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2997A - 조리기 - Google Patents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2997A
KR20230012997A KR1020220087266A KR20220087266A KR20230012997A KR 20230012997 A KR20230012997 A KR 20230012997A KR 1020220087266 A KR1020220087266 A KR 1020220087266A KR 20220087266 A KR20220087266 A KR 20220087266A KR 20230012997 A KR20230012997 A KR 20230012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acking
lock pin
state
inner 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7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니타카 사토
데츠오 다나카
Original Assignee
시로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로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로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12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29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47J36/10Lid-lo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탈 가능한 부품이 장착되지 않은 것을 잊은 채로 조리가 개시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조리기는 속냄비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 내에 수용된 상기 속냄비의 개구부를 덮는 덮개와, 상기 덮개에 자유롭게 착탈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덮개와 상기 속냄비 사이를 밀봉하기 위한 패킹과, 상기 덮개와 상기 수용부가 중첩된 상태에서 상기 덮개와 상기 수용부가 그 중첩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패킹에 의해 상기 덮개와 상기 속냄비 사이가 밀봉된 상태에서 상기 덮개와 상기 수용부를 거는 걸림 기구와, 상기 수용부에 상기 속냄비가 수용되어 있지 않은 상태 및 상기 덮개에 상기 패킹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 중 적어도 어느 상태인 제1 상태의 경우에, 상기 덮개의 상기 회전을 규제함으로써 상기 걸림 기구에 의한 상기 덮개와 상기 수용부의 걸림을 저지하는 저지 기구를 구비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조리기{COOKER}
본 발명은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압력솥이나 취반기 등의 조리기에 있어서는 속냄비가 수용된 본체 위에 덮개체를 재치하고, 본체와 덮개체의 중첩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덮개체를 회전시킴으로써 덮개를 닫는 구성의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7-51530호
이 종류의 조리기에서는 청소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속냄비는 물론, 덮개체의 패킹 등이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도 많다.
이 경우, 패킹을 장착하는 것을 잊은 채로, 혹은 속냄비를 세팅하는 것을 잊은 채로 조리가 개시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속냄비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 내에 수용된 상기 속냄비의 개구부를 덮는 덮개와, 상기 덮개에 자유롭게 착탈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덮개와 상기 속냄비 사이를 밀봉하기 위한 패킹과, 상기 덮개와 상기 수용부가 중첩된 상태에서 상기 덮개와 상기 수용부가 그 중첩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패킹에 의해 상기 덮개와 상기 속냄비 사이가 밀봉된 상태에서 상기 덮개와 상기 수용부를 거는 걸림 기구와, 상기 수용부에 상기 속냄비가 수용되어 있지 않은 상태 및 상기 덮개에 상기 패킹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 중 적어도 어느 상태인 제1 상태의 경우에, 상기 덮개의 상기 회전을 규제함으로써 상기 걸림 기구에 의한 상기 덮개와 상기 수용부의 걸림을 저지하는 저지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착탈 가능한 부품이 장착되지 않은 채 조리가 개시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조리기가 제공된다.
도 1은 조리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조리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덮개부(B)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덮개부의 구성 및 저지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체 하우징의 상단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구동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는 특허 청구 범위에 관련되는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또한, 실시형태에서 설명되어 있는 특징의 조합의 전부가 발명에 필수의 것이라고는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형태에서 설명되어 있는 복수의 특징 중, 2가지 이상의 특징이 임의로 조합되어도 좋다. 또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이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실시형태에서의 조리기(100)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조리기(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조리기(100)는 전기 압력솥, 취반기 등의 가열 조리기일 수 있다. 조리기(100)는 소정의 가열 프로그램에 따라 속냄비(C)의 가열 제어를 행하는 본체부(A)와, 본체부(A)의 상부에 착탈 가능한 덮개부(B)를 포함한다.
