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2713A - 위치 기반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증 방법 - Google Patents

위치 기반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2713A
KR20130012713A KR1020110074038A KR20110074038A KR20130012713A KR 20130012713 A KR20130012713 A KR 20130012713A KR 1020110074038 A KR1020110074038 A KR 1020110074038A KR 20110074038 A KR20110074038 A KR 20110074038A KR 20130012713 A KR20130012713 A KR 20130012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loc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consumer terminal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4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택진
이석
우덕하
전영민
김재헌
이혁재
이성춘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074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2713A/ko
Publication of KR20130012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27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 기반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비자로부터 제품에 대한 인증 요청이 수신되면 소비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소비자 단말의 제 3 위치 정보, 해당 제품의 제 2 고유 정보 및 제 2 위치 정보와, 인증 서버에 저장된 제품의 제 1 고유 정보 및 제 1 위치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해당 제품을 인증함으로써 위조된 제품의 유통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이를 통해 소비자가 불법적으로 위조된 제품을 구매하여 발생될 수 있는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위치 기반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암호화 시스템을 이용한 인증 방법은, 제품의 제 1 고유 정보 및 제 1 위치 정보를 암호화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소비자 단말을 통해 제품의 제 2 고유정보 및 제 2 위치정보와, 상기 소비자 단말의 제 3 위치 정보를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받아 상기 제품의 인증을 요청받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상기 제품의 제 1 고유정보 및 제 1 위치정보를 복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복호화된 제품의 제 1 고유정보 및 제 1 위치정보와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품의 제 2 고유정보 및 제 2 위치정보와 상기 소비자 단말의 제 3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품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위치 기반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증 방법{Authentication system base on location and the authentication method f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위치 기반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비자로부터 제품에 대한 인증 요청이 수신되면 소비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소비자 단말의 제 3 위치 정보, 해당 제품의 제 2 고유 정보 및 제 2 위치 정보와, 인증 서버에 저장된 제품의 제 1 고유 정보 및 제 1 위치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해당 제품을 인증함으로써 위조된 제품의 유통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이를 통해 소비자가 불법적으로 위조된 제품을 구매하여 발생될 수 있는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위치 기반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증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대부분의 제품들에는 해당 제품에 대한 고유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바코드, QR코드, RFID 태그 등의 인식표가 인쇄 또는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인식표에는 제조일자, 제조사, 일련번호, 가격 등의 제품 고유 정보가 저장되어 있어, 제품의 재고 파악 등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 폰 등을 이용하여 소비자가 제품에 인쇄되어 있는 QR 코드 등을 스캔하여 해당 제품의 제조사 서버에 전송하면 해당 제품에 대한 정보나 이벤트 정보 등을 알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인식표에는 방법은 단순히 제품에 대한 간단한 정보만을 제공하고 있을 뿐, 해당 제품의 진위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는 제공하고 있지 않아 소비자가 이를 통해 제품의 진위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이러한 인식표는 불법으로 위조되기 쉽기 때문에 정품에 해당하는 제품에 대한 정보를 복사하여 위조된 제품에 부착 또는 인쇄하는 경우, 소비자들은 이를 인식하지 못하고 위조된 제품을 구매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 피해를 입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품의 생산 및 유통에 관련된 고유 정보를 서버에 누적하여 저장하되, 해당 제품의 제 1 위치 정보를 암호화 키로 이용하여 제품의 제 1 고유 정보 및 제 1 위치 정보를 암호화하여 서버에 저장하고, 소비자의 단말을 통해 제품에 대한 인증이 요청되면, 소비자의 단말의 제 3 위치 정보를 복호화 키로 이용하여 암호화된 제품의 제 1 고유 정보 및 제 1 위치 정보를 복호화한 후 상기 복호화된 제품의 제 1 고유 정보 및 제 1 위치 정보와 상기 소비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품의 제 2 고유 정보와 제 2 위치 정보 및 상기 소비자 단말의 제 3 위치 정보를 상호 비교한 인증 결과를 소비자 단말로 전송해 줌으로써 보다 신뢰성이 있는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여 불법적인 위조품으로부터 소비자를 보호할 수 있는 위치 기반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증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인증 시스템은, 소비자 단말로부터 제품에 구비된 인식표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품의 진위 여부를 