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0119A - 진공 냄비 - Google Patents

진공 냄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0119A
KR20230020119A KR1020210101770A KR20210101770A KR20230020119A KR 20230020119 A KR20230020119 A KR 20230020119A KR 1020210101770 A KR1020210101770 A KR 1020210101770A KR 20210101770 A KR20210101770 A KR 20210101770A KR 20230020119 A KR20230020119 A KR 20230020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valve
vacuum
po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1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삼선
박재필
Original Assignee
정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삼선 filed Critical 정삼선
Priority to KR1020210101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0119A/ko
Publication of KR20230020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01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25Vessels with non-stick features, e.g. coat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뚜껑(100)의 외측에 원통형으로 형성된 상부밸브(310), 상기 상부밸브(310)의 중앙 외측에 얇게 형성된 가변형 밸브시트(312), 상기 상부밸브(310)의 하부에 반원통형 가는 테두리의 원판형으로 형성된 뚜껑밸브시트(320), 상기 뚜껑밸브시트(320)의 하부에 원통형으로 형성된 측면부 밸브(330)와 측면부 밸브구멍(335), 상기 측면부 밸브(330)와 측면부 밸브구멍(335)의 하부 및 상기 뚜껑(100)의 내측에 원통형으로 형성된 밸브 걸림부(340)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뚜껑밸브시트(320)의 지름과 밸브 걸림부(340)의 지름은 상기 측면부 밸브(330)와 측면부 밸브구멍(335)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밸브(310)와 뚜껑밸브시트(320), 측면부 밸브(330), 밸브 걸림부(340)의 중앙 내측에 밸브 구멍(350)이 형성되는 체크밸브(300)로 형성된다.

Description

진공 냄비 {VACUUM POT}
본 발명은 진공 냄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을 끓여 진공상태로 보존될 수 있도록 증기를 배출 및 밀봉할 수 있는 진공 기능 밸브를 형성하되, 이를 냄비 뚜껑 중앙에 형성하여 손잡이 기능을 함께 할 수 있도록 하는 진공 냄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냄비는 용기 및 뚜껑으로 이루어져 음식물을 끓이거나 익히는 데 사용되고, 음식물을 끓이거나 익힐 경우 용기 및 뚜껑 사이의 틈새 또는 뚜껑에 부여된 증기공을 통해 수증기가 배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종래 등록실용신안 실0132659호에서 종래 고안의 실시예로써 상부가 개방된 용기(10)의 상부에 꼭지(30)가 조립된 뚜껑(20)을 안치하여 음식물을 조리토록 구성된 냄비에 있어서, 가열시 발생되는 고기압을 자동배기토록함과 동시에 냉각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지 않게 자동밀페되게하며 밀폐상태를 외부에서 손쉽게 식별가능케함과 아울러 음식물의 흘러넘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뚜껑(20)에 밀페표시구조(70)를 설치하고 뚜껑(20)과 꼭지 사이에는 탄성의 개폐부(40)를 설치함과 동시에 용기(10)와 뚜껑(20)사이에 탄성의 밀폐부(50)를 구비시킨 것이 본 고안의 주된 특징이다.
패킹(510)은 고열에 충분히 견딜수 있는 탄성의 합성수지 또는 고무재로 구성한다. 그리고, 역출차단플랜지(60)를 두어 비등되는 내용물이 용기(10)의 연부로 직접이동되는 것을 차단하여 줌으로써 끓어올라오는 거품상태의 국물 등을 포위하여 가둬두는 역할을 함으로써 끓어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런데, 일반적인 냄비는 음식물을 끓이거나 익히는 데에는 용이하나, 용기 위에 뚜껑을 단순히 덮는 상태로 보관하므로 인하여 음식물이 쉽게 상하거나 변하는 현상이 발생되곤 한다.
더구나, 냄비의 냉각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지 않고 자동밀폐되도록 뚜껑(20)과 꼭지(30)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의 개폐부(40)는 별도로 손으로 이를 위로 올려야 하기 때문에 화상의 위험은 물론 사용시 뚜껑에 손을 접촉해야 하는 등의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 냄비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때 발생하는 증기의 배출과 냄비를 밀폐하는 기능의 체크밸브를 구비한 냄비가 나왔으나, 체크밸브만으로는 음식물을 끓이거나 익혀 증기를 배출하는 이후에 냄비를 완전히 밀폐하지 못해 여전히 음식물이 쉽게 상하거나 변하는 현상이 발생되곤 하여, 손잡이와 테두리에 형성된 패킹부재를 구비하여 밀폐하는 냄비의 기술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발명은 테두리 패킹부재에 의해 용기와 뚜껑 사이의 내부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하고, 조리시 음식물이 끓게 되면 발생하는 팽창압력이 체크밸브와 진공용 패킹부재를 간단히 밀어 올리면서 증기가 배출되고, 화력이 끊겨 음식물이 식게 되면 발생하는 수축압력이 체크밸브와 진공용 패킹부재를 끌어 당겨 냄비를 진공 상태를 유지케 하여 음식물과 외부공기 상호간의 접촉을 차단하여 오래도록 보존할 수 있도록 하고, 운반시에도 냄비가 진공이 되어 차량에서 운반시나 충격 등으로 뚜껑이 열리지 않게 하여 쏟아져 버리는 상태를 없애 줄 수 있는 진공 냄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음식물을 수용하는 냄비용기(500)와, 냄비용기(500)에 씌워지는 뚜껑(100)과, 뚜껑(100)에 장착되는 손잡이(200)와, 냄비용기(500) 및 뚜껑(100) 상호간을 밀폐시키는 테두리 패킹부재(400)와, 냄비용기(500)의 음식물이 끓으면서 팽창압력이 발생될 경우 개방되고 냄비용기(500)의 음식물이 식으면서 수축압력이 발생될 경우 폐쇄되는 체크밸브(300)로 구성되어, 조리시 음식물이 끓게 되면 발생하는 팽창압력이 체크밸브와 손잡이의 진공용 패킹부재를 간단히 밀어 올리면서 증기가 배출되고, 화력이 끊겨 음식물이 식게 되면 발생하는 수축압력이 체크밸브와 손잡이의 진공용 패킹부재를 끌어 당겨 냄비를 진공 상태를 유지케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부 테두리에 형성된 뚜껑 안착부(540)와 음식을 만드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냄비용기 본체(510)로 구성되는 냄비용기(500);와, 상부 중앙과 일측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결합공(115)을 구비하는 뚜껑 본체(110)로 구성되고, 냄비용기(500)에 씌워지는 뚜껑(100); 상기 뚜껑(100)의 외측에 원통형으로 형성된 상부밸브(310), 상기 상부밸브(310)의 중앙 외측에 얇게 형성된 가변형 밸브시트(312), 상기 상부밸브(310)의 하부에 반원통형 가는 테두리의 원판형으로 형성된 뚜껑밸브시트(320), 상기 뚜껑밸브시트(320)의 하부에 원통형으로 형성된 측면부 밸브(330)와 측면부 밸브구멍(335), 상기 측면부 밸브(330)와 측면부 밸브구멍(335)의 하부 및 상기 뚜껑(100)의 내측에 원통형으로 형성된 밸브 걸림부(340)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뚜껑밸브시트(320)의 지름과 밸브 걸림부(340)의 지름은 상기 측면부 밸브(330)와 측면부 밸브구멍(335)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밸브(310)와 