본체부(A)는 속냄비(C)를 수용하는 수용부(10)와, 본체 하우징(L)과, 사용자 인터페이스(13)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10)는 겉냄비라고도 불리고, 속냄비(C)에 열을 전달하기 위한 금속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수용부(10)의 하방에는 수용부(10)를 통해 속냄비(C)를 가열하는 도시하지 않은 가열부(히터)가 배치되어 있다. 가열부는 수용부(10)에 수용된 속냄비(C)를 유도 가열하는 유도 가열 코일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A)는 가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도 구비할 수 있다. 수용부(10)는 본체 하우징(L)에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3)는 조리에 관한 설정을 행하기 위한 버튼 또는 다이얼 등의 조작부와, 설정 내용이나 시계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3)는 조리 가이던스, 설정 내용, 경고 등을 음성으로 통지하는 통지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커버부(B)는 커버 하우징(K)(겉덮개)과, 내부 덮개(22)와, 핸들(23)과, 압력 전환 밸브(24)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덮개(22)는 수용부(10) 내에 수용된 속냄비(C)의 개구부를 덮는 덮개이다. 내부 덮개(22)는 덮개 하우징(K)에 고정되어 있어도 되고, 떼어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핸들(23)은 덮개부(B)의 개폐 동작을 행하기 위해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이다. 압력 전환 밸브(24)는 조리 중의 속냄비(C) 내의 압력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밸브이다. 또한, 내부 덮개(22)에는 내부 덮개(22)와 속냄비(C)(의 개구 둘레 가장자리부) 사이를 밀봉하기 위한 패킹(P)이 자유롭게 착탈되도록 장착된다. 패킹(P)의 장착을 위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체 하우징(L) 및 덮개 하우징(K)은 원통 형상이고, 평면에서 보았을 때 원반 형상의 형태를 이루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체 하우징(L) 및 덮개 하우징(K)은 사각 기둥상의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조리기(100)는 본체부(A)에 덮개부(B)를 닫기 위해, 내부 덮개(22)와 수용부(10)를 거는 걸림 기구(D)를 구비한다. 걸림 기구(D)는 덮개부(B)(내부 덮개(22))와 본체부(A)(수용부(10))가 중첩된 상태에서, 덮개부(B)와 본체부(A)가 그 중첩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전됨으로써, 패킹(P)에 의해 내부 덮개(22)와 속냄비(C) 사이가 밀봉된 상태에서 내부 덮개(22)와 수용부(10)를 건다. 이하, 걸림 기구(D)의 구성의 구체예를 설명한다.
본체부(A)에서의 수용부(10)는 속냄비(C)가 출입되는 상부 개구의 외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플랜지(12)를 갖는다. 수용부(10)는 본체 하우징(L)의 상단부(11)에 플랜지(12)가 현가된 상태에서 본체 하우징(L)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한편, 내부 덮개(22)의 외주에는 플랜지(12)를 걸어 맞추는 훅(25)(걸어 맞춤부)이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12)에는 훅(25)의 통과부가 되는 노치(12a)가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훅(25)은 이 노치(12a)에 대응하는 각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3에는 덮개부(B)를 아래에서 본 분해 사시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여기서는 내부 덮개(22)는 덮개 하우징(K)의 하면에 미리 접합되어 있다. 도 3에 의하면, 내부 덮개(22)의 내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하는 훅(25)이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관찰하여 알 수 있다. 걸림 기구(D)는 상기와 같은 수용부(10)에 형성된 플랜지(12) 및 노치(12a)와, 내부 덮개(22)에 형성된 훅(25)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A)에 덮개부(B)를 닫기 위해서는 우선, 훅(25)이 노치(12a)를 위에서 아래로 통과할 수 있는 소정 위치에서 본체부(A)(수용부(10)) 위에 덮개부(B)(내부 덮개(22))를 재치한다. 이에 의해, 덮개부(B)(내부 덮개(22))와 본체부(A)(수용부(10))가 중첩된 상태가 된다. 