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3785A - 뇌파와 경두개 초음파를 이용한 뇌혈류의 동시 측정을 위한 헤드캡 - Google Patents

뇌파와 경두개 초음파를 이용한 뇌혈류의 동시 측정을 위한 헤드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3785A
KR20230013785A KR1020210094676A KR20210094676A KR20230013785A KR 20230013785 A KR20230013785 A KR 20230013785A KR 1020210094676 A KR1020210094676 A KR 1020210094676A KR 20210094676 A KR20210094676 A KR 20210094676A KR 20230013785 A KR20230013785 A KR 20230013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cranial ultrasound
head
blood flow
eeg
cerebral bl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4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4090B1 (ko
Inventor
최준영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94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4090B1/ko
Priority to PCT/KR2022/010329 priority patent/WO2023003282A1/ko
Publication of KR20230013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3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 A61B8/4416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related to combined acquisition of different diagnostic modalities, e.g. combination of ultrasound and X-ray acqui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51Means for maintaining electrode contact with the body
    • A61B5/256Wearable electrodes, e.g. having strap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91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encephalography [E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3Head-worn items, e.g. helmets, masks, headphones or gogg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14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06Measuring blood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2Details of probe positioning or probe attachment to the patient
    • A61B8/4209Details of probe positioning or probe attachment to the patient by using holders, e.g. positioning frames
    • A61B8/4227Details of probe positioning or probe attachment to the patient by using holders, e.g. positioning frames characterised by straps, belts, cuffs or bra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matology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검자의 머리 둘레에 대응하여 환상을 이루고, 둘레를 따라 해당 지점에 경두개 초음파 프로브가 장착되는 복수 개의 프로브장착구를 구비한 헤드셋부재와, 상기 헤드셋부재의 프로브장착구에 장착되어, 선택적으로 뇌혈류를 측정하는 복수 개의 경두개 초음파 프로브와, 피검자의 머리를 감싸도록 돔형태를 이루며, 상기 헤드셋부재의 상측변을 따라 하측변이 결합하고, 내측면에는 뇌파전극이 장착되는 복수 개의 전극장착부가 형성된 캡부재와, 상기 전극장착부들에 장착되어, 선택적으로 뇌파를 측정하는 복수 개의 뇌파전극, 및 상기 헤드셋부재와 캡부재 중 어느 한 부재에 구비되고, 상기 뇌파전극들 및 경두개 초음파 프로브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뇌파전극들과 경두개 초음파 프로브들에서 측정한 결과를 메인컴퓨터로 송출하는 통신박스를 포함하여, 뇌파전극과 경두개 초음파 프로브를 상호 간섭 없이 빠른시간내에 피검자의 머리에 부착 가능함은 물론, 비숙련자라도 해당 정위치에 상기 뇌파전극 및 경두개 초음파 프로브들을 신속하게 배치할 수 있고, 경두개 초음파 프로브를 선택적으로 축회전되도록 하여, 뇌파전극의 간섭없이 정확한 측정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뇌파와 경두개 초음파를 이용한 뇌혈류의 동시 측정을 위한 헤드캡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뇌파와 경두개 초음파를 이용한 뇌혈류의 동시 측정을 위한 헤드캡{Head cap for simultaneous measurement of EEG and cerebral blood flow using transcranial doppler}
본 발명은 뇌파와 경두개 초음파를 이용한 뇌혈류의 동시 측정을 위한 헤드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두개 초음파 프로브를 고정하는 헤드셋부재와, 뇌파전극을 international 10-20 electrode system에 맞춰 밀착, 고정시키는 캡부재를 포함하고, 뇌파전극과 경두개 초음파 프로브를 상호 간섭없이 빠른시간내에 피검자의 머리에 부착 가능함은 물론, 비숙련자라도 해당 정위치에 상기 뇌파전극 및 경두개 초음파 프로브들을 신속하게 배치할 수 있는 뇌파와 경두개 초음파를 이용한 뇌혈류의 동시 측정을 위한 헤드캡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뇌파를 측정할 때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측정전극(Electrode)은 지름 5~12mm의 원반형 전극(Ag-Agcl)에 전선을 연결한 것이며, 그 표면에 전도성 페이스트(Paste)나 젤을 묻힌 상태로 두피의 일정부분(통상적으로 머리둘레를 10% 혹은 20%로 등분하여 약 20개 내외의 전극을 부착하여 사용하는 10-20시스템이 있음)에 부착하고 거즈를 덮어서 고정 시켜 측정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장착 작업을 신속 정확히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숙련자가 필요하고, 비숙련자는 하기가 어려우며, 측정전극 부착에 상당한 시간이 필요로 하였다.
