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1305A - 운전 가능 여부 알림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운전 가능 여부 알림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1305A
KR20230021305A KR1020210103018A KR20210103018A KR20230021305A KR 20230021305 A KR20230021305 A KR 20230021305A KR 1020210103018 A KR1020210103018 A KR 1020210103018A KR 20210103018 A KR20210103018 A KR 20210103018A KR 20230021305 A KR20230021305 A KR 20230021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driving
terminal
detected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3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유진
김연수
이준승
이창원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3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1305A/ko
Priority to EP22187429.0A priority patent/EP4129736A3/en
Priority to US17/875,536 priority patent/US11897495B2/en
Priority to CN202210927226.0A priority patent/CN115703352A/zh
Publication of KR20230021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13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60K28/0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18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 B60W2040/0827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due to sleepi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18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 B60W2040/0836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due to alcoh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72Driver physiolo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81Seat occupation; Driver or passenger prese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60W2420/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0Driver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에 마련된 음주 측정 장치를 통해 운전자의 음주 상태를 감지하는 음주감지부; 음주감지부에서 운전자가 음주 상태로 감지된 경우, 향후 음주 상태가 해소되어 운전이 가능한 시점인 운전 가능 시점을 연산하는 연산부; 및 운전 가능 시점 또는 운전 가능 여부를 차량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또는 운전자의 단말기를 통해 출력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운전 가능 여부 알림 시스템이 소개된다.

Description

운전 가능 여부 알림 시스템 및 방법{DRIVING AVAILABILITY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운전자가 음주시 운전 가능 시점에 운전 가능 여부를 알리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자동차가 생활의 필수품으로 정착되어 그 보급 대수가 급속히 증가 추세에 있다. 자동차를 안전하게 운행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운전자가 안전에 대한 의식을 갖추어야 하며, 이러한 안전의식 부재로 인한 사고의 한 예로 음주운전 사고를 들 수 있다.
음주운전은 자신의 신체 및 재물의 손괴뿐만 아니라 타인의 목숨까지도 위태롭게 하므로 특히 주의해야 하며, 이러한 음주운전이 심각한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면서 그에 대한 벌칙이 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음주운전을 막아보고자 하여 운전자에게 강력한 법적인 제재가 행하여지고, 또한 음주자가 운전을 행하여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조수석에 탑승한 사람도 처벌되는 법규가 발효되었으나, 이는 음주운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그리고 운전자를 위한 음주측정 테스터기가 최근 발매되고 있으나, 이러한 테스터기의 경우 운전자 본인이 측정결과를 무시하고 운전을 할 수 있고, 이 경우 테스터기는 단순한 테스터기로서의 역할만 수행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종래의 자동차는 운전자가 음주상태에서 자동차를 운행하려고 할 시 이를 거부하는 별도의 장치가 없어 음주상태의 운전을 미연에 방지할 수 없었으며, 경찰관에 의해 단속되는 음주운전은 단속시 여러 불편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비효율적인 문화의 양태로 지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종래에는 차량에 음주 측정 장치가 마련되는 발명이 제안되었으나. 운전자가 음주한 상태에서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휴식시 운전자의 상태가 운전 가능한 상태인지 알려주는 기술이 요구되어 왔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04-0009435 A1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운전자의 혈중 알콜 농도를 측정하고, 혈중 알콜 농도 및 운전자의 신체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또는 운전자의 단말기를 통해 운전 가능 시점 및 운전 가능 시점에 운전 가능을 알림에 따라 운전자가 음주 운전을 하는 것을 방지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운전 가능 여부 알림 시스템은 차량에 마련된 음주 측정 장치를 통해 운전자의 음주 상태를 감지하는 음주감지부; 음주감지부에서 운전자가 음주 상태로 감지된 경우, 향후 음주 상태가 해소되어 운전이 가능한 시점인 운전 가능 시점을 연산하는 연산부; 및 운전 가능 시점 또는 운전 가능 여부를 차량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또는 운전자의 단말기를 통해 출력하는 안내부;를 포함한다.
운전자의 신호 알림 의사가 입력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입력부에 신호 알림 의사가 입력될 경우 안내부는 차량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또는 운전자의 단말기를 통해 운전 가능 시점 또는 운전 가능 시점에 운전 가능 여부를 안내할 수 있다.
