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8689B1 -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8689B1
KR102668689B1 KR1020180053926A KR20180053926A KR102668689B1 KR 102668689 B1 KR102668689 B1 KR 102668689B1 KR 1020180053926 A KR1020180053926 A KR 1020180053926A KR 20180053926 A KR20180053926 A KR 20180053926A KR 102668689 B1 KR102668689 B1 KR 102668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display
substrate
area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0094A (ko
Inventor
방주혁
마성진
안이준
조인호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3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8689B1/ko
Priority to US16/408,385 priority patent/US11270613B2/en
Priority to EP19173763.4A priority patent/EP3567574A1/en
Priority to CN201910389123.1A priority patent/CN110473980A/zh
Publication of KR20190130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0094A/ko
Priority to US17/688,559 priority patent/US1172126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8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8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60OLEDs integrated with inorganic light-sensitive elements, e.g. with inorganic solar cells or inorganic photodi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7/14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camera and display on the same optical axis, e.g. optically multiplexing the camera and display for eye to eye contac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09G2300/046Pixel structures with an emissive area and a light-modulating area combined in one pixe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02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 G09G2310/0221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with use of split matr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4Partial updating of the display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8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with two or more screen areas displaying information with different brightness or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being ambient ligh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2Flexible displ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제1 발광소자가 배치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에 인접하여 외광이 투과하는 제2 영역이 일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된 제1 표시부를 포함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의 일 면을 마주하고, 적어도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게 배치된 전자소자; 및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전자소자 사이에서 상기 제2 영역의 투과도를 조절하는 투과도제어소자;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Display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표시장치, 구체적으로 투과영역을 갖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장치의 두께가 얇아지고 무게가 가벼워지면서, 사용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표시장치가 다양한 장치에 사용됨에 따라 다양한 센서들이 표시장치에 장착될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센서들을 구비하면서 비표시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제1 발광소자가 배치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에 인접하여 외광이 투과하는 제2 영역이 일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된 제1 표시부를 포함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의 일 면을 마주하고, 적어도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게 배치된 전자소자; 및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전자소자 사이에서 상기 제2 영역의 투과도를 조절하는 투과도제어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제1 표시부에 인접하고, 제2 발광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외광이 투과하지 않는 제2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제1 표시부와 상기 제2 표시부를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광은 주변 광 및 상기 전자소자가 방출하는 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소자가 영상센서이고,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투과도제어소자와 상기 영상센서 사이의 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렌즈를 통과하여 상기 영상센서에 입사된 광신호를 영상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영상데이터를 색 복원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은, 제1 면에 상기 제1 표시부가 구비된 제1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을 밀봉하는 제2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소자는 상기 제1 기판의 제1 면의 반대 면인 제2 면을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투과도제어소자는, 상기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의 제2 면을 마주하는 제3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3 기판 사이의 투과도조절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은 제1 부분, 제2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 사이의 벤딩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의 제2 면과 상기 제2 부분의 제2 면이 서로 마주하고, 상기 제1 표시부가 상기 제1 부분의 제1 면 상에 구비되고, 상기 전자소자가 상기 제2 부분의 제2 면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소자는, 상기 제1 영역의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의 가장자리를 덮는 절연막; 상기 제1 전극에 대향하는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의 발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막은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는 개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의 적어도 일부가 외광을 투과하는 투과영역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의 배면을 마주하고, 적어도 상기 투과영역에 대응하게 배치된 전자소자; 및 상기 표시패널과 전자소자 사이에서 상기 투과영역의 투과도를 조절하는 투과도제어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소자가 영상센서이고,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투과도제어소자와 상기 영상센서 사이의 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렌즈를 통과하여 상기 영상센서에 입사된 광신호를 영상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영상데이터를 색 복원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은, 제1 면에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상기 표시부가 구비된 제1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을 밀봉하는 제2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소자는 상기 제1 기판의 제1 면의 반대 면인 제2 면을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은 제1 부분, 제2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 사이의 벤딩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의 제2 면과 상기 제2 부분의 제2 면이 서로 마주하고, 상기 표시부가 상기 제1 부분의 제1 면 상에 구비되고, 상기 전자소자가 상기 제2 부분의 제2 면 상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제조방법은, 발광소자가 배치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에 인접하여 외광이 투과하는 제2 영역이 일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된 표시부를 포함하는 표시패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표시패널의 일 면을 마주하고, 적어도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게 전자소자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패널과 전자소자 사이에 상기 제2 영역의 투과도를 조절하는 투과도제어소자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을 제공하는 단계는, 제1 기판 상의 상기 제1 영역에 제1 전극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극 상에, 상기 제1 전극의 일부를 노출하는 제1 개구 및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제2 개구를 구비한 절연막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 개구에 발광층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에 제2 전극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2 개구의 제2 전극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기판에 대향하여 제2 기판을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제2 개구에 제2 전극을 배치하기 전에, 상기 제2 개구에 점착층을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개구의 제2 전극을 제거하는 단계는, 제2 개구의 점착층 및 제2 전극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투과도제어소자와 상기 전자소자 사이에 렌즈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은 제1 부분, 제2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 사이의 벤딩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의 제2 면과 상기 제2 부분의 제2 면이 서로 마주하고, 상기 전자소자를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판의 제2 부분의 제2 면 상에 상기 전자소자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표시장치는 표시부에 센서와 같은 전자소자가 장착되는 영역에 대응하는 투과영역을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전자소자를 구비하면서 풀 스크린 구현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표시부의 예를 도시한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표시부의 예를 도시한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표시부의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표시부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표시부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0a 내지 도 2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A)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3a 내지 도 2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B)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4a 내지 도 2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소자의 배치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5a 및 도 2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소자의 배치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정보의 보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8a 및 도 28b는 표시장치(110A)에 의해 영상이 제공되는 방법을 도시한 예이다.
도 29는 제1 표시부(110A)에 표시되는 다양한 정보의 예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과도제어소자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A)는 표시패널(10A), 투과도제어소자(20A), 전자소자(electronic component)(30A), 제어부(40A) 및 구동부(50A)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장치(100A)는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유기발광표시장치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전기영동 표시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또는 일렉트로웨팅 표시장치(electrowetting display panel) 등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예로서 설명한다.
표시패널(10A)은 제1 기판(1)과 제1 기판(1) 상에 구비된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부(DP), 및 표시부(DP)를 밀봉하는 제2 기판(2)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기판(1)과 제2 기판(2)은 유리, 실리콘, 합성 수지, 에어로젤 등과 같은 투명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DP)는 전자소자(30A)가 배치되는 영역에 대응하는 제1 표시부(110A) 및 제1 표시부(110A)에 인접한 제2 표시부(120A)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DP)에는 주사구동부(501)로부터 주사신호를 인가받는 복수의 주사선들(SL1 내지 SLn)이 행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데이터구동부(503)로부터 데이터신호를 인가받는 복수의 제1 데이터선들(DL1 내지 DLm1)과 제2 데이터구동부(505)로부터 데이터신호를 인가받는 복수의 제2 데이터선들(DL1 내지 DLm2)이 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데이터구동부(503)에 연결된 제1 데이터선들(DL1 내지 DLm1)은 제1 표시부(110A)에 배치되고, 제2 데이터구동부(505)에 연결된 제2 데이터선들(DL1 내지 DLm2)은 제2 표시부(120A)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데이터선들(DL1 내지 DLm1)의 개수와 제2 데이터선들(DL1 내지 DLm2)의 개수는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다.
