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4027A - 현장 실사 기반 생산물 이력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현장 실사 기반 생산물 이력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4027A
KR20230014027A KR1020210105503A KR20210105503A KR20230014027A KR 20230014027 A KR20230014027 A KR 20230014027A KR 1020210105503 A KR1020210105503 A KR 1020210105503A KR 20210105503 A KR20210105503 A KR 20210105503A KR 20230014027 A KR20230014027 A KR 20230014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oduct
logistics
base
pro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5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2359B1 (ko
Inventor
박문관
Original Assignee
박문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문관 filed Critical 박문관
Priority to CN202280051164.X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7999568A/zh
Priority to EP22846070.5A priority patent/EP4375909A1/en
Priority to PCT/KR2022/009250 priority patent/WO2023003198A1/ko
Publication of KR20230014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4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2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2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현장 실사 기반 생산물 이력 관리 방법이 개시된다. 이 방법은 생산 거점에 실사 방문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이 생산물 정보와 생산 거점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원산지 정보 제공 단계, 관리 서버가 수신된 생산물 정보를 통해 확인된 생산물에 고유의 생산물 코드를 부여하는 코드 부여 단계, 및 관리 서버가 생산물 코드와 생산물 정보 및 생산 거점 정보를 매핑 등록하는 이력 생성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현장 실사 기반 생산물 이력 관리 방법{Method for managing product history by surveying on the spot}
본 발명은 생산물 이력 관리를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식품 이력 관리 시스템은 식품의 이력을 추적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식품을 제조하고 가공하는 단계부터 판매하는 단계까지 각 단계별로 이력 추적 정보를 기록하고 관리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한다. 이를 통해, 안전한 식품 선택을 위한 소비자의 알권리를 보장하고, 식품 안정성 등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신속한 유통차단과 회수조치가 가능해진다. 하지만 중국산 김치가 국내산으로 둔갑하는 등 원산지 표시가 조작되는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즉, 생산물의 생산지와 관련된 조작 가능성으로 인해 생산물 이력 추적에 대한 신뢰도는 떨어질 수밖에 없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049999호 (2011년 7월 19일 공고)
본 발명은 신뢰할 수 있는 생산물 이력 추적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방안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일 양상에 따른 현장 실사 기반 생산물 이력 관리 방법은 생산 거점에 실사 방문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이 생산물 정보와 생산 거점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원산지 정보 제공 단계, 관리 서버가 수신된 생산물 정보를 통해 확인된 생산물에 고유의 생산물 코드를 부여하는 코드 부여 단계, 및 관리 서버가 생산물 코드와 생산물 정보 및 생산 거점 정보를 매핑 등록하는 이력 생성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현장 실사에 기반하여 생산물 이력 정보를 등록하고 갱신 관리하므로, 생산물을 구입 예정이거나 이미 구입한 소비자나 사용자 등의 요청자에게 신뢰할 수 있는 이력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창출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실사 기반 생산물 이력 관리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 및 관리 서버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실사 기반 생산물 이력 관리를 위한 모바일 단말의 처리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S110의 구체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S120의 구체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실사 기반 생산물 이력 관리를 위한 관리 서버의 처리 흐름도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실사 기반 생산물 이력 관리 시스템 블록도이다. 모바일 단말(100)은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는 통신 가능한 컴퓨팅 디바이스로서, 스마트폰을 예로 들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0)에는 현장 실사 기반 생산물 이력 관리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이하 “실사 관리 앱”이라 한다)(200)이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생산물 이력 관리를 위해 생산 거점과 물류 거점(들)인 현장에 방문하여 실사를 행하는 자를 말한다. 한 사용자가 모든 현장을 방문하여 실사를 행할 수도 있고, 둘 이상의 사용자가 방문할 현장을 할당받아 실사를 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참고로, 물류 거점은 생산물의 단순 유통만을 위한 거점일 수도 있고, 생산물에 대한 가공 등도 이루어지는 거점일 수도 있다.
