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3003A - 담즙산 또는 담즙산 염의 분자 회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국소지방제거용 의약 조성물 - Google Patents

담즙산 또는 담즙산 염의 분자 회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국소지방제거용 의약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3003A
KR20230013003A KR1020220087631A KR20220087631A KR20230013003A KR 20230013003 A KR20230013003 A KR 20230013003A KR 1020220087631 A KR1020220087631 A KR 1020220087631A KR 20220087631 A KR20220087631 A KR 20220087631A KR 20230013003 A KR20230013003 A KR 20230013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t
acid
molecular
molecular association
bile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7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희
김철환
박혜정
장지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카이테라퓨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카이테라퓨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카이테라퓨틱스
Priority to PCT/KR2022/01040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287260A1/ko
Publication of KR20230013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30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75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hree or more carbon atoms, e.g. cholane, cholestane, ergosterol, sitoste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26Glycosaminoglycans, i.e. mucopolysaccharides
    • A61K31/728Hyaluro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8Steroids, e.g. cholesterol, bile acids or glycyrrheti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4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compound
    • A61K47/554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compound the modifying agent being a steroid plant sterol, glycyrrhetic acid, enoxolone or bile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41Intimate drug-carrier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e.g. ordered mixtures, adsorbates, solid solutions, eutectica, co-dried, co-solubilised, co-kneaded, co-milled, co-ground products, co-precipitates, co-evaporates, co-extrudates, co-melts; Drug nanoparticles with adsorbed surface modifiers
    • A61K9/143Intimate drug-carrier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e.g. ordered mixtures, adsorbates, solid solutions, eutectica, co-dried, co-solubilised, co-kneaded, co-milled, co-ground products, co-precipitates, co-evaporates, co-extrudates, co-melts; Drug nanoparticles with adsorbed surface modifiers with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6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ountering cellul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3Nanosized, i.e. having sizes below 100 n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7Compounds covalently linked to a(n inert) carrier molecule, e.g. conjugates, pro-fragran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Bio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담즙산 또는 담즙산 염의 분자 회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지방분해 약리물질인 데옥시콜릭산을 기존 주사제가 아닌 외용제로 개발하여 환자 순응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피부 투과 디옥시콜산 제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담즙산 또는 담즙산 염의 분자 회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국소지방제거용 의약 조성물{MOLECULE CONJUGATE OF BILE ACID OR BILE SALT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LOCAL FAT REMOVAL}
본 발명은 담즙산 또는 담즙산 염의 분자 회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국소지방제거용 의약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지방분해 약리물질인 담즙산 또는 담즙산 염을 기존 주사제가 아닌 피부 외용제로 개발하여 환자 순응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담즙산 또는 담즙산 염의 분자 회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국소지방제거용 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담즙산(bile acid) 및 담즙산 염(bile salt)은 지방을 유화시켜 소화효소인 라이페이스의 작용을 촉진시켜 지방산 용해를 시킬 수 있다. 인체 내 소화기관에도 존재하는 성분이므로 먹은 지방을 분해하여 소화흡수 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약리기전을 이용하여 글로벌 회사인 Allergan사는 담즙산의 일종인 데옥시콜린산을 이용한 지방제거주사를 개발하고, 벨카일라(Belkyra™, in Canada)를 개발한 바 있다. 상기 벨카일라(Belkyra™, in Canada)는 주사로 피하에 전달되어 비가역적 지방세포 파괴를 일으킨 뒤 치료 부위에 새로운 콜라겐 생성을 촉진해 이중턱을 개선하는 기전으로 지방제거 수술보다 위험이 적은 주사제이지만 통증, 염증, 멍, 붓기, 타박상, 심한 경우 안면근육 약화, 턱 신경 손상 등의 부작용으로 인해 전문의료인의 시술이 요구되고 시술 이후에도 수차례 내원을 필요로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KR 10-2061001 B1
본 발명은 바늘 및 주사기를 이용하여 직접 약물을 주입하여 전달하는 외과적 방식이 아니라, 피부 투과가 가능한 담즙산 또는 담즙산 염의 분자 회합체를 피부에 도포하는, 피하 주사제와 유사한 지방제거 성능을 가지는 분자 회합체로서, 주사제의 부작용 없고 환자 편의성이 보장되는 물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 투과가 가능한 담즙산 또는 담즙산 염의 분자 회합체를 대량 제조하여 보관 안정성을 확인하고, 동물에 적용한 결과 유효성을 확인한 피부 투과형 담즙산 분자 회합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분자 회합체를 포함하여 피부 투과가 가능한 국소지방제거용 의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담즙산 또는 담즙산 염의 분자들이 물리적으로 결합된 분자 회합체로서, 상기 분자 회합체에 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조성물 중에서 상기 분자 회합체는 응집된 구조를 가지는 분자 회합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자 회합체의 pH가 8.5 초과 10 미만인, 분자 회합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자 회합체의 평균 입경은 1.0 내지 10 nm 이하인, 분자 회합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자 회합체는 무정형(amorphous)인, 분자 회합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자 회합체의 40±2℃/75±5% 가속조건에서 12개월간의 농도의 변화율이 1 초과 10% 미만인, 분자 회합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자 회합체의 40±2℃/75±5% 가속조건에서 12개월간의 입자크기의 변화율이 1 초과 10% 미만인, 분자 회합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자 회합체의 40±2℃/75±5% 가속조건에서 12개월간의 pH의 변화율이 0 초과 5% 미만인, 분자 회합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담즙산은 콜산, 케노디옥시콜산, 글리코콜산, 타우로콜산, 데옥시콜린산 및 리토콜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 하나이고, 상기 담즙산 염은 콜산, 케노디옥시콜산, 글리코콜산, 타우로콜산, 데옥시콜린산 및 리토콜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 하나의 염인, 분자 회합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자 회합체를 포함하는, 국소지방제거용 의약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비수술적(non-surgical), 비침습적(no injection)인 방법인 피부 외용제로 도포하여 사용하는, 국소지방제거용 의약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글리세린, 치아시드 오일, 글루칸,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금은화 추출물, 콜라겐, 세라마이드, 레시친, 베타인, 트레할로스, 판테놀, 스쿠알란, 카프릴릭/카프릭 트라이글리세라이드, 부틸렌 글라이콜, 프로판 다이올, 펜틸렌 글리콜, 소듐불리네이트(SodiumLevulinate),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 및 소듐 하이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국소지방제거용 의약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상기 분자 회합체를 0.05 내지 10 중량%로 포함하는, 국소지방제거용 의약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만, 지방 재분포 증후군, 국소적으로 지방이 축적되어 생긴 이중 턱인 턱밑지방(submental fat), 눈꺼풀 지방 헤르니아(lower eyelid fat herniation) 형성, 지방(lipomas)종, 더컴병(Dercum's disease), 지방이영양증(lipodystrophy), 버펄로 험프 이영양증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국소지방제거용 의약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부경부 지방, 허벅지 지방, 팔뚝살 지방, 내장 지방 축적, 유방 확대 수술 후 발생한 지방, 흉부 지방, 팔 둘레에 확산된 지방, 눈 밑 지방, 턱 밑 지방, 엉덩이 지방, 종아리 지방, 등 지방, 넓적 다리 지방, 발목 지방, 셀룰라이트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부위에 국소화되는, 국소지방제거용 의약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젤, 크림, 연고(oinment), 연고(unguent), 스프레이, 증점된 제형 및 습포제로 이루어진 군의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사용되는, 국소지방제거용 의약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부에 도포한 후, 3시간 이후에 혈장에서 측정한 담즙산의 농도가 0.001 내지 0.2 ㎍/㎖인, 국소지방제거용 의약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늘 및 주사기를 이용하여 직접 약물을 주입하여 전달하는 외과적 방식이 아닌 피부에 바로 도포하여 사용 가능하여 투여방법의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제품 형태와 달리 주사제형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피부 투과도, 지방분해 및 축적 감소에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피부 틈새는 80 nm로 기존의 의약 제품은 피부 속으로 침투가 어려웠으나, 본 발명의 경우 0.5~5 nm의 작은 크기를 가지기 때문에 피부 투과도가 높아지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나노 크기의 분산된 입자들은 응집 또는 Ostwald ripening 현상에 쉽게 노출되기 때문에, 저장안정성이 낮은 반면에 본 발명의 분자 회합체 및 조성물은 40 ± 2℃/75 ± 5% 가속조건에서 성상, pH, 입자크기의 변화가 적어, 안정성이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기술에서 용해도를 향상하기 위하여 API와 물 외에 추가로 사용되었던 계면활성제, 마이셀, 사이클로덱스트린, lipid, 알부민, 수용성 고분자, 안정화제/분산제, 나노입자, 다공성입자 등의 carrier 등과 같은 제3의 물질을 필수적으로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데옥시콜린산의 분자 회합체의 Zetasizer 입자크기 분석 결과이다.
