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4294A - 연속지 재단기의 자동절단장치 및 권취장치 - Google Patents

연속지 재단기의 자동절단장치 및 권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4294A
KR20230014294A KR1020210095479A KR20210095479A KR20230014294A KR 20230014294 A KR20230014294 A KR 20230014294A KR 1020210095479 A KR1020210095479 A KR 1020210095479A KR 20210095479 A KR20210095479 A KR 20210095479A KR 20230014294 A KR20230014294 A KR 20230014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roller
sticker
groove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5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3895B1 (ko
Inventor
이호성
Original Assignee
광성디엔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성디엔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광성디엔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5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3895B1/ko
Publication of KR20230014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4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3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3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22Changing the web roll in 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winding operations
    • B65H19/26Cutting-off the web running to the wound web roll
    • B65H19/265Cutting-off the web running to the wound web roll using a cutting member moving linearly in a plane parallel to the surface of the web and along a direction crossing the we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22Changing the web roll in 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winding operations
    • B65H19/2238The web roll being driven by a winding mechanism of the nip or tangential drive type
    • B65H19/2246The web roll being driven by a winding mechanism of the nip or tangential drive type and the roll being supported on two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22Changing the web roll in 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winding operations
    • B65H19/28Attaching the leading end of the web to the replacement web-roll core or 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1Cutting handled material transversally to feeding direction
    • B65H2301/51512Cutting handled material transversally to feeding direction using a cutting member moving linearly in a plane parallel to the surface of the web and along a direction crossing the handl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Landscapes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한 쌍의 원형칼와 지지롤러 및 메인롤러를 구비하여 연속되는 박리지에 점착층을 가진 스티커가 규칙적이게 종, 횡 방향으로 연속되게 연결된 스티커원지롤을 두루말이 형태로 재단하는 스티커 재단기에 있어서,
축관부를 가진 노즐이 일정간격으로 결합되어 높은 압력의 풍압을 공급하게 되는 공기압공급장치; 점착제가 원둘레면을 실리콘고무재로 구성한 권취안내롤러를 구비한 권취유도장치부; 장축간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권취롤러축과 보빈관을 단속하는 단속구를 구비한 권취롤러; 상기 장축간홈에 끼워져서 헛돌기를 방지하는 걸림돌기가 내주연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보빈관; 단면상 'V' 형의 칼날이동홈이 상면 중앙 길이방향에 형성된 컷터레일; 피니언이동공간이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랙기어가 구비되고 그 하부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랙받침; 상하 수직방향에 간격을 두고 수평설치한 슬라이드봉; 상기 슬라이드봉안내를 받아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슬라이드; 상기 랙기어와 치합되어 안내 이동하는 피니언기어를 축설한 모터가 중앙에 고정 설치되며 하부 일측면에는 가이드를 구비한 이동몸판; 및 경첩작용할 수 있도록 힌지핀으로 칼날고정판이 결합되고 그 사이에 칼머리가 볼트로 결합된 칼날이 구성되어, 연속상태의 스티커원지를 효율적으로 권취하고 자동으로 절단할 수 있게 되는 연속지 재단기의 자동절단장치 및 권취장치를 제공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연속지 재단기의 자동절단장치 및 권취장치{Automatic cutting device and winding device of continuous paper cutter}
본 발명은 이면에 점착층을 가지는 인쇄지와 박리지로 구성되는 스티커의 재단 가공기에 있어서, 스티커 재단가공시 재단권취 초기에서 스티커가 분리되지 않고 권취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연속지 재단기의 자동절단장치 및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스티커의 종류는 다양하고 그 중에서도 문구나 사진 및 그림으로 제작되는 스티커 또는 안내문구가 인쇄되는 스티커는 일면에 인쇄층이 형성되고 이면에는 점착층이 형성되어 박리지 일면에 종횡간 열이 맞춰진 상태로 권취된다.
상기 긴 보빈에 권취된 상태를 일반적으로 '롤지' 또는 '원지'라고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통일성을 위한 편의로 '원지'로 기재한다.
한편, 상기 원지는 박리지에 종횡간 열이 맞춰진 상태로 권취된 상태에서는 분할 사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여러 개의 원형칼을 가진 스티커 재단기에서 한 줄씩 블럭별로 재단하는 후 가공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하지만, 스티커는 대부분 명함 크기정도로 크기가 작으면서 그 재질은 인쇄가 선명하고 습기에 강하며 잘 찢어지지 않는 특성을 가진 유포지가 사용되고 또 일면에는 점착제 코팅층을 형성된 작은 조각(piece) 형태로 박리지에 점착되어 있고 또한 권취 작업시 권취롤러가 고속으로 회전하고 또 가공 특성상 박리지를 권취롤러에 권취해야 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권취작업 초기에서 작은 조각(piece) 형태의 스티커가 박리지에서 분리되고 이렇게 분리된 스티터는 그 점착층이 가이드롤러에 점착되면서 권취작업이 중단되고 파지가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국내 공고일자 2009.04.24. 실용신안등록 제20-0444281호로 알려진 스티커 재단기(이하 '선등록고안'이라 함)에 의하면, 스티커원단 거치대, 권취로울러 구동대, 수개의 안내로울러, 재단받침로울러, 원형 절단칼을 가진 재단장치, 절취칼, 고정대로 구성되고, 상기 스티커원단 거치대와 절단정치 사이의 재단기본체 상측에 절취받침로울러를 구성하여 그 상면으로 스티커원단이 통과되도록 하고, 상기 절취받침로울러 직 상부에는 상기 절취칼이 장치되면서 그 배면이 고정대에 결합되는 절취대를 위치시키는 것에 있어서, 상기 절취대는 그 배면을 고정대 외면에 밀착함과 동시에 절취대 배면 하측에 형성되는 접속돌기를 고정대 저면 일측의 접속홈에 접속하고, 절취대의 상면 외측의 지지편에 체결되어 지지편을 관통하는 고정볼트 끝부를 고정대 상면 일측의 받침홈에 도입하되, 상기 지지편과 받침홈 사이에 접속돌기가 접속홈에 이탈될 수 있을 정도 이상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절취대와 고정대가 결합된 기술이 공지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1)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44281호(2017.03.09.)