관리 서버(300)는 하나 이상의 서버용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서버 시스템으로서, 윈도우 계열 운영체제나 MacOS, 자바, 유닉스(UNIX) 또는 리눅스(LINUX)를 포함하거나 이에 포함되지 않은 다양한 운영체제 하에서 운영될 수 있다. 이 같은 관리 서버(300)는 생산물 이력 관리를 위해 모바일 단말(100)과 데이터 통신하는데, 구체적으로 실사 관리 앱(200)과의 연동을 통해 생산물 이력을 관리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 및 관리 서버 블록도이다. 모바일 단말(100)은 메모리(110)와 카메라(120)와 디스플레이(130)와 통신부(140)와 GPS 수신부(150) 및 단말 제어부(160) 중에서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다. 메모리(110)에는 모바일 단말(100)의 운용을 위한 데이터, 프로그램 등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실사 관리 앱(200)도 프로그램 코드 형태로 기록되어 관리될 수 있다. 카메라(120)는 바코드나 QR 코드 등과 같은 시각적 코드를 촬영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사용자로 하여금 실사 관리 앱(200)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구성으로서, 터치 패널과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자로의 출력을 물론 사용자로부터의 입력도 받아들일 수 있다. 통신부(140)는 관리 서버(3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사용되는 트랜시버이며, GPS 수신부(15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이다.
단말 제어부(160)는 모바일 단말(100)의 전반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단말 제어부(160)는 메모리(110)에 저장된 실사 관리 앱(200)을 로딩하여 실행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실사 관리 앱(200)은 현장 실사 기반 생산물 이력 관리를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실사 관리 앱(200)은 모바일 단말(100)에 구성된 특정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자원에 대해서는 제한적으로 접근 권한이 부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사 관리 앱(200)은 기본적으로 GPS 수신부(150)에 대한 접근은 허용되지 않으나 바코드나 QR 코드와 같은 시각적 코드의 스캔이 이루어진 경우에 한하여 GPS 수신부(150)에 대한 접근이 허용되는 것이다.
관리 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310)와 서버 제어부(320)를 포함하며, 도 2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통신 모듈 등의 서버의 필수적 기본 구성들도 모두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310)에는 생산물별로 이력 정보가 저장되어 관리된다. 그리고 서버 제어부(320)는 하드웨어적으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실사 관리 앱(200)과 연동하여 현장 실사 기반 생산물 이력 관리를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실사 기반 생산물 이력 관리를 위한 모바일 단말의 처리 흐름도이다. 우선, 사용자(실사 담당자)는 생산 거점이나 물류 거점을 방문하여 생산물의 생산 거점(원산지, 생산지)이나 물류 거점(물류지)을 직접 확인한다. 즉, 사용자는 생산물의 이력 추적에 대한 신뢰성 보장을 위해 현장 방문하여 실사 확인하는 것이다. 그리고 모바일 단말(100)의 실사 관리 앱(200)은 사용자가 현장에 위치해 있는 중에 S110 또는 S120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실사 관리 앱(200)은 사용자에게 최초 실사인지 아닌지에 대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130) 등을 통해 질의하여 확인받으며(S100), 그 확인 결과에 따라 S110 또는 S120을 수행한다. 여기서, 최초 실사라 함은 동일한 생산물에 대한 최초 실사를 의미하는 것으로, 생산 거점인 원산지를 현장 방문하여 행하는 실사를 말한다. 그리고 비최초 실사는 유통이 이루어진 생산물에 대한 실사를 의미하는 것으로, 물류 거점인 물류지를 현장 방문하여 행하는 실사를 말한다. 즉, S100은 사용자에게 실사 방문 장소가 생산 거점인지 아니면 물류 거점인지를 질의하여 확인받는 단계이다.
실사 관리 앱(200)은 S100에서 최초 실사로 확인될 경우에는 사용자가 원산지에 방문하여 실사를 행한 것으로 보고 원산지 정보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는 원산지 정보 제공 단계(S110)를 수행하며, S100에서 최초 실사가 아닌 것으로 확인될 경우에는 사용자가 물류지에 방문하여 실사를 행한 것으로 보고 물류지 정보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는 물류지 정보 제공 단계(S120)를 수행한다. 원산지 정보 제공 단계(S110)를 통해 관리 서버(300)로 전송되는 원산지 정보에는 생산물 정보와 생산 거점 정보가 포함된다. 생산물 정보에는 생산물명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생산 거점 정보에는 원산지 위치 데이터(생산 위치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생산물 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아니면 생산물 정보는 생산 거점 정보와 함께 획득될 수도 있다. 그리고 물류지 정보 제공 단계(S120)를 통해 관리 서버(300)로 전송되는 물류지 정보에는 생산물 코드와 물류 거점 정보가 포함된다. 생산물 코드는 생산물에 고유하게 부여된 코드이며, 물류 거점 정보에는 물류지명 및/또는 물류지 위치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생산물 코드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S110의 구체 흐름도이다. 먼저, 실사 관리 앱(200)은 사용자 조작에 따라 카메라(120)로 촬영된 시각적 코드(예를 들어, QR 코드)를 스캔하여 생산 위치 데이터를 획득한다(S111). 여기서, 시각적 코드는 사전에 생산 거점에 마련된 것으로, 생산 공장 내의 벽면 등에 마련(인쇄 또는 스티커 형태로 부착 등)되어 있거나 생산물을 생산하는데 필수적인 고정 장비 등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같은 시각적 코드에는 생산물의 원산지 인증을 위해 생산 거점의 위치를 나타내는 생산 위치 데이터가 담겨 있는데, 생산 위치 데이터는 위도와 경도를 나타내는 위치 좌표 데이터일 수 있다.
