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2352A - 슬라이딩 도어 연동장치 및 이를 적용한 슬라이딩 도어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도어 연동장치 및 이를 적용한 슬라이딩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2352A
KR20230012352A KR1020210093105A KR20210093105A KR20230012352A KR 20230012352 A KR20230012352 A KR 20230012352A KR 1020210093105 A KR1020210093105 A KR 1020210093105A KR 20210093105 A KR20210093105 A KR 20210093105A KR 20230012352 A KR20230012352 A KR 202300123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eference unit
sliding door
dispose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3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8305B1 (ko
Inventor
김영삼
양성만
최덕순
Original Assignee
(주)엘엑스하우시스
주식회사 윈스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엑스하우시스, 주식회사 윈스터 filed Critical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210093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8305B1/ko
Publication of KR20230012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2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8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8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17/002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wings which lie one behind the other when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2017/005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08Sli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0Electronic control of motors
    • E05Y2400/3013Electronic control of motors during manual wing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5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fixed frame
    • E05Y2800/1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 연동장치 및 이를 적용한 슬라이딩 도어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각각의 유닛의 길이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체크유닛을 통하여 변경되는 유닛의 길이 변화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활용 시 시공의 편의성이 도모될 수 있다.

Description

슬라이딩 도어 연동장치 및 이를 적용한 슬라이딩 도어{INTERLOCKING DEVICE FOR SLIDING DOOR AND SLIDING DOOR USING THE DEVICE}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 연동장치 및 이를 적용한 슬라이딩 도어에 관한 것이다.
중문은 현관문이 아닌 현관과 복도 사이에 위치되는 중간 문으로 냉난방의 효율성 증가, 사생활 보호, 유해 세균 차단, 악취 차단, 아기, 반려동물의 외부 이동을 차단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중문은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되는 도어가 2단, 3단, 6단과 같이 다단으로 구성된다. 중문은 슬라이딩 되는 도어가 연동되어 동작되도록 형성되는데, 일반적으로 레일과 유닛들로 구성된다. 유닛은 레일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각각의 유닛은 상호 연동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유닛과 연결된 도어가 이동되면 다른 유닛과 연결된 도어도 함께 그 방향으로 이동되어 동작될 수 있다. 이처럼 중문은 상호 연동되어 동작되는게 특징이므로 정확한 연결을 위하여 각 구성들의 치수를 정확하게 설정하여 시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중문의 시공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첫 번째 방법은 맞춤형 구성들을 이용하여 중문을 시공하는 것으로, 중문이 설치되는 위치의 치수를 측정하고, 그에 따라 레일의 길이, 각각 유닛들의 길이 등을 설계하여, 맞춤형 구성들을 제조 및 조립하여 현장에 시공하는 것이다.
두 번째 방법은 모듈화된 제품을 이용하여 중문을 시공하는 것으로, 레일, 유닛 등이 조합된 제품을 수급받고, 이를 중문이 설치되는 위치의 치수에 따라서 절단, 가공, 재조립하여 시공하는 방법이다.
두 가지 방법 중 두 번째 방법이 시공이 간편성으로 인하여 선호된다.
그러나 두 번째 방법에서 일부 개선의 필요성에 대한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데, 그 이유는 모듈화된 제품을 절단, 가공하는 과정 자체가 번거로운 작업이며, 만약 절단, 가공을 잘못한 경우 절단된 제품은 다시 활용하기 어려워 폐기되기 때문이다.
