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9973A - 의료용 센서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의료용 센서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9973A
KR20140089973A KR1020130002123A KR20130002123A KR20140089973A KR 20140089973 A KR20140089973 A KR 20140089973A KR 1020130002123 A KR1020130002123 A KR 1020130002123A KR 20130002123 A KR20130002123 A KR 20130002123A KR 20140089973 A KR20140089973 A KR 20140089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sensor
measuring
hole
subject
hemoglo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2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5046B1 (ko
Inventor
이환곤
신재우
임창균
고진수
박재홍
서인석
신형철
Original Assignee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02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5046B1/ko
Publication of KR20140089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9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5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5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3Head-worn items, e.g. helmets, masks, headphones or gogg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haematocr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14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16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Details of structural supports for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용 센서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인체내의 헤모글로빈의 농도변화와 뇌파를 동시에 측정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측정시 피험자의 두피에 완벽하게 밀착되면서도 압박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편안한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센서 부착장치는, 피험자의 머리를 감싸는 착용부, 상기 착용부에 장착되며 피험자의 머리와 밀착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헤모글로빈을 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센서 또는 뇌파를 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헤모글로빈을 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센서 또는 뇌파를 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센서가 피험자의 두피에 밀착되도록 하는 밀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료용 센서 부착장치{MEDICAL SENSOR MOUN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헤모글로빈의 농도변화와 뇌파를 동시에 측정가능하게 한 의료용 센서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뇌신호를 측정하는 방법은 크게 전기적 신호의 측정과 혈류동역학적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이 있다. 여기서 근적외선 분광법은 인체 내의 혈류동역학적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근래에 들어 뇌 신경신호를 획득하고 이를 분석하여 다분야에 활용하고자 하는 뇌-기계 인터페이스(Brain Machine Interface, BMI) 분야의 기술 발전이 크게 이루어지고 있다. BMI 기술은 뇌와, 뇌의 신호를 분석하는 컴퓨터 간의 정보 전달 수단을 요구한다.
뇌의 신호를 측정하는 방안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1109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48578호 등과 같이 전극을 신체에 심어 신경 세포의 전위차를 직접 수득하는 침습적인 방법이 있다. 그러나 전극을 신체에 삽입하기 위해서 외과적 수술을 동반하는 점이나 신경 조직 주변의 오염이나 손상이 있게 되면 심각한 결과를 가져오는 점에 의하여 널리 활용되기는 어렵다.
이를 대안하여 근적외선 측정부재를 장착하여 뇌 혈류동역학적 변화신호 및 뇌파 신호를 획득하는 비침습적인 방안이 제시되었다. 일례로 특허문헌 1에서는 신경활동에 수반하는 뇌내 혈액 순환 동태를 구하기 위하여, fMRI에 의한 계측부위와 거의 동일한 부위에 근적외선을 조사하고, 그 반사를 수광하며 이를 분석하여 생리적 현상을 설명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특허문헌 2에서는 근적외선을 이용하여 맥박, 산소포화도, 혈관 탄력성 등을 측정하는 방안이 제시되어 있다.
인체의 뇌신호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머리 측정부위의 적절한 위치에서 획득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상용된 헬멧, 모자 등의 내면에서 측정부재를 돌출시켜 가능한 피부와 밀착되게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측정 장치는 헬멧 또는 인체의 미세한 움직임으로 인해 인체와의 접촉 부위에 유격이 쉽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유격은 취득하는 신호에 노이즈를 발생시키므로 정확한 뇌신호 분석이 어렵게 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피험자의 움직임에 의해서도 인체에서 이탈되거나 이격되지 않도록 한 측정장치들이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측정장치는 두피에 밀착되는 과정에서 피험자의 머리에 극심한 압박을 가하게 되며, 이로 인해 피험자는 극심한 고통과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 공개특허 제10-2005-137433호 (2005.06.0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32782호 (2008.04.16)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인체내의 헤모글로빈의 농도변화와 뇌파를 동시에 측정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측정시 피험자의 두피에 완벽하게 밀착되면서도 압박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편안한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의료용 센서 부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센서 부착장치는, 피험자의 머리를 감싸는 착용부, 상기 착용부에 장착되며 피험자의 머리와 밀착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헤모글로빈을 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센서 또는 뇌파를 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헤모글로빈을 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센서 또는 뇌파를 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센서가 피험자의 두피에 밀착되도록 하는 밀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센서 부착장치는, 상기 헤모글로빈을 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센서의 외주연에 장착되는 장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판은,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뻗어 있으며, 고정홀이 형성된 가지부들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 그리고 가지부와 가지부의 사이에는 통풍홀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밀착부는,
일측이 상기 가지부의 고정홀에 설치되며 중앙부분에 상기 장착부가 수용되고 상기 헤모글로빈을 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센서의 일부분이 통과되는 통과홀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형성되며, 양측에는 상기 통과홀과 직각방향으로 연결되는 나선홀이 좌,우 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고정홀에 각각 체결되며, 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통과홀에서 장착부의 외측면을 가압고정하는 가압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는 내부에 상기 하우징의 통과홀과 연결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포켓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포켓부에는 절개홈이 더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뇌파를 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센서는 포켓부의 수용홈에 삽입고정되며 그 단부가 피험자의 두피에 밀착되고,
상기 뇌파를 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센서의 일측에는 상기 절개홈에 수용되는 연결편이 형성된다.
