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8787B1 - 음주 측정기 내장형 차량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시동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음주 측정기 내장형 차량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시동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8787B1
KR101798787B1 KR1020160124750A KR20160124750A KR101798787B1 KR 101798787 B1 KR101798787 B1 KR 101798787B1 KR 1020160124750 A KR1020160124750 A KR 1020160124750A KR 20160124750 A KR20160124750 A KR 20160124750A KR 101798787 B1 KR101798787 B1 KR 101798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river
human body
drinking
detec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4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혁
Original Assignee
정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혁 filed Critical 정혁
Priority to KR1020160124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87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8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8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60K28/0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54Seat position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gaseous biological material, e.g. breath
    • G01N33/4972Determining alcohol cont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9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alcohol, e.g. ethanol in bre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18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 B60W2040/0836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due to alcoh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Immu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Cell Bi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주 측정기 내장형 차량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시동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운전석 좌석(110)의 감지 센서(110a)가 착석 감지에 따라 착석 신호를 차량 단말(120)로 전송하는 제 1 단계; 차량 단말(120)이 음주 측정 센서(121)로 음주 측정 명령을 전송하는 제 2 단계; 차량 단말(120)이 음주 측정 센서(121)로부터 음주 측정치 정보를 수신하는 제 3 단계; 차량 단말(120)이 인체감지모듈(122)로부터 음주 측정 센서(121)을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반경 내에 운전자 외의 인체 탐지를 수행하는 제 4 단계; 차량 단말(120)이 운전자 외에 인체 탐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5 단계; 및 판단 결과 운전자 외에 인체를 탐지한 경우, 차량 단말(120)이 ECU(123)로 차량 시동 잠금 명령을 전송하며, 판단 결과 운전자 외에 인체를 탐지하지 못한 경우, 차량 단말(120)이 ECU(123)로 차량 시동 풀림 명령을 전송하는 제 6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경찰관들의 인력 낭비와, 차량이 막혀서 교통 체증의 원인이 되는 방식에서 벗어나 차량 내부에서 음주 측정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대리운전기사에 경우에도 문제 없이 음주 측정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음주 측정기 내장형 차량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시동 제어 방법{Vehicle system with breath alcohol analyzer, control method of starting a vehicl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음주 측정기 내장형 차량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시동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존의 차량에서 음주 운전하는 방식을 도로가 아닌 차량 자체에서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음주 측정기 내장형 차량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시동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음주 운전을 단속하기 위해서 도로에서 경찰관들이 음주 측정기를 갖고 단속하는 방식으로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경찰관들의 인력 낭비와, 차량이 막혀서 교통 체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방식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향후 차량 내부에 음주 측정기가 장착되어야 하며, 음주 측정을 통해 음주를 한 운전자의 경우 시동 자체를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방식이 사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0610359호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차량시동 제어방법(CONTROL METHOD OF STARTING A VEHICLE USING TELEMATICS)"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1525204호 "음주운전 방지장치 및 방지방법(DRUNK DRIVING PREVENTION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경찰관들의 인력 낭비와, 차량이 막혀서 교통 체증의 