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2447B1 - 차양시스템 - Google Patents

차양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2447B1
KR102622447B1 KR1020230105829A KR20230105829A KR102622447B1 KR 102622447 B1 KR102622447 B1 KR 102622447B1 KR 1020230105829 A KR1020230105829 A KR 1020230105829A KR 20230105829 A KR20230105829 A KR 20230105829A KR 102622447 B1 KR102622447 B1 KR 102622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ent
straight frame
shading system
auxiliary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5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식
임양신
박소민
박민준
박이은
Original Assignee
박경식
임양신
박소민
박민준
박이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식, 임양신, 박소민, 박민준, 박이은 filed Critical 박경식
Priority to KR1020230105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24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2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2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05Rigidly-arranged sunshade roofs with coherent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8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parts, e.g. slabs, lamella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양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타공한 절단부가 형성된 파이프; 상기 절단부의 절단면에 끼워지도록 양측에 양측으로 개방된 끼움홈이 각각 형성된 보조편; 상기 파이프 상부에 배치되되, 하면이 상기 절단부에 끼워지고, 상기 보조편에 의해 폭방향으로 지지되는 벤딩 또는 일자형 프레임; 및 상기 벤딩 또는 일자형 프레임 상부에 배치되는 지붕판;을 포함하며,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사각형으로 타공한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인 파이프의 절단부에 보조편을 삽입하거나 용접한 후 절단부에 알루미늄 재질인 벤딩 또는 일자형 프레임을 삽입한 후 체결수단으로 고정함으로써, 벤딩 또는 일자형 프레임 일부가 원형 또는 사각형의 파이프에 삽입되어 고정되므로 뒤틀림을 예방할 수 있고, 내구력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양시스템{Sunvisor system}
본 발명은 벤딩 또는 일자형 프레임 일부가 원형 또는 사각형의 파이프에 삽입되어 고정되므로 뒤틀림을 예방할 수 있고, 내구력을 강화할 수 있는 차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양시스템은 중소형인 경우 알루미늄 재질의 프레임을 절단하고 벤딩한 후 피스 또는 리벳으로 고정하여 구조물을 형성하였다. 차양시스템이 중대형인 경우 스틸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파이프를 절단하고 벤딩한 후 용접하여 구조물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차양시스템의 경우 알루미늄 재질을 사용하는 프레임의 경우 다양한 색상으로 도장(분체 또는 열전사)하여 생산함으로 용접할 경우 도장면이 손상되므로 재도장이 필요하고 용접단가가 높으므로 프레임을 리벳 또는 피스로 고정하여 제작하므로 풍압과 적설로 인하여 내구력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테인리스 스틸인 경우 다양한 용접이 가능하나 폴리싱된 파이프 표면이 차가운 느낌으로 별도의 칼라도장이 필요하여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중대형 차양시스템의 경우 지붕구조물을 지상에서 조립 용접한 후 크레인을 사용하여 기둥 상부에 올려 용접하는 방법으로 시공함에 따라 인양하는 과정에서 지붕구조물 자체가 뒤틀려 용접 부위가 탈락하거나 직결피스가 탈락하는 것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나아가, 원형의 스테인리스 스틸 파이프에 사각형의 알루미늄 벤딩 파이프 또는 벤딩이 없는 일자형 프레임을 결합한 후 크레인으로 들어올려 기둥 상부에 결합한 후 용접하여 구조물을 형성해야 하므로 정확한 곡률반경을 사전에 계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에는 난연등급을 받은 차양시스템은 없다. 그동안 차양 지붕판은 화재에 취약한 합성수지재인 폴리카보네이트 시트를 사용하였으므로 화재에 대한 난연등급을 받을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차양시스템의 지붕골조에 지붕판을 고정시키는 덮개바는 알루미늄 소재를 압출하여 생산하므로 난연등급을 위한 실험을 통과할 가능성이 매우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78148호(2013.06.18, '차양시스템의 전용 골조)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인 파이프의 사각형으로 타공한 절단부에 보조편을 삽입하거나 용접한 후 절단부에 알루미늄 재질의 벤딩 또는 일자형 프레임을 삽입한 후 체결수단으로 고정함으로써, 벤딩 또는 일자형 프레임 일부가 원형 또는 사각형의 파이프에 삽입되어 고정되므로 뒤틀림을 예방할 수 있고, 내구력을 강화할 수 있는 차양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타공한 절단부가 형성된 파이프; 상기 절단부의 절단면에 끼워지도록 양측에 양측으로 개방된 끼움홈이 각각 형성된 보조편; 상기 파이프 상부에 