실사 관리 앱(200)은 모바일 단말(100)의 위치 데이터를 획득한다(S112). S112에서 실사 관리 앱(200)은 GPS 수신부(150)를 이용해 GPS 위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즉, S112에서 획득되는 단말 위치 데이터는 GPS 위치 데이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실사 관리 앱(200)은 시각적 코드 스캔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한하여 GPS 수신부(150)에 액세스하여 GPS 위치 데이터를 획득한다. 이때, GPS 수신부(150)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활성화 상태이거나 비활성화 상태일 수 있는데, 비활성화 상태일 경우 실사 관리 앱(200)은 일시적으로 GPS 수신부(150)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켜 GPS 위치 데이터를 획득한 후에 다시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부연하면, 실사 관리 앱(200)은 시각적 코드가 스캔되는 시점에 한하여 GPS 수신부(150)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키는 권한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권한은 사전에 사용자에 의해 부여될 수 있다.
실사 관리 앱(200)은 S112에서 획득된 GPS 위치 데이터와 S111에서 획득된 생산 위치 데이터를 비교하여 GPS 위치의 오차 범위 내에 생산 위치가 속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3). S113을 통해 GPS 위치의 오차 범위 내에 생산 위치가 속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실사 관리 앱(200)은 사용자가 실사를 위한 생산 현장에 정확히 방문한 것으로 인증한다(S114). 즉, 사용자의 실사 위치가 정상인 것으로 인증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실사 관리 앱(200)은 원산지 정보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S115). 원산지 정보에는 생산물 정보(예를 들어, 생산물명)와 생산 거점 정보가 포함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실사 관리 앱(200)은 S114가 이루어지면 사용자에게 생산물명을 입력할 것을 요청하여 입력받는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실사 관리 앱()은 S111에서 생산 위치 데이터뿐만 아니라 생산물명도 획득한다. 즉, 시각적 코드를 스캔하여 그로부터 생산 위치 데이터와 생산물 정보를 모두 획득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생산 거점 정보에는 S111에서 획득된 생산 위치 데이터가 포함되거나 S112에서 획득된 단말 위치 데이터가 포함될 수도 있고, 둘 모두가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원산지 정보에는 실사 시간 정보도 포함될 수 있는데, 그 실사 시간은 S114를 통해 사용자 실사 위치가 정상으로 인증된 시간일 수 있다.
추가로, 실사 관리 앱(200)은 S115에서 사용자 식별을 위한 고유 식별자를 원산지 정보와 함께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고유 식별자는 모바일 단말(100)에 고유하게 부여된 식별자(단말 ID)일 수 있다. 한편, S113에서 생산 위치가 GPS 위치의 오차 범위를 벗어나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실사 관리 앱(200)은 인증에 실패한 것으로 처리한다(S116). 이 경우, 실사 관리 앱(200)은 관리 서버(300)로 인증 실패 사실을 보고할 수 있다.
이상에 따르면, 원산지 인증을 위한 시각적 코드가 생산 거점이 아닌 다른 장소에 마련되어 있을 경우에 인증은 실패할 수밖에 없으므로, 사용자의 현장 실사 방문이 정확히 체크될 수 있다. 또한, 비콘과 같은 근거리 통신 자원의 구축도 필요 없으며, 지속적인 GPS 위치 추적도 필요 없으므로 모바일 단말(100)의 GPS 자원 사용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S120의 구체 흐름도이다. 먼저, 실사 관리 앱(200)은 사용자 조작에 따라 카메라(120)로 촬영된 시각적 코드(예를 들어, QR 코드)를 스캔하여 생산 위치 데이터를 획득한다(S111). 여기서, 시각적 코드는 사전에 물류 거점에 마련된 것으로, 시각적 코드에는 물류 거점의 위치를 나타내는 물류 위치 데이터가 담겨 있으며, 이 역시 위도와 경도를 나타내는 위치 좌표 데이터일 수 있다.
