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0130A -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0130A
KR20230020130A KR1020210101797A KR20210101797A KR20230020130A KR 20230020130 A KR20230020130 A KR 20230020130A KR 1020210101797 A KR1020210101797 A KR 1020210101797A KR 20210101797 A KR20210101797 A KR 20210101797A KR 20230020130 A KR20230020130 A KR 20230020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gripper
knot
strap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1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원웅
Original Assignee
조원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원웅 filed Critical 조원웅
Priority to KR1020210101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0130A/ko
Publication of KR20230020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01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CBRAIDING OR MANUFACTURE OF LACE, INCLUDING BOBBIN-NET OR CARBONISED LACE; BRAIDING MACHINES; BRAID; LACE
    • D04C3/00Braiding or lacing machines
    • D04C3/48Auxiliar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45C3/04Shopping bags; Shopping 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6Handles
    • B65D33/12String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는, 좌측에서 우측으로의 x방향으로 일정이상의 장력을 갖는 상태로 공급되는 끈에 매듭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공급되는 끈의 단부를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 가능한 제1 그리퍼를 가지며, 상기 제1 그리퍼를 전방과 후방으로의 y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제1 끈 이송유닛; 상기 끈의 단부가 제1 그리퍼에 의해 클램핑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끈의 기설정된 복수의 부분을 가압하거나 이동시켜 상기 끈에 오픈 타입의 링 고리를 형성하는 링 고리 형성유닛; 및 상기 제1 그리퍼가 클램핑하고 있는 끈의 단부를 클램핑 가능한 제2 그리퍼를 가지며, 상기 오픈 타입의 링 고리를 이용하여 끈에 매듭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그리퍼에 대한 상기 제2 그리퍼의 상대적인 위치 및 이동관계 변동을 구현하되, 상기 제2 그리퍼를 y방향을 따라 이송시킴과 더불어 x방향, z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2 끈 이송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손잡이끈에 매듭을 형성시키고 매듭이 형성된 손잡이끈을 일정길이로 커팅하는 작업을 모두 자동화함으로써 손잡이끈을 우수한 품질로 대량 생산 가능하고 쇼핑백의 생산 효율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쇼핑백의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Description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Hand strap manufacturing apparatus for shopping bag}
본 발명은 손잡이끈의 일단에 매듭을 형성하고 타단을 절단하는 작업을 일련의 자동화 방식으로 적용함으로써 손잡이끈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쇼핑백은 종이나 비닐 따위 등으로 만든 것으로 백화점이나 상점 등에서 산 옷이나 신발 등의 물건을 내부에 담아 쉽고 간편하게 들고다닐 수 있도록 한 가방이다. 이러한 쇼핑백은 하부가 밀폐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제지나 비닐 기타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개구부에 인접되도록 결합되는 손잡이끈으로 구성되어 있다.
손잡이끈은 다양한 구조로 쇼핑백 몸체에 고정되는데, 가장 간단한 구조가 그 양단에 매듭을 형성시켜 삽입공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하여 쇼핑백 몸체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즉,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 손잡이끈 일단에 쇼핑백 몸체의 삽입공보다 넓게 매듭을 형성한 후 매듭이 형성되지 않은 그 타단을 이용하여 쇼핑백 몸체의 일측 삽입공과 타측 삽입공에 차례대로 삽입시킨 후 그 타단에 매듭을 형성시킨다.
이와 같이 매듭을 이용하여 손잡이끈을 고정시키는 구조는 구조 자체가 간단하고 별도의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쇼핑백의 재료 단가를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쇼핑백을 재활용할 때는 매듭만을 풀어주면 손잡이끈을 쉽게 쇼핑백 몸체에서 분리할 수 있으므로 쇼핑백의 재활용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현재 전술한 바와 같이 손잡이끈을 묶어주는 것은 모두 수작업으로 행해지고 있는바, 작업자의 수동작업에 의한 작업시간도 많이 소요되므로 결국 쇼핑백 제조 비용이 상승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수작업에 의존하므로 손잡이끈의 길이가 일정하지 않고 매듭의 크기와 형상도 일정하지 않아 손잡이끈의 품질을 저화시키는 문제점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40371호 (2011. 06. 13 공고)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손잡이 끈의 일단 부위에 매듭을 자동으로 형성함과 더불어 연속적으로 길게 공급되는 끈의 설정 부위를 일정한 길이로 자동절단하여 하나의 쇼핑백에 사용 가능하도록 단위 손잡이 끈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작업자의 노동력을 절감하고 대량 생산을 가능하게 하여 제조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좌측에서 우측으로의 x방향으로 일정이상의 장력을 갖는 상태로 공급되는 끈에 매듭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공급되는 끈의 단부를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 가능한 제1 그리퍼를 가지며, 상기 제1 그리퍼를 전방과 후방으로의 y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제1 끈 이송유닛; 상기 끈의 단부가 제1 그리퍼에 의해 클램핑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끈의 기설정된 복수의 부분을 가압하거나 이동시켜 상기 끈에 오픈 타입의 링 고리를 형성하는 링 고리 형성유닛; 및 상기 제1 그리퍼가 클램핑하고 있는 끈의 단부를 클램핑 가능한 제2 그리퍼를 가지며, 상기 오픈 타입의 링 고리를 이용하여 끈에 매듭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그리퍼에 대한 상기 제2 그리퍼의 상대적인 위치 및 이동관계 변동을 구현하되, 상기 제2 그리퍼를 y방향을 따라 이송시킴과 더불어 x방향, z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2 끈 이송유닛을 포함하는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1 그리퍼에 대한 상기 제2 그리퍼의 상대적인 위치 및 이동관계 변동은, 상기 제2 그리퍼가 상기 끈의 단부를 클램핑한 상태에서, 상기 끈의 단부가 상기 링 고리 기준 일측방향에서 타측방향으로 상기 링 고리의 내측 영역을 통과하도록 상기 제2 그리퍼를 y방향을 따라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그리퍼에 대한 상기 제2 그리퍼의 상대적인 위치 및 이동관계 변동은, 상기 제1 그리퍼와 상기 제2 그리퍼가 마주보는 상태에서 상기 제1 그리퍼와 상기 제2 그리퍼 간의 상호 접근 및 이격, 상기 제1 그리퍼 내측 영역으로의 상기 제2 그리퍼 이동, 상기 제1 그리퍼에 대한 상기 제2 그리퍼의 측방 이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그리퍼는, 상기 끈을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홈이 마련되고 z방향으로 벌어지거나 서로 접근하도록 구동되며 각각 절개부가 마련되는 한 쌍의 제1 파지그립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그리퍼는, 상기 끈을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홈이 마련되고 z방향으로 벌어지거나 서로 접근하도록 구동되며, 상기 절개부 내측으로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제2 파지그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끈 이송유닛은, 상기 제1 그리퍼의 한 쌍의 제1 파지그립이 끈을 클램핑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제2 파지그립이 벌어진 상태로 상기 절개부 내측으로 진입한 후 서로 접근하여 끈을 클램핑하고 이후 상기 한 쌍의 제1 파지그립이 벌어짐으로써, 상기 제1 그리퍼가 끈을 클램핑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2 그리퍼가 끈을 클램핑하는 상태로 상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링 고리 형성유닛은, 끈 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끈이 상기 제1 끈 이송유닛으로 전달되도록 끈이 관통 삽입되는 끈 공급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관통 삽입된 끈 부위를 y방향을 따라 이송 가능한 끈 공급부; 상기 끈 공급부와 상기 제1 그리퍼 사이에서 끈을 지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2 끈 이송유닛의 x방향 이송시 상기 끈 상에 매듭 형성위치를 결정 가능한 매듭위치 결정부; 및 상기 끈의 단부가 제1 그리퍼에 의해 클램핑된 상태에서, 상기 끈 공급부와 상기 매듭위치 결정부 사이의 끈을 가압하거나 특정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끈에 상기 링 고리를 형성하는 링 고리 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끈 공급부는, 상기 끈 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끈이 관통 삽입되도록 끈 관통공이 마련되는 끈 공급블록; 및 상기 끈 공급블록을 y방향을 따라 왕복 이송시키는 공급블록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 고리 형성부는, 상기 끈 공급부와 상기 매듭위치 결정부 사이의 끈을 하측으로 가압하여 U자 고리를 형성하는 끈 하강부; 및 상기 U자 고리 중 상기 끈 공급부에 의해 y방향을 따라 후방 이송된 U자 고리의 좌측부분을 x방향을 따라 우측으로 이송하여 U자 고리 우측부분과의 사이에 상기 오픈 타입의 링 고리를 형성하는 끈 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끈 하강부와 상기 끈 이송부는 각각, 제1 실린더; 상기 제1 실린더의 로드에 연결되어 제1 실린더 구동시 연동하여 이동 가능한 제2 실린더; 및 상기 제2 실린더의 로드에 마련되어 상기 끈을 가압하거나 이동시키도록 상기 끈에 직접적으로 접촉 가능한 끈 접촉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실린더는 핀 실린더이며, 상기 끈 접촉부재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듭위치 결정부는, 상기 제1 그리퍼에 대한 상기 제2 그리퍼의 상대적인 위치 및 이동관계 변동에 따라 상기 끈이 외면 일측에 단순 지지되거나 외면을 둘레방향으로 감싸는 