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0547A - 라텍스 잉크용 필름 - Google Patents

라텍스 잉크용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0547A
KR20230020547A KR1020237001447A KR20237001447A KR20230020547A KR 20230020547 A KR20230020547 A KR 20230020547A KR 1020237001447 A KR1020237001447 A KR 1020237001447A KR 20237001447 A KR20237001447 A KR 20237001447A KR 20230020547 A KR20230020547 A KR 20230020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ex ink
film
latex
receiving layer
acryl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1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나 스즈키
리츠코 츠카다
Original Assignee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20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05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63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B41M5/5272Polyesters;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27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organic non-macromolecular additives, e.g. UV-absorbers, plasticisers, surfact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54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vinyl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Ink Jet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Ink Jet Recording Methods And Recording Media Thereof (AREA)

Abstract

아크릴계 수지를 함유하는 라텍스 잉크 수리층을 갖고, 라텍스 잉크 수리층이 라텍스 잉크에 의한 인쇄부 및 기재의 쌍방과의 밀착성이 우수한, 라텍스 잉크용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였다. 그리고, 당해 과제를, 라텍스 잉크 수리층 (X) 과 기재 (Y) 가 적층된 적층 구조를 갖고, 상기 라텍스 잉크 수리층 (X) 은,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 (A) 및 가교제 (B) 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 (x1) 로 형성되고, 상기 가교제 (B) 는,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 (B1) 및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의 변성체 (B2) 를 포함하는, 라텍스 잉크용 필름으로 함으로써 해결하였다.

Description

라텍스 잉크용 필름
본 발명은, 라텍스 잉크용 필름에 관한 것이다.
최근, 라텍스 잉크를 사용한 인쇄법이 주목받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을 참조).
라텍스 잉크는, 안료를 유기 용제에 용해시키는 용제 잉크와는 달리, 안료를 라텍스 (폴리머) 와 함께 물에 분산시킨 수성 잉크이다. 따라서, 용제 잉크를 사용하는 경우에 문제가 되는, 유기 용제에서 기인하는 휘발성 유기물 (VOC) 의 배출이 없는 점에서, 라텍스 잉크를 사용한 인쇄물은, 음식점, 교육 기관, 의료 기관, 및 상업 시설 등의 다양한 장소에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이점을 근거로 하여, 본건 출원인은, 라텍스 잉크용 필름을 특허문헌 2 에 있어서 제안하고 있다.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라텍스 잉크용 필름은, 기재와, 라텍스 잉크가 부여되는 인쇄용 코트층을 구비한다. 당해 인쇄용 코트층에는, 염화비닐, 아세트산비닐, 및 가교성 모노머를 구성 모노머로 하는 고분자 재료가 가교제에 의해 가교된 구조를 갖는 재료가 포함되어 있다. 이로써, 라텍스 잉크에 의한 인쇄부 및 기재의 쌍방과의 밀착성이 우수한 인쇄용 코트층을 갖는 라텍스 잉크용 필름으로 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2 에 있어서의「인쇄용 코트층」을, 본 명세서에서는「라텍스 잉크 수리층」이라고 부른다. 즉,「라텍스 잉크 수리층」이란, 라텍스 잉크가 부여되는 부위이며, 부여된 라텍스 잉크에 의한 인쇄부를 정착시키는 기능을 갖는 층을 의미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6-12071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9-172877호
최근, 라텍스 잉크를 사용한 인쇄법이 널리 채용되고 있으며, 그 때에 사용되는 라텍스 잉크용 필름에 대해서도, 다양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특허문헌 2 와는 상이한 라텍스 잉크 수리층을 구비하는 라텍스 잉크용 필름의 개발도 요망된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범용성이 높은 수지인 아크릴계 수지를 함유하는 라텍스 잉크 수리층에 대해 검토를 실시하였다. 그런데, 아크릴계 수지를 함유하는 라텍스 잉크 수리층을 사용한 경우, 라텍스 잉크 수리층과 라텍스 잉크에 의한 인쇄부의 밀착성, 및 라텍스 잉크 수리층과 기재의 밀착성의 양립을 도모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고, 추가적인 검토를 필요로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아크릴계 수지를 함유하는 라텍스 잉크 수리층을 갖고, 라텍스 잉크 수리층이 라텍스 잉크에 의한 인쇄부 및 기재의 쌍방과의 밀착성이 우수한, 라텍스 잉크용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에 특정한 가교제를 배합한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는 라텍스 잉크 수리층이, 라텍스 잉크에 의한 인쇄부 및 기재의 쌍방과의 밀착성이 우수한 것을 지견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지견에 기초하여 추가로 다양하게 검토를 거듭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하기 [1] ∼ [9] 에 관한 것이다.
[1] 라텍스 잉크 수리층 (X) 과 기재 (Y) 가 적층된 적층 구조를 갖고,
상기 라텍스 잉크 수리층 (X) 은,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 (A) 및 가교제 (B) 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 (x1) 로 형성되고,
상기 가교제 (B) 는,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 (B1) 및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의 변성체 (B2) 를 포함하고,
상기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 (B1) 은,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3 량체이고,
상기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의 변성체 (B2) 는,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3 량체로서, 또한 1 이상의 3 급 아미노기를 갖는, 라텍스 잉크용 필름.
[2] 상기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 (A) 는, 수산기가가 5.0 mgKOH/g ∼ 25.0 mgKOH/g 인, 상기 [1] 에 기재된 라텍스 잉크용 필름.
[3] 상기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 (A) 는, 유리 전이 온도 (Tg) 가 100 ℃ 이하인, 상기 [1] 또는 [2] 에 기재된 라텍스 잉크용 필름.
[4] 상기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 (A) 100 질량부에 대한,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 (B1) 및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의 변성체 (B2) 의 합계 함유량이 4.0 질량부 이상인, 상기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라텍스 잉크용 필름.
[5] 상기 기재 (Y) 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포함하는, 상기 [1]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라텍스 잉크용 필름.
[6]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라텍스 잉크를 사용한 인쇄에 사용되는, 상기 [1] ∼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라텍스 잉크용 필름.
[7] 상기 [1] ∼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라텍스 잉크용 필름의 라텍스 잉크 수리층 상에, 라텍스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라텍스 잉크용 필름을 사용하는, 사용 방법.
