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4398A - 스마트 haccp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haccp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4398A
KR20230014398A KR1020210095685A KR20210095685A KR20230014398A KR 20230014398 A KR20230014398 A KR 20230014398A KR 1020210095685 A KR1020210095685 A KR 1020210095685A KR 20210095685 A KR20210095685 A KR 20210095685A KR 20230014398 A KR20230014398 A KR 20230014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haccp
humidity
warehouse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5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로
김대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난다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난다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난다소프트
Priority to KR1020210095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4398A/ko
Publication of KR20230014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43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5Quality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동창고, 저온창고, 숙성창고, 가열기 등 HACCP 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설비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인터넷 기반의 센서 수집기술(IoT) 기반으로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무선 전송하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자동화한 HACCP 관리 보고서를 통해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 HACCP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식품이나 원재료가 보관되는 창고시설(10)에 설치되어 창고시설(10)의 온습도을 센싱하는 온습도 센서(20); 상기 온습도 센서(20)에서 센싱된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센싱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무선 공유기(40)를 통해 무선으로 통합 서비스 서버(50)로 전송하는 무선 컨트롤러(30); 상기 무선 컨트롤러(30)에서 수집된 온습도 센싱 데이터를 통합 서비스 서버(50)로 인터넷을 통해 업로드하는 무선 공유기(40); 및 상기 온습도 센서(20)에서 수집된 센싱 정보를 보관기록하고, 모바일(60), PC(70)를 포함하는 단말장치에서 접근 가능하며 PC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요청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온습도 센서(20)의 온도나 습도설정 임계치에서 벗어나면 시설담당자의 모바일(60)이나 PC(70)로 알림(경고) 메시지를 전달하도록 설정된 통합 서비스 서버(5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HACCP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스마트 HACCP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Smart HACCP management and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 HACCP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동창고, 저온창고, 숙성창고, 가열기 등 HACCP 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설비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인터넷 기반의 센서 수집기술(IoT) 기반으로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무선 전송하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자동화한 HACCP 관리 보고서를 통해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 HACCP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의 원료관리 및 제조ㆍ가공ㆍ조리ㆍ유통의 모든 과정에서 해로운 물질이 식품에 섞이거나 식품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과정의 위해요소를 확인·평가하여 중점적으로 관리하는 HACCP 제도가 2006년도부터 의무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HACCP 관리기준은 팀 구성, 제품설명서, 제조공정도 및 작업장 평면도, 위해 분석, 중요관리점 결정, 한계 기준 설정, 모니터링방법, 개선조치방법, 검증, 문서(점검표 양식 등)이 있고, HACCP 인증 및 관리에 요구되는 항목 중 냉장 냉동 가열 온도관리에 포함되며 이는 일정한 기준으로 모니터링 및 관리가 요구된다.
이러한 HACCP은 식품의 원식료품 생산에서부터 제조, 가공, 보존, 유통단계를 거쳐 최종 소비자가 섭취하기 전까지의 각 단계에서 발생할 우려가 있는 위해요소를 규명하고, 이를 중점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중요관리점을 결정하여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관리로 식품의 안전성(safety)을 확보하기 위한 과학적인 위생관리체계이다.
HACCP은 위해분석(HA)과 중요관리점(CCP)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HA는 위해가능성이 있는 요소를 찾아 분석, 평가하는 것이며, CCP는 해당 위해 요소를 방지, 제거하고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중점적으로 다루어야 할 관리점을 의미한다.
식당이나 급식소와 같이 식료품을 저장 및 조리하는 장소에서는 특히 위생 관리가 중요하며, 현재 대규모 식당이나 급식소는 상기 HACCP 규정에 따라 식료품을 관리하고 정기적으로 CCP 보고서를 작성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대규모 식당이나 급식소에서는 관리자가 일정 시간마다 각종 주방기기나 식료품을 저장하는 창고 등 의 온도, 습도 등을 측정하여 기록하였다가 CCP 보고서를 작성하고 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관리자가 부족한 실정이며,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HACCP 보고서는 매우 번거롭다. 특히 규모가 큰 장소인 경우 관리자가 정해진 규정을 제대로 준수하지 않고 허위로 보고서를 작성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관리자에 의한 이러한 작업은 매우 번거로운 것이며, 특히 규모가 큰 장소인 경우 관리자가 정해진 규정을 제대로 준수하지 않고 허위로 보고서를 작성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온도나 습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이용하여 HACCP 규정 준수 여부를 모니터링, 관리하는 시스템이 등장하고 있다.
