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7420A - 차량용 헤드레스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헤드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7420A
KR20230017420A KR1020210098866A KR20210098866A KR20230017420A KR 20230017420 A KR20230017420 A KR 20230017420A KR 1020210098866 A KR1020210098866 A KR 1020210098866A KR 20210098866 A KR20210098866 A KR 20210098866A KR 20230017420 A KR20230017420 A KR 20230017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push member
disposed
vehicle
head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8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시스템
강태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시스템, 강태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시스템
Priority to KR1020210098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7420A/ko
Publication of KR20230017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74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B60R7/10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for supporting hats, clothes or clothes ha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79Head-rests with additional features not related to head-rest positioning, e.g. heating or cooling devices or loudspea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43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under a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2Seats or parts thereof
    • B60R2011/0017Head-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9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운전석 또는 조수석의 상측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후두부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의 상부 측에 옷걸이를 지지할 수 있는 옷걸이 지지장치를 배치하고 사용자의 터치 횟수에 따라 푸쉬부재를 승강동작시켜 옷걸이를 걸어서 연결할 수 있는 끈부재를 케이스의 수납홈 내,외측으로 인입 또는 인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평상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좌석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급정거시 뒷좌석 탑승객과의 접촉사고를 예방함과 아울러, 사용시 옷걸이를 걸어둘 수 있는 끈부재를 외부로 노출시켜 옷걸이를 지지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헤드레스트{A headrest for A Car}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운전석 또는 조수석의 상측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후두부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의 상부 측에 옷걸이를 지지할 수 있는 옷걸이 지지장치를 배치하고 사용자의 터치 횟수에 따라 푸쉬부재를 상,하로 승강동작시켜 옷걸이를 걸어서 연결할 수 있는 끈부재를 케이스의 수납홈 내,외측으로 인입 또는 인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평상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좌석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급정거시 뒷좌석 탑승객과의 접촉사고를 예방함과 아울러, 사용시 옷걸이를 걸어둘 수 있는 끈부재를 외부로 노출시켜 옷걸이를 지지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할 경우에는 운전을 편안하게 행할 수 있도록 상의를 벗어두게 되는데, 이러한 상의는 뒷자석 등에 아무렇게 방치할 경우구김이 가는 등 옷형태가 변형될 수 있어 옷걸이에 걸어 차량내부 손잡이로 형성된 걸림고리에 걸어두게 된다.
여기서, 차량에서 사용되는 옷걸이는 통상적인 옷걸이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옷걸이는 상의를 걸림되게하는 거치부의 상부로 걸고리가 구비되어져 있어 이 걸고리를 차량내부 손잡이로 구비되는 걸림고리에 걸게 되며, 특별이 차량용 옷걸이라 지칭되는 것과 거치부의 형태만을 변경한 것일뿐 동일한 방식으로 손잡이의 걸림고리에 걸림고정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 차량용 옷걸이는 차량이 주행할 시 옷걸이에 걸려져 있는 의류가 차량의 좌,우회전시 좌,우로 흔들려 운전자에게 산만함을 줄 뿐만아니라, 이러한 흔들림에 의해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게 되므로 사고발생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차량용 옷걸이와 관련된 종래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6608호 "차량용 옷걸이"(등록일자 : 2001.11.26)에 개시된 바와 같이, 고정파이프의 직경이 다른 다수종류의 헤드레스트에 광범위하게 설치할 수 있는 설치구를 갖으며, 옷이 걸려지는 거치대로는 컵등을 수용할 수 있는 컵홀더와 우산 등을 걸어놓을 수 있는 보조걸개편이 구비되는 차량용 옷걸이가 제공되고 있으나, 이 경우에는 옷걸이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도 차량의 운전자 또는 조수석 좌석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급정거시 뒷좌석 탑승객과 부딪힐 우려가 있으며 이로 인해 오히려 뒷좌석의 탑승객의 안전사고로 유발하게 될 우려가 있다.
