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1994Y1 - 휴대용 음주 측정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음주 측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1994Y1
KR200221994Y1 KR2019990000362U KR19990000362U KR200221994Y1 KR 200221994 Y1 KR200221994 Y1 KR 200221994Y1 KR 2019990000362 U KR2019990000362 U KR 2019990000362U KR 19990000362 U KR19990000362 U KR 19990000362U KR 200221994 Y1 KR200221994 Y1 KR 2002219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cohol
housing
pipe
shaf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03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7507U (ko
Inventor
김태윤
Original Assignee
윤동현
카오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동현, 카오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동현
Priority to KR20199900003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1994Y1/ko
Publication of KR199900175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75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19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1994Y1/ko

Lin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Fluid Adsorption Or Reaction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Abstract

휴대용 음주 측정기가 개시된다. 상기 휴대용 음주 측정기는 그 상측 양단부에 삽입홀 및 배기홀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관통 삽입되며, 그 일단부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홀을 통해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고, 그 타단부는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배기홀에 연통되어 있고, 그 저부 소정위치에는 상기 유입되는 공기를 수납할 수 있도록 연통된 센서 챔버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파이프 조립체, 상기 센서 챔버 내에 제공되어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알콜성분을 검출하는 알콜 검출 센서, 검출된 알콜 농도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및 상기 알콜 검출 센서로부터 전기 신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입력된 전기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표시부에 전기 신호를 전송하므로써, 상기 표시부에 알콜 농도가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음주 측정기는 알콜 검출 센서로 침과 같은 액체가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알콜 농도의 측정이 가능하며, 알콜 검출 센서에 잔재하는 알코올 성분이 배기홀을 통해 신속히 외부로 배기되기 때문에 연속적인 알콜 농도 측정시 대기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음주 측정기{PORTABLE APPARATUS FOR DETECTING AN ALCOHOL CONTENT IN THE BREATH OF A USER}
본 고안은 휴대용 음주 측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조를 가지며, 휴대가 용이하고, 혈중 알콜 농도의 정확한 측정이 가능함은 물론 연속적인 알콜 농도 측정시 요구되는 대기 시간도 감소시킬 수 있는 휴대용 음주 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음주 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의 증가 추세에 따라 음주 운전에 대한 경계심이 높아지고 있다. 음주 운전에 대한 단속이 강화되었으며, 그 처벌 또한 점점 더 무거워지는 과정에 있다.
대부분의 운전자들은 자신의 혈중 알콜 농도를 알지 못하는 상황에서 운전을 하게 된다. 또한, 혈중 알콜 농도는 사람들마다의 신체적인 조건 및 바이오리듬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두 사람이 마신 술의 양이 동일하더라도 서로 다른 알콜 농도 수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술을 한두잔 정도밖에 먹지 않았으나 알콜 농도 수치가 높게 나온 운전자와 단속 경찰관과의 시비가 끊이지 않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자신의 현재 혈중 알콜 농도를 정확히 알 수 있게 해주는 음주 측정기를 운전자들이 휴대하고 있다면 쉽게 해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운전자들은 음주 측정기를 사용하여 현재의 상태가 운전을 해도 되는 상황인지 아닌지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며, 알콜 농도가 높게 나온 경우에는 그 농도가 낮아 질 때까지 휴식을 취한 후 알콜 농도가 법적인 한도 내에 도달할 때 운전을 하면 되는 것이다.
교통 경찰이 사용하는 음주 측정기는 정확한 측정과 측정 결과를 법적 증거자료로 사용하기 위한 부가 기능 등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매우 고가이며, 따라서, 일반 운전자들이 사용하기에는 경제적인 어려움이 있다.
최근에는 저렴한 일반 휴대용 음주 측정기들이 소개되고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96-024366호에는 휴대 가능한 음주 측정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음주 측정기는 본체,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불대 및 알콜성분만을 검출하는 알콜 감지용 센서로 구성된다. 상기 센서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는 데이터 전송선을 통해 전송되며, 표시부에서는 상기 전송된 데이터에 따라 알콜 농도를 표시한다.