종래의 기술들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86688호는 식품위생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CCP/CP 단계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 기록하며, 각 주방기기에 관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각 주방기기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록지 양식에 맞게 분석 및 저장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CCP/CP 전 단계를 분류하고 있으며, 기록의 이중 작업을 방지하기 위하여, 현장 입력에 따른 각 단계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 기록하며, 기록된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부와, 상기 관리부를 통해 기록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와, 외부 시스템과 연동되어, 정보의 업로드 및 다운로드가 가능한 연동부, 및 각 주방기기의 온도 측정값을 바탕으로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관리부는, CCP1(식단구성 공정) 메뉴에서, 학교급식 위생관리 지침에 예시된 식단 구성의 판단 기준항목 선택 결과에 따라, CCP2(잠재적 위험 식단관리 공정), CCP7(배식 공정)단계로 자동분류 하며, 이에 따른 저장이 이루어지면 CCP2(잠재적 위험 식단관리 공정), CCP7(배식 공정) 메뉴에 자동기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CCP2(잠재적 위험 식단관리 공정)가 구성 후, 조리완료 후 배식에 차질이 없도록 하기 위한 경고 텍스트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연동부는, 상기 관리부를 통해 기록된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CCP/CP 단계의 공정별로 자동분류하며, 상기 외부 시스템과 연동되어, 업로드 진행 중에도 CCP1(식단구성), CCP2(잠재적 위험 식단관리공정), CP5/CCP6(전처리 및 조리 공정), CCP7(배식 공정)에 관하여 기록된 정보를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분석 후 해당 단계별로 자동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정보 및 각 주방기기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CCP/CP 기록 관리에 맞게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CCP/CP양식에 맞게 분석 및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설정한 전송 주기에 따라, 각 주방기기로부터 수신된 온도 측정값 및 측정값의 시간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데이터통신 포트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70167호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식품설비 위생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식품설비의 온도, 습도, 식품 보관상태를 검출하고, 식품설비 및 상기 식품설비 관리장치의 이상유무를 자가진단하는 복수개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통해 상기 식품설비 또는 관련 장소의 온도, 습도, 식품보관상태 데이터를 저장하고, 허용 기준치와 비교하여 허용 기준치를 벗어나는 경우 경보 신호를 생성 및 제어하는 복수개의 컨트롤러, 상기 복수개의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된 각 측정값들을 저장하였다가 식품위생상태 보고서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각 측정값들이 상기 허용 기준치와 비교하여 기준치를 벗어나는 경우 경보 신호를 표시 및 출력하며, 상기 식품설비 또는 관련장소에 저장된 재료가 유통기한을 넘긴 경우 경보 신호를 표시 및 출력하는 제어 PC 및 상기 복수개의 컨트롤러와 상기 제어 PC를 접속시키는 멀티플렉서를 포함하는 식품설비 관리장치; 상기 식품설비 관리장치로부터 수신된 식품설비의 위생 상태 데이터를 모니터링하여 이력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위생 상태 데이터가 규정된 허용 기준을 초과한 경우 경보 메시지 및 A/S 출동 메시지를 생성하는 중앙 관리서버; 상기 중앙 관리서버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상기 경보 메시지를 수신 및 표시하고, 원격제어 신호를 상기 중앙관리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식품설비 관리장치를 원격제어하는 식품설비 관리자 단말기; 및 상기 중앙 관리서버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상기 A/S 출동 메시지를 수신 및 표시하는 기사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 PC는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된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식품위생 상태 보고서 파일을 생성하는 보고서 작성부, 재료의 종류, 입출고 일시, 유통기한, 보관 위치를 포함하는 재료의 입출고를 관리하는 재료 입출고 관리부, 식품위생규정에 따라 기준온도 및 온도 편차를 설정하고,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수신한 상기 식품설비 및 관련 장소의 온도 측정 데이터들을 저장 및 관리하는 온도 관리부, 상기 식품위생 규정에 따라 기준습도 및 습도 편차를 설정하고,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수신한 상기 주방기기 및 관련 장소의 습도 측정 데이터들을 저장 및 관리하는 습도 관리부 및 중앙 관리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결합되어 재료 입출고 관리 데이터, 온도 데이터 및 습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위생 상태 데이터를 상기 중앙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관리서버는 상기 식품설비 관리장치로부터 수신된 위생 상태 데이터를 관리하는 이력 관리부, 상기 식품설비 관리장치로부터 수신된 위생 상태 데이터를 모니터링하여 허용기준 초과 여부를 판단하여 허용기준을 초과한 경우 