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8191B1 -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8191B1
KR101758191B1 KR1020150166647A KR20150166647A KR101758191B1 KR 101758191 B1 KR101758191 B1 KR 101758191B1 KR 1020150166647 A KR1020150166647 A KR 1020150166647A KR 20150166647 A KR20150166647 A KR 20150166647A KR 101758191 B1 KR101758191 B1 KR 101758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information
temperature
humidity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6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4574A (ko
Inventor
옥경식
김현정
김승민
최성욱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66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8191B1/ko
Publication of KR20170064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4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8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8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Abstract

본 발명은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급식소로 반입된 식품의 유통과정에서의 온도정보 및 습도정보를 외부로부터 제공받고, 급식소 내에 설치된 온도센서와 습도센서로부터 상기 식품에 관한 온습도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여, 상기 식품에 관한 위해성 평가 정보를 제공하는 급식소관리서버; 및 사용자단말기에 설치 및 실행되어, 상기 급식소관리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상기 식품에 대한 위해성 평가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유통시 사용되는 식품용기와 급식소에 온습도센서를 설치하여 식품용기와 급식소로부터 센서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여 식품의 위해성 평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식품의 안전을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장치 및 시스템{Food Risk Management Apparatus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식품의 위해성 관리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식품용기와 급식소의 센서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식품의 위해성 평가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식품안전에 대한 국민의 관심은 날이 갈수록 커지고 있지만, 식중독 발생 등 식품안전과 관련된 사건사고는 끊이지 않고 발생하고 있다. 식품안전 사고는 원료생산단계와 제조공정에서 주로 발생하지만 물류유통과정에서도 적지 않게 발생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 날씨가 점차 열대성 기후로 변하기 시작하면서 보관, 수송과정에서의 안전관리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식품산업의 발달로 인해 식품생산과 공급과정이 다양해지면서 광범위하게 확대되고 있지만 이에 상응하는 식품의 보관, 운송, 공급과정에 필요한 안전성이 확립되지 못하면 대규모의 인구집단에서 식중독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식품오염으로 인한 식품안전 사고는 점차 글로벌화, 대규모화되고 있는 추세로 유럽에서는 유기농업체의 새싹 중 병원성 대장균 오염으로 인해 유럽 전 지역에 대규모 식중독이 발생된 바 있다.
또한, 단체급식소의 경우 식중독 발생건수가 해마나 증가하고 있는데, 식재료 검수 단계부터 보관, 조리, 배식 등 최종 섭취 단계까지의 위생상태 및 오염 가능성 여부 등을 정확하게 관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식품의 보관, 수송과정, 급식소에서 식품의 안전관리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는 상황에서 이러한 문제를 사전에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유통시 사용되는 식품용기와 급식소에 온습도센서를 설치하여 식품용기와 급식소로부터 센서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여 식품의 위해성 평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식품의 안전을 관리할 수 있는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식품의 위해성 관리 장치와 연동하는 소비자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여 소비자에게 식품의 위해성 평가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식품의 위해성 평가 장치와 연동하는 급식소용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여 급식소 관리자에게 자신이 취급하는 식품의 전 유통과정과 보관, 급식과정의 온습도데이터 및 위해성 평가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급식소로 반입된 식품의 유통과정에서의 온도정보 및 습도정보를 외부로부터 제공받고, 급식소 내에 설치된 온도센서와 습도센서로부터 상기 식품에 관한 온습도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여, 상기 식품에 관한 위해성 평가 정보를 제공하는 급식소관리서버; 및 사용자단말기에 설치 및 실행되어, 상기 급식소관리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상기 식품에 대한 위해성 평가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식품의 유통시 사용되는 다수의 식품용기에 설치된 온도센서와 습도센서과 급식소 내의 온도센서와 습도센서로부터 온습도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수집부, 상기 온습도데이터를 가공 및 관리하는 데이터관리부, 상기 식품의 유통과정에서의 온습도데이터와 상기 급식소 내의 온도센서와 습도센서의 온습도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식품에 관한 위해성을 평가하는 위해성평가부, 및 상기 식품의 위해성 평가 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는 데이터제공부를 포함하는 관리서버; 및 사용자단말기에 설치 및 실행되어, 상기 관리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상기 식품에 대한 위해성 평가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시스템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외부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급식소 내에 설치된 온도센서와 습도센서로부터 온습도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데이터수집부; 상기 온도센서와 습도센서로부터 수집한 온습도데이터를 가공 및 관리하는 데이터관리부; 상기 식품의 유통과정에서의 온습도정보와 상기 온도센서와 습도센서로부터 수집한 온습도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식품의 종류, 조리방법, 보관시간, 보관온도, 보관습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식품에 관한 위해성을 평가하는 위해성평가부; 및 상기 식품의 위해성 평가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데이터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장치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외부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식품의 유통시 사용되는 다수의 식품용기에 설치된 온도센서, 습도센서, 급식소 내의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로부터 온습도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수집부; 상기 수집한 온습도데이터를 가공 및 관리하는 데이터관리부; 상기 식품의 종류, 조리방법, 보관시간, 보관온도, 보관습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식품에 관한 위해성을 평가하는 위해성평가부; 및 상기 식품의 위해성 평가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데이터제공부를 포함하는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장치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급식소 내에 설치된 온도센서와 습도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온도센서와 습도센서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가공 및 관리하는 단계; 외부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식품의 유통과정에서의 온도정보 및 습도정보와 상기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식품의 종류, 조리방법, 보관시간, 보관온도, 보관습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식품의 위해성 여부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식품의 위해성 평가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식소 식품 위해성 평가 제공방법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식품의 유통시 사용되는 다수의 식품용기에 설치된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와 급식소 내의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로부터 온도데이터와 습도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온도데이터와 상기 습도데이터를 가공 및 관리하는 단계; 상기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식품의 종류, 조리방법, 보관시간, 보관온도, 보관습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식품의 위해성 여부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식품의 위해성 평가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급식소 식품 위해성 평가 제공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장치 및 시스템은 유통시 사용되는 식품용기와 급식소에 온습도센서를 설치하여 식품용기와 급식소로부터 센서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여 식품의 위해성 평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식품의 안전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식품의 위해성 관리 장치와 연동하는 소비자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여 소비자에게 식품의 위해성 평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식품의 위해성 평가 장치와 연동하는 급식소용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여 급식소 관리자에게 자신이 취급하는 식품의 전 유통과정과 보관, 급식과정의 온습도데이터 및 위해성 평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시스템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급식소용 어플리케이션의 메뉴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장치의 웹페이지 구현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시스템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시스템은 급식소관리서버(10) 및 사용자단말기(30)를 포함한다.