한편,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뇌파 측정용 캡이 개발되었다.
즉, 머리 위로 덮어쓸 수 있도록 하되, 턱걸이 끈을 가지는 연성 캡을 마련한 후, 상기 캡의 요처에 다수의 전극을 미리 고정 시켜 놓은 것이다.
측정자의 두상에 캡을 쓰게 되면 미리 고정된 전극들의 위치가 필요한 위치에 접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일일이 전극을 붙이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고 숙련자가 필요하지도 않지만 다음과 같은 미비점이 있다.
각 부분에 고정된 전극은 캡에 일정한 상태로 돌출되어 있는바, 피검자의 두부가 표면에 함몰된 부분이 있다든지, 곱슬머리나 파마머리라든지 했을 때, 일부 전극이 표피에 닿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일부 전극이 표피에 닿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가능한 턱끈을 강하게 조이게 되는데, 이는 피검자에게 통증 유발은 물론 스트레스를 주는 사항이기 때문에 불합리하다.
특히, 종래의 캡을 사용하는 경우, 피검자의 두상이 다르기 때문에, 피검자 개별적으로 알맞은 사이즈를 택하여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유아, 성인, 또는 남성, 여성 또는 인종에 따르는 두상의 크기에 따라 알맞은 캡을 착용하지 않는 경우에, 해당 캡에 설치되는 전극이 두부의 피부 표면에 정확하게 닿지 않는 부분이 두상 전역에 걸쳐 불균등하게 발생될 수 있으며, 또한 이에 따라 통증 유발과 신호 왜곡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고, 피검자의 불편함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임상 현장 특히, 베드사이드(bedside)에서 비침습적으로 뇌 기능 및 활동을 평가할 수 있는 대표적인 검사로 뇌파 측정과 경두개 초음파(Transcranial doppler, TCD)를 이용한 뇌혈류 측정이 있다.
TCD도 숙련된 검사자가 손 혹은 고정 헤드셋을 사용하여 초음파 프로브를 고정하여 뇌혈류를 측정하기 때문에 뇌파와, TCD의 측정 모두 숙련된 검사자가 필요하다.
신경-혈관 공조현상 혹은 신경-혈관 유닛(neurovascular coupling or neurovascular unit, NVU)은 신경 세포의 활성에 따라 생리적으로 혈류량이 변하는 현상으로 알고 있고, 다양한 신경계 질환에서 NVU의 변화가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따라서 이전의 몇몇 연구에서 특정 상황에 대한 NVU를 확인하기 위해 functional MRI를 이용하거나, Near Infrared spectroscopy(NIRS)를 사용하는 방법 등이 제시되었다.
하지만, 상기한 방법은 긴 시간의 모니터링이 비교적 어렵고, fMRI처럼 특정 장소에서만 시행할 수 있거나, NIRS처럼 비교적 고가의 익숙하지 않은 장비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2115호(2015.07.30)가 있다.