배치되되, 하면이 상기 절단부에 끼워지고, 상기 보조편에 의해 폭방향으로 지지되는 벤딩 또는 일자형 프레임; 및 상기 벤딩 또는 일자형 프레임 상부에 배치되는 지붕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의 절단면에는 보조편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보조편의 상기 끼움홈 사이가 상기 보조편 삽입홈 내에 배치되고, 양측의 상기 끼움홈은 상기 보조편 삽입홈 외측에 각각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원형 파이프이고, 상기 끼움홈은 원호를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사각 파이프이고, 상기 끼움홈은 일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조편에는 상기 끼움홈의 상측에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체결공에 체결수단이 체결되면, 상기 벤딩 또는 일자형 프레임은 상기 파이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이고, 상기 벤딩 또는 일자형 프레임은 알루미늄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를 지지하는 기둥; 및 하면은 상기 기둥에 고정되고, 상부와 전후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파이프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된 보 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에는 양측의 상단을 따라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파이프의 외관과 맞닿는 용접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기 파이프가 나란하게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파이프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기 기둥에 의해 지지되며, 다수의 상기 벤딩 또는 일자형 프레임이 상기 파이프를 따라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붕판의 상면에 상기 벤딩 또는 일자형 프레임이 배치되는 부분을 따라 배치되는 덮개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덮개바는 직사각형 강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덮개바는, 일자형으로, 양측이 하방으로 절곡되다가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체결홈에 체결수단이 체결됨으로써 상기 덮개바가 상기 벤딩 또는 일자형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덮개바는, 상기 체결홈이 형성된 부분이 하부로 들어간 함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덮개바는 강판을 포밍기 또는 프레스기에 연속적으로 투입하여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덮개바의 높이(h)를 10mm ± 5mm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차양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사각형으로 타공한 파이프의 절단부에 보조편을 삽입하거나 용접한 후 절단부에 벤딩 또는 일자형 프레임을 삽입한 후 체결수단으로 고정함으로써, 벤딩 또는 일자형 프레임 일부가 원형 또는 사각형의 파이프에 삽입되어 고정되므로 뒤틀림을 예방할 수 있고, 내구력을 강화할 수 있다.
둘째, 기둥 상부에 상부로 개방된 보 받침대를 용접한 후 원형의 파이프를 보 받침대에 올려 용접함으로써, 지붕 트러스의 곡률반경이 다양한 경우 모든 형상의 파이프(보)를 간단히 보 받침대에 올려 결합한 후 용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보 받침대의 용접부와 파이프의 외관을 보 받침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용접함으로써, 설치후 풍압이나 적설로 인한 뒤틀림을 구조적으로 예방할 수 있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용접함으로써 제작 속도를 현저히 증가시켜 공기를 단축할 수 있으므로 제작 시간 및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약할 수 있다.
넷째, 설계에 따라 일정 간격으로 타공된 파이프의 절단부에 벤딩 또는 일자형 프레임을 삽입한 후 체결수단으로 고정함으로써, 제작과정에서 벤딩 또는 일자형 프레임의 설치위치를 별도로 실측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작 속도를 현저히 증가시켜 공기를 단축할 수 있으므로 제작 시간 및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약할 수 있다.
다섯째, 차양 지붕 상부의 벤딩 또는 일자형 프레임은 도장된 알루미늄 프레임으로 제작하고, 하부의 보 및 기둥은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제작함에 따라 차양 구조물 상부의 무개를 안정적으로 경감할 수 있고, 구조물의 하부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기둥과 보를 용접하여 설치함으로써, 적절한 내구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지붕 상부 골조를 도장된 알루미늄 프레임으로 사용함으로써, 미려한 미관을 유지할 수 있고, 향후 유지 보수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양시스템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도.
도 3은 도 1에서 기둥과 보 받침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에서 파이프와 보조편과 벤딩 또는 일자형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파이프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4에서 파이프와 보조편의 조립도.
