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1148A -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검사 단말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검사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1148A
KR20230021148A KR1020237002689A KR20237002689A KR20230021148A KR 20230021148 A KR20230021148 A KR 20230021148A KR 1020237002689 A KR1020237002689 A KR 1020237002689A KR 20237002689 A KR20237002689 A KR 20237002689A KR 20230021148 A KR20230021148 A KR 20230021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value
sheave
car
rope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2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1001B1 (ko
Inventor
사토시 야마사키
가즈키 우에니시
히로우미 구로카와
도요히로 노구치
다케히로 데루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21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1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1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1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76Load weighing or car passenger coun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92Position or motion detectors or driving means for the det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Abstract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칸(11), 로프(14), 시브(16), 전동기(17), 연산부(43), 기억부(40), 연산부(45), 및 판정부(46)를 구비한다. 연산부(43)는 엘리베이터 칸(11)이 승강로(13)의 특정 구간을 이동할 때의 시브(16)의 회전량을 연산한다. 연산부(45)는 로프(14) 중 엘리베이터 칸(11)이 상기 구간을 이동할 때 시브(16)에 감기는 부분의 직경을 연산한다. 판정부(46)는 연산부(45)에 의해서 연산된 직경에 기초하여, 로프(14)가 열화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검사 단말
본 개시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검사 단말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에 로프를 검사하기 위한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장치는, 투광기와 수광기를 구비한다. 투광기와 수광기의 사이에 로프가 배치된다. 투광기로부터 방사된 레이저광은 로프에 부딪힌다. 또, 수광기는 투광기로부터 방사된 레이저광을 받는다. 수광기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로프의 외형이 검출된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08-214037호 공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장치에서는, 로프가 열화되어 있는 것을 판정하기 위해서, 투광기 및 수광기와 같은 추가 기기가 필요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개시는 상술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졌다. 본 개시의 목적은, 추가 기기를 필요로 하지 않고, 로프가 열화되어 있는 것을 판정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다른 목적은, 엘리베이터 장치에 추가 기기를 필요로 하지 않고, 로프가 열화되어 있는 것을 판정할 수 있는 검사 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승강로를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칸과, 엘리베이터 칸을 매다는 로프와, 로프가 감긴 시브와, 시브를 회전시키는 전동기와,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로의 특정 구간을 이동할 때의 시브의 회전량을 연산하는 제1 연산 수단과, 제1 기준값, 제2 기준값, 및 제3 기준값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제1 기준값, 제2 기준값, 및 제3 기준값과 시브의 홈부의 직경, 및 제1 연산 수단에 의해서 연산된 회전량에 기초하여, 로프 중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구간을 이동할 때 시브에 감기는 부분의 직경을 연산하는 제2 연산 수단과, 제2 연산 수단에 의해서 연산된 직경에 기초하여, 로프가 열화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구비한다. 제1 기준값은 시브의 홈부의 직경에 대한 기준의 값이다. 제2 기준값은 로프의 부분의 직경에 대한 기준의 값이다. 제3 기준값은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구간을 이동할 때의 시브의 회전량에 대한 기준의 값이다.
본 개시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가상적으로 분할된 복수의 구간을 포함하는 승강로를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칸과, 엘리베이터 칸을 매다는 로프와, 로프가 감긴 시브와, 시브를 회전시키는 전동기와, 엘리베이터 칸이 복수의 구간 각각을 이동할 때의 시브의 회전량을 연산하는 제1 연산 수단과, 제1 기준값과 복수의 구간 각각에 대한 제2 기준값 및 제3 기준값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복수의 구간 각각에 대해서, 제1 기준값, 그리고 대상 구간에 대한 제2 기준값 및 제3 기준값과 시브의 홈부의 직경, 및 제1 연산 수단에 의해서 연산된, 엘리베이터 칸이 해당 대상 구간을 이동할 때의 시브의 회전량에 기초하여, 로프 중 엘리베이터 칸이 해당 대상 구간을 이동할 때 시브에 감기는 부분의 직경을 연산하는 제2 연산 수단과, 제2 연산 수단에 의해서 연산된 직경에 기초하여, 로프가 열화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구비한다. 제1 기준값은 시브의 홈부의 직경에 대한 기준의 값이다. 복수의 구간 각각에 대한 제2 기준값은 로프 중 엘리베이터 칸이 복수의 구간 각각을 이동할 때 시브에 감기는 부분의 직경에 대한 기준의 값이다. 복수의 구간 각각에 대한 제3 기준값은 엘리베이터 칸이 복수의 구간 각각을 이동할 때의 시브의 회전량에 대한 기준의 값이다.
본 개시에 따른 검사 단말은, 승강로를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칸과, 엘리베이터 칸을 매다는 로프와, 로프가 감긴 시브와, 시브를 회전시키는 전동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로프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 단말이다. 검사 단말은,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로의 특정 구간을 이동할 때의 시브의 회전량을 연산하는 제1 연산 수단과, 제1 기준값, 제2 기준값, 및 제3 기준값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제1 기준값, 제2 기준값, 및 제3 기준값과 시브의 홈부의 직경, 및 제1 연산 수단에 의해서 연산된 회전량에 기초하여, 로프 중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구간을 이동할 때 시브에 감기는 부분의 직경을 연산하는 제2 연산 수단과, 제2 연산 수단에 의해서 연산된 직경에 기초하여, 로프가 열화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구비한다. 제1 기준값은 시브의 홈부의 직경에 대한 기준의 값이다. 제2 기준값은 로프의 부분의 직경에 대한 기준의 값이다. 제3 기준값은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구간을 이동할 때의 시브의 회전량에 대한 기준의 값이다.
본 개시에 따른 검사 단말은, 가상적으로 분할된 복수의 구간을 포함하는 승강로를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칸과, 엘리베이터 칸을 매다는 로프와, 로프가 감긴 시브와, 시브를 회전시키는 전동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로프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 단말이다. 검사 단말은 엘리베이터 칸이 복수의 구간 각각을 이동할 때의 시브의 회전량을 연산하는 제1 연산 수단과, 제1 기준값과 복수의 구간 각각에 대한 제2 기준값 및 제3 기준값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복수의 구간 각각에 대해서, 제1 기준값, 그리고 대상 구간에 대한 제2 기준값 및 제3 기준값과 시브의 홈부의 직경, 및 제1 연산 수단에 의해서 연산된, 엘리베이터 칸이 해당 대상 구간을 이동할 때의 시브의 회전량에 기초하여, 로프 중 엘리베이터 칸이 해당 대상 구간을 이동할 때 시브에 감기는 부분의 직경을 연산하는 제2 연산 수단과, 제2 연산 수단에 의해서 연산된 직경에 기초하여, 로프가 열화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구비한다. 제1 기준값은 시브의 홈부의 직경에 대한 기준의 값이다. 복수의 구간 각각에 대한 제2 기준값은, 로프 중 엘리베이터 칸이 복수의 구간 각각을 이동할 때 시브에 감기는 부분의 직경에 대한 기준의 값이다. 복수의 구간 각각에 대한 제3 기준값은, 엘리베이터 칸이 복수의 구간 각각을 이동할 때의 시브의 회전량에 대한 기준의 값이다.
예를 들면, 본 개시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는, 제1 연산 수단이,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로의 특정 구간을 이동할 때의 시브의 회전량을 연산한다. 제2 연산 수단은 제1 기준값, 제2 기준값, 및 제3 기준값과 시브의 홈부의 직경, 및 제1 연산 수단에 의해서 연산된 회전량에 기초하여, 로프 중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구간을 이동할 때 시브에 감기는 부분의 직경을 연산한다. 판정 수단은 제2 연산 수단에 의해서 연산된 직경에 기초하여, 로프가 열화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본 시스템이면, 추가 기기를 필요로 하지 않고, 로프가 열화되어 있는 것을 판정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제어 장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제어 장치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S104의 열화 판정 처리의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시브에 로프가 감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직경 D의 측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직경 D의 다른 측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연산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보정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직경 D의 취득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직경 D의 다른 취득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제어 장치의 하드웨어 자원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어 장치의 하드웨어 자원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한 설명을 행한다. 중복하는 설명은, 적절히 간략화 혹은 생략한다.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분 또는 상당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실시 형태 1.