인증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제조사 및 유통사 서버로부터 제품의 제 1 고유 정보 및 제 1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소비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품의 제 2 고유 정보 및 제 2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동시에 상기 소비자 단말의 제 3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상기 제품의 제 1 위치 정보를 암호화 키로 이용하여 상기 제품의 제 1 고유 정보 및 제 1 위치 정보를 암호화하는 암호화 모듈과; 상기 암호화 모듈에서 암호화된 상기 제품의 제 1 고유 정보 및 제 1 위치 정보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소비자 단말로부터 제품의 인증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소비자 단말의 제 3 위치 정보를 복호화 키로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제품의 제 1 고유 정보 및 제 1 위치 정보를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된 제품의 제 1 고유 정보 및 제 1 위치 정보와 상기 소비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품의 제 2 고유 정보와 제 2 위치 정보 및 상기 소비자 단말의 제 3 위치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상기 제품의 진위를 판단하는 인증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암호화 시스템을 이용한 인증 방법은, 제품의 제 1 고유 정보 및 제 1 위치 정보를 암호화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소비자 단말을 통해 수신받은 제품의 제 2 고유정보 및 제 2 위치정보와, 상기 소비자 단말의 제 3 위치 정보를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받아 상기 제품의 인증을 요청받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상기 제품의 제 1 고유정보 및 제 1 위치정보를 복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복호화된 제품의 제 1 고유정보 및 제 1 위치정보와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소비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품의 제 2 고유정보 및 제 2 위치정보와 상기 소비자 단말의 제 3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품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암호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증 방법은, 제품의 제 1 고유 정보 및 제 1 위치 정보를 암호화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제품의 인증이 요청되는 경우 소비자 단말을 통해 전송되는 소비자 단말의 제 3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제품의 제 1 고유 정보 및 제 1 위치정보를 복호화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품의 제 1 고유 정보 및 제 1 위치 정보와 소비자 단말을 통해 전송되는 제품의 제 2 고유 정보 및 제 2 위치 정보, 그리고 소비자 단말의 제 3 위치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해당 제품의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소비자에게 보다 신뢰성 있는 인증 결과를 제공할 수 있어, 불법적으로 위조된 제품의 유통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이를 구매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소비자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암호화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증 서버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암호화 시스템을 이용한 인증 방법을 이용하여 제품을 인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해 데이터베이스에 누적 저장되는 제품의 유통 경로와 소비자 단말을 통해 전송되는 정보를 비교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제 1 고유 정보는, 제조사 및 유통사 서버에서 인증서버로 자동 혹은 수동으로 입력하거나 전송한 제품의 제조일자, 제조사, 일련번호, 가격 등과 같은 제품의 고유 정보를 말한다.
제 1 위치 정보는, 제조사 및 유통사 서버에서 인증서버로 자동 혹은 수동으로 입력하거나 전송한 제품의 이동경로에 따른 위치 정보를 말한다.
제 2 고유 정보는, 사용자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RFID 태그, 바-코드, QR코드 등에 저장된 제품의 제조일자, 제조사, 일련번호, 가격 등과 같은 수집 정보를 말하며, 단말기의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인증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제 2 위치 정보는, 사용자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RFID 태그, 바-코드, QR코드 등에 저장된 제품의 이동경로에 따라 수집하는 위치 정보를 말하며, 단말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인증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제 3 위치 정보는, 이동통신사나 이와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를 통해 획득할 수 있는 단말기 자체의 현재 위치를 말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암호화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증 서버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암호화 시스템은, 제조사 서버(100), 유통사 서버(200), 소비자 단말(300) 및 인증서버(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들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400)에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제조사 서버(100)는 생산된 제품의 고유 정보, 즉 생산년월일, 제품의 일련번호, 생산공장, 생산 담당자, 유통기간 등의 정보를 인증 서버(500)에 전송한다. 이때, 제품에는 이와 같은 제품의 고유 정보가 저장된 인식표가 인쇄 또는 부착되어 있고, 인식표는 RFID 태그(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Tag), 바-코드(bar-code), QR 코드(Quick Response code) 등이 될 수 있으며, 제조사 서버(100)에는 이와 같은 인식표로부터 제품의 고유 정보를 독취할 수 있는 판독수단(미도시)가 연결되어 있다.
유통사 서버(200)은 제품이 생산된 이후 물류창고, 도매업소, 소매업소 등에 구비되어, 제품에 인쇄 또는 부착되어 있는 인식표로부터 제품 정보를 독취하기 위한 판독수단(미도시)이 연결되어 있으며, 판독수단을 통해 독취된 제품의 고유 정보를 인증 서버(500)로 전송한다.