뚜껑밸브시트(320), 측면부 밸브(330), 밸브 걸림부(340)의 중앙 내측에 밸브 구멍(350)이 형성되는 체크밸브(300); 상기 체크밸브(300)의 측면부 밸브(330)와 측면부 밸브구멍(335)은 상기 뚜껑(100)의 결합공(115)에 끼움 결합하여 상기 체크밸브(300)의 상부 밸브(310)와 뚜껑밸브시트(320)가 뚜껑(100)의 외측 부분에 위치하고, 밸브 걸림부(340)가 뚜껑(100)의 내측 부분에 위치하며, 측면부 밸브(330)가 뚜껑(100)의 결합공(115)에 끼움 결합하여 위치하여 체크밸브(300)가 뚜껑(100)과 결합하고, 상기 진공 냄비가 진공 상태가 될 때에는 가열되어 끓었던 음식이 가열이 끊김에 따라 식으면서 생긴 수축압력에 따라 상기 체크밸브(300)가 아래로 하강하여 폐쇄됨에 따라 상기 체크밸브(300)의 가변형 밸브시트(312)가 아래로 하강하여 오목한 형상으로 변하고, 상기 체크밸브(300)의 상부 밸브(310)와 뚜껑밸브시트(320)가 상기 뚜껑(100)의 결합공(115)을 막아 진공상태를 만들어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냄비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뚜껑(100)의 테두리를 따라 결합하는 뚜껑 결합부(410)와 상기 냄비용기(500)의 뚜껑 안착부(540)의 상부에 안착하는 부분인 냄비용기 안착부(420), 상기 뚜껑 결합부(410)와 냄비용기 안착부(420)가 서로 붙지 않도록 상기 뚜껑 결합부(410)와 냄비용기 안착부(420) 사이 및 상기 뚜껑 결합부(410)의 일측에 형성된 격벽부(412)가 실리콘 재질의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테두리 패킹부재(400);로 구성되고, 상기 뚜껑(100)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테두리 패킹부재(400)의 뚜껑 결합부(410)가 결합하여 테두리 패킹부재(400)가 뚜껑(100)과 결합하며, 상기 체크밸브(300)와 테두리 패킹부재(400)가 결합한 뚜껑(100)은 상기 테두리 패킹부재(400)의 냄비용기 안착부(420)가 냄비용기(500)의 뚜껑 안착부(540)의 상부에 안착하고, 격벽부(412)가 상기 뚜껑 결합부(410)와 냄비용기 안착부(420)가 서로 붙지 않도록 하면서 냄비용기(50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냄비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냄비용기(500)의 테두리 상부에 형성되는 찜통물받이기구(1100)는 실리콘으로 조리기구의 상부 가장자리에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찜통물받이기구(1100)의 가장자리부분에 물받이(1110)가 형성될 수 있도록 물받이내벽(1111)과 물받이외벽(1113)으로 “U”자형태로 제작하되, 상기 물받이외벽(1113)의 높이를 물받이내벽(1111)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하면서 수평면으로 연장테두리부(1115)를 형성하면서 가장 외측부분에는 테두리텐션부(1117)를 형성하고, 상기 테두리텐션부(1117)에는 중심부에 강심(1119)을 심어 실리콘의 형상이 유지될 수 있도록 텐션을 주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냄비이다.
본 발명은 조리될 음식물이 저장되는 냄비용기 및 상기 용기 상부를 밀폐하는 뚜껑으로 구성되어, 가열 작용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하는데 사용되는 조리용기의 뚜껑에 장착되어 가열시 발생되는 압력을 외부로 배출함과 동시에 가열이 완료되면, 용기 내부의 진공화를 통해 조리된 음식물의 신선도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진공 냄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테두리 패킹부재에 의해 용기와 뚜껑 사이의 내부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하고, 체크밸브와 진공용 패킹부재에 의해 팽창압력 및 수축압력에 따라 개방 및 폐쇄되어 압력의 배출 및 진공상태의 유지를 가능케 하여, 간단 구조에 의한 증기 배출 및 진공상태 유지를 가능케 하면서, 체크밸브와 손잡이의 탈부착이 가능하여 세척의 용이함으로 위생적으로 청결한 효과가 있다.
또한, 운반시에도 냄비가 진공이 되어 차량에서 운반시나 충격 등으로 뚜껑이 열리지 않게 하여 쏟아져 버리는 상태를 없애 줄 수 있는 진공 냄비를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고안의 제1 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종래 고안의 제2 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인 진공 냄비의 제1 실시예의 진공 상태일 때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진공 냄비의 제1 실시예의 진공으로 패킹되지 않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진공 냄비의 제1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진공 냄비의 제1 실시예의 진공 상태일 때의 체크밸브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진공 냄비의 제1 실시예의 진공으로 패킹되지 않았을 때의 체크밸브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진공 냄비의 제1 실시예의 체크밸브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리콘을 이용한 냄비용 물받이 기구의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리콘을 이용한 냄비용 물받이 기구에 음식물을 찔 경우의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리콘을 이용한 냄비용 물받이 기구에 음식물을 찐 후 식혀져 진공이 되는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인 진공 냄비의 제2 실시예의 진공 상태일 때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인 진공 냄비의 제2 실시예의 진공으로 패킹되지 않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인 진공 냄비의 진공 상태일 때의 체크밸브의 확대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인 진공 냄비의 진공으로 패킹되지 않았을 때의 체크밸브의 확대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인 진공 냄비의 손잡이의 확대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인 진공 냄비의 진공 상태일 때의 손잡이의 확대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인 진공 냄비의 진공으로 패킹되지 않았을 때의 손잡이의 확대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인 진공 냄비의 진공용 패킹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인 진공 냄비의 제3 실시예의 진공 상태일 때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인 진공 냄비의 제3 실시예의 진공으로 패킹되지 않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인 진공 냄비의 제3 실시예의 손잡이의 확대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인 진공 냄비의 제3 실시예의 손잡이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인 진공 냄비의 제3 실시예의 손잡이 결합의 확대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인 진공 냄비의 제3 실시예의 진공용 패킹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인 진공 냄비의 제3 실시예의 테두리 패킹부재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서술하는 실시예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구성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진 것이다.