[8] 상기 [1] ∼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라텍스 잉크용 필름의 라텍스 잉크 수리층 상에, 라텍스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인쇄물의 제조 방법.
[9] 상기 [1] ∼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라텍스 잉크용 필름의 라텍스 잉크 수리층 상에, 라텍스 잉크에 의한 인쇄부를 갖는, 인쇄물.
본 발명에 의하면, 아크릴계 수지를 함유하는 라텍스 잉크 수리층을 갖고, 라텍스 잉크 수리층이 라텍스 잉크에 의한 인쇄부 및 기재의 쌍방과의 밀착성이 우수한, 라텍스 잉크용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라텍스 잉크용 필름의 일 양태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유효 성분」이란, 대상이 되는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 중, 물이나 유기 용매 등의 희석 용매를 제외한 성분을 가리킨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메트)아크릴산」이란,「아크릴산」과「메타크릴산」의 쌍방을 나타내며, 다른 유사 용어도 동일하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바람직한 수치 범위 (예를 들어, 함유량 등의 범위) 에 대해, 단계적으로 기재된 하한값 및 상한값은, 각각 독립적으로 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바람직하게는 10 ∼ 90,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60」이라는 기재로부터,「바람직한 하한값 (10)」과「보다 바람직한 상한값 (60)」을 조합하여,「10 ∼ 60」으로 할 수도 있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실시예의 수치는, 상한값 또는 하한값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수치이다.
[본 발명의 라텍스 잉크용 필름의 양태]
본 발명의 라텍스 잉크용 필름은, 라텍스 잉크 수리층 (X) 과 기재 (Y) 가 적층된 적층 구조를 갖는다.
라텍스 잉크 수리층 (X) 은,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 (A) 및 가교제 (B) 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 (x1) 로 형성된다.
가교제 (B) 는,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 (B1) 및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의 변성체 (B2) 를 포함한다.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 (B1) 은,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3 량체이고,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의 변성체 (B2) 는,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3 량체로서, 또한 1 이상의 3 급 아미노기를 갖는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 수지 (A), 그리고,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 (B1) 및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의 변성체 (B2) 를 포함하는 가교제 (B) 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 (x1) 로 형성되는 라텍스 잉크 수리층이, 라텍스 잉크에 의한 인쇄부 및 기재의 쌍방과의 밀착성이 우수한 것을 알아내고, 추가로 다양하게 검토를 거듭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하, 본 발명의 라텍스 잉크용 필름에 대해, 라텍스 잉크용 필름의 구성, 라텍스 잉크용 필름을 구성하는 부재 (기재, 라텍스 잉크 수리층, 점착제층, 및 박리 라이너), 라텍스 잉크용 필름의 제조 방법, 그리고 라텍스 잉크용 필름의 용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라텍스 잉크용 필름의 구성]
본 발명의 라텍스 잉크용 필름은, 라텍스 잉크 수리층 (X) 과 기재 (Y) 가 적층된 적층 구조를 갖는다.
도 1 에 본 발명의 라텍스 잉크용 필름의 일 양태의 단면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1 에 나타내는 라텍스 잉크용 필름 (1) 은, 기재 (Y) 의 일방의 면 (Ya) 에 라텍스 잉크 수리층 (X) 이 적층된 적층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양태의 라텍스 잉크용 필름은, 기재 (Y) 의 타방의 면 (Yb) 에 점착제층 (Z) 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라텍스 잉크용 필름을 점착 필름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도시를 생략하지만, 점착제층 (Z) 의 점착 표면은, 박리 라이너로 피복되어 있어도 된다. 그리고, 피착체에 대한 첩착시에 당해 박리 라이너를 박리하여, 점착제층 (Z) 의 점착 표면을 표출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 도시를 생략하지만, 점착제층 (Z) 을 형성하지 않고, 기재 (Y) 의 일방의 면 (Ya) 및 타방의 면 (Yb) 의 양면에, 라텍스 잉크 수리층 (X) 이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
[라텍스 잉크용 필름을 구성하는 부재]
본 발명의 라텍스 잉크용 필름은, 라텍스 잉크 수리층 (X) 및 기재 (Y) 를 갖는다.
또, 본 발명의 일 양태의 라텍스 잉크용 필름은,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라텍스 잉크 수리층 (X) 및 기재 (Y) 에 더하여, 추가로 점착제층 (Z) 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 라텍스 잉크 수리층 (X) 및 기재 (Y) 에 더하여, 추가로, 점착제층 (Z) 및 박리 라이너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하, 라텍스 잉크 수리층 (X), 기재 (Y), 점착제층 (Z), 및 박리 라이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라텍스 잉크 수리층 (X)>
본 발명의 라텍스 잉크용 필름은, 라텍스 잉크 수리층 (X) 을 갖는다.
라텍스 잉크 수리층 (X) 은, 라텍스 잉크가 부여되는 부위이며, 부여된 라텍스 잉크에 의한 인쇄부를 정착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라텍스 잉크 수리층 (X) 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0.05 ㎛ ∼ 50 ㎛,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 ∼ 25 ㎛,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 ∼ 10 ㎛ 이다.
라텍스 잉크 수리층 (X) 은,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 (A) 및 가교제 (B) 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 (x1) 로 형성된다.
가교제 (B) 는,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 (B1) 및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의 변성체 (B2) 를 포함한다.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 (B1) 은,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3 량체이고,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의 변성체 (B2) 는,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3 량체로서, 또한 1 이상의 3 급 아미노기를 갖는다.
이후의 설명에서는,「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 (A)」및「가교제 (B)」를, 각각「성분 (A)」및「성분 (B)」라고도 한다. 또,「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 (B1)」및「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의 변성체 (B2)」를, 각각「성분 (B1)」및「성분 (B2)」라고도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 라텍스 잉크 수리층 (X) 의 형성 재료인 수지 조성물 (x1) 은, 성분 (A) 및 성분 (B) 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지만,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성분 (A) 및 성분 (B) 와 함께, 성분 (A) 및 성분 (B) 이외의 다른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당해 다른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라텍스 잉크 수리층 등의 잉크 수리층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잉크 수리층용의 첨가제, 예를 들어, 반응 촉진제 (촉매), 표면 조정제, 가소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 필러, 및 착색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 성분 (A) 및 성분 (B) 의 합계 함유량은, 수지 조성물 (x1) 의 유효 성분의 전체량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 10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85 질량% ∼ 10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 100 질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95 질량% ∼ 100 질량% 이다.
