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3332A - 음료 공급기용 토출 유닛 - Google Patents

음료 공급기용 토출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3332A
KR20230013332A KR1020210093961A KR20210093961A KR20230013332A KR 20230013332 A KR20230013332 A KR 20230013332A KR 1020210093961 A KR1020210093961 A KR 1020210093961A KR 20210093961 A KR20210093961 A KR 20210093961A KR 20230013332 A KR20230013332 A KR 20230013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housing
beverage
outlet
flan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3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6986B1 (ko
Inventor
김지훈
송광석
Original Assignee
(주)원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원봉 filed Critical (주)원봉
Priority to KR1020210093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6986B1/ko
Priority to CN202221028441.9U priority patent/CN217408499U/zh
Publication of KR20230013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3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6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6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67D1/0082Dispensing valves entirely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4Reducing valves or control taps
    • B67D1/1405Control taps
    • B67D1/145Control taps comprising a valve shutter mov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valve s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16K24/04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6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음료 공급기용 토출 유닛은, 음료를 공급하기 위한 음료 공급기에 구비되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음료를 토출할 수 있는 음료 공급기용 토출 유닛에 있어서, 상기 음료 공급기에 구비되는 공급관을 따라 유동하는 음료가 유입되는 입구와, 음료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와, 상기 입구와 상기 토출구를 연결하는 가이드실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가이드실에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되어 상기 토출구를 개폐할 수 있는 플러그를 구비하는 플러그 조립체; 및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플러그 조립체를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작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조립체는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토출구로 유동시킬 수 있는 공기 채널을 갖는다.

Description

음료 공급기용 토출 유닛{DRINK DISCHARGING UNIT FOR DRINK SUPPLY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음료 공급기용 토출 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가 통과하는 토출구에 음료가 잔류하지 않도록 음료를 토출할 수 있는 음료 공급기용 토출 유닛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환경 오염의 영향으로 가정이나 사무실에서는 수돗물을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정수된 물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음료 공급기의 사용이 대중화되었다. 음료 공급기로는 수돗물 등의 원수를 필터로 정수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정수기나, 교체형 생수통에 담긴 생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냉온수기와 같은 다양한 장치가 있다. 대중적으로 정수기와 냉온수기는 모두 정수기로 불리기도 한다.
정수기는 물리적, 화학적 방법으로 물을 걸러 불순물을 제거하는 장치로,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이를 정수 필터를 통해 정수한 후 토출하여 사용자가 음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정수기는 형태에 따라 수도관에 직접 연결되는 직결형과, 음료를 용기에 담아서 필터를 통과하도록 하는 저장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현재 대부분의 정수기는 내부에 물을 가열하거나 냉각시킬 수 있는 장치가 별도로 구비되어 냉수 및 온수를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취한다.
냉수와 온수를 공급할 수 있는 정수기의 경우, 원수가 냉수 탱크와 온수 탱크로 분배된다. 냉수 탱크와 온수 탱크는 각각 공급관을 통해 토출 유닛에 연결되고, 토출 유닛을 통해 토출된다.
그런데 종래의 토출 유닛은 음료를 토출한 후 밸브가 토출구를 닫을 때 토출구에 잔류 음료가 남게 된다. 토출구에 남아있는 잔류 음료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떨어져서 음료 공급기나 음료 공급기 주위를 적시거나, 물때를 남기게 된다.
등록특허공보 제2207803호 (2021. 01. 20)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음료를 토출하는 토출구가 닫힐 때 토출구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토출구에 잔류 음료가 남지 않도록 음료를 토출할 수 있는 음료 공급기용 토출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료 공급기용 토출 유닛은, 음료를 공급하기 위한 음료 공급기에 구비되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음료를 토출할 수 있는 음료 공급기용 토출 유닛에 있어서, 상기 음료 공급기에 구비되는 공급관을 따라 유동하는 음료가 유입되는 입구와, 음료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와, 상기 입구와 상기 토출구를 연결하는 가이드실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가이드실에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되어 상기 토출구를 개폐할 수 있는 플러그를 구비하는 플러그 조립체; 및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플러그 조립체를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작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조립체는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토출구로 유동시킬 수 있는 공기 채널을 갖는다.