원인이 되는 방식에서 벗어나 차량 내부에서 음주 측정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음주 측정기 내장형 차량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시동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대리운전기사에 경우에도 문제 없이 음주 측정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음주 측정기 내장형 차량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시동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주 측정기 내장형 차량 시스템을 이용한 시동 제어 방법은, 운전석 좌석(110)의 감지 센서(110a)가 착석 감지에 따라 착석 신호를 차량 단말(120)로 전송하는 제 1 단계; 차량 단말(120)이 음주 측정 센서(121)로 음주 측정 명령을 전송하는 제 2 단계; 차량 단말(120)이 음주 측정 센서(121)로부터 음주 측정치 정보를 수신하는 제 3 단계; 차량 단말(120)이 인체감지모듈(122)로부터 음주 측정 센서(121)을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반경 내에 운전자 외의 인체 탐지를 수행하는 제 4 단계; 차량 단말(120)이 운전자 외에 인체 탐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5 단계; 및 판단 결과 운전자 외에 인체를 탐지한 경우, 차량 단말(120)이 ECU(123)로 차량 시동 잠금 명령을 전송하며, 판단 결과 운전자 외에 인체를 탐지하지 못한 경우, 차량 단말(120)이 ECU(123)로 차량 시동 풀림 명령을 전송하는 제 6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주 측정기 내장형 차량 시스템은, 운전석 좌석(110), 감지 센서(110a), 차량 단말(120), 음주 측정센서(120a), 인체감지센서(120b)로 이루어진 음주 측정기 내장형 차량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 단말(120)은, 운전석 좌석(110)의 감지 센서(110a)로부터 착석 감지에 따라 착석 신호를 수신한 뒤, 음주 측정 센서(121)로 음주 측정 명령을 전송하는 운전자 감지 모듈(124a); 음주 측정 센서(121)로부터 음주 측정치 정보를 수신한 뒤, 인체감지모듈(122)로부터 음주 측정 센서(121)을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반경 내에 운전자 외의 인체 탐지를 수행하는 음주 측정 모듈(124b); 및 운전자 외에 인체 탐지 여부를 수해아여 운전자 외에 인체를 탐지한 경우, ECU(123)로 차량 시동 잠금 명령을 전송하며, 판단 결과 운전자 외에 인체를 탐지하지 못한 경우, ECU(123)로 차량 시동 풀림 명령을 전송하는 오류 탐지 모듈(124c);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주 측정기 내장형 차량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시동 제어 방법은, 경찰관들의 인력 낭비와, 차량이 막혀서 교통 체증의 원인이 되는 방식에서 벗어나 차량 내부에서 음주 측정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주 측정기 내장형 차량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시동 제어 방법은, 대리운전기사에 경우에도 문제 없이 음주 측정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주 측정기 내장형 차량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음주 측정기 내장형 차량 시스템 중 차량 단말(12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124)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주 측정기 내장형 차량 시스템 기반의 시동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주 측정기 내장형 차량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음주 측정기 내장형 차량 시스템은, 운전석 좌석(110), 감지 센서(110a), 차량 단말(120), 음주 측정센서(120a), 인체감지센서(120b)로 이루어진 차량 플랫폼(100) 외에, 네트워크(200), 관제 서버(300)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 2는 도 1의 음주 측정기 내장형 차량 시스템 중 차량 단말(12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 단말(120)은 송수신부(121), 터치스크린(122), ECU(123), 제어부(124), 저장부(125), 입출력 인터페이스(I/O)(126), RFID 리더기(127)를 포함한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124)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24)는 운전자 감지 모듈(124a), 음주 측정 모듈(124b), 오류 탐지 모듈(124c), 스마트 키 탐지 모듈(124d)으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제어부(124)의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음주 측정기 내장형 차량 시스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운전자 감지 모듈(124a)은 운전석 좌석(110)의 감지 센서(110a)에 의한 착석 감지에 따라 착석 신호를 수신하도록 입출력 인터페이스(I/O)(126)를 제어한다.
이후, 운전자 감지 모듈(124a)은 음주 측정 센서(121)로 음주 측정 명령을 전송하도록 입출력 인터페이스(I/O)(126)를 제어한다.
음주 측정 모듈(124b)은 음주 측정 센서(121)로부터 음주 측정치 정보를 수신하도록 입출력 인터페이스(I/O)(126)를 제어한다.
이후, 음주 측정 모듈(124b)은 음주 측정치 정보를 터치스크린(122)으로 출력한 뒤, 송수신부(121)를 제어하여 임계치 음주 측정량 정보를 네트워크(200)와 연결된 관제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뒤, 측정된 음주 측정치 정보와 비교를 수행하여 임계치 음주 측정량 정보 보다 측정된 음주 측정치 정보가 큰 경우에는 경고 메시지를 터치스크린(122)으로 출력한다. 이 경우, 관제 서버(300)는 음주 측정 모듈(124b)로 차량(1)에 대한 번호 및 음주 운전 이력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함으로써, 음주 운전을 원격으로 단속할 수 있다.
반대로, 음주 측정 모듈(124b)은 측정된 음주 측정치 정보와 비교를 수행하여 임계치 음주 측정량 정보 보다 측정된 음주 측정치 정보가 작은 수치인 경우에는 통과 메시지를 터치스크린(122)으로 출력한다. 이후, 음주 측정 모듈(124b)은 오류 탐지 모듈(124c)로 통과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음주 운전이 아님을 한번 더 검증하도록 한다.