도 3과 4는 본 발명인 진공 냄비의 제1 실시예의 도면으로, 음식물을 수용하는 냄비용기(500)와, 냄비용기(500)에 씌워지는 뚜껑(100), 냄비용기(500) 및 뚜껑(100) 상호 간을 밀폐시키는 테두리 패킹부재(400), 상기 뚜껑(100)에 장착되어 손잡이 기능을 함과 동시에, 냄비용기(500)의 음식물이 끓으면서 팽창압력이 발생할 경우 개방되고 냄비용기(500)의 음식물이 식으면서 수축압력이 발생할 경우 폐쇄되는 체크밸브(300)로 구성된다.
상기 냄비용기(500)와 뚜껑(100), 테두리 패킹부재(400)는 도 3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체크밸브(300)는 도 6,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100)의 외측에 원통형으로 형성된 상부밸브(310), 상기 상부밸브(310)의 중앙 외측에 얇게 형성된 가변형 밸브시트(312), 상기 상부밸브(310)의 하부에 반원통형 가는 테두리(320a)의 원판형으로 형성된 뚜껑밸브시트(320), 상기 뚜껑밸브시트(320)의 하부에 측면통공이 형성된 원통형의 연결부로 형성된 측면부 밸브(330)와 측면부 밸브구멍(335), 상기 측면부 밸브(330)와 측면부 밸브구멍(335)의 하부 및 상기 뚜껑(100)의 내측에 원통형으로 형성된 밸브 걸림부(340)가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밸브(310)와 뚜껑밸브시트(320), 측면부 밸브(330), 밸브 걸림부(340)의 중앙 내측에 밸브 구멍(350)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측면부 밸브(330)의 측면 통공인, 측면부 밸브구멍(335)이 형성된 원통형의 연결부는 실리콘으로 제조되어 뚜껑의 통공에 끼울 경우 플렉시블하게 되어 끼워진 후에는 빠지지 않으며, 뺄 경우에는 다시 접어서 뺄 수 있게 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뚜껑밸브시트(320)의 반원통형 가는 테두리(320a)는 시트 전체가 진공압에 의하여 동시에 압착이 가능하고, 부분적으로 시트의 파손에 의하여 밀폐가 훼손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상기 뚜껑밸브시트(320)의 지름과 밸브 걸림부(340)의 지름은 상기 측면부 밸브(330)와 측면부 밸브구멍(335)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체크밸브(300)의 측면부 밸브(330)와 측면부 밸브구멍(335)은 상기 뚜껑(100)의 결합공(115)에 끼움 결합하여 위치하고, 팽창압력과 수축압력에 따라 상승과 하강하며 움직인다.
음식을 조리시, 음식물이 끓게 되면서 팽창압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 팽창압력은 밸브 구멍(350)과 측면부 밸브구멍(335)을 경유하여 가변형 밸브시트(312)와 함께 체크밸브(300)을 간단히 밀어올리면서, 밸브 걸림부(340)가 뚜껑(100)에 걸림과 함께 음식물의 증기가 측면부 밸브구멍(335)을 통해 배출된다.
화력이 끊겨 음식물이 식게 되면 수축압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 수축압력은 팽창되었던 가변형 밸브시트(312)를 수축하면서 체크밸브(300)를 끌어당겨 진공 상태를 유지케 하면서 음식물과 외부공기 상호 간의 접촉을 차단하여 오래도록 보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체크밸브(300)의 상부밸브(310)는 상기 뚜껑(100)의 손잡이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냄비의 제1 실시예의 결합 및 기능은 다음과 같다.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크밸브(300)의 측면부 밸브(330)와 측면부 밸브구멍(335)은 상기 뚜껑(100)의 결합공(115)에 끼움 결합하여 상기 체크밸브(300)의 상부 밸브(310)와 뚜껑밸브시트(320)가 뚜껑(100)의 외측 부분에 위치하고, 밸브 걸림부(340)가 뚜껑(100)의 내측 부분에 위치하며, 측면부 밸브(330)가 뚜껑(100)의 결합공(115)에 끼움 결합하여 위치하여 체크밸브(300)가 뚜껑(100)과 결합한다.
상기 뚜껑(100)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테두리 패킹부재(400)의 뚜껑 결합부(410)가 결합하여 테두리 패킹부재(400)가 뚜껑(100)과 결합한다.
이렇게 체크밸브(300)와 테두리 패킹부재(400)가 결합한 뚜껑(100)은 상기 테두리 패킹부재(400)의 냄비용기 안착부(420)가 냄비용기(500)의 뚜껑 안착부(540)의 상부에 안착하고, 격벽부(412)가 상기 뚜껑 결합부(410)와 냄비용기 안착부(420)가 서로 붙지 않도록 하면서 냄비용기(500)의 상부에 위치하여, 진공 냄비를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진공 냄비는 테두리 패킹부재(400)에 의해 용기와 뚜껑 사이의 내부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하고, 체크밸브(300)에 의해 팽창압력 및 수축압력에 따라 개방 및 폐쇄되어 압력의 배출 및 진공상태의 유지를 가능케 하여 간단 구조에 의한 증기 배출 및 진공상태 유지를 가능케 하면서 음식물과 외부공기 상호간의 접촉을 차단하여 오래도록 보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체크밸브(300)는 탈부착이 가능하여 세척의 용이함으로 위생적으로 청결하며,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냄비의 제1 실시예의 구동은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진공 냄비가 진공 상태가 될 때에는 가열되어 끓었던 음식이 가열이 끊김에 따라 식으면서 생긴 수축압력에 따라 상기 체크밸브(300)가 아래로 하강하여 폐쇄됨에 따라 상기 체크밸브(300)의 가변형 밸브시트(312)가 아래로 하강하여 오목한 형상으로 변하고, 상기 체크밸브(300)의 상부 밸브(310)와 뚜껑밸브시트(320)가 상기 뚜껑(100)의 결합공(115)을 막아 진공상태를 만들어 유지시키는 것이다.
즉, 체크밸브와 뚜껑의 사이의 통공을 압축공기에 의하여 밀봉시키는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이 끓어 증기가 발생하면서 외부로 배출되는 상황인 즉, 본 발명인 진공 냄비의 진공으로 패킹되지 않았을 때에는, 음식물과 증기로 생긴 팽창압력에 따라 증기가 위로 상승하여 배출됨과 동시에, 상기 체크밸브(300)가 위로 상승하여 개방됨에 따라 상기 체크밸브(300)의 가변형 밸브시트(312)가 위로 상승하여 볼록한 형상으로 변하고, 상기 체크밸브(300)의 밸브구멍(350)과 측면부 밸브구멍(335)을 통해 증기가 배출된다.
도 8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인 진공 냄비의 제1 실시예의 체크밸브의 사시도이다.
