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7403A -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7403A
KR20230017403A KR1020210098610A KR20210098610A KR20230017403A KR 20230017403 A KR20230017403 A KR 20230017403A KR 1020210098610 A KR1020210098610 A KR 1020210098610A KR 20210098610 A KR20210098610 A KR 20210098610A KR 20230017403 A KR20230017403 A KR 20230017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openings
conductive layer
display devic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8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진석
고무순
김동훈
임상훈
김동조
김영지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8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7403A/ko
Priority to US17/872,904 priority patent/US20230030952A1/en
Priority to CN202210877450.3A priority patent/CN115696962A/zh
Publication of KR20230017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74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6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lective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8Arrangements for polarized light emiss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4Insulating layers formed between TFT elements and OLED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6Shielding, e.g. light-blocking means over the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60OLEDs integrated with inorganic light-sensitive elements, e.g. with inorganic solar cells or inorganic photodiodes
    • H10K59/65OLEDs integrated with inorganic image sens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ome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투과 영역 및 투과 영역과 인접하는 비투과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영역 및 제1 영역보다 투과율이 낮은 제2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기판 상의 비투과 영역 및 제2 영역에 배치되는 표시부, 기판과 표시부 사이에 배치되며, 투과 영역과 중첩하는 복수의 제1 개구들이 정의되는 도전층, 기판과 도전층 사이에 배치되며, 도전층과 중첩하며, 투과 영역과 중첩하는 복수의 제2 개구들이 정의되는 저반사층 및 기판의 아래에 배치되며, 도전층과 중첩하며, 투과 영역과 중첩하는 복수의 제3 개구들이 정의되는 편광 필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전면 발광이 가능한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표시 장치는 전기적 신호를 영상으로 변환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은 표시 장치에 입사되는 외광을 투과하는 투과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투과 영역을 통해 표시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기능성 모듈이 표시 패널의 전면에 위치하는 사물, 사용자 등을 감지하거나 인식할 수 있다.
외광이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을 가지는 투과 영역을 통과하여 기능성 모듈에 입사되는 경우에 빛의 간섭이 일어날 수 있다. 또한, 간섭된 외광이 표시 패널 및/또는 기능성 모듈에 의해 반사되는 경우에 사용자가 투과 영역에서 고스트 화상(ghost image) 등을 시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투과 영역에서 외광 반사를 감소시키거나 실질적으로 방지할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외광 반사가 감소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목적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투과 영역 및 상기 투과 영역과 인접하는 비투과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보다 투과율이 낮은 제2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의 상기 비투과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는 표시부, 상기 기판과 상기 표시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투과 영역과 중첩하는 복수의 제1 개구들이 정의되는 도전층, 상기 기판과 상기 도전층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도전층과 중첩하며, 상기 투과 영역과 중첩하는 복수의 제2 개구들이 정의되는 저반사층 및 상기 기판의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도전층과 중첩하며, 상기 투과 영역과 중첩하는 복수의 제3 개구들이 정의되는 편광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평면도 상에서, 상기 제1 개구들과 상기 제2 개구들은 각각 서로 중첩하고, 상기 제1 개구들과 상기 제3 개구들은 각각 서로 중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평면도 상에서, 상기 제3 개구들 각각의 면적은 상기 제1 개구들 각각의 면적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개구들 및 상기 제2 개구들 각각은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도전층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복수의 단위 패턴들 및 상기 단위 패턴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브릿지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개구들 각각은 상기 단위 패턴들 및 상기 브릿지 패턴들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저반사층은 비정질 실리콘, 실리콘 산화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편광 필름의 반사율은 상기 도전층의 반사율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기판 및 상기 편광 필름의 하부에 배치되는 기능성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도전층 상에 배치되는 트랜지스터 및 상기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트랜지스터 및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비투과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과만 중첩하며, 상기 투과 영역과는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투과 영역 및 상기 투과 영역과 인접하는 비투과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보다 투과율이 낮은 제2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의 상기 비투과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는 표시부, 상기 기판과 상기 표시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비투과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중첩하고, 상기 투과 영역과 중첩하는 복수의 제1 개구들이 정의되는 도전층, 상기 기판과 상기 도전층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도전층과 중첩하고, 상기 제1 개구들과 각각 중첩하며 상기 제1 개구들 각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제2 개구들이 정의되는 저반사층 및 상기 기판의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도전층과 중첩하고, 상기 제1 개구들과 각각 중첩하며 상기 제1 개구들 각각의 면적보다 작거나 같은 면적을 갖는 복수의 제3 개구들이 정의되는 편광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도전층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복수의 단위 패턴들 및 상기 단위 