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0295A - 릴 클램핑모듈 - Google Patents

릴 클램핑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0295A
KR20230010295A KR1020210090685A KR20210090685A KR20230010295A KR 20230010295 A KR20230010295 A KR 20230010295A KR 1020210090685 A KR1020210090685 A KR 1020210090685A KR 20210090685 A KR20210090685 A KR 20210090685A KR 20230010295 A KR20230010295 A KR 20230010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body
clamping module
reel
support
movabl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0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4610B1 (ko
Inventor
이재환
송민수
장준영
서동진
Original Assignee
(주)코윈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윈테크 filed Critical (주)코윈테크
Priority to KR1020210090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4610B1/ko
Publication of KR20230010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0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10Changing the web roll in un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unwinding operations
    • B65H19/12Lifting, transporting, or inserting the web roll; Removing empty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7Handling or changing web rolls
    • B65H2301/4171Handling web roll
    • B65H2301/4175Handling web roll involving c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40Holders, supports for rolls
    • B65H2405/42Supports for rolls fully removable from the handling machine
    • B65H2405/422Trolley, cart, i.e. support movable on flo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릴 클램핑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차 전지 또는 반도체 등을 제조하는 공정에서 릴을 공급 또는 취출하는 과정에서 이송대상물인 릴의 안정적인 고정은 물론 공급 및 취출을 자동으로 진행할 수 있는 릴 클램핑모듈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봉 형태로 이루어져 이송대상물의 코어가 인입되는 거치바디; 상기 거치바디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체; 상기 이동체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평구동수단; 상기 이동체에 배치되어 상기 거치바디에 인입된 이송대상물을 척킹 또는 언척킹하는 클램핑수단; 상기 클램핑수단을 회전시키기 위한 가동부재;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면서 상기 가동부재를 가동하는 회전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수단은, 상기 거치바디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다수 개가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고정척과, 상기 고정척을 탄성 지지하는 가압수단과, 상기 고정척과 상기 가압수단를 연결하는 링크축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릴 클램핑모듈{reel clamping module}
본 발명은 릴 클램핑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차 전지 또는 반도체 등을 제조하는 공정에서 릴을 공급 또는 취출하는 과정에서 이송대상물인 릴의 안정적인 고정은 물론 공급 및 취출을 자동으로 진행할 수 있는 릴 클램핑모듈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2차 전지, 반도체, 태양광패널, 자동차의 외장 부품 등을 생산하는 공정에서 고하중의 부품 또는 완제품과 같은 이송대상물은 부피가 크고 중량이 무겁기 때문에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진행하기 어려워 이송대상물의 반입 또는 반출을 위한 자동 가이드 운송체(AGV)를 이용하여 이송대상물을 이동시킨다.
이러한 자동 가이드 운송체는 특정 구간을 이동하도록 미리 설정되고 설정된 구간을 이동하면서 각각의 생산설비에서 요구되는 부품을 공급하거나 완성된 완제품 또는 사용 후의 수거대상뭉를 이송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주행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주행 및 이송대상물이 거치되는 거치암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의 자동 가이드 운송체는 이송대상물이 거치암에 거치된 상태에서 지정된 위치로 이동하면, 해당 이송대상물을 생산설비로 반입하였는데, 이때 이송대상물을 생산설비로 반입하는 과정이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반입 중 고하중의 이송대상물이 추락하여 사고 발생의 원인이 되었다.
또한 종래 자동 가이드 운송체를 통해 이송대상물의 반입 및 반출이 진행될 때 가동 중인 생산설비를 일시 정지시켜야 했기 때문에 생산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부피가 크고 고하중의 이송대상물을 자동 가이드 운송체에서 생산설비로 반입할 때 자동 가이드 운송체의 거치암과 생산설비의 와인더의 중심축을 일치시킨 후 이송대상물을 전달하는데, 가동 중인 생산설비의 와인더가 동일한 위치에서 대기하는 것이 아니라 생산설비의 동작 중 발생하는 진동이나 동작 중 움직이기 때문에 자동 가이드 운송체의 거치암과 동일한 중심축을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자동 가이드 운송체가 활용되는 예로서 다양한 장치에서 활용되는 전지팩의 생산공정이 있는데, 상기 전지팩은 경제성 및 동작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충방전이 가능한 2차 전지가 채용되고, 이러한 2차 전지에는 대표적으로 니켈-카드뮴(Ni-Cd)전지와, 니켈-수소(Ni-MH)전지 및 리튬(Li)전지와 리튬 이온(Li-ion)전지와 같은 리튬 2차 전지 등이 있다.
