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1373A - 온열복강항암치료를 위한 약물 분사 장치 - Google Patents

온열복강항암치료를 위한 약물 분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1373A
KR20230021373A KR1020210103172A KR20210103172A KR20230021373A KR 20230021373 A KR20230021373 A KR 20230021373A KR 1020210103172 A KR1020210103172 A KR 1020210103172A KR 20210103172 A KR20210103172 A KR 20210103172A KR 20230021373 A KR20230021373 A KR 20230021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tube
drug injection
holes
abdominal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3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8234B1 (ko
Inventor
김희승
유승범
박지원
이은지
박수진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to KR1020210103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8234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10317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68234B1/ko
Priority to PCT/KR2022/011668 priority patent/WO2023014172A1/ko
Publication of KR20230021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1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8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8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06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applying mechanical pressure to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74Insufflating needles, e.g. Veress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12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internal body cav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1/00Medicinal preparations obtained by treating materials with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Therapies using thes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1/00Medicinal preparations obtained by treating materials with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Therapies using these preparations
    • A61K41/0052Thermotherapy; Hyperthermia; Magnetic induction; Induction heating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3/00Insufflators for therapeutic or disinfectant purposes, i.e. devices for blowing a gas, powder or vapour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1/00Devices for introducing or retaining media, e.g. remedies, in cavitie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59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n open fluid circu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17Peritoneal cav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21Abdominal cav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열복강항암치료를 위한 약물 분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온열복강항암치료를 위한 약물 분사 장치{Drug injection device for Hyperthermic IntraPeritoneal Chemoperfusion}
본 발명은 온열복강항암치료를 위한 약물 분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강 내 악성종양(암)을 제거하고 나서, 다른 부위로 종양이 전이되는 것을 방지하기위해, 온열복강항암치료(Hyperthermic Intraperitoneal Chemotherapy,HIPEC)가 사용되고 있다.
온열복강항암치료에서는 환자의 복강 내에 튜브를 삽입하고, 튜브에서 항암제를 분사하는 방식인데, 이와 같은 항암치료에 있어 환자의 복강에 골고루 항암제를 분사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만, 종래에는 온열복강항암치료를 위해 복강에 삽입되는 튜브를 Y자관으로 형성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약물을 복강의 상측에서 분사하여 흘러 들어가는 방식이었다. 이는 항암제를 복강 내에 골고루 분사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0089183호는 복강내 악성종양(암) 제거수술후 복막전이를 방지하기 위한 온열관류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입·배출튜브(15, 17)를 통해 각각 연결된 열교환장치(12)를 포함하여 항암제를 복강 내에 분사시키는 기술이나, 유입 배출튜브(15, 17)를 Y자관으로 구성하여 약물을 효과적으로 분사하기 위한 인식은 전혀 없는 바, 약물이 골고루 분사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문헌 제 10-2021-0008990호는 이류체 노즐을 포함하는 복강 내 가스 제공 시스템으로, 고압으로 주입되는 항암제를 보다 높은 수준으로 미립화하여 복강 내에 골고루 분사시키는 기술이나, 약물 전달 튜브의 형상을 조절하여 약물을 효과적으로 분사하기 위한 인식은 전혀 없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0089183호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문헌 제 10-2021-000899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온열항암치료법을 위해, 복강 내 주입되는 튜브의 형상과, 튜브에 형성되는 분사홀의 크기 및 위치 등을 조절하여, 환자의 복강에 효과적으로 항암제를 분사하기 위함이다.