패턴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브릿지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개구들 각각은 상기 단위 패턴들 및 상기 브릿지 패턴들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투과 영역 및 상기 투과 영역과 인접하는 비투과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보다 투과율이 낮은 제2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에 저반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저반사층 상에 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도전층 중 상기 투과 영역과 중첩하는 부분을 패터닝하여 복수의 제1 개구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투과 영역과 중첩하는 상기 저반사층을 패터닝하여 복수의 제2 개구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도전층 상에 표시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판의 아래에 편광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편광 필름에 상기 제1 개구들과 각각 중첩하는 복수의 제3 개구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편광 필름은 상기 도전층과 중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평면도 상에서, 상기 제3 개구들 각각의 면적은 상기 제1 개구들 각각의 면적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개구들과 상기 제2 개구들은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개구들 및 상기 제2 개구들 각각은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개구들은 상기 편광 필름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가 투과 영역 및 비투과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비투과 영역에 배치되는 도전층 하부에 상기 도전층과 중첩하는 저반사층 및 편광 필름을 포함함에 따라, 상기 제1 영역을 통과하는 외광의 반사를 감소시키거나 실질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영역에서의 외광의 간섭 및 반사에 의한 고스트 화상이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전술한 효과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 선을 따라 자른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포함된 제1 영역의 일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I-II' 라인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III-III' 라인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 선을 따라 자른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는 표시 패널(100), 편광 필름(POL), 및 기능성 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제1 영역(A1) 및 제2 영역(A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A1) 및 상기 제2 영역(A2) 각각은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A1)은 외광을 투과하는 투과 영역 및 상기 투과 영역을 둘러싸는 비투과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A1)은 화상을 표시하면서도 상기 제1 영역(A1)에 입사되는 외광을 투과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A1)과 상기 제2 영역(A2)은 서로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A2)은 상기 제1 영역(A1)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영역(A1)은 평면상 상기 표시 패널(100)의 가장자리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표시 패널(100)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영역(A2)은 상기 제1 영역(A1)의 전부를 둘러쌀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A1)은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 제1 영역(A1)은 다양한 다각형의 평면 형상들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기판(SUB), 표시부(DP), 도전층(예를 들면, 도 3 및 도 4의 도전층(CP)), 저반사층(예를 들면, 도 3 및 도 4의 저반사층(LRL)), 및 봉지층(E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00)이 상기 제1 영역(A1) 및 상기 제2 영역(A2)을 포함함에 따라, 상기 기판(SUB)도 상기 제1 영역(A1) 및 상기 제2 영역(A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DP)는 상기 기판(SU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DP)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소들은 트랜지스터 및 상기 트랜지스터와 연결되는 발광 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전층은 상기 기판(SUB)과 상기 표시부(DP)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저반사층은 상기 기판(SUB)과 상기 도전층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POL)은 상기 기판(SUB)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편광 필름(POL)은 상기 제1 영역(A1)과 부분적으로 중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편광 필름(POL)은 상기 제1 영역(A1) 중 상기 비투과 영역과만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편광 필름(POL)은 상기 제1 영역(A1) 및 상기 제2 영역(A2)과 중첩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모듈(200)은 상기 제1 영역(A1)에 대응되는 상기 표시 패널(1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모듈(200)은 상기 제1 영역(A1)에서 상기 편광 필름(POL)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모듈(200)은 상기 제1 영역(A1)을 통과하는 외광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모듈(200)의 예로서는 카메라 모듈, 얼굴 인식 센서 모듈, 동공 인식 센서 모듈, 가속도 센서 모듈, 근접 센서 모듈, 적외선 센서 모듈, 및 조도 센서 모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은 표시 장치의 전면에 위치하는 사물의 화상을 촬영(또는 인식)하는 모듈일 수 있다. 상기 얼굴 인식 센서 모듈은 사용자의 얼굴을 감지하는 모듈일 수 있다. 상기 동공 인식 센서 모듈은 사용자의 눈동자를 감지하는 모듈일 수 있다. 상기 가속도 센서 모듈 및 지자기 센서 모듈은 상기 표시 장치의 움직임을 판단하는 모듈일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 모듈 및 상기 적외선 센서 모듈은 상기 표시 장치의 전면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는 모듈일 수 있다. 상기 조도 센서 모듈은 외부의 밝기의 정도를 측정하는 모듈일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포함된 제1 영역의 일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영역(A1)은 투과 영역(TA) 및 비투과 영역(NT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투과 영역(NTA)은 상기 투과 영역(TA)과 인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투과 영역(TA)은 상기 도전층(CP)이 배치되지 않은 영역일 수 있고, 상기 비투과 영역(NTA)은 상기 도전층(CP)이 배치된 영역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과 영역(TA) 및 상기 비투과 영역(NTA)은 상기 도전층(CP)의 형상에 따라 배치 관계와 면적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투과 영역(TA)은 상기 표시 장치(10)에 입사하는 외광이 투과되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A1)이 외광이 투과하는 상기 투과 영역(TA)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1 영역(A1)에 대응되는 상기 표시 패널(100)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기능성 모듈(200)이 상기 투과 영역(TA)을 통해 상기 표시 장치(10)의 전면에 위치하는 사물 또는 사용자를 감지하거나 인식할 수 있다.