다음은 진공패킹 냄비에 적용되는 실리콘을 이용한 냄비용 물받이 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리콘을 이용한 냄비용 물받이 기구의 측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리콘을 이용한 냄비용 물받이 기구에 음식물을 찔 경우의 측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실리콘을 이용한 냄비용 물받이 기구에 음식물을 찐 후 식혀져 진공이 되는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찜통물받이기구(1100)는 실리콘으로 후라이팬의 상부 가장자리에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찜통물받이기구(1100)의 가장자리부분에 물받이(1110)가 형성될 수 있도록 물받이내벽(1111)과 물받이외벽(1113)으로 “U”자형태로 제작하되, 상기 물받이외벽(1113)의 높이를 물받이내벽(1111)보다 상대적으로 높게하면서 수평면으로 연장테두리부(1115)를 형성하면서 가장 외측부분에는 테두리텐션부(1117)를 형성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테두리텐션부(1117)에는 중심부에 강심(1119)을 심어 실리콘의 형상이 유지될 수 있도록 텐션을 주게 되어 설계된 형상 그대로 유지하면서, 후라이팬 상부에 놓이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찜통물받이기구(1100)의 장점으로는 플렉시블하여 얇게 접기가 용이하게 되어 휴대가 용이하고, 색상을 자유롭게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제품의 형태로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더구나, 실리콘 자체가 220도까지 견디게 되고, 일반적인 강한 재질로 제작하더라도 끊는 물에서 형체가 변하지 않고 있으므로, 이를 음식물 조리기에 사용하여도 재질상의 문제는 없게 된다.
특히, 찜통물받이기구(1100)의 가장자리부분에 물받이(1110)에는 약간의 물을 채워 요리를 하게 되는 것으로, 이 때 중앙부분의 집중된 열기에 의하여 기름이 증발되면서 옆으로 퍼져 상기 물받이(1110)에 떨어지고, 수증기 등에 의하여 냄새 등이 잡혀 가장자리에 있는 물받이(1110)에 떨어져 냄새가 없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체크밸브(300)는 도 6,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100)의 외측에 원통형으로 형성된 상부밸브(310), 상기 상부밸브(310)의 중앙 외측에 얇게 형성된 가변형 밸브시트(312), 상기 상부밸브(310)의 하부에 원판형으로 형성된 뚜껑밸브시트(320), 상기 뚜껑밸브시트(320)의 하부에 측면통공이 형성된 원통형의 연결부로 형성된 측면부 밸브(330)와 측면부 밸브구멍(335), 상기 측면부 밸브(330)와 측면부 밸브구멍(335)의 하부 및 상기 뚜껑(100)의 내측에 원통형으로 형성된 밸브 걸림부(340)가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밸브(310)와 뚜껑밸브시트(320), 측면부 밸브(330), 밸브 걸림부(340)의 중앙 내측에 밸브 구멍(350)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측면부 밸브(330)의 측면 통공인, 측면부 밸브구멍(335)이 형성된 원통형의 연결부는 실리콘으로 제조되어 뚜껑의 통공에 끼울 경우 플렉시블하게 되어 끼워진 후에는 빠지지 않으며, 뺄 경우에는 다시 접어서 뺄 수 있게 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찜통물받이기구(1100)를 후라이팬에 적용하는 상태를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된 도면은 후라이팬(1200)을 사용하고 있는 상태로서, 상부에 뚜껑(1210)이 닫혀 있고, 그 하부에 후라이팬손잡이(1230)이 형성된 후라이팬본체(1220)가 가스렌지 위에 올려져 고기를 굽는 상태이며, 그 중앙에 상기 찜통물받이기구(110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고기를 구울 경우에 전체적으로 수증기가 올라가면서 기름이 튀어 뚜껑(1210) 상부 저면에 달라붙게 되어 있다.
그 후 수증기와 기름은 뚜껑(1210)의 경사면을 따라 흘러내리면서 종국적으로는 가장자리에서 멈추면서 상기 찜통물받이기구(1100)의 물받이(1110)에 고이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물받이(1110)에 모인 물이나 기름을 필요시 빼냄으로써, 고기에 지저분한 기름 등이 다시 올라붙지 않게 되고, 생선의 비린내 등을 물이 흡수되고, 이들의 냄새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도 본 발명의 찜통물받이기구(1100)은 실리콘으로 후라이팬의 상부 가장자리에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찜통물받이기구(1100)의 가장자리부분에 물받이(1110)가 형성될 수 있도록 물받이내벽(1111)과 물받이외벽(1113)으로 “U”자형태로 제작하되, 상기 물받이외벽(1113)의 높이를 물받이내벽(1111)보다 상대적으로 높게하면서 수평면으로 연장테두리부(1115)를 형성하면서 가장 외측부분에는 테두리텐션부(1117)를 형성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테두리텐션부(1117)에는 중심부에 강심(1119)을 심어 실리콘의 형상이 유지될 수 있도록 텐션을 주게 되어 설계된 형상 그대로 유지하면서, 후라이팬 상부에 놓이게 될 수 있다.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리콘을 이용한 냄비용 물받이 기구에 음식물을 찐 후 식혀져 진공이 되는 상태의 측단면도로서, 내부 공기가 압축된 상태의 냄비로서의 진공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인 진공 냄비가 진공 상태가 될 때에는 가열되어 끓었던 음식이 가열이 끊김에 따라 식으면서 생긴 수축압력에 따라 상기 체크밸브(300)가 아래로 하강하여 폐쇄됨에 따라 상기 체크밸브(300)의 가변형 밸브시트(312)가 아래로 하강하여 오목한 형상으로 변하고, 상기 체크밸브(300)의 상부 밸브(310)와 뚜껑밸브시트(320)가 상기 뚜껑(100)의 결합공(115)을 막아 진공상태를 만들어 유지시키되, 뚜껑이 수축압력에 의하여 아래로 내려오면서 상기 찜통물받이기구(1100)의 가장자리부분이 꺽여져 동시에 상기 뚜껑과 함께 압착되어 진공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즉, 체크밸브와 뚜껑의 사이의 통공을 수평면으로된 연장테두리부(1115)가 꺽이면서 압축공기에 의하여 밀봉시키는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이 끓어 증기가 발생하면서 외부로 배출되는 상황인 즉, 본 발명인 진공 냄비의 진공으로 패킹되지 않았을 때에는, 음식물과 증기로 생긴 팽창압력에 따라 증기가 위로 상승하여 배출됨과 동시에, 상기 체크밸브(300)가 위로 상승하여 개방됨에 따라 상기 체크밸브(300)의 가변형 밸브시트(312)가 위로 상승하여 볼록한 형상으로 변하고, 상기 체크밸브(300)의 밸브구멍(350)과 측면부 밸브구멍(335)을 통해 증기가 배출된다.