실사 관리 앱(200)은 모바일 단말(100)의 위치 데이터를 획득한다(S122). S122에서 실사 관리 앱(200)은 GPS 수신부(150)를 이용해 GPS 위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즉, S122에서 획득되는 단말 위치 데이터는 GPS 위치 데이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실사 관리 앱(200)은 시각적 코드 스캔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한하여 GPS 수신부(150)에 액세스하여 GPS 위치 데이터를 획득한다. 이때, GPS 수신부(150)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활성화 상태이거나 비활성화 상태일 수 있는데, 비활성화 상태일 경우 실사 관리 앱(200)은 일시적으로 GPS 수신부(150)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켜 GPS 위치 데이터를 획득한 후에 다시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실사 관리 앱(200)은 S122에서 획득된 GPS 위치 데이터와 S121에서 획득된 물류 위치 데이터를 비교하여 GPS 위치의 오차 범위 내에 물류 위치가 속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3). S123을 통해 GPS 위치의 오차 범위 내에 물류 위치가 속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실사 관리 앱(200)은 사용자가 실사를 위한 물류 현장에 정확히 방문한 것으로 인증한다(S124). 인증에 성공하면, 실사 관리 앱(200)은 물류지 정보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S125). 물류지 정보에는 생산물 코드와 물류 거점 정보가 포함되며, 물류 거점 정보에는 S121에서 획득된 물류 위치 데이터 및/또는 S122에서 획득된 단말 위치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물류지 정보에는 실사 시간 정보도 포함될 수 있는데, 그 실사 시간은 S124를 통해 사용자 실사 위치가 정상으로 인증된 시간일 수 있다.
물류지 정보에 포함된 생산물 코드는 생산물을 식별하기 위해 부여된 일련번호 등의 고유 코드를 말하는 것으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사 관리 앱(200)은 사용자 실사 위치가 정상 인증되면 사용자에게 생산물 코드를 요청하여 입력받는 것이다. 다른 예로, 생산물에는 생산물 코드가 바코드 등의 형태로 인쇄되어 있으며, 실사 관리 앱(200)은 S214가 수행된 다음에 바코드를 스캔하여 생산물 코드를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같이 생산물 코드가 입력되거나 획득되면, 실사 관리 앱(200)은 물류지 정보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게 된다. 한편, S123에서 생산 위치가 GPS 위치의 오차 범위를 벗어나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실사 관리 앱(200)은 인증에 실패한 것으로 처리한다(S126). 이때, 실사 관리 앱(200)은 관리 서버(300)로 인증 실패 사실을 보고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실사 기반 생산물 이력 관리를 위한 관리 서버의 처리 흐름도이다. 관리 서버(300)의 서버 제어부(320)는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거점 정보를 수신한다. 거점 정보는 원산지 정보이거나 물류지 정보이다. 원산지 정보에는 생산물 코드가 존재하지 않으며, 물류지 정보에는 생산물 코드가 존재하므로 수신된 거점 정보가 원산지 정보인지 아니면 물류지 정보인지는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서버 제어부(320)가 원산지 정보를 수신한 경우 해당 생산물에 부여할 고유의 생산물 코드를 생성한다(S200)(S210). 생성된 생산물 코드는 해당 사용자의 실사 관리 앱(200)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사용자를 통해 원산지 관리자에게 제공되어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나 원산지 관리자는 생산물 코드를 스티커 등의 형태로 생산물에 부착하여 이력 관리를 위해 이용되도록 하는 것이다.
서버 제어부(320)는 생성된 생산물 코드와 수신된 원산지 정보를 매핑시켜 생산물 이력 정보로서 데이터베이스(310)에 등록한다(S220). 이때, 서버 제어부(320)는 원산지 정보에 포함된 생산 거점 정보가 위치 데이터일 경우에는 해당 위치의 장소명 정보로 변환한 후에 데이터베이스(310)에 등록할 수 있다. 즉, 생산 거점 정보의 위치 데이터를 원산지명으로 바꿔 데이터베이스(310)에 등록하는 것이다.
