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0697A - 에어백용 커버 및 그 제법 그리고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백용 커버 및 그 제법 그리고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0697A
KR20230010697A KR1020227043561A KR20227043561A KR20230010697A KR 20230010697 A KR20230010697 A KR 20230010697A KR 1020227043561 A KR1020227043561 A KR 1020227043561A KR 20227043561 A KR20227043561 A KR 20227043561A KR 20230010697 A KR20230010697 A KR 20230010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airbag
base
base fabric
base cl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3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라 이시카와
아츠시 고바야시
유토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세이 아도반스 가부시키가이샤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아사히 가세이 아도반스 (타일랜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세이 아도반스 가부시키가이샤,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아사히 가세이 아도반스 (타일랜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세이 아도반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10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06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1Packaging straps or envelopes for inflatabl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roof frame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60R21/2176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the air bag components being completely enclosed in a soft or semi-rigid housing or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021/1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additional means for controlling deployment trajecto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04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material
    • B60R2021/23523Composi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서로 특성이 상이한 제1 기본 천과 제2 기본 천이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구성되는 에어백용 커버에 있어서, 양산화에 있어서의 생산성이 높은 결합부를 갖는 에어백용 커버 및 그 제법 그리고 에어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인플레이터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에 의해 팽창 전개하기 전의 말리거나 접힌 주머니 형상의 쿠션을 수용하기 위한 에어백용 커버로서, 상기 에어백용 커버는, 화학 섬유로 구성되는 평직물 또는 부직포를 포함하는, 제1 기본 천과, 상기 제1 기본 천을 구성하는 섬유와는 상이한 섬유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기본 천의 초기 인장 저항값보다 높은 초기 인장 저항값을 갖는, 제2 기본 천으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제1 기본 천이, 상기 제2 기본 천과, 띠-유사 형상 부재에 끼워져, 열압착에 의해 일체적으로 결합되는 결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커버, 및 그 제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에어백용 커버 및 그 제법 그리고 에어백 장치
본 발명은, 차량 실내에 수납되어 긴급 시에 승차인 보호를 목적으로 하여 팽창 전개하는 쿠션을 감싸는 에어백용 커버 및 그 제법 그리고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어백 장치는, 차량 충돌 등의 긴급 시에 작동하는 안전 장치로서, 예컨대, 주머니 형상의 쿠션을 구비한다. 쿠션은, 긴급 시에 가스에 의해 팽창 전개하여 승차인을 받아내어 보호한다. 에어백 장치는, 설치 개소나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일례로서, 측면 충돌이나 그에 이어서 발생하는 롤 오버(전복 사고)로부터 승차인을 보호하기 위해, 차량용 시트의 측부로부터 승차인의 바로 옆으로 팽창 전개하는 사이드 에어백(side airbag)이나, 차량 실내의 차체 측벽의 천장 부근에서 사이드 윈도(side window)를 따라 팽창 전개하는 커튼 에어백(curtain airbag) 등이 알려져 있다.
쿠션은, 말리거나 접혀서 차량 실내의 소정 개소에 수납되고, 긴급 시에 있어서 내장되는 인플레이터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를 이용하여 팽창 전개한다. 이하의 특허문헌 1에는, 접힌 쿠션을 감싸는 에어백용 커버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에어백용 커버는, 접힌 쿠션을 감싸고, 쿠션의 팽창 전개에 의해 파단되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접힌 쿠션을 소정 개소에 적합한(fit) 형상으로 수납하거나, 장애물로부터 쿠션을 보호하거나 하는 것에 관하여,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즉, 말리거나 접힌 쿠션을 차량 실내의 소정 개소에 수납하는 경우, 쿠션을 소정 개소에 적합한 형상으로 수납하여 전개 거동을 안정시키거나, 장애물로부터 쿠션을 보호하여 버스트(burst) 등의 문제를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애물로서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라면 시트 프레임의 에지 등, 커튼 에어백 장치라면 차체 측벽을 이루는 루프 사이드 레일(roof side rail) 등이 상정된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하의 특허문헌 2에서는, 말리거나 접힌 쿠션을 차량 실내의 소정 개소에 적합한 형상으로 수납할 수 있으며, 장애물로부터 쿠션을 보호할 수 있는 에어백용 커버 및 그 제법 그리고 에어백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에어백용 커버의 대표적인 구성은, 말리거나 접혀서 차량 실내에 수납되고, 내장되는 인플레이터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를 이용하여 팽창 전개하는 주머니 형상의 쿠션을 감싸는 에어백용 커버로서, 화학 섬유제의 평직 기본 천 또는 부직포를 포함하는, 제1 기본 천과, 제1 기본 천에 일체적으로 결합되고, 제1 기본 천과 상이한 섬유를 포함하며, 제1 기본 천보다 초기 인장 저항값이 높은, 제2 기본 천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서 초기 인장 저항값이란, 소정의 인장 시험기를 이용하여 소정의 형상의 천 재료(布材)를 소정의 조건에서 잡아당길 때, 상기 천 재료가 5% 신장하였을 때의 인장 강도로 나타내는 값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초기 인장 저항값이 상이한 제1 기본 천과 제2 기본 천이 일체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에어백용 커버를 형성하고, 제1 기본 천과 제2 기본 천은 그 자체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말리거나 접힌 쿠션을 감쌈으로써, 쿠션을 차량 실내의 소정 개소에 적합한 형상으로 수납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본 천은, 제2 기본 천보다 초기 인장 저항값이 낮고 부드럽기 때문에, 쿠션을 수납해야 할 소정 개소의 형상에 추종하여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기본 천은 쿠션을 원하는 수납 상태로 유지하는 기능이 뛰어나고, 또한, 부드러운 제1 기본 천에 슬릿 등을 마련함으로써, 쿠션의 팽창 전개를 저해하는 일 없이 확실하게 파단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쿠션의 전개 거동을 안정시킬 수 있다. 한편, 상대적으로 높은 초기 인장 저항값을 갖는 제2 기본 천은, 이것을 쿠션의, 예컨대, 시트 프레임의 에지 등의 장애물에 가까운 측에 배치함으로써, 쿠션의 수납 시 뿐만 아니라 팽창 전개 시에도, 장애물로부터 쿠션을 보호하여, 버스트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에는, 제1 기본 천과 제2 기본 천을 일체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1 기본 천과 제2 기본 천을 겹쳐, 또는 제1 기본 천을, 2장의 제2 기본 천의 사이에 끼워, 한쪽의 기본 천을 구성하는 섬유의 용융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하고 또한 가압함으로써, 한쪽의 기본 천의 유동성을 가진 폴리머를 다른 쪽의 기본 천 내부에 침투시켜, 열용착에 의해 결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는 것에 불과하다. 여기서, 압축 성형 전의 제2 기본 천과 제1 기본 천이 열용착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이러한 결합 수단에서는, 예컨대, 제1 기본 천을, 2장의 압축 전의 제2 기본 천의 사이에 끼워, 가열 압축에 의한 열용착에 의해 일체적으로 결합하고자 하면, 2장의 제2 기본 천의 사이에 제1 기본 천을 소정의 위치 관계를 갖고 끼워넣는 데 시간이 걸려, 양산화에 있어서의 생산성이 저하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5-74295호 공보 특허문헌 2: 국제 공개 제2020/02665호
이러한 종래 기술의 수준을 감안하여,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서로 특성이 상이한 제1 기본 천과 제2 기본 천이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구성되는 에어백용 커버에 있어서, 양산화에 있어서의 생산성이 높은 결합부를 갖는 에어백용 커버 및 그 제법 그리고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자들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하여 실험을 거듭한 결과, 압축 성형체로서의 제2 기본 천을 미리 준비하고, 이것에 제1 기본 천을 겹치고, 또한 제2 기본 천과 동일 소재의 띠-유사 형상 부재를 겹치고, 이들을 가열 압축함으로써, 열용착에 의해 제2 기본 천과 제1 기본 천을 일체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이러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예상외로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른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이하과 같은 것이다.
[1] 인플레이터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에 의해 팽창 전개하기 전의 말리거나 접힌 주머니 형상의 쿠션을 수용하기 위한 에어백용 커버로서, 상기 에어백용 커버는, 화학 섬유로 구성되는 평직물 또는 부직포를 포함하는, 제1 기본 천과, 상기 제1 기본 천을 구성하는 섬유와는 상이한 섬유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기본 천의 초기 인장 저항값보다 높은 초기 인장 저항값을 갖는, 제2 기본 천으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제1 기본 천이, 상기 제2 기본 천과, 띠-유사 형상 부재에 끼워져, 열압착에 의해 일체적으로 결합되는 결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커버.