상기 비투과 영역(NTA)은 상기 표시부(DP)로부터 생성되는 광이 방출되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표시부(DP)는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소들은 서로 다른 색의 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서브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브 화소들은 적색 광을 방출하는 적색 서브 화소, 녹색 광을 방출하는 녹색 서브 화소 및 청색 광을 방출하는 청색 서브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브 화소들은 스트라이프(stripe) 방식으로 배열되거나, 펜타일??(pentile??)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A1)이 상기 투과 영역(TA)을 포함함에 따라, 상기 제1 영역(A1)의 단위 면적 당 상기 서브 화소들의 개수는 상기 제2 영역(A2)의 단위 면적 당 서브 화소들의 개수보다 작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영역(A1)의 해상도는 상기 제2 영역(A2)의 해상도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영역(A1)이 상기 투과 영역(TA)을 포함함에 따라, 상기 제1 영역(A1)의 투과율은 상기 제2 영역(A2)의 투과율보다 높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2 영역(A2)의 투과율은 상기 제1 영역(A1)의 투과율보다 낮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비투과 영역(NTA)에 대응되는 상기 기판(SUB) 상에 상기 도전층(CP)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전층(CP)은 상기 비투과 영역(NTA)과 중첩하고, 상기 투과 영역(TA)과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도전층(CP)은 복수의 단위 패턴들(UP) 및 상기 단위 패턴들(UP)을 연결하는 복수의 브릿지 패턴들(BP)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단위 패턴들(UP)은 다양한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단위 패턴들(UP)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도전층(CP)에 제1 개구들(OP1)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개구들(OP1)은 상기 단위 패턴들(UP) 및 상기 브릿지 패턴들(BP)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 개구들(OP1)은 상기 투과 영역(TA)과 중첩할 수 있다.
상기 제1 개구들(OP1)이 상기 도전층(CP)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투과 영역(TA)이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개구들(OP1)로 인해 상기 투과 영역(TA)에서 외광이 투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도전층(CP) 아래에 상기 저반사층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저반사층은 상기 도전층(CP)과 중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저반사층의 형상은 상기 도전층(CP)의 형상과 동일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저반사층의 형상이 상기 도전층(CP)의 형상과 동일함에 따라, 상기 저반사층은 상기 비투과 영역(NTA)과 중첩하고, 상기 투과 영역(TA)과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저반사층도 복수의 단위 패턴들 및 상기 단위 패턴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브릿지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반사층에 제2 개구들(OP2)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개구들(OP2)은 상기 저반사층에 포함된 상기 단위 패턴들 및 상기 브릿지 패턴들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2 개구들(OP2)은 상기 제1 개구들(OP1)과 각각 중첩할 수 있고, 상기 제1 개구들(OP1)과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개구들(OP2)은 상기 투과 영역(TA)과 중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판(SUB) 아래에 상기 편광 필름(POL)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POL)은 상기 도전층(CP)과 중첩할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POL)의 형상은 상기 도전층(CP)의 형상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POL)의 면적은 상기 도전층(CP)의 면적과 같을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POL)은 상기 도전층(CP)과 전체적으로 중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편광 필름(POL)은 상기 비투과 영역(NTA)과 중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편광 필름(POL)도 복수의 단위 패턴들 및 상기 단위 패턴들을 연결하는 브릿지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POL)에 제3 개구들(OP3)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개구들(OP3)은 상기 편광 필름(POL)에 포함된 상기 단위 패턴들 및 상기 브릿지 패턴들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3 개구들(OP3)은 상기 제1 개구들(OP1)과 각각 중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편광 필름(POL)의 면적이 상기 도전층(CP)의 면적과 같을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제3 개구들(OP3) 각각의 면적은 상기 제1 개구들(OP1) 각각의 면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II-II' 라인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 패널(100)은 상기 기판(SUB), 상기 배리어층(BRR), 상기 저반사층(LRL), 상기 도전층(CP), 상기 표시부(DP) 및 봉지층(E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DP)는 버퍼층(BFR), 게이트 절연층(GI), 층간 절연층(ILD), 트랜지스터(TR), 비아 절연층(VIA), 화소 정의막(PDL), 및 발광 소자(L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랜지스터(TR)는 액티브층(ACT), 소스 전극(SE), 게이트 전극(GE), 및 드레인 전극(D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LD)는 제1 전극(E1), 발광층(LL), 및 제2 전극(E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봉지층(EL)은 제1 무기 봉지층(IL1), 유기 봉지층(OL), 및 제2 무기 봉지층(IL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SUB)은 투명한 물질 또는 불투명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SUB)을 이루는 물질의 예로서는 플라스틱,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물질들은 단독으로 또는 혼합해서 사용될 수 있다. 