차량용 옷걸이와 관련된 종래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68139호 "차량의 옷걸이 장치"(등록일자 : 2008.11.04)에 개시된 바와 같이, 차량에 설치된 옷걸이 장치에 있어서, 운전자 시트의 일측에 입설되는 제1지지대와; 상기 운전자 시트의 후방에 입설되는 제2지지대와; 상기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의 각기 상부에 형성된 걸이공에 거치되는 옷걸이봉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그런데, 기존 차량용 옷걸이는 옷걸이의 기능을 수행하지 않을 경우에도 뒷좌석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급정거시 뒷좌석 탑승객과 부딪힐 우려가 있으며 이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6608호 "차량용 옷걸이"(등록일자 : 2001.11.26)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68139호 "차량의 옷걸이 장치"(등록일자 : 2008.11.04)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차량의 운전석 또는 조수석의 상측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후두부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의 상부 측에 옷걸이를 지지할 수 있는 옷걸이 지지장치를 배치하고 사용자의 터치 횟수에 따라 푸쉬부재를 승강동작시켜 옷걸이를 걸어서 연결할 수 있는 끈부재를 케이스의 수납홈 내,외측으로 인입 또는 인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평상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좌석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급정거시 뒷좌석 탑승객과의 접촉사고를 예방함과 아울러, 사용시 옷걸이를 걸어둘 수 있는 끈부재를 외부로 노출시켜 옷걸이를 지지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헤드레스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후두부가 지지되는 전면부에 가죽 소재의 쿠션체가 배치되고, 후면부에 합성수지재의 베이스 블록이 배치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블록의 상부면에 배치되고, 하측으로 오목한 수납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홈 바닥면에 관통공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관통공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수납홈 내에 배치되며, 사용자가 가압하는 누름판을 구비하는 푸쉬부재와;
상기 상부몸체의 외주연에 결합되고, 옷걸이의 단부가 걸려져 지지되는 고리를 갖는 끈부재와;
상기 푸쉬부재를 상승위치와 하강위치에서 멈춤되도록 승강동작시키는 승강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헤드레스트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푸쉬부재는 상기 상부몸체의 하단부에 상기 상부몸체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하판과, 상기 하판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파지볼을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고정배치되고, 상기 상부몸체, 하판 및 파지볼이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면과 상기 하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푸쉬부재를 상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인장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측 하부에 고정되는 회전핀과, 각 일단부가 상기 회전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각 타단부가 상기 파지볼의 직경보다 작은 간격으로 벌어진 한쌍의 클램핑편과, 상기 회전핀에 결합되고 상기 클램핑편이 상기 파지볼을 감싸도록 상기 클램핑편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복귀스프링을 구비한 클램핑기구;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푸쉬부재의 누름판이 헤드레스트의 베이스 블록의 상부면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하강동작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되어 급정거시 뒷좌석 탑승객이 부딪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옷걸이를 지지하고자 할 경우에는 푸쉬부재의 누름판을 하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파지볼과 좌,우측 클램핑편의 클램핑 상태가 해제되면서 인장스프링의 인장력에 의해 푸쉬부재의 누름판이 수납홈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끈부재의 고리를 수납홈의 외측으로 인출시켜 옷걸이의 단부를 상기 고리에 걸어서 연결함으로써 옷걸이를 차량의 헤드레스트에 마련된 옷걸이 지지장치를 이용하여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푸쉬부재의 누름판을 가압 터치하는 횟수에 따라 파지볼의 클램핑 동작 또는 클램핑 상태 해제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수납홈 내,외측으로 끈부재를 인입 또는 인출시킬 수 있게 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옷걸이 지지장치가 적용된 헤드레스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끈부재가 수납홈의 외측으로 인출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푸쉬부재와 하우징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푸쉬부재와 하우징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클램핑기구의 파지볼 클램핑 해제동작시 푸쉬부재가 상승동작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끈부재에 옷걸이를 걸어서 연결하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의 후두부가 지지되는 전면부에 가죽 소재의 쿠션체(22)가 배치되고, 후면부에 배치되는 합성수지재의 베이스 블록(25)으로 구성된다.