것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매듭위치 결정봉; 및 상기 매듭위치 결정봉을 y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매듭위치 결정봉 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듭위치 결정봉 이송부는, 상기 제2 그리퍼가 상기 끈의 단부를 클램핑하고 있고 상기 끈에 상기 매듭 이전의 미완성 형태의 매듭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제2 그리퍼가 x방향을 따라 일정거리 우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매듭위치 결정봉과 상기 끈과의 상호 접촉관계를 해제하도록 상기 매듭위치 결정봉을 y방향을 따라 후방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끈 이송유닛은, 상기 제2 그리퍼를 x, y, z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제2 그리퍼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그리퍼 이동부는, 상기 x방향을 따라 길게 마련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2 그리퍼를 상기 y, z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전후 및 승강 구동부가 탑재되는 이동 브래킷; 및 상기 이동 브래킷을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브래킷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래킷 이동부는, 회전축에 구동풀리가 장착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풀리와 이격되게 마련되는 종동풀리; 및 상기 구동풀리와 종동풀리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시 상기 이동 브래킷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일부 영역이 상기 이동 브래킷에 일체로 고정 결합되는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그리퍼와 상기 제2 그리퍼 간의 상대적인 위치 및 이동관계 변동을 통해 끈에 완전한 매듭 이전에 미완성 형태의 매듭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제2 그리퍼가 상기 끈의 단부를 클램핑하여 x방향으로 끈을 인출할 시 상기 미완성 형태의 매듭이 걸림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미완성 형태의 매듭의 더 이상의 x방향 이동을 제한하여 매듭을 형성하도록 하는 매듭형성 스토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듭형성 스토퍼부는, 상기 끈이 삽입되어 안내되도록 x방향의 양측이 개구된 끈 안내홈이 마련되는 스토퍼 블록; 및 상기 스토퍼 블록을 y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스토퍼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 블록에는 상기 끈의 인출시 상기 미완성 형태의 매듭이 상기 끈 안내홈을 통과하여 x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미완성 형태의 매듭의 이동을 제한하는 미완성 매듭 이동제한면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끈 안내홈과 연결되는 상기 스토퍼 블록의 일측에는, 상기 스토퍼 블록이 상기 끈으로 접근하도록 이동할시 상기 끈이 상기 끈 안내홈 내측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끈으로의 접근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는 경사안내면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매듭형성 스토퍼부는, 상기 끈 안내홈 내측에 삽입된 끈이 상기 끈 안내홈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끈의 측방 이동을 제한하는 끈 측방이동 제한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끈 측방이동 제한봉은, 상기 스토퍼 블록에 대해 승하강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에 의하면, 손잡이끈에 매듭을 형성시키고 매듭이 형성된 손잡이끈을 일정길이로 커팅하는 작업을 모두 자동화함으로써 손잡이끈을 우수한 품질로 대량 생산 가능하고 쇼핑백의 생산 효율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쇼핑백의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쇼핑백과 손잡이끈을 매듭 구조를 통해서만 서로 결합하는 구조롤 적용함에 따라 재활용 분리를 위해 손잡이끈을 쇼핑백으로부터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후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
도 6은 도 1의 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의 제2 끈 이송유닛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의 링 고리 형성부의 끈 이송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의 끈 공급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에서 제1 및 제2 끈 이송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의 링 고리 형성부의 끈 하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끈에 매듭을 형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에서 미완성 매듭이 완전한 매듭으로 성형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의 매듭형성 스토퍼부와 끈 위치유도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에서 스토퍼 블록 내측으로 끈이 진입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에서 끈 위치유도부의 구동에 의해 끈의 위치가 초음파 커팅혼과 대응되게 위치 조절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의 커팅유닛, 끈 위치유도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3 내지 도 5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를 통해 끈에 매듭을 자동으로 형성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는 손잡이 끈의 일단 부위에 매듭을 자동으로 형성함과 더불어 연속적으로 길게 공급되는 끈의 설정 부위를 일정한 길이로 자동절단하여 하나의 쇼핑백에 사용 가능하도록 단위 손잡이 끈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작업자의 노동력을 절감하고 대량 생산을 가능하게 하여 제조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는 좌측에서 우측으로의 x방향으로 일정이상의 장력을 갖는 상태로 공급되는 끈에 매듭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끈 공급유닛(100), 제1 끈 이송유닛(200), 링 고리 형성유닛(300), 제2 끈 이송유닛(400) 및 커팅유닛(600)을 포함한다. 전술한 구성들은 베이스플레이트(110)에 설치되며, 이하 설명에서는 특별히 베이스플레이트와의 결합 관계에 대해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끈 공급유닛(100)으로부터 연속적으로 끈이 공급되는 방향을 x방향이라 하고, 관련 도면상 높이 방향을 z방향이라 하고, 제1 끈 이송유닛(200) 및 제2 끈 이송유닛(400) 등이 끈(S)으로 접근 또는 이격되는 방향을 y방향이라 한다.
먼저, 끈 공급유닛(100)은 끈(S)을 제1 끈 이송유닛(200), 제2 끈 이송유닛(400)이 배치된 후방으로 공급하되, 끈이 일정 이상의 장력을 유지하는 상태로 연속적으로 공급되도록 이루어진다. 부연하자면, 끈 공급유닛(100)은 자력(自力)으로 제1 끈 이송유닛(200), 제2 끈 이송유닛(400)이 배치된 후방으로 끈을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제1 끈 이송유닛(200), 제2 끈 이송유닛(400)의 끈 클램핑 및 이동에 의해 끈을 후방으로 인출할 시 인출되는 끈이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도록 장력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끈 공급유닛(100)은 베이스플레이트(110)에 설치되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바(150)에 연결되어 회전바(150)에 연동하여 힌지회전 가능한 끈공급 주롤러(120)와, 끈공급 주롤러(120)와 후술하는 끈 공급부(310) 사이에 마련되어 끈이 이송경로를 가이드하는 복수의 끈공급 부롤러(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끈공급 부롤러(140)에 의해 이송된 끈은 후술하는 끈 공급블록(312)의 끈 관통공(311)을 관통한 후, 단부가 제1 그리퍼(210)에 의해 클램핑되며, 작업 초기에 끈 단부를 제1 그리퍼(210)에 클램핑하는 작업은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실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끈공급 주롤러(120)와 끈공급 부롤러(140)는 후술하는 제1 그리퍼(210) 및 제2 그리퍼(410)에 의한 끈 이동시 끈이 일정이상의 장력을 갖는 상태로 후방 이송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베이스플레이트(110)에는 회전바(150)가 핀 고정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회전바(150)의 일단에는 끈공급 주롤러(120)가 마련되고 회전바(150)의 타단은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상태를 갖는다. 여기서, 탄성부재(미도시)는 스프링으로 적용 가능하며, 탄성부재(미도시)의 일단은 회전바(150)의 타단에 연결되고 탄성부재의 타단은 별도의 탄성부재 지지블록(미도시)에 지지된 상태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탄성부재 지지블록(미도시)은 베이스플레이트(110)에 대해 설치 위치를 조절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탄성부재 지지블록(미도시)을 설치장소의 지면에 대해 승강시킴으로써 탄성부재(미도시)가 회전바(150)의 타단을 지지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매듭 형성작업이 진행중인 끈에 작용하는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다음,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끈 이송유닛(200)은 끈 공급유닛(100)으로부터 공급되는 끈(S)의 단부를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제1 끈 이송유닛(200)은 끈(S)의 단부를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 가능한 제1 그리퍼(210)와, 제1 그리퍼(210)를 전방과 후방으로의 y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제1 그리퍼 이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덧붙여, 제1 그리퍼 이동부(미도시)는 제1 그리퍼(210)를 끈(S)에 접근하는 전방 방향(+y방향) 및 끈으로부터 이격되는 후방 방향(-y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일 예로 제1 그리퍼를 직선 왕복이동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로서 실린더 등이 적용가능하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그리퍼(210)는 끈(S)을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홈(211)이 마련되고 z방향으로 벌어지거나 서로 접근하도록 구동되며 각각 절개부(212)가 마련되는 한 쌍의 제1 파지그립(213)을 포함한다. 제1 끈 이송유닛(200)은 한 쌍의 제1 파지그립(213)을 이격시켜 벌리거나 접근하여 끈을 파지하도록 한 쌍의 제1 파지그립(213)을 구동하는 별도의 실린더를 더 포함하며, 이러한 상기 실린더 들은 일 예로 공압 실린더로 적용 가능하다.
