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6275A - 용접 작업량 분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용접 작업량 분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6275A
KR20230016275A KR1020210097515A KR20210097515A KR20230016275A KR 20230016275 A KR20230016275 A KR 20230016275A KR 1020210097515 A KR1020210097515 A KR 1020210097515A KR 20210097515 A KR20210097515 A KR 20210097515A KR 20230016275 A KR20230016275 A KR 20230016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unit
information
workloa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7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호
김경남
김상훈
김호정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7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6275A/ko
Publication of KR20230016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62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6Schedule adjust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용접 작업량 분배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용접 작업량 분배 장치는 도면 데이터로 저장된 배관 도면 내의 텍스트를 추출하는 텍스트 인식부; 상기 텍스트 인식부가 추출한 텍스트와 미리 저장된 설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배관 도면에 도시된 배관의 직경 정보와 용접 조인트 수를 포함하는 요소 정보를 결정하는 정보 추출부; 및 미리 지정된 표준 시수 기준을 적용하여 상기 배관 도면에 대해 결정된 상기 요소 정보에 따른 용접 작업량인 작업 시수를 산출하는 작업량 산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용접 작업량 분배 장치 및 방법{Welding workload distribution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은 용접 작업량 분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조선 산업에서는 블록 제작 및 조립 공정에 의해 선박 및 해양 구조물이 제작된다. 여기서, 블록 제작 공정은 소조립, 중조립, 대조립 및 선행탑재 등 블록 조립 작업이 수행되는 공정으로, 배재, 취부, 용접, 사상, 검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선박 및 해양 구조물은 제작을 위한 설계가 이루어진 후, 용도에 따라 절단 및 성형되고 전처리 과정을 거친 강판이 상호 용접되어 결합된 것이다. 이때, 필요한 각 부위에 배관이나 서포트 등의 의장재들이 추가로 용접되어 배치된다. 이처럼 해양 구조물 제작시의 주된 작업은 용접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용접 작업을 위해서는, 우선 도면 내의 용접 정보가 확인된 후, 각 용접팀별 작업자의 수를 고려하여 적절한 물량이 배분되어야 한다.
그러나, 실제 현장에서는, 담당자가 배관 도면별 정확한 물량 정보 산출이나 작업자별 상이한 가용 시수를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단지 각 용접팀에 대한 업무 경험에 기반하여 용접 물량을 배분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용접팀별 가용 시수에 따른 업무량이 평준화되지 않아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82939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51598호
본 발명은 용접 작업될 배관 도면들을 토대로 총 용접 작업량을 산출하고, 각 용접팀별 작업자들에 따른 가용 시수를 고려하여 각 용접팀 및/또는 각 작업자에 대한 업무량을 분배함으로써, 용접팀 단위 및/또는 작업자 단위의 업무량을 평준화시켜 작업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용접 작업량 분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용접 작업될 배관 도면들 각각의 복잡도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작업 시수를 산출함으로써, 총 용접 작업량 산출 과정에서 배관 도면들 각각에 대한 현장 작업 난이도가 고려될 수 있는 용접 작업량 분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도면 데이터로 저장된 배관 도면 내의 텍스트를 추출하는 텍스트 인식부; 상기 텍스트 인식부가 추출한 텍스트와 미리 저장된 설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배관 도면에 도시된 배관의 직경 정보와 용접 조인트 수를 포함하는 요소 정보를 결정하는 정보 추출부; 및 미리 지정된 표준 시수 기준을 적용하여 상기 배관 도면에 대해 결정된 상기 요소 정보에 따른 용접 작업량인 작업 시수를 산출하는 작업량 산출부를 포함하는 용접 작업량 분배 장치가 제공된다.
용접 작업량 분배 장치는, 업무량 분배 시점에서 하나 이상의 배관 도면에 대해 각각 산출된 용접 작업량을 취합하고, 용접팀 단위 및 작업자 단위 중 하나 이상으로 업무량을 분배하는 업무량 분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업무량 분배부는 각 용접팀에 소속된 각 작업자에 대해 미리 지정된 일단위 가용 시수를 고려하여 각 용접팀별 일단위 가용 시수를 산정하고, 각 작업자 및 각 용접팀별 일단위 가용 시수를 고려하여 용접팀 단위 및 작업자 단위 중 하나 이상을 기준한 업무량을 분배할 수 있다.
