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1798B1 - 음주측정기의 측정관체 - Google Patents

음주측정기의 측정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1798B1
KR100431798B1 KR10-2002-0033611A KR20020033611A KR100431798B1 KR 100431798 B1 KR100431798 B1 KR 100431798B1 KR 20020033611 A KR20020033611 A KR 20020033611A KR 100431798 B1 KR100431798 B1 KR 100431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pipe
measuring
tube
breathalyzer
control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3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6634A (ko
Inventor
안상희
Original Assignee
안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상희 filed Critical 안상희
Priority to KR10-2002-0033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1798B1/ko
Publication of KR20030096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6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1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17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97Devices for facilitating collection of breath or for directing breath into or through meas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2Evaluation by breath analysis, e.g. determination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exhaled brea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gaseous biological material, e.g. breath
    • G01N33/4972Determining alcohol cont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Immu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주측정기의 측정관체에 관한 것으로서, 음주측정기로 피측정자의 호흡을 인입시키기 위한 관체 구성으로서의 측정관체(1)에 있어서,상기 측정관체(1)의 마우스피스 반대향의 후방단부는 벽체로서 패색되고,상기 벽체 부에 인접하여 측정관체(1)를 관통하며 상하 개방된 관체인 배출관부(10),상기 배출관부(10)의 하방은 상기 측정관체(1)의 내방으로 연장개방되고, 그 의 하방단부에는 관부 내측으로 연장돌출한 링체인 조절볼시트링(11),상기 배출관부(10)의 상방 내방으로 돌출한 한쌍의 돌기(12),상기 배출관부(10) 내방에 수용되고 상기 돌기(12)와 조절볼시트링(11) 사이에서 측방유격을 가지고 유동하는 조절볼(20),상기 배출관부(10)의 반대향의 측정관체(1)의 하방으로 음주측정기의 센서부로 호흡을 유도하기 유도하는 배출공을 가지는 유도삽입관(30)등을 더 포함하여,상기 조절볼(20)이 상기 측정관체(1) 내로 인입되는 호흡량이 기준 이상을 넘으면 상기 조절볼시트링(11)로부터 이격되어 잔여호흡량을 배출관부(10) 상방으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주측정기의 측정관체{Mouth piece for the alcohol meter}
본 발명은 음주측정기의 측정관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일반적인 알코홀 센서를 장착하는 음주측정기에서 측정의 정밀도를 높이고, 사용 상의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한 측정관체의 새로운 구성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음주측정기는 알코홀을 함유하는 피측정자의 호흡을 측정기의 센서로까지 유도하는 측정관체와, 인입된 호흡중의 알코홀 성분을 측정하는 알코홀센서, 알코홀센서로부터 측정된 알코홀 값을 판독하여 기준값과 비교하는 연산처리부및 신호증폭부 등으로 이루어지는 전자적인 회로구성체로서 구성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중에 측정관체는 피측정자가 입에 물어 취출하게 되는 인적인 요소가 가미되는 부분으로서 많은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고 본 출원인도 다수의 선원으로서 측정관체에 대한 출원을 한 바있다.
본 발명의 음주측정기의 측정관체는 선출원의 구성을 개선하여 더욱 안정화된 측정과 피측정자 간의 마찰을 극소화하게 하는 구성을 담고 있다.
통상적인 종래로부터의 측정관체나 본 출원인의 선출원으로서의 측정관체는 인체에 무해한 플라스틱 성형체 등의 관체 형상으로 측정관체를 만들고 그 관체에 직각되는 방향으로 알코홀센서장착부를 구비함으로서 피측정자가 이 측정관체에 대고 불게 됨으로서 유입되는 유동 기체 중의 일부를 취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로 부터의 구성은 피측정자가 반복적으로 입을 대고 불게 되는 측정관체는 대단히 비위생적이고 따라서 측정 시 마다 이 측정관체 전체를 교환하는 방식을 취하게 되고, 따라서 이러한 측정관체를 저렴하고도 신뢰성이 높게 만드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이러한 측정관체는 종래, 단순한 관체 형상으로서 구성함으로서 실제적으로 음주측정이 가능한 정도로 호흡 중, 일부를 알코홀센서 측으로 유입시키기 위해서는 상당한 강도로 피측정자가 측정관체에 대고 호흡을 취출하여야 하므로 음주측정 시에 측정자인 경찰과 피측정자인 음주자 사이에서는 더 세게 취출할 것을 요구하는 실랑이가 벌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게 되는 바, 이는 측정자인 경찰관 등이 시각적으로 적당량의 취출을 확인하지 못함에 기인하는 바가 크다.
