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5988B1 - 음용수 공급기용 물통 홀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음용수 공급기 - Google Patents

음용수 공급기용 물통 홀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음용수 공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5988B1
KR102555988B1 KR1020210067758A KR20210067758A KR102555988B1 KR 102555988 B1 KR102555988 B1 KR 102555988B1 KR 1020210067758 A KR1020210067758 A KR 1020210067758A KR 20210067758 A KR20210067758 A KR 20210067758A KR 102555988 B1 KR102555988 B1 KR 102555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connector
water
connector body
neck portion
holde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7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9753A (ko
Inventor
이원혁
송광석
김은수
이동연
김항종
Original Assignee
(주)원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원봉 filed Critical (주)원봉
Priority to KR1020210067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5988B1/ko
Priority to CN202121374743.7U priority patent/CN215457350U/zh
Publication of KR20220159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9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5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5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29Keg connec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0Pump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47Piping
    • B67D2210/00062Pipe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음용수 공급기용 물통 홀더 어셈블리는, 출입구가 형성된 넥부를 포함하는 물통과, 상기 물통에 저장된 물을 출수할 수 있는 토출 유닛을 구비하는 음용수 공급기의 연결관을 연결하기 위한 음용수 공급기용 물통 홀더 어셈블리로서, 상기 넥부의 끝단에 접하여 상기 출입구를 덮는 하부 커넥터 바디와, 상기 넥부의 둘레를 둘러싸도록 상기 하부 커넥터 바디의 가장자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탄성편과, 물이 통과할 수 있는 하부 커넥터 통로를 갖는 하부 커넥터; 상기 하부 커넥터 통로와 연결되는 상부 커넥터 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관이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커넥터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 커넥터 바디의 상단부를 덮는 상부 커넥터; 및 상기 하부 커넥터를 상기 넥부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탄성편에 외면에 밀착되어 상기 복수의 탄성편을 상기 넥부 쪽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탄성편을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하부 커넥터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플러 링;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음용수 공급기용 물통 홀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음용수 공급기{HOLDER ASSEMBLY FOR WATER BOTTLE OF WATER SUPPLYING APPARATUS AND WATER SUPPLY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음용수 공급기용 물통 홀더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용수 공급기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어 음용수 공급기에 물을 공급하는 음용수 공급기용 물통에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해 물통에 간편하게 결합될 수 있는 음용수 공급기용 물통 홀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음용수 공급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환경 오염의 영향으로 가정이나 사무실에서는 수돗물을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정수된 음용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음용수 공급기의 사용이 대중화되었다. 음용수 공급기로는 수돗물 등의 원수를 필터로 정수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정수기나, 교체형 생수통에 담긴 생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냉온수기와 같은 다양한 장치가 있다. 대중적으로 정수기와 냉온수기는 모두 정수기로 불리기도 한다.
정수기는 물리적, 화학적 방법으로 물을 걸러 불순물을 제거하는 기구로,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이를 정수 필터를 통해 정수한 후 토출하여 사용자가 음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정수기는 형태에 따라 수도관에 직접 연결되는 직결형과, 음용수를 용기에 담아서 필터를 통과하도록 하는 저장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현재 대부분의 정수기는 내부에 물을 가열하거나 냉각시킬 수 있는 장치가 별도로 구비되어 냉수 및 온수를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취한다.