이하, 수지 조성물 (x1) 이 함유하는,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 (A) 및 가교제 (B) 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 (A))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지 조성물 (x1) 은,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 (A) 를 함유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지 조성물 (x1) 이,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 (A) 를 함유함으로써, 후술하는 가교제 (B) 와의 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가교 구조가, 라텍스 잉크에 의한 인쇄물 및 기재의 쌍방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에 적합한 구조가 되어, 본 발명의 효과가 발휘되는 것으로 추찰된다.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 (A) 로는, 가교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 (a1') (이하, 모노머 (a1') 라고도 한다) 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 (a1) 을 갖는 아크릴계 수지 (A1) 이 바람직하다.
모노머 (a1') 가 갖는 가교성 관능기로는, 예를 들어, 수산기, 카르복시기, 아미노기, 및 에폭시기 등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요컨대, 모노머 (a1') 로는, 예를 들어, 수산기 함유 모노머,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 및 에폭시기 함유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또, 수산기, 카르복시기, 아미노기, 및 에폭시기 등에서 선택되는 2 종 이상의 가교성 관능기를 함유하는 모노머도 들 수 있다.
이들 모노머 (a1') 는,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것들 중에서도, 모노머 (a1') 로는, 수산기 함유 모노머 및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가 바람직하다.
수산기 함유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2-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3-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3-하이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및 4-하이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하이드록시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류 ; N-메틸올화아크릴아미드 ; ε-카프로락톤 변성 하이드록시(메트)아크릴레이트 ; 카보네이트 변성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 ; 이미 서술한 수산기 함유 모노머의 말단 수산기를, 무수 숙신산 및 무수 글루타르산 등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등의 산 무수물과 반응시켜 얻어지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 (A) 는, 가교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 (a1') 와 함께,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a2') (이하,「모노머 (a2')」라고도 한다) 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 (a2) 를 갖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A2) 여도 된다.
모노머 (a2') 가 갖는 알킬기의 탄소수는, 바람직하게는 1 ∼ 24 이다. 또한, 아크릴계 수지 (A) 의 유리 전이 온도 (Tg) 를 적절한 범위로 조정하여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휘시키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알킬기의 탄소수는, 바람직하게는 2 ∼ 20 이다.
또한, 모노머 (a2') 가 갖는 알킬기는, 직사슬 알킬기여도 되고, 분기사슬 알킬기여도 된다.
모노머 (a2') 로는, 예를 들어,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tert-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n-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n-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모노머 (a2') 는,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구성 단위 (a2) 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A2) 에 있어서, 구성 단위 (a2) 의 함유량은, 아크릴계 공중합체 (A2) 의 전체량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1 ∼ 99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95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90 질량% 이다.
아크릴계 수지 (A1) 및 아크릴계 공중합체 (A2) 는, 추가로 모노머 (a1') 및 (a2') 이외의 다른 모노머 (a3') 에서 유래의 구성 단위 (a3) 을 갖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A3) 이어도 된다.
모노머 (a3') 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 프로필렌, 및 이소부틸렌 등의 올레핀류 ; 염화비닐 및 비닐리덴클로라이드 등의 할로겐화 올레핀류 ; 부타디엔, 이소프렌, 및 클로로프렌 등의 디엔계 모노머류 ;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이미드(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고리형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포름산비닐, 아세트산비닐, 아크릴로니트릴, (메트)아크릴아미드, (메트)아크릴로니트릴, (메트)아크릴로일모르폴린, 및 N-비닐피롤리돈 등을 들 수 있다.
구성 단위 (a3) 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A3) 에 있어서, 구성 단위 (a3) 의 함유량은, 아크릴계 공중합체 (A3) 의 전체량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1 ∼ 99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95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90 질량% 이다.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 (A) 의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수평균 분자량이 3,000 ∼ 100,0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당해 수평균 분자량은, 시차 굴절률계 검출을 사용한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 (GPC) 측정에 의한 폴리스티렌 환산값이다.
여기서,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 (A) 의 수산기가는, 바람직하게는 5.0 mgKOH/g ∼ 25.0 mgKOH/g,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mgKOH/g ∼ 24.0 mgKOH/g,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mgKOH/g ∼ 23.0 mgKOH/g 이다.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 (A) 의 수산기가가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라텍스 수리층과 라텍스 수리층 상에 형성된 라텍스 잉크 인쇄부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쉽다. 또, 라텍스 잉크 수리층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쉽다.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 (A) 의 수산기가가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라텍스 잉크 수리층 (X) 을 형성할 때에 사용하는 도공액 (수지 조성물 (x) 를 포함하는 용액) 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쉽다. 또, 가교가 조밀해짐으로써 발생하는 라텍스 잉크 수리층 (X) 의 경화 수축에서 기인하는 수축 컬을 억제하기 쉽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 (A) 의 수산기가는, JIS K0070 : 1992 에 준거하여 측정된 값을 의미한다.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 (A) 의 산가는, 바람직하게는 10.0 mgKOH/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mgKOH/g ∼ 9.0 mgKOH/g,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mgKOH/g ∼ 8.0 mgKOH/g 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 (A) 의 산가는, JIS K0070 : 1992 에 준거하여 측정된 값을 의미한다.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 (A) 의 유리 전이 온도 (Tg) 는, 라텍스 잉크 수리층과 라텍스 잉크에 의한 인쇄부의 밀착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 이하이다. 특히,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 (A) 의 유리 전이 온도 (Tg) 가 라텍스 잉크의 경화 온도보다 낮으면, 라텍스 잉크 수리층과 라텍스 잉크에 의한 인쇄부의 밀착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쉽다.
또,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 (A) 의 유리 전이 온도 (Tg) 는, 내블로킹성 향상의 관점에서, 통상적으로 30 ℃ 이상, 바람직하게는 4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 (A) 의 유리 전이 온도 (Tg) 는, JIS K 7121 : 1987 에 준거하여, 시차 주사 열량계 (티·에이·인스트루먼트·재팬 주식회사 제조, 제품명「DSC Q2000」) 를 사용하여, 승온 속도 20 ℃/분으로 측정한 값을 의미한다.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 (A) 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효과가 발휘되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수지 조성물 (x1) 의 유효 성분의 전체량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85 질량% ∼ 98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87 질량% ∼ 97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88 질량% ∼ 96 질량% 이다.