[2] 상기 제1 기본 천은, 복수의 슬릿 영역을 갖고, 상기 결합부에서는, 상기 슬릿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본 천과 상기 띠-유사 형상 부재가, 직접, 열압착에 의해 결합되는 것인, 상기 [1]에 기재된 에어백용 커버.
[3] 상기 제2 기본 천과 상기 제1 기본 천의 사이, 상기 제1 기본 천과 상기 띠-유사 형상 부재의 사이, 및/또는 상기 제2 기본 천과 상기 띠-유사 형상 부재의 사이에서는, 한쪽을 구성하는 섬유의 사이에 다른 쪽을 구성하는 섬유의 폴리머가 열용융에 의해 침투하여 결합되는 것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에어백용 커버.
[4] 상기 제1 기본 천을 구성하는 화학 섬유는, 레이온,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아크릴, 비닐론, 및 아라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인, 상기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에어백용 커버.
[5] 상기 제2 기본 천은, 압축된 연성포(延性布) 재료로 형성되는 압축체로 구성되는 것인, 상기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에어백용 커버.
[6] 상기 연성포 재료는, 펠트 형상의 재료인 것인, 상기 [5]에 기재된 에어백용 커버.
[7] 상기 연성포 재료는, 복수 종의 고분자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 재료인 것인, 상기 [5] 또는 [6]에 기재된 에어백용 커버.
[8] 상기 연성포 재료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는 것인, 상기 [5]∼[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에어백용 커버.
[9] 상기 제2 기본 천은, 상기 제1 기본 천에 포함되는 섬유의 융점보다 30℃ 이상 낮은 융점을 갖는 섬유를 포함하는 것인, 상기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에어백용 커버.
[10] 상기 띠-유사 형상 부재는, 연성포 재료로 형성되는 것인, 상기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에어백용 커버.
[11] 에어백 장치로서, 상기 [1]∼[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에어백용 커버에 감싸지는 쿠션을 구비하는 것인, 에어백 장치.
[12] 차량용 시트의 측부에 마련되고, 상기 쿠션이 상기 차량용 시트의 승차인의 측방으로 팽창 전개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인 것인, 상기 [11]에 기재된 에어백 장치.
[13] 상기 에어백용 커버의 제2 기본 천은, 상기 차량용 시트의 측부를 따라 상기 차량용 시트에 내장되는 시트 프레임에 접촉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쿠션의 팽창 전개 시에 상기 시트 프레임으로부터의 반력을 받는 반력면으로서 기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인, 상기 [12]에 기재된 에어백 장치.
[14] 상기 쿠션이 차량 실내에서 차체 측벽을 따라 팽창 전개하는 커튼 에어백 장치인 것인, 상기 [11]에 기재된 에어백 장치.
[15] 상기 에어백용 커버의 제2 기본 천은, 차체 측벽에 접촉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쿠션의 팽창 전개 시에 상기 차체 측벽으로부터의 반력을 받는 반력면으로서 기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인, 상기 [14]에 기재된 에어백 장치.
[16] 상기 [1]∼[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에어백용 커버의 제조 방법으로서, 이하의 공정:
화학 섬유로 구성되는 평직물 또는 부직포를 포함하는 제1 기본 천을 구성하는 섬유와 상이한 섬유를 포함하는 연성포 재료를 가열 압축하여, 상기 제1 기본 천의 초기 인장 저항값보다 높은 초기 인장 저항값을 갖는 제2 기본 천을, 압축체로서, 형성하는 공정; 및
얻어진 제2 기본 천의 일부와, 띠-유사 형상 부재의 사이에, 상기 제1 기본 천을 끼워넣어 가열 압축하고, 열용착에 의해 상기 제2 기본 천과 상기 제1 기본 천을 일체적으로 결합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인, 에어백용 커버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용 커버의 제2 기본 천과 제1 기본 천의 결합부는, 인플레이터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에 의해 팽창 전개하기 전의 말리거나 접힌 주머니 형상의 쿠션을 수용하기 위한 충분한 강도를 갖고, 또한, 쿠션의 팽창 전개 시에 있어서의 제1 기본 천의 소정 위치에서의 파단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용 커버의 제조 방법의 제2 기본 천과 제1 기본 천을 일체적으로 결합하는 공정은, 미리 제2 기본 천을 압축체로서 형성하는 공정과 어우러져, 양산화에 있어서의 생산성이 높은 제조 방법에 기여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에어백용 커버가 적용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및 차량의 일부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b)의 수납 상태의 쿠션을 포함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에어백용 커버의 제조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에어백용 커버를 에어백 모듈에 감는 공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이어지는 공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각 공정을 거쳐 제작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a)의 에어백용 커버의 변형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의 에어백용 커버가 적용되는 커튼 에어백 장치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의 에어백용 커버를 구성하는 제2 기본 천, 제1 기본 천, 및 띠-유사 형상 부재의 일례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의 에어백용 커버의 제조 방법의, 가열 압축하여, 열용착에 의해 제2 기본 천과 제1 기본 천을 일체적으로 결합하는 공정에 있어서, 화학 섬유로 구성되는 평직물 또는 부직포를 포함하는 제1 기본 천을 구성하는 섬유와 상이한 섬유를 포함하는 연성포 재료를 가열 압축하여, 상기 제1 기본 천의 초기 인장 저항값보다 높은 초기 인장 저항값을 갖는 것이 된, 제2 기본 천(압축체로서 형성된 것)을, 가열 프레스 장치에 세트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을 대신하는 사진이다.
도 11은 압축되어 형성된 제2 기본 천 상에, 복수의 슬릿 영역을 갖는 제1 기본 재료를 소정의 위치에 세트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을 대신하는 사진이다.
도 12는 세트된 제1 기본 천 상에, 띠-유사 형상 부재를 소정의 위치에 세트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을 대신하는 사진이다.
도 13은 세트된 띠-유사 형상 부재 상에, 가열 프레스 장치를 세트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을 대신하는 사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치수, 재료, 그 외 구체적인 수치 등은,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특별히 지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고, 또한, 본 발명에 직접 관계가 없는 요소는 도시를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승차인이 정규 자세로 좌석에 착석하였을 때에, 승차인이 향하고 있는 방향을 전방(前方), 그 반대 방향을 후방(後方)으로 칭한다. 또한, 승차인이 정규 자세로 좌석에 착석하였을 때에, 승차인의 우측을 우측 방향, 승차인의 좌측을 좌측 방향으로 칭한다. 또한, 승차인이 정규 자세로 착석하였을 때에, 승차인의 머리부 방향을 상방, 승차인의 허리부 방향을 하방으로 칭한다. 첨부 도면에서는, 필요에 따라, 전술한 승차인을 기준으로 한 전후 좌우 상하 방향을, Fr, Rr, L, R, Up, Down으로 나타낸다.
본 발명의 1의 실시형태는, 인플레이터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에 의해 팽창 전개하기 전의 말리거나 접힌 주머니 형상의 쿠션을 수용하기 위한 에어백용 커버로서, 상기 에어백용 커버는, 화학 섬유로 구성되는 평직물 또는 부직포를 포함하는, 제1 기본 천과, 상기 제1 기본 천을 구성하는 섬유와는 상이한 섬유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기본 천의 초기 인장 저항값보다 높은 초기 인장 저항값을 갖는, 제2 기본 천으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제1 기본 천이, 상기 제2 기본 천과, 띠-유사 형상 부재에 끼워져, 열압착에 의해 일체적으로 결합되는 결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커버이다. 도 4의 (a), 도 9의 (b), 도 11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에어백용 커버로서는, 제1 기본 천은, 복수의 슬릿 영역을 갖고, 결합부에서는, 상기 슬릿 영역에 있어서 제2 기본 천과 띠-유사 형상 부재가, 직접, 열압착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략 동일 소재로부터 제2 기본 천과 띠-유사 형상 부재를 열압착에 의해 일체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결합부에 있어서의 양자 간의 결합이 보다 강고해진다. 제2 기본 천과 제1 기본 천의 사이, 제1 기본 천과 띠-유사 형상 부재의 사이, 및/또는 제2 기본 천과 띠-유사 형상 부재의 사이에서는, 한쪽을 구성하는 섬유의 사이에 다른 쪽을 구성하는 섬유의 폴리머가 열용융에 의해 침투하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기본 천을 구성하는 화학 섬유는, 레이온,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아크릴, 비닐론, 및 아라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일 수 있고, 예컨대, 나일론 섬유 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날실과 씨실을 짠 평직물이나, 나일론 섬유 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또는 폴리프로필렌 섬유로 구성된 부직포일 수 있다. 제1 기본 천으로서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부직포가 바람직하고, 예컨대, PET 스펀 본드 부직포일 수 있다. 또한, 제1 기본 천은, 화학 섬유에 더하여, 유리 섬유, 탄소 섬유를 포함하여도 좋다.