냉수와 온수를 공급할 수 있는 정수기의 경우, 원수가 냉수 탱크와 온수 탱크로 분배된다. 냉수 탱크와 온수 탱크는 각각 취수 배관을 통해 취수 코크에 연결되고, 취수 코크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음용수가 담긴 교체형 물통을 이용하는 음용수 공급기의 경우, 물통을 음용수 공급기에 결합하고 물통에 담긴 음용수를 냉각시키거나 가열하여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음용수 공급기는 물통이 결합되는 급수부가 상측에 배치되어 물통이 뒤집힌 상태로 결합되는 구조가 많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음용수 공급기는 물통의 교체 시 사용자가 무거운 물통을 거꾸로 뒤집어서 음용수 공급기의 위쪽으로 들어올려야 해서 사용이 불편하다. 그리고 물통의 교체 중에 급수부가 그대로 공기 중에 노출되어 급수부가 오염되기 쉽다. 또한 급수부에 물통의 외면이 접촉하게 되므로, 물통의 외면이 유통 중에 오염된 경우 급수부가 물통 외면의 오염물에 의해 오염되는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물통을 뒤집지 않고 세워서 장착할 수 있는 음용수 공급기가 개발된 바 있다. 이러한 음용수 공급기는 음용수가 배출되는 물통의 배출부에 홀더를 연결하고 펌프로 물통의 물을 배출시키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물통용 홀더는 사용이 불편하고, 물통과의 결합력이 약한 문제가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2012-0140164호 (2012. 12. 28)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이 편리하고, 간단한 방식으로 물통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음용수 공급기용 물통 홀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음용수 공급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용수 공급기용 물통 홀더 어셈블리는, 출입구가 형성된 넥부를 포함하는 물통과, 상기 물통에 저장된 물을 출수할 수 있는 토출 유닛을 구비하는 음용수 공급기의 연결관을 연결하기 위한 음용수 공급기용 물통 홀더 어셈블리로서, 상기 넥부의 끝단에 접하여 상기 출입구를 덮는 하부 커넥터 바디와, 상기 넥부의 둘레를 둘러싸도록 상기 하부 커넥터 바디의 가장자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탄성편과, 물이 통과할 수 있는 하부 커넥터 통로를 갖는 하부 커넥터; 상기 하부 커넥터 통로와 연결되는 상부 커넥터 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관이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커넥터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 커넥터 바디의 상단부를 덮는 상부 커넥터; 및 상기 하부 커넥터를 상기 넥부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탄성편에 외면에 밀착되어 상기 복수의 탄성편을 상기 넥부 쪽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탄성편을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하부 커넥터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플러 링;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탄성편의 외면에는 외부 나사부가 구비되고, 상기 커플러 링의 내면에는 상기 외부 나사부와 맞물릴 수 있는 내부 나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편은 상기 하부 커넥터 바디로부터 멀어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성편의 내면에는 상기 넥부에 돌출 구비되는 걸림 돌기에 맞물릴 수 있는 내부 걸림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커넥터에는 복수의 슬릿이 상측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 커넥터는 상기 하부 커넥터 바디에 결합되는 상부 커넥터 바디 및 상기 복수의 슬릿에 삽입되도록 상기 상부 커넥터 바디의 가장자리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돌출편 포함하며, 상기 돌출편의 외면에는 상기 커플러 링의 내면에 접하되, 상기 커플러 링이 상기 복수의 탄성편을 상기 넥부에 밀착되도록 조일 때 상기 커플러 링의 상단부에 맞물릴 수 있는 디텐트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커넥터는 상기 하부 커넥터 통로가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물통 속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커넥터 바디의 중간에 상기 하부 커넥터 바디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유입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커넥터는 상기 상부 커넥터 통로가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연결관이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커넥터 바디의 중간에 상기 커넥터 바디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배출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커넥터 바디와 상기 상부 커넥터 바디의 사이에는 상기 하부 커넥터 바디와 상기 상부 커넥터 바디의 사이를 실링하기 위한 실링부재가 개재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용수 공급기는, 넥부를 갖는 물통이 수용되는 챔버가 마련된 본체;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토출 유닛; 상기 물통에 저장된 물을 펌핑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펌프; 및 상기 펌프에 연결되는 연결관과 상기 물통을 연결하는 물통 홀더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 어셈블리는, 상기 넥부의 끝단에 접하여 상기 넥부에 형성된 출입구를 덮는 하부 커넥터 바디와, 상기 넥부의 둘레를 둘러싸도록 상기 하부 커넥터 바디의 가장자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탄성편과, 물이 통과할 수 있는 하부 커넥터 통로를 갖는 하부 커넥터와, 상기 하부 커넥터 통로와 연결되는 상부 커넥터 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관이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커넥터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 