제1 표시부(110A)에는 복수의 제1 화소(PX1)들이 행 방향 및 열 방향으로 소정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1 화소(PX1)는 복수의 주사선들(SL1 내지 SLn) 중 제1 표시부(110)A)에 배치된 대응하는 주사선과 복수의 제1 데이터선들(DL1 내지 DLm1) 중 대응하는 데이터선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표시부(120A)에는 복수의 제2 화소(PX2)들이 행 방향 및 열 방향으로 소정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2 화소(PX2)는 복수의 주사선들(SL1 내지 SLn) 중 제2 표시부(120A)에 배치된 대응하는 주사선과 복수의 제2 데이터선들(DL1 내지 DLm2) 중 대응하는 데이터선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표시부(110A)의 제1 화소(PX1)들과 제2 표시부(120A)의 제2 화소(PX2)들은 서로 다른 데이터 구동부로부터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독립적으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표시부(110A)는 투과도제어소자(20A)에 의해 투명 상태 및 불투명 상태로 전환 가능한 투명 표시부일 수 있다.
투과도제어소자(20A)는 표시패널(10A)의 전면 및 후면 중 적어도 일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과도제어소자(20A)는 표시패널(10A)의 사용자(U)가 위치한 측의 반대 측인 표시패널(10A)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투과도제어소자(20A)는 광의 투과도 조절을 위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투과도제어소자(20A)는 제1 표시부(110A)의 위치 및 면적에 대응하는 위치 및 면적을 가질 수 있다. 투과도제어소자(20A)는 모드에 따라 투과도가 조절될 수 있다. 투과도제어소자(20A)는 투과 모드에서 투명 상태가 되고, 블랙 모드에서 불투명 상태가 되도록 투과도가 조절될 수 있다.
전자소자(30A)는 영상센서, 광센서, 광원, 근접센서, 바이오센서 등과 같이 광을 이용한 장치일 수 있다. 그러나, 전자소자(30A)는 전술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스피커, 마이크, 안테나, 비 광 기반 근접센서 등 표시장치(100A)의 기능을 위한 별도의 전자소자, 또는 새로운 기능을 위한 별도의 전자소자일 수 있다. 전자소자(30A)는 적어도 제1 표시부(110A)의 투과영역에 대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전자소자(30A)는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40A)는 구동부(50A), 전자소자(30A), 투과도제어소자(20A)의 구동을 위한 구동 IC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0A)는 전자소자(30A)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전자소자(30A)의 입력신호를 처리하여 출력부에 출력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부는 제1 표시부(110A), 제2 표시부(120A), 또는 타 전자소자(30A)일 수 있다. 제어부(40A)는 전자소자(30A)의 구동 상태에 따라 투과도제어소자(20A)의 구동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투과도제어소자(20A)의 투과도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0A)는 전자소자(30A)가 구동하는 경우 투과도제어소자(20A)를 투명 상태로 제어함으로써 제1 표시부(110A)를 투명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제어부(40A)는 전자소자(30A)가 구동하지 않는 경우 투과도제어소자(20A)를 불투명 상태로 제어함으로써 제1 표시부(110A)를 불투명 상태로 전환하여 제1 표시부(110A)의 블랙 표시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제어부(40A)는 영상신호 및 제어신호를 구동부(50A)로 출력할 수 있다.
구동부(50A)는 주사구동부(501), 제1 데이터구동부(503), 및 제2 데이터구동부(505)를 포함할 수 있다.
주사구동부(501)는 제어부(40A)의 타이밍 제어신호에 따라 제1 화소(PX1) 및 제2 화소(PX2)를 동작시키기 위한 주사신호를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생성하여 주사선들(SL1 내지 SLn)로 출력할 수 있다.
제1 데이터구동부(503)는 제어부(40A)의 타이밍 제어신호에 따라 영상신호를 데이터신호로 변환하여 제1 데이터선들(DL11 내지 DL1m)로 출력할 수 있다.
제2 데이터구동부(505)는 제어부(40A)의 타이밍 제어신호에 따라 영상신호를 데이터신호로 변환하여 제2 데이터선들(DL21 내지 DL2o)로 출력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표시부의 예를 도시한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표시부(110A1)는 화소영역(31)과 화소영역(31)에 인접하여 광을 투과하는 투과영역(3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광은 제1 화소(PX1)의 발광소자(EL1)가 방출하는 광과 구별되는 외광이다. 외광은 주변광 또는 전자소자(30A)가 방출하는 광일 수 있다.
투과영역(32)은 제1 외광(61) 및 제2 외광(62)이 투과할 수 있다. 제1 외광(61)은 제2 기판(2) 외측에서 제1 기판(1) 외측의 방향으로 투과되는 외광이다. 제2 외광(62)은 제1 기판(1)의 외측에서 제2 기판(2)의 외측으로 투과되는 외광이다. 소자 및 배선이 투과영역(32)을 우회하여 배치됨으로써 투과영역(32)에는 소자 및 배선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투과영역(32)에는 적어도 제4 절연막(15)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투과영역(32)에 배치된 절연막은 투명 절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영역(31)은 발광영역(312) 및 회로영역(311)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영역(31)에는 제1 화소(PX1)가 배치될 수 있다. 발광영역(312)에는 제1 화소(PX1)의 발광소자(EL1)가 배치될 수 있다. 회로영역(311)에는 발광소자(EL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박막트랜지스터(TR1)를 포함하는 제1 화소(PX1)의 화소회로가 배치될 수 있다. 회로영역(311)과 발광영역(312)은 중첩하지 않고, 따라서 발광소자(EL1)와 화소회로는 중첩하지 않도록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회로영역(311)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박막트랜지스터(TR1)가 배치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수의 박막트랜지스터 및 커패시터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들과 연결된 주사선, 데이터선 및 전원선 등의 배선들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박막트랜지스터(TR1)는 버퍼막(11) 상의 반도체층(111), 게이트전극(112), 소스전극(113) 및 드레인전극(114)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층(111)과 게이트전극(112) 사이의 제1 절연막(12)이 게이트절연막으로 기능하고, 게이트전극(112)과 소스전극(113) 및 드레인전극(114) 사이의 제2 절연막(13)이 층간절연막으로 기능할 수 있다.
발광소자(EL1)는 박막트랜지스터(TR1)를 덮는 제3 절연막(14) 상의 제1 전극(116), 제1 전극(116)에 대향하는 제2 전극(130), 제1 전극(116)과 제2 전극(130) 사이의 중간층(11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116)의 가장자리는 제4 절연막(15)에 의해 덮일 수 있다. 발광소자(EL1)는 전면 발광 또는 배면 발광할 수 있다.
제1 화소(PX1)는 예를 들어, 제1 적색화소(Pr), 제1 녹색화소(Pg), 또는 제1 청색화소(Pb)일 수 있다. 복수의 제1 화소(PX1)들의 인접한 투과영역(32)은 서로 연결되어 공통의 투과영역(32)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투과영역(32)의 면적이 넓어지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제1 표시부(110A1)의 투과율을 높일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에서는 3개의 제1 화소(PX1)들, 예를 들어, 제1 적색화소(Pr), 제1 녹색화소(Pg), 및 제1 청색화소(Pb)의 인접한 투과영역들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투과영역(32)을 형성하고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표시부의 예를 도시한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제1 표시부(110A1)와 달리,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제1 표시부(110A2)는 화소영역(31)에 포함되는 회로영역(311)과 발광영역(312)이 서로 중첩한다. 제1 적색화소(Pr), 제1 녹색화소(Pg), 및 제1 청색화소(Pb)의 인접한 투과영역들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공통 투과영역(32)을 형성하고 있다. 이 경우, 도 4 및 도 5의 실시예보다 투과영역(32)의 면적이 넓어질 수 있다. 발광소자(EL1)는 전면 발광할 수 있다. 각 구성요소는 앞서 설명한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의 대응되는 구성요소와 그 기능이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표시부(110A1)(110A2)가 광을 투과하는 투과 모드(transparent mode)일 때, 투과도제어소자(20A)는 투명 상태가 되고, 제1 외광(61) 및 제2 외광(62)이 제1 표시부(110A1)(110A2)의 투과영역(32)을 투과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표시부(110A1)(110A2)는 투명 상태이다. 이에 따라, 제1 기판(1) 외측의 사용자는 제1 외광(61)을 통해 제2 기판(2) 외측의 물체를 관찰할 수 있고, 제2 기판(2) 외측의 사용자는 제2 외광(62)을 통해 제1 기판(1) 외측의 물체를 관찰할 수 있다.
