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8125A -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방법 - Google Patents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8125A
KR20230018125A KR1020210099904A KR20210099904A KR20230018125A KR 20230018125 A KR20230018125 A KR 20230018125A KR 1020210099904 A KR1020210099904 A KR 1020210099904A KR 20210099904 A KR20210099904 A KR 20210099904A KR 20230018125 A KR20230018125 A KR 20230018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railroad
railroad rail
railway
attach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9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9575B1 (ko
Inventor
전진용
김경래
Original Assignee
전진용
김경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진용, 김경래 filed Critical 전진용
Priority to KR1020210099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9575B1/ko
Publication of KR20230018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8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9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9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60Rail fastenings making use of clamps or braces supporting the side of the rai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3/00Arrangements preventing shifting of the track
    • E01B13/02Rail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35/00Applications of measuring apparatus or devices for track-building purposes
    • E01B35/12Applications of measuring apparatus or devices for track-building purposes for measuring movement of the track or of the components thereof under rolling loads, e.g. depression of sleepers, increase of gau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2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 F16B2/24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of met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3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철도 레일용 부속물을 지지 및 고정시킬 수 있는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장치를 개시한다.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장치는 철도 레일에 체결되어, 철도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철도 레일용 부속물을 철도 레일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며, 철도 레일 저부의 바닥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베이스부와, 철도 레일 저부의 일 측에 걸려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걸림부와, 탄성력에 의해 철도 레일용 부속물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탄성 가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방법{Apparatus for fixing accessories for railroad rails and method for fixing attachments for railroad rail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도 레일에 접하여 설치되는 센서 혹은 케이블 등과 같은 철도 레일용 부속물을 철도 레일에 고정시켜, 부속물이 설정위치를 벗어나거나, 부속물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 레일에는 레일의 변위를 측정하기 위한 변위 측정 센서가 설치되고, 변위 측정 센서의 일 측과 타 측에는 철도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변위 측정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면서, 변위 측정 센서로 부터 감지된 신호를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케이블이 배치된다.
이때, 철도 레일에는 변위 측정 센서 또는 케이블이 유실되지 않도록 변위 측정 센서와 케이블을 철도 레일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이 설치된다.
종래에는 변위 측정 센서와 케이블을 철도 레일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케이블 타이가 이용되었다.
따라서, 작업자는 변위 측정 센서나, 케이블을 철도 레일에 밀착시킨 후 케이블 타이를 이용하여 변위 측정 센서나 케이블을 묶어 고정시켰다.
그러나, 이의 경우 케이블 타이가 철로 차량의 바퀴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철도 레일에 외면으로 노출됨에 따라, 철로 차량의 운행에 문제를 발생시킬 여지가 있고, 철로 차량의 운행에 직접적으로 문제가 없더라도 고속으로 운행되는 철로 차량의 바퀴에 접촉될 경우 쉽게 끊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케이블 타이를 이용하여 변위 측정 센서를 고정시키는 경우, 진동 및 외부 환경요인에 의해 케이블 타이의 체결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변위 측정 센서와 케이블 타이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어 변위 측정 센서가 설정위치를 이탈하거나, 레일에 정확이 밀착될 수 없음은 물론, 설치된 방향이 틀어지게 되어 정확한 측정결과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케이블 타이를 이용하여 변위 측정 센서를 철도 레일에 고정하는 방법은 작업자가 일일이 손으로 케이블 타이를 묶어야 함에 따라, 작업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변위 측정 센서 등과 같은 철도 레일용 부속물을 철도 레일에 완전히 밀착 및 고정시키고, 이를 통해 철도 레일용 부속물의 이탈 및 뒤틀림을 방지하여 