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2693A - 음주운전을 막기 위한 자동차 부착 음주 감지기 - Google Patents

음주운전을 막기 위한 자동차 부착 음주 감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2693A
KR20220082693A KR1020200172810A KR20200172810A KR20220082693A KR 20220082693 A KR20220082693 A KR 20220082693A KR 1020200172810 A KR1020200172810 A KR 1020200172810A KR 20200172810 A KR20200172810 A KR 20200172810A KR 20220082693 A KR20220082693 A KR 20220082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screen
car
screen device
drink
de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2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호
김명연
임진우
김휘진
Original Assignee
이경호
김명연
임진우
김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호, 김명연, 임진우, 김휘진 filed Critical 이경호
Priority to KR1020200172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2693A/ko
Publication of KR20220082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26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60K28/0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96Mounting of devices using L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8Ventilation gril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6Windows, e.g. windscre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1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latches,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18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 B60W2040/0836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due to alcoh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주 측정에 사용되는 자동차에 부착 가능한 음주 감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에 부착 가능한 음주 감지기와 음주 감지기와 혈중알코올농도를 신호로 나타내는 엘이디 화면 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차 외부에서 사람들이 운전자의 음주운전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하여 음주운전 자체를 방지하고 음주운전 사고를 예방하는 음주 감지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운전자가 자동차에 탑승해 자동차에 부착된 음주 감지기를 통해 음주 측정하는 단계, 음주 감지기에서 혈중알코올농가가 수치화 되어 음주 감지기에 표시되어 운전자에게 인식되는 단계, 혈중알코올농도 수치가 연결선을 통해 엘이디 화면 장치 전달되는 단계, 엘이디 화면 장치에 혈중알코올농도 수치에 따라 신호화 되어 나타나는 단계, 엘이디 화면 장치의 신호를 보고 운전자의 음주운전 여부를 인식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음주운전을 막기 위한 자동차 부착 음주 감지기 {Car attached Alcohol Breath Analyzer to prevent drunk driving}
본 발명은 음주 측정에 사용되는 자동차에 부착 가능한 음주 감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에 부착 가능한 음주 감지기와 음주 감지기와 혈중알코올농도를 신호로 나타내는 엘이디 화면 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차 외부에서 사람들이 운전자의 음주운전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하여 음주운전 자체를 방지하고 음주운전 사고를 예방하는 음주 감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음주를 할 경우 몸 안에 있는 알코올 성분 중 90%는 알코올 분해 효소를 통해 아세트산으로 분해되고 다시 이산화탄소로 분해된다. 하지만 10%는 알코올 분해 효소를 통해 분해되지 않고 땀, 소변, 호흡 등의 방법으로 몸 밖으로 배출된다. 음주 감지기는 장기에 흡수되고 혈액에 있는 알코올이 폐가 산소를 받고 이산화탄소를 내보내는 과정에서 몸 밖으로 나오는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여 사람의 음주 여부를 판단한다.
음주 감지기의 원리는 광양자 이론을 이용한 것으로 빛이 여러 종류의 에너지를 가진 광양자로 이루어져 있고 금속 내의 전자를 튀어 오르게 만든다는 것이 광양자 이론이다. 음주 감지기를 이용한 음주운전 측정은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음주 감지기의 가스 유입구를 통해 사람의 호흡이 음주 감지기로 유입되면 날숨의 알코올이 백금 전극의 양(+)극에 달라붙게 된다. 이 때 알코올이 산화 반응이 일어나 전극에 전자를 주고 전류를 발생시킨다. 날숨으로부터 나온 알코올 농도가 많을수록 더 많은 전자를 전극에 주게 되고 전류의 세기가 세진다. 발생한 전류를 통해 혈액 속의 알코올 농도, 혈중알코올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처벌기준으로 혈중알코올농도가 0.03%이상일 경우 처벌대상이다. 행정 책임상 1회 적발 시 0.03% ~ 0.08% 미만이면 벌점 100점, 0.08% ~ 0.2% 미만 면허취소, 0.2% 이상 면허취소로 처벌되고 형사 책임상 1회 적발 시 0.2% 이상 2년 ~ 5년 징역 또는 1,000만원 ~ 2,000만원 이하 벌금, 0.08 ~ 0.2% 미만 1년 ~ 2년 이하 징역 / 500만원 ~ 1,000만원 이하 벌금, 0.03% ~ 0.08% 미만 1년 이하 징역 쪼는 500만원 ~ 1,000만원 이하 벌금으로 처벌된다. 즉, 혈중알코올농도가 0.03% 이상이면 음주운전에 해당한다.