도 2는 데옥시콜린산의 분자 회합체의 TEM 사진이다.
도 3은 데옥시콜린산의 분자 회합체의 calibration curve에 관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데옥시콜린산의 분자 회합체의 지방전구세포 파괴능에 관한 도이다.
도 5는 지방전구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과정이다.
도 6은 데옥시콜린산의 분자 회합체의 지방세포 파괴능에 관한 도이다.
도 7은 살아있는 쥐의 피하조직에 데옥시콜린산 전구체를 1회 주사, 동량의 데옥시콜린산 전구체와 본발명의 데옥시콜린산 분자 회합체를 피부 위에 연속 도포한 후 피부 투과량을 피하조직을 채취하여 측정한 도이다.
도 8은 살아있는 쥐의 피하조직에 데옥시콜린산 전구체를 1회 주사, 동량의 데옥시콜린산 전구체와 본발명의 데옥시콜린산 분자 회합체를 피부 위에 연속 도포한 후 피부 투과량을 피하조직을 채취하여 피부 조직내 분포량을 비교한 도이다.
도 9는 살아있는 쥐의 피부에 데옥시콜린산의 전구체를 1회 피하주사한 경우와 동일한 양을 피부에 연속 도포한 데옥시콜린산의 전구체와 분자 회합체가 시간 경과에 따른 혈장내 분포량을 비교한 도이다.
도 10은 살아있는 쥐의 피부에 데옥시콜린산의 전구체를 1회 피하주사한 경우와 동일한 양을 피부에 연속 도포한 데옥시콜린산의 전구체와 분자 회합체가 도포 시간에 따라 피하조직에 미치는 조직학적 영향 평가를 위한 H&E 염색 결과이다.
도 11은 살아있는 쥐의 피부에 데옥시콜린산의 전구체를 1회 피하주사한 경우와 동일한 양을 피부에 연속 도포한 데옥시콜린산의 전구체와 분자 회합체가 도포 시간에 따라 피하조직에 미치는 조직학적 영향 평가를 위해 Masson's Trichrome 염색 결과로 지방 세포의 파괴 또는 콜라겐 증가로 인하여 푸른색으로 염색된 부분이 면적 증가를 보여주는 도이다.
도 12는 비만 마우스 쥐의 피부에 데옥시콜린산 분자 회합체 1.0%와 2.5%를 1일 2회씩 4주간 도포시의 체중변화를 음성대조군과 비교한 도이다(N=5).
도 13은 비만 마우스 쥐의 피부에 데옥시콜린산의 분자 회합체 1.0%와 2.5%를 1일 2회씩 4주간 도포시의 허리둘레 변화를 음성대조군과 비교한 도이다(N=5).
도 14는 비만 마우스 쥐의 피부에 데옥시콜린산의 분자 회합체 1.0%와 2.5%를 1일 2회씩 4주간 도포시의 허리둘레 변화를 음성대조군과 비교한 도이다.
난용성 약물은 수용액에서 포화 용해도가 극히 낮고, 물과의 계면에너지 (interfacial tension/energy)가 극도로 높아, 열역학적으로 불안정 (thermodynamically unstable)한 상태이므로, 침전 (sedimentation) 되거나 상분리 (phase separation)된다. 따라서 약리학적으로 의미 있도록 약물 함량(즉, 용해도)을 높이기 위해서는 계면에너지를 낮추는 표면 활성 물질 (surface active agent)이나 고함량의 약물을 함유할 수 있는 캐리어 등 제3의 물질이 필요하였다.
이러한 기존의 용해도 향상 기술들은 공통적으로 API와 물을 제외한 제3의 물질을 필수적으로 사용해야 하거나 용해도를 향상시키는 핵심 인자로 작용하였다. 예를 들어 계면활성제, 마이셀, 사이클로덱스트린, lipid, 알부민, 수용성 고분자, 안정화제/분산제, 나노입자, 다공성 입자 등이 이러한 제3의 물질에 해당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위와 같은 제3의 물질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극성 상호작용 또는 수소결합을 활용한 분자 회합체를 제조하여, 구조체 표면이 소수성(hydrophobic)을 가지도록 하여, 인지질 막에 대한 투과도를 증가시키고, 그 회합체의 입경을 1.0 내지 10nm 수준으로 조절하여, 약 80 nm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피부 틈새로의 투과도를 증가시키고, 이를 통하여 피부 내의 지방 세포에 약리 물질을 전달하여 지방 분해 및 지방 축적 감소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한 바 있다.
이하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용어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담즙산 (bile acid)" 및 "담즙산 염(bile salt)"이란 스테로이드 산 (및/또는 그 카르복실산 음이온), 및 그 염을 의미하며, 동물 (예를 들어, 인간)의 담즙에서 발견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로는, 콜산, 케노디옥시콜산, 글리코콜산, 타우로콜산, 데옥시콜린산 및 리토콜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담즙산이나 그의 염인 담즙산 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담즙산 또는 담즙산 염의 분자 회합체”란, 담즙산을 포함하는 용액에 전단 응력을 가하여 담즙산 분자 또는 담즙산 염 분자들이 물리적으로 결합되도록 분자 회합체를 제조한 것으로서, 담즙산 분자들이 서로 뭉쳐진 구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담즙산 분자 또는 담즙산 염 분자들”이란, 본 발명에 따른 담즙산 또는 담즙산 염의 분자 회합체를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전구물질 또는 선구물질인 담즙산 또는 담즙산 염의 분자 그 자체를 의미하며 “전구체”라고 칭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담즙산 또는 담즙산 염의 분자들은 전단 응력이 가해지지 않은 담즙산 또는 담즙산 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환자 (patient)", "대상 (subject)", "개체 (individual)" 등은 본 명세서에서 서로 교환가능하게 사용되며,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방법에 순응할 수 있는 인 비트로 또는 인 시투든 임의의 동물, 또는 그 세포를 지칭한다. 특정 비제한적인 구현예들에서, 상기 환자, 대상 또는 개체는 인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조성물 (composition)"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 (pharmaceutical composition)"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과 담체 (carriers), 안정화제, 희석제, 분산제, 현탁제, 농후제 (thickening agents), 및/또는 부형제 (excipients)와 같은 다른 화학 성분의 혼합물을 의미한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화합물의 유기체로의 투여를 촉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유효량 (effective amount)",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및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은 비독성이지만 원하는 생물학적 결과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양을 나타낸다. 상기 결과는 징후, 증상, 또는 질병의 원인의 감소 및/또는 경감, 또는 생물학적 시스템의 임의의 다른 원하는 변화 (alteration)일 수 있다. 임의의 개별적 사안에서 적당한 치료학적 양은 통상의 실험을 사용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효능 (efficacy)"은 분석방법 내에서 달성되는 최대 효과 (Emax)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 "치료 (treatment)" 또는 "치료하는 (treating)"은 본 명세서에서 고려된 상태, 본 명세서에서 고려된 상태의 증상 또는 본 명세서에서 고려된 상태로 진전될 잠재성을 치료 (cure), 치유 (heal), 경감 (alleviate), 완화 (relieve), 변화 (alter), 구제 (remedy), 개선 (ameliorate), 향상 (improve) 또는 영향을 주기 위하여, 치료학적 작용제, 즉 본 발명의 화합물 (단독 또는 다른 약제학적 작용제와 조합으로)을 환자에게 적용 또는 투여하는 것으로 정의되거나, 또는 (예를 들어, 진단 또는 엑스 비보 적용을 위해서) 환자로부터 분리된 조직 또는 세포주에 치료학적 작용제를 적용 또는 투여하는 것 (예를 들어, 진단 또는 엑스 비보 적용을 위해서)으로 정의되고, 상기 본 명세서에서 고려된 상태, 본 명세서에서 고려된 상태의 증상(symptoms) 또는 본 명세서에서 고려된 상태로 진전될 잠재성을 갖고 있다. 상기 치료는 약리학 분야로부터 얻어진 지식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맞추어지거나 또는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은 환자에게 투여되는 경우, 질병의 증상을 개선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양이다.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을 구성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양은 상기 화합물, 질병 상태 및 그 심각성, 치료되는 환자의 연령 등에 따라서 변화될 수 있다.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자신의 지식 및 본 개시를 고려하여 당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지닌 자에 의하여 통상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피부 외용제로 도포” 란 예를 들어 비수술적 (non-surgical), 비침습적(no injection)인 방법으로 피부 외부에 의약 조성물을 도포하여 약물을 피부 내부로 전달하는 것을 말하며, 그 외에도 자신의 지식 및 본 개시를 고려하여 당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지닌 자에 의하여 통상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국소지방제거”란 예를 들어 비만, 지방 재분포 증후군, 국소적으로 지방이 축적되어 생긴 이중 턱인 턱밑지방(submental fat), 눈꺼풀 지방 헤르니아(lower eyelid fat herniation) 형성, 지방(lipomas)종, 더컴병(Dercum's disease), 지방이영양증(lipodystrophy), 버펄로 험프 이영양증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행위를 말하며, 그 외에도 자신의 지식 및 본 개시를 고려하여 당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지닌 자에 의하여 통상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국소지방”이란 예를 들어 복부경부 지방, 허벅지 지방, 팔뚝살 지방, 내장 지방 축적, 유방 확대 수술 후 발생한 지방, 흉부 지방, 팔 둘레에 확산된 지방, 눈 밑 지방, 턱 밑 지방, 엉덩이 지방, 종아리 지방, 등 지방, 넓적 다리 지방, 발목 지방, 셀룰라이트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부위에 국소화되는 것을 말하며, 그 외에도 자신의 지식 및 본 개시를 고려하여 당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지닌 자에 의하여 통상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피부 외용제”란 예를 들어 피부에 도포할 수 있는 제형으로, 젤, 크림, 연고(oinment), 연고(unguent), 스프레이, 증점된 제형 및 습포제로 이루어진 군의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사용되는 것을 말하며, 그 외에도 자신의 지식 및 본 개시를 고려하여 당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지닌 자에 의하여 통상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담즙산 또는 답즙산 염의 분자 회합체