또한, 차량용 헤드레스트(20)는 상기 베이스 블록(25)의 상부면에 배치되고 하측으로 오목한 수납홈(105)이 형성되며 수납홈(105)의 바닥면에 관통공(101)이 형성된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의 수납홈(105) 내에 배치되고 사용자가 하방향으로 가압 터치하는 횟수에 따라 승강동작되며 상부몸체(220)의 외주연에 옷걸이의 단부가 걸려져 지지되는 끈부재(300)가 연결되는 푸쉬부재(200); 상기 푸쉬부재(200)의 상부몸체(220)에 감겨져 연결되고, 상기 푸쉬부재(200)의 하강동작시 상기 수납홈(105) 내에 수용되며, 상기 푸쉬부재(200)의 상승동작시 수납홈(105)의 외측으로 인출가능하고, 상기 옷걸이의 단부를 걸어서 지지하도록 고리(310)를 갖는 끈부재(300); 및 상기 푸쉬부재(200)를 사용자의 터치 횟수에 따라 상승 및 하강동작시키도록 상기 푸쉬부재(200)를 승강동작시키는 승강수단(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 푸쉬부재(200)를 가압 터치하는 홀수 또는 짝수 횟수 터치에 따라 상기 푸쉬부재(200)를 승강동작시키고, 상승동작시 상기 푸쉬부재(200)의 누름판(210)이 상기 수납홈(105)을 개방시키게 되어 상기 끈부재(300)의 단부를 상기 수납홈(105)의 외측으로 인출시켜 상기 끈부재(300)에 옷걸이를 걸어서 지지하게 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헤드레스트(20)는 차량용 시트 등받이(10)의 상부에 사용자의 후두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로서, 서로 다른 재질의 전면부와 후면부로 구성되고, 상기 전면부에는 사용자의 후두부를 지지하기 위해 가죽 소재의 쿠션체(22)가 배치되며, 상기 후면부에는 성형 가공성을 고려하여 합성수지재의 베이스 블록(25)이 배치된다.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베이스 블록(25)의 상부면에 오목한 홈 형태의 수납홈(105)이 형성되도록 상측으로 개구된 사각형 형태로 구성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푸쉬부재(200)는 상기 수납홈(105)의 개구된 상부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누름판(210)과, 상기 누름판(210)의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끈부재(300)가 외주면에 연결되며 하부가 상기 승강수단(400)의 하우징(410) 내에 승강 가능하게 수용되는 상부몸체(220)와, 상기 상부몸체(220)의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410)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마련되는 하판(230)과, 상기 하판(230)의 하측에 하부몸체(240)로 연장되고 최하단부에 구(求)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승강수단(400)의 클램핑기구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파지볼(250)로 구성된다.
상기 누름판(210)은 사각형 단면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누름판(210)의 하측면에 상기 원통형의 상부몸체(220)가 연장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하우징(410)은 상부에 상기 푸쉬부재(200)의 상부몸체(220)가 승강동작되도록 승강공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하판(230)은 상기 상부몸체(220)의 하단과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410)의 외부로 인출되지 않도록 상기 승강공보다 더 큰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하판(230)의 하부에는 원통형의 하부몸체(240)가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부몸체(240)의 단부에는 구 형태의 파지볼(250)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 푸쉬부재(200)의 승강동작에 따라 상기 수납홈(105)이 개폐동작되고 상기 끈부재(300)를 수납홈(105)의 내,외측으로 인입 및 인출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상기 승강수단(40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푸쉬부재(200)의 하부가 승강가능하게 수용되는 하우징(410)과; 상기 하우징(410)의 내부에 수용되는 푸쉬부재(200)의 하판(230)과 상기 하우징(410)의 상부면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하판(230)에 상방향 인장력을 제공하는 인장스프링(420)과; 상기 하우징(410)의 하부에 배치되고 하방향으로 하강동작되는 푸쉬부재(200)의 파지볼(250)을 선택적으로 클램핑 파지하도록 회전핀(435)을 중심으로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전동작되는 좌,우측 클램핑편(432,434) 및 상기 회전핀(435)에 결합되어 좌,우 양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회전되는 상기 좌,우측 클램핑편(432,434)에 복귀력을 제공하는 복귀스프링(437)으로 구성된 클램핑기구;를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410)은 내부에 상기 푸쉬부재(200)의 하판(230)과 하부몸체(240) 및 파지볼(250)이 수용되는 공간부를 갖는 원통형 구조로 구성되며, 상부에 형성된 승강공을 통해 상기 푸쉬부재(200)의 상부몸체(220)가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도록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인장스프링(4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이 상기 하우징(410)의 상부면 하측에 고정되도록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하판(230)의 상측에 고정되도록 연결되어서, 상기 푸쉬부재(200)의 하판(230)측에 상방향 인장력을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클램핑기구의 좌,우측 클램핑편(432,434)은 하단부가 회전핀(435)을 중심으로 좌,우 양측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상단부가 서로 근접되는 방향으로 오므라들 경우 상기 파지볼(250)을 클램핑 파지하게 되고, 상단부가 서로 멀어지는 양 외측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파지볼(250)의 클램핑 파지상태가 해제된다.