상기 공기 채널은 공기를 상기 플러그의 내측으로 통과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는, 탄성 변형 가능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상기 가이드실과, 상기 가이드실과 분리되는 공기실로 구획하고, 상기 공기 채널은 상기 공기실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는,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밀착되고 내측에 플러그 챔버가 형성된 중공 바디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는 시트부에 접하거나 상기 시트부로부터 이격되는 방식으로 상기 토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중공 바디부에 연결되는 마개부와, 상기 플러그 챔버와 연결되고 상기 토출구 쪽으로 개방되도록 상기 마개부에 형성되는 플러그홀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조립체는, 상기 작동부재와 연결되는 바디부와, 상기 플러그홀에 삽입되어 상기 플러그와 결합되도록 상기 바디부에 연결되는 헤드부를 구비하는 플런저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채널은 공기를 상기 플러그홀을 통과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채널은 상기 마개부와 상기 플러그 헤드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채널은 상기 플러그 챔버와 상기 토출구를 연결하도록 상기 헤드부를 상기 플러그의 이동 방향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상기 헤드부에 형성되는 가이드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부는, 상기 플런저 챔버에 배치되어 상기 마개부와 접하는 제 1 플랜지부와, 상기 제 1 플랜지부로부터 상기 플러그의 이동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 1 플랜지부의 하측에 상기 제 1 플랜지부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 2 플랜지부와, 상기 제 1 플랜지부의 폭 및 상기 제 2 플랜지부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고, 상기 플러그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플랜지부와 상기 제 2 플랜지부를 연결하는 넥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채널은, 상기 제 1 플랜지부를 상기 플러그의 이동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상기 제 1 플랜지부에 형성되는 제 1 가이드홈과, 상기 제 2 플랜지부를 상기 플러그의 이동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상기 제 2 플랜지부에 형성되는 제 2 가이드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런저는, 상기 토출구로 진입하여 상기 토출구에 잔류하는 음료를 상기 토출구로부터 밀어낼 수 있도록 상기 헤드부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공급기용 토출 유닛은, 상기 플러그 조립체와 상기 작동부재를 연결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가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는 하우징홀에 삽입되어 일부분이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작동부재와 연결되어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샤프트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 외부의 공기가 상기 하우징홀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의 외면에는 공기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토출 유닛은 작동부재의 조작에 따른 음료의 토출 동작이 완료되어 플러그가 토출구를 막은 상태에서 플러그의 내측에 구비되는 공기 채널을 통해 토출구로 공기가 유입된다. 따라서 토출 동작의 완료 후에 토출구에 음료가 잔류하지 않도록 음료를 토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토출 유닛은 토출구에 음료가 잔류하지 않도록 음료를 토출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토출구에 남아있는 음료가 떨어져서 음료 공급기나 음료 공급기 주위를 적시거나, 물때를 남기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 유닛이 구비된 음료 공급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 유닛을 절단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 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 유닛의 토출구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 유닛의 토출구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 유닛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토출 유닛의 플런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 유닛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음료 공급기용 토출 유닛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 유닛이 구비된 음료 공급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 유닛을 절단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 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 유닛(100)은 음료를 공급하기 위한 음료 공급기(10)에 구비되어 음료 공급기(10)의 음료를 토출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음료 공급기(10)의 내부에는 음료를 저장하는 탱크(12)가 구비되고, 토출 유닛(100)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탱크(12)에 저장된 음료를 토출할 수 있다. 토출 유닛(100)은 탱크(12)에 연결된 공급관(13)과 연결되도록 음료 공급기(10)의 본체(11) 일측에 설치된다. 탱크(12)에 저장되는 음료로는 냉수, 온수, 정수, 음료수 등 각종 음료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 유닛(100)은 음료의 토출 후 토출구(114)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방식으로 토출구(114)에 음료가 잔류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종래의 토출 유닛은 음료를 토출한 후 토출구 내부의 음압으로 인해 토출구에 음료가 남게 되고, 토출구에 잔류하는 음료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토출구에서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 유닛(100)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토출 유닛(100)은 음료가 통과할 수 있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을 통한 음료의 토출을 단속하기 위해 하우징(110)의 내측에 설치되는 밸브 조립체(130)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밸브 조립체(13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밸브 조립체(130)와 연결되는 작동부재(165)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하우징 바디(111)와, 하우징 바디(111)의 상측에 결합되는 캡(120)을 포함한다. 하우징(110)의 내측에는 밸브 조립체(130)가 설치되는 내부 공간(112)이 마련된다.