음주감지부는 음주 측정 장치에서 감지된 운전자의 혈중 알코올 농도를 통해 음주 상태를 감지하고, 연산부는 기입력된 운전자의 신체정보 및 음주감지부에서 감지된 운전자의 혈중 알코올 농도를 기반으로 운전자가 운전 가능 시점을 연산할 수 있다.
차량에 마련된 카메라 센서 또는 시트 센서를 통해 운전자의 탑승 여부를 감지하는 탑승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탑승감지부에서 운전자의 탑승 상태가 지속적으로 감지될 경우 안내부는 차량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를 통해 운전 가능 시간에 차량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통해 운전 가능 시점 또는 운전 가능 여부를 안내할 수 있다.
탑승감지부에서 운전자가 하차한 것을 감지될 경우 안내부는 운전 가능 시점에 운전자의 단말기를 통해 운전 가능 여부를 안내할 수 있다.
안내부는 단말기에 마련된 위치를 감지하는 GPS 기능을 통해 감지된 운전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운전 가능 시점을 설정할 수 있다.
안내부는 단말기를 통해 감지된 운전자의 위치가 기설정된 위치일 경우 운전 가능 여부를 기설정된 운전자의 기상 시간 이후에 안내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안내부는 단말기의 작동 여부를 기반으로 운전자의 수면 상태로 판단하고 운전 가능 여부를 단말기의 작동 여부를 통해 감지된 운전자의 기상 시간 이후에 안내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안내부는 단말기에 마련된 조도센서를 통해 빛의 밝기가 어두운 것으로 감지되면 운전자가 수면 상태로 판단하고, 운전 가능 여부를 단말기에서 감지된 운전자의 기상 시간 이후에 안내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안내부는 단말기에 마련된 심박센서를 통해 감지된 운전자의 심박수를 기반으로 운전자의 수면상태를 판단하고, 운전 가능 여부를 단말기에서 감지된 운전자의 기상 시간 이후에 안내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운전 가능 여부 알림 방법은 차량에 마련된 음주 측정 장치를 통해 운전자의 음주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음주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에서 운전자가 음주 상태로 감지된 경우, 향후 음주 상태가 해소되어 운전이 가능한 시점인 운전 가능 시점을 연산하는 단계; 및 운전 가능 시점 또는 운전 가능 여부를 차량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또는 운전자의 단말기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운전자의 신호 알림 의사가 입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입력되는 단계에서 신호 알림 의사가 입력될 경우 안내하는 단계는 차량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또는 운전자의 단말기를 통해 운전 가능 시점 또는 운전 가능 시점에 운전 가능 여부를 안내할 수 있다.
음주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에는 음주 측정 장치에서 감지된 운전자의 혈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가 포함되고, 연산하는 단계는 기입력된 운전자의 신체정보 및 음주감지부에서 감지된 운전자의 혈중 알코올 농도를 기반으로 운전자가 운전 가능 시점을 연산할 수 있다.
차량에 마련된 카메라 센서 또는 시트 센서를 통해 운전자의 탑승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탑승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에서 운전자의 탑승 상태가 지속적으로 감지될 경우 출력하는 단계는 차량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를 통해 운전 가능 시간에 차량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통해 운전 가능 시점 또는 운전 가능 여부를 안내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탑승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에서 운전자가 하차한 것을 감지될 경우 출력하는 단계는 운전 가능 시점에 운전자의 단말기를 통해 운전 가능 여부를 안내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연산하는 단계 이후 단말기를 통해 운전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출력하는 단계는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에서 감지된 운전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운전 가능 시점을 설정할 수 있다.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에는 감지된 운전자의 위치가 기설정된 위치일 경우를 판단하는 단계가 포함되고, 출력하는 단계에는 운전자의 위치가 기설정된 위치일 경우 운전 가능 여부를 기설정된 운전자의 기상 시간 이후에 안내하도록 설정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연산하는 단계 이후 단말기의 작동을 기반으로 운전자의 수면을 판단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고, 출력하는 단계에는 단말기의 작동을 기반으로 운전자의 수면을 판단하는 단계에서 운전자가 수면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운전 가능 여부를 단말기의 작동 여부를 통해 감지된 운전자의 기상 시간 이후에 안내하도록 설정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연산하는 