도 7은 도 4의 조립도.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와 보조편과 벤딩 또는 일자형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파이프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8에서 파이프와 보조편의 조립도.
도 11은 도 8의 조립도.
도 12는 도 1에서 덮개바를 도시한 도면.
도 13 및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양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양시스템은 기둥(100)과 보 받침대(200)와 파이프(300)와 보조편(400)과 벤딩 또는 일자형 프레임(500)과 지붕판(600)과 덮개바(700)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 표시한 x방향은 벤딩 또는 일자형 프레임(500)이 길게 배치되는 좌우방향이고, y방향은 파이프(300)가 길게 배치되는 전후방향이며, z방향은 기둥(100)이 길게 배치되는 높이방향이다.
기둥(100)은 차양시스템이 설치되는 지면에 설치되며, 기둥(100)의 하단에는 베이스판(110)이 마련되어 있어 체결수단 등으로 지면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기둥(100)을 원형 파이프(300)로 도시하였지만, 실시예에 따라 기둥(100)은 각 파이프(350)가 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보 받침대(200)는 하면이 기둥(100)의 상단에 고정된다.
이러한 보 받침대(200)는, 도 3의 (a)와 같이 상부로 개방되어 있어 파이프(300)가 안착되는 안착부(210)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보 받침대(200)는 상부와 전후방향(도면 상에서 z방향과 y방향)으로 개방된 '디귿자' 형상이다. 이렇게, 상부와 전후방향로 개방된 '디귿자' 형상의 보 받침대(200)를 사용하면, 도 3의 (b)와 같이 지붕 골조를 형성하는 벤딩 또는 일자형 프레임(500)은 벤딩 곡률반경에 따라 결합되는 파이프(300)의 각도가 달라진다 하더라도 모두 경우의 파이프(300)를 기둥(100)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안착부(210)에는, 도 3과 같이 양측의 상단을 따라 내측으로 절곡되어 파이프(300)의 외관과 맞닿는 용접부(23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보 받침대(200)의 안착부(210) 내측으로 용접부(230)가 형성되어 있어, 안착부(210)에 파이프(300)가 안착된 다음, 용접부(230)를 따라 용접하여 파이프(300)를 고정시킴으로써, 파이프(300)가 더욱 안정적으로 기둥(100)에 지지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 도 8 및 도 9와 같이,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파이프(300)에는 타공한 절단부(30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절단부(301)는 사각형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파이프(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절단부(301)의 길이(L)는, 하면이 절단부(301)에 끼워지는 벤딩 또는 일자형 프레임(500)의 폭(W)에 따라 달라진다. 즉, 파이프(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절단부(301)의 길이(L)는 절단부(301)에 끼워지는 벤딩 또는 일자형 프레임(500)의 폭(W)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하나의 파이프(300)에 여러 개의 절단부(301)가 형성될 때, 절단부(301) 마다 길이(L)가 달라질 수 있다.
절단부(301)의 네 개의 절단면 중 서로 마주보도록 된 두 개의 절단면에는 절단면으로부터 더 외측으로 형성되는 보조편 삽입홈(30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이프(300)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 파이프(300)일 수도 있고,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 파이프(350)일 수도 있다.
도 4 및 도 8과 같이, 보조편(400)은 절단부(301)의 절단면에 끼워지도록 양측에 양측으로 개방된 끼움홈(30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300)는 원형 파이프(300)인 경우, 끼움홈(302)은 원형 파이프(300)의 외주면에 대응하도록 원호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350)가 사각 파이프(350)인 경우, 끼움홈(352)은 사각 파이프(350)의 외주면에 대응하도록 가로로 배치된 일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도 6 및 도 10과 같이 보조편(400)의 끼움홈(302, 352) 사이가 보조편 삽입홈(302) 내에 배치되고, 양측의 끼움홈(302, 352)은 보조편 삽입홈(302, 352) 외측에 각각 끼워짐으로써, 절단부(301, 351)의 절단면에 보조편(400)이 안정적으로 끼워질 수 있다. 절단부(301, 351)의 서로 마주보도록 된 두 개의 절단면에 각각 보조편(400)이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조편(400)에는 끼움홈(302, 352)의 상측에 체결공(40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체결공(403)의 개수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도 6 및 도 10과 같이 절단부(301, 351)의 서로 마주보도록 된 두 개의 절단면에 각각 보조편(400)이 끼워진 다음, 도 7 및 도 11과 같이 보조편(400) 사이에 벤딩 또는 일자형 프레임(500)이 배치되면서 벤딩 또는 일자형 프레임(500)의 하면이 절단부(301, 351)에 끼워진 상태에서, 보조편(400)의 체결공(403)에 체결수단이 체결되면, 벤딩 또는 일자형 프레임(500)은 파이프(300, 350)에 고정된다.