하우징 바디(111)에는 공급관(13)을 따라 유동하는 음료가 유입되는 입구(113)와, 음료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114)가 구비된다. 입구(113)와 토출구(114)는 내부 공간(112)을 통해 연결된다. 내부 공간(112)은 음료가 통과할 수 있는 가이드실(117)과, 하우징(110)의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실(117)과 분리되는 공기실(118)로 구획된다. 입구(113)로 유입되는 음료는 가이드실(117) 통과하여 토출구(114)로 유동할 수 있다. 가이드실(117)에는 밸브 조립체(130)의 일부분이 접할 수 있는 시트부(115)가 구비된다. 시트부(115)는 하우징 바디(111)의 내면에 토출구(114)를 둘러싸는 형태로 마련된다. 밸브 조립체(130)가 시트부(115)에 접촉할 때 토출구(114)가 닫히고, 밸브 조립체(130)가 시트부(115)에서 이격될 때 토출구(114)가 열려 가이드실(117)의 음료가 토출구(114)로 토출될 수 있다.
도면에는 시트부(115)가 하우징 바디(111)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토출구(114)의 둘레를 둘러싸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냈으나, 시트부(115)는 밸브 조립체(130)가 접하여 토출구(114)를 통한 음료의 유동을 차단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캡(120)은 하우징 바디(111)에 결합되어 하우징 바디(111)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다. 캡(120)에는 하우징홀(121)이 형성된다. 하우징홀(121)을 통해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112)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도시된 것 같은 형태의 하우징 바디(111)와 캡(120)을 포함하는 구성 이외에, 음료 공급기(10)의 본체(11)에 결합되어 음료를 토출시키고, 밸브 조립체(130)를 수용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성으로 변경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내측에는 밸브 조립체(130)를 지지하는 가이드 부재(125)가 설치된다. 가이드 부재(125)는 밸브 조립체(130)의 플러그 조립체(142)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홀(126)과,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공(127)을 갖는다.
밸브 조립체(130)는 작동부재(165)와 연결되는 가동부재(131)와, 가동부재(131)에 결합되는 연결부재(140)와, 연결부재(140)에 의해 가동부재(131)와 연결되는 플러그 조립체(142)를 포함한다.
가동부재(131)는 작동부재(165)와 결합되어 작동부재(165)와 플러그 조립체(142)를 연결한다. 가동부재(131)는 플러그 조립체(142)와 연결되는 가동부재 바디(132)와, 가동부재 바디(132)로부터 연장되어 하우징홀(121)에 삽입되는 샤프트(136)를 포함한다. 샤프트(136)는 일부분이 하우징(110)의 외측에 배치되고, 하우징(110)의 외측에 배치되는 부분이 작동부재(165)와 연결된다. 가동부재(131)는 작동부재(165)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됨에 따라 움직일 수 있다. 가동부재 바디(132)에는 플러그 조립체(142)가 삽입되는 제 1 삽입홈(133)과, 연결부재(140)가 삽입되는 제 2 삽입홈(134)을 포함한다. 제 1 삽입홈(133)과 제 2 삽입홈(134)은 가동부재 바디(132)의 내측에서 연결된다.
샤프트(136)의 외면에는 공기를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통로(137)가 형성된다. 캡(120)과 샤프트(136) 사이에 틈새가 없이 샤프트(136)의 외면이 캡(120)의 내면에 접하게 되면 공기가 하우징홀(121)을 통해 하우징(110)의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샤프트(136)의 통로(137)는 샤프트(136)의 외면에 홈 형태로 마련됨으로써 캡(120)과 샤프트(136) 사이에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틈새를 형성한다. 따라서 하우징(110) 외부의 공기가 샤프트(136)의 통로(137)를 통해 하우징(110)의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도면에는 샤프트(136)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형으로 형성되는 통로(137)가 샤프트(136)의 둘레에 복수 개 구비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통로(137)의 형상이나, 개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연결부재(140)는 가동부재 바디(132)의 내측에 배치되어 가동부재(131)와 플러그 조립체(142)를 연결한다. 플러그 조립체(142)의 일부분이 제 1 삽입홈(133)에 삽입되고, 연결부재(140)가 제 2 삽입홈(134)에 삽입된다. 연결부재(140)가 가동부재 바디(132)의 내측에서 플러그 조립체(142)의 일부분과 맞물림으로써 플러그 조립체(142)와 가동부재(131)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가동부재(131)가 움직임에 따라 플러그 조립체(142)가 가동부재(131)와 연동할 수 있다.
