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8336A - 무화기 및 전자 무화 장치 - Google Patents

무화기 및 전자 무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8336A
KR20230018336A KR1020220093203A KR20220093203A KR20230018336A KR 20230018336 A KR20230018336 A KR 20230018336A KR 1020220093203 A KR1020220093203 A KR 1020220093203A KR 20220093203 A KR20220093203 A KR 20220093203A KR 20230018336 A KR20230018336 A KR 20230018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inlet
liquid
liquid storage
atomizing
low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3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쥔타오 우
Original Assignee
센젠 스무어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센젠 스무어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센젠 스무어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18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83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24F40/485Valves; Aper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Landscapes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 Nozzl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화기 및 전자 무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무화기는 케이스, 무화 베이스 및 무화 코어를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케이스는 측벽 및 측벽과 연결되는 바닥부를 구비하고, 측벽과 바닥부에 의해 수용챔버가 형성되며, 바닥부가 내부 바닥면을 구비하고, 측벽에 기체 유입구가 배치되며; 무화 베이스는 수용챔버에 위치되어 내부 바닥면에 접근되고, 바닥부와의 사이에 간극이 있으며, 이 간극을 통해 기체 유입구와 연통되는 기체 유입공이 배치되며; 무화 코어는 수용챔버에 위치되고 무화 베이스에 설치되며, 기체 유입공과 연통된다. 상기 무화기는 안전성이 높으며, 쉽게 단락되지 않고 기체 흐름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도 적다.

Description

무화기 및 전자 무화 장치 {Atomizer and Electronic Atomizer}
본 발명은 무화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화기 및 전자 무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무화 장치는 무화 물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전자 제품이다. 전자 무화 장치는 일반적으로 무화기 및 전원 어셈블리로 구성되며, 여기서, 무화기는 베이스부, 액체 저장 카트리지, 발열체, 액체 안내부, 실리콘 실링부 등 구성요소를 포함하며, 액체 저장 카트리지는 액체 안내부와 연통되고, 액체 안내부는 발열체와 접촉되며, 발열체는 베이스부에 설치되고, 베이스부는 전원 어셈블리와 연결된다. 사용 시, 무화기는 액체 저장 카트리지에 저장된 무화 물질을 액체 안내부를 통해 발열체로 전달하여 가열하고, 무화 물질을 무화시켜 에어로졸로 생성한 후, 에어로졸은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도록 기체 유입공에서 유입된 공기와 함께 기체 배출 통로로 배출된다.
그러나 기존의 무화기는 사용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응축액이 중력 및/또는 기타 힘에 의해 공기 유입공로 흐르기 쉽고, 이로 인해 배터리실의 마이크 센서 및 배터리 셀이 쉽게 단락되고 기체 흐름이 원활하지 않아 잠재적인 안전 위험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전한 무화기 및 전자 무화 장치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측벽 및 상기 측벽과 연결되는 바닥부를 구비하고, 상기 측벽과 상기 바닥부에 의해 수용챔버가 형성되며, 상기 바닥부가 내부 바닥면을 구비하고, 상기 측벽에 기체 유입구가 배치되는 케이스;
상기 수용챔버에 위치되어 상기 내부 바닥면에 접근되고, 상기 바닥부와의 사이에 간극이 있으며, 상기 간극을 통해 상기 기체 유입구와 연통되는 기체 유입공이 배치되는 무화 베이스; 및
상기 수용챔버에 위치되고 상기 무화 베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기체 유입공과 연통되는 무화 코어;를 포함하는 무화기.
상기 무화기는 케이스, 무화 베이스 및 무화 코어를 포함하고, 기체 유입구는 케이스의 측벽에 배치됨으로써, 기체 유입공으로부터 유출된 액체가 기체 유입구에서 배터리 어셈블리로 흐를 수 없도록 하여 배터리 어셈블리가 쉽게 단락되지 않아서 안전성이 높고, 그리고, 기체 유입구는 기체 유입공과 직접적으로 연통되는 것이 아니라 무화 베이스와 베이스 사이의 간극을 통해 연통되기 때문에 기체 유입공이 액체에 의해 쉽게 막혀 기체 흐름이 원활하지 않게 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바닥면에 접근된 상기 무화 베이스의 일측에는 액체 저장홈이 배치되고, 상기 기체 유입공으로부터 유출된 액체는 모세관 작용에 의해 상기 액체 저장홈으로 유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바닥면에 접근된 상기 무화 베이스의 일측에는, 액체 저장홈, 및 상기 기체 유입공과 상기 액체 저장홈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기체 유입공으로부터 유출된 액체가 상기 액체 저장홈으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액체 가이드 그루브가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액체 저장홈의 개구는 상기 내부 바닥면을 향하고, 상기 내부 바닥면에 접근된 상기 액체 저장홈의 일측과 상기 내부 바닥면의 사이에 간격이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부 캡부와 하부 캡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캡부와 상기 하부 캡부는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상부 캡부와 상기 하부 캡부에 의해 상기 무화 베이스와 상기 무화 코어가 수용되는 상기 수용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 바닥면은 상기 무화 베이스에 접근된 상기 하부 캡부의 면이며, 상기 액체 저장홈은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는 상기 하부 캡부를 향하고, 상기 하부 캡부에 접근된 상기 액체 저장홈의 일측과 상기 하부 캡부의 사이에 간격이 있으며, 상기 기체 유입구는 상기 하부 캡부의 측벽, 상기 상부 캡부의 측벽, 또는 상기 상부 캡부와 상기 하부 캡부와의 연결 분위에 위치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 캡부는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이 폐쇄되는 중공 구조이고, 상기 무화 베이스는 상기 하부 