도 12는 본 발명인 진공 냄비의 제2 실시예의 진공 상태일 때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인 진공 냄비의 제2 실시예의 진공으로 패킹되지 않았을 때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인 진공 냄비의 진공 상태일 때의 체크밸브의 확대도, 도 15는 본 발명인 진공 냄비의 진공으로 패킹되지 않았을 때의 체크밸브의 확대도, 도 16은 본 발명인 진공 냄비의 손잡이의 확대도, 도 17은 본 발명인 진공 냄비의 진공 상태일 때의 손잡이의 확대도, 도 18은 본 발명인 진공 냄비의 진공으로 패킹되지 않았을 때의 손잡이의 확대도, 도 19는 본 발명인 진공 냄비의 진공용 패킹부재의 단면도,도 20은 본 발명인 진공 냄비의 제3 실시예의 진공 상태일 때의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인 진공 냄비의 제3 실시예의 진공으로 패킹되지 않았을 때의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인 진공 냄비의 제3 실시예의 손잡이의 확대도, 도 23은 본 발명인 진공 냄비의 제3 실시예의 손잡이의 결합 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인 진공 냄비의 제3 실시예의 손잡이 결합의 확대도, 도 25는 본 발명인 진공 냄비의 제3 실시예의 진공용 패킹부재의 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인 진공 냄비의 제3 실시예의 테두리 패킹부재의 결합 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도면에 병기된 도면부호에 따라 부여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2 내지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냄비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음식물을 수용하는 냄비용기(500)와, 냄비용기(500)에 씌워지는 뚜껑(100)과, 뚜껑(100)에 장착되는 손잡이(200)와, 냄비용기(500) 및 뚜껑(100) 상호간을 밀폐시키는 테두리 패킹부재(400)와, 냄비용기(500)의 음식물이 끓으면서 팽창압력이 발생될 경우 개방되고 냄비용기(500)의 음식물이 식으면서 수축압력이 발생될 경우 폐쇄되는 체크밸브(300)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냄비용기(500)는 상부 테두리에 형성된 뚜껑 안착부(540)를 구비하고, 음식을 만드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일반적인 원통형의 냄비용기 본체(510)와 상기 냄비용기 본체(510)로 구성된다.
상기 뚜껑 안착부(540)는 후술하는 뚜껑(100)과 결합하는 테두리 패킹부재(400)의 냄비용기 안착부(420)가 위치하는 부분으로, 후술하는 뚜껑(100)과 결합하는 테두리 패킹부재(400)의 크기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뚜껑(100)은 음식물을 조리시 열 차단을 하는 기능으로, 상부 중앙과 일측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결합공(115)(115a)을 구비하는 뚜껑 본체(110)로 구성되고, 상기 뚜껑 본체(110)는 상기 냄비용기(500)의 크기와 모양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스테인리스 소재 및 유리 소재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200)는 뚜껑(100)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뚜껑(100)을 쉽게 여닫을 수 있도록 형성함과 동시에, 손잡이 본체(210), 진공용 패킹부재(220), 손잡이 결합부재(230) 및 볼트(240)로 구성 및 결합하여 팽창압력 및 수축압력에 따라 개방 및 폐쇄됨에 따라 압력의 배출 및 진공상태의 유지를 가능케 하여 음식물의 조리 및 보관을 실현토록 한다.
상기 손잡이 본체(210)는 상기 뚜껑(100)과 진공용 패킹부재(220), 손잡이 결합부재(230)가 볼트(240)로 결합하기 위해 중앙에 형성된 결합공(215)을 구비하고, 사용자가 편리하게 잡을 수 있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진공용 패킹부재(220)는 중앙에 형성된 결합공(225)과 상기 결합공(225)을 중심으로 원통형으로 돌출 형성된 진공용 결합부(222), 상기 진공용 결합부(222)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결합공(225)의 테두리를 따라 둥글게 돌출 형성된 진공용 돌출부(224)를 구비하는 원판형의 패킹부재 본체(221)가 일체로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 결합부재(230)는 중앙에 형성된 결합공(미명명)을 구비하는 약간의 오목한 홈이 형성된 원판으로 형성된다.
상기 체크밸브(300)는 도 5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100)의 외측에 원통형으로 형성된 상부밸브(310), 상기 상부밸브(310)의 중앙 외측에 얇게 형성된 가변형 밸브시트(312), 상기 상부밸브(310)의 하부에 원판형으로 형성된 뚜껑밸브시트(320), 상기 뚜껑밸브시트(320)의 하부에 측면통공이 형성된 원통형의 연결부로 형성된 측면부 밸브(330)와 측면부 밸브구멍(335), 상기 측면부 밸브(330)와 측면부 밸브구멍(335)의 하부 및 상기 뚜껑(100)의 내측에 원통형으로 형성된 밸브 걸림부(340)가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밸브(310)와 뚜껑밸브시트(320), 측면부 밸브(330), 밸브 걸림부(340)의 중앙 내측에 밸브 구멍(350)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측면부 밸브(330)의 측면 통공인, 측면부 밸브구멍(335)이 형성된 원통형의 연결부는 실리콘으로 제조되어 뚜껑의 통공에 끼울 경우 플렉시블하게 되어 끼워진 후에는 빠지지 않으며, 뺄 경우에는 다시 접어서 뺄 수 있게 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뚜껑밸브시트(320)의 지름과 밸브 걸림부(340)의 지름은 상기 측면부 밸브(330)와 측면부 밸브구멍(335)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체크밸브(300)의 측면부 밸브(330)와 측면부 밸브구멍(335)은 상기 뚜껑(100)의 결합공(115)에 끼움 결합하여 위치하고, 팽창압력과 수축압력에 따라 상승과 하강하며 움직인다.
음식을 조리시, 음식물이 끓게 되면서 팽창압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 팽창압력은 밸브 구멍(350)과 측면부 밸브구멍(335)을 경유하여 가변형 밸브시트(312)와 함께 체크밸브(300)를 간단히 밀어올리면서, 밸브 걸림부(340)가 뚜껑(100)에 걸림과 함께 음식물의 증기가 측면부 밸브구멍(335)을 통해 배출된다.
화력이 끊겨 음식물이 식게 되면 수축압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 수축압력은 팽창되었던 가변형 밸브시트(312)를 수축하면서 체크밸브(300)를 끌어당겨 진공 상태를 유지케 하면서 음식물과 외부공기 상호 간의 접촉을 차단하여 오래도록 보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테두리 패킹부재(400)는 상기 뚜껑(100)의 테두리를 따라 결합하는 뚜껑 결합부(410)와 냄비용기(500)의 뚜껑 안착부(540)의 상부에 안착하는 부분인 냄비용기 안착부(420)가 실리콘 재질의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뚜껑 결합부(410)와 냄비용기 안착부(420)가 서로 붙지 않도록 상기 뚜껑 결합부(410)와 냄비용기 안착부(420) 사이 및 상기 뚜껑 결합부(410)의 일측에 형성된 격벽부(412)를 구비한다.