국내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777570호 (2017.09.1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연동장치 및 이를 적용한 슬라이딩 도어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연동장치 및 이를 적용한 슬라이딩 도어는 잘못된 가공이 되는 경우에도 이를 간편하게 수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슬라이딩 도어 연동장치는 일측에 연결홀이 형성된 제1기준유닛, 상기 제1기준유닛의 일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연결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조절홀이 형성된 제2기준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조절홀은 상기 제2기준유닛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복수개가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홀은 상기 제2기준유닛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장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기준유닛의 일면에는 상기 제2기준유닛의 단부보다 일방향으로 연장되며, 설정된 간격을 두고 눈금이 표시된 체크유닛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크유닛은 눈금 또는 숫자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된 제1면과, 상기 제1면과 단차져서 배치되며 다른 하나가 표시되는 제2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2기준유닛은 상기 제1면과 제2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일면이 형성되어서 상기 체크유닛을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크유닛은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수용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2기준유닛은 일측에 상기 제2기준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수용홀에 배치되는 가이드블록을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연동장치를 포함하는 중문은 피봇, 상기 피봇의 일측이 인입되어 고정되는 도어, 레일, 상기 레일의 일측에 배치되며 연결홀을 포함하며 상기 피봇의 타측이 배치될 수 있는 피봇홀이 형성된 제1기준유닛 및 상기 제1기준유닛의 일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연결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조절홀이 형성되며 상기 조절홀과 이격된 위치에 상기 피봇의 타측이 배치될 수 있는 피봇홀이 형성된 제2기준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제2기준유닛의 상기 조절홀은 상기 제2기준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기준유닛의 일면에는 상기 제2기준유닛의 일측보다 일방향으로 연장되며, 설정된 간격을 두고 눈금이 표시된 체크유닛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크유닛의 단부는 일방향을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제2기준유닛에 인입될 수 있으며, 상기 제2기준유닛에 인입된 부분에 고정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연동장치 및 이를 적용한 슬라이딩 도어는 유닛의 길이 조절을 절단이 아닌 각 구성의 슬라이드 이동 및 고정체 결합으로 가능한 바, 길이 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연동장치 및 이를 적용한 슬라이딩 도어는 고정체를 제거하기만 하면 다시 유닛의 길이를 변경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유닛의 길이를 잘못 변경한다 하여도 이를 수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연동장치 및 이를 적용한 슬라이딩 도어는 눈금이 표시된 체크유닛이 배치된 바, 유닛의 길이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시공의 편의성이 도모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슬라이딩 도어 연동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슬라이딩 도어 연동장치의 레일의 정면도이다.
도 3a는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슬라이딩 도어 연동장치의 연결블록의 사시도로 도 1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것이고, 도 3b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슬라이드 도어 연동장치의 연결블록의 사시도로 도 1의 B 부분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슬라이딩 도어 연동장치의 연결블록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슬라이딩 도어 연동장치의 연동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슬라이딩 도어 연동장치의 연결부 및 롤러블록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슬라이딩 도어 연동장치의 무빙유닛이 이동 시 연동유닛, 기준유닛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슬라이딩 도어 연동장치의 기준유닛의 각 구성들의 분리 측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슬라이딩 도어 연동장치의 제1기준유닛, 제2기준유닛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슬라이딩 도어 연동장치의 제1기준유닛, 제2기준유닛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슬라이딩 도어 연동장치의 제2기준유닛, 체크유닛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슬라이딩 도어 연동장치의 체크유닛의 단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라이딩 도어 연동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슬라이딩 도어 연동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라이딩 도어 연동장치는 기준유닛(100), 연동유닛(200), 무빙유닛(300) 및 레일(400)을 포함한다.
기준유닛(100)은 도 1을 기준으로 레일(400)의 레일(400)의 좌측에 배치된다. 기준유닛(100)은 레일(400)에 인입되어 배치된다. 기준유닛(100)은 후술하여 설명할 제1기준유닛(110)과 제2기준유닛(120)으로 구성되며, 제2기준유닛(120)이 제1기준유닛(110)에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할 수 있어 길이 조절이 용이할 수 있다. 제2기준유닛(120)은 고정체(700)를 통하여 제1기준유닛(110)과 연결되기 전까지 제1기준유닛(110)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고정체(700)가 제1기준유닛(110)과 제2기준유닛(120)에 배치되어 제1기준유닛(110)과 제2기준유닛(120)이 연결되면 제1기준유닛(110)과 기준유닛(120)은 함께 배치된 레일(400)에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기준유닛(100)은 후술하여 설명할 체크유닛(130)을 포함한다. 체크유닛(130)은 기준유닛(100)의 변화된 길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후술하여 도 10과 함께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연동유닛(200)은 도 1을 기준으로 레일(400)의 좌측과 우측 사이의 중앙측에 배치된다. 연동유닛(200)은 전술한 기준유닛(100)과 후술하여 설명할 무빙유닛(300)을 중간에서 연결한다. 또한 연동유닛(200)은 무빙유닛(300)의 이동에 따라 연동유닛(200)도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하여 도 7a 내지 도 7c에서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함) 연동유닛(200)도 기준유닛(100)과 마찬가지로 제1연동유닛(210), 제2연동유닛(220)으로 구성된다. 제2연동유닛(220)은 제1연동유닛(210)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그리고 연동유닛(200)은 기준유닛(100)과 마찬가지로 고정체(700)를 통하여 제1연동유닛(210) 및 제2연동유닛(220)이 연결되면, 이들은 함께 레일(400) 상에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무빙유닛(300)은 도 1을 기준으로 레일(400)의 우측에 배치된다. 무빙유닛(300)은 힘이 인가(일례로 도 1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되면 레일(400)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무빙유닛(300)은 연동유닛(200)과 연결되어 연동유닛(200)과 함께 이동될 수 있다. (무빙유닛(300)과 연동유닛(200)의 움직임은 후술할 도 7a 내지 7c를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함) 무빙유닛(300)도 제1무빙유닛(310) 및 제2무빙유닛(320)로 구성될 수 있다. 무빙유닛(300)도 전술한 기준유닛(100), 연동유닛(200)과 마찬가지로 제2무빙유닛(320)이 제1무빙유닛(310)에 고정체(700)가 연결되기 전까지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고정체(700)가 연결되면 이들은 함께 이동된다.
