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4499A - 건축물의 마감벽 구축시스템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마감벽 구축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4499A
KR20230014499A KR1020210095914A KR20210095914A KR20230014499A KR 20230014499 A KR20230014499 A KR 20230014499A KR 1020210095914 A KR1020210095914 A KR 1020210095914A KR 20210095914 A KR20210095914 A KR 20210095914A KR 20230014499 A KR20230014499 A KR 20230014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fixing
finishing
frame
join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5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8434B1 (ko
Inventor
김갑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10095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8434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09591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68434B1/ko
Publication of KR20230014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4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8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8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sealing elements between cov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2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21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24Hidden fastening means on the rear of the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25Hidden fastening means on the rear of the covering or lining elements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건축물의 마감벽 구축시스템을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마감벽 구축시스템은 복수의 마감패널을 구비하는 건축물의 마감벽 구축시스템에 있어서, 가로방향으로 이웃하는 마감패널 사이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줄눈부재; 상기 마감벽을 구축하기 위한 바탕면에 상기 줄눈부재의 위치에 대응하여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프레임; 및 상기 줄눈부재와 마감패널의 고정을 위해 상기 프레임에 결합하는 고정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브래킷은, 상기 줄눈부재 양측에 세로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마감패널 사이를 지지하여 구속하도록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1고정부; 및 상기 줄눈부재가 결합하도록 한 쌍의 상기 제1고정부 사이에 마련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물의 마감벽 구축시스템{system for constructing finished wall of building}
건축물의 내장용 또는 외장용 마감벽을 구축하기 위한 건축물의 마감벽 구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은 외장 또는 내장 용도의 마감벽을 구비하고, 마감벽은 복수의 마감패널을 통해 형성된다.
마감벽의 구축을 위한 바탕면에는 프레임이 설치되고, 프레임에는 마감패널의 고정을 위한 고정브래킷이 설치되며, 마감패널 사이에는 필요에 따라 줄눈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마감벽은 프레임을 바탕면에 고정하고, 프레임에 고정브래킷을 조립한 상태에서 마감패널을 고정브래킷에 고정시키고, 마감패널 사이에 줄눈부재를 설치하는 과정을 거쳐 구축될 수 있다.
한편, 마감벽은 구조적인 안정성이 보장됨에 따라 미려한 외관품질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마감벽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마감패널을 지지하는 고정브래킷이나 프레임의 숫자를 증가시키고, 마감패널을 지지하는 위치에 따라 형상이 다양한 고정브래킷과 프레임을 채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그러나 프레임이나 고정브래킷의 숫자나 종류의 증가는 마감벽 구축에 따른 작업성을 저해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특히 줄눈부재를 채용하는 마감벽의 경우, 줄눈부재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 더 추가되면서 구축작업성이 저하될 우려가 더 커질 수 있다.
마감벽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마감벽 구축에 따른 작업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건축물의 마감벽 구축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줄눈부재의 채용으로 인해 마감벽의 구축에 따른 작업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건축물의 마감벽 구축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마감벽 구축시스템은 복수의 마감패널을 구비하는 건축물의 마감벽 구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가로방향으로 이웃하는 마감패널 사이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줄눈부재; 상기 마감벽을 구축하기 위한 바탕면에 상기 줄눈부재의 위치에 대응하여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프레임; 및 상기 줄눈부재와 마감패널의 고정을 위해 상기 프레임에 결합하는 고정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브래킷은, 상기 줄눈부재 양측에 세로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마감패널 사이를 지지하여 구속하도록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1고정부; 및 상기 줄눈부재가 결합하도록 한 쌍의 상기 제1고정부 사이에 마련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줄눈부재 양측에 상기 줄눈부재와 인접하게 위치하는 상부 마감패널의 코너부 하면과 하부 마감패널의 코너부 상면 사이를 지지하여 구속할 수 있다.
상기 고정브래킷은 상기 마감벽의 후면을 향하는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결합하고, 상기 프레임의 전면 중앙에는 상기 고정브래킷의 높이 조절을 위한 가이드슬릿이 세로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가이드슬릿에 삽입될 수 있게 한 쌍의 상기 제1고정부 사이에 후방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고정브래킷은 상기 제2고정부가 상기 가이드슬릿에 삽입되고, 한 쌍의 상기 제1고정부가 상기 가이드슬릿 양측의 상기 프레임 전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가이드슬릿 측방의 상기 프레임 전면에 지지되는 프레임지지판; 및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마감패널의 코너부 하면과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마감패널의 코너부 상면 사이를 지지하도록 상기 프레임지지판의 저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패널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부는, 한 쌍의 상기 제1고정부의 프레임지지판의 내측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후방연장판; 및 한 쌍의 후방연장판의 연장방향 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줄눈부재는 상기 연결판과 한 쌍의 후방연장판 사이에 전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결합홈에 끼움결합 될 수 있다.