오류 탐지 모듈(124c)은 인체감지모듈(122)로부터 음주 측정 센서(121)흐ㅎ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반경 또는 미리 설정된 방향의 범위 내에 운전자 외의 인체 탐지를 수행하도록 인체감지모듈(122)로 인체 탐지 명령을 전송하도록 입출력 인터페이스(I/O)(126)를 제어한다.
오류 탐지 모듈(124c)은 인체감지모듈(122)로부터 감지 정보를 수신하여 운전자 외에 인체 탐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반경 또는 미리 설정된 방향의 범위 내에 운전자 외에 인체를 탐지하는 이유는 음주를 하지 않은 사람에 의한 차량 시동 이후 운전자가 다른 사람으로 교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오류 탐지 모듈(124c)은 판단 결과 운전자 외에 인체를 탐지한 경우, ECU(123)로 차량 시동 잠금 명령을 전송함으로써, ECU(123)에 의한 차량 시동이 차단되도록 한다. 이후, 오류 탐지 모듈(124c)은 인체감지모듈(122)로 인식된 인체에 해당하는 다른 사람에 대한 차량 내의 카메라(미도시)를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의 마킹을 수행 한 뒤, 음주 측정 모듈(124b)로 마킹된 사람에 대한 음주 측정이 다시 수행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마킹된 사람도 음주를 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 경우, 오류 탐지 모듈(124c)은 ECU(123)로 차량 시동 풀림 명령을 전송함으로써, ECU(123)에 의한 차량 시동이 걸릴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오류 탐지 모듈(124c)은 판단 결과 운전자 외에 인체를 탐지하지 못한 경우, ECU(123)로 차량 시동 풀림 명령을 전송함으로서, ECU(123)에 의한 차량 시동이 걸리도록 한다.
스마트 키 탐지 모듈(124d)은 음주 측정 모듈(124b)에 의해 운전자에 대해 측정된 음주 측정치 정보와 비교를 수행하여 임계치 음주 측정량 정보 보다 측정된 음주 측정치 정보가 작고, 오류 탐지 모듈(124c)에 의해 마킹된 사람에 대해서도 측정된 음주 측정치 정보와 비교를 수행하여 임계치 음주 측정량 정보 보다 측정된 음주 측정치 정보가 작은 경우, 차량(1) 시동을 위한 차량키인 스마트키가 차량(1)의 내부에 있는 지에 대해서 탐지를 수행한다.
즉, 스마트 키 탐지 모듈(124d)은 RFID 리더기(127)에 대한 제어를 통해 RFID 태그에 해당하는 스마트 키에 대한 인식이 완료된 경우, ECU(123)에 의한 차량 시동이 걸릴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스마트 키 탐지 모듈(124d)은 오류 탐지 모듈(124c)에 의한 운전자 외에 인체를 탐지한 경우, 마킹된 인체에 대한 음주 운전 측정 전에, 운전자가 대리운전기사로 자신의 대리운전식별번호를 터치스크린(122)을 통해 입력하는 경우, 음주 측정 모듈(124b)에 의한 마킹된 인체에 대한 음주 측정 과정을 생략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주 측정기 내장형 차량 시스템 기반의 시동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운전석 좌석(110)의 감지 센서(110a)는 착석 감지에 따라 착석 신호를 차량 단말(120)로 전송한다(S11).
단계(S11) 이후, 차량 단말(120)은 음주 측정 센서(121)로 음주 측정 명령을 전송한다(S12).
단계(S12) 이후, 차량 단말(120)은 음주 측정 센서(121)로부터 음주 측정치 정보를 수신한다(S13).
단계(S13) 이후, 차량 단말(120)은 인체감지모듈(122)로부터 음주 측정 센서(121)을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반경 내에 운전자 외의 인체 탐지를 수행한다(S14).
단계(S14) 이후, 차량 단말(120)은 운전자 외에 인체 탐지 여부를 판단한다(S15).
단계(S15)의 판단 결과 운전자 외에 인체를 탐지한 경우, 차량 단말(120)은 ECU(123)로 차량 시동 잠금 명령을 전송한다(S16).