경보 메시지를 생성하는 상태 검출부, 상기 이력 관리부에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식품설비 위생상태 보고서 파일을 생성하는 보고서 작성부 및 상기 식품설비 관리장치로부터 위생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경보 메시지를 상기 식품설비 관리자단말기 및 A/S 기사 단말기로 송출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0-0116485호는 냉동차량에 다수 설치되어 온도정보를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온도센서(10)와; 상기 온도센서(10)의 측정온도를 GPS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전송받아 WAP를 이용하여 배송기사가 HACCP 점검항목에 따른 점검을 운송전, 운송중, 운송후의 단계로 실시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HACCP 점검수단과; 상기 HACCP 점검수단의 점검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통신사 서버와; 상기 통신사 서버로부터 HACCP 점검수단의 점검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모니터링하는 HACCP 모니터링부 및; 상기 통신사 서버로부터 HACCP 점검수단의 점검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HACCP 체크리스트를 포함하는 기본정보를 관리하는 HACCP 관리시스템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한 종래 기술은 식품위생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각 주방기기에 관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구성하여 관리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들고 다니면서 일일이 체크를 해야 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으며, 통신방식에 따라 일부분의 정보가 누락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형태의 기술을 보면, 네트워크를 이용한 식품설비 위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식품설비 관리장치에 센서부, 컨트롤러, 멀티플렉서를 구성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이러한 부분은 각각의 설비에 구성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함에 있어 불편한 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그 통신방식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이 전혀 없다.
또 다른 형태의 기술을 보면, 모바일 단말기와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한 축산물 HACCP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냉동차량의 내부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중심적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냉동차량의 내부에 있는 재료들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수준에 불과하고, 실질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기술이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들을 종합해보면, HACCP시스템을 구축하되 통합적으로 관리를 하게 되어 있거나, 일일이 단말기를 들고 다니면서 파악을 해야 하고 특정된 통신방식으로 구체적인 설명이 없어 통상의 통신방식을 적용할 시에는 딜레이로 인해 처리속도가 느릴 뿐만 아니라 데이터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어 서버에 기록된 데이터는 정확성 및 신뢰도를 높일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참고로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통합 온, 습도 감시 시스템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은 냉동창고, 저온창고, 숙성창고의 온습도 센서 컨트롤러에 대하여 RS485 모듈을 통해 관리서버에서 온습도 센서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모니터링 PC나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고, 도 2에서는 Wi-Fi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모니터링 PC와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통합 온·습도 감시 시스템은 구축 시 센서 자료수집 및 전송은 모두 유선으로 이루어지며, 현재 구축방식은 대규모 공장과 공장 증축 시 시공의 한계성이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무선으로 개선한 경우에는 통신방식의 안전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한 보안 및 암호화가 필요하다. 또한 HACCP 인증체계에 필요한 자동 보고서 기능개선 역시 필요하다 할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1648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2660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9130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16485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냉동창고, 저온창고, 숙성창고, 가열기 등 HACCP 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설비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인터넷 기반의 센서 수집기술(IoT) 기반으로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무선 전송하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자동화한 HACCP 관리 보고서를 통해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 