커넥터 바디의 상단부를 덮는 상부 커넥터와, 상기 하부 커넥터를 상기 넥부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탄성편에 외면에 밀착되어 상기 복수의 탄성편을 상기 넥부 쪽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탄성편을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하부 커넥터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플러 링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통 홀더 어셈블리는 구조가 간단하고, 간단한 조작을 통해 물통에 결합되거나, 물통에서 분리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통 홀더 어셈블리는 커플러 링을 움직이는 단순한 조작을 통해 물통에 견고하게 결합됨으로써 물통과 물을 배출하기 위한 연결관을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통 홀더 어셈블리는 구조가 콤팩트하고, 하부 커넥터와, 상부 커넥터 및 커플러 링이 단순한 조립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어 제조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기의 물통 홀더 어셈블리가 물통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기의 물통 홀더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기의 물통 홀더 어셈블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기의 물통 홀더 어셈블리를 절단하여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기의 물통 홀더 어셈블리를 물통에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음용수 공급기용 물통 홀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음용수 공급기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기(100)는 물통(10)이 내부에 수용되는 본체(110)와,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본체(110)에 설치되는 토출 유닛(115)과, 물통(10)의 물을 펌핑하기 위한 펌프(117)와, 펌프(117)에 연결되는 연결관(118)과 물통(10)을 연결하는 물통 홀더 어셈블리(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기(100)는 교체형 물통(10)에 물통 홀더 어셈블리(12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물통(10)에 담긴 물을 토출 유닛(115)을 통해 배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기(100)에 사용되는 물통(10)은 내부에 물이 담기는 저장실(12)이 형성된 바디부(11)와, 바디부(11)보다 좁은 폭으로 바디부(11)의 상단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넥부(15)를 포함한다. 넥부(15)의 상단부에는 물이 배출되는 출입구(16)가 형성되고, 넥부(15)의 외측 둘레에는 물통 홀더 어셈블리(120)와 맞물릴 수 있는 복수의 걸림 돌기(18)가 외측으로 돌출 구비된다. 물통(10)은 중간 부분에 접힘 가능한 주름부(13)가 구비되어 내부에 저장된 물이 배출됨에 따라 수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기(100)에 사용되는 물통(10)은 도시된 구조 이외에, 물통 홀더 어셈블리(12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넥부(15)를 포함하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본체(110)의 내측에는 물통(10)이 수용되는 챔버(111)가 구비된다. 본체(110)의 일측은 개방되고, 본체(110)의 개방된 일측은 도어(113)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어(113)을 열어 챔버(111)를 개방한 상태에서 물통(10)을 챔버(111)에 수용하거나, 사용 완료된 물통(10)을 본체(110)에서 분리할 수 있다.
본체(110)는 도시된 형상 이외의 다양한 다른 형상을 취할 수 있다.
토출 유닛(115)은 본체(110)의 일측에 설치되어 물을 배출할 수 있다. 토출 유닛(115)은 자동 또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작동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양의 물을 배출할 수 있다. 토출 유닛(115)은 공지된 것과 같은 다양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펌프(117)는 본체(110)의 내측에 설치되어 물통(10)의 물을 펌핑한다. 펌프(117)에는 연결관(118)이 연결되고, 연결관(118)의 일단에는 물통 홀더 어셈블리(120)가 연결된다. 따라서 펌프(117)는 물통 홀더 어셈블리(120)를 통해 물통(10)에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 자세히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음용수 공급기(100)는 물통(10)에서 배출되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탱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탱크는 토출 유닛(115)과 연결되어 저장된 물을 토출 유닛(115)으로 배출할 수 있다. 탱크는 물통(10)에서 배출되는 물을 정수하여 저장하는 구조나, 물을 냉각시켜 저장하는 구조, 또는 물을 가열하여 저장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탱크는 하나, 또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물통 홀더 어셈블리(120)는 연결관(118)의 끝단에 연결되고 물통(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연결관(118)을 물통(10)에 연결시킬 수 있다. 물통 홀더 어셈블리(120)는 물통(10)의 넥부(15) 끝단을 덮을 수 있도록 물통(10)의 넥부(15)에 결합되는 하부 커넥터(121)와, 하부 커넥터(121) 위에 결합되는 상부 커넥터(137)와, 하부 커넥터(121)의 외측 가장자리를 감싸는 커플러 링(154)을 포함한다.
하부 커넥터(121)는 넥부(15)의 끝단에 접하여 물통(10)의 출입구(16)를 덮을 수 있는 하부 커넥터 바디(122)와, 하부 커넥터 바디(122)의 가장자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탄성편(126)과, 하부 커넥터 바디(122)의 중앙 부분에 연결되는 유입 튜브(131)를 포함한다.
