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6151A - 세포외 소포체 rna 추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세포외 소포체 rna 추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6151A
KR20230016151A KR1020220088802A KR20220088802A KR20230016151A KR 20230016151 A KR20230016151 A KR 20230016151A KR 1020220088802 A KR1020220088802 A KR 1020220088802A KR 20220088802 A KR20220088802 A KR 20220088802A KR 20230016151 A KR20230016151 A KR 20230016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na
composition
extraction
hsa
m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8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석근
우진규
유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노헬릭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노헬릭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노헬릭스
Publication of KR20230016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61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0Processes for the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of DNA or RNA
    • C12N15/1003Extracting or separating nucleic acids from biological samples, e.g. pure separation or isolation methods; Conditions, buffers or apparatus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06Preparing nucleic acids for analysis, e.g. for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ssa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23/00Reactions characterised by treatment of reaction samples
    • C12Q2523/10Characterised by chemic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27/00Reactions demanding special reaction conditions
    • C12Q2527/101Temper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H는 7.0 내지 11.0의 Tris-HCl 및 계면 활성제를 포함하는 세포외 소포체 RNA 추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세포외 소포체 RNA 추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통해 세포외 소포체의 RNA 추출 효율을 현저히 증가시킴으로써 엑소좀 등의 세포외 소포체 유래의 RNA를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포외 소포체 RNA 추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Composition for Extraction of Extracellular vesicle RNA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pH는 7.0 내지 11.0의 Tris-HCl 및 계면 활성제를 포함하는 세포외 소포체 RNA 추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세포외 소포체 RNA 추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삶의 질이 향상되면서 질병의 조기 진단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으며, 분자진단 기술은 질병을 유발하는 병원체의 유전정보 (DNA/RNA)를 직접적으로 검출하기 때문에, 기존의 항원/항체 반응을 기반으로 하여 질병의 간접 인자 (indirect factor)를 검출하는 면역진단 기술의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로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또한, 최근 인간 유전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전자 수준에서 질병의 원인을 해석함에 따라, 인간의 질병을 치유하거나 예방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생체 시료의 조작 및 생화학적 분석에 대한 요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 다양한 체액에서 분리할 수 있는 세포외 소포체를 활용하여 새로운 진단 표지자를 발굴하고, 이를 이용하여 질병을 진단하고자 하는 연구가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질병의 진단 외에도 신약개발, 바이러스나 박테리아 감염 여부의 사전 검사 및 법의학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생체 시료나 세포가 포함된 시료로부터 핵산을 추출, 분석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으나, 기존 핵산 추출 키트는 추출 과정에서 핵산의 손실이 많이 발생하여 추출된 핵산을 이용한 연구에 어려움이 있고, 세포외 소포체에서 핵산, 특히, RNA를 효율적으로 추출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세포외 소포체에서 RNA 추출 효율을 현저히 증가시킴으로써 엑소좀 등의 세포외 소포체 유래 RNA를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45486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세포외 소포체로부터의 RNA 추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RNA 추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Tris-HCl 및 계면 활성제를 포함하고, 상기 Tris-HCl의 pH는 7.0 내지 11.0인, 세포외 소포체 RNA 추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세포외 소포체(Extracellular vesicle, EV)'는 세포 간 정보교환을 위해 모든 세포들이 외부 환경으로 분비하는 나노 크기의 소포체를 말한다. DNA, RNA 및 단백질 등 생물학적 활성을 가진 물질들을 포함하며, 세포막으로부터 분비되어 세포와 세포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에 매우 중요한 기능을 한다.