본 발명은 뇌파와 TCD를 이용한 뇌혈류를 동시에 측정하고자 하는 것으로, 뇌파전극과 경두개 초음파 프로브를 상호 간섭 없이 빠른 시간 내에 피검자의 머리에 부착 가능함은 물론, 비숙련자라도 해당 정위치에 상기 뇌파전극 및 경두개 초음파 프로브들을 신속하게 배치할 수 있고, 경두개 초음파 프로브를 선택적으로 축회전되도록 하여, 뇌파전극의 간섭없이 정확한 측정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뇌파와 경두개 초음파를 이용한 뇌혈류의 동시 측정을 위한 헤드캡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뇌파와 경두개 초음파를 이용한 뇌혈류의 동시 측정을 위한 헤드캡은 피검자의 머리에 장착되는 것으로, 피검자의 머리 둘레에 대응하여 환상을 이루고, 둘레를 따라 해당 지점에 경두개 초음파 프로브가 장착되는 복수 개의 프로브장착구를 구비한 헤드셋부재; 상기 헤드셋부재의 프로브장착구에 장착되어, 선택적으로 뇌혈류를 측정하는 복수 개의 경두개 초음파 프로브; 피검자의 머리를 감싸도록 돔형태를 이루며, 상기 헤드셋부재의 상측변을 따라 하측변이 결합하고, 내측면에는 뇌파전극이 장착되는 복수 개의 전극장착부가 형성된 캡부재; 상기 전극장착부들에 장착되어, 선택적으로 뇌파를 측정하는 복수 개의 뇌파전극; 및 상기 헤드셋부재와 캡부재 중 어느 한 부재에 구비되고, 상기 뇌파전극들 및 경두개 초음파 프로브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뇌파전극들과 경두개 초음파 프로브들에서 측정한 결과를 메인컴퓨터로 송출하는 통신박스;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프로브장착구는 상기 경두개 초음파 프로브가 해당 각도로 축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프로브장착구는 상기 헤드셋의 둘레 중 피검자의 머리 좌, 우 양측 측두부에 대응한 지점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헤드셋의 둘레 중 피검자의 머리 후두부에 대응하는 지점에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프로브장착구는 상기 헤드셋부재의 둘레 중 경두개 초음파 프로브가 위치되는 지점에 구비되는 다이얼 고정부재와, 중공을 갖는 관상으로 상기 다이얼 고정부재에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중공으로 진입한 경두개 초음파 프로브를 선택적으로 축회전시키는 다이얼부재와, 상기 다이얼부재의 타측에 나사결합되어, 나사결합 길이에 따라 상기 다이얼부재의 타측편 내경을 축소시켜, 상기 다이얼부재의 중공으로 진입한 경두개 초음파 프로브가 상기 다이얼부재에 고정되게 하는 조임부재를 포함한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복수 개의 전극장착부는 international 10-20 electrode system에 대응하여 뇌파전극들을 배열할 수 있도록, 각 해당 지점에 배치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복수 개의 전극장착부는 탄성을 가진 와이어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가 어느 한 측으로 당겨짐에 따라 뇌파전극이 해당 지점으로 밀착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뇌파와 경두개 초음파를 이용한 뇌혈류의 동시 측정을 위한 헤드캡에 의해 나타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뇌파전극과 경두개 초음파 프로브를 상호 간섭없이 빠른시간내에 피검자의 머리에 부착 가능함은 물론, 비숙련자라도 해당 정위치에 상기 뇌파전극 및 경두개 초음파 프로브들을 신속하게 배치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경두개 초음파 프로브를 선택적으로 축회전되도록 하여, 경두개 초음파 프로브를 반복하여 탈부착할 필요 없이 경두개 초음파 프로브를 고정한 상태로 축회전시켜 정확한 측정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뇌파와 경두개 초음파를 이용한 뇌혈류의 동시 측정을 위한 헤드캡을 피검자에 착용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뇌파와 경두개 초음파를 이용한 뇌혈류의 동시 측정을 위한 헤드캡을 피검자에 착용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뇌파와 경두개 초음파를 이용한 뇌혈류의 동시 측정을 위한 헤드캡을 피검자에 착용한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브장착구 및 다이얼부재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브장착구 및 다이얼부재에 경두개 초음파 프로브를 결합하는 상태를 참고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브장착구 및 다이얼부재에 경두개 초음파 프로브를 결합한 상태를 보인 