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3831A - 음주운전 방지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음주운전 방지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3831A
KR20220013831A KR1020200093291A KR20200093291A KR20220013831A KR 20220013831 A KR20220013831 A KR 20220013831A KR 1020200093291 A KR1020200093291 A KR 1020200093291A KR 20200093291 A KR20200093291 A KR 20200093291A KR 20220013831 A KR20220013831 A KR 20220013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cohol
driver
vehicle
drunk driving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3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상경
김응환
김균하
안대윤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3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3831A/ko
Priority to US17/082,252 priority patent/US11458839B2/en
Priority to CN202011254135.2A priority patent/CN113978248A/zh
Publication of KR20220013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38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60K28/0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 B60K28/063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preventing starting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60K28/0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gaseous biological material, e.g. breath
    • G01N33/4972Determining alcohol cont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18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 B60W2040/0836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due to alcoh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01Details of the control system
    • B60W2050/0002Automatic control, details of type of controller or control system architecture
    • B60W2050/0004In digital systems, e.g. discrete-time systems involving sampling
    • B60W2050/0005Processor details or data handling, e.g. memory registers or chip archite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06Ignition swi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21Physiology, e.g. weight, heartbeat, health or special ne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4Drug level, e.g. alcoh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iophysics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주운전 방지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실내 공기 중 알코올을 검출하는 제1 측정기, 및 상기 제1 측정기와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운전자 탑승 전 상기 제1 측정기를 통해 상기 실내 공기 중 알코올 유무를 체크하는 1차 퀵 체크를 수행하고, 상기 운전자 탑승 후 상기 제1 측정기를 통해 상기 실내 공기 중 알코올 유무를 체크하는 2차 퀵 체크를 수행하고, 상기 1차 퀵 체크 및 상기 2차 퀵 체크의 수행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운전자의 음주 가능성을 결정한다.

Description

음주운전 방지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DRIVING UNDER INFLUENCE}
본 발명은 음주운전 방지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주운전으로 인한 교통 사고의 심각성이 대두되면서 음주운전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또한, 음주운전을 예방하기 위하여 차량에 음주운전 방지장치(Alcohol Ignition Interlock Device)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다. 음주운전 방지장치는 시동을 걸기 전에 알코올 센서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호기(날숨)에 포함되는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알코올 농도에 근거하여 차량의 시동을 제어하므로, 음주 운전자의 차량 주행을 제한할 수 있다.
그러나, 음주운전 방지장치는 음주를 하지 않은 비음주 운전자까지도 시동을 걸기 위해 반드시 알코올 농도 측정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또한, 음주운전 방지장치는 향수, 방향제 및/또는 손 세정제 등에 포함된 미세한 알코올 성분에 의해 운전자의 음주 측정이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실내 공기 중 알코올을 사전에 검출하여 운전자의 음주가 의심되는 경우에만 운전자에 대한 음주 측정을 실시하는 음주운전 방지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음주운전 방지장치는 차량의 실내 공기 중 알코올을 검출하는 제1 측정기, 및 상기 제1 측정기와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운전자 탑승 전 상기 제1 측정기를 통해 상기 실내 공기 중 알코올 유무를 체크하는 1차 퀵 체크를 수행하고, 상기 운전자 탑승 후 상기 제1 측정기를 통해 상기 실내 공기 중 알코올 유무를 체크하는 2차 퀵 체크를 수행하고, 상기 1차 퀵 체크 및 상기 2차 퀵 체크의 수행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운전자의 음주 가능성을 결정한다.
상기 제1 측정기는, 상기 실내 공기에서 알코올 성분을 감지하는 알코올 간이 센서, 및 상기 실내 공기에서 알코올 냄새를 감지하는 후각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1차 퀵 체크 및 상기 2차 퀵 체크에서 상기 알코올 성분 및 상기 알코올 냄새의 검출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운전자의 음주 가능성을 결정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운전자의 음주 가능성이 있는 경우, 기정해진 시간 동안 대기한 후 상기 2차 퀵 체크를 다시 수행한다.
상기 기정해진 시간은, 알코올이 휘발하여 소멸하는 시간으로 정의된다.