상기 줄눈부재는, 길이방향을 따라 후면이 개방되는 중공의 바 형태를 이루도록 전면판부 및 한 쌍의 측면판부를 구비하고, 한 쌍의 상기 측면판부의 후방 쪽 외면이 한 쌍의 상기 후방연장판의 내면에 지지되도록 상기 결합홈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연결판의 내면에는 한 쌍의 상기 측면판부의 후방 쪽 내면을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패널지지판의 전방 쪽 단부에는 상기 상부 마감패널과 하부 마감패널을 상기 패널지지판에 구속시키기 위해 상부와 하부로 돌출 연장되는 복수의 구속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구속돌기에 의해 상기 패널지지판에 구속되는 상기 상부 마감패널과 하부 마감패널의 후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프레임지지판의 외측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전방연장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연장판은 내측면이 상기 패널지지판에 지지되고, 저부가 상기 패널지지판 하부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연장판의 내측면에는 상기 패널지지판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상기 패널지지판의 저면을 지지하는 처짐방지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마감패널은 격자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과 줄눈부재는 상기 격자구조의 세로 격자선들의 위치에 대응하여 세로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로 마련되며, 상기 고정브래킷은 상기 격자구조의 세로 격자선들과 가로 격자선들이 교차하는 격자점들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각 프레임에 다수 개씩 배치되고, 상기 줄눈부재는 세로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단위체를 포함하며, 상기 단위체는 상기 마감패널의 세로방향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구비하여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고정브래킷들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고정브래킷 상부와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단위체들 사이를 결속시킬 수 있다.
복수의 상기 마감패널은 격자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과 줄눈부재는 상기 격자구조의 세로 격자선들의 위치에 대응하여 세로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로 마련되며, 상기 고정브래킷은 상기 격자구조의 세로 격자선들과 가로 격자선들이 교차하는 격자점들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각 프레임에 복수 개씩 배치되고, 상기 줄눈부재는 세로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단위체를 포함하며, 상기 단위체는 상기 마감패널의 세로방향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구비하여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고정브래킷들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결합홈이 상기 한 쌍의 패널지지판 사이의 저부로 연장되도록 상기 연결판과 한 쌍의 후방연장판의 하단은 상기 패널지지판 하부로 위치되며, 한 쌍의 상기 패널지지판 사이의 상부 쪽 상기 결합홈에는 상기 고정브래킷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단위체의 하부가 결합하고, 한 쌍의 상기 패널지지판 사이의 하부 쪽 상기 결합홈에는 상기 고정브래킷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단위체의 상부가 결합할 수 있다.
한 쌍의 상기 패널지지판 사이의 하부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제2고정부 전면에는 한 쌍의 상기 패널지지판의 저면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결합홈의 저부 쪽 개구를 덮는 보강판이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단위체는 상기 보강판이 상기 마감벽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단과 하단이 상호 대응하도록 단차지게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마감벽 구축시스템에 의하면, 마감벽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마감벽 구축에 따른 작업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마감벽 구축시스템에 의하면, 줄눈부재의 채용으로 인해 마감벽의 구축에 따른 작업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의 마감벽 구축시스템과 이를 통해 구축되는 마감벽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부위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의 마감벽 구축시스템에 있어서 고정브래킷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의 마감벽 구축시스템에 있어서, 고정브래킷이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의 마감벽 구축시스템에 있어서, 고정브래킷에 의해 마감패널이 구속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의 마감벽 구축시스템에 있어서, 고정브래킷에 줄눈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의 마감벽 구축시스템에 있어서, 고정브래킷에 줄눈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의 마감벽 구축시스템을 이용하여 마감벽을 구축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의 마감벽 구축시스템에 있어서, 고정브래킷의 일 변형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고정브래킷에 줄눈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의 마감벽 구축시스템은 복수의 마감패널(10)을 구비하는 건축물의 마감벽(1)을 구축하기 위한 것으로, 가로방향으로 이웃하는 마감패널(10) 사이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줄눈부재(20)와, 마감벽(1)을 구축하기 위한 바탕면(2)에 줄눈부재(20)의 위치에 대응하여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프레임(30)과, 줄눈부재(20)와 마감패널(10)의 고정을 위해 프레임(30)에 결합하는 고정브래킷(40)을 구비한다.