세포외 소포체는 세포배양액, 혈액, 소변, 타액, 눈물, 정액, 모유, 복수(ascites) 등 다양한 체액에서 존재하고, 단백질, 지질, 핵산, 대사물질(metabolites) 등 생물학적 활성을 보이는 물질을 포함하여 지혈, 조직 재생, 줄기세포 유지, 염증/면역 반응 조절, 배아 발달 등 여러 생리적/병리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세포외 소포체는 유래된 세포들의 상태를 반영하는 바, 세포외 소포체의 핵산 또는 단백질을 토대로 새로운 진단 표지자, 바이오마커를 발굴하여 질병을 진단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세포외 소포체는 세포배양액, 혈액, 소변, 타액, 눈물, 정액, 모유, 복수 유래인 것일 수 있으며, 생체 조직, 체액에서 분리될 수 있는 세포외 소포체라면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포외 소포체는 엑소좀(exosomes), 마이크로베시클(microvesicles), 엑토좀(ectosomes), 마이크로파티클(microparticles), 막 소포체(membrane vesicles), 나노베시클(nanovesicles), 외막 소포체(outer membrane vesicles) 등을 포함하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세포 밖으로 분비되는 세포체라면 제한없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RNA'는 세포외 소포체에 포함된 것이면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RNA는 스몰(small) RNA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스몰 RNA'는 대략 200이하의 염기쌍으로 구성되는 RNA를 의미하며, 비번역(non-coding) RNA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스몰 RNA는 miRNA, siRNA, piRNA, snoRNAs, tsRNA, srRNA, small nuclear RN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계면활성제(detergent)'는 음이온성, 양이온성, 양성 또는 비이온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계면활성제는 전체 조성물 대비 0.025%(v/v) 내지 0.2%(v/v)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계면활성제는 Triton X-100, NP-40 및 Tween 20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구체적으로, 상기 세포외 소포체 RNA 추출용 조성물은 염화나트륨(NaCl)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염화나트륨'은 2mM 내지 80mM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서는, 염화나트륨 농도에 따른 세포외 소포체로부터 RNA 추출 효율을 확인하여, 염화나트륨 포함 시 RNA 추출 효율이 더욱 증가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4).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a) 상기 세포외 소포체 RNA 추출용 조성물을 세포외 소포체와 혼합하는 단계; 및b) 혼합물을 60 ℃ 내지 65 ℃에서 3분 내지 10 분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포외 소포체 RNA 추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추출 방법을 적용할 경우 RNA 추출 과정에서 손실이 최소화됨으로써 세포외 소포체로부터 추출되는 RNA의 양이 현저히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 내지 도 6).
세포외 소포체로부터 RNA 추출 과정에 있어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용함으로써 샘플로부터 수득되는 RNA를 증가시킬 수 있다. 특히, 기존 기술 대비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할 경우 높은 RNA 추출 효율로 인하여 적은 양의 샘플로도 효율적으로 RNA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pH에 따른 엑소좀 RNA(A: hsa-miR-92a-3p B: hsa-miR-210-3p) 추출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농도 변화에 따른 엑소좀 RNA(hsa-miR-92a-3p) 추출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종류에 따른 엑소좀 RNA(A: hsa-miR-92a-3p B: hsa-miR-210-3p) 추출 효과를 확인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염화나트륨(NaCl) 농도에 따른 엑소좀 RNA(hsa-miR-92a-3p) 추출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열처리 조건에 따른 엑소좀 RNA(A: hsa-miR-92a-3p B: hsa-miR-181b-5p) 추출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 조성물의 기존 기술 대비 엑소좀 RNA(A: hsa-miR-92a-3p B: hsa-miR-181b-5p)의 추출 효율 증가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pH에 따른 엑소좀 RNA 추출 효과 확인