본 발명은 담즙산 분자 또는 담즙산 염 분자들이 물리적으로 결합된 분자 회합체로서, 상기 분자 회합체에 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조성물 중에서 상기 분자 회합체는 응집된 구조를 가지는 분자 회합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자 회합체의 평균 입경은 1.0 내지 10 nm 이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 nm 이상, 2.0 nm 이상일 수 있으며, 7.0 nm 이하, 5.0 nm 이하, 3.0 nm 이하 일 수 있다. 상기 분자 회합체의 평균 입경은 회절실험을 통하여 측정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Zetasizer나 Small Angle Neutron Scattering (SANS)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를 이용하여 image를 측정할 수도 있다. 상기 분자 회합체의 평균 입경이 10 nm를 초과하게 되면 분산성이 떨어지고, 투명도와 투과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분자 회합체의 평균 입경의 하한치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약 1.0 nm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자 회합체는 담즙산 분자 또는 담즙산 염 분자들에 전단 응력을 가하여 제조됨에 따라서, 나노 사이즈로 제조됨에도 불구하고 무정형(amorphous)의 형태를 가질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사이즈 조절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피부 투과도도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자 회합체는 pH가 8.5 초과 10 미만일 수 있다. pH 값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분자 회합체의 피부 투과도가 높아질 뿐만 아니라, 지방 세포에 도달한 후 지방을 효과적으로 분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분자 회합체는 종래 주사제로 사용되던 물질과 달리 외용제(topical)로 사용됨에 따라서 pH가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으며, pH가 높음에 따라서 보관 안정성도 더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자 회합체의 pH는 8.6 초과, 8.7 초과, 8.8 초과, 8.9 초과, 9.0 초과, 9.1 초과 일 수 있으며, 9.9 미만, 9.8 미만, 9.7 미만, 9.6 미만, 9.5 미만, 9.4 미만, 9.3 미만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자 회합체는 보관 안정성이 뛰어나다. 일반적인 나노 크기의 분산된 입자들은 응집 또는 Ostwald ripening 현상에 쉽게 노출되기 때문에, 저장안정성이 낮은 것과 달리, 본 발명의 분자 회합체 및 조성물은 40 ± 2℃/75 ± 5% 가속조건에서 성상, pH, 입자크기의 변화가 적어, 안정성이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분자 회합체는 40±2℃/75±5% 가속조건에서 12개월간의 농도의 변화율이 1 초과 10% 미만이고, 바람직하게는 1 초과 5% 미만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초과 4% 미만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자 회합체는 40±2℃/75±5% 가속조건에서 3개월간의 농도의 변화율이 1 초과 10% 미만이고, 바람직하게는 1 초과 5% 미만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초과 3% 미만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분자 회합체는 40±2℃/75±5% 가속조건에서 12개월간의 입자크기의 변화율이 1 초과 10% 미만이고, 바람직하게는 1 초과 7%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초과 5% 미만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자 회합체는 40±2℃/75±5% 가속조건에서 3개월간의 입자크기의 변화율이 1 초과 10% 미만이고, 바람직하게는 1 초과 5% 미만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초과 3% 미만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분자 회합체는 40±2℃/75±5% 가속조건에서 12개월간의 pH의 변화율이 0 초과 5% 미만이고, 바람직하게는 0 초과 3% 미만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 초과 1.5% 미만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자 회합체는 40±2℃/75±5% 가속조건에서 3개월간의 pH의 변화율이 0 초과 5% 미만이고, 바람직하게는 0 초과 3% 미만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 초과 1.5% 미만일 수 있다.
상기 변화율이란 상기 기간까지의 각 월별 변화율들의 평균값을 구한 평균 변화율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자 회합체의 안정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분자회합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즙산 또는 담즙산 염의 분자 회합체는, 상기 분자 회합체의 전구체인 담즙산 또는 담즙산 염이 포함된 용액에 전단 응력을 가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분자 회합체의 전구체인 담즙산 또는 담즙산 염이 포함된 용액에 가해지는 전단 응력은 기계적 전단응력 또는 초음파 인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기계적 전단응력은 용액을 실리카가 충진된 컬럼 또는 필터 페이퍼를 통과시켜 가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에서 기계적 전단응력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계적 전단응력은 상기 분자 회합체의 전구체인 담즙산 또는 담즙산 염이 포함된 용액을 실리카가 충진된 컬럼에 통과시켜 가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담즙산 또는 담즙산 염이 포함된 용액이 실리카 등으로 충진된 컬럼을 통과하면 물리적으로 좁은 영역을 통과함으로써 상기 분자 회합체의 전구체인 담즙산 또는 담즙산 염이 매우 높은 전단응력을 받게 된다.
상기 실리카는 구형이거나 각형일 수 있으나, 그의 형태에는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실리카의 평균 입자 크기는 1.0 내지 50 ㎛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1.5 ㎛ 이상, 2 ㎛ 이상 일 수 있으며, 40 ㎛ 이하, 30㎛ 이하, 20 ㎛ 이하, 10 ㎛ 이하, 5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실리카의 크기가 1.0 ㎛ 미만이거나 50 ㎛ 초과인 경우, 상기 담즙산 또는 담즙산 염이 포함된 용액이 실리카가 충진된 컬럼에 통과하더라도, 전단응력이 가해지지 않아 분자 회합체의 변화가 없을 수 있다.
상기 실리카가 충진된 컬럼의 하부에는 0.1 bar 내지 1.0 bar 또는 0.2 bar 내지 0.9 bar의 음압을 걸어줄 수 있다. 상기 실리카가 충진된 컬럼의 하부에 걸리는 음압이 0.1 bar 미만인 경우, 상기 담즙산 또는 담즙산 염이 포함된 용액이 상기 컬럼을 통과하는 데 소요 시간이 증가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담즙산 또는 담즙산 염의 분자 회합체의 제조 시간이 지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리카가 충진된 컬럼의 하부에 걸리는 음압이 1.0 bar 초과인 경우, 상기 담즙산 또는 담즙산 염이 포함된 용액이 상기 컬럼을 통과하는 데 소요 시간이 감축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담즙산 또는 담즙산 염의 분자 회합체의 제조 시간이 단축될 수 있으나, 추가의 펌프 장비가 필요하므로, 제조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계적 전단응력은 상기 담즙산 또는 담즙산 염이 포함된 용액을 하나 이상의 필터 페이퍼에 통과시켜 가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 페이퍼를 통과하면 물리적으로 좁은 영역을 통과함으로써 상기 분자 회합체의 전구체인 담즙산 또는 담즙산 염이 매우 높은 전단응력을 받게 된다.