또한, 훅(25)이 노치(12a)를 상하 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는 소정 위치가 사용자에게 한눈에 알 수 있도록 본체부(A)와 덮개부(B)의 각각에 표지가 기재되어 있어도 된다. 그 상태에서, 사용자는 핸들(23)을 조작하여 덮개부(B)를 본체부(A)와의 중첩면과 평행한 방향(이하, 원주 방향이라고도 함)으로 소정 각도(예를 들면, 15°) 회전시킨다. 그러면, 플랜지(12)가 훅(25)에 끼워지고, 이에 의해 본체부(A)와 덮개부(B)의 닫힘 동작이 완료된다. 도 1은 이렇게 하여 덮개부(B)가 닫혀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플랜지(12)와 훅(25)이 확실하게 걸어 맞추는 위치에서 회전을 완료할 수 있도록, 소정 각도 이상의 회전을 규제하는 스토퍼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내부 덮개(22)에는 내부 덮개(22)와 속냄비(C)(의 개구 둘레 가장자리부) 사이를 밀봉하기 위한 패킹(P)이 자유롭게 착탈되도록 장착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패킹(P)의 장착을 위한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은 덮개부(B)를 아래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고, 여기서는 내부 덮개(22)는 덮개 하우징(K)의 하면에 접합되어 있다. 패킹(P)은 내부 덮개(22)의 내주 형상을 따르는 링 형상의 덮개 패킹이다. 패킹(P)의 재질은 실리콘 고무, 불소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등일 수 있다. 패킹(P)을 유지하는 패킹 홀더(H)는 패킹(P)의 형상에 적합한 형상의 금속제 링 부재(31)를 포함하고, 상기 링 부재(31)의 예를 들면, 3지점에 접합 부재(30)가 설치되어 있다. 패킹 홀더(H)는 접합 부재(30)에 의해 내부 덮개(22)의 하면에 동심원 형상으로 접합된다. 도 4는 접합 부재(30)에 의해 패킹 홀더(H)가 내부 덮개(22)에 접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패킹(P)의 내주부에는 홈(32)이 형성되어 있다. 패킹 홀더(H)의 링 부재(31)를 패킹(P)의 홈(32)에 원주에 걸쳐 끼워 넣음으로써, 패킹(P)은 내부 덮개(22)에 장착된다. 속냄비(C)가 수용부(10)에 수용되고, 패킹(P)이 내부 덮개(22)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술한 덮개부(B)의 닫는 동작을 행할 수 있다.
패킹(P)의 장착 및 떼어내는 것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패킹(P)을 떼어내고 패킹(P) 단체(單體)로 청소를 행할 수 있다. 조리를 행할 때는 사용자는 패킹(P)을 내부 덮개(22)에 장착하고, 속냄비(C)를 수용부(10)에 수용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패킹(P)을 내부 덮개(22)에 장착하는 것을 잊은 채로 조리가 개시된 경우에는 내부 덮개(22)와 속냄비(C) 사이가 밀봉 상태가 되지 않기 때문에 속냄비(C) 내를 가압할 수 없고, 정상적으로 요리를 행할 수 없다. 만약 그대로 조리가 개시되었다고 하더라도, 속냄비(C)에서 끓어 오른 조리 재료의 증기 또는 수분이 속냄비(C)와 내부 덮개(22) 사이로부터 흘러 넘친다. 이 경우, 흘러 넘친 수분이 본체 내부로 침입하여 조리기(100)가 고장날 가능성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속냄비(C)를 수용부(10)에 수용하는 것을 잊어 버린 경우에는 애초에 조리할 수 없다. 만약 그대로 조리가 개시된 경우에는 속냄비(C)가 없는 상태에서 가열부에 전력이 공급되어, 이른바 물이 없는 것을 모른채 가열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조리기(100)가 고장날 가능성이 있다.
이상의 점에서, 패킹(P)을 내부 덮개(22)에 장착하는 것을 잊은 채로, 혹은 속냄비(C)를 수용부(10)에 수용하는 것을 잊은 채로 조리가 개시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조리기(100)는 수용부(10)에 속냄비(C)가 수용되어 있지 않은 상태 및 내부 덮개(22)에 패킹(P)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 중 적어도 어느 상태(제1 상태)인 경우, 덮개부(B)(내부 덮개(22))를 닫기 위한 덮개부(B)의 회전을 규제함으로써, 걸림 기구(D)에 의한 내부 덮개(22)와 수용부(10)의 걸림을 저지하는 저지 기구(E)를 구비한다. 도 4∼도 6을 참조하여, 저지 기구(E)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에는 수용부(10)의 플랜지(12)가 현가되는 본체 하우징(L)의 상단부(11)의 확대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하우징(L)의 상단부(11)에는 하방으로 오목한 형상의 록 구멍(52)이 형성되어 있다. 록 구멍(52)은 본체 하우징(L)의 원주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둘레 벽(52a)에 의해 획정되어 있다. 록 구멍(52)은 둘레벽(52a)에 의해 획정된 단차, 홈, 오목부여도 된다.