상기 선등록고안은 스티커원단 및 박리지에 절취선을 형성해서 박리지의 탈피를 용이하게 한 것일뿐, 후가공 실시하는 블럭별 재단 권취시 박리지가 분리되지 않게 하고 원활한 권취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되는 본 발명 실시 연속지 재단기의 자동절단장치 및 권취장치를 제공하지 못한다.
아울러서 본 발명은 스티커의 후 가공 특성상 박리지가 권취롤러에 권취해야 하고 또 권취 작업시 권취롤러가 고속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작은 조각(piece) 형태의 라벨 혹은 스티커가 연속시트지인 박리지로부터 분리되면서 분리된 스티터의 점착면이 가이드롤러에 점착되어 권취작업이 중단되고 파지(불량)가 발생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연속지 재단기의 자동절단장치 및 권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 실시의 연속지 재단기의 절단장치 및 권취장치는, 절단된 권취초기단부를 강한 풍압으로 작업자방향으로 밀어서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며 권취 초기단계에서 스티커가 연속지인 스티커원지의 코팅면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눌러주고 양호한 권취작업이 실시되도록 하며 정해진 분량이 권취된 상태에서 자동절단하여 쉽고 빠르고 안전한 스티커재단가공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본 발명 실시의 연속지 재단기의 자동절단장치 및 권취장치는 여러 개의 노즐을 가진 공기압공급장치를 구성하여 절단된 스티커원지의 권취초기단부가 작업자 방향으로 향하도록 강한 풍압을 공급하며 원둘레면을 실리콘고무재로 구성한 권취안내롤러를 구비하여 권취 초기단계에서 설령 스티커가 분리되더라도 스티커의 점착면이 권취안내롤러에 점착됨 없이 권취롤러에 권취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며 권취롤러의 전방 상부에는 칼받침축을 구비하고 이 칼받침축 상부에는 직선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컷터장치(cutter device)를 구성하여 스티커원지를 자동으로 절단하여 쉽고 빠르며 파지(불량) 없이 안전한 스티커 재단가공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실시의 연속지 재단기의 절단장치 및 권취장치는 여러 개의 노즐을 가진 공기압공급장치가 강력한 풍력으로 스티커원지의 권취초기단부가 작업자 방향으로 향하도록 밀어주게 되므로 작업자가 상기 스티커원지의 권취초기단부를 쉽고 안전하게 붙잡아서 권취롤러에 점착(고정)시켜줄 수 있게 되며, 또 원둘레면을 실리콘고무재로 구성한 권취안내롤러는 권취 초기단계에서 스티커가 스티커원지의 코팅면에서 분리가 되더라도 이 스티커 점착면이 권취안내롤러에 점착되지 않게 되고 또한, 상기 권취롤러의 전방 상부의 컷터장치는 정해진 신호에 따라 일직선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칼날이 스티커원지를 자동으로 절단해주게 되므로, 안전하고 빠르게 불량 없는 스티커재단 및 권취작업을 돕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 은 본 발명 실시 연속지 재단기의 절단장치 및 권취장치를 구비한 연속지 재단기의 실시상태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 실시 연속지 재단기의 절단장치 및 권취장치 설명예시도
도 3 은 스티커원지의 절단끝부분인 권취초기단부가 권취롤러에 권취되기 직전 공기압공급장치의 노즐로부터 뿜어져나오는 풍압작용으로 작업자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상태를 예시한 본 발명 실시 연속지 재단기의 자동절단장치 및 권취장치 주요일부 확대예시도
도 4 는 스티커원지의 절단끝부분인 권취초기단부가 권취롤러에 점착된 양면테이프에 점착된 후 권취안내롤러에 의해서 회동권취되는 상태를 예시한 본 발명 실시 연속지 재단기의 자동절단장치 및 권취장치 주요부 확대 설명예시도
도 5 는 스티커원지의 절단끝부분인 권취초기단부가 권취롤러에 점착된 양면테이프에 점착된 상태에서 권취작동 직전 권취초기단부가 누름판관부로 압압되어 권취 안내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요부확대 단면예시도
도 6 은 연속지인 스티커원지가 권취롤러에 두루말이 상태로 권취된 후 두개를 한벌로한 마무리롤러로 옮겨져서 절단되기 직전상태를 예시한 요부단면 예시도
도 7 은 상기 도 6 상태에서 연속지인 스티커원지가 자동절단장치에 의해서 잘단된 후 권취초기 상태를 예시한 요부단면 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 실시 연속지 재단기의 자동절단장치 및 권취장치에서 자동절단장치의 작동상태 정면예시도
도 9 는 본 발명 실시 연속지 재단기의 자동절단장치 및 권취장치에서 자동절단장치를 설명하는 확대 정면예시도