상기 필터 페이퍼는 하나의 필터 페이퍼이거나 둘 이상의 복수의 필터 페이퍼일 수 있다. 상기 필터 페이퍼가 둘 이상의 복수의 필터 페이퍼일 경우, 상기 필터 페이퍼를 적층하여 배치할 수 있다. 상기 필터 페이퍼가 둘 이상의 복수의 필터 페이퍼일 경우, 하나의 필터 페이퍼보다 높은 전단응력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필터 페이퍼의 기공의 크기는 0.1 내지 5.0 미크론 또는 0.3 내지 4.5 미크론일 수 있다. 상기 필터 페이퍼의 기공의 크기가 0.1 미크론 미만인 경우, 상기 담즙산이 포함된 용액이 상기 필터 페이퍼에 통과 또는 여과되는 양이 너무 적어, 본 발명에 따른 담즙산 또는 담즙산 염의 분자 회합체의 제조 속도가 감소될 수 있고, 상기 필터 페이퍼의 기공의 크기가 5.0 미크론 초과인 경우, 상기 담즙산이 포함된 용액이 상기 필터 페이퍼를 단순히 통과하여 전단응력이 효과적으로 가해지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전단응력은 초음파를 이용하여 가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에서 초음파 인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단응력은 상기 담즙산 또는 담즙산 염이 포함된 용액에 초음파를 인가시켜 가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초음파를 상기 담즙산 또는 담즙산 염이 포함된 용액에 가하면, 압력파가 발생하고, 상기 압력파에 의해 상기 분자 회합체의 전구체인 담즙산 또는 담즙산 염에 전단응력이 가해질 수 있다.
상기 인가되는 초음파의 세기는 200 J/sec 내지 800 J/sec 또는 400J/sec 내지 600 J/sec일 수 있다.
상기 인가되는 초음파의 부피당 가해지는 에너지는 초음파의 세기(J/sec) x 가해진 시간 (sec) / 측정 부피 (ml)로 구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담즙산 또는 담즙산 염이 포함된 용액에 인가되는 초음파의 부피당 가해지는 에너지는 100 J/ml 내지 90 kJ/ml일 수 있다.
상기 초음파의 에너지가 100 J/ml 미만일 경우, 상기 담즙산 또는 담즙산 염이 포함된 용액에 충분한 전단응력이 가해지지 않아 분자 회합체의 형성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음파의 에너지가 90 kJ/ml 초과일 경우, 상기 담즙산 또는 담즙산 염이 포함된 용액에 과도한 열이 가해져서 분자 회합체의 형성이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초음파는 10 ℃ 내지 80 ℃에서 10 초 내지 60분 간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초음파가 10 ℃ 미만인 온도에서 인가될 경우, 상기 담즙산 또는 담즙산 염이 포함된 용액에 변화가 없고, 80 ℃ 초과인 온도에서 인가될 경우, 상기 담즙산 또는 담즙산 염이 포함된 용액에 상 변화가 일어나서 본 발명에 따른 담즙산 또는 담즙산 염의 분자 회합체의 형성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음파가 10 초 미만에서 인가될 경우, 상기 담즙산 또는 담즙산 염이 포함된 용액에 변화가 없고, 60 분 초과인 시간 동안 인가될 경우, 상기 담즙산 또는 담즙산 염이 포함된 용액에 분자 회합체가 변형되어, 본 발명에 따른 담즙산 또는 담즙산 염의 분자 회합체를 형성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단응력을 가하는 방법으로 실리카가 충진된 컬럼을 초음파 발생 장치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실리카가 충진된 컬럼이 초음파 발생 장치 내부에 배치되거나, 상기 실리카가 충진된 컬럼 및 초음파 발생 장치가 분리되어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리카가 충진된 컬럼에 상기 담즙산 또는 담즙산 염이 포함된 용액을 부어준 후, 상기 컬럼을 초음파 발생 장치 내에 배치시켜 초음파를 인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담즙산 또는 담즙산 염이 포함된 용액에 초음파를 인가시킨 후, 상기 실리카가 충진된 컬럼에 상기 용액을 통과시킬 수 있다.
국소지방제거용 의약 조성물
본 발명은 상기 분자 회합체를 포함하는 국소지방제거용 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국소지방제거용 의약 조성물은 젤, 크림, 연고(oinment), 연고(unguent), 스프레이, 증점된 제형 및 습포제로 이루어진 군의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국소지방제거용 의약 조성물은 상기 분자 회합체 외에, 글리세린, 치아시드 오일, 글루칸,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금은화 추출물, 콜라겐, 세라마이드, 레시친, 베타인, 트레할로스, 판테놀, 스쿠알란, 카프릴릭/카프릭 트라이글리세라이드, 부틸렌 글라이콜, 프로판 다이올, 펜틸렌 글리콜, 소듐불리네이트(SodiumLevulinate),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 및 소듐 하이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국소지방제거용 의약 조성물은 상기 성분 외에 크림 제형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당해 업계에서 사용되는 성분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국소지방제거용 의약 조성물은 상기 분자 회합체가 0.05중량% 내지 10.0 중량%가 되도록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0.08 중량% 이상, 0.1 중량% 이상, 0.3 중량% 이상, 0.5 중량% 이상, 1.0 중량% 이상 일 수 있으며, 5 중량% 이하, 3.0 중량% 이하, 2.0 중량% 이하, 1.0 중량%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국소지방제거용 의약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한 후, 3시간 이후에 혈장에서 측정한 담즙산 또는 담즙산 염의 농도가 0.001 내지 0.2 ㎍/㎖ 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0.01 ㎍/㎖ 이상, 0.05 ㎍/㎖ 이상, 0.1 ㎍/㎖ 이상일 수 있으며, 0.18 ㎍/㎖ 이하, 0.15 ㎍/㎖ 이하, 0.12㎍/㎖ 이하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1. 데옥시콜린산(DCA)의 분자 회합체의 제조
250ml 비커에 데옥시콜린산(deoxycholic acid, DCA) 3.6g을 넣고, 에탄올 177g에 용해시켰다. 3L 비커에 SYLOID 244 FP를 142g을 넣고, 오버헤드스터러를 이용하여 50rpm으로 교반하였다. 교반이 진행되고 있는 실리카에 1M NaHCO3 17g과 1M Na2SO4 5g을 서서히 첨가한후, 상기 DCA 용액을 천천히 첨가하며, 투입된 수용액이 실리카에 잘 담지될 수 있도록 30분간 교반했다. 3L 비커에 에탄올 1780g을 넣고 70rpm으로 교반하면서, 데옥시콜린산이 담지된 실리카를 천천히 투입했다. 투입이 완료된 이후, 45분간 더 교반함으로써 충분한 시간동안 유출시켰다. 교반이 완료된 후, 1μm 종이필터와 0.45μm membrane filter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filter 하였다. Filter된 유출액은 1450g이었고, rotary evaporator로 에탄올을 일부 제거하여 704g으로 농축하였다. 비커에 1640g의 물을 넣고, NaHCO3 0.3g을 첨가한 후, 위의 1차 농축액을 추가하였다. 이 희석액을 rotary evaporator로 3시간가량 농축하여 무색 투명한 액체 112g을 얻었다. 이 용액의 농도는 2.34%, pH는 9.22이다. 이 과정에서 DCA의 회수율은 69% 였다.
실시예 1-2. 데옥시콜린산(DCA)의 분자 회합체의 제조
500mL 비커에 데옥시콜린산(deoxycholic acid, DCA) 2.0g과 에탄올 98.75g에 담고 magnetic stirrer로 교반하여 DCA 용해액을 준비한다. SYLOID 244 FP 8.2g에 에탄올 80g을 추가하여 실리카를 충분히 적신다. 1M NaHCO3과 1M Na2SO4을 수용액을 일정비율 섞어 co-salt 수용액 1.3mL을 준비한다. 뷰흐너깔때기에 1.00 μm 종이필터를 깔고, 에탄올로 종이필터를 적신 다음 펌프를 이용하여 깔때기 바닥에 흡착시킨 뒤, 준비한 적신 실리카를 서서히 부어준다. 패킹된 실리카 위에 에탄올이 1cm정도 남았을 때, co-salt 수용액과 정제수 100g을 서서히 부어준다. 그 후, 에탄올 100g을 추가로 부어주어 에탄올의 일부가 필터된 다음에는 펌프를 정지시킨 뒤, 하단의 1000ml 여과병을 교체한다. 다시 펌프를 작동시킨 후 준비한 데옥시콜린산 용해액을 천천히 붓고, 에탄올 202g 추가로 부어준다. 얻어진 유출액은 0.45um 멤브레인 필터를 이용해서 필터하면, 필터여액 394.2g을 얻는다. 다른 2.0L의 비커를 이용하여 4 mM의 NaHCO3 수용액 920g을 제조하고, 필터여액을 서서히 투입하여 희석한다. 이 희석된 액체를 rotary evaporator를 이용하여 30도, 180rpm에서 2시간 25분간 농축한다. 최종 농축액의 양은 98.19g이고 농도는 1.92%의 데옥시콜린산의 분자회합체를 얻었으며, 입자크기는 1.36 nm, pH는 9.15, 최종 회수율 94.2% 이다.