용접 작업량 분배 장치는, 미리 기계 학습된 분류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배관 도면의 복잡도에 따른 등급 정보를 부여하는 분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작업량 산출부는 상기 등급 정보에 상응하도록 미리 지정된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배관 도면에 대한 작업 시수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추출부는, 상기 배관 도면에서 상기 텍스트 인식부가 추출한 배관 아이디 및 도면 식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설계 정보로부터 상기 직경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배관 도면에서 상기 텍스트 인식부가 추출한 용접 정보들의 개수를 이용하여 용접 작업될 용접 조인트 수를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용접 작업량 분배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단계들은, (a) 미리 기계 학습된 분류 모델을 이용하여, 도면 데이터로 저장된 배관 도면의 복잡도에 따른 등급 정보를 부여하는 단계; (b) 상기 배관 도면에 기재된 텍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추출된 텍스트와 미리 저장된 설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배관 도면에 도시된 배관의 직경 정보와 용접 조인트 수를 포함하는 요소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d) 미리 지정된 표준 시수 기준을 적용하여, 상기 배관 도면에 대해 결정된 상기 요소 정보에 따른 용접 작업량인 작업 시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업무량 분배될 배관 도면들 각각에 대해 상기 단계 (a) 내지 (d)가 수행되어 산출된 용접 작업량은 취합되어, 용접팀 단위 및 작업자 단위 중 하나 이상을 기준하여 업무량 분배되는,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용접 작업될 배관 도면들을 토대로 총 용접 작업량을 산출하고, 각 용접팀별 작업자들에 따른 가용 시수를 고려하여 각 용접팀 및/또는 각 작업자에 대한 업무량을 분배함으로써, 용접팀 단위 및/또는 작업자 단위의 업무량을 평준화시켜 작업 효율의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접 작업될 배관 도면들 각각의 복잡도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작업 시수를 산출함으로써, 총 용접 작업량 산출 과정에서 배관 도면들 각각에 대한 현장 작업 난이도가 고려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작업량 분배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출 유닛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도면의 복잡도에 따른 그룹 분류 형태를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작업량 분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작업량 분배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출 유닛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도면의 복잡도에 따른 그룹 분류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용접 작업량 분배 장치(110)는 추출 유닛(112), 작업량 산출부(114) 및 업무량 분배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용접 작업량 분배 장치(110)의 각 세부 구성 요소(예를 들어, 추출 유닛(112) 등)는 지정된 역할을 수행하는 일종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되거나,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주문형 반도체(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으로 구현되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물론,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지 않고,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적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도 있다.
추출 유닛(112)은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분류부(210), 텍스트 인식부(220) 및 정보 추출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분류부(210)는 미리 기계 학습된 분류 모델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150)에 도면 데이터로 저장된 각 도면 문서를 복잡도에 따라 등급 분류한다. 등급은 예를 들어, 복잡 배관, 일반 배관 등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분류부(210)는 분류 모델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된 도면 문서들을 모두 등급 분류하고, 분류된 등급 정보가 해당 도면 문서들에 대응되도록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할 수 있다. 물론, 분류부(210)는 각 시점에서 업무량 분배가 실시될 도면 문서들만을 대상으로 분류 모델을 이용하여 등급 분류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분류 모델은 각 도면 문서를 등급 분류하기 위해 미리 지정된 데이터셋을 이용하여 기계학습될 수 있으며, 데이터셋에는 예를 들어 도면 문서의 복잡도를 학습하기 위한 배관 도면들과 각 배관 도면들에 상응하는 등급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분류 모델은 예를 들어 도면 문서에 도시된 배관의 형상을 실선으로 추출하고, 추출된 실선이 단일 방향의 연속성을 가지도록 실선인지, 분기된 가지가 존재하며 몇 개인지, 가지가 분기된 분기 위치가 몇 개인지, 실선의 형상이 직선 또는 곡선인지 등에 따라 도면 문서의 복잡도를 인식하도록 데이터셋을 이용하여 미리 기계 학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분류부(210)는 도면 문서에 도시된 배관이 예를 들어 3차원 엘보우로 연결되었는지, 조인트 연결부의 복잡성은 어느 정도인지 등에 따라 각 도면 문서를 등급 분류할 수 있으며, 이는 현장에서의 배관 용접 작업의 복잡도에 대응될 수 있다.