하부 커넥터 바디(122)의 상면에는 복수의 보스 돌기(123)가 상측으로 돌출된다. 복수의 보스 돌기(123)는 상부 커넥터(137)를 안정적으로 떠받칠 수 있도록 하부 커넥터 바디(122)의 중앙 부분 둘레를 따라 이격 배치된다. 보스 돌기(123)에는 하부 커넥터 홀(124)이 형성된다. 하부 커넥터 홀(124)에는 하부 커넥터(121)와 상부 커넥터(137)를 결합하기 위한 고정부재(152)가 삽입된다. 고정부재(152)는 나사 구조 등 하부 커넥터(121)와 상부 커넥터(137)를 상호 결합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복수의 탄성편(126)은 물통(10)의 넥부(15) 둘레를 둘러쌀 수 있도록 하부 커넥터 바디(122)의 가장자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다. 탄성편(126)은 탄성 변형 가능하고, 넥부(15)의 둘레에 배치된 상태에서 커플러 링(154)에 의해 조여져 넥부(15)에 압착될 수 있다. 탄성편(126)은 하단부의 두께가 상단부의 두께보다 두껍다. 즉 탄성편(126)은 하부 커넥터 바디(122)로부터 멀어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내경이 일정한 커플러 링(154)이 탄성편(126)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탄성편(126)의 하단부 쪽으로 이동하면, 탄성편(126)은 그 외면이 커플러 링(154)의 내면에 압착되어 유입 튜브(131) 쪽으로 밀리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다.
탄성편(126)의 외면에는 커플러 링(154)에 구비되는 내부 나사부(155)에 대응하는 외부 나사부(127)가 구비된다. 그리고 탄성편(126)의 하단부에는 내부 걸림턱(128) 및 외부 걸림턱(129)이 구비된다. 내부 걸림턱(128)은 물통(10)의 걸림 돌기(18)에 맞물릴 수 있도록 탄성편(126)의 하단부에서 안쪽으로 돌출된다. 탄성편(126)이 커플러 링(154)에 의해 넥부(15)에 압착되도록 조여진 상태에서 내부 걸림턱(128)이 물통(10)의 걸림 돌기(18)에 맞물림으로써 하부 커넥터(121)가 넥부(15)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외부 걸림턱(129)은 탄성편(126)의 하단부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된다. 외부 걸림턱(129)은 커플러 링(154)이 하부 커넥터(121)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유입 튜브(131)는 하부 커넥터 바디(122)의 중앙 부분에 하부 커넥터 바디(122)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다. 유입 튜브(131)의 내측에는 물이 통과할 수 있는 하부 커넥터 통로(132)가 마련된다. 하부 커넥터 통로(132)는 하부 커넥터 바디(122)의 상면까지 연장되어 하부 커넥터 통로(132)를 통과하는 물은 하부 커넥터 바디(122)의 위쪽으로 유동할 수 있다. 유입 튜브(131)의 하단부 쪽에는 하부 커넥터 통로(132)와 연결되는 입구(133)가 형성된다. 하부 커넥터(121)가 물통(10)의 넥부(15)에 결합될 때 유입 튜브(131)는 물통(10)의 내부로 진입하여 물통(10)에 저장된 물 속에 잠길 수 있다. 이때, 물통(10)에 저장된 물이 입구(133)를 통해 하부 커넥터 통로(132)로 유입되어 하부 커넥터 통로(132)를 따라 물통(10)에서 배출될 수 있다.
이 밖에, 하부 커넥터(121)에는 복수의 슬릿(135)이 상측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슬릿(135)에는 상부 커넥터(137)에 구비되는 돌출편(143)이 삽입된다.
하부 커넥터(121)는 도시된 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물통(10)의 끝단에 접하여 물통(10)의 출입구(16)를 덮으면서 물통(10)에 저장된 물을 배출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상부 커넥터(137)는 하부 커넥터 바디(122)의 상부를 덮는 상부 커넥터 바디(138)와, 상부 커넥터 바디(138)의 가장자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돌출편(143)과, 상부 커넥터 바디(138)의 중앙 부분에 연결되는 배출 튜브(146)를 포함한다. 상부 커넥터(137)는 하부 커넥터 바디(122)의 상부를 덮도록 하부 커넥터(121)에 결합되어 하부 커넥터(121)를 통과하는 물을 연결관(118)으로 가이드하고, 커플러 링(154)이 하부 커넥터(121)의 상단부를 통해 하부 커넥터(121)에서 분리되지 않게 한다.
