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3639A - 고품질의 상패용 금박 인쇄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품질의 상패용 금박 인쇄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3639A
KR20230013639A KR1020230003040A KR20230003040A KR20230013639A KR 20230013639 A KR20230013639 A KR 20230013639A KR 1020230003040 A KR1020230003040 A KR 1020230003040A KR 20230003040 A KR20230003040 A KR 20230003040A KR 20230013639 A KR20230013639 A KR 20230013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an
gold
base sheet
unit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3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호
김연희
이호준
박혜경
김두영
허정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송
Publication of KR20230013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36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9/00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 out printing operations combined with other operations
    • B41F19/001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 out printing operations combined with other operations with means for coating or lami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9/00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 out printing operations combined with other operations
    • B41F19/002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 out printing operations combined with other operations with means for applying specific material other than ink
    • B41F19/005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 out printing operations combined with other operations with means for applying specific material other than ink with means for applying metallic, conductive or chargea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9/00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 out printing operations combined with other operations
    • B41F19/008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 out printing operations combined with other operations with means for stamping or cutting o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Abstract

본 개시는, 금박 인쇄물 제조방법에 있어서, 이미지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안 입력값에 기초하여, 인쇄될 시안 정보를 생성하는 시안 제작 단계; 상기 시안 제작 단계에서 생성된 시안 정보를 제1 베이스시트 상에 인쇄하여 시안 인쇄물을 형성하는 시안 인쇄 단계; 상기 시안 인쇄 단계에서 인쇄될 시안 정보에 대응되는 크기의 금박을 제2 베이스시트 상에 코팅하여 금박 코팅물을 형성하는 금박 코팅 단계; 및 상기 시안 인쇄물 및 상기 금박 코팅물을 상호 접착하여 제작품을 형성하는 접착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시안 인쇄물은, 상기 제1 베이스시트에 의해 형성된 제1 베이스층, 및 상기 제1 베이스층의 일면에 형성된 시안 인쇄층을 포함하고, 상기 금박 코팅물은, 상기 제2 베이스시트에 의해 형성된 제2 베이스층, 및 상기 제2 베이스층의 표면에 코팅된 금박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작품의 금박층의 표면은 상기 제1 베이스층 및 상기 제2 베이스층 사이에서 상기 제2 베이스층의 타면에 접착되고, 상기 제작품의 시안 인쇄층은 상기 제1 베이스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금박층의 반대면에 위치되는 것인, 금박 인쇄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품질의 상패용 금박 인쇄물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PRINT MATTER WITH GOLD LEAF FOR HIGH QUALITY PLAQUE}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금박 인쇄물 제조방법, 금박 인쇄물 제조장치 및 금박 인쇄물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문자나 이미지와 같은 문양을 금속을 박막 상에 인쇄하여 명함, 카드, 기념패, 상패 등과 같은 인쇄물로 형성하면, 고급스러운 미감을 줄 수 있어 다양한 형태의 금박 인쇄물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금박 인쇄물을 형성하기 위해 인쇄문양이 양각으로 마련된 인쇄금형이 이용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금박인쇄는 문양에 따라 별도의 인쇄금형을 마련해야 하므로, 많은 비용이 소요되었으며, 인쇄하고자 하는 문양의 정밀도에 따라 인쇄금형의 제작 비용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뿐만 아니라, 제작된 인쇄금형을 이용하여 반복 인쇄하면 금형의 형상이 변형되어 문양이 제대로 인쇄되지 않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69210호(2019.04.09)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전술한 종래의 금박 인쇄 방법의 문제점들을 개선한 금박 인쇄물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쇄 품질이 향상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금박 인쇄물 제조방법 및 금박 인쇄물 제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사항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 설명할 다양한 실시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금박 인쇄물 제조방법에 있어서, 이미지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안 입력값에 기초하여, 인쇄될 시안 정보를 생성하는 시안 제작 단계; 상기 시안 제작 단계에서 생성된 시안 정보를 제1 베이스시트 상에 인쇄하여 시안 인쇄물을 형성하는 시안 인쇄 단계; 상기 시안 인쇄 단계에서 인쇄될 시안 정보에 대응되는 크기의 금박을 제2 베이스시트 상에 코팅하여 금박 코팅물을 형성하는 금박 코팅 단계; 및 상기 시안 인쇄물 및 상기 금박 코팅물을 상호 접착하여 제작품을 형성하는 접착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시안 인쇄물은, 상기 제1 베이스시트에 의해 형성된 제1 베이스층, 및 상기 제1 베이스층의 일면에 형성된 시안 인쇄층을 포함하고, 상기 금박 코팅물은, 상기 제2 베이스시트에 의해 형성된 제2 베이스층, 상기 제2 베이스층의 표면에 코팅된 금박층, 및 상기 제2 베이스층과의 사이에 상기 금박층을 개재하여 코팅하는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작품의 코팅층의 표면은 상기 제1 베이스층의 타면에 접착되고, 상기 제작품의 시안 인쇄층은 상기 제1 베이스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금박코팅물의 반대면에 위치되는 것인, 금박 인쇄물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시안 인쇄 단계는, 복수의 시안 정보를 단일의 제1 베이스시트에 동시에 인쇄하는 시안 동시 인쇄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금박 코팅 단계에서 상기 제2 베이스시트 상에 코팅되는 금박의 개수 및 위치는 상기 시안 동시 인쇄 단계에서 인쇄될 복수의 시안 정보의 개수 및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시안 인쇄 단계, 상기 금박 코팅 단계 및 상기 접착 단계는 금박 인쇄물 제조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금박 인쇄물 제조장치는, 상기 제1 베이스시트를 기 결정된 방향으로 연속 공급하는 제1 시트공급부; 공급된 상기 제1 베이스시트 상의 일부에 상기 복수의 시안 정보를 동시에 인쇄하여 상기 시안 인쇄물을 형성하는 시안 인쇄부; 상기 제2 베이스시트를 기 결정된 방향으로 연속 공급하는 제2 시트공급부; 상기 제1 베이스시트 상에 인쇄될 상기 복수의 시안 정보의 개수 및 위치에 기초하여, 공급된 상기 제2 베이스시트 상의 일부에 복수의 금박을 공급하는 금박 공급부; 공급된 상기 복수의 금박을 상기 제2 베이스시트 상에 코팅하여 상기 금박 코팅물을 형성하는 금박 코팅부; 및 상기 시안 인쇄물 및 상기 금박 코팅물을 상호 접착하는 가압 접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박 인쇄물 제조장치는, 상기 제1 베이스시트의 공급 방향에 있어서 상기 시안 인쇄부의 하류측에 위치되고, 공급되는 상기 제1 베이스시트 상의 상기 시안 인쇄물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1 위치감지부; 상기 제2 베이스시트의 공급 방향에 있어서 상기 금박 코팅부의 하류측에 위치되고, 공급되는 상기 제2 베이스시트 상의 상기 금박 코팅물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2 위치감지부; 상기 제1 베이스시트 및 상기 제2 베이스시트 각각의 공급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위치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시안 인쇄물의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금박 코팅물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베이스시트 및 상기 제2 베이스시트 중 적어도 하나의 공급을 제어하고, 상기 시안 인쇄물 및 상기 금박 코팅물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가압 접착부에 동시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금박 인쇄물 제조장치는, 상기 제1 베이스시트 및 상기 제2 베이스시트의 공급 방향에 있어서 상기 가압 접착부의 하류측에 위치되고, 상기 시안 인쇄물 및 상기 금박 코팅물의 접착물을 개별 제작품으로 절단하는 완성품절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완성품절단부는, 상호 접착된 상기 시안 인쇄물 및 상기 금박 코팅물이 안착되는 안착테이블; 상기 시안 인쇄물 및 상기 금박 코팅물의 접착물을 지면에 평행한 제1 방향으로 절단하기 위한 제1 절단기; 및 상기 시안 인쇄물 및 상기 금박 코팅물의 접착물을 지면에 평행하고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절단하기 위한 제2 절단기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테이블은, 지면에 평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 테이블몸체; 상기 테이블몸체 상에 위치된 절단안착부로서, 상기 