또한, 튜브의 외측으로 소독포를 포함하여, 튜브 내의 항암제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튜브를 고정할 수 있는 락킹부재를 포함하여, 튜브를 안전하게 고정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환자의 복강 내에 위치되어 약물을 분사하는 장치로서, 약물 저장통(S)과 연통되는 약물 주입관(100); 상기 약물 주입관(100)을 통해 주입된 약물을 분사하는 약물 분사 튜브(200); 및 상기 복강 내에 잔류하는 약물을 흡입하여 상기 복강의 외측으로 배출하고, 상기 약물 저장통(S)과 연통되는 약물 배출관(300);을 포함하고, 상기 약물 분사 튜브(200)는,상기 약물 주입관(100)과 연결되어 약물을 주입받고,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 튜브(210); 및 상기 중심 튜브(210)와 연결되며 상기 중심 튜브(210)를 기준으로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각각이 복수개의 제1 홀(221)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아치 튜브(220); 를 포함하는 약물 분사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아치 튜브(220)는 하측을 향해 굴곡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약물 분사 튜브(200)는, 상기 중심 튜브(210)와 연결되고, 상기 종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중심 튜브(210)로부터 멀어지면서 연장되다가 상기 중심 튜브(210)에 가까워지면서 연장되도록 굴곡져 형성되며, 복수개의 제2 홀(231)을 포함하는 횡격막 튜브(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1 홀(221)은, 상기 아치 튜브(220)를 따라 나선형을 이루며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1 홀(221)의 직경은 상기 중심 튜브(210)로부터 멀리 떨어질수록 작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1 홀(221)은, 상기 아치 튜브(220)를 따라 나선형을 이루며 위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1 홀(221)의 직경은 상기 중심 튜브(210)로부터 멀리 떨어질수록 작고, 상기 복수개의 제2 홀(231)은, 상기 횡격막 튜브(230)를 따라 나선형을 이루며 위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2 홀(231)의 직경은 상기 중심 튜브(210)로부터 멀리 떨어질수록 작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아치 튜브(220)는 서로 종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약물 주입관(100)의 말단에 결합되며 고정부(510)를 포함하는 락킹 부재(500);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락킹 부재(500)는 상기 약물 주입관(100)과 상기 중심 튜브(21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약물 주입관(100)과 상기 중심 튜브(210)를 연통되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중공 홀(410)이 형성되며, 상기 약물 주입관(100) 및 상기 약물 배출관(300)의 일부를 복강의 외측으로부터 밀폐하는 소독포(4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심 튜브(210)는 상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며 상기 락킹 부재(500)와 결합되는 결합부(21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공 홀(410)에 상기 결합부(211)가 통과되어 상기 락킹 부재(500)와 결합되고, 상기 소독포(400)의 상측으로 상기 락킹 부재(500)가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다음과 같은 효과가 달성된다.
본 발명은 온열항암치료를 위해, 복강 내 주입되는 튜브의 형상을 인체의 구조와 유사하도록 형성하고 튜브에 기설정된 방식으로 다수의 홀을 형성하여 항암제를 분사할 수 있어, 환자의 복강 내부 전반에 항암제를 골고루 분사할 수 있다.
또한, 튜브에 형성되는 분사홀의 위치를 나선형으로 위치시키되, 유체역학적으로 분사홀의 크기와 위치를 조절하여 환자의 복강 내부 전반에 항암제를 더욱 더 골고루 분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양수술 후 항암제 반응률이 더욱 증가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튜브의 외측으로 소독포를 포함하여, 항암제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달성된다.
또한, 튜브를 고정할 수 있는 락킹부재를 포함하여, 튜브를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약물 분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약물 분사 튜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약물 분사 장치가 복강에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약물 분사 장치에서 분사되는 항암제의 유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락킹 부재와 소독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물 분사 장치는 약물 주입관(100), 약물 분사 튜브(200) 및 약물 배출관(30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약물 분사 장치를 설명한다.
약물 주입관(100)은 신체의 외측에 위치한 약물 공급통(S)와 연결되어 신체의 내측에 위치한 약물 분사 튜브(200)에 약물을 주입한다.
약물 공급통(S)은 내부에 펌프(P)가 설치되어, 약물 주입관(100)으로의 약물 주입을 위한 펌핑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펌프(P)는 약물 주입관(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약물 주입관(100)으로 유동되는 약물을 펌핑할 수 있으나, 약물 공급통(S)에서 약물 주입관(100)으로 유동되는 약물을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는 수단이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약물 공급통(S)은 후술하는 약물 배출관(300)과 연통되어, 복강 내에 약물을 분사한 후의 잔여된 약물을 다시 수거할 수도 있다.