상기 음주운전 방지장치는 상기 운전자의 알코올 수치를 측정하는 제2 측정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운전자의 음주 가능성이 있는 경우, 상기 제2 측정기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호흡으로부터 혈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혈중 알코올 농도가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차량의 시동을 제한하고, 상기 혈중 알코올 농도가 임계치 미만이면 상기 차량의 시동을 허용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운전자의 음주 가능성이 없는 경우, 상기 차량의 시동을 허용한다.
상기 제1 측정기는, 상기 제2 측정기와 하나의 모듈로 구성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2차 퀵 체크를 수행하는 중임을 나타내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장치에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음주운전 방지방법은 운전자 탑승 전 차량의 실내 공기 중 알코올 유무를 체크하는 1차 퀵 체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운전자 탑승 후 상기 차량의 실내 공기 중 알코올 유무를 체크하는 2차 퀵 체크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퀵 체크 및 상기 2차 퀵 체크의 수행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운전자의 음주 가능성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1차 퀵 체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운전석 도어가 잠금 해제됨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내 장착되는 알코올 간이 센서 및 후각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실내 공기 중 알코올 성분 및 알코올 냄새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2차 퀵 체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운전석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전환됨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시동을 지시하는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내 장착되는 알코올 간이 센서 및 후각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실내 공기 중 알코올 성분 및 알코올 냄새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음주운전 방지방법은, 호흡 알코올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운전자의 호흡으로부터 혈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음주운전 방지방법은, 측정된 혈중 알코올 농도가 기정해진 임계치 이상이면 차량의 시동 불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음주운전 방지방법은, 상기 측정된 혈중 알코올 농도가 기정해진 임계치 미만이면 차량의 시동을 허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음주운전 방지방법은 상기 운전자의 음주 가능성이 없으면, 상기 차량의 시동을 허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음주운전 방지방법은 상기 운전자의 음주 가능성이 있으면, 기정해진 시간 동안 대기한 후 상기 2차 퀵 체크를 다시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기정해진 시간은, 알코올이 휘발하여 소멸하는 시간으로 정의된다.
상기 2차 퀵 체크를 수행하는 단계는, 실내 공기 중 알코올 유무를 체크하고 있음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장치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실내 공기 중 알코올을 사전에 검출하고 검출된 결과에 기반하여 운전자의 음주가 의심되는 경우에만 운전자에 대한 음주 측정을 실시하므로, 비음주 운전자가 음주 측정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주음주를 방지하기 위한 차량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주운전 방지장치의 블록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2차 퀵 체크 재수행 결정 시 참조하는 룩업테이블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주운전 방지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퀵 체크 재수행 여부에 따른 프로세서의 동작 타이밍도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주음주를 방지하기 위한 차량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 시스템은 도어 제어기(100), 시동 버튼(start button)(200), 음주운전 방지장치(300) 및 시동 제어기(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제어기(100), 음주운전 방지장치(300) 및 시동 제어기(400)는 각각의 전자제어장치(Electric Control Unit, ECU), 소프트웨어 및/또는 프로그램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어 제어기(100)는 최상위 제어기(예: VCU(Vehicle Control Unit) 등)의 지시에 따라 차량 도어(예: 운전석 도어, 동승자석 도어 및/또는 후석 도어 등)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상위 제어기는 사용자 단말(예: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키 등)로부터 도어 잠금 명령을 수신하면 도어 제어기(100)에 차량 도어의 상태를 잠금 상태로 전환을 지시할 수 있다. 도어 제어기(100)는 최상위 제어기의 지시에 따라 차량 도어를 잠금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도어 제어기(100)는 차량에 탑재되는 도어 센서들을 이용하여 각 차량 도어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어 센서는 차량 도어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도어 상태에 따라 도어 잠금(lock) 신호, 도어 잠금 해제(unlock) 신호, 도어 열림(open) 신호 또는 도어 닫힘(close) 신호를 도어 제어기(100) 및/또는 음주운전 방지장치(300)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도어 제어기(100)는 도어 센서들을 통해 확인된 차량 도어의 상태에 대한 정보(예: 도어 상태 정보)를 음주운전 방지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어 상태 정보는 도어 잠금 상태, 도어 잠금 해제, 도어 열린 상태 또는 도어 닫힘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시동 버튼(200)은 운전석 주변에 설치될 수 있다. 시동 버튼(200)은 사용자(예: 운전자)의 의해 조작되는 입력장치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시동(start) 신호 또는 정지(stop) 신호를 동력제어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시동 버튼(200)은 시동 신호 또는 정지 신호를 음주운전 방지장치(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음주운전 방지장치(300)는 차량에 운전자가 탑승하기 전 및 후에 차량의 실내 공기 중 알코올을 검출하여 운전자의 음주 가능성이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음주운전 방지장치(300)는 운전자의 음주 가능성이 있는 경우, 운전자에 대한 음주 측정 실시를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음주운전 방지장치(300)는 운전자의 음주가 의심되는 경우(운전자의 음주 여부가 불확실한 경우) 운전자의 음주 측정 실시를 판단할 수 있다. 음주운전 방지장치(300)는 운전자의 음주 가능성이 없으면, 운전자의 음주 측정 미실시를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음주운전 방지장치(300)는 운전자의 비음주가 확실한 경우 운전자에 대한 음주 측정을 실시하지 않음을 결정할 수 있다.