마감벽(1)은 건축물의 외장마감을 위한 외장용 마감벽 또는 건축물 내부공간의 내장마감을 위한 내장용 마감벽을 포함할 수 있다.
마감패널(10)은 사각의 평판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마감패널(10)은 격자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30)과 줄눈부재(20)는 격자구조의 세로 격자선들의 위치에 대응하여 세로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로 마련되며, 고정브래킷(40)은 격자구조의 세로 격자선들과 가로 격자선들이 교차하는 격자점들의 위치에 대응하여 각 프레임(30)에 종방향을 따라 다수 개씩 배치될 수 있다.
격자구조를 이루는 마감패널(10)의 배치구조는 마감벽(1) 전체 또는 마감벽(1)의 일부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마감패널(10)의 소재로는 세라믹, 석재, 인조석, 금속 등의 단일 소재나, 이들 중 적어도 일부 소재가 복합적으로 적용되는 복합 소재가 이용될 수 있다.
마감패널(10)의 상부와 하부의 후면부에는 각각 상부와 하부로 연장되는 걸림턱(11)이 마련되고, 걸림턱(11)은 고정브래킷(40)에 마련되는 후술하게 될 구속돌기(61a,61b)에 걸리도록 지지될 수 있다.
구속돌기(61a,61b)에 걸림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걸림턱(11)은 홈 형태로도 대체가 가능할 수 있다. 즉 고정브래킷(40)과 마감패널(10) 사이의 결속구조는 고정브래킷(40)과 마감패널(10)의 구조에 대응하여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줄눈부재(20)는 가로방향으로 이웃하는 마감패널(10)들 사이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되어 가로방향으로 이웃하는 마감패널(10)들 사이의 줄눈을 가릴 수 있다.
줄눈부재(20)는 마감패널(10) 간에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마감패널(10) 사이를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줄눈부재(20)는 프레임(30)에 대응하는 길이를 구비하고, 마감패널(10) 사이를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후면을 형성하는 둘레 일측이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되는 중공의 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줄눈부재(20)는 세로방향이 되는 설치방향이 그 길이방향이 될 수 있다.
줄눈부재(20)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전면판부(21)와, 전면판부(21) 양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측면판부(22)를 구비하여 한 쌍의 측면판부(22) 사이가 후방으로 개방되는 중공의 바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전면판부(21)와 한 쌍의 측면판부(22)는 하나의 금속판재를 밴딩 가공하여 마련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프레임(30)은 중공의 기둥 형태로 마련되어 마감벽(1)을 시공하기 위한 바탕면(2)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바탕면(2)은 건축물 외부 벽체의 표면이나, 건축물 내부 벽체의 표면이 될 수 있다. 또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탕면(2)은 철골조와 같은 라멘구조 건축물의 기둥이나 슬래브(3)의 표면을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프레임(30)은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판(31)과,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판(32)과, 후면판(31)과 전면판(32) 사이를 연결하는 한 쌍의 측면판(33)을 구비하여 상부와 하부로 개방되는 중공의 기둥 형태를 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바탕면(2)에는 프레임(30)의 고정을 위한 고정구(100)가 결합하고, 프레임(30)은 체결부재(220)를 통해 바탕면(2)에 고정되는 고정구(100)에 체결될 수 있다.
고정구(100)는 바탕면(2)에 지지되는 제1고정부(110)와, 프레임(30)의 양쪽 측면판(33)에 지지되는 한 쌍의 제2고정부(12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고정부(110)에는 고정구(100)를 바탕면(2)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재(110)가 체결되고, 프레임(30)은 제2고정부(120)에 체결되는 체결부재(220)를 통해 고정구(100)에 고정될 수 있다.
전면판(31)의 중앙에는 고정브래킷(40)의 높이 조절을 위해 프레임(30)의 길이방향이 되는 세로방향으로 가이드슬릿(34)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슬릿(34)의 양측에는 프레임(30) 내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판(35)이 마련되고, 프레임(30) 내측에 위치하는 가이드판(35)의 단부에는 톱니 형태의 요철(35a)이 프레임(30)이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도 1,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패널(10)에 의해 발생하는 하중이 복수의 프레임(30)으로 분산될 수 있게 프레임(30)들 사이는 연결부재(30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고정브래킷(40)은 줄눈부재(20)와 마감패널(10)의 고정을 위해 마감벽(1)의 후면을 향하는 프레임(30)의 전면에 결합할 수 있다.