실시예 1-3. 소듐 데옥시콜레이트(NaDC)의 분자 회합체
1L 비커에 소듐 데옥시콜레이트(Sodium deoxycholate, NaDC, Sigma Aldrich #30970) 18.0g을 넣고, 물 604g에 마그네틱바를 사용하여 용해시켰다. Silica gel 60 (Merck) 60.5g을 0.1M NaHCO3 242g가 담긴 400mL 비커에 넣어 스패츌라로 섞어주었다. 적신 실리카를 진공펌프가 달린 진공여과장치(압력 200 mbar)에 천천히 부어주면서 패킹하였다. 패킹된 실리카에 상기 NaDC 용액을 투입했다. 실리카 배드가 마르기 전에 물 160g을 80g씩 두 번 나누어 투입하였다. 유출시간은 총 1시간이었으며, 유출이 완료된 후, 0.45um membrane filter를 이용하여 filter 하였다. Filter된 유출액은 808g이었다. 이 용액의 농도는 2.07%, pH는 7.67이다. 이 과정에서 소듐 데옥시콜레이트의 회수율은 93% 였다.
실시예 2. 데옥시콜린산의 분자 회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상기 실시예 1은 수용액 상태이므로 피부 도포 시 흘러내리는 경향이 있어 피부 속으로 충분히 전달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어,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분자 회합체를 경피에 적용 가능한 제형으로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의 분자 회합체 0.04 중량% 및 0.08 중량% 각각에 Hyaluronic acid(HA)를 0.7 중량%, 1,2-hexanediol 2 중량%를 더 포함하도록 젤 타입의 제형을 제작하였으며, 그 테스트 결과를 후술하는 실험예 3의 지방전구세포 및 지방분화세포 파괴능 확인에서 확인하였다.
비교예 1. 데옥시콜린산의 전구체
실시예 1의 실리카를 통과하는 공정을 진행하지 않은 데옥시콜린산 자체를 사용하였다.
[실험예]
실험예 1. 데옥시콜린산의 분자 회합체 입자크기의 측정
데옥시콜린산은 물에 대한 용해도가 0.024%로 매우 낮아, 용해도를 개선하고 수용액 상에서 안정하게 하기 위해, 앞서 실시예 1에서는 데옥시콜린산을 에탄올에 용해시킨 후, 물을 추가하고 에탄올을 제거하는 본 발명의 공정을 거쳐 데옥시콜린산 분자들이 클러스터(cluster)를 이루는 무색, 무취, 투명한 액상의 데옥시콜린산의 분자 회합체를 제조하였다. 데옥시콜린산의 분자 회합체를 하기의 Zetasizer와 TEM을 분석을 통해 1.6 nm의 입자크기를 확인하였다.
Zetasizer 분석
Zetasizer(Malvern, Nano ZSP)를 이용하여 실시예 1의 데옥시콜린산 분자 회합체를 0.2μm 필터 한 후, 하기 표 1의 조건으로 10회 측정하여 size distribution by volume으로부터 평균 입자크기 1.6 nm를 확인하였다(도 1).
Temperature 25 °C Duration Used 80 S
Count rate 461.9 Kcps Measurement (set) 10
Cell Description Disposable sizing cuvette Attenuator 8
TEM 분석
EMS사의 FCF300-Cu 50/pk (Formvar/Carbon 300Mesh, Copper) 그리드를 거름종이 위에 올리고 그 위에 micropipette으로 해당 샘플 약 20μl를 떨어뜨리고, negative staining은 하지 않고 15분 이상 대기하여 그리드를 건조시켜 TEM 이미지로 실시예 1의 데옥시콜린산 분자 회합체의 입자크기를 측정한 결과 Zetasizer로 측정한 입자크기와 유사함을 확인하였다(도 2).
Point resolution Line resolution HR STEM resolution EDS resolution
0.205 nm 0.102 nm 0.16 nm 136 eV
실험예 2. 안정성 시험
① 재 료
본 발명이 적용된 데옥시콜린산의 분자 회합체의 보관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물성변화가 없는 DCA200265~67 292g을 제조하여 12 개월간 안정성 시험 시료로 사용하였다.
Batch No. 시료량(g) 농도(%) 입자크기(nm) pH 구분
DCA2002JJ65 98 1.92 1.6 9.16 안정성 시험 시료
DCA2002JJ66 96 2.35 1.9 9.13
DCA2002JJ67 98 2.28 1.6 9.16
시료 보관 방법
싸이랩, SL/Vi1361 5 mL serum vial에 샘플을 1.7 mL씩 취하여 1개의 vial에 담은 후, 보관캡을 닫고, capper를 이용하여 vial과 보관캡을 고정하였다. Vial과 보관캡 사이를 파라 필름을 이용하여 감고 라벨링하였다(물질명, batch No, 시험일 포함).
② 분석 방법
성상
육안 관찰하였다.
농도
농도 분석을 위하여 하기 표 4와 같이 HPLC 분석을 하였으며, 그 결과로 나타난 데옥시콜린산의 calibration curve는 도 3과 같다.
Column RP C18 (215x4.6)
Mobile phase Water: ACN : 85 % H3PO4 (50:50:0.1)
Flow rate 1.0 mL/min
Injection volume 10 μL
Run time 17 min
Wavelength 195 nm
Sample Temp. 30℃
Column Temp. 25℃
입자크기 분석
실시예 1의 Zetasizer 분석 조건과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pH
데옥시콜린산의 분자 회합체를 0.45 μm 필터 한 후 Mettler toledo S220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가속안정성 시험결과
성상
무색투명한 액체로 12개월 동안 40±2℃/75±5% 가속조건에서 동일한 성상이 유지되었다.
농도
12개월 동안 가속 조건에서 농도의 변화를 하기 표 5에 나타냈으며, 유의적인 농도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구체적으로, 12개월 동안 40±2℃/75±5%의 온도 및 습도를 가지는 가속조건에서 농도의 변화를 1개월 단위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냈다. 초기(0개월)의 농도와 그 이후의 농도의 차이를 계산한 후, 초기의 농도로 나눈 값을 농도의 변화율로 계산하였으며, 이러한 변화율의 평균 값을 3개월 및 12개월로 각각 계산한 값을 하기 표 5에 기재하였다.
DCA2022JJ65 DCA2022JJ66 DCA2022JJ67
0개월 1.88% 1.92% 1.93%
1개월 1.93% 1.98% 1.95%
2개월 1.92% 1.99% 1.99%
3개월 2.03% 1.95% 2.02%
6개월 1.90% 1.98% 2.02%
9개월 2.02% 2.02% 2.05%
12개월 2.05% 2.05% 2.10%
3개월 평균 변화율 4.26% 2.78% 2.94%
12개월 평균 변화율 5.05% 3.91% 4.75%
입자크기
12개월간 가속 조건에서 입자크기의 변화를 하기 표 6에 나타냈으며, 유의적인 입자크기 변화는 없었다. 구체적으로, 12개월 동안 40±2℃/75±5%의 온도 및 습도를 가지는 가속조건에서 입자 크기의 변화를 1개월 단위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냈다. 초기(0개월)의 입자 크기와 그 이후의 입자 크기의 차이를 계산한 후, 초기의 입자 크기로 나눈 값을 입자 크기의 변화율로 계산하였으며, 이러한 변화율의 평균 값을 3개월 및 12개월로 각각 계산한 값을 하기 표 6에 기재하였다.
DCA2022JJ65 DCA2022JJ66 DCA2022JJ67
0개월 1.48 1.92 1.46
1개월 1.54 1.99 1.49
2개월 1.56 1.95 1.52
3개월 1.60 1.97 1.54
6개월 1.55 2.02 1.52
9개월 1.62 2.05 1.58
12개월 1.58 2.06 1.57
3개월 평균 변화율 5.86% 2.60% 3.88%
12개월 평균 변화율 6.42% 4.51% 5.25%
pH
12개월 가속 조건에서 pH 변화를 하기 표 7에 나타냈으며, 경시적 변화없이 안정한 pH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12개월 동안 40±2℃/75±5%의 온도 및 습도를 가지는 가속조건에서 pH의 변화를 1개월 단위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냈다. 초기(0개월)의 pH 값과 그 이후의 pH 값의 차이를 계산한 후, 초기의 pH 값으로 나눈 값을 입자 크기의 변화율로 계산하였으며, 이러한 변화율의 평균 값을 3개월 및 12개월로 각각 계산한 값을 하기 표 7에 기재하였다.