상기 제조사 서버(100)와 유통사 서버(200)는 제품의 제 1 고유 정보와 함께 해당 제품이 현재 존재하는 제 1 위치 정보를 인증 서버(500)로 함께 전송하게 되며, 제품의 현재 위치 정보는 작업자에 의해 제조사 서버(100) 및 유통사 서버(200)에 구비되는 입력장치를 통해 직접 입력될 수도 있으나, 통신망에 연결된 제조사 서버(100) 및 유통사 서버(200)에 부여되는 고유 주소이거나 위성항법시스템(GPS), 와이파이(WiFi) 기반 측위시스템, 휴대전화망 측위 시스템 등의 측위 시스템을 통해 측정된 제조사 서버(100) 및 유통사 서버(200)의 위치 정보일 수 있다.
소비자 단말(300)은 제품에 인쇄 또는 부착된 인식표로부터 제품의 제 2 고유 정보를 독취할 수 있는 판독 수단이 구비되어 있고, 인증 서버(500)로부터 인증 결과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어 있는 휴대폰, 넷북, 노트북, PDA, 디지털 카메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소비자 단말(300)은 모바일 기기인 것이 바람직하며, 위성항법시스템(GPS), 와이파이(WiFi) 기반 측위 시스템, 휴대전화망 측위 시스템 등 다양한 측위 시스템을 통해 측정된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인증 서버(500)는 제조사 서버(100) 및 유통사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제품의 제 1 고유 정보 및 제 1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소비자 단말(300)을 통해 제품의 인증이 요청되면, 제품의 제 1 고유 정보 및 제 1 위치 정보와 소비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품의 제 2 고유 정보와 제 2 위치 정보 및 상기 소비자 단말의 제 3 위치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제품의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결과를 소비자 단말(300)로 전송해준다.
도 2를 참조하면, 인증 서버(500)는 통신망(400)에 연결되어 제조사 서버(100), 유통사 서버(200) 및 소비자 단말(300)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 모듈(510)과, 통신 모듈(510)을 통해 수신된 정보를 암호화하는 암호화 모듈(520)과, 암호화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540)와, 제품 인증 요청 시 데이터베이스(540)에 저장된 정보를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제품 정보와 통신 모듈(510)을 통해 새로 수신되는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제품의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모듈(5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암호화 모듈(520)은 제조사 서버(100) 및 유통사 서버(200)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를 제품의 제 1 위치 정보를 암호화 키로 이용하여 암호화하여 데이터베이스(540)로 전달하고, 데이터베이스(540)에는 암호화된 제품의 정보가 저장되게 된다. 이때, 데이터베이스(540)에는 제품이 유통되면서 수신되는 제 1 위치 정보가 제품의 제 1 고유 정보에 매칭되어 순차적으로 누적되어 저장되며, 이에 따라 해당 제품의 유통 경로 정보가 저장되게 된다.
인증 모듈(530)은 제품 인증 요청 시 소비자 단말(300)에서 전송된 소비자 단말(300)의 제3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540)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제품의 정보를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제품의 제 1 고유 정보 및 제 1 위치 정보와 소비자 단말(300)로부터 전송된 제품의 제 2 고유정보 및 제 2 위치 정보 그리고 소비자 단말(300)의 제 3 위치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제품의 인증을 수행하고, 소비자 단말(300)로 인증 결과를 전송한다. 또한, 인증 모듈(530)은 필요에 따라 인증 결과를 소비자 단말(300) 이외에도 제조사 서버(100)이나 유통사 서버(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암호화 시스템을 이용한 인증 방법을 이용하여 제품을 인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해 데이터베이스에 누적 저장되는 제품의 유통 경로와 소비자 단말을 통해 전송되는 정보를 비교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제조사에서는 생산년월일, 제품의 종류, 생산공장, 생산 담당자 등의 제 1 고유 정보를 저장하는 인식표를 제품에 부착하고, 해당 제품에 제조사 서버를 통해 전송되는 제품의 제 1 고유 정보를 인증 서버(500)의 데이터베이스(540)에 저장한다(S100).
이후, 제품이 유통되는 과정에서 물류창고, 도매업소, 소매업소 등의 유통사 서버를 통해 전송되는 제품의 제 1 고유 정보 및 제 1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540)에 누적 저장한다(S110). 이때, 데이터베이스(540)에 저장되는 제품의 제 1 고유 정보 및 제 1 위치 정보는 수신된 제품의 제 1 위치 정보를 암호화 키로 이용하여 암호화되어 저장된다.