단계 이후 단말기에 마련된 조도센서를 통해 빛의 밝기를 감지하여 운전자의 수면을 판단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며, 출력하는 단계에는 빛의 밝기를 감지하여 운전자의 수면을 판단하는 단계에서 빛의 밝기가 어두운 것으로 감지되면 운전자가 수면 상태로 판단하고, 운전 가능 여부를 빛의 밝기를 감지하여 운전자의 수면을 판단하는 단계에서 판단된 운전자의 기상 시간 이후에 안내하도록 설정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연산하는 단계 이후 단말기에 마련된 운전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심박센서를 통해 운전자의 수면을 판단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며, 출력하는 단계에는 심박센서를 통해 운전자의 수면을 판단하는 단계에서 판단된 운전자의 수면상태를 기반으로 운전 가능 여부를 운전자의 기상 시간 이후에 안내하도록 설정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운전 가능 여부 알림 시스템은 운전자의 음주 상태를 감지하고, 혈중 알콜 농도 및 운전자의 신상 정보를 기반으로 운전 가능 시점을 연산하여 운전자에게 안내함으로써 운전자가 음주운전을 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운전자의 위치를 단말기 또는 차량 내부의 감지 센서를 통해 파악하여 차량 내부에 위치될 경우 차량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통해 안내하고, 차량 외부에 위치될 경우 단말기를 통해 운전자에게 운전 가능 알림을 안내하여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운전자의 단말기를 통해 운전자의 수면 상태를 판단하고, 운전 가능 알림 시간을 설정하여 운전자의 수면을 방해하지 않음에 따라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 가능 여부 알림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 가능 여부 알림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차량의 다양한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알고리즘 또는 상기 알고리즘을 재생하는 소프트웨어 명령어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비휘발성 메모리(도시되지 않음) 및 해당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하에 설명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개별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서로 통합된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음주감지부(10), 연산부(20), 안내부(30) 및 탑승감지부(40)는 차량의 다양한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알고리즘 또는 상기 알고리즘을 재생하는 소프트웨어 명령어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비휘발성 메모리(도시되지 않음) 및 해당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하에 설명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개별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서로 통합된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 가능 여부 알림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운전 가능 여부 알림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차량에는 운전자가 음주운전을 하지 못하도록 차량의 작동 이전에 운전자의 음주 상태를 확인하는 음주 측정 장치(11)가 마련될 수 있다.
음주 측정 장치(11)는 종래의 음주 측정 장치(11)와 동일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운전자의 호흡을 통해 운전자의 혈중 알콜 농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된 정보는 차량의 시스템으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운전 가능 여부 알림 시스템은 차량에 마련된 음주 측정 장치(11)를 통해 운전자의 음주 상태를 감지하는 음주감지부(10); 음주감지부(10)에서 운전자가 음주 상태로 감지된 경우, 향후 음주 상태가 해소되어 운전이 가능한 시점인 운전 가능 시점을 연산하는 연산부(20); 및 운전 가능 시점 또는 운전 가능 여부를 차량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32) 또는 운전자의 단말기(31)를 통해 출력하는 안내부(30);를 포함한다.
차량의 운전석에 인접하게 마련된 음주 측정 장치(11)에서 운전석에 착좌한 현재 운전자의 혈중 알콜 농도를 측정하고, 음주감지부(10)는 음주 측정 장치(11)에서 측정된 현재 운전자의 혈중 알콜 농도를 기반으로 운전자의 음주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음주감지부(10)에서 운전자의 혈중 알콜 농도가 기설정된 기준치 보다 높게 감지되어 음주한 상태로 감지되면, 연산부(20)는 운전자의 혈중 알콜 농도를 기반으로 운전자가 향후 음주 상태가 해소되어 운전이 가능한 시점을 연산할 수 있다.
운전자의 신호 알림 의사가 입력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입력부에 신호 알림 의사가 입력될 경우 안내부(30)는 차량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32) 또는 운전자의 단말기(31)를 통해 운전 가능 시점 또는 운전 가능 시점에 운전 가능 여부를 안내할 수 있다.
