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9346A -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9346A
KR20230019346A KR1020210100711A KR20210100711A KR20230019346A KR 20230019346 A KR20230019346 A KR 20230019346A KR 1020210100711 A KR1020210100711 A KR 1020210100711A KR 20210100711 A KR20210100711 A KR 20210100711A KR 20230019346 A KR20230019346 A KR 20230019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console
vehicle
disposed
arm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0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7232B1 (ko
Inventor
박해주
여성구
노우솔
방인국
정명규
Original Assignee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0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7232B1/ko
Publication of KR20230019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9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7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7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1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7Mid-console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시트의 일 측에 배치되고, 외형을 형성하고 일 측벽이 시트에 마주하는 콘솔바디 및 콘솔바디의 일 측벽에서 내측으로 함몰하여 형성되고, 시트가 회전할 때 시트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시트삽입부를 포함하여, 콘솔바디의 일 측면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시트삽입부가 형성되는 바, 시트가 회전할 때 시트의 하체지지부의 일부가 시트삽입부로 삽입되면서 회전하므로, 콘솔바디의 방해 없이 시트가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고,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암레스트와 테이블과 어퍼커버를 포함하는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 {CONSOLE ASSEMBLY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 가능한 시트가 구비된 차량에 설치되는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는 콘솔 어셈블리가 배치된다. 콘솔 어셈블리는 소지품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콘솔 어셈블리의 상부면에는 탑승자가 팔을 올려놓고 지지할 수 있는 암레스트가 설치되기도 한다. 또한, 콘솔 어셈블리는 기타 다른 부품들이 수납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기도 한다.
한편, 근래에는 자율주행 차량이 활발하게 연구된다.
자율주행 차량이란 운전자가 직접 조작하지 않더라도, 차량의 제어부가 스스로 목적지까지 운전을 수행하는 차량이다. 자율주행 차량에 관한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콘솔박스 내부에 수납되던 기어박스가 불필요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콘솔 어셈블리의 형상도 다양화될 수 있었다.
자율주행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됨에 따라, 운전자는 보다 편한한 상태로 휴식을 취할 수 있었다. 나아가, 운전석 시트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후방을 향하여 회전시키고자 하는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으로 한국 공개특허 제10-2019-0119704호를 제시한다. 선행문헌은 차량용 콘솔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행문헌에 따르면, 콘솔박스가 차량 실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콘솔박스는 이동시에 크러시패드의 하측공간으로 삽입 가능한 상대가 된다. 즉, 탑승자는 콘솔박스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크러시패드의 하측공간으로 삽입한 후, 시트를 회전시켜 후방을 향하여 배치할 수 있다.
하지만, 콘솔장치에는 여러가지 모듈이 배치될 수 있으나, 콘솔박스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됨에 따라 일부 모듈은 설치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콘솔장치에는 후방에 공조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벤트가 형성되고, 콘솔장치 내부에서 에어벤트로 연장되는 에어덕트가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콘솔장치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됨에 따라 에어덕트는 신축성있는 재질의 호스로 형성되어야 하나, 지속적인 콘솔장치의 이동에 따라 호스의 내구성이 문제된다.
또한, 콘솔장치에는 필요에 따라 차량 본체와 전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지만, 콘솔장치가 지속적으로 전후진함에 따라 전선의 내구성이 문제되며, 전선의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전선에 특수한 구조를 적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19-0119704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선행문헌이 가지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차량에 고정되되, 차량에 구비된 시트가 후방을 향하여 회전할 때 시트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는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탑승자가 전방을 향한 시트에 착석하거나 또는 후방을 향한 시트에 착성한 경우에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암레스트를 구비한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는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전방시트에 착석한 탑승자 및 후방시트에 착석한 탑승자가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테이블을 구비한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탑승자가 전방을 향한 시트에 착석하거나 또는 후방을 향한 시트에 착성한 경우에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어퍼커버를 구비한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는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시트의 일 측에 배치되고, 외형을 형성하고 일 측벽이 시트에 마주하는 콘솔바디, 콘솔바디의 일 측벽에서 내측으로 함몰하여 형성되고, 시트가 회전할 때 시트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시트삽입부를 포함한다.