제1 표시부(110A1)(110A2)가 광을 투과하지 않는 블랙 모드(black mode)일 때, 투과도제어소자(20A)는 불투명 상태가 되고, 제1 외광(61) 및 제2 외광(62)이 제1 표시부(110A1)(110A2)의 투과영역(32)을 투과할 수 없다. 따라서, 제1 표시부(110A1)(110A2)는 불투명 상태이다. 이에 따라, 제1 기판(1) 외측의 사용자는 제2 기판(2) 외측의 물체를 관찰할 수 없고, 제2 기판(2) 외측의 사용자는 제1 기판(1) 외측의 물체를 관찰할 수 없다. 제1 표시부(110A1)(110A2)는 불투명 상태이므로, 제1 표시부(110A1)(110A2)에 표시되는 영상의 블랙 표현이 우수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표시부의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표시부(120A)는 발광영역(41) 및 발광영역(41) 주변의 비발광영역(42)을 포함할 수 있다. 비발광영역(42)에는 소자 및/또는 배선이 배치될 수 있고, 외광이 투과하지 않는다.
발광영역(41)에는 제2 화소(PX2)의 발광소자(EL2)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발광영역(41)은 발광소자(EL2)의 제1 전극(126) 또는 발광층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비발광영역(42)에는 발광소자(EL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박막트랜지스터(TR2)를 포함하는 제2 화소(PX2)의 화소회로가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화소회로의 일부가 발광영역(41)에 배치되어 발광소자(EL2)와 화소회로의 일부가 중첩할 수 있다. 도면에는 하나의 박막트랜지스터(TR2)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화소회로는 다수의 박막트랜지스터 및 커패시터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들과 연결된 주사선, 데이터선 및 전원선 등의 배선들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박막트랜지스터(TR2)는 버퍼막(11) 상의 반도체층(121), 게이트전극(122), 소스전극(123) 및 드레인전극(124)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층(121)과 게이트전극(122) 사이의 제1 절연막(12)이 게이트절연막으로 기능하고, 게이트전극(122)과 소스전극(123) 및 드레인전극(124) 사이의 제2 절연막(13)이 층간절연막으로 기능할 수 있다.
발광소자(EL2)는 박막트랜지스터(TR2)를 덮는 제3 절연막(14) 상의 제1 전극(126), 제1 전극(126)에 대향하는 제2 전극(130), 제1 전극(126)과 제2 전극(130) 사이의 중간층(12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126)의 가장자리는 제4 절연막(15)에 의해 덮일 수 있다. 발광소자(EL2)는 전면 발광 또는 배면 발광할 수 있다. 발광소자(EL2)와 화소회로가 중첩하지 않으면 발광소자(EL2)는 전면 발광 또는 배면 발광할 수 있다. 화소회로의 적어도 일부가 발광소자(EL2)와 중첩하면 발광소자(EL2)는 전면 발광할 수 있다.
제2 화소(PX2)는 예를 들어, 제2 적색화소(Pr), 제2 녹색화소(Pg), 또는 제2 청색화소(Pb)일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기판(1) 상에 버퍼막(11)이 형성되고, 버퍼막(11) 상에 박막트랜지스터(TR1)(TR2)를 포함한 화소회로가 형성된다.
제1 기판(1)은 글라스재, 세라믹재, 금속재, 플라스틱재, 또는 플렉서블 또는 벤더블 특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버퍼막(11)은 산화규소(SiOx)와 같은 산화막, 및/또는 질화규소(SiNx)와 같은 질화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버퍼막(11)은 생략될 수 있다.
버퍼막(11) 상에는, 제1 표시부(110A)에 제1 화소(PX1)의 반도체층(111)과 제2 표시부(120A)에 제2 화소(PX2)의 반도체층(121)이 형성된다. 반도체층(111)(121)은 다양한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반도체층(111)(121)은 비정질 실리콘 또는 결정질 실리콘과 같은 무기 반도체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반도체층(111)(121)은 산화물 반도체를 함유하거나 유기 반도체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반도체층(111)(121)을 덮도록 제1 절연막(12)이 버퍼막(11) 상에 형성되고, 제1 절연막(12) 상에 제1 화소(PX1)의 게이트전극(112)과 제2 화소(PX2)의 게이트전극(12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절연막(12)은 무기 절연막일 수 있다. 제1 절연막(12)은 SiO2, SiNx, SiON, Al2O3, TiO2, Ta2O5, HfO2, ZrO2, BST, PZT 가운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절연막이 단층 또는 복수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전극(112)(122)은 다양한 도전성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은(Ag), 마그네슘(Mg),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롬(Cr), 리튬(Li), 칼슘(Ca), 몰리브덴(Mo), 티타늄(Ti), 텅스텐(W), 구리(Cu) 중 하나 이상의 물질로 단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전극(112)(122)을 덮도록 제1 절연막(12) 상에 제2 절연막(13)이 형성되고, 제2 절연막(13) 상에 제1 화소(PX1)의 소스전극(113)과 드레인전극(114), 및 제2 화소(PX2)의 소스전극(123)과 드레인전극(124)이 형성되어 각각 반도체층(111)(121)과 콘택홀을 통해 콘택된다.
제2 절연막(13)은 무기 절연막일 수 있다. 제2 절연막(13)은 SiO2, SiNx, SiON, Al2O3, TiO2, Ta2O5, HfO2, ZrO2, BST, PZT 가운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절연막이 단층 또는 복수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절연막(13)은 유기 절연막일 수 있다.
소스전극(113)(123)과 드레인전극(114)(124)은 다양한 도전성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은(Ag), 마그네슘(Mg),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롬(Cr), 리튬(Li), 칼슘(Ca), 몰리브덴(Mo), 티타늄(Ti), 텅스텐(W), 구리(Cu) 중 하나 이상의 물질로 단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박막트랜지스터(TR1)(TR2)의 구조는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박막트랜지스터의 구조가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제1 화소(PX1)의 박막트랜지스터(TR1)의 구조와 제2 화소(PX2)의 박막트랜지스터(TR2)의 구조는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다.
제1 화소(PX1)의 박막트랜지스터(TR1)와 제2 화소(PX2)의 박막트랜지스터(TR2)를 덮도록 제3 절연막(14)이 형성된다.