이후, 서버 제어부(320)가 물류지 정보를 수신한 경우 그 수신된 물류지 정보를 가지고 데이터베이스(310)에 등록되어 있는 해당 생산물 이력 정보를 갱신한다(S230)(S240). 구체적으로, 서버 제어부(320)는 수신된 물류지 정보의 생산물 코드를 가지고 데이터베이스(310)에서 해당 생산물 이력 정보를 검색하며, 검색된 생산물 이력 정보에 물류지 정보에 속한 나머지 정보를 추가 등록하는 것이다. 이때, 서버 제어부(320)는 물류지 정보에 속한 물류 거점 정보가 위치 데이터일 경우에는 해당 위치의 장소명 정보로 변환한 후에 추가 등록할 수 있다. 즉, 물류 거점 정보의 위치 데이터를 물류지명으로 바꿔 추가 등록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서버 제어부(320)는 사용자가 실사 방문한 물류 거점이 최종 물류 거점인지 아닌지를 확인한다(S250). 최종 물류 거점에 대한 정보는 사전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관리될 수 있으며, 이에 서버 제어부(320)는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물류지 정보에 속한 물류 거점 정보를 확인하고 그 확인된 물류 거점이 최종 물류 거점인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최종 물류 거점이 아닐 경우에는 생산물이 최종 물류 거점으로 운송될 때까지 상술한 S230과 S240이 반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서버 제어부(320)는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원산지 정보와 함께 고유 식별자(예를 들어, 단말 ID)를 수신한 경우에 그 수신된 고유 식별자로 사용자를 인증하며, 인증에 성공한 경우에 한하여 S210을 수행한다. 즉, 해당 거점에 대해 실사 권한을 할당받은 사용자가 맞는지를 인증한 후에 생산물 이력 정보의 등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서버 제어부(320)는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물류지 정보와 함께 고유 식별자를 수신한 경우에도 사용자 인증 절차를 수행하여 S240의 수행 여부가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소비자 등은 온라인 상에서 생산물 코드를 가지고 데이터베이스(310)에 기록된 해당 생산물의 이력을 조회하여 원산지와 유통 경로를 확인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모바일 단말 110 : 메모리
120 : 카메라 130 : 디스플레이
140 : 통신부 150 : GPS 수신부
160 : 단말 제어부 200 : 실사 관리 앱
300 : 관리 서버 310 : 데이터베이스
320 : 서버 제어부

Claims (7)

  1. 생산 거점에 실사 방문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은 생산물 정보와 생산 거점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원산지 정보 제공 단계;
    관리 서버는 수신된 생산물 정보를 통해 확인된 생산물에 고유의 생산물 코드를 부여하는 코드 부여 단계; 및
    관리 서버는 생산물 코드와 생산물 정보 및 생산 거점 정보를 매핑 등록하는 이력 생성 단계;
    를 포함하는 현장 실사 기반 생산물 이력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원산지 정보 제공 단계는 :
    생산 거점에 마련된 시각적 코드를 스캔하여 얻어진 코드 데이터로부터 생산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모바일 단말의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생산 위치 데이터와 단말 위치 데이터를 비교하여 단말 위치의 오차 범위 내에 생산 위치가 속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 생산 위치가 단말 위치의 오차 범위 내에 속하면 사용자가 생산물 이력 관리를 위해 생산 거점에 실사 방문한 것이 인증되어 생산물 정보와 생산 거점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현장 실사 기반 생산물 이력 관리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단말 위치 데이터 획득 단계는 생산 위치 데이터가 획득된 시점에 자동으로 수행되는 현장 실사 기반 생산물 이력 관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물류 거점에 실사 방문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은 생산물 코드와 물류 거점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물류지 정보 제공 단계; 및
    관리 서버는 수신된 물류 거점 정보로 파악된 물류지 정보를 해당 생산물 코드에 추가 매핑 등록하는 이력 갱신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현장 실사 기반 생산물 이력 관리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물류 거점에 마련된 시각적 코드를 스캔하여 얻어진 코드 데이터로부터 물류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물류 위치 데이터가 획득되면 모바일 단말의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물류 위치 데이터와 단말 위치 데이터를 비교하여 단말 위치의 오차 범위 내에 물류 위치가 속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 물류 위치가 단말 위치의 오차 범위 내에 속하면 사용자의 실사 방문이 인증되어 생산물 코드와 물류 거점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현장 실사 기반 생산물 이력 관리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물류지 정보 제공 단계와 이력 갱신 단계는 물류 거점별로 사용자의 실사 방문이 이루어질 시마다 반복되는 현장 실사 기반 생산물 이력 관리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은 사용자에게 실사 방문 장소가 생산 거점인지 아니면 물류 거점인지 질의하여 확인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응답 결과 실사 방문 장소가 생산 거점일 경우에는 원산지 정보 제공 단계가 수행되며, 물류 거점일 경우에는 물류지 정보 제공 단계가 수행되는 현장 실사 기반 생산물 이력 관리 방법.