참고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극장착부에 뇌파전극을 결합하는 상태를 보인 참고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뇌파와 경두개 초음파를 이용한 뇌혈류를 동시에 측정하고자 하는 것으로, 경두개 초음파 프로브를 고정하는 헤드셋부재와, 뇌파전극을 international 10-20 electrode system에 맞춰 밀착, 고정시키는 캡부재를 포함하고, 뇌파전극과 경두개 초음파 프로브를 상호 간섭없이 빠른시간내에 피검자의 머리에 부착 가능함은 물론, 비숙련자라도 해당 정위치에 상기 뇌파전극 및 경두개 초음파 프로브들을 신속하게 배치할 수 있는 뇌파와 경두개 초음파를 이용한 뇌혈류의 동시 측정을 위한 헤드캡에 관한 것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뇌파와 경두개 초음파를 이용한 뇌혈류의 동시 측정을 위한 헤드캡(10)은 헤드셋부재(100)와, 경두개 초음파 프로브(200)와, 캡부재(300)와, 뇌파전극(400)과, 통신박스(500)를 포함하는데, 먼저 상기 헤드셋부재(100)는 피검자의 머리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헤드셋부재(100)는 피검자의 머리 둘레에 대응하여 환상을 이루고, 둘레를 따라 해당 지점에 경두개 초음파 프로브(200)가 장착되는 복수 개의 프로브장착구(110)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프로브장착구(110)는 환상의 상기 헤드셋부재(110) 둘레를 따라 머리의 측두부 및 후두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브장착구(110)는 상기 경두개 초음파 프로브(200)가 해당 각도로 축회전 가능하게 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경두개 초음파 프로브(200)를 고정하는 다이얼부재(130)를 포함하고, 상기 다이얼부재(130)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경두개 초음파 프로브(200)가 해당 각도로 축회전 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브장착구(110)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프로브장착구(110)는 상기 헤드셋부재(100)의 둘레 중 상기 경두개 초음파 프로브(200)가 위치되는 지점에 상기 경두개 초음파 프로브(200)가 관통하는 관통홀(101)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홀(101)에는 다이얼 고정부재(111)가 구비된다.
상기 다이얼 고정부재(111)는 판 상으로 그 중심에는 상기 관통홀(101)과 대응하는 결합공(112)을 형성하며, 상기 결합공(112)의 주변을 따라 길이방향의 단면이 '┓'을 이루는 결합플랜지(113)를 연장형상한다.
이때 상기 결합플랜지(113)의 끝단측 내주면에는 파형의 탄성부재(120)가 내주면을 따라 구비되고, 파형의 탄성부재(120)가 구비된 상기 결합플랜지(113)에는 다이얼부재(130)의 일측이 결합된다.
상기 다이얼부재(130)은 중공을 갖는 관상으로, 그 일측편에는 파형의 탄성부재(120)가 구비된 상기 결합플랜지(113)의 끝단을 수용하는 수용홈(131)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홈(131)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돌기(132)들을 일정한 간격으로 방사상 배열한다.
따라서 상기 다이얼부재(130)의 수용홈(131)에 파형의 탄성부재(120)가 구비된 상기 결합플랜지(113)의 끝단이 수용됨에 상기 다이얼 고정부재(111)에 상기 다이얼부재(130)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이때 상기 수용홈(131)에 형성된 돌기(132)들이 상기 파형의 탄성부재(120)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에 각각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상기 다이얼부재(130)는 사용자가 손으로 둘레를 잡고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상기 수용홈(131)에 형성된 돌기(132)들이 파형의 탄성부재(120) 모목하게 들어간 부분에 각각 위치함에 따라 상기 다이얼부재(130)가 회전한 각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이얼부재(130)는 중공 내부로 진입한 상기 경두개 초음파 프로브(2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그 중공의 타측 내주면을 따라 고정돌기(133)를 형성하고, 타측단의 내경이 선택적으로 축소될 수 있도록, 중공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절단선(134)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여, 상기 다이얼부재(130)의 타측편이 복수로 등분된다.