제3 절연막(14)은 상면이 평탄화된 단층 또는 복수층의 유기 절연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절연막(14)은 일반 범용 폴리머(PMMA, PS), phenol 그룹을 갖는 폴리머 유도체, 아크릴계 폴리머, 이미드계 폴리머, 아릴에테르계 폴리머, 아마이드계 폴리머, 불소계 폴리머, p-자일렌계 폴리머, 비닐알콜계 폴리머 및 이들의 블렌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절연막(14)은 폴리이미드, 폴리아마이드, 아크릴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절연막(14) 상에는 제1 화소(PX1)의 박막트랜지스터(TR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광소자(EL1)의 제1 전극(116) 및 제2 화소(PX2)의 박막트랜지스터(TR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광소자(EL2)의 제1 전극(126)이 형성된다.
발광소자(EL1)(EL2)가 전면 발광소자인 경우, 제1 전극(116)(126)은 반사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사 전극은 Ag, Mg, Al, Pt, Pd, Au,Ni, Nd, Ir, Cr 및 이들의 화합물 등을 포함하는 반사층과, 반사층 상에 형성된 투명 또는 반투명 전극층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소자(EL1)(EL2)가 배면 발광소자인 경우, 제1 전극(116)(126)은 ITO, IZO, ZnO 또는 In2O3 등의 투명 물질을 포함하고, 투명 또는 반투명 전극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퍼막(11), 제1 절연막(12), 제2 절연막(13) 및 제3 절연막(14)은 제1 표시부(110A)의 화소영역(31)과 투과영역(32)을 모두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버퍼막(11), 제1 절연막(12), 제2 절연막(13) 및 제3 절연막(14) 중 적어도 하나는 투과영역(32)에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부(미도시)를 구비함으로써 투과영역(32)의 외광 투과 효율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3 절연막(14) 상에 제1 전극(116)(126)의 가장자리를 덮는 제4 절연막(15)이 형성될 수 있다. 제4 절연막(15)은 전술된 무기 절연막 또는 유기 절연막으로 단층 또는 복수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4 절연막(15)은 제1 표시부(110A)의 화소영역(31)을 덮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반드시 화소영역(31) 전체를 덮도록 구비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일부, 특히, 제1 화소(PX1)의 제1 전극(116)의 가장자리를 덮도록 하면 충분하다.
제4 절연막(15)은 제1 화소(PX1)의 제1 전극(116)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하는 제1 개구(15a)와 투과영역(32)에 대응되는 위치의 제2 개구(15b), 및 제2 화소(PX2)의 제1 전극(216)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하는 제3 개구(15c)를 구비할 수 있다. 제4 절연막(15)이 투과영역(32)에는 위치하지 않음으로써, 투과영역(32)의 외광 투과 효율이 더욱 증가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화소(PX1)의 제1 개구(15a)를 통해 노출된 제1 전극(116) 상에 중간층(117)을 형성하고, 제2 화소(PX2)의 제3 개구(15c)를 통해 노출된 제1 전극(126) 상에 중간층(127)을 형성할 수 있다.
중간층(223)은 광을 방출하는 발광층을 구비하며, 그 외에 정공 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 정공 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 전자 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 및 전자 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제1 전극(221) 상에는 다양한 기능층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발광층은 적색 발광층, 녹색 발광층 또는 청색 발광층일 있다. 또는 발광층은 백색광을 방출할 수 있도록 적색 발광층, 녹색 발광층 및 청색 발광층이 적층된 다층 구조를 갖거나, 적색 발광 물질, 녹색 발광 물질 및 청색 발광 물질을 포함한 단일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중간층(117)(127)은 제1 표시부(110A)의 발광영역(312)에 대응하는 개구부(M11)와 제2 표시부(120A)의 발광영역(41)에 대응하는 개구부(M12)를 갖는 마스크, 예를 들어, FMM(Fine Metal Mask)을 사용하여 발광영역(312)(41)에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중간층(117)(127) 중 발광층은 제1 표시부(110A)의 발광영역(312)에 대응하는 개구부(M11)와 제2 표시부(120A)의 발광영역(41)에 대응하는 개구부(M12)를 갖는 FMM(Fine Metal Mask)을 사용하여 발광영역(312)(41)에만 형성되고, 그 외 기능층은 오픈 마스크를 사용하여 기판(1)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표시부(110A)의 투과영역(32)에는 적어도 발광층이 형성되지 않는다.
도 1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중간층(117)(127) 및 제4 절연막(15) 상에 제2 전극(130)이 공통층으로 기판(1)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130)은 Ag, Mg, Al, Pt, Pd, Au,Ni, Nd, Ir, Cr, Li, Ca, Mo 또는 이들의 합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발광소자(EL1)(EL2)가 전면 발광소자인 경우, 제2 전극(130)은 투과율이 높도록 100 내지 300Å 두께의 박막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개구(15b)에 형성된 제2 전극(130)의 일부를 제거할 수 있다. 제2 전극(130)을 제거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11에 도시된 공정 후 도 12와 달리,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시부(110A)의 제2 개구(15b)에 점착층(140)을 형성한 후,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층(117)(127), 점착층(140) 및 제4 절연막(15) 상에 제2 전극(130)이 공통층으로 기판(1)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 표시부(110A)의 투과영역(32)에 대응하는 개구부(M21)를 갖는 FMM(Fine Metal Mask)을 사용하여 제1 표시부(110A)의 제2 개구(15b)에 점착층(140)을 형성할 수 있다. 점착층(140)은 직접 접촉하는 하부 절연막에 약한 접착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2 개구(15b)에 점착층(140)이 형성된 기판(1)의 전면에 제2 전극(130)이 공통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개구(15b)에 형성된 점착층(140)을 제거함에 따라 점착층(140)에 접착된 제2 전극(130)의 일부가 제거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1 기판(1) 상부에 제2 기판(2)을 얼라인한 후, 제1 기판(1)과 제2 기판(2)을 결합할 수 있다.
제2 기판(2)은 글라스재, 세라믹재, 금속재, 플라스틱재, 또는 플렉서블 또는 벤더블 특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판(2)의 제1 기판(1)을 마주하는 면에는 블랙매트릭스(BM)와 컬러필터(CF)가 배치될 수 있다. 컬러필터(CF)는 제1 표시부(110A)의 발광영역(312) 및 제2 표시부(120A)의 발광영역(41)에 대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블랙매트릭스(BM)는 제1 표시부(110A)의 발광영역(312)과 투과영역(32)을 제외한 영역 및 제2 표시부(120A)의 비발광영역(42)에 대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표시부(110A)의 투과영역(32)에는 블랙매트릭스(BM)가 배치되지 않는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 기판(2)을 제1 기판(1)에 결합하기 전 제2 전극(130) 상부에 보호층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보호층은 무기막 및/또는 유기막의 단층 또는 복수층일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 기판(2) 상부에는 다양한 기능층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층은 제2 기판(2)의 상면에서의 반사를 최소화하는 반사 방지층, 사용자의 손 자국(예를 들어, 지문 자국)과 같은 오염을 방지하는 오염 방지층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기판(2) 대신 박막봉지층이 제1 기판(1)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박막봉지층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물로 구비된 무기봉지층 및 적어도 하나의 유기물로 구비된 유기봉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박막봉지층은 제1무기봉지층/유기봉지층/제2무기봉지층이 적층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표시부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1 표시부(110A)에는 화소영역(31)과 투과영역(32)이 일 방향으로 교대로 반복하는 패턴을 갖도록 제1 화소(PX1)가 배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표시부(110A)는 화소영역(31)과 투과영역(32)이 일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규칙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화소(PX1)의 발광소자 및 화소회로는 화소영역(31)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표시부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제2 표시부(120A1)(120A2)에는 발광영역(41)이 행 방향 및 열 방향으로 소정 패턴에 따라 반복하도록 제2 화소(PX2)가 배열될 수 있다. 제2 화소(PX2)의 발광소자는 제2 표시부(120A)의 발광영역(41)에 배치되고, 제2 화소(PX2)의 화소회로는 발광영역(41) 주변의 비발광영역(42)에 배치되거나, 적어도 일부가 발광영역(41)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영역(41)은 제2 화소(PX2)가 발광하는 색에 따라 면적이 상이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의 실시예에서 발광영역(41)은 사각형인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발광영역(41)은 다각형, 원형, 원뿔형, 타원형, 삼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각형은 꼭지점이 라운드진 형태도 포함할 수 있다.