약물 공급통(S)은 약물 주입관(100)과 연통되는 공간과 약물 배출관(300)과 연통되는 공간이 분리되도록 형성되어, 환자에게 주입할 약물과, 환자로부터 수거된 약물을 따로 분리할 수 있다.
이 때, 약물 배출관(300)과 연통되는 약물 공급통(S)의 부분은 이후, 별도의 처리 또는 필터 등을 통해 걸러져 차후 약물 주입관(100)을 통한 약물 재주입에 재사용 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환자에게 주입될 약물의 위생과 효능을 유지하면서도 소량의 약물로도 약물 주입 대상의 치료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게 된다.
약물 주입관(100)은 후술하는 중심 튜브(210)의 일측과 연결되어, 중심 튜브(210)로 약물을 주입한다.
이 때, 약물 주입관(100)은 후술하는 중심 튜브(210)의 결합부(211)와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약물 주입관(100)은 도시된 위치와 형상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약물 분사 튜브(200)는 약물 주입관(100)으로부터 약물을 전달받아, 환자의 복강 내측으로 약물을 분사한다.
약물 분사 튜브(200)는 중심 튜브(210)와 아치 튜브(220)를 포함한다.
중심 튜브(210)는 약물 주입관(100)과 연결되어 약물을 주입받고, 누워있는환자를 기준으로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중심 튜브(210)는 후술하는 아치 튜브(220)로 약물을 전달할 수 있다.
중심 튜브(210)는 결합부(211)를 포함하여, 약물 주입관(100)과 연결될 수 있고, 약물 주입관(100)과 연결되는 부위에는 후술하는 락킹 부재(500)가 위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결합부(211)는 중심 튜브(210)로부터 기설정된 길이만큼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약물 주입관(100)과 연결될 수 있는 구조라면 특정한 길이나 형상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아치 튜브(220)는 중심 튜브(210)와 연결되며, 중심 튜브(210)를 기준으로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아치 튜브(220)는 중심 튜브(210)로부터 연장되어 하측을 향해 굴곡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치 튜브(220)는 아치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환자의 갈비뼈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어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되어 복강 내부 장기에 더 밀접하게 위치되는 바, 종래 Y-자관 형상의 약물 주입관(100)이 신체 내부로 삽입되어 약물을 주입하는 기술 대비, 복강 내부 장기에 약물을 골고루 분사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게 된다.
이 때, 아치 튜브(220)가 중심 튜브(210)와 연결되는 방식은, 아치 튜브(220)는 중심 튜브(210)의 측면으로부터 각각 좌우로 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아치 튜브(220)는 중심 튜브(210)의 하측으로 연결되고 중심 튜브(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때, 중심 튜브(210)의 길이는 환자의 복강의 평균적인 길이에 맞추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아치 튜브(220)의 곡률은 일정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도시된 아치 튜브(220)의 곡률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아치 튜브(220)는 중심 튜브(210)와 연결되어, 종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로 위치될 수 있다.
이 때, 아치 튜브(220)가 이격되는 기설정된 간격은 도시된 바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아치 튜브(220)의 개수는 도시된 바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아치 튜브(220)는 중심 튜브(210)로부터 약물을 공급받는다.
아치 튜브(220)는 공급된 약물을 분사하도록 복수개의 제1 홀(221)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홀(221)은, 아치 튜브(220)를 따라 아치 튜브(220)의 나선형으로 위치된다. 즉, 복수개의 제1 홀(221)의 각 중심을 연결하면 나선형으로 이격되어 위치됨을 의미한다.
복수개의 제1 홀(221)이 나선형으로 위치되는 바, 약물은 아치 튜브(220)를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복강 내 장기에 골고루 약물을 분사할 수 있다.