음주감지부(10)에서 운전자의 음주 상태를 감지하고, 음주한 상태인 것으로 감지되면, 연산부(20)에서는 운자의 음주상태 해소되어 운전이 가능한 시점을 연산하고, 안내부(30)를 통해 운전자에게 운전 가능 시점을 알릴 것인지 또는 알리지 않을 것인지의 메세지를 차량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32)을 통해 안내하며, 운전자은 차량에 마련된 터치스크린 또는 입력조그를 통해 운전 가능 시점에 운전 가능 알* 여부를 입력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또는 입력조그는 입력부와 연결되어 운전자가 입력한 의사가 안내부(30)로 전달되어 안내부(30)가 운전 가능 시점에 운전 가능 알*을 운전자에게 안내하거나 또는 안내하지 않을 수 있다.
음주감지부(10)는 음주 측정 장치(11)에서 감지된 운전자의 혈중 알코올 농도를 통해 음주 상태를 감지하고, 연산부(20)는 기입력된 운전자의 신체정보 및 음주감지부(10)에서 감지된 운전자의 혈중 알코올 농도를 기반으로 운전자가 운전 가능 시점을 연산할 수 있다.
연산부(20)는 운전이 가능한 시점을 연산시 시스템에 기입력된 운전자의 나이, 성별, 키 또는 체중과 같은 신상 정보 및 음주감지부(10)에서 감지된 혈중 알콜 농도를 기반으로 운전자가 음주 상태가 해소되는 시점을 연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정확하게 운전자의 음주상태가 해소되고, 운전이 가능한 시점을 연산하여 운전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기등록된 운전자가 아닐 경우 차량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32)을 통해 새로운 운전전자의 신상정보가 입력되며, 연산부(20)는 새로 입력된 신상 정보와 감지된 혈중 알콜 농도를 기반으로 새로운 운전자의 운전 가능 시점을 연산할 수 있다.
차량에 마련된 카메라 센서(41) 또는 시트 센서(42)를 통해 운전자의 탑승 여부를 감지하는 탑승감지부(40);를 더 포함하고, 탑승감지부(40)에서 운전자의 탑승 상태가 지속적으로 감지될 경우 안내부(30)는 차량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32)를 통해 운전 가능 시간에 차량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32)을 통해 운전 가능 시점 또는 운전 가능 여부를 안내할 수 있다.
탑승감지부(40)는 차량 내부에 마련된 카메라 센서(41)와 연결되어 차량의 운전자의 탑승 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음주감지부(10)에서 운전자의 음주 상태가 감지된 이후 입력부에서 운전 가능 시점에 운전 가능 알림이 발생되도록 입력되고, 탑승감지부(40)에서 차량의 승객 탑승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지속적으로 감지될 경우 안내부(30)는 차량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32) 또는 스피커를 통해 운전 가능 시점에 운전 가능 알림이 발생되도록 운전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탑승감지부(40)는 카메라 센서(41) 뿐만 아니라 차량의 CO2감지센서 또는 시트에 장착된 압력센서와 같이 운전자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 센서와 연결되어 운전자의 탑승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 내부에서 휴식하고 있는 운전자에게 운전 가능 시점에 운전 가능 알*을 발생시켜 운전자가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음주 운전 상황에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탑승감지부(40)에서 운전자가 하차한 것으로 감지될 경우 안내부(30)는 운전 가능 시점에 운전자의 단말기(31)를 통해 운전 가능 여부를 안내할 수 있다.
음주감지부(10)에서 운전자의 음주 상태가 감지된 이후 입력부에서 운전 가능 시점에 운전 가능 알림이 발생되도록 입력되고, 탑승감지부(40)에서 차량의 운전자가 하차한 것으로 감지될 경우 안내부(30)는 기등록되어 무선통신으로 연결된 운전자의 단말기(31)를 통해 운전 가능 알림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 외부에서 휴식하고 있는 운전자에게 운전 가능 시점에 운전 가능 알*을 발생시켜 운전자가 신속하게 차량으로 탑승하여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음주 운전 상황에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안내부(30)는 단말기(31)에 마련된 위치를 감지하는 GPS(31A) 기능을 통해 감지된 운전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운전 가능 시점을 설정할 수 있다.
단말기(31)는 운전자의 스마트폰을 포함하며, 스마트폰의 기능 중 GPS(31A)기능을 통해 운전자의 위치가 파악되며, 운전자의 위치가 차량 내부에서 벗어나게 되면 운전자의 단말기(31)를 통해 음주 가능 알림을 발생시키고, 운전자가 차량 내부에 위치될 경우 차량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32)를 통해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다.
차량 내부에 승객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가 마련되지 않을 경우 운전자의 단말기(31)를 통해 운전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차종에 적용될 수 있다.