절단안착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절단안착부의 상면에는 절단될 상기 시안 인쇄물 및 상기 금박 코팅물의 접착물이 안착되는 것인, 절단안착부; 및 상기 테이블몸체의 하면에 결합되고, 부압을 발생시켜 상기 절단안착부에 안착된 시안 인쇄물 및 상기 금박 코팅물의 접착물을 하방으로 흡착 유지하는 흡착유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박 공급부는, 연속 공급되는 상기 제2 베이스시트 상에 배치되는 공급하우징; 상기 공급하우징의 상부에 마련된 제1 카세트로서, 상기 제1 카세트에는 복수 개의 직사각형 금박이 제1 배치구조로 적층 수납되고, 상기 제1 카세트는 수납된 복수 개의 금박 중 최하단의 금박을 상기 제2 베이스시트 상에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제1 카세트; 및 상기 공급하우징의 상부에 마련된 제2 카세트로서, 상기 제2 카세트에는 복수 개의 직사각형 금박이 제2 배치구조로 적층 수납되고, 상기 제2 카세트는 수납된 복수 개의 금박 중 최하단의 금박을 상기 제2 베이스시트 상에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제2 카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카세트 및 상기 제2 카세트 각각은, 상기 공급하우징의 상면에서 상기 제2 베이스시트의 공급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배치구조로 위치된 복수 개의 직사각형 금박은 장축이 상기 제2 베이스시트의 공급 방향을 따라 위치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배치구조로 위치된 복수 개의 직사각형 금박은 장축이 상기 제1 카세트(320) 및 상기 제2 카세트의 직선 이동 방향을 따라 위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베이스시트를 기 결정된 방향으로 연속 공급하는 제1 시트공급부; 공급된 상기 제1 베이스시트 상의 일부에 기 제작된 복수의 시안 정보를 동시에 인쇄하여 시안 인쇄물을 형성하는 시안 인쇄부; 제2 베이스시트를 기 결정된 방향으로 연속 공급하는 제2 시트공급부; 상기 제1 베이스시트 상에 인쇄될 상기 복수의 시안 정보의 개수 및 위치에 기초하여, 공급된 상기 제2 베이스시트 상의 일부에 복수의 금박을 공급하는 금박 공급부; 공급된 상기 복수의 금박을 상기 제2 베이스시트 상에 코팅하여 금박 코팅물을 형성하는 금박 코팅부; 및 상기 시안 인쇄물 및 상기 금박 코팅물을 상호 접착하는 가압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이스시트의 공급 방향에 있어서, 상기 시안 인쇄부는 상기 제1 시트공급부의 하류에 위치되고, 상기 제2 베이스시트의 공급 방향에 있어서, 상기 금박 공급부는 상기 제2 시트공급부의 하류에 위치되고, 상기 금박 코팅부는 상기 금박 공급부의 하류에 위치되는 것인, 금박 인쇄물 제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금박 인쇄물 제조장치는, 상기 제1 베이스시트의 공급 방향에 있어서 상기 시안 인쇄부의 하류측에 위치되고, 공급되는 상기 제1 베이스시트 상의 상기 시안 인쇄물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1 위치감지부; 상기 제2 베이스시트의 공급 방향에 있어서 상기 금박 코팅부의 하류측에 위치되고, 공급되는 상기 제2 베이스시트 상의 상기 금박 코팅물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2 위치감지부; 상기 제1 베이스시트 및 상기 제2 베이스시트 각각의 공급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위치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시안 인쇄물의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금박 코팅물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베이스시트 및 상기 제2 베이스시트 중 적어도 하나의 공급을 제어하고, 상기 시안 인쇄물 및 상기 금박 코팅물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가압 접착부에 동시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금박 인쇄물 제조장치는, 상기 제1 베이스시트 및 상기 제2 베이스시트의 공급 방향에 있어서 상기 가압 접착부의 하류측에 위치되고, 상기 시안 인쇄물 및 상기 금박 코팅물의 접착물을 개별 제작품으로 절단하는 완성품절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완성품절단부는, 상호 접착된 상기 시안 인쇄물 및 상기 금박 코팅물이 안착되는 안착테이블; 상기 시안 인쇄물 및 상기 금박 코팅물의 접착물을 지면에 평행한 제1 방향으로 절단하기 위한 제1 절단기; 및 상기 시안 인쇄물 및 상기 금박 코팅물의 접착물을 지면에 평행하고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절단하기 위한 제2 절단기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테이블은, 지면에 평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 테이블몸체; 상기 테이블몸체 상에 위치된 절단안착부로서, 상기 절단안착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절단안착부의 상면에는 절단될 상기 시안 인쇄물 및 상기 금박 코팅물의 접착물이 안착되는 것인, 절단안착부; 및 상기 테이블몸체의 하면에 결합되고, 부압을 발생시켜 상기 절단안착부에 안착된 시안 인쇄물 및 상기 금박 코팅물의 접착물을 하방으로 흡착 유지하는 흡착유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안 입력값에 기초하여, 인쇄될 복수의 시안 정보를 생성하는 시안 제작부; 제1 베이스시트를 기 결정된 방향으로 연속 공급하는 제1 시트공급부; 공급된 상기 제1 베이스시트 상의 일부에 상기 시안 제작부에서 제작된 복수의 시안 정보를 동시에 인쇄하여 시안 인쇄물을 형성하는 시안 인쇄부; 제2 베이스시트를 기 결정된 방향으로 연속 공급하는 제2 시트공급부; 상기 제1 베이스시트 상에 인쇄될 상기 복수의 시안 정보의 개수 및 위치에 기초하여, 공급된 상기 제2 베이스시트 상의 일부에 복수의 금박을 공급하는 금박 공급부; 공급된 상기 복수의 금박을 상기 제2 베이스시트 상에 코팅하여 금박 코팅물을 형성하는 금박 코팅부; 상기 시안 인쇄물 및 상기 금박 코팅물을 상호 접착하는 가압 접착부; 및 상기 제1 시트공급부, 상기 시안 인쇄부, 상기 제2 시트공급부, 상기 금박 공급부, 상기 금박 코팅부 및 상기 가압 접착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이스시트의 공급 방향에 있어서, 상기 시안 인쇄부는 상기 제1 시트공급부의 하류에 위치되고, 상기 제2 베이스시트의 공급 방향에 있어서, 상기 금박 공급부는 상기 제2 시트공급부의 하류에 위치되고, 상기 금박 코팅부는 상기 금박 공급부의 하류에 위치되는 것인, 금박 인쇄물 제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금박 인쇄물 제조 시스템은, 외부의 관리자 단말과 무선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관리자 단말에 의해 원격 제어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금박 표면에 원하는 텍스트 및 이미지가 고품질로 인쇄되고 내구성이 향상된 금박 인쇄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금박 인쇄물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축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금박 인쇄물 제조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된, 첨부 도면은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다양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박 인쇄물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박 인쇄물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박 인쇄물 제조방법에 의해 형성된 제작품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박 인쇄물 제조방법이 수행되는 금박 인쇄물 제조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부분의 제1 베이스시트 상면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금박 인쇄물 제조장치의 금박 공급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금박 공급부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6에 도시된 금박 공급부에 포함된 카세트의 제1 작동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6에 도시된 금박 공급부에 포함된 카세트의 제2 작동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카세트에 포함된 인출가이더의 상면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4에 도시된 금박 인쇄물 제조장치의 완성품절단부에 포함된 안착테이블의 상면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12는 도 11의 I-I 단면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도 4에 도시된 금박 인쇄물 제조장치의 원격 제어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개시와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박 인쇄물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박 인쇄물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박 인쇄물 제조방법에 의해 형성된 제작품(7)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박 인쇄물 제조방법은, 시안 제작 단계(S10), 시안 인쇄 단계(S20), 금박 코팅 단계(S40), 및 접착 단계(S60)를 포함할 수 있다.
시안 제작 단계(S10)에서, 이미지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안 입력값에 기초하여, 인쇄될 시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시안 인쇄 단계(S20)에서, 시안 제작 단계(S10)에서 생성된 시안 정보를 제1 베이스시트(1) 상에 인쇄하여 시안 인쇄물(3)을 형성할 수 있다. 금박 코팅 단계(S40)에서, 시안 인쇄 단계(S20)에서 인쇄될 시안 정보에 대응되는 크기의 금박을 제2 베이스시트(2) 상에 코팅하여 금박 코팅물(4)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금박 코팅 단계(S40)에서, 제2 베이스시트(2) 상에 배치된 금박을 감싸도록 코팅시트가 공급될 수 있고, 금박은 제2 베이스시트(2)와 코팅물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코팅될 수 있다. 접착 단계(S60)에서, 시안 인쇄물(3) 및 금박 코팅물(4)을 상호 접착하여 제작품(7)을 형성할 수 있다.
시안 인쇄물(3)은, 제1 베이스시트(1)에 의해 형성된 제1 베이스층(3a), 및 제1 베이스층(3a)의 표면에 형성된 시안 인쇄층(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이스층(3a)의 배면에는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을 수 있다.
금박 코팅물(4)은, 제2 베이스시트(2)에 의해 형성된 제2 베이스층(4a), 제2 베이스층(4a)의 표면에 코팅된 금박층(4b) 및 제2 베이스층(4a)과의 사이에 금박층(4b)을 개재한 코팅층(4c)을 포함할 수 있다.
제작품(7)의 금박층(4b) 일면은 제2 베이스층(4a)의 표면에 접착되고, 금박층(4b) 타면은 코팅층(4c)의 배면에 접착될 수 있다. 제작품(7)의 제1 베이스층(3a)은 코팅층(4c)을 사이에 두고 금박층(4b)의 반대면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시안 인쇄층(3b)이 제1 베이스층(3a)의 표면에 형성될 때, 제1 베이스층(3a)의 배면은 코팅층(4c)의 표면에 접착될 수 있다.