급식소관리서버(10)는 급식소(20)로 반입된 식품이나 급식소(20)에서 조리된 식품의 생산, 유통, 보관, 및 조리과정 중의 온습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식품의 위해성 분석을 해서 사용자단말기(30)로 제공하는 것으로,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급식소(20) 하나만을 도시하였으나, 다수의 급식소(20)와 연동하여 관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급식소관리서버(10)에서 급식소(20)로 반입된 식품에 관한 온습도정보를 급식소(20) 곳곳에 설치된 온도센서(21a)나 습도센서(21b)로부터 수집하고, 외부로부터 식품의 유통과정에서의 온습도데이터를 제공받아, 전 유통과정과 급식소(20) 보관, 조리과정의 식품의 온습도 데이터를 분석하여 식품에 관한 위험성 평가 정보를 고객(소비자, 급식소관리자 등)에게 제공함으로써, 급식소(20)의 식품의 위해성 요소를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급식소관리서버(10)는 식품의 유통 과정에서의 온습도데이터를 유통관리서버(4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유통관리서버(40)는 유통시 사용되는 식품용기(50)로부터 식품에 관한 보관온도 및 보관습도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식품의 유통과정에서의 온습도데이터를 관리 및 분석하고, 온습도데이터 또는 분석데이터를 급식소관리서버(10)로 전송하기 위한 서버이다.
식품용기(50)와 유통관리서버(40)는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을 구성하며, 식품용기(50)는 내부의 온습도, 중량, 위치 정보 등 각종 센서데이터를 유통관리서버(40)로 전송하고, 유통관리서버(40)는 식품용기(50)로부터 센서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한다.
유통관리서버(40)는 식품의 생산/제조/가공/유통/판매자가 취급하는 식품을 각종센서가 부착된 식품용기(50)에 수납함으로써, 식품의 생산부터 가공, 유통 및 판매에 이르기까지의 전 유통과정에서 식품의 온습도 데이터를 수집, 관리하여 급식소관리서버(10)에 제공함으로써 식품의 위험성을 관리 및 확인하는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식품용기(50)는 내부에 식품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식품의 보관이나 운송 시에 사용되는 보관용기 또는 이송용기로서, 메모리부(57), 온도센서(51), 습도센서(53), 무선통신부(59), GPS 모듈(55)을 포함한다.
메모리부(57)는 식품용기(50)의 고유식별정보를 저장하고, EPROM, EEPROM 등 다양한 형태의 메모리로 구현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1개의 메모리가 아닌 복수 개의 메모리로 구현될 수도 있다. 메모리부(57)는 고유식별정보 이외에, 필요에 따라 후술하는 센서 데이터, 내부에 수납하는 식품에 관한 정보, 식품용기(50)의 동작에 필요한 펌웨어, 소프트웨어 등을 추가로 저장할 수 있다.
온도센서(51)와 습도센서(53)는 각각 식품용기(50)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방식의 감지소자에 의해 구현 가능하다. 온도센서(51)와 습도센서(53)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를 메모리부(57)에 저장되는 한편, 후술하는 무선통신부(59)에 의해 유통관리서버(40)로 전송된다.
무선통신부(59)는 외부 기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것으로서 통신 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무선 통신 방식, 근거리 통신 방식, 원거리 통신 방식, 각종 프로토콜 등 어느 통신 방법이든 무방하다. 무선통신부(59)는 원격에 있는 유통관리서버(40)와의 통신을 위한 제1통신모듈(미도시), 근거리 통신을 위한 제2통신모듈(미도시), 및/또는 식품의 식별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GPS 모듈(55)은 식품용기(5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식품용기(50)는 주기적으로 온습도데이터, 중량데이터, 위치데이터를 후술할 서버로 전송한다. 여기서, 식품용기(50)의 위치정보는 유통관리서버(40)에서 수집하여 급식소관리서버(10)에 제공함으로써, 식품의 유통경로정보를 생성할 수 있게 해 준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급식소관리서버(10)는 통신부(11), 데이터수집부(13), 데이터관리부(15), 데이터분석부(17), 및 데이터제공부(19)를 포함한다.
통신부(11)는 외부 즉, 유통관리서버(40) 및/또는 사용자단말기(3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것으로, 통신 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외부와의 원격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WIFI, 3G, LTE 등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 및 인터넷과 같은 유선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수집부(13)는 급식소(20) 내에 설치된 온도센서(21a)와 습도센서(21b)로부터 센서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것으로, 온도센서(21a)와 습도센서(21b)는 식품을 보관하는 냉동고, 냉장고와 같은 식품보관장치, 기타 식품수납공간을 비롯하여 조리공간 등 곳곳에 설치되어 있으며, 주기적으로 혹은 이벤트 시 센싱한 데이터를 급식소관리서버(10)로 전송한다.