상부 커넥터 바디(138)의 중앙 부분에는 하측으로 돌출되는 연결 보스(139)가 구비된다. 연결 보스(139)의 상부에는 연결관(118)의 끝단을 수용할 수 있는 삽입홈(140)이 배출 튜브(146)를 둘러싸는 형태로 마련된다.
상부 커넥터 바디(138)에는 하부 커넥터(121)의 하부 커넥터 홀(124)에 대응하는 상부 커넥터 바디 홀(141)이 구비된다. 상부 커넥터 바디 홀(141)은 복수 개가 삽입홈(140)의 둘레를 따라 이격 배치된다. 상부 커넥터 바디 홀(141)에는 하부 커넥터(121)와 상부 커넥터(137)를 결합하기 위한 고정부재(152)가 삽입된다. 고정부재(152)는 상부 커넥터 바디 홀(141)을 통과하여 하부 커넥터 홀(124)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하부 커넥터(121)와 상부 커넥터(137)를 결합할 수 있다.
복수의 돌출편(143)은 하부 커넥터(121)에 구비되는 복수의 슬릿(135)에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 커넥터 바디(138)의 가장자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다. 돌출편(143)은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돌출편(143)의 외면에는 커플러 링(154)의 내면에 접할 수 있는 디텐트 돌기(144)가 외측으로 돌출 구비된다. 커플러 링(154)이 복수의 탄성편(126)을 넥부(15)에 밀착되도록 조일 때 디텐트 돌기(144)가 커플러 링(154)의 상단부에 맞물릴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복수의 탄성편(126)을 조이기 위해 커플러 링(154)을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디텐트 돌기(144)가 커플러 링(154)의 안쪽에서 빠져나와 커플러 링(154)의 상단부에 걸리게 된다. 디텐트 돌기(144)가 커플러 링(154)의 상단부에 걸리는 과정에서 충격음 또는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디텐트 돌기(144)가 커플러 링(154)의 안쪽에서 빠져나와 커플러 링(154)의 상단부에 맞물리는 상태에서 탄성편(126)은 커플러 링(154)에 의해 완전히 조여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커플러 링(154)을 조작하여 탄성편(126)을 조이면서 충격음 또는 진동을 감지함으로써 탄성편(126)이 완전히 조여진 시점을 확인할 수 있다.
배출 튜브(146)는 상부 커넥터 바디(138)의 중앙 부분에 배치된다. 즉 배출 튜브(146)는 연결 보스(139)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다. 배출 튜브(146)의 내측에는 물이 통과할 수 있는 상부 커넥터 통로(147)가 마련된다. 상부 커넥터 통로(147)는 연결 보스(139)의 하면까지 연장되어 하부 커넥터(121)의 하부 커넥터 통로(132)와 연결된다. 배출 튜브(146)에는 연결관(118)이 연결된다. 따라서 하부 커넥터(121)의 유입 튜브(131)를 따라 유동하는 물이 배출 튜브(146)를 통과하여 연결관(118)으로 유동할 수 있다.
하부 커넥터 바디(122)와 연결 보스(139)의 사이에는 실링부재(150)가 개재된다. 실링부재(150)는 하부 커넥터 바디(122)와 연결 보스(139) 사이를 실링함으로써 하부 커넥터 바디(122)와 연결 보스(139) 사이의 연결 부위에서 물이 누수되지 않게 한다.
상부 커넥터(137)는 도시된 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하부 커넥터(121)의 상부에 결합되어 하부 커넥터(121)를 통과하는 물을 연결관(118)으로 가이드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커플러 링(154)은 복수의 탄성편(126)을 둘러싸는 형태로 하부 커넥터(121)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커플러 링(154)은 사용자에 의해 탄성편(126)의 하단부 쪽으로 이동함으로써 탄성편(126)의 외면에 밀착되어 탄성편(126)을 물통(10)의 넥부(15) 쪽으로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커플러 링(154)이 사용자에 의해 탄성편(126)의 하단부에서 위쪽으로 이동할 때 탄성편(126)에 대한 커플러 링(154)의 조임력을 해제될 수 있다.
