐비티가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셀 캐비티는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액체 주입구와 동심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타입 배터리.
  16.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커버 상에 카운트 싱크가 설치되고, 상기 전도체는 상기 카운트 싱크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전도체의 상면과 상기 어퍼 커버의 상면은 일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타입 배터리.
  17.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횡단면의 형상은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타입 배터리.
  18.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셀은 권취형 배터리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타입 배터리.
  19.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버팅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버팅부재는 상기 배터리셀 캐비티 내에 위치하며, 상기 배터리셀 캐비티와 동심으로 설치되고, 상기 버팅부재의 일단은 상기 제1 탭 상에 지지하여, 상기 제1 탭과 상기 로우 하우징의 이너 저벽이 접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타입 배터리.
  20. 전자기기 본체와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버튼 타입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 타입 배터리는 상기 전자기기 본체에 전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1. 전도체를 어퍼 커버의 관통홀 상에 밀폐 커버하여, 상기 어퍼 커버와 상기 전도체를 절연 및 밀폐된 일체로 연결하는 단계;
    배터리셀을 로우 하우징의 수용 챔버 내에 배치하는 단계;
    버팅부재로 상기 배터리셀 중의 제1 탭을 상기 로우 하우징의 이너 저벽에 지지하여, 상기 제1 탭과 상기 로우 하우징의 이너 저벽을 접합하는 단계;
    상기 제1 탭을 상기 로우 하우징의 이너 저벽 상에 용접하는 단계;
    배터리셀 중 제2 탭과 전도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버팅부재를 제거하고, 전해액을 상기 전도체 상의 액체 주입구로부터 상기 수용 챔버 내에 주입하며, 상기 전해액 주입 완료 후, 밀폐부재로 상기 액체 주입구를 밀폐 커버하고, 상기 전도체와 밀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타입 배터리의 제조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탭을 상기 로우 하우징의 이너 저벽 상에 용접하는 단계 전에,
    전도체를 구비하는 어퍼 커버와 로우 하우징을 밀폐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타입 배터리의 제조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탭을 상기 로우 하우징의 이너 저벽 상에 용접하는 단계 후에,
    전도체를 구비하는 어퍼 커버와 로우 하우징을 밀폐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타입 배터리의 제조 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어퍼 커버와 전도체를 절연 및 밀폐된 일체로 연결하는 단계 전에,
    상기 어퍼 커버와 상기 전도체에 대해 패시베이션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타입 배터리의 제조 방법.
  25. 제21항에 있어서,
    전도체를 상기 어퍼 커버의 관통홀 상에 밀폐 커버하고, 상기 어퍼 커버와 상기 전도체를 절연 및 밀폐된 일체로 연결하는 단계는,
    전도체를 상기 어퍼 커버의 관통홀 상에 밀폐 커버하고, 가열 가압 방식으로, 상기 어퍼 커버와 상기 전도체를 절연 및 밀폐된 일체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타입 배터리의 제조 방법.
  26. 어퍼 커버와 전도체를 절연 및 밀폐된 일체로 연결하고, 상기 전도체는 상기 어퍼 커버의 관통홀 상에 밀폐 커버되는 단계;
    배터리셀 중의 제2 탭과 상기 전도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전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셀을 로우 하우징과 전도체를 구비하는 어퍼 커버가 둘러져서 형성된 수용 챔버 내에 배치하는 단계;
    전도체를 구비하는 어퍼 커버와 로우 하우징을 밀폐 연결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셀 중의 제1 탭과 상기 로우 하우징을 용접하는 단계;
    전해액을 상기 전도체 상의 액체 주입구로부터 상기 수용 챔버 내로 주입하고, 상기 전해액 주입 완료 후, 밀폐부재로 상기 액체 주입구를 밀폐 커버하고 상기 전도체와 밀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타입 배터리의 제조 방법.