그 후, 통신 모듈을 통해 제품의 인증 요청이 수신되면(S120), 인증 모듈에서는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소비자 단말의 제 3 위치 정보를 복호화 키로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해당 제품의 제 1 고유 정보 및 제 1 위치 정보를 복호화하고(S130), 복호화된 해당 제품의 정보와 소비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해당 제품의 제 2 고유 정보 및 제 2 위치 정보와 제품의 인증을 요청한 소비자 단말의 제 3 위치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제품 인증을 수행한다(S140).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제품의 최종 제 1 위치 정보(서울 강남구 A백화점)와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제품의 제 2 위치 정보(서울 강남구 A백화점) 및 소비자 단말의 제 3 위치 정보(서울 강남구 A백화점)가 동일한 경우, 해당 제품은 정품으로 판단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제품의 최종 제 1 위치 정보(서울 강남구 A백화점)와 통신 모듈을 통해 소비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제품의 제 2 위치 정보(서울 강남구 A백화점) 및 소비자 단말의 제 3 위치 정보(서울 강남구 B백화점) 중 하나 이상이라도 상이한 경우에는 해당 제품은 정품이 아닌 위조품으로 판단된다.
다음, 해당 제품이 정품으로 판단되어 인증에 성공한 경우에는 인증을 요청한 소비자 단말로 해당 제품이 정품이라는 인증 메시지를 전송(S170)하고, 해당 제품을 구매하게 되는 경우 구매 확인을 요청하는 메시지도 포함하여 전송하게 된다.
또한, 해당 제품이 위조품인 경우에는 인증을 요청한 소비자 단말로 해당 제품이 위조품이라는 경고 메시지 또는 인증 실패 메시지를 전송(S160)하게 되며, 필요에 따라 제조사 및 유통사의 서버에도 이와 같은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후, 해당 제품이 판매되는 경우, 인증 서버는 유통사 서버로부터 해당 제품이 판매 완료되었음을 통보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고, 인증 서버에서는 데이터베이스에 해당 제품을 판매가 완료된 것으로 처리하여 저장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해당 제품이 유통 경로 중 어느 단계에서 위조된 제품이 유입되었는지 여부와, 해당 제품의 위조량을 파악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제조사 서버 200 : 유통사 서버
300 : 소비자 단말 400 : 통신망
500 : 인증 서버 510 : 통신 모듈
520 : 암호화 모듈 530 : 인증 모듈
540 : 데이터베이스

Claims (10)

  1. 소비자 단말로부터 제품에 구비된 인식표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품의 진위 여부를 인증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제조사 및 유통사 서버로부터 제품의 제 1 고유 정보 및 제 1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소비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품의 제 2 고유 정보 및 제 2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동시에 상기 소비자 단말의 제 3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상기 제품의 제 1 위치 정보를 암호화 키로 이용하여 상기 제품의 제 1 고유 정보 및 제 1 위치 정보를 암호화하는 암호화 모듈과;
    상기 암호화 모듈에서 암호화된 상기 제품의 제 1 고유 정보 및 제 1 위치 정보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소비자 단말로부터 제품의 인증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소비자 단말의 제 3 위치 정보를 복호화 키로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제품의 제 1 고유 정보 및 제 1 위치 정보를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된 제품의 제 1 고유 정보 및 제 1 위치 정보와 상기 소비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품의 제 2 고유 정보와 제 2 위치 정보 및 상기 소비자 단말의 제 3 위치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상기 제품의 진위를 판단하는 인증 모듈;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인증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비자 단말은,
    휴대폰, 넷북, 노트북, PDA 및 디지털 카메라 중 한 가지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인증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제조사 서버, 유통사 서버 및 소비자 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인증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비자 단말은,
    위성항법시스템, WiFi 기반 측위시스템 및 휴대전화망 시스템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측위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소비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인증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으로 이루어지는 위치 기반 인증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품을 인증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품의 제 1 고유 정보 및 제 1 위치 정보를 암호화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소비자 단말을 통해 제품의 제 2 고유정보 및 제 2 위치정보와, 상기 소비자 단말의 제 3 위치 정보를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받아 상기 제품의 인증을 요청받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상기 제품의 제 1 고유정보 및 제 1 위치정보를 복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복호화된 제품의 제 1 고유정보 및 제 1 위치정보와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상기 제품의 제 2 고유정보 및 제 2 위치정보와 상기 소비자 단말의 제 3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품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인증 시스템을 이용한 인증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의 제 1 고유 정보 및 제 1 위치 정보를 암호화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품의 제 1 위치 정보를 암호화 키로 이용하여 상기 제품의 제 1 고유 정보 및 제 1 위치 정보를 암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인증 시스템을 이용한 인증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화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상기 소비자 단말의 제 3 위치 정보를 복호화 키로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제품의 제 1 고유 정보 및 제 1 위치 정보를 복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인증 시스템을 이용한 인증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복호화된 제품의 제 1 고유정보 및 제 1 위치정보와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소비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품의 제 2 고유정보 및 제 2 위치정보와 상기 소비자 단말의 제 3 위치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소비자 단말로 상기 제품이 진품임을 통보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인증 시스템을 이용한 인증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복호화된 제품의 제 1 고유정보 및 제 1 위치정보와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소비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품의 제 2 고유정보 및 제 2 위치 정보와 상기 소비자 단말의 제 3 위치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소비자 단말로 상기 제품이 위조품임을 통보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인증 시스템을 이용한 인증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화된 제품의 제 1 고유정보 및 제 1 위치정보와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소비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품의 제 2 고유정보 및 제 2 위치정보와 상기 소비자 단말의 제 3 위치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소비자 단말은 물론, 상기 제품을 제조한 제조사의 서버 및 상기 제품이 현재 존재하는 유통업체의 서버로 상기 제품이 위조품임을 통보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인증 시스템을 이용한 인증방법.