다만, 기판(SUB)을 이루는 물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기판(SUB)은 규소를 포함하는 유리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SUB) 상에 상기 배리어층(BRR)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리어층(BRR)은 상기 기판(SUB)의 하부에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배리어층(BRR)을 이루는 물질의 예로서는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질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물질들은 단독으로 또는 혼합해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투과 영역(NTA)에서, 상기 배리어층(BRR) 상에 상기 저반사층(LRL)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저반사층(LRL)은 비정질 실리콘, 실리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반사층(LRL)은 외광이 상기 도전층(CP)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저반사층(LRL)의 반사율은 상기 도전층(CP)의 반사율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비투과 영역(NTA)에서, 상기 저반사층(LRL) 상에 상기 도전층(CP)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전층(CP)은 표시 장치(10)의 외부에서 입사하는 외광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전층(CP)은 광 투과성이 낮은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층(CP)은 도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전층(CP)을 이루는 도전 물질의 예로서는 알루미늄, 백금, 팔라듐, 은, 마그네슘, 금, 니켈, 네오디윰, 이리듐, 크롬, 리튬, 칼슘, 몰리브덴, 티타늄, 텅스텐, 구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물질들은 단독으로 또는 혼합해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전층(CP)은 몰리브덴(Mo)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투과 영역(NTA)에서, 상기 도전층(CP) 상에 상기 버퍼층(BFR)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버퍼층(BFR)은 상기 도전층(CP)을 덮을 수 있다. 상기 버퍼층(BFR)은 상기 도전층(CP)으로부터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버퍼층(BFR)을 이루는 물질의 예로서는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질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물질들은 단독으로 또는 혼합해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투과 영역(NTA)에서, 상기 버퍼층(BFR) 상에는 액티브층(ACT)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액티브층(ACT)은 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액티브층(ACT)은 실리콘계 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액티브층(ACT)은 산화물계 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투과 영역(NTA)에서, 상기 버퍼층(BFR) 상에는 상기 게이트 절연층(GI)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층(GI)은 상기 액티브층(ACT)을 덮을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층(GI)은 상기 액티브층(ACT)과 상기 게이트 전극(GE)을 절연시킬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층(GI)은 무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게이트 절연층(GI)은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질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투과 영역(NTA)에서, 상기 게이트 절연층(GI) 상에는 상기 게이트 전극(GE)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GE)은 상기 액티브층(ACT)과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GE)은 도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게이트 전극(GE)을 이루는 도전 물질의 예로서는 알루미늄, 백금, 팔라듐, 은, 마그네슘, 금, 니켈, 네오디윰, 이리듐, 크롬, 리튬, 칼슘, 몰리브덴, 티타늄, 텅스텐, 구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물질들은 단독으로 또는 혼합해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GE)에 전기 신호가 인가될 경우, 상기 소스 전극(SE) 및 상기 드레인 전극(DE)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비투과 영역(NTA)에서, 상기 게이트 절연층(GI) 상에는 상기 층간 절연층(ILD)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층간 절연층(ILD)은 상기 게이트 전극(GE)을 덮을 수 있다. 상기 층간 절연층(ILD)은 상기 게이트 전극(GE)과 상기 소스 전극(SE)을 절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층간 절연층(ILD)은 상기 게이트 전극(GE)과 상기 드레인 전극(DE)을 절연시킬 수 있다. 상기 층간 절연층(ILD)은 무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층간 절연층(ILD)을 이루는 무기 절연 물질의 예로서는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질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물질들은 단독으로 또는 혼합해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투과 영역(NTA)에서, 상기 층간 절연층(ILD) 위에는 상기 소스 전극(SE) 및 상기 드레인 전극(DE)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소스 전극(SE) 및 상기 드레인 전극(DE)은 상기 액티브층(ACT)과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스 전극(SE)은 상기 층간 절연층(ILD) 및 상기 게이트 절연층(GI)을 관통하는 관통홀을 통해 상기 액티브층(ACT)의 일 측과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드레인 전극(DE)은 상기 층간 절연층(ILD) 및 상기 게이트 절연층(GI)을 관통하는 관통홀을 통해 상기 액티브층(ACT)의 타 측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소스 전극(SE) 및 상기 드레인 전극(DE) 각각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스 전극(SE) 및 상기 드레인 전극(DE)을 이루는 도전성 물질의 예로서는 알루미늄, 백금, 팔라듐, 은, 마그네슘, 금, 니켈, 네오디윰, 이리듐, 크롬, 리튬, 칼슘, 몰리브덴, 티타늄, 텅스텐, 구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물질들은 단독으로 또는 혼합해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투과 영역(NTA) 및 상기 투과 영역(TA)에서, 상기 비아 절연층(VIA)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투과 영역(NTA)에서, 상기 층간 절연층(ILD) 위에 상기 비아 절연층(VIA)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투과 영역(TA)에서, 상기 배리어층(BRR) 위에 상기 비아 절연층(VIA)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비아 절연층(VIA)은 상기 비투과 영역(NTA) 및 상기 투과 영역(TA)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비아 절연층(VIA)은 상기 비투과 영역(NTA)에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 상기 비아 절연층(VIA)은 단층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비아 절연층(VIA)은 다층일 수 있다.