캡부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무화 베이스의 측벽은 상기 하부 캡부의 내측벽과 밀폐되게 연결되고, 상기 하부 캡부에 접근된 상기 무화 베이스의 일측과 상기 하부 캡부에 의해 기체 유입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기체 유입구는 상기 하부 캡부의 측벽에 위치되어 상기 기체 유입 통로와 연통되고, 상기 기체 유입 통로는 상기 기체 유입공과 연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체 유입공은 상기 무화 베이스의 가운데에 위치되고, 상기 하부 캡부에 접근된 상기 무화 베이스의 일측에는 상기 액체 안내 그루브와 연통되는 기체 홈이 배치되고, 상기 기체 홈의 측벽은 상기 하부 캡부와 접촉되어 상기 기체 유입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기체 유입공에 접근된 상기 기체 홈의 측벽에는 상기 기체 유입 통로와 상기 액체 저장홈의 개구 및 상기 기체 유입공을 연통시키는 갭이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횡단면은 타원형이고, 상기 케이스의 횡단면에 투사된 상기 기체 유입구의 직교 투영은 상기 단면의 장축에 위치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체 유입구의 수는 2개이고, 상기 케이스의 횡단면에 투사된 2개의 상기 기체 유입구의 직교 투영은 상기 장축의 끝점과 일치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화 코어는 상기 무화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액체 저장 카트리지에 저장된 상기 무화 물질을 무화시키기 위한 발열 어셈블리, 및 무화 물질이 수용되는 액체 저장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 어셈블리와 상기 무화 베이스에 의해 상기무화 챔버와 연통되는 무화 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무화 챔버와 연통되는 기체 배출구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열 어셈블리는 상기 무화 베이스에 설치되는 발열 부재 및 상기 액체 저장 카트리지와 상기 발열 부재의 사이에 위치되는 액체 전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액체 저장 카트리지에 저장된 상기 무화 물질은 상기 액체 전도 부재를 통해 상기 발열 부재로 전달되어 상기 발열 부재에 의해 무화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액체 저장 카트리지는 출구가 구비되는 액체 저장 챔버를 구비하는 카트리지 하우징 및 상기 무화 베이스에 위치되는 카트리지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카트리지 덮개는 상기 출구를 차폐하고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과 밀폐되게 연결되도록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카트리지 덮개에는 액체 유입구 및 액체 배출구를 구비하는 액체 유출 통로가 배치되고, 상기 액체 유입구는 상기 출구와 연통되고, 상기 액체 전도 부재의 가장자리는 상기 액체 배출구에 접근된 상기 액체 유출 통로의 일단과 밀폐되게 연결되며, 및/또는,
상기 액체 전도 부재는 다공성 세라믹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덮개 및/또는 상기 무화 베이스에는 기체 배출 통로가 배치되고, 상기 무화 챔버는 상기 기체 배출 통로와 연통되며, 상기 기체 배출 통로는 상기 기체 배출구와 연통된다.
상술한 무화기; 및 상기 무화기의 무화 코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자 무화기 장치.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무화 장치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무화 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자 무화 장치의 무화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무화기의 분리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무화기의 무화 베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무화기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무화기의 다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의 편의를 위해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첨부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오히려,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충분하고 완전하도록 제공된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고정"되는 것으로 언급될 때,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고정될 수 있거나, 그 사이에 하나 이상의 기타 구성요소가 개재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는 것으로 언급될 때,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될 수 있거나, 그 사이에 하나 이상의 기타 구성요소가 개재할 수 있다. "수직적", "수평적", "좌", "우", "위", "아래", "내부", "외부" 등 용어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방위 또는 위치관계에 기초하여 방위 또는 위치관계를 지시하는 것으로,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며, 언급된 장치 또는 구성요소가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하고 특정 방향으로 구성 및 동작해야 함을 명시하거나 암시하는 것이 아니고, 따라서 본 출원에 대한 제한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제1", "제2” 등 용어는 설명의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상대적 중요성을 나타내거나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를 가진다. 본 문서에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전자 무화 장치(10)는 무화기(100), 및 무화기(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무화기(100)에 전력을 공급한 배터리 어셈블리(2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3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무화기(100)는 유동 가능한 무화 물질(예: 오일 형태의 물질)을 무화시키기 위한 것으로,케이스(110), 무화 베이스(120), 및 무화 베이스(120)에 설치된 무화 코어(130)를 포함하며, 케이스(110)는 측벽 및 측벽과 연결된 바닥부를 구비하고, 측벽과 바닥부에 의해 수용챔버가 형성되며, 바닥부가 내부 바닥면(111)을 구비하고, 측벽에는 기체 유입구(112)가 구비되며, 무화 베이스(120) 및 무화 코어(130)는 모두 수용챔버에 위치되고, 무화 베이스(120)는 내부 바닥면(111)에 접근되고, 무화 베이스(120)와 바닥부 사이에 간극이 있고, 무화 베이스(120)에는 기체 유입공(121)이 배치되며, 기체 유입구(112)는 무화 베이스(120)와 바닥부 사이의 간극을 통해 기체 유입공(121)과 연통되고, 기체 유입공(121)은 무화 코어(130)와 연통된다.