도 4에는 패킹 홀더(H)가 내부 덮개(22)에 접합된 덮개부(B)가 나타내어져 있다. 단, 여기서는 패킹(P)은 떼어내어져 있다. 도 4에 있어서, 덮개 하우징(K)의 하단부(덮개부(B)를 닫을 때에 본체 하우징(L)의 상단부(11)와 중첩되는 부분)에는 록 핀 구멍(60)이 형성되어 있다. 저지 기구(E)는 이 록 핀 구멍(60)을 통해 이동 가능한 록 핀(61)을 포함할 수 있다. 저지 기구(E)는 록 핀(61)을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F)를 갖는다. 구동 기구(F)는 수용부(10)에 속냄비(C)가 수용되어 있지 않은 상태 및 내부 덮개(22)에 패킹(P)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 중 적어도 어느 상태(제1 상태)인 경우, 록 핀(61)의 선단부가 잠금 구멍(52)에 걸어 맞춰지도록 록 핀(61)을 이동시킴으로써 덮개부(B)의 회전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구동 기구(F)는 수용부(10)에 속냄비(C)가 수용되고, 또한 내부 덮개(22)에 패킹(P)이 장착되어 있는 상태(제2 상태)의 경우, 록 핀(61)의 선단부가 록 구멍(52)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록 핀(61)을 이동시킴으로써 덮개부(B)의 회전 동작의 규제를 해제한다. 구동 기구(F)의 상세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패킹(P)이 떼어내어진 상태에서는 구동 기구(F)의 작동에 의해 록 핀(61)이 덮개 하우징(K)의 하단부로부터 돌출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본체부(A)에 덮개부(B)를 닫기 위해, 훅(25)이 노치(12a)를 위에서 아래로 통과할 수 있는 소정 위치에서 본체부(A) 위에 덮개부(B)를 재치하면, 록 핀(61)의 선단부가 본체 하우징(L)의 상단부(11)에 형성된 록 구멍(52)에 들어간다. 이 때문에, 사용자가 덮개부(B)를 본체부(A)와의 중첩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고자 해도, 록 핀(61)이 록 구멍(52)의 주벽(52a)에 맞닿기 때문에 회전시킬 수 없다.
한편, 패킹(P)이 패킹 홀더(H)에 의해 내부 덮개(22)에 장착되고, 또한 속냄비(C)가 수용부(10)에 수용되어 있는 경우는 구동 기구(F)의 작동에 의해 록 핀(61)의 선단부가 록 구멍(52)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고, 록 핀(61)은 록 핀 구멍(60)을 통해 덮개 하우징(K) 내에 투입된다. 이에 의해, 덮개부(B)의 본체부(A)와의 중첩면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회전의 규제가 해제되고, 이에 의해 덮개부(B)의 닫는 동작이 가능해진다.
도 6에는 구동 기구(F)의 상세 구성예가 나타내어져 있다. 도 6에서, 록 핀(61)은 덮개 하우징(K) 내에 배치되고, 덮개 하우징(K)의 하단부에 형성된 록 핀 구멍(60)을 통해 이동 가능하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 덮개(22)에 장착된 패킹(P)과 평면에서 보았을 때 중첩할 수 있는 내부 덮개(22)의 부분에는 핀 구멍(40)이 형성되어 있다. 구동 기구(F)는 이 핀 구멍(40)을 통해 이동 가능한, 내부 덮개(22)에 장착된 패킹(P)과 맞닿는 맞닿음 핀(62)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4와 같이 패킹(P)이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맞닿음 핀(62)은 핀 구멍(40)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기구(F)는 맞닿음 핀(62)과 록 핀(61)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63)를 추가로 갖는다. 이 연결 부재(63)에 의해, 맞닿음 핀(62)과 록 핀(61)이 연동된다. 구동 기구(F)는 록 핀(61)을 록 핀 구멍(60)으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 부재인 코일 스프링(S)을 추가로 갖는다. 덮개 하우징(K)의 내벽(64)의 상부에는 연결 부재(63)에 형성된 이동 가능한 구멍(도시하지 않음)을 관통하여 덮개 하우징(K)의 천판의 하면에 접속된 로드(66)가 설치되어 있고, 코일 스프링(S)은 이 로드(66)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로드(66)는 연결 부재(63)의 록 핀(61)의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로서 기능한다. 또한, 덮개 하우징(K)의 내부에는 록 핀(61)의 횡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67)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도 6(a)는 수용부(10)에 속냄비(C)가 수용되고, 또한 내부 덮개(22)에 패킹(P)이 장착되어 있는 상태(제2 상태)에서, 본체부(A)에 덮개부(B)를 닫기 위해 훅(25)이 노치(12a)를 위에서 아래로 통과할 수 있는 소정 위치에서 본체부(A) 위에 덮개부(B)가 재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속냄비(C)에 의해 밀어 올려진 패킹(P)이 맞닿음 핀(62)에 맞닿고, 맞닿음 핀(62)이 코일 스프링(S)의 탄성 지지력에 대항하여 밀어 올려진다. 록 핀(61)은 연결 부재(63)를 통해 맞닿음 핀(62)과 연동되고, 록 핀(61)의 선단부가 잠금 구멍(52)으로부터 멀어진다. 이것이 덮개부(B)의 본체부(A)와의 중첩면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회전의 규제가 해제된 상태이고, 덮개부(B)의 닫는 동작이 가능하다.