음주운전 방지장치(300)는 운전자의 음주 가능성이 있는 경우 운전자의 호흡(호기)에 포함된 알코올 수치를 측정할 수 있다. 음주운전 방지장치(300)는 측정된 알코올 수치를 기반으로 차량의 시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시동 제어기(400)는 음주운전 방지장치(300)의 시동 여부 결정에 따라 차량의 시동을 제한하거나 시동을 수행할 수 있다. 시동 제어기(400)는 시동 시 EMS(Engine Management System) 및/또는 MCU(Motor Control Unit) 등으로 시동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주운전 방지장치의 블록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2차 퀵 체크 재수행 결정 시 참조하는 룩업테이블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음주운전 방지장치(300)는 제1 측정기(310), 제2 측정기(320), 통신기(330), 메모리(340), 출력장치(350), 및 프로세서(3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정기(310)는 차량 내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 중에 존재하는 알코올을 검출할 수 있다. 제1 측정기(310)는 차량의 실내 공기 중 알코올 성분의 유무를 감지하는 알코올 간이 센서(311)를 포함할 수 있다. 알코올 간이 센서(311)는 운전석 내 알코올 성분 유무만을 검출하기 위한 것이나, 미량의 알코올 성분 유무를 검출할 수 있는 수준의 검출 성능을 필요로 한다. 알코올 간이 센서(311)는 제2 측정기(320)에 적용되는 음주 측정 센서에 대비하여 저성능 및 저가격의 센서로 구현이 가능하다.
제1 측정기(310)는 차량의 실내 공기 중에서 냄새 분자를 검출(감지)하는 후각 센서(312)를 포함할 수 있다. 후각 센서(312)는 향수 냄새, 방향제 냄새, 및/또는 알코올 냄새를 감지할 수 있다. 후각 센서(312)로는 금속산화물 반도체(MOS) 센서, 폴리머 센서, 광음향 분광 센서, 표면 플라즈몬 공명 센서, 및 마이크로 캔틸레버 센서 중 적어도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후각 센서(312)는 알코올 간이 센서(311)와 별개의 보드(board)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측정기(320)는 운전자의 호흡(호기)에 포함된 알코올 수치(예: 알코올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2 측정기(320)는 혈중 알코올 농도 0.01%의 분해능(resolution)으로 알코올을 검출할 수 있는 정밀한 성능을 가지는 음주 측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혈중 알코올 농도 0.01%의 분해능은 공기 1리터 내 알코올 농도 0.05mg의 분해능으로 환산할 수 있다. 음주 측정 센서로는 연료 전지 센서, 반도체 센서, 및/또는 분광광도계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2 측정기(320)는 제1 측정기(310)와 일체형(on-board)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통신기(330)는 도어 제어기(100) 및 시동 제어기(400)와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MOST(Media Oriented Systems Transport) 네트워크,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이더넷(ethernet) 및/또는 X-by-Wire(Flexray) 등의 통신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메모리(340)는 프로세서(360)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40)는 각종 설정 정보 및 기정해진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40)는 프로세서(360)의 동작에 따라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340)는 룩업테이블(lookup table)(예: 도 3에 도시된 표)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40)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k),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및 레지스터 등의 저장매체(non-transitory storage medium)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출력장치(350)는 프로세서(360)의 지시에 따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장치(35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LCD: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투명디스플레이, 헤드업 디스플레이(HUD: head-up display), 터치스크린 및 클러스터(cluster)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장치(350)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speaker)와 같은 음향 출력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출력장치(350)는 터치 센서와 결합된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어 입력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로는 터치 필름 또는 터치 패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DSP(Digital Signal Processor), PLD(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CPU(Central Processing unit),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음주운전 방지장치(3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운전자의 차량 탑승 전후로, 제1 측정기(310)를 이용하여 차량의 실내 공기에 포함된 알코올을 사전 검출하는 1차 퀵 체크(quick check) 및 2차 퀵 체크를 수행할 수 있다. 1차 퀵 체크 및 2차 퀵 체크는 알코올 간이 센서(311) 및 후각 센서(312)를 이용하여 차량의 실내 공기 중 알코올을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차량의 운전석 도어가 잠금 해제되면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하기 전에 1차 퀵 체크를 수행한다. 