상기 무화기(100)가 작동 시, 외부 공기가 기체 유입구(112)로부터 유입하여 무화 베이스(120)와 바닥부 사이의 간극 및 기체 유입공(121)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무화 코어(130)로 유입되고, 무화 물질은 무화 코어(130)에 의해 에어로졸로 무화시킨 후 무화 코어(130)에서의 공기와 함께 기체 배출구(115)으로부터 배출된다. 상기 무화기는 기체 유입구(112)를 케이스의 측벽에 배치하고 기체 유입구(112)가 기체 유입공(121)와 직접적으로 연통되는 것이 아니라 무화 베이스(120)와 바닥부 사이의 간극을 통해 연통된 것이다. 종래의 무화기에 비해, 상기 무화기(110)는 무화 물질이 무화 코어에 의해 무화되어 생성된 응축액이 기체 유입공(121)으로부터 유출된 후 기체 유입구(112)를 통해 배터리 어셈블리(200)로 흐르는 것을 방지해서, 사용 과정에서 생성된 응축액에 의해 배터리 어셈블리(200)가 단락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기체 유입구(112)가 기체 유입공(121)와 직접적으로 연통되는 것이 아니라 무화 베이스(120)와 바닥부 사이의 간극을 통해 연통된 것이므로 기체 유입구(112) 또는 기체 유입 통로가 응축액에 의해 쉽게 막혀 기체 흐름이 원활하지 않게 하는 것을 방지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기체 유입구(112)는 바닥부에 접근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스(110)는 바닥부와 대면되어 측벽과 연결되는 천정을 더 포함하고, 측벽, 바닥부 및 천정은 함께 수용챔버를 형성한다. 이때, 기체 유입구(112)는 천정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체 유입구(112)는 사각형이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체 유입구(112)의 형상은 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과 같은 다른 형상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케이스(110)의 횡단면은 타원형이고, 케이스(110)의 횡단면에 투사된 기체 유입구(112)의 직교 투영은 케이스(110)의 횡단면의 장축에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케이스(110)의 횡단면은 타원형이고, 기체 유입구(112)의 수는 2개이며, 케이스(110)의 횡단면에 투사된 2개의 기체 유입구(112)의 직교 투영은 장축의 끝점과 일치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케이스(110)의 횡단면은 타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다른 형상일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사각형, 원형, 다각형 등이다. 물론, 케이스(110)의 횡단면이 타원형일 경우 기체 유입구(112)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케이스(110) 상의 다른 위치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110)의 횡단면에 투사된 기체 유입구(112)의 직교 투영은 장축의 끝점에 접근되거나, 단축의 끝점에 접근되거나 또는 단축의 끝점과 일치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체 유입구(112)의 수는 2개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개수일 수도 있고, 예를 들어, 1개 또는 3개 이상의 임의 정수일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선택적으로, 케이스(110)는 상부 캡부(113) 및 하부 캡부(114)를 포함하고, 상부 캡부(113) 및 하부 캡부(114)는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부 캡부(113) 및 하부 캡부(114)에 의해 무화 베이스(120)와 무화 코어(130)가 수용되는 챔버가 형성되며, 무화 베이스(120)는 하부 캡부(114)에 위치되고, 무화 베이스(120)에 접근된 하부 캡부(114)의 일측 면은 내부 바닥면(111)이며, 기체 유입구(112)는 하부 캡부(114)의 측벽, 상부 캡부(113)의 측벽, 또는 상부 캡부(113)와 하부 캡부(114)와의 연결 분위에 위치된다. 분 문서에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는 것은 스냅 연결, 나사 연결 및 자기 연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체 유입구(112)가 상부 캡부(113)와 하부 캡부(114)와의 연결 분위에 위치되는 것은 상부 캡부(113) 및 하부 캡부(114)에 모두 통공이 배치되고, 상부 캡부(113)의 통공과 하부 캡부(114)의 통공이 상부 캡부(113)와 하부 캡부(114)가 접하는 곳에 위치되고, 상부 캡부(113)의 통공과 하부 캡부(114)의 통공이 서로 연통되어 기체 유입구(112)를 형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캡부(113)는 생략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상부 캡부(113)가 생략되는 경우, 카트리지 덮개(131b)에 접근된 카트리지 하우징(131a)의 일단은 하부 캡부(114)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케이스(110)를 형성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내부 바닥면(111)에 접근된 무화 베이스(120)의 일측에는 액체 저장홈(122)이 배치되고, 기체 유입공(121)으로부터 유출된 액체는 모세관 작용에 의해 액체 저장홈(122)로 유입될 수 있다. 무화 베이스(120)에 액체 저장홈(122)가 배치됨으로써, 기체 유입공(121)으로부터 유출된 액체는 모세관 작용에 의해 액체 저장홈(122)로 유입되어 저장되고, 배터리 어셈블리(200)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여 상기 무화기(100)가 쉽게 단락되지 않고 안전성이 높아지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내부 바닥면(111)에 접근된 무화 베이스(120)의 일측에는, 액체 저장홈(122), 및 기체 유입공(121)과 액체 저장홈(122)의 사이에 위치되고 기체 유입공(121)으로부터 유출된 액체를 액체 저장홈(122)으로 안내하는 액체 안내 그루브(123)가 배치된다. 무화 베이스(120)에 액체 저장홈(122)과 액체 안내 그루브(123)가 배치됨으로써 기체 유입공(121)으로부터 유출된 액체가 액체 안내 그루브(123)를 통해 액체 저장홈(122)로 보다 쉽게 유입되어 저장되고, 배터리 어셈블리(200)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여 상기 무화기(100)가 쉽게 단락되지 않고 안전성이 높아지게 된다.