상기 비아 절연층(VIA)은 상기 소스 전극(SE) 및 상기 드레인 전극(DE)을 덮을 수 있다. 상기 비아 절연층(VIA)은 상기 저반사층(LRL), 상기 도전층(CP), 상기 버퍼층(BFR), 상기 게이트 절연층(GI), 및 상기 층간 절연층(ILD)의 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비아 절연층(VIA)은 평탄한 상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비아 절연층(VIA)은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아 절연층(VIA)을 이루는 유기 절연 물질의 예로서는 아크릴, BCB(benzocyclobutene), HMDSO(hexamethyldisiloxane)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물질들은 단독으로 또는 혼합해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투과 영역(NTA)에서, 상기 비아 절연층(VIA) 위에는 상기 제1 전극(E1)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E1)은 상기 드레인 전극(DE)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전극(E1)은 상기 비아 절연층(VIA)을 관통하는 관통홀을 통해 드레인 전극(DE)의 일 측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E1)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전극(E1)을 이루는 도전성 물질의 예로서는 ITO, IZO, IGO, AZO, IGZO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물질들은 단독으로 또는 혼합해서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전극(E1)은 상기 게이트 전극(GE)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비투과 영역(NTA)에서, 상기 비아 절연층(VIA) 위에는 상기 화소 정의막(PDL)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화소 정의막(PDL)은 상기 제1 전극(E1)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상기 화소 정의막(PDL)은 상기 제1 전극(E1)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투과 영역(NTA)에서, 상기 제1 전극(E1) 위에는 상기 발광층(LL)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층(LL)은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유기 발광층, 전자 주입층, 전자 수송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층(LL)은 광을 발광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발광층(LL)은 무기 발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기 발광 물질은 질산 갈륨(Ga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투과 영역(NTA)에서, 상기 화소 정의막(PDL) 위에는 상기 제2 전극(E2)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E2)은 상기 발광층(LL)을 덮으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E2)은 일함수가 상대적으로 작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전극(E2)을 이루는 예로서는 리튬, 칼슘, 알루미늄, 은, 마그네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물질들은 단독으로 또는 혼합해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투과 영역(NTA)에서, 상기 액티브층(ACT), 상기 게이트 전극(GE), 상기 소스 전극(SE) 및 상기 드레인 전극(DE)은 상기 트랜지스터(TR)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비투과 영역(NTA)에서, 상기 제1 전극(E1), 상기 발광층(LL) 및 상기 제2 전극(E2)은 상기 발광 소자(LD)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발광층(LL)은 상기 제1 전극(E1)을 통해 상기 트랜지스터(TR)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발광층(LL)은 상기 트랜지스터(TR)로부터 전기 신호를 받아, 상기 전기 신호의 세기에 대응하는 휘도의 광을 발광할 수 있다.