다음, 도 1 내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 고리 형성유닛(300)은 끈(S)에 매듭을 형성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매듭 형성 이전 준비단계인 오픈 타입의 링 고리(OR)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기설정된 끈(S)의 복수의 부분을 가압하거나 이동시켜 끈(S)의 단부가 제1 그리퍼(210)에 의해 클램핑된 상태에서, 끈(S)에 오픈 타입의 링 고리(OR)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오픈 타입의 링 고리'라 함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끈을 접거나 꼬아서 고리 형상을 이루되, 고리 형상을 이루는 끈 부분이 클로우즈드 타입(closed type)으로 링 고리의 내측 영역이 밀폐된 상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오픈 타입(open type)으로 링 고리 내측 영역이 외부에 개방된 상태로 이루어지면서 링 고리를 형성하는 것을 의미하며, 일측 방향(예를 들어 정면)에서 바라보았을때 링 고리 형상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오픈 타입의 링 고리(OR)를 형성하기 위한 링 고리 형성유닛(300)의 세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다음, 제2 끈 이송유닛(400)은 제1 그리퍼(210)가 클램핑하고 있는 끈(S)의 단부를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끈 이송유닛(400)은 제1 그리퍼(210)가 클램핑하고 있는 끈(S)의 단부를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 가능한 제2 그리퍼(410)와, 제2 그리퍼(410)를 x,y,z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제2 그리퍼 이동부(42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그리퍼(410)는 끈(S)을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홈(411)이 마련되고 z방향으로 벌어지거나 서로 접근하도록 구동되는 한 쌍의 제2 파지그립(412)을 포함한다. 제2 끈 이송유닛(400)은 한 쌍의 제2 파지그립(412)을 이격시켜 벌리거나 접근하여 끈을 파지하도록 한 쌍의 제2 파지그립(412)을 구동하는 별도의 실린더를 더 포함하며, 이러한 상기 실린더는 일 예로 공압 실린더로 적용 가능하다.
한편,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끈에 매듭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제1 그리퍼(210)가 끈을 클램핑하고 오픈 타입의 링 고리(OR)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제2 그리퍼(410)가 제1 그리퍼가 클램핑하고 있는 끈 부위를 클램핑하고 대신 제1 그리퍼(210)는 잡고 있던 끈을 언클램핑하며 제1 그리퍼(210)에 대한 제2 그리퍼(410)의 상대적인 위치 및 이동관계 변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그리퍼(210)가 클램핑하고 있는 끈 부위를 제2 그리퍼(410)가 클램핑하도록 하기 위해, 한 쌍의 제2 파지그립(412)이 한 쌍의 제1 파지그립(213)의 절개부(212)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러한 제2 파지그립(412), 즉 제2 그리퍼(410)의 y방향 전진 이동(끈으로 접근하는 방향)은 후술하는 전후 및 승강 구동부(424) 중 전후 구동부(425) 동작을 통해 가능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그리퍼 이동부(420)는 가이드 레일(421), 이동 브래킷(422), 전후 및 승강 구동부(424), 브래킷 이동부(440)를 포함한다.
가이드 레일(421)은 이동 브래킷(422)의 x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것으로서, 베이스플레이트(110) 상에 x방향을 따라 길게 한 쌍으로 고정 설치된다.
이동 브래킷(422)은 가이드 레일(421)을 따라 왕복 이동가능하도록 가이드 레일(421)과 결합되고, 제2 그리퍼(410)를 y, z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전후 및 승강 구동부(424)가 탑재된다.
여기서, 전후 및 승강 구동부(424)는 전후 구동부(425)와 승강 구동부(426)를 포함하고, 상기 전후 구동부는 제2 그리퍼(410)를 y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며 상기 승강 구동부는 제2 그리퍼를 z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킨다. 상기 전후 구동부와 승강 구동부는 제2 그리퍼를 직선 왕복이동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로서 일 예로 공압 실린더로 적용 가능하다.
브래킷 이동부(440)는 이동 브래킷(422)을 가이드 레일(421)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기 위해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구동풀리(441), 구동모터(442), 종동풀리(443), 벨트(444)를 포함한다.
구동모터(442)는 베이스플레이트(110)에 고정 설치되며 회전축에는 구동풀리(441)가 장착되고, 종동풀리(443)는 구동풀리(441)와 일정거리 이격된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동모터(442)는 이동 브래킷(422)의 왕복 이동을 위해 정역 회전방향 제어가 용이한 서보모터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벨트(444)는 구동풀리(441)와 종동풀리(443) 사이를 무한궤도 타입으로 연결하며, 구동풀리(441)의 회전시 구동풀리와 종동풀리 사이를 회전하면서 이동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벨트(444)는 구동모터(442)의 구동시 이동 브래킷(422)이 가이드 레일(421)을 따라 이동하도록 일부 영역이 이동 브래킷(422)에 일체로 고정 결합된다. 즉, 이동 브래킷(422)은 벨트(444)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벨트(444)의 이동(회전)시 연동하여 동시에 이동 가능하도록 벨트에 고정 결합된다. 따라서, 구동모터(442)의 정역 회전시 이동 브래킷(422)은 가이드 레일(421) 상에서 왕복 이동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벨트(444)는 돌기와 홈 구조를 갖는 타이밍 벨트로 적용 가능하며, 이 경우 이동 브래킷(422)은 벨트의 제1 돌기, 제1 홈에 대응하는 제2 돌기, 제2 홈을 갖도록 마련되고 제1 및 제2 돌기, 제1 및 제2 홈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이동 브래킷(422)과 벨트(444)가 서로 결합됨으로써 벨트(444)의 회전 이동시 이동 브래킷(422) 또한 벨트와 동시에 왕복 이동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끈 이송유닛(400)은 오픈 타입의 링 고리(OR)를 이용하여 끈(S)에 매듭을 형성하도록, 제1 그리퍼(210)에 대한 제2 그리퍼(410)의 상대적인 위치 및 이동관계 변동을 구현한다.
여기서, 제2 끈 이송유닛(400)은 제2 그리퍼(410)를 y방향을 따라 이송시킴과 더불어 x방향, z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매듭을 형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그리퍼(410)가 끈(S)의 단부를 클램핑하고 오픈 타입의 링 고리(OR)가 유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2 끈 이송유닛(400)은 끈(S)의 단부가 오픈 타입의 링 고리(OR) 기준 일측방향에서 타측방향으로 오픈 타입의 링 고리(OR)의 내측 영역을 통과하도록 제2 그리퍼(410)를 y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이송시키면서 완전한 매듭 형성을 위해 끈의 단부를 적절한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덧붙여, 끈(S)에 매듭을 형성하기 위해 이루어지는 제1 그리퍼(210)에 대한 제2 그리퍼(410)의 상대적인 위치 및 이동관계 변동은, 제1 그리퍼(210)와 제2 그리퍼(410)가 마주보는 상태에서 제1 그리퍼(210)와 제2 그리퍼(410) 간의 상호 접근 및 이격, 제1 그리퍼(210) 내측 영역으로의 제2 그리퍼(410) 이동, 제1 그리퍼(210)에 대한 제2 그리퍼(410)의 측방 이동을 포함한다.