상기 뇌파를 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센서의 일측에는 상기 하우징의 통과홀과 연결되는 연결홀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통과홀을 통과한 헤모글로빈을 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센서는 상기 연결홀을 통과하여 상기 뇌파를 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센서의 내부공간에 위치되면서 그 단부가 피험자의 두피에 밀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센서 부착장치는, 헤모글로빈을 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센서의 끝부분이 밀착부에 의해 피험자의 두피에 단순히 접촉될 수 있고, 탄성력이 있는 부착장치에 결속되어 있는 뇌파를 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센서는 피험자의 두피를 압박하지 않는 상태로 밀착되기 때문에 편안한 측정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판을 구성하는 몸체, 그리고 가지부와 가지부의 사이에는 통풍홀이 형성되어 있어, 고정판과 피험자의 머리 사이에서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헤모글로빈의 농도 및 뇌파를 측정하는 과정 중 피험자의 머리에서 땀이차 습기가 발생되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여름철에도 사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센서 부착장치의 착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센서 부착장치에 적용된 장착부와 헤모글로빈을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센서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센서 부착장치에 적용된 밀착부와 헤모글로빈을 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센서 또는 뇌파를 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센서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센서 부착장치와 헤모글로빈을 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센서 또는 뇌파를 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센서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센서 부착장치와 헤모글로빈을 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센서 또는 뇌파를 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센서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센서 부착장치에 적용된 고정판을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센서 부착장치의 착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센서 부착장치에 적용된 장착부와 헤모글로빈을 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센서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센서 부착장치에 적용된 밀착부와 헤모글로빈을 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센서 또는 뇌파를 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센서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센서 부착장치와 헤모글로빈을 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센서 또는 뇌파를 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센서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센서 부착장치와 헤모글로빈을 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센서 또는 뇌파를 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센서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센서 부착장치에 적용된 고정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센서 부착장치(30)는, 인체내의 헤모글로빈을 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센서(10)와 뇌파를 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센서(20)를 하나로 결속하여 피험자의 머리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착용부(31)와, 고정판(32)과, 장착부(33)와, 밀착부(34)를 포함한다.
상기 헤모글로빈을 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센서(10)는 뇌 조직에 근적외선 빛을 입사하는 광원부(11)와, 상기 광원부(11)의 외면에 설치되며 뇌 조직에서 배출된 광 신호를 검출한 다음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검출부(12)를 포함한다.
상기 광원부(11)는 근적외선을 두피에 투사하거나, 두피에서 반사된 근적외선을 수광하는 광섬유(Optical fiber)이다. 상기 광원부(11)는 유연하고 길이가 긴 튜브이며, 일단은 의료용 센서(30)에 설치되고 타단은 근적외선 발생장치(미도시)나 분석장치(미도시)의 커넥터에 연결된다.
즉, 근적외선 발생장치에 연결된 광원부(11)는 근적외선을 방사하는 기능을 갖게 되고, 분석장치의 커넥터에 연결되는 광원부(11)는 근적외선을 수득하는 기능을 갖는다. 여기서 근적외선 발생장치, 분석장치 등의 구성은 공지된 바에 따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뇌파를 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센서(20)는 EEG(Electroencephalogram) 측정 전극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뇌파를 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센서(20)의 일단은 의료용 센서 부착장치(30)에 설치되고 타단은 전극발생장치(미도시)나 상기 광원부(11)와 연결된 분석장치의 커넥터(40)에 연결된다.