또한, 측정기는 일정량 이상 인입되어야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며 과도한 호흡의 진입은 측정이상 또는 후속 측정 시의 측정오차를 크게 하는 요인이 되므로 측정에 필요한 최소적량을 한정하여 인입시키게 하는 구성이 요구된다.
상기하는 제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음주측정기의 측정관체어셈블리는 최적 호흡의 취출량을 시각적으로 측정자가 판단할 수 있게 되어 측정에 따른 분쟁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최소의 호흡의 인입이 가능하게 하는 구성을 가짐으로서 고가의 장비의 수명의 연장과 후속 측정의 정밀도를 항상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유용성을 부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음주측정기의 측정관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음주측정기의 측정관체의 요부를 도시하는 측정관체의 후단부의 부분만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구성 및 작동을 설명하는 도 2 의 종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음주측정기의 측정관체의 다른 구성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음주측정기의 측정관체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측정관체
2: 마우스피스
3: 인입관부
4: 벽부
10: 배출관부
11: 조절볼시트링
12: 돌기
20: 조절볼
이러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주측정기의 측정관체는;
음주측정기로 피측정자의 호흡을 인입시키기 위한 관체 구성으로서의 측정관체에 있어서,
상기 측정관체의 마우스피스 반대향의 후방단부는 벽체로서 패색되고,
상기 벽체 부에 인접하여 측정관체를 관통하며 상하 개방된 관체인 배출관부,
상기 배출관부의 하방은 상기 측정관체의 내방으로 연장개방되고, 그 의 하방단부에는 관부 내측으로 연장돌출한 링체인 조절볼시트링,
상기 배출관부의 상방 내방으로 돌출한 한쌍의 돌기,
상기 배출관부 내방에 수용되고 상기 돌기와 조절볼시트링 사이에서 측방유격을 가지고 유동하는 조절볼,
상기 배출관부의 반대향의 측정관체의 하방으로 음주측정기의 센서부로 호흡을 유도하기 유도하는 배출공을 가지는 유도삽입관 등을 더 포함하여,
상기 조절볼이 상기 측정관체 내로 인입되는 호흡량이 기준 이상을 넘으면 상기 조절볼시트링로부터 이격되어 잔여호흡량을 배출관부 상방으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음주측정기의 측정관체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부수된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음주측정기의 측정관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 는 본발명의 음주측정기의 측정관체의 요부를 도시하는 측정관체의 후단부의 부분만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구성 및 작동을 설명하는 도 2 의 종단면도,도 4 는 본 발명의 음주측정기의 측정관체의 다른 구성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사시도,도 5 는 본 발명의 음주측정기의 측정관체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사시도이다.
도 1 에 도시되는 본 발명의 음주측정기의 측정관체(1)는, 인체에 무해한 합성수지 등으로 사출성형되는 관체의 형상을 가진다. 측정자의 입에 물게 되는 돌출링체인 마우스피스(2)를 가지고 연장된 관체의 인입관부(3)를 형성하며 단부 측에는 막힌 벽부(4)를 가지는 일체형의 사출체이다.
측정관체(1)의 후방단부에 본 발명의 음주측정기의 측정관체의 구성적인 특징이 구현되며 상방으로 돌출하는 배출관부(10)가 일체로 성형된 형상이다.
배출관부(10)는 상하가 개방된 형상체이며 일부가 측정관체(1)의 상방으로 하방으로는 측정관체(1)의 내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배출관부(10)의 측정관체 내방의 하방단부에는 내방으로 연장한 조절볼시트링(11)이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배출관부(10)의 상방에는 내방으로 돌출한 돌기(12)가 한쌍 돌출성형되어 있으며 그 역할은 하술하는 바와 같다.
배출관부(10)의 내방에는 역시 사출성형체 등의 조절볼(20)이 끼움된다. 배출관부(10)의 직경은 조절볼(20)의 직경보다 여유가 있을 정도로 크고 조절볼시트링(11)의 내직경은 조절볼(20)을 수용하여 안치할 수 있는 정도로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조절볼(20)은 노란색, 빨간색 등의 색상을 가지는 것이 측정자가 조절볼(20)의 유동을 관찰하기에 용이하게 된다.
상기의 배출관부(10)의 상방의 내방으로 돌출한 돌기(12)의 돌출높이는 조절볼(20)을 수용하여 고정할 수 있을 정도로 구성하게 된다.
배출관부(10)에 반대향하는 측정관체(1)의 하방측으로는 도시하지 아니하는 음주측정기의 센서로의 유도공으로 삽입하기 위한 유도삽입관(30)이 일체로 성형되어 돌출하고 있다. 40 은 피측정자의 지나친 취출 등에 급격한 호흡의 배출을 위한 완충배출공이다.
상기하는 구성의 본 발명의 음주측정기의 측정관체의 작용을 설명한다.