HACCP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식품이나 원재료가 보관되는 창고시설(10)에 설치되어 창고시설(10)의 온습도을 센싱하는 온습도 센서(20); 상기 온습도 센서(20)에서 센싱된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센싱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무선 공유기(40)를 통해 무선으로 통합 서비스 서버(50)로 전송하는 무선 컨트롤러(30); 상기 무선 컨트롤러(30)에서 수집된 온습도 센싱 데이터를 통합 서비스 서버(50)로 인터넷을 통해 업로드하는 무선 공유기(40); 및 상기 온습도 센서(20)에서 수집된 센싱 정보를 보관기록하고, 모바일(60), PC(70)를 포함하는 단말장치에서 접근 가능하며 PC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요청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온습도 센서(20)의 온도나 습도설정 임계치에서 벗어나면 시설담당자의 모바일(60)이나 PC(70)로 알림(경고) 메시지를 전달하도록 설정된 통합 서비스 서버(5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HACCP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PC(70)에는 HACCP 보고서 기능을 활용해 자동화된 보고서(80) 출력을 위한 프로그램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무선 컨트롤러(30)는, 상기 온습도 센서(20)와 통신하는 수신채널모듈과, 상기 무선 공유기(40)와 통신하는 Wi-Fi 모듈 및 인터넷과 연결되어 상기 통합 서비스 서버(50)와 통신하는 TCP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통신부(31)와, 상기 스마트 HACCP 관리 및 모니터링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을 입력하거나, 설정하는데 이용되는 LCD 터치 디스플레이 입력부(32)와, 냉동창고, 저온창고, 숙성창고, 가열기를 포함하는 HACCP 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설비에 설치된 온습도 센서(20)에서 센싱된 정보(데이터)가 입력되는 온/습도 입력부(33)와, 상기 냉동창고, 저온창고, 숙성창고, 가열기를 포함하는 HACCP 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설비에서 발생하는 전압/전류 센싱 데이터가 입력되는 전압/전류센서 입력부(34)와, 상기 냉동창고, 저온창고, 숙성창고, 가열기를 포함하는 HACCP 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설비에서 발생하는 광학센싱 데이터가 입력되는 광학센서 입력부(35)와, 상기 무선 컨트롤러(30)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입력받는 전원입력부(36) 및 상기 통신부(31), LCD 터치 디스플레이 입력부(32), 온/습도 입력부(33), 전압/전류센서 입력부(34), 광학센서 입력부(35) 및 전원 입력부(36)를 제어하는 제어부(38)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기술적 측면에서는 HACCP 인증유지관리 정보화 시스템 구축기반을 마련할 수 있고, 실시간 냉장·온장설비의 가동정보 및 온/습도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설비상태의 실시간 알림이 가능하고, HACCP 자동화 보고서 작성이 가능하다.
둘째, 경제/산업적 측면에서는 시스템 도입 시 구축에 필요한 원자재 비용 감소할 수 있고, 시스템 구축 시 투입 인력 축소로 인력 비용 절감할 수 있으며, 통합 온/습도 모니터링을 통해 유선 시공 시 발생하는 지형적, 공간적 작업 환경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셋째, 사회적 측면에서는 원활한 HACCP 인증유지관리를 통하여 위생적이고 안전한 식품 관리 안전성 확보가 가능하고, 원재료 관리와 상품 취급에 대한 사회적 불안감 해소할 수 있으며, 효율적인 식품 관리의 정립화로 기업의 신뢰도 향상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통합 온, 습도 감시 시스템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HACCP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HACCP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HACCP 관리용 무선 온˙습도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HACCP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HACCP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다양한 플랫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HACCP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의 활용방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HACCP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의 무선통신 컨트롤러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9에 나타낸 무선통신을 위한 컨트롤러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발명에 따른 스마트 HACCP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통합 서비스 서버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면에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HACCP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HACCP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HACCP 관리용 무선 온·습도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HACCP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의 실시예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온습도 센서(20), 무선 컨트롤러(30), 무선 공유기(40), 통합 서비스 서버(50), 모바일(60) 및 PC(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온습도 센서(20)는 식품이나 원재료가 보관되는 창고시설(10)에 설치되어 창고시설(10)의 온습도을 센싱한다.