안내부(30)는 단말기(31)를 통해 감지된 운전자의 위치가 기설정된 위치일 경우 운전 가능 여부를 기설정된 운전자의 기상 시간 이후에 안내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안내부(30)는 단말기(31)의 GPS(31A)를 통해 인식된 운전자의 위치가 기설정된 위치에 지속적으로 위치될 경우 운전자가 수면을 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운전자가 입력부를 통해 운전 가능 시점에 운전 가능 알림을 설정하더라도, 기설정된 운전자의 기상시간 이후로 운전 가능 알림을 운전자의 단말기(31)를 통해 알릴 수 있다.
기설정된 위치는 숙박업소 또는 운전자의 자택이 될 수 있으며, 이외의 위치를 운전자가 등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운전 가능 알림으로 인해 운전자가 수면에 방해받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안내부(30)는 단말기(31)의 작동 여부를 기반으로 운전자의 수면 상태로 판단하고 운전 가능 여부를 단말기(31)의 작동 여부를 통해 감지된 운전자의 기상 시간 이후에 안내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안내부(30)는 운전자의 단말기(31)와 연결되며, 단말기(31)의 화면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작동되지 않을 경우 안내부(30)는 운전자가 수면에 든 것으로 판단하고, 단말기(31)의 작동 여부를 통해 운전자가 기상한 것으로 판단하며, 운전 가능 시점 이전에 운전자가 기상할 경우 운전 가능 시점에 운전자에게 운전 가능 알*을 발생시키며, 운전자가 운전 가능 시점에도 수면 상태일 경우 단말기(31)의 작동된 시점을 운전자의 기상 시점으로 판단하고 이후에 운전 가능 알림을 발생시켜 운전자의 수면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안내부(30)는 단말기(31)에 마련된 조도센서(31b)를 통해 빛의 밝기가 어두운 것으로 감지되면 운전자가 수면 상태로 판단하고, 운전 가능 여부를 단말기(31)에서 감지된 운전자의 기상 시간 이후에 안내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단말기(31)는 스마트폰이 될 수 있으며, 안내부(30)는 운전자의 단말기(31)와 연결되고, 단말기(31)에 마련된 조도센서(31b)를 통해 주면의 밝기를 판단하여 단말기(31)의 어두울 경우 안내부(30)는 운전자가 수면에 든 것으로 판단하고, 조도센서(31b)에서 단말기(31)의 주변이 밝아진 조도정보를 통해 운전자가 기상한 것으로 판단하며, 운전 가능 시점 이전에 운전자가 기상할 경우 운전 가능 시점에 운전자에게 운전 가능 알림을 발생시키며, 운전자가 운전 가능 시점에도 수면 상태일 경우 운전자의 기상 시점 이후에 운전 가능 알림을 발생시켜 운전자의 수면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안내부(30)는 단말기(31)에 마련된 심박센서(31c)를 통해 감지된 운전자의 심박수를 기반으로 운전자의 수면상태를 판단하고, 운전 가능 여부를 단말기(31)에서 감지된 운전자의 기상 시간 이후에 안내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단말기(31)는 웨어러블 장치가 될 수 있으며, 안내부(30)는 운전자의 단말기(31)와 연결되고, 단말기(31)에 마련된 심박센서(31c)를 통해 운전자의 심박상태를 감지하고 이를 기반으로 운전자의 수면상태를 판단하고, 심박센서(31c)에서 감지된 심박수를 통해 운전자가 기상한 것으로 판단하며, 운전 가능 시점 이전에 운전자가 기상할 경우 운전 가능 시점에 운전자에게 운전 가능 알림을 발생시키며, 운전자가 운전 가능 시점에도 수면 상태일 경우 운전자의 기상 이후에 운전 가능 알*을 발생시켜 운전자의 수면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 가능 여부 알림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운전 가능 여부 알림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운전 가능 여부 알림 방법은 차량에 마련된 음주 측정 장치(11)를 통해 운전자의 음주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S11); 음주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S11)에서 운전자가 음주 상태로 감지된 경우, 향후 음주 상태가 해소되어 운전이 가능한 시점인 운전 가능 시점을 연산하는 단계(S12); 및 운전 가능 시점 또는 운전 가능 여부를 차량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32) 또는 운전자의 단말기(31)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운전자의 신호 알림 의사가 입력되는 단계(S13);를 더 포함하고, 입력되는 단계(S13)에서 신호 알림 의사가 입력될 경우 안내하는 단계(S30)는 차량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32) 또는 운전자의 단말기(31)를 통해 운전 가능 시점 또는 운전 가능 시점에 운전 가능 여부를 안내할 수 있다.