여기서, 온도센서(21a)와 습도센서(21b)는 각각 온도와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방식의 감지소자에 의해 구현 가능하다. 온도센서(21a)와 습도센서(21b)는 필요에 따라 일체형 모듈로 설치될 수도 있고, 각각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다. 각각의 센서모듈(21)은 감지된 센서데이터를 급식소관리서버(10)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온도센서(21a)와 습도센서(21b)들이 센서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게이트웨이를 통해 급식소관리서버(10)와 연동할 수도 있다. 센서모듈(21)은 더 나아가 사용자단말기(30)와의 연동을 위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 또는 식품의 식별정보(바코드 또는 RF 태그)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관리부(15)는 유통관리서버(40)로부터 제공받은 식품의 온습도정보와 데이터수집부(13)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가공 및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온습도정보 및 데이터를 센서별, 식품보관장치별, 식품별, 및/또는 급식소(20)별로 가공 및 관리하여 DB로 구축한다.
급식소관리서버(10)는 사용자단말기(30), 식품보관장치, 및 온습도 센서모듈(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식품과 센서모듈(21)을 매칭할 수 있는 정보(즉, 해당 식품이 어떤 센서모듈주변(또는 식품보관장치)에 보관중인지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아 데이터를 처리한다. 여기서, 식품에 관한 정보는 식품의 식별정보, 식품의 종류, 또는 식품의 조리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식품의 위해성 여부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보관정보 즉, 온습도정보를 수집하여 식품의 위험성을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급식소(20)에 반입된 식품이나 급식소(20)에서 조리된 식품 각각에 온습도 보관정보를 매칭해야 하는데, 여러 가지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30)의 어플리케이션(33)을 이용하여 급식소(20) 내에 반입되거나 조리된 식품의 식별정보에 각각에 온도센서(21a), 습도센서(21b), 또는 온습도센서모듈(21)을 선택 또는 입력하는 방식이나 그 반대의 방식으로 식품과 센서정보를 매칭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냉장고나 냉동고 등의 식품보관장치 또는 온습도 센서모듈(21)에 보관되는 식품의 식별정보를 인식시키거나 입력하는 방식으로 식품과 센서정보를 매칭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급식소관리서버(10)는 유통관리서버(40)와 같이 외부로부터 식품의 생산/가공/유통/판매 등 유통 전과정의 온습도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식품의 유통과정의 온습도데이터와 급식소(20)에서의 온습도데이터를 통합하여 가공, 관리한다.
데이터분석부(17)는 식품의 온습도 데이터의 분석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유통과정, 급식소(20)의 보관, 및/또는 조리 과정의 온습도 데이터 등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식품의 온습도 데이터, 식품의 위해성 여부, 식품의 유통기한, 섭취기한 등의 설정, 유통경로 등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분석부(17)는 위해성평가부(17a), 기한설정부(17b), 및/또는 경고부(17c)를 포함한다. 위해성평가부(17a)는 식품의 생산/가공/유통/보관/조리/급식 전 과정의 온습도데이터에 기초하여 식품의 위해성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식품의 종류, 조리방법, 보관시간에 따른 온도 및 습도의 변화에 따라 위해성을 분석할 수 있는 함수식이 포함된 다양한 위해성평가모델을 구축해 놓고 있다. 위해성평가부(17a)는 식품의 종류, 가공형태, 조리방법 등에 따라 평가모델을 선택한 후, 식품의 온습도 데이터 등 변수를 평가모델에 입력하여 위해성 평가 데이터를 산출한다. 식품의 위해성 평가는 식품의 부패 등으로 섭취 시 문제가 발생할 확률을 복수의 레벨로 도출할 수 있다.
기한설정부(17b)는 식품의 생산/가공/유통/보관/조리/급식 전 과정의 온습도데이터에 기초하여 식품의 유통기한이나 섭취기한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식품의 종류, 조리방법과 보관시간에 따른 온도 및 습도의 변화에 따라 기한을 산출한다. 기한설정부(17b)는 식품의 종류, 조리방법과 보관시간에 따른 온도 및 습도의 변화에 따라 유통기한이나 섭취기한을 설정할 수 있는 모듈을 구비하고 있으며, 식품의 종류나 온습도 데이터를 입력하여 기한을 산출한다.