벤딩 또는 일자형 프레임(500)은 알루미늄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도 7 및 도 11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벤딩 또는 일자형 프레임(500)을 사각 파이프가 벤딩된 형태의 프레임으로 도시하였지만 실시예에 따라서 벤딩이 없는 일자형의 프레임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벤딩 또는 일자형 프레임(500)은 파이프(300, 350)에 지지되며, 벤딩 또는 일자형 프레임(500)의 하면은 절단부(301, 351)에 끼워지고, 보조편(400)에 의해 벤딩 또는 일자형 프레임(500)의 폭방향(도면 상에서 y방향)으로 지지된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벤딩 또는 일자형 프레임(500) 상부에는 지붕판(600)이 배치되고, 지붕판(600)의 상면에는 벤딩 또는 일자형 프레임(500)이 배치되는 부분을 따라 덮개바(700)가 배치된다.
덮개바(700)는 직사각형 강판일 수 있다. 이러한 덮개바(70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강판을 포밍기 또는 프레스기에 연속적으로 투입하여 덮개바(700)를 대량 생산하는 것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프레스기는 유압 또는 공압으로 작동한다. 포밍기 또는 프레스기에 연속적으로 투입되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강판의 두께는 1mm ± 0.5mm이고, 가로폭은 10 cm ± 5cm인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바(700)의 다른 실시예를 도 12에 도시하였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바(700)는 일자형으로, 양측에는 하방으로 절곡되다가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부(751)가 형성되어 있다. 양측의 절곡부(751) 사이에는 하부로 들어간 함몰부(753)가 형성되어 있고, 함몰부(753) 내에는 체결홈(755)이 형성되어 있다. 체결홈(755)에 체결수단이 체결되면, 덮개바(700)가 지붕판(600)과 함께 벤딩 또는 일자형 프레임(500)에 고정된다. 이러한 덮개바(70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강판을 포밍기 또는 프레스기에 연속적으로 투입하여 덮개바(700)를 대량 생산하는 것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프레스기는 유압 또는 공압으로 작동한다. 벤딩 또는 일자형 프레임(500)을 따라 지붕판(600)을 밀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덮개바(700)의 강판 두께(d)를 1mm ± 0.5mm로 형성하고, 덮개바(700)의 최상부에 배치되는 부분과 최하부에 배치되는 부분의 차이인 높이(h)를 10mm ± 5m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바(700)는 포밍기 또는 프레스기에 설치된 덮개바용 금형의 형상에 따라 덮개바(700)의 형상이 달라짐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양시스템의 설치방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파이프(300)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둥(100)이 지지한다. 도 1 및 도 2에서는 하나의 파이프(300)를 두 개의 기둥(100)이 지지하고 있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라 도 13과 같이 하나의 파이프(300)를 세 개의 기둥(100)이 지지할 수도 있으며, 파이프(300)의 길이가 늘어나면 기둥(100)의 개수도 늘어날 수 있다.
기둥(100)의 상부에는 보 받침대(200)가 고정되어 있어, 보 받침대(200)의 안착부(210)에 파이프(300)를 안착한 다음, 용접부(230)를 따라 용접하여 파이프(300)를 기둥(100)에 고정한다.