도 20a 내지 도 2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A)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a를 참조하면, 전자소자(30A)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활성화(ON)되면, 투과도제어소자(20A)는 외광이 통과하도록 투과도가 제어되고, 제1 표시부(110A)는 외광이 투과하는 투과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전자소자(30A)는 제1 표시부(110A)의 투과영역(32)을 통해 투과하는 광을 이용하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소자(30A)의 활성화는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등과 같이 사용자의 활성화 요청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전자소자(30A)의 활성화에 할당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전자소자(30A)의 활성화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자소자(30A)가 광원인 경우, 제어부(40A)는 광원의 턴온 신호가 입력되면, 투과도제어소자(20A)는 외광이 통과하도록 투과도를 제어하고, 제1 표시부(110A)는 외광이 투과하는 투과 모드로 설정하고, 광원을 턴온 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표시부(110A)와 제2 표시부(120A)는 표시 중인 영상을 계속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1 표시부(110A)는 투명 상태이므로 사용자는 전자소자(30A)가 배치되지 않은 제1 표시부(110A)의 일부에서 외부의 객체를 관찰할 수 있다.
전자소자(30A)가 상태 인디케이터인 경우, 제어부(40A)는 미리 설정된 표시장치(100A)의 상태가 감지되면, 투과도제어소자(20A)는 외광이 통과하도록 투과도를 제어하고, 제1 표시부(110A)는 외광이 투과하는 투과 모드로 설정하고, 광원을 턴온 시킬 수 있다. 광원은 감지된 표시장치(100A)의 상태에 대응하는 색을 방출할 수 있다. 이때, 제1 표시부(110A)와 제2 표시부(120A)는 표시 중인 영상을 계속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1 표시부(110A)는 투명 상태이므로 사용자는 전자소자(30A)가 배치되지 않은 제1 표시부(110A)의 일부에서 외부의 객체를 관찰할 수 있다.
전자소자(30A)가 광센서인 경우, 제어부(40A)는 투과도제어소자(20A)는 외광이 통과하도록 투과도를 제어하고, 제1 표시부(110A)는 외광이 투과하는 투과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40A)는 광센서로 입사되는 광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광량에 따라 제1 표시부(110A) 및/또는 제2 표시부(120A)의 밝기를 증감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표시부(110A)와 제2 표시부(120A)는 표시 중인 영상을 계속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1 표시부(110A)는 투명 상태이므로 사용자는 전자소자(30A)가 배치되지 않은 제1 표시부(110A)의 일부에서 외부의 객체를 관찰할 수 있다.
전자소자(30A)가 광을 이용한 근접센서인 경우, 근접센서는 광원 및 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 및 광센서는 인접한 투과영역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40A)는 투과도제어소자(20A)는 외광이 통과하도록 투과도를 제어하고, 제1 표시부(110A)는 외광이 투과하는 투과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40A)는 광원이 방출하는 광이 외부 객체로부터 반사되어 광센서로 입사되는 광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광량에 따라 객체의 근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40A)는 객체의 접근이 감지되면 특정 기능을 일시적으로 활성화 또는 불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표시부(110A)와 제2 표시부(120A)는 표시 중인 영상을 계속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1 표시부(110A)는 투명 상태이므로 사용자는 전자소자(30A)가 배치되지 않은 제1 표시부(110A)의 일부에서 외부의 객체를 관찰할 수 있다.
전자소자(30A)가 광을 이용한 터치센서인 경우, 터치센서는 광원 및 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 및 광센서는 인접한 투과영역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40A)는 투과도제어소자(20A)는 외광이 통과하도록 투과도를 제어하고, 제1 표시부(110A)는 외광이 투과하는 투과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40A)는 광원이 방출하는 광이 외부 객체(예를 들어, 손가락 등)로부터 반사되어 광센서로 입사되는 광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광량에 따라 객체의 터치 및/또는 터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40A)는 객체의 터치가 감지되면 그에 대응하는 특정 기능을 일시적으로 활성화 또는 불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표시부(110A)와 제2 표시부(120A)는 표시 중인 영상을 계속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1 표시부(110A)는 투명 상태이므로 사용자는 전자소자(30A)가 배치되지 않은 제1 표시부(110A)의 일부에서 외부의 객체를 관찰할 수 있다.
전자소자(30A)가 영상센서인 경우, 제어부(40A)는 투과도제어소자(20A)는 외광이 통과하도록 투과도를 제어하고, 제1 표시부(110A)는 외광이 투과하는 투과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40A)는 영상센서로 입사되는 광신호에 대응하는 촬상 영상을 생성하여 제1 표시부(110A) 및/또는 제2 표시부(120A)에 표시할 수 있다. 촬상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제1 표시부(110A) 또는 제2 표시부(120A)는 표시 중인 영상을 계속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20c를 참조하면, 전자소자(30A)의 기능이 종료되어 불활성화(OFF)되면, 제어부(40A)는 투과도제어소자(20A)가 광이 투과하지 않는 투과도를 갖도록 제어하고, 제1 표시부(110A)는 광이 투과하지 않는 블랙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표시부(110A)와 제2 표시부(120A)는 각각 표시 중인 영상을 계속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B)는 표시패널(10B), 투과도제어소자(20B), 전자소자(30B), 제어부(40B) 및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는 주사 구동부(507) 및 데이터 구동부(509)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10B)은 제1 기판(1)과 제1 기판(1) 상에 구비된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부(DP), 및 표시부(DP)를 밀봉하는 제2 기판(2)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표시장치(100A)와 달리, 표시장치(100B)는 화면 전체가 투명 표시부로 구현된다. 즉, 표시부(DP) 전체가 하나의 화면을 구성하는 제3 표시부(110B)로 구현된다. 제3 표시부(110B)는 투명 상태 및 불투명 상태로 전환 가능한 투명 표시부일 수 있다.
제3 표시부(110B)에는 주사구동부(507)로부터 주사신호를 인가받는 복수의 주사선들(SL1 내지 SLn)이 행 방향으로 연장되고, 데이터구동부(509)로부터 데이터신호를 인가받는 복수의 데이터선들(DL1 내지 DLm)이 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표시부(110B)에는 복수의 제3 화소(PX3)들이 행 방향 및 열 방향으로 소정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3 화소(PX3)는 복수의 주사선들(SL1 내지 SLn) 중 대응하는 주사선과 복수의 데이터선들(DL1 내지 DLm) 중 대응하는 데이터선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표시부(110B)와 제3 화소(PX3)는 도 4 내지 도 7, 및 도 17에 도시된 제1 표시부(110A) 및 제1 화소(PX1)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3 표시부(120B)와 제3 화소(PX3)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제3 표시부(110B)는 화소영역(31)과 화소영역(31)에 인접하여 광을 투과하는 투과영역(32)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영역(31)은 발광영역(312) 및 회로영역(311)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영역(31)에는 제3 화소(PX3)가 배치될 수 있다. 발광영역(312)에는 제3 화소(PX3)의 발광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회로영역(311)에는 발광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제3 화소(PX3)의 화소회로가 배치될 수 있다. 제3 표시부(110B)의 회로영역(311)과 발광영역(312)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첩하지 않을 수 있고,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첩할 수 있다.