(가교제 (B))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지 조성물 (x1) 은, 가교제 (B) 를 함유한다.
가교제 (B) 는,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 (B1) 및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의 변성체 (B2) 를 포함한다.
가교제 (B) 가,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의 변성체 (B2) 를 포함하지 않고,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 (B1) 만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라텍스 잉크 수리층과 기재 (Y) 의 밀착성을 확보할 수 없다. 즉,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 (B1) 과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의 변성체 (B2) 를 포함하는 가교제 (B) 를 사용함으로써, 수지 조성물 (x1) 의 도막을 기재 (Y) 에 형성하였을 때,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의 변성체 (B2) 가 갖는 극성기의 영향 등에 의해, 라텍스 잉크 수리층의 기재 (Y) 와의 밀착성,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포함하는 기재 (Y) 와의 밀착성이 우수한 가교 구조를 갖는 라텍스 잉크 수리층이 형성되는 것으로 추찰된다.
가교제 (B) 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 (B1) 및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의 변성체 (B2) 이외의 가교제를 함유 하고 있어도 되지만,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얻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 (B1) 및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의 변성체 (B2) 의 합계 함유량은, 가교제 (B) 의 전체량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 10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 10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질량% ∼ 100 질량% 이다.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 (B1) 및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의 변성체 (B2) 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 (B1))
가교제 (B) 는,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 (B1) 을 포함한다.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 (B1) 은,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3 량체이고, 구체적으로는 하기 식 (1) 의 화합물이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의 변성체 (B2))
가교제 (B) 는,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의 변성체 (B2) 를 포함한다.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의 변성체 (B2) 는,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3 량체로서, 또한 1 이상의 3 급 아미노기를 갖는다.
1 이상의 3 급 아미노기를, 상기 식 (1) 의 화합물에 도입하여 변성체로 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수산기 및 3 급 아미노기를 갖는 변성제를, 상기 식 (1) 의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변성제로는, 예를 들어, N,N-디메틸아미노헥산올 (예를 들어, 카오 주식회사 제조, 카오라이저 No.25), N,N-디메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탄올 (예를 들어, 카오 주식회사 제조, 카오라이저 No.23NP), N,N-디메틸아미노에톡시에탄올 (예를 들어, 카오 주식회사 제조, 카오라이저 No.26), N,N,N'-트리메틸아미노에틸에탄올아민 (예를 들어, 토소 주식회사 제조, TOYOCAT RX5), 2-[[3-(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틸아미노]에탄올 (예를 들어, Evonic 사 제조, POLYCAT 17), N,N-디메틸에탄올아민 (예를 들어, Huntsman 사 제조, JEFFCAT DMEA)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변성제는, 고리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되지만, 고리 구조를 갖고 있지 않은,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은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변성제는, 금속 원소를 갖고 있지 않은,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은 유기 비금속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변성제는, 수산기 및 3 급 아미노기를 갖는, 비고리형 유기 비금속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 (1) 의 화합물과 변성제의 반응은, 예를 들어, 질소 치환된 반응 용기 중에 상기 식 (1) 의 화합물과 변성제를 투입하고, 반응 온도 60 ℃ ∼ 100 ℃ 에서, 1 시간 ∼ 5 시간 교반함으로써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 (B1) 및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의 변성체 (B2) 를 포함하는 가교제 (B) 의 조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지 조성물 (x1) 은,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 (B1) 및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의 변성체 (B2) 를 포함하는 가교제 (B) 를 함유한다.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 (B1) 및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의 변성체 (B2) 를 포함하는 가교제 (B) 는, 예를 들어, 이미 서술한 상기 식 (1) 의 화합물과 변성제의 반응을 실시할 때, 상기 식 (1) 의 화합물과 변성제의 반응 용기로의 투입량비를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상기 식 (1) 의 화합물에 대한 변성제의 투입 비율은, 상기 식 (1) 의 화합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변성제의 함유량이 0.01 ∼ 10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 질량부 ∼ 5 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로써, 다수의 상기 식 (1) 의 화합물 중, 일부의 화합물만이 1 이상의 3 급 아미노기를 갖는 화합물이 되기 때문에,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 (B1) 및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의 변성체 (B2) 를 포함하는 가교제 (B) 를 조제할 수 있다.
또한,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의 변성체 (B2) 의 함유량은,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 (B1) 및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의 변성체 (B2) 의 합계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5 몰% ∼ 10 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몰% ∼ 5 몰% 이다.
여기서,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 (A) 100 질량부에 대한,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 (B1) 및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의 변성체 (B2) 의 합계 함유량은, 라텍스 잉크 수리층 (X) 과 라텍스 잉크에 의한 인쇄부의 밀착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4.0 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4 질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질량부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6.0 질량부 이상,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7.0 질량부 이상이다. 또, 바람직하게는 14.0 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 질량부 이하이다.
<기재 (Y)>
본 발명의 라텍스 잉크용 필름은, 기재 (Y) 를 갖는다.
기재 (Y) 는, 라텍스 잉크 수리층 (X) 을 지지함과 함께, 라텍스 잉크 수리층 (X) 상에 형성되는 인쇄부를 지지하는 지지체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기재 (Y) 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수지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 (Y) 가 수지 필름임으로써, 라텍스 잉크용 필름의 강성 및 가요성 등을 양호한 것으로 하고, 라텍스 잉크용 필름의 취급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라텍스 잉크용 필름의 생산 비용의 저감 및 경량화의 관점에서도 유리하다.