도 1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장치(1)를 구비한다. 엘리베이터 장치(1)는 네트워크(2)를 통해서 정보 센터(3)에 접속된다.
네트워크(2)는, 예를 들면 IP 네트워크이다. IP 네트워크는 통신 프로토콜로서 IP(Internet Protocol)를 이용한 통신 네트워크이다. 네트워크(2)는 클로즈드 네트워크여도 되고, 오픈 네트워크여도 된다. 정보 센터(3)는 다수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관리한다. 엘리베이터 장치(1)는 정보 센터(3)가 관리하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일례이다.
엘리베이터 장치(1)는 엘리베이터 칸(11) 및 균형 추(12)를 구비한다. 엘리베이터 칸(11)은 승강로(13)를 상하로 이동한다. 균형 추(12)는 승강로(13)를 상하로 이동한다. 엘리베이터 칸(11) 및 균형 추(12)는, 로프(14)에 의해서 승강로(13)에 매달린다. 로프(14)는, 예를 들면 와이어 로프이다.
권상기(15)는 시브(16), 전동기(17), 및 인코더(18)(도 1에서는 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로프(14)는 시브(16)에 감긴다. 전동기(17)는 시브(16)를 회전시킨다. 즉, 전동기(17)는 엘리베이터 칸(11)을 구동한다. 인코더(18)는 시브(16)의 회전각을 검출한다. 인코더(18)는 기준으로부터의 회전각에 따른 신호를 출력한다. 인코더(18)는 시브(16)의 회전각을 검출하는 검출기의 일례이다. 권상기(15)는 제어 장치(19)에 의해서 제어된다. 제어 장치(19)는 네트워크(2)를 통해서 정보 센터(3)와 통신 가능하다. 제어 장치(19)가 가지는 통신 기능은, 엘리베이터 장치(1)에 있어서 별개의 장치로서 구비되어도 된다.
도 1은 승강로(13)의 상방의 기계실(20)에 권상기(15) 및 제어 장치(19)가 설치되는 예를 나타낸다. 권상기(15) 및 제어 장치(19)는, 승강로(13)에 설치되어도 된다. 권상기(15) 및 제어 장치(19)가 승강로(13)에 설치되는 경우, 권상기(15) 및 제어 장치(19)는, 승강로(13)의 꼭대기부에 설치되어도 되고, 승강로(13)의 피트에 설치되어도 된다.
엘리베이터 칸(11)에 저울 장치(21)가 마련된다. 저울 장치(21)는 엘리베이터 칸(11)의 적재 하중을 측정한다. 도 1은 저울 장치(21)가 엘리베이터 칸(11)의 하부에 마련되는 예를 나타낸다. 저울 장치(21)는 로프(14)의 단부에 마련되어도 된다.
승강로(13)에 플레이트(22)가 마련된다. 플레이트(22)는 엘리베이터 칸(11)이 정지하는 각 승강장(23)의 높이에 맞춰서 배치된다. 도 1은 상하로 인접하는 2개의 승강장(23), 예를 들면 n층의 승강장(23)과 (n+1)층의 승강장(23)을 나타낸다. 이하에 있어서는, 승강장을 개별로 특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 n층의 승강장에 대해서 부호 23-n을 부여한다. 마찬가지로, 플레이트를 개별로 특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 승강장(23-n)의 높이에 맞춰서 배치된 플레이트에 대해서 부호 22-n을 부여한다. 예를 들면, 플레이트(22-5)는 5층의 승강장(23-5)의 높이에 맞춰서 배치된다.
엘리베이터 칸(11)에, 플레이트(22)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24)가 마련된다. 검출기(24)는, 예를 들면 광전 센서이다. 도 1은 엘리베이터 칸(11)이 어느 층의 승강장(23)에 정지해 있는 예를 나타낸다. 엘리베이터 칸(11)의 바닥면은, 그 층의 승강장(23)의 바닥면과 같은 높이에 배치된다. 엘리베이터 칸(11)이 도 1에 나타내는 높이에 배치되어 있으면, 검출기(24)는 해당 승강장(23)의 높이에 맞춰서 배치된 플레이트(22)를 검출한다.
조속기(25)는 엘리베이터 칸(11)의 속도가 특정 속도를 초과했을 때, 엘리베이터 칸(11)의 이동을 강제적으로 정지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조속기(25)는 엘리베이터 칸(11)의 속도가 특정 제1 속도를 초과하면, 권상기(15)에 대한 전원을 차단하여 엘리베이터 칸(11)을 전기적으로 정지시킨다. 조속기(25)는 엘리베이터 칸(11)의 속도가 특정 제2 속도를 초과하면, 비상 멈춤(도시하지 않음)을 동작시켜 엘리베이터 칸(11)을 기계적으로 정지시킨다. 제2 속도는 제1 속도보다 빠른 속도이다.
조속기(25)는 조속기 시브(26), 조속 로프(27), 연결 부재(28), 및 인코더(29)(도 1에서는 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도 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조속기 시브(26)는 기계실(20)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조속기 시브(26)는 승강로(13)의 꼭대기부에 마련되어도 된다. 조속 로프(27)는 무단(無端) 모양이다. 조속 로프(27)는 조속기 시브(26)에 감긴다. 연결 부재(28)는 엘리베이터 칸(11)에 마련된다. 조속 로프(27)는 연결 부재(28)를 통해서 엘리베이터 칸(11)에 연결된다. 엘리베이터 칸(11)이 이동하면, 조속 로프(27)가 이동한다. 조속 로프(27)가 이동하면, 조속기 시브(26)가 회전한다. 인코더(29)는 조속기 시브(26)의 회전각을 검출한다. 인코더(29)는 기준으로부터의 회전각에 따른 신호를 출력한다.
도 2는 제어 장치(19)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내는 것처럼, 제어 장치(19)는 기억부(40), 통신부(41), 동작 제어부(42), 연산부(43), 취득부(44), 연산부(45), 및 판정부(46)를 구비한다.
이하에, 도 3에서부터 도 7도 참조하여, 로프(14)를 검사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제어 장치(19)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제어 장치(19)에서는, 로프(14)의 검사를 개시하기 위한 개시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01). 예를 들면, 로프(14)의 검사는 엘리베이터 보수원에 의해서 행해진다. 보수원은 휴대 단말(4)을 소지하고, 엘리베이터 장치(1)가 구비된 빌딩을 방문한다. 휴대 단말(4)은, 예를 들면 스마트폰이다. 보수원은 휴대 단말(4)로부터 개시 신호를 송신한다. 다른 예로서, 개시 신호는 엘리베이터 칸(11)에 구비된 조작반(30)으로부터 송신되어도 된다. 개시 신호는 정보 센터(3)로부터 송신되어도 된다. 통신부(41)가 개시 신호를 수신하면, S101에서 Yes로 판정된다.
S101에서 Yes로 판정되면, 동작 제어부(42)는 로프(14)를 검사하기 위한 운전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동작 제어부(42)는 엘리베이터 칸(11)을 최하층의 승강장(23)에 정지시킨다(S102). 이하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 칸(11)이 1층에서 10층의 각 승강장(23)에 정지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즉, 최하층은 1층이다. 동작 제어부(42)는, S102에 있어서, 검출기(24)가 플레이트(22-1)를 검출하는 위치에 엘리베이터 칸(11)을 정지시킨다.
다음으로, 동작 제어부(42)는 엘리베이터 칸(11)을 최상층의 승강장(23)으로 이동시킨다(S103). 상술한 것처럼, 최상층은 10층이다. 동작 제어부(42)는. S103에 있어서, 검출기(24)가 플레이트(22-10)를 검출하는 위치에 엘리베이터 칸(11)을 정지시킨다.