상기 뇌파를 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센서(20)에서 측정된 뇌파신호는 상기 분석장치에 의해 분석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착용부(31)는 피험자의 머리에 착용된다. 상기 착용부(31)는 탄성력이 있는 고무밴드 따위로 제작된다. 이에 따라 상기 착용부(31)는 피험자의 머리 사이즈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착용될 수 있으며, 상기 착용부(31)를 착용하는 피험자는 편안한 착용감을 느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착용부(31)는 피험자의 이마를 포함한 머리 둘레면을 감싸는 원 형상의 제1착용부(311)와, 상기 제1착용부(311)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피험자의 머리 측면에 밀착되는 제2착용부(312)와, 상호 간격을 두고 피험자의 머리 상측과 밀착되는 띠 형상의 제3착용부(313)로 구성되며, 상기 제2착용부(312)와 제3착용부(313)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되는 고정판(32)을 매개로 하여 연결된다.
상기 제2착용부(312)와 고정판(32), 제3착용부(313)와 고정판(32)의 결합방식은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제2착용부(312)와, 제3착용부(313)는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착용부(31)를 피험자의 머리에 착용하였을 경우 피험자의 머리에 고르게 분포된 상태로 밀착되어 안정적인 착용상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고정판(32)은 상기 착용부(31)에 장착되어 상기 착용부(31)가 피험자의 머리에 착용되었을 경우 피험자의 머리와 밀착된다. 이러한 고정판(32)은 몸체부(321)와 복수개의 가지부(322)들로 나뉘어 구성된다.
상기 가지부(322)들은 몸체부(321)의 일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뻗어 있다. 이로 인해 상기 가지부(322)들은 피험자의 머리에 고르게 분포된 상태로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지부(322)의 일측에는 착용부(31)와 결합을 위한 결합홀(322c)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홀(322c)에 상기 제2착용부(312) 또는 제3착용부(313)의 일부분을 통과시킨 다음 상기 결합홀(322c)을 통과한 일부분이 상기 결합홀(322c)을 통과하지 않은 부분과 맞닿게 하고, 상기 맞닿는 부분에는 테이프를 감거나 접착제를 도포함으로써, 상기 가지부(322)와 제2착용부(312) 또는 상기 가지부(322)와 제3착용부(313)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기 몸체부(321)에는 통풍홀(32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지부(322)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뻗어 있음으로 인해 그 사이에도 통풍홀(322a)이 형성된다.
상기 통풍홀(321a,322a)은 몸체부(321)와 가지부(322)가 피험자의 머리와 밀착되었을 때 가지부(322)와 피험자의 머리 사이에서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의료용 센서 부착장치(30)를 사용하는 과정 중 피험자의 머리에서 땀이차 습기가 발생되는 등의 현상을 방지한다.
부가적으로, 상기 가지부(322)에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하우징(341)이 관통설치될 수 있는 고정홀(322b)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장착부(33)는 전체가 동일한 외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헤모글로빈을 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센서(10)를 구성하는 검출부(12)의 외주연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밀착부(34)는 상기 고정판(32)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장착부(33)를 고정시켜 상기 장착부(33)의 내부에 위치된 검출부(12)가 피험자의 두피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우징(341)과 가압고정부(343)로 나뉘어 구성된다.
그 중 상기 하우징(341)은 하부가 상기 가지부(322)의 고정홀(322b)에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341)의 하부는 상기 가지부(322)의 고정홀(322b)에 접착제 따위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341)은 전체가 동일한 외경을 갖는 원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부분에는 상기 장착부(33)가 수용되고 광원부(11)의 일부분이 통과되는 통과홀(341a)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형성된다.
이때, 상기 통과홀(341a)의 내경은 상기 장착부(33)의 외경보다 넓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지되, 하부 내경은 상기 장착부(33)의 외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광원부(11)의 직경보다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장착부(33)와 광원부(11)는 상기 하우징(341)의 통과홀(341a)에서 상,하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광원부(11)의 일부분만 상기 통과홀(341a)을 통과하여 상기 뇌파를 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센서(2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341)의 양측에는 상기 통과홀(341a)과 직각방향으로 연결되는 나선홀(341b)이 좌,우 방향으로 관통형성된다. 이때, 상기 나선홀(341b)은 하우징(341)상에 대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압고정부(343)는 상기와 같은 나선홀(341b)에 각각 체결되면서 상기 장착부(33)의 양측면을 가압고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고정부(343)는 머리부(3431)와, 상기 머리부(3431)의 일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머리부(343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된 몸체부(3432)로 구성된다. 즉, 상기 가압고정부(343)는 볼트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장착부(33)가 하우징(341)의 통과홀(341a)에 수용되고 광원부(11)가 뇌파를 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센서(2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머리부(3431)를 손으로 파지한 다음, 상기 몸체부(3432)가 하우징(341)의 나선홀(341b)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상기 머리부(3431)를 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몸체부(3432)는 나선홀(341b)을 따라 통과홀(341a) 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로 인해 몸체부(3432)의 끝단부가 장착부(33)의 외측면을 가압고정하게 되어 상기 광원부(11)가 뇌파를 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센서(20)의 내부공간에서 고정되면서 그 끝단부가 사용자의 두피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위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머리부(3431)를 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몸체부(3432)의 끝단부가 장착부(33)에서 이격되며, 이로 인해 상기 장착부(33)와 광원부(11)는 다시 상기 하우징(341)의 통과홀(341a)에서 상,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하우징(341)의 하부에는 상기 뇌파를 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센서(20)가 설치될 수 있는 포켓부(342)가 더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포켓부(342)는 도 5 및 도 7을 기준으로 그 상면이 가지부(322)의 저면에 위치되며, 그 저면이 피험자의 두피와 맞닿는다.