이 때, 복수개의 제1 홀(221)이 나선형으로 회전하는 방향은 도시된 바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복수개의 제1 홀(221)의 직경은 중심 튜브(210)로부터 멀리 떨어질수록 작도록 형성된다. 즉, 각 제1 홀(221)의 직경은 아치 튜브(220)의 높이 방향으로 상측에 있을수록 크도록 형성된다.
유체역학적으로 유체는 유체 주입을 위한 힘을 제공하는 펌프(P)로부터 멀어질수록 유속이 감소하기에, 제1 홀(221)의 직경을 중심 튜브(210)로부터 멀리 떨어질수록 작도록 형성하여 중심 튜브(210)와 가까운 제1 홀(221)에서의 유속을 감소시키고, 중심 튜브(210)로부터 멀리 떨어진 제1 홀(221)에서의 유속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약물 주입관(100)으로부터 이격된 정도와 상관 없이, 분사되는 약물의 양을 일정하게 분사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아치 튜브(220)에 형성되는 제1 홀(221)은, 중심 튜브(210)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따라 제1 홀(221)의 직경이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가령, 중심 튜브(210)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큰 아치 튜브(220)는 중심 튜브(210)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작은 아치 튜브(220)에 비해, 각각의 제1 홀(221)이 같은 높이에 위치하더라도 제1 홀(221)의 직경이 더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홀(221)과 후술하는 제2 홀(231)에서 약물이 분사되는 방향은 도시된 바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약물 분사 튜브(200)는 횡격막 튜브(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횡격막 튜브(230)는 중심 튜브(210)와 연결되고, 아치 튜브(220)보다 두상측인 상방으로 위치할 수 있다.
횡격막 튜브(230)는 종방향을 기준으로 중심 튜브(210)로부터 멀어지면서 연장되다가 다시 중심 튜브(210)에 가까워지도록 연장되도록 굴곡져 형성된다.
이에 따라, 횡격막 튜브(230)는 환자의 횡격막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횡격막 주변의 복강에까지 약물을 골고루 분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횡격막 튜브(230)는 중심 튜브(210)로부터 약물을 공급받는다.
횡격막 튜브(230)는 약물을 분사하도록 복수개의 제2 홀(231)이 형성될 수 있다.
횡격막 튜브(230)에 형성되는 제2 홀(231)은 전술한 제1 홀(221)과 같이 복강 내 장기에 골고루 약물을 분사하도록 나선형으로 위치된다.
또한, 횡격막 튜브(230)에 형성되는 제2 홀(231)은 전술한 제1 홀(221)과 같이 분사되는 중심 튜브(210)와의 이격된 거리와 상관없이, 분사되는 약물의 양을 일정하게 분사하도록 제2 홀(231)의 직경은 중심 튜브(210)로부터 멀리 떨어질수록 작도록 형성된다.
횡격막 튜브(230)에 형성되는 제2 홀(231)은 전술한 제1 홀(221)의 특징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약물 배출관(300)은 약물 분사 튜브(200)와는 직접 연결되지 않으면서, 약물 분사 튜브(200)로부터 분사된 후 복강에 잔여된 약물을 흡입하여 복강의 외측으로 배출한다. 약물 배출관(3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약물 저장통(S)과 연통된다.
약물 배출관(300)의 일단은 복강에 삽입되어, 복강에 분사된 후, 복강 내 장기 등에 의해 흡수된 후 잔여된 약물을 약물 저장통(S) 등 복강의 외측으로 배출할 수 있으나, 그 위치는 도시된 바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약물 배출관(300)은 복강의 좌우 양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복강 내 잔여된 약물을 복강의 외측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물 분사 장치는 소독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약물 분사 튜브(200)로 약물을 분사한 후, 약물 배출관(300)을 통해 약물 저장통(S)으로 약물을 회수하는 과정 및 환자와 약물 분사 튜브(200)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약물이 외부 공기 중으로 노출될 수 있다.