상기 테두리 패킹부재(400)는 냄비용기(500)와 뚜껑(100) 사이의 내부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하고, 체크밸브(300)은 팽창압력 및 수축압력에 따라 개방 및 폐쇄되어 압력의 배출 및 진공상태의 유지를 가능케 하여 음식물의 조리 및 보관을 실현토록 한다.
이때, 테두리 패킹부재(400)의 실리콘 재질은 밀폐력과 결합력, 높은 생산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냄비의 결합 및 기능은 다음과 같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공용 패킹부재(220)의 진공용 결합부(222)가 상기 뚜껑(100)의 결합공(115)에 끼움 결합하여 상기 진공용 결합부(222)의 단부가 상기 뚜껑(100)의 두께의 1/2 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진공용 패킹부재(220)의 상부로 손잡이 본체(210)가 위치하며, 상기 뚜껑(100)의 내측면에 손잡이 결합부재(230)의 오목한 홈이 뚜껑(100) 측의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손잡이 결합부재(230)가 위치하고, 상기 손잡이 결합부재(230)의 결합공(미명명)과 상기 진공용 패킹부재(220)의 결합공(225), 상기 손잡이 본체(210)의 결합공(215)을 통해 볼트(240)로 결합하여 손잡이(200)가 뚜껑(100)과 결합한다.
상기 체크밸브(300)의 상부 밸브(310)와 뚜껑밸브시트(320)가 뚜껑(100)의 외측 부분에 위치하고, 밸브 걸림부(340)가 뚜껑(100)의 내측 부분에 위치하며, 측면부 밸브(330)가 뚜껑(100)의 결합공(115)에 끼움 결합하여 위치하여 체크밸브(300)가 뚜껑(100)과 결합한다.
상기 뚜껑(100)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테두리 패킹부재(400)의 뚜껑 결합부(410)가 결합하여 테두리 패킹부재(400)가 뚜껑(100)과 결합한다.
이렇게 손잡이(200)와 체크밸브(300), 테두리 패킹부재(400)가 결합한 뚜껑(100)은 상기 테두리 패킹부재(400)의 냄비용기 안착부(420)가 냄비용기(500)의 뚜껑 안착부(540)의 상부에 안착하고, 격벽부(412)가 상기 뚜껑 결합부(410)와 냄비용기 안착부(420)가 서로 붙지 않도록 하면서 냄비용기(500)의 상부에 위치하여, 진공 냄비를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진공 냄비는 테두리 패킹부재(400)에 의해 용기와 뚜껑 사이의 내부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하고, 체크밸브(300)와 진공용 패킹부재(220)에 의해 팽창압력 및 수축압력에 따라 개방 및 폐쇄되어 압력의 배출 및 진공상태의 유지를 가능케 하여 간단 구조에 의한 증기 배출 및 진공상태 유지를 가능케 하면서 음식물과 외부공기 상호 간의 접촉을 차단하여 오래도록 보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체크밸브(300)와 손잡이(200)의 탈부착이 가능하여 세척의 용이함으로 위생적으로 청결하며,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냄비의 구동은 다음과 같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진공 냄비가 진공 상태가 될 때에는 가열되어 끓었던 음식이 가열이 끊김에 따라 식으면서 생긴 수축압력에 따라 상기 손잡이(200)의 진공용 패킹부재(220)의 진공용 결합부(222)와 진공용 돌출부(224)가 아래로 하강하여 상기 진공용 패킹부재(220)의 진공용 결합부(222)의 단부가 상기 뚜껑(100)의 두께의 1/2 지점보다 아래인 3/4 지점에 위치하며, 상기 진공용 돌출부(224)가 증기 배출 가능하였던 상기 뚜껑(100)의 결합공(115)을 완전히 막음과 동시에, 상기 체크밸브(300)가 아래로 하강하여 폐쇄됨에 따라 상기 체크밸브(300)의 가변형 밸브시트(312)가 아래로 하강하여 오목한 형상으로 변하고, 상기 체크밸브(300)의 상부 밸브(310)와 뚜껑밸브시트(320)가 상기 뚜껑(100)의 결합공(115)을 막아 진공상태를 만들어 유지시킨다.
즉, 볼트와 진공패킹 사이의 공간 및 진공패킹과 뚜껑의 통공을 압축공기에 의하여 밀봉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이 끓어 증기가 발생하면서 외부로 배출되는 상황인 즉, 본 발명인 진공 냄비의 진공으로 패킹되지 않았을 때에는, 음식물과 증기로 생긴 팽창압력에 따라 상기 손잡이(200)의 진공용 패킹부재(220)의 진공용 결합부(222)와 진공용 돌출부(224)가 위로 상승하여 상기 진공용 패킹부재(220)의 진공용 결합부(222)의 단부가 상기 뚜껑(100)의 두께의 1/2 지점보다 위에 위치하며, 상기 체크밸브(300)가 위로 상승하여 개방됨에 따라 증기가 배출됨과 동시에, 상기 체크밸브(300)의 가변형 밸브시트(312)가 위로 상승하여 볼록한 형상으로 변하고, 상기 체크밸브(300)의 밸브구멍(350)과 측면부 밸브구멍(335)을 통해 증기가 배출된다.
도 20 내지 26은 본 발명인 진공 냄비의 제3 실시예의 도면으로, 음식물을 수용하는 냄비용기(500)와, 냄비용기(500)에 씌워지는 뚜껑(100), 뚜껑(100)에 장착되는 손잡이(200), 냄비용기(500) 및 뚜껑(100) 상호 간을 밀폐시키는 테두리 패킹부재(400), 냄비용기(500)의 음식물이 끓으면서 팽창압력이 발생할 경우 개방되고 냄비용기(500)의 음식물이 식으면서 수축압력이 발생할 경우 폐쇄되는 체크밸브(300)로 구성된다.
상기 냄비용기(500)와 뚜껑(100), 테두리 패킹부재(400), 체크밸브(300)는 도 3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손잡이(200)는 뚜껑(100)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뚜껑(100)을 쉽게 여닫을 수 있도록 형성함과 동시에, 제2 손잡이 본체(210b), 진공용 패킹부재(220), 손잡이 결합부재(230) 및 볼트(240)로 구성 및 결합하여 팽창압력 및 수축압력에 따라 개방 및 폐쇄됨에 따라 압력의 배출 및 진공상태의 유지를 가능케 하여 음식물의 조리 및 보관을 실현토록 한다.