레일(400)은 하면(도 1이 사시도이므로 보이지 않는 면)이 미도시된 문틀의 상부에 연결되며 전술한 기준유닛(100), 연동유닛(200), 무빙유닛(300)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가이드의 역할을 한다. 레일(400)은 배치홈(410)을 포함하므로 기준유닛(100), 연동유닛(200), 무빙유닛(300)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배치홈(410)은 복수개로 구성되는데 일례로 도 1과 같이 좌측, 가운데, 우측에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기준유닛(100), 연동유닛(200), 무빙유닛(300)을 나란하게 배치할 수 있다. 각각의 배치홈(410)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도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레일(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슬라이딩 도어 연동장치의 레일의 정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레일(400)의 배치홈(410)을 자세히 설명하면, 배치홈(410)은 메인홈(411) 그리고 서브홈(412)을 포함한다.
메인홈(411)은 배치홈(410)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배치홈(410)의 중앙 부분일 수 있으며, 서브홈(412)은 메인홈(411)보다 비중이 작으며 메인홈(411)의 양측면에 위치된 부분일 수 있다. 여기서 메인홈(411)의 일측(도 2에서는 상측이나, 실제로 문틀에 레일(400) 배치되는 경우 하측일 수 있음)은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홈(411)의 연통된 부분을 통하여 도 1과 같이 기준유닛(100), 연동유닛(200) 또는 무빙유닛(300)이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메인홈(411)과 서브홈(412) 중 메인홈(411)의 개방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제외하고는 프레임으로 폐쇄될 수 있다.
레일(400)의 배치홈(410)의 양단부에는 필요에 의하여 스토퍼(도 1에서일부 도시 - 지시부호는 없음)가 배치될 수 있다. 스토퍼는 유닛들의 슬라이드 이동을 막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각각의 유닛들은 스토퍼가 배치된 부분까지만 이동될 수 있다.
도 3a는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슬라이딩 도어 연동장치의 연결블록의 사시도로 도 1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것이고, 도 3b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슬라이드 도어 연동장치의 연결블록의 사시도로 도 1의 B 부분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슬라이딩 도어 연동장치의 연결블록의 정면도이다.
한편, 도 3a, 3b, 4는 각각 무빙유닛(300), 기준유닛(100)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나, 이하에서 설명될 구조는 다른 유닛(예를 들면 연동유닛)에게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도 3a, 3b 및 도 4를 참조하면, 연결블록(500)은 일 부분은 레일(400)의 배치홈(410)에 인입되고, 그렇지 않은 부분은 하부에서 무빙유닛(300)을 지지하거나, 무빙유닛(300)의 도 1을 기준으로 전면과 맞닿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연결블록(500)은 고정부(510), 슬라이드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510)는 각각의 유닛과 레일(400) 사이에 위치되어 각각의 유닛과 연결되며, 슬라이드부(520)는 고정부(510)와 맞닿으며, 배치홈(410)에 배치되어 레일(400)과 고정부(510)를 연결하면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슬라이드부(520)는 바디부(521), 플랜지부(522), 암부(523)를 포함한다. 바디부(521)는 슬라이드부(520)의 중심 부분일 수 있으며 플랜지부(522)는 바디부(521)의 양측에서 양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 부분일 수 있으며, 암부(523)는 플랜지부(522)와 이격된 위치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부분일 수 있다.