무선 컨트롤러(30)는 온습도 센서(20)에서 센싱된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센싱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무선 공유기(40)를 통해 무선으로 통합 서비스 서버(50)로 전송한다.
무선 공유기(40)는 무선 컨트롤러(30)에서 수집된 온습도 센싱 데이터를 통합 서비스 서버(50)로 인터넷을 통해 업로드(전송)한다. 이러한 무선 공유기(40)는 Wi-Fi 공유기로 구성될 수 있다.
통합 서비스 서버(50)는 온습도 센서(20)에서 수집된 센싱 정보를 보관기록하고, 모바일(60), PC(70) 등의 단말장치에서 접근 가능하며 클라이언트 요청에 따른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통합 서비스 서버(50)는 온습도 센서의 온도나 습도설정 임계치에서 벗어나면 시설담당자의 모바일(60)이나 PC(70)로 알림(경고) 메시지를 전달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모바일(60)은 스마트 기기(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등)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PC(70)는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무실(90)에 구성된다.
그리고 PC(70) 버전의 클라이언트에서는 HACCP 보고서 기능을 활용해 자동화된 보고서(80) 출력을 위한 프로그램이 포함된다.
이러한 본 발명 스마트 HACCP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HACCP 관리용 무선 온·습도 모니터링 시스템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선 컨트롤러(50)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무선 컨트롤러(50)는 온습도 센서(20)로 부터 센싱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채널 모듈과, 무선 공유기(40)와 통신하기 위한 Wi-Fi 모듈 및 인터넷과 연결되기 위한 TCP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면에서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HACCP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 방식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HACCP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 방식의 실시예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데, 온도 측정 써미스터(NTC, PCT) 및 습도 측정 센서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데이터의 무결성을 검증하기 위한 CRC 체크섬, 수집된 온˙습도 정보를 인터넷에 연결 가능한 무선(Wi-Fi) 공유기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WSP2 인증 및 수집된 온˙습도 정보를 서버 스토리지인 통합 서비스 서버(50)에 전달할 때 암호화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할 수 있는 SSL 데이터 암호화를 수행하도록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HACCP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의 무선 통신 방식에서는 통신방식의 안전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한 보안 및 암호화(SSL)를 제공하였다.
도면에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HACCP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다양한 플랫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HACCP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다양한 플랫폼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신된 센서 정보(데이터)를 기록하고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데이터를 제공하는 안정적인 서비스 프로그램과, 사용자의 접근성 및 편의성을 위해 통합 서비스 서버(50)인 서버 스토리지 내 WAS 서버를 구축하고 HTML5 기술을 활용한 웹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PC(70)의 데이터 조회기능에서 시간별 온도 센서 정보를 수집하여 HACCP 인증 유지관리에 필요한 자동 보고서 작성기능을 제공하는데, 이를 위하여 보고서를 다양한 형태의 포맷(WORD, POWER POINT, PDF 등)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보고서를 미리 체크리스트 형태로 구성하고, 각각의 체크리스트에는 예를 들면, 창고시설의 식별자(ID) 입력항목, 각 온습도 센서(20)의 식별자(ID) 입력항목, 각 온습도 센서(20)에서 센싱한 온습도 입력항목 및 센싱 시간 입력항목, 각 온습도 센서(20)의 표준범위에 대한 오차범위 입력항목 등이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HACCP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의 활용방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HACCP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의 활용방안들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마트팜(비닐하우스, 유리온실, 축사 등), 연구소 및 서버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HACCP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의 무선통신 컨트롤러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도 9에 나타낸 무선통신 컨트롤러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HACCP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의 무선통신을 위한 컨트롤러의 실시예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부(31), LCD 터치 디스플레이 입력부(32), 온/습도 입력부(33), 전압/전류센서 입력부(34), 광학센서 입력부(35), 정전압 레귤레이터(36), 전원 입력부(37) 및 제어부(3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통신부(31)는 수신채널모듈, Wi-Fi 모듈 및 TCP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LCD 터치 디스플레이 입력부(32)는 관리자가 스마트 HACCP 관리 및 모니터링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을 입력하거나, 설정하는데 이용된다.