고정브래킷(40)은 줄눈부재(20) 양측에 세로방향으로 이웃하는 마감패널(10) 사이를 지지하여 구속하도록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1고정부(41)와, 줄눈부재(20)가 결합하도록 한 쌍의 제1고정부(41) 사이에 마련되는 제2고정부(42)를 구비할 수 있다.
마감패널(10)의 고정을 위한 제1고정부(41)와, 줄눈부재(20)의 고정을 위한 제2고정부(42)가 일체로 마련되는 고정브래킷(40)은 줄눈부재(20)의 고정을 위한 별도의 구성품이 삭제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브래킷(40)은 마감벽 구축시스템의 전반적인 구조를 간소화시키고, 그 구성품의 숫자가 줄어들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고정부(41)는 중앙에 위치하는 제2고정부(42) 양측으로 상호 대칭구조를 이루고, 한 쌍의 제1고정부(41)는 줄눈부재(20) 양측에 줄눈부재(20)와 인접하게 위치하는 상부 쪽 마감패널(10)의 코너부 하면과 하부 쪽 마감패널(10)의 코너부 상면 사이를 지지하여 구속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격자구조를 이루는 복수의 마감패널(10)들은 그 사이에 위치하는 줄눈부재(20)와 함께 격자구조의 격자점들의 위치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고정브래킷(40)들에 의해 각 코너부가 구속되고, 각각의 마감패널(10)은 4개의 각 코너부가 고정브래킷(40)에 구속되는 안정적인 상태로 프레임(30)에 지지될 수 있다.
또 마감패널(10)과 줄눈부재(20)가 격자구조의 격자점들에 대응하는 위치에 동일한 구조를 구비하여 배치되는 고정브래킷(40)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에서는 마감벽(10) 구축에 따른 고정브래킷(40)의 종류를 단일화 시킬 수 있게 되고, 이것은 마감벽 구축시스템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그 취급 및 관리가 용이하게 되도록 하는데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2고정부(42)는 프레임(30)의 가이드슬릿(34)에 삽입될 수 있게 한 쌍의 제1고정부(41) 사이에 후방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고정브래킷(40)은 제2고정부(42)가 가이드슬릿(34)에 삽입되고 한 쌍의 제1고정부(41)가 가이드슬릿(34) 양측의 프레임(30) 전면에 지지되어 회전이나 좌우 유동이 방지된 상태에서 프레임(30)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브래킷(40)은 한 쌍의 제1고정부(41)와 제2고정부(42)가 일체를 이루도록 하나의 금속판재를 절단하고 밴딩시켜 마련될 수 있다.
제1고정부(41)는 가이드슬릿(34) 측방의 프레임(30) 전면에 지지되는 프레임지지판(51)과, 상부에 위치하는 마감패널(10)의 코너부 하면과 하부에 위치하는 마감패널(10)의 코너부 상면 사이를 지지하도록 프레임지지판(51)의 저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패널지지판(52)을 포함하여 프레임(30) 전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세로방향으로 이웃하는 마감패널(10)들의 코너부 사이를 지지할 수 있다.
프레임지지판(51)의 하부쪽 전면과 패널지지판(52)의 후방쪽 상면 사이에는 복수의 보강리브(51a)가 결합되어 프레임지지판(51)과 패널지지판(52) 사이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고정부(42)는 한 쌍의 제1고정부(41)의 프레임지지판(51)의 내측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후방연장판(61)과, 한 쌍의 후방연장판(61)의 연장방향 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판(62)을 구비하여 한 쌍의 제1고정부(41)와 연결되면서 한 쌍의 제1고정부(41) 사이에서 후방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결판(62)과 한 쌍의 후방연장판(61) 사이에는 전방으로 개방되도록 결합홈(42a)이 형성되고, 줄눈부재(20)는 이 결합홈(42a)에 끼움방식으로 결합 되어 제2고정부(42)에 고정될 수 있다. 줄눈부재(20)는 전방 쪽 양측을 통해 마감패널(10) 사이를 지지할 수 있도록 개방된 후방을 통해 결합홈(42a)에 끼움결합 될 수 있다.
도 5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줄눈부재(20)는 한 쌍의 측면판부(22)의 후방 쪽 외면이 한 쌍의 후방연장판(61)의 내면에 지지되도록 결합홈(42a)에 끼움 결합되어 마감패널(10) 사이를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상태로 제2고정부(42)에 고정될 수 있다.