시트삽입부는 콘솔바디의 좌측벽에서 우측벽까지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시트는 탑승자가 착석하는 하체지지부와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는 상체지지부를 포함하고, 시트가 회전할 때 하체지지부의 적어도 일부가 시트삽입부에 삽입될 수 있다.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는 시트삽입부의 개방된 일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시트삽입부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는, 콘솔바디에 형성되어 공기를 토출하는 에어벤트 및 콘솔바디의 내부에 배치되고 일 단이 에어벤트에 연결되는 에어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는, 콘솔바디의 상부면에 배치되고,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제1위치에 있을 때 회전하기 전의 시트에 착석한 탑승자의 팔을 지지하고, 제2위치에 있을 때 회전한 후의 시트에 착석한 탑승자의 팔을 지지하는 암레스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는, 콘솔바디의 상부면에 배치되고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테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는, 콘솔바디의 상부면에 배치되고,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제1위치에 있을 때 회전하기 전의 시트에 착석한 탑승자가 이용 가능하게 배치되고, 제2위치에 있을 때 회전한 후의 상기 시트에 착석한 탑승자가 이용 가능하게 배치되는 어퍼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콘솔바디의 일 측면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시트삽입부가 형성되는 바, 시트가 회전할 때 시트의 하체지지부의 일부가 시트삽입부로 삽입되면서 회전하므로, 콘솔바디의 방해 없이 시트가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암레스트는 콘솔바디의 상부면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하고, 좌우 암레스트가 개별적으로 이동하는 바, 탑승자가 전방을 향한 시트에 착석하거나 또는 후방을 향한 시트에 착성한 경우에 모두 암레스트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셋째, 테이블은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고 승강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바, 전방시트에 착석한 탑승자 및 후방시트에 착석한 탑승자가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테이블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넷째, 어퍼커버는 콘솔바디의 상부면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바, 탑승자가 전방을 향한 시트에 착석하거나 또는 후방을 향한 시트에 착성한 경우에 모두 어퍼커버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가 설치되는 차량의 내부를 간략하게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 측면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 4는 도 3에서 B부분의 정단면도,
도 5는 도 2에서 A부분의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의 분해도,
도 8은 도 6에서 암레스트가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도,
도 9는 도 6에서 우측 암레스트만 전방으로 이동산 상태를 도시한 도,
도 10은 도 8에서 테이블이 후방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도,
도 11은 도 10에서 테이블이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도,
도 12는 도 11에서 상부테이블이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도,
도 13은 도 12의 평면도,
도 14는 도 12의 우측면도,
도 15는 도 10에서 어퍼커버가 후방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의 우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의 우측면도,
도 18은 도 16에서 C부분의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콘솔 어셈블리(1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10)는 차량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10)가 설치되는 차량은 자율주행이 가능한 차량일 수 있다. 자율주행 차량은 운전자가 운행에 필요한 장치를 조작하지 않더라도, 제어부가 스스로 목적지까지 운행을 하는 차량이다.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는 직접 운행에 필요한 장치를 조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시트(51,52)를 자유롭게 이동 또는 회전시킬 수 있다.
차량에는 복수개의 시트(51~54)가 배치된다.
시트(51~54)는 전방시트(51,52)와 후방시트(53,54)로 구분된다. 전방시트(51,52)중 좌측 전방시트(51)는 운전석에 해당하고, 우측 전방시트(51)는 조수석에 해당한다. 후방시트(53,54)는 운전석(51)과 조수석(52) 각각의 후방에 배치된다. 상기 시트들 중에서, 후술하는 시트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좌측 전방시트(51) 또는 우측 전방시트(52)를 가리킨다.
시트(51,52)는 하체지지부(511,521,531,541)와 상체지지부(512,522,532,542)로 구분될 수 있다.