엘리베이터 칸(11)이 승강장(23-1)을 출발한 후, 엘리베이터 칸(11)이 승강장(23-2)을 통과할 때 검출기(24)는 플레이트(22-2)를 검출한다. 그 후, 엘리베이터 칸(11)이 승강장(23-3)을 통과할 때, 검출기(24)는 플레이트(22-3)를 검출한다. 마찬가지로, 엘리베이터 칸(11)이 승강장(23)을 통과할 때마다, 검출기(24)는 플레이트(22)를 검출한다.
그리고, S103에서 엘리베이터 칸(11)이 승강장(23-10)에 정지하면, 로프(14)의 열화 상태를 판정하기 위한 처리가 개시된다(S104). 도 4는 S104의 열화 판정 처리의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열화 판정 처리는, S102에서 엘리베이터 칸(11)이 승강장(23-1)을 출발한 직후부터 개시되어도 된다.
승강로(13)에는 가상적으로 분할된 복수의 구간이 포함된다. 이 복수의 구간은 상하로 연속된다. 엘리베이터 칸(11)은 해당 복수의 구간을 이동한다. 예를 들면, 상하로 인접하는 2개의 플레이트(22)의 사이가 1개의 구간이다. 최하층이 1층이고, 최상층이 10층이면, 승강로(13)에 9개의 구간이 존재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플레이트(22-n)로부터 플레이트(22-(n+1))까지의 구간을 구간 n이라고 표기한다.
도 4는 S202부터 S208에 나타내는 일련의 처리가 각 구간에 대해서 행해지는 예를 나타낸다. 먼저, S201에 있어서 n=1로 설정된다. 연산부(43)는 엘리베이터 칸(11)이 구간 n을 이동할 때 시브(16)가 회전하는 양 Δθn을 연산한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11)이 구간 1을 이동할 때, 구간 1의 기점에 있어서, 검출기(24)는 플레이트(22-1)를 검출한다. 검출기(24)가 플레이트(22-1)를 검출했을 때의 시브(16)의 회전각 θ1이 인코더(18)에 의해서 검출된다. 연산부(43)는 인코더(18)에 의해서 검출된 회전각 θ1을 취득한다(S202).
마찬가지로, 엘리베이터 칸(11)이 구간 1을 이동할 때, 구간 1의 종점에 있어서, 검출기(24)는 플레이트(22-2)를 검출한다. 검출기(24)가 플레이트(22-2)를 검출했을 때의 시브(16)의 회전각 θ2가 인코더(18)에 의해서 검출된다. 연산부(43)는 인코더(18)에 의해서 검출된 회전각 θ2를 취득한다(S203). 연산부(43)는 S202에서 취득한 회전각 θ1과 S203에서 취득한 회전각 θ2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11)이 구간 1을 이동할 때의 시브(16)의 회전량 Δθ1을 연산한다(S204).
취득부(44)는 시브(16)의 홈부의 직경 D를 취득한다(S205). 또한, 직경 D의 중점은 시브(16)의 회전축 상의 점이다. 일례로서, 직경 D는, 보수원에 의해서 실측된다. 보수원은 직경 D의 측정값을 휴대 단말(4)로부터 입력하여, 제어 장치(19)에 송신한다. 취득부(44)는 통신부(41)가 휴대 단말(4)로부터 수신한 값을 직경 D로서 취득한다.
도 5는 시브(16)에 로프(14)가 감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로프(14)는 시브(16)에 형성된 홈의 바닥에 접촉하고 있지 않다. 이러한 경우, 직경 D는 홈의 바닥으로 간주되는 부분의 직경이다. 또, 도 5에 나타내는 것처럼, 시브(16)의 유효 지름은, 로프(14)의 직경을 d라고 하면, D+d/2+d/2=D+d로 나타내진다.
도 6은 직경 D의 측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시브(16)에 형성된 홈 중 로프(14)가 감겨있지 않은 부분에 검출자(31)를 대고 누르는 예를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기준면과 검출자(31)의 선단의 거리 L1에 기초하여 직경 D가 측정된다. 도 7은 직경 D의 다른 측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기준면으로부터의 로프(14)의 돌출량 L2를 측정하고, 직경 D를 도출하는 예를 나타낸다.
취득부(44)에 의해서 직경 D가 취득되면, 연산부(45)는 로프(14)의 직경 dn을 연산한다(S206). 직경 dn은 로프(14) 중, 엘리베이터 칸(11)이 구간 n을 이동할 때 시브(16)에 감겨 있는 부분의 직경이다. 연산부(45)는 다음 식에 의해서 직경 dn을 연산한다.
[수 1]
Figure pct00001
식 (1)에 있어서, D′는 시브(16)의 홈부의 직경 D에 대한 기준값이다. 기준값 D′는 기억부(40)에 미리 기억된다. 식 (1)에 있어서, Δθ′n은 엘리베이터 칸(11)이 구간 n을 이동할 때의 시브(16)의 회전량 Δθn에 대한 기준값이다. 기준값 Δθ′n은 기억부(40)에 미리 기억된다. 기준값 Δθ′n에 관해서는, 기억부(40)에 구간마다의 값이 기억된다. 즉, 기억부(40)에는, 구간 1에 대한 기준값 Δθ′1, 구간 2에 대한 기준값 Δθ′2, 구간 3에 대한 기준값 Δθ′3,···, 및 구간 9에 대한 기준값 Δθ′9가 기억된다.
식 (1)에 있어서, d′n은 로프(14) 중 엘리베이터 칸(11)이 구간 n을 이동할 때 시브(16)에 감겨 있는 부분의 직경 dn에 대한 기준값이다. 기준값 d′n은 기억부(40)에 미리 기억된다. 기준값 d′n에 관해서는, 기억부(40)에 구간마다의 값이 기억된다. 즉, 기억부(40)에는, 구간 1에 대한 기준값 d′1, 구간 2에 대한 기준값 d′2, 구간 3에 대한 기준값 d′3,···, 및 구간 9에 대한 기준값 d′9가 기억된다.
일례로서, 엘리베이터 장치(1)의 설치시에 측정된 각 값이, 기준값 D′, 기준값 Δθ′n, 및 기준값 d′n으로서 기억부(40)에 기억된다. 기준값 D′ 및 기준값 d′n은, 설계값이어도 된다. 그 후, 엘리베이터 장치(1)의 개수(改修)시에 측정된 각 값에 기초하여, 기준값 D′, 기준값 Δθ′n, 및 기준값 d′n이 갱신되어도 된다.
엘리베이터 칸(11)이 구간 n을 이동하고 있을 때의 시브(16)의 유효 지름은, D+dn이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11)의 이동량은 π(D+dn)×Δθn으로 나타내진다. 엘리베이터 장치(1)의 설치시에도 로프(14)의 검사시에도 구간 n의 거리, 즉 엘리베이터 칸(11)의 이동량은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다음 식이 성립한다. 또한, 식 (1)은, 다음 식으로부터 도출된다.
[수 2]
Figure pct00002
식 (1)에 나타내는 것처럼, 연산부(45)는, S206에 있어서, 기억부(40)에 기억된 기준값 D′, 기준값 Δθ′1, 및 기준값 d′1과, S204에서 연산된 회전량 Δθ1 및 S205에서 취득된 직경 D에 기초하여, 직경 d1을 연산한다.
다음으로, 판정부(46)는 연산부(45)에 의해서 연산된 직경 dn에 기초하여, 로프(14)가 열화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207). 예를 들면, 기억부(40)에, 열화 판정을 위한 임계값 ThA가 기억된다. 판정부(46)는 S206에서 연산된 직경 d1과 임계값 ThA를 비교한다. 판정부(46)는 S206에서 연산된 직경 d1이 임계값 ThA보다 작으면, 로프(14)가 열화되어 있다고 판정한다. 판정부(46)는, S206에서 연산된 직경 d1이 임계값 ThA보다 크면, 로프(14)가 열화되어 있다고 판정하지 않는다.