상술한 제1 베이스시트(1) 및 제2 베이스시트(2)는 각각 연속 공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박 인쇄물 제조방법은, 제1 베이스시트(1) 및 제2 베이스시트(2) 중 적어도 하나의 공급여부를 조절하는 공급 보정 단계(S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급 보정 단계(S50)에서, 연속 공급되는 제1 베이스시트(1) 상에 시안 정보가 인쇄되어 형성된 시안 인쇄물(3), 및 제2 베이스시트(2) 상에 금박이 공급되어 형성된 금박 코팅물(4) 상호간이 대향하도록, 제1 베이스시트(1) 및 제2 베이스시트(2)의 연속 공급여부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베이스시트(1)는 일 경로를 따라 연속 공급될 수 있고, 제2 베이스시트(2)는 다른 경로를 따라 연속 공급될 수 있다. 이 때, 제1 베이스시트(1) 및 제2 베이스시트(2)는 각각의 공급 방향 하류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될 수 있고, 상술한 접착 단계(S60)에서는 서로 대면하여 접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접착 단계(S60)에서 점착제가 도포된 제1 베이스층(3a)의 배면과 코팅층(4c)의 표면이 상호 대면 접촉되어 접착될 수 있다.
이 때, 제1 베이스시트(1) 상에 마련된 시안 인쇄물(3)과 제2 베이스시트(2) 상에 마련된 금박 코팅물(4)은, 공급 보정 단계(S50)를 통해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될 수 있고, 제1 베이스시트(1)와 제2 베이스시트(2) 상호 간의 접착 과정에서 시안 인쇄물(3) 및 금박 코팅물(4)이 상호 대응되어 접착될 수 있다.
시안 인쇄 단계(S20)는, 복수의 시안 정보를 단일의 제1 베이스시트(1)에 동시에 인쇄하는 시안 동시 인쇄 단계(S2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베이스시트(1)는 공급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기 결정된 폭 크기를 가질 수 있고, 제1 베이스시트(1) 상에 시안 정보가 인쇄될 위치에서 제1 베이스시트(1)의 폭 크기 내에 두 개 이상의 시안 정보가 동시에 인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박 인쇄물 제조방법은, 연속 공급되는 제2 베이스시트(2) 상에 적어도 하나의 금박을 공급하는 금박 공급 단계(S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금박 공급 단계(S30)에서, 제2 베이스시트(2) 상에 공급되는 금박의 개수 및 위치는 시안 동시 인쇄 단계(S21)에서 인쇄될 복수의 시안 정보의 개수 및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안 인쇄 단계(S20)에서 제1 베이스시트(1)의 특정 위치에 두 개의 시안 정보가 동시 인쇄된 경우, 금박 공급 단계(S30)에서는 제2 베이스시트(2) 상에 두 개의 금박이 공급될 수 있고, 공급된 두 개의 금박의 제2 베이스시트(2) 상에서의 위치는 후속될 접착 단계(S60)에서 제1 베이스시트(1)와 대면하였을 때 인쇄된 시안 정보의 위치와 각각 대응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아래 도 5에 대한 설명에서 더욱 상세히 서술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박 인쇄물 제조방법은, 접착 단계(S60)에서 상호 접착된 복수의 시안 정보가 포함된 시안 인쇄물(3)과 복수의 금박이 포함된 금박 코팅물(4)을 개별 제작품(7)으로 재단하는 제작품 커팅 단계(S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각이 상호 대면하여 부착된 복수의 시안 정보 및 복수의 금박은 제작품 커팅 단계(S70)를 통해 개별 제작품(7)으로 절단될 수 있다.
상술한 제1 베이스시트(1) 및 제2 베이스시트(2)는 쉽게 변형되거나 늘어나지 않는 플라스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트(PET; Polyethylen Terephthalate)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투명 PVC(Polyvinyl Chloride; 염화비닐) 등의 비닐 수지나 그밖의 다른 플라스틱 수지(예를 들면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ABS 등)도 사용될 수 있다. 제1 베이스시트(1)의 두께는 30㎛ 정도가 바람직하고, 제2 베이스시트(2)의 두께는 100㎛ 정도가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금박은 순금(바람직하기로는 99.9% 이상)을 얇게 펴서 형성한 박판으로서, 두께는 약 3~4㎛정도가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안 인쇄층(3b)은 제1 베이스시트(1) 상에 글자, 그림 등이 인쇄된 층으로서, UV(Ultraviolet) 잉크로 인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UV 잉크는 햇빛에 노출되었을 때에도 색을 잘 발현할 수 있고 인쇄 바탕지에 점착되는 특징을 지니므로 제1 베이스시트(1) 상에 인쇄하기에 적합하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박 인쇄물 제조방법이 수행되는 금박 인쇄물 제조장치(10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박 인쇄물 제조방법은 금박 인쇄물 제조장치(10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금박 인쇄물 제조장치(1000)는, 제1 시트공급부(110), 시안 인쇄부(20), 제2 시트공급부(120), 금박 공급부(30), 금박 코팅부(40) 및 가압 접착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시안 인쇄 단계(S20)는 시안 인쇄부(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금박 공급 단계(S30)는 금박 공급부(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금박 코팅 단계(S40)는 금박 코팅부(40)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접착 단계(S60)는 가압 접착부(5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1 시트공급부(110)는 제1 베이스시트(1)를 기 결정된 방향으로 연속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시안 인쇄부(20)는, 공급된 제1 베이스시트(1) 상의 일부에 복수의 시안 정보를 동시에 인쇄하여 시안 인쇄물(3)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시트공급부(120)는 제2 베이스시트(2)를 기 결정된 방향으로 연속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금박 공급부(30)는, 제1 베이스시트(1) 상에 인쇄될 복수의 시안 정보의 개수 및 위치에 기초하여, 공급된 제2 베이스시트(2) 상의 일부에 복수의 금박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금박 코팅부(40)는, 공급된 복수의 금박을 제2 베이스시트(2) 상에 코팅하여 금박 코팅물(4)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압 접착부(50)는, 시안 인쇄물(3) 및 금박 코팅물(4)을 상호 접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베이스시트(1)의 공급 방향에 있어서, 시안 인쇄부(20)는 제1 시트공급부(110)의 하류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베이스시트(2)의 공급 방향에 있어서, 금박 공급부(30)는 제2 시트공급부(120)의 하류에 위치될 수 있고, 금박 코팅부(40)는 금박 공급부(30)의 하류에 위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박 인쇄물 제조장치(1000)는, 금박 코팅부(40)로 이송되는 제2 베이스시트(2) 상에 코팅시트를 공급하는 코팅시트 공급부(4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코팅시트 공급부(410)는 제2 베이스시트(2)의 공급 방향에 있어서 금박 코팅부(40)의 바로 상류에 위치될 수 있다.
코팅시트 공급부(410)에 의해 공급되는 코팅시트는 제2 베이스시트(2)와 대응되는 폭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2 베이스시트(2)의 공급 방향에 있어서 제2 베이스시트(2) 상에 공급된 복수의 금박을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코팅시트의 길이(제2 베이스시트(2) 공급 방향 크기)는 금박의 제2 베이스시트(2) 공급 방향 크기보다 기 설정된 길이만큼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의 금박은 제2 베이스시트(2)와 코팅시트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금박 코팅부(40)는 제2 베이스시트(2), 금박 및 코팅시트를 가열하며 코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금박 코팅물(4)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박 인쇄물 제조장치(1000)는 제1 위치감지부(610), 제2 위치감지부(620) 및 제어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위치감지부(610)는, 제1 베이스시트(1)의 공급 방향에 있어서 시안 인쇄부(20)의 하류측에 위치될 수 있고, 공급되는 제1 베이스시트(1) 상의 시안 인쇄물(3)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속으로 공급되는 제1 베이스시트(1) 상에는 공급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의 시안 인쇄물(3)이 형성될 수 있고, 제1 위치감지부(610)는 제1 베이스시트(1) 상에 형성되어 제1 위치감지부(610)를 통과하는 시안 인쇄물(3)을 감지할 수 있다.
제2 위치감지부(620)는, 제2 베이스시트(2)의 공급 방향에 있어서 금박 코팅부(40)의 하류측에 위치될 수 있고, 공급되는 제2 베이스시트(2) 상의 금박 코팅물(4)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속으로 공급되는 제2 베이스시트(2) 상에는 공급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의 금박 코팅물(4)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위치감지부(620)는 제2 베이스시트(2) 상에 형성되어 제2 위치감지부(620)를 통과하는 금박 코팅물(4)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제1 베이스시트(1) 및 제2 베이스시트(2) 각각의 공급여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70)는, 제1 위치감지부(610)에서 감지된 시안 인쇄물(3)의 위치 및 제2 위치감지부(620)에서 감지된 금박 코팅물(4)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1 베이스시트(1) 및 제2 베이스시트(2) 중 적어도 하나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베이스시트(1)와 제2 베이스시트(2)가 각각 연속 공급되는 과정에서, 시안 인쇄물(3) 및 금박 코팅물(4)은 가압 접착부(50)에 동시에 공급될 수 있다. 즉, 시안 인쇄물(3) 및 금박 코팅물(4)은 서로 대면하도록 위치된 상태로 가압 접착부(50)에 공급될 수 있다.