플러그 조립체(142)는 가동부재(131)와 연동하여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112)에서 움직이면서 시트부(115)에 접하거나 시트부(115)에서 이격되어 토출구(114)를 개폐할 수 있다. 플러그 조립체(142)는 가동부재(131)와 연결되는 플런저(143)와, 시트부(115)에 접할 수 있도록 플런저(143)와 결합되는 플러그(152)를 포함한다.
플런저(143)는 가동부재(131)와 결합되는 바디부(144)와, 바디부(144)의 끝단에 구비되어 플러그(152)와 결합되는 헤드부(146)를 포함한다. 헤드부(146)의 적어도 일부분의 폭은 바디부(144)의 폭보다 크다. 헤드부(146)의 중간 부분에는 헤드부홈(148)이 링 형태로 마련된다. 헤드부(146)의 끝단에는 토출구(114)로 진입할 수 있는 돌출부(150)가 돌출 구비된다. 플러그 조립체(142)가 토출구(114) 쪽으로 하강하여 시트부(115)에 접할 때 돌출부(150)가 토출구(114)로 진입하여 토출구(114)에 잔류하는 음료를 토출구(114)의 외측으로 밀어낼 수 있다.
플러그(152)는 플런저(143)의 헤드부(146)에 결합되어 시트부(115)에 접함으로써 토출구(114)를 막을 수 있다. 플러그(152)는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시트부(115)에 접할 때 변형되어 시트부(115)에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플러그(152)는 내측에 플러그 챔버(154)가 마련된 중공 바디부(153)와, 시트부(115)에 접할 수 있도록 중공 바디부(153)에 연결되는 마개부(156)를 포함한다. 마개부(156)에는 플러그홀(157)이 형성된다. 플러그홀(157)은 플러그 챔버(154)와 연결되고 토출구(114) 쪽으로 개방된다. 따라서 플러그 챔버(154)의 공기가 플러그홀(157)을 통과하여 토출구(114) 쪽으로 유동할 수 있다. 플러그홀(157) 속에는 플런저(143)의 헤드부홈(148)에 삽입되는 내부 림부(158)가 구비된다. 내부 림부(158)는 헤드부홈(148)에 대응하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플러그(152)는 일부분이 하우징(110)의 내면에 접하여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112)을 가이드실(117)과 공기실(118)로 구획할 수 있다. 가이드실(117)은 플러그(152)의 하측 및 플러그(152)의 외측 둘레에 배치되고, 공기실(118)은 플러그(152)의 플러그 챔버(154)와 연결되도록 플러그(152)의 상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하우징(110)의 입구(113)로 유입되는 음료는 가이드실(117)을 통해 토출구(114)로 유동하고, 하우징(110)의 하우징홀(121)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공기실(118)에서 플러그 챔버(154)와 플러그홀(157)을 통과하는 방식으로 토출구(114)로 유동할 수 있다.
플러그 조립체(142)는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토출구(114)로 유동시킬 수 있는 공기 채널(160)을 갖는다. 공기 채널(160)은 공기를 플러그홀(157)을 통과시키는 형태로 마련된다. 또한 공기 채널(160)은 가이드실(117)과 분리되어 토출구(114)와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공기 채널(160)은 플러그(152)의 마개부(156)와 헤드부(146) 사이에 형성된다. 헤드부(146)와 마개부(156)가 접착제로 접착되거나, 헤드부(146)와 마개부(156) 사이에 실링 물질이 도포되거나, 헤드부(146)가 플러그홀(157)을 완전히 기밀하도록 플러그(152)와 결합되는 것이 아니므로, 마개부(156)와 헤드부(146) 사이에 미세한 틈새가 마련된다. 그리고 이 틈새가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공기 채널(160)을 형성할 수 있다. 플러그(152)가 시트부(115)에 접하여 토출구(114)를 막은 상태에서 공기 채널(160)을 통해 토출구(114)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토출구(114)에 음료가 잔류하지 않고 토출될 수 있다.