투과도제어소자(20B)는 표시패널(10B)의 전면 및 후면 중 적어도 일 면에 배치될 수 있다. 투과도제어소자(20B)는 광의 투과도 조절을 위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투과도제어소자(20B)는 제3 표시부(110B)의 전체 면에 대응하는 면적을 가질 수 있다. 투과도제어소자(20B)는 모드에 따라 투과도가 제어될 수 있다.
전자소자(30B)는 영상센서, 광센서, 광원, 근접센서, 바이오센서 등과 같이 광을 이용한 장치일 수 있다. 그러나 전자소자(30B)는 전술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스피커, 마이크, 안테나, 비 광 기반 근접센서 등 표시장치(100B)의 기능을 위한 별도의 전자소자, 또는 새로운 기능을 위한 별도의 전자소자일 수 있다. 전자소자(30B)는 제3 표시부(110B)의 적어도 하나의 투과영역(32)에 대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전자소자(30B)는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전자소자(30B)는 제3 표시부(110B)의 임의의 위치에 대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40B)는 구동부, 전자소자(30B), 투과도제어소자(20B)의 구동을 위한 구동 IC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0B)는 전자소자(30B)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전자소자(30B)의 입력신호를 처리하여 출력부에 출력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부는 제3 표시부(110B) 또는 타 전자소자(30B)일 수 있다. 제어부(40B)는 전자소자(30B)의 구동 상태에 따라 투과도제어소자(20B)의 구동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투과도제어소자(20B)의 투과도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0B)는 영상신호 및 제어신호를 구동부로 출력할 수 있다.
주사 구동부(507)는 제어부(40B)의 타이밍 제어신호에 따라 제3 화소(PX3)를 동작시키기 위한 주사신호를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생성하여 주사선들(SL1 내지 SLn)로 출력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509)는 제어부(40B)의 타이밍 제어신호에 따라 영상신호를 데이터신호로 변환하여 데이터선들(DL1 내지 DLm)로 출력할 수 있다.
제3 표시부(110B)와 제3 화소(PX3)는 제1 기판(1)의 전면에 형성되고, 그 형성 공정은 도 9 내지 도 16의 제1 표시부(110A)와 제1 화소(PX1)의 형성 공정과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3a 내지 도 2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B)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3a를 참조하면, 전자소자(30B)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활성화(ON)되면, 투과도제어소자(20B)는 외광이 통과하도록 투과도가 제어되고, 제3 표시부(110B)는 외광이 투과하는 투과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전자소자(30B)는 제3 표시부(110B)의 투과영역(32)을 통해 투과하는 광을 이용하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소자(30B)의 활성화는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등과 같이 사용자의 활성화 요청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전자소자(30B)의 활성화에 할당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전자소자(30B)의 활성화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0a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소자(30B)가 광원, 상태 인디케이터, 광센서, 광을 이용한 근접센서, 광을 이용한 터치센서가 활성화(ON)된 경우, 제어부(40B)는 투과도제어소자(20B)는 광이 투과하도록 투과도를 제어하고, 제3 표시부(110B)를 투과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40B)는 전자소자(30B)의 해당 기능 수행과 함께 제3 표시부(110B)에 표시 중인 영상을 계속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동시에 제3 표시부(110B)는 투명 상태이므로 사용자는 전자소자(30B)가 배치되지 않은 제3 표시부(110B)의 일부를 통해 외부의 객체를 관찰할 수 있다.
전자소자(30B)가 영상센서인 경우, 제어부(40B)는 제3 표시부(110B)를 투과도제어소자(20B)는 광이 투과하도록 투과도를 제어하고, 제3 표시부(110B)를 투과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도 2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40B)는 영상센서로 입사되는 광신호에 대응하는 촬상 영상을 생성하여 제3 표시부(110B)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3 표시부(110B)는 투명 상태이므로, 제3 표시부(110B)가 촬상 영상을 표시함과 동시에 사용자는 전자소자(30B)가 배치되지 않은 제3 표시부(110B)의 일부를 통해 외부의 객체를 관찰할 수 있다.
도 23c를 참조하면, 전자소자(30B)의 기능이 종료되어 불활성화(OFF)되면, 제어부(40B)는 투과도제어소자(20B)가 광이 투과하지 않는 투과도를 갖도록 제어하고, 제3 표시부(110B)는 광이 투과하지 않는 블랙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3 표시부(110B)는 표시 중인 영상을 계속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24a 내지 도 2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소자의 배치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4a 내지 도 24d를 함께 참조하면, 전자소자의 구성에 따라, 제1 표시부(110A) 또는 제3 표시부(110B)의 적어도 하나의 투과영역(32)을 포함하는 영역에 대응하여 전자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표시패널(10A)(10B), 투과도제어소자(20A)(20B) 및 전자소자(30A)(30B)는 하우징(60)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표시부(110A) 또는 제3 표시부(110B)의 하나의 투과영역(32)에 대응하여 전자소자(301)(303)(305)가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표시부(110A) 또는 제3 표시부(110B)의 하나 이상의 투과영역(32)을 포함하는 영역에 대응하여 전자소자(302)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전자소자(302)가 둘 이상의 소자를 포함하는 경우 또는 전자소자(302)의 사이즈(면적)가 큰 경우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표시부(110A) 또는 제3 표시부(110B)의 하나 이상의 투과영역(32) 및 하나 이상의 화소영역(31)을 포함하는 영역에 대응하여 전자소자(304)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전자소자(304)가 둘 이상의 소자를 포함하는 경우 또는 전자소자(304)의 사이즈(면적)가 큰 경우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표시부(110A) 또는 제3 표시부(110B)에 소정 면적을 갖는 별도의 투과영역(32')을 구비하고, 전자소자(306)가 투과영역(32')에 대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전자소자(304)가 둘 이상의 소자를 포함하는 경우 또는 전자소자(304)의 사이즈(면적)가 큰 경우일 수 있다.
도 25a 및 도 2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소자의 배치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5a 및 도 25b를 참조하면, 표시패널(10A)의 제1 기판(1)은 표시부(DP) 주변의 비표시영역이 벤딩방향으로 구부러짐으로써 사용자에게 비표시영역이 시인되지 않는다. 벤딩방향은 제1 기판(1)의 상면에서 배면으로의 방향이다.
제1 기판(1)은 표시부(DP)에 대응하는 제1 부분(1a), 제1 부분(1a)에 대향하는 제2 부분(1c), 및 제1 부분(1a)과 제2 부분(1c) 사이의 벤딩부분(1b)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벤딩방향에 의해 제2 부분(1c)의 배면이 제1 부분(1a)의 배면을 마주할 수 있다. 전자소자(30A)(30B)는 제2 부분(1c)의 배면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기판(1)과 전자소자(30A)(30B)의 사이에는 투과도제어소자(20A)(20B)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C)는 전술된 표시장치(100A)(100B)에 렌즈(70)가 추가된다. 렌즈(70)는 전자소자(307)와 투과도제어소자(20A)(20B)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6의 실시예는, 전자소자(307)가 영상센서이고, 영상센서가 하나 이상의 투과영역(32) 및 하나 이상의 화소영역(31)을 포함하는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된 예이다. 영상센서는 화소영역(31)에 걸쳐 배치되므로, 화소영역(31)에 위치하는 객체(OB)로부터 반사되는 광이 영상센서로 입사되지 못하여 객체(OB)의 영상 정보가 손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렌즈(70)를 영상센서의 앞에 구비하여 객체(OB)의 정보를 포함하는 광을 렌즈(70)를 통해 굴절시켜 영상센서로 입사시킴으로써 화소영역(31)에 의해 차단되는 객체(OB)의 영상 정보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7은 도 26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정보의 보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렌즈(70)를 통과한 영상센서에 입력되는 객체(OB)의 광신호는 좌우 반전된 영상데이터(B)일 수 있다. 제어부(40A)(40B)는 영상센서에 입력되는 광신호를 영상데이터(B)로 변환하고, 영상데이터(B)의 좌우를 반전하고, 영상데이터(B)에 대한 노이즈 제거 및 블러 개선을 위한 영상처리를 통해 색 복원된 영상데이터(C)를 출력할 수 있다. 영상데이터의 반전 및 영상처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0A)(40B)는 DNN(Deep Neural Networks),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DBN(Deep Believe Networks)과 같은 다양한 딥 러닝 기법들을 이용하여 영상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8a 및 도 28b는 표시장치(110A)에 의해 영상이 제공되는 방법을 도시한 예이다.