이는, 도면 문서 내에 도시된 배관의 형상이 복잡할수록 현장에서 많은 작업 시수가 소요되기 때문에, 적정한 용접 물량 분배를 위해서는 각각의 도면에 대한 복잡도가 관리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복잡도가 높은 배관 도면의 경우, 복잡도가 낮은 여러 개의 배관 도면으로 분리되어 현장에서 각각 용접 작업된 후 다시 합치는 공정으로 진행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도 3에 예시된 다양한 배관 도면들을 참조하면, 배관의 형상이 도 3의 (a)와 (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3차원 엘보로 연결되어 있거나 조인트 연결부가 복잡하게 형성된 경우에는 복잡도가 높으므로 복잡 배관인 그룹 1로 분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3의 (b)와 (d)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배관의 형상이 상대적으로 간략한 경우에는 복잡도가 낮으므로 일반 배관인 그룹 2로 분류될 수 있을 것이다.
텍스트 인식부(220)는 데이터베이스(150)에 도면 데이터로 저장된 각 도면 문서 내의 텍스트를 추출한다. 각 도면 문서는 예를 들어 PDF 등의 전자 문서 형태로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될 수 있고, 텍스트 인식부(220)는 예를 들어 배관 도면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도면 번호 등), 배관 도면에 기재된 배관 아이디(ID), 용접 정보 등과 같은 텍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
텍스트 인식부(220)는 예를 들어 미리 지정된 형식에 기초하여 배관 도면의 식별 정보, 배관 아이디, 용접 정보 등 중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텍스트를 인식하도록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배관 아이디는 예를 들어 'xxxxx-xx-Pxxxx(여기서, x는 임의의 숫자)'의 형식으로 배관 도면에 기재될 수 있고, 용접 정보는 'W1', 'W2' 등의 형식으로 용접 개소에 상응하도록 배관 도면에 기재될 수 있다. 여기서, 배관 아이디, 용접 정보 등을 기재하기 위한 형식과 기재 위치는 이외에도 다양하게 규정될 수 있으며, 또한 속성에 따라 다양한 형식으로 기재되도록 규정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예를 들어, 용접 정보는 도시된 배관에 대응되도록 각각 기재될 수도 있으나, 도면 문서의 좌측 상단 부분에 취합 정리되어 기재될 수도 있다.
텍스트 인식부(220)는 배관 도면 내에서 배관 아이디 등에 상응하는 텍스트뿐 아니라, 해당 텍스트의 좌표 정보를 더 추출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여기서, 좌표 정보는 해당 배관 도면 내에서의 상대 좌표 정보로 추출되도록 미리 설정될 수도 있다.
정보 추출부(230)는 도면 문서에서 추출된 텍스트 및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된 설계 정보를 참조하여 용접 작업량 산출을 위한 요소 정보들을 결정한다.
요소 정보들은 예를 들어 용접될 배관의 직경 정보와 용접 조인트 수일 수 있다.
직경 정보는 용접될 배관의 직경이 클수록 현장에서의 용접 작업 시수가 상대적으로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고려될 필요가 있다. 정보 추출부(230)는 텍스트 인식부(220)에서 인식된 배관 아이디 및 도면 식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된 설계 정보로부터 용접된 배관의 직경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용접 조인트 수는 배관의 용접 조인트 수가 많아질수록 현장에서의 용접 작업 시수가 상대적으로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고려될 필요가 있다. 정보 추출부(230)는 텍스트 인식부(220)에 의해 인식된 용접 정보들의 개수를 이용하여 용접해야 할 용접 조인트 수를 인식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작업량 산출부(114)는 추출 유닛(112)에서 해석된 각 도면 문서의 등급 정보와 요소 정보들을 이용하여 용접 작업량을 산출한다.