금박 인쇄물 제조장치(1000)는, 제1 시트공급부(110)의 공급 방향 하류에 위치되어 제1 베이스시트(1)의 연속 공급을 안내하는 한 쌍의 제1 공급롤러(920), 그리고 제1 베이스시트(1)의 공급 경로 상에 배치되어 제1 베이스시트(1)의 공급을 안내하는 제1-1 안내롤러(911), 제1-2 안내롤러(912) 및 제1-3 안내롤러(9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안내롤러(911), 제1-2 안내롤러(912) 및 제1-3 안내롤러(913)는 각각 제1 베이스시트(1)의 일측 또는 타측면에 접촉되어 제1 베이스시트(1)의 공급 방향을 전화할 수 있다.
제1-1 안내롤러(911)는, 제1 시트공급부(110)와 제1 공급롤러(920) 사이에 배치되어 연속 공급되는 제1 베이스시트(1)의 공급을 안내할 수 있다. 제1-2 안내롤러(912)는, 시안 인쇄부(20)와 제1 위치감지부(610) 사이에 배치되어 연속 공급되는 제1 베이스시트(1)의 공급을 안내할 수 있다. 제1-3 안내롤러(913)는, 제1 위치감지부(610)와 가압 접착부(50) 사이에 배치되어 연속 공급되는 제1 베이스시트(1)의 공급을 안내할 수 있다.
금박 인쇄물 제조장치(1000)는, 제2 시트공급부(120)의 공급 방향 하류에 위치되어 제2 베이스시트(2)의 연속 공급을 안내하는 한 쌍의 제2 공급롤러(940), 그리고 제2 베이스시트(2)의 공급 경로 상에 배치되어 제2 베이스시트(2)의 공급을 안내하는 제2-1 안내롤러(931), 제2-2 안내롤러(932) 및 제2-3 안내롤러(9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1 안내롤러(931), 제2-2 안내롤러(932) 및 제2-3 안내롤러(933)는 각각 제2 베이스시트(2)의 일측 또는 타측면에 접촉되어 제2 베이스시트(2)의 공급 방향을 전화할 수 있다.
제2-1 안내롤러(931)는, 제2 시트공급부(120)와 제2 공급롤러(940) 사이에 배치되어 연속 공급되는 제2 베이스시트(2)의 공급을 안내할 수 있다. 제2-2 안내롤러(932)는, 금박 코팅부(40)와 제2 위치감지부(620) 사이에 배치되어 연속 공급되는 제2 베이스시트(2)의 공급을 안내할 수 있다. 제2-3 안내롤러(933)는, 제2 위치감지부(620)와 가압 접착부(50) 사이에 배치되어 연속 공급되는 제2 베이스시트(2)의 공급을 안내할 수 있다.
가압 접착부(50) 내에는 한 쌍의 가압롤러(미도시 됨)가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압롤러에 의해 시안 인쇄물(3) 및 금박 코팅물(4)에 소정 압력이 가해질 수 있고, 이를 통해, 시안 인쇄물(3)과 금박 코팅물(4)이 상호 가압 접착되어 제작품(7)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베이스시트(3)의 배면에는 점착제가 미리 도포되어 있을 수 있고, 점착제가 도포된 제1 베이스층(3a)의 배면과 코팅층(4c)의 표면이 가압 접착부(50)를 통과하며 상호 대면 접촉되어 접착될 수 있다.
시안 인쇄물(3) 및 금박 코팅물(4)이 한 쌍의 가압롤러에 의해 가압되며 접착되는바, 시안 인쇄물(3) 및 금박 코팅물(4)의 사이에는 기포가 잔존하지 않을 수 있고, 시안 인쇄물(3) 및 금박 코팅물(4)의 접착물(6) 표면에 기포에 의해 볼록부가 형성되거나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박 인쇄물 제조장치(1000)는, 제1 베이스시트(1) 및 제2 베이스시트(2)의 공급 방향에 있어서 가압 접착부(50)의 하류측에 위치되고, 시안 인쇄물(3) 및 금박 코팅물(4)의 접착물(6)을 개별 제작품(7)으로 절단하는 완성품절단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부분의 제1 베이스시트(1) 상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시안 인쇄부(20)에서 제1 베이스시트(1) 상에 형성된 복수의 시안 정보가 도시되어 있다. 즉, 제1 베이스시트(1) 상에 시안 정보가 인쇄될 위치에서 제1 베이스시트(1)의 폭 크기 내에 두 개의 시안 정보(A, B)가 동시에 인쇄될 수 있다.
각 시안 정보는 제1 베이스시트(1) 상에 직사각 형상으로 인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안 정보 A는 장방향이 제1 베이스시트(1) 이송 방향을 따라 놓이도록 배치될 수 있고, 시안 정보 B는 장방향이 제1 베이스시트(1) 이송 방향에 직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베이스시트(1)의 일 위치에서 단일 폭 내에 인쇄된 복수의 시안 정보 상호간은 기 결정된 크기 이상의 거리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금박 인쇄물 제조장치(1000)의 금박 공급부(3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금박 공급부(30)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금박 공급부(30)는 공급하우징(310), 제1 카세트(320) 및 제2 카세트(33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하우징(310)은 연속 공급되는 제2 베이스시트(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공급하우징(310)은 제2 베이스시트(2)를 사이에 두고 제2-1 안내롤러(93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카세트(320)는 공급하우징(31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고, 제1 카세트(320)에는 복수 개의 직사각형 금박(5)이 제1 배치구조로 적층 수납될 수 있다. 제1 카세트(320)는 수납된 복수 개의 금박(5) 중 최하단의 금박(5a)을 제2 베이스시트(2) 상에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카세트(330)는 공급하우징(31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고, 제2 카세트(330)에는 복수 개의 직사각형 금박(5)이 제2 배치구조로 적층 수납될 수 있다. 제2 카세트(330)는 수납된 복수 개의 금박(5) 중 최하단의 금박(5b)을 제2 베이스시트(2) 상에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급하우징(310)의 전방면(공급하우징(310)에서 제2 베이스시트(2)가 공급되는 방향 외면)에는, 제1 카세트(320) 및 제2 카세트(330)에서 인출된 금박이 배출되는 배출구(312)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공급하우징(310)의 전방면 하부에는 배출구(312)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연장 형성된 배출플레이트(311)가 마련될 수 있다. 배출플레이트(311)는 제2 베이스시트(2)의 상면 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카세트(320)는 공급하우징(310)의 상면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카세트(330)는 공급하우징(310)의 상면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카세트(320) 및 제2 카세트(330) 각각은, 공급하우징(310)의 상면에서 제2 베이스시트(2)의 공급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카세트(320) 및 제2 카세트(330)는 각각 제1-1 안내롤러(911)의 회전축을 따라 수평 이동될 수 있다.
공급하우징(310)의 상면에는 제1-1 안내롤러(911)의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제1 위치조절홈(316) 및 제2 위치조절홈(317)이 각각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 위치조절홈(316)은 공급하우징(310)의 상면의 후방측에 마련될 수 있고, 제2 위치조절홈(317)은 공급하우징(310)의 상면의 전방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위치조절홈(316) 및 제2 위치조절홈(317)은 공급하우징(310)의 상면 일부가 내측으로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방으로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위치조절홈(316) 내에는 제1-1 안내롤러(911)의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 위치조절샤프트(318) 및 제1 가이드샤프트(미도시 됨)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위치조절샤프트(318)의 외주면에는, 제1 카세트(320)의 하부와 나사 결합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샤프트는 제1 카세트(320)의 하부를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고, 제1 가이드샤프트 및 제1 위치조절샤프트(318)는 서로 평행한 상태에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2 위치조절홈(317) 내에는 제1-1 안내롤러(911)의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 위치조절샤프트(319) 및 제2 가이드샤프트(미도시 됨)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위치조절샤프트(319)의 외주면에는, 제2 카세트(330)의 하부와 나사 결합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샤프트는 제2 카세트(330)의 하부를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고, 제2 가이드샤프트 및 제2 위치조절샤프트(319)는 서로 평행한 상태에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1 위치조절샤프트(318) 및 제2 위치조절샤프트(319)는 각각 위치조절모터(미도시 됨)의 작동에 의해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샤프트 및 제2 가이드샤프트는, 각각 제1 카세트(320) 및 제2 카세트(330)가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여 제1 카세트(320) 및 제2 카세트(330)의 직선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제1 카세트(320)의 하부 일부는 제1 위치조절홈(316) 내에 삽입 위치될 수 있고, 제2 카세트(330)의 하부 일부는 제2 위치조절홈(317) 내에 삽입 위치될 수 있다. 위치조절모터의 작동에 의해, 제1 카세트(320) 및 제2 카세트(330)는 각각 제1 위치조절샤프트(318) 및 제2 위치조절샤프트(319)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될 수 있다.