일정 수준 이상 음주한 운전자는 앞차와의 거리 또는 자동차의 속도를 판단하는 능력이 떨어지게 되고 음주운전은 대형사고로 이어진다. 이에 따라, 경찰에 의해 음주운전단속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모든 음주운전은 사전방지가 불가하고 음주운전 사고의 피해자는 달리고 있는 자동차의 외관을 보고 운전자의 음주운전 여부를 확인할 수 없어 음주운전 사고를 대비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KR 1010402860000 (2011.06.02) KR 1009917120000 (2010.10.28) KR 1017987870000 (2017.11.10) KR 2004473220000 (2010.01.07)
본 발명은 운전자가 자동차에 부착된 음주 감지기를 통해 음주 측정한 후 혈중알코올농도가 엘이디 화면에 신호로 나타나면서 자동차 외부의 사람들이 자동차 외관을 봤을 때 운전자의 음주운전 여부를 알게 하여 운전자의 음주운전을 예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운전자가 자동차에 탑승해 자동차에 부착된 음주 감지기를 통해 음주 측정하는 단계, 음주 감지기에서 혈중알코올농도가 수치화 되어 표시되어 운전자에게 인식되는 단계, 혈중알코올농도 수치가 연결선을 통해 엘이디 화면 장치 전달되는 단계, 엘이디 화면 장치에 혈중알코올농도 수치에 따라 신호화 되어 나타나는 단계, 엘이디 화면 장치의 신호를 보고 운전자의 음주운전 여부를 인식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대한 외관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목적까지의 과정을 보이는 흐름도.
도 3 내지 도 4은 엘이디 화면 장치에 나타나는 신호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은 음주 감지기 본체에 대한 외관 저면도.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본 발명은 음주 감지기 본체(100)와 엘이디 화면 장치(300), 그리고 음주 감지기 본(100)와 엘이디 화면 장치를 연결해주는 연결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음주 감지기 본체(100)는 음주 측정 역할, 연결선(200)은 혈중알코올농도를 엘이디 화면 장치로 전달하는 역할, 엘이디 화면 장치(300)는 운전자의 음주운전 여부를 확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목적까지의 과정을 보여준다. 운전자가 가스 유입구(120)를 통해 운전자의 날숨을 음주 감지기 본체(100)에 유입하면 혈중알코올농도가 혈중알코올농도 수치표시 화면(140)에 표시되고 화면에 나타난 혈중알코올농도는 운전자가 인식한다. 그 다음 혈중알코올농도 수치는 연결선(200)을 통해 엘이디 화면 장치(300)에 전달된다. 엘이디 화면 장치(300)는 혈중알코올농도 수치를 정해진 기준에 따라 다르게 신호를 엘이디 화면(330)에 나타낸다. 0.03% 미만이면 비음주로 비음주 엘이디 화면(330b)에 파란색 신호로, 0.03% ~ 0.08% 미만이면 음주로 음주 엘이디 화면(330a)에 주황색 신호로, 0.08% 이상이면 음주로 음주 엘이디 화면(330a)에 빨간색 신호로 나타난다. 신호를 나타나는 기준은 대한민국 음주운전 처벌기준에 기반을 둔다. 엘이디 화면(330)에 나타난 신호로 인해 운전자의 음주운전 여부를 판단한다.
도 1에서 본 발명의 엘이디 화면(330)은 엘이디 패널로 이루어져 있다.