지속적으로 정확한 계측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철도 차량의 운행 및 철도 레일에 어떠한 영향도 주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철도 레일용 부속물을 지지 및 고정시킬 수 있고, 장시간 사용 시에도 체결성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규격의 철도 레일에 적용할 수 있는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탈착이 용이하여 작업성능을 극대화 하면서,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할 수 있는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장치를 이용한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장치는 철도 레일 저부에 체결되어, 철도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철도 레일용 부속물을 철도 레일 복부 및 상기 철도 레일 저부 사이의 코너(corner)로 가압하여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철도 레일 저부의 바닥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단부에서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을 향하도록 원호 형태로 절곡되고, 상기 철도 레일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철도 레일 저부의 일 측에 걸려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걸림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타단부에서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을 향하도록 원호 형태로 절곡되고, 상기 철도 레일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철도 레일 저부의 타 측에 걸려 지지되며, 탄성력에 의해 상기 철도 레일용 부속물을 상기 베이스부 측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탄성 가압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철도 레일 저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중심부; 상기 중심부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중심부의 내측을 향하도록 절곡되고, 상기 철도 레일 저부의 바닥면의 일부분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1 바닥 지지부; 및 상기 중심부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중심부의 내측을 향하도록 절곡되고, 상기 철도 레일 저부의 바닥면의 다른 일부분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 바닥 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닥 지지부는 상기 제1 바닥 지지부에 비해 더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1 바닥 지지부와 연결되는 제1 걸림 지지부; 및 상기 제1 걸림 지지부로부터 상기 제1 걸림 지지부의 내면을 따라 절곡되어 상기 제1 걸림 지지부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상기 철도 레일 저부의 일 측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2 걸림 지지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가압부는, 상기 제2 바닥 지지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 바닥 지지부에 대하여 예각을 갖도록 절곡되어,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질 경우 탄성력에 의해 내측으로 오므라지도록 구성되는 제1 가압부; 상기 제1 가압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철도 레일용 부속물의 외면을 지지하고, 상기 제1 가압부에 의해 상기 철도 레일용 부속물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제2 가압부; 및 상기 제2 가압부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상기 철도 레일 복부에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제3 가압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가압부는 상기 철도 레일 복부의 외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제1 가압부에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철도 레일 복부에 걸려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압부는 상기 철도 레일 저부의 상면을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압부는, 상기 제1 가압부로부터 주름형상으로 연장되는 제1 완충 연결부; 상기 제3 가압부로부터 주름형상으로 연장되는 제2 완충 연결부; 및 상기 제1 완충 연결부와 상기 제2 완충 연결부 사이에 배치되고, 원호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철도 레일용 부속물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부속물 가압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심부와 상기 철도 레일 저부 사이에 배치되어 진동을 흡수 및 분산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진동감쇄부재; 상기 제1 가압부와 상기 철도 레일 저부 사이에 배치되어 진동을 흡수 및 분산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진동감쇄부재; 및 상기 부속물 가압부와 상기 철도 레일용 부속물 사이에 배치되어 진동을 흡수 및 분산시키도록 구성되는 제3 진동감쇄부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걸림부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 가압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압부는, 상기 제2 바닥 지지부의 외면에 걸려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일단부에서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을 향하도록 원호 형태로 절곡되고, 탄성력에 의해 오므라들거나 펼쳐지도록 구성되는 탄성변형부; 및 상기 탄성변형부와 상기 제2 가압부를 연결하고, 상기 탄성변형부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되면서 상기 제2 가압부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이동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바닥 지지부는 상기 고정부를 수용 및 지지하는 