커플러 링(154)의 내면에는 하부 커넥터(121)의 외부 나사부(127)와 맞물릴 수 있는 내부 나사부(155)가 구비된다. 커플러 링(154)은 내부 나사부(155)가 외부 나사부(127)와 맞물리도록 하부 커넥터(121)에 결합된다. 내부 나사부(155)가 외부 나사부(127)에 맞물림으로써 사용자는 커플러 링(154)을 회전시켜 커플러 링(154)을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커플러 링(154)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커플러 링(154)은 하부 커넥터(121)에 대해 나사 운동하여 하부 커넥터(121)에 대해 하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커플러 링(154)이 복수의 탄성편(126)을 조일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커플러 링(154)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커플러 링(154)은 하부 커넥터(121)에 대해 나사 운동하여 하부 커넥터(121)에 대해 상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탄성편(126)에 대한 커플러 링(154)의 조임력이 해제될 수 있다.
커플러 링(154)은 도시된 구조 이외에 하부 커넥터(121)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탄성편(126)을 안쪽으로 조일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물통 홀더 어셈블리(120)는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유입 튜브(131)가 물통(10) 속으로 진입하도록 물통(10)의 넥부(15)에 결합된다.
도 8의 (a) 및 도 9의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물통 홀더 어셈블리(120)는 커플러 링(154)이 하부 커넥터(121)의 탄성편(126)을 조이지 않는 상태에서 물통(10)의 넥부(15)에 결합된다. 이때, 탄성편(126)이 넥부(15)에 압착되거나 넥부(15)의 걸림 돌기(18)에 걸리지 않으며, 물통 홀더 어셈블리(120)는 넥부(15)에 원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물통 홀더 어셈블리(120)가 물통(10)의 넥부(15)에 가결합된 상태에서, 도 8 (b) 및 도 9의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사용자가 커플러 링(154)을 돌리면 하부 커넥터(121)의 외부 나사부(127)와 커플러 링(154)의 내부 나사부(155)의 상호 작용으로 커플러 링(154)이 하부 커넥터(121)에 대해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커플러 링(154)이 탄성편(126)의 외면에 압착되어 탄성편(126)을 넥부(15)에 압착되도록 조이게 된다. 커플러 링(154)은 다른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탄성편(126)이 넥부(15)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탄성편(126)을 조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사용자는 커플러 링(154)을 조작하여 탄성편(126)을 조이는 과정에서 충격음 또는 진동을 통해 탄성편(126)이 완전히 조여진 시점을 쉽게 알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하부 커넥터(121)의 탄성편(126)이 물통(10)의 넥부(15)에 밀착되고 하부 커넥터(121)의 내부 걸림턱(128)이 물통(10)의 걸림 돌기(18)에 맞물림으로써 물통 홀더 어셈블리(120)는 물통(10)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물통 홀더 어셈블리(120)가 물통(10)에 결합된 후, 펌프(117)가 작동하면 물통(10)에 저장된 물이 하부 커넥터(121)의 유입 튜브(131)와 상부 커넥터(137)의 배출 튜브(146)를 차례로 통과하여 물통(10)에서 배출된다. 그리고 물통(10)에서 배출되는 물은 연결관(118)을 따라 토출 유닛(115) 또는 본체(110)에 설치되는 탱크로 유동할 수 있다.