제1 배치구조로 위치된 복수 개의 직사각형 금박은 장축이 제2 베이스시트(2)의 공급 방향을 따라 위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배치구조로 위치된 복수 개의 직사각형 금박(5)은 장축이 제1 카세트(320) 및 제2 카세트(330)의 직선 이동 방향을 따라 위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금박 공급부(30)는, 공급하우징(310)의 전방에 배치된 접착제분사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착제분사부(340)는 제2 베이스시트(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베이스시트(2)의 상면 일부를 향해 접착제를 분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접착제분사부(340)는 제2 베이스시트(2)의 상면 중 배출플레이트(311)의 바로 전방 위치에 접착제를 분사할 수 있다.
제1 카세트(320) 및 제2 카세트(330)에서 배출된 적어도 하나의 금박(5)은 제2 베이스시트(2) 상에서 접착제가 분사된 위치에 공급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금박(5)은 접착제를 통해 제2 베이스시트(2) 상에 고정될 수 있다.
공급하우징(310)에는, 공급하우징(310)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제1 공급통로(313) 및 제2 공급통로(314)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공급통로(313)는 제1 위치조절홈(316) 및 제1 카세트(320)의 전방에 마련될 수 있고, 제2 공급통로(314)는 제2 위치조절홈(317) 및 제2 카세트(330)의 전방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공급하우징(310)의 하부에는 상술한 배출구(312)로 연통되는 배출통로(315)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공급통로(313) 및 제2 공급통로(314)의 하단은 배출통로(315)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카세트(320)에서 인출된 금박(5a)은 제1 공급통로(313) 및 배출통로(315)를 통해 배출구(312)로 배출될 수 있고, 제2 카세트(330)에서 인출된 금박(5b)은 제2 공급통로(314) 및 배출통로(315)를 통해 배출구(312)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제1 공급통로(313) 및 제2 공급통로(314) 각각의 바닥면은, 공급하우징(31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공급하우징(310)의 전방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공급통로(313) 및 제2 공급통로(314) 각각의 바닥면은, 공급하우징(310)의 횡단면(에를 들어 도 7)에서 볼 때 만곡되어 형성될 수 있고, 공급하우징(31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곡률반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카세트(320)와 제2 카세트(330)에서 인출된 금박(5a, 5b)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금박 공급부(30)에 포함된 카세트의 제1 작동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6에 도시된 금박 공급부(30)에 포함된 카세트의 제2 작동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카세트에 포함된 인출가이더(323)의 상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카세트(320)는, 중공 형성된 제1 케이스(321), 제1 케이스(321)의 전방면에 마련된 제1 인출모듈(322), 제1 케이스(321) 내에 마련된 인출가이더(323), 인출가이더(323)에 나사 결합된 전후진샤프트(324), 및 전후진샤프트(324)를 회전시키는 전후진모터(3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케이스(321) 내에는 복수의 금박(5)이 수납될 수 있다.
제1 케이스(321)의 하단부에는 가이드블록(3212)가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블록(3212)에는 제1 위치조절샤프트(318) 및 제1 가이드샤프트가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인출가이더(323)는 제1 케이스(321)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인출가이더(323)는 제1 케이스(321) 내에 수납된 복수의 금박(5) 중 최하단의 금박(5a)이 안착되는 안착부(3231), 및 안찰부의 하면에 마련된 전후진블록(3232)을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3231)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후진샤프트(324)는 제1 케이스(321) 내에서 전후 방향(제1 베이스시트(1)의 공급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전후진샤프트(324)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전후진블록(3232)에는 전후진샤프트(324)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전후진모터(325)는 제1 케이스(321)의 후측벽 외면에 마련되어 전후진샤프트(324)를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케이스(321) 내에는, 전후진샤프트(324)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전후진블록(3232)을 관통하도록 구성된 제3 가이드샤프트(미도시 됨)이 마련될 수 있다. 제3 가이드샤프트는 전후진샤프트(324)의 회전시 전후진블록(3232)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전후진샤프트(324)가 회전됨에 따라, 인출가이더(323)는 전후진샤프트(32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될 수 있다.
제1 케이스(321)의 후방벽의 내측면에는 지지턱부(321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지지턱부(3211)는 제1 케이스(321)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 안착부(3231)의 바로 위에 마련될 수 있고, 지지턱부(3211)는 적층된 복수의 금박(5) 중 최하단의 금박(5a)의 일측(바람직하게, 제1 케이스(321)의 후방측 가장자리)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케이스(321)의 전방벽에는 최하단 금박(5a)의 배출을 위한 인출구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인출구는 안착부(3231)의 두께보다 큰 폭 크기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고, 안착가이더의 전진 시 안착부(3231)의 전방 일부는 인출구를 통과할 수 있다.
안착부(3231)의 상면 전방에는 복수의 마찰지지부(3231a)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마찰지지부(3231a) 각각은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커지는 V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마찰지지부(3231a)의 V자 홈 내측에는 전방으로 연장된 복수의 질감부(3231b)(texture)가 마련될 수 있다. 마찰지지부(3231a) 및 질감부(3231b)는 안착부(3231)의 상면에 접촉된 금박(5a)에 대해 전방(즉, 제1 공급통로(313))을 향해 향상된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케이스(321) 내에 적층 수납된 복수의 금박(5) 중 최하단의 금박(5a)은 후방 일부가 지지턱부(3211)에 지지되고 전방이 안착부(3231) 상에 안착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도 8 참조). 이 때, 전후진모터(325)의 구동에 의해 인출가이더(323)가 전방으로 이동되고, 마찰지지부(3231a) 및 질감부(3231b)에 의해 작용된 마찰력에 의해 최하단 금박(5a)의 전방 일부는 인출구를 통과할 수 있다(도 9 참조).
한편, 제1 인출모듈(322)은, 제1 케이스(321)의 전방벽 외면에 힌지축(3222)을 통해 결합된 인출플레이트(3221), 인출플레이트(3221)의 일단부에 마련되고 인출구를 통해 인출된 최하단 금박(5a)의 상면에 접촉 지지되는 인출롤러(3223), 및 인출롤러(3223)를 회전 구동하는 인출모터(3224)를 포함할 수 있다.
인출플레이트(3221)의 일단부는 제1 케이스(321)의 전방벽 외면에 힌지축(3222)을 통해 소정 각도 회전되도록 결합될 수 있고, 인출롤러(3223) 및 인출모터(3224)는 인출플레이트(3221)의 타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인출롤러(3223)는 인출플레이트(3221)의 하면에 회전 구동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인출가이더(323)에 의해 인출구를 통과한 최하단 금박(5a)의 전방 상면은 인출롤러(3223)에 접촉될 수 있고, 인출로러가 인출모터(3224)에 의해 회전 구동됨에 따라 최하단 금박(5a)은 제1 케이스(321)로부터 인출되어 제1 공급통로(313)로 이동될 수 있다. 최하단 금박(5a)이 제1 공급통로(313)로 이동된 이후 인출가이더(323)는 다시 후방 이동되어 제1 케이스(321)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상술한 제1 카세트(320)의 작동 구조를 통해, 수납된 복수의 금박(5) 중 최하단의 금박(5a)이 제1 베이스시트(1) 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제1 카세트(320) 및 제2 카세트(330)의 위치는 제1 위치조절샤프트(318)를 따라 조절 가능한바, 제1 베이스시트(1) 상에 공급되는 금박(5)의 개수, 배치 형태(즉, 가로 또는 세로) 및 위치는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한편, 본원에서는 제1 카세트(320)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제2 카세트(330) 또한 제2 케이스(331) 및 제2 인출모듈(33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카세트(330)는 제1 카세트(320)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므로, 제2 카세트(33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은 도 4에 도시된 금박 인쇄물 제조장치(1000)의 완성품절단부(80)에 포함된 안착테이블(810)의 상면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의 I-I 단면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술한 완성품절단부(80)는, 상호 접착된 시안 인쇄물(3) 및 금박 코팅물(4)이 안착되는 안착테이블(810), 시안 인쇄물(3) 및 금박 코팅물(4)의 접착물(6)을 지면에 평행한 제1 방향으로 절단하기 위한 제1 절단기(850), 및 시안 인쇄물(3) 및 금박 코팅물(4)의 접착물(6)을 지면에 평행하고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절단하기 위한 제2 절단기(860)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테이블(810)은, 지면에 평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 테이블몸체(820), 테이블몸체(820) 상에 형성된 절단안착부(830), 및 테이블몸체(820)의 하면에 결합된 흡착유지부(840)를 포함할 수 있다.