플러그 조립체(142)는 도시된 것과 같은 형태의 플런저(143) 및 플러그(152)를 포함하는 구성 이외에, 작동부재(165)와 연동하도록 설치되어 토출구(114)를 개폐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성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밸브 조립체(130)는 도시된 것과 같은 형태의 가동부재(131)와 플러그 조립체(142)가 연결부재(140)를 통해 연결되는 구성 이외에, 작동부재(165)와 연동하여 토출구(114)를 개폐할 수 있는 플러그 조립체(142)를 포함하는 다양한 다른 구성으로 변경될 수 있다.
작동부재(165)는 플러그 조립체(142)와 연동할 수 있도록 하우징(110)의 외부에 배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작동부재(165)는 가동부재(131)의 샤프트(136)와 결합되는 힌지부(166)를 포함한다. 작동부재(165)는 힌지부(166)를 통해 샤프트(136)와 힌지 결합된다. 사용자가 작동부재(165)를 밀거나 당겨 작동부재(165)를 힌지부(166)를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작동부재(165)는 그 일부분이 하우징(110)의 외면에 접한 상태에서 회전함으로써 가동부재(131)를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작동부재(165)는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에 의해 회전하여 밸브 조립체(130)를 움직이는 레버형 이외에,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밸브 조립체(130)를 움직일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성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 유닛(100)이 음료를 토출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 유닛(100)의 토출구(114)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가 작동부재(165)를 밀거나 당기면 작동부재(165)가 가동부재(131)를 위쪽 방향으로 움직인다. 가동부재(131)가 움직일 때 가동부재(131)와 연결된 플런저(143)가 상승하여 플러그(152)의 마개부(156)를 시트부(115)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기게 된다. 이때, 마개부(156)가 시트부(115)에서 이격되어 토출구(114)가 열리고, 하우징(110)의 입구(113)로 유입되는 음료가 가이드실(117)에서 토출구(114)를 통해 토출된다. 마개부(156)가 움직이는 과정에서 플러그(152)의 중공 바디부(153)는 하우징(110)의 내면에 밀착되어 가이드실(117)과 공기실(118)을 구획하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플런저(143)가 마개부(156)를 들어올릴 때, 플런저(143)의 헤드부(146)가 마개부(156)의 내면에 밀착됨으로써 헤드부(146)와 마개부(156) 사이에 음료가 통과할 수 있는 틈새가 생기지 않는다.
한편, 도 6과 같이 사용자가 작동부재(165)를 원위치시키면, 플러그 조립체(142)가 원위치로 하강한다. 이때, 플러그(152)의 마개부(156)가 시트부(115)에 밀착되어 토출구(114)를 닫으며, 토출구(114)를 통한 음료의 토출이 차단된다. 그리고 하우징(110) 내부의 공기가 플러그(152) 내측의 공기 채널(160)을 통해 토출구(114)로 유입된다. 따라서 토출구(114)에 잔류하는 음료가 토출구(114)에서 토출될 수 있다. 공기 채널(160)을 통한 공기 공급은 플러그(152)가 토출구(114)를 닫음과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토출구(114)에 남아있는 음료의 토출은 플러그(152)가 토출구(114)를 닫는 동작과 거의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110) 내부의 공기가 공기 채널(160)을 통해 토출구(114)로 유동하는 동안 하우징(110) 외부의 공기가 하우징(110)의 하우징홀(121)을 통해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하우징홀(121)을 통과하여 하우징(110)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가이드 부재(125)의 관통홀(126) 및 통공(127)을 통해 플러그 챔버(154) 쪽으로 유동하고, 플러그 챔버(154)에서 공기 채널(160)을 통해 토출구(114)로 유동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 유닛(200)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나타낸 토출 유닛(200)의 플런저(211)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에 나타낸 토출 유닛(200)은 앞서 설명한 토출 유닛(100)과 비교하여 플러그 조립체(210)의 구성만 일부 변형된 것이다.