또한, 상기 좌,우측 클램핑편(432,434)은 각각의 상단부가 서로 이격되는 외측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파지볼(250)의 하강 및 내측으로의 진입동작시 상기 회전핀(435)을 중심으로 서로 벌어지도록 회전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본 발명의 승강수단(400)은 상기 좌,우측 클램핑편(432,434)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푸쉬부재(200)의 파지볼(250)을 클램핑 파지하거나, 클램핑 파지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으며, 상기 좌,우측 클램핑편(432,434)의 회전동작은 사용자의 푸쉬부재(200) 누름판(210)을 하방향으로 가압하는 터치 횟수에 따라 푸쉬부재(200)의 파지볼(250)이 승강동작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사용자가 푸쉬부재(200)의 누름판(210)을 가압 터치하는 횟수가 홀수일 경우, 상기 푸쉬부재(200)의 누름판(210)측에 하방향 가압력이 파지볼(250)측에 전달됨에 따라 상기 파지볼(250)이 좌,우측 클램핑편(432,434)의 하단부에 접촉되면서 상기 좌,우측 클램핑편(432,434)의 하단부가 회전핀(435)을 중심으로 양 외측으로 회전되면서 좌,우측 클램핑편(432,434)의 상단부가 벌어지도록 회전되며, 상기 파지볼(250)을 클램핑 파지하는 클램핑상태가 해제되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푸쉬부재(200)의 하판(230)이 인장스프링(420)의 인장력에 의해 상측으로 상승동작되고 푸쉬부재(200)의 누름판(210)이 수납홈(105)의 상측으로 돌출되면서 수납홈(105)을 개방시키게 된다.
이후에, 상기 푸쉬부재(200)의 상부몸체(220)의 외주에 연결된 끈부재(300)의 고리(310)를 수납홈(105)의 외측으로 인출시켜 헤드레스트(20)의 후방에 위치시킨 후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20)의 후방측으로 인출된 상기 끈부재(300)의 고리(310)에 옷걸이의 단부를 걸어서 연결하여 옷걸이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가 푸쉬부재(200)의 누름판(210)을 가압 터치하는 횟수가 짝수일 경우, 상기 푸쉬부재(200)의 누름판(210)이 하강동작되어 수납홈(105)의 상부를 덮게 됨과 아울러, 상기 푸쉬부재(200)의 하판(230)과 하부몸체(240) 및 파지볼(250)이 하우징(410)의 내부에서 하측으로 하강동작되며, 상기 파지볼(250)이 좌,우측 클램핑편(432,434)의 상단부에 접촉되면서 서로 벌어지게 되어 파지볼(250)이 상기 좌,우측 클램핑편(432,434)의 내측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상기 좌,우측 클램핑편(432,434)의 상단부가 상기 복귀스프링(437)의 복원 탄성력에 의해 상기 파지볼(250)을 감싸는 형태로 클램핑 파지하여 상기 푸쉬부재(200)의 하강동작을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승강수단(400)은 상기 푸쉬부재(200)의 누름판(210)을 통해 사용자의 터치 가압력이 전달될 경우 터치 횟수에 따라 상기 파지볼(250)을 좌,우측 클램핑편(432,434)으로 클램핑 파지하여 푸쉬부재(200)의 하강동작을 유지시키거나, 파지볼(250)이 클램핑 해제되어 상기 인장스프링(420)의 인장력에 의해 푸쉬부재(200)가 상승동작되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푸쉬부재(200)의 누름판(210)이 헤드레스트(20)의 베이스 블록(25)의 상부면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하강동작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되어 급정거시 뒷좌석 탑승객이 부딪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옷걸이를 지지하고자 할 경우에는 푸쉬부재(200)의 누름판(210)을 하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파지볼(250)과 좌,우측 클램핑편(432,434)의 클램핑 상태가 해제되면서 인장스프링(420)의 인장력에 의해 푸쉬부재(200)의 누름판(210)이 수납홈(105)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끈부재(300)의 고리(310)를 수납홈(105)의 외측으로 인출시켜 옷걸이의 단부를 상기 고리(310)에 걸어서 연결함으로써 옷걸이를 차량의 헤드레스트(20)에 마련된 옷걸이 지지장치를 이용하여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푸쉬부재(200)의 누름판(210)을 가압 터치하는 횟수에 따라 파지볼(250)의 클램핑 동작 또는 클램핑 상태 해제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수납홈(105) 내,외측으로 끈부재(300)를 인입 또는 인출시킬 수 있게 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10 : 시트 등받이 20 : 헤드레스트
22 : 쿠션체 25 : 베이스 블록
100 : 케이스 105 : 수납홈
200 : 푸쉬부재 210 : 누름판
220 : 상부몸체 230 : 하판
240 : 하부몸체 250 : 파지볼
300 : 끈부재 310 : 고리
400 : 승강수단 410 : 하우징
420 : 인장스프링 432,434 : 클램핑편
435 : 회전핀 437 : 복귀스프링

Claims (2)

  1. 사용자의 후두부가 지지되는 전면부에 가죽 소재의 쿠션체(22)가 배치되고, 후면부에 합성수지재의 베이스 블록(25)이 배치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20)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블록(25)의 상부면에 배치되고, 하측으로 오목한 수납홈(105)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홈(105) 바닥면에 관통공이 형성된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의 관통공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상부몸체(220)와, 상기 상부몸체(220)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수납홈(105) 내에 배치되며, 사용자가 가압하는 누름판(210)을 구비하는 푸쉬부재(200)와;