엑소좀 RNA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pH에 따른 엑소좀 RNA 추출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100 mM Tris-HCl의 pH를 6.8, 7.7, 8.1, 8.4, 8.8 및 10.8로 변화시키면서 0.075 %(v/v) Triton-X 100과 혼합한 조성물을 하기 표 1과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1
이후, 6 개의 튜브에 각각 동일 개수의 엑소좀을 준비하고, 각각의 튜브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6의 조성물을 넣고 현탁하였다. 화학적 활성화를 위해 63 ℃에서 3 분간 열처리를 진행하였으며, 이후 얼음 위에서 안정화시켰다. 이후 혼합물을 12,300 xg 로 5분간 원심분리하고 얻어진 상층액을 EV RNA 컬럼(XENOHELIX, Cat. No. SC-EVA)으로 옮긴 후 12,300 xg로 2 분간 원심분리하여 RNA를 추출하였다. 이와 같이 수득된 RNA를 확인하기 위하여 hsa-miR-92a-3p 및 hsa-miR-210-3p를 타겟으로 하여 RT-qPCR을 통해 정량적인 양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1 fmol hsa-miR-92a-3p 센서 DNA(ssDNA) 및 1 fmol hsa-miR-210-3p 센서 DNA(ssDNA)를 혼합한 후 2 μl의 반응용 완충용액(200 mM Tris-HCl, 100 mM (NH4)2SO4, 100 mM KCl, 20 mM MgSO4, 1% Triton X-100, (pH 8.8 at 25°C), 1 μl의 10 mM dNTP 및 2 unit XenoT-POL을 넣고 95 ℃에서 30초 간 가열한 후 63 ℃에서 10 분간 인큐베이션하였다. 반응 샘플을 MEGAquick-spin™Plus Total Fragment DNA Purification Kit을 이용하여 클린업하고, 60 μl의 증류수로 용리하였다. 20 μl의 샘플에 뉴클레아제 혼합물(40 mM 소듐아세테이트(sodium acetate, pH 4.5 at 25 °C), 300 mM NaCl, 2 mM ZnSO4, 및 200 unit S1 뉴클레아제)을 넣어주고 37 ℃에서 11 분간 인큐베이션하였다. 이후, 상기 혼합물을 MEGAquick-spin™ Plus Total Fragment DNA Purification Kit을 이용하여 클린업하고, 60 μl의 증류수로 용리하였다. 3 μl 샘플을 hsa-miR-92a-3p 센서 및 hsa-miR-210-3p 센서 각각에 대한 특이적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95 ℃ 2분 1사이클, 95 ℃ 10초, 64 ℃ 30초 40사이클의 조건으로 qPCR 진행하였다.
그 결과, 도 1A에 나타난 바와 같이 hsa-miR-92a-3p의 경우 pH 6.8의 실시예 1 조성물에 의한 RNA양을 기준으로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6의 조성물에 의해 추출된 RNA의 양은 각각 19, 160, 220, 65 및 133 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 1B에 나타난 바와 같이 hsa-miR-210-3p의 경우 pH 6.8의 실시예 1 조성물에 의해 추출된 RNA양을 기준으로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6의 조성물에 의해 추출된 RNA의 양은 각각 189, 708, 980, 202 및 492 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pH에 따라 엑소좀으로부터의 RNA 추출 효율이 달라짐을 나타내는 것이며, 특히 pH 7.0 내지 11.0의 범위에서 엑소좀으로부터의 RNA 추출 효율이 증가됨을 보여주는 것이다.
실험예 2. 계면활성제 농도 변화에 따른 엑소좀 RNA 추출 효과 확인
계면활성제(detergent)의 농도 변화에 따른 엑소좀 RNA의 추출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7 내지 실시예 13의 조성물을 엑소좀 내 RNA를 추출하기 위해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엑소좀으로부터 RNA를 분리하였다.