제2 기본 천은, 압축된 연성포 재료로 형성되는 압축체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제2 기본 천을 연성포 재료의 압축체로 함으로써, 제1 기본 천보다 초기 인장 저항값을 높게 할 수 있다. 연성포 재료는, 단일 종의 고분자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 재료 또는 복수 종의 고분자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 재료일 수 있다. 복수 종의 고분자 섬유는, 코어-시스(피복) 2성분 복합 섬유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2성분 복합 섬유의 피복이 서로 융착되어 압축 성형 후의 형상 안정성을 갖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이 코어-피복 2성분 복합 섬유가 소정의 융점을 갖는 고분자 재료 내부의 코어와, 이 소정의 융점보다 낮은 융점을 갖는 고분자 재료의 외부의 시스(피복)를 갖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복수 종의 고분자 섬유는, 복수 종의 단성분 섬유를 포함하여도 좋다. 또한, 단성분 섬유가 코어-피복 2성분 복합 섬유의 피복 성분의 융점보다 높은 융점을 갖는 것 같은 구성으로 하여 좋다. 연성포 재료로서 이러한 부직포 재료를 압축 성형하여 제2 기본 천을 형성할 수 있다.
연성포 재료는, 펠트 형상의 재료이면 좋다. 연성포 재료로서 펠트 형상의 재료를 이용함으로써, 압축체로서 제2 기본 천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기본 천을, 플라스틱이 아니라 펠트 형상의 재료를 이용하여 압축 성형한 것은, 플라스틱에 비해서 부드럽기 때문에, 쿠션을 수납해야 할 소정 개소의 형상에 추종하여 변형할 수 있고, 또한 경량화도 도모할 수 있다. 성형 후의 펠트 형상의 재료는, 압축체로서, 프레스에 의해 융착 고화한 펠트 유래의 부재이기 때문에, 성형 후의 펠트재를 이용한 최종 제품, 즉 압축체인 제2 기본 천의 특성은, 고형의 플라스틱보다는 부드럽고 유연성이 있으며, 출발재(出發材)의 펠트보다는 강성이 높은 것이 된다. 1장의 펠트재를 제2 기본 천에 이용할 수 있지만, 복수의 펠트재를 겹쳐 제2 기본 천에 이용하여도 좋다.
연성포 재료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제2 기본 천은, 상기 제1 기본 천을 구성하는 섬유와 상이한 섬유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이하다는 것은, 폴리머 종의 차이, 폴리머 성상의 차이, 섬유 형상의 차이(예컨대, 단섬유와 장섬유)를 포함한다. 제2 기본 천은, 상기 제1 기본 천을 구성하는 섬유와는 상이한 폴리머 종의 섬유를 포함해도 좋고, 상기 제1 기본 천에 포함되는 섬유의 융점보다 30℃ 이상 낮은 융점을 갖는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띠-유사 형상 부재는, 상기 제2 기본 천과 동일한 소재여도 상이한 소재여도 좋지만, 연성포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띠-유사 형상 부재에 이용되는 연성포 재료는, 압축 성형되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고, 펠트 형상의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띠-유사 형상 부재에 이용되는 펠트 부재는, 상기 제2 기본 천과 동일한 소재를 포함해도 좋지만, 띠-유사 형상 부재는, 본 실시형태의 에어백용 커버 자체의 강도에의 기여가 작아, 상기 제1 기본 천과 상기 제2 기본 천을 보다 강력하게 일체화하기 위해, 띠-유사 형상 부재로서, 상기 제2 기본 천에 이용하는 섬유 소재보다 열압착성이 우수한 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에어백용 커버는, 인플레이터와 쿠션을 포함하는 에어백 모듈과는 별체로 마련하면 좋다. 에어백용 커버를 에어백 모듈과는 별체로 마련함으로써, 에어백용 커버를 제작한 후, 에어백 모듈에 감는 등에 의해 이것을 감쌀 수 있다. 이 때문에, 에어백 모듈과는 다른 장소에서 에어백용 커버를 제작할 수 있다.
인플레이터가 내장된 쿠션을, 본 실시형태의 에어백용 커버로 감쌈으로써, 에어백 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에어백 장치로서는, 차량용 시트의 측부에 마련되고, 쿠션이 차량용 시트의 승차인의 측방으로 팽창 전개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일 수 있다. 이 경우, 에어백용 커버의 제2 기본 천은, 차량용 시트의 측부를 따라 차량용 시트에 내장되는 시트 프레임에 접촉하도록 마련되고, 쿠션의 팽창 전개 시에 시트 프레임으로부터의 반력을 받는 반력면으로서 기능하도록 형성되면 좋다. 이에 의해, 에어백용 커버로 에어백 모듈을 감싼 상태에 있어서, 제2 기본 천은, 시트 프레임의 에지를 피하도록 에어백 모듈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어, 에어백 모듈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에어백 장치는, 쿠션이 차량 실내에서 차체 측벽을 따라 팽창 전개하는 커튼 에어백 장치일 수 있다. 이 경우, 에어백용 커버의 제2 기본 천은, 차체 측벽에 접촉하도록 마련되고, 쿠션의 팽창 전개 시에 차체 측벽으로부터의 반력을 받는 반력면으로서 기능하도록 형성되면 좋다. 이에 의해, 에어백용 커버로 에어백 모듈을 감싼 상태에 있어서, 제2 기본 천은, 루프 사이드 레일 등의 차체 측벽으로부터 에어백 모듈을 보호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에어백용 커버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전에, 먼저, 종래 기술의 제조 방법의 일례로서, 특허문헌 2에 있어서의 에어백용 커버의 구조와 제조 방법에 대해서 이하 설명한다. 특허문헌 2에서는, 제1 기본 천과 제2 기본 천의 결합부에, 제1 기본 천과 제2 기본 천 이외의 다른 부재를 이용하고 있지 않다.
여기서 초기 인장 저항값이란, 소정의 인장 시험기를 이용하여 소정의 형상의 천 재료를 소정의 조건에서 잡아당겼을 때, 상기 천 재료가 5% 신장하였을 때의 인장 강도로 나타내는 값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제조 방법에 의하면, 초기 인장 저항값이 상이한 제1 기본 천과 제2 기본 천이 열압착에 의해 일체적으로 결합되는 결합부를 갖는 에어백용 커버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기본 천과 제2 기본 천이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에어백용 커버로, 말리거나 접힌 쿠션을 감쌈으로써, 상기 쿠션을 차량 실내의 소정 개소에 적합한 형상으로 수납할 수 있다.
제1 기본 천은, 제2 기본 천보다 초기 인장 저항값이 낮고 부드럽기 때문에, 쿠션을 원하는 수납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슬릿 영역(개구 없는 경우도 포함함)을 마련함으로써, 쿠션의 팽창 전개를 저해하는 일 없이, 인접하는 슬릿 영역의 사이에 존재하는 브릿지(bridge)부를 확실하게 파단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쿠션의 전개 거동을 안정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기본 천은, 제1 기본 천보다 높은 초기 인장 저항값을 갖기 때문에, 장애물에 가까운 측에 배치함으로써, 쿠션의 수납 시뿐만 아니라 팽창 전개 시에도, 장애물로부터 쿠션을 보호하여, 버스트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열용착은, 제1 기본 천 또는 제2 기본 천 중 어느 하나의 용융 온도보다 고온에서 행해지면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제1 기본 천 또는 제2 기본 천이 용융하기 때문에, 이 상태로 가압함으로써, 용융한 기본 천 내부에 폴리머가 침투하여, 제1 기본 천과 제2 기본 천을 접착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의 에어백용 커버의 결합부(132)의 조제 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한 제1 기본 천과 제2 기본 천의 일체화는, 열용착에 프레스 가공이 가해지는 것(열압착)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기본 천과 제2 기본 천을 겹쳐 프레스 가공을 행함으로써, 폴리머를 기본 천 내부에 침투시켜, 제1 기본 천과 제2 기본 천을 접착할 수 있다. 이 프레스 가공은, 가열(열용착)과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가열된 제품에 여열이 남아 있는 동안이면 동시가 아니라 가열 후에 이루어져도 좋다.