도 10 은 본 발명 실시 연속지 재단기의 자동절단장치 및 권취장치에서 자동절단장치를 설명하는 측면상태의 확대단면예시도
도 11 은 본 발명 실시 연속지 재단기의 자동절단장치 및 권취장치에서 공기압공급장치를 예시한 사시도
도 12 는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스티커원지와 권취롤러의 관계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13 은 본 발명 실시 권취롤러와 권취안내롤러의 작용관계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14 는 본 발명 실시 권취롤러에 외삽되어 구간별로 재단되는 스티커원지가 두루말이 상태로 권취되는 보빈관을 설명하는 정면예시도
도 15 는 상기 도 14 보빈관을 설명하는 횡단면예시도
도 16 은 본 발명 실시 권취롤러의 구조를 설명하는 확대단면예시도
도 17 은 상기 도 16 권취롤러의 구조를 설명하는 주요부 확대예시도
도 18 은 상기 도 14 및 도 16 결합상태의 확대 단면예시도
도 19 는 상기 도 18 의 횡단면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데, 그에 앞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어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도 1 은 본 발명 실시 연속지 재단기의 절단장치 및 권취장치를 구비한 연속지 재단기의 실시상태 예시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 실시 연속지 재단기의 절단장치 및 권취장치 설명예시도이고, 도 3 은 스티커원지의 절단끝부분인 권취초기단부가 권취롤러에 권취되기 직전 공기압공급장치의 노즐로부터 뿜어져나오는 풍압작용으로 작업자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상태를 예시한 본 발명 실시 연속지 재단기의 자동절단장치 및 권취장치 주요일부 확대예시도이며, 도 4 는 스티커원지의 절단끝부분인 권취초기단부가 권취롤러에 점착된 양면테이프에 점착된 후 권취안내롤러에 의해서 회동권취되는 상태를 예시한 본 발명 실시 연속지 재단기의 자동절단장치 및 권취장치 주요부 확대 설명예시도이고, 도 5 는 스티커원지의 절단끝부분인 권취초기단부가 권취롤러에 점착된 양면테이프에 점착된 상태에서 권취작동 직전 권취초기단부가 누름판관부로 압압되어 권취 안내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요부확대 단면예시도이며, 도 6 은 연속지인 스티커원지가 권취롤러에 두루말이 상태로 권취된 후 두개를 한벌로한 마무리롤러로 옮겨져서 절단되기 직전상태를 예시한 요부단면 예시도이고, 도 7 은 상기 도 6 상태에서 연속지인 스티커원지가 자동절단장치에 의해서 잘단된 후 권취초기 상태를 예시한 단면 예시도이며, 도 8 은 본 발명 실시 연속지 재단기의 자동절단장치 및 권취장치에서 자동절단장치의 작동상태 정면예시도이고, 도 9 는 본 발명 실시 연속지 재단기의 자동절단장치 및 권취장치에서 자동절단장치를 설명하는 확대 정면예시도이며, 도 10 은 본 발명 실시 연속지 재단기의 자동절단장치 및 권취장치에서 자동절단장치를 설명하는 측면상태의 확대단면예시도이고, 도 11 은 본 발명 실시 연속지 재단기의 자동절단장치 및 권취장치에서 공기압공급장치를 예시한 사시도이며, 도 12 는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스티커원지와 권취롤러의 관계를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13 은 본 발명 실시 권취롤러와 권취안내롤러의 작용관계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며, 도 14 는 본 발명 실시 권취롤러에 외삽되어 구간별로 재단되는 스티커원지가 두루말이 상태로 권취되는 보빈관을 설명하는 정면예시도이고, 도 15 는 상기 도 14 보빈관을 설명하는 횡단면예시도이며, 도 16 은 본 발명 실시 권취롤러의 구조를 설명하는 확대단면예시도이고, 도 17 은 상기 도 16 권취롤러의 주요부 설명 예시도이며, 도 18 은 상기 도 14 및 도 16 결합상태의 확대 단면예시도이고, 도 19 는 상기 도 18 의 횡단면예시도로서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에 예시된 스티커원지롤(R)을 비롯한 제1가이드롤러(R1)와 제1텐션롤러(R2) 그리고 제2가이드롤러(R3)와 제3가이드롤러(R4) 및 제4가이드롤러(R5)와 제5가이드롤러(R6) 및 제2테션롤러(R7)와 한 쌍의 원형칼(8a)(8b)과 지지롤러(9a) 그리고 또 메인롤러(9b)와 마무리롤러(10a)(10b)는 공지의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포함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 실시 연속지 재단기의 자동절단장치 및 권취장치는, 공기압공급장치(40)와 권취유도장치(50) 및 권취롤러(60)와 자동절단장치(100)가 제공된다.