그러나, 상기 음주 측정기는 불대로부터 유입되는 침이 상기 알콜 센서에 전달되기 때문에 센서의 수명이 단축됨은 물론 장기간 사용할 경우 정확한 알콜 농도 측정이 어렵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
아울러, 상기 음주 측정기에서는 센서에 잔여하는 알콜성분이 자연적으로 제거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기 때문에, 연속적인 알콜 농도 측정시 사용 대기 시간이 매우 길게 걸린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혈중 알콜 농도의 정확한 측정이 가능함은 물론 연속적인 알콜 농도 측정시 요구되는 대기 시간도 감소시킬 수 있는 휴대용 음주 측정기를 제공하는 것이 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주 측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우징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1에 도시된 파이프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3에 도시된 내측 파이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4에 도시된 A-A부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 20 : 표시부
30 : 후방 프레임40 : 전방 프레임
100 : 음주 측정기200 : 파이프 조립체
210 : 마우스 피스220 : 내측 파이프
230 : 제1 파이프240 : 제2 파이프
250 : 플랜지260 : 제3 파이프
270 : 센서 챔버280 : 알콜 검출 센서
290 : 배기 덕트300 : 제어부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그 상측 양단부에 삽입홀 및 배기홀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관통 삽입되며, 그 일단부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홀을 통해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 되고, 그 타단부는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배기홀에 연통되어 있고, 그 저부 소정위치에는 상기 유입되는 공기를 수납할 수 있도록 연통된 센서 챔버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파이프 조립체, 상기 센서 챔버 내에 제공되어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알콜성분을 검출하는 알콜 검출 센서, 검출된 알콜 농도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및 상기 알콜 검출 센서로부터 전기 신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입력된 전기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표시부에 전기 신호를 전송하므로써, 상기 표시부에 알콜 농도가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주 측정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1내지 도4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주 측정기(100) 및 그 주요 구성 요소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음주 측정기(100)는 하우징(10)을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10)의 외형은 소정의 곡면을 갖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유려한 미관을 제공하는 한편 사용자가 상기 음주 측정기(100)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2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은 전방 프레임(40) 및 상기 전방 프레임(40)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후방 프레임(30)을 포함한다. 상기 전방 프레임(40)의 전면에는 투명 표시창(16) 및 전원 스위치(18)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투명 표시창(16)의 내부에는 혈중 알콜 농도를 디지트로 나타내기 위한 3자리의 7세그먼트 표시부(20)와 동작모드 표시용 발광다이오드들(LED1~LED3)이 설치된다. 발광다이오드(LED1)는 측정 준비 표시용이고, 발광다이오드(LED2)는 로우 배터리 표시용이며, 발광다이오드(LED3)는 혈중 알콜 농도가 0.05% 이상인 경우에 점등되는 경고 표시용이다. 발광다이오드들(LED1~LED3)과 표시부(20)는 제어부(300)에 연결되어 그 작동을 제어 받는다.
상기 전방 프레임(40)의 상부 양 측단에는 제1 반원형 홀(42) 및 제1 반타원형 홀(4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방 프레임(40)이 후방 프레임(30)과 결합될 때, 상기 제1 반원형 홀(42) 및 제1 반타원형 홀(44)은 상기 후방 프레임(30)의 상부 양측단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반원형 홀(32) 및 제2 반타원형 홀(34)과 결합되어 원형 삽입홀(52) 및 타원형 배기홀(54)을 형성한다. 상기 타원형 배기홀(54)은 상기 원형 삽입홀(52)의 위치보다 소정 거리만큼 낮은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원형 삽입홀(52)의 위치에 상응하는 상기 전방 및 후방 프레임(40, 30)의 내벽 상부 소정 위치에는 한 쌍의 수평 레일(36, 46)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 레일들(36, 46)의 일측에는 수직리브(rib; 38, 48)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다시 도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음주 측정기(100)는 상기 하우징(10)의 상단에 관통 삽입되는 파이프 조립체(200)를 구비한다. 상기 파이프 조립체(200)의 일단부는 사용자가 입으로 불수 있도록 상기 원형 삽입홀(52)을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돌출되고, 그 타단부는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타원형 배기홀(54)에 연통되어 있다.