식품은 유통기한이 포장에 표시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개별 식품의 보관 온습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보다 개별적이고 정확한 유통기한 또는 섭취기한을 설정할 수 있으므로, 유통업자, 판매업자, 소비자에게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식품의 식중독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급식소(20)에서 제공하는 식품은 급식소(20) 내로 반입될 때의 형태 그대로 제공되는 식품이 있는 반면, 조리과정을 거쳐서 다른 식품의 형태로 조리되어 제공되는 경우가 더 많다. 전술한 식품의 위해성평가부(17a) 및 기한설정부(17b)에서 분석하는 식품은 원재료가 되는 식품, 조리과정을 거친 식품 등 급식소(20)에서 취급하거나 제공하는 모든 식품에 대해 정보를 제공한다. 즉,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최종 식품의 위해성 뿐만 아니라 재료로 사용된 식품에 대해서도 위해성 평가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경고부(17c)는 급식소(20) 내에 설치된 온도센서(21a)와 습도센서(21b)의 온습도데이터를 모니터링하여 특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 경고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경고가 울리는 온도와 습도의 특정 범위는 온도센서(21a)나 습도센서(21b)가 설치된 장소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온도센서(21a)와 습도센서(21b)가 부착된 장소가 냉동고, 냉장고, 실온, 조리공간 등 설치 공간에 따라 적정한 온도 설정 범위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각각의 온습도센서에 따라 그 설정범위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경고부(17c)는 위해성평가부(17a)에서 위험하다고 판단한 식품이나 기한설정부(17b)에서 설정한 유통기한이나 섭취기한이 얼마 안 남은 식품이나 그 기한을 넘긴 식품에 대한 정보를 급식소 관리자에게 제공하여, 급식소 관리자는 이를 통해 보관중인 식품이나 급식 제공을 위한 식품을 안전하게 관리할 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분석부(17)는 유통경로생성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통경로생성부(미도시)는 식품에 관한 유통경로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식품용기(50)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여 식품에 관한 유통경로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식품의 생산처, 가공처, 유통처 또는 판매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지도정보를 미리 구축하고 있으며, 유통관리서버(40)로부터 제공받은 식품의 유통정보 중에서 위치정보를 지도정보와 매칭하여 식품별 유통경로를 생성한다.
데이터제공부(19)는 분석한 데이터를 고객 즉, 소비자 및/또는 급식소 관리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고객이 요청하는 식품에 관한 생산/가공/유통/보관/급식 정보, 식품의 전 유통, 보관, 조리과정 중의 온습도데이터, 식품 위해성 정보, 식품의 유통기한, 섭취기한에 관한 정보 등을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33)은 사용자단말기(30)에 설치 및 실행되어, 급식소관리서버(10)와의 연동을 통해 식품에 대한 위해성 평가정보, 식품의 온습도데이터, 위해성 평가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스마트폰용 어플 등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구현 가능하다. 여기서 사용자단말기(30)는 예컨대 PDA, 스마트폰과 같은 보편적인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30)는 사용자입력을 위한 사용자입력부(31), 어플리케이션(33)이 저장되는 메모리(미도시), 어플리케이션(33)이 실행되는 프로세서(미도시), 급식소관리서버(10) 및/또는 센서모듈(21)과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모듈(35)을 포함한다. 사용자단말기(30)는 센서모듈과 NFC 통신 또는 WIPI, 블루투스 등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으며, 급식소관리서버(10)와는 WIFI, 3G, LTE 등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한다.
어플리케이션(33)은 기능에 따라, 소비자용 어플리케이션, 급식소용 어플리케이션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어플리케이션(33)의 기능은 필요에 따라 일부 공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각의 어플리케이션(33)의 기능 및 메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소비자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소비자용 어플리케이션은 급식소관리서버(10)와의 연동을 통해 식품의 위해성 여부나 유통, 보관, 조리 과정에서의 온습도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 있으며, 도 3과 같이 식단확인메뉴, 식품정보확인메뉴, 위해성확인메뉴, 온습도정보확인메뉴, 유통경로확인메뉴, 및/또는 신고메뉴를 포함한다.
여기서, 소비자는 급식소(20)의 소비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회원가입을 통해 해당 급식소(20)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급식소관리서버(10)는 다수의 급식소(20)를 관리하고 있으며, 소비자는 급식소 온라인시스템 등을 통해 회원가입을 한 후에, 어플리케이션(33)을 사용자단말기(30)에 다운 및 실행하여 해당 급식소(20)에 대한 위해성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33)은 '오늘의 식단', '이달의 식단정보', '신고' 3가지 항목을 포함한다.
도 3의 (b)는 도 3의 (a)에서 '오늘의 식단'을 선택한 후의 실행화면으로서, 어플리케이션(33)이 급식소관리서버(10)에 식단정보를 요청하면 서버는 오늘의 식단 정보와 함께 해당 식품의 위해도 정보를 어플리케이션(33)으로 전송한다.
도 3의 (c)는 도 3의 (b) 화면에서 위해도를 확인하고 싶은 식품명을 클릭한 후의 실행화면의 일 예로서, 어플리케이션(33)은 급식소관리서버(10)와의 통신을 통해 식품의 식별정보와 함께 위해성 확인요청을 급식소관리서버(10)로 전송하고, 급식소관리서버(10)가 해당 식품에 관한 정보를 검색, 분석하여 위해성 평가정보를 사용자단말기(30)로 전송하면 어플리케이션(33) 화면에 위해성 평가정보를 표시해준다. 도 3의 (c)에서 '상세정보' 항목을 클릭하면 해당 식품의 위해도에 대한 보다 상세한 평가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3의 (d)는 도 3의 (b)에서 상세정보를 확인하고 싶은 식품명을 클릭한 후의 실행화면의 일 예로서, 어플리케이션(33)은 급식소관리서버(10)와의 통신을 통해 식품의 식별정보와 함께 식품확인요청을 급식소관리서버(10)로 전송하고, 급식소관리서버(10)가 해당 식품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단말기(30)로 전송하면 어플리케이션(33)은 화면에 해당 정보를 표시해준다. 여기서, 표시되는 식품에 관한 상세정보는 식품에 대한 원재료, 조리정보, 위해도, 생산정보, 유통정보, 온습도정보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e)는 사용자가 도 3의 (d)에서 '유통정보' 항목을 선택한 후의 실행화면의 일 예로서, 어플리케이션(33)은 급식소관리서버(10)와의 통신을 통해 식품의 식별정보와 유통경로 확인요청을 급식소관리서버(10)로 전송하고, 급식소관리서버(10)가 해당 식품에 관한 정보를 검색, 분석하여 유통경로를 분석하여 사용자단말기(30)로 전송하면 어플리케이션(33)은 화면에 유통경로를 표시해준다. 식품의 유통경로는 지도에 매핑되어 표시되어 사용자가 쉽게 지도상에서 유통날짜나 위치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아래에는 식품용기(50)에서 식품이 담겨지거나 옮겨진 위치에 대한 업체 정보, 날짜 정보, 식품이 담겨졌던 식품용기(50)정보 등이 리스트로 표시되어 소비자가 해당 식품의 유통전과정에 대한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해 준다.