상기 트랜지스터(TR) 및 상기 발광 소자(LD)는 상기 비투과 영역(NTA)과만 중첩할 수 있다. 상기 트랜지스터(TR) 및 상기 발광 소자(LD)는 상기 투과 영역(TA)과는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과 영역(TA)은 광을 투과시키고 상기 비투과 영역(NTA)은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영역(A1)이 상기 투과 영역(TA) 및 상기 비투과 영역(NTA)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1 영역(A1)은 상기 제2 영역(A2)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비투과 영역(NTA) 및 상기 투과 영역(TA)에서, 상기 제1 무기 봉지층(IL1)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투과 영역(NTA)에서, 상기 제2 전극(PE2) 위에 상기 제1 무기 봉지층(IL1)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투과 영역(TA)에서, 상기 제1 무기 봉지층(IL1)은 상기 비아 절연층(VIA)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무기 봉지층(IL1)은 상기 화소 정의막(PDL) 및 상기 제2 전극(PE2)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제1 무기 봉지층(IL1)을 이루는 물질의 예로서는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질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물질들은 단독으로 또는 혼합해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투과 영역(NTA) 및 상기 투과 영역(TA)에서, 상기 제1 무기 봉지층(IL1) 위에는 상기 유기 봉지층(OL)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무기 봉지층(IL1)은 하부의 구조물을 따라 형성되므로, 상기 제1 무기 봉지층(IL1)의 상면은 평탄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유기 봉지층(OL)은 상기 제1 무기 봉지층(IL1)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고, 평탄화 공정을 거쳐 평탄한 상면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표시 장치(10)는 상기 유기 봉지층(OL) 상에 배치되는 구성들(예를 들어, 터치 감지층, 커버 윈도우 등)이 배치될 때 갭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유기 봉지층(OL)은 실질적으로 평탄한 상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유기 봉지층(OL)을 구성하는 물질의 예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틸렌설포네이트, 폴리옥시메틸렌, 폴리아릴레이트, 헥사메틸디실록산, 아크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물질들은 단독으로 또는 혼합해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투과 영역(NTA) 및 상기 투과 영역(TA)에서, 상기 유기 봉지층(OL) 위에는 상기 제2 무기 봉지층(IL2)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무기 봉지층(IL2)을 구성하는 물질의 예로서는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질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물질들은 단독으로 또는 혼합해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무기 봉지층(IL1), 상기 유기 봉지층(OL) 및 상기 제2 무기 봉지층(IL2)은 상기 표시 장치(10) 외부로부터의 수분, 산소 등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비투과 영역(NTA) 및 상기 투과 영역(TA)에서, 상기 제1 무기 봉지층(IL1), 상기 유기 봉지층(OL) 및 상기 제2 무기 봉지층(IL2)은 상기 봉지층(EL)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봉지층(EL)은 상기 비투과 영역(NTA) 및 상기 투과 영역(TA)과 중첩할 수 있다. 즉, 상기 봉지층(EL)은 상기 비투과 영역(NTA)에서부터 상기 투과 영역(TA)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비투과 영역(NTA)에서 상기 기판(SUB) 아래에는 상기 편광 필름(POL)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POL)의 반사율은 상기 도전층(CP)의 반사율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POL)은 상기 기능성 모듈(200)에 의해 반사된 외광이 상기 도전층(CP)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편광 필름(POL)은 상기 도전층(CP)의 전체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외광이 상기 제1 영역(A1)을 통과하는 경우에 빛의 간섭이 일어날 수 있고, 간섭된 상기 외광이 상기 표시 패널(100) 및/또는 상기 기능성 모듈(200)에 의해 반사되는 경우에 사용자는 상기 제1 영역(A1)에 표시되는 고스트 화상(ghost image) 등을 시인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표시 장치(10)가 상기 제1 영역(A1)에 배치되고, 상기 도전층(CP)과 중첩하는 상기 저반사층(LRL) 및 상기 편광 필름(POL)을 포함함에 따라, 상기 외광이 상기 기능성 모듈(200)에 의해 반사되더라도 상기 외광이 상기 도전층(CP)에 의해 재반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저반사층(LRL) 및 상기 편광 필름(POL)이 상기 도전층(CP)에 도달하는 상기 외광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고스트 화상(ghost image) 등을 시인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III-III' 라인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표시 장치는 상기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표시 장치와 편광 필름(POL)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기판(SUB) 아래에 편광 필름(POL)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POL)은 상기 도전층(CP)과 중첩할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POL)의 형상은 상기 도전층(CP)의 형상과 유사할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POL)의 면적은 상기 도전층(CP)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POL)은 상기 도전층(CP)과 전체적으로 중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편광 필름(POL)은 상기 비투과 영역(NTA)과 중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편광 필름(POL)은 상기 투과 영역(TA)과도 일부 중첩할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POL)도 복수의 단위 패턴들 및 상기 단위 패턴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브릿지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개구들(OP3)은 상기 편광 필름(POL)에 포함된 상기 단위 패턴들 및 상기 브릿지 패턴들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3 개구들(OP3)은 상기 제1 개구들(OP1)과 각각 중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 개구들(OP3)은 상기 제1 개구들(OP1)과 각각 부분적으로 중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편광 필름(POL)의 면적이 상기 도전층(CP)의 면적보다 클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제3 개구들(OP3) 각각의 면적은 상기 제1 개구들(OP1) 각각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예를 들어, 도 7 내지 도 13은 도 1 내지 도 4에 따른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일 수 