하체지지부(511,521,531,541)는 탑승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구성요소이다. 하체지지부(511,521,531,541)는 상체지지부(512,522,532,542)와의 연결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된다.
상체지지부(512,522,532,542)는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상체지지부(512,522,532,542)의 하단은 하체지지부(511,521,531,541)의 후단에 연결되고, 상부로 연장된다.
후술하는 상체지지부(512,522,532,542) 또는 하체지지부(511,521,531,541)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전방시트(51,52)의 상체지지부(512,522) 또는 하체지지부(511,521)를 가리킨다.
시트는 회전축(A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시트의 회전축(A1)은 지면에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전술한 바와 달리, 시트의 회전축(A1)은 지면으로부터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시트의 회전축(A1)은 차체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차량에는 크러시패드(55)가 배치된다. 크러시패드(55)는 운전석 및 조수석의 전방에 배치되고, 계기판 또는 다른 다양한 부품들이 설치된다. 조향휠은 크러시패드(55)에 배치된다.
콘솔 어셈블리(10)는 시트의 일 측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콘솔 어셈블리(10)는 좌측 전방시트(51)와 우측 전방시트(52) 사이에 배치된다.
콘솔 어셈블리(10)는 콘솔바디(100), 암레스트(200), 테이블(300) 및 어퍼커버(400)로 구성될 수 있다.
콘솔바디(100)는 콘솔 어셈블리(10)의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에 소지품 또는 다른 부품이 수납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
콘솔바디(100)는 일 측벽이 좌측시트 또는 우측시트에 마주한다. 구체적으로, 콘솔바디(100)의 좌측벽은 좌측 전방시트(51)의 우측단과 마주하고, 콘솔바디(100)의 우측벽은 우측 전방시트(52)의 좌측단과 마주한다.
콘솔바디(100)는 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
시트삽입부(110)은 시트(51,52)가 회전할 때 시트(51,52)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구성요소이다. 시트삽입부(110)은 콘솔바디(100)의 일 측벽에서 내측으로 함몰하여 형성된다.
일 측방에서 바라볼 때, 시트삽입부(110)은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꼭지점에는 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시트삽입부(110)은 콘솔바디(100)의 좌측벽에서 우측벽까지 관통하여 형성된다. 시트삽입부(110)은 도 1을 참조하면 콘솔바디(100)의 좌측벽에서 우측벽까지 관통하는 홀(hall)일 수 있으나, 이와 달리 일 측벽에서 내측으로 함몰되되 타 측벽까지 관통되지 않는 홈(groove)일 수 있다.
시트삽입부(110)는 전면(111a), 후면(111b), 상부면(111c) 및 하부면(111d)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면은 시트삽입부(110)의 하단을 형성하고, 전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전면은 하부면의 전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구체적으로 후방 상향의 경사면을 가진다. 후면은 하부면의 후단에서 상방으로 수직 연장된다. 상부면은 후면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고, 전면의 상단까지 연장된다. 상부면은 하부면과 평행할 수 있다.
시트삽입부(110)의 각 면은 내측으로 볼록한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부면은 하방으로 볼록한 곡면을 형성하고, 하부면은 상방으로 볼록한 곡면을 형성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전면은 후방으로 볼록한 곡면을 형성하고, 후면은 전방으로 볼록한 곡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회전하는 시트(51,52)의 궤적에서 벗어나면서, 콘솔바디(100)의 측벽을 최대한 튼튼하게 설계할 수 있다. 또한, 시트(51,52)가 회전할 때, 탑승자의 신체가 시트삽입부(110)의 모서리에 충돌하여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시트(51,52)가 회전할 때, 하체지지부(511,521)의 적어도 일부가 시트삽입부(110)에 삽입된다. 상부에서 바라볼 때, 좌측 전방시트(51)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우측 전방시트(52)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좌측 전방시트(51)와 우측 전방시트(52)가 회전할 때, 각각의 하체지지부(511,521)의 일부가 시트삽입부(110)에 삽입된다. 하체지지부(511,521)의 일부가 시트삽입부(110)에 삽입되며 회전하는 바, 시트(51,52)가 회전할 때 콘솔바디(100)에 걸리지 않고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다.