상기 제2 손잡이 본체(210b)는 상기 뚜껑(100)과 진공용 패킹부재(220), 손잡이 결합부재(230)가 볼트(240)로 결합하기 위해 중앙에 형성된 결합공(215)과 상기 진공용 패킹부재(220)의 진공용 결합부(222)가 끼움 결합하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상기 결합공(215)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패킹부재 결합공(217)을 구비하고, 사용자가 편리하게 잡을 수 있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진공용 패킹부재(220)는 중앙에 형성된 결합공(225)과 상기 결합공(225)을 중심으로 원통형으로 돌출 형성된 진공용 결합부(222), 상기 진공용 결합부(222)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결합공(225)의 테두리를 따라 둥글게 돌출 형성된 진공용 돌출부(224)를 구비하는 원판형의 패킹부재 본체(221)로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 결합부재(230)는 중앙에 형성된 결합공(미명명)을 구비하는 약간의 오목한 홈이 형성된 원판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냄비의 제3 실시예의 결합 및 기능은 다음과 같다.
도 22 내지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공용 패킹부재(220)의 진공용 결합부(222)가 상기 제2 손잡이 본체(210b)의 패킹부재 결합공(217)에 끼움 결합하여 상기 진공용 결합부(222)의 단부가 상기 패킹부재 결합공(217)에 끼워지고, 상기 진공용 패킹부재(220)가 결합한 제2 손잡이 본체(210b)가 상기 뚜껑(100)의 상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뚜껑(100)의 내측면에 손잡이 결합부재(230)의 오목한 홈이 뚜껑(100) 측의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손잡이 결합부재(230)가 위치하고, 상기 뚜껑(100)의 결합공(115)과 상기 손잡이 결합부재(230)의 결합공(미명명), 상기 진공용 패킹부재(220)의 결합공(225), 상기 제2 손잡이 본체(210b)의 결합공(215)을 통해 볼트(240)로 결합하여 손잡이(200)가 뚜껑(100)과 결합한다.
상기 체크밸브(300)의 상부 밸브(310)와 뚜껑밸브시트(320)가 뚜껑(100)의 외측 부분에 위치하고, 밸브 걸림부(340)가 뚜껑(100)의 내측 부분에 위치하며, 측면부 밸브(330)가 뚜껑(100)의 결합공(115a)에 끼움 결합하여 위치하여 체크밸브(300)가 뚜껑(100)과 결합한다.
상기 뚜껑(100)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테두리 패킹부재(400)의 뚜껑 결합부(410)가 결합하여 테두리 패킹부재(400)가 뚜껑(100)과 결합한다.
이렇게 손잡이(200)와 체크밸브(300), 테두리 패킹부재(400)가 결합한 뚜껑(100)은 상기 테두리 패킹부재(400)의 냄비용기 안착부(420)가 냄비용기(500)의 뚜껑 안착부(540)의 상부에 안착하고, 격벽부(412)가 상기 뚜껑 결합부(410)와 냄비용기 안착부(420)가 서로 붙지 않도록 하면서 냄비용기(500)의 상부에 위치하여, 진공 냄비를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진공 냄비는 테두리 패킹부재(400)에 의해 용기와 뚜껑 사이의 내부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하고, 체크밸브(300)와 진공용 패킹부재(220)에 의해 팽창압력 및 수축압력에 따라 개방 및 폐쇄되어 압력의 배출 및 진공상태의 유지를 가능케 하여 간단 구조에 의한 증기 배출 및 진공상태 유지를 가능케 하면서 음식물과 외부공기 상호 간의 접촉을 차단하여 오래도록 보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체크밸브(300)와 손잡이(200)의 탈부착이 가능하여 세척의 용이함으로 위생적으로 청결하며,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냄비의 제3 실시예의 구동은 다음과 같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진공 냄비가 진공 상태가 될 때에는 가열되어 끓었던 음식이 가열이 끊김에 따라 식으면서 생긴 수축압력에 따라 상기 손잡이(200)의 진공용 패킹부재(220)의 진공용 결합부(222)와 진공용 돌출부(224)가 아래로 하강하여 상기 진공용 결합부(222)의 단부가 상기 패킹부재 결합공(217)에 끼워지고, 상기 진공용 결합부(222)의 하단 모서리가 진공작용시 증기 배출 가능하였던 상기 뚜껑(100)의 결합공(115)을 완전히 막음과 동시에, 상기 체크밸브(300)가 아래로 하강하여 폐쇄됨에 따라 상기 체크밸브(300)의 가변형 밸브시트(312)가 아래로 하강하여 오목한 형상으로 변하고, 상기 체크밸브(300)의 상부 밸브(310)와 뚜껑밸브시트(320)가 상기 뚜껑(100)의 결합공(115a)을 막아 진공상태를 만들어 유지시킨다.
즉, 볼트와 진공패킹부재 사이의 공간 및 진공패킹부재와 뚜껑의 사이의 통공을 압축공기에 의하여 밀봉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진공용 패킹부재(220)에 상기 진공용 돌출부(224)가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증기 배출 가능하였던 상기 뚜껑(100)의 결합공(115)을 완전히 막음과 동시에, 상기 체크밸브(300)가 아래로 하강하여 폐쇄됨에 따라 상기 체크밸브(300)의 가변형 밸브시트(312)가 아래로 하강하여 오목한 형상으로 변하고, 상기 체크밸브(300)의 상부 밸브(310)와 뚜껑밸브시트(320)가 상기 뚜껑(100)의 결합공(115a)을 막아 진공상태를 만들어 유지시킨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이 끓어 증기가 발생하면서 외부로 배출되는 상황인 즉, 본 발명인 진공 냄비의 진공으로 패킹되지 않았을 때에는, 음식물과 증기로 생긴 팽창압력에 따라 상기 손잡이(200)의 진공용 패킹부재(220)의 진공용 결합부(222)와 진공용 돌출부(224)가 위로 상승하여 증기가 배출됨과 동시에, 상기 체크밸브(300)가 위로 상승하여 개방됨에 따라 상기 진공용 결합부(222)의 단부가 상기 패킹부재 결합공(217)에 끼워져 있고, 상기 체크밸브(300)의 가변형 밸브시트(312)가 위로 상승하여 볼록한 형상으로 변하고, 상기 체크밸브(300)의 밸브구멍(350)과 측면부 밸브구멍(335)을 통해 증기가 배출된다.