도 3은 혈중알코올수치가 0.03% 이상인 음주운전에 관하여 나타나는 엘이디 화면(330)에 대한 음주 엘이디 화면(330a)에 관한 것이다. 음주 엘이디 화면(330a)에서 3개의 원 모양의 기호가 나란히 나열되어 있고 각각의 원 안에 X 모양의 기호가 있다. 혈중알코올수치가 0.03% ~ 0.08% 미만이면 원 모양의 기호의 윤관선과 X 모양의 기호가 엘이디 패널로 인해 주황색으로 빛나 신호를 음주 엘이디 화면(330a)에 나타낸다. 혈중알코올수치가 0.08% 이상이면 원 모양의 기호의 윤관선과 X 모양의 기호가 엘이디 패널로 인해 빨간색으로 빛나 신호를 음주 엘이디 화면(330a)에 나타낸다. 원 모양의 기호의 윤관선과 X 모양의 기호 외에는 엘이디 패널로 인해 빛나지 않는다. 빨간색과 주황색의 차이를 통해 운전자가 얼마나 더 많이 음주를 했는지 알 수 있다.
도 4은 혈중알코올수치가 0.03% 미만인 비음주운전에 관하여 나타나는 엘이디 화면(330)에 대한 비음주 엘이디 화면(330b)에 관한 것이다. 비음주 엘이디 화면(330b)에서 2개의 원 모양의 기호가 나란히 나열되어 있다. 혈중알코올수치가 0.03% 미만이면 각각의 원 모양 기호의 윤곽선이 엘이디 패널로 인해 파란색으로 빛나 신호를 비음주 엘이디 화면(330b)에 나타낸다. 원 모양 기호 윤곽선 외에는 엘이디 패널로 인해 빛나지 않는다.
도 5은 음주 감지기 본체(100)에서 가스 유입구(120)가 있는 면과 반대하는 면에 있는 자동차에 부착할 수 있게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단 음주 감지기 거치 장치(130a)와 하단 음주 감지기 거치 장치(130b)를 자동차 송풍구에 거치하는 방식으로 자동차에 음주 감지기 본체(100)를 자동차에 부착 가능하게 한다. 자동차 송풍구 날개 한 날에 상단 음주 감지기 거치 장치(130a)와 하단 음주 감지기 거치 장치(130b)를 두 거치 장치의 사이공간을 통해 끼어 넣어 자동차에 음주 감지기 본체(100)를 부착하게 한다.
도 1을 참고하면 엘이디 화면 장치(300)에 상단 부착 벨크로(310a)와 하단 부착 벨크로(310b)가 있다. 상단 부착 벨크로(310a)와 하단 부착 벨크로(310b)는 엘이디 하면 장치(300)를 자동차 앞유리에 부착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음주 감지기 본체(100)와 연결선(200)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자동차 내부에서 자동차 앞유리에 부착하여 자동차 외부에서 자동차 앞유리를 보면 엘이디 화면(330)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엘이디 화면 장치(300)에서 엘이디 화면(330)에 있는 면에 상단 부착 벨크로(310a)와 하단 부착 벨크로(310b)가 있다.
100 : 음주 감지기 본체
110 : 음주 감지기 전원
120 : 가스 유입구
130a : 상단 음주 감지기 거치 장치
130b : 하단 음주 감지기 거치 장치
140 : 혈중알코올농도 수치표시 화면
200 : 연결선
300 : 엘이디 화면 장치
310a : 상단 부착 벨크로
310b : 하단 부착 벨크로
320 : 엘이디 화면 장치 전원
330 : 엘이디 화면
330a : 음주 엘이디 화면
330b : 비음주 엘이디 화면

Claims (4)

  1. 음주운전 측정에 사용되는 음주 감지기에 있어서,
    음주 감지기 본체(100)와 엘이디 패널로 이루어진 엘이디 화면 장치(300), 그리고 음주 감지기 본체(100)와 엘이디 화면 장치(300)를 연결하는 연결선(200)으로 이루어진 음주 감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주 감지기 본체(100)를 자동차 송풍구에 거치할 수 있게 만들고 상단과 하단으로 나누어져 있어 음주 감지기 본체(100)를 구성하는 음주 감지기 거치 장치를 특징으로 하는 음주 감지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단과 하단으로 나누어져 상기 엘이디 화면 장치(300)를 유리에 부착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가진 벨크로가 있는 엘이디 화면 장치(300)를 특징으로 하는 음주 감지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 화면 장치(300)의 화면에 엘이디 패널로 인해 색과 기호가 나타나 신호로써 불특정인에게 신호를 알리는 역할을 하는 엘이디 화면 장치(300)를 특징으로 하는 음주 감지기.