온/습도 입력부(33)는 냉동창고, 저온창고, 숙성창고, 가열기 등 HACCP 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설비에 설치된 온습도 센서(20)에서 센싱된 정보(데이터)가 입력된다.
전압/전류센서 입력부(34)는 냉동창고, 저온창고, 숙성창고, 가열기 등 HACCP 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설비에서 발생하는 전압/전류 센싱 데이터가 입력된다.
광학센서 입력부(35)는 냉동창고, 저온창고, 숙성창고, 가열기 등 HACCP 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설비에서 발생하는 광학센싱 데이터가 입력된다.
전원 입력부(36)는 컨트롤러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입력받고, 정전압 레귤레이터(37)는 전원 입력부(36)에 입력된 전원을 컨틀롤러 구동에 필요한 정전압으로 레귤레이팅한다.
제어부(38)는 통신부(31), LCD 터치 디스플레이 입력부(32), 온/습도 입력부(33), 전압/전류센서 입력부(34), 광학센서 입력부(35) 및 정전압 레귤레이터(36), 전원 입력부(37)를 제어한다.
도면에서 도 12는 발명에 따른 스마트 HACCP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통합 서비스 서버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발명에 따른 스마트 HACCP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통합 서비스 서버의 실시예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부(51), HACCP 설비 정보 저장부(52a), HACCP 설비 관리자 정보 저장부(52b), HACCP 설비 운용 정보 수집부(53), HACCP 설비 운용정보 분석부(54), HACCP 설비 운용 이상 검출부(55), HACCP 설비 원격 제어부(56), HACCP 설비 이상정보 관리자 통지부(57), HACCP 설비 운용정보 보고서 양식부(58a), HACCP 설비 운용정보 보고서 작성부(58b), HACCP 설비 운용정보 보고서 출력부(58c) 및 제어부(5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부(51)는 인터넷을 통해 통합 서비스 서버(50)와 무선 공유기(40), 모바일(70) 및 PC(80)와 통신한다.
HACCP 설비 정보 저장부(52a)는 냉동창고, 저온창고, 숙성창고, 가열기 등 HACCP 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설비의 정보가 저장된다. 이때, 위치정보, 설비별 규정 온, 습도 정보, 규격 전압/전류 정보, 규격 광학 정보 등이 저장된다.
HACCP 설비 관리자 정보 저장부(52b)는 냉동창고, 저온창고, 숙성창고, 가열기 등 HACCP 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설비를 관리하는 각각의 관리자의 정보(성함, 모바일(스마트폰) 번호 등)이 저장된다.
HACCP 설비 운용 정보 수집부(53)는 냉동창고, 저온창고, 숙성창고, 가열기 등 HACCP 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설비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운용 정보를 수집한다.
HACCP 설비 운용정보 분석부(54)는 HACCP 설비 운용 정보 수집부(53)에서 수집된 정보를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은 HACCP 설비 정보 저장부(52a)의 규격정보등과 비교하여 분석된다.
HACCP 설비 운용 이상 검출부(55)는 HACCP 설비 운용정보 분석부(54)의 분석결과에 따른 이상정보를 검출한다.
HACCP 설비 원격 제어부(56)는 HACCP 설비 운용 이상 검출부(55)의 검출결과에 따라 원격제어가 가능한 경우 원격제어(온, 습도 설비 제어, 전압/전류 제어, 광학 제어 등)를 수행한다. 이때, 사무실(90)의 PC(80)로부터 제어될 수도 있고, 모바일(70)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
HACCP 설비 이상정보 관리자 통지부(57)는 HACCP 설비 원격 제어부(56)의 원격제어가 수행되지 않거나(fail), 수행불가한 설비의 경우 HACCP 설비 관리자 정보 저장부(52b)를 참조하여 해당 관리자의 모바일(70)과, PC(80)로 통지된다.