상기 포켓부(342)는 상기 하우징(341)을 성형시 하우징(341)의 하부에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포켓부(342)의 내부에는 상기 하우징(341)의 통과홀(341a)과 연결되는 수용홈(342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홈(342b)에는 상기 뇌파를 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센서(20)가 삽입고정된다.
이때, 상기 뇌파를 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센서(20)의 하단부는 포켓부(342)의 하단부와 동일선상에 위치된다. 이로 인해 상기 착용부(31)를 피험자의 머리에 착용시키면 상기 뇌파를 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센서(20)가 피험자의 두피에 밀착된다.
이때, 상기 뇌파를 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센서(20) 및 수용홈(342b)은 반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뇌파를 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센서(20)를 반구 형상으로 형성하는 이유는 상기 뇌파를 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센서(20)의 내부공간에 광원부(11)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뇌파를 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센서(20)의 상측는에 상기 하우징(341)의 통과홀(341a)과 연결되는 연결홀(20a)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341)의 통과홀(341a)을 통과한 광원부(11)의 일부분은 상기 뇌파를 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센서(20)의 내부공간에 위치되면서 그 단부가 피험자의 두피와 단순히 접촉되어 뇌 조직에 근적외선 빛을 입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켓부(342)에는 절개홈(342a)이 더 형성되며, 상기 뇌파를 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센서(20)의 일측에는 상기 절개홈(342a)에 수용되는 연결편(21)이 일체로 연장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편(21)에는 상기 분석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뇌파를 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센서(20)에서 측정된 뇌파신호를 분석장치에 전달하는 커넥터(40)가 설치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20 : 의료용 센서 11 : 광원부
12 : 검출부 20a : 연결홀
21 : 연결편 30 : 의료용 센서 부착장치
31 : 착용부 311 : 제1착용부
312 : 제2착용부 313 : 제3착용부
32 : 고정판 321,3431 : 몸체부
321a,322a : 통풍홀 322 : 가지부
322b : 고정홀 322c : 결합홀
33 : 장착부 34 : 밀착부
341 : 하우징 341a : 통과홀
341b : 나선홀 342 : 포켓부
342a : 절개홈 342b : 수용홈
343 : 가압고정부 3431 : 머리부

Claims (6)

  1. 피험자의 머리를 감싸는 착용부,
    상기 착용부에 장착되며 피험자의 머리와 밀착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헤모글로빈을 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센서 또는 뇌파를 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헤모글로빈을 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센서 또는 뇌파를 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센서가 피험자의 두피에 밀착되도록 하는 밀착부
    를 포함하는 의료용 센서 부착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헤모글로빈을 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센서의 외주연에 장착되는 장착부
    를 더 포함하는 의료용 센서 부착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고정판은,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뻗어 있으며, 고정홀이 형성된 가지부들
    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 그리고 가지부와 가지부의 사이에는 통풍홀이 형성되어 있는 의료용 센서 부착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밀착부는,
    일측이 상기 가지부의 고정홀에 설치되며 중앙부분에 상기 장착부가 수용되고 상기 헤모글로빈을 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센서의 일부분이 통과되는 통과홀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형성되며, 양측에는 상기 통과홀과 직각방향으로 연결되는 나선홀이 좌,우 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고정홀에 각각 체결되며, 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통과홀에서 장착부의 외측면을 가압고정하는 가압고정부
    를 포함하는 의료용 센서 부착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는 내부에 상기 하우징의 통과홀과 연결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포켓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포켓부에는 절개홈이 더 형성되며,
    상기 뇌파를 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센서는 포켓부의 수용홈에 삽입고정되며 그 단부가 피험자의 두피에 밀착되고,
    상기 뇌파를 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센서의 일측에는 상기 절개홈에 수용되는 연결편이 형성되는 의료용 센서 부착장치.