약물은 항암제를 포함하기에, 본 발명에서 소독포(400)를 더 구비하여 공기중으로 약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의료진의 안전성을 담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소독포(400)는 약물 주입관(100)과 약물 배출관(300)의 일부를 복강의 외측에서 밀폐하도록 위치되는 바, 약물이 외부 공기 중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소독포(400)는 약물 주입관(100)과 약물 배출관(300)의 일부를 복강의 외측에서 밀폐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소독포(400)는 중공 홀(4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중공 홀(410)으로 결합부(211)가 통과될 수 있고, 결합부(211)와 약물 주입관(100)이 락킹 부재(5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소독포(400)를 이용하여, 약물 주입관(100), 약물 분사 튜브(200), 약물 배출관(300)을 감싸 복강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소독포(400)가 약물 주입관(100), 약물 분사 튜브(200), 약물 배출관(300)을 감싸면서 분리할 수 있는 바, 분리하기도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잔여 약물이 외부 공기 중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 때, 소독포(400)는 접히거나 구겨질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바, 소독포(400)의 형상은 도시된 바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물 분사 장치는 락킹 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락킹 부재(500)는 약물 주입관(100)과 중심 튜브(210)의 결합 부분에 위치되어 약물 분사 튜브(220)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락킹 부재(500)는 중공 홀(410)의 상측으로 소독포(400)를 밀폐하는 효과도 있다. 이에 따라, 약물이 외부 공기 중으로 노출되는 것을 2중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락킹 부재(500)는 약물 주입관(100)의 말단에 결합된 것을 도시한다.
락킹 부재(500)는 약물 주입관(100)의 말단에 결합되어, 약물 주입관(100)과 중심 튜브(210)의 결합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락킹 부재(500)는 약물 주입관(100)의 말단에 결합되어, 약물 주입관(100)이 약물 분사 튜브(220)와 고정 및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바, 락킹 부재(500)의 내측은 약물 주입관(100)이 통과할 수 있도록 중공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락킹 부재(500)는 고정부(510)를 포함하여, 약물 주입관(100)과 중심 튜브(210)가 완전히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약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다.
고정부(510)는 락킹 부재(500)의 외측에 위치하여 락킹 부재(500)를 조일 수 있도록 형성된 부분이나, 특정한 구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락킹 부재(500)가 약물 주입관(100)과 중심 튜브(21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면 족하다.
또한, 락킹 부재(500)는 도시된 위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약물이 누출될 수 있는 부분에 더 위치될 수 있다.
이 때, 락킹 부재(500)는 약물 분사 튜브(200)를 고정하는데 사용되면 족하고, 고정방식 및 그 구조는 특정한 방식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약물 주입관
200: 약물 분사 튜브
210: 중심 튜브
211: 결합부
220: 아치 튜브
221: 제1 홀
230: 횡격막 튜브
231: 제2 홀
300: 약물 배출관
400: 소독포
410: 중공 홀
500: 락킹 부재
510: 고정부
S: 약물 저장통
P: 펌프

Claims (8)

  1. 환자의 복강 내에 위치되어 약물을 분사하는 장치로서,
    약물 저장통(S)과 연통되는 약물 주입관(100);
    상기 약물 주입관(100)을 통해 주입된 약물을 분사하는 약물 분사 튜브(200); 및
    상기 복강 내에 잔류하는 약물을 흡입하여 상기 복강의 외측으로 배출하고, 상기 약물 저장통(S)과 연통되는 약물 배출관(300);을 포함하고,
    상기 약물 분사 튜브(200)는,
    상기 약물 주입관(100)과 연결되어 약물을 주입받고,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 튜브(210); 및
    상기 중심 튜브(210)와 연결되며 상기 중심 튜브(210)를 기준으로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각각이 복수개의 제1 홀(221)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아치 튜브(220); 를 포함하는,
    약물 분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 튜브(220)는 하측을 향해 굴곡지도록 형성되는,
    약물 분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분사 튜브(200)는,