시트삽입부(110)은 상부면(111c)의 면적이 하부면(111d)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트삽입부(110)은 일 측면에서 바라볼 때, 하광-상협의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트삽입부의 후면(111b)은 하부면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전면은 하부면으로부터 후방 상향의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후술하는 시트삽입부 커버(140)를 설치할 때, 시트삽입부(110)이 형성하는 수납공간을 최대한으로 할 수 있다.
시트삽입부 전면(111a)을 지나는 가상의 연장선(L1)은 시트삽입부 후면(111b)을 지나는 가상의 연장선(L2)과 콘솔바디(100)의 상부에서 교차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10)는 시트삽입부 커버(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시트삽입부 커버(140)는 시트삽입부(110)의 개방된 일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다.
시트삽입부 커버(140)는 콘솔바디(100)의 좌측벽과 우측벽에 배치되어, 시트삽입부(110)의 개방된 측부를 덮는다. 따라서, 시트삽입부(110)이 형성하는 공간을 수납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시트(51,52)가 회전되는 동안, 시트삽입부 커버(140)는 설치가 해제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시트삽입부 커버(140)가 신축성있는 재질로 형성된 경우, 시트(51,52)가 회전될 때 시트삽입부 커버(140)가 내측으로 변형되며 시트(51,52)가 회전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시트삽입부 커버(140)는 그물망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시트삽입부 커버(140)는 신축성있는 직물로 구성될 수 있다.
시트삽입부 커버(140)의 하단은 시트삽입부의 하부면(111d)을 커버하고, 시트삽입부 커버(140)의 상단은 시트삽입부의 상부면(111c)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10)는 에어벤트(121) 및 에어덕트(122)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벤트(121)는 공조된 공기를 토출하는 구성요소이다.
에어벤트(121)는 콘솔바디(100)에 형성되고, 콘솔바디(100) 외측으로 공기를 토출한다. 구체적으로, 에어벤트(121)는 콘솔바디(100)의 후면에 형성되고, 후방으로 공기를 배출한다. 에어벤트(121)는 콘솔바디의 외부공간과 내부공간(에어덕트)을 연통시킨다.
에어덕트(122)는 공조된 공기를 에어벤트(121)로 안내하는 구성요소이다.
에어덕트(122)의 일 단은 차량의 공기조화기에 연통되고, 타 단은 에어벤트(121)에 연결된다.
에어덕트(122)는 콘솔바디(100)의 내부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에어덕트(122)는 시트삽입부의 후면(111b)과 콘솔바디(100) 사이의 내부공간 및 시트삽입부의 하부면(111d)과 콘솔바디(100) 사이의 내부공간에 배치된다. 즉, 에어덕트(122)는 L-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덕트(122)는 차량에 고정된 콘솔바디(100)의 내부에 이동 불가능하게 배치되는 바, 신축성있는 재질일 필요가 없고 견고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안정적으로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고, 공기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10)는 충전포트(150)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포트(150)는 콘솔바디(100)의 후면에 배치된다. 충전포트(150)는 전선에 의하여 차량의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포트(150)는 차량에 고정된 콘솔바디(100)에 설치되는 바, 콘솔바디(100)의 이동에 대응하여 전선의 길이를 신장시킬 별도의 구성이 필요치 않으므로, 구성이 단순해지는 효과가 있다.
암레스트(200)는 시트(51,52)에 착석한 탑승자의 팔을 지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암레스트(200)는 콘솔바디(100)의 상부면에 배치되고,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암레스트(200)가 제1위치에 있을 때, 암레스트(200)는 회전하기 전의 시트(51,52)에 착석한 탑승자의 팔을 지지한다. 암레스트(200)가 제2위치에 있을 때, 암레스트(200)는 회전한 후의 시트(51,52)에 착석한 탑승자의 팔을 지지한다.