작업량 산출부(114)는 용접 작업량을 산출하기 위해, 용접될 배관의 직경, 용접 조인트 수 등 각각의 요소 정보에 상응하여 미리 지정된 표준 시수 기준을 이용할 수 있다.
표준 시수 기준은 배관의 직경별 용접 조인트 각각에 대해 용접 작업시 필요한 시수로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출 유닛(112)에서 해석된 특정 배관 도면에 대해 요소 정보로서 600mm 배관으로서 용접 조인트 수가 4개로 결정된 경우, 600mm 배관에 대한 용접 조인트 1개당 표준 시수 기준이 1.5시간으로 지정되었다면, 작업량 산출부(114)는 해당 배관 작업을 완료하기 위한 작업 시수는 6시간(= 1.5시간 x 4개)로 산정할 수 있다.
이때, 작업량 산출부(114)는 해당 배관 도면이 분류된 등급 정보에 대해 지정된 가중치를 더 적용하여 작업 시수를 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반 배관인 경우에는 가중치 1이, 복잡 배관의 경우에는 가중치 2가 표준 시수 기준에 적용되도록 미리 지정된 경우, 전술한 예에서의 배관 도면이 복잡 배관으로서 그룹 1로 분류되었다면, 작업량 산출부(114)는 해당 배관 작업을 완료하기 위한 작업 시수는 12시간(= 가중치 2 x 1.5시간 x 4개)로 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가중치는 도면 문서에 대한 등급 정보뿐 아니라, 용접 장비, 작업 환경 등 다양한 요인을 대상으로 각각 더 지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작업량 산출부(114)는 각 시점에서 업무량 분배가 실시될 도면 문서들을 대상으로 각 배관 도면별 용접 작업량을 산출한다.
업무량 분배부(116)는 작업량 산출부(114)에서 각 도면 문서에 대해 산출된 용접 작업량을 취합하고, 각 용접팀 및/또는 각 작업자별 업무량을 분배한다.
이때, 업무량 분배부(116)는 각 용접팀에 소속된 각 작업자에 대해 미리 지정된 일단위 가용 시수를 적용하여, 각 용접팀별 일단위 가용 시수를 산정할 수 있고, 이를 참조하여 각 용접팀 또는 각 작업자별 업무량을 분배할 수 있다.
업무량 분배부(116)는 배관 용접 작업에 대한 업무량을 분배함에 있어, 각 작업자의 가용 시수를 고려하여 각 작업자별 또는 각 용접팀별 일단위 업무량을 분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각 용접팀 단위 및 각 작업자 단위에서 작업 물량의 평준화를 달성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작업량 분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410에서 용접 작업량 분배 장치(110)는 미리 기계 학습된 분류 모델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150)에 도면 데이터로 저장된 도면 문서를 복잡도에 따라 등급 분류한다.
배관 도면인 도면 문서에 대한 등급 분류는 미리 실시되어 해당 도면 문서에 상응하는 등급 정보가 미리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될 수도 있으며, 적절한 시점에서 업무량 분배가 실시될 도면 문서들만을 대상으로 하는 등급 분류가 실시될 수도 있다.
등급 분류에 의해, 예를 들어 도시된 배관의 형상이 상대적으로 복잡한 도면 문서는 복잡 배관에 해당되는 그룹 1로 분류되고, 도시된 배관의 형상이 상대적으로 간소화된 도면 문서는 일반 배관에 해당되는 그룹 2로 분류될 수 있다(도 3 참조).
단계 420에서, 용접 작업량 분배 장치(110)는 해당 도면 문서 내에 기재된 텍스트를 추출한다.
해당 도면 문서는 예를 들어 PDF 등의 전자 문서 형태일 수 있고, 도면 문서 내에 기재된 배관 도면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도면 번호 등), 배관 아이디(ID), 용접 정보 등과 같은 텍스트가 추출될 수 있다.
단계 430에서, 용접 작업량 분배 장치(110)는 도면 문서에서 추출된 텍스트 및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된 설계 정보를 참조하여 용접 작업량 산출을 위한 요소 정보들을 각각 결정한다.