도 5(도 5에서, 점선 화살표의 방향은 기체 흐름 방향을 나타냄)를 함께 참조하면, 액체 저장홈(122)은 개구를 구비한다. 선택적으로, 개구는 내부 바닥면(111)을 향하고, 내부 바닥면(111)에 접근된 액체 저장홈(122)의 일측과 내부 바닥면(111) 사이에 간격이 있다. 내부 바닥면(111)에 접근된 액체 저장홈(122)의 일측과 내부 바닥면(111) 사이에 간격이 있도록 배치됨으로써 액체 저장홈(122)이 내부 바닥면(111)과 이격되도록 하여, 기체 유입공(121)으로부터 유출된 액체는 액체 저장홈(122)의 개구단과 바닥면의 접촉으로 인해 액체 저장홈(122)을 경유하여 내부 바닥면(111)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한다. 액체 저장홈(122)의 개구가 내부 바닥면(111)을 향하지 않는 경우, 내부 바닥면(111)에 접근된 액체 저장홈(122)의 일측은 내부 바닥면(111)과 접촉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물론, 이때 내부 바닥면(111)에 접근된 액체 저장홈(122)의 일측은 내부 바닥면(111)과 접촉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액체 저장홈(122)은 개구를 구비한 중공 구조이고, 액체 저장홈(122)의 개구는 케이스(110)의 내측벽을 향하고, 개구가 형성된 측벽 중 하나는 액체 안내 그루브(123)와 연결되어 액체 안내 그루브(123)에 있는 액체가 액체 저장홈(122)로 유입되도록 하며, 이때, 내부 바닥면(111)에 접근된 액체 저장홈(122)의 일측은 내부 바닥면(111)과 접촉되거나 간격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액체 저장홈(122)은 복수이고, 복수의 액체 저장홈(122)은 격자 형태로 서로 인접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하부 캡부(114)는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이 폐쇄되는 중공 구조이고, 무화 베이스(120)는 하부 캡부(114)에 위치되며, 무화 베이스(120)의 외측벽은 하부 캡부(114)의 내측벽과 밀폐되게 연결되고, 하부 캡부(114)에 접근된 무화 베이스(120)의 일측과 하부 캡부(114)에 의해 기체 유입 통로가 형성되며, 기체 유입구(112)는 하부 캡부(114)의 측벽에 위치되어 기체 유입 통로와 연통되고, 기체 유입 통로는 기체 유입공(121)과 연통되며, 액체 저장홈(122)은 기체 유입 통로와 기체 유입공(121) 사이에 위치되고, 액체 저장홈(122)의 개구는 기체 유입 통로와 연통된다. 기체 유입구(112)가 하부 캡부(114)에 위치되고 상부 캡부(113)에 접근되거나 상부 캡부(113)에 위치되어 기체 유입구(112)가 기체 유입 통로와 직접적으로 연통될 수 없도록 하는 경우, 기체 유입구(112)와 기체 유입 통로가 연통되도록 무화 베이스(120) 및/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통로가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기체 유입공(121)은 무화 베이스(120)의 가운데에 위치되고, 하부 캡부(114)에 접근된 무화 베이스(120)의 일측에는 내부 바닥면(111)에 접근된 무화 베이스(120)의 일측의 외연에 따라 배치되는 기체 홈(124)이 배치되고, 기체 홈(124)의 측벽은 하부 캡부(114)와 접촉되어 기체 유입 통로를 형성한고, 기체 유입공(121)에 접근된 기체 홈(124)의 측벽에는 갭이 구비되고, 이로써 기체 유입 통로가 액체 저장홈(122)의 개구 및 기체 유입공(121)과 모두 연통되도록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외부 공기가 양측의 기체 유입구(112)로부터 유입된 후, 기체 홈(124)에 따라 양측에서 가운데의 기체 유입공(121)으로 유동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기체 홈(124)이 생략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기체 홈(124)이 생략되는 경우, 무화 베이스(120)와 하부 캡부(114) 사이에 기체 유입구(112) 및 기체 유입공(121)과 모두 연통된 틈이 있는 한, 외부 공기가 기체 유입구(112) 및 이 틈을 통해 기체 유입공(121)에 도달할 수 있게 하면 된다. 물론, 기체 유입공(121)의 위치는 무화 베이스(120)의 가운데에 한정되지 않고, 실제 상황에 따라 조정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체 유입공(121)은 원형이고, 기체 유입공(121)의 수는 5개이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체 유입공(121)의 형상은 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상일 수도 있으며, 기체 유입공(121)의 수도 5개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수량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상부 캡부(113)는 반투명한 플라스틱 상부 캡부이고, 하부 캡부(114)는 스테인리스 스틸인 하부 캡부(114)(예: SPCC하부 캡부)이며, 무화 베이스(120)는 플라스틱 무화 베이스(120)(예: 흑색 플라스틱 무화 베이스(120))이다. SPCC는 냉간 압연 탄소 강판 및 밴드를 의미한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부 캡부(113) 및 무화 베이스(120)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재질일 수도 있다.