여기서, 기재 (Y) 는, 투명성을 갖는 수지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 (Y) 가 투명성을 갖는 수지 필름임으로써, 라텍스 잉크용 필름의 라텍스 잉크 수리층 상에 인쇄부가 형성된 인쇄물을, 점포, 쇼 룸, 오피스 등의 유리 장식으로서의 용도 등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 폴리스티렌 ;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 삼아세트산셀룰로오스 ; 폴리카보네이트 ; 폴리우레탄 및 아크릴 변성 폴리우레탄 등의 우레탄 수지 ; 폴리메틸펜텐 ; 폴리술폰 ;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 폴리에테르술폰 ; 폴리페닐렌술파이드 ;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이미드 등의 폴리이미드계 수지 ; 폴리아미드계 수지 ; 아크릴 수지 ; 불소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 중에서도, 라텍스 잉크 수리층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수지 필름은, 1 종의 수지만으로 구성된 것이어도 되고, 2 종 이상의 수지로 구성된 것이어도 된다. 수지 필름이 2 종 이상의 수지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수지 필름은 복층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복층체의 최상층 (라텍스 잉크 수리층에 접하는 층) 은, 라텍스 잉크 수리층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수지 필름은, 미연신이어도 되고, 세로 또는 가로 등의 1 축 방향 혹은 2 축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어도 된다.
추가로, 수지 필름은, 이들 수지와 함께, 표면 조정제, 가소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 및 착색제 등의 기재용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기재용 첨가제의 함유량은, 기재 (Y) 의 전체량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질량% 이하이다.
기재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15 ㎛ ∼ 3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 200 ㎛ 이다.
<점착제층 (Z)>
본 발명의 일 양태의 라텍스 잉크용 필름은, 점착제층 (Z) 을 갖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라텍스 잉크용 필름이 점착제층 (Z) 을 가짐으로써, 라텍스 잉크용 필름을 점착 필름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아크릴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및 실리콘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제층 (Z) 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라텍스 잉크용 필름을 점착 필름으로서 사용할 때의 취급성 향상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 ㎛ ∼ 1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 7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 50 ㎛ 이다.
<박리 라이너>
본 발명의 일 양태의 라텍스 잉크용 필름은, 점착제층 (Z) 과 함께, 박리 라이너를 갖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라텍스 잉크용 필름이 갖는 점착제층 (Z) 의 점착 표면이 박리 라이너로 덮여져 있음으로써, 라텍스 잉크용 필름의 반송시나 보관시에 있어서 점착제층 (Z) 의 점착 표면을 바람직하게 보호할 수 있다.
박리 라이너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점착 필름의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박리 라이너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박리 라이너로는, 예를 들어, 필름 기재 또는 종이 기재의 표면에 박리층이 형성된 적층체 등을 들 수 있다.
필름 기재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종이 기재로는, 예를 들어, 상질지, 크라프트지, 및 글라신지 등의 종이류를 들 수 있다.
박리층의 구성 재료는, 예를 들어, 실리콘, 장사슬 알킬계 수지, 및 불소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박리 라이너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10 ㎛ ∼ 150 ㎛,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 130 ㎛,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 50 ㎛ 이다.
[라텍스 잉크용 필름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라텍스 잉크용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라텍스 잉크용 필름의 구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다.
<라텍스 잉크 수리층 (X) 의 형성 방법>
라텍스 잉크 수리층 (X) 의 형성 방법으로는, 기재 (Y) 의 일방의 면 (Ya) 에, 수지 조성물 (x1) 을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고, 당해 도막을 건조시킨 후, 가교시킴으로써, 라텍스 잉크 수리층 (X) 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재 (Y) 에 대한 도포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지 조성물 (x1) 은, 추가로 희석 용매로 희석시켜, 용액의 형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희석 용매로는, 예를 들어, 메틸에틸케톤, 아세톤, 아세트산에틸,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옥산, 시클로헥산, n-헥산, 톨루엔, 자일렌, n-프로판올, 및 이소프로판올 등의 유기 용제를 들 수 있다.
수지 조성물 (x1) 의 용액의 고형분 농도로는,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 50 질량% 이다.
수지 조성물 (x1) 의 용액의 도포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마이어 바 코트법, 그라비어 코트법, 롤 코트법, 나이프 코트법, 다이 코트법 등을 들 수 있다.
도막을 건조시킬 때의 가열 조건으로는, 예를 들어, 건조 온도 60 ℃ ∼ 120 ℃, 건조 시간 30 초간 ∼ 3 분간이다.
도막을 건조시킬 때의 가열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건조 온도 60 ℃ ∼ 120 ℃, 건조 시간 30 초간 ∼ 3 분간이다.
가교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통상 환경 (예를 들어 23 ℃, 상대 습도 50 %) 에 1 일 이상 14 일 이하 방치하여 가교시켜도 되고, 40 ℃ ∼ 60 ℃ 의 환경하에 1 일 ∼ 3 일간 방치하여 가교시켜도 된다. 또, 건조 공정과 가교 공정을 일괄하여 실시하도록 해도 된다.
<점착제층 (Z) 의 형성 방법>
본 발명의 일 양태의 라텍스 잉크용 필름이 점착제층 (Z) 을 갖는 경우, 점착제층 (Z) 은, 라텍스 잉크 수리층 (X) 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기재 (Y) 의 타방의 면 (Yb) 에 형성된다.
점착제층 (Z) 은, 예를 들어, 기재 (Y) 의 타방의 면 (Yb) 에, 점착제층 (Z) 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 (점착제층 형성용 조성물) 을 도포함으로써 형성된다. 혹은, 박리 라이너의 박리면에 점착제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점착제층 (Z) 을 형성하고, 이것을 기재 (Y) 의 타방의 면 (Yb) 에 첩합하도록 (전사하도록) 해도 된다.
점착제층 형성용 조성물의 도포 방법은, 수지 조성물 (x1) 로서 이미 서술한 것과 동일하다.
[라텍스 잉크용 필름의 용도 등]
본 발명의 라텍스 잉크용 필름은, 라텍스 잉크를 사용한 인쇄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라텍스 잉크용 필름의 라텍스 잉크 수리층 상에, 라텍스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라텍스 잉크용 필름을 사용하는, 사용 방법이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라텍스 잉크용 필름의 라텍스 잉크 수리층 상에, 라텍스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인쇄물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라텍스 잉크용 필름의 라텍스 잉크 수리층 상에, 라텍스 잉크에 의한 인쇄부를 갖는, 인쇄물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라텍스 잉크용 필름의 라텍스 잉크 수리층 상에 인쇄부를 형성하기 위한 라텍스 잉크에 대해 설명한 후, 본 발명의 라텍스 잉크용 필름의 라텍스 잉크 수리층 상에 인쇄부를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라텍스 잉크>
라텍스 잉크는, 액상의 분산매와, 당해 분산매 중에 분산 (유탁 및/또는 현탁) 되어 있는, 적어도 수지를 포함하는 재료로 구성된 분산질을 함유한다.