도 3의 (f)는 온습도정보확인메뉴 선택 후의 실행화면의 일 예로서, 어플리케이션(33)은 급식소관리서버(10)와의 통신을 통해 식품의 식별정보와 함께 온습도정보확인요청을 급식소관리서버(10)로 전송하고, 급식소관리서버(10)가 해당 식품에 관한 정보를 검색, 분석하여 온습도정보를 사용자단말기(30)로 전송하면, 어플리케이션(33)은 화면에 온습도정보를 표시해준다. 온습도정보는 도 3의 (f)와 같이 날짜에 따른 그래프 형태로 시각화하여 표시해줄 수 있다.
도 3의 (a)에서 '이달의 식단정보'는 해당 월에 대한 식단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날짜별로 식단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미 지난 날짜에 해당하는 식단에 대해서는 해당 날짜와 식단에 포함된 식품을 선택하면 전술한 도 3의 (b) 내지 (f)와 같은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3의 (a)에는 신고메뉴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식품의 위해성 확인 결과 안전하지 않다는 분석결과를 받거나 식품 섭취 후 건강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해당 식품의 위험성을 신고하는 메뉴로서, 해당 신고 내역이 급식소관리서버(10)로 전송되고 급식소관리서버(10)는 해당 급식소 관리자에게 신고내역을 전송함으로써, 해당 식품에 관한 조사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해 준다. 급식소 관리자는 해당 식품의 원재료 등에 대해 조사를 하거나 동일 식품 섭취자에 대한 조사를 통해 원재료 폐기, 식품 폐기 등 신속한 대응을 할 수 있다.
도 4는 급식소용 어플리케이션의 메뉴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급식소용 어플리게이션은 식품에 관한 정보나 식품이 보관된 식품보관장치에 관한 정보를 입력 및 확인할 수 있는 메뉴항목, 식품의 생산, 가공, 유통 또는 보관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메뉴항목, 식품의 위해성 평가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메뉴항목을 포함한다. 여기서, 식품에 관한 정보는 식품의 보관정보, 조리정보, 또는 위생정보를 포함하며, 어플리케이션(33)은 식품보관장치별 보관된 식품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메뉴, 식품이나 식품보관장치의 식별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메뉴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a)는 급식소용 어플리케이션의 메인화면으로서, '식품정보', '보관정보', '식단정보', '급식정보', '신고' 항목을 포함한다.
도 4의 (b)는 도 4의 (a)에서 '식품정보'을 선택한 후의 실행화면의 일 예로서, 급식소(20)에서 보관중인 식품이나 급식하는 식품에 대한 정보를 급식소관리서버(10)에 요청 및 전송받아 표시한다. 도 4의 (b)에서는 신규 입력을 위한 항목이 있는데, 급식소(20)에 신규로 반입된 식품의 정보를 입력하거나 등록하기 위한 메뉴로서, 식품의 식별정보, 조리 정보, 보관정보 등에 대한 입력을 위한 항목이다. 신규입력항목은 사용자가 일일이 입력할 수도 있으나, 급식소용 어플리케이션을 급식소(20)에서 사용하는 급식관리프로그램과 연동하도록 구현하여, 급식소(20)에 반입된 식품정보를 일일이 입력하지 않고 해당 급식소(20)에서 사용하는 관리프로그램에서 입고하는 식품 정보, 조리정보, 보관정보를 불러와서 이를 간단히 체크함으로써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급식소용 어플리케이션은 HACCP(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의 규정에 맞도록 식단관리, 식재료 검수, 냉장고 관리, 조리과정, 운반, 배식, 세척, 소독 등 조리현황을 메뉴로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급식소용 어플리케이션 하나만으로 급식소 위해요소 관리를 함께 할 수 있도록 그 기능을 부가할 수도 있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33)에 식품의 식별정보가 입력되면, 급식소관리서버(10)는 해당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생산 및 판매정보를 유통관리서버(40)에 요청하여 제공받아 급식소(20)의 식품의 온습도데이터와 통합하여 관리 및 분석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33)은 식품의 식별정보 이외에 해당 식품이 보관되는 장소에 대응하는 식품보관장치나 센서모듈(21)정보를 함께 입력함으로써, 급식소관리서버(10)는 해당 식품을 온습도 센서모듈(21)과 매칭하여 데이터를 관리 및 분석할 수 있다.
도 4의 (c)는 도 4의 (b)의 식품리스트에서 식품명을 클릭한 경우 실행되는 화면으로서, 어플리케이션(33)은 급식소관리서버(10)에 해당 식품의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해당 식품에 대한 상세정보를 요청하고, 수신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여기서, 표시되는 정보는 생산자, 원재료, 반입일, 보관장소, 섭취기한, 위해도, 온습도정보, 유통경로정보 등이다.