제1위치는 암레스트(200)가 후방 임계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이며, 제2위치는 암레스트(200)가 전방 임계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이다. 제1위치와 제2위치는 전술한 바와 반대로 정의될 수 있다.
암레스트(200)가 제1위치에 있을 때, 암레스트(200)는 테이블(300)의 상부에 위치한다. 암레스트(200)가 제2위치에 있을 때, 암레스트(200)는 어퍼커버(400)의 상부에 위치한다.
암레스트(200)는 좌측 암레스트(200a)와 우측 암레스트(200b)로 구분될 수 있다. 시트(51,52)가 회전하지 않은 경우, 좌측 암레스트(200a)는 운전자의 우측 팔을 지지할 수 있고, 우측 암레스트(200b)는 조수석 탑승자의 좌측 팔을 지지할 수 있다. 시트(51,52)가 회전한 경우, 좌측 암레스트(200a)는 후방을 바라보는 운전자의 좌측 팔을 지지할 수 있고, 우측 암레스트(200b)는 후방을 바라보는 조수석 탑승자의 우측 팔을 지지할 수 있다.
좌측 암레스트(200a)와 우측 암레스트(200b)는 독립적으로 이동한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좌측 암레스트(200a)와 우측 암레스트(200b)는 동시에 전후진할 수 있다. 도 6 및 도 9를 참조하면 좌측 암레스트(200a)는 고정되되 우측 암레스트(200b)만 전후진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우측 암레스트(200a)가 고정되고 좌측 암레스트(200b)만 전후진할 수도 있다.
암레스트(200)는 암레스트바디(210)와 암레스트브래킷(220)로 구성될 수 있다.
암레스트바디(210)는 상부면에 탑승자의 팔이 안착되도록 배치되는 구성요소이다.
암레스트바디(210)는 탑승자에게 안락함을 제공하게 위하여, 상부면에 탄력성 있는 쿠션이 형성될 수 있다.
암레스트바디(210)의 바닥면은 콘솔바디(100)의 상부면에 평행하고, 콘솔바디(100)의 상부면을 따라 이동한다.
좌측 암레스트바디(210a)의 우측면과 우측 암레스트바디(210b)의 좌측면은 평행한다. 좌측 암레스트바디(210a)의 우측면과 우측 암레스트바디(210b)의 좌측면은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고, 이와 달리 지면과 경사지게 배치될 수도 있다.
암레스트바디(210)의 하부면은 콘솔바디(100)의 상부면과 이격되게 배치된다. 암레스트바디(210)의 하부면과 콘솔바디(100)의 상부면 사이의 공간에는 테이블(300) 또는 어퍼커버(400)가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암레스트브래킷(220)은 암레스트바디(210)가 이동하도록 암레스트바디(210)를 안내하는 구성요소이다.
암레스트브래킷(220)의 상단은 암레스트바디(210)에 고정된다. 암레스트브래킷(220)은 콘솔바디(100)의 측벽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된다. 암레스트바디(210)의 하단은 콘솔바디(100)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암레스트브래킷(220)의 하단은 콘솔바디(100)에 형성된 레일에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콘솔바디(100)의 일 측에서 돌출부가 형성되고, 암레스트브래킷(220)에는 슬릿이 형성되고, 돌출부가 암레스트브래킷(220)의 슬릿에 삽입됨으로써, 암레스트브래킷(220)이 이동할 수도 있다.
좌측 암레스트브래킷(220a)은 좌측 암레스트바디(210a)의 좌측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콘솔바디(100)의 좌측벽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우측 암레스트브래킷(220b)은 우측 암레스트바디(210b)의 우측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콘솔바디(100)의 우측벽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10)는 테이블(300)을 포함한다. 테이블(300)은 탑승자가 소지한 소지품을 올려놓거나, 다른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는데 이용되는 구성요소이다.