HACCP 설비 운용정보 보고서 양식부(58a)는 미리 설정된 보고서 양식이 저장된다.
HACCP 설비 운용정보 보고서 작성부(58b)는 HACCP 설비 운용 정보 수집부(53), HACCP 설비 운용정보 분석부(54), HACCP 설비 운용 이상 검출부(55), HACCP 설비 원격 제어부(56), HACCP 설비 이상정보 관리자 통지부(57) 등에서 수집, 분석, 검출, 제어 및 통지된 내용이 HACCP 설비 운용정보 보고서 양식부(58a)에 양식에 맞춰 작성된다.
HACCP 설비 운용정보 보고서 출력부(58c)는 HACCP 설비 운용정보 보고서 작성부(58b)에서 작성된 내용이 PC(80)와 모바일(70)로 출력된다.
제어부(59)는 통신부(51), HACCP 설비 정보 저장부(52a), HACCP 설비 관리자 정보 저장부(52b), HACCP 설비 운용 정보 수집부(53), HACCP 설비 운용정보 분석부(54), HACCP 설비 운용 이상 검출부(55), HACCP 설비 원격 제어부(56), HACCP 설비 이상정보 관리자 통지부(57), HACCP 설비 운용정보 보고서 양식부(58a), HACCP 설비 운용정보 보고서 작성부(58b) 및 HACCP 설비 운용정보 보고서 출력부(58c)를 제어한다.
이상과 같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창고시설 20: 온습도 센서
30: 무선 컨트롤러 40: 무선 공유기
50: 통합 서비스 서버 60: 모바일
70: PC

Claims (3)

  1. 식품이나 원재료가 보관되는 창고시설(10)에 설치되어 창고시설(10)의 온습도을 센싱하는 온습도 센서(20);
    상기 온습도 센서(20)에서 센싱된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센싱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무선 공유기(40)를 통해 무선으로 통합 서비스 서버(50)로 전송하는 무선 컨트롤러(30);
    상기 무선 컨트롤러(30)에서 수집된 온습도 센싱 데이터를 통합 서비스 서버(50)로 인터넷을 통해 업로드하는 무선 공유기(40); 및
    상기 온습도 센서(20)에서 수집된 센싱 정보를 보관기록하고, 모바일(60), PC(70)를 포함하는 단말장치에서 접근 가능하며 PC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요청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온습도 센서(20)의 온도나 습도설정 임계치에서 벗어나면 시설담당자의 모바일(60)이나 PC(70)로 알림(경고) 메시지를 전달하도록 설정된 통합 서비스 서버(5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HACCP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PC(70)에는 HACCP 보고서 기능을 활용해 자동화된 보고서(80) 출력을 위한 프로그램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HACCP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컨트롤러(30)는,
    상기 온습도 센서(20)와 통신하는 수신채널모듈과,
    상기 무선 공유기(40)와 통신하는 Wi-Fi 모듈 및
    인터넷과 연결되어 상기 통합 서비스 서버(50)와 통신하는 TCP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통신부(31)와,
    상기 스마트 HACCP 관리 및 모니터링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을 입력하거나, 설정하는데 이용되는 LCD 터치 디스플레이 입력부(32)와,
    냉동창고, 저온창고, 숙성창고, 가열기를 포함하는 HACCP 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설비에 설치된 온습도 센서(20)에서 센싱된 정보(데이터)가 입력되는 온/습도 입력부(33)와,
    상기 냉동창고, 저온창고, 숙성창고, 가열기를 포함하는 HACCP 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설비에서 발생하는 전압/전류 센싱 데이터가 입력되는 전압/전류센서 입력부(34)와,
    상기 냉동창고, 저온창고, 숙성창고, 가열기를 포함하는 HACCP 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설비에서 발생하는 광학센싱 데이터가 입력되는 광학센서 입력부(35)와,
    상기 무선 컨트롤러(30)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입력받는 전원입력부(36) 및
    상기 통신부(31), LCD 터치 디스플레이 입력부(32), 온/습도 입력부(33), 전압/전류센서 입력부(34), 광학센서 입력부(35) 및 전원 입력부(36)를 제어하는 제어부(38)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HACCP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210095685A 2021-07-21 2021-07-21 스마트 haccp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202300143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685A KR20230014398A (ko) 2021-07-21 2021-07-21 스마트 haccp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685A KR20230014398A (ko) 2021-07-21 2021-07-21 스마트 haccp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4398A true KR20230014398A (ko) 2023-01-30

Family