슬라이드부(520)가 배치홈(410)에 배치되면, 바디부(521)는 도 2를 참고하면 확인되는 메인홈(411)에 배치되고, 플랜지부(522)는 도 2를 참고하면 확인되는 서브홈(412)에 배치되며, 암부(523)는 레일(400) 상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부(520)는 레일(400)에 지지되며 배치되므로, 레일(400)에 고정되어 배치되지 않으므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도 3a, 3b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위치를 역전하여 도시하였으며, 실제로는 도 4와 같이 배치됨)
그러므로 슬라이드부(520)와 연결된 고정부(510)도 레일(400)에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고, 고정부(510)와 연결된 각각의 유닛 역시 레일(400) 상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연결블록(500)은 기준유닛(100)과 무빙유닛(300)의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기준유닛(100)의 일측에 배치된 연결블록(500)과 무빙유닛(300)의 타측에 배치된 연결블록(500)에는 각각 연동유닛(200)을 향하여 연결부(530 후술하여 도 6에서 자세하게 설명함)가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슬라이딩 도어 연동장치의 연동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슬라이딩 도어 연동장치의 연결부 및 롤러블록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슬라이딩 도어 연동장치의 무빙유닛이 이동 시 연동유닛, 기준유닛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연동유닛(200), 롤러블록(600), 연결부(530)를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연동유닛(200)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400)의 가운데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기준유닛(100), 무빙유닛(300)과는 다르게 롤러블록(600)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롤러블록(600)은 도 5를 기준으로 연동유닛(200)의 하면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롤러블록(600)은 도 1을 기준으로 연동유닛(200)의 전측과 후측에 이격되어 각각 배치된다.
롤러블록(600)은 도 5를 기준으로 연동유닛(200)의 하면에 상부가 인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롤러블록(600)은 하측을 향하여 돌출된 바(bar)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블록(600)의 바(bar)에는 롤러(211)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롤러블록(600)은 연동유닛(200)의 전측, 후측에 배치되므로 롤러(211)도 마찬가지로 두 개가 이격되어 배치됨) 이렇게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된 롤러(211)에는 와이어(212)가 각각의 롤러(211)를 감싸며 배치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연결부(530), 와이어(212), 롤러블록(600)을 살펴보면, 연결부(530)는 와이어(212)를 통하여 롤러블록(600)과 연동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530)는 제1연결부(531)와 제2연결부(532)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연결부(531)와 제2연결부(532)는 상호 결합되되 적어도 일 부분에는 와이어(212)가 배치될 수 있는 갭(GAP)을 형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212)는 갭(GAP)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530)는 기준유닛(100), 무빙유닛(300)에 각각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을 기준으로 기준유닛(100)의 전측에 연결부(530)가 배치되면, 무빙유닛(300)의 후측에 연결부(530)가 배치될 수 있다. 기준유닛(100)과 무빙유닛(300) 각각은 와이어(212)와 대칭되는 위치에서 연결된다.
따라서 무빙유닛(300)이 이동 시, 와이어(212)는 그에 따라 회전 되며, 연동유닛(200)과 연동 동작될 수 있다.
도 5, 6, 7a 내지 7c를 통하여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와이어(212) 및 연결부(530)를 통하여 기준유닛(100), 연동유닛(200) 및 무빙유닛(300)은 연동되어 연결된다. 따라서 무빙유닛(300)이 일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때 와이어(212)는 롤러(211)를 따라서 회전될 수 있다. 이 때 롤러(211)도 일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무빙유닛(300)이 설정된 거리 이상 이동 시 연동유닛(200)도 슬라이드 되는 힘을 받아서 일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기준유닛(100)은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기준유닛(100)에 인접하여 배치된 와이어(212), 롤러(211)도 지속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무빙유닛(300)이 타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경우 와이어(212)는 타방향으로 와이어(212), 롤러(211)가 회전되고, 전술한 작용과 반대되는 동작이 벌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와 같이 동작 시 무빙유닛(300), 연동유닛(200)이 기준유닛(100)과 포개질 때까지 움직일 수 있다. (이 경우 도 7a 내지 7c의 역순으로 움직임)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라이딩 도어 연동장치는 기준유닛(100), 연동유닛(200), 무빙유닛(300), 레일(400)이 상호 결합된 채 구성된다. 그러므로 프레임에 이를 결합하면 되므로 시공이 매우 쉬워진다.