테이블(300)은 콘솔바디(100)의 상부면에 배치되고,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테이블(300)은 제1위치에 있을 때 전방시트(51,52)에 착석한 탑승자가 이용할 수 있다. 테이블(300)은 제2위치에 있을 때 후방시트(53,54)에 착석한 탑승자가 이용할 수 있다.
테이블(300)은 전후로 길고 좌우로 짧은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부테이블(320)을 회전시킬 경우, 하부테이블(310)은 전후로 길게 배치되고 상부테이블(320)은 좌우로 길게 배치되는 바, 탑승자가 용도에 맞게 사용할 수 있다.
테이블(300)은 하부테이블(310), 상부테이블(320) 및 테이블 실린더(330)로 구성된다.
하부테이블(310)은 콘솔바디(100)의 상부면에 인접하고, 콘솔바디(100)의 상부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부테이블(320)은 하부테이블(310)의 상부면에 배치되고, 하부테이블(310)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테이블실린더(330)는 콘솔바디(100) 내부에 배치되고, 테이블(300)을 승강하는 구성요소이다.
테이블(300)은 이동, 승강 및 회전이 가능하다.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 테이블(300)은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테이블(300)은 테이블실린더(330)에 의해서 승강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부테이블(320)은 회전할 수 있다.
테이블실린더(330)는 콘솔바디(100) 내부에 배치되되, 테이블실린더(330)의 상부의 적어도 일부는 콘솔바디(100)의 상부로 돌출된다. 테이블실린더(330)의 상단은 하부테이블(310)의 하부면에 결합된다.
테이블실린더(330)의 상단은 하부테이블(310)에 삽입될 수 있다. 하부테이블(310)의 하부면에는 테이블실린더(330)가 삽입될 수 있는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슬릿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테이블(310)은 테이블실린더(330)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다.
테이블실린더(330)는 피스톤-실린더구조를 포함할 수 있고, 피스톤이 테이블실린더(330)에 인입되거나 테이블실린더(330)로부터 인출됨으로써 테이블(300)을 승강시킬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하부테이블(310)은 테이블실린더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하부테이블(310)의 회전중심을 테이블 제1회전축(A3)으로 정의하며, 테이블 제1회전축(A3)은 테이블실린더의 중심축과 일치할 수 있다.
상부테이블(320)은 테이블 제2회전축(A4)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부테이블(320)은 하부테이블(310)과 힌지 결합되고, 테이블 제2회전축(A4)은 상기 힌지의 중심과 일치한다.
테이블 제2회전축(A4)은 테이블 제1회전축(A3)과 평행하고, 지면에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어퍼커버(400)는 탑승자가 소지한 컵을 보관하거나, 탑승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조작부(430)가 설치되는 구성요소이다.
어퍼커버(400)는 콘솔바디(100)의 상부면에 배치되고,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어퍼커버(400)는 제1위치에 있을 때 회전하기 전의 시트(51,52)에 착석한 탑승자가 이용 가능하게 배치된다. 어퍼커버(400)는 제2위치에 있을 때 회전한 후의 시트(51,52)에 착석한 탑승자가 이용 가능하게 배치된다.
제1위치는 어퍼커버(400)가 전방 임계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이고, 제2위치는 어퍼커버(400)가 후방 임계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이다. 제1위치와 제2위치는 전술한 바와 반대로 정의될 수 있다.
어퍼커버(400)는 어퍼커버바디(410), 컵홀더(420) 및 조작부(430)로 구성될 수 있다.
어퍼커버바디(410)는 어퍼커버(400)의 외형을 형성한다. 어퍼커버바디(410)의 하부면은 콘솔바디(100)의 상부면에 밀착하고, 콘솔바디(100)의 상부면을 따라 이동한다. 어퍼커버바디(410)는 내부에 구성요소들이 수납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형성한다.
컵홀더(420)는 어퍼커버바디(410)에 형성된다. 컵홀더(420)는 컵이 안착되도록 어퍼커버바디(410)의 상부면에서 하부로 함몰하여 형성된다. 컵홀더(420)는 어퍼커버바디(410)의 하부면에서 하부로 돌출될 수 있다.