S207에서 로프(14)의 열화 판정이 행해지면, 구간 n에 관한 검사 결과가 기억부(40)에 기억된다(S208). 일례로서, 검사 결과에는, S206에서 연산된 직경 d1의 정보가 포함된다. 다른 예로서, 검사 결과에, S207에 있어서의 판정 결과가 포함된다.
어느 구간에 대한 일련의 처리가 종료되면, 해당 일련의 처리가 모든 구간에 대해서 행해졌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209). S209에서 No로 판정되면 n에 1이 가산된다(S210). 예를 들면 n의 값이 2가 된다. 이것에 의해, 구간 2에 대해서 상기 일련의 처리가 개시된다.
즉, S202에 있어서, 검출기(24)가 플레이트(22-2)를 검출했을 때의 시브(16)의 회전각 θ2가 취득된다. S203에 있어서, 검출기(24)가 플레이트(22-3)를 검출했을 때의 시브(16)의 회전각 θ3이 취득된다. S204에 있어서, 연산부(43)는, 엘리베이터 칸(11)이 구간 2를 이동할 때의 시브(16)의 회전량 Δθ2를 연산한다.
또, S206에 있어서, 연산부(45)는 기준값 D′, 기준값 Δθ′2, 및 기준값 d′2와, 이미 취득되어 있는 직경 D, 및 S204에서 연산된 회전량 Δθ2에 기초하여, 직경 d2를 연산한다. S207에 있어서, 판정부(46)는 연산부(45)에 의해서 연산된 직경 d2에 기초하여, 로프(14)가 열화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판정부(46)는, S206에서 연산된 직경 d2가 임계값 ThA보다 작으면, 로프(14)가 열화되어 있다고 판정한다. S208에 있어서, 구간 2에 관한 검사 결과가 기억부(40)에 기억된다.
그리고, 가상적으로 분할된 상기 복수의 구간 각각에 대해서, 회전량 Δθn의 연산, 직경 dn의 연산, 로프(14)의 열화 판정, 및 검사 결과의 기록이 행해진다. 모든 구간에 대해서 상기 일련의 처리가 행해지고, S209에서 Yes로 판정되는 것에 의해, 열화 판정 처리는 종료된다.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예이면, 엘리베이터 장치(1)에 추가 기기를 필요로 하지 않고, 로프(14)가 열화되어 있는 것을 판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특히 이미 설치된 엘리베이터 장치(1)로의 적용이 용이하다.
로프(14)는 구부림 횟수가 많을수록 빨리 열화된다. 이 때문에, 로프(14)의 열화는 전체 길이에 걸쳐 똑같이 진행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미리 설정된 구간마다, 로프(14)의 열화를 판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로프(14) 중 열화의 진행이 빠른 부분을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다.
본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는, S209에서 Yes로 판정된 후에, 이하에 나타내는 것 같은 동작이 행해져도 된다.
예를 들면,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간에 있어서, 로프(14)가 열화되어 있다고 S207에서 판정되면, 동작 제어부(42)는, 그 후의 엘리베이터 칸(11)의 운전을 휴지해도 된다.
다른 예로서, 본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검사 결과를 알리는 기능을 구비해도 된다. 예를 들면, 통신부(41)가 S101에서 휴대 단말(4)로부터 개시 신호를 수신하면, 통신부(41)는 검사 결과를 휴대 단말(4)에 송신한다. 이것에 의해, 휴대 단말(4)의 표시기(4a)에, 검사 결과가 표시된다. 통신부(41)가 S101에서 조작반(30)으로부터 개시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 통신부(41)는 검사 결과를 조작반(30)에 송신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조작반(30)의 표시기(30a)에, 검사 결과가 표시된다. 통신부(41)가 네트워크(2)를 통해서 정보 센터(3)로부터 개시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 통신부(41)는 검사 결과를 정보 센터(3)에 송신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정보 센터(3)에 구비된 표시기(3a)에, 검사 결과가 표시된다.
통신부(41)가 송신하는 검사 결과에는, 일부의 구간의 검사 결과밖에 포함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통신부(41)는 검사 결과를 송신함으로써, 로프(14) 중 S206에서 연산된 직경 dn이 가장 작은 부분에 대한 판정부(46)의 판정 결과를 표시기(4a, 3a, 혹은 30a)에 표시시켜도 된다.
이하에, 본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채용 가능한 다른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이하에 나타내는 복수의 기능을 조합하여 채용해도 된다.
제어 장치(19)는 연산부(47)를 더 구비해도 된다. 상술한 것처럼, S206에서 연산된 직경 dn은, S208에서 기억부(40)에 기억된다. 기억부(40)에는, 검사마다 직경 dn이 축적된다. 연산부(47)는, S206에서 직경 dn이 연산되면, 이번에 연산된 직경 dn과 과거에 연산된 직경 dn에 기초하여, 직경 dn의 시간 변화율을 연산한다. 예를 들면, n=1이면, 연산부(47)는 S206에서 직경 d1가 연산되면, 이번에 연산된 직경 d1과 전회에 연산된 직경 d1에 기초하여, 직경 d1의 시간 변화율을 연산한다. n=2이면, 연산부(47)는, S206에서 직경 d2가 연산되면, 이번에 연산된 직경 d2와 전회에 연산된 직경 d2에 기초하여, 직경 d2의 시간 변화율을 연산한다. 마찬가지로, 연산부(47)는, 상기 복수의 구간 각각에 대해서, 직경 dn의 시간 변화율을 연산한다.
도 8은 연산부(47)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로프(14)의 직경의 시간 변화를 나타낸다. 도 8에 나타내는 것처럼, 로프(14)의 사용이 개시된 직후의 기간 P1에서는, 로프(14)의 초기 신장이 발생하기 때문에, 로프(14)의 직경의 시간 변화율은 커진다. 기간 P1 후의 기간 P2에서는, 로프(14)의 직경의 시간 변화율은, 기간 P1에 있어서의 시간 변화율보다 작아진다. 그리고, 기간 P2가 경과한 후의 기간 P3에 있어서, 로프(14)의 직경의 시간 변화율은 다시 커진다.
판정부(46)는 연산부(47)에 의해서 연산된 시간 변화율에 기초하여, 로프(14)가 열화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판정부(46)는 연산부(47)에 의해서 연산된 시간 변화율이 특정 임계값 ThB보다 크면, 로프(14)가 열화되어 있다고 판정한다. 기간 P1에 있어서 로프(14)가 열화되어 있다고 판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판정부(46)는 로프(14)가 일정기간 이상 사용되고 있는 경우만, 직경의 시간 변화율에 기초하는 열화 판정을 행해도 된다.