있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기판(SUB)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기판(SUB)은 제1 영역(A1) 및 제2 영역(A2)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영역(A1)은 투과 영역(TA) 및 상기 투과 영역(TA)과 인접하는 비투과 영역(NT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과 영역(TA) 및 상기 비투과 영역(NTA)에서, 상기 기판(SUB) 상에 배리어층(BRR)을 형성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투과 영역(TA) 및 상기 비투과 영역(NTA)에서, 상기 배리어층(BRR) 상에 저반사층(LRL)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저반사층(LRL) 상에 상기 도전층(CP)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저반사층(LRL)은 비정질 실리콘, 실리콘 산화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전층(CP)은 몰리브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도전층(CP) 및 상기 저반사층(LRL)을 동시에 패터닝할 수 있다. 상기 도전층(CP) 및 상기 저반사층(LRL)에서 상기 투과 영역(TA)과 중첩하는 부분을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도전층(CP)에는 제1 개구들(OP1),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1 단위 패턴들(예를 들면, 도 3의 단위 패턴들(UP)) 및 상기 제1 단위 패턴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1 브릿지 패턴들(예를 들면, 도 3의 브릿지 패턴들(BP))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개구들(OP1) 각각은 상기 제1 단위 패턴들 및 상기 제1 브릿지 패턴들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저반사층(LRL)에는 제2 개구들(OP2),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2 단위 패턴들 및 상기 제2 단위 패턴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2 브릿지 패턴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개구들(OP2) 각각은 상기 제2 단위 패턴들 및 상기 제2 브릿지 패턴들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개구들(OP1) 및 상기 제2 개구들(OP2)은 동시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개구들(OP1) 및 상기 제2 개구들(OP2)은 각각 중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개구들(OP1) 및 상기 제2 개구들(OP2) 각각은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전층(CP)과 상기 저반사층(LRL)을 동시에 패터닝함에 따라, 제조 공정이 단순해질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비투과 영역(NTA)에서, 상기 도전층(CP) 상에 표시부(DP)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DP)는 버퍼층(BFR), 게이트 절연층(GI), 액티브층(ACT), 소스 전극(SE), 드레인 전극(DE), 게이트 전극(GE), 층간 절연층(ILD), 비아 절연층(VIA), 화소 정의막(PDL) 및 발광 소자(LD)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도전층(CP) 상에 순차적으로 상기 버퍼층(BFR), 상기 게이트 절연층(GI), 상기 액티브층(ACT), 상기 소스 전극(SE), 상기 드레인 전극(DE), 상기 게이트 전극(GE), 상기 층간 절연층(ILD), 상기 비아 절연층(VIA), 상기 화소 정의막(PDL) 및 상기 발광 소자(LD)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LD)는 제1 전극(E1), 발광층(LL), 및 제2 전극(E2)을 포함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비투과 영역(NTA) 및 상기 투과 영역(TA)에서, 상기 표시부(DP) 상에 상기 봉지층(EL)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봉지층(EL)은 제1 무기 봉지층(IL1), 유기 봉지층(EL) 및 제2 무기 봉지층(EL)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투과 영역(TA) 및 상기 비투과 영역(NTA)에서, 상기 기판(SUB) 아래에 편광 필름(POL)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편광 필름(POL)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편광 필름(POL)을 패터닝할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POL)에서 상기 도전층(CP)과 중첩하지 않는 부분을 제거할 수 있다. 즉, 상기 편광 필름(POL)에서 상기 비투과 영역(NTA)과 중첩하는 부분이 남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편광 필름(POL)에는 제3 개구들(OP3),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3 단위 패턴들 및 상기 제3 단위 패턴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3 브릿지 패턴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개구들(OP3) 각각은 상기 제3 단위 패턴들 및 상기 제3 브릿지 패턴들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3 개구들(OP3)은 상기 제1 개구들(OP1)과 각각 중첩할 수 있고, 상기 편광 필름(POL)은 상기 도전층(CP)과 전체적으로 중첩할 수 있다. 상기 제3 개구들(OP3) 각각은 상기 제1 개구들(OP1) 각각의 형상과 동일하거나(예를 들면, 도 3 및 도 4의 제3 개구들(OP3)) 유사할 수 있다(예를 들면, 도 5 및 도 6의 제3 개구들(OP3)). 상기 제3 개구들(OP3) 각각의 면적은 상기 제1 개구들(OP1) 각각의 면적보다 작거나(예를 들면, 도 3 및 도 4의 제3 개구들(OP3)) 같을 수 있다(예를 들면, 도 5 및 도 6의 제3 개구들(OP3)).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피엠피(PMP), 피디에이(PDA), MP3 플레이어 등에 포함되는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 표시 장치 100: 표시 패널
DP: 표시부 POL: 편광 필름
EL: 봉지층 CP: 도전층
LRL: 저반사층 A1: 제1 영역
A2: 제2 영역 TA: 투과 영역
NTA: 비투과 영역 OP1: 제1 개구들
OP2: 제2 개구들 OP3: 제3 개구들

Claims (20)

  1. 투과 영역 및 상기 투과 영역과 인접하는 비투과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보다 투과율이 낮은 제2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의 상기 비투과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는 표시부;
    상기 기판과 상기 표시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투과 영역과 중첩하는 복수의 제1 개구들이 정의되는 도전층;
    상기 기판과 상기 도전층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도전층과 중첩하며, 상기 투과 영역과 중첩하는 복수의 제2 개구들이 정의되는 저반사층; 및
    상기 기판의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도전층과 중첩하며, 상기 투과 영역과 중첩하는 복수의 제3 개구들이 정의되는 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평면도 상에서, 상기 제1 개구들과 상기 제2 개구들은 각각 서로 중첩하고,