도 6(b)는 내부 덮개(22)에 패킹(P)은 장착되어 있지만, 수용부(10)에 속냄비(C)가 수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본체부(A)에 덮개부(B)를 닫기 위해 훅(25)이 노치(12a)를 위에서 아래로 통과할 수 있는 소정 위치에서 본체부(A) 위에 덮개부(B)가 재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속냄비(C)가 없기 때문에, 패킹(P)은 맞닿음 핀(62)을 밀어 올릴 수 없고, 코일 스프링(S)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록 핀(61)의 선단부가 록 구멍(52)에 걸어 맞춰진 그대로이다. 이것이 덮개부(B)의 본체부(A)와의 중첩면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회전이 규제된 상태이고, 덮개부(B)의 닫는 동작이 저지된다. 이와 같이, 패킹(P)이 내부 덮개(22)에 장착되었을 때는 맞닿음 핀(62)은 패킹(P)에 맞닿기는 하지만, 속냄비(C)가 수용부(10)에 수용되지 않는 한, 록 핀(61)은 코일 스프링(S)의 탄성 지지력에 대항하여, 록 핀(61)의 선단부가 록 구멍(52)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지는 않는다.
도 6(c)는 내부 덮개(22)에 패킹(P)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본체부(A)에 덮개부(B)를 닫기 위해 훅(25)이 노치(12a)를 위에서 아래로 통과할 수 있는 소정 위치에서 본체부(A) 위에 덮개부(B)가 재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내부 덮개(22)에 패킹(P)이 장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속냄비(C)가 수용부(10)에 수용되어 있다고 해도 속냄비(C)는 맞닿음 핀(62)에는 도달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맞닿음 핀(62)은 밀어 올려지지 않고, 코일 스프링(S)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록 핀(61)의 선단부가 록 구멍(52)에 걸어 맞춰진 그대로이다. 따라서, 이 상태는 덮개부(B)의 본체부(A)와의 중첩면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회전이 규제된 상태이고, 덮개부(B)의 닫는 동작이 저지된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착탈 가능한 부품(패킹(P), 속냄비(C))이 장착되지 않은 채 조리가 개시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정신 및 범위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
A: 본체부, B: 덮개부, C: 속냄비, D: 걸림 기구, E: 저지 기구, F: 구동 기구, P: 패킹, 10: 수용부, 100: 조리기

Claims (9)

  1. 속냄비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 내에 수용된 상기 속냄비의 개구부를 덮는 덮개와,
    상기 덮개에 자유롭게 착탈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덮개와 상기 속냄비 사이를 밀봉하기 위한 패킹과,
    상기 덮개와 상기 수용부가 중첩된 상태에서 상기 덮개와 상기 수용부가 그 중첩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패킹에 의해 상기 덮개와 상기 속냄비 사이가 밀봉된 상태에서 상기 덮개와 상기 수용부를 거는 걸림 기구와,
    상기 수용부에 상기 속냄비가 수용되어 있지 않은 상태 및 상기 덮개에 상기 패킹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 중 적어도 어느 상태인 제1 상태의 경우에, 상기 덮개의 상기 회전을 규제함으로써 상기 걸림 기구에 의한 상기 덮개와 상기 수용부의 걸림을 저지하는 저지 기구를 구비하는, 조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기구는
    상기 수용부의 상부 개구의 외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플랜지와,
    상기 덮개의 외주에 형성된 걸어 맞춤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와 상기 수용부가 중첩된 상태에서 상기 덮개와 상기 수용부가 그 중첩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전되면 상기 플랜지와 상기 걸어 맞춤부가 걸어 맞춰짐으로써, 상기 덮개와 상기 수용부가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는, 조리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를 유지하는 덮개 하우징과,
    상기 수용부의 상기 플랜지가 현가되는 상단부를 갖는 본체 하우징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기 상단부에는 록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저지 기구는
    상기 덮개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덮개 하우징의 하단부에 형성된 록 핀 구멍을 통해 이동 가능한 록 핀과,
    상기 록 핀을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제1 상태의 경우, 상기 록 핀의 선단부가 상기 록 구멍에 걸어 맞춰지도록 상기 록 핀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회전을 규제하고,