한편, 단계(S15)의 판단 결과 운전자 외에 인체를 탐지하지 못한 경우, 차량 단말(120)은 ECU(123)로 차량 시동 풀림 명령을 전송한다(S17).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 차량
100 : 차량 플랫폼
110 : 운전석 좌석
110a : 감지 센서
120 : 차량 단말
120a : 음주 측정센서
120b : 인체감지센서
121 : 송수신부
122 : 터치스크린
123 : ECU
124 : 제어부
124a : 운전자 감지 모듈
124b : 음주 측정 모듈
124c : 오류 탐지 모듈
124d: 스마트 키 탐지 모듈
125 : 저장부
126 : 입출력 인터페이스(I/O)
127 : RFID 리더기
200 : 네트워크
300 : 관제 서버

Claims (2)

  1. 운전석 좌석(110)의 감지 센서(110a)가 착석 감지에 따라 착석 신호를 차량 단말(120)로 전송하는 제 1 단계; 차량 단말(120)이 음주 측정 센서(121)로 음주 측정 명령을 전송하는 제 2 단계; 차량 단말(120)이 음주 측정 센서(121)로부터 음주 측정치 정보를 수신하는 제 3 단계; 차량 단말(120)이 인체감지모듈(122)로부터 음주 측정 센서(121)을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반경 내에 운전자 외의 인체 탐지를 수행하는 제 4 단계; 차량 단말(120)이 운전자 외에 인체 탐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5 단계; 및 판단 결과 운전자 외에 인체를 탐지한 경우, 차량 단말(120)이 ECU(123)로 차량 시동 잠금 명령을 전송하며, 판단 결과 운전자 외에 인체를 탐지하지 못한 경우, 차량 단말(120)이 ECU(123)로 차량 시동 풀림 명령을 전송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수신된 음주 측정치 정보에 의해, 임계치 음주 측정량 정보보다 측정된 음주 측정치 정보가 작은 경우, 통과메시지를 출력하고; 이후 오류 탐지 모듈(124c)로 통과 메시지를 전송하여 음주 운전이 아님을 한번 더 검증하되; 상기 오류 탐지 모듈(124c)은 운전자 이외의 인체를 탐지한 경우, ECU(123)로 차량 시동 잠금 명령을 전송하여 차량 시동을 차단하고; 상기 운전자 이외의 사람도 음주를 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 경우, ECU(123)로 차량 시동 풀림 명령을 전송하여 차량 시동이 걸리게 하되, 상기 오류 탐지 모듈(124c)에 의한 운전자 외에 인체를 탐지한 경우, 마킹된 인체에 대한 음주 운전 측정 전에 운전자가 대리운전기사로 자신의 대리운전식별번호를 터치스크린(122)을 통해 입력하는 경우, 음주 측정 모듈(124b)에 의한 마킹된 인체에 대한 음주 측정 과정을 생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 측정기 내장형 차량 시스템을 이용한 시동 제어 방법.
  2. 운전석 좌석(110), 감지 센서(110a), 차량 단말(120), 음주 측정센서(120a), 인체감지센서(120b)로 이루어진 음주 측정기 내장형 차량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 단말(120)은, 운전석 좌석(110)의 감지 센서(110a)로부터 착석 감지에 따라 착석 신호를 수신한 뒤, 음주 측정 센서(121)로 음주 측정 명령을 전송하는 운전자 감지 모듈(124a); 음주 측정 센서(121)로부터 음주 측정치 정보를 수신한 뒤, 인체감지모듈(122)로부터 음주 측정 센서(121)을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반경 내에 운전자 외의 인체 탐지를 수행하는 음주 측정 모듈(124b); 및 운전자 외에 인체 탐지 여부를 수해아여 운전자 외에 인체를 탐지한 경우, ECU(123)로 차량 시동 잠금 명령을 전송하며, 판단 결과 운전자 외에 인체를 탐지하지 못한 경우, ECU(123)로 차량 시동 풀림 명령을 전송하는 오류 탐지 모듈(124c);를 포함하되,
    상기 수신된 음주 측정치 정보에 의해, 임계치 음주 측정량 정보보다 측정된 음주 측정치 정보가 작은 경우, 통과메시지를 출력하고; 이후 오류 탐지 모듈(124c)로 통과 메시지를 전송하여 음주 운전이 아님을 한번 더 검증하되; 상기 오류 탐지 모듈(124c)은 운전자 이외의 인체를 탐지한 경우, ECU(123)로 차량 시동 잠금 명령을 전송하여 차량 시동을 차단하고; 상기 운전자 이외의 사람도 음주를 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 경우, ECU(123)로 차량 시동 풀림 명령을 전송하여 차량 시동이 걸리게 하되, 상기 오류 탐지 모듈(124c)에 의한 운전자 외에 인체를 탐지한 경우, 마킹된 인체에 대한 음주 운전 측정 전에 운전자가 대리운전기사로 자신의 대리운전식별번호를 터치스크린(122)을 통해 입력하는 경우, 음주 측정 모듈(124b)에 의한 마킹된 인체에 대한 음주 측정 과정을 생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 측정기 내장형 차량 시스템.