좀 더 부연하자면, 제2 끈 이송유닛(400)은 제1 그리퍼(210)의 한 쌍의 제1 파지그립(213)이 끈을 클램핑하고 있는 상태에서, 다음과 같이 제2 그리퍼(410)를 동작시킴에 따라 제1 그리퍼(210)가 끈의 단부를 클램핑하는 상태에서 제2 그리퍼(410)가 끈의 단부를 클램핑하는 상태로 상태 변환시킨다.
먼저, 제2 끈 이송유닛(400)은 한 쌍의 제2 파지그립(412)이 벌어진 상태로 제2 그리퍼(410)를 제1 그리퍼(210)의 절개부(212) 내측으로 진입시킨다. 이때, 절개부(212) 내에는 끈(S) 일부가 이미 배치되어 있는데, 상하로 벌어진 한 쌍의 제2 파지그립(412)이 각각 절개부(212) 내측의 끈 부위의 상측 및 하측에 위치하도록 진입시킨다.
다음, 제2 끈 이송유닛(400)은 벌어진 상태의 한 쌍의 제2 파지그립(412)이 서로 접근하도록 실린더를 구동하여 절개부(212) 내측의 끈을 클램핑하도록 한다.
이어서, 제1 끈 이송유닛(200)은 한 쌍의 제1 파지그립(213)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벌어지도록 실린더를 구동하여 제1 그리퍼(210)가 끈을 클램핑하고 있는 상태를 해제시킨다.
이후, 제1 끈 이송유닛(200)과 제2 끈 이송유닛(400)은 제1 그리퍼(210)와 제2 그리퍼(410) 간의 상대적인 위치 및 이동관계 변동 동작을 다양하게 구현하게 되며, 이와 같은 다양한 동작을 통해 끈에 매듭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동작을 통해 매듭이 형성되는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도 1 내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 고리 형성유닛(300)은 끈(S)의 단부가 제1 그리퍼(210)에 의해 클램핑되고 있는 상태에서, 끈(S)의 기설정된 복수의 부분을 가압하거나 이동시켜 끈(S)에 오픈 타입의 링 고리(OR)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끈 공급부(310), 매듭위치 결정부(320), 링 고리 형성부(330)를 포함한다.
먼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끈 공급부(310)는 끈 공급유닛(100)으로부터 공급되는 끈(S)이 제1 끈 이송유닛(200), 즉 제1 그리퍼(210)로 전달되도록 끈(S)이 관통 삽입되는 끈 공급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끈 공급경로 내측으로 관통 삽입된 끈 부위를 y방향을 따라 왕복 이송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끈 공급부(310)는 끈 공급유닛(100)으로부터 공급되는 끈이 관통 삽입되도록 끈 관통공(311)이 마련되는 끈 공급블록(312)과, 끈 공급블록(312)을 y방향을 따라 왕복 이송시키는 공급블록 실린더(31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히 끈 공급블록(312)을 y방향을 따라 후진(-y 방향)시키는 것은 후술하는 링 고리 형성부(330) 중 끈 이송부(332)의 x방향 우측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오픈 타입의 링 고리(OR)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다음, 도 1, 도 3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듭위치 결정부(320)는 끈 공급부(310)와 제1 그리퍼(210) 사이에 배치된다.
매듭위치 결정부(320)는 제1 그리퍼(210)와 제2 그리퍼(410)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및 이동관계 변동이 다양하게 이루어지는 동안, 끈 공급부(310)와 제1 그리퍼(210) 사이에서 끈(S)을 하방에서 지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2 끈 이송유닛(400), 구체적으로 제2 그리퍼(410)의 x방향 우측(끈 공급방향과 대응하는 후방 방향) 이송시 끈(S) 상에 매듭 형성위치를 결정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매듭위치 결정부(320)는 끈(S) 상의 설정된 특정 부위에 매듭이 형성되도록 매듭 형성위치를 결정하며, 이러한 매듭위치 결정부(320)가 마련되지 않는다면 공정 반복시 매듭이 항상 일정한 위치에 형성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여 생산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도 1, 도 3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듭위치 결정부(320)는 매듭위치 결정봉(321)과 매듭위치 결정봉 이송부(322)를 포함한다.
매듭위치 결정봉(321)은 제1 그리퍼(210)에 대한 제2 그리퍼(410)의 상대적인 위치 및 이동관계 변동에 따라 끈(S)이 외면 일측에 단순 지지되거나 외면을 둘레방향으로 감싸는 것이 가능하게 마련된다. 또한, 매듭위치 결정봉 이송부(322)는 매듭위치 결정봉(321)을 y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며, 일 예로 실린더로 적용 가능하다.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제2 그리퍼(410)가 끈(S)의 단부를 클램핑하고 있고 끈(S)에 매듭 이전의 미완성 형태의 매듭(IK)이 형성된 상태에서, 제2 그리퍼(410)가 더욱 x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미완성 형태의 매듭은 더욱 타이트하게 묶인 상태로 변환된다.
부연하자면, 도 18과 사진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그리퍼(210)에 대한 제2 그리퍼(410)의 상대적인 위치 및 이동관계 변동이 다양하게 이루어지면서 끈(S)은 매듭위치 결정봉(321)을 둘레방향으로 꼬인 상태로 감싸면서 매듭위치 결정봉(321)에는 미완성 형태의 매듭(IK)이 형성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그리퍼(410)가 더욱 x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미완성 형태의 매듭(IK)은 매듭위치 결정봉(321)을 더욱 타이트한 상태로 감싸도록 오므라든다(묶인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듭위치 결정봉(321)이 y축 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이송하여 끈과의 상호 접촉이 해제되면 완전한 매듭 이전의 미완성 형태의 매듭(IK)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매듭위치 결정봉 이송부(322)는 제2 그리퍼(410)가 끈(S)의 단부를 클램핑하고 있고 끈(S)에 완전한 매듭 이전의 미완성 형태의 매듭이 형성된 상태에서, 제2 그리퍼(410)가 x방향을 따라 일정거리 우측으로 이동하면 매듭위치 결정봉(321)과 미완성 형태의 매듭(IK)과의 상호 접촉관계를 해제하여 완전한 매듭(CK)을 형성하도록 매듭위치 결정봉(321)을 y방향을 따라 후방 이송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매듭위치 결정봉(321)에 끈이 감겨 묶인 상태로 미완성 형태의 매듭이 마련되는 끈 상의 위치가 결국 완전한 형태의 매듭이 형성되는 위치이다.
다음,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 고리 형성부(330)는 끈(S)의 단부가 제1 그리퍼(210)에 의해 클램핑되고 있는 상태에서, 끈 공급부(310)와 매듭위치 결정부(320) 사이의 끈을 가압하거나 특정방향으로 이동시켜 끈(S)에 오픈 타입의 링 고리(OR)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링 고리 형성부(330)는 끈 하강부(331)와 끈 이송부(332)를 포함하며, 각각은 베이스플레이트(110)에 설치된다.
끈 하강부(331)는 끈 공급부(310)와 매듭위치 결정부(320) 사이의 끈을 하측(-z방향)으로 가압하여 U자 고리(UR)를 형성한다.
또한, 끈 이송부(332)는 U자 고리(UR) 중 끈 공급부(310)에 의해 y방향을 따라 후방 이송된 U자 고리(UR)의 좌측부분(URL)을 x방향을 따라 우측(+x방향)으로 이송하여 U자 고리(UR)의 우측부분(URR)과의 사이에 오픈 타입의 링 고리(OR)를 형성한다.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끈 하강부(331)와 끈 이송부(332)는 각각, 제1 실린더(350), 제2 실린더(351) 및 끈 접촉부재(352)를 포함한다.