한편, 이러한 각각의 구성은 시공되는 위치의 치수에 따라서 그 크기가 변화될 필요가 있는데, 본 발명은 간명한 방법으로 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슬라이딩 도어 연동장치의 기준유닛의 각 구성들의 분리 측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슬라이딩 도어 연동장치의 제1기준유닛, 제2기준유닛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슬라이딩 도어 연동장치의 제1기준유닛, 제2기준유닛의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기준유닛(100)을 기준으로 설명하겠다. 그러나 당연하게도 이하에서 설명될 기준유닛(100)을 기준으로 설명된 특징은 연동유닛(200), 무빙유닛(300)에도 적용 가능함은 당연할 것이다.
기준유닛(100)은 제1기준유닛(110), 제2기준유닛(120) 체크유닛(130)을 포함한다.
제2기준유닛(120)의 상면은 제1기준유닛(110)의 하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9 및 도 10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듯이 제1기준유닛(110)의 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결돌기(112)가 배치될 수 있다. 연결돌기(112)는 '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기준유닛(120)의 상면에는 연결홈(122)이 제2기준유닛(12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제1기준유닛(110)과 제2기준유닛(120)은 연결돌기(112)와 연결홈(122)의 결합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돌기(112)는 'ㄴ'의 형태로 형성되므로, 제1기준유닛(110)과 제2기준유닛(120)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기준유닛(110)과 제2기준유닛(120)은 고정되어 결합되는 것이 아니므로, 제2기준유닛(120)은 제1기준유닛(110)에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기준유닛(110)에는 연결홀(111)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기준유닛(110)의 연결홀(111)은 제1기준유닛(110)의 길이방향 중 도 9 또는 도 10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전측으로 편중되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기준유닛(120)에는 조절홀(121)이 형성된다. 도 9와 같이 일 실시예에 의하는 경우 조절홀(121)은 복수개가 제2기준유닛(12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조절홀(121)은 연결홀(111)과 대향하는 위치에 위치된다. 그리고 조절홀(121)의 직경은 연결홀(111)의 직경보다는 적어도 작게 형성된다.
작업자는 제2기준유닛(120)을 제1기준유닛(110)에서 슬라이드 이동시켜 설정된 길이만큼 이동시킨다. 그 후 대향하여 배치된 연결홀(111)과 조절홀(121)에 고정체(700)를 조립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은 기준유닛(1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만약 기준유닛(100)의 길이 조절이 잘못되었으면 고정체(700)를 제거하고 다시 전술한 동작을 반복하면 된다.
도 10과 같이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2기준유닛(120)의 조절홀(121)은 제2기준유닛(12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즉, 조절홀(121)은 장홀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경우도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동작하여 기준유닛(1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조절홀(121)은 길이가 연속되는 장홀이므로 더욱 미세한 길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슬라이딩 도어 연동장치의 제2기준유닛, 체크유닛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슬라이딩 도어 연동장치의 체크유닛의 단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체크유닛(130)의 상면은 제2기준유닛(120)의 하면과 맞닿으며 배치된다. 체크유닛(130)은 적어도 일부분이 제2기준유닛(120)에 의하여 가려지지 않도록 일방향으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체크유닛(130)에는 눈금이 등간격으로 체크유닛(13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제2기준유닛(120)은 체크유닛(130)의 타면에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2기준유닛(120)은 체크유닛(130)의 타면을 슬라이드 이동 시 눈금을 외부에서 가릴 수 있다. 작업자는 이를 통하여 길이 변화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제2기준유닛(120)의 움직일 때 제2기준유닛(120)은 직선 방향으로 이동되어야 정확한 길이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 제2기준유닛(120)의 정확한 직선의 움직임을 위하여 제2기준유닛(120)은 가이드블록(123)과 연결될 수 있고 체크유닛(130)은 수용홀(131), 제1면(132), 제2면(133)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블록(123)은 제2기준유닛(120)의 단부에 배치된다. 가이드블록(123)은 적어도 일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가이드블록(123)의 돌출된 부분은 체크유닛(130)의 수용홀(131)에 위치될 수 있다. 수용홀(131)은 체크유닛(13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된다. 체크유닛(130)은 수용홀(131)을 기준으로 양측에는 제1면(132), 제2면(13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면(132)과 제2면(133)은 내측을 향하여 단차지며 배치될 수 있다. 제1면(132)과 제2면(133) 중 어느 하나에는 눈금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그에 따라 숫자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면(132)과 제2면(133)의 단차진 형상에 대응하여 제2기준유닛(120)의 일면(도 11에서는 레일에 결합되어 확인되지 않음)은 다단으로 단차지며 형성될 수 있다.