도 27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냄비 손잡이를 잡고 옮겨도 전혀 탈착이 되지 않으며, 차량에서 운반시나 충격 등에도 뚜껑이 이탈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냄비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뚜껑
110: 뚜껑본체
115, 115a: 결합공
200: 손잡이
210: 손잡이 본체
210b: 제2 손잡이 본체
215: 결합공
217: 패킹부재 결합공
220: 진공용 패킹부재
221: 패킹부재 본체
222: 진공용 결합부
224: 진공용 돌출부
225: 결합공
230: 손잡이 결합부재
240: 볼트
300: 체크밸브
310: 상부밸브
312: 가변형 밸브시트
320: 뚜껑밸브시트
330: 측면부 밸브
335: 측면부 밸브구멍
340: 밸브 걸림부
350: 밸브 구멍
400: 테두리 패킹부재
410: 뚜껑 결합부
412: 격벽부
420: 냄비용기 안착부
500: 냄비용기
510: 냄비용기 본체
540: 뚜껑 안착부

Claims (3)

  1. 상부 테두리에 형성된 뚜껑 안착부(540)와 음식을 만드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냄비용기 본체(510)로 구성되는 냄비용기(500);와
    상부 중앙과 일측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결합공(115)을 구비하는 뚜껑 본체(110)로 구성되고, 냄비용기(500)에 씌워지는 뚜껑(100);
    상기 뚜껑(100)의 외측에 원통형으로 형성된 상부밸브(310), 상기 상부밸브(310)의 중앙 외측에 얇게 형성된 가변형 밸브시트(312), 상기 상부밸브(310)의 하부에 반원통형 가는 테두리의 원판형으로 형성된 뚜껑밸브시트(320), 상기 뚜껑밸브시트(320)의 하부에 원통형으로 형성된 측면부 밸브(330)와 측면부 밸브구멍(335), 상기 측면부 밸브(330)와 측면부 밸브구멍(335)의 하부 및 상기 뚜껑(100)의 내측에 원통형으로 형성된 밸브 걸림부(340)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뚜껑밸브시트(320)의 지름과 밸브 걸림부(340)의 지름은 상기 측면부 밸브(330)와 측면부 밸브구멍(335)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밸브(310)와 뚜껑밸브시트(320), 측면부 밸브(330), 밸브 걸림부(340)의 중앙 내측에 밸브 구멍(350)이 형성되는 체크밸브(300);
    상기 체크밸브(300)의 측면부 밸브(330)와 측면부 밸브구멍(335)은 상기 뚜껑(100)의 결합공(115)에 끼움 결합하여 상기 체크밸브(300)의 상부 밸브(310)와 뚜껑밸브시트(320)가 뚜껑(100)의 외측 부분에 위치하고, 밸브 걸림부(340)가 뚜껑(100)의 내측 부분에 위치하며, 측면부 밸브(330)가 뚜껑(100)의 결합공(115)에 끼움 결합하여 위치하여 체크밸브(300)가 뚜껑(100)과 결합하고,
    상기 진공 냄비가 진공 상태가 될 때에는 가열되어 끓었던 음식이 가열이 끊김에 따라 식으면서 생긴 수축압력에 따라 상기 체크밸브(300)가 아래로 하강하여 폐쇄됨에 따라 상기 체크밸브(300)의 가변형 밸브시트(312)가 아래로 하강하여 오목한 형상으로 변하고, 상기 체크밸브(300)의 상부 밸브(310)와 뚜껑밸브시트(320)가 상기 뚜껑(100)의 결합공(115)을 막아 진공상태를 만들어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냄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100)의 테두리를 따라 결합하는 뚜껑 결합부(410)와 상기 냄비용기(500)의 뚜껑 안착부(540)의 상부에 안착하는 부분인 냄비용기 안착부(420), 상기 뚜껑 결합부(410)와 냄비용기 안착부(420)가 서로 붙지 않도록 상기 뚜껑 결합부(410)와 냄비용기 안착부(420) 사이 및 상기 뚜껑 결합부(410)의 일측에 형성된 격벽부(412)가 실리콘 재질의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테두리 패킹부재(400);로 구성되고, 상기 뚜껑(100)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테두리 패킹부재(400)의 뚜껑 결합부(410)가 결합하여 테두리 패킹부재(400)가 뚜껑(100)과 결합하며, 상기 체크밸브(300)와 테두리 패킹부재(400)가 결합한 뚜껑(100)은 상기 테두리 패킹부재(400)의 냄비용기 안착부(420)가 냄비용기(500)의 뚜껑 안착부(540)의 상부에 안착하고, 격벽부(412)가 상기 뚜껑 결합부(410)와 냄비용기 안착부(420)가 서로 붙지 않도록 하면서 냄비용기(50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냄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냄비용기(500)의 테두리 상부에 형성되는 찜통물받이기구(1100)는 실리콘으로 조리기구의 상부 가장자리에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찜통물받이기구(1100)의 가장자리부분에 물받이(1110)가 형성될 수 있도록 물받이내벽(1111)과 물받이외벽(1113)으로 “U”자형태로 제작하되, 상기 물받이외벽(1113)의 높이를 물받이내벽(1111)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하면서 수평면으로 연장테두리부(1115)를 형성하면서 가장 외측부분에는 테두리텐션부(1117)를 형성하고, 상기 테두리텐션부(1117)에는 중심부에 강심(1119)을 심어 실리콘의 형상이 유지될 수 있도록 텐션을 주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냄비.
KR1020210101770A 2021-08-03 2021-08-03 진공 냄비 KR202300201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770A KR20230020119A (ko) 2021-08-03 2021-08-03 진공 냄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770A KR20230020119A (ko) 2021-08-03 2021-08-03 진공 냄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0119A true KR20230020119A (ko) 2023-02-10

Family

ID=85223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1770A KR20230020119A (ko) 2021-08-03 2021-08-03 진공 냄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011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55263B2 (ja) 真空可能な鍋用蓋及びこれを用いた鍋
US5347918A (en) Vacuum thermal cooker
US4000830A (en) Lid for a cooking utensil
US9596954B2 (en) Cookware that functions as a low pressure cooker
US2939606A (en) Cooking utensil
JP2013503704A (ja) 組合わせ複数容器調理用具
FR2786083A1 (fr) Cuiseur a vapeur a remplissage lateral d'eau
US20210106161A1 (en) Automatic spill-proof lid
KR101136091B1 (ko) 넘침방지 조리기구용 뚜껑
KR20230020119A (ko) 진공 냄비
KR101244277B1 (ko) 중탕기
KR101358244B1 (ko)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KR101358243B1 (ko) 진공 가능한 냄비
KR200475469Y1 (ko) 진공 냄비
KR20140138005A (ko) 서빙 가능한 용기시루
KR101357125B1 (ko)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KR101415804B1 (ko) 진공냄비뚜껑용 체크밸브
JP2012192081A (ja) 電子レンジ調理用容器
KR102338728B1 (ko) 진공 냄비
CN113545669A (zh) 一种防溢易清理电饭煲顶盖
KR200472073Y1 (ko) 넘침 방지구조를 갖는 냄비
JPH1085121A (ja) 調理鍋のラック
KR102648107B1 (ko) 넘침 방지 기능을 가진 진공 조리기
FR2682273A3 (en) Utensil for performing a variety of cooking tasks
KR101357126B1 (ko) 진공 가능한 냄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