측면판부(22)는 결합홈(42a)에 결합하는 부위의 전방 쪽으로 단차(22a)를 구비하고, 줄눈부재(20)는 그 가공 과정에서 단차(22a)의 길이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마감패널(10) 사이를 지지하는 전방 쪽의 폭 길이가 조정될 수 있다.
연결판(62)의 내면에는 각 측면판부(22)의 후방 쪽 내면을 지지하는 지지돌기(62a)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홈(42a)에 결합하는 줄눈부재(20)는 한 쌍의 측면판부(22)의 내면과 외면이 지지돌기(62a)와 후방연장판(61) 사이에 파지된 상태에서 결합홈(42a)에 고정된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지지돌기(62a)는 고정브래킷(40)과 별도로 마련된 상태에서 연결판(62)에 결합될 수 있다.
또 지지돌기(62a)는 연결판(62)의 일부를 지지돌기(62a)의 돌출방향으로 융기되도록 가압 변형시키는 방식을 통해 고정브래킷(40)과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제2고정부(42)는 체결부재(230)를 통해 프레임(30)에 결합할 수 있고, 연결판(62)에는 체결부재(230)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62b)이 마련될 수 있다.
체결홀(62b)은 연결판(62)의 중앙부에 마련되고, 지지돌기(62a)는 체결홀(62b)의 위치를 회피하여 체결홀(62b) 상부의 양측과 체결홀(62b) 하부의 양측에 각각 한 쌍씩 마련될 수 있다.
제2고정부(42)는 양쪽 후방연장판(61)의 외면이 프레임(30) 내부에 위치하는 가이드판(35) 내면에 지지되도록 프레임(30)의 가이드슬릿(34)에 삽입될 수 있다.
이 상태의 제2고정부(42)는 고정브래킷(40)의 높이 조절을 위해 가이드슬릿(34)을 따라 슬라이딩 하고, 슬라이딩 조작이 완료된 상태에서 연결판(62)의 체결홀(62b)에 체결되는 체결부재(230)를 통해 프레임(30)에 고정될 수 있다.
체결부재(230)는 헤드부(231)와 로드부(232)를 구비하는 T볼트로 마련될 수 있다. 체결부재(230)는 프레임(3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헤드부(231)가 가이드판(35)에 걸리도록 로드부(232)를 통해 연결판(62)의 체결홀(62b)에 체결될 수 있다. 도 6의 미설명 부호 233은 체결부재(230)의 고정을 위해 체결홀(62b)에 체결된 로드부(232)에 결합하는 너트를 가리킨다.
고정브래킷(40)이 높이가 조절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헤드부(231)의 전면에는 가이드판(35)의 단부에 마련되는 요철과 치합하는 요철(231a)이 마련될 수 있다.
도 5와 도 7을 참조하면, 패널지지판(52)의 전방측 끝단에는 상부 마감패널(10)의 걸림턱(11)을 구속하기 위해 상부로 돌출 연장되는 제1구속돌기(52a)와, 하부 마감패널(10)의 걸림턱(11)을 구속하기 위해 하부로 돌출 연장되는 제2구속돌기(52b)가 마련될 수 있다. 제1구속돌기(52a)와 제2구속돌기(52b)는 해당 패널지지판(52) 당 적어도 하나씩 구비될 수 있다.
제1구속돌기(52a)와 제2구속돌기(52b)는 그 사이에 대응하는 위치의 패널지지판(52)의 단부를 절단하고, 절단된 단부 양쪽의 패널지지판(52)을 각각 상부와 하부로 돌출하도록 밴딩시키는 방식을 통해 패널지지판(52)과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제1고정부(41)는 구속돌기(52a,52b)에 의해 패널지지판(52)에 구속되는 마감패널(10)들의 후면을 지지하도록 프레임지지판(51)의 외측으로부터 전방으로 절곡 연장되는 전방연장판(53)을 더 구비하여 마감패널(10)이 전후방향으로 유동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방연장판(53)은 내측면이 패널지지판(52)에 지지된 상태에서 마감패널(10)의 후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전방연장판(53)은 패널지지판(52)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하는 마감패널(10)들의 후면을 동시에 지지할 수 있게 저부가 패널지지판(52) 하부로 연장 형성되고, 전방연장판(53)의 내측면에는 패널지지판(52)의 저면을 지지하여 패널지지판(52)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처짐방지돌기(53a)가 마련될 수 있다.