음주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S11)에는 음주 측정 장치(11)에서 감지된 운전자의 혈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S10)가 포함되고, 연산하는 단계는 기입력된 운전자의 신체정보 및 음주감지부(10)에서 감지된 운전자의 혈중 알코올 농도를 기반으로 운전자가 운전 가능 시점을 연산할 수 있다.
차량에 마련된 카메라 센서(41) 또는 시트 센서(42)를 통해 운전자의 탑승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S14);를 더 포함하고, 탑승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S14)에서 운전자의 탑승 상태가 지속적으로 감지될 경우 출력하는 단계(S30)는 차량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32)를 통해 운전 가능 시간에 차량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32)을 통해 운전 가능 시점 또는 운전 가능 여부를 안내하는 단계(S31)가 포함될 수 있다.
탑승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S14)에서 운전자가 하차한 것을 감지될 경우 출력하는 단계(S30)는 운전 가능 시점에 운전자의 단말기(31)를 통해 운전 가능 여부를 안내하는 단계(S32)가 포함될 수 있다.
연산하는 단계(S12) 이후 단말기(31)를 통해 운전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S20);를 더 포함하고, 출력하는 단계(S30)는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S20)에서 감지된 운전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운전 가능 시점을 설정할 수 있다.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S20)에는 감지된 운전자의 위치가 기설정된 위치일 경우를 판단하는 단계(S21)가 포함되고, 출력하는 단계에는 운전자의 위치가 기설정된 위치일 경우 운전 가능 여부를 기설정된 운전자의 기상 시간 이후에 안내하도록 설정하는 단계(S33)가 포함될 수 있다.
연산하는 단계(S12) 이후 단말기(31)의 작동을 기반으로 운전자의 수면을 판단하는 단계(S22);가 더 포함되고, 출력하는 단계에는 단말기(31)의 작동을 기반으로 운전자의 수면을 판단하는 단계(S22)에서 운전자가 수면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운전 가능 여부를 단말기(31)의 작동 여부를 통해 감지된 운전자의 기상 시간 이후에 안내하도록 설정하는 단계(S34)가 포함될 수 있다.
연산하는 단계(S12) 이후 단말기(31)에 마련된 조도센서(31b)를 통해 빛의 밝기를 감지하여 운전자의 수면을 판단하는 단계(S23);가 더 포함되며, 출력하는 단계에는 빛의 밝기를 감지하여 운전자의 수면을 판단하는 단계에서 빛의 밝기가 어두운 것으로 감지되면 운전자가 수면 상태로 판단하고, 운전 가능 여부를 빛의 밝기를 감지하여 운전자의 수면을 판단하는 단계에서 판단된 운전자의 기상 시간 이후에 안내하도록 설정하는 단계(S34)가 포함될 수 있다.