    상기 제1 개구들과 상기 제3 개구들은 각각 서로 중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평면도 상에서, 상기 제3 개구들 각각의 면적은 상기 제1 개구들 각각의 면적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들 및 상기 제2 개구들 각각은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복수의 단위 패턴들 및 상기 단위 패턴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브릿지 패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들 각각은 상기 단위 패턴들 및 상기 브릿지 패턴들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반사층은 비정질 실리콘, 실리콘 산화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필름의 반사율은 상기 도전층의 반사율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기판 및 상기 편광 필름의 하부에 배치되는 기능성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도전층 상에 배치되는 트랜지스터 및 상기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지스터 및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비투과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과만 중첩하며, 상기 투과 영역과는 중첩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투과 영역 및 상기 투과 영역과 인접하는 비투과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보다 투과율이 낮은 제2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의 상기 비투과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는 표시부;
    상기 기판과 상기 표시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비투과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중첩하고, 상기 투과 영역과 중첩하는 복수의 제1 개구들이 정의되는 도전층;
    상기 기판과 상기 도전층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도전층과 중첩하고, 상기 제1 개구들과 각각 중첩하며 상기 제1 개구들 각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제2 개구들이 정의되는 저반사층; 및
    상기 기판의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도전층과 중첩하고, 상기 제1 개구들과 각각 중첩하며 상기 제1 개구들 각각의 면적보다 작거나 같은 면적을 갖는 복수의 제3 개구들이 정의되는 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복수의 단위 패턴들 및 상기 단위 패턴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브릿지 패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들 각각은 상기 단위 패턴들 및 상기 브릿지 패턴들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5. 투과 영역 및 상기 투과 영역과 인접하는 비투과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보다 투과율이 낮은 제2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에 저반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저반사층 상에 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도전층 중 상기 투과 영역과 중첩하는 부분을 패터닝하여 복수의 제1 개구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투과 영역과 중첩하는 상기 저반사층을 패터닝하여 복수의 제2 개구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도전층 상에 표시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판의 아래에 편광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편광 필름에 상기 제1 개구들과 각각 중첩하는 복수의 제3 개구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필름은 상기 도전층과 중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평면도 상에서, 상기 제3 개구들 각각의 면적은 상기 제1 개구들 각각의 면적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들과 상기 제2 개구들은 동시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들 및 상기 제2 개구들 각각은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개구들은 상기 편광 필름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210098610A 2021-07-27 2021-07-27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3001740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610A KR20230017403A (ko) 2021-07-27 2021-07-27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7/872,904 US20230030952A1 (en) 2021-07-27 2022-07-25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202210877450.3A CN115696962A (zh) 2021-07-27 2022-07-25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610A KR20230017403A (ko) 2021-07-27 2021-07-27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7403A true KR20230017403A (ko) 2023-02-06

Family

ID=85039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8610A KR20230017403A (ko) 2021-07-27 2021-07-27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030952A1 (ko)
KR (1) KR20230017403A (ko)
CN (1) CN115696962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30952A1 (en) 2023-02-02
CN115696962A (zh) 2023-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26244B2 (en) Touch screen panel and display apparatus with integrated touch screen
KR10248009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1803278B2 (en) Display device having electrodes having sensor and auxiliary sensor parts
CN108598109B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20180023097A (ko) 표시 장치
KR20190085191A (ko) 표시 장치
KR20200051883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20210249635A1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210399060A1 (en) Display apparatus
US11839107B2 (en) Touch display device
KR20210054390A (ko) 터치표시장치
US20210210584A1 (en) Display apparatus
KR20230017403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240162404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825708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first and second wirings
US20220158127A1 (en) Display panel and electronic device
KR20240072428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68689B1 (ko)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20094445A (ko) 표시장치
KR20220094975A (ko) 표시장치
KR20220039974A (ko) 표시 장치
KR20240054475A (ko)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20230099770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20230161320A (ko) 표시 장치
TWM650976U (zh) 顯示裝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