무화 코어(130)는 무화 물질을 무화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선택적으로, 무화 코어(130)는 무화 물질이 수용되는 액체 저장 카트리지(131), 및 무화 베이스(120)에 설치되고, 무화 베이스(120)와 함께 무화 챔버(133)를 형성하며, 액체 저장 카트리지(131)에 저장된 무화 물질을 무화시키기 위한 발열 어셈블리(132)를 포함하고, 무화 챔버(133)는 기체 유입공(121)과 연통되며, 케이스(110)에는 무화 챔버(133)와 연통되는 기체 배출구(115)가 더 배치된다. 도 6 및 도 7(도 6과 도7에서 점선 화살표의 방향은 기체 흐름 방향을 나타냄)을 참조하면, 상기 무화기(100)가 작동 시, 액체 저장 카트리지(131)에 저장된 무화 물질은 발열 어셈블리(132)에 의해 무화되어 에어로졸로 생성되고 무화 챔버(133)로 방출되며, 외부 공기가 기체 유입구(112)로부터 유입되어 기체 유입구(112)와 연통된 기체 유입공(121)을 경유하여 무화 챔버(133)로 유입된 후, 무화 챔버(133)에서의 에어로졸은 공기와 함께 무화기(100)와 연통된 기체 배출구(115)로부터 유출된다.
구체적으로, 발열 어셈블리(132)는 액체 전도 부재(134) 및 액체 전도 부재(134)에 접근된 발열 부재(135)를 포함하고, 액체 전도 부재(134)는 무화 베이스(120)에 설치되고 액체 저장 카트리지(131)와 발열 부재(135) 사이에 위치되며, 발열 부재(135)는 무화 챔버(133)에 접근되며, 액체 저장 카트리지(131)에 저장된 무화 물질은 액체 전도 부재(134)를 경유하여 발열 부재(135)에 도달하고 발열 부재(135)에 의해 에어로졸로 무화되어 무화 챔버(133)로 방출된다. 더 구체적으로, 액체 저장 카트리지(131)는 개구가 구비되고, 액체 전도 부재(134)는 개구에 접근되며, 개구에 접근된 액체 전도 부재(134)의 가장자리는 개구가 형성된 액체 저장 카트리지(131)의 측벽과 밀폐되게 연결되고, 이로써 액체 저장 카트리지(131)의 개구로부터 유출된 무화 물질은 액체 전도 부재(134)를 경유하여 발열 부재(135)에 도달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액체 전도 부재(134)는 다공성 세라믹이다. 물론, 액체 전도 부재(134)는 다공성 세라믹에 한정되지 않고, 액체를 전달 가능한 다른 구조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액체 저장 카트리지(131)는 출구가 구비되는 액체 저장 챔버(131c)를 구비하는 카트리지 하우징(131a), 및 무화 베이스(120)에 위치되는 카트리지 덮개(131b)를 포함하고, 카트리지 하우징(131a)은 출구를 차폐하고 카트리지 덮개(131b)와 밀폐되게 연결되도록 카트리지 덮개(131b)에 설치되며, 카트리지 덮개(131b)에는 액체 유입구 및 액체 유입구와 연통된 액체 배출구를 구비하는 액체 유출 통로(131d)가 배치되며, 액체 유입구는 출구와 연통되고, 액체 전도 부재(134)의 가장자리는 액체 배출구에 접근된 액체 유출 통로(131d)의 일단과 밀폐되게 연결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액체 유출 통로(131d)는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2개가 구비된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액체 유출 통로(131d)의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수량일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카트리지 하우징(131a)이 생략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카트리지 하우징(131a)이 생략되는 경우, 상부 캡부(113)와 카트리지 덮개(131b)에 의해 무화 물질이 수용되는 오일 저장 챔버가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무화 코어(130)는 카트리지 하우징(131a)과 카트리지 덮개(131b) 사이에 위치되고, 카트리지 하우징(131a)과 카트리지 덮개(131b) 사이의 틈새를 밀봉시키는 제1 실링재(136)를 더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 실링재(136)는 대략 병뚜껑의 형상이고, 제1 실링재(136)의 외측벽과 카트리지 하우징(131a)의 내측벽을 밀폐되게 연결하도록 카트리지 덮개(131b)에 설치되며, 제1 실링재(136)에는 액체 유출 통로(131d)와 대응되는 통공이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제1 실링재(136)의 재질은 실리콘이다. 물론, 제1 실링재(136)의 재질은 실리콘에 한정되지 않고, 실링재로 사용 가능한 다른 소재일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실링재(136)가 생략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제1 실링재(136)가 생략되는 경우, 카트리지 덮개(131b)와 카트리지 하우징(131a)은 다른 방식으로 밀폐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 덮개(131b)는 실리콘 카트리지 덮개(131b)이고, 카트리지 덮개(131b)는 카트리지 하우징(131a)과 직접적으로 밀폐되게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무화 코어(130)는 카트리지 덮개(131b)와 액체 전도 부재(134)사이에 위치되고 카트리지 덮개(131b)와 액체 전도 부재(134) 사이의 간극을 밀폐하기 위한 제2 실링재(137)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실링재(137) 가 생략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제2 실링재(137)가 생략되는 경우, 카트리지 덮개(131b)와 액체 전도 부재(134)는 다른 방식으로 밀폐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 덮개(131b)는 실리콘 카트리지 덮개(131b)이고, 카트리지 덮개(131b)는 액체 전도 부재(134)와 직접적으로 밀폐되게 연결된다.