도 4의 (d)는 도 4의 (c)에서 식품의 위해도 정보를 선택한 경우 실행되는 화면으로서, 어플리케이션(33)은 급식소관리서버(10)에 해당 식품에 대한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해당 식품의 위해도 평가정보를 요청하고, 수신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여기서, 표시되는 정보는 위해도 평가 정보 이외에, 섭취 기한이나 유통기한, 보관 방법 등이 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급식소용 어플리케이션은 식품보관장소나 식품보관장치별로 수납된 식품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는 메뉴, 도 3의 (e) 및 (f)와 같이 식품의 유통경로나 온습도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 메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메뉴구성과 기능은 전술한 소비자용 어플리케이션의 메뉴와 유사하므로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급식소용 어플리케이션은 식품의 유통 과정이나 급식소(20) 보관, 조리과정에서 문제는 없었는지 안전한지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동일한 종류의 식품별로 온습도데이터의 통계데이터를 분석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장치에 대한 설명은 도 2를 다시 참조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장치는 도 2의 급식소관리서버(10)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장치는 급식소(20)에 설치된 온도센서(21a), 습도센서(21b)의 온습도 등에 관한 센서데이터와, 유통관리서버(40)로부터 유통 과정 중의 식품의 온습도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여 식품의 위해성 평가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웹서버로서 고객이 해당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원하는 식품에 관한 정보나 통계 데이터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고객의 어플리케이션(33)에 설치된 전용 사용자단말기(30)과 연동하여 식품의 위해성 정보나 식품의 유통정보, 온습도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장치는 통신부(11), 데이터수집부(13), 데이터관리부(15), 데이터분석부(17), 및 데이터제공부(19)를 포함하고, 데이터분석부(17)는 위해성평가부(17a), 기한설정부(17b), 경고부(17c), 및/또는 유통경로생성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 도 2의 급식소관리서버(10)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장치의 웹페이지 구현 예를 도시한 것으로, 메인메뉴는 '식품', '식품보관장치', '식단정보', '급식정보'로 나뉘고, 식품메뉴는 서브메뉴로서 '식품정보', '온습도정보', '유통경로', '위해성정보' 등의 서브메뉴항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장치의 웹페이지는 소비자, 급식소 관리자 등 고객의 유형에 따라 메뉴를 달리해서 제공할 수도 있다. 소비자는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장치에서 제공하는 식품별 온습도 데이터나 생산, 유통 데이터, 식품용기(50)별 데이터나 통계 데이터를 확인하여 자신이 급식받은 식품들이 안전하게 급식 되는지 일목요연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급식 관리자는 식품 위해성 관리 장치에서 제공하는 식품별 조리정보, 유통정보, 보관정보, 위해성정보, 식품보관장치별 식품정보, 보관정보 등을 일목요연하게 확인하여 관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방법은 전술한 제2 실시예에 따른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장치에 의한 관리방법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장치는 급식소(20) 내에 설치된 온도센서(21a)와 습도센서(21b)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수집한다(S10). 여기서,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장치는 온습도 센서모듈(21)로부터 보관 중인 식품의 식별정보를 함께 수집할 수도 있고, 급식소용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식품의 식별정보, 식품보관장소(온도센서(21a), 습도센서(21b), 또는 센서모듈(21))에 관한 식별정보를 등록받을 수 있다.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장치는 수집한 데이터를 가공 및 관리한다(S11). 이때, 식품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유통정보를 유통관리서버(40)에 요청하여 해당 식품에 관한 전 유통과정의 온습도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장치는 유통관리서버(40)로부터 제공받은 유통과정 중의 식품의 온습도데이터와 급식소(20)에 설치된 센서들로부터 수집한 온습도데이터를 분석하여 보관된 식품의 종류, 조리방법, 보관시간, 보관온도, 보관습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식품의 위해성 여부를 분석한다(S13). 그리고, 분석한 식품의 위해성 평가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한다(S15).
소비자용 어플리케이션의 경우에는 사용자단말기(30)로부터 특정 식품에 관한 정보 확인요청이 수신되면, 해당 식품에 관한 데이터를 검색, 분석하여 그 결과를 제공한다. 식품의 위해성 평가 장치는 식품의 유통기한이나 섭취기한에 관한 정보가 요청된 경우, 식품의 종류와 보관시간에 따른 온도 및 습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식품의 유통기한 또는 섭취기한을 분석하여 고객에게 제공한다. 반면, 급식소용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급식소(20)에 보관중이거나 조리한 식품에 대해 위험하다는 분석이 나온 식품에 대해서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장치가 일방적으로 통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소비자는 급식된 식품이 섭취해도 안전한지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고, 급식소 관리자는 식품의 전 유통과정, 급식소 보관, 조리과정의 온습도데이터를 모니터링, 추적하여 식품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식품의 위해성 평가 장치에서 수집한 데이터나 분석한 데이터를 정부에 제공하는 경우, 정부는 유통 및 급식되는 식품에 관한 온습도 데이터를 확보하고, 이를 활용하여 식중독의 사전 예방 등 국민의 건강관리증진에 더욱 힘쓸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8은 도 7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7 및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시스템은 관리서버(100) 및 사용자단말기(30)를 포함한다.