판정부(46)는 S206에서 연산된 직경 dn이 임계값 ThC보다 작고 또한 연산부(47)에 의해서 연산된 시간 변화율이 임계값 ThB보다 큰 경우에, 로프(14)가 열화되어 있다고 판정해도 된다. 임계값 ThC는 임계값 ThA보다 큰 값이다. 또한, 제어 장치(19)가 연산부(47)를 구비하는 경우에도, 판정부(46)는 S206에서 연산된 직경 dn이 임계값 ThA보다 작으면, 로프(14)가 열화되어 있다고 판정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로프(14)의 검사를 위해서 엘리베이터 칸(11)을 최하층의 승강장(23)으로부터 최상층의 승강장(23)으로 이동시키는 예에 대해 설명했다. 이것은 일례이다. 동작 제어부(42)는, 로프(14)의 검사를 위해서 엘리베이터 칸(11)을 최상층의 승강장(23)으로부터 최하층의 승강장(23)으로 이동시켜도 된다. 동작 제어부(42)는, 로프(14)의 검사를 위해서, 엘리베이터 칸(11)을 상기 복수의 구간의 일부만 이동시켜도 된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11)을 승강장(23-5)으로부터 승강장(23-6)으로 이동시키고, 구간 5에 대해서만 로프(14)의 검사를 실시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산부(43)가, 엘리베이터 칸(11)이 상방으로 이동할 때의 시브(16)의 회전량 Δθn을 연산하는 예에 대해 설명했다. 이것은 바람직한 예이다.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칸(11)과 균형 추(12)가 로프(14)에 의해서 매달린다. 로프(14) 중 시브(16)로부터 엘리베이터 칸(11)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장력과 균형 추(12)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장력은, 엘리베이터 칸(11)의 중량과 균형 추(12)의 중량이 일치하고 있지 않으면 동일하게 되지 않는다. 상기 2개의 장력에 차가 있으면, 로프(14) 중 시브(16)로부터 송출되는 부분에, 해당 차에 기인하는 신축(伸縮)이 발생한다.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칸(11)에 마련된 검출기(24)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칸(11)의 위치가 검출된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11)이 하방으로 이동하는 경우는, 검출기(24)가 상기 신축의 영향을 받게 된다. 엘리베이터 칸(11)이 상방으로 이동할 때 검출된 회전각 θn에 기초하여 회전량 Δθn의 연산을 행함으로써, 상기 신축의 영향을 받지 않고 회전량 Δθn을 연산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엘리베이터 칸(11)의 위치를 검출하는 수단으로서, 플레이트(22)와 검출기(24)를 구비하는 예에 대해 설명했다. 해당 수단으로서, 엘리베이터 칸(11)의 절대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를 구비해도 된다. 다른 예로서, 조속기(25)를 해당 수단으로서 채용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 제어 장치(19)에 연산부(48)가 더 구비된다. 연산부(48)는 인코더(29)에 의해서 검출된 조속기 시브(26)의 회전각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11)의 위치를 연산한다. 어느 예에 있어서도, 해당 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구간 각각이 특정된다.
엘리베이터 장치(1)는 온습도계(32)를 더 구비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 제어 장치(19)는 보정부(49)를 더 구비한다. 온습도계(32)는 승강로(13)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한다. 보정부(49)는 온습도계(32)에 의해서 측정된 온도 및 습도에 기초하여, S206에서 연산부(45)에 의해서 연산된 직경 dn을 보정한다. 판정부(46)는 보정부(49)에 의해서 보정된 직경 dn에 기초하여, S207에 있어서 로프(14)가 열화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도 9는 보정부(49)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나타내는 실선은, 도 8에 나타내는 실선과 동일하다. 도 9에 나타내는 파선은, 온도와 습도를 고려했을 경우의 로프(14)의 직경의 시간 변화를 나타낸다. 로프(14)의 중심부에 구비된 삼베 등의 섬유는 흡습한다. 이 때문에, 습도가 높아지면 로프(14)의 직경은 커진다. 또, 로프(14)가 구비하는 강제(鋼製)의 소선은, 온도가 높아지면 팽창한다. 이 때문에, 로프(14)의 직경은, 온도 및 습도가 높을수록 커지고, 온도 및 습도가 낮을수록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보정부(49)는, 이 경향에 따라서, 연산부(45)에 의해서 연산된 직경 dn을 보정한다. 제어 장치(19)가 보정부(49)를 구비함으로써, 온도 및 습도를 고려한 열화 판정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판정 정밀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엘리베이터 장치(1)에서 통상 서비스가 행해지고 있지 않을 때 로프(14)의 검사를 행하는 예에 대해 설명했다. 이것은 바람직한 예이다. 로프(14)의 검사는, 통상 서비스가 행해지고 있을 때 실시되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 제어 장치(19)는 검출부(50)를 더 구비한다.
통상 서비스에서는, 승객을 목적층으로 나르기 위한 운전이 행해진다. 일례로서, S102에서 엘리베이터 칸(11)이 승강장(23-1)에 정지하고, 승객이 등록한 호출에 따라 S103에서 승강장(23-10)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S102에서 엘리베이터 칸(11)이 승강장(23-1)에 정지하면, 엘리베이터 칸(11)의 도어(33)가 열린다. 이 때, 도어(33)가 열리기 전의 엘리베이터 칸(11)의 적재 하중 W1이 저울 장치(21)에 의해서 측정된다. 그 후에 도어(33)가 닫히면, 도어(33)가 닫힌 후의 엘리베이터 칸(11)의 적재 하중 W2가 저울 장치(21)에 의해서 측정된다. 검출부(50)는 적재 하중 W1과 적재 하중 W2의 차를 검출한다.
승객이 승강장(23-1)에서 엘리베이터 칸(11)으로부터 내리면, 엘리베이터 칸(11)의 적재 하중이 변화한다. 마찬가지로, 승강장(23-1)에서 승객이 엘리베이터 칸(11)에 타면, 엘리베이터 칸(11)의 적재 하중이 변화한다. 엘리베이터 칸(11)은 로프(14)에 매달려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11)의 적재 하중이 변화하면, 엘리베이터 칸(11)의 위치가 바뀌어 버린다. 이러한 이유로부터, 연산부(43)는, 검출부(50)에 의해서 검출된 차가 특정 임계값 ThD를 초과하는 경우, 회전량 Δθn을 연산하지 않아도 된다. 즉, 검출부(50)에 의해서 검출된 차가 임계값 ThD를 초과하는 경우는, 로프(14)의 열화 판정은 행해지지 않는다. 또한, 임계값 ThD는 기억부(40)에 미리 기억된다.
다른 예로서, 제어 장치(19)는, 검출부(50)에 더하여, 보정부(51)를 더 구비해도 된다. 상술한 것처럼, 검출부(50)는 적재 하중 W1과 적재 하중 W2의 차를 검출한다. 보정부(51)는 검출부(50)에 의해서 검출된 차에 따라서, 연산부(43)에 의해서 연산된 회전량 Δθn을 보정한다. 예를 들면, 보정부(51)는 엘리베이터 칸(11)이 상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적재 하중 W2보다 적재 하중 W1이 크면, 검출부(50)에 의해서 검출된 차에 따른 보정값을 연산부(43)에 의해서 연산된 회전량 Δθn에 가산한다. 보정부(51)는 엘리베이터 칸(11)이 상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적재 하중 W1보다 적재 하중 W2가 크면, 검출부(50)에 의해서 검출된 차에 따른 보정값을 연산부(43)에 의해서 연산된 회전량 Δθn으로부터 감산한다.
또, 열화 판정 처리가 종료된 후에, 동작 제어부(42)는 엘리베이터 칸(11)을 특정 확인 위치에 정지시키는 운전을 실시해도 된다. 확인 위치는 보수원이 로프(14)의 특정 부분을 엘리베이터 칸(11)의 위로부터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위치이다. 예를 들면 권상기(15)가 승강로(13)의 꼭대기부에 배치되어 있으면, 보수원은 로프(14) 중 시브(16)에 감겨 있는 부분을 육안으로 볼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보수원은, 예를 들면 상기 운전을 개시하기 위한 확인 신호를 휴대 단말(4)로부터 송신한다.
일례로서, 열화 판정 처리에 있어서, n=3일 때 로프(14)가 열화되어 있다고 S207에서 판정되었을 경우를 생각한다. 이러한 경우, 통신부(41)가 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동작 제어부(42)는 로프(14) 중 엘리베이터 칸(11)이 구간 3을 이동할 때 시브(16)에 감기는 부분을 엘리베이터 칸(11)의 위로부터 시인(視認)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 칸(11)을 정지시킨다. 동작 제어부(42)는 로프(14) 중 연산부(45)에 의해서 연산된 직경 dn이 가장 작은 부분을 엘리베이터 칸(11)의 위로부터 시인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 칸(11)을 정지시켜도 된다. 이것에 의해, 보수원은 로프(14)의 열화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확인 위치는 로프(14)의 특정 부분을 승강로(13)의 피트로부터 시인하기 위한 위치여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취득부(44)가 보수원에 의한 실측값을 직경 D로서 취득하는 예에 대해 설명했다. 취득부(44)는 보수원에 의한 실측값 이외의 값을 직경 D로서 취득해도 된다. 일례로서, 최상층의 엘리베이터 칸(11)의 정지 위치보다 상방 혹은 최하층의 엘리베이터 칸(11)의 정지 위치보다 하방에, 특정 서비스 외 구간이 설정된다. 서비스 외 구간은, 통상 서비스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11)이 이동하지 않는 구간이다.