도 3을 참조하여, 결합부(132)와 압축체(제2 기본 천)(130)의 동시 성형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컨대, 나일론 N66을 포함하는 제1 기본 천(128)과, 압축 전의 펠트 재료를 포함하는 제2 기본 천(130)을 부분적으로 겹쳐, 프레스 장치(136, 138)에 의한 프레스 가공에 의해, 화살표(C, D)로 나타내는 상하 방향으로부터 압력(예컨대, 5 ㎏/㎠∼50 ㎏/㎠)을 가하고, 또한 열을 가한다. 가열 온도는, 제2 기본 천(130)의 융점(예컨대, 110℃)보다 높은 온도로서, 예컨대, 150℃ 또는 180℃로 하여도 좋다(단, 가열 온도는, 제2 기본 천 재료의 융점에 따라 상이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100∼200℃의 범위도 있을 수 있다. 가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00∼180℃의 범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40∼180℃이다). 즉, 프레스 장치(136, 138)는, 예컨대, 펠트 재료에 있어서의 2성분 복합 섬유의 피복의 융점을 상회하지만 2성분 복합 섬유의 코어 및 단성분 섬유의 융점보다 낮은 온도에서 동작한다. 또한, 열과 압력을 동시에 가하는 것은 필수적이지 않다. 이 가열 온도, 가압력, 및 가공 시간에 대해서는, 각각이 관련되어 있고, 하나만의 파라미터로 가공 조건이 결정되는 것이 아니다. 기본적인 가공 조건의 고려 방법은, 가열 온도를 높이면 가압력은 낮고 가공 시간은 짧아진다. 전체로서 보면, 이들 조건 중, 어느 쪽인가가 큰(높거나 또는 긴) 경우, 다른 조건은 상대적으로 작아도(낮거나 또는 짧아도) 좋다.
도 3의 (a)에서는, 압축 전의 펠트 재료와 제1 기본 천의 결합부의 형성을 설명하고 있지만, 압축 전의 펠트 재료 대신에, 압축 후의 펠트 재료와 제1 기본 천의 결합부도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펠트 재료는, 가열되어 압축될 때에 섬유가 서로 압축되어 펠트 재료가 얇아지고(예컨대, 0.55 ㎜), 가소적(可塑的)으로 변형하여 압축체가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2성분 복합 섬유의 피복의 융점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하면, 피복이 용해한다. 따라서, 피복은, 결합재에 있어서의 섬유가 분포하는 모든 위치에서, 서로 융착한다. 여기서, 결합재는 2성분 복합 섬유의 코어 및 단성분 섬유의 전체 구조의 융점보다 저온으로 가열되기 때문에, 코어와 단성분 섬유는 고체상인 채이며, 서로 융착하지 않고, 피복의 재료만이 융착한다. 또한, 도 3의 (a)에는, 제1 기본 천(128)의 후술하는 브릿지부(139)(도 5의 (a) 참조)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프레스 장치(136, 138)에 의해 열과 압력을 가하고, 또한 소정의 가열 시간(예컨대, 20초 또는 100초)을 거치면, 제2 기본 천(130)의 유동성을 가진 폴리머는, 제1 기본 천(128)의 공극을 향하여 이동하고, 또한 제1 기본 천(128)의 내부에 침투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1 기본 천(128)과 제2 기본 천(130)을 일체적으로 결합하는 결합부(132))가, 가압을 동반한 열용착에 의해 형성되고, 또한, 제2 기본 천(130) 전체가 압축되어 고형화하여 압축체가 된다.
도 3의 (a)의 예에서는, 결합부(132)를 형성하는 경우, 제1 기본 천(128)에 대하여 한쪽에 펠트재인 제2 기본 천(130)을 세트하는 구조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기본 천으로서 복수의 펠트재를 적층하여 이용하는 경우, 결합부(132)를 형성할 때, 제1 기본 천(128)을 상하로부터 끼워넣도록 펠트재인 제2 기본 천(130)을 세트하는 구조를 이용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제2 기본 천을 제1 기본 천의 상하에 끼워넣는 구조이면, 도 3의 (a)의 예에 비해서, 보다 확실하게 제1 기본 천과 제2 기본 천을 일체화할 수 있지만, 압축 전의 제2 기본 천을 구성하는 펠트재의 사이에 제1 기본 천을 끼울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작업이 번잡해지고, 또한, 압축 후의 제2 기본 천과 제1 기본 천을 접합하는 경우에는 적용할 수 없다. 어느 구조를 이용하여도, 결합부(132)를 형성하는 것과 동시에 압축체로서의 제2 기본 천(130)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가압 열용착에 의해 결합부(132)를 형성함으로써, 초기 인장 저항값이 상이한 제1 기본 천(128)과 제2 기본 천(130)을 일체적으로 결합한 에어백용 커버(114)(도 4 참조)를 제조할 수 있다.
이상의 종래 기술의 에어백용 커버의 제조 방법과는 상이하게, 본 발명의 다른 양태인 본 실시형태의 에어백용 커버의 제조 방법은,
화학 섬유로 구성되는 평직물 또는 부직포를 포함하는 제1 기본 천을 구성하는 섬유와 상이한 섬유를 포함하는 연성포 재료를 가열 압축하여, 상기 제1 기본 천의 초기 인장 저항값보다 높은 초기 인장 저항값을 갖는 제2 기본 천을, 압축체로서, 형성하는 공정; 및
얻어진 제2 기본 천의 일부와, 띠-유사 형상 부재의 사이에, 상기 제1 기본 천을 끼워넣어 가열 압축하고, 열용착에 의해 상기 제2 기본 천과 상기 제1 기본 천을 일체적으로 결합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인, 상기 에어백용 커버의 제조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은, 압축 전의 펠트 재료(2장의 제2 기본 천)와 제1 기본 천의 결합부의 형성을 설명하는 도 3의 (b)에 있어서, 2장의 제2 기본 천(압축 전의 펠트 재료) 내의 1장을 압축 후의 펠트 재료로 치환하고, 다른 한장의 제2 기본 천 대신에, 띠-유사 형상 부재를 이용한 것이다.
이하, 도 9∼13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에어백용 커버의 제조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에 본 실시형태의 에어백용 커버를 구성하는 제2 기본 천(의 열가공 전의 평면 형상의 것), 제1 기본 천, 및 띠-유사 형상 부재의 일례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9는 도 10에 나타내는 제2 기본 천(의 열가공 전의 평면형의 것), 제1 기본 천, 및 띠-유사 형상 부재를, 각각, 이면에서 보았을 때의 평면도이다.
먼저, 예컨대, 도 9에 나타내는 형상의 압축 전의 제2 기본 천(화학 섬유로 구성되는 평직물 또는 부직포를 포함하는 제1 기본 천을 구성하는 섬유와 상이한 섬유를 포함하는 연성포 재료)를, 소정의 틀을 이용하여 가열 압축하여, 상기 제1 기본 천의 초기 인장 저항값보다 높은 초기 인장 저항값을 갖는 것(예컨대, 도 10에 나타내는 형상의 제2 기본 천)을, 압축체로서, 형성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얻어진 제2 기본 천(압축체로서 형성된 것)을, 가열 프레스 장치에 세트한다.
계속해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축되어 형성된 제2 기본 천 상에, 복수의 슬릿 영역을 갖는 제1 기본 재료를 소정의 위치에 세트한다.