식품용기(50), 급식소(20) 내에 설치된 온도센서(21a), 습도센서(21b)와 관리서버(100)는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을 구성하며, 식품용기(50), 급식소(20) 내에 설치된 온도센서(21a), 습도센서(21b)는 온습도 등 센서데이터를 관리서버(100)로 전송하고, 관리서버(100)는 식품용기(50)와 급식소(20) 내에 설치된 온도센서(21a), 습도센서(21b)로부터 센서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시스템은 식품의 생산/제조/가공/유통/판매자가 취급하는 식품을 각종센서가 부착된 식품용기(50)에 수납함으로써, 식품의 생산부터 가공, 유통 및 판매에 이르기까지의 전 유통과정에서 식품의 온습도 데이터를 수집, 관리, 및 분석하여 정부, 기업, 및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급식소(20) 내에 설치된 온습도센서(21a, 21b)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식품의 유통과정과 급식소(20) 보관, 조리 과정 등 전 과정에서의 온습도데이터를 분석하여 식품의 위험성을 급식소 소비자 및 관리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급식되는 식품을 관리 및 확인하는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시스템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급식소관리서버(10)와 유통관리서버(40)의 기능이 관리서버(100)로 통합되었다는 점에서 큰 차이가 있다.
즉, 제1 실시예에 따른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시스템은 식품의 유통과정의 온습도데이터는 유통관리서버(40)에서 수집 및 관리하고, 급식소(20)의 온습도데이터는 급식관리서버(10)가 수집 및 관리하는데 비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시스템은 식품의 유통과정의 온습도데이터와 급식소(20)에서의 온습도데이터를 관리서버(100)에서 모두 수집 및 관리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100)는 통신부(101), 데이터수집부(103), 데이터관리부(105), 데이터분석부(107), 및 데이터제공부(109)를 포함하고, 데이터분석부(107)는 위해성평가부(107a), 기한설정부(107b), 경고부(107c), 및/또는 유통경로생성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통신부(101)는 식품용기(50)와 급식소(20)의 온도센서(21a), 온도센서(21b), 및 사용자단말기(30)와 연동하는 것으로, 통신 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외부와의 원격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WIFI, 3G, LTE 등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 및 인터넷과 같은 유선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수집부(103)는 식품용기(50)와 급식소(20)로부터 온습도 센서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것으로, 식품용기(50)로부터 고유식별정보, 보관시간, 보관온도, 보관습도, 중량, 및/또는 위치정보 등을 수집하고, 급식소(20)로부터 고유식별정보, 보관온도, 보관습도 등을 수집한다.
데이터관리부(105)는 수집한 데이터를 가공 및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수집한 데이터를 식품용기(50)별, 식품별, 유통경로별, 급식소별, 보관장소별로 가공 및 관리하여 DB로 구축한다.
관리서버(100)는 식품용기(50), 급식소 온습도 센서, 및 사용자단말기(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식품과 식품용기(50), 급식소 보관장소(온습도 센서)를 매칭할 수 있는 정보를 전송받아 데이터를 처리한다. 여기서, 식품에 관한 정보는 식품의 식별정보, 식품의 종류, 식품의 생산, 제조 또는 유통, 급식소, 조리, 보관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데이터분석부(107)는 수집한 데이터의 분석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수집한 온습도데이터 등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식품의 온습도 데이터, 식품의 위해성 여부, 식품의 유통기한, 섭취기한 등의 설정, 유통경로 등을 생성하여 고객에게 제공한다. 식품용기(50)나 사용자단말기(30)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중복되므로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장치에 대한 설명은 도 8을 다시 참조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장치는 도 8의 관리서버(100)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장치는 식품용기(50) 및 급식소(20)에 설치된 온도센서(21a), 온도센서(21b)의 온습도 등에 관한 센서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여 식품의 위해성 평가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웹서버로서 고객이 해당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원하는 식품에 관한 정보나 통계 데이터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고객의 어플리케이션(33)에 설치된 전용 사용자단말기(30)과 연동하여 식품의 위해성 정보나 식품의 유통정보, 온습도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장치는 통신부(101), 데이터수집부(103), 데이터관리부(105), 데이터분석부(107), 및 데이터제공부(109)를 포함하고, 데이터분석부(107)는 위해성평가부(107a), 기한설정부(107b), 경고부(107c), 및/또는 유통경로생성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 도 8의 관리서버(100)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방법은 전술한 제5 실시예에 따른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장치에 의한 관리방법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장치는 식품용기(50) 및 급식소(20) 내에 설치된 온도센서(21a)와 온도센서(21b)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수집한다(S20). 여기서,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장치는 식품용기(50), 급식소(20)의 온습도 센서모듈(21)로부터 보관 중인 식품의 식별정보를 함께 수집할 수도 있고, 급식소용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식품의 식별정보, 식품보관장소(온도센서(21a), 습도센서(21b), 또는 센서모듈(21))에 관한 식별정보를 등록받을 수 있다.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장치는 수집한 데이터를 가공 및 관리한다(S21).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장치는 수집한 온습도데이터를 분석하여 보관된 식품의 종류, 조리방법, 보관시간, 보관온도, 보관습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식품의 위해성 여부를 분석한다(S23). 그리고, 분석한 식품의 위해성 평가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한다(S25). 이때, 사용자단말기(3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33)이 소비자용 어플리케이션인지 급식소용 어플리케이션인지에 따라 정보의 제공방법, 정보의 내용, 제공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급식소관리서버 20: 급식소
21a: 온도센서 21b: 습도센서
21: 센서모듈 30: 사용자단말기
40: 유통관리서버 50: 식품용기
100: 관리서버

Claims (19)

  1. 급식소로 반입된 식품의 유통과정에서의 온도정보 및 습도정보를 외부로부터 제공받고, 급식소 내에 설치된 온도센서와 습도센서로부터 상기 식품에 관한 온습도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여, 상기 식품에 관한 위해성 평가 정보를 제공하는 급식소관리서버; 및
    사용자단말기에 설치 및 실행되어, 상기 급식소관리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상기 식품에 대한 위해성 평가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식품의 보관정보 및 조리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메뉴항목, 상기 식품의 생산, 가공, 유통 또는 보관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메뉴항목, 상기 식품의 위해성 평가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메뉴항목을 포함하며;