처짐방지돌기(53a)는 패널지지판(52)의 저면을 지지하여 마감패널(10)의 하중에 의해 패널지지판(52)이 저부로 처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처짐방지돌기(53a)는 고정브래킷(40)과 별도로 마련되어 전방연장판(53)에 내면에 결합하거나, 전방연장판(53)의 일부를 그 돌출방향으로 융기되도록 가압 변형시키는 방식을 통해 고정브래킷(40)과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줄눈부재(20)는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단위체(20A)를 포함하고, 각각의 단위체(20A)는 줄눈부재(20)와 동일한 단면구조를 이루도록 전면판부(21)와 한 쌍의 측면판부(22)를 구비할 수 있다.
단위체(20A)는 마감패널(10)의 세로방향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구비하여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는 고정브래킷(40)들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고정부(42)는 고정브래킷(40) 상부와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단위체(20A)들 사이를 결속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고정부(42)의 결합홈(42a)이 한 쌍의 패널지지판(52) 사이의 저부로 더 연장될 수 있게 연결판(62)과 한 쌍의 후방연장판(61)의 하단은 패널지지판(52) 하부로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브래킷(40) 상부와 하부에 위치하는 단위체(20A)들은 상부 단위체(20A)의 하부가 한 쌍의 패널지지판(52) 사이의 상부 쪽 결합홈(42a)에 결합하고, 하부 단위체(20A)의 상부가 한 쌍의 패널지지판(52) 사이의 하부 쪽 결합홈(42a)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호 결속될 수 있다. 이때 결합홈(42a)에 함께 결합하는 상부 단위체(20A)와 하부 단위체(20A)는 대응하는 단부가 상호 접촉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상부 쪽 단위체(20A)는 하부의 양 측면판부(22)가 연결판(62)에 위치하는 상부 쪽의 지지돌기(62a)와 후방연장판(61) 사이에 지지되도록 결합홈(42a)의 상부 내측에 끼움 결합되고, 하부 쪽 단위체(20A)는 상부의 양 측면판부(22)가 연결판(62)에 위치하는 하부 쪽의 지지돌기(62a)와 후방연장판(61) 사이에 지지되도록 결합홈(42a)의 하부 내측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단위체(20A)의 하단과 하부 단위체(20A)의 상단은 서로 접촉하도록 지지되어 그 사이에 틈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3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래킷(40)에 있어서 한 쌍의 패널지지판(52) 사이의 하부에 대응하는 위치의 제2고정부(42)의 전면에는 한 쌍의 패널지지판(52)의 저면을 지지하기 위해 결합홈(42a)의 저부 쪽 개구를 덮도록 보강판(70)이 결합될 수 있다.
보강판(70)은 결합홈(42a)의 저부 쪽 개구를 덮어 가리는 커버부(71)와, 후방연장판(61)의 외면에 지지되도록 커버부(71) 양측에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지지부(72)를 구비할 수 있다.
보강판(70)은 지지부(72)를 통해 제2고정부(42)에 결합할 수 있다. 지지부(42)는 후방연장판(61)에 용접되고, 지지부(72)의 용접시에는 스폿용접이 적용될 수 있다.
보강판(70)은 제2고정부(4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 양측으로 위치하는 한 쌍의 제1고정부(41)의 패널지지판(52)의 저면을 지지함으로써, 마감패널(10)의 하중에 의해 패널지지판(42)이 하부로 처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브래킷(40)에 보강판(70)이 결합하는 경우, 단위체(20B)는 보강판(70)이 마감벽(1) 전방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결합홈(42a)에 결합할 수 있게 상단과 하단이 상호 대응하도록 단차지게 마련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체(20B) 하단은 단위체(20B)의 하부 후방이 보강판(70) 상부의 결합홈(42a)에 결합하고, 단위체(20B)의 하부 전방이 보강판(70) 전방으로 위치하도록 단차지게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단위체(20B) 상단은 단위체(20B)의 상부 후방이 보강판(70) 후방의 결합홈(42a)에 결합하고, 단위체(20B)의 상부 전방이 보강판(70) 저부에 위치하도록 단차지게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위체(20B)의 상단과 하단의 구조에 따르면, 상부 쪽 단위체(20B)의 하부 전방과 하부 쪽 단위체(20B)의 상부 전방이 상호 지지된 상태에서 보강판(70)을 가림으로써, 보강판(70)이 마감벽(1) 전방으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의 마감벽 구축시스템을 이용하여 마감벽(1)을 구축할 때는 바탕면(2)에 복수의 프레임(30)들을 고정하고, 프레임(30)들 사이에 연결부재(300)를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마감패널(10)들을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또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조적하는 방식을 적용하여 마감벽(1)을 구축할 수 있다.