KR1020110074038A 2011-07-26 2011-07-26 위치 기반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증 방법 KR201300127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038A KR20130012713A (ko) 2011-07-26 2011-07-26 위치 기반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038A KR20130012713A (ko) 2011-07-26 2011-07-26 위치 기반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713A true KR20130012713A (ko) 2013-02-05

Family

ID=47893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4038A KR20130012713A (ko) 2011-07-26 2011-07-26 위치 기반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1271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4316A (ko) 2018-10-31 2018-12-18 (주)큐알코리아 리얼코드를 이용한 정품확인 및 도난/복제감시 시스템
KR20190008318A (ko) * 2016-05-13 2019-01-23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보안 요소를 이용한 광학 활성 물품의 위조 검출
WO2023003198A1 (ko) * 2021-07-20 2023-01-26 박문관 현장 실사 기반 생산물 이력 관리 방법
KR20230014027A (ko) * 2021-07-20 2023-01-27 박문관 현장 실사 기반 생산물 이력 관리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8318A (ko) * 2016-05-13 2019-01-23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보안 요소를 이용한 광학 활성 물품의 위조 검출
KR20180134316A (ko) 2018-10-31 2018-12-18 (주)큐알코리아 리얼코드를 이용한 정품확인 및 도난/복제감시 시스템
WO2023003198A1 (ko) * 2021-07-20 2023-01-26 박문관 현장 실사 기반 생산물 이력 관리 방법
KR20230014027A (ko) * 2021-07-20 2023-01-27 박문관 현장 실사 기반 생산물 이력 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19530B2 (en) ID tag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US9818113B2 (en) Payment method using one-time card information
KR101296137B1 (ko) 큐알코드이용 모바일아이디데이터 보안 방법 및 시스템
CN103123709A (zh) 基于条码的信息验证系统
EP2800403A1 (en) Communication tag, system and method
US20180240129A1 (en) Method and a system of electronic verification of reliability of goods introduced to the trade turnover and of transmission of data concerning the origin of goods
CN103874021A (zh) 安全区域识别方法、识别设备及用户终端
RU2007137063A (ru) Способ приема радиочастотной индентификации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с системами планирования ресурсов предприятия
US9473303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duct authentication
CN104969244A (zh) 使用动态第二磁道信息的移动支付系统和移动支付方法
US20160314474A1 (en) Geo-analytic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on of goods
CN104941302A (zh) 净水设备、滤芯、滤芯防伪装置及方法
KR101487430B1 (ko) 병행수입품 a/s 관리시스템
CN107276976A (zh) 验证产品的真实性的认证方法和系统
WO2016035012A1 (en) Robust anti-counterfeit method with dynamic codes and corresponding system
KR20130012713A (ko) 위치 기반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증 방법
CN105139205A (zh) 支付验证方法、终端和服务器
KR100848791B1 (ko) 보안 검증이 가능한 태그 데이터 기록 및 취득 방법, 태그데이터 기록 및 취득 장치
US20170200154A1 (en) Method for protecting the resale of an object provided with an nfc tag
KR101527582B1 (ko) 이중보안키를 이용한 정품확인시스템 및 정품확인방법
WO2012110897A2 (en) Verifying the loc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4539880B2 (ja) 認証システムおよび判定方法
KR101641162B1 (ko) Nfc 기반 정품 인증 등록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11470A (ko) 비콘을 이용한 보안성이 강화된 오프라인 카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53836A (ko) Nfc 데이터를 이용한 정품 인증/분실 방지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