계속해서, 세트된 제1 기본 천 상에, 띠-유사 형상 부재를 소정의 위치에 세트한다. 이때, (1) 띠-유사 형상 부재가 제1 기본 천의 접착되는 부분 전체를 덮도록 배치되는 것, (2) 띠-유사 형상 부재가, 제1 기본 천 단부의 앞에서 제2 기본 천과 직접 접촉하는 부분을 갖도록 배치되는 것, (3) 띠-유사 형상 부재가, 제1 기본 천의 슬릿 영역의 일부분에서, 제2 기본 천과 직접 접촉하는 부분을 갖도록 배치되는 것을 만족시키도록 세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배치를 취함으로써, 얻어진 에어백용 커버에 있어서의 결합부가, 보다 결합력이 높은 구조가 된다. 또한 (4) 제1 기본 천 단부의 앞에서, 띠-유사 형상 부재가 존재하지 않는, 제2 기본 천만이 가열 프레스되는 부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배치를 취함으로써, 가열 프레스되어, 띠-유사 형상 부재와 제2 기본 천이 일체화된 부분의 외측(제1 기본 천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측)에, 제2 기본 천만이 가열 프레스된 부위를 연속적으로 형성시켜, 띠-유사 형상 부재와 제2 기본 천의 접합부를 강화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트된 띠-유사 형상 부재 상에, 가열 프레스 장치를 세트하고, 가열 압축에 의해, 제1 기본 천이 복수의 슬릿 영역을 갖고, 결합부에서는, 상기 슬릿 영역에 있어서 제2 기본 천과 띠-유사 형상 부재가, 직접, 열압착에 의해 결합되는 것 같은 에어백용 커버를 제조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지는 에어백용 커버는, 제2 기본 천과 제1 기본 천의 사이, 제1 기본 천과 띠-유사 형상 부재의 사이, 및/또는 제2 기본 천과 띠-유사 형상 부재의 사이에서, 한쪽을 구성하는 섬유의 사이에 다른 쪽을 구성하는 섬유의 폴리머가 열용융에 의해 침투하여 결합된 것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에어백용 커버가 적용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와 차량의 일부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는, 도 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컨대, 차량 내의 조수석이 되는 차량 좌측의 차량용 시트(102)의 시트백(104)에 내장된다.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는, 시트백(104)의 차량 외측을 향하여 마련되고, 차량용 시트(102)와 사이드 도어(106)의 사이에서 세워서 설치되어 팽창 전개하는 쿠션(108)(도 2의 (b) 참조)을 구비한다. 또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는, 도 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쿠션(108)에 팽창 전개용의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110)를 구비한다.
쿠션(108)은, 예컨대, 절단 및 재봉(cut and sewn)을 이용하여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쿠션(108)은, 말리거나 접혀서, 또한 긴급 시에 있어서는 내장하는 가스 발생 장치인 인플레이터(110)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를 이용하여 팽창 전개한다.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는,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에어백 모듈(112)을 감싸는 에어백용 커버(114)를 더 구비한다. 또한, 에어백 모듈(112)이란, 쿠션(108)과 인플레이터(110)를 포함하는 것이다.
도 1의 (b)는 도 1의 (a)의 차량용 시트(102)의 시트백(104) 중, 표피나 시트 패드(seat pad)(예컨대, 우레탄재)를 생략하고 시트백 프레임(116)만을 예시하고 있다. 시트백 프레임(116)은, 시트백(104)의 골격을 이루는 부재이며, 상부 프레임(118)과 사이드 프레임(120)을 포함한다. 상부 프레임(118)은, 시트백(104)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시트백(104)에 내장된다. 또한, 사이드 프레임(120)은, 시트백(104)의 측면을 따라 시트백(104)에 내장된다. 또한, 시트백 프레임(116)에 더하여, 시트 쿠션(122)에 내장되는 도시하지 않은 착좌 프레임을 포함하여, 시트 프레임(124)으로 칭한다.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는, 도 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쿠션(108)과 인플레이터(110)를 포함하는 에어백 모듈(112)이 에어백용 커버(114)에 감싸진 상태로, 시트백 프레임(116)의 사이드 프레임(120)의 승차인측에 마련된다.
도 2는 도 1의 (b)의 수납 상태의 쿠션(108)을 포함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의 (a)는 도 1의 (b)의 A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2의 (b)는 도 2의 (a)의 B-B 선 단면도이다.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는, 도 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드 프레임(120)의 승차인측에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에어백 모듈(112)에서는, 도 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말리거나 접힌 쿠션(108)과 내장된 인플레이터(110)가 에어백용 커버(114)에 감싸짐으로써 수납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에어백 모듈(112)은, 사이드 프레임(120)에 인플레이터(110)를 통해 마련되고, 사이드 프레임(120)의 승차인측에 수용된다. 또한, 인플레이터(110)는, 실린더 형상(통 형상)으로서, 본체로부터 돌출하는 스터드 볼트(126)에 의해, 사이드 프레임(120)의 승차인측에 부착된다.
에어백용 커버(114)는, 초기 인장 저항값(후술)이 상이한 제1 기본 천(128)과 제2 기본 천(130)을 구비하고, 제1 기본 천(128)과 제2 기본 천(130)이, 열용착에 의해 형성되는 결합부(132)를 통해 일체적으로 결합된다.
여기서 초기 인장 저항값(N)은, 소정의 인장 시험기를 이용하여 소정의 형상의 천 재료를 소정의 조건에서 잡아당겼을 때에, 인장된 천재료가 5% 신장하였을 때의 인장 강도(N)로 나타내는 값으로 하고 있다.
이하, 초기 인장 저항값의 측정 방법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인장 강도의 측정 장치에는, SHIMADZU사 제조(인장 시험기) AUTOGRAPH AG-50kNG를 사용하였다. 로드셀(loadcell)에는, SIMADZU사 제조(쿄와 로드셀) Type SFL-50KNAG(P/N340-43122-01) 50KN을 이용하였다. 인장 길이의 측정에는, SHIMADZU사 제조(신장계) SES-1000을 이용하였다.
제작하는 천 재료의 시험편(샘플편)의 형상은, 50 ㎜×300 ㎜의 치수로 하였다. 천 재료로서는 N66 평직 기본 천, PET 부직포를 준비하였다. N66 평직 기본 천은, 60 ㎜×300 ㎜로 절단하고, 또한, 날실을 제거하고 정확하게 50 ㎜×300 ㎜로 하였다. PET 부직포는, 50 ㎜×300 ㎜로 절단하였다. N66 평직 기본 천은 날실 방향, PET 부직포는 MD(Machine Direction: 기계 방향) 방향으로 각각 인장하여 시험을 행하였다. 샘플수는 각 n=5로 하였다.
이하, 구체적인 시험 조건을 설명한다.
상온(20℃±15℃), 상습(상대 습도 45∼85%) 또한 상압(특별히 감압도 가압도 하지 않았을 때의 압력, 통상, 대기압과 같은 압력이며, 거의 일기압)의 환경 하에 있어서, 먼저, 에어 척을 이용하여 샘플편을 척 폭(초기 길이) 100 ㎜, 초기 하중 1.5 N이 되도록 파지하였다. 다음에, 신장계의 끼움부를, 상기 샘플편의 중심부 부근에, 그 간격이 50 ㎜가 되도록 파지하여 설치하였다. 계속해서 샘플편을, 인장 속도 100 ㎜/min으로 잡아당기고, 초기 길이에 대하여 5% 신장하였을 때의 인장 강도의 값을, 초기 인장 저항값(N)으로 하였다.
제1 기본 천(128)은, 화학 섬유로 구성되는 평직물 또는 부직포를 포함하는 기본 천으로서, 일례로서 나일론 섬유 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날실과 씨실을 서로 짜서 형성된다. 이러한 섬유를 서로 짬으로써 제1 기본 천(128)을 형성할 수 있다. 단,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기본 천(128)으로서,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프로필렌의 부직포를 이용하여도 좋다.
제2 기본 천(130)은, 제1 기본 천(128)과 상이한 섬유를 포함하고, 제1 기본 천(128)의 초기 인장 저항값보다 높은 초기 인장 저항값을 갖는 기본 천이며, 연성포 재료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연성포 재료로서는, 복수의 고분자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 재료나, 펠트 형상의 재료여도 좋고, 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형성하여도 좋다. 이러한 연성포 재료에 의해 압축체로서 제2 기본 천(130)을 형성함으로써, 제1 기본 천(128)보다 초기 인장 저항값이 높은 것으로 할 수 있다.
제1 기본 천(128)과 제2 기본 천(130)은, 그 성질에 의해 이들 자체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말리거나 접힌 쿠션(108)을 감쌈으로써, 쿠션(108)을 사이드 프레임(120)의 승차인측 등의 차량 실내의 소정 개소에 적합한 형상으로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제1 기본 천(128)은, 제2 기본 천(130)보다 초기 인장 저항값이 낮고 부드럽기 때문에, 쿠션(108)을 수납해야 할 소정 개소의 형상에 추종하여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다. 즉, 제1 기본 천(128)은 쿠션(108)을 원하는 수납 상태로 유지하는 기능이 뛰어나다. 또한, 부드러운 제1 기본 천(128)에 슬릿 영역 등을 마련함으로써, 쿠션(108)의 팽창 전개를 저해하는 일 없이 확실하게 슬릿 영역 사이의 브릿지부를 파단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그 결과, 쿠션(108)의 전개 거동을 안정시킬 수도 있다.