DCA2022JJ65 DCA2022JJ66 DCA2022JJ67
0개월 9.15 9.13 9.15
1개월 8.96 9.13 8.97
2개월 9.03 9.23 9.14
3개월 9.11 9.14 9.16
6개월 9.20 9.31 9.27
9개월 9.32 9.31 9.29
12개월 9.27 9.36 9.33
3개월 평균 변화율 -1.28% 0.40% -0.66%
12개월 평균 변화율 -0.02% 1.28% 0.47%
가속 안정성시험 최종결과
가속 안정성 시험의 최종 결과를 정리하여 하기 표 8에 기재하였다.
시험 종류 시험조건 시험 주기 시험 항목 결과
가속시험 40 ± 2℃
75 ± 5%
0~12 개월 성상, 농도, 입자크기, pH 경시적 변화 없음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12개월의 기간 동안 3개의 batch에서 가속안정성 시험을 진행한 결과, 전체 시험항목에서 경시적인 변화는 확인되지 않았고 안정적이었다.
실험예 3. 지방전구세포 및 지방분화세포 파괴능 확인
시험물질
지방전구세포 및 지방분화세포 파괴능을 비교를 위해 데옥시콜린산과 본 발명이 적용된 데옥시콜린산 분자 회합체(DCA2001JJ43, DCA2001JJ83-1)와 데옥시콜린산 염의 분자 회합체를(DCA2001JJ85-1) 사용하였다.
지방전구세포 파괴능
3T3-L1 지방전구세포를 96 well plate에 well당 5x103 96개 접종하여 16시간 동안 배지에서(high glucose DMEM, 10% bovine calf serum, 1% penicillin/streptomycin) 키운 후 상기 약물을 각각 0.04% 및 0.08%로 포함하도록 제조한 후, 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Dojingo CK04-11 cell counting kit-8를 manual에 따라 10 μl씩 well에 첨가한 후 2시간 반응시킨 후 분광광도계로 450 nm 흡광도 측정하여 지방전구세포 파괴능을 비교하여 도 4에 나타냈다.
그 결과, 0.04%에서는 데옥시콜린산 염의 전구체와 데옥시콜린산의 분자 회합체와 데옥시콜린산 염의 분자 회합체의 지방전구세포 파괴능은 동일하였으나 0.08% 처리시 전구체 24.6%와 비교하여, 데옥시콜린산 염의 분자 회합체가 첨가된 지방전구세포 생존율이 11.9% 감소한 12.7%(*p=0.008), 데옥시콜린산의 분자 회합체 처리구에서 생존율이 13.8% 감소한 10.8%(#p=0.01)로 확인되어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데옥시콜린산 분자 회합체의 지방전구세포 파괴능 증가를 확인하였다.
지방분화세포의 파괴능
Biovision 3T3 L1 differentiation kit manual에 따라, 3t3 L1 지방전구세포를 배양접시에 100 % confluence하게 키운 후, 배양액을 분화 유지 배지로 교체 한 6일 후 다수의 lipid droplet을 가지는 지방분화세포를 유도하였다(도 5). 지방분화세포에 0.07%의 데옥시콜린산의 분자 회합체를(DCA2001JJ43) 처리하고 Tomocube HT-2H 현미경을 이용하여 초당 2.5 frames으로 3D image 얻은 후 imaging software인 TomoStudio를 이용하여 multi point acquisition 기능 적용, 분화된 지방 세포의 변화를 25초의 간격으로 40분 동안 촬영하였다. 그 결과, 촬영 후 5분까지 관찰되던 지방분화세포의 cell membrane과 세포내 구조가 5분 이후에 급격히 희미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8분 이후에는 lipid droplet 주변의 RI value가 밖의 medium과 거의 비슷해진 것으로 분화된 지방 세포 파괴능을 확인하였다(도 6).
실험예 4. 전임상 시험
SD rat 피부 투과 실험
재료
데옥시콜린산의 분자 회합체(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DCA2002JJ84)의 SD rat 쥐의 피부 투과능과 피하 지방조직 제거능 확인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방법
충분한 피하 지방 조직을 가지는 10주령의 SD rat (280~350g)의 interscapular 부위(귀쪽 뒷목 부위)를 제모하고 마취시킨다. 제모된 부위에 donor cell을 테이프로 부착시킨다. 전구체인 2.5% 데옥시콜린산과 본 발명의 데옥시콜린산 분자 회합체 500 μl를 donor cell에 2.5%의 올린 후 마취 지속 상태로 3, 6, 9시간 연속적으로 피부에 적용한다. 피하조직, 피부, 혈장 내의 데옥시콜린산의 분포량을 확인하여 피부 투과능을 확인하고, 조직염색을 통해 피하 지방세포층의 파괴능을 확인하여 도 7의 하단에 나타냈다. 양성대조군으로 데옥시콜린산의 피하 주사 군을 사용하였다(1% DCA, 500 μl 피하주사).
피하 조직의 DCA 분포량 측정 결과
데옥시콜린산 전구체와 데옥시 콜린산 분자 회합체를 SD rat 피부에 연속 도포시 두 그룹 모두 시간 경과에 따라 피부 투과량이 증가함을 피하조직내 데옥시콜린산 정량으로 확인하였다. 피하주사 그룹에서는 피하 주사 후 DCA의 양이 피하 조직내에서 점차 감소한 반면 피부 도포 그룹에서는 시간 경과에 따른 증가양상을 보였으며, 데옥시콜린산 분자 회합체의 투과율 증가폭이 데옥시콜린산 전구체보다 다소 높았다(도 7).
피부의 DCA 분포량 측정 결과
데옥시콜린산 전구체와 데옥시콜린산 분자 회합체를 SD rat 피부에 연속 도포시 두 그룹 모두 시간 경과에 따라 피부에 분포하는 데옥시콜린산의 증가를 확인하였다. 반면, 피하 주사 그룹의 경우 6시간 후 피부 조직 데옥시콜린산이 가장 높게 분포하였으나 9시간에는 피부 도포 그룹보다 낮은 분포를 보였다(도 8).
혈장의 DCA 분포량 측정 결과
도 9의 결과는 쥐 혈장의 DCA 농도를 나타낸 것으로, 데옥시콜린산 피하 주사 그룹에서만 혈장에서 DCA가 검출되었으며, 피부도포 그룹에서는 혈장 내 DCA가 검출되지 않아 피부도포로 피하 지방제거 효과가 있으나 혈장으로 이행되지 않아 안전성 문제가 없는 데옥시콜린산 분자 회합체를 확인하였다.
조직학적 분석결과
데옥시콜린산 1% 500 μL 피하 주사 그룹, 데옥시콜린산 2.5% 500 μL 피하 도포한 그룹, 그리고 데옥시콜린산의 분자 회합체 2.5% 500 μL을 franz cell이 부착된 부위에 3, 6, 9 시간 연속 적용 뒤에 intercapular 부위의 조직(skin, subcutaneous tissue)을 채취하여 고정후 H&E staining과 Masson's trichome staining을 실시하고 현미경 관찰을 통해 조직변화를 조사하였다.
H&E 염색 결과, 데옥시콜린산의 피하 주사 그룹에서는 피하 주사 이후 조직이 심하게 손상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피부 도포 그룹에서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dermis white adipose tissue의 감소가 관찰되었으며 이는 데옥시콜린산의 분자 회합체 도포 그룹에서 더욱 명확하게 관찰되었다(도 10).
피부 및 피하조직 내 콜라겐의 증감을 관찰하기 위해 Masson's trichome staining을 실시한 결과, 피부 도포 그룹에서 지방 세포의 파괴 또는 콜라겐 증가로 인한 푸른색으로 staining 된 면적 증가를 관찰하였다(도 11). 데옥시콜린산의 피하 주사 그룹에서는 조직에 혈종 및 부종이 발생했으며 조직의 손상이 극심하여 절편 생성 시 조직이 경화되어 9 hr 처리 그룹에서는 지방 조직 경화로 절편이 갈라져 적절한 조직 절편을 얻지 못하였다.