슬롯;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장치를 이용한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방법은 수직판, 상기 수직판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판, 상기 수직판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직판을 따라 위치 조절이 가능한 상판 및 상기 수직판과 연결되어 상기 수직판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회전봉을 포함하는 고정 장치 설치구와, 베이스부, 걸림부 및 탄성 가압부를 포함하는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장치를 이용하여, 철도 레일용 부속물을 철도 레일에 고정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탄성 가압부로 상기 철도 레일용 부속물을 지지하면서, 상기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장치를 상기 철도 레일 저부의 하측에 배치시키는 단계; 상기 하판을 상기 베이스부에 밀착시키고, 상기 수직판을 상기 탄성 가압부에 밀착시키는 단계; 상기 상판을 철도 레일 두부에 밀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회전봉을 통해 상기 수직판과 상기 하판을 회전시켜, 상기 탄성 가압부에 지지된 상기 철도 레일용 부속물을 철도 레일 복부 및 상기 철도 레일 저부 사이의 코너에 배치시키고, 상기 걸림부를 상기 철도 레일 저부의 다른 일부분에 결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변위 측정 센서 등과 같은 철도 레일용 부속물을 철도 레일에 완전히 밀착 및 고정시킴으로써, 철도 레일용 부속물의 이탈 및 뒤틀림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지속적으로 정확한 계측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철도 레일용 부속물을 철도 레일 복부 및 철도 레일 저부 사이의 코너로 가압하여 고정시킴에 따라, 철도 레일용 부속물이 철도 레일 저부, 철도 레일 복부 및 본 부속물 고정 장치에 의해 지지되므로, 유동이 최소화되고, 보다 안정적으로 철도 레일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 가압부가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상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에서 탄성력에 의해 내측으로 오므라들면서 철도 레일용 부속물을 가압하도록 구성되고, 철도 레일용 부속물은 오므라드는 탄성 가압부의 가동 범위 내에 배치됨에 따라, 철도 레일용 부속물에 가해지는 탄성 가압부의 힘이 분산되지 않고, 온전히 철도 레일용 부속물에 가해져, 다수의 절곡 구간을 통해 탄성 가압부의 가동 범위 외에 배치된 부속물을 지지하는 구조에 비해 더 큰 힘으로 철도 레일용 부속물을 가압 및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 가압부와 연결되는 제2 바닥 지지부의 길이를 가압부가 연결되는 제1 바닥 지지부의 길이 보다 더 길게 형성함으로써, 철도 레일의 저부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규격의 철도 레일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걸림부를 동일 형태로 절곡된 이중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철도 레일 저부의 일 측을 탄성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외부의 진동 및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장치가 철도 레일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II-II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장치의 걸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장치의 제3 가압부가 철도 레일의 복부에 지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장치의 제2 가압부가 철도 레일용 부속물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장치에 복수의 진동감쇄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장치의 제2 바닥 지지부와 고정부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장치를 이용하여 철도 레일용 부속물을 고정시키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장치가 철도 레일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II-II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장치(100)(이하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장치(100)'라 함)는 철도 레일 저부(R1)에 체결되어, 철도 레일(R)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철도 레일용 부속물(A)을 철도 레일 복부(R2) 및 철도 레일 저부(R1) 사이의 코너(corner)로 가압하여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변위 측정 센서 등과 같은 철도 레일용 부속물(A)이 철도 레일 저부(R1), 철도 레일 복부(R2) 및 본 부속물 고정 장치(100)에 의해 지지되므로, 철도 레일(R)에 완전히 밀착 및 고정되고, 이에 따라 철도 레일용 부속물(A)의 이탈 및 뒤틀림이 방지되고, 지속적으로 정확한 계측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장치(100) 베이스부(110), 걸림부(120) 및 탄성 가압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10)는 철도 레일 저부(R1)의 바닥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110)는 중심부(111)와, 제1 바닥 지지부(112)와, 제2 바닥 지지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중심부(111)는 철도 레일 저부(R1)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1 바닥 지지부(112)는 중심부(111)의 일단부로부터 중심부(111)의 내측을 향하도록 절곡되고, 철도 레일 저부(R1)의 바닥면의 일부분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바닥 지지부(113)는 중심부(111)의 타단부로부터 중심부(111)의 내측을 향하도록 절곡되고, 철도 레일 저부(R1)의 바닥면의 다른 일부분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바닥 지지부(113)는 제1 바닥 지지부(112)에 비해 더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탄성 가압부(130)와 연결되는 제2 바닥 지지부(113)의 길이를 걸림부(120)와 연결되는 제1 바닥 지지부(112)의 길이 보다 더 길게 형성함으로써, 철도 레일(R)의 저부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규격의 철도 레일(R)을 고정시킬 수 있다.