조작부(430)는 어퍼커버바디(410)에 형성된다.
조작부(430)는 어퍼커버바디(410)의 상부면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는 않는다.
어퍼커버바디(410)의 내부공간에는 조작부(4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선들이 배치되고, 상기 전선은 조작부(430)와 제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조작부(430)의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한다.
도 18을 참조하여, 어퍼커버(410)의 이동구조를 설명한다.
컵홀더(420)는 어퍼커버바디(410)의 하부면에서 하부로 돌출될 수 있다. 콘솔바디(100)는 상부면에서 컵홀더 삽입홈(150)이 하부로 함몰하여 형성되고, 컵홀더(420)가 상기 컵홀더 삽입홈(150)에 삽입된다. 컵홀더 삽입홈(150)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컵홀더(420)는 컵홀더 삽입홈(150)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며, 이에 따라 어퍼커버바디(410)도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컵홀더 삽입홈(150)은 컵홀더(420)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컵홀더 삽입홈(150)의 바닥과 컵홀더(420)의 하부면은 이격되게 배치되며,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컵홀더 삽입홈(150)과 컵홀더(420) 사이의 공간에 작은 물건들을 수납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10)는 하나의 어퍼커버(400)를 포함한다. 이와 달리, 미도시하였으나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10)는 복수개의 어퍼커버(40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복수개의 어퍼커버(400)는 좌측 및 우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복수개의 어퍼커버(400)는 전방 및 후방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1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10)는 외형을 형성하고 좌측시트(51)와 우측시트(52)에 마주하는 콘솔바디(100)를 포함한다. 콘솔바디(100)는 좌측벽과 우측벽에서 내측으로 함몰하여 형성된 시트삽입부(110)이 형성된다.
시트(51,52)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시트(51,52)가 회전하는 경우, 시트(51,52)의 하체지지부(511,521)의 적어도 일부는 시트삽입부(110)에 삽입되면서 회전하므로, 시트(51,52)가 회전할 때 콘솔바디(100)에 걸리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시트삽입부(110)의 내측면은 내측으로 볼록한 곡면을 형성하는 바, 시트(51,52)가 회전궤도로부터 벗어남과 동시에 콘솔바디(100)의 측벽을 보다 견고하게 설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시트삽입부(110)는 시트삽입부 커버(140)를 포함할 수 있다. 시트삽입부 커버(140)는 시트삽입부(110)의 개구부를 커버한다. 따라서, 시트(51,52)가 회전하지 않는 동안에는 시트삽입부(110)이 형성하는 공간을 수납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콘솔바디(100)에는 에어벤트(121)와 에어덕트(122), 또는 충전포트(15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솔바디(100)는 선행문헌과 달리 차량에 고정되는 바, 에어덕트(122)와 충전포트(150)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하는 구성이 필요치 않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에어덕트(122)와 충전포트(150)를 설계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콘솔 어셈블리
51~54: 시트 55: 크러시패드
100: 콘솔바디 110: 시트삽입부
121: 에어벤트 122: 에어덕트
130: 충전포트
140: 시트삽입부 커버 150: 컵홀더 삽입홈
200: 암레스트 210: 암레스트바디
220: 암레스트브래킷
300: 테이블 310: 하부테이블
320: 상부테이블 330: 테이블실린더
400: 어퍼커버 410: 어퍼커버바디
420: 컵홀더 430: 조작부
A1: 시트의 회전축 A3: 테이블 제1회전축
A4: 테이블 제2회전축
L1: 시트삽입부 전면의 연장선
L2: 시트삽입부 후면의 연장선

Claims (8)

  1.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시트의 일 측에 배치되고,
    외형을 형성하고, 일 측벽이 상기 시트에 마주하는 콘솔바디;
    상기 콘솔바디의 일 측벽에서 내측으로 함몰하여 형성되고, 상기 시트가 회전할 때 상기 시트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시트삽입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삽입부는,
    상기 콘솔바디의 좌측벽에서 우측벽까지 관통하여 형성되는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탑승자가 착석하는 하체지지부와,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는 상체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가 회전할 때 상기 하체지지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시트삽입부에 삽입되는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삽입부의 개방된 일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시트삽입부 커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솔바디에 형성되어, 공기를 토출하는 에어벤트;