물론, 무화기(100)는 무화기(100)와 기체 배출구(115)를 연통하는 기체 배출 통로를 더 구비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카트리지 덮개(131b)에는 기체를 배출하기 위한 제1 통로가 배치되고, 무화 베이스(120)에는 기체를 배출하기 위한 제2 통로가 배치되며, 제1 통로와 제2 통로는 연통하여 기체 배출 통로를 형성한다. 제2 통로의 일단이 무화 챔버(133)와 연통되고, 타단이 제1 통로와 연통되며, 제2 통로에서 멀어지는 제1 통로의 일단은 기체 배출구(115)와 연통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케이스(110)에는 일단이 제1 통로와 연통되고, 타단이 기체 배출구(115)와 연통되는 제3 통로(116)가 더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체 배출 통로는 무화 베이스(120)에만 배치되거나 또는 무화 베이스(120)에 배치될 수도 있고, 구체적인 상황은 실제 수요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배터리 어셈블리(200)와 무화기(100)는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배터리 어셈블리(200)는 무화기(100)와 자기적으로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내부 바닥면(111)에 접근된 무화 베이스(120)의 일측에는 자석이 배치되고, 배터리 어셈블리(200)에는 자석과 서로 끌어당길 수 있는 금속 부재(예: 철 기둥)가 배치되고, 이로써 무화기(100)와 배터리 어셈블리(200)가 자기 인력으로 인해 함께 조립되도록 한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배터리 어셈블리(200)와 무화기(100)는 또한 다른 탈착 가능한 연결 방식으로 함께 조립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어셈블리(200)는 배터리 케이스(220) 및 배터리 케이스(220)에 수용되고 전기적 연결 부재를 통해 무화 코어(130)의 발열 부재(13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210)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기적 연결 부재는 밀핀(231)을 포함하고, 바닥부에는 밀핀 공이 배치되고, 밀핀(231)은 밀핀 공, 무화 베이스(120) 및 무화 챔버(133)을 통과하여 발열 부재(13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밀핀(231)은 무화기(100)의 축 방향으로 앞뒤로 왕복 이동할 수 있어 발열 부재(135)와의 전기적 연결을 해제하거나 접속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무화기(100)는 밀핀(231)과 밀핀 공이 형성된 공벽 사이의 간극을 밀봉시키는 제3 실링재를 더 포함한다. 물론, 케이스(110)가 생략되는 경우, 밀핀(231)은 무화 베이스(120)와 무화 챔버(133)를 통과하여 발열 부재(13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밀핀(231)의 재질은 금 도금된 황동이다.
상기 전자 무화 장치(10)의 조립 방법은, 액체 저장 카트리지(131), 발열 어셈블리(132) 및 무화 베이스(120)를 케이스(110)에 조립하여 무화기(100)를 형성하는 단계; 전원(210) 및 전기적 연결 부재를 배터리 케이스(220)에 조립하여 배터리 어셈블리(200)를 형성하는 단계; 및 무화기(100)의 밀핀(231)을 배터리 어셈블리(200)의 전원(21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전자 무화 장치(10)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액체 저장 카트리지(131), 발열 어셈블리(132) 및 무화 베이스(120)를 케이스(110)에 조립하는 단계는, 제1 실링재(136)를 카트리지 덮개(131b)에 끼워지고 카트리지 하우징(131a)과 밀폐되게 연결하는 단계; 제2 실링재(137)를 이용하여 카트리지 덮개(131b)와 액체 전도 부재(134)를 밀폐되게 연결하는 단계; 무화 베이스(120)를 카트리지 덮개(131b)와 발열 어셈블리(132)에 설치하여 밀핀(231)을 무화 베이스(120)에 밀어 넣는 단계; 및 무화 베이스(120) 및 무화 베이스(120)에 설치된 발열 어셈블리(132)를 액체 저장 카트리지(131)와 함께 하부 캡부에 넣고 상부 캡부(113)를 덮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 무화 장치의 조립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또 다른 방법으로도 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설명된 실시예의 각 기술적 특징은 임의로 조합될 수 있으며, 설명의 간결을 위해, 상기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특징의 모든 가능한 조합에 대해 설명하지 않지만, 이러한 기술적 특징의 조합은 모순이 없는 한 본 명세서에 기재되는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해야 한다.