    상기 중심 튜브(210)와 연결되고, 상기 종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중심 튜브(210)로부터 멀어지면서 연장되다가 상기 중심 튜브(210)에 가까워지면서 연장되도록 굴곡져 형성되며, 복수개의 제2 홀(231)을 포함하는 횡격막 튜브(230);를 더 포함하는,
    약물 분사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1 홀(221)은, 상기 아치 튜브(220)를 따라 나선형을 이루며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1 홀(221)의 직경은 상기 중심 튜브(210)로부터 멀리 떨어질수록 작은,
    약물 분사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1 홀(221)은, 상기 아치 튜브(220)를 따라 나선형을 이루며 위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1 홀(221)의 직경은 상기 중심 튜브(210)로부터 멀리 떨어질수록 작고,
    상기 복수개의 제2 홀(231)은, 상기 횡격막 튜브(230)를 따라 나선형을 이루며 위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2 홀(231)의 직경은 상기 중심 튜브(210)로부터 멀리 떨어질수록 작은,
    약물 분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아치 튜브(220)는 서로 종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약물 분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주입관(100)의 말단에 결합되며 고정부(510)를 포함하는 락킹 부재(500);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락킹 부재(500)는 상기 약물 주입관(100)과 상기 중심 튜브(21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약물 주입관(100)과 상기 중심 튜브(210)가 서로 연통되도록 고정하는,
    약물 분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중공 홀(410)이 형성되며, 상기 약물 주입관(100) 및 상기 약물 배출관(300)의 일부를 복강의 외측으로부터 밀폐하는 소독포(4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심 튜브(210)는 상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며 상기 락킹 부재(500)와 결합되는 결합부(21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공 홀(410)에 상기 결합부(211)가 통과되어 상기 락킹 부재(500)와 결합되고, 상기 소독포(400)의 상측으로 상기 락킹 부재(500)가 위치되는,
    약물 분사 장치.
KR1020210103172A 2021-08-05 2021-08-05 온열복강항암치료를 위한 약물 분사 장치 KR102668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3172A KR102668234B1 (ko) 2021-08-05 온열복강항암치료를 위한 약물 분사 장치
PCT/KR2022/011668 WO2023014172A1 (ko) 2021-08-05 2022-08-05 온열복강항암치료를 위한 약물 분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3172A KR102668234B1 (ko) 2021-08-05 온열복강항암치료를 위한 약물 분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1373A true KR20230021373A (ko) 2023-02-14
KR102668234B1 KR102668234B1 (ko) 2024-05-23

Family

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14172A1 (ko) 2023-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53217B (zh) 可植入流体路由器
JP6559159B2 (ja) 呼吸療法のための加熱噴霧器アダプタ
CN101980738A (zh) 圆周气雾设备
US9440020B2 (en) Nasal irrigator
KR20080014078A (ko) 조영제 전달시스템
JP2017520302A5 (ko)
JPH10500035A (ja) 蘇生器
CN107982620B (zh) 多腔留置导管
EP3490519B1 (en) Dispenser
US20200016360A1 (en) Low flow adaptor to deliver aerosols via nasal cannula without crashout
KR20230021373A (ko) 온열복강항암치료를 위한 약물 분사 장치
US20180117278A1 (en) Catheter Apparatus
KR102668234B1 (ko) 온열복강항암치료를 위한 약물 분사 장치
JP7347858B2 (ja) 流体を鼻腔に送る装置及び方法
JP6707667B2 (ja) エネルギー送達装置と共に使用するための再循環冷却システム
KR101164383B1 (ko) 치료제의 균일 운송을 위한 카테터
CN206081231U (zh) 一次性可塑形喉部喷射给药器
WO2013126650A1 (en) Nasal nebulizer for transporting and storing fluids
KR200482070Y1 (ko) 필터를 갖는 비강내 약물 분사 장치
JP2012029786A (ja) 薬液吐出具
US20200061350A1 (en) Balloon within balloon catheter system and methods of use
CN219783490U (zh) 一种经鼻脑靶向给药装置
CA258178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an agent to the abdomen
CN112638460B (zh) 在球囊导管系统内的球囊和使用方法
KR102472576B1 (ko) 이류체 노즐을 포함하는 복강 내 가스 제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