이때의 상기 공기압공급장치(40)는, 도 11 예시와 같이 후렌지(44)가 양단부에 형성된 공급관(41)에 축관단부(42)를 가진 노즐(43)이 일정한 간격으로 구성되고 또 상기 축관단부(42) 상면에는 경사면(46)이 형성된 풍향판(47)이 도 2 예시와 같이 지지롤러(9a)의 상부위치에 설치되어 후방향으로 기우는 권취초기단부(SP1)를 도 3 예시와 같이 전방 작업자 방향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의 권취유도장치(50)는, 도 4 예시와 같이 회동축(51)과 이 회동축(51)으로 90도 회동전 작동하는 꺽쇠형 링크(52)와 직각방향의 아암(53) 및 그리고 상기 아암(53)에서 구동축(55)으로 회동하여 권취롤러(60)를 회동시켜주는 권취안내롤러(54)와 또 상기 권취롤러(60)에 권취되는 스티커원지(SP)의 선단 권취초기단부(SP1)를 압압하는 넓은 면적의 누름판(56)을 구비하되, 상기 권취안내롤러(54)는 그 둘레면이 실리콘고무(54')로 감싸지며 또 상기의 누름판(56)은 그 하단부가 파이프 형태의 누름판관부(57)가 형성되어, 권취작업이 수행될 때 도 5 예시와 같이 넓은 면적의 누름판(56) 하단내측면은 권취롤러(60)의 보빈관()80에 권회되는 스티커원지(SP)의 긴밀하게 밀착하고 그 하단 누름판관부(57)는 상기 스티커원지(SP)의 선단 권취초기단부(SP1)를 압압해서 권취작동 수행 초기에 권취초기단부(SP1)가 권취롤러(60)의 양면테이프(T)에서 분리되는 것을 차단하는 동시에 스티커원지(SP)가 팽팽하게 긴장된 상태로 권취롤러(60)에 권취되도록 돕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자동절단장치(100)는, 도 1 예시와 같이 메인롤러(9b)와 마무리롤러(10a)의 상부 중앙에 위치한 상태에서 정해진 길이(양)의 스티커원지(SP)가 권취롤러(60)에 권취되고 나면 정해진 신호에 의해 이동하면서 반복적인 권취작업을 위해서 연속상태의 스티커원지(SP)를 절단해주는 작용을 수행하게 되는 것으로서, 이때의 상기 자동절단장치(100)를 도 8 내지 도 10 에 의해 설명하면, 먼저, 컷터레일(200)이 구성되는데, 이때의 컷터레일(200)은 도 8 예시와 같이 스티커원지재단기의 양쪽 고정판(300a)(300b)을 가로지르는 길이로 구성되고 단면상 구조는 도 10 예시와 같이 저면 양측 위로 수직면(201)으로 형성되어 그 상단부는 경사면(202)으로 구성되고 상면 중앙에는 적적 깊이의 칼날이동홈(203)이 'V자 형'으로 형성되어 칼날(140)의 이동을 안내하는 컷터레일(200)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성된 컷터레일(200)의 상부에는, 피니언이동공간(101)이 하부 일측면에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가이드홈(102)이 형성되며 또 양 단부에는 후렌지(104)를 가진 랙받침(103)이 양쪽의 고정판(300a)(300b)에 설치 고정되며, 상기 한 피니언이동공간(101) 바닥에는 랙기어(106)가 구성된다.
또 상기의 랙받침(103) 일측면(도면상 우측면) 상부에는 두 개의 슬라이드축(111a)(111b) 나란히 설치 고정된다.
그리고 또 상기 고정설치된 두개의 슬라이드축(111a)(111b)에는 고정키(114)로 모터축(M')에 축설된 피니언기어(107)가 랙기어(106)를 따라 양 방향으로 수평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궁극적 칼날(140) 이동장치인 슬라이드(120)가 축설된다.
그리고 상기의 슬라이드(120)는 그 저면에 끼움홈(121)이 형성되어 이동몸판(130)이 볼트로 결합 구성되는 것으로서, 이때의 이동몸판(130)은 그 상단부가 슬라이드(120) 저면에 형성된 끼움홈(121)에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로 견고하게 고정되고 또 상기 이동몸판(130) 중앙에는 관통된 구멍에 베어링(116)이 삽입되어 관통한 모터축(115)에 피니언기어(107)가 고정키(114)로 축설되어 랙기어(106)와 치합되고 또 모터브라켓(117)과 일체인 모터(M)가 볼트로 결합 고정되며, 또한, 상기한 이동몸판(130)의 하단 일측면에는 가이드(150)가 결합되어 가이드홈(102)의 안내를 받을 수 있게 결합이 되고 또 하단부 저면에는 힌지핀(118)으로 두 개의 칼날고정판(160a)(160b)이 양쪽으로 결합되며 또 상기 칼날고정판(160a)(160b) 사이에는 칼날(140)이 하향하는 상태로 칼머리(141)가 볼트로 결합 구성되어지므로, 모터(M)가 회동을 하게 되면 피니언기어(107)가 회동하는 방향으로 랙기어(106)의 안내를 받아서 이동몸판(130)의 상부와 하부에서 한 몸체로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드(120)는 슬라이드봉(111a)(111b)의 안내를 받으면서 그리고 칼날(140)은 컷터레일(200)의 칼날이동홈(203)의 안내를 받으면서 이동하여 연속연결 상태의 스티커원지(SP)를 절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또 상기의 스티커원지(SP)를 권취하는 권취롤러(60)는, 도 14 및 도 15 예시와 같이 원통 관상의 양쪽 단면의 내주연면에는 경사면(81)을 형성하고 또 내주연 길이방향에 걸림돌기(82)를 가진 보빈관(80)을 결합하여 스티커원지(SP)를 권취한다.
한편, 상기의 걸림돌기(82)는 부품자동정렬기(도시없음)에서 일렬로 정렬될 때 부품자동정렬기의 진동이 발생할 때 걸림돌기(82)가 하방향으로 쏠리기 때문에 자동정렬되는 시간이 단축 된다.