이하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상기 파이프 조립체(200)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파이프 조립체(200)는 상기 원형 삽입홀(52)을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돌출되는 마우스 피스(210) 및 상기 하우징(10) 내에 배치되는 내측 파이프(220)를 포함한다.
상기 내측 파이프(220)는 상기 마우스 피스(210)의 일단부에 형성된 삽입관(212)과 결합되는 제1 샤프트(230), 상기 제1 샤프트(230)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샤프트(230) 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그 양측부에는 한 쌍의 수평 플레이트(24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제2 샤프트(240), 상기 제2 샤프트(240)의 말단에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원형 플랜지(250), 상기 원형 플랜지(250)와 일체로 형성되며 그 상부가 경사진 평면부(262)로 구성되는 제3 샤프트(260) 및 상기 제3 샤프트(260)의 말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타원형 배기홀(54)에 연통되는 배기덕트(290)를 포함한다.
상기 제3 파이프(260)의 저면에는 알콜 검출 센서(280)가 안치되는 센서 챔버(27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알콜 검출 센서(280)는 예컨대 FIGARO 2000 시리즈의 TGS 2620 센서를 사용하며, 50~5,000ppm의 감지 범위를 가진다.
도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센서 챔버(270)와 상기 제3 파이프(260) 사이에는 연통홀(272)이 개재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입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상기 연통홀(272)을 통해 상기 센서 챔버(270) 내로 안내되며, 상기 알콜 검출 센서(280)는 상기 센서 챔버(270)로 안내된 공기 중에 포함된 알콜성분을 검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3 파이프(260)의 상부에 형성된 경사진 평면부(262)는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센서 챔버(270) 및 상기 배기 덕트(290)로 용이하게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배기 덕트(290)는 상기 제3 샤프트(260)의 하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절곡되어 연장하므로써 상기 타원형 배기홀(54)에 연통된다. 공기의 유동 면적을 확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배기 덕트(290)는 상기 타원형 배기홀(54)과 상응하는 타원형의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제2 샤프트(240)의 양 측부에 제공된 한 쌍의 수평 플레이트(242)는 상기 전방 및 후방 프레임(40, 30)의 내벽에 설치된 한 쌍의 수평 레일(36, 46) 사이에 각각 계합되므로써, 상기 파이프 조립체(200)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수평 레일들(36, 46) 일측에 설치된 수직리브들(38, 48)은 상기 한 쌍의 원형 플랜지(250) 사이에 각각 계합되므로써 상기 파이프 조립체(200)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4 및 도5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3 파이프(260)의 내벽 입구의 저면에는 문턱부(24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문턱부(244)는 음주 측정기(100)를 사용할 때, 침과 같은 액체가 상기 알콜 검출 센서(28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전단부(244A)는 상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경사되어 있다.