도 28a 및 도 2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장치(100A)는 제1 표시부(110A)와 제2 표시부(120A)가 독립적으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표시부(110A)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사, 동작하는 앱 정보, 새로 수신된 알림이 있음을 나타내는 표시, 현재시간 등과 같은 상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도 29는 제1 표시부(110A)에 표시되는 다양한 정보의 예이다.
도 2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시부(110A)에는 폴더의 경로(path) 또는 깊이(depth)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표시부(110A)에는 사용자가 파일을 검색, 복사, 이동 등의 파일 관리 작업을 진행할 때 현재 위치하고 있는 전체 폴더 위치(path)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시부(110A)에는 멀티 태스킹 바(Multi-tasking Bar)를 표시하는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UI)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표시부(110A)에는 태스크 진행 상태 표시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태스크를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2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시부(110A)에는 과금 정보 및 망 정보 등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표시부(120A)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동영상, 인터넷 검색 결과 등의 주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도 28c에 도시되 바와 같이, 표시장치(100B)는 제3 표시부(110B)가 풀 화면을 제공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3 표시부(110B)의 일부에 상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과도제어소자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0을 참조하면, 투과도제어소자(20A)(20B)는 표시패널(10A)(10B)의 제1 기판(1), 제1 기판(1)의 표시부(DP)가 구비된 면의 반대 면을 마주하는 제3 기판(3) 및 제1 기판(1)과 제3 기판(3) 사이의 투과도 조절층(TM)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기판(3)은 유리, 실리콘, 합성수지, 에어로젤 등과 같은 투명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투과도제어소자(20A)(20B)의 일 기판을 표시패널(10A)(10B)의 일 기판과 공유함으로써 표시장치의 전체적인 두께를 줄일 수 있다.
투과도 조절층(TM)은 광흡수 물질 또는 광차단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투과도 조절층(TM)은 유기용매와 겔 내의 착색분극입자, 전기적인 산화/환원에 의해 투과율이 변하는 일렉트로크로믹(electrochromic) 물질, 전압에 의해 위상이 변하는 액정 및/또는 염료, 전압에 의한 이동 상태에 따라 투과율이 제어되는 흑색 잉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투과도 조절층(TM)은 제1 기판(1)과 제3 기판(3) 사이에서 물질의 상태 변화, 위상 변화, 위치 변화 등으로 투과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투과도제어소자(20A)(20B)는 전술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투과도 조절층(TM) 또한 전술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투과도 조절층(TM)은 전자기장에 의해 두 개의 기판 사이에서 광을 차단 또는 투과시키도록 제어되는 물리적인 광학부재일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자소자(30A)(30B)가 영상센서인 경우, 투과도제어소자(20A)(20B)와 영상센서 사이에 렌즈가 구비될 수 있다.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광을 투과하는 투과영역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표시장치의 투과영역은 광 외에 소리, 주파수 등의 신호가 통과할 수 있고, 전자소자는 스피커, 마이크,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 주변의 비표시영역 또는 표시부의 일부를 관통하는 관통부를 이용하여 전자소자를 배치시키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비표시영역 및 관통부가 시인된다. 구비되는 전자소자의 개수가 많아지면 비표시영역 및 관통부가 증가하게 되어 표시부의 면적이 줄어든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부의 적어도 일부를 투과영역을 구비한 표시부로 구현하고, 투과영역에 대응하여 전자소자를 배치시킴으로써, 다양한 전자소자를 구비하면서도 베젤 영역이나 관통부와 같은 비표시 영역이 없이 풀 화면 표시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는 투과영역을 구비한 표시부와 전자소자 사이에 투과도제어소자를 구비하고, 전자소자의 구동시에, 투과도제어소자의 광 투과를 통해, 전자소자가 구동하는 동안 영상 표시 및 외부 객체 관찰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자소자의 비구동시에, 투과도제어소자의 광 투과를 차단함으로써, 투과영역을 구비한 표시부의 블랙 구현이 가능하고, 영상 표시시에 전자소자가 시인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제1 발광소자 및 상기 제1 발광소자에 인접한 외광이 투과하는 투과 영역을 포함하는 제1 표시영역과, 제2 발광소자 및 상기 제2 발광소자에 인접한 비발광 영역을 포함하는 제2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의 일 면을 마주하고, 적어도 상기 제1 표시영역의 투과 영역에 대응하게 배치된 전자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발광소자와 상기 제2 발광소자 각각은,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에 대향하는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의 발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제1 발광소자의 제1 전극과 상기 제2 발광소자의 제1 전극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발광소자의 제1 전극의 일부에 대응하는 제1 개구, 상기 제1 표시영역의 투과 영역에 대응하는 제2 개구, 및 상기 제2 발광소자의 제1 전극의 일부에 대응하는 제3 개구를 포함하는 절연막;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막은 상기 제2 표시영역의 비발광 영역에 배치된, 표시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영역과 상기 제2 표시영역을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광은 주변 광 및 상기 전자소자가 방출하는 광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소자가 영상센서이고,
    상기 표시패널의 기판과 상기 영상센서 사이의 렌즈;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를 통과하여 상기 영상센서에 입사된 광신호를 영상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영상데이터를 색 복원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제1 면에 상기 제1 표시영역이 구비된 제1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을 밀봉하는 제2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소자는 상기 제1 기판의 제1 면의 반대 면인 제2 면을 마주하게 배치된, 표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전자소자 사이에서 상기 투과 영역의 투과도를 조절하는 투과도제어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투과도제어소자는,
    상기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의 제2 면을 마주하는 제3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3 기판 사이의 투과도조절층;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은 제1 부분, 제2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 사이의 벤딩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의 제2 면과 상기 제2 부분의 제2 면이 서로 마주하고,
    상기 제1 표시영역이 상기 제1 부분의 제1 면 상에 구비되고,
    상기 전자소자가 상기 제2 부분의 제2 면 상에 구비되는, 표시장치.