ID=85106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5685A KR20230014398A (ko) 2021-07-21 2021-07-21 스마트 haccp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439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62768A (zh) * 2023-05-29 2023-08-08 北京市永康药业有限公司 一种药品仓储管理方法及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1309A (ko) 2009-02-10 2010-08-19 정균 자전거 도로 이벤트 서비스 시설물 및 서비스 방법
KR20100116485A (ko) 2009-04-22 2010-11-0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단말기와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한 축산물 haccp 관리시스템
KR20100116486A (ko) 2009-04-22 2010-11-0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축산물 유통단계 haccp 관리방법
KR20110026607A (ko) 2009-09-08 2011-03-16 제일기술(주) Haccp 모바일 단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1309A (ko) 2009-02-10 2010-08-19 정균 자전거 도로 이벤트 서비스 시설물 및 서비스 방법
KR20100116485A (ko) 2009-04-22 2010-11-0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단말기와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한 축산물 haccp 관리시스템
KR20100116486A (ko) 2009-04-22 2010-11-0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축산물 유통단계 haccp 관리방법
KR20110026607A (ko) 2009-09-08 2011-03-16 제일기술(주) Haccp 모바일 단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62768A (zh) * 2023-05-29 2023-08-08 北京市永康药业有限公司 一种药品仓储管理方法及系统
CN116562768B (zh) * 2023-05-29 2023-11-21 北京市永康药业有限公司 一种药品仓储管理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261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food processing and food storage
US9304045B2 (en) Temperature monitoring device for workflow monitoring system
US8258943B2 (en) Ubiquitous sensor network-based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managing food sanitation
US7372003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food
US9996056B2 (en) Method for determining a parameter set of a perishable product and control syste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KR101286688B1 (ko) 식품위생 관리 시스템
KR20180027176A (ko) IoT 기반의 스마트 팩토리 관리 시스템
CN105099790B (zh) 基于移动互联网络的环安管理方法及其交互系统
KR20090119203A (ko) 식품 설비의 온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14398A (ko) 스마트 haccp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100570167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식품설비 위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02301A (ko) 식품의 안전한 공급을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 식품 관리 시스템 및 식품 관리 방법
US20060132321A1 (en) Universal equipment process monitor
KR101825021B1 (ko) 적응적 무선통신을 이용한 haccap 기반 위생 관리 시스템
KR101407399B1 (ko) 스마트 폰 연동형 콜드체인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KR20150105541A (ko) 근거리 무선망을 이용한 haccp 자동화 시스템
KR102416162B1 (ko) 스마트 푸드 팩토리의 통합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KR100528314B1 (ko) Haccp 기반 주방기기 위생 관리 시스템
KR101758191B1 (ko)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장치 및 시스템
US9970822B2 (en) Temperature monitoring device for workflow monitoring system
KR20090047724A (ko) 온도데이터 수집방법 및 이에 적합한 시스템
US202203577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legally compliant documentation of health and safety-related process events
Prasetyananda et al. Concurrently wireless sensor network using microcontroller for home monitoring against fire
KR20160140099A (ko) Sccm 온습도 관리 단말 및 그 방법
KR20230110017A (ko)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스마트 팩토리 매니지먼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