프로세서(360)는 도어 제어기(100)를 통해 운전석 도어가 잠금 상태에서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됨을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알코올 간이 센서(311)를 통해 차량의 실내 공기 중 알코올 성분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후각 센서(312)를 통해 차량의 실내 공기 중 알코올 냄새를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운전석 도어가 열렸다 닫히면 2차 퀵 체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360)는 운전석에 탑재되는 센서(예: 무게 센서 등)를 이용하여 운전자가 운전석에 착석했는지를 추가로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운전석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전환됨이 감지되면, 시동 버튼(200)의 입력이 있을 때까지 대기한다. 프로세서(360)는 시동 버튼(200)이 온(on)되면, 알코올 간이 센서(311) 및 후각 센서(312)를 통해 차량의 실내 공기 중 알코올 성분 및 알코올 냄새를 검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1차 퀵 체크 및 2차 퀵 체크가 진행되는 동안 퀵 체크가 진행 중임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출력장치(350)에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1차 퀵 체크 및 2차 퀵 체크를 수행한 결과를 기반으로 운전자의 음주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운전자의 미음주가 확실하면 음주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운전자의 미음주가 확실하지 않으면(운전자의 음주 여부가 불확실하면) 음주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음주 가능성이 없으면 차량의 시동을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차 퀵 체크 단계에서 알코올 성분과 알코올 냄새가 미검출 되었으나 2차 퀵 체크 단계에서 알코올 성분이 검출되고 알코올 냄새가 검출되지 않으면, 프로세서(360)는 도 3에 도시된 표를 참조하여 음주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하여 차량의 시동을 허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음주 가능성이 있으면, 제2 측정기(320)를 이용하여 운전자에 대한 정밀한 음주 측정 실시를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프로세서(360)는 운전자의 음주가 의심되는 상황이면 운전자에 대한 정밀 음주 측정 실시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60)는 음주 가능성이 있으면, 기정해진 시간(예: 5초) 동안 대기한 후 2차 퀵 체크를 재수행할 수 있다. 2차 퀵 체크를 재수행하는 횟수는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재수행된 2차 퀵 체크의 결과를 기반으로 운전자의 음주 가능성을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운전자에 대한 정밀 음주 측정 실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정밀 음주 측정 실시가 결정되면 제2 측정기(320)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혈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정밀 음주 측정 절차를 안내하는 정보를 출력장치(350)에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측정된 혈중 알코올 농도가 메모리(340)에 기저장된 임계치 이상이면 차량의 시동을 제한할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차량의 시동이 불가함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장치(350)에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운전자의 음주로 인해 차량 시동이 제한됨을 안내함과 동시에 대리기사 호출 또는 택시 호출 등과 같은 다른 이동 방법을 제안할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측정된 혈중 알코올 농도가 임계치 미만이면 차량의 시동을 허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차량의 시동 제한 여부에 대한 정보를 시동 제어기(4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음주를 하지 않은 운전자가 알코올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향수, 방향제 및/또는 손 세정제 등을 사용하는 경우 정밀 음주 측정을 회피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주운전 방지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로세서(360)는 운전석 도어의 잠금 해제를 감지할 수 있다(S100). 