끈 하강부(331)의 제1 실린더(350)는 끈 하강부(331)의 끈 접촉부재(352)를 z방향을 따라 승강시키도록 마련되고, 끈 이송부(332)의 제1 실린더(350)는 끈 이송부(332)의 끈 접촉부재(352)를 x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제2 실린더(351)는 끈 하강부(331)와 끈 이송부(332)의 제1 실린더(350)의 로드에 각각 연결되어 제1 실린더 구동시 연동하여 이동하며, 제1 실린더의 로드에 대해 별도의 브래킷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실린더(351)는 공압 실린더로 적용 가능하고, 공압 공급에 따라 핀이 실린더 몸체에 대해 전후진 동작하도록 핀 실린더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끈 접촉부재(352)는 제2 실린더(351)의 로드, 즉 제2 실린더의 핀 부분에 마련되어 끈(S)을 하측방향으로 가압하거나 x방향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키도록 끈에 직접적으로 접촉 가능한 것으로서, 끈(S)과의 접촉 마찰력을 한층 감소하도록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끈 접촉부재(352)가 제1 실린더와 제2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끈의 외면을 z방향으로 가압하여 U자 고리(UR)를 형성하거나 x방향으로 가압하여 오픈 타입의 링 고리(OR)를 형성할 때, 끈의 표면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미완성 형태의 매듭(IK)을 완전한 매듭 형태로 이루기 위한 매듭형성 스토퍼부(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매듭형성 스토퍼부(500)는 제1 그리퍼(210)와 제2 그리퍼(410) 간의 상대적인 위치 및 이동관계 변동을 통해 끈에 완전한 매듭 이전에 미완성 형태의 매듭(IK)이 형성된 상태에서, 제2 그리퍼(410)가 끈(S)의 단부를 클램핑하여 x방향으로 끈을 일정거리 이상 인출할 시 끈에 완전한 매듭이 형성되도록 마련된다.
덧붙이자면, 매듭형성 스토퍼부(5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끈이 매듭위치 결정봉(321)을 둘레방향으로 꼬인 상태로 감싸면서 미완성 형태의 매듭이 형성된 상태에서 제2 그리퍼(410)가 끈(S)의 단부를 클램핑하여 x방향으로 일정거리 이상 인출함과 동시에 미완성 형태의 매듭과 매듭위치 결정봉(321) 간의 상호 접촉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완성 형태의 매듭(IK)이 걸림되도록 이루어져 미완성 형태의 매듭(IK)의 더 이상의 x방향 이동을 제한하여 완전한 매듭(CK)을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도 18, 도 19, 도 23 내지 도 5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듭형성 스토퍼부(500)는 베이스플레이트(110)에 마련되고, 스토퍼 블록(510), 스토퍼 이동부(520) 및 끈 측방이동 제한봉(530)을 포함한다.
스토퍼 블록(510)은 미완성 형태의 매듭(IK)을 제외한 끈 부위가 삽입되어 안내 가능하도록 x방향으로 양측이 개구된 끈 안내홈(511)이 마련된다.
또한,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 블록(510)의 일측에는 끈(S)의 x방향 인출시 미완성 형태의 매듭(IK)이 끈 안내홈(511)을 통과하여 x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미완성 형태의 매듭(IK)과 접촉하여 그 이동을 제한하는 미완성 매듭 이동제한면(512)이 마련된다. 즉, 미완성 형태의 매듭(IK)이 미완성 매듭 이동제한면(512)에 걸려서 이동이 제한된 상태에서, 제2 그리퍼(410)가 끈의 단부를 더욱 x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미완성 형태의 매듭(IK)은 완전한 매듭(CK)으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완전한 매듭은 미완성 형태의 매듭에 비해 매듭 부위가 상대적으로 더욱 타이트하게 묶인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끈 안내홈(511)과 연결되는 스토퍼 블록(510)의 일측에는 경사안내면(513)이 마련된다.
이러한 경사안내면(513)은 하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는데, 구체적으로 스토퍼 이동부(520)의 구동에 의해 스토퍼 블록(510)이 끈(S)으로 접근하도록 y방향으로 이동할시 끈(S)이 끈 안내홈(511) 내측으로 용이하게 안내되도록 끈(S)으로의 접근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마련된다. 이와 같이, 경사안내면(513)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됨에 따라 끈(S)은 경사안내면(513)을 따라 끈 안내홈(511) 측으로 손쉽게 이동할 수 있다.
다음, 도 23 내지 도 5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끈 측방이동 제한봉(530)은 스토퍼 블록(510)의 직선 왕복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블록에 마련되며, 끈 안내홈(511) 내측에 삽입된 끈(S)이 외력 등의 요인에 의해 끈 안내홈(511)으로부터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끈의 측방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러한 끈 측방이동 제한봉(530)은 끈 안내홈(511)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것은 아니지만, 끈 공급유닛(100)으로부터 현재 제2 그리퍼(410)가 클램핑하고 있는 끈은 일정 이상의 장력을 갖고 있는 상태인바, 끈 안내홈(511)과 이격된 위치에서 끈의 측방 이동을 제한하더라도 끈 안내홈(511) 내측의 끈 부위 또한 측방 이동이 제한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끈 측방이동 제한봉(530)은 끈(S)이 끈 안내홈(511)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미완성 형태의 매듭(IK)이 미완성 매듭 이동제한면(512)에 걸려 이동이 제한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결국 안정적으로 완전한 매듭(CK)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커팅유닛(600)이 끈(S)을 정확하게 커팅하도록 끈의 배치위치 변동을 방지할 수 있다.
끈 측방이동 제한봉(530)은 스토퍼 블록(510)에 대해 승하강 가능하게 마련되며, 이를 위해 상기 스토퍼 블록(510)의 직선 왕복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블록에는 끈 측방이동 제한봉(530)의 승하강 이동을 지지하는 별도의 실린더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19, 도 21 및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끈 측방이동 제한봉(530)과 더불어 끈의 배치위치를 설정 라인으로 유도하여 커팅유닛(600)이 정확한 위치로 끈을 커팅하도록 하는 끈 위치유도부(550)를 포함한다.
끈 위치유도부(550)는 별도의 실린더에 의해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서로 이격된 양측에 역 V자 형상의 끈가이드홈(551)이 마련된다. 따라서, 설정 위치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x방향 라인상)에 있는 끈은, 끈 위치유도부(550)의 하강시 끈가이드홈(551)의 경사면을 따라 끈가이드홈(551)의 상측 뾰족한 영역으로 유도 가능하다. 상기 상측 뾰족한 영역은 커팅유닛을 통해 끈을 정확하게 커팅하기 위한 설정된 끈 배치 영역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끈 위치유도부(550)는 끈의 설정부분 커팅 전 측방 이동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바, 전술한 끈 측방이동 제한봉(530)은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다음, 커팅유닛(600)은 끈의 이송방향상 스토퍼 블록(510)의 전방에 위치하는 끈(S)의 기설정 부위를 커팅하는 것으로서, 끈의 이송방향상 완전하게 형성된 매듭 부위의 전방 부위를 커팅한다.
커팅유닛(600)은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초음파 커팅혼(610)과 초음파 커팅혼(610)을 승강시키는 커팅혼 승강부(620)를 포함하고 커팅혼 승강부는 공압 실린더로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끈은 다수의 합성섬유 다발이 꼬인 형태로 이루어지며 초음파 커팅혼(610)은 끈을 가압하면서 열과 진동을 부여하여 다수의 합성섬유 다발을 녹이면서 커팅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를 통해 끈에 매듭을 형성한 후 설정된 부위를 커팅하여 일단에 매듭이 형성된 단위 쇼핑백끈을 제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그리퍼(210)가 작업하고자 하는 끈(S)의 단부를 클램핑하도록 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끈(S)은 끈 공급유닛(100)으로부터 제공받아 끈 공급부(310)의 끈 관통공(311)을 관통 삽입한 후, 그 단부가 일정이상의 장력을 유지한 채 제1 그리퍼(210)에 클램핑되며, 작업 시작 초기에 이러한 끈 클램핑 작업은 작업자에 의한 수동으로 1회 실시된다.
다음,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U자 고리(UR)를 형성하기 위한 준비 단계로 끈 하강부(331)의 제2 실린더(351)를 구동하는데 끈 접촉부재(352)가 끈(S)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끈 접촉부재(352)를 y방향을 따라 전방(끈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다음,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끈 하강부(331)의 제1 실린더(350)를 구동하여 끈 접촉부재(352)를 일정거리 하강시킴으로써 끈에 U자 고리(UR)를 형성한다.