이때 상기 다이얼부재(130)의 타측편 외주면에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제1경사면(135)을 형성하고, 그 제1경사면(135)의 배후에는 길이를 따라 제1나사산면(136)을 형성하여, 상기 제1나사산면(136)에 의해 조임부재(140)가 나사결합 된다.
상기 조임부재(140)는 너트와 같이 상기 다이얼부재(130)의 타측편 외주를 감싸도록 환상을 이루고, 내주면에는 상기 제1경사면(135)과 대응하는 제2경사면(141)을 형성하면서, 상기 제2경사면(141)의 인근에는 상기 제1나사산면(136)과 나사결합하는 제2나사산면(142)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2경사면(141)은 상기 제1경사면(135)과 서로 면접하고, 상기 조임부재(14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조이면, 상기 다이얼부재(130)의 제1경사면(135)이 제2경사면(141)을 따라 미끄러져, 등분된 상기 다이얼부재(130)의 타측단이 중심을 향해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다이얼부재(130)의 타측단 내경이 점점 축소되어, 상기 다이얼부재(130)의 중공 내부로 진입한 경두개 초음파 프로브(200)를 물어 고정한다.
이후 상기 조임부재(14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조임부재(140)의 제2경사면(141)이 타측으로 이동하고, 등분된 상기 다이얼부재(130)의 타측단이 자체탄성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상기 다이얼부재(130)의 타측단 내경이 원상태로 확장되어, 경두개 초음파 프로브(200)의 고정이 해제된다.
그리고 상기 경두개 초음파 프로브(200)는 상기 헤드셋부재(100)의 프로브장착구(110)에 장착되어 선택적으로 뇌혈류를 측정한다.
이때 상기 경두개 초음파 프로브(200)의 끝단은 피검자의 머리둘레와 면접하여, 두개골 밖에서 뇌혈관의 폐쇄 여부와 혈류 속도 측정하고, 상기 측정 결과로 혈류 방향의 변화, 혈류파형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부재(300)는 피검자의 머리를 감싸도록 돔 형태를 이루며, 상기 헤드셋부재(100)의 상측변을 따라 상기 캡부재(300)의 하측변이 결합하면, 내측면에는 뇌파전극(400)이 장착되는 복수 개의 전극장착부(31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캡부재(300)는 신축성을 갖도록 메쉬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전극장착부(310)들은 국제적 규정인 international 10-20 electrode system에 대응하여 뇌파전극(400)들을 배열할 수 있도록 각 해당 지점에 배치되며, 상기 전극장착부(310)들은 탄성을 갖는 와이어(320)로 서로 그물망처럼 연결되는데, 상기 와이어(320)를 어느 한 측으로 당겨 묶거나, 보아 클로져 시스템(Boa Closure System)과 같이 상기 와이어(320)를 선택적으로 권취하는 권취기(도시하지 않음)와, 외부에서 사용자의 조작으로 상기 권취기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권취다이얼(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320)가 당겨짐에 따라 상기 전극장착부(310)들에 장착된 뇌파전극(400)들이 해당 지점에 밀착 고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전극장착부(310)들은 탄성을 가진 와이어(320)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320)가 어느 한 측으로 당겨짐에 따라 뇌파전극(400)이 international 10-20 electrode system에 의거한 비율적인 위치를 이탈하지 않는 해당 지점으로 밀착 고정된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극장착부(310)에는 상기 뇌파전극(400)의 리드선이 관통하는 고정홀(311)을 형성하면서, 상기 고정홀(311)에서 돌출형성되어, 상기 뇌파전극(400)을 고정하는 고정구(31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뇌파전극(400)에는 상기 고정구(312)와 상응하는 고정클립(410)을 형성하는데, 상기 고정클립(410)은 상기 고정구(312)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고정구(312)를 감싸고, 상기 뇌파전극(400) 중 상기 전극장착부(310)와 맞닿는 지점에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뇌파전극(400)의 고정클립(410)의 중앙에는 상기 전극장착부(310)의 고정홀(311)을 관통하면서 통신박스(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리드선을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뇌파전극(400)은 리드선을 상기 전극장착부(310)의 고정홀(311)을 통해 외부로 노출시킨 후, 상기 고정클립(410)을 상기 고정구(312)에 물려, 상기 전극장착부(310)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홀(311)을 관통한 상기 뇌파전극(400)의 리드선은 통신박스(500)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상기 통신박스(500)는 상기 헤드셋부재(100)와 캡부재(300) 중 어느 한 부재에 구비되고, 상기 뇌파전극(400)들 및 경두개 초음파 프로브(200)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뇌파전극(400)들과 경두개 초음파 프로브(200)들에서 측정한 결과를 메인컴퓨터(도시하지 않음)으로 송출한다.