도 10은 직경 D의 취득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동작 제어부(42)는 엘리베이터 칸(11)에 해당 서비스 외 구간을 이동시킨다(S301). 이하의 설명에서는, 서비스 외 구간을 구간 0(n=0)으로서 표기한다. 다음으로, 연산부(43)는 엘리베이터 칸(11)이 서비스 외 구간을 이동했을 때의 시브(16)의 회전량 Δθ0을 연산한다(S302). 또한, 엘리베이터 칸(11)의 위치를 검출하는 방법은, 어떠한 방법이어도 된다.
다음으로, 취득부(44)는 다음 식에 의해서 시브(16)의 홈부의 직경 D를 취득한다(S303). 식 (3)은 식 (1)과 마찬가지로 식 (2)으로부터 도출된다.
[수 3]
Figure pct00003
상술한 것처럼, D′는 시브(16)의 홈부의 직경 D에 대한 기준값이다. 식 (3)에 있어서, Δθ′0은 엘리베이터 칸(11)이 서비스 외 구간을 이동할 때의 시브(16)의 회전량 Δθ0에 대한 기준값이다. 기준값 Δθ′0은 기억부(40)에 미리 기억된다. 식 (3)에 있어서, d′0은 로프(14) 중 엘리베이터 칸(11)이 서비스 외 구간을 이동할 때 시브(16)에 감겨 있는 부분의 직경 d0에 대한 기준값이다. 기준값 d′0은, 기억부(40)에 미리 기억된다.
상술한 것처럼, 통상 서비스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11)은 서비스 외 구간을 이동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로프(14) 중 엘리베이터 칸(11)이 서비스 외 구간을 이동할 때 시브(16)에 감기는 부분은,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거의 열화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취득부(44)는, 식 (3)에 있어서, d0=d′0으로 한다. 즉, 취득부(44)는, S303에 있어서, 기억부(40)에 기억된 기준값 D′, 기준값 Δθ′0, 및 기준값 d′0과, S302에서 연산된 회전량 Δθ0에 기초하여, 직경 D를 연산한다. 그리고, 연산부(45)는 취득부(44)에 의해서 취득된 직경 D에 기초하여, S206에 있어서 로프(14)의 직경 dn을 연산한다.
도 11은 직경 D의 다른 취득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어 장치(19)는 연산부(52) 및 특정부(53)를 더 구비한다. 상술한 것처럼, S101에서 Yes로 판정되면, 엘리베이터 칸(11)은 최하층의 승강장(23-1)으로부터 최상층의 승강장(23-10)으로 이동한다. 엘리베이터 칸(11)이 승강장(23-10)에 정지하면, 먼저, S401에 있어서 n=1로 설정된다. 연산부(43)는, S204와 마찬가지로, 엘리베이터 칸(11)이 구간 n을 이동할 때의 시브(16)의 회전량 Δθn을 연산한다(S402). n=1이면, 연산부(43)는 회전량 Δθ1을 연산한다.
다음으로, 연산부(52)는, S401에서 연산된 회전량 Δθn의 기준값 Δθ′n으로부터의 증가율을 연산한다(S403). n=1이면, 연산부(52)는, S403에 있어서 회전량 Δθ1의 기준값 Δθ′1로부터의 증가율을 연산한다. 어느 구간에 대해서 증가율의 연산이 행해지면, 모든 구간에 대해서 해당 증가율이 연산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404). S404에서 No로 판정되면 n에 1이 가산된다(S405). 예를 들면 n의 값이 2가 된다. 이것에 의해, S403에 있어서 회전량 Δθ2의 기준값 Δθ′2로부터의 증가율이 연산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구간 각각에 대해서, S403에 있어서 증가율의 연산이 행해진다.
S404에서 Yes로 판정되면, 특정부(53)는 상기 복수의 구간 중에서, S403에서 연산된 증가율이 가장 작은 구간을 기준 구간으로서 특정한다(S406). 이하의 설명에서는, 특정부(53)에 의해서 특정된 기준 구간을 구간 m(n=m)으로서 표기한다. 특정부(53)에 의해서 기준 구간이 특정되면, 취득부(44)는 다음 식에 의해서 시브(16)의 홈부의 직경 D를 취득한다(S407). 식 (4)는 식 (3)과 마찬가지로, 식 (2)로부터 도출된다.
[수 4]
Figure pct00004
식 (4)에 있어서, Δθ′m은 엘리베이터 칸(11)이 기준 구간을 이동할 때의 시브(16)의 회전량 Δθm에 대한 기준값이다. 식 (4)에 있어서, d′m은 로프(14) 중 엘리베이터 칸(11)이 기준 구간을 이동할 때 시브(16)에 감겨 있는 부분의 직경 dm에 대한 기준값이다.
로프(14) 중, 엘리베이터 칸(11)이 기준 구간을 이동할 때 시브(16)에 감겨 있는 부분은, 열화가 가장 진행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다. 이 때문에, 취득부(44)는, 식 (4)에 있어서, dm=d′m이라고 한다. 즉, 도 11은 로프(14) 중 열화가 가장 진행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이용하여, 시브(16)의 홈부의 직경 D를 취득하는 예를 나타낸다. 취득부(44)는, S407에 있어서, 기억부(40)에 기억된 기준값 D′, 기준값 Δθ′m, 및 기준값 d′m과, 연산부(43)에 의해서 연산된 회전량 Δθm에 기초하여, 직경 D를 연산한다. 그리고, 연산부(45)는 취득부(44)에 의해서 취득된 직경 D에 기초하여, S206에 있어서 로프(14)의 직경 dn을 연산한다.
다른 예로서, 취득부(44)는 시브(16)의 누적 회전수에 기초하여 시브(16)의 홈부의 마모량을 산출하고, 그 산출 결과로부터 직경 D를 취득해도 된다. 엘리베이터 장치(1)의 설치시 혹은 개수시부터의 시브(16)의 누적 회전수는, 기억부(40)에 기억된다. 취득부(44)는 시브(16)의 홈부의 마모량을 산출할 때, 로프(14)의 장력, 및 홈의 형상 등을 고려해도 된다.
또한, 보수원에 의한 실측값 이외의 값이 직경 D로서 채용되고 있는 경우는, 상기 복수의 구간 전부에 있어서 로프(14)가 열화되어 있는 것이 S207에서 판정되면, 판정부(46)는 시브(16)의 홈부의 마모가 진행되고 있다고 판정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로프(14)의 검사 기능을 엘리베이터 장치(1)의 제어 장치(19)가 구비하는 예에 대해 설명했다. 로프(14)의 검사 기능은, 다른 검사 단말에 구비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부호 40~53에 나타내는 각부는, 휴대 단말(4)에 구비되어도 된다. 부호 40~53에 나타내는 각부는, 정보 센터(3)의 서버(도시하지 않음)에 구비되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부호 40~53에 나타내는 각부는, 제어 장치(19)가 가지는 기능을 나타낸다. 도 12는 제어 장치(19)의 하드웨어 자원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어 장치(19)는 하드웨어 자원으로서, 예를 들면 프로세서(61)와 메모리(62)를 포함하는 처리 회로(60)를 구비한다. 기억부(40)의 기능은, 메모리(62)에 의해서 실현된다. 메모리(62)로서, 반도체 메모리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제어 장치(19)는 메모리(62)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프로세서(61)에 의해서 실행함으로써, 부호 41~53에 나타내는 각부의 기능을 실현한다.