위 내용을 정리하자면 제2기준유닛(120)의 단부는 가이드블록(123)이 배치되고, 제2기준유닛(120)의 하면은 다단으로 단차지며 형성되며, 체크유닛(130)의 수용홀(131)에는 가이드블록(123)이 배치되고, 제1면(132)과 제2면(133)은 단차지도록 배치되어 각각이 제2기준유닛(120)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되어 제2기준유닛(120)이 슬라이드 이동 시, 수용홀(131)에 의하여 가이드블록(123)이 가이드 되며 이동되고, 제2기준유닛(120)의 일면은 제1면(132)과 제2면(133) 사이의 단차진 부분과 맞닿으며 이동되므로, 정확하게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제2기준유닛(120)의 움직임에 따라 숫자, 눈금이 각각 대응되어 가려지므로, 길이 변화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체크유닛(130)은 제2기준유닛(120)이 슬라이드 이동 시 이를 가능하도록 하는 것과 동시에 나중에 제2기준유닛(120)의 이동이 종료되어 치수 설정이 완료되는 경우 이들과 함께 움직여야 한다.
제2기준유닛(120)이 체크유닛(13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한 것은 체크유닛(130)이 연결블록(500)을 통하여 레일(400)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강함 힘이 인가되기 전까지는 그 위치가 고정되므로 가능할 수 있다. 체크유닛(130)이 제1기준유닛(110), 제2기준유닛(120)과 함께 이동되는 것은 고정홀(135)에 고정체(700)가 결합되는 것으로 가능하다. 즉, 연결홀(111), 조절홀(121) 및 고정홀(135)을 동시에 관통하며 고정체(700)가 배치되어 제1기준유닛(110), 제2기준유닛(120), 체크유닛(130)을 고정 결합하여, 세 유닛(110, 120, 130)이 동시에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2기준유닛(120)의 위치 변경에 따라 대응되어 배치된 연결홀(111), 고정홀(135)의 위치가 변경되면 고정체(700) 배치 시 이들을 다시 얼라인하여야 하므로 시공이 불편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제1기준유닛(110)과 체크유닛(130) 각각이 제2기준유닛(120)의 상면과 하면에 인입되도록 하여 이러한 불편함을 최소화하였다.
즉, 도 9 내지 도 1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기준유닛(120)은 제1기준유닛(110)의 하면과 맞닿으며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되, 조절홀(121)을 복수개의 홀 또는 장홀로 형성하여 제2기준유닛(120)이 위치가 변경되어도 따로 얼라인이 필요하지 않도록 하였다.