한편, 물통(10)에 저장된 물이 모두 배출된 경우, 사용자는 커플러 링(154)을 돌려 커플러 링(154)의 조임력을 해제하고 물통(10)에서 물통 홀더 어셈블리(120)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통 홀더 어셈블리(120)는 구조가 간단하고, 간단한 조작을 통해 물통(10)에 결합되거나, 물통(10)에서 분리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통 홀더 어셈블리(120)는 커플러 링(154)을 움직이는 단순한 조작을 통해 물통(10)에 견고하게 결합됨으로써 물통(10)과 물을 배출하기 위한 연결관(118)을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통 홀더 어셈블리(120)는 구조가 콤팩트하고, 하부 커넥터(121)와, 상부 커넥터(137) 및 커플러 링(154)이 단순한 조립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어 제조가 용이하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하부 커넥터(121)의 하부 커넥터 통로(132)가 하부 커넥터 바디(122)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유입 튜브(131)의 내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하부 커넥터(121)에서 하부 커넥터 통로(132)의 형성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또한 도면에는 상부 커넥터(137)의 상부 커넥터 통로(147)가 상부 커넥터 바디(138)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배출 튜브(146)의 내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상부 커넥터(137)에서 상부 커넥터 통로(147)의 형성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하부 커넥터(121)와 상부 커넥터(137)가 나사 구조의 고정부재(152)를 통해 상호 결합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하부 커넥터(121)와 상부 커넥터(137)의 결합 방식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음용수 공급기 110 : 본체
115 : 토출 유닛 117 : 펌프
118 : 연결관 120 : 물통 홀더 어셈블리
121 : 하부 커넥터 122 : 하부 커넥터 바디
123 : 보스 돌기 126 : 탄성편
127 : 외부 나사부 128 : 내부 걸림턱
129 : 외부 걸림턱 131 : 유입 튜브
132 : 하부 커넥터 통로 135 : 슬릿
137 : 상부 커넥터 138 : 상부 커넥터 바디
139 : 연결 보스 140 : 삽입홈
143 : 돌출편 144 : 디텐트 돌기
146 : 배출 튜브 147 : 상부 커넥터 통로
150 : 실링부재 152 : 고정부재
154 : 커플러 링 155 : 내부 나사부

Claims (8)

  1. 출입구가 형성된 넥부를 포함하는 물통과, 상기 물통에 저장된 물을 출수할 수 있는 토출 유닛을 구비하는 음용수 공급기의 연결관을 연결하기 위한 음용수 공급기용 물통 홀더 어셈블리로서,
    상기 넥부의 끝단에 접하여 상기 출입구를 덮는 하부 커넥터 바디와, 상기 넥부의 둘레를 둘러싸도록 상기 하부 커넥터 바디의 가장자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탄성편과, 물이 통과할 수 있는 하부 커넥터 통로를 갖는 하부 커넥터;
    상기 하부 커넥터 통로와 연결되는 상부 커넥터 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관이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커넥터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 커넥터 바디의 상단부를 덮는 상부 커넥터; 및
    상기 하부 커넥터를 상기 넥부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탄성편에 외면에 밀착되어 상기 복수의 탄성편을 상기 넥부 쪽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탄성편을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하부 커넥터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플러 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기용 물통 홀더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탄성편의 외면에는 외부 나사부가 구비되고,
    상기 커플러 링의 내면에는 상기 외부 나사부와 맞물릴 수 있는 내부 나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기용 물통 홀더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은 상기 하부 커넥터 바디로부터 멀어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기용 물통 홀더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의 내면에는 상기 넥부에 돌출 구비되는 걸림 돌기에 맞물릴 수 있는 내부 걸림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기용 물통 홀더 어셈블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넥터에는 복수의 슬릿이 상측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 커넥터는 상기 하부 커넥터 바디에 결합되는 상부 커넥터 바디 및 상기 복수의 슬릿에 삽입되도록 상기 상부 커넥터 바디의 가장자리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돌출편 포함하며,
    상기 돌출편의 외면에는 상기 커플러 링의 내면에 접하되, 상기 커플러 링이 상기 복수의 탄성편을 상기 넥부에 밀착되도록 조일 때 상기 커플러 링의 상단부에 맞물릴 수 있는 디텐트 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기용 물통 홀더 어셈블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넥터는 상기 하부 커넥터 통로가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물통 속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커넥터 바디의 중간에 상기 하부 커넥터 바디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유입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커넥터는 상기 상부 커넥터 통로가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연결관이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커넥터 바디에 결합되는 상부 커넥터 바디의 중간에 상기 커넥터 바디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배출 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기용 물통 홀더 어셈블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넥터 바디와 상기 상부 커넥터 바디의 사이에는 상기 하부 커넥터 바디와 상기 상부 커넥터 바디의 사이를 실링하기 위한 실링부재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기용 물통 홀더 어셈블리.