이하, 상기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음주 측정기(100)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전원 스위치(18)를 턴온시키면 상기 제어부(300)는 알콜 검출 센서(280)를 가동시킨다. 이때, 상기 알콜 검출 센서(280)는 대략 300℃ 정도로 가열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마우스피스(210)에 입을 대고 공기를 불어넣으면, 상기 공기는 파이프 조립체(200)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파이프 조립체(200)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센서 챔버(270) 및 배기 덕트(290)로 안내된다. 이때, 상기 제3 파이프(260)의 경사진 평면부(262)는 상기 공기와 접촉하여 공기의 방향을 상기 센서 챔버(270) 및 배기 덕트(290) 방향으로 용이하게 안내하며, 상기 제3 파이프(260)의 내벽 저면에 제공되는 문턱부(244)는 침과 같은 액체가 상기 센서 챔버(270)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이어서, 상기 센서 챔버(270) 내에 안치되어 있는 알콜 검출 센서(280)가 공기 중에 포함된 알콜성분을 검출하며, 그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300)에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300)는 입력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표시부(20)에 전기 신호를 전송하므로써, 상기 표시부(20)에 알콜 농도가 표시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파이프 조립체(2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배기 덕트(290) 및 배기홀(54)을 통해 외부로 배기되도록 되어 있는데, 이러한 배기 구조는 알콜 측정 완료 후 알콜 검출 센서(280)에 잔재하는 알콜성분을 빠른 시간 내에 제거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음주 측정기는 알콜 검출 센서로 침과 같은 액체가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센서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정확한 알콜 농도의 측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알콜 검출 센서에 잔재하는 알코올 성분이 배기홀을 통해 신속히 외부로 배기되기 때문에 연속적인 알콜 농도 측정시 요구되는 대기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는 추가의 장점을 갖는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그 상측 양단부에 삽입홀 및 배기홀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관통 삽입되며, 그 일단부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홀을 통해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고, 그 타단부는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배기홀에 연통되어 있고, 그 저부 소정위치에는 상기 유입되는 공기를 수납할 수 있도록 연통된 센서 챔버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파이프 조립체;
    상기 센서 챔버 내에 제공되어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알콜성분을 검출하는 알콜 검출 센서;
    검출된 알콜 농도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및
    상기 알콜 검출 센서로부터 전기 신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입력된 전기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표시부에 전기 신호를 전송하므로써, 상기 표시부에 알콜 농도가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주 측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조립체는 상기 삽입홀을 통해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마우스 피스 및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내측 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파이프는 상기 마우스 피스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제1 샤프트, 상기 제1 샤프트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샤프트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그 양측부에는 한 쌍의 수평 플레이트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제2 샤프트, 상기 제2 샤프트의 말단에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원형 플랜지, 상기 원형 플랜지와 일체로 형성되며 그 상부가 경사진 평면부로 구성되는 제3 샤프트, 및 상기 제3 샤프트의 말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배기홀에 연통되는 배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챔버는 상기 제3 파이프의 저면에 제공되며, 상기 센서 챔버와 상기 제3 파이프 사이에는 연통홀이 개재되어 있고, 상기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제3 파이프의 경사진 평면부에 의해 상기 센서 챔버 및 상기 배기 덕트로 용이하게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주 측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홀은 상기 삽입홀의 위치보다 소정 거리만큼 낮은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배기 덕트는 상기 제3 샤프트의 하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절곡되어 연장하므로써 상기 배기홀에 연통되고, 공기의 유동 면적을 확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배기 덕트와 배기홀은 타원형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주 측정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표시부가 설치되어 있는 전방 프레임 및 상기 전방 프레임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후방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삽입홀의 위치에 상응하는 상기 전방 및 후방 프레임의 내벽 상부 소정 위치에는 한 쌍의 수평 레일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평 레일의 일측에는 수직리브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샤프트의 양 측부에 제공된 한 쌍의 수평 플레이트는 상기 한 쌍의 수평 레일 사이에 각각 계합되고, 상기 수직리브는 상기 한 쌍의 원형 플랜지 사이에 각각 계합되므로써 상기 파이프 조립체의 수직 및 수평 이동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 측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파이프의 내벽 저면에는 침과 같은 액체가 상기 알콜 검출 센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문턱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문턱부의 전단부는 상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 측정기.