플러그 조립체(210)는 가동부재(131)와 연결되는 플런저(211)와, 시트부(115)에 접할 수 있도록 플런저(211)와 결합되는 플러그(152)를 포함한다. 플러그(152)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다.
플런저(211)는 가동부재(131)와 결합되는 바디부(144)와, 바디부(144)의 끝단에 구비되어 플러그(152)와 결합되는 헤드부(212)를 포함한다. 헤드부(212)의 적어도 일부분의 폭은 바디부(144)의 폭보다 크다.
헤드부(212)는 제 1 플랜지부(213)와, 제 1 플랜지부(213)로부터 플러그(152)의 이동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 2 플랜지부(216)와, 제 1 플랜지부(213)와 제 2 플랜지부(216)를 연결하는 넥부(219)를 포함한다. 제 1 플랜지부(213)는 플러그(152) 내측의 플러그 챔버(154)에 배치되어 마개부(156)와 접한다. 제 2 플랜지부(216)는 제 1 플랜지부(213)의 하측에 제 1 플랜지부(213)와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플러그(152)의 플러그홀(157) 속에 위치한다. 제 2 플랜지부(216)의 폭은 제 1 플랜지부(213)의 폭보다 작다. 넥부(219)는 플러그홀(157)에 삽입되어 제 1 플랜지부(213)와 제 2 플랜지부(216)를 연결한다. 넥부(219)의 폭은 제 2 플랜지부(216)의 폭보다 작다. 제 1 플랜지부(213)와 제 2 플랜지부(216)의 사이에는 플러그(152)의 내부 림부(158)가 삽입되는 헤드부홈(221)이 형성된다.
제 1 플랜지부(213)에는 제 1 플랜지부(213)를 플러그(152)의 이동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 1 가이드홈(214)이 형성된다. 제 1 가이드홈(214)을 통해 플러그 챔버(154)의 공기가 제 2 플랜지부(216) 쪽으로 유동할 수 있다.
제 2 플랜지부(216)에는 제 2 플랜지부(216)를 플러그(152)의 이동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 2 가이드홈(217)이 형성된다. 제 1 가이드홈(214)을 통과하는 공기가 제 2 가이드홈(217)을 통해 토출구(114) 쪽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 밖에, 플러그 조립체(210)는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토출구(114)로 유동시킬 수 있는 공기 채널(223)을 갖는다. 공기 채널(223)은 하우징(110) 내부의 공기를 플런저(211)의 제 1 가이드홈(214)과 제 2 가이드홈(217)을 차례로 통과시키는 형태로 마련된다. 즉 공기 채널(223)은 플런저(211)의 제 1 가이드홈(214)과 제 2 가이드홈(217)을 포함한다.
공기 채널(223)을 형성하는 제 1 가이드홈(214)과 제 2 가이드홈(217)의 개수나 위치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 유닛(300)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에 나타낸 토출 유닛(300)은 앞서 설명한 토출 유닛(100)과 비교하여 플러그 조립체(310)의 구성만 일부 변형된 것이다.
플러그 조립체(310)는 가동부재(131)와 연결되는 플런저(311)와, 시트부(115)에 접할 수 있도록 플런저(311)와 결합되는 플러그(152)를 포함한다. 플러그(152)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다.
플런저(311)는 가동부재(131)와 결합되는 바디부(144)와, 바디부(144)의 끝단에 구비되어 플러그(152)와 결합되는 헤드부(312)를 포함한다. 헤드부(312)는 적어도 일부분이 플러그(152)의 플러그홀(157)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플러그(152)와 결합된다. 헤드부(312)에는 헤드부(312)를 플러그(152)의 이동 방향으로 관통하는 가이드홀(314)이 형성된다. 가이드홀(314)은 플러그(152)의 플러그 챔버(154)와 연결되어 토출구(114) 쪽으로 개방된다.
가이드홀(314)은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토출구(114)로 유동시킬 수 있는 공기 채널(316)을 형성한다. 즉 공기 채널(316)은 하우징(110) 내부의 공기를 가이드홀(314)을 통과시켜 토출구(114) 쪽으로 유동시키는 형태로 마련된다.