다음,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픈 타입의 링 고리(OR)를 형성하기 위한 준비 단계로 끈 공급부(310)의 공급블록 실린더(313)를 구동하여 끈 공급블록(312)을 y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일정거리만큼 이송시킨다. 즉, 다음 단계인 끈 이송부(332)의 끈 접촉부재(352)를 이용하여 U자 고리(UR)의 일측을 x방향으로 가압 이송할 때, 가압되는 U자 고리(UR)의 좌측 부분이 U자 고리(UR)의 다른 우측 부분과 엇갈리게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가압 이송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끈 이송부(332)의 제1 실린더(350)를 구동하여 끈 이송부(332)의 끈 접촉부재(352)가 U자 고리(UR)의 좌측 부분을 가압하는 상태로 설정된 거리만큼 x방향으로 우측 이동하도록 한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끈에는 오픈 타입의 링 고리(OR)가 형성된다.
다음,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그리퍼(410)가 끈을 클램핑한 상태에서 x방향으로 일정거리 이상 인출시킬 때 끈이 원활하게 인출 가능하도록 오픈 타입의 링 고리(OR) 형성을 위해 일시적으로 엇갈린 끈의 위치를 복원한다. 구체적으로, 끈 공급부(310)의 공급블록 실린더(313)를 구동하여 끈 공급블록(312)을 y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일정거리만큼 이송시켜 초기 위치로 복원한다.
다음,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끈 이송유닛(200)을 구동하여 현재 끈의 단부를 클램핑하고 있는 제1 그리퍼(210)의 위치를 y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일정거리 이송시킨다. 덧붙이자면, 상측에서 하측으로 바라보았을때 제1 그리퍼(210)가 오픈 타입의 링 고리(OR)와 일정이상 이격되도록 제1 그리퍼를 이송시킨다.
다음,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 제1 그리퍼(210)가 클램핑하고 있는 끈 부위를 제2 그리퍼(410)가 클램핑하도록 변환하고자 하는 준비단계로 제2 그리퍼(410)를 제1 그리퍼(210)에 접근하도록 y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제1 그리퍼(210)에 대해 제2 그리퍼(410)의 접근 동작이 이루어지기 전에 제2 그리퍼(410)는 제1 그리퍼(210)와 z방향기준 높이는 상이하지만 y방향기준 동일한 라인에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제2 그리퍼(410)의 이동이 완료되면 제2 그리퍼(410)의 한 쌍의 제2 파지그립(412)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바라보았을때 오픈 타입의 링 고리(OR) 내측으로 일정이상 진입한 상태를 갖는다.
다음,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찬가지로 현재 제1 그리퍼(210)가 클램핑하고 있는 끈 부위를 제2 그리퍼(410)가 클램핑하도록 변환하고자 하는 준비단계로, 제2 그리퍼(410)의 한 쌍의 제2 파지그립(412)을 상하 방향으로 벌려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제2 파지그립(412)이 오픈 타입의 링 고리(OR) 상측부분을 상측으로 들어 올리도록 한다. 이때, 제2 그리퍼(410)는 제1 그리퍼(210)에 비해 z방향 기준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다음,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그리퍼 이동부(420)의 승강 구동부(426)를 구동하여 제2 그리퍼(410)를 z방향으로 일정 높이 상승시키며, 이때 제2 그리퍼(410)는 z방향 기준 제1 그리퍼(210)와 대략 동일한 높이에 배치된다.
다음,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끈 이송유닛(200)을 구동하여 현재 끈의 단부를 클램핑하고 있는 제1 그리퍼(210)의 위치를 y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일정거리 이송시켜 초기 위치로 복원한다.
이때, 제2 그리퍼(410)의 한 쌍의 제2 파지그립(412)은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바라보았을때, 제1 그리퍼(210)의 제1 파지그립(213)의 절개부(212) 영역과 대응하는 라인(line) 상에 위치하게 된다.
다음,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찬가지로 현재 제1 그리퍼(210)가 클램핑하고 있는 끈 부위를 제2 그리퍼(410)가 클램핑하도록 변환하고자 하는 준비단계로, 상하방향으로 벌어져 있는 한 쌍의 제2 파지그립(412)이 서로 접근하여 오므라지도록 구동한다. 이때, 제1 그리퍼(210)와 제2 그리퍼(410) 모두 끈의 단부를 클램핑하는 상태가 된다.
다음,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그리퍼(210)의 한 쌍의 제1 파지그립(213)을 상하방향으로 벌려서 제1 그리퍼가 끈을 클램핑하고 있는 상태를 해제한다. 따라서, 초기에 제1 그리퍼(210)가 끈의 단부를 클램핑하는 상태에서 제2 그리퍼(410)가 끈의 단부를 클램핑하는 상태로 변환 완료된다.
이때, 오픈 타입의 링 고리(OR)의 상측 부분은 한 쌍의 제2 파지그립(412) 중 상측에 위치하는 제2 파지그립의 상면에 걸쳐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다음,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제2 그리퍼(410)의 위치 이동동작시 제1 그리퍼(210)에 의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 그리퍼(210)를 다시 y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일정이상 이송시킨다.
다음,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그리퍼 이동부(420)의 승강 구동부(426)를 구동하여 현재 끈의 단부를 파지하고 있는 제2 그리퍼(410)를 z방향을 따라 일정이상 하강 이동시킨다. 여기서, 제2 그리퍼는 끈 이송부(332)의 제2 실린더(351) 및 끈 접촉부재(352)와 z방향 기준 대략 동일/유사한 높이까지 하강한다.
다음,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끈에 매듭을 형성하기 위한 준비 단계로, 현재 오픈 타입의 링 고리(OR) 내측 영역과 대략 동일/유사한 y방향상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끈의 단부(제2 그리퍼가 클랭핑하고 있는 단부)가 링 고리(OR)의 내측 영역으로부터 외측으로 벗어난 위치에 오도록 y방향으로 후진 이송시킨다.
구체적으로, 제2 그리퍼 이동부(420)의 전후 구동부(425)를 구동하여 현재 끈의 단부를 클램핑하고 있는 제2 그리퍼(410)를 y방향을 따라 제1 그리퍼로부터 더욱 이격되게 후진 이송시킨다.
다음,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그리퍼 이동부(420)의 브래킷 이동부(440)를 구동하여 제2 그리퍼(410)를 일정이상 x방향으로 전진(도면상 우측방향) 이송시킨다.
이때, 끈이 일정이상의 장력을 갖는 상태로 x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인출됨에 따라, 끈(S)의 일부 영역은 매듭위치 결정봉(321)을 둘레방향으로 꼬인 상태로 감싸면서 매듭위치 결정봉(321)에는 미완성 형태의 매듭(IK)이 형성된다.
다음, 도 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픈 타입의 링 고리(OR) 형성을 완료하여 목적을 달성한 끈 이송부(332)의 제1 실린더(350)를 구동하여 끈 이송부(332)의 끈 접촉부재(352)를 초기 위치로 복원시킨다. 이러한 끈 이송부(332)는 현재 작업진행중인 끈의 매듭 형성 및 커팅작업이 완료된 후 다음 매듭 형성작업을 위해 대기 상태가 된다.
다음, 도 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그리퍼 이동부(420)의 승강 구동부(426)를 구동하여 제2 그리퍼(410)을 z방향으로 일정 이상 상승시킨다. 부연하자면, 이러한 제2 그리퍼의 상승 이동 전, 제2 그리퍼(410)는 z 방향 기준 매듭위치 결정봉(321)보다 하측에 위치하고 있는바 제2 그리퍼(410)를 매듭위치 결정봉(321)과 대략 동일/유사한 높이까지 상승시킨다.
다음, 도 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그리퍼 이동부(420)의 전후 구동부(425)를 구동하여 제2 그리퍼(410)를 y방향으로 일정이상 전진 이송(-y 방향)시킨다. 부연하자면, 이러한 제2 그리퍼의 전진 이송 전, 제2 그리퍼(410)는 y 방향 기준 매듭위치 결정봉(321)과 이격되게 위치하고 있는바 제2 그리퍼(410)는 y방향 기준 매듭위치 결정봉(321)과 대략 동일/유사한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그리퍼(410)를 z방향으로 상승 이동시키고 y방향으로 전진 이송시키는 것은 끈의 특정 부위(커팅하고자 하는 부분, 매듭이 형성되는 부분)가 매듭형성 스토퍼부(500)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 도 4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 이동부(520)를 구동하여 스토퍼 블록(510)을 y방향을 따라 끈이 배치된 방향으로 전진 이송시킨다(+y 방향).