라텍스 잉크는, 환경에 대한 부하가 낮다. 또, 라텍스 잉크는, 얇은 층으로 진한 색을 표현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 라텍스 잉크를 구성하는 라텍스 입자는, 바인더 (수지) 를 포함하고, 일반적으로, 안료 착색제의 기록 매체에 대한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있어서 유리하다. 또, 잉크젯법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온 디맨드로 인쇄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 라텍스 잉크는, 수계 잉크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계 잉크는, 유기 용제에서 기인하는 휘발성 유기물의 발생이 억제되기 때문에, 안전성이 보다 높고, 환경에 대한 부하가 보다 적다.
(수지)
라텍스 잉크에 포함되는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비닐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알키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불소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페녹시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 및 이것들의 변성 수지 (예를 들어, 수용성으로 변성된 변성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이것들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아크릴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수용성 폴리우레탄계 수지, 수용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수용성 아크릴계 수지가 바람직하고, 아크릴계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라텍스 잉크용 필름에 있어서 사용되는 라텍스 잉크는, 라텍스 잉크 수리층 (X) 과 인쇄부의 밀착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라텍스 잉크인 것이 바람직하다.
라텍스 잉크 중에 있어서의 수지의 함유율은, 라텍스 잉크의 전체량 기준으로, 1 질량% ∼ 20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2 질량% ∼ 10 질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분산매)
라텍스 잉크는, 분산매로서 물을 포함한다.
라텍스 잉크 중에 있어서의 분산매 (물) 의 함유율은, 라텍스 잉크의 전체량 기준으로, 50 질량% ∼ 98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60 질량% ∼ 97 질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0 질량% ∼ 96 질량%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착색제)
라텍스 잉크는, 통상적으로 착색제를 포함하고 있다.
착색제로는, 각종 염료, 각종 안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라텍스 잉크 중에 있어서의 착색제의 함유율은, 라텍스 잉크의 전체량 기준으로, 0.1 질량% ∼ 20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0.2 질량% ∼ 10 질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 밖의 성분)
라텍스 잉크는, 이미 서술한 것 이외의 성분 (그 밖의 성분) 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분산제, 방미제, 방청제, pH 조정제, 계면 활성제, 가소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 등을 들 수 있다.
<인쇄부의 형성>
라텍스 잉크에 의한 인쇄부는, 라텍스 잉크용 필름의 라텍스 잉크 수리층 (X) 상에 라텍스 잉크를 부여함으로써 형성된다. 당해 라텍스 잉크는, 라텍스 잉크 수리층 (X) 과 인쇄부의 밀착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라텍스 잉크인 것이 바람직하다.
라텍스 잉크를 부여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각종 인쇄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잉크젯법이 바람직하다. 잉크젯의 방식으로는, 예를 들어, 피에조 방식, 서멀 제트 방식 등을 들 수 있다.
라텍스 잉크를 부여할 때, 라텍스 잉크용 필름을 가열해도 된다. 가열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40 ℃ ∼ 90 ℃ 이다.
이상의 방법에 의해, 라텍스 잉크용 필름의 라텍스 잉크 수리층 (X) 상에 라텍스 잉크에 의한 인쇄부를 갖는 인쇄물이 얻어진다. 당해 라텍스 잉크는, 라텍스 잉크 수리층 (X) 과 인쇄부의 밀착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라텍스 잉크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본 발명에 대해,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종 물성값의 측정 방법]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각종 물성값의 측정 방법은, 이하에 기재된 바와 같다.
(1) 수산기가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 (A) 의 수산기가는, JIS K0070 : 1992 에 준거하여 측정하였다.
(2) 산가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 (A) 의 산가는, JIS K0070 : 1992 에 준거하여 측정하였다.
(3) 유리 전이 온도 (Tg)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 (A) 의 유리 전이 온도 (Tg) 는, JIS K 7121 : 1987 에 준거하여, 시차 주사 열량계 (티·에이·인스트루먼트·재팬 주식회사 제조, 제품명「DSC Q2000」) 를 사용하여, 승온 속도 20 ℃/분으로 측정하였다.
(4) 각 층의 두께
각 층의 두께는, 테크락사 제조의 정압 두께 측정기 (형번 :「PG-02J」, 표준 규격 : JIS K6783 : 1994, JIS Z1702 : 1994, JIS Z1709 : 1995 에 준거)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1 ∼ 16, 비교예 1 ∼ 2]
실시예 1 ∼ 16, 비교예 1 ∼ 2 의 라텍스 잉크용 필름을 이하의 순서로 제조하였다.
<수지 조성물의 조제>
수지 조성물의 조제에는, 이하에 나타내는 수지 및 가교제를 사용하였다.
(수지)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 (A)-
· 아크릴계 수지 (A)-1 : 수산기가 11.0 mgKOH/g, 산가 3.9 mgKOH/g, 유리 전이 온도 (Tg) 90 ℃
· 아크릴계 수지 (A)-2 : 수산기가 5.4 mgKOH/g, 산가 3.9 mgKOH/g, 유리 전이 온도 (Tg) 90 ℃
· 아크릴계 수지 (A)-3 : 수산기가 21.4 mgKOH/g, 산가 3.9 mgKOH/g, 유리 전이 온도 (Tg) 90 ℃
· 아크릴계 수지 (A)-4 : 수산기가 11.0 mgKOH/g, 산가 1.9 mgKOH/g, 유리 전이 온도 (Tg) 90 ℃
· 아크릴계 수지 (A)-5 : 수산기가 11.0 mgKOH/g, 산가 3.9 mgKOH/g, 유리 전이 온도 (Tg) 80 ℃
· 아크릴계 수지 (A)-6 : 수산기가 11.0 mgKOH/g, 산가 3.9 mgKOH/g, 유리 전이 온도 (Tg) 70 ℃
· 아크릴계 수지 (A)-7 : 수산기가 5.4 mgKOH/g, 산가 3.9 mgKOH/g, 유리 전이 온도 (Tg) 70 ℃
· 아크릴계 수지 (A)-8 : 수산기가 11.0 mgKOH/g, 산가 1.9 mgKOH/g, 유리 전이 온도 (Tg) 70 ℃
· 아크릴계 수지 (A)-9 : 수산기가 11.0 mgKOH/g, 산가 7.7 mgKOH/g, 유리 전이 온도 (Tg) 90 ℃
-그 밖의 수지-
우레탄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가교제)
-가교제 (B)-
·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의 일부 변성품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 (B1) 과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의 변성체 (B2) 를 포함하는 가교제에 상당)
-가교제 (B')-
·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 (미변성품,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 (B1) 에 상당)
(그 밖의 첨가제)
주석계 촉매
수지 조성물을 표 1 에 나타내는 배합 (배합량은 유효 성분 환산) 으로 각각 조제하고 (유효 성분 농도 : 10 질량%, 희석 용매 : 아세트산에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제의 기재 (두께 : 50 ㎛) 의 일방의 면에, 마이어 바를 사용하여, 건조 후의 막두께가 1 ㎛ 가 되도록 도포하였다.