도 13은 제어 장치(19)의 하드웨어 자원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어 장치(19)는, 예를 들면 프로세서(61), 메모리(62), 및 전용 하드웨어(63)를 포함하는 처리 회로(60)를 구비한다. 도 13은 제어 장치(19)가 가지는 기능의 일부를 전용 하드웨어(63)에 의해서 실현하는 예를 나타낸다. 제어 장치(19)가 가지는 기능의 전부를 전용 하드웨어(63)에 의해서 실현해도 된다. 전용 하드웨어(63)로서, 단일 회로, 복합 회로, 프로그램화한 프로세서, 병렬 프로그램화한 프로세서, ASIC, FPGA, 또는 이들 조합을 채용할 수 있다.
검사 장치의 하드웨어 자원은, 도 12 혹은 도 13에 나타내는 예와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면, 검사 장치는 하드웨어 자원으로서,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처리 회로를 구비한다. 검사 장치는 메모리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함으로써, 부호 41~53에 나타내는 각부의 기능을 실현한다. 검사 장치는 하드웨어 자원으로서, 프로세서, 메모리, 및 전용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처리 회로를 구비해도 된다. 검사 장치가 가지는 기능의 일부 혹은 전부를 전용 하드웨어에 의해서 실현해도 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개시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칸이 로프로 매달린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1: 엘리베이터 장치 2: 네트워크
3: 정보 센터 3a: 표시기
4: 휴대 단말 4a: 표시기
11: 엘리베이터 칸 12: 균형 추
13: 승강로 14: 로프
15: 권상기 16: 시브
17: 전동기 18: 인코더
19: 제어 장치 20: 기계실
21: 저울 장치 22: 플레이트
23: 승강장 24: 검출기
25: 조속기 26: 조속기 시브
27: 조속 로프 28: 연결 부재
29: 인코더 30: 조작반
30a: 표시기 31: 검출자
32: 온습도계 33: 도어
40: 기억부 41: 통신부
42: 동작 제어부 43: 연산부
44: 취득부 45: 연산부
46: 판정부 47: 연산부
48: 연산부 49: 보정부
50: 검출부 51: 보정부
52: 연산부 53: 특정부
60: 처리 회로 61: 프로세서
62: 메모리 63: 전용 하드웨어

Claims (23)

  1. 승강로를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칸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매다는 로프와,
    상기 로프가 감긴 시브와,
    상기 시브를 회전시키는 전동기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승강로의 특정 구간을 이동할 때의 상기 시브의 회전량을 연산하는 제1 연산 수단과,
    제1 기준값, 제2 기준값, 및 제3 기준값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제1 기준값, 상기 제2 기준값 및 상기 제3 기준값과, 상기 시브의 홈부의 직경, 및 상기 제1 연산 수단에 의해서 연산된 회전량에 기초하여, 상기 로프 중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구간을 이동할 때 상기 시브에 감기는 부분의 직경을 연산하는 제2 연산 수단과,
    상기 제2 연산 수단에 의해서 연산된 직경에 기초하여, 상기 로프가 열화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기준값은 상기 시브의 홈부의 직경에 대한 기준의 값이고,
    상기 제2 기준값은 상기 로프의 상기 부분의 직경에 대한 기준의 값이고,
    상기 제3 기준값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구간을 이동할 때의 상기 시브의 회전량에 대한 기준의 값인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산 수단에 의해서 연산된 직경의 시간 변화율을 연산하는 제3 연산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제3 연산 수단에 의해서 연산된 시간 변화율에 기초하여, 상기 로프가 열화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구간은,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위치에 기초하여 특정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4. 가상적으로 분할된 복수의 구간을 포함하는 승강로를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칸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매다는 로프와,
    상기 로프가 감긴 시브와,
    상기 시브를 회전시키는 전동기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복수의 구간 각각을 이동할 때의 상기 시브의 회전량을 연산하는 제1 연산 수단과,
    제1 기준값과 상기 복수의 구간 각각에 대한 제2 기준값 및 제3 기준값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복수의 구간 각각에 대해서, 상기 제1 기준값, 그리고 대상 구간에 대한 상기 제2 기준값 및 상기 제3 기준값과 상기 시브의 홈부의 직경, 및 상기 제1 연산 수단에 의해서 연산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해당 대상 구간을 이동할 때의 상기 시브의 회전량에 기초하여, 상기 로프 중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해당 대상 구간을 이동할 때 상기 시브에 감기는 부분의 직경을 연산하는 제2 연산 수단과,
    상기 제2 연산 수단에 의해서 연산된 직경에 기초하여, 상기 로프가 열화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기준값은 상기 시브의 홈부의 직경에 대한 기준의 값이고,
    상기 복수의 구간 각각에 대한 상기 제2 기준값은, 상기 로프 중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복수의 구간 각각을 이동할 때 상기 시브에 감기는 부분의 직경에 대한 기준의 값이고,
    상기 복수의 구간 각각에 대한 상기 제3 기준값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복수의 구간 각각을 이동할 때의 상기 시브의 회전량에 대한 기준의 값인 엘리베이터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간 각각에 대해서, 상기 제2 연산 수단에 의해서 연산된 직경의 시간 변화율을 연산하는 제3 연산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제3 연산 수단에 의해서 연산된 시간 변화율에 기초하여, 상기 로프가 열화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구간 각각은,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위치에 기초하여 특정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7.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 중 상기 제2 연산 수단에 의해서 연산된 직경이 가장 작은 부분에 대한 상기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기를 더 구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8.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취득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연산 수단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특정 서비스 외 구간을 이동할 때의 상기 시브의 회전량을 연산하고,
    상기 기억 수단은 상기 서비스 외 구간에 대한 제2 기준값 및 제3 기준값을 기억하고,
    상기 취득 수단은 상기 제1 기준값, 및 상기 서비스 외 구간에 대한 상기 제2 기준값 및 상기 제3 기준값과 상기 제1 연산 수단에 의해서 연산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서비스 외 구간을 이동할 때의 상기 시브의 회전량에 기초하여, 상기 시브의 홈부의 직경을 취득하고,
    상기 서비스 외 구간은, 최상층의 정지 위치보다 상방 또는 최하층의 정지 위치보다 하방에 있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9.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간 각각에 대해서, 상기 제1 연산 수단에 의해서 연산된 회전량의 상기 제3 기준값으로부터의 증가율을 연산하는 제4 연산 수단과,
    상기 복수의 구간 중에서, 상기 제4 연산 수단에 의해서 연산된 증가율이 가장 작은 구간을 기준 구간으로서 특정하는 특정 수단과,
    상기 제1 기준값, 그리고 상기 기준 구간에 대한 상기 제2 기준값 및 상기 제3 기준값과 상기 제1 연산 수단에 의해서 연산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기준 구간을 이동할 때의 상기 시브의 회전량에 기초하여, 상기 시브의 홈부의 직경을 취득하는 취득 수단을 더 구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브의 누적 회전수에 기초하여 상기 시브의 홈부의 마모량을 산출하여, 상기 시브의 홈부의 직경을 취득하는 취득 수단을 더 구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산 수단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방으로 이동할 때의 상기 시브의 회전량을 연산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적재 하중을 측정하는 저울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연산 수단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도어가 열리기 전에 상기 저울 장치에 의해서 측정된 적재 하중과 상기 도어가 닫힌 후에 상기 저울 장치에 의해서 측정된 적재 하중의 차가 특정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는, 상기 도어가 닫힌 후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이동해도 상기 시브의 회전량을 연산하지 않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적재 하중을 측정하는 저울 장치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도어가 열리기 전에 상기 저울 장치에 의해서 측정된 적재 하중과 상기 도어가 닫힌 후에 상기 저울 장치에 의해서 측정된 적재 하중의 차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제1 연산 수단에 의해서 연산된 회전량을,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차에 따라 보정하는 제1 보정 수단을 더 구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온습도계와,
    상기 온습도계에 의해서 측정된 온도 및 습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연산 수단에 의해서 연산된 직경을 보정하는 제2 보정 수단을 더 구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1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정지하는 승강장의 높이에 맞춰서 배치된 플레이트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마련되어, 상기 플레이트를 검출하는 검출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16.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절대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17.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연결된 조속 로프와,
    상기 조속 로프가 감긴 조속기 시브와,
    상기 조속기 시브의 회전각을 검출하는 인코더와,
    상기 인코더에 의해서 검출된 회전각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를 연산하는 제5 연산 수단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1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가 열화되어 있다고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서 판정되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특정 확인 위치에 정지시키는 동작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확인 위치는, 상기 로프의 상기 부분을 상기 승강로의 피트 또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위로부터 시인하기 위한 위치로서 미리 설정된 엘리베이터 시스템.