그리고 상기한 보빈관(80)이 한 축으로 꿰어져서 스티커원지(SP)를 권취하게 되는 권취롤러축(61)은, 도 17 예시와 같이 양쪽 단부에 접촉회전반구형부(62a)(62b)를 형성하는 한편 그 내측부에 숫나사선(63)과 단턱(64a)(64b)을 형성하고 또 숫나사선(63)과 단속축부(66)를 형성하되, 상기 숫나사선(63)에는 보빈관(80)의 숫자와 종류에 맞추어 권취롤러축(61)의 길이(간격)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단속축부(66)의 내측에는 단턱(64b)과 이 단턱(64b) 주변을 경사지게한 유입유도면(67)을 형성하며 또 상기 숫나사선(63) 안쪽으로 형성된 단턱(64a)과 단속축부(66)의 단턱(64b) 사이는 지름이 다소 큰 단면상 환봉(원형봉)을 1/3 또는 1/4로 균등분하여 등분된 위치마다 길이방향을 따라서 동일한 깊이의 장축간홈(68)을 형성하여, 적어도 10개 내외의 보빈관(80)이 한축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결합을 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되는 단속키트(90)를 구성하게 되는 것으로서, 이때의 단속키트(90)는 도 19 예시와 같이 일단부에 환턱(91)을 가진 관통상의 고정관(92)을 구성하되 적어도 4개 이상의 관통공을 형성해서 단속볼(93)을 갖게 하고 그 단부 바깥 둘레면에는 반구홈을 형성해서 단속링(94)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구성한 고정관(92)의 바깥에는 단속관(95)을 결합하게 되는데 이때의 단속관(95)은 일단부 내주연면에 환홈(96)을 형성하여 탄발작용하는 코일스프링(97)을 탄설하고 반대쪽 내주연은 바깥방향을 향해서 점차적으로 넓어져서 상기 단속볼(93)을 단속해제 하는 습동경사면(98)을 형성하여 상기의 단속축부(66)로부터 분리하거나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단속키트(90)는 고정관(92)이 단속축부(66)에 외삽되어 권취롤러축(61)에 한 축으로 꿰어진 여러개의 보빈관(80)을 고정시켜주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분해결합구로서의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이하는 상술한 공기압공급장치(40)와 권취유도장치(50) 및 권취롤러(60)와 자동절단장치(100)의 작용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권취롤러(60)는 상기한 권취롤러축(61)의 위치결정고정구(65a)(65b)를 풀거나 조여서 위치를 특정한 다음 단속축부(66)의 접촉반구형부(62b) 끝을 부품자동정렬기(도시없음)로 정렬되어 있는 여러개의 보빈관(80)에 삽입하여 일직선 한 축으로 꿰되, 길이방향을 따라 등분 형성된 장축간홈(68) 하나를 일직선으로 정렬되어 있는 보빈관(80)의 걸림돌기(82)에 일치시켜서 보빈관(80)이 권취롤러축(61)에 가득 채워지기까지 밀어 넣은 후 단속구(90)를 결합해서 끼워진 보빈관(80)을 고정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의 권취롤러(60)는 스티커원지(SP)를 롤 상태로 권취작업 수행하기 위해서 권취 작업 수행 전에 준비되는 기구이다.
상기 권취롤러(60)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긴 축 상태의 권취롤러축(61) 일단부에서 위치결정고정구(65a)(65b)로 전체의 길이가 조정되고나면 단속축부(66)를 통하여서 특정 길이(예; 55mm 또는 80mm)로 정해진 수량의 보빈관(80)이 장축간홈(68)에 걸림돌기(82)가 일치되는 상태의 일직선상으로 꿰어지고 이어서 단속축부(66)에 단속구(90)를 결합한 상태로 권취작업 준비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준비상태의 권취롤러(60)는, 감광지(카드용지 등) 또는 광고용스티커 또는 안내문용스티커 등 도 1 예시와 같이 스티커롤지(R)가 원형칼(8a)(8b)을 통과하면서 정해진 너비(폭)로 재단 가공되면서 회동하는 권취롤러축(61)에 꿰어진 8개(예시)의 보빈관(80)에 권취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의 보빈관(80)이 권취롤러축(61)에 꿰어지는 상태는 일직선 상태로 정렬되어 있는 보빈관(80)의 관통구멍을 향해서 단속축부(66)의 접촉회전반구형부(62b)를 일치시켜서 밀어 넣은 다음 단속구(90)를 단속축부(66)에 끼우게 되면 도 19 예시와 같이 보빈관(80)이 권취롤러축(61)에 꿰어진 결합상태로써, 스티커원지(SP)를 권취할 수 있는 준비단계에 있게 되는데, 이때에 단속구(90)가 단속축부(61)에 끼워져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과정은, 단속구(90)의 단속관(95)을 환턱(91)방향으로 압축하게 되면 환홈(96) 내부의 코일스프링(97)이 압축되고 