연산하는 단계(S12) 이후 단말기(31)에 마련된 운전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심박센서(31c)를 통해 운전자의 수면을 판단하는 단계(S24);가 더 포함되며, 출력하는 단계에는 심박센서(31c)를 통해 운전자의 수면을 판단하는 단계에서 판단된 운전자의 수면상태를 기반으로 운전 가능 여부를 운전자의 기상 시간 이후에 안내하도록 설정하는 단계(S34)가 포함될 수 있다.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 음주감지부
11 : 음주 측정 장치
20 : 연산부
30 : 안내부
31 : 단말기
31a : GPS
31b : 조도센서
31c : 심박센서
32 :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40 : 탑승감지부
41 : 카메라 센서
42 : 시트 센서

Claims (20)

  1. 차량에 마련된 음주 측정 장치를 통해 운전자의 음주 상태를 감지하는 음주감지부;
    음주감지부에서 운전자가 음주 상태로 감지된 경우, 향후 음주 상태가 해소되어 운전이 가능한 시점인 운전 가능 시점을 연산하는 연산부; 및
    운전 가능 시점 또는 운전 가능 여부를 차량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또는 운전자의 단말기를 통해 출력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운전 가능 여부 알림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운전자의 신호 알림 의사가 입력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입력부에 신호 알림 의사가 입력될 경우 안내부는 차량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또는 운전자의 단말기를 통해 운전 가능 시점 또는 운전 가능 시점에 운전 가능 여부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가능 여부 알림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음주감지부는 음주 측정 장치에서 감지된 운전자의 혈중 알코올 농도를 통해 음주 상태를 감지하고,
    연산부는 기입력된 운전자의 신체정보 및 음주감지부에서 감지된 운전자의 혈중 알코올 농도를 기반으로 운전자가 운전 가능 시점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가능 여부 알림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차량에 마련된 카메라 센서 또는 시트 센서를 통해 운전자의 탑승 여부를 감지하는 탑승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탑승감지부에서 운전자의 탑승 상태가 지속적으로 감지될 경우 안내부는 차량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를 통해 운전 가능 시간에 차량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통해 운전 가능 시점 또는 운전 가능 여부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가능 여부 알림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탑승감지부에서 운전자가 하차한 것을 감지될 경우 안내부는 운전 가능 시점에 운전자의 단말기를 통해 운전 가능 여부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가능 여부 알림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안내부는 단말기에 마련된 위치를 감지하는 GPS 기능을 통해 감지된 운전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운전 가능 시점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가능 여부 알림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안내부는 단말기를 통해 감지된 운전자의 위치가 기설정된 위치일 경우 운전 가능 여부를 기설정된 운전자의 기상 시간 이후에 안내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가능 여부 알림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안내부는 단말기의 작동 여부를 기반으로 운전자의 수면 상태로 판단하고 운전 가능 여부를 단말기의 작동 여부를 통해 감지된 운전자의 기상 시간 이후에 안내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가능 여부 알림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안내부는 단말기에 마련된 조도센서를 통해 빛의 밝기가 어두운 것으로 감지되면 운전자가 수면 상태로 판단하고, 운전 가능 여부를 단말기에서 감지된 운전자의 기상 시간 이후에 안내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가능 여부 알림 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안내부는 단말기에 마련된 심박센서를 통해 감지된 운전자의 심박수를 기반으로 운전자의 수면상태를 판단하고, 운전 가능 여부를 단말기에서 감지된 운전자의 기상 시간 이후에 안내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가능 여부 알림 시스템.
  11. 차량에 마련된 음주 측정 장치를 통해 운전자의 음주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음주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에서 운전자가 음주 상태로 감지된 경우, 향후 음주 상태가 해소되어 운전이 가능한 시점인 운전 가능 시점을 연산하는 단계; 및
    운전 가능 시점 또는 운전 가능 여부를 차량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또는 운전자의 단말기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운전 가능 여부 알림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운전자의 신호 알림 의사가 입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입력되는 단계에서 신호 알림 의사가 입력될 경우 안내하는 단계는 차량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또는 운전자의 단말기를 통해 운전 가능 시점 또는 운전 가능 시점에 운전 가능 여부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가능 여부 알림 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음주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에는 음주 측정 장치에서 감지된 운전자의 혈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가 포함되고,
    연산하는 단계는 기입력된 운전자의 신체정보 및 음주감지부에서 감지된 운전자의 혈중 알코올 농도를 기반으로 운전자가 운전 가능 시점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가능 여부 알림 방법.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차량에 마련된 카메라 센서 또는 시트 센서를 통해 운전자의 탑승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탑승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에서 운전자의 탑승 상태가 지속적으로 감지될 경우 출력하는 단계는 차량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를 통해 운전 가능 시간에 차량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통해 운전 가능 시점 또는 운전 가능 여부를 안내하는 단계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가능 여부 알림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탑승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에서 운전자가 하차한 것을 감지될 경우 출력하는 단계는 운전 가능 시점에 운전자의 단말기를 통해 운전 가능 여부를 안내하는 단계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가능 여부 알림 방법.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연산하는 단계 이후 단말기를 통해 운전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출력하는 단계는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에서 감지된 운전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운전 가능 시점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가능 여부 알림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에는 감지된 운전자의 위치가 기설정된 위치일 경우를 판단하는 단계가 포함되고, 출력하는 단계에는 운전자의 위치가 기설정된 위치일 경우 운전 가능 여부를 기설정된 운전자의 기상 시간 이후에 안내하도록 설정하는 단계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가능 여부 알림 방법.