KR1020227043999A 2020-06-03 2021-06-03 버튼 타입 배터리 및 그 제조 방법, 전자기기 KR202300216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496417.7 2020-06-03
CN202010496417.7A CN111613739B (zh) 2020-06-03 2020-06-03 扣式电池及其制造方法、电子设备
CN202110394741.2A CN112993452A (zh) 2021-04-13 2021-04-13 扣式电池及电子设备
CN202110394741.2 2021-04-13
PCT/CN2021/098182 WO2021244618A1 (zh) 2020-06-03 2021-06-03 扣式电池及其制造方法、电子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1666A true KR20230021666A (ko) 2023-02-14

Family

ID=78830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3999A KR20230021666A (ko) 2020-06-03 2021-06-03 버튼 타입 배터리 및 그 제조 방법, 전자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106855A1 (ko)
EP (1) EP4152489A4 (ko)
JP (1) JP2023529378A (ko)
KR (1) KR20230021666A (ko)
WO (1) WO20212446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62806B2 (en) * 2020-06-03 2024-01-02 Zhuhai Cosmx Battery Co., Ltd. Button cell and electronic device
CN111682129A (zh) * 2020-06-05 2020-09-18 重庆市紫建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金属壳扣式锂离子电池
JP1715351S (ja) * 2021-08-27 2022-05-18 ボタン電池
CN114204108A (zh) * 2021-12-13 2022-03-18 珠海冠宇电池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
DE102022101673A1 (de) * 2022-01-25 2023-07-2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Batteriezellgehäuse für eine Batteriezelle eines elektrischen Energiespeichers sowie Batteriezelle
CN115415766B (zh) * 2022-09-27 2023-06-20 东莞士格电子集团有限公司 纽扣电池的正极壳和负极壳的一体式组装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41802B1 (en) * 2004-03-25 2008-03-11 Quallion Llc Feedthrough assembly and method
JP2011216479A (ja) * 2010-03-18 2011-10-27 Panasonic Corp コイン形電池およびコイン形電池用ホルダとコイン形電池収納体
CN106159350B (zh) * 2015-04-27 2019-04-26 深圳金山电池有限公司 一种纽扣型锂离子二次电池及其制备方法
JP6288065B2 (ja) * 2015-12-24 2018-03-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二次電池の製造方法
CN106654077A (zh) * 2017-01-23 2017-05-10 珠海微矩实业有限公司 纽扣电池
CN107768586A (zh) * 2017-09-28 2018-03-06 珠海微矩实业有限公司 纽扣电池及其装置
CN108023037A (zh) * 2017-12-15 2018-05-11 珠海微矩实业有限公司 纽扣电池
CN109192889B (zh) * 2018-08-22 2024-01-26 珠海微矩实业有限公司 一种微型电池
CN210224214U (zh) * 2019-08-24 2020-03-31 重庆市紫建电子有限公司 一种带有绝缘针或金属针电芯的卷绕型纽扣电池
CN110459705A (zh) * 2019-09-05 2019-11-15 重庆市紫建电子有限公司 一种提升径向空间利用率的纽扣电池
CN111613739B (zh) * 2020-06-03 2024-05-24 珠海冠宇电池股份有限公司 扣式电池及其制造方法、电子设备
CN112531242A (zh) * 2020-12-04 2021-03-19 珠海冠宇电池股份有限公司 扣式电池及电子设备
CN111900275A (zh) * 2020-08-04 2020-11-06 珠海冠宇电池股份有限公司 扣式电池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52489A4 (en) 2024-02-28
EP4152489A1 (en) 2023-03-22
JP2023529378A (ja) 2023-07-10
US20230106855A1 (en) 2023-04-06
WO2021244618A1 (zh) 2021-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613739B (zh) 扣式电池及其制造方法、电子设备
KR20230021666A (ko) 버튼 타입 배터리 및 그 제조 방법, 전자기기
CN212434722U (zh) 扣式电池及电子设备
CN212434725U (zh) 扣式电池及电子设备
US20110104562A1 (en) Secondary battery
EP3920298B1 (en) Button cell and electronic device
CN114597610A (zh) 电池
CN111354912B (zh) 纽扣电池极壳与电极极耳电连接方法及电连接结构和产品
WO2021244272A1 (zh) 扣式电池及电子设备
CN109216596A (zh) 一种电池
WO2021185074A1 (zh) 电池外壳、电池和电子设备
CN114665233A (zh) 电池
JP2024520219A (ja) 電池及び電子製品
CN208674180U (zh) 一种电池
CN114614209A (zh) 电池
CN114614214A (zh) 电池
CN113506955A (zh) 电池外壳和电池
CN112968235A (zh) 电池盖帽及电池
CN217507616U (zh) 电池
KR102246728B1 (ko) 절연층을 갖는 이차 전지
CN216563438U (zh) 电池
KR20080057629A (ko) 전극조립체와 그를 이용한 원통형 이차전지
CN113013524A (zh) 电池外壳及电池
CN218385655U (zh) 电池
KR20030053601A (ko) 이차전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