동시에 습동경사면(98)이 좁은 위치에서 넓은 위치로 이동되면서 확보되는 공간에 의해 단속상태의 단속볼(93)이 단속 해제되면서 고정관(92)의 환턱(91)이 보빈관(80) 단면에 이르기까지 이동해서 정지하게 되고 이때 상기 압축하고 있던 단속관(95)에서 손을 놓게 되면 코일스프링(97)이 복원되는 탄발력으로 단속관(95)이 원위치로 이동되면서 좁아지는 습동경사면(98) 안내를 받는 단속볼(93)이 단속볼구멍(93a)으로 유입되면서 단속축부(66)의 단속구걸림홈(69)으로 끼워지게 되므로, 결국은 단속구(90)가 단속축부(66)과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이때의 보빈관(80)은 그 내경면 길이방향의 걸림돌기(82)가 장축간홈(68)에 끼워진 상태로 자유회동하지 못하는 단속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되므로, 권취롤러축(61)이 회전할 때 보빈관(80)이 헛돌지 않고 회동하면서 스티커원지(SP)를 권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의 보빈관(80)은 별도로 마련된 부품자동정렬기의 진동으로 원통에서 직선 정렬부로 이동 정렬되는 것으로서, 부품자동정렬기가 진동하게 되면 그 진동으로 동그란 관(파이프) 형태의 보빈관(80)은 결국 걸림돌기(82)를 가진 부분이 무거운 관계로 이 걸림돌기(82) 부분이 하방향으로 향하는 자동으로 정렬되고, 권취롤러축(61)은 단면상 환봉상의 +자 방향에 가진 장축간홈(68) 중 어느 하나를 상기 걸림돌기(82)와 쉽게 일치시켜서 꿸 수 있게 되므로, 보빈관(80)이 자동으로 정렬되는 시간 단축과 동시에 권취롤러축(61)과 보빈관(80)을 결합하고 분해하는 작업 시간을 혁신적으로 단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공기압공급장치(40)가 작동중인 상태에서 작업자가 권취초기단부(SP1)를 메인롤러(9b)와 지지롤러(9a)에 올려놓고 이어서 권취롤러(60)를 상기 메인롤러(9b)와 지지롤러(9a)에 올려놓여진 권취초기단부(SP1)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양면테이프(T)를 권취롤러(60)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권취롤러축(61)에 일직선 상태로 꿰어져 있는 보빈관(80) 전체 길이방향에 도 3 예시와 같이 양면테이프(T)를 점착 실시하고, 이어서 작업자는 권취초기단부(SP1)를 상기 권취롤러축(61)에 일직선 상태로 꿰어져 있는 보빈관(80) 전체 길이방향에 점착되어 있는 양면테이프(T)에 점착실시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스티커원지(SP)는 넓은 면적의 연속원지에 대략 명함크기로 제작된 스티커(S)가 열을 맞춰서 대략 8폭 또는 10폭 내외 횡방향으로 그리고 종방향으로는 연속반복해서 이어지는 것으로서 매우 큰 스티커원지롤(R)로 1차 가공 제조된 상태에서 도 1 예시와 같이 제1가이드롤러(R1)와 제1텐션롤러(R2) 그리고 또 제2가이드롤러(R3)를 비롯한 제3가이드롤러(R4)와 제4가이드롤러(R5) 및 그리고 또 제5가이드롤러(R6)를 비롯한 제2테션롤러(R7)를 통하여 한 쌍의 원형칼(8a)(8b)을 지나면서 정해진 폭으로 재단되면서 권취초기단부(SP1)가 메인롤러(9b)를 감아돌아 지지롤러(9a)사이에 올려 놓여진다.
이어서 벨트(도시없음) 연결상태의 회동축(51)이 회동하여 꺽쇠 링크(52)를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서 아암(53)의 구동축(55)에 축설된 권취안내롤러(54)가 계속 회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권취롤러(60) 상면에 밀착되고 이와 동시에 누름판(56) 끝부분의 누름판관부(57)는 권취초기단부(SP1)를 도 4, 5 예시와 같이 압압하여 권취안내롤러(54) 마찰로 회동하면서 권취롤러(60)의 보빈관(80)에 권취되는 스티커원지(SP)의 박리지(P)로부터 스티커(S)가 분리되지 않고 밀도 있는 권취상태를 돕는다.
한편, 상기 권취작동하는 권취롤러(60)의 양쪽 단부 즉, 권취롤러축(61)의 양쪽 접촉회전반구형부(62a)(62b)는 고정판(300a)(300b)의 내측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원활할 자유회동 작용을 하게 되며, 상기와 같이 회동하면서 권취롤러(60)의 보빈관(80)에 권취되는 스티커원지(SP)의 길이(양)는 내용물에 따라 약 30미터 이상 100미터 정도로 권취된다.
그리고 상기 권취되는 스티커원지(SP)의 길이는 자동으로 계산(Calclation)되어 정해진 양이 권취되고 나면 자동신호에 의해 권취작동 상태가 자동으로 정지되고 상기 정지된 상태에서는 상기 권취유동장치부(50) 역회전 원위치에서 다음 작동 준비상태에 있게 된다.
이어서 작업자는 현재 권취완료 정지 상태의 권취롤러(60)를 스티커원지(SP)가 절단되지 않은 상태로 한 쌍의 마무리롤러(10a)(10b) 위로 옮겨 놓는다.