이때 상기 통신박스(500)는 상기 헤드셋부재(100)와 캡부재(300) 중 어느 한 부재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벨크로, 또는 장착후크와 같은 장착수단(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신박스(500)는 그 내부에 전원 공급을 위해 배터리와, 제어신호 및 메인컴퓨터(도시하지 않음)와의 통신을 위한 제어회로기판이 내장하고, 일측면에는 플러그가 결합하여 내부에 내장된 제어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플러그소켓을 형성하고, 무선통신을 위한 안테나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박스(500)는 상기 캡부재(300)의 상측 중심인 피검자의 머리 정수리 쯤 위치에 위치하도록 돌출 형성하여 착용자가 활동하거나 누웠을 때, 그 돌출된 상기 통신박스(500)에 의해 활동에 제약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뇌파와 경두개 초음파를 이용한 뇌혈류의 동시 측정을 위한 헤드캡은 신경 및 뇌혈관 측정이 실시간으로 필요한 환자, 예를 들면 심폐정지 후 소생한 환자의 예후 예측이나 관상동맥 우회술 혹은 실신 환자의 모니터링 등이 주된 사용처가 될 것이고, 뇌 기능의 편측화(lateralization)를 판단하는 검사법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헤드캡 100: 헤드셋부재
101: 관통홀 110: 프로브장착구
111: 다이얼 고정부재 112: 결합공
113: 결합플랜지 120: 파형의 탄성부재
130: 다이얼부재 131: 수용홈
132: 돌기 133: 고정돌기
134: 절단선 135: 제1경사면
136: 제1나사산면 140: 조임부재
141: 제2경사면 142: 제2나사산면
200: 경두개 초음파 프로브 300: 캡부재
310: 전극장착부 311: 고정홀
312: 고정구 320: 와이어
330: 권취다이얼 400: 뇌파전극
410: 고정클립 500: 통신박스

Claims (7)

  1. 피검자의 머리에 장착되는 것으로, 피검자의 머리 둘레에 대응하여 환상을 이루고, 둘레를 따라 해당 지점에 경두개 초음파 프로브가 장착되는 복수 개의 프로브장착구를 구비한 헤드셋부재;
    상기 헤드셋부재의 프로브장착구에 장착되어, 선택적으로 뇌혈류를 측정하는 복수 개의 경두개 초음파 프로브;
    피검자의 머리를 감싸도록 돔형태를 이루며, 상기 헤드셋부재의 상측변을 따라 하측변이 결합하고, 내측면에는 뇌파전극이 장착되는 복수 개의 전극장착부가 형성된 캡부재;
    상기 전극장착부들에 장착되어, 선택적으로 뇌파를 측정하는 복수 개의 뇌파전극; 및
    상기 헤드셋부재와 캡부재 중 어느 한 부재에 구비되고, 상기 뇌파전극들 및 경두개 초음파 프로브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뇌파전극들과 경두개 초음파 프로브들에서 측정한 결과를 메인컴퓨터로 송출하는 통신박스;를 포함하는 뇌파와 경두개 초음파를 이용한 뇌혈류의 동시 측정을 위한 헤드캡.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장착구는
    상기 경두개 초음파 프로브가 해당 각도로 축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뇌파와 경두개 초음파를 이용한 뇌혈류의 동시 측정을 위한 헤드캡.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장착구는
    상기 헤드셋의 둘레 중 피검자의 머리 좌, 우 양측 측두부에 대응한 지점에 각각 구비되는 뇌파와 경두개 초음파를 이용한 뇌혈류의 동시 측정을 위한 헤드캡.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장착구는
    상기 헤드셋의 둘레 중 피검자의 머리 후두부에 대응하는 지점에 구비되는 뇌파와 경두개 초음파를 이용한 뇌혈류의 동시 측정을 위한 헤드캡.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장착구는
    상기 헤드셋부재의 둘레 중 경두개 초음파 프로브가 위치되는 지점에 구비되는 다이얼 고정부재와;
    중공을 갖는 관상으로 상기 다이얼 고정부재에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중공으로 진입한 경두개 초음파 프로브를 선택적으로 축회전시키는 다이얼부재와;
    상기 다이얼부재의 타측에 나사결합되어, 나사결합 길이에 따라 상기 다이얼부재의 타측편 내경을 축소시켜, 상기 다이얼부재의 중공으로 진입한 경두개 초음파 프로브가 상기 다이얼부재에 고정되게 하는 조임부재;를 포함하는 뇌파와 경두개 초음파를 이용한 뇌혈류의 동시 측정을 위한 헤드캡.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전극장착부는