KR2019990000362U 1999-01-15 1999-01-15 휴대용 음주 측정기 KR2002219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362U KR200221994Y1 (ko) 1999-01-15 1999-01-15 휴대용 음주 측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362U KR200221994Y1 (ko) 1999-01-15 1999-01-15 휴대용 음주 측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507U KR19990017507U (ko) 1999-05-25
KR200221994Y1 true KR200221994Y1 (ko) 2001-05-02

Family

ID=54754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0362U KR200221994Y1 (ko) 1999-01-15 1999-01-15 휴대용 음주 측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1994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798B1 (ko) * 2002-06-17 2004-05-17 안상희 음주측정기의 측정관체
KR100609641B1 (ko) * 1999-04-23 2006-08-04 가부시키가이샤 타니타 호기 성분 게이지 및 호기 성분 측정 기능을 갖춘 셀룰러폰
KR100846062B1 (ko) 2007-04-27 2008-07-11 유도준 알콜 센서모듈의 교체가 용이한 음주측정기
KR101519462B1 (ko) * 2013-07-16 2015-05-13 주식회사 디에이텍 음주측정기
US10215742B2 (en) 2014-02-05 2019-0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7787B1 (ko) * 2006-03-02 2007-02-27 (주)센텍코리아 탈착식 알콜센서 모듈이 구비된 음주측정기 및음주측정기용 알콜센서 모듈
KR100827714B1 (ko) * 2007-02-27 2008-05-07 김원수 음주 측정기의 알콜농도 교정을 위한 호흡 알콜 시험장치
KR101123771B1 (ko) * 2010-07-29 2012-03-16 주식회사 디에이텍 혈중알코올농도 측정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9641B1 (ko) * 1999-04-23 2006-08-04 가부시키가이샤 타니타 호기 성분 게이지 및 호기 성분 측정 기능을 갖춘 셀룰러폰
KR100431798B1 (ko) * 2002-06-17 2004-05-17 안상희 음주측정기의 측정관체
KR100846062B1 (ko) 2007-04-27 2008-07-11 유도준 알콜 센서모듈의 교체가 용이한 음주측정기
KR101519462B1 (ko) * 2013-07-16 2015-05-13 주식회사 디에이텍 음주측정기
US10215742B2 (en) 2014-02-05 2019-0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507U (ko) 1999-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21994Y1 (ko) 휴대용 음주 측정기
US20110265889A1 (en) Automatic Urine Collecting Device
TW201200872A (en) Breath alcohol measuring apparatus
US4656008A (en) Alcohol breath testing device
KR101097952B1 (ko) 알코올센서의 오작동 감지가 가능한 음주측정기
JP5154112B2 (ja) 呼気検査器
KR20020070401A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음주측정기
KR101007519B1 (ko) 음주측정기
KR100735843B1 (ko) 경찰단속용 음주감지기
KR101519462B1 (ko) 음주측정기
KR101509723B1 (ko) 스마트 디바이스용 호흡측정 인터페이스 장치
KR100998217B1 (ko) 음주측정기
CA2410243A1 (en) Breath-alcohol measuring instrument
KR200287005Y1 (ko) 음주측정기가 장착된 은용액제조기
CN208334185U (zh) 用于检测一氧化碳释放剂释放一氧化碳的动力学装置
KR200230406Y1 (ko) 음주측정기
CN216594766U (zh) 一种基于ndir原理的呼气式酒精检测仪
CN215375447U (zh) 多功能酒精气体快速排查仪
CN203490190U (zh) 高精度半导体呼出气体酒精浓度检测仪
KR200357468Y1 (ko) 음주측정기의 알코올 감지 장치
CN220899415U (zh) 一种发光跳绳及其控制系统
JPS62157572A (ja) 懐中電灯兼酒気判定具
CN214408673U (zh) 一种低精面粉参假检测用手持检测装置
KR102612109B1 (ko) 비접촉식 음주측정기
CN106571013A (zh) 一种具有双重警示功能的酒精测试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3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