또한, 도 1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체크유닛(130)의 후측은 일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기고정부(134)가 형성되어 있는데, 돌기고정부(134)는 제2기준유닛(120)의 하면에 삽입되어 배치된다. 돌기고정부(134)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홀(135)이 형성될 수 있다. 체크유닛(130)이 제2기준유닛(120)에 삽입된 이 부분과 대응되는 제1기준유닛(110)에는 연결홀(111)이 배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2기준유닛(120)이 체크유닛(130)을 기준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도 체크유닛(130)의 고정홀(135)의 위치는 변경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길이 조절을 수행한다 하여도 얼라인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제1기준유닛(110)과 제2기준유닛(120)에는 피봇홀(11)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10, 11에는 제2기준유닛(120)에만 피봇홀(11)을 도시하였으나, 제1기준유닛(110)에도 형성됨) 피봇홀(11)은 도어와 연결될 수 있는 피봇(10)이 배치될 수 있는 홀이다. 피봇(10)은 미도시되어 있는 도어에 인입되어 도어와의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준유닛(100)은 피봇홀(11)에 피봇(10)이 연결된 것이 모듈로 제공되는데, 피봇(10)은 제2기준유닛(120)의 슬라이드 이동 시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어서, 제2기준유닛(120)의 슬라이드 이동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1기준유닛(110), 제2기준유닛(120), 체크유닛(130)은 각각 하면과 상면이 맞닿으며 연결되는 바, 도 8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제1기준유닛(110)에서 체크유닛(130)으로 갈수록 점점 하측으로 치우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레일(400)은 이와 같이 하측으로 점점 치우쳐 배치되는 제1기준유닛(110), 제2기준유닛(120), 체크유닛(130)을 지지하기 위하여 충분한 지지 공간을 확보하여야 하는데 이는 도 8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연결블록(500)의 존재로 인하여 확보될 수 있다. 일례로 연결블록(500)은 체크유닛(130)과 레일(400) 사이에 위치되어 체크유닛(130)과 레일(400)을 연결하면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체크유닛(130)은 기준유닛(100)에만 포함되어도 문제되지 않는데, 이는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기준유닛(100), 연동유닛(200), 무빙유닛(300)이 레일(400) 상 나란하게 배치되므로, 다른 유닛들의 길이 조절을 수행 시 체크유닛(130)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기준유닛(100)의 구조는 연동유닛(200), 무빙유닛(300)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제1연동유닛(210), 제2연동유닛(220), 제1무빙유닛(310), 제2무빙유닛(300)의 각각에도 각각 연결홀(111), 조절홀(121) 등이 각각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 형태들을 조합, 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실시 형태를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통상의 기술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0 : 피봇
11 : 피봇홀
100 : 기준유닛
110 : 제1기준유닛
111 : 연결홀
112 : 연결돌기
120 : 제2기준유닛
121 : 조절홀
122 : 연결홈
123 : 가이드블록
130 : 체크유닛
131 : 수용홀
133 : 제1면
133 : 제2면
134 : 돌기고정부
135 : 고정홀
200 : 연동유닛
210 : 제1연동유닛
211 : 롤러
212 : 와이어
220 : 제2연동유닛
300 : 무빙유닛
310 : 제1무빙유닛
320 : 제2무빙유닛
400 : 레일
410 : 배치홈
411 : 메인홈
411 : 서브홈
500 : 연결블록
510 : 고정부
520 : 슬라이드부
521 : 바디부
522 : 플랜지부
523 : 암부
530 : 연결부
531 : 제1연결부
532 : 제2연결부
600 : 롤러블록
700 : 고정체

Claims (10)

  1. 슬라이딩 도어 연동장치에 있어서,
    일측에 연결홀이 형성된 제1기준유닛;
    상기 제1기준유닛의 일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연결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조절홀이 형성된 제2기준유닛
    을 포함하는 슬라이딩 도어 연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홀은
    상기 제2기준유닛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복수개가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 연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홀은
    상기 제2기준유닛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장홀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 연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준유닛의 일면에는 상기 제2기준유닛의 단부보다 일방향으로 연장되며, 설정된 간격을 두고 눈금이 표시된 체크유닛이 배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 연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유닛은 눈금 또는 숫자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된 제1면과, 상기 제1면과 단차져서 배치되며 다른 하나가 표시되는 제2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2기준유닛은 상기 제1면과 제2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일면이 형성되어서 상기 체크유닛을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 연동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유닛은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수용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2기준유닛은 일측에 상기 제2기준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수용홀에 배치되는 가이드블록
    을 포함하는 슬라이딩 도어 연동장치.
  7.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연동장치를 포함하는 중문에 있어서,
    피봇;
    상기 피봇의 일측이 인입되어 고정되는 도어;
    레일;
    상기 레일의 일측에 배치되며 연결홀을 포함하며 상기 피봇의 타측이 배치될 수 있는 피봇홀이 형성된 제1기준유닛; 및
    상기 제1기준유닛의 일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연결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조절홀이 형성되며 상기 조절홀과 이격된 위치에 상기 피봇의 타측이 배치될 수 있는 피봇홀이 형성된 제2기준유닛;
    을 포함하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연동장치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도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준유닛의 상기 조절홀은 상기 제2기준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연동장치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도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준유닛의 일면에는 상기 제2기준유닛의 일측보다 일방향으로 연장되며, 설정된 간격을 두고 눈금이 표시된 체크유닛이 배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연동장치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도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유닛의 단부는
    일방향을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제2기준유닛에 인입될 수 있으며, 상기 제2기준유닛에 인입된 부분에 고정홀이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연동장치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도어.