배출관부(10)의 내방에 수용되는 조절볼(20)은 합성수지체이므로 상당 정도의 풍압에 의하여 상방으로 들어올려져서 조절볼시트링(11)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될 수 있게 된다. 조절볼(20)의 조립 시에는 상기의 배출관부(10)의 돌기(12) 상에서 억지끼움하면 합성수지체의 신축성으로 인하여 조절볼(20)은 용이하게 배출관부(10) 내방으로 인입되어 상방의 돌기(12)와 하방의 조절볼시트링(11) 사이에 안치되게 되는 것이다.
피측정자가 호흡을 본 발명의 측정관체(1)를 물고 취출하게 되면(B), 측정이 가능한 정도의 호흡량이 되면 상기의 조절볼(20)이 상방으로 들어올려지게 하고, 잔여호흡량(R)이 배출관부(10)의 내직경과 조절볼(20) 사이를 통하여 상방으로 배출되게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측정자는 색깔을 가진 조절볼(20)의 움직임을 관찰함으로서 구두로 취출을 유도함의 필요없이 적량 취출인지, 아닌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있게 된다. 또한, 과다한 호흡량으로 인하여 과도한 습기가 정밀한 알코올 센서로 인입되어 수명을 단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배출관부(10)에 반대향하는 측정관체(1)의 하방측으로의 음주측정기(S)의 센서로의 유도공으로 삽입하기 위한 유도삽입관(30) 대신에 배출관부(10)에 삽입부(31)를 형성하고 음주측정기(S)에서 돌출한 삽입관(60)을 구성하여도 역시 동일한 결과를 얻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개선된 구성에서는, 도 5 의 실시구성과 같이,
상기의 마우스피스(2) 부는 입구의 단면적(S1)이 크고 인입관부(3) 측으로 가면서 단면적(S2)가 축소되는 형상으로 구성하여 전체적인 형상은 깔대기형상이 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함으로서, 상기의 마우스피스(2) 부는 입구의 단면적(S1)이 크고 인입관부(3) 측으로 가면서 단면적(s2)가 축소되는 형상으로 되어 피측정자가 입에 물지 않고 마우스피스(2) 부에 입술을 가볍게 대고 취출하면 됨으로서 위생 상의 불결함을 느끼지 않고 취출자는 약간의 호흡만을 취출하더라도 전체 양이 단면적의 감소와 함께 수합되어 측정의 최소요구량에 용이하게 이르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측정자는 색깔을 가진 조절볼(20)의 움직임을 관찰함으로서 구두로 취출을 유도함의 필요없이 적량 취출인지, 아닌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있게 된다. 또한, 과다한 호흡량으로 인하여 과도한 습기가 정밀한 알코올 센서로 인입되어 수명을 단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음주측정기의 측정관체어셈블리는, 피측정자의 정량호흡의 취출을 가시적으로 측정자가 관찰할 수있게 되어서 측정 시의 시비를 피할 수 있고, 측정필요량 이상의 과도한 호흡의 인가로서 호흡 중의 습기로 인한 음주측정기의 정밀한 알코올센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잔여호흡으로 인한 후속 측정 시의 정밀도의 저하를 방지하는 등의 다중의 작용효과를 가지게 된다.

Claims (3)

  1. 음주측정기로 피측정자의 호흡을 인입시키기 위한 관체 구성으로서의 측정관체(1)에 있어서,
    상기 측정관체(1)의 마우스피스 반대향의 후방단부는 벽체로서 패색되고,
    상기 벽체 부에 인접하여 측정관체(1)를 관통하며 상하 개방된 관체인 배출관부(10),
    상기 배출관부(10)의 하방은 상기 측정관체(1)의 내방으로 연장개방되고, 그 의 하방단부에는 관부 내측으로 연장돌출한 링체인 조절볼시트링(11),
    상기 배출관부(10)의 상방 내방으로 돌출한 한쌍의 돌기(12),
    상기 배출관부(10) 내방에 수용되고 상기 돌기(12)와 조절볼시트링(11) 사이에서 측방유격을 가지고 유동하는 조절볼(20),
    상기 배출관부(10)의 반대향의 측정관체(1)의 하방으로 음주측정기의 센서부로 호흡유도용의 배출공을 가지는 유도삽입관(30)등을 더 포함하여,
    상기 조절볼(20)이 상기 측정관체(1) 내로 인입되는 호흡량이 기준 이상을 넘으면 상기 조절볼시트링(11)로부터 이격되어 잔여호흡량을 배출관부(10) 상방으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측정기의 측정관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부(10)의 내직경은 조절볼(20)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조절볼시트링(11)의 내직경은 조절볼(20)을 안치할 수 있는 돌출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측정기의 측정관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관체(1)의 상기의 마우스피스(2)는 입구측의 단면적(S1)이 크고 인입관부(3) 측으로 가면서 단면적(s2)이 축소되는 형상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측정기의 측정관체.