  18. 청구항 11에 있어서,
    연산하는 단계 이후 단말기의 작동을 기반으로 운전자의 수면을 판단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고,
    출력하는 단계에는 단말기의 작동을 기반으로 운전자의 수면을 판단하는 단계에서 운전자가 수면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운전 가능 여부를 단말기의 작동 여부를 통해 감지된 운전자의 기상 시간 이후에 안내하도록 설정하는 단계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가능 여부 알림 방법.
  19. 청구항 11에 있어서,
    연산하는 단계 이후 단말기에 마련된 조도센서를 통해 빛의 밝기를 감지하여 운전자의 수면을 판단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며,
    출력하는 단계에는 빛의 밝기를 감지하여 운전자의 수면을 판단하는 단계에서 빛의 밝기가 어두운 것으로 감지되면 운전자가 수면 상태로 판단하고, 운전 가능 여부를 빛의 밝기를 감지하여 운전자의 수면을 판단하는 단계에서 판단된 운전자의 기상 시간 이후에 안내하도록 설정하는 단계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가능 여부 알림 방법.
  20. 청구항 11에 있어서,
    연산하는 단계 이후 단말기에 마련된 운전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심박센서를 통해 운전자의 수면을 판단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며,
    출력하는 단계에는 심박센서를 통해 운전자의 수면을 판단하는 단계에서 판단된 운전자의 수면상태를 기반으로 운전 가능 여부를 운전자의 기상 시간 이후에 안내하도록 설정하는 단계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가능 여부 알림 방법.
KR1020210103018A 2021-08-05 2021-08-05 운전 가능 여부 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2130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3018A KR20230021305A (ko) 2021-08-05 2021-08-05 운전 가능 여부 알림 시스템 및 방법
EP22187429.0A EP4129736A3 (en) 2021-08-05 2022-07-28 Drunk driving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US17/875,536 US11897495B2 (en) 2021-08-05 2022-07-28 Drunk driving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CN202210927226.0A CN115703352A (zh) 2021-08-05 2022-08-03 酒驾预防系统及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3018A KR20230021305A (ko) 2021-08-05 2021-08-05 운전 가능 여부 알림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1305A true KR20230021305A (ko) 2023-02-14

Family

ID=85220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3018A KR20230021305A (ko) 2021-08-05 2021-08-05 운전 가능 여부 알림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130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435A (ko) 2002-07-23 2004-01-3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음주측정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435A (ko) 2002-07-23 2004-01-3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음주측정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05223B2 (en) Dialogue system
US20100010689A1 (en) Drunken driving prevention device, drunken driving prevention method, and drunken driving prevention program
CN105667312B (zh) 一种基于车辆的智能酒驾预防和控制系统
JP2007186124A (ja) 飲酒検出装置、飲酒運転防止システム、および運転者入れ替わり防止装置
TW201634320A (zh) 行車安全檢測方法、系統、行車電腦及智慧型穿戴裝置
JP2009213768A (ja) 運転者状態判定装置
US1065441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d reducing distracted driving
US20130194099A1 (en)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US11225252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iving of vehicle
JP2010122732A (ja) 安全運転支援システム
CN112277946A (zh) 车辆安全驾驶系统、车辆的控制方法和车辆
KR20220013831A (ko) 음주운전 방지장치 및 방법
US8267215B2 (en) Drinking level detecting system and drinking level detecting method
KR20040009435A (ko) 차량용 음주측정 장치 및 방법
KR20230021305A (ko) 운전 가능 여부 알림 시스템 및 방법
JP3963072B2 (ja) ドライバ体調モニタ
KR20130123014A (ko) 음주운전 방지장치
JP2021149617A (ja) レコメンド案内装置、レコメンド案内方法、および、レコメンド案内プログラム
KR20160133284A (ko) 차량용 졸음 운전 방지 시스템
JP4864243B2 (ja) 運転者の心理状態判定装置
KR20220072127A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JP6692610B2 (ja) 検出プログラム、検出方法および検出装置
EP41297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drunk driving of vehicle
JP2017078979A (ja) 車両用眠気防止装置および車両用眠気防止方法
KR101742698B1 (ko) 자동차 안에서의 생체 신호 측정 및 디스플레이 가능한 백미러, 및 이를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및 디스플레이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