각 실시예의 조성물은 총 100 ml를 기준으로 하기 표 2와 같이 계면활성제(detergent)의 농도를 변화시키며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버퍼 조성물 100 ml를 기준으로 10 ml의 1M Tri-HCl(pH 8.4)과 각각 15, 25, 50, 75, 100, 125 및 200 μl의 100% Triton X-100을 포함하는 하기 실시예 7 내지 13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2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식을 이용하여 적용하여 엑소좀으로부터 RNA를 추출하고, 수득된 RNA를 확인하기 위하여 hsa-miR-92a-3p를 타겟으로 하여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RT-qPCR을 통해 정량적인 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7 조성물에 의해 추출된 RNA양을 기준으로 실시예 8 내지 실시예 13 조성물에 의해 추출된 RNA의 양은 hsa-miR-92a-3p의 양이 각각 1.89, 1.46, 2.23, 1.26, 1.45 및 1.42 배 증가되었는 바, 계면 활성제로 포함된 Triton X-100에 의해 엑소좀으로부터의 RNA 추출 효율이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계면활성제 종류에 따른 엑소좀 RNA 추출 효과 확인
상기 실험예 2를 통해 Triton-X 100이 포함되면 엑소좀으로부터의 RNA 추출 효율이 증가된 것을 확인함에 따라, 다른 계면 활성제를 이용할 경우에도 엑소좀으로부터의 RNA 추출 효율이 증가되는지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하기 표 3과 같이, 버퍼 조성물 100 ml를 기준으로 10 ml의 1M Tri-HCl(pH 8.4) 및 75 μl의 100% NP-40을 포함하는 하기 실시예 14의 조성물과 10 ml의 1 M Tri-HCl(pH 8.4) 및 75 μl의 100 % Tween 20을 포함하는 하기 실시예 15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를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식을 적용하여 엑소좀으로부터 RNA를 추출하였다.
Figure pat00003
이후, 수득된 RNA를 확인하기 위하여 hsa-miR-92a-3p 및 hsa-miR-210-3p를 타겟으로 하여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RT-qPCR을 통해 정량적인 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3A에 나타난 바와 같이 hsa-miR-92a-3p의 경우 동일 농도로 Triton X-100이 포함된 실시예 10 조성물에 의해 추출된 RNA양을 기준으로 실시예 14 조성물의 경우 1.4 배, 실시예 15 조성물의 경우 1.0 배로 나타났다. 또한, 도 3B에 나타난 바와 같이 hsa-miR-210-3p의 경우 동일 농도로 Triton X-100이 포함된 조성물에 의해 추출된 기준으로 실시예 8 조성물의 경우 1.5 배, 실시예 9 조성물의 경우 1.2 배로 더욱 증가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Triton X-100 외에 다른 종류의 계면 활성제를 적용하더라도 유사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한 것으로서 Triton X-100, NP-40, Tween 20 등에 의해 엑소좀으로부터의 RNA 추출 효율이 증가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실험예 4. 염화나트륨(NaCl) 농도에 따른 엑소좀 RNA 추출 효과 확인
엑소좀 RNA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NaCl의 농도에 따른 추출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하기 표 4와 같이, 버퍼 조성물 100ml를 기준으로 10 ml의 1 M Tri-HCl(pH 8.4), 75 μl의 100% Triton X-100 과 40 μl, 100 μl, 200 μl, 400 μl, 800 μl 및 1.6 ml의 5M NaCl을 각각 포함하는 하기 실시예 16 내지 21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를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식을 적용하여 엑소좀으로부터 RNA를 추출하였다.
Figure pat00004
이후, 수득된 RNA를 확인하기 위하여 hsa-miR-92a-3p를 타겟으로 하여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RT-qPCR을 통해 정량적인 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NaCl이 포함되지 않은 실시예 16 조성물(NaCl 0 mM)에 의해 추출된 RNA양을 기준으로 실시예 16 내지 실시예 21 조성물에 의해 추출된 hsa-miR-92a-3p의 양이 각각 1.2, 1.7, 15.6, 23.2, 6.3 및 16.1 배 증가되었는 바, NaCl 포함시 엑소좀으로부터의 RNA 추출 효율이 더욱 증가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열처리 조건에 따른 엑소좀 RNA 추출 효과 확인
엑소좀 RNA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열처리 조건에 따른 엑소좀 RNA 추출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0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엑소좀으로부터 RNA를 추출하였으며, 다만 화학적 활성화를 위한 열처리에 있어서 조건을 95 ℃에서 3 분, 63 ℃에서 3 분, 63 ℃에서 5 분 또는 63 ℃에서 10 분으로 달리 적용하여 엑소좀으로부터 RNA를 추출하였다. 이후 수득된 RNA를 확인하기 위하여 hsa-miR-92a-3p 및 hsa-miR-181b-5p를 타겟으로 하여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RT-qPCR을 통해 정량적인 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5A에 나타난 바와 같이 hsa-miR-92a-3p의 경우 95 ℃에서 3 분 열처리한 경우 대비 63 ℃에서 3 분, 63 ℃에서 5 분, 63 ℃에서 10 분 처리한 경우 추출된 RNA의 양이 각각 7.8 배, 6.6 배, 6.1 배 증가하였다.