프로세서(360)는 도어 제어기(100) 또는 센서를 통해 운전석 도어가 잠금 상태에서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됨을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운전석 도어가 잠금 해제 되면, 운전자가 탑승하기 전에 1차 퀵 체크를 수행한다(S105). 프로세서(360)는 1차 퀵 체크 절차(state)를 통해 차량의 실내 공기에 포함된 알코올을 검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알코올 간이 센서(311)를 이용하여 공기 중에 알코올 성분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후각 센서(312)를 이용하여 공기 중에 알코올 냄새 분자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1차 퀵 체크 결과를 기반으로 메모리(340)에 저장된 룩업테이블을 참조하여 차량 내 알코올 성분이 포함된 제품(예: 방향제 등)이 존재함을 사전에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운전석 도어가 열렸다 닫힘을 감지할 수 있다(S110). 프로세서(360)는 도어 제어기(100) 또는 센서를 통해 운전석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전환됨을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운전석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전환됨을 감지하므로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360)는 운전석에 탑재된 무게 센서 또는 운전석 전방에 설치되는 이미지 센서 등을 추가로 이용하여 운전자의 탑승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360)는 시동 버튼(200)이 온(ON) 됨을 확인할 수 있다(S115). 시동 버튼(200)은 사용자(예: 운전자)의 입력에 따라 시동 신호(예: ON 신호) 또는 정지 신호(예: OFF 신호)를 프로세서(360)에 송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시동 버튼(200)의 온이 확인되면, 2차 퀵 체크를 수행한다(S120). 프로세서(360)는 알코올 간이 센서(311) 및 후각 센서(312)를 이용하여 차량의 실내 공기 중에서 알코올 성분 및 알코올 냄새를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시동 버튼(200)이 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대기한다.
프로세서(360)는 1차 퀵 체크 결과 및 2차 퀵 체크 결과를 기반으로 운전자의 음주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S125). 프로세서(360)는 음주 가능성을 판단할 때 메모리(340)에 저장된 룩업테이블을 참조할 수 있다. 1차 퀵 체크 결과에 상관없이 2차 퀵 체크에서 알코올 성분 및 알코올 냄새가 검출되지 않으면, 프로세서(360)는 운전자가 음주를 하지 않았음이 확실하다고 판단하여 정밀 음주 측정 미실시를 결정할 수 있다. 1차 퀵 체크 결과에 상관없이 2차 퀵 체크에서 알코올 성분 및 알코올 냄새가 검출되면, 프로세서(360)는 운전자의 음주가 의심되거나 된다(음주 여부가 불확실하다)고 판단하여 정밀 음주 측정 실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1차 퀵 체크에서 알코올 성분이 검출되지 않았으나, 2차 퀵 체크에서 알코올 성분이 검출되는 경우, 프로세서(360)는 운전자의 음주가 의심되는 상황 또는 음주 여부가 불확실한 상황으로 판단하여 정밀 음주 측정 실시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운전자의 음주 여부가 불확실한 경우 2차 퀵 체크를 재수행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1차 퀵 체크에서 알코올 성분 및 알코올 냄새가 미검출되었으나, 2차 퀵 체크에서 알코올 성분 및 알코올 냄새가 검출되는 경우, 프로세서(360)는 운전자의 알코올 성분이 포함된 제품(예: 향수 및/또는 손 세정제 등) 사용으로 인한 영향을 제거하기 위하여 알코올 성분 및 알코올 냄새가 휘발되는 시간(예: 5초) 동안 대기한 후 S120으로 돌아가 2차 퀵 체크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S125에서 운전자의 음주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프로세서(360)는 정밀 음주 측정을 수행한다(S130). 프로세서(360)는 호흡 알코올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호흡(날숨)에 포함된 알코올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정밀 음주 측정을 통해 측정된 알코올 농도가 임계치 이상인지를 확인한다(S135). 여기서, 임계치는 차량 시동 허용(허가) 여부를 결정하는 기준으로, 시스템 설계자가 사전에 법규에 근거하여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알코올 농도가 임계치 이상이면 차량의 시동을 제한할 수 있다(S140). 프로세서(360)는 시동 불가를 알리는 데이터(정보)를 시동 제어기(4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60)는 시동 불가를 안내하는 메시지를 출력장치(350)에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알코올 농도가 임계치 미만이면 차량의 시동을 수행할 수 있다(S145). 프로세서(360)는 시동 허가를 알리는 데이터(정보)를 시동 제어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시동 제어기(400)는 프로세서(360)로부터 시동 허가를 수신하면 동력발생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퀵 체크 재수행 여부에 따른 프로세서의 동작 타이밍도를 도시한다.