이때 고정브래킷(40)들은 마감패널(10)의 조적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프레임(30)에 설치되면서 양측의 제1고정부(41)에 의해 마감패널(10) 사이를 연결된 상태로 프레임(5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 이때 줄눈부재(20)는 측 방향으로 조적되는 마감패널(10)들 사이가 고정브래킷(40)에 의해 연결되는 과정에서 단위체(20A)를 고정브래킷(40)의 제2고정부(42)에 고정되도록 마감패널(10) 사이에 개재시킴으로써, 마감패널(10)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고정브래킷(4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마감패널(10)은 그 사이에 배치되는 줄눈부재(20)와 함께 고정브래킷(40)에 고정되면서 격자구조를 갖는 마감벽(1)을 형성할 수 있다.
1: 마감벽 2: 바탕면
10: 마감패널 11: 걸림턱
20: 줄눈부재 20A: 단위체
30: 프레임 40: 고정브래킷
41: 제1고정부 42: 제2고정부
51: 프레임지지판 52: 패널지지판
53: 전방연장판 61: 후방연장판
62: 연결판 70: 보강판

Claims (14)

  1. 복수의 마감패널을 구비하는 건축물의 마감벽 구축시스템에 있어서,
    가로방향으로 이웃하는 마감패널 사이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줄눈부재;
    상기 마감벽을 구축하기 위한 바탕면에 상기 줄눈부재의 위치에 대응하여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프레임; 및
    상기 줄눈부재와 마감패널의 고정을 위해 상기 프레임에 결합하는 고정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브래킷은,
    상기 줄눈부재 양측에 세로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마감패널 사이를 지지하여 구속하도록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1고정부; 및
    상기 줄눈부재가 결합하도록 한 쌍의 상기 제1고정부 사이에 마련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는 건축물의 마감벽 구축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줄눈부재 양측에 상기 줄눈부재와 인접하게 위치하는 상부 마감패널의 코너부 하면과 하부 마감패널의 코너부 상면 사이를 지지하여 구속하는 건축물의 마감벽 구축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래킷은 상기 마감벽의 후면을 향하는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결합하고,
    상기 프레임의 전면 중앙에는 상기 고정브래킷의 높이 조절을 위한 가이드슬릿이 세로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가이드슬릿에 삽입될 수 있게 한 쌍의 상기 제1고정부 사이에 후방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고정브래킷은 상기 제2고정부가 상기 가이드슬릿에 삽입되고, 한 쌍의 상기 제1고정부가 상기 가이드슬릿 양측의 상기 프레임 전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건축물의 마감벽 구축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가이드슬릿 측방의 상기 프레임 전면에 지지되는 프레임지지판; 및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마감패널의 코너부 하면과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마감패널의 코너부 상면 사이를 지지하도록 상기 프레임지지판의 저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패널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부는,
    한 쌍의 상기 제1고정부의 프레임지지판의 내측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후방연장판; 및
    한 쌍의 후방연장판의 연장방향 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판;을 포함하는 건축물의 마감벽 구축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줄눈부재는 상기 연결판과 한 쌍의 후방연장판 사이에 전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결합홈에 끼움결합 되는 건축물의 마감벽 구축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줄눈부재는,
    길이방향을 따라 후면이 개방되는 중공의 바 형태를 이루도록 전면판부 및 한 쌍의 측면판부를 구비하고,
    한 쌍의 상기 측면판부의 후방 쪽 외면이 한 쌍의 상기 후방연장판의 내면에 지지되도록 상기 결합홈에 결합하는 건축물의 마감벽 구축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의 내면에는 한 쌍의 상기 측면판부의 후방 쪽 내면을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마련되는 건축물의 마감벽 구축시스템.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지지판의 전방 쪽 단부에는 상기 상부 마감패널과 하부 마감패널을 상기 패널지지판에 구속시키기 위해 상부와 하부로 돌출 연장되는 복수의 구속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구속돌기에 의해 상기 패널지지판에 구속되는 상기 상부 마감패널과 하부 마감패널의 후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프레임지지판의 외측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전방연장판;을 더 포함하는 건축물의 마감벽 구축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연장판은 내측면이 상기 패널지지판에 지지되고, 저부가 상기 패널지지판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건축물의 마감벽 구축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연장판의 내측면에는 상기 패널지지판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상기 패널지지판의 저면을 지지하는 처짐방지돌기가 마련되는 건축물의 마감벽 구축시스템.