걸림부(120)는 베이스부(110)의 일단부에서 베이스부(110)의 내측을 향하도록 원호 형태로 절곡되고, 철도 레일(R)의 폭 방향을 따라, 철도 레일 저부(R1)의 일 측에 걸려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걸림부(120)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 및 분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장치의 걸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걸림부(120)는 제1 걸림 지지부(121)는 제1 바닥 지지부(112)와 연결되는 제1 걸림 지지부(121)와, 제1 걸림 지지부(121)로부터 제1 걸림 지지부(121)의 내면을 따라 절곡되어 제1 걸림 지지부(121)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철도 레일 저부(R1)의 일 측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2 걸림 지지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걸림부(120)를 동일 형태로 절곡된 이중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철도 레일 저부(R1)의 일 측을 탄성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외부의 진동 및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탄성 가압부(130)는 베이스부(110)의 타단부에서 베이스부(110)의 내측을 향하도록 원호 형태로 절곡되고, 철도 레일(R)의 폭 방향을 따라, 철도 레일 저부(R1)의 타 측에 걸려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탄성 가압부(130)는 탄성력에 의해 철도 레일용 부속물(A)을 베이스부(110) 측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철도 레일용 부속물(A)을 가압 및 지지하는 탄성 가압부(130)가 철도 레일용 부속물(A)을 철도 레일 복부(R2)가 아닌, 걸림부(120)가 걸려 지지되는 철도 레일 저부(R1)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철도 레일용 부속물(A)을 철도 레일 복부(R2)로 가압하는 구조에 비해 보다 더 큰 힘으로 철도 레일용 부속물(A)을 가압 및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탄성 가압부(130)가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상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에서 탄성력에 의해 내측으로 오므라들면서 철도 레일용 부속물(A)을 가압하도록 구성되고, 철도 레일용 부속물(A)은 오므라드는 탄성 가압부(130)의 가동 범위 내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철도 레일용 부속물(A)에 가해지는 탄성 가압부(130)의 힘이 분산되지 않고, 온전히 철도 레일용 부속물(A)에 가해져 큰 힘으로 철도 레일용 부속물(A)을 가압 및 지지할 수 있다.
탄성 가압부(130)는 제1 가압부(131), 제2 가압부(132) 및 제3 가압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압부(131)는 제2 바닥 지지부(113)와 연결되고, 제2 바닥 지지부(113)에 대하여 예각을 갖도록 절곡되어,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질 경우 탄성력에 의해 내측으로 오므라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가압부(132)는 제1 가압부(131)로부터 연장되어 철도 레일용 부속물(A)의 외면을 지지하고, 제1 가압부(131)에 의해 철도 레일용 부속물(A)을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3 가압부(133)는 제2 가압부(132)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철도 레일 복부(R2)에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장치의 제3 가압부가 철도 레일의 복부에 지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3 가압부(133)는 철도 레일 복부(R2)의 외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고, 제1 가압부(131)에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져 제1 가압부(131) 및 제2 가압부(132)가 유동될 경우 철도 레일 복부(R2)에 걸려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철도 레일(R)로부터 본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장치(100)에 진동 또는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제3 가압부(133)가 철도 레일 복부(R2)에 걸려 지지되면서 걸림 상태를 유지하여 철도 레일용 부속물(A)의 이탈 및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가압부(131)는 철도 레일 저부(R1)의 상면을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제1 가압부(131)와 철도 레일 저부(R1) 사이의 간극과, 제3 가압부(133)와 철도 레일 복부(R2) 사이의 간극을 완전히 차단하여, 제2 가압부(132)와 철도 레일용 부속물(A) 간의 결합력을 극대화하고, 진동 혹은 충격이 발생될 경우에도 철도 레일용 부속물(A)의 유동을 완벽히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제2 가압부(132)는 외부의 진동을 완화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장치의 제2 가압부가 철도 레일용 부속물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가압부(132)는 제1 가압부(131)로부터 주름형상으로 연장되는 제1 완충 연결부(1321)와, 제3 가압부(133)로부터 주름형상으로 연장되는 제2 완충 연결부(1322)와, 제1 완충 연결부(1321)와 제2 완충 연결부(1322) 사이에 배치되고, 원호 형상으로 절곡되어 철도 레일용 부속물(A)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부속물 가압부(132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주름형상으로 