상기 리튬 2차 전지는 작동 전압이 3.6ㅍ로서, 휴대용 전자 장비 전원으로 사용되고 있는 니켈-카드뮴 전지나 니켈-수소 전지보다 작동 전압이 약 3배가 높고,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기 때문에 활용범위가 넓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리튬 2차 전지는 주로 양극 활물질로 리튬계 산화물, 음극 활물질로는 탄소재를 사용하고, 일반적으로는 전해액의 종류에 따라 액체 전해질 전지와 고분자 전해질 전지로 분류되며, 액체 전해질에 사용하는 전지를 리튬 이온 전지라 하고, 고분자 전해질에 사용하는 전지를 리튬 폴리머 전지라고 한다. 이러한 리튬 2차 전지는 여러 가지 형상으로 제조되는데, 대표적으로 원통형, 각형, 파우치형 등이 있다.
상술한 2차 전지는 양극, 음극, 전해질, 분리막의 부품을 조립하여 제조하는 것으로 다양한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가 가능하다. 다양한 제조방법 중 리튬 이온 2차 전지를 제조하는 방법을 간략히 살펴보면, 제1세퍼레이터, 음극판, 제2세퍼레이터 및 양극판을 적층한 후 이들을 다수회 권취하여 전극 조립체를 형성하며, 형성된 전극 조립체를 케이스에 삽입하고 상기 케이스에 전해액을 주입한 후 밀봉하여 완제품을 형성한다.
상기 음극판과 양극판은 재료의 특성, 무게 및 제조공정의 조건 때문에 릴(Reel)형태로 권취된 상태에서 각 조립공정설비에 공급된 후 일정한 속도로 인출된다.
이때 릴 형태로 제공되는 음극판과 양극판 또는 제1 및 제2세퍼레이터는 재료의 무게 및 권취되는 릴의 부피 때문에 소정 직경 이상으로 릴을 형성할 수 없어 공정 중 릴을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한다.
이때 자동 가이드 운송체가 교체용 릴이 거치된 상태에서 조립공정설비로 이동한 g 거치된 릴을 조립공정설비의 와인더로 전달해야 하며, 이동하는 과정에서 자동 가이드 운송체에서 릴이 거치된 도킹암의 높이 및 위치가 최초 설정된 위치에서 이탈하거나 자동 가이드 운송체가 위치한 바닥의 높이와 조립공정설비의 바닥의 높이가 서로 다른 경우 도킹암과 와인더의 높이가 달라질 수 있어 작업자가 릴의 위치와 와인더의 위치를 확인하고 보정하는 작업이 필수로 요구되었다.