    상기 급식소관리서버는 외부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급식소 내에 설치된 온도센서와 습도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데이터수집부, 상기 급식소 내에 설치된 상기 온도센서와 상기 습도센서로부터 수집한 온습도데이터를 가공 및 관리하는 데이터관리부, 상기 식품의 유통과정에서의 온습도정보와 상기 수집한 온습도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식품의 위해성 평가를 수행하는 위해성평가부, 및 식품의 위해성 평가 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는 데이터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위해성평가부는 상기 식품의 종류, 조리방법, 보관시간, 보관온도, 및 보관습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식품의 위해성 여부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식품에 관한 정보나 상기 식품이 보관된 식품보관장치에 관한 정보를 입력 및 확인할 수 있는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상기 급식소관리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기 위한 사용자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식품의 위생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식소관리서버는 상기 식품의 종류, 조리방법, 보관시간에 따른 온도 및 습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식품의 유통기한 또는 섭취기한을 설정하는 기한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제공부는 상기 식품의 유통기한 또는 섭취기한에 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식품보관장치별 보관된 식품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메뉴, 및 상기 식품이나 상기 식품보관장치의 식별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식품의 유통시 사용되는 식품용기로부터 상기 식품에 관한 보관온도 및 보관습도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식품의 유통과정에서의 온습도데이터를 관리 및 분석하고, 상기 온습도데이터 또는 분석데이터를 상기 급식소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유통관리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식소관리서버는 상기 급식소 내에 설치된 온도센서와 습도센서의 온습도데이터를 모니터링하여 특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 경고메시지를 생성하는 경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시스템.
  10. 식품의 유통시 사용되는 다수의 식품용기에 설치된 온도센서와 습도센서과 급식소 내의 온도센서와 습도센서로부터 온습도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수집부, 상기 온습도데이터를 가공 및 관리하는 데이터관리부, 상기 식품의 유통과정에서의 온습도데이터와 상기 급식소 내의 온도센서와 습도센서의 온습도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식품에 관한 위해성을 평가하는 위해성평가부, 및 상기 식품의 위해성 평가 정보를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는 데이터제공부를 포함하는 관리서버;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설치 및 실행되어, 상기 관리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상기 식품에 대한 위해성 평가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식품의 보관정보 및 조리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메뉴항목, 상기 식품의 생산, 가공, 유통 또는 보관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메뉴항목, 상기 식품의 위해성 평가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메뉴항목을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식품의 종류, 조리방법, 보관시간, 보관온도, 및 보관습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식품의 위해성 여부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식품에 관한 정보나 상기 식품이 보관된 식품보관장치에 관한 정보를 입력 및 확인할 수 있는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시스템.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상기 관리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기 위한 사용자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식품의 위생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시스템.
  13. 삭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식품의 종류, 조리정보와 보관시간에 따른 온도 및 습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식품의 유통기한 또는 섭취기한을 설정하는 기한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제공부는 상기 식품의 유통기한 또는 섭취기한에 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시스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50166647A 2015-11-26 2015-11-26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장치 및 시스템 KR101758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6647A KR101758191B1 (ko) 2015-11-26 2015-11-26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6647A KR101758191B1 (ko) 2015-11-26 2015-11-26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4574A KR20170064574A (ko) 2017-06-12
KR101758191B1 true KR101758191B1 (ko) 2017-07-19

Family

ID=59219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6647A KR101758191B1 (ko) 2015-11-26 2015-11-26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81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0943A (ko) * 2019-10-29 2021-05-10 이현구 식품 공유중개 플랫폼 서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0943A (ko) * 2019-10-29 2021-05-10 이현구 식품 공유중개 플랫폼 서버
KR102326749B1 (ko) * 2019-10-29 2021-11-16 이현구 식품 공유중개 플랫폼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4574A (ko) 2017-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261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food processing and food storage
Costa et al. A review on agri-food supply chain traceability by means of RFID technology
US8258943B2 (en) Ubiquitous sensor network-based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managing food sanitation
US20140046722A1 (en) System for on-site environment monitoring
US201800052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reshness information
US11449810B2 (en) Food safety management system
CN107636702A (zh) 集成式资产完整性管理系统
US11397909B2 (en) Long term sensor monitoring for remote assets
US20150338846A1 (en) A method and system for quality inspection within a multi layer manufacturing lifecycle
Mack et al. Quality tracing in meat supply chains
Ene The relevance of traceability in the food chain
CN106030630A (zh) 用于跟踪物品的系统和方法
Gillespie et al. Real-time anomaly detection in cold chain transportation using IoT technology
Eden et al. Continuous temperature monitoring along the chilled food supply chain
KR101758191B1 (ko) 급식소 식품 위해성 관리 장치 및 시스템
WO2011092727A1 (en) Traceability system for buffalo mozzarella, from source to consumption
US20140136430A1 (en) Product integrity monitor
KR20100116485A (ko) 모바일 단말기와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한 축산물 haccp 관리시스템
KR20230014398A (ko) 스마트 haccp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
Garg et al. Application of IoT in the Food Processing Industry
CA3048536C (en) Long term sensor monitoring for remote assets
US20230008256A1 (en) Food safety management system
WO2016013397A1 (ja) 管理装置、端末装置、管理システム、管理方法、情報処理方法、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hoy et al. A food monitoring system for preventing product deterioration
Alagarsamy et al. Intelligent IoT (IIoT)-Based Food Supply Monitoring System with Alert Messages in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Environ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