이때, 끈(S)은 스토퍼 블록(510)의 끈 안내홈(511) 내측으로 진입하게 되는데, 끈(S)이 스토퍼 블록(510)의 경사안내면(513)에 접촉하면서 경사안내면을 따라 끈 안내홈(511) 내측으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다.
다음, 도 4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끈 측방이동 제한봉(530)을 z방향으로 하강시켜 스토퍼 블록(510) 주변에 배치된 끈(S)이 외력 등의 요인에 의해 스토퍼 블록(51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결국 끈(S)이 스토퍼 블록(510)의 끈 안내홈(511) 내측에 안정적으로 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끈 측방이동 제한봉(530)은 끈 안내홈(511)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것은 아니지만, 끈 공급유닛(100)으로부터 현재 제2 그리퍼(410)가 클램핑하고 있는 끈은 일정 이상의 장력을 갖고 있는 상태인바, 끈 안내홈(511)과 이격된 위치에서 끈의 측방 이동을 제한하더라도 끈 안내홈(511) 내측의 끈 부위 또한 측방 이동이 제한 가능하다.
다음, 도 4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 초기에 끈(S)을 z방향으로 하강시켜 U자 고리(UR)를 형성하는 끈 하강부(331)를 구동하여 끈 하강부(331)와 끈(S) 사이의 상호 걸림 또는 접촉 상태를 해제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그리퍼(410)를 더욱 x방향으로 전진 이송시켜 실질적으로 매듭을 형성시키고자 할 때 매듭 형성을 방해하는 요인을 제거할 수 있다.
부연하자면, 끈 하강부(331)의 제2 실린더(351)를 구동하여 끈 하강부(331)의 끈 접촉부재(352)를 y방향으로 후진 이송시킴으로써, 끈 접촉부재(352)와 끈 사이의 걸림 또는 접촉 상태를 해제시킨다.
다음,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그리퍼(410)를 더욱 x방향으로 전진 이송시키며, 이때 끈(S)은 매듭위치 결정봉(321)을 둘레방향으로 꼬인 상태로 감싸면서 매듭위치 결정봉(321)에는 미완성 형태의 매듭(IK)이 형성된다. 덧붙이자면, 끈의 x방향 인출로 인해 미완성 형태의 매듭(IK)은 매듭위치 결정봉(321)을 더욱 타이트한 상태로 감싸도록 오므라든다.
다음, 도 4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듭위치 결정봉 이송부(322)를 구동하여 매듭위치 결정봉(321)을 y축 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이송함으로써, 미완성 형태의 매듭(IK)과 매듭위치 결정봉(321) 간의 상호 접촉상태를 해제한다.
다음, 도 48 및 도 4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그리퍼 이동부(420)의 브래킷 이동부(440)를 구동하여 제2 그리퍼(410)를 더욱 x방향으로 이송시키며, 이때 미완성 형태의 매듭(IK)은 스토퍼 블록(510)의 미완성 매듭 이동제한면(512)에 걸려서 더 이상의 x방향 이동이 제한된 상태에서 제2 그리퍼(410)가 끈의 단부를 더욱 x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더욱 타이트하게 묶이면서 완전한 매듭(CK)으로 변형된다.
다음, 도 5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끈 위치유도부(550)를 별도 실린더 구동을 통해 하강 이동시켜 끈(S)이 끈가이드홈(551)의 경사면을 따라 끈가이드홈(551)의 상측 뾰족한 영역으로 유도되도록 하며, 즉 커팅유닛을 통해 끈을 정확하게 커팅하기 위한 위치로 끈을 이송시킨다.
다음, 도 5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커팅 작업시 정확한 위치에서의 커팅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더불어 현재 작업진행 중인 끈의 커팅작업이 완료된 후 다음 새로운 끈 부위의 매듭 형성 및 커팅을 위한 후속작업의 진행을 위해, 제1 끈 이송유닛(200)을 구동하여 제1 그리퍼(210)가 끈을 클램핑하도록 한다.
다음, 도 5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끈 측방이동 제한봉(530)을 z방향을 따라 상승시켜 끈의 측방 이동 구속상태를 해제한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커팅작업이 완료된 후 스토퍼 이동부(520)의 구동에 의해 스토퍼 블록(510)이 y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이송함과 동시에 제2 그리퍼(410)가 벌어지면서 파지하고 있는 끈의 단부를 언클램핑할 때, 작업이 완료된 하나의 단위 쇼핑백끈이 자유낙하하면서 별도의 수집함(미도시)에 용이하게 수집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도 5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음파 커팅혼(610)을 하강시켜 완전한 매듭(CK) 주변의 끈 부위를 커팅함으로써 일측 단부에 매듭이 형성된 하나의 단위 쇼핑백끈이 형성 완료된다.
이어서, 스토퍼 블록(510)이 y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이송함과 동시에 제2 그리퍼(410)가 벌어지면서 파지하고 있는 끈의 단부를 언클램핑하며, 이에 따라 하나의 단위 쇼핑백끈은 낙하하면서 별도로 수집될 수 있다. 이후, 전술한 다양한 구성들은 다음 작업을 위해 초기 위치로 복원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끈 공급유닛 120: 제1 끈공급 주롤러
130: 제2 끈공급 주롤러 140: 끈공급 부롤러
150: 회전바 160: 탄성부재
200: 제1 끈 이송유닛 210: 제1 그리퍼
212: 절개부 213: 제1 파지그립
300: 링 고리 형성유닛 310: 끈 공급부
312: 끈 공급블록 313: 공급블록 실린더
320: 매듭위치 결정부 321: 매듭위치 결정봉
322: 매듭위치 결정봉 이송부 330: 링 고리 형성부
331: 끈 하강부 332: 끈 이송부
350: 제1 실린더 351: 제2 실린더
352: 끈 접촉부재 400: 제2 끈 이송유닛
410: 제2 그리퍼 412: 제2 파지그립
420: 제2 그리퍼 이동부 421: 가이드 레일
422: 이동 브래킷 425: 전후 구동부
426: 승강 구동부 440: 브래킷 이동부
441: 구동풀리 442: 구동모터
443: 종동풀리 444: 벨트
500: 매듭형성 스토퍼부 510: 스토퍼 블록
511: 끈 안내홈 512: 미완성 매듭 이동제한면
513: 경사안내면 520: 스토퍼 이동부
530: 끈 측방이동 제한봉 600: 커팅유닛
610: 초음파 커팅혼 S: 끈
IK: 미완성 형태의 매듭 CK: 완전한 매듭
OR: 오픈 타입의 링 고리 UR: U자 고리

Claims (20)

  1. 좌측에서 우측으로의 x방향으로 일정이상의 장력을 갖는 상태로 공급되는 끈에 매듭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공급되는 끈의 단부를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 가능한 제1 그리퍼를 가지며, 상기 제1 그리퍼를 전방과 후방으로의 y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제1 끈 이송유닛;
    상기 끈의 단부가 제1 그리퍼에 의해 클램핑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끈의 기설정된 복수의 부분을 가압하거나 이동시켜 상기 끈에 오픈 타입의 링 고리를 형성하는 링 고리 형성유닛; 및
    상기 제1 그리퍼가 클램핑하고 있는 끈의 단부를 클램핑 가능한 제2 그리퍼를 가지며, 상기 오픈 타입의 링 고리를 이용하여 끈에 매듭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그리퍼에 대한 상기 제2 그리퍼의 상대적인 위치 및 이동관계 변동을 구현하되, 상기 제2 그리퍼를 y방향을 따라 이송시킴과 더불어 x방향, z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2 끈 이송유닛을 포함하는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리퍼에 대한 상기 제2 그리퍼의 상대적인 위치 및 이동관계 변동은,
    상기 제2 그리퍼가 상기 끈의 단부를 클램핑한 상태에서, 상기 끈의 단부가 상기 링 고리 기준 일측방향에서 타측방향으로 상기 링 고리의 내측 영역을 통과하도록 상기 제2 그리퍼를 y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리퍼에 대한 상기 제2 그리퍼의 상대적인 위치 및 이동관계 변동은,
    상기 제1 그리퍼와 상기 제2 그리퍼가 마주보는 상태에서 상기 제1 그리퍼와 상기 제2 그리퍼 간의 상호 접근 및 이격, 상기 제1 그리퍼 내측 영역으로의 상기 제2 그리퍼 이동, 상기 제1 그리퍼에 대한 상기 제2 그리퍼의 측방 이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리퍼는, 상기 끈을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홈이 마련되고 z방향으로 벌어지거나 서로 접근하도록 구동되며 각각 절개부가 마련되는 한 쌍의 제1 파지그립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그리퍼는, 상기 끈을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홈이 마련되고 z방향으로 벌어지거나 서로 접근하도록 구동되며, 상기 절개부 내측으로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제2 파지그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끈 이송유닛은,
    상기 제1 그리퍼의 한 쌍의 제1 파지그립이 끈을 클램핑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제2 파지그립이 벌어진 상태로 상기 절개부 내측으로 진입한 후 서로 접근하여 끈을 클램핑하고 이후 상기 한 쌍의 제1 파지그립이 벌어짐으로써, 상기 제1 그리퍼가 끈을 클램핑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2 그리퍼가 끈을 클램핑하는 상태로 상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 고리 형성유닛은,
    끈 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끈이 상기 제1 끈 이송유닛으로 전달되도록 끈이 관통 삽입되는 끈 공급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관통 삽입된 끈 부위를 y방향을 따라 이송 가능한 끈 공급부;