2차 퀵 체크이 개시되면, 프로세서(360)는 제1 측정기(310)를 통해 정해진시간 동안(예: 1초) 알코올 성분 및/또는 알코올 냄새를 검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차량 공기 분석 중"과 같은 안내 메시지를 출력장치(350)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360)는 정해진 시간 동안(예: 5초)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우선 순위 메시지를 출력해야 하는 경우 안내 메시지의 출력을 중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안내 메시지가 출력되는 중 2차 퀵 체크 결과가 출력되면 출력된 결과에 따라 차량의 시동을 허가하거나 제한할 수 있다. 차량의 시동을 허가하는 경우, 도 5a를 참조하면, 프로세서(360)는 2차 퀵 체크를 다시 실시하지 않을 수 있다. 차량의 시동을 제한하는 경우, 도 5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360)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시간(예: 5초) 이내에 2차 퀵 체크를 다시 실시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차량의 실내 공기 중 알코올을 검출하는 제1 측정기; 및
    상기 제1 측정기와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운전자 탑승 전 상기 제1 측정기를 통해 상기 실내 공기 중 알코올 유무를 체크하는 1차 퀵 체크를 수행하고,
    상기 운전자 탑승 후 상기 제1 측정기를 통해 상기 실내 공기 중 알코올 유무를 체크하는 2차 퀵 체크를 수행하고,
    상기 1차 퀵 체크 및 상기 2차 퀵 체크의 수행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운전자의 음주 가능성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운전 방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측정기는,
    상기 실내 공기에서 알코올 성분을 감지하는 알코올 간이 센서; 및
    상기 실내 공기에서 알코올 냄새를 감지하는 후각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운전 방지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1차 퀵 체크 및 상기 2차 퀵 체크에서 상기 알코올 성분 및 상기 알코올 냄새의 검출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운전자의 음주 가능성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운전 방지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운전자의 음주 가능성이 있는 경우, 기정해진 시간 동안 대기한 후 상기 2차 퀵 체크를 다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운전 방지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기정해진 시간은,
    알코올이 휘발하여 소멸하는 시간으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운전 방지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의 알코올 수치를 측정하는 제2 측정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운전자의 음주 가능성이 있는 경우, 상기 제2 측정기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호흡으로부터 혈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운전 방지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혈중 알코올 농도가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차량의 시동을 제한하고,
    상기 혈중 알코올 농도가 임계치 미만이면 상기 차량의 시동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운전 방지장치.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운전자의 음주 가능성이 없는 경우, 상기 차량의 시동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운전 방지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측정기는,
    상기 제2 측정기와 하나의 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운전 방지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2차 퀵 체크를 수행하는 중임을 나타내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장치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운전 방지장치.
  11. 운전자 탑승 전 차량의 실내 공기 중 알코올 유무를 체크하는 1차 퀵 체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운전자 탑승 후 상기 차량의 실내 공기 중 알코올 유무를 체크하는 2차 퀵 체크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퀵 체크 및 상기 2차 퀵 체크의 수행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운전자의 음주 가능성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운전자의 음주 가능성이 있으면, 상기 운전자에 대한 정밀 음주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정밀 음주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을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주운전 방지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1차 퀵 체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운전석 도어가 잠금 해제됨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내 장착되는 알코올 간이 센서 및 후각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실내 공기 중 알코올 성분 및 알코올 냄새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운전 방지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2차 퀵 체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운전석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전환됨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시동을 지시하는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내 장착되는 알코올 간이 센서 및 후각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실내 공기 중 알코올 성분 및 알코올 냄새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운전 방지방법.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의 음주 가능성이 있으면, 호흡 알코올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운전자의 호흡으로부터 혈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운전 방지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측정된 혈중 알코올 농도가 기정해진 임계치 이상이면 차량의 시동 불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운전 방지방법.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혈중 알코올 농도가 기정해진 임계치 미만이면 차량의 시동을 허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운전 방지방법.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의 음주 가능성이 없으면, 상기 차량의 시동을 허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운전 방지방법.