KR10-2002-0033611A 2002-06-17 2002-06-17 음주측정기의 측정관체 KR100431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3611A KR100431798B1 (ko) 2002-06-17 2002-06-17 음주측정기의 측정관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3611A KR100431798B1 (ko) 2002-06-17 2002-06-17 음주측정기의 측정관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6634A KR20030096634A (ko) 2003-12-31
KR100431798B1 true KR100431798B1 (ko) 2004-05-17

Family

ID=32387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3611A KR100431798B1 (ko) 2002-06-17 2002-06-17 음주측정기의 측정관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17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12223A2 (ko) * 2011-07-16 2013-01-24 Kong Cheol-Gyu 음주측정기용 불대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1942A (ko) * 1998-08-06 1998-11-25 김한영 반도체센서형 음주측정기
KR0126889Y1 (ko) * 1995-07-04 1998-12-01 권홍수 음주 측정용 불대
KR200189028Y1 (ko) * 2000-01-12 2000-07-15 안상희 단속용 음주측정기의 흡입장치
KR200212228Y1 (ko) * 2000-08-14 2001-02-15 강남순 음주측정기의 마우스피스 어셈블리
KR200221994Y1 (ko) * 1999-01-15 2001-05-02 윤동현 휴대용 음주 측정기
KR200234405Y1 (ko) * 2001-03-29 2001-10-10 안상희 음주측정기용 취입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6889Y1 (ko) * 1995-07-04 1998-12-01 권홍수 음주 측정용 불대
KR19980081942A (ko) * 1998-08-06 1998-11-25 김한영 반도체센서형 음주측정기
KR200221994Y1 (ko) * 1999-01-15 2001-05-02 윤동현 휴대용 음주 측정기
KR200189028Y1 (ko) * 2000-01-12 2000-07-15 안상희 단속용 음주측정기의 흡입장치
KR200212228Y1 (ko) * 2000-08-14 2001-02-15 강남순 음주측정기의 마우스피스 어셈블리
KR200234405Y1 (ko) * 2001-03-29 2001-10-10 안상희 음주측정기용 취입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12223A2 (ko) * 2011-07-16 2013-01-24 Kong Cheol-Gyu 음주측정기용 불대
KR200465606Y1 (ko) 2011-07-16 2013-02-28 공철규 음주측정기용 불대
WO2013012223A3 (ko) * 2011-07-16 2013-05-23 Kong Cheol-Gyu 음주측정기용 불대
GB2507212A (en) * 2011-07-16 2014-04-23 Youn Jeong Jang Mouthpiece for breathalyzer
US20140155777A1 (en) * 2011-07-16 2014-06-05 Youn-Jeong Jang Mouthpiece for breathalyz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6634A (ko) 2003-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64021A (en) Mouthpiece for a breath-alcohol measuring device
US5676132A (en) Pulmonary interface system
US4232683A (en) Therapeutic incentive spirometer
US20110155136A1 (en) Gas Inspiratory and Expiratory Device and Respiratory Mask Having the Same
US8286504B2 (en) Arrangement for improving accuracy of pressure measurement and flow sensor
US20180243523A1 (en) Controlling flow of exhaled breath during analysis
US5722417A (en) Long function monitoring apparatus flowheads
US4301810A (en) Ventilatory muscle training apparatus
US20190299055A1 (en) Respiratory device and system for exercising and analysing respiration of a subject
US4274425A (en) Mouthpiece for a redox gas measuring device
US20110232636A1 (en) Valved holding chamber and mask therefor
WO1999020984A1 (en) Respiratory measurement system
US4944306A (en) Spirometer for pulmonary measurement
US9233274B2 (en) Combination spirometer and PEP breathing exerciser
US4222391A (en) Unitary disposable sanitary sheath for temperature and respiration sensing probe
KR100431798B1 (ko) 음주측정기의 측정관체
US20030024528A1 (en) Moisture trap
US20210076979A1 (en) Device for measuring a person's ventilation including oxygen-consumption
KR101509723B1 (ko) 스마트 디바이스용 호흡측정 인터페이스 장치
KR20220029285A (ko) 호흡 측정 장치용 마우스피스 조립체
AU1838899A (en) Inhalation testing method and means
KR200234405Y1 (ko) 음주측정기용 취입관
AU766388B2 (en) Breathing exercise device for improving the vital capacity
KR200465606Y1 (ko) 음주측정기용 불대
US20230157576A1 (en) Mouthpiece assembly for respiration measuremen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