또한, 도 5B에 나타난 바와 같이 hsa-miR-181b-5p의 경우에도 95 ℃에서 3 분 열처리한 경우 대비 63 ℃에서 3 분, 63 ℃에서 5 분, 63 ℃에서 10 분 처리한 경우 추출된 RNA의 양이 각각 8.9 배, 7.3 배, 7.8 배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90 ℃ 이상의 고온보다 60 ℃ 내지 65 ℃ 정도의 온도에서 열처리를 하는 것이 화학적 활성화 및 엑소좀 RNA 추출에 효율적임을 나타내며, 이는 60 ℃ 내지 65 ℃ 정도의 온도에서 고온에 의한 RNA의 손상 없이 효과적으로 엑소좀 RNA를 추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실험예 6. 기존 기술 대비 본 발명 조성물의 엑소좀 RNA의 추출 효율 증가 효과 확인
기존 기술과 대비하여 본 발명 조성물을 이용한 엑소좀 RNA 추출 효율을 확인하였다. 엑소좀 RNA를 정제하기 위해서 비교예 1로 SBI의 Exoquick Exosome RNA Column Purification Kit(cat. No. EQ808A-1), 비교예 2로 Invitrogen의 Total Exosome RNA and Protein Isolation Kit(cat. No. 4478545)을 각각 적용하였으며, 각각의 매뉴얼을 기반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실시예 10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엑소좀으로부터 RNA를 추출하였다.
이후 수득된 RNA를 확인하기 위하여 hsa-miR-92a-3p 및 hsa-miR-181b-5p를 타겟으로 하여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RT-qPCR을 통해 정량적인 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6A에 나타난 바와 같이 hsa-miR-92a-3p의 경우, 본 발명 조성물 적용시 추출된 RNA의 양이 비교예 1 대비 23.5 배, 비교예 2 대비 6.7 배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6B에 나타난 바와 같이 hsa-miR-181b-5p의 경우, 본 발명 조성물 적용시 추출된 RNA의 양이 비교예 1 대비 13.5 배, 비교예 2 대비 9.8 배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 조성물 및 추출 방법을 이용할 경우 기존 대비 세포외 소포체 및/또는 엑소좀의 RNA 추출 과정에서 손실이 최소화됨으로써 더욱 효율적인 추출이 가능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 실험예 1 내지 6의 각 miRNA 검출을 위한 센서 DNA의 서열은 하기 표 5에 정리된 바와 같다.
Figure pat00005
또한, qPCR 수행시 이용된 프라이머 서열은 하기 표 6에 정리된 바와 같다.
Figure pat00006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Tris-HCl 및 계면 활성제를 포함하고,
    상기 Tris-HCl의 pH는 7.0 내지 11.0인, 세포외 소포체 RNA 추출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 활성제는 전체 조성물 대비0.025 %(v/v) 내지 0.2 %(v/v)로 포함되는 것인, 세포외 소포체 RNA 추출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 활성제는 Triton X-100, NP-40 및 Tween 20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인, 세포외 소포체 RNA 추출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염화나트륨(NaCl)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세포외 소포체 RNA 추출용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염화나트륨은 2 mM내지 80 mM의 농도로 포함되는 것인, 세포외 소포체 RNA 추출용 조성물.