한편, 제2 기본 천(130)은, 제1 기본 천(128)의 초기 인장 저항값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초기 인장 저항값을 갖기 때문에 변형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형상 유지도 가능하다. 이 때문에, 제2 기본 천(130)은, 도 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드 프레임(120)에 승차인측으로부터 접촉하도록 마련된다. 즉 수납 상태의 쿠션(108) 중, 사이드 프레임(120)의 에지(134) 등의 장애물에 가까운 측에 제2 기본 천(130)을 배치함으로써, 쿠션(108)이 장애물을 피하도록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기본 천(130)에 의하면, 쿠션(108)의 수납 시 뿐만 아니라 팽창 전개 시에도, 장애물로부터 쿠션(108)을 보호하여, 버스트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제2 기본 천(130)을 예컨대, 플라스틱이 아니라 펠트 재료로 형성하면, 플라스틱에 비해서 부드럽기 때문에, 쿠션(108)을 수납해야 할 소정 개소의 형상에 추종하여 변형할 수 있고, 또한 경량화도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의 (b)에 나타내는 결합부(132)의 재료에 대해서 설명한다. 결합부(132)는, 제2 기본 천 및 띠-유사 형상 부재에 유래하는 복수의 고분자 섬유를 포함하는 연성포 재료로 성형되고, 고분자 섬유 중 적어도 일부가 서로 융착하여 형성되며, 일례로서 복수의 고분자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 재료의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부직포로서는, 펠트 형상의 것(예컨대, 폴리에스테르 펠트)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펠트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바늘 가공에 의해 얽혀 서로 고정하는 기지의 니들법으로 제조된다. 다른 예로서,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로서 제공되고, 펠트 재료는 100% PET제로 할 수 있다. 제2 기본 천과 띠-유사 형상 부재란, 동질의 펠트재여도, 상이한 재질, 성형의 펠트재여도 좋다. 제2 기본 천에 비해서, 띠-유사 형상 기본 천은, 본 실시형태의 에어백용 커버에 있어서의 제1 기본 천과 제2 기본 천의 결합 구조의 강도에의 기여는 작기 때문에, 기본 천의 열가공성을 중시하여, 제2 기본 천보다 열성형하기 쉬운 섬유를 포함하는 펠트로 할 수 있다.
펠트 재료를 구성하는 섬유는, 랜덤 또는 유사 랜덤으로 서로 얽힌다. 또한, 펠트 재료는 2종류의 상이한 구성의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펠트 재료를 구성하는 단성분 섬유는, 전부 PET 호모폴리머로 형성할 수 있지만, 코어와 그것을 감싸는 피복을 갖는 2성분 복합 섬유로 할 수도 있다. 2성분 복합 섬유의 코어와 피복은, 상이한 특성을 갖도록 구성되며, 특히 융점이 상이하고, 피복은 코어보다 유의하게 낮은 융점을 갖는다(예컨대, 코어재의 융점은 260℃ 정도, 피복재의 융점은 110℃∼150℃ 정도). 일례로서 제2 기본 천(130)은, 제1 기본 천에 포함되는 섬유의 융점보다 30℃ 이상 낮은 융점을 갖는 섬유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2성분 복합 섬유도 전부 폴리에스테르로 형성할 수 있지만, 코어는 PET 호모폴리머로 성형하고, 피복은 코폴리머(coPET)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PET와 coPET의 편성에 의해, 피복의 융점은 코어의 융점보다 낮아지지만, 전체적으로 섬유를 확실하게 PET로 형성할 수 있다.
2성분 복합 섬유의 코어와 단성분 섬유는, 어느 쪽이나 PET 호모폴리머로 형성되므로, 서로 동일한 융점을 갖게 되고, 단성분 섬유는 2성분 복합 섬유의 피복보다 높은 융점을 갖게 된다. 2성분 복합 섬유는, 펠트 재료에 있어서 단성분 섬유 전체에 균등하게 배분된다. 2성분 복합 섬유가 펠트 재료의 섬유 전체의 30%∼60%를 차지하고, 나머지는 전부 단성분 섬유로 할 수 있다. 2성분 복합 섬유를 제2 기본 천(130)의 펠트 재료에 포함시킴으로써, 펠트재를 피복의 융점보다 높은 온도로 열처리(열가공)하는 것으로, 제2 기본 천(130)의 초기 인장 저항값을 높일 수도 있다.
이하, 예 1∼3에 있어서, 제1 기본 천과 제2 기본 천을 조합하여 얻어진 에어백용 커버를 이용하여, 에어백 전개 시에 있어서의 형상의 안정성을 검증하였다.
예 1에서는, 제1 기본 천으로서 N66 평직 기본 천, 제2 기본 천으로서 열가공을 실시한 PET+Co-PET 부직포를 준비하고, 이들을 조합하였다. 여기서 N66 평직 기본 천은, 나일론66 섬유를 평직하여 천 재료로 한 것이다. 또한 PET+Co-PET 부직포는, 섬유의 코어 부분에 통상의 PET를 이용하고, 또한 피복(시스) 부분에 Co-PET(Copolymer-PET: 변성 PET 공중합체)를 이용하고, 케미컬 본드, 서멀 본드, 니들 펀치, 스펀 레이스, 스티치 본드 등에 의해 적절하게 결합시켜 천 재료형으로 한 것이다. 또한 제2 기본 천의 열가공이란, 150℃∼200℃, 20초∼3분의 조건에서 가열, 가압하여 압축하고 부직포를 경화하여 압축체를 얻는 가공이다. 예 1에서는, 제1 기본 천의 초기 인장 저항값이「125 N」, 제2 기본 천의 초기 인장 저항값이 「425 N」이 되어, 제1 기본 천보다 초기 인장 저항값이 높아졌다. 그 결과, 예 1에서는, 에어백 전개 시에 있어서의 형상의 안정성이 「○」, 즉 에어백 모듈 설치 시의 형상의 유지성이 좋고, 전개 시의 전개 거동이 안정적이며 양호하였다.
예 1에 있어서, 제1 기본 천과 제2 기본 천을 조합할 때에, 제2 기본 천과 동일 조성을 포함하고, (1) 제1 기본 천의 접착되는 부분 전체를 덮는 크기이며, (2) 제1 기본 천 선단부의 앞에서 제2 기본 천과 직접 접촉하는 부분을 갖고, (3) 제1 기본 천의 슬릿 영역의 일부분에서, 제2 기본 천과 직접 접촉하는 부분을 가지며, (4) 제1 기본 천 단부의 앞에서, 띠-유사 형상 부재가 존재하지 않는, 제2 기본 천만이 가열 프레스되는 부분을 갖는, 띠-유사 형상 부재를 이용하여, 제1 기본 천과 제2 기본 천을 접합하는 방법을 채용하는 경우, 도 3의 (b)에 나타내는, 2장의 제2 기본 천의 사이에 제1 기본 천을 끼워 접합하는 방법에 비해서, 분명한 생산성의 향상이 보였다.
예 2에서는, 제1 기본 천으로서 PET 부직포, 제2 기본 천으로서 열가공을 실시한 PET+Co-PET 부직포를 준비하고, 이들을 조합하였다. 여기서 PET 부직포는, 폴리에스테르(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를 스펀 본드법에 의해 부직포로 한 것이다. 예 2에서는, 제1 기본 천의 초기 인장 저항값이 「143 N」, 제2 기본 천의 초기 인장 저항값이 「425 N」이 되어, 제1 기본 천보다 초기 인장 저항값이 높아졌다. 그 결과, 예 2에서는, 에어백 전개 시에 있어서의 형상의 안정성이 「○」, 즉 에어백 모듈 설치 시의 형상의 유지성이 좋고, 전개 시의 전개 거동이 안정적이며 양호하였다.
예 3에서는, 제1 기본 천으로서 PET 부직포, 제2 기본 천으로서 PET+Co-PET 부직포를 준비하고, 이들을 조합하였다. 여기서 예 3의 제2 기본 천은, 열가공을 실시하지 않고, 압축체로 되어 있지 않은 점에서, 본 실시형태의 범위 밖이다. 예 3에서는, 제1 기본 천의 초기 인장 저항값이 「143 N」, 열가공을 실시하지 않은 제2 기본 천의 초기 인장 저항값이 「50 N」이 되어, 제1 기본 천보다 초기 인장 저항값이 낮아졌다. 그 결과, 예 3에서는, 에어백 전개 시에 있어서의 형상의 안정성이 「×」, 즉 에어백 모듈 설치 시의 형상의 유지성이 나빠, 전개 시의 전개 거동이 안정적이지 않았다.