요소 정보들은 예를 들어 용접될 배관의 직경 정보와 용접 조인트 수일 수 있다. 직경 정보는 도면 문서에서 추출된 배관 아이디 및 도면 식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된 설계 정보로부터 용접된 배관의 직경 정보가 인식될 수 있다.
또한, 용접 조인트 수는 도면 문서에서 추출된 용접 정보들의 개수를 이용하여 용접해야할 용접 조인트 수가 인식될 수 있다.
단계 440에서, 용접 작업량 분배 장치(110)는 해당 도면 문서의 등급 정보와 요소 정보들을 이용하여 상응하는 배관 용접 작업을 위한 용접 작업량인 작업 시수를 산출한다.
작업 시수는 각각의 요소 정보에 상응하도록 미리 지정된 표준 시수 기준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고, 도면 문서의 등급 정보에 상응하도록 지정된 가중치가 적용될 수 있다.
용접 작업량 분배 장치(110)는 현재 시점에서 업무량 분배가 실시될 도면 문서들 각각에 대해 전술한 단계 410 내지 440을 개별적으로 실시함으로써, 각 도면 문서에 도시된 배관에 관한 용접 작업량을 산출한다.
단계 450에서, 용접 작업량 분배 장치(110)는 용접 작업될 도면 문서들 각각에 대해 산출되어 취합된 용접 작업량을 작업자별 가용 시수를 고려하여 용접팀 단위 및/또는 작업자 단위로 업무량을 분배한다.
즉, 각 용접팀에 소속된 각 작업자에 대해 미리 지정된 일단위 가용 시수를 적용하면 각 용접팀별 일단위 가용 시수가 산정될 수 있고, 이를 참조하여 각 용접팀 또는 각 작업자별 업무량이 분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용접 작업량 분배 장치 및 방법은 용접 작업될 배관 도면들을 토대로 총 용접 작업량을 산출하고, 각 용접팀별 작업자들에 따른 가용 시수를 고려하여 각 용접팀 및/또는 각 작업자에 대한 업무량을 분배함으로써, 용접팀 단위 및/또는 작업자 단위의 업무량을 평준화시켜 작업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전술한 용접 작업량 분배 방법은 디지털 처리 장치에 내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등으로 구현되어 시계열적 순서에 따른 자동화된 절차로 수행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프로그램 등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상기 방법을 구현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용접 작업량 분배 장치 112 : 추출 유닛
114 : 작업량 산출부 116 : 업무량 분배부
150 : 데이터베이스 210 : 분류부
220 : 텍스트 인식부 230 : 정보 추출부

Claims (5)

  1. 도면 데이터로 저장된 배관 도면 내의 텍스트를 추출하는 텍스트 인식부;
    상기 텍스트 인식부가 추출한 텍스트와 미리 저장된 설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배관 도면에 도시된 배관의 직경 정보와 용접 조인트 수를 포함하는 요소 정보를 결정하는 정보 추출부; 및
    미리 지정된 표준 시수 기준을 적용하여 상기 배관 도면에 대해 결정된 상기 요소 정보에 따른 용접 작업량인 작업 시수를 산출하는 작업량 산출부를 포함하는 용접 작업량 분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업무량 분배 시점에서 하나 이상의 배관 도면에 대해 각각 산출된 용접 작업량을 취합하고, 용접팀 단위 및 작업자 단위 중 하나 이상으로 업무량을 분배하는 업무량 분배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업무량 분배부는 각 용접팀에 소속된 각 작업자에 대해 미리 지정된 일단위 가용 시수를 고려하여 각 용접팀별 일단위 가용 시수를 산정하고, 각 작업자 및 각 용접팀별 일단위 가용 시수를 고려하여 용접팀 단위 및 작업자 단위 중 하나 이상을 기준한 업무량을 분배하는, 용접 작업량 분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미리 기계 학습된 분류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배관 도면의 복잡도에 따른 등급 정보를 부여하는 분류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작업량 산출부는 상기 등급 정보에 상응하도록 미리 지정된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배관 도면에 대한 작업 시수를 산출하는, 용접 작업량 분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추출부는,
    상기 배관 도면에서 상기 텍스트 인식부가 추출한 배관 아이디 및 도면 식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설계 정보로부터 상기 직경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배관 도면에서 상기 텍스트 인식부가 추출한 용접 정보들의 개수를 이용하여 용접 작업될 용접 조인트 수를 인식하는, 용접 작업량 분배 장치.