    상기 끈 공급부와 상기 제1 그리퍼 사이에서 끈을 지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2 끈 이송유닛의 x방향 이송시 상기 끈 상에 매듭 형성위치를 결정 가능한 매듭위치 결정부; 및
    상기 끈의 단부가 제1 그리퍼에 의해 클램핑된 상태에서, 상기 끈 공급부와 상기 매듭위치 결정부 사이의 끈을 가압하거나 특정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끈에 상기 링 고리를 형성하는 링 고리 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끈 공급부는,
    상기 끈 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끈이 관통 삽입되도록 끈 관통공이 마련되는 끈 공급블록; 및
    상기 끈 공급블록을 y방향을 따라 왕복 이송시키는 공급블록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링 고리 형성부는,
    상기 끈 공급부와 상기 매듭위치 결정부 사이의 끈을 하측으로 가압하여 U자 고리를 형성하는 끈 하강부; 및
    상기 U자 고리 중 상기 끈 공급부에 의해 y방향을 따라 후방 이송된 U자 고리의 좌측부분을 x방향을 따라 우측으로 이송하여 U자 고리 우측부분과의 사이에 상기 오픈 타입의 링 고리를 형성하는 끈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끈 하강부와 상기 끈 이송부는 각각,
    제1 실린더;
    상기 제1 실린더의 로드에 연결되어 제1 실린더 구동시 연동하여 이동 가능한 제2 실린더; 및
    상기 제2 실린더의 로드에 마련되어 상기 끈을 가압하거나 이동시키도록 상기 끈에 직접적으로 접촉 가능한 끈 접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실린더는 핀 실린더이며, 상기 끈 접촉부재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매듭위치 결정부는,
    상기 제1 그리퍼에 대한 상기 제2 그리퍼의 상대적인 위치 및 이동관계 변동에 따라 상기 끈이 외면 일측에 단순 지지되거나 외면을 둘레방향으로 감싸는 것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매듭위치 결정봉; 및
    상기 매듭위치 결정봉을 y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매듭위치 결정봉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매듭위치 결정봉 이송부는,
    상기 제2 그리퍼가 상기 끈의 단부를 클램핑하고 있고 상기 끈에 상기 매듭 이전의 미완성 형태의 매듭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제2 그리퍼가 x방향을 따라 일정거리 우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매듭위치 결정봉과 상기 끈과의 상호 접촉관계를 해제하도록 상기 매듭위치 결정봉을 y방향을 따라 후방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끈 이송유닛은, 상기 제2 그리퍼를 x, y, z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제2 그리퍼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그리퍼 이동부는,
    상기 x방향을 따라 길게 마련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2 그리퍼를 상기 y, z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전후 및 승강 구동부가 탑재되는 이동 브래킷; 및
    상기 이동 브래킷을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브래킷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이동부는,
    회전축에 구동풀리가 장착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풀리와 이격되게 마련되는 종동풀리; 및
    상기 구동풀리와 종동풀리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시 상기 이동 브래킷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일부 영역이 상기 이동 브래킷에 일체로 고정 결합되는 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리퍼와 상기 제2 그리퍼 간의 상대적인 위치 및 이동관계 변동을 통해 끈에 완전한 매듭 이전에 미완성 형태의 매듭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제2 그리퍼가 상기 끈의 단부를 클램핑하여 x방향으로 끈을 인출할 시 상기 미완성 형태의 매듭이 걸림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미완성 형태의 매듭의 더 이상의 x방향 이동을 제한하여 매듭을 형성하도록 하는 매듭형성 스토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매듭형성 스토퍼부는,
    상기 끈이 삽입되어 안내되도록 x방향의 양측이 개구된 끈 안내홈이 마련되는 스토퍼 블록; 및
    상기 스토퍼 블록을 y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스토퍼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블록에는 상기 끈의 인출시 상기 미완성 형태의 매듭이 상기 끈 안내홈을 통과하여 x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미완성 형태의 매듭의 이동을 제한하는 미완성 매듭 이동제한면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끈 안내홈과 연결되는 상기 스토퍼 블록의 일측에는, 상기 스토퍼 블록이 상기 끈으로 접근하도록 이동할시 상기 끈이 상기 끈 안내홈 내측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끈으로의 접근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는 경사안내면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매듭형성 스토퍼부는,
    상기 끈 안내홈 내측에 삽입된 끈이 상기 끈 안내홈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끈의 측방 이동을 제한하는 끈 측방이동 제한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끈 측방이동 제한봉은, 상기 스토퍼 블록에 대해 승하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


KR1020210101797A 2021-08-03 2021-08-03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 KR202300201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797A KR20230020130A (ko) 2021-08-03 2021-08-03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797A KR20230020130A (ko) 2021-08-03 2021-08-03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0130A true KR20230020130A (ko) 2023-02-10

Family

ID=85223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1797A KR20230020130A (ko) 2021-08-03 2021-08-03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013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371B1 (ko) 2010-11-25 2011-06-13 유창우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371B1 (ko) 2010-11-25 2011-06-13 유창우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00435A1 (zh) 竹篾卷加工系统及其加工方法
CA2448868C (en) Mattress border production system
CN110730839A (zh) 布料展平装置
JPH0484989A (ja) 筒状物製造装置
US5018416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utting pieces from an elongated textile web
US4437655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flexible sheets from a stack
KR20230020130A (ko)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
JPS6327469B2 (ko)
US434801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separation of flexible sheets from a stack and their transportation to a processing unit
EP0582130B1 (en) Cloth feeding apparatus for quilting machines
CN107776969B (zh) 棍棒外套膜袋设备
JP2006247002A (ja) 糸条束集積方法および集積装置ならびに中空糸濾過膜用の糸条束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S601426B2 (ja) 糸かせ絞り設備およびこれを用いるかせ移送方法
CN114575054A (zh) 工件连接料带装置
JPH02264045A (ja) 糸の供給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216663446U (zh) 交通运输捆扎带排钩的自动穿带装置
CN213535320U (zh) 一种打包袋自动套袋装置
JP2841130B2 (ja) 塊状物の包装袋除去装置
JP3576260B2 (ja) 布団等の自動装着装置及び積載装置
US11821123B2 (en) Fabric sheet loading and unloading machine for a computer controlled pattern forming machine
JP3383722B2 (ja) 養殖貝類の耳吊り装置
JP2503962B2 (ja) 篠替機の残糸ボビン取出装置
SU175482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еремещени полотнообразного материала
JPH02261488A (ja) 縫製方法
JPH0790061B2 (ja) 布帛加工における反物間縫合準備方法ならびに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