절단안착부(83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절단안착부(830)의 상면에는 절단될 시안 인쇄물(3) 및 금박 코팅물(4)의 접착물(6)이 안착될 수 있다. 흡착유지부(840)는 부압을 발생시켜 절단안착부(830)에 안착된 시안 인쇄물(3) 및 금박 코팅물(4)의 접착물(6)을 하방으로 흡착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안착테이블(810)은 접착물(6)이 공급되는 기 결정된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고, 가압 접착부(50)를 통과한 접착물(6)은 안착테이블(810)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제1 절단기(850)는, 접착물(6)을 지면에 평행한 제1 방향(y)으로 절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절단기(860)는, 접착물(6)을 지면에 평행하고 제1 방향(y)에 직교하는 제2 방향(x)으로 절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절단기(850) 및 제2 절단기(860)는 각각 지면에 수직한 방향(z)으로 승강 또는 하강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접착물(6) 측으로 접근하거나 접착물(6)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1 절단기(850)는 접착물(6)측으로 하강된 상태에서 제1 방향(y)으로 이동함으로써 접착물(6)을 제1 방향(y)으로 절단할 수 있고, 제2 절단기(860)는 접착물(6)측으로 하강된 상태에서 제2 방향(x)으로 이동함으로써 접착물(6)을 제2 방향(x)으로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절단기(850)는 접착물(6)을 절단하기 위한 제1 절단날을 구비할 수 있고, 제2 절단기(860)는 접착물(6)을 절단하기 위한 제2 절단날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절단날 및 제2 절단날은 원판형의 회전형 블레이드로 구성될 수 있다.
절단안착부(83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절단안착부(830)의 상면에는 절단될 접착물(6)이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절단안착부(830)는, 제1 절단기(850)의 제1 절단날 및 제2 절단기(860)의 제2 절단날이 기 결정된 깊이만큼 삽입되는 복수의 가이드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홈은, 제1 절단날의 제1 방향(y) 이동 및 제2 절단날의 제2 방향(x)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가이드홈은, 각각이 제1 방향(y)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1 절단날이 기 결정된 깊이만큼 삽입되는 복수의 제1 가이드홈(831), 및 각각이 제2 방향(x)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2 절단날이 기 결정된 깊이만큼 삽입되는 복수의 제2 가이드홈(832)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가이드홈(831)은, 절단안착부(830)의 상측에서 볼 때, 상호간에 기 결정된 간격을 두어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22 가이드홈(832)은, 절단안착부(830)의 상측에서 볼 때, 상호간에 기 결정된 간격을 두어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이드홈(831) 및 제2 가이드홈(832)은, 절단안착부(830)의 상측에서 볼 때, 격자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가이드홈(831)이 상호 이격 배치되는 기 결정된 간격 및 복수의 제2 가이드홈(832)이 상호 이격 배치되는 기 결정된 간격은 서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고, 위 제1 가이드홈(831) 및 제2 가이드홈(832)의 기 결정된 간격은 접착물(6)을 절단하여 개별 제작품(7)을 형성하기 기 위한 최소단위크기에 대응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절단기(850) 및 제2 절단기(860)에 의한 접착물(6)의 절단 시 절단날과 안착테이블(810) 또는 절단안착부(830) 상호간이 간섭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접착물(6)의 절단 오차가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절단안착부(830)는, 제1 절단날 및 제2 절단날보다 강성이 약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절단날 및 제2 절단날이 탄소공구강(STC) 소재로 형성된 경우, 절단안착부(830)는 고무(rubber) 또는 플라스틱(plastic)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구동 및 작동 오류 등에 의해 제1 절단날 및 제2 절단날이 절단안착부(830)와 부딪혀 간섭되는 경우에도 제1 절단날 및 제2 절단날이 파손되거나 제1 절단날 및 제2 절단날의 절삭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흡착유지부(840)는, 부압을 발생시켜 절단안착부(830)에 안착된 접착물(6)을 하방으로 흡착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테이블몸체(820)는, 테이블몸체(820)의 상측 및 하측이 연통되도록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복수의 제1 흡입구(822)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물(6)이 절단안착부(830) 상에 위치될 때, 복수의 제1 흡입구(822)는 지면에 수직한 방향(z)에 있어서 접착물(6)과 흡착유지부(84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흡입유지부는, 테이블몸체(820)의 하면에 결합되는 흡착베이스(841), 및 흡착베이스(841)에 부압을 제공하는 흡입부(842)를 포함할 수 있다.
흡착베이스(841)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테이블몸체(820)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테이블몸체(820)의 하면에 면상 접촉될 수 있다. 또한, 흡착베이스(841)는, 복수의 제2 흡입구(8411), 및 복수의 제2 흡입구(8411) 모두와 연통된 흡입유로(8412)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유로(8412)는, 지면에 수직한 방향(z) 상측에서 복수의 제2 흡입구(8411)와 유체 유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지면에 수직한 방향(z) 하측에서 흡입부(842)와 유체 유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위와 같이, 흡입부(842)는 흡입유로(8412)와 유체 연통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흡입부(842)는 흡입유로(8412) 내에 부압이 발생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부(842)는 진공 펌프일 수 있고, 흡입부(842)의 작동에 의해 흡입유로(8412) 및 제2 흡입구(8411)에는 부압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흡입구(822)는 각각 복수의 제2 흡입구(8411)와 지면에 수직한 방향(z)을 따라 동축으로 정렬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제1 흡입구(822) 각각은 복수의 가이드홈의 적어도 일부와 유체 연통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복수의 제1 가이드홈(831)은, 절단안착부(830)의 지면에 수직한 방향(z) 두께와 동일한 크기인 제1 깊이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제2 가이드홈(832)은, 절단안착부(830)의 지면에 수직한 방향(z) 두께 및 제1 깊이보다 작은 크기인 제2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제1 가이드홈(831)은 절단안착부(830)를 그 두께 방향(z)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측에서 볼 때, 절단안착부(830)의 사면 모서리부에는 제1 가이드홈(831) 및 제2 가이드홈(832)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의 제1 흡입구(822) 각각은 복수의 제1 가이드홈(831) 중 적어도 일부와 유체 연통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가이드홈(831)은 복수의 제2 가이드홈(832)과 상호 직각을 이루며 가로질러 배치되는바, 복수의 제1 가이드홈(831)은 복수의 제2 가이드홈(832)과 유체 연통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흡입부(842)가 작동됨에 따라, 흡입유로(8412), 복수의 제2 흡입구(8411), 복수의 제1 흡입구(822), 복수의 제1 가이드홈(831) 및 복수의 제2 가이드홈(832)에는 부압이 형성될 수 있고, 절단안착부(830) 상에 위치된 접착물(6)은 압력차에 의해 하방으로(즉, 안착테이블(810) 측으로) 가압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절단기(850) 및 제2 절단기(860)에 의해 접착물(6)이 절단되는 동안 접착물(6)이 흔들리거나 비틀림이 발생하여 재단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형성된 개별 제작품(7)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3은 도 4에 도시된 금박 인쇄물 제조장치(1000)의 원격 제어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박 인쇄물 제조 시스템은, 시안 제작부, 제1 시트공급부(110), 시안 인쇄부(20), 제2 시트공급부(120), 금박 공급부(30), 금박 코팅부(40), 가압 접착부(50), 제1 위치감지부(610), 제2 위치감지부(620) 및 완성품절단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금박 인쇄물 제조 시스템의 각 구성들은 상술한 금박 인쇄물 제조장치(1000)의 제1 시트공급부(110), 시안 인쇄부(20), 제2 시트공급부(120), 금박 공급부(30), 금박 코팅부(40), 가압 접착부(50), 제1 위치감지부(610), 제2 위치감지부(620) 및 완성품절단부(80)와 각각 동일한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시안 제작부는, 이미지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안 입력값에 기초하여, 인쇄될 복수의 시안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시안 정보 각각은 미리 준비된 금박(5) 크기에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안 정보는 기 결정된 크기의 직사각 프레임 내에 형성될 수 있고, 시안 정보의 크기는 금박 공급부(30)에서 공급되는 개별 금박(5)의 크기에 대응될 수 있다.