KR1020210093105A 2021-07-15 2021-07-15 슬라이딩 도어 연동장치 및 이를 적용한 슬라이딩 도어 KR102518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105A KR102518305B1 (ko) 2021-07-15 2021-07-15 슬라이딩 도어 연동장치 및 이를 적용한 슬라이딩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105A KR102518305B1 (ko) 2021-07-15 2021-07-15 슬라이딩 도어 연동장치 및 이를 적용한 슬라이딩 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2352A true KR20230012352A (ko) 2023-01-26
KR102518305B1 KR102518305B1 (ko) 2023-04-05

Family

ID=85110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3105A KR102518305B1 (ko) 2021-07-15 2021-07-15 슬라이딩 도어 연동장치 및 이를 적용한 슬라이딩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830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05U (ja) * 1992-06-12 1994-01-11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キャスタ
KR200208961Y1 (ko) * 2000-07-27 2001-01-15 박병규 강화유리의 손잡이 체결구조
KR20110059309A (ko) * 2009-11-27 2011-06-02 천성단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KR20110008536U (ko) * 2010-02-26 2011-09-01 유영호 추락방지용 창문 안전바
KR20170025572A (ko) * 2015-08-28 2017-03-08 장영근 3단 미닫이문용 연동장치
KR101777570B1 (ko) 2016-06-02 2017-09-13 정영호 3중 연동 자동문시스템의 연동장치
KR101922862B1 (ko) * 2017-06-27 2018-11-28 윤지원 방향 전환이 가능한 연동도어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05U (ja) * 1992-06-12 1994-01-11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キャスタ
KR200208961Y1 (ko) * 2000-07-27 2001-01-15 박병규 강화유리의 손잡이 체결구조
KR20110059309A (ko) * 2009-11-27 2011-06-02 천성단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KR20110008536U (ko) * 2010-02-26 2011-09-01 유영호 추락방지용 창문 안전바
KR20170025572A (ko) * 2015-08-28 2017-03-08 장영근 3단 미닫이문용 연동장치
KR101777570B1 (ko) 2016-06-02 2017-09-13 정영호 3중 연동 자동문시스템의 연동장치
KR101922862B1 (ko) * 2017-06-27 2018-11-28 윤지원 방향 전환이 가능한 연동도어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8305B1 (ko) 2023-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521381A (ja) コンベア上の軌道の調整装置
US20180320757A1 (en) Guide device for long object, and guide rail
KR101933353B1 (ko) 방화문 제작장치
CN110191994A (zh) 用于门扇的引导系统
JP6864332B2 (ja) 摺動ドアのための接続デバイス
CN107810086B (zh) 用于分离加工板状材料的机器
KR101908396B1 (ko) 목봉천공기
EP2977176A1 (en) Linkage mechanism between uniaxial die opening and closing and bottom die positioning
KR20170067879A (ko) 해제 가능한 슬라이딩 리프의 캐리지
KR102518305B1 (ko) 슬라이딩 도어 연동장치 및 이를 적용한 슬라이딩 도어
CN104287486B (zh) 用于可动的家具部件的引导装置
KR101933532B1 (ko) 고속회전형 패널 절곡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패널 절곡방법
EP2772925A1 (en) Wire-length-adjusting device provided with wire replacement mechanism
EP2241706A1 (en) A coplanar sliding wing door construction, particularly for wardrobes and the like
CN213350585U (zh) 一种线材打扁裁切设备
KR102147525B1 (ko) 양문형 연동 미닫이문의 연동장치
KR101873785B1 (ko) 조명 장치
EP2977180A1 (en) Link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die and positioning bottom die by single shaft
EP1125499B1 (de) Andrück-und Stüpfelvorrichtung für einen Teigling
KR20090002526A (ko) 슬라이딩 구조 및 이 구조를 사용한 멀티미디어 장치
CN110318149B (zh) 横机
US3043178A (en) Machine for punching venetian blind head bars
ITBO20000117A1 (it) Gruppo di manovra per infissi , metodo per la realizzazione del gruppo di manovra e macchina attuante tale metodo .
JP6391188B2 (ja) 引戸連動装置
US20210002951A1 (en) Folding shut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