    상기 수용부에 상기 속냄비가 수용되고, 상기 덮개에 상기 패킹이 장착되어 있는 상태인 제2 상태의 경우, 상기 선단부가 상기 록 구멍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상기 록 핀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회전의 규제를 해제하는, 상기 조리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록 핀을 상기 록 핀 구멍으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상태의 경우, 상기 탄성 지지 부재에 의한 탄성 지지력에 의해 상기 선단부가 상기 록 구멍에 걸어 맞춰지도록 상기 록 핀을 이동시키는, 조리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제2 상태의 경우, 상기 속냄비 및 상기 패킹이 상기 탄성 지지 부재의 탄성 지지력에 대항하여 상기 선단부가 상기 잠금 구멍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상기 록 핀을 이동시키는, 조리기.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덮개에 장착된 상기 패킹과 평면에서 보았을 때 중첩할 수 있는 상기 덮개의 부분에 형성된 핀 구멍을 통해 이동 가능한, 상기 덮개에 장착된 상기 패킹과 맞닿는 맞닿음 핀과,
    상기 맞닿음 핀과 상기 록 핀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에 의해 상기 맞닿음 핀의 이동에 따라 상기 록 핀이 연동되는, 조리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록 핀의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리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의 일단은 상기 덮개 하우징의 천판의 하면과 접속되어 있고,
    상기 탄성 지지 부재는 상기 덮개 하우징의 상기 천판과 상기 연결 부재 사이의 상기 가이드 부재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코일 스프링인, 조리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이 상기 덮개에 장착되고 상기 맞닿음 핀이 상기 패킹에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속냄비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지 않을 때는 상기 록 핀의 상기 선단부가 상기 록 핀 구멍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록 핀에 끼워 맞춰지는, 조리기.
KR1020220087266A 2021-07-16 2022-07-15 조리기 KR202300129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118111A JP7246766B2 (ja) 2021-07-16 2021-07-16 調理器
JPJP-P-2021-118111 2021-07-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2997A true KR20230012997A (ko) 2023-01-26

Family

ID=84857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7266A KR20230012997A (ko) 2021-07-16 2022-07-15 조리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246766B2 (ko)
KR (1) KR20230012997A (ko)
CN (1) CN115606994A (ko)
TW (1) TW20230436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51530A (ja) 2015-09-11 2017-03-16 三菱電機株式会社 蓋、及びその蓋が用いられる内釜を有する炊飯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08151B (zh) * 2014-04-09 2016-08-24 伍尚强 防止漏放密封圈的压力烹饪器具
JP6885539B2 (ja) * 2016-12-27 2021-06-16 有限会社大志 電気圧力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51530A (ja) 2015-09-11 2017-03-16 三菱電機株式会社 蓋、及びその蓋が用いられる内釜を有する炊飯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304360A (zh) 2023-02-01
JP2023013728A (ja) 2023-01-26
JP7246766B2 (ja) 2023-03-28
CN115606994A (zh) 2023-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11323B2 (ja) 改善された制御装置を有する、圧力下で食品を調理するための調理器具
JP6649838B2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JP6681745B2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JP5771622B2 (ja) 圧力調理器用の蓋
JP5193717B2 (ja) 遮蔽部付き圧力調理器
JP2007330767A (ja) 炊飯器
KR20230012997A (ko) 조리기
JP7054772B2 (ja) 圧力式炊飯器
CN211582584U (zh) 烹饪器具
CN110507166B (zh) 烹饪器具
JP2011244910A (ja) 電動調理器
JP3168423U (ja) 電気ケトル
JP6129275B1 (ja) 調理器
JP6890686B2 (ja) 調理器具用蓋及びそれを含む調理器具
JP5936053B2 (ja) 液体加熱容器
JP6548808B2 (ja) 炊飯器
KR20170090691A (ko) 전기조리기
JP6103101B2 (ja) 液体加熱容器
KR102427182B1 (ko) 전기조리기
JP2001258748A (ja) 容器の蓋体構造
JPH0423468Y2 (ko)
JP7070452B2 (ja) 炊飯器
JP3518516B2 (ja) ポンプ注液式液体保温容器
KR20230014075A (ko) 가열 조리기
WO2020157717A1 (en) Beverage container and drinking lid with covering mea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