    상기 상부몸체(220)의 외주연에 결합되고, 옷걸이의 단부가 걸려져 지지되는 고리(310)를 갖는 끈부재(300)와;
    상기 푸쉬부재(200)를 상승위치와 하강위치에서 멈춤되도록 승강동작시키는 승강수단(400);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400)은,
    상기 푸쉬부재(200)는 상기 상부몸체(220)의 하단부에 상기 상부몸체(220)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하판(230)과, 상기 하판(230)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하부몸체(240)와, 상기 하부몸체(24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파지볼(250)을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에 고정배치되고, 상기 상부몸체(220), 하판(230) 및 파지볼(250)이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하우징(410)과,
    상기 하우징(410)의 상면과 상기 하판(23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푸쉬부재(200)를 상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인장스프링(420)과;
    상기 하우징(410)의 내부측 하부에 고정되는 회전핀(435)과, 각 일단부가 상기 회전핀(435)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각 타단부가 상기 파지볼(250)의 직경보다 작은 간격으로 벌어진 한쌍의 클램핑편(432,434)과, 상기 회전핀(435)에 결합되고 상기 클램핑편(432,434)이 상기 파지볼(250)을 감싸도록 상기 클램핑편(432,434)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복귀스프링(437)을 구비한 클램핑기구;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KR1020210098866A 2021-07-28 2021-07-28 차량용 헤드레스트 KR202300174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866A KR20230017420A (ko) 2021-07-28 2021-07-28 차량용 헤드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866A KR20230017420A (ko) 2021-07-28 2021-07-28 차량용 헤드레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7420A true KR20230017420A (ko) 2023-02-06

Family

ID=85224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8866A KR20230017420A (ko) 2021-07-28 2021-07-28 차량용 헤드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742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6608Y1 (ko) 2001-09-01 2001-12-24 이근택 차량용 옷걸이
KR100868139B1 (ko) 2007-11-08 2008-11-10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차량의 옷걸이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6608Y1 (ko) 2001-09-01 2001-12-24 이근택 차량용 옷걸이
KR100868139B1 (ko) 2007-11-08 2008-11-10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차량의 옷걸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506765A5 (ko)
KR20230017420A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KR101135737B1 (ko) 자동차 시트용 물품유지구
CN109703427B (zh) 一种可旋转伸缩的汽车靠枕
KR101033493B1 (ko)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CN112046401B (zh) 非对称对开扶手及汽车
KR100568677B1 (ko) 슬라이딩 방식의 쇼핑백 걸이 구조
CN115162873A (zh) 可翻转扶手及具有该可翻转扶手的控制台组件
KR0143110B1 (ko) 자동차의 컵홀더구조
KR20230017422A (ko)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옷걸이 지지구조체
KR20220163813A (ko) 차량 헤드레스트용 걸이대
KR100581167B1 (ko) 자동차용 시트 트레이
KR200256608Y1 (ko) 차량용 옷걸이
CN213501979U (zh) 一种汽车座椅头枕导套
US20240092244A1 (en) Assist handle for vehicles
KR20220163814A (ko) 차량 헤드레스트용 걸이대
JP2007282746A (ja) 車両用シート
KR200250542Y1 (ko) 의자 부착식 옷걸이
KR100259958B1 (ko) 컵홀더 어셈블리
JP4169701B2 (ja) 乗り物用座席装置
JP3214533U (ja) 前後スライド自動車用フック
KR0128699Y1 (ko) 자동차의 아암 레스트구조
CN210062750U (zh) 一种新型的乘用车后座椅中央扶手
KR20220163812A (ko) 차량 헤드레스트용 걸이대
JPH0593296U (ja) 車両用座席のヘッドレス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