이상과 같이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구현형태를 나타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방법에 대한 구체적이고 상세한 이해를 위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 및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며, 이들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해결방법을 기반으로 논리적 분석, 추론 또는 제한된 실험을 통해 당업자에 의해 얻어진 기술적 해결방법은 모두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 청구 범위의 보호 범위 내에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명세서 및 도면은 특허청구범위의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내용에 정해야 한다.
10: 전자 무화 장치 100: 무화기
200: 배터리 어셈블리 110: 케이스
120: 무화 베이스 130: 무화 코어
111: 내부 바닥면 112: 기체 유입구
121: 기체 유입공 122: 액체 저장홈
123: 액체 안내 그루브 113: 상부 캡부
114: 하부 캡부 124: 기체 홈
131: 액체 저장 카트리지 132: 발열 어셈블리
133: 무화 챔버 115: 기체 배출구
134: 액체 전도 부재 135: 발열 부재
131a: 카트리지 하우징 131b: 카트리지 덮개
131c: 액체 저장 챔버 131d: 액체 유출 통로
136: 제1 실링재 137: 제2 실링재
210: 전원 220: 배터리 케이스
231: 밀핀 116: 제3 통로

Claims (14)

  1. 측벽 및 상기 측벽과 연결되는 바닥부를 구비하고, 상기 측벽과 상기 바닥부에 의해 수용챔버가 형성되며, 상기 바닥부가 내부 바닥면을 구비하고, 상기 측벽에 기체 유입구가 배치되는 케이스;
    상기 수용챔버에 위치되어 상기 내부 바닥면에 접근되고, 상기 바닥부와의 사이에 간극이 있으며, 상기 간극을 통해 상기 기체 유입구와 연통되는 기체 유입공이 구비되는 무화 베이스; 및
    상기 수용챔버에 위치되고 상기 무화 베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기체 유입공과 연통되는 무화 코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화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바닥면에 접근된 상기 무화 베이스의 일측에는 액체 저장홈이 배치되고, 상기 기체 유입공으로부터 유출된 액체는 모세관 작용에 의해 상기 액체 저장홈으로 유입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화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바닥면에 접근된 상기 무화 베이스의 일측에는 액체 저장홈, 및 상기 기체 유입공과 상기 액체 저장홈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기체 유입공으로부터 유출된 액체가 상기 액체 저장홈으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액체 안내 그루브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화기.
  4.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저장홈의 개구는 상기 내부 바닥면을 향하고, 상기 내부 바닥면에 접근된 상기 액체 저장홈의 일측과 상기 내부 바닥면의 사이에 간격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화기.
  5.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부 캡부와 하부 캡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캡부와 상기 하부 캡부는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상부 캡부와 상기 하부 캡부에 의해 상기 무화 베이스와 상기 무화 코어가 수용되는 상기 수용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 바닥면은 상기 무화 베이스에 접근된 상기 하부 캡부의 면이며, 상기 액체 저장홈은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는 상기 하부 캡부를 향하고, 상기 하부 캡부에 접근된 상기 액체 저장홈의 일측과 상기 하부 캡부의 사이에 간격이 있으며, 상기 기체 유입구는 상기 하부 캡부의 측벽, 상기 상부 캡부의 측벽, 또는 상기 상부 캡부와 상기 하부 캡부와의 연결 분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화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캡부는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이 폐쇄되는 중공 구조이고, 상기 무화 베이스는 상기 하부 캡부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무화 베이스의 측벽은 상기 하부 캡부의 내측벽과 밀폐되게 연결되고, 상기 하부 캡부에 접근된 상기 무화 베이스의 일측과 상기 하부 캡부에 의해 기체 유입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기체 유입구는 상기 하부 캡부의 측벽에 위치되어 상기 기체 유입 통로와 연통되고, 상기 기체 유입 통로는 상기 기체 유입공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화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유입공은 상기 무화 베이스의 가운데에 위치되고, 상기 하부 캡부에 접근된 상기 무화 베이스의 일측에는 상기 액체 안내 그루브와 연통되는 기체 홈이 배치되고, 상기 기체 홈의 측벽은 상기 하부 캡부와 접촉되어 상기 기체 유입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기체 유입공에 접근된 상기 기체 홈의 측벽에는 상기 기체 유입 통로와 상기 액체 저장홈의 개구 및 상기 기체 유입공을 연통시키는 갭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화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횡단면은 타원형이고, 상기 케이스의 횡단면에 투사된 상기 기체 유입구의 직교 투영은 상기 단면의 장축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화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유입구의 수는 2개이고, 상기 케이스의 횡단면에 투사된 2개의 상기 기체 유입구의 직교 투영은 상기 장축의 끝점과 일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화기.