  8. 넥부를 갖는 물통이 수용되는 챔버가 마련된 본체;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토출 유닛;
    상기 물통에 저장된 물을 펌핑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펌프; 및
    상기 펌프에 연결되는 연결관과 상기 물통을 연결하는 물통 홀더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 어셈블리는,
    상기 넥부의 끝단에 접하여 상기 넥부에 형성된 출입구를 덮는 하부 커넥터 바디와, 상기 넥부의 둘레를 둘러싸도록 상기 하부 커넥터 바디의 가장자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탄성편과, 물이 통과할 수 있는 하부 커넥터 통로를 갖는 하부 커넥터와,
    상기 하부 커넥터 통로와 연결되는 상부 커넥터 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관이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커넥터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 커넥터 바디의 상단부를 덮는 상부 커넥터와,
    상기 하부 커넥터를 상기 넥부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탄성편에 외면에 밀착되어 상기 복수의 탄성편을 상기 넥부 쪽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탄성편을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하부 커넥터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플러 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기.
KR1020210067758A 2021-05-26 2021-05-26 음용수 공급기용 물통 홀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음용수 공급기 KR102555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758A KR102555988B1 (ko) 2021-05-26 2021-05-26 음용수 공급기용 물통 홀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음용수 공급기
CN202121374743.7U CN215457350U (zh) 2021-05-26 2021-06-21 饮用水供应器用水桶保持架组件及包括其的饮用水供应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758A KR102555988B1 (ko) 2021-05-26 2021-05-26 음용수 공급기용 물통 홀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음용수 공급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753A KR20220159753A (ko) 2022-12-05
KR102555988B1 true KR102555988B1 (ko) 2023-07-18

Family

ID=79720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7758A KR102555988B1 (ko) 2021-05-26 2021-05-26 음용수 공급기용 물통 홀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음용수 공급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55988B1 (ko)
CN (1) CN215457350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93432B (zh) * 2023-03-09 2023-06-30 合肥正宇工程设计有限公司 毒害气体检测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3181A (en) 1976-07-29 1979-05-08 Parker-Nosser Company, Inc. Liquid dispenser
US20110163116A1 (en) 2006-07-14 2011-07-07 Charles Dixon Bottled water dispens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40164A (ko) 2011-06-20 2012-12-28 박한웅 위생적인 냉온수기
KR20150002961U (ko) * 2014-01-23 2015-07-31 (주)현대 와코텍 정수 필터용 커넥터
KR20210000147A (ko) * 2019-06-24 2021-01-04 주식회사 피코그램 냉장고용 정수필터 커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3181A (en) 1976-07-29 1979-05-08 Parker-Nosser Company, Inc. Liquid dispenser
US20110163116A1 (en) 2006-07-14 2011-07-07 Charles Dixon Bottled water dispen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5457350U (zh) 2022-01-11
KR20220159753A (ko) 202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46041B1 (en) Integrated reverse osmosis and storage system
US10160661B2 (en) Portable, dual-orifice filtered water dispenser
KR100721327B1 (ko) 정수기 필터 어셈블리
US20160220925A1 (en) Filter cartridge
KR102555988B1 (ko) 음용수 공급기용 물통 홀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음용수 공급기
EP2038036B1 (en) Water purification filter assembly
US20060249442A1 (en) Water filtration system with improved performance
US20150246824A1 (en) Filter cartridges for jug container
US5714066A (en) Water purifier having separate sink-mounted discharge faucets for dispensing purified water and discharging waste water
EP2917419B1 (en) Faucet handle with valve cartridge parallel to mounting surface
US11235999B2 (en) Water treatment system
US20020070153A1 (en) Liquid dispenser with closed gravity filter and air breathing system
US9422182B2 (en) Water purifier system and a filter element for such system
KR102177297B1 (ko) 필터 결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US5811001A (en) Water dispensing coupling apparatus of water purifier pipe joint for creating a water-tight seal in a water purifier
WO2008111876A1 (fr) Dispositif de traitement et de purification d'un produit liquide
KR102450084B1 (ko) 수전용 필터조립체 일체형 싱크대 수전
US20180050284A1 (en) Capsule intended for a liquid flow comprising an inner casing and an outer unit
KR102557680B1 (ko) 수전용 필터조립체
WO2008111877A1 (fr) Dispositif de traitement et de purification d'un produit liquide
KR102566986B1 (ko) 음료 공급기용 토출 유닛
KR0146824B1 (ko) 정수기의 필터고정장치
KR0133567Y1 (ko) 휴대용 정수기
KR102326205B1 (ko) 정수용 필터카트리지
KR0146835B1 (ko)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