연장되는 제1 완충 연결부(1321)와 제2 완충 연결부(1322)를 통해, 외부의 진동 및 충격을 완화시키고,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제2 가압부(132)가 철도 레일용 부속물(A)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장치에 복수의 진동감쇄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장치(100)는 제1 진동감쇄부재(140), 제2 진동감쇄부재(150) 및 제3 진동감쇄부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진동감쇄부재(140)는 중심부(111)와 철도 레일 저부(R1) 사이에 배치되어 진동을 흡수 및 분산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진동감쇄부재(150)는 제1 가압부(131)와 철도 레일 저부(R1) 사이에 배치되어 진동을 흡수 및 분산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3 진동감쇄부재(160)는 부속물 가압부(1323)와 철도 레일용 부속물(A) 사이에 배치되어 진동을 흡수 및 분산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진동감쇄부재(140), 제2 진동감쇄부재(150) 및 제3 진동감쇄부재(160)를 통해, 외부의 진동 및 충격 충분히 완화시켜 철도 레일용 부속물(A)에 가해지는 외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장치의 제2 바닥 지지부와 고정부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장치(100)는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복수의 파츠(parts)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부(110)와 걸림부(120)는 일체로 형성되고, 탄성 가압부(130)는 베이스부(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양한 규격의 철도 레일(R)에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장치(100)를 적용할 수 있고, 탈착이 용이하여 작업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장치(100)의 일부가 파손될 경우에도 해당 부분만을 교체 가능하여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 가압부(130)는 고정부(1311), 탄성변형부(1312) 및 이동부(131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311)는 제2 바닥 지지부(113)의 외면에 걸려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1311)는 제2 바닥 지지부(113)에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바닥 지지부(113)에는 고정부(1311)와 슬라이드 결합되면서, 고정부(1311)를 수용 및 지지하는 슬롯(113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고정부(1311)와 제2 바닥 지지부(113)의 결합구조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조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탄성변형부(1312)는 고정부(1311)의 일단부에서 베이스부(110)의 내측을 향하도록 원호 형태로 절곡되고, 탄성력에 의해 오므라들거나 펼쳐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동부(1313)는 탄성변형부(1312)와 제2 가압부(132)를 연결하고, 탄성변형부(1312)의 탄성력에 의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제2 가압부(132)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장치를 이용한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장치를 이용한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방법(이하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방법'이라 함)을 설명하기 위한 각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장치를 설명하면서 사용한 도면부호를 동일하게 사용하고, 동일하거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장치를 이용하여 철도 레일용 부속물을 고정시키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방법은, 고정 장치 설치구(200)와,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장치(100)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고정 장치 설치구(200)는 수직판(210), 수직판(210)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판(220), 수직판(210)의 상측에 배치되고, 수직판(210)을 따라 위치 조절이 가능한 상판(230) 및 수직판(210)과 연결되어 수직판(21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회전봉(240)을 포함한다.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장치(100)는 베이스부(110), 걸림부(120) 및 탄성 가압부(130)를 포함한다.
도 9(a)를 참조하면, 탄성 가압부(130)로 철도 레일용 부속물(A)을 지지하면서, 철도 레일 저부(R1)의 일부분이 베이스부(110)와 탄성 가압부(130) 사이에 수용되도록,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장치(100)를 철도 레일 저부(R1)의 하측에 배치시킨다(S110).
도 9(b)를 참조하면,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장치(100)가 철도 레일 저부(R1)의 하측에 배치되면, 고정 장치 설치구(200)의 하판(220)을 베이스부(110)에 밀착시키고, 고정 장치 설치구(200)의 수직판(210)을 탄성 가압부(130)에 밀착시킨다(S120).
도 9(c)를 참조하면, 하판(220)이 베이스부(110)에 밀착되고, 수직판(210)이 탄성 가압부(130)에 밀착되면, 고정 장치 설치구(200)의 상판(230)을 회전봉(240)을 따라 하향이동시켜 철도 레일 두부(R3)에 밀착시킨다(S130).