KR1020210105503A 2021-07-20 2021-08-10 현장 실사 기반 생산물 이력 관리 방법 KR102622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280051164.XA CN117999568A (zh) 2021-07-20 2022-06-28 基于现场实地调查的产品历史数据管理方法
EP22846070.5A EP4375909A1 (en) 2021-07-20 2022-06-28 Site inspection-based product history management method
PCT/KR2022/009250 WO2023003198A1 (ko) 2021-07-20 2022-06-28 현장 실사 기반 생산물 이력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95211 2021-07-20
KR1020210095211 2021-07-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4027A true KR20230014027A (ko) 2023-01-27
KR102622359B1 KR102622359B1 (ko) 2024-01-09

Family

ID=85101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5503A KR102622359B1 (ko) 2021-07-20 2021-08-10 현장 실사 기반 생산물 이력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235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999B1 (ko) 2009-02-24 2011-07-19 이주한 소비자 추적 방법 및 장치
KR20130012713A (ko) * 2011-07-26 2013-02-0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위치 기반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증 방법
KR20160052516A (ko) * 2016-04-27 2016-05-12 설완석 생산물 통합 관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2018116461A (ja) * 2017-01-18 2018-07-26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現場訪問登録方法
KR20200100373A (ko) * 2019-02-18 2020-08-26 박선민 IoT 기반의 농수축산물 실시간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999B1 (ko) 2009-02-24 2011-07-19 이주한 소비자 추적 방법 및 장치
KR20130012713A (ko) * 2011-07-26 2013-02-0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위치 기반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증 방법
KR20160052516A (ko) * 2016-04-27 2016-05-12 설완석 생산물 통합 관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2018116461A (ja) * 2017-01-18 2018-07-26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現場訪問登録方法
KR20200100373A (ko) * 2019-02-18 2020-08-26 박선민 IoT 기반의 농수축산물 실시간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2359B1 (ko) 2024-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5542B2 (en) Service delivery method and system
US11651640B2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equipment monitoring and access control
US20110053614A1 (en) Position information system
CN102984155A (zh) 用于处理位置信息访问请求的方法
US2018001847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conditional access to indoor location information
US10433101B2 (en) Location services in an obfuscated wireless network
US20070162597A1 (en) Service notification system
CN104598528A (zh) 一种交通信息的查询方法、装置和系统
CN103685176A (zh) 终端设备、设备管理服务器以及连接建立方法
JP2018125572A (ja) 位置検知システム、そのサーバ装置、携帯端末
US11651328B2 (en) Delivery verification
KR20140142815A (ko) Gps를 통한 위치정보기반 시스템 및 그 이용한 위치 알림서비스 방법
KR101625298B1 (ko) 정보 관리 장치, 단말기 및 정보 관리 시스템
US1148068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everaging global positioning repeaters to locate devices and to obfuscate device location
KR20230014027A (ko) 현장 실사 기반 생산물 이력 관리 방법
WO2023003198A1 (ko) 현장 실사 기반 생산물 이력 관리 방법
KR101718975B1 (ko) 무선 태그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방법, 이를 제공하는 단말 측위 장치 및 응용 서비스 장치
KR20150094544A (ko) 인증처리 시스템
CN117999568A (zh) 基于现场实地调查的产品历史数据管理方法
KR20030090681A (ko) 무선 통신서비스 이용 희망자의 가입신청 접수방법
KR101996006B1 (ko) 사용자 위치 인증 시스템
KR102273738B1 (ko) 무인 서비스용 회원 자동 로그인 시스템
US11250403B2 (en) ID-POS information generation server,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D-POS information gener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20150026193A (ko) 사용자 위치기반 실시간 질의응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08573311B (zh) 位置信息管理装置以及位置信息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