  6. 제4항에서,
    상기 뇌파를 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센서의 일측에는 상기 하우징의 통과홀과 연결되는 연결홀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통과홀을 통과한 헤모글로빈을 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센서는 상기 연결홀을 통과하여 상기 뇌파를 측정하기 위한 의료용 센서의 내부공간에 위치되면서 그 단부가 피험자의 두피에 밀착되는 의료용 센서 부착장치.




KR1020130002123A 2013-01-08 2013-01-08 의료용 센서 부착장치 KR101465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123A KR101465046B1 (ko) 2013-01-08 2013-01-08 의료용 센서 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123A KR101465046B1 (ko) 2013-01-08 2013-01-08 의료용 센서 부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9973A true KR20140089973A (ko) 2014-07-16
KR101465046B1 KR101465046B1 (ko) 2014-11-26

Family

ID=51737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2123A KR101465046B1 (ko) 2013-01-08 2013-01-08 의료용 센서 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504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1024A (ko) 2014-11-21 2016-05-3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탐촉자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광음향 영상 시스템
KR20160093320A (ko) 2015-01-29 2016-08-0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신호 측정장치
KR20190021933A (ko) * 2017-08-24 2019-03-06 김경모 Vr 장치 및 밴드를 이용한 뇌파 측정 시스템
JP2019141373A (ja) * 2018-02-22 2019-08-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脳機能測定装置
WO2020167086A1 (ko) * 2019-02-15 2020-08-2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기의 머리 장착용 센서 장치
WO2021080350A1 (ko) * 2019-10-22 2021-04-2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융통성 있는 광전극 배열이 가능한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기용 홀더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99965B2 (ja) 2000-11-07 2009-07-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生体光計測装置及び光導波手段保持装置
JP4254420B2 (ja) 2003-04-02 2009-04-15 株式会社島津製作所 光生体測定装置及びホルダー
JP2006223503A (ja) 2005-02-17 2006-08-31 Shimadzu Corp ホルダーおよびこれを用いた複合生体測定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1024A (ko) 2014-11-21 2016-05-3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탐촉자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광음향 영상 시스템
KR20160093320A (ko) 2015-01-29 2016-08-0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신호 측정장치
KR20190021933A (ko) * 2017-08-24 2019-03-06 김경모 Vr 장치 및 밴드를 이용한 뇌파 측정 시스템
JP2019141373A (ja) * 2018-02-22 2019-08-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脳機能測定装置
WO2020167086A1 (ko) * 2019-02-15 2020-08-2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기의 머리 장착용 센서 장치
WO2021080350A1 (ko) * 2019-10-22 2021-04-2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융통성 있는 광전극 배열이 가능한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기용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5046B1 (ko) 2014-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5046B1 (ko) 의료용 센서 부착장치
US20210015365A1 (en) Optical tomography sensor and related apparatus and methods
US11717210B2 (en) Depth of consciousness monitor including oximeter
US8326397B2 (en) Mountable unit for biological signal measurement and biological signal measuring method
TWI423785B (zh) 生理訊號蒐集單元及其探頭
US20090323267A1 (en) Optical Detector With An Overmolded Faraday Shield
US20230389871A1 (en) Eeg measuring device
JP6089568B2 (ja) 脳機能計測装置及び計測方法
KR20130063969A (ko) 근적외선 측정부재 및 이를 이용하는 뇌신호 측정장치
JP2004097590A (ja) 生体計測用プローブ、及び生体計測用プローブホルダー
CN212346548U (zh) 脑电信号和近红外光谱信号联合采集装置
CN113288137B (zh) 一种全脑域血氧检测探头
KR101745423B1 (ko) 다채널 뇌파 측정 장치
CN108463168A (zh) 生理传感装置及包括该生理传感装置的生理监护设备
CN113069120A (zh) 一种光电融合式脑电极
US20110196241A1 (en) Device for diagnosis and/or therapy of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a selected portion of a body by optical reflectance or optical transmission
JP7152756B2 (ja) 血流量測定装置
CN113855012A (zh) 一种近红外光谱成像系统及其应用
EP3892188A1 (en)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ement device
KR101676577B1 (ko) 뇌피질 뇌파와 뇌혈류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시스템 및 방법
CN111938595A (zh) 脑成像检测装置
CN215738881U (zh) 一种新生儿近红外线功能成像检测头帽
JP5150453B2 (ja) 脳波および脳血流測定用の端子
CN217219890U (zh) 经颅直流电刺激闭环系统的头环装置
CN210673325U (zh) 血氧监测仪的监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