이하, 도 4∼도 6을 참조하여 에어백용 커버(114)를 에어백 모듈(112)에 감아 이것을 감싸는 순서를 설명한다. 도 4는 에어백용 커버(114)를 에어백 모듈(112)에 감는 공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어백 모듈(112)에 있어서, 인플레이터(110)의 본체로부터 돌출하는 스터드 볼트(126, 142)는, 인플레이터(110)가 쿠션(108)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쿠션(108)에 형성되는 2개의 삽입 구멍(144, 146)에 각각 삽입되어, 쿠션(108)의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통과된다.
에어백용 커버(114)는, 제1 기본 천(128)과 압축체인 제2 기본 천(130)에 의해 구성된다. 제1 기본 천(128)과 제2 기본 천(130)의 결합부(132)로부터 제1 기본 천(128)에는, 슬릿 영역(147)(개구 있음)이 복수 형성된다. 그리고 슬릿 영역(147)의 사이에는, 브릿지부(139)가 형성된다. 제1 기본 천의 슬릿 영역(147)(개구 있음)과 브릿지부(139)의 일부는, 압축체로서의 제2 기본 천(130)의 영역 내에 형성된다. 그리고 이 영역에 있어서, 제1 기본 천(128)은, 띠-유사 형상 부재(133)와 제2 기본 천의 사이에 끼워져 결합부(132)가 형성된다. 한편, 슬릿 영역(147)(개구 있음)과 브릿지부(139)의 나머지의 부분은, 제1 기본 천(128)만의 영역으로 형성된다.
또한, 쿠션(108)은, 말리거나 접힌다. 도 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어백용 커버(114)에 있어서, 제1 기본 천(128)에는 스터드 볼트(126, 142)의 삽입 구멍(148, 150)이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압축체인 제2 기본 천(130)에는 스터드 볼트(126, 142)의 삽입 구멍(152, 154)이 형성된다.
먼저, 도 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어백용 커버(114)의 측방 부근에 에어백 모듈(112)을 배치한다. 다음에, 인플레이터(110)의 스터드 볼트(126, 142)를, 제1 기본 천(128)의 삽입 구멍(148, 150)에 제1 기본 천(128)의 이면으로부터 통과시킴으로써(화살표(E, F)), 에어백 모듈(112)을 제1 기본 천(128)에 겹친다(도 4의 (b) 참조).
도 5는 도 4에 이어지는 공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의 (a)는 도 4의 (b)에 나타내는 에어백용 커버(114)와 에어백 모듈(112)을 이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에어백 모듈(112)을 제1 기본 천(128)과 함께, 제2 기본 천(130)을 향하여 말게 되면(화살표(G)),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기본 천(128)에 감싸인 에어백 모듈(112)이 제2 기본 천(130)에 접근한 상태가 된다.
또한 이 상태로부터 도 5의 (b)의 화살표(H, I)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기본 천(128)의 삽입 관통 구멍(148, 150)에 각각 통과된 스터드 볼트(126, 142)를, 제2 기본 천(130)의 삽입 구멍(152, 154)에 각각 통과시키도록, 제1 기본 천(128)에 감싸인 에어백 모듈(112)을 제2 기본 천(130)을 향하여 감는다. 이와 같이 하여, 에어백 모듈(112)을 에어백용 커버(114)로 감싼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를 제작할 수 있다(도 6 참조).
도 6은 도 4와 도 5에 나타내는 각 공정을 거쳐 제작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에서는, 도 6의 (a), 도 6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터드 볼트(126, 142)가 제2 기본 천(130)의 삽입 구멍(152, 154)에 각각 통과되어 있고, 도 6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어백 모듈(112)이 에어백용 커버(114)로 감싸져 있다.
이와 같이 에어백용 커버(114)를 에어백 모듈(112)과는 별체로 마련함으로써, 에어백용 커버(114)를 제작한 후, 에어백 모듈(112)에 감아 이것을 감쌀 수 있다. 이 때문에, 에어백용 커버(114)는, 에어백 모듈(112)과는 다른 장소에서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는, 에어백 모듈(112)의 쿠션(108)이 팽창 전개할 때에, 제1 기본 천(128)의 슬릿 영역(147)(개구 있음)(도 4의 (a))의 브릿지부(139)가 용이하게 파단되어, 쿠션(108)의 팽창 전개를 방해하는 일이 없다.
도 7은 도 4의 (a)의 에어백용 커버(114)의 변형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의 (a)에 나타내는 에어백용 커버(114A)에서는, 제1 기본 천(128A)의 슬릿 영역(147A)(개구 없음)이 결합부(132A)에 오버랩되지 않은 구성을 채용한다. 에어백용 커버(114A)의 결합부(132A)는, 제1 기본 천(128A)와 제2 기본 천(130)의 오버랩 부분과 띠-유사 형상 부재(133A)가 서로 전체 표면에서 접촉하여, 결합하고 있다. 그리고, 제1 기본 천(128A)의 슬릿 영역(147A)(개구 없음)과 브릿지부(139A)는, 제1 기본 천(128A)의 영역 내에 압축체인 제2 기본 천(130)의 가장자리를 따르도록 교대로 마련된다. 이러한 에어백용 커버(114A)를 이용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는, 쿠션(108)의 팽창 전개 시에, 제1 기본 천(128A)의 슬릿 영역(147A)(개구 없음)의 사이의 브릿지부(139A)가 용이하게 파단되어, 쿠션(108)의 팽창 전개를 방해하는 일이 없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에어백용 커버(114)가 적용되는 커튼 에어백 장치(100B)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의 (a)는 커튼 에어백 장치(100B)의 비전개 시(수납 시)를 예시하고 있다. 도 8의 (b)는 도 8의 (a)의 J-J 선 단면을 예시하고 있다.
커튼 에어백 장치(100B)는, 측면 충돌 등의 긴급 시에 인플레이터(156)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에 의해, 쿠션(158)이 팽창 전개하여 승차인을 구속한다. 차량의 측면부에는, 도 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 전방으로부터 사이드 윈도(160, 162)가 설치된다. 각 사이드 윈도(160, 162)의 차량 전후 방향에는, 루프(천장)를 지지하는 필러(기둥)가 마련된다. 이들 필러는, 차량의 전방으로부터 프론트 필러(164), 센터 필러(166), 리어 필러(168)로 불린다.
차량은 또한, 루프 사이드 레일(170)과, 루프 사이드 레일(170)을 차량 내측으로부터 덮는 커버(172)를 갖는다. 또한, 도 8의 (a) 중, 커버(172)를 2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루프 사이드 레일(170)은, 차량의 차량 실내의 측면 상부에 위치하며 차체 측벽을 형성한다.
쿠션(158)은, 차량 전후 방향의 전체에 걸쳐 말러거나 접히고, 도 8의 (b)에 나타내는 J-J 선 단면에 있어서는 루프 사이드 레일(170)과 커버(172)의 사이에 수납된다. 이들 한정된 수납 스페이스에 수납되는 쿠션(158)은, 복수의 탭(tab)(174)에 의해 차량 실내의 측면 상부에 부착된다.
커튼 에어백 장치(100B)에서는, 도 8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쿠션(158)이 에어백용 커버(114)에 의해 감싸여 수납 상태로 되어 있고, 또한 제2 기본 천(130)이 차체 측벽을 이루는 루프 사이드 레일(170)에 접촉하도록 마련되며, 쿠션(158)의 팽창 전개 시에 루프 사이드 레일(170)로부터의 반력을 받는 반력면으로서 기능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커튼 에어백 장치(100B)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초기 인장 저항값이 높고 변형하기 어려운 제2 기본 천(130)을, 수납 상태의 쿠션(158) 중 장애물(여기서는 루프 사이드 레일(170))에 가까운 측에 배치함으로써, 장애물로부터 쿠션(158)을 보호하여, 버스트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기본 천(128)은, 제2 기본 천(130)보다 초기 인장 저항값이 낮고 부드럽기 때문에, 쿠션(158)을 수납해야 할 소정 개소의 형상에 추종하여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어, 쿠션(158)을 소정 개소에 적합한 형상으로 수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에어백용 커버(114)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 및 커튼 에어백 장치(100B) 중 어느 것에나 적용 가능하고, 또한 말리거나 접힌 쿠션(108, 158)을 차량 실내의 소정 개소에 적합한 형상으로 수납할 수 있으며, 장애물로부터 쿠션(108, 158)을 보호할 수 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당업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상도할 수 있는 것은 분명하고, 이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지금까지, 에어백용 커버를 구비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나 커튼 에어백 장치를 자동차에 적용한 예를 설명하였지만, 자동차 이외에도 항공기나 선박 등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 실내에 수납되어 긴급 시에 승차인 보호를 목적으로 하여 팽창 전개하는 쿠션을 감싸는, 에어백용 커버 및 그 제법과 에어백용 커버를 구비하는 에어백 장치로서 적합하게 이용 가능하다.