공기 채널(316)을 형성하는 가이드홀(314)의 개수나 위치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토출 유닛이 내측에 탱크(12)가 구비된 음료 공급기(10)에 설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본 발명에 따른 토출 유닛은 직수형 정수기 등 별도의 탱크를 구비하지 않는 음료 공급기에 구비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토출 유닛은 밸브 조립체를 움직이기 위해 가동부재나 플러그 조립체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음료 공급기 11 : 본체
12 : 탱크 13 : 공급관
100, 200, 300 : 토출 유닛 110 : 하우징
111 : 하우징 바디 112 : 내부 공간
113 : 입구 114 : 토출구
115 : 시트부 117 : 가이드실
118 : 공기실 120 : 캡
121 : 하우징홀 125 : 가이드 부재
130 : 밸브 조립체 131 : 가동부재
132 : 가동부재 바디 136 : 샤프트
137 : 통로 140 : 연결부재
142, 210, 310 : 플러그 조립체 143, 211, 311 : 플런저
144 : 바디부 146, 212, 312 : 헤드부
150 : 돌출부 152 : 플러그
153 : 중공 바디부 154 : 플러그 챔버
156 : 마개부 157 : 플러그홀
160, 223, 316 : 공기 채널 165 : 작동부재
213 : 제 1 플랜지부 214 : 제 1 가이드홈
216 : 제 2 플랜지부 217 : 제 2 가이드홈
219 : 넥부 314 : 가이드홀

Claims (10)

  1. 음료를 공급하기 위한 음료 공급기에 구비되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음료를 토출할 수 있는 음료 공급기용 토출 유닛에 있어서,
    상기 음료 공급기에 구비되는 공급관을 따라 유동하는 음료가 유입되는 입구와, 음료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와, 상기 입구와 상기 토출구를 연결하는 가이드실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가이드실에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되어 상기 토출구를 개폐할 수 있는 플러그를 구비하는 플러그 조립체; 및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플러그 조립체를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작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조립체는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토출구로 유동시킬 수 있는 공기 채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기용 토출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채널은 공기를 상기 플러그의 내측으로 통과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기용 토출 유닛.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탄성 변형 가능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상기 가이드실과, 상기 가이드실과 분리되는 공기실로 구획하고,
    상기 공기 채널은 상기 공기실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기용 토출 유닛.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밀착되고 내측에 플러그 챔버가 형성된 중공 바디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는 시트부에 접하거나 상기 시트부로부터 이격되는 방식으로 상기 토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중공 바디부에 연결되는 마개부와,
    상기 플러그 챔버와 연결되고 상기 토출구 쪽으로 개방되도록 상기 마개부에 형성되는 플러그홀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조립체는,
    상기 작동부재와 연결되는 바디부와, 상기 플러그홀에 삽입되어 상기 플러그와 결합되도록 상기 바디부에 연결되는 헤드부를 구비하는 플런저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채널은 공기를 상기 플러그홀을 통과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기용 토출 유닛.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채널은 상기 마개부와 상기 플러그 헤드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기용 토출 유닛.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채널은 상기 플러그 챔버와 상기 토출구를 연결하도록 상기 헤드부를 상기 플러그의 이동 방향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상기 헤드부에 형성되는 가이드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기용 토출 유닛.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플런저 챔버에 배치되어 상기 마개부와 접하는 제 1 플랜지부와,
    상기 제 1 플랜지부로부터 상기 플러그의 이동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 1 플랜지부의 하측에 상기 제 1 플랜지부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 2 플랜지부와,
    상기 제 1 플랜지부의 폭 및 상기 제 2 플랜지부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고, 상기 플러그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플랜지부와 상기 제 2 플랜지부를 연결하는 넥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채널은,
    상기 제 1 플랜지부를 상기 플러그의 이동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상기 제 1 플랜지부에 형성되는 제 1 가이드홈과,
    상기 제 2 플랜지부를 상기 플러그의 이동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상기 제 2 플랜지부에 형성되는 제 2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기용 토출 유닛.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상기 토출구로 진입하여 상기 토출구에 잔류하는 음료를 상기 토출구로부터 밀어낼 수 있도록 상기 헤드부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기용 토출 유닛.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조립체와 상기 작동부재를 연결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가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는 하우징홀에 삽입되어 일부분이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작동부재와 연결되어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샤프트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 외부의 공기가 상기 하우징홀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기용 토출 유닛.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외면에는 공기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기용 토출 유닛.