KR1020200172810A 2020-12-10 2020-12-10 음주운전을 막기 위한 자동차 부착 음주 감지기 KR202200826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810A KR20220082693A (ko) 2020-12-10 2020-12-10 음주운전을 막기 위한 자동차 부착 음주 감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810A KR20220082693A (ko) 2020-12-10 2020-12-10 음주운전을 막기 위한 자동차 부착 음주 감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2693A true KR20220082693A (ko) 2022-06-17

Family

ID=82269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2810A KR20220082693A (ko) 2020-12-10 2020-12-10 음주운전을 막기 위한 자동차 부착 음주 감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2693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322Y1 (ko) 2007-04-12 2010-01-15 주식회사 에이엘 엘이디 조명패널
KR100991712B1 (ko) 2007-01-02 2010-11-0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알콜센서 및 알콜센서의 제조방법
KR101040286B1 (ko) 2009-09-16 2011-06-10 (주)일렉켐 음주측정기용 센서
KR101798787B1 (ko) 2016-09-27 2017-11-16 정혁 음주 측정기 내장형 차량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시동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712B1 (ko) 2007-01-02 2010-11-0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알콜센서 및 알콜센서의 제조방법
KR200447322Y1 (ko) 2007-04-12 2010-01-15 주식회사 에이엘 엘이디 조명패널
KR101040286B1 (ko) 2009-09-16 2011-06-10 (주)일렉켐 음주측정기용 센서
KR101798787B1 (ko) 2016-09-27 2017-11-16 정혁 음주 측정기 내장형 차량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시동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8693B2 (en) Vehicle steering wheel
US20060033628A1 (en) Steering wheel vapor collection and sensing system using a chemical element
KR20220082693A (ko) 음주운전을 막기 위한 자동차 부착 음주 감지기
CN201508360U (zh) 人体内酒精含量的检测装置
KR20110038453A (ko) 알코올센서의 오작동 감지가 가능한 음주측정기
GB2488001A (en) Breath alcohol analyser and method of determining if a driver is in a condition to drive
US20180146887A1 (en) Respiration Detection Device
JP2008137624A (ja) 飲酒運転防止システム
CN101666796A (zh) 一种检测人体内酒精含量的方法及装置
CN209518857U (zh) 一种驾驶员生命体征及酒态监测报警方向盘
Shreshtha et al. Non-Invasive Alcohol Detection for Drunk Driving Prevention
JP2009274563A (ja) 飲酒運転防止装置
KR20090112299A (ko) 음주측정기
KR200221994Y1 (ko) 휴대용 음주 측정기
JP2005069742A (ja) アルコール検知システムアルコールガスセンサーを用い、呼気アルコール濃度を検知するセンサーユニットを持ち測定結果をデジタル表示にて被験者のアルコール濃度を表示する仕組みと、その測定者のデータを市販のパソコン等にデータ転送出来る仕組みと、被験者IDコード(社員no.等)、測定時刻、温度、湿度、測定回数累計、測定結果濃度等を印字(送信)する手段を備えたことを特徴とするアルコール検知システム。
KR20220083394A (ko) Lcd를 이용한 휴대용 음주측정기
CN220983300U (zh) 一种可检测吹气状态的酒精检测仪
KR200250860Y1 (ko) 휴대용 음주측정기
US20060016278A1 (en) Steering wheel vapor collection and sensing system using suction
KR102303782B1 (ko) 자동차 운전석 핸들에 구비되는 혈중 알콜농도 센서 장치
CN112389197A (zh) 一种防止客运司机酒驾的监控系统
CN106571013A (zh) 一种具有双重警示功能的酒精测试仪
CN110517561A (zh) 一种驾培车载系统
KR20220084449A (ko) 부착형 휴대용 음주측정기
CN105849558A (zh) 醛分解酶活性基因型判断方法、扁平上皮癌发生危险度判断方法、扁平上皮癌发生危险度判断装置及程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