다음으로, 열풍 건조 장치를 사용하여, 90 ℃, 1 분간의 조건에서 가열함으로써, 기재에 도포한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용제를 제거하고, 추가로 23 ℃, 상대 습도 50 % 의 환경하에 7 일간 방치함으로써, 가교시켰다. 이로써, 두께 : 1 ㎛ 의 라텍스 잉크 수리층 (X) 을 형성하여, 라텍스 잉크용 필름을 얻었다.
<평가 1>
(1) 기재 (Y) 의 라텍스 잉크 수리층 (X) 과의 밀착성 평가
실시예 1 ∼ 16 및 비교예 1 ∼ 2 의 라텍스 잉크용 필름을, 23 ℃, 상대 습도 50 % 의 환경하에 24 시간 정치 (靜置) 하여, 시험 시료를 준비하였다. 그리고, 시험 시료의 라텍스 잉크 수리층 (X) 의 형성면에, 10 ㎝ × 24 ㎜ 의 니치반사 제조의 셀로테이프 (등록 상표) 를 첩부하고, 테이프를 잡아떼어, 라텍스 잉크 수리층 (X) 의 잔존 상태를 확인하고, 이하의 기준에 따라서 평가하였다.
A : 라텍스 잉크 수리층 (X) 이 충분히 잔존하고, 밀착성이 양호하다.
F : 라텍스 잉크 수리층 (X) 의 잔존 상태가 나쁘고, 밀착성이 나쁘다.
(2) 라텍스 잉크에 의한 인쇄부의 라텍스 잉크 수리층 (X) 과의 밀착성 평가
실시예 1 ∼ 16 및 비교예 1 ∼ 2 의 라텍스 잉크용 필름의 각각에 대해, 라텍스 잉크 수리층 (X) 의 표면에 라텍스 잉크 (휴렛·팩커드사 제조, HP882) 를 사용하여 잉크젯 인쇄기 (휴렛·팩커드사 제조, HP Latex R2000) 로 잉크젯법에 의해, 소정의 시험용 패턴을 인쇄하여, 인쇄부 (인쇄층) 를 형성하였다.
그리고, 소정의 시험용 패턴의 인쇄부가 형성된 실시예 1 ∼ 16 및 비교예 1 ∼ 2 의 라텍스 잉크용 필름을, 23 ℃, 상대 습도 50 % 의 환경하에, 30 분간, 1 시간, 1 일간, 5 일간 정치하여, 시험 시료를 준비하였다. 그리고, 시험 시료의 인쇄부가 형성된 측의 면에, 10 ㎝ × 24 ㎜ 의 니치반사 제조의 셀로테이프 (등록 상표) 를 첩부하고, 테이프를 잡아뗀 후에 잔존하는 인쇄부의 잔존율 (잔존 면적/전체 면적) 을 구하고, 이하의 기준에 따라서 평가하였다.
1 : 잔존율 20 % 미만
2 : 잔존율 20 % 이상 40 % 미만
3 : 잔존율 40 % 이상 60 % 미만
4 : 잔존율 60 % 이상 90 % 미만
5 : 잔존율 90 % 이상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표 1 로부터, 이하의 점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 ∼ 16 의 라텍스 잉크용 필름은, 라텍스 잉크 수리층 (X) 이, 라텍스 잉크에 의한 인쇄부 및 기재의 쌍방과의 밀착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비교예 1 과 같이 가교제로서 미변성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1) 을 사용한 경우에는, 라텍스 잉크 수리층 (X) 이 기재와의 밀착성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비교예 2 와 같이 우레탄 변성 폴리에틸렌 수지를 사용한 경우에는, 라텍스 잉크 수리층 (X) 이 기재와의 밀착성은 확보할 수 있지만, 라텍스 잉크 수리층 (X) 과 인쇄부의 밀착성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평가 2>
라텍스 잉크에 의한 인쇄부 및 기재의 쌍방과의 밀착성이 우수하였던 실시예 1 ∼ 16 의 라텍스 잉크용 필름에 대해, 블로킹 시험을 실시하였다.
(1) 블로킹 시험
실시예 1 ∼ 16 의 라텍스 잉크용 필름을, 각각 5 ㎝ × 10 ㎝ 의 크기로 절단하여 10 장 중첩시켜,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당해 적층체를 두께 3 ㎜ 의 유리판으로 협지하고, 유리판 상에 2 ㎏ 의 추를 얹은 상태에서, 40 ℃, 상대 습도 80 % 의 환경하에서 7 일 정치하였다. 이어서, 당해 적층체를 유리판의 사이에서 꺼내어, 23 ℃, 상대 습도 50 % 의 환경하에서 24 시간 정치한 후, 라텍스 잉크용 필름을 1 장씩 박리하여, 박리음과 첩부를 평가하였다.
박리음은, 소리가 큰 순서로 1, 2, 3, 4, 및 5 의 5 단계로 평가하였다. 박리음이 들리지 않는 경우에는, 평가값은 5 로 하였다. 박리음이 작을수록 (평가값이 클수록), 내블로킹 성능이 우수하다.
또, 첩부는, 첩부가 강한 순서로 1, 2, 3, 4, 및 5 의 5 단계로 평가하였다. 첩부가 보이지 않는 경우에는, 평가값은 5 로 하였다. 첩부가 작을수록 (평가값이 클수록), 내블로킹 성능이 우수하다.