100: 사이드 에어백 장치
100B: 커튼 에어백 장치
102: 차량용 시트
104: 시트백
106: 사이드 도어
108, 158: 쿠션
110, 156: 인플레이터
112: 에어백 모듈
114, 114A: 에어백용 커버
116: 시트백 프레임
118: 상부 프레임
120: 사이드 프레임
122: 시트 쿠션
124: 시트 프레임
126, 142: 스터드 볼트
128, 128A: 제1 기본 천
130: 제2 기본 천
132, 132A: 결합부
133: 띠-유사 형상 부재
133A: 띠-유사 형상 부재
134: 사이드 프레임의 에지
136, 138: 가열 프레스 장치
139, 139A: 제1 기본 천의 브릿지부
144, 146: 쿠션의 삽입 관통 구멍
147: 제1 기본 천의 슬릿 영역(개구 있음)
147A: 제1 기본 천의 슬릿 영역(선형, 개구 없음)
148, 150: 제1 기본 천의 삽입 관통 구멍
152, 154: 제2 기본 천의 삽입 관통 구멍
160, 162: 사이드 윈도
164: 프론트 필러
166: 센터 필러
168: 리어 필러
170: 루프 사이드 레일
172: 커버
174: 탭

Claims (16)

  1. 인플레이터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에 의해 팽창 전개하기 전의 말리거나 접힌 주머니 형상의 쿠션을 수용하기 위한 에어백용 커버로서,
    상기 에어백용 커버는, 화학 섬유로 구성되는 평직물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제1 기본 천과, 상기 제1 기본 천을 구성하는 섬유와는 상이한 섬유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기본 천의 초기 인장 저항값보다 높은 초기 인장 저항값을 갖는, 제2 기본 천으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제1 기본 천이, 상기 제2 기본 천과, 띠-유사 형상 부재에 끼워져, 열압착에 의해 일체적으로 결합되는 결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본 천은, 복수의 슬릿 영역을 갖고, 상기 결합부에서는, 상기 슬릿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본 천과 상기 띠-유사 형상 부재가, 직접, 열압착에 의해 결합되는 것인, 에어백용 커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본 천과 상기 제1 기본 천의 사이, 상기 제1 기본 천과 상기 띠-유사 형상 부재의 사이, 및/또는 상기 제2 기본 천과 상기 띠-유사 형상 부재의 사이에서는, 한쪽을 구성하는 섬유의 사이에 다른 쪽을 구성하는 섬유의 폴리머가 열용융에 의해 침투하여 결합되는 것인, 에어백용 커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본 천을 구성하는 화학 섬유는, 레이온,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아크릴, 비닐론, 및 아라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인, 에어백용 커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본 천은, 압축된 연성포 재료로 형성되는 압축체로 구성되는 것인, 에어백용 커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포 재료는, 펠트 형상의 재료인 것인, 에어백용 커버.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포 재료는, 복수 종의 고분자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 재료인 것인, 에어백용 커버.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포 재료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는 것인, 에어백용 커버.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본 천은, 상기 제1 기본 천에 포함되는 섬유의 융점보다 30℃ 이상 낮은 융점을 갖는 섬유를 포함하는 것인, 에어백용 커버.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띠-유사 형상 부재는, 연성포 재료로 형성되는 것인, 에어백용 커버.
  11. 에어백 장치로서,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백용 커버에 감싸지는 쿠션을 구비하는 것인, 에어백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차량용 시트의 측부에 마련되고, 상기 쿠션이 상기 차량용 시트의 승차인의 측방으로 팽창 전개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인 것인, 에어백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용 커버의 제2 기본 천은, 상기 차량용 시트의 측부를 따라 상기 차량용 시트에 내장되는 시트 프레임에 접촉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쿠션의 팽창 전개 시에 상기 시트 프레임으로부터의 반력을 받는 반력면으로서 기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인, 에어백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이 차량 실내에서 차체 측벽을 따라 팽창 전개하는 커튼 에어백 장치인 것인, 에어백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용 커버의 제2 기본 천은, 차체 측벽에 접촉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쿠션의 팽창 전개 시에 상기 차체 측벽으로부터의 반력을 받는 반력면으로서 기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인, 에어백 장치.
  16.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에어백용 커버의 제조 방법으로서,
    이하의 공정:
    화학 섬유로 구성되는 평직물 또는 부직포를 포함하는 제1 기본 천을 구성하는 섬유와 상이한 섬유를 포함하는 연성포 재료를 가열 압축하여, 상기 제1 기본 천의 초기 인장 저항값보다 높은 초기 인장 저항값을 갖는 제2 기본 천을, 압축체로서, 형성하는 공정; 및
    얻어진 제2 기본 천의 일부와, 띠-유사 형상 부재의 사이에, 상기 제1 기본 천을 끼워넣어 가열 압축하고, 열용착에 의해 상기 제2 기본 천과 상기 제1 기본 천을 일체적으로 결합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인, 에어백용 커버의 제조 방법.
KR1020227043561A 2020-06-11 2021-06-04 에어백용 커버 및 그 제법 그리고 에어백 장치 KR202300106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01844 2020-06-11
JPJP-P-2020-101844 2020-06-11
PCT/JP2021/021427 WO2021251303A1 (ja) 2020-06-11 2021-06-04 エアバッグ用カバー及びその製法並びにエアバッグ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0697A true KR20230010697A (ko) 2023-01-19

Family

ID=78846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3561A KR20230010697A (ko) 2020-06-11 2021-06-04 에어백용 커버 및 그 제법 그리고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38884B2 (ko)
EP (1) EP4166397A4 (ko)
JP (1) JP7300066B2 (ko)
KR (1) KR20230010697A (ko)
CN (1) CN115867467A (ko)
WO (1) WO20212513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063188A (ja) * 2021-10-23 2023-05-09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エアバッグ装置及び製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74295A (ja) 2013-10-07 2015-04-20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エアバッグ装置
JP2020002665A (ja) 2018-06-29 2020-01-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ラッチケースセ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ドア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42657B4 (de) * 2008-10-07 2011-12-01 Huesker Synthetic Gmbh Textiles Scharnier für Airbagabdeckungen
DE102011002559A1 (de) 2011-01-12 2013-03-21 Lear Corporation Fahrzeugsitzanordnung mit Airbag-Schutzelement
EP3284638A1 (en) * 2016-08-16 2018-02-21 Autoliv Development AB An airbag unit for a motor vehicle safety device
KR102591533B1 (ko) 2018-08-03 2023-10-20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에어백용 커버 및 그 제조 방법, 에어백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74295A (ja) 2013-10-07 2015-04-20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エアバッグ装置
JP2020002665A (ja) 2018-06-29 2020-01-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ラッチケースセ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ド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00066B2 (ja) 2023-06-28
EP4166397A1 (en) 2023-04-19
WO2021251303A1 (ja) 2021-12-16
US11938884B2 (en) 2024-03-26
CN115867467A (zh) 2023-03-28
JPWO2021251303A1 (ko) 2021-12-16
EP4166397A4 (en) 2023-12-13
US20230278516A1 (en) 2023-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384413B (zh) 气囊罩及其制造方法、安全气囊装置
US9205797B2 (en) Airbag unit for a motor vehicle safety device and a related method of packaging an airbag
KR101941256B1 (ko) 커튼 에어백 장치
KR101590152B1 (ko) 에어백용 라미네이팅 원단
KR20170109029A (ko) 커튼 에어백 장치
CN101094948A (zh) 安全气囊织物及由其形成的充气型元件
JP6634185B2 (ja) 自動車安全装置用エアバッグユニット
US11865988B2 (en) Airba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230192022A1 (en) Airbag device
KR20230010697A (ko) 에어백용 커버 및 그 제법 그리고 에어백 장치
KR20140070444A (ko) 사이드 커튼 에어백용 라미네이팅 원단
JP7213202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2376146B1 (ko) 에어백 쿠션용 커버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51641A (ko) 에어백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80078452A (ko) 에어백 쿠션 고정용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백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