KR1020210093961A 2021-07-19 2021-07-19 음료 공급기용 토출 유닛 KR102566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961A KR102566986B1 (ko) 2021-07-19 2021-07-19 음료 공급기용 토출 유닛
CN202221028441.9U CN217408499U (zh) 2021-07-19 2022-04-28 饮品供应器用排出单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961A KR102566986B1 (ko) 2021-07-19 2021-07-19 음료 공급기용 토출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3332A true KR20230013332A (ko) 2023-01-26
KR102566986B1 KR102566986B1 (ko) 2023-08-16

Family

ID=83185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3961A KR102566986B1 (ko) 2021-07-19 2021-07-19 음료 공급기용 토출 유닛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66986B1 (ko)
CN (1) CN217408499U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0713Y1 (ko) * 2005-04-26 2005-07-22 김영돈 냉온수기의 온수밸브
KR101120358B1 (ko) * 2011-10-31 2012-03-16 세양프라텍(주) 온수용 안전코크
KR20180078401A (ko) * 2016-12-29 2018-07-10 주식회사 피코그램 잔수가 배출되는 정수기용 배출 코크
KR102035520B1 (ko) * 2018-02-01 2019-10-23 주식회사 엔비엘 플런저를 이용한 정수기용 파우셋
KR102207803B1 (ko) 2019-04-24 2021-01-27 (주)원봉 정수기용 취수 코크 유닛 및 이를 갖는 정수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0713Y1 (ko) * 2005-04-26 2005-07-22 김영돈 냉온수기의 온수밸브
KR101120358B1 (ko) * 2011-10-31 2012-03-16 세양프라텍(주) 온수용 안전코크
KR20180078401A (ko) * 2016-12-29 2018-07-10 주식회사 피코그램 잔수가 배출되는 정수기용 배출 코크
KR102035520B1 (ko) * 2018-02-01 2019-10-23 주식회사 엔비엘 플런저를 이용한 정수기용 파우셋
KR102207803B1 (ko) 2019-04-24 2021-01-27 (주)원봉 정수기용 취수 코크 유닛 및 이를 갖는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7408499U (zh) 2022-09-13
KR102566986B1 (ko) 2023-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3093B2 (en) Tipless can filling valve
US20080135117A1 (en) Dispenser Tap
US20110005638A1 (en) Tipless can filling valve
EA009232B1 (ru) Кран для выдачи напитков
KR20090024666A (ko) 음료용기와, 이 음료용기와 탭핑장치의 조립체
KR102566986B1 (ko) 음료 공급기용 토출 유닛
SK280023B6 (sk) Narážacie zariadenie na stáčací ventil keg
US20090014075A1 (en) Dispenser Tap with Two Stage Valve
KR20210000147A (ko) 냉장고용 정수필터 커넥터
US2034623A (en) Beverage dispenser
EP3730878B1 (en) Water storage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same
JP2010116191A (ja) 飲料注出装置のディスペンスヘッド
WO2009074689A3 (en) A flow control device
US332731A (en) Draft-tube for soda-water
KR100644394B1 (ko) 맥주용 디스펜서 헤드 구조
KR102555988B1 (ko) 음용수 공급기용 물통 홀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음용수 공급기
KR20180068038A (ko) 거품발생홀을 가지는 맥주 디스펜서 밸브용 밸브 슬라이더
US6634395B1 (en) Double poppet valve for precise shut off of fuel dispensing nozzle
US9139312B2 (en) Tipless can filling valve
US694477A (en) Valve.
KR20110061747A (ko) 콕밸브
JP2022507183A (ja) 泡制御付きビールタップ
US20130015212A1 (en) Dispensing unit for liquid containers
CN220703229U (zh) 一种酒桶
KR20190020918A (ko) 수실 분리식 정수기용 코크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