블로킹 시험의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표 1 에 나타내는 블로킹 시험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 ∼ 16 의 라텍스 잉크용 필름은 내블로킹 성능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1 : 라텍스 잉크용 필름
X : 라텍스 잉크 수리층
Y : 기재
Ya : 기재의 일방의 면
Yb : 기재의 타방의 면
Z : 점착제층

Claims (9)

  1. 라텍스 잉크 수리층 (X) 과 기재 (Y) 가 적층된 적층 구조를 갖고,
    상기 라텍스 잉크 수리층 (X) 은,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 (A) 및 가교제 (B) 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 (x1) 로 형성되고,
    상기 가교제 (B) 는,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 (B1) 및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의 변성체 (B2) 를 포함하고,
    상기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 (B1) 은,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3 량체이고,
    상기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의 변성체 (B2) 는,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3 량체로서, 또한 1 이상의 3 급 아미노기를 갖는, 라텍스 잉크용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 (A) 는, 수산기가가 5.0 mgKOH/g ∼ 25.0 mgKOH/g 인, 라텍스 잉크용 필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 (A) 는, 유리 전이 온도 (Tg) 가 100 ℃ 이하인, 라텍스 잉크용 필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 (A) 100 질량부에 대한,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 (B1) 및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의 변성체 (B2) 의 합계 함유량이 4.0 질량부 이상인, 라텍스 잉크용 필름.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Y) 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포함하는, 라텍스 잉크용 필름.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라텍스 잉크를 사용한 인쇄에 사용되는, 라텍스 잉크용 필름.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라텍스 잉크용 필름의 라텍스 잉크 수리층 상에, 라텍스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라텍스 잉크용 필름을 사용하는, 사용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라텍스 잉크용 필름의 라텍스 잉크 수리층 상에, 라텍스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인쇄물의 제조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라텍스 잉크용 필름의 라텍스 잉크 수리층 상에, 라텍스 잉크에 의한 인쇄부를 갖는, 인쇄물.
KR1020237001447A 2020-07-20 2020-07-20 라텍스 잉크용 필름 KR202300205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0/028141 WO2022018807A1 (ja) 2020-07-20 2020-07-20 ラテックスインク用フィル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0547A true KR20230020547A (ko) 2023-02-10

Family

ID=79729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1447A KR20230020547A (ko) 2020-07-20 2020-07-20 라텍스 잉크용 필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286310A1 (ko)
EP (1) EP4177065A4 (ko)
JP (1) JP7458486B2 (ko)
KR (1) KR20230020547A (ko)
AU (1) AU2020459190A1 (ko)
CA (1) CA3189760A1 (ko)
WO (1) WO20220188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35711A1 (ja) * 2022-01-13 2023-07-20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ラテックスインク用フィル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20719A (ja) 2016-01-20 2016-07-07 ヒューレット−パッカード デベロップメント カンパニー エル.ピー.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ラテックスインク造膜助剤を含む印刷媒体
JP2019172877A (ja) 2018-03-29 2019-10-10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ラテックスインク用フィルムおよびラテックスインク用フィルム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29882A1 (en) 2003-12-16 2005-06-16 Snow Larry G. Processes for preparing printable and printed articles
US7608311B2 (en) 2003-12-16 2009-10-2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int receptive articles
JP2009202367A (ja) 2008-02-26 2009-09-10 Lintec Corp 装飾用粘着シート
EP2632735B1 (en) 2010-10-25 2020-02-2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 media comprising latex ink film-forming aid
JP5762726B2 (ja) * 2010-12-03 2015-08-12 大王製紙株式会社 記録用紙、及び記録用紙の製造方法
US20190210391A1 (en) 2016-09-26 2019-07-11 Brady Worldwide, Inc. Latex Ink Receptive Coat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20719A (ja) 2016-01-20 2016-07-07 ヒューレット−パッカード デベロップメント カンパニー エル.ピー.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ラテックスインク造膜助剤を含む印刷媒体
JP2019172877A (ja) 2018-03-29 2019-10-10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ラテックスインク用フィルムおよびラテックスインク用フィルム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77065A1 (en) 2023-05-10
US20230286310A1 (en) 2023-09-14
CA3189760A1 (en) 2022-01-27
EP4177065A4 (en) 2024-04-03
JPWO2022018807A1 (ko) 2022-01-27
WO2022018807A1 (ja) 2022-01-27
AU2020459190A1 (en) 2023-02-16
JP7458486B2 (ja) 2024-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03806A (zh) 加强膜
JP2018070847A (ja) マットコート剤、マットコート層、および積層フィルム
CN109641433B (zh) 层叠片及其制造方法
JP6576166B2 (ja) インキ及び積層体
WO2016147680A1 (ja) 自己吸着性発泡シート
JP2013203069A (ja) 印刷用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076260B2 (ja) ラテックスインク用フィルムおよびラテックスインク用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7155099A (ja) 保護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及び保護フィルム
KR20230020547A (ko) 라텍스 잉크용 필름
WO2023062797A1 (ja) ラテックスインク用フィルム
JP2009120675A (ja) 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の使用方法
JP2018172576A (ja) 酸変性ポリオレフィン樹脂水性分散体
KR20210068466A (ko) 2축배향 폴리아미드 필름 및 폴리아미드 필름 밀 롤
JP5210580B2 (ja) 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の使用方法
WO2023135711A1 (ja) ラテックスインク用フィルム
WO2018101335A1 (ja) 両面粘着シート、及び両面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JP6062265B2 (ja) 印刷用シート、その印刷用シートを形成するための塗工液、およびその塗工液を用いる印刷用シートの製造方法
WO2018181108A1 (ja) 印刷印字用粘着シート、及び印刷印字用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JP6909675B2 (ja) インキ及び積層体
JP2015083335A (ja) 積層体
CN114450827B (zh) 燃料电池用接合体、和层叠体
WO2022149242A1 (ja) インクジェット印刷用シート
JP7294568B2 (ja) 耐熱性粘着シート用粘着剤組成物、耐熱性粘着シート、及び、積層体
JP5325582B2 (ja)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および粘着積層体
JP2023182000A (ja) 水系コート剤、塗膜、および積層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