파이프(300)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이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파이프(300)가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다수의 벤딩 또는 일자형 프레임(500)은 파이프(300)을 따라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도면 상에서 y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벤딩 또는 일자형 프레임(500)의 양단이 두 개의 파이프(300)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각 벤딩 또는 일자형 프레임(500)은 다음과 같이 파이프(300)에 고정된다. 도 7 및 도 11과 같이, 파이프(300)에 형성된 절단부(301)의 서로 마주보도록 된 두 개의 절단면에 각각 보조편(400)을 끼운 다음, 보조편(400) 사이에 벤딩 또는 일자형 프레임(500)을 배치하고 벤딩 또는 일자형 프레임(500)의 하면이 절단부(301)에 끼워진 상태에서, 보조편(400)의 체결공(403)에 체결수단이 체결하면, 벤딩 또는 일자형 프레임(500)이 파이프(300)에 고정된다. 이로써, 벤딩 또는 일자형 프레임(500)의 하면은 파이프(300)에 지지되고, 벤딩 또는 일자형 프레임(500)의 폭방향(도면 상에서 y방향)은 두 개의 보조편(400)에 의해 지지된다. 도 13 및 도 14와 같이 벤딩 또는 일자형 프레임(500)의 개수 및 간격은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벤딩 또는 일자형 프레임(500)의 개수와 간격에 따라 파이프(300)에 형성되는 절단부(301)의 개수 및 간격이 달라짐은 물론이다.
벤딩 또는 일자형 프레임(500)의 상부에 지붕판(600)이 배치되고, 지붕판(600)의 상면에 벤딩 또는 일자형 프레임(500)이 배치되는 부분을 따라 덮개바(700)가 배치된 다음, 체결수단 등으로 덮개바(700)를 벤딩 또는 일자형 프레임(500)에 고정하면 차양 시스템의 설치가 완료된다.
본 발명의 차양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사각형으로 타공한 파이프(300)의 절단부(301)에 보조편(400)을 삽입하거나 용접한 후 절단부(301)에 벤딩 또는 일자형 프레임(500)을 삽입한 후 체결수단으로 고정함으로써, 벤딩 또는 일자형 프레임(500) 일부가 원형 또는 사각형의 파이프(300)에 삽입되어 고정되므로 뒤틀림을 예방할 수 있고, 내구력을 강화할 수 있다.
둘째, 기둥(100) 상부에 상부로 개방된 보 받침대(200)를 용접한 후 원형의 파이프(300)를 보 받침대(200)에 올려 용접함으로써, 지붕 트러스의 곡률반경이 다양한 경우 모든 형상의 파이프, 보(300)를 간단히 보 받침대(200)에 올려 결합한 후 용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보 받침대(200)의 용접부(230)와 파이프(300)의 외관을 보 받침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용접함으로써, 설치후 풍압이나 적설로 인한 뒤틀림을 구조적으로 예방할 수 있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용접함으로써 제작 속도를 현저히 증가시켜 공기를 단축할 수 있으므로 제작 시간 및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약할 수 있다.
넷째, 설계에 따라 일정 간격으로 타공된 파이프(300)의 절단부(301)에 벤딩 또는 일자형 프레임(500)을 삽입한 후 체결수단으로 고정함으로써, 제작과정에서 벤딩 또는 일자형 프레임(500)의 설치위치를 별도로 실측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작 속도를 현저히 증가시켜 공기를 단축할 수 있으므로 제작 시간 및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약할 수 있다.