  5. 용접 작업량 분배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단계들은,
    (a) 미리 기계 학습된 분류 모델을 이용하여, 도면 데이터로 저장된 배관 도면의 복잡도에 따른 등급 정보를 부여하는 단계;
    (b) 상기 배관 도면에 기재된 텍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추출된 텍스트와 미리 저장된 설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배관 도면에 도시된 배관의 직경 정보와 용접 조인트 수를 포함하는 요소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d) 미리 지정된 표준 시수 기준을 적용하여, 상기 배관 도면에 대해 결정된 상기 요소 정보에 따른 용접 작업량인 작업 시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업무량 분배될 배관 도면들 각각에 대해 상기 단계 (a) 내지 (d)가 수행되어 산출된 용접 작업량은 취합되어, 용접팀 단위 및 작업자 단위 중 하나 이상을 기준하여 업무량 분배되는,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0097515A 2021-07-26 2021-07-26 용접 작업량 분배 장치 및 방법 KR202300162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515A KR20230016275A (ko) 2021-07-26 2021-07-26 용접 작업량 분배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515A KR20230016275A (ko) 2021-07-26 2021-07-26 용접 작업량 분배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275A true KR20230016275A (ko) 2023-02-02

Family

ID=85225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7515A KR20230016275A (ko) 2021-07-26 2021-07-26 용접 작업량 분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627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2939A (ko) 2011-12-23 2013-07-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용접사 기량 관리 방법
KR20150051598A (ko) 2013-11-05 2015-05-13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용접사 자격관리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2939A (ko) 2011-12-23 2013-07-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용접사 기량 관리 방법
KR20150051598A (ko) 2013-11-05 2015-05-13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용접사 자격관리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14433A (zh) 业务系统间数据血缘的识别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7016018B (zh) 数据库索引创建方法及装置
CN110457843B (zh) 三维管线模型生成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07016019B (zh) 数据库索引创建方法及装置
CN102693334B (zh) 基于cad电子图纸的动态构件识别方法
CN108399609B (zh) 一种三维点云数据的修补方法、装置和机器人
CN116468392A (zh) 一种电网工程项目进度监控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3190905B (zh) 一种建筑模型的分析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4647690A (zh) 基于bim的全过程数据信息自动化共享方法
CN114707186A (zh) 一种数字三维逆向建模方法及系统
CN111767324B (zh) 一种智能关联的自适应数据分析方法及装置
KR20230016275A (ko) 용접 작업량 분배 장치 및 방법
CN110688439A (zh) 一种基于区域地理编码自动识别企业信息和分析的方法
CN109508953A (zh) 一种表格模板生成方法
Lee et al. A study AR based smart device for work management at plant construction sites
CN105975696A (zh) 基于规则的三维工序尺寸布局方法
CN113743695A (zh) 基于大数据的国际工程项目投标报价风险管理方法
KR20110032128A (ko) 배관설계용 다이어그램-3차원 모델링 일원화 장치
KR102145178B1 (ko) 데이터베이스로 저장된 설계정보를 이용한 지능형 pid 도면의 자동 작성 방법
CN111079766A (zh) 一种p&id图的智能化方法
KR101773571B1 (ko) 해양플랜트 배관재 간섭 체크 및 설치 순서 확인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배관재 간섭 체크 및 설치순서 확인 방법
KR102012494B1 (ko) 설계공정 기반 간섭체크 자율 운영 시스템
Kang et al. Feature Template–Based Parametric Swept Geometry Generation from Point Cloud Data: Pipeline Design in Building Systems
CN108958917A (zh) 云计算的任务调度方法及系统
CN116881335B (zh) 多模态数据智能分析系统与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