  19.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특정 확인 위치에 정지시키는 동작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확인 위치는, 상기 로프 중 상기 제2 연산 수단에 의해서 연산된 직경이 가장 작은 부분을 상기 승강로의 피트 또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위로부터 시인하기 위한 위치로서 미리 설정된 엘리베이터 시스템.
  2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가 열화되어 있다고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서 판정되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을 휴지하는 운전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2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보 센터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서 특정 개시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이동시키고, 상기 제1 연산 수단에 상기 시브의 회전량을 연산시키는 운전 제어 수단과,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한 판정 결과를 상기 정보 센터에 송신하는 통신 수단을 더 구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22. 승강로를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칸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매다는 로프와,
    상기 로프가 감긴 시브와,
    상기 시브를 회전시키는 전동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프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 단말로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승강로의 특정 구간을 이동할 때의 상기 시브의 회전량을 연산하는 제1 연산 수단과,
    제1 기준값, 제2 기준값, 및 제3 기준값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제1 기준값, 상기 제2 기준값, 및 상기 제3 기준값과 상기 시브의 홈부의 직경, 및 상기 제1 연산 수단에 의해서 연산된 회전량에 기초하여, 상기 로프 중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구간을 이동할 때 상기 시브에 감기는 부분의 직경을 연산하는 제2 연산 수단과,
    상기 제2 연산 수단에 의해서 연산된 직경에 기초하여, 상기 로프가 열화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기준값은 상기 시브의 홈부의 직경에 대한 기준의 값이고,
    상기 제2 기준값은 상기 로프의 상기 부분의 직경에 대한 기준의 값이고,
    상기 제3 기준값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구간을 이동할 때의 상기 시브의 회전량에 대한 기준의 값인 검사 단말.
  23. 가상적으로 분할된 복수의 구간을 포함하는 승강로를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칸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매다는 로프와,
    상기 로프가 감긴 시브와,
    상기 시브를 회전시키는 전동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프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 단말로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복수의 구간 각각을 이동할 때의 상기 시브의 회전량을 연산하는 제1 연산 수단과,
    제1 기준값과 상기 복수의 구간 각각에 대한 제2 기준값 및 제3 기준값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복수의 구간 각각에 대해서, 상기 제1 기준값, 그리고 대상 구간에 대한 상기 제2 기준값 및 상기 제3 기준값과 상기 시브의 홈부의 직경, 및 상기 제1 연산 수단에 의해서 연산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해당 대상 구간을 이동할 때의 상기 시브의 회전량에 기초하여, 상기 로프 중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해당 대상 구간을 이동할 때 상기 시브에 감기는 부분의 직경을 연산하는 제2 연산 수단과,
    상기 제2 연산 수단에 의해서 연산된 직경에 기초하여, 상기 로프가 열화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기준값은 상기 시브의 홈부의 직경에 대한 기준의 값이고,
    상기 복수의 구간 각각에 대한 상기 제2 기준값은, 상기 로프 중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복수의 구간 각각을 이동할 때 상기 시브에 감기는 부분의 직경에 대한 기준의 값이고,
    상기 복수의 구간 각각에 대한 상기 제3 기준값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복수의 구간 각각을 이동할 때의 상기 시브의 회전량에 대한 기준의 값인 검사 단말.
KR1020237002689A 2020-06-26 2020-06-26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검사 단말 KR1025110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0/025333 WO2021260942A1 (ja) 2020-06-26 2020-06-26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及び検査端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1148A true KR20230021148A (ko) 2023-02-13
KR102511001B1 KR102511001B1 (ko) 2023-03-16

Family

ID=79282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2689A KR102511001B1 (ko) 2020-06-26 2020-06-26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검사 단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197059B2 (ko)
KR (1) KR102511001B1 (ko)
CN (1) CN115734931B (ko)
WO (1) WO20212609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70796A1 (ja) * 2022-03-08 2023-09-14 三菱電機株式会社 診断装置、診断システム、遠隔監視システムおよび保守管理システム
WO2024004122A1 (ja) * 2022-06-30 2024-01-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試験装置および非常止め試験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14037A (ja) 2007-03-05 2008-09-18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ワイヤロープ検査装置及びロープ外径測定方法
JP2011195253A (ja) * 2010-03-18 2011-10-06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綱車摩耗量測定装置
JP2020040763A (ja) * 2018-09-07 2020-03-19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検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8150A (ko) 2013-08-29 2016-05-03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로프 수명 진단 장치
CN107207198B (zh) * 2015-02-18 2020-09-08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诊断装置
WO2017203561A1 (ja) 2016-05-23 2017-11-3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装置
DE112016006904T5 (de) * 2016-05-24 2019-02-1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Brucherkennungsvorrichtung
CN110167861B (zh) * 2017-01-13 2020-11-17 三菱电机株式会社 断裂检测装置
JP6771396B2 (ja) 2017-01-24 2020-10-21 日本オーチス・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ロープ保守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14037A (ja) 2007-03-05 2008-09-18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ワイヤロープ検査装置及びロープ外径測定方法
JP2011195253A (ja) * 2010-03-18 2011-10-06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綱車摩耗量測定装置
JP2020040763A (ja) * 2018-09-07 2020-03-19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検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734931B (zh) 2023-06-16
KR102511001B1 (ko) 2023-03-16
JP7197059B2 (ja) 2022-12-27
CN115734931A (zh) 2023-03-03
WO2021260942A1 (ja) 2021-12-30
JPWO2021260942A1 (ko) 2021-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3202599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telemonitoring an elevator
KR102511001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검사 단말
CN106163957B (zh) 电梯张力部件刚度估计和监测
WO2016151694A1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WO2015068322A1 (ja) エレベータ診断装置
US20200180910A1 (en) Method and an elevator system for defining an elongation of an elevator car suspension means
CN111942995B (zh) 电梯的绳索检查系统
CN110697532B (zh) 电梯运行的后台监控方法
JP5947094B2 (ja) エレベータ
CN112850422B (zh) 电梯的绳索检查系统
US2020034689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an elevator
EP3687931B1 (en) A method, an elevator safety control unit, and an elevator system for defining a condition of an elevator car suspension means
JP5535441B2 (ja) エレベータの管制運転装置
JP2006264853A (ja) エレベータの運転状況検出装置及び運転状況検出方法
JP4952366B2 (ja) エレベータ釣合い錘・調速機ロープ張り車のクリアランス管理測定装置及びその方法
JP7406368B2 (ja) 巻き上げロープの監視方法、およ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6278859B2 (ja) エレベーターの保守方法及び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WO2024042642A1 (ja) エレベーターのガイドレールの変形検出システムおよび変形検出方法
JP7410777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設備
CN112919288B (zh) 劣化判定方法
JP2013241247A (ja) エレベータ用シーブ診断装置
JP7053190B2 (ja)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
WO2022207122A1 (en) Method and system for estimating rope slip in an elevator system
CN114751271A (zh) 监测电梯噪声的方法及监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