다섯째, 차양 지붕 상부의 벤딩 또는 일자형 프레임(500)은 도장된 알루미늄 프레임으로 제작하고, 하부의 보(300) 및 기둥(100)은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제작함에 따라 차양 구조물 상부의 무개를 안정적으로 경감할 수 있고, 구조물의 하부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기둥(100)과 보(300)를 용접하여 설치함으로써, 적절한 내구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지붕 상부 골조를 도장된 알루미늄 프레임으로 사용함으로써, 미려한 미관을 유지할 수 있고, 향후 유지 보수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기둥 200 : 보 받침대
210 : 안착부 230 : 용접부
300, 350 : 파이프 , 보 301, 351 : 절단부
302, 352 : 보조편 삽입홈
400, 450 : 보조편 302, 352 : 끼움홈
403 : 체결공 500 : 벤딩 또는 일자형 프레임
600 : 지붕판 700, 750 : 덮개바
751 : 절곡부 753 : 함몰부
755 : 체결홈

Claims (16)

  1. 타공한 절단부가 형성된 파이프;
    상기 절단부의 절단면에 끼워지도록 양측에 양측으로 개방된 끼움홈이 각각 형성된 보조편;
    상기 파이프 상부에 배치되되, 하면이 상기 절단부에 끼워지고, 상기 보조편에 의해 폭방향으로 지지되는 벤딩 또는 일자형 프레임; 및
    상기 벤딩 또는 일자형 프레임 상부에 배치되는 지붕판;을 포함하는 차양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의 절단면에는 보조편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보조편의 상기 끼움홈 사이가 상기 보조편 삽입홈 내에 배치되고, 양측의 상기 끼움홈은 상기 보조편 삽입홈 외측에 각각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원형 파이프이고,
    상기 끼움홈은 원호를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사각 파이프이고,
    상기 끼움홈은 일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편에는 상기 끼움홈의 상측에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체결공에 체결수단이 체결되면, 상기 벤딩 또는 일자형 프레임은 상기 파이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이고,
    상기 벤딩 또는 일자형 프레임은 알루미늄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를 지지하는 기둥; 및
    하면은 상기 기둥에 고정되고, 상부와 전후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파이프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된 보 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에는 양측의 상단을 따라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파이프의 외관과 맞닿는 용접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기 파이프가 나란하게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파이프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기 기둥에 의해 지지되며,
    다수의 상기 벤딩 또는 일자형 프레임이 상기 파이프를 따라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판의 상면에 상기 벤딩 또는 일자형 프레임이 배치되는 부분을 따라 배치되는 덮개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바는 직사각형 강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바는,
    일자형으로, 양측이 하방으로 절곡되다가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체결홈에 체결수단이 체결됨으로써 상기 덮개바가 상기 벤딩 또는 일자형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시스템.
  14. 제13항이 있어서,
    상기 덮개바는,
    상기 체결홈이 형성된 부분이 하부로 들어간 함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바는 강판을 포밍기 또는 프레스기에 연속적으로 투입하여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시스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바의 높이(h)를 10mm ± 5mm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시스템.
KR1020230105829A 2023-08-11 2023-08-11 차양시스템 KR102622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5829A KR102622447B1 (ko) 2023-08-11 2023-08-11 차양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5829A KR102622447B1 (ko) 2023-08-11 2023-08-11 차양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2447B1 true KR102622447B1 (ko) 2024-01-09

Family

ID=89538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5829A KR102622447B1 (ko) 2023-08-11 2023-08-11 차양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244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5549B1 (ko) * 2020-01-20 2020-07-20 주식회사 원탑 개량형 캐노피 구조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5549B1 (ko) * 2020-01-20 2020-07-20 주식회사 원탑 개량형 캐노피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2447B1 (ko) 차양시스템
US7779888B2 (en) Hanger assembly
CN201964119U (zh) 一种拼接屏支架
KR100673679B1 (ko) 곡선진 천장 및 벽용 빌딩 패널, 장착 브라켓, 및 빌딩 패널 제조방법
CN113374341A (zh) 一种围挡
JP2010090593A (ja) 床構造およびユニット式建物の施工方法
CN211447288U (zh) 一种激光焊接房墙板转角件
CN201145797Y (zh) 背光模组
CN211114329U (zh) 拼接式吊顶
KR20180136749A (ko) 슬라브 패널 시스템
RU2641039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металлических ограждений (варианты) и ограждение, полученное при реализации способа
JP2014234588A (ja) ソーラーパネルの設置構造及び設置方法
JP5285509B2 (ja) 家屋の外壁施工方法
JP2013087609A (ja) 建築パネル
KR20210055456A (ko) 그레이팅 및 그의 제조방법
CN205299874U (zh) 空调器连接结构及空调器
CN214195293U (zh) 一种坡道复合板
CN210562621U (zh) 3d打印式横梁安装结构
CN215944476U (zh) 带有易脱模焊接柱的副驾饰条
KR20230014499A (ko) 건축물의 마감벽 구축시스템
JP3219861U (ja) 船舶のハンドレール
CN220644586U (zh) 一种装配式建筑结构
CN210153431U (zh) 单侧支撑结构、吊斗屏支撑支架及室内吊斗屏
CN219825771U (zh) 活动框架结构及楼板
CN215907605U (zh) 一种围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