제어부(70)는 시안 제작부, 제1 시트공급부(110), 시안 인쇄부(20), 제2 시트공급부(120), 금박 공급부(30), 금박 코팅부(40), 가압 접착부(50), 제1 위치감지부(610), 제2 위치감지부(620) 및 완성품절단부(80)의 작동을 각각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박 인쇄물 제조 시스템은, 외부의 관리자 단말(8)과 무선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제어부(70)와 연결된 통신모듈(7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통신모듈(710)을 통해 외부의 관리자 단말(8)과 무선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는 통신모듈(710)을 통해 관리자 단말(8)에 의해 원격 제어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관리자는 제어부(70)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고, 작업 장소와 수백 미터 떨어진 거리에서도 금박 인쇄물 제조장치(1000)의 작동을 원격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고, 금박 인쇄물 제조장치(1000)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3에는 관리자 단말(8)의 예시로 스마트폰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관리자 단말(8)이란 스마트폰, 원격스위치 또는 PC 등 사용자가 제어 가능하고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의 방식으로 통신모듈(710)과 무선 통신 가능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개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0: 금박 인쇄물 제조장치
110: 제1 시트공급부
120: 제2 시트공급부
20: 시안 인쇄부
30: 금박 공급부
310: 공급하우징
311: 배출플레이트
312: 배출구
313: 제1 공급통로
314: 제2 공급통로
315: 배출통로
316: 제1 위치조절홈
317: 제2 위치조절홈
318: 제1 위치조절샤프트
319: 제2 위치조절샤프트
320: 제1 카세트
321: 제1 케이스
3211: 지지턱부
3212: 가이드블록
322: 제1 인출모듈
3221: 인출플레이트
3222: 힌지축
3223: 인출롤러
3224: 인출모터
323: 인출가이더
3231: 안착부
3231a: 마찰지지부
3231b: 질감부
3232: 전후진블록
324: 전후진샤프트
325: 전후진모터
330: 제2 카세트
331: 제2 케이스
332: 제2 인출모듈
340: 접착제분사부
40: 금박 코팅부
410: 코팅시트 공급부
50: 가압 접착부
610: 제1 위치감지부
620: 제2 위치감지부
70: 제어부
710: 통신모듈
80: 완성품절단부
810: 안착테이블
820: 테이블몸체
822: 제1 흡입구
830: 절단안착부
831: 제1 가이드홈
832: 제2 가이드홈
840: 흡착유지부
841: 흡착베이스
8411: 제2 흡입구
8412: 흡입유로
842: 흡입부
850: 제1 절단기
860: 제2 절단기
911: 제1-1 안내롤러
912: 제1-2 안내롤러
913: 제1-3 안내롤러
920: 제1 공급롤러
931: 제2-1 안내롤러
932: 제2-2 안내롤러
933: 제2-3 안내롤러
940: 제2 공급롤러
1: 제1 베이스시트
2: 제2 베이스시트
3: 시안 인쇄물
3a: 제1 베이스층
3b: 시안 인쇄층
4: 금박 코팅물
4a: 제2 베이스층
4b: 금박층
4c: 코팅층
5, 5a, 5b: 금박
6: 접착물
7: 제작품
8: 관리자 단말

Claims (11)

  1. 금박 인쇄물 제조방법에 있어서,
    이미지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안 입력값에 기초하여, 인쇄될 시안 정보를 생성하는 시안 제작 단계;
    상기 시안 제작 단계에서 생성된 시안 정보를 제1 베이스시트 상에 인쇄하여 시안 인쇄물을 형성하는 시안 인쇄 단계;
    상기 시안 인쇄 단계에서 인쇄될 시안 정보에 대응되는 크기의 금박을 제2 베이스시트 상에 코팅하여 금박 코팅물을 형성하는 금박 코팅 단계; 및
    상기 시안 인쇄물 및 상기 금박 코팅물을 상호 접착하여 제작품을 형성하는 접착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시안 인쇄물은, 상기 제1 베이스시트에 의해 형성된 제1 베이스층, 및 상기 제1 베이스층의 일면에 형성된 시안 인쇄층을 포함하고,
    상기 금박 코팅물은, 상기 제2 베이스시트에 의해 형성된 제2 베이스층, 상기 제2 베이스층의 표면에 코팅된 금박층, 및 상기 제2 베이스층과의 사이에 상기 금박층을 개재하여 코팅하는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작품의 코팅층의 표면은 상기 제1 베이스층의 타면에 접착되고,
    상기 제작품의 시안 인쇄층은 상기 제1 베이스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금박코팅물의 반대면에 위치되는 것인, 금박 인쇄물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안 인쇄 단계는, 복수의 시안 정보를 단일의 제1 베이스시트에 동시에 인쇄하는 시안 동시 인쇄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금박 코팅 단계에서 상기 제2 베이스시트 상에 코팅되는 금박의 개수 및 위치는 상기 시안 동시 인쇄 단계에서 인쇄될 복수의 시안 정보의 개수 및 위치에 대응되는 것인, 금박 인쇄물 제조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시안 인쇄 단계, 상기 금박 코팅 단계 및 상기 접착 단계는 금박 인쇄물 제조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금박 인쇄물 제조장치는,
    상기 제1 베이스시트를 기 결정된 방향으로 연속 공급하는 제1 시트공급부;
    공급된 상기 제1 베이스시트 상의 일부에 상기 복수의 시안 정보를 동시에 인쇄하여 상기 시안 인쇄물을 형성하는 시안 인쇄부;
    상기 제2 베이스시트를 기 결정된 방향으로 연속 공급하는 제2 시트공급부;
    상기 제1 베이스시트 상에 인쇄될 상기 복수의 시안 정보의 개수 및 위치에 기초하여, 공급된 상기 제2 베이스시트 상의 일부에 복수의 금박을 공급하는 금박 공급부;
    공급된 상기 복수의 금박을 상기 제2 베이스시트 상에 코팅하여 상기 금박 코팅물을 형성하는 금박 코팅부; 및
    상기 시안 인쇄물 및 상기 금박 코팅물을 상호 접착하는 가압 접착부
    를 포함하는 것인, 금박 인쇄물 제조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금박 인쇄물 제조장치는,
    상기 제1 베이스시트의 공급 방향에 있어서 상기 시안 인쇄부의 하류측에 위치되고, 공급되는 상기 제1 베이스시트 상의 상기 시안 인쇄물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1 위치감지부;
    상기 제2 베이스시트의 공급 방향에 있어서 상기 금박 코팅부의 하류측에 위치되고, 공급되는 상기 제2 베이스시트 상의 상기 금박 코팅물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2 위치감지부;
    상기 제1 베이스시트 및 상기 제2 베이스시트 각각의 공급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위치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시안 인쇄물의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금박 코팅물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베이스시트 및 상기 제2 베이스시트 중 적어도 하나의 공급을 제어하고,
    상기 시안 인쇄물 및 상기 금박 코팅물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가압 접착부에 동시에 공급되는 것인, 금박 인쇄물 제조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금박 인쇄물 제조장치는,
    상기 제1 베이스시트 및 상기 제2 베이스시트의 공급 방향에 있어서 상기 가압 접착부의 하류측에 위치되고, 상기 시안 인쇄물 및 상기 금박 코팅물의 접착물을 개별 제작품으로 절단하는 완성품절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완성품절단부는,
    상호 접착된 상기 시안 인쇄물 및 상기 금박 코팅물이 안착되는 안착테이블;
    상기 시안 인쇄물 및 상기 금박 코팅물의 접착물을 지면에 평행한 제1 방향으로 절단하기 위한 제1 절단기; 및
    상기 시안 인쇄물 및 상기 금박 코팅물의 접착물을 지면에 평행하고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절단하기 위한 제2 절단기
    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테이블은,
    지면에 평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 테이블몸체;
    상기 테이블몸체 상에 위치된 절단안착부로서, 상기 절단안착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절단안착부의 상면에는 절단될 상기 시안 인쇄물 및 상기 금박 코팅물의 접착물이 안착되는 것인, 절단안착부; 및
    상기 테이블몸체의 하면에 결합되고, 부압을 발생시켜 상기 절단안착부에 안착된 시안 인쇄물 및 상기 금박 코팅물의 접착물을 하방으로 흡착 유지하는 흡착유지부
    를 포함하는 것인, 금박 인쇄물 제조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금박 공급부는,
    연속 공급되는 상기 제2 베이스시트 상에 배치되는 공급하우징;
    상기 공급하우징의 상부에 마련된 제1 카세트로서, 상기 제1 카세트에는 복수 개의 직사각형 금박이 제1 배치구조로 적층 수납되고, 상기 제1 카세트는 수납된 복수 개의 금박 중 최하단의 금박을 상기 제2 베이스시트 상에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제1 카세트; 및
    상기 공급하우징의 상부에 마련된 제2 카세트로서, 상기 제2 카세트에는 복수 개의 직사각형 금박이 제2 배치구조로 적층 수납되고, 상기 제2 카세트는 수납된 복수 개의 금박 중 최하단의 금박을 상기 제2 베이스시트 상에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제2 카세트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카세트 및 상기 제2 카세트 각각은, 상기 공급하우징의 상면에서 상기 제2 베이스시트의 공급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배치구조로 위치된 복수 개의 직사각형 금박은 장축이 상기 제2 베이스시트의 공급 방향을 따라 위치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배치구조로 위치된 복수 개의 직사각형 금박은 장축이 상기 제1 카세트(320) 및 상기 제2 카세트의 직선 이동 방향을 따라 위치되도록 배치되는 것인, 금박 인쇄물 제조방법.