KR1020160124750A 2016-09-27 2016-09-27 음주 측정기 내장형 차량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시동 제어 방법 KR101798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750A KR101798787B1 (ko) 2016-09-27 2016-09-27 음주 측정기 내장형 차량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시동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750A KR101798787B1 (ko) 2016-09-27 2016-09-27 음주 측정기 내장형 차량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시동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8787B1 true KR101798787B1 (ko) 2017-11-16

Family

ID=60806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4750A KR101798787B1 (ko) 2016-09-27 2016-09-27 음주 측정기 내장형 차량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시동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87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5217B1 (ko) 2020-06-03 2021-04-27 주식회사 아이티엠티 안면 인식을 이용한 음주 측정기 및 그 방법
KR20220082693A (ko) 2020-12-10 2022-06-17 이경호 음주운전을 막기 위한 자동차 부착 음주 감지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30754A1 (en) 2007-09-07 2009-03-12 Mauro Serafini System and device used to prevent drunk people from driving a motor vehicle
JP2009255766A (ja) 2008-04-17 2009-11-05 Suzuki Motor Corp 運転者監視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30754A1 (en) 2007-09-07 2009-03-12 Mauro Serafini System and device used to prevent drunk people from driving a motor vehicle
JP2009255766A (ja) 2008-04-17 2009-11-05 Suzuki Motor Corp 運転者監視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5217B1 (ko) 2020-06-03 2021-04-27 주식회사 아이티엠티 안면 인식을 이용한 음주 측정기 및 그 방법
KR20220082693A (ko) 2020-12-10 2022-06-17 이경호 음주운전을 막기 위한 자동차 부착 음주 감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361572B (zh) 车辆控制设备、车辆控制方法和车辆控制系统
US20200001892A1 (en) Passenger assisting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CN109799801B (zh) 无人驾驶运输系统
CN107817714A (zh) 乘客监控系统和方法
JP2009040239A (ja) 機器制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1192031A (ja) 制御装置及び運転安全性保護方法
KR101130238B1 (ko) 차량 도난 방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N110053578A (zh) 车内生命安全响应方法和装置
CN112542055B (zh) 用于辅助机动车的方法
WO2018138980A1 (ja) 制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40081747A1 (en) Method and system of deploying portable monitoring device
KR101798787B1 (ko) 음주 측정기 내장형 차량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시동 제어 방법
KR20160041177A (ko) 장애인 주차구역 감시장치
CN112540555A (zh) 用于远程控制机动车的方法
JP2008287677A (ja) 運転補助装置
CN110869232A (zh) 用于访问控制和清醒测试的分布式系统
CN110712606B (zh) 车内生命体识别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4423658A (zh) 用于使机动车至少受辅助地并入到行车带中的方法
KR101413409B1 (ko) 자동차 사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81883A (ko)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어린이 통학차량 안전시스템
US20220103994A1 (en) Inconsistency-determining apparatus for vehicle accident
KR101931371B1 (ko) 차량 내 승객 미하차 방지 시스템
KR20170127322A (ko) 스마트카 컨버전 시스템
KR20210043858A (ko) 음주측정 기반의 대중교통 관제시스템
JP2023037817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