권취완료 정지 상태의 권취롤러(60)를 상기 마무리롤러(10a)(10b) 위로 옮겨진 신호는 모터작동 신호로 전달되어 모터(M)가 작동하게 되는데, 이때의 모터(M)는 원스텝 모터로서, 상기의 권취롤러(60)가 마무리롤러(10a)(10b) 위로 옮겨질 때마다 한 차례는 시계방향으로 다음 차례는 반시계방향으로 모터축(115)이 피니언기어(107)를 회동시켜서 랙기어(106)의 안내를 받으면서 이동몸판(130) 하부의 칼날(140)을 이동시켜서 스티커원지(SP)를 절단실시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스티커원지(SP)가 권취롤러(60)에 권취 완료되고 나서 스티커원지(SP)가 절단되지 않은 상태로 한 쌍의 마무리롤러(10a)(10b) 위로 옮겨지면 이어서 모터(M)가 회동하고 상기 모터(M)가 회동하면 고정키(114)로 모터축(115)에 축설된 피니언기어(107)가 회동을 하게 되며 이렇게 회동하는 피니언기어(107)는 랙받침(103)의 피니언이동공간(101) 바닥에서 일직선 상태로 고정된 랙기어(106)를 타고 이동하게 되고 따라서 피니언기어(107)가 축설된 모터(M)와 칼날고정판(160)으로 칼날(140)이 결합 고정된 이동몸판(130)은 슬라이드(120)와 볼트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피니언기어(107)가 회동할 때 슬라이드(120)가 슬라이드봉(111a)(111b)에서 이동을 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120)와 한 몸체로 결합이 되어 있는 이동몸판(130)과 이 이동몸판(130)의 하단부에서 볼트로 고정 결합되어 있는 칼날(140)이 도 10 예시와 같이 컷테레일(200)의 칼날이동홈(203)을 따라 이동하면서 스티커원지(SP)를 절단하고 상기 절단이 완료된 상태에서 정지된다.
상기 스티커원지(SP)의 절단과정 이후에는 한 쌍의 마무리롤러(10a)(10b) 위에 권취 완성된 상태에 있는 권취롤러(60)를 작업자가 들어낸 후, 스티커원지(SP) 권취 상태의 권취롤러축(61)으로부터 단속구(90)를 상기 결합의 역순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권취롤러축(61)으로부터 두루말이(SP2) 상태의 보빈관(80)을 분리하게 되면 이로써 한 싸이클 권취작업이 완료되는 것으로서, 다음 절단이 실시될 때 상기 역순에 의한 역방향 이동으로 연속 절단작업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의 권취안내롤러(54)는 상온경화(硬化)되는 알티브이(Room temperature Vulcanization) 실리콘고무재(54')로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스티커원지(SP)가 권취롤러(60)에 권취되는 권취초기단계부터 권취완료단계에 이르기까지 박리지(P)의 코팅면(P')으로부터 스티커(S)의 점착면(S')이 들뜨거나 분리되지 않고 원활한 권취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B : 이송컨베어벨트 R : 스티커원지롤
S : 스티커 S' : 점착면
SP : 스티커원지 SP1 : 권취초기단부
SP2 : 두루말이스티커 P : 박리지
P' : 코팅면 T : 양면테이프
1 : 제1가이드롤러 2 : 제1텐션롤러
3 : 제2가이드롤러 4 : 제3가이;드롤러
5 : 제4가이드롤러 6 : 제5가이드롤러
7 : 제2텐션롤러 8a, 8b : 원형칼
9a : 지지롤러 9b : 메인롤러
10a, 10b :마무리롤러
31, 55 : 구동축 32 : 아암
33 : 핸들 34 : 자유회동축
40 : 공기압공급장치 41 : 공급관
42 : 축관부 43 : 노즐
44 : 후렌지 46 : 경사면
47 : 풍향판 50 : 권취유도장치부
51 : 회동축 52 : 링크
53 : 아암 54 : 권취안내롤러
54' : 실리콘고무재 56 : 누름판
57 : 누름판관부 60 : 권취롤러
61 : 권취롤러축 62a, 62b : 접촉회전반구형부
63 : 숫나사선 64a, 64b : 단턱
65a, 65b : 위치결정고정구 66 : 단속축부
67 : 유입유도편 68 : 장축간홈
69 : 단속구걸림홈 80 : 보빈관
81 : 유도경사면 82 : 걸림돌기
90 : 단속구 91 : 환턱
92 : 고정관 93 : 단속볼
93a : 단속볼구멍 94 : 단속링
95 : 단속관 96 : 환홈
97 : 코일스프링 98 : 경사면
100 : 자동절단장치 101 : 피니언이동공간
102 : 가이드홈 103 : 랙받침
104 : 후렌지 106 : 랙기어
107 : 피니언기어 111a, 111b : 슬라이드봉
114 : 고정키 115 : 모터축
116 : 베어링 117 : 모터브라켓
118 : 힌지핀 120 : 슬라이드
121 : 끼움홈 130 : 이동몸판
140 : 칼날 141 : 칼머리
150 : 가이드 160 : 칼날고정판
200 : 컷터레일 201 : 수직면
202 : 경사면 203 : 칼날이동홈
300a, 300b : 고정판

Claims (1)

  1. 한 쌍의 원형칼와 지지롤러 및 메인롤러를 구비하여 연속되는 박리지에 점착층을 가진 스티커가 규칙적이게 종, 횡 방향으로 연속되게 연결된 스티커원지롤을 두루말이 형태로 재단하는 스티커 재단기에 있어서,
    축관부(42)를 가진 수개의 노즐(42)이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된 공기압공급장치(40);
    점착제가 원둘레면을 실리콘고무재(54')로 구성한 권취안내롤러(54)를 구비한 권취유도장치부(50);
    장축간홈(68)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권취롤러축(61)과 보빈관(80)을 단속하는 단속구(90)를 구비한 권취롤러(60);
    상기 장축간홈(68)에 끼워져서 헛돌기를 방지하는 걸림돌기(82)가 내주연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보빈관(80);
    단면상 'V' 형의 칼날이동홈(203)이 상면 중앙 길이방향에 형성된 컷터레일(200);
    피니언이동공간(101)이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랙기어(106)가 구비되고 그 하부에는 가이드홈(102)이 형성된 랙받침(103);
    상하 수직방향에 간격을 두고 수평설치한 슬라이드봉(111a)(111b);
    상기 슬라이드봉(111a)(111b)안내를 받아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슬라이드(120);
    상기 랙기어(106)와 치합되어 안내 이동하는 피니언기어(107)를 축설한 모터(M)가 중앙에 고정 설치되며 하부 일측면에는 가이드(150)를 구비한 이동몸판(130); 및
    경첩작용할 수 있도록 힌지핀(118)으로 칼날고정판(160)이 결합되고 그 사이에 칼머리(141)가 볼트로 결합된 칼날(140)이 결합구성 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지 재단기의 자동절단장치 및 권취장치.