  11. 제 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마감패널은 격자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과 줄눈부재는 상기 격자구조의 세로 격자선들의 위치에 대응하여 세로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로 마련되며,
    상기 고정브래킷은 상기 격자구조의 세로 격자선들과 가로 격자선들이 교차하는 격자점들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각 프레임에 다수 개씩 배치되고,
    상기 줄눈부재는 세로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단위체를 포함하며,
    상기 단위체는 상기 마감패널의 세로방향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구비하여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고정브래킷들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고정브래킷 상부와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단위체들 사이를 결속시키는 건축물의 마감벽 구축시스템.
  12. 제 5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마감패널은 격자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과 줄눈부재는 상기 격자구조의 세로 격자선들의 위치에 대응하여 세로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로 마련되며,
    상기 고정브래킷은 상기 격자구조의 세로 격자선들과 가로 격자선들이 교차하는 격자점들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각 프레임에 복수 개씩 배치되고,
    상기 줄눈부재는 세로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단위체를 포함하며,
    상기 단위체는 상기 마감패널의 세로방향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구비하여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고정브래킷들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결합홈이 상기 한 쌍의 패널지지판 사이의 저부로 연장되도록 상기 연결판과 한 쌍의 후방연장판의 하단은 상기 패널지지판 하부로 위치되며,
    한 쌍의 상기 패널지지판 사이의 상부 쪽 상기 결합홈에는 상기 고정브래킷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단위체의 하부가 결합하고, 한 쌍의 상기 패널지지판 사이의 하부 쪽 상기 결합홈에는 상기 고정브래킷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단위체의 상부가 결합하는 건축물의 마감벽 구축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패널지지판 사이의 하부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제2고정부 전면에는 한 쌍의 상기 패널지지판의 저면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결합홈의 저부 쪽 개구를 덮는 보강판이 결합하는 건축물의 마감벽 구축시스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체는 상기 보강판이 상기 마감벽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단과 하단이 상호 대응하도록 단차지게 마련되는 건축물의 마감벽 구축시스템.
KR1020210095914A 2021-07-21 건축물의 마감벽 구축시스템 KR102668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914A KR102668434B1 (ko) 2021-07-21 건축물의 마감벽 구축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914A KR102668434B1 (ko) 2021-07-21 건축물의 마감벽 구축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4499A true KR20230014499A (ko) 2023-01-30
KR102668434B1 KR102668434B1 (ko) 2024-05-24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7992B1 (ko) 정밀도와 내구성을 가진 조립식 다용도 테이블
KR102299991B1 (ko) 무해체 보 구조용 조립식 거푸집
JP7026266B2 (ja) 積層組立式型枠支持装置
KR102052504B1 (ko) 건축물 커튼 월 외장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1646219B1 (ko) 파고라용 기둥조립체
KR101106699B1 (ko) 인장력이 강화된 지붕의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
KR20230014499A (ko) 건축물의 마감벽 구축시스템
KR102668434B1 (ko) 건축물의 마감벽 구축시스템
EP2729637B1 (en) Lattice member and self-supporting modular structure
KR101763033B1 (ko) 합성보용 거푸집
JP7171399B2 (ja) 支柱の設置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022979B1 (ko) 자수기용 프레임 및 프레임 토대를 포함하는 상기 프레임의 적용 방법
JP7389612B2 (ja) 什器
KR102242462B1 (ko) 보요소 지지의 프레임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
KR102022027B1 (ko) 조립식 선반
JP7175152B2 (ja) 架台用ブラケット
KR101850740B1 (ko) 한옥 및 사찰의 공포 조립구조
KR102039461B1 (ko) 건축물 벽체 보 성형을 위한 거푸집 막음재의 받침목 브래킷
KR102622447B1 (ko) 차양시스템
JP7348771B2 (ja) ユニット建物
KR100658831B1 (ko) 래티스 철선 단부에 수직 고정봉이 부착된 트러스형 데크플레이트
JP5271738B2 (ja) 建物ユニット及びユニット建物
JP6925215B2 (ja) 建物の天井及び建物の天井の施工方法
JP5110895B2 (ja) 建築用構造部材
JP4355252B2 (ja) ユニット式建物の屋根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