결론
피부 도포 그룹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피부 및 피하조직에서 분포한 데옥시콜린산의 양이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였으며, 데옥시콜린산의 분자 회합체가 데옥시콜린산의 전구체 처리군에 비교하여 피부나 피하조직에 분포한 데옥시콜린산 양이 더 높았다. 혈장에서의 데옥시콜린산의 농도는 피하 주사 그룹에서만 검출되었으며, 조직학적 분석에서 피부 도포 그룹에서 투여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조직 내 adipose tissue의 감소가 관찰되었으며, 이러한 현상은 데옥시콜린산의 분자 회합체 처리 그룹에서 더욱 명확하게 나타났다. Pharmacokinetic 연구 결과에서 피하조직 내 분포한 데옥시콜린산의 양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축적되었고, 조직학적 분석에서 피부내 dermis white adipose tissue가 감소하였으므로 데옥시콜린산의 분자 회합체가 효과적으로 피부를 투과하여 지방 조직의 감소에 기여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ob/ob 비만 마우스 모델을 이용한 피부 투과 지방분해 효과
재료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2.52% 데옥시콜린산의 분자 회합체를 제조하고(DCA2103JJ134-02, 115 g, 95% 회수율), ob/ob 비만 마우스 지방 감소 효능 평가를 위해 1.0%와 2.5%로 희석한 후 제형화 하였다(1.0% SCAI-101, 2.5% SCAI-101).
실험 방법
ob/ob 비만 마우스 모델을 이용하여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데옥시콜린산의 분자 회합체(1.0% SCAI-101, 2.5% SCAI-101)의 피부 투과 후 지방 감소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ob/ob 비만 마우스 등과 복부(배)의 피모를 제모하였고, 1cm2 크기의 각각 2곳(총 4부위)에 1.0%와 2.5% 농도의 데옥시콜린산의 분자 회합체를 포함하는 용액(SCAI-101) 100 μL씩, 1일 2회씩 충분히 흡수되도록 도포하였다. 4주 동안 몸무게 변화, 허리둘레와 마우스 복부의 micro-CT 촬영으로 얻은 복부 지방량을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여 표 9와 같이 피부 투과능과 지방분해 효능을 확인하였다.
시험군 시험물질 동물수
Group 1 Control (Vehicle) 5
Group 2 1.0% SCAI-101 도포군 5
Group 3 2.5% SCAI-101 도포군 5
Body weight 변화
ob/ob 비만 마우스 대조군의 몸무게는 정상사료를 섭취하면서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46.2±1.13g(0주)에서 51.1±0.89g(4주)으로 4주동안 증가하였고, 0주째 대조군의 몸무게와 비교시 3주째와 4주째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했다(각각 p<0.01와 p<0.001). 2.5% 농도 도포군 또한 43.4±1.62g(0주)에서 48.3±1.49g(4주)로 증가하였으며, 0주째의 몸무게와 비교시 4주째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증가가 관찰되었다(p<0.05). 그러나 1.0% 농도 도포군은 42.1±2.14g(0주)에서 41.7±4.07g(4주)로 감소하였다.
하기 표 10와 도 12의 결과와 같이, 대조군과 2.5% 도포군의 몸무게는 지속적으로 증가된 것으로 확인되었고, 1.0%와 2.5% 도포군 사이의 몸무게 변화를 비교해 볼 때 용량 의존적인 경향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Weeks Control 1.0% SCAI-101 도포군 2.5% SCAI-101 도포군
0 46.2±1.13 42.1±2.14 43.4±1.62
1 46.5±1.08 40.7±2.83 43.7±1.52
2 47.6±1.09 41.0±3.12 45.5±1.65
3 50.7±0.99** 42.3±3.64 47.8±1.61
4 51.1±0.89*** 41.7±4.07 48.3±1.49*
Data were expressed as mean ± SEM.
The weight of each group was measured weekly for 4 weeks. Paired t-test was used for the comparison of the body weight of the week 0. *, ** and ***: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pared with Week 0 (before treatment) (p<0.05, p<0.01 and p<0.001, respectively)
허리둘레 및 허리둘레 변화량
ob/ob 비만 마우스에 4주 동안 하루 2번씩 도포하며 허리둘레를 측정한 결과, 대조군의 허리둘레는 0주째와 비교 시 1주, 2주, 3주 그리고 4주후까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모두 p<0.001). (도 13와 표 11)
Weeks Control 1.0% 농도
도포군
2.5% 농도
도포군
0 9.7±0.11 9.4±0.21 9.8±0.14
1 10.3±0.05*** 9.6±0.24# 10.1±0.19
2 10.6±0.09*** 9.8±0.25***, # 10.4±0.26
3 10.7±0.12*** 9.4±0.50# 10.5±0.13*
4 10.8±0.13*** 9.4±0.43# 10.3±0.16
Data were expressed as mean ± SEM.
The waist girth of each group was measured weekly for 4 weeks. Paired t-test was used for the comparison of the waist girth of the Week 0. * and ***: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pared with Week 0 (before treatment) (p<0.05 and p<0.001, respectively). #: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pared with the same week of Control (p<0.05 and p<0.01, respectively). Ordinary ANOVA test, followed by Tukey multiple comparison post hoc test, was used for the comparison of the waist girth (Week 1, Week 3 and Week 4). Kruskal-Wallis test, followed by Dunn’s multiple comparison test, was used for the comparison of the waist girth (Week 2).
데옥시콜린산의 분자 회합체를 도포한 경우, 1.0% 농도일 경우 허리둘레는 0주째 대비, 약간 증가하면서 2주째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나(p<0.001), 3주째부터 감소하여 4주째까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증가없이 0주째와 비슷하게 유지된다. 반면, 도포 후 동일 주간에서 대조군의 허리둘레와 비교시, 1.0% 농도 도포군은 1주째, 2주째, 3주째와 4주째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짧았다(모두 p<0.05)(표 15). 이와 일치하게 허리둘레 변화량(waist girth gain)은 동일주간의 대조군과 비교시 1.0% 농도 도포군의 1주째, 3주째와 4주째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함(모두 p<0.05)(표 11).
2.5% 농도 도포군은 0주째의 허리둘레와 비교시 3주째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p<0.01)(표 11), 허리둘레 변화량(waist girth gain)에서 대조군과 비교시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아서 일시적인 결과로 판단된다(표 12).
Weeks Control 1.0% 농도
도포군
2.5% 농도
도포군
1 0.3±0.0 -0.4±0.2* 0.1±0.2
2 0.6±0.1 -0.2±0.2 0.4±0.3
3 0.7±0.1 -0.6±0.5* 0.5±0.1
4 0.8±0.1 -0.6±0.4* 0.3±0.2
Data were expressed as mean±SEM.
The waist girth gain of each group was measured weekly for 4 weeks. ANOVA test, followed by Tukey multiple comparison post hoc test, was used for the comparison of the waist girth gain. *: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pared with girth gain of every week of Control (p<0.05).
micro-CT 스캔 복부 지방량 측정 결과
시험물질의 도포 부위를 포함하는 허리 부위와 복부의 허리둘레(요추3-5번 사이)에 대한 지방량 측정결과, 1.0%와 2.5% 농도 도포군의 피하지방량은 각각 2233.2±351.4mm3과 2589.7±93.4mm3로 대조군(2505.4±279.4mm3)과 비교 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피하지방량의 비율은 대조군 대비 각각 89.1±14.03%와 103.4±3.73%였다. 1.0% 농도 도포군의 피하지방량은 대조군대비 평균 10.9% 낮았으나, 2.5% 농도 도포군과의 용량 의존적인 감소 경향은 관찰되지 않았다. (표 13)
Item Region of Interest Control 1.0% 농도
도포군
2.5% 농도
도포군
Unit
Objective Vol.
of fat tissue
Subcutaneous 2505.4±279.4 2233.2±351.4 2589.7±93.4 3
Visceral 3861.5±289.9 3081.2±571.0 3475.2±108.4
% Fat volume Subcutaneous 100.0±11.15 89.1±14.03 103.4±3.73 %
Visceral 100.0±7.51 79.8±14.79 90.0±2.81
Data were expressed as mean±SEM (n=3)
도포한 피부조직의 지방세포 조직 두께 평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데옥시콜린산의 분자 회합체(SCAI-101, DCA WP)를 직접 도포된 피부의 지방세포 조직 두께 측정결과, 대조군, 1.0%와 2.5% 농도 도포군들은 1일 2회씩 도포 후 4주째에 각각 594.6±30.46㎛, 394.3±17.96㎛ 그리고 492.4±11.42㎛였으며, 1.0%와 2.5% 농도 도포군 모두에서 대조군과 비교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모두 p<0.05). 대조군의 지방조직 두께 대비 데옥시콜린산의 분자 회합체를 도포한 군들의 지방조직 두께 비율(% Average)은 각각 66.0±2.94%(1.0% 농도 도포군)와 82.6±1.87%(2.5% 농도 도포군)로 낮은 농도인 1.0% 농도 도포군에서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감소가 확인되었다(p<0.05).1.0% 농도 도포군의 지방분해 및 축적 감소는 2.5% 농도 도포군보다 우수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4와 표 14)
Group Thickness (㎛) % Average
Control 594.6±30.46 100±4.99
1.0% 농도 도포군 394.3±17.96* 66.0±2.94*
2.5% 농도 도포군 492.4±11.42* 82.6±1.87
Data were expressed as mean ± SEM (n=20)
Kruskal-Wallis test, followed by Dunn’s multiple comparison test, was used for the comparison of the thickness of Dermal White Adipose Tissue. *: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pared with Control (Vehicle treatment).