  18.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의 음주 가능성이 있으면, 기정해진 시간 동안 대기한 후 상기 2차 퀵 체크를 다시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운전 방지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기정해진 시간은,
    알코올이 휘발하여 소멸하는 시간으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운전 방지방법.
  20.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2차 퀵 체크를 수행하는 단계는,
    실내 공기 중 알코올 유무를 체크하고 있음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장치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운전 방지방법.
KR1020200093291A 2020-07-27 2020-07-27 음주운전 방지장치 및 방법 KR2022001383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291A KR20220013831A (ko) 2020-07-27 2020-07-27 음주운전 방지장치 및 방법
US17/082,252 US11458839B2 (en) 2020-07-27 2020-10-28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driving under influence
CN202011254135.2A CN113978248A (zh) 2020-07-27 2020-11-11 用于防止酒后驾驶的装置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291A KR20220013831A (ko) 2020-07-27 2020-07-27 음주운전 방지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3831A true KR20220013831A (ko) 2022-02-04

Family

ID=79687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291A KR20220013831A (ko) 2020-07-27 2020-07-27 음주운전 방지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458839B2 (ko)
KR (1) KR20220013831A (ko)
CN (1) CN11397824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3831A (ko) * 2020-07-27 2022-02-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음주운전 방지장치 및 방법
JP7396239B2 (ja) * 2020-09-23 2023-12-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EP4282675A1 (en) * 2022-05-27 2023-11-29 Volvo Truck Corporation A method of controlling an auxiliary system of a transportation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T1758754E (pt) * 2004-06-04 2008-06-04 Saab Automobile Método e dispositivo para o arranque de um automóvel
JP4692591B2 (ja) * 2008-08-19 2011-06-01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アルコール検知システム
US20170050519A1 (en) * 2014-04-24 2017-02-23 Sergio CRISTOFARO A system for detecting the existence of illegal active substances in a driver of a vehicle
KR101800508B1 (ko) * 2015-10-06 2017-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주운전 방지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차량 보조 장치
CA3020501A1 (en) * 2017-10-12 2019-04-12 Consumer Safety Technology, Llc Dual sensor types in breath alcohol detection
KR20220013831A (ko) * 2020-07-27 2022-02-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음주운전 방지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58839B2 (en) 2022-10-04
US20220024309A1 (en) 2022-01-27
CN113978248A (zh) 2022-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13831A (ko) 음주운전 방지장치 및 방법
US7471999B2 (en) Vehicle information-communication method, vehicle information-communication system, vehicle and control center
US7394392B1 (en) Expert system safety screening of equipment operators
US9019107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ction and reporting of vehicle operator impairment
US11789009B2 (en) Dual sensor types in breath alcohol detection
CN107408327A (zh) 检测在车辆后座的非完全行为能力乘员在场的系统和方法
AU2013201381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 breath sample with a breath-alcohol interlock device
US20120073892A1 (en) Ignition interlock and driving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CN106427861A (zh) 车载儿童遗漏提醒装置及其方法
JP2007186124A (ja) 飲酒検出装置、飲酒運転防止システム、および運転者入れ替わり防止装置
JP2015184968A (ja) 運転特性診断方法
US20140091916A1 (en) Driver condition assessment device
JP2011145815A (ja) 警告システム、車両側装置、車載警告装置、警告方法
US11893804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tecting child inside vehicle, computer device,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vehicle
CN112622617A (zh) 酒精联锁控制装置和方法
US9815371B2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for vehicle
JP2008260393A (ja) エンジン始動制御システム
JP2013100676A (ja) 電子キー車外持ち出し警報制御装置
JP5299781B2 (ja) 飲酒運転防止装置
JP2009173209A (ja) 飲酒検出装置
JP6752082B2 (ja) 車載器及び警報システム
KR101798787B1 (ko) 음주 측정기 내장형 차량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시동 제어 방법
JP2010240094A (ja) 酒気帯び推定装置
JP2008265507A (ja) 飲酒状態推定装置、飲酒情報収集システム、飲酒状態推定システム、飲酒状態推定装置の酒気状態推定方法
CN113705543A (zh) 一种车内物品防遗忘监控方法、装置、设备及介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