예를 들어, 상판(230)은 회전봉(240)의 외면을 따라 이동 가능한 이송블록부와, 이송블록부에 결합되어 이송블록부를 회전봉(240)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와, 이송블록부에 결합되어 철도 레일 두부(R3)를 지지하는 걸림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걸림판은 철도 레일 두부(R3)의 상면에 지지되는 제1 판부와, 철도 레일 두부(R3)의 측면에 지지되는 제2 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d)를 참조하면, 상판(230)이 철도 레일 두부(R3)에 밀착되면, 회전봉(240)을 통해 철도 레일 두부(R3)를 지지하고 있는 상판(230)을 중심으로 수직판(210)과 하판(220)을 회전시켜, 탄성 가압부(130)에 지지된 철도 레일용 부속물(A)을 철도 레일 복부(R2) 및 철도 레일 저부(R1) 사이의 코너에 배치시키고, 베이스부(110)와 걸림부(120)를 상향 이동시켜 철도 레일(R)의 저부를 지지하면서 걸림부(120)를 철도 레일 저부(R1)의 다른 일부분에 결합시킨다(S140).
이를 통해,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장치(100)를 손쉽게 철도 레일(R)에 장착하거나, 탈거 가능하여, 작업성이 극대화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봉(240)은 하판(220)과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는 제1 부분과, 제1 부분의 상측에 배치되고, 제1 부분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 시 제2 부분이 작업자가 위치한 쪽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됨에 따라, 작업자의 파지가 용이하고, 회전봉(240)을 회전시킬 때 작업이 더 편리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변위 측정 센서 등과 같은 철도 레일용 부속물(A)을 철도 레일(R)에 완전히 밀착 및 고정시킴으로써, 철도 레일용 부속물(A)의 이탈 및 뒤틀림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지속적으로 정확한 계측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장치
110. 베이스부
111. 중심부
112. 제1 바닥 지지부
113. 제2 바닥 지지부
1131. 슬롯
120. 걸림부
121. 제1 걸림 지지부
122. 제2 걸림 지지부
130. 탄성 가압부
131. 제1 가압부
1311. 고정부
1312. 탄성변형부
1313. 이동부
132. 제2 가압부
1321. 제1 완충 연결부
1322. 제2 완충 연결부
1323. 부속물 가압부
133. 제3 가압부
140. 제1 진동감쇄부재
150. 제2 진동감쇄부재
160. 제3 진동감쇄부재
200. 고정 장치 설치구
210. 수직판
220. 하판
230. 상판
240. 회전봉
A. 철도 레일용 부속물
R. 철도 레일
R1. 철도 레일 저부
R2. 철도 레일 복부
R3. 철도 레일 두부

Claims (5)

  1. 철도 레일에 체결되어, 철도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철도 레일용 부속물을 철도 레일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장치로서,
    철도 레일 저부의 바닥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단부에서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을 향하도록 원호 형태로 절곡되고, 상기 철도 레일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철도 레일 저부의 일 측에 걸려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걸림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타단부에서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을 향하도록 원호 형태로 절곡되고, 상기 철도 레일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철도 레일 저부의 타 측에 걸려 지지되며, 탄성력에 의해 상기 철도 레일용 부속물을 상기 베이스부 측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탄성 가압부; 를 포함하는,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철도 레일 저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중심부;
    상기 중심부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중심부의 내측을 향하도록 절곡되고, 상기 철도 레일 저부의 바닥면의 일부분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1 바닥 지지부; 및
    상기 중심부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중심부의 내측을 향하도록 절곡되고, 상기 철도 레일 저부의 바닥면의 다른 일부분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 바닥 지지부; 를 포함하는,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닥 지지부는 상기 제1 바닥 지지부에 비해 더 긴 길이를 갖는,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가압부는,
    상기 제2 바닥 지지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 바닥 지지부에 대하여 예각을 갖도록 절곡되어,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질 경우 탄성력에 의해 내측으로 오므라지도록 구성되는 제1 가압부;
    상기 제1 가압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철도 레일용 부속물의 외면을 지지하고, 상기 제1 가압부에 의해 상기 철도 레일용 부속물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제2 가압부; 및
    상기 제2 가압부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철도 레일 복부에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제3 가압부; 를 포함하는,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장치.