  10. 삭제
  11. 제1 발광소자들 및 상기 제1 발광소자들 사이에 외광을 투과하는 투과영역들을 포함하는 제1 표시영역과, 제2 발광소자들 및 상기 제2 발광소자들 사이의 비발광 영역들을 포함하는 제2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의 배면을 마주하고, 적어도 상기 투과영역에 대응하게 배치된 전자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발광소자들과 상기 제2 발광소자들 각각은,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에 대향하는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의 발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제1 발광소자들과 상기 제2 발광소자들의 제1 전극들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발광소자들의 제1 전극들의 일부에 대응하는 제1 개구들, 상기 제1 표시영역의 투과 영역들에 대응하는 제2 개구들, 및 상기 제2 발광소자들의 제1 전극들의 일부에 대응하는 제3 개구들을 포함하는 절연막;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막은 상기 제2 표시영역의 비발광 영역들에 배치된, 표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소자가 영상센서이고,
    상기 표시패널의 기판과 상기 영상센서 사이의 렌즈;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를 통과하여 상기 영상센서에 입사된 광신호를 영상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영상데이터를 색 복원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제1 면에 상기 제1 표시영역과 상기 제2 표시영역이 구비된 제1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을 밀봉하는 제2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소자는 상기 제1 기판의 제1 면의 반대 면인 제2 면을 마주하게 배치된, 표시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은 제1 부분, 제2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 사이의 벤딩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의 제2 면과 상기 제2 부분의 제2 면이 서로 마주하고,
    상기 제1 표시영역과 상기 제2 표시영역이 상기 제1 부분의 제1 면 상에 구비되고,
    상기 전자소자가 상기 제2 부분의 제2 면 상에 구비되는, 표시장치.
  16. 제1 발광소자 및 상기 제1 발광소자에 인접하여 외광이 투과하는 투과 영역을 포함하는 제1 표시영역과, 제2 발광소자 및 상기 제2 발광소자에 인접한 비발광 영역을 포함하는 제2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표시패널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패널의 일 면을 마주하고, 적어도 상기 투과 영역에 대응하게 전자소자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패널을 제공하는 단계는,
    제1 기판 상에 상기 제1 발광소자와 상기 제2 발광소자의 제1 전극들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 발광소자와 상기 제2 발광소자의 제1 전극들 상에 절연막을 배치하고, 상기 절연막에 상기 제1 발광소자들 각각의 제1 전극의 일부에 대응하는 제1 개구, 상기 투과 영역에 대응하는 제2 개구, 및 상기 제2 발광소자들 각각의 제1 전극의 일부에 대응하는 제3 개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개구와 상기 제3 개구에 발광층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 개구, 상기 제2 개구 및 상기 제3 개구에 제2 전극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2 개구의 제2 전극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기판에 대향하여 제2 기판을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막은 상기 제2 표시영역의 비발광 영역에 배치된, 표시장치 제조방법.
  17. 삭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에 제2 전극을 배치하기 전에, 상기 제2 개구에 점착층을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개구의 제2 전극을 제거하는 단계는, 제2 개구의 점착층 및 제2 전극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제조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과 전자소자 사이에 상기 투과 영역의 투과도를 조절하는 투과도제어소자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투과도제어소자와 상기 전자소자 사이에 렌즈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제조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은 제1 부분, 제2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 사이의 벤딩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의 제2 면과 상기 제2 부분의 제2 면이 서로 마주하고,
    상기 전자소자를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판의 제2 부분의 제2 면 상에 상기 전자소자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제조방법.
KR1020180053926A 2018-05-10 2018-05-10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668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926A KR102668689B1 (ko) 2018-05-10 2018-05-10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US16/408,385 US11270613B2 (en) 2018-05-10 2019-05-09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19173763.4A EP3567574A1 (en) 2018-05-10 2019-05-10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201910389123.1A CN110473980A (zh) 2018-05-10 2019-05-10 显示设备和制造所述显示设备的方法
US17/688,559 US11721260B2 (en) 2018-05-10 2022-03-07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926A KR102668689B1 (ko) 2018-05-10 2018-05-10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094A KR20190130094A (ko) 2019-11-21
KR102668689B1 true KR102668689B1 (ko) 2024-05-24

Family

ID=66483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926A KR102668689B1 (ko) 2018-05-10 2018-05-10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1270613B2 (ko)
EP (1) EP3567574A1 (ko)
KR (1) KR102668689B1 (ko)
CN (1) CN11047398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19989B2 (en) * 2019-05-16 2023-08-08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Display panel and electrical apparatus with light transmittance adjustment layer
KR20210004472A (ko) * 2019-07-04 2021-01-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 영상 보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의 구동방법
CN112397004A (zh) 2019-08-16 2021-02-23 硅工厂股份有限公司 控制器和包括该控制器的显示设备
KR20210145896A (ko) 2020-05-25 2021-12-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CN115224091A (zh) * 2020-08-28 2022-10-21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220082518A (ko) * 2020-12-10 2022-06-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20088598A (ko) 2020-12-18 2022-06-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1703A (ja) 2008-10-07 2010-04-22 Sony Corp 表示装置
US20130135328A1 (en) * 2011-11-30 2013-05-30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roviding access to internal component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90357B2 (ja) 2005-09-16 2010-06-23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映像提示・撮像装置
KR101416718B1 (ko) * 2008-07-17 2014-07-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20110101980A (ko) * 2010-03-10 2011-09-1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407586B1 (ko) * 2011-04-25 2014-06-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모드에 따라 광반사율을 변화시키는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30064486A (ko) * 2011-12-08 2013-06-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투과율 제어가 가능한 표시장치
US10133156B2 (en) 2012-01-10 2018-11-20 Apple Inc. Fused opaque and clear glass for camera or display window
KR101864452B1 (ko) 2012-01-12 2018-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촬영 및 화상 통화 장치와 방법
EP2859409B1 (en) 2012-06-08 2021-07-21 Apple Inc. Fused opaque and clear glass for camera or display window
KR101931176B1 (ko) * 2012-06-11 2018-12-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338251B1 (ko) * 2012-06-13 2013-12-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462351B1 (ko) 2013-08-16 2014-11-14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시선일치 영상통화장치
KR20150069379A (ko) * 2013-12-13 2015-06-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201827B1 (ko) * 2014-09-16 2021-01-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유기발광표시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2410524B1 (ko) * 2015-07-03 2022-06-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EP3254235B1 (en) * 2016-01-31 2023-07-12 Shenzhen Goodix Technology Co., Ltd. Under-screen optical sensor module for on-screen fingerprint sensing
KR102515963B1 (ko) 2016-03-04 2023-03-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73566B1 (ko) * 2016-09-23 2022-03-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80034750A (ko) * 2016-09-26 2018-04-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1703A (ja) 2008-10-07 2010-04-22 Sony Corp 表示装置
US20130135328A1 (en) * 2011-11-30 2013-05-30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roviding access to internal compon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21260B2 (en) 2023-08-08
CN110473980A (zh) 2019-11-19
KR20190130094A (ko) 2019-11-21
US11270613B2 (en) 2022-03-08
EP3567574A1 (en) 2019-11-13
US20190349550A1 (en) 2019-11-14
US20220189373A1 (en) 2022-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8689B1 (ko)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US11069302B2 (en) Display apparatus having extended connecting lines
US10496204B2 (en) Display device with integrated touch screen and mirror function,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2478474B1 (ko) 표시 장치
US10474279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20230397452A1 (en) Display device
KR20200039862A (ko) 표시장치
EP3706184B1 (en) Display panel
KR20180020091A (ko) 표시 장치
KR20200118266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47945A (ko) 표시 장치
KR20190000023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103235A (ko) 표시 패널 및 전자 기기
KR20220036437A (ko) 표시 장치
CN114388571A (zh) 显示装置
US11985868B2 (en) Display apparatus
EP4113616A1 (en) Display apparatus
US20220158127A1 (en) Display panel and electronic device
US11997881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230389397A1 (en) Display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230099770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TWM650976U (zh) 顯示裝置
KR20230091236A (ko)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20230017403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125904A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