  10. 제1 항, 제2 항, 제3 항, 제6 항, 제7 항, 제8 항 또는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무화 코어는 상기 무화 베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액체 저장 카트리지에 저장된 상기 무화 물질을 무화시키기 위한 발열 어셈블리, 및 무화 물질이 수용되는 액체 저장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 어셈블리와 상기 무화 베이스에 의해 상기 기체 유입공과 연통되는 무화 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무화 챔버와 연통되는 기체 배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화기.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 어셈블리는 상기 무화 베이스에 설치되는 발열 부재, 및 상기 액체 저장 카트리지와 상기 발열 부재의 사이에 위치되는 액체 전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액체 저장 카트리지에 저장된 상기 무화 물질은 상기 액체 전도 부재를 통해 상기 발열 부재로 전달되어 상기 발열 부재에 의해 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화기.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저장 카트리지는 출구가 구비되는 액체 저장 챔버를 구비하는 카트리지 하우징 및 상기 무화 베이스에 위치되는 카트리지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 덮개는 상기 출구를 차폐하고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과 밀폐되게 연결되도록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에 배치되며, 상기 카트리지 덮개에는 액체 유입구 및 액체 배출구를 구비하는 액체 유출 통로가 배치되고, 상기 액체 유입구는 상기 출구와 연통되고, 상기 액체 전도 부재의 가장자리는 상기 액체 배출구에 접근된 상기 액체 유출 통로의 일단과 밀폐되게 연결되며, 및/또는,
    상기 액체 전도 부재는 다공성 세라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화기.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덮개 및/또는 상기 무화 베이스에는 기체 배출 통로가 배치되고, 상기 무화 챔버는 상기 기체 배출 통로와 연통되며, 상기 기체 배출 통로는 상기 기체 배출구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화기.
  14. 제1 항 내지 제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무화기; 및 상기 무화기의 무화 코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무화기 장치.
KR1020220093203A 2021-07-29 2022-07-27 무화기 및 전자 무화 장치 KR202300183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21758916.5U CN216147233U (zh) 2021-07-29 2021-07-29 雾化器和电子雾化装置
CN202121758916.5 2021-07-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336A true KR20230018336A (ko) 2023-02-07

Family

ID=80837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3203A KR20230018336A (ko) 2021-07-29 2022-07-27 무화기 및 전자 무화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035530A1 (ko)
EP (1) EP4124250A1 (ko)
JP (1) JP7408736B2 (ko)
KR (1) KR20230018336A (ko)
CN (1) CN216147233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08711B (zh) * 2018-01-15 2023-10-10 惠州市新泓威科技有限公司 电子烟雾化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7040883U (zh) 2017-06-19 2018-02-27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具有改进气道构造的电子烟雾化器
CN111096485A (zh) 2018-10-26 2020-05-05 日本烟草产业株式会社 非燃烧式吸取器的电源单元、雾化单元以及非燃烧式吸取器
WO2020259692A1 (zh) * 2019-06-28 2020-12-30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电子烟雾化器及电子烟
CN211407644U (zh) 2019-09-17 2020-09-04 深圳雾芯科技有限公司 雾化装置
WO2021062779A1 (zh) * 2019-09-30 2021-04-08 深圳麦克韦尔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雾化装置及其雾化器
CN111165879A (zh) * 2019-11-19 2020-05-19 深圳雾芯科技有限公司 一种雾化装置
CN112021659A (zh) * 2020-09-16 2020-12-04 深圳麦克韦尔科技有限公司 雾化器及电子雾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08736B2 (ja) 2024-01-05
CN216147233U (zh) 2022-04-01
EP4124250A1 (en) 2023-02-01
US20230035530A1 (en) 2023-02-02
JP2023021041A (ja) 2023-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409832A1 (en) Electronic atomization device and atomization assembly
CN214710376U (zh) 雾化器及电子雾化装置
EP3510879A1 (en) Cartridge and electronic cigarette having same
US20240164452A1 (en) Atomizer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KR20230018336A (ko) 무화기 및 전자 무화 장치
CN211379632U (zh) 电子雾化装置及其雾化器
EP4046504A1 (en) Atomizer and electronic atomization device
WO2021184943A1 (zh) 传感器密封件及电子烟
CN215958369U (zh) 雾化器及气溶胶生成装置
WO2023273220A1 (zh) 雾化设备和具有其的雾化装置
CN211960896U (zh) 雾化装置及电子烟
CN215303020U (zh) 雾化器及电子雾化装置
CN217364692U (zh) 雾化器和电子雾化装置
CN217407797U (zh) 雾化器和雾化装置
CN214431802U (zh) 电子雾化装置及其雾化器
CN216255434U (zh) 密封件、雾化器和电子雾化装置
CN218126949U (zh) 雾化组件、雾化器及电子雾化装置
CN111011938A (zh) 雾化装置及电子烟
CN217695271U (zh) 电子雾化装置
CN217826755U (zh) 防渗漏雾化器及电子雾化装置
CN215123683U (zh) 驱蚊装置
CN218354673U (zh) 雾化组件、雾化器及电子雾化装置
CN219628816U (zh) 雾化组件及雾化装置
CN215958370U (zh) 雾化器及气溶胶生成装置
CN218354693U (zh) 电子雾化装置及雾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