KR1020210095479A 2021-07-21 2021-07-21 연속지 재단기의 자동절단장치 및 권취장치 KR102513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479A KR102513895B1 (ko) 2021-07-21 2021-07-21 연속지 재단기의 자동절단장치 및 권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479A KR102513895B1 (ko) 2021-07-21 2021-07-21 연속지 재단기의 자동절단장치 및 권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4294A true KR20230014294A (ko) 2023-01-30
KR102513895B1 KR102513895B1 (ko) 2023-03-23

Family

ID=85106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5479A KR102513895B1 (ko) 2021-07-21 2021-07-21 연속지 재단기의 자동절단장치 및 권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389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6896A (ja) * 1994-08-29 1996-03-12 Tohoku Ricoh Co Ltd シート切断装置
KR200444281Y1 (ko) 2007-08-17 2009-04-24 주식회사 삼성코닉스 스티커 재단기
KR101807278B1 (ko) * 2017-08-21 2017-12-08 (주)우수메카트론 스티로폼 가공장치
KR101897518B1 (ko) * 2016-11-11 2018-09-11 주식회사 에이엠에스 고무 또는 실리콘 제품의 프레스 성형 시스템
KR102101508B1 (ko) * 2019-12-11 2020-04-16 황상현 필름 절단장치
KR102189860B1 (ko) * 2020-08-07 2020-12-14 (주) 대화라벨앤택스 의류용 라벨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6896A (ja) * 1994-08-29 1996-03-12 Tohoku Ricoh Co Ltd シート切断装置
KR200444281Y1 (ko) 2007-08-17 2009-04-24 주식회사 삼성코닉스 스티커 재단기
KR101897518B1 (ko) * 2016-11-11 2018-09-11 주식회사 에이엠에스 고무 또는 실리콘 제품의 프레스 성형 시스템
KR101807278B1 (ko) * 2017-08-21 2017-12-08 (주)우수메카트론 스티로폼 가공장치
KR102101508B1 (ko) * 2019-12-11 2020-04-16 황상현 필름 절단장치
KR102189860B1 (ko) * 2020-08-07 2020-12-14 (주) 대화라벨앤택스 의류용 라벨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3895B1 (ko) 2023-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92403A (en) Apparatus for replacing cores and severing webs in high-speed multiple winding machines
JP3434862B2 (ja) 連続供給ウェブ材料を多数の巻取りコア上に巻き取る方法及び装置
JPH01127548A (ja) 巻取紙の端末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WO2008047546A1 (fr) Dispositif d'enroulement de film automatique, système de refendage et d'enroulement et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film enroulé
GB2125774A (en) Web splicing apparatus
JP2930718B2 (ja) 紙又はカートンから成る帯状材料を巻取りスリーブに巻き取るための巻き取り機
CN209973905U (zh) 一种薄膜分切机
IT8322829A1 (it) Apparecchiatura e procedimento per la manipolazione di materiale tipo tessuto
GB1569886A (en) Splicing webs of sheet material
CA2489281A1 (en) An apparatus for forming a roll of contaminant removal tape and methods of forming rolls of contaminant removal tape
KR102513895B1 (ko) 연속지 재단기의 자동절단장치 및 권취장치
JP5148897B2 (ja) 支持装置及びラベル貼付装置
US4572452A (en) Apparatus for slitting and winding tape
JP2019532886A (ja) 巻取り終わりにストリップを横方向に切断する手段を備えたウェブ材料のストリップ巻取り装置及び方法
JPH08259062A (ja) ウェブ材の巻き戻し装置及びその装填方法
CN210619661U (zh) 不停机定位拼接纸张调整定位装置
US10518494B2 (en) Bleeder cord affixing device and method
JP2565658Y2 (ja) ウエブロール製造機におけるウエブ切断装置
JP2000326942A (ja) ラベル貼付装置
US6554220B2 (en) Device for joining the trailing edge of a reel of paper about to finish to the leading edge of a new reel
JP3360903B2 (ja) 用紙巻き取り装置
JP3586582B2 (ja) ウェブ継ぎ装置及び継ぎウェブ生成方法
JP2001341905A (ja) シート巻取装置
US7278602B2 (en) Apparatus for winding up a web in rolls and a method for cutting off a length of the web
KR20170035878A (ko) 톰슨 프레스장치의 가공된 라벨 스티커 원단 인출부의 파지 제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