    international 10-20 electrode system에 대응하여 뇌파전극들을 배열할 수 있도록, 각 해당 지점에 배치되는 뇌파와 경두개 초음파를 이용한 뇌혈류의 동시 측정을 위한 헤드캡.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전극장착부는
    탄성을 가진 와이어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가 어느 한 측으로 당겨짐에 따라 뇌파전극이 해당 지점으로 밀착 고정되는 뇌파와 경두개 초음파를 이용한 뇌혈류의 동시 측정을 위한 헤드캡.
KR1020210094676A 2021-07-20 2021-07-20 뇌파와 경두개 초음파를 이용한 뇌혈류의 동시 측정을 위한 헤드캡 KR102634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676A KR102634090B1 (ko) 2021-07-20 2021-07-20 뇌파와 경두개 초음파를 이용한 뇌혈류의 동시 측정을 위한 헤드캡
PCT/KR2022/010329 WO2023003282A1 (ko) 2021-07-20 2022-07-15 뇌파와 경두개 초음파를 이용한 뇌혈류의 동시 측정을 위한 헤드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676A KR102634090B1 (ko) 2021-07-20 2021-07-20 뇌파와 경두개 초음파를 이용한 뇌혈류의 동시 측정을 위한 헤드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3785A true KR20230013785A (ko) 2023-01-27
KR102634090B1 KR102634090B1 (ko) 2024-02-05

Family

ID=84979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4676A KR102634090B1 (ko) 2021-07-20 2021-07-20 뇌파와 경두개 초음파를 이용한 뇌혈류의 동시 측정을 위한 헤드캡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34090B1 (ko)
WO (1) WO2023003282A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1621A (ja) * 1991-12-11 1993-06-29 Sailor Pen Co Ltd:The 脳波測定方法
KR20030000928A (ko) * 2001-06-27 2003-01-06 (주)티앤티테크 뇌파 측정용 캡
KR20040031951A (ko) * 2002-10-08 2004-04-14 학교법인 한양학원 뇌파 측정용 착용 기구
KR101542115B1 (ko) * 2014-06-13 2015-08-12 최정우 뇌파 측정용 헤드 캡
KR20170057889A (ko) * 2015-11-17 2017-05-2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다채널 뇌파 측정 장치
KR101796964B1 (ko) * 2016-11-08 2017-11-13 (주)와이브레인 뇌파 측정 착용 장치
KR101815276B1 (ko) * 2016-08-19 2018-01-05 충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착용 편리성 및 계측 신뢰성을 최적화한 뇌파 측정 장치
JP2018174962A (ja) * 2017-04-03 2018-11-15 公立大学法人 富山県立大学 脳情報取得用キャップ、および脳情報取得用キャップの生産方法
JP2019503774A (ja) * 2016-01-05 2019-02-14 ニューラル アナリティク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神経性疾患を検出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9058573A (ja) * 2017-09-28 2019-04-18 国立大学法人旭川医科大学 生体信号取得装置、および生体信号取得用装着具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1849A (ko) * 2011-12-02 2013-06-12 (재)예수병원유지재단 뇌혈류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CN107635472A (zh) * 2015-06-19 2018-01-26 神经系统分析公司 经颅多普勒探测器
WO2017200891A1 (en) * 2016-05-16 2017-11-23 Neuroelectrics Inc. Headcap for electrical stimulation and/or recording eeg signals
KR20210076523A (ko) * 2019-12-16 2021-06-24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뇌파 측정 헤드캡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1621A (ja) * 1991-12-11 1993-06-29 Sailor Pen Co Ltd:The 脳波測定方法