    상기 콘솔바디의 내부에 배치되고, 일 단이 상기 에어벤트에 연결되는 에어덕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솔바디의 상부면에 배치되고,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제1위치에 있을 때 회전하기 전의 상기 시트에 착석한 탑승자의 팔을 지지하고,
    제2위치에 있을 때 회전한 후의 상기 시트에 착석한 상기 탑승자의 팔을 지지하는 암레스트;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솔바디의 상부면에 배치되고,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테이블;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솔바디의 상부면에 배치되고,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제1위치에 있을 때 회전하기 전의 상기 시트에 착석한 탑승자가 이용 가능하게 배치되고,
    제2위치에 있을 때 회전한 후의 상기 시트에 착석한 상기 탑승자가 이용 가능하게 배치되는 어퍼커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
KR1020210100711A 2021-07-30 2021-07-30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 KR102557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711A KR102557232B1 (ko) 2021-07-30 2021-07-30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711A KR102557232B1 (ko) 2021-07-30 2021-07-30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9346A true KR20230019346A (ko) 2023-02-08
KR102557232B1 KR102557232B1 (ko) 2023-07-24

Family

ID=85225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0711A KR102557232B1 (ko) 2021-07-30 2021-07-30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72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76859A1 (en) * 2020-12-07 2022-06-09 Rev Recreation Group, Inc. Recreational vehicle with reconfigurable tab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5431A (ja) * 2005-07-05 2007-01-25 Mazda Motor Corp 車両のスライド式コンソールボックス構造
KR20190119704A (ko) 2018-04-12 2019-10-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콘솔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5431A (ja) * 2005-07-05 2007-01-25 Mazda Motor Corp 車両のスライド式コンソールボックス構造
KR20190119704A (ko) 2018-04-12 2019-10-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콘솔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76859A1 (en) * 2020-12-07 2022-06-09 Rev Recreation Group, Inc. Recreational vehicle with reconfigurable table
US11760248B2 (en) * 2020-12-07 2023-09-19 Rev Recreation Group, Inc. Recreational vehicle with reconfigurable t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7232B1 (ko) 2023-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17112B1 (en) Motor vehicle seat bench with middle arm rest and head
US7523985B2 (en) Seat assembly having integrated belt, storage compartments and registers
US8272685B2 (en) Vehicle seat with air duct
US7431365B2 (en) Console assembly for a vehicle
EP1449710B1 (en) Seat device including a stowable auxiliary seat
US7938471B2 (en) Deck board and mounting structure of deck board
US20180215238A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flow direction in slim-type air vent for vehicle
WO2011148687A1 (ja) 車体後部構造
KR102644578B1 (ko) 자동차용 멀티 무빙 콘솔
KR102557232B1 (ko)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
KR101852883B1 (ko) 자율주행 차량용 전동식 시트 구동 장치
CN108215967B (zh) 用于车辆的中央控制台扶手
JP3980504B2 (ja) 車両用空調ダクト構造
JP5298580B2 (ja) 車両用シート
JP6778140B2 (ja) 車両シート下の風向き調整構造
US7328918B2 (en) Seat belt device for vehicle
KR20220030571A (ko) 차량의 칵핏모듈
JP5381092B2 (ja) 車両のシート装置
JP2016203692A (ja) 車室内構造
US11148564B1 (en) Seat frame for vehicle
JP3847730B2 (ja) 高圧電装部品の車載構造
JP4632041B2 (ja) 車両のスライド式コンソールボックス構造
CN216002425U (zh) 车辆的后排座椅以及车辆
KR20240006115A (ko) 암레스트 받침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용 무빙 콘솔박스
JP7379871B2 (ja) 乗物用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