  6. a) 제1항의 조성물을 세포외 소포체와 혼합하는 단계; 및
    b) 혼합물을 60 ℃ 내지 65 ℃에서 3분 내지 10 분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포외 소포체 RNA 추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RNA는 스몰(small) RNA인 것인, 세포외 소포체 RNA 추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몰 RNA는 miRNA인 것인, 세포외 소포체 RNA 추출 방법.
KR1020220088802A 2021-07-19 2022-07-19 세포외 소포체 rna 추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300161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350 2021-07-19
KR20210094350 2021-07-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151A true KR20230016151A (ko) 2023-02-01

Family

ID=85213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8802A KR20230016151A (ko) 2021-07-19 2022-07-19 세포외 소포체 rna 추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615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4869B1 (ko) 2001-07-13 2004-11-03 주식회사 인트론바이오테크놀로지 Dna 추출용 세포 용해 버퍼 및 이를 이용한 dna 추출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4869B1 (ko) 2001-07-13 2004-11-03 주식회사 인트론바이오테크놀로지 Dna 추출용 세포 용해 버퍼 및 이를 이용한 dna 추출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28955B (zh) 一种用于检测埃博拉病毒的crRNA靶点及CRISPR-Cas13a系统
CN103409504B (zh) 一种用于检测Her2基因不含重复序列的FISH探针、试剂盒及其检测方法
JP5290987B2 (ja) 核酸増幅用サンプルの調製方法及び調製キット
WO2016183292A1 (en) Rapid methods for the extraction of nucleic acids from biological samples
JP2000516091A (ja) アルカリプロテアーゼを用いる核酸の単離方法
US8481262B2 (en) Method for enriching and/or separating prokaryotic DNA using a protein that specifically bonds to unmethylated DNA containing CpG-motifs
WO2019075868A1 (zh) 一种检测布鲁菌感染的方法及其应用
US20040126796A1 (en) Extraction of DNA from biological samples
RU2556825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экзосом из крови
JP2018508239A (ja) 核酸の単離
KR20230016151A (ko) 세포외 소포체 rna 추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ES2644516T3 (es) Método y ensayo de preparación de muestras de gran volumen específico de secuencia
KR101836042B1 (ko) 그람 양성 박테리아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dna 압타머 및 이의 용도
CN111363748B (zh) 一种核酸适配体及其构建方法和其在检测中华鳖彩虹病毒中的应用
CN111363749B (zh) 一种用于检测中华鳖虹彩病毒的核酸适配体及其构建方法和应用
KR20220012896A (ko) 배설물 시료 내 희귀 dna 서열의 검출 방법
CN112680504A (zh) 一种外泌体内多种miRNA特异性检测方法
JP5599013B2 (ja) 血液検体からの微生物核酸の抽出方法
KR101835955B1 (ko) 그람 음성 박테리아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dna 압타머 및 이의 용도
KR102587121B1 (ko) Rna 분리용 조성물
RU2752893C1 (ru) НАБОР ОЛИГОНУКЛЕОТИДОВ И СПОСОБ ИДЕНТИФИКАЦИИ И ДЕТЕКЦИИ ДНК БАКТЕРИИ Histophilus somni МЕТОДОМ ПЦР В РЕЖИМЕ РЕАЛЬНОГО ВРЕМЕНИ
RU2603098C1 (ru) Способ выделения циркулирующих днк из плазмы или сыворотки крови
RU2728342C1 (ru) Набор олигонуклеотидных праймеров и зондов и способ выявления пестивируса Н крупного рогатого скота
JPWO2018061877A1 (ja) 核酸を抽出する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キット
RU2795987C1 (ru) Набор олигонуклеотидных праймеров и флуоресцентно-меченых зондов и способ выявления ДНК возбудителя бруцеллез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