KR20030000928A (ko) * 2001-06-27 2003-01-06 (주)티앤티테크 뇌파 측정용 캡
KR20040031951A (ko) * 2002-10-08 2004-04-14 학교법인 한양학원 뇌파 측정용 착용 기구
KR101542115B1 (ko) * 2014-06-13 2015-08-12 최정우 뇌파 측정용 헤드 캡
KR20170057889A (ko) * 2015-11-17 2017-05-2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다채널 뇌파 측정 장치
JP2019503774A (ja) * 2016-01-05 2019-02-14 ニューラル アナリティク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神経性疾患を検出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815276B1 (ko) * 2016-08-19 2018-01-05 충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착용 편리성 및 계측 신뢰성을 최적화한 뇌파 측정 장치
KR101796964B1 (ko) * 2016-11-08 2017-11-13 (주)와이브레인 뇌파 측정 착용 장치
JP2018174962A (ja) * 2017-04-03 2018-11-15 公立大学法人 富山県立大学 脳情報取得用キャップ、および脳情報取得用キャップの生産方法
JP2019058573A (ja) * 2017-09-28 2019-04-18 国立大学法人旭川医科大学 生体信号取得装置、および生体信号取得用装着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4090B1 (ko) 2024-02-05
WO2023003282A1 (ko) 2023-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3652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quantitative measurement of the isometric contraction of the adductor pollicis muscle
US7551952B2 (en) EEG electrode headset
JP6321669B2 (ja) 電極測定法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AU2018200217A1 (en) Head Harness & Wireless EEG Monitoring System
US20090292194A1 (en) Chiropractic Care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US20050107716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and retrieving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brain activity sensors
US11234645B2 (en) Biosignal measurement apparatus
CN104739404A (zh) 一种可穿戴式生物电信号采集装置
WO2012170816A2 (en) Sleep onset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11647934B2 (en) Mono-layer electrode sensor
JP3413521B1 (ja) 心電図用電極装着帯
KR20140089973A (ko) 의료용 센서 부착장치
KR102634090B1 (ko) 뇌파와 경두개 초음파를 이용한 뇌혈류의 동시 측정을 위한 헤드캡
Meghdadi et al. Transcranial impedance changes during sleep: a rheoencephalography study
JP2012061198A (ja) 小動物用脳活動呼吸血圧測定装置
KR101745423B1 (ko) 다채널 뇌파 측정 장치
US1103323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tion artifact reduction in ECG harness
CN108463168A (zh) 生理传感装置及包括该生理传感装置的生理监护设备
CN216021126U (zh) 一种头戴式瞳孔变化监测用超声装置
JP2001340311A (ja) 生体電極および装着方法
CN212853488U (zh) 一种头戴式运动健康及心脑功能监测装置
CN204562144U (zh) 可穿戴式生物电信号采集装置
TWM618094U (zh) 睡眠感測裝置,睡眠感測資料蒐集平台,及睡眠品質分析系統
EP3723597B1 (en) An ecg device
WO2017060560A1 (en) Arrangement for carrying out electrode measur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