  5. 수직판, 상기 수직판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판, 상기 수직판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직판을 따라 위치 조절이 가능한 상판 및 상기 수직판과 연결되어 상기 수직판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회전봉을 포함하는 고정 장치 설치구와, 베이스부, 걸림부 및 탄성 가압부를 포함하는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장치를 이용하여, 철도 레일용 부속물을 철도 레일에 고정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탄성 가압부로 상기 철도 레일용 부속물을 지지하면서, 상기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장치를 상기 철도 레일 저부의 하측에 배치시키는 단계;
    상기 하판을 상기 베이스부에 밀착시키고, 상기 수직판을 상기 탄성 가압부에 밀착시키는 단계;
    상기 상판을 철도 레일 두부에 밀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회전봉을 통해 상기 수직판과 상기 하판을 회전시켜, 상기 탄성 가압부에 지지된 상기 철도 레일용 부속물을 철도 레일 복부 및 상기 철도 레일 저부 사이의 코너에 배치시키고, 상기 걸림부를 상기 철도 레일 저부의 다른 일부분에 결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장치를 이용한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방법.
KR1020210099904A 2021-07-29 2021-07-29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방법 KR102569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904A KR102569575B1 (ko) 2021-07-29 2021-07-29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904A KR102569575B1 (ko) 2021-07-29 2021-07-29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125A true KR20230018125A (ko) 2023-02-07
KR102569575B1 KR102569575B1 (ko) 2023-08-21

Family

ID=85221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9904A KR102569575B1 (ko) 2021-07-29 2021-07-29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957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284270U (zh) * 2011-09-30 2012-06-27 天津铁路信号有限责任公司 一种新型道岔融雪系统加热器热端固定结构
CN106560550A (zh) * 2015-10-02 2017-04-12 潘得路有限责任公司 铁轨扣件安装工具
KR101931753B1 (ko) * 2017-02-17 2018-12-24 (주)대신티앤에스 철도레일 융설히터용 고정클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284270U (zh) * 2011-09-30 2012-06-27 天津铁路信号有限责任公司 一种新型道岔融雪系统加热器热端固定结构
CN106560550A (zh) * 2015-10-02 2017-04-12 潘得路有限责任公司 铁轨扣件安装工具
KR101931753B1 (ko) * 2017-02-17 2018-12-24 (주)대신티앤에스 철도레일 융설히터용 고정클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9575B1 (ko) 2023-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9575B1 (ko)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도 레일용 부속물 고정 방법
CN211365604U (zh) 一种转盘运输固定装置
RU158613U1 (ru) Устройство соединения корпуса компьютера с виброизолирующей платформой
CN104512350A (zh) 抗震式汽车影音导航仪
CN101881366B (zh) 折叠支架及交通工具
JP3726605B2 (ja) エレベータ用駆動装置の支持装置
CN216549445U (zh) 一种后减震器安装装置
CN104180960A (zh) 一种用于将待测件固定在测试平台上的夹具
CN103603915A (zh) 一种用于运输振动敏感设备的减振装置
CN212295672U (zh) 一种用于混凝土浇注的振捣装置
CN103232001A (zh) 起重机的扒杆结构及具有其的起重机
CN210616500U (zh) 一种悬挂式汽车零配件支架
KR20180082245A (ko) 엘리베이터의 전동기 지지장치
CN220268869U (zh) 一种用于计算机硬件的安装支架
CN110939788A (zh) 一种防脱管道固定夹具
CN207826239U (zh) 轨道车辆箱体安装结构
CN215231720U (zh) 一种简易型外架作业用安全绳悬挂装置
CN213581173U (zh) 一种便于携带的电力检测装置
CN218063237U (zh) 一种铁路施工现场监督管理装置
CN212925444U (zh) 一种无水印染设备的支座结构
CN210919846U (zh) 游梁式抽油机尾轴承座总成
KR20140006076U (ko) 크레인 받침대용 레벨 계측기
CN209936679U (zh) 一种稳定性高的光学玻璃基座
CN211921839U (zh) 一种大圆机用底座
CN213676369U (zh) 一种固定稳定的汽车排气管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