  7. 제1 베이스시트를 기 결정된 방향으로 연속 공급하는 제1 시트공급부;
    공급된 상기 제1 베이스시트 상의 일부에 기 제작된 복수의 시안 정보를 동시에 인쇄하여 시안 인쇄물을 형성하는 시안 인쇄부;
    제2 베이스시트를 기 결정된 방향으로 연속 공급하는 제2 시트공급부;
    상기 제1 베이스시트 상에 인쇄될 상기 복수의 시안 정보의 개수 및 위치에 기초하여, 공급된 상기 제2 베이스시트 상의 일부에 복수의 금박을 공급하는 금박 공급부;
    공급된 상기 복수의 금박을 상기 제2 베이스시트 상에 코팅하여 금박 코팅물을 형성하는 금박 코팅부; 및
    상기 시안 인쇄물 및 상기 금박 코팅물을 상호 접착하는 가압 접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이스시트의 공급 방향에 있어서, 상기 시안 인쇄부는 상기 제1 시트공급부의 하류에 위치되고,
    상기 제2 베이스시트의 공급 방향에 있어서, 상기 금박 공급부는 상기 제2 시트공급부의 하류에 위치되고, 상기 금박 코팅부는 상기 금박 공급부의 하류에 위치되는 것인, 금박 인쇄물 제조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금박 인쇄물 제조장치는,
    상기 제1 베이스시트의 공급 방향에 있어서 상기 시안 인쇄부의 하류측에 위치되고, 공급되는 상기 제1 베이스시트 상의 상기 시안 인쇄물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1 위치감지부;
    상기 제2 베이스시트의 공급 방향에 있어서 상기 금박 코팅부의 하류측에 위치되고, 공급되는 상기 제2 베이스시트 상의 상기 금박 코팅물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2 위치감지부;
    상기 제1 베이스시트 및 상기 제2 베이스시트 각각의 공급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위치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시안 인쇄물의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금박 코팅물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베이스시트 및 상기 제2 베이스시트 중 적어도 하나의 공급을 제어하고,
    상기 시안 인쇄물 및 상기 금박 코팅물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가압 접착부에 동시에 공급되는 것인, 금박 인쇄물 제조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금박 인쇄물 제조장치는,
    상기 제1 베이스시트 및 상기 제2 베이스시트의 공급 방향에 있어서 상기 가압 접착부의 하류측에 위치되고, 상기 시안 인쇄물 및 상기 금박 코팅물의 접착물을 개별 제작품으로 절단하는 완성품절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완성품절단부는,
    상호 접착된 상기 시안 인쇄물 및 상기 금박 코팅물이 안착되는 안착테이블;
    상기 시안 인쇄물 및 상기 금박 코팅물의 접착물을 지면에 평행한 제1 방향으로 절단하기 위한 제1 절단기; 및
    상기 시안 인쇄물 및 상기 금박 코팅물의 접착물을 지면에 평행하고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절단하기 위한 제2 절단기
    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테이블은,
    지면에 평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 테이블몸체;
    상기 테이블몸체 상에 위치된 절단안착부로서, 상기 절단안착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절단안착부의 상면에는 절단될 상기 시안 인쇄물 및 상기 금박 코팅물의 접착물이 안착되는 것인, 절단안착부; 및
    상기 테이블몸체의 하면에 결합되고, 부압을 발생시켜 상기 절단안착부에 안착된 시안 인쇄물 및 상기 금박 코팅물의 접착물을 하방으로 흡착 유지하는 흡착유지부
    를 포함하는 것인, 금박 인쇄물 제조장치.
  10. 이미지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안 입력값에 기초하여, 인쇄될 복수의 시안 정보를 생성하는 시안 제작부;
    제1 베이스시트를 기 결정된 방향으로 연속 공급하는 제1 시트공급부;
    공급된 상기 제1 베이스시트 상의 일부에 상기 시안 제작부에서 제작된 복수의 시안 정보를 동시에 인쇄하여 시안 인쇄물을 형성하는 시안 인쇄부;
    제2 베이스시트를 기 결정된 방향으로 연속 공급하는 제2 시트공급부;
    상기 제1 베이스시트 상에 인쇄될 상기 복수의 시안 정보의 개수 및 위치에 기초하여, 공급된 상기 제2 베이스시트 상의 일부에 복수의 금박을 공급하는 금박 공급부;
    공급된 상기 복수의 금박을 상기 제2 베이스시트 상에 코팅하여 금박 코팅물을 형성하는 금박 코팅부;
    상기 시안 인쇄물 및 상기 금박 코팅물을 상호 접착하는 가압 접착부; 및
    상기 제1 시트공급부, 상기 시안 인쇄부, 상기 제2 시트공급부, 상기 금박 공급부, 상기 금박 코팅부 및 상기 가압 접착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이스시트의 공급 방향에 있어서, 상기 시안 인쇄부는 상기 제1 시트공급부의 하류에 위치되고,
    상기 제2 베이스시트의 공급 방향에 있어서, 상기 금박 공급부는 상기 제2 시트공급부의 하류에 위치되고, 상기 금박 코팅부는 상기 금박 공급부의 하류에 위치되는 것인, 금박 인쇄물 제조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금박 인쇄물 제조 시스템은, 외부의 관리자 단말과 무선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관리자 단말에 의해 원격 제어되는 것인, 금박 인쇄물 제조 시스템.
KR1020230003040A 2022-10-05 2023-01-09 고품질의 상패용 금박 인쇄물 제조방법 KR202300136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26968 2022-10-05
KR1020220126968 2022-10-05
KR20220127712 2022-10-06
KR1020220127712 2022-10-06
KR1020220128500A KR102488102B1 (ko) 2022-10-05 2022-10-07 금박 인쇄물 제조방법, 금박 인쇄물 제조장치 및 금박 인쇄물 제조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8500A Division KR102488102B1 (ko) 2022-10-05 2022-10-07 금박 인쇄물 제조방법, 금박 인쇄물 제조장치 및 금박 인쇄물 제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3639A true KR20230013639A (ko) 2023-01-26

Family

ID=8490023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8500A KR102488102B1 (ko) 2022-10-05 2022-10-07 금박 인쇄물 제조방법, 금박 인쇄물 제조장치 및 금박 인쇄물 제조 시스템
KR1020230003041A KR20230013640A (ko) 2022-10-05 2023-01-09 금박 인쇄물 제조방법, 금박 인쇄물 제조장치 및 금박 인쇄물 제조 시스템
KR1020230003040A KR20230013639A (ko) 2022-10-05 2023-01-09 고품질의 상패용 금박 인쇄물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8500A KR102488102B1 (ko) 2022-10-05 2022-10-07 금박 인쇄물 제조방법, 금박 인쇄물 제조장치 및 금박 인쇄물 제조 시스템
KR1020230003041A KR20230013640A (ko) 2022-10-05 2023-01-09 금박 인쇄물 제조방법, 금박 인쇄물 제조장치 및 금박 인쇄물 제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48810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210B1 (ko) 2017-03-31 2019-04-15 김송태 금박 인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374B1 (ko) * 2015-09-10 2016-07-11 주식회사 태신인팩 리퀴드 메탈의 느낌을 표출하는 메탈릭 페이퍼와 그 인쇄방법
KR101969226B1 (ko) * 2017-09-26 2019-04-15 김연희 이중 이미지를 가진 금박 인쇄물 제조 방법 및 금박 인쇄물
KR102588219B1 (ko) * 2020-09-11 2023-10-11 배윤진 일러스트가 코팅된 금박 인쇄물 및 이의 제조방법
EP3984741A1 (en) * 2020-10-16 2022-04-20 Jesús Francisco Barberan Latorre System for manufacturing a substrate with a decorative desig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210B1 (ko) 2017-03-31 2019-04-15 김송태 금박 인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8102B1 (ko) 2023-01-13
KR20230013640A (ko) 2023-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00793B2 (en) Adhesive dispensing device
EP2868604B1 (en) Movable vacuum divider
CN102144250B (zh) 贴合装置
EP3138691A1 (en) Inkjet printing device with dimpled vacuum belt
US8708480B2 (en) Recording apparatus
US11104062B2 (en) Adhesive dispensing device
KR102488102B1 (ko) 금박 인쇄물 제조방법, 금박 인쇄물 제조장치 및 금박 인쇄물 제조 시스템
JP2010114398A5 (ko)
JP2010240843A (ja) 立体造形方法および立体造形装置
TW315356B (ko)
US6749707B2 (en) Method of depositing adhesives and adhesion control agents
JP2003118135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のインク供給配管システムおよびこれに用いるチューブホルダ、並びに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WO2014017450A1 (ja) 媒体支持装置および媒体加工装置
EP2933112B1 (en) Printer for forming an inkjet image
US20080314513A1 (en) Device for imparting a pattern onto the surface of work pieces
CN209531287U (zh) 旋转式分配头单元及具备其的液体分配装置
KR101738957B1 (ko) 그라비아 인쇄를 이용한 데코레이션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9067441A (ja) シート貼付装置及び貼付方法
JP2008289999A (ja) ウエブの塗工装置およびその塗工方法
JP2020171978A (ja) カット機およびプリンタ
CN209215778U (zh) 分配头单元
JP2003118902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の紙送り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2008088710A (ja) シート貼着方法およびシート貼着装置
CN117400628A (zh) 一种黄金装饰画连续生产装置及其方法
JP2003094741A (ja) シート吸着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