결론
1.0% 농도 도포군(1.0% SCAI-101, DCA WP)을 1일 2회씩 4주간 도포 후, 허리둘레 및 지방 세포 두께에서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감소 결과를 확인함으로써 피부 투과 후 피부지방량을 감소 또는 분해하는 약리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일반적으로 피부 투과가 어렵다고 알려진 데옥시콜린산의 특성과 다르게 직접 피부에 도포한 데옥시콜린산의 분자 회합체의 피부 투과된 약리작용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대조군과 비교시, 몸무게, 허리둘레 및 피하지방량의 감소 결과는 피부 투과된 데옥시콜린산의 분자 회합체가 직접적인 지방 세포 분해 작용에 의한 간접접인 영향에 의한 결과였던 것으로 예측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조건인 1.0% 농도 도포군의 피부 투과 지방분해 효과는 가장 적절한 농도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2.5% 농도 도포군의 효과와 용량 의존적인 경향성은 인정되지 않았지만 향후 적절한 농도와 조성 개선을 통해 데옥시콜린산의 분자 회합체를 포함하는 용액은 지방분해 효과를 극대화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6)

  1. 담즙산 분자 또는 담즙산 염 분자들이 물리적으로 결합된 분자 회합체로서,
    상기 분자 회합체에 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조성물 중에서 상기 분자 회합체는 응집된 구조를 가지는,
    분자 회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자 회합체의 평균 입경은 1.0 내지 10 nm 이하인, 분자 회합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자 회합체는 무정형(amorphous)인, 분자 회합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자 회합체는 pH가 8.5 초과 10 미만인, 분자 회합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자 회합체는 40±2℃/75±5% 가속조건에서 12개월간의 농도의 변화율이 1 초과 10% 미만인, 분자 회합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자 회합체는 40±2℃/75±5% 가속조건에서 12개월간의 입자크기의 변화율이 1 초과 10% 미만인, 분자 회합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자 회합체는 40±2℃/75±5% 가속조건에서 12개월간의 pH의 변화율이 0 초과 5% 미만인, 분자 회합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담즙산은 콜산, 케노디옥시콜산, 글리코콜산, 타우로콜산, 데옥시콜린산 및 리토콜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 하나이고, 상기 담즙산 염은 콜산, 케노디옥시콜산, 글리코콜산, 타우로콜산, 데옥시콜린산 및 리토콜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 하나의 염인, 분자 회합체.
  9. 제1항의 분자 회합체를 포함하는, 국소지방제거용 의약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비수술적(non-surgical), 비침습적(no injection)인 방법인 피부 외용제로 도포하여 사용하는, 국소지방제거용 의약 조성물.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글리세린, 치아시드 오일, 글루칸,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금은화 추출물, 콜라겐, 세라마이드, 레시친, 베타인, 트레할로스, 판테놀, 스쿠알란, 카프릴릭/카프릭 트라이글리세라이드, 부틸렌 글라이콜, 프로판 다이올, 펜틸렌 글리콜, 소듐불리네이트(SodiumLevulinate),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 및 소듐 하이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국소지방제거용 의약 조성물.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분자 회합체를 0.05 내지 10 중량%로 포함하는, 국소지방제거용 의약 조성물.
  13.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비만, 지방 재분포 증후군, 국소적으로 지방이 축적되어 생긴 이중 턱인 턱밑지방(submental fat), 눈꺼풀 지방 헤르니아(lower eyelid fat herniation) 형성, 지방(lipomas)종, 더컴병(Dercum's disease), 지방이영양증(lipodystrophy), 버펄로 험프 이영양증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지방제거용 의약 조성물.
  14.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복부경부 지방, 허벅지 지방, 팔뚝살 지방, 내장 지방 축적, 유방 확대 수술 후 발생한 지방, 흉부 지방, 팔 둘레에 확산된 지방, 눈 밑 지방, 턱 밑 지방, 엉덩이 지방, 종아리 지방, 등 지방, 넓적 다리 지방, 발목 지방, 셀룰라이트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부위에 국소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지방제거용 의약 조성물.
  15.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젤, 크림, 연고(oinment), 연고(unguent), 스프레이, 증점된 제형 및 습포제로 이루어진 군의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사용되는, 국소지방제거용 의약 조성물.
  16.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한 후, 3시간 이후에 혈장에서 측정한 담즙산의 농도가 0.001 내지 0.2 ㎍/㎖인, 국소지방제거용 의약 조성물.
KR1020220087631A 2021-07-16 2022-07-15 담즙산 또는 담즙산 염의 분자 회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국소지방제거용 의약 조성물 KR202300130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10403 WO2023287260A1 (ko) 2021-07-16 2022-07-15 담즙산 또는 담즙산 염의 분자 회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국소지방제거용 의약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764 2021-07-16
KR20210093764 2021-07-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3003A true KR20230013003A (ko) 2023-01-26

Family

ID=8511017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7684A KR20230013005A (ko) 2021-07-16 2022-07-15 담즙산 또는 담즙산 염의 분자 회합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20087631A KR20230013003A (ko) 2021-07-16 2022-07-15 담즙산 또는 담즙산 염의 분자 회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국소지방제거용 의약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7684A KR20230013005A (ko) 2021-07-16 2022-07-15 담즙산 또는 담즙산 염의 분자 회합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2) EP4371551A1 (ko)
KR (2) KR20230013005A (ko)
CN (2) CN11794011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1001B1 (ko) 2007-06-19 2020-01-03 알레간 세일즈, 엘엘씨 합성 담즙산 조성물, 방법 및 제조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1001B1 (ko) 2007-06-19 2020-01-03 알레간 세일즈, 엘엘씨 합성 담즙산 조성물, 방법 및 제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979950A (zh) 2024-05-03
CN117940111A (zh) 2024-04-26
KR20230013005A (ko) 2023-01-26
EP4371551A1 (en) 2024-05-22
EP4371552A1 (en) 2024-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6087B1 (ko) 지방 감소를 위한 담즙산 및 염의 방법 및 조성물
RU2467759C2 (ru) Состав для местн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и его применения
CN103565743B (zh) 氨甲环酸皮肤外用纳米制剂及其制备方法和用途
PT2504012E (pt) Uso de um óleo gel contendo triterpeno para a cicatrização de feridas
CN112891241A (zh) 一种靶向线粒体皮肤抗衰纳米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2009545587A (ja) エステル化レシチンを用いたナノリポソ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含む皮膚疾患の予防又は治療用組成物
EP2563370B1 (de) Verwendung einer phospholipid und glycyrrhizinsäure enthaltenden zusammensetzung zur entfernung von subkutanen fettansammlungen durch subkutane lipolyse
EP0945136B9 (de) Topisches Arzneimittel mit einem Gehalt an Ciclosporin
KR101775266B1 (ko) 신규한 트라넥사민산 담지 액정나노입자 및 그의 제조방법
CN111184683A (zh) 一种可协同经皮给药水凝胶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887586B1 (ko) 통증과 부종 그리고 부작용이 없는 국소지방 감소용 주사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13003A (ko) 담즙산 또는 담즙산 염의 분자 회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국소지방제거용 의약 조성물
WO2016166091A1 (de) Naturstoffkombination enthaltend mindestens eine glycyrrhetinsäure und mindestens ein guggulsteron sowie verwendung derselben für kosmetische anwendungen
US20150306221A1 (en) Mixture of Betamethasone and Tranilast with a Transdermal Gel for Scar Treatment
WO2009003463A2 (de) Verwendung von deuteriumoxid zur behandlung von virus-basierten erkrankungen der haut
WO2023287261A1 (ko) 담즙산 또는 담즙산 염의 분자 회합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3287260A1 (ko) 담즙산 또는 담즙산 염의 분자 회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국소지방제거용 의약 조성물
CN114159326B (zh) 一种dha保湿修复纳米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0501309B1 (ko) 알부틴 함유 나노유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WO2009077094A1 (en) Method for the intracellular regeneration of hyaluronic acid and cosmetic composition therefor
TW201922261A (zh) 無痛、無水腫且無副作用之局部減脂可注射組成物及製備其之方法
KR101490345B1 (ko) 유기금속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상 치료제 및 그 제조방법
CN114437193A (zh) 一种金-蜂毒肽纳米杂化物及其应用
CN116115566A (zh) 一种七叶皂苷钠脂质体及其制备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