또한 종래 자동 가이드 운송체가 릴을 거치한 상태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거치된 릴을 고정하는 수단이 별도로 구비되지 않아 이동 중 추락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안정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7147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8679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이송대상물인 릴을 안정적으로 거치하여 이동 중 안정성을 높이고, 생산설비의 와인더로 이송대상물을 안정적으로 반입할 수 있고 반대로 생산설비의 와인더에서 이송대상물을 안정적으로 반출할 수 있는 릴 클램핑모듈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대상물을 고정하는 클램핑수단의 구조를 개선하여 이동 중 이송대상물의 낙하 및 위치 변위를 방지할 수 있어 안정성을 극대화한 릴 클램핑모듈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봉 형태로 이루어져 이송대상물의 코어가 인입되는 거치바디;
상기 거치바디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체;
상기 이동체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평구동수단;
상기 이동체에 배치되어 상기 거치바디에 인입된 이송대상물을 척킹 또는 언척킹하는 클램핑수단;
상기 클램핑수단을 회전시키기 위한 가동부재;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면서 상기 가동부재를 가동하는 회전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수단은,
상기 거치바디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다수 개가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고정척과,
상기 고정척을 탄성 지지하는 가압수단과,
상기 고정척과 상기 가압수단를 연결하는 링크축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척은, 상기 거치바디의 외주면에 대응하도록 일측으로 구부러진 호(弧)형으로 이루어지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일면이 상기 거치바디에 인입된 이송대상물을 맞닿는 주고정척과, 상기 주고정척의 타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를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거치부와, 상기 한 쌍의 거치부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부고정척과, 상기 지지대에서 한 쌍이 상호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링크축의 일단이 결합되는 한 쌍의 힌지홈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수단은, 지지블럭과, 상기 지지블럭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링크축이 삽입되는 한 쌍의 중공과, 상기 지지블럭에 형성된 지지공과, 상기 지지블럭에서 이격 배치되며 상기 가동부재와 맞닿도록 배치되는 가변블럭과, 일단은 상기 지지공에 맞닿고 타단은 상기 가변블럭에 맞닿아 상기 가변블럭을 지지블럭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동부재는, 일측이 개구된 함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개구된 일측과 연통된 배치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배치공간의 내주면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다수 개의 가동면과, 상기 거치바디가 관통 삽입되는 거치바디 배치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가동면은, 상기 거치바디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길이 방향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점진적으로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구동수단은,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회전구동용모터와, 상기 회전구동용모터의 모터축에 결합된 피니언기어와, 상기 가동부재에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피니언기어가 맞물리는 랙기어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거치바디는,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 개의 로드바와, 상기 다수 개의 로드바 각각에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 개의 구름롤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부피가 크고 고하중의 이송대상물을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고, 거치바디에 거치된 이송대상물을 생산설비의 와인더로 안정적으로 반입 및 반출할 수 있어 생산 효율을 극대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대상물을 척킹하는 클램핑수단의 구조를 개선하여 안정적인 이송이 가능하고 특히 이송 중 낙하를 방지하여 안정성을 높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릴 클램핑모듈을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릴 클램핑모듈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릴 클램핑모듈을 일부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거치바디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이동체 및 수평구동수단을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고정척을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가압수단을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클램핑수단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가동부재를 도시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회전구동수단을 도시한 예시도.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릴 클램핑모듈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따른 릴 클램핑모듈(1)이 자동 가이드 운송체에 결합된 것을 일예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생산설비의 와인더에 배치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릴 클램핑모듈(1)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봉 형태로 이루어져 이송대상물의 코어가 인입되는 거치바디(10)와, 상기 거치바디(1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체(20)와, 상기 이동체(20)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평구동수단(30)과, 상기 이동체(20)에 배치되어 상기 거치바디(10)에 인입된 이송대상물을 척킹 또는 언척킹하는 클램핑수단(40)과, 상기 클램핑수단(40)을 회전시키기 위한 가동부재(50) 및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면서 상기 가동부재(50)를 가동하는 회전구동수단(60)을 포함한다.
상기 거치바디(10)는 이송대상물이 거치되는 것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봉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바람직하게는 도면 중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거치바디(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분체로 구성되고 내부에 후술하는 수평구동수단(30)이 배치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거치바디(10)의 외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로드바(11)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다수 개 배치되고, 상기 로드바(11)에는 상호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구름롤러(12)가 배치된다.
상기 로드바(11)는 거치바디(10)의 외면에 다수 개가 배치되는데, 이때 거치바디(10)의 외면에 요홈을 형성한 후 상기 요홈에 고정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이송대상물의 하중 및 이동시 발생하는 이동 압력에 의해 로드바(11)에 배치된 구름롤러(12)가 파손되는 경우 상기 로드바(11)를 거치바디(10)에서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통해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구름롤러(12)는 상기 로드바(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된 것으로, 이송대상물이 반입 및 반출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때 이동 안정성을 높여줄 수 있다.
상기 이동체(20)는 상기 거치바디(1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클램핑수단(40)이 내부에 배치되어 이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한 이동체(20)는 내부에 수용공간(21)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21)과 연통되도록 일측이 개구된 함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중앙에 상기 거치바디(10)가 관통 삽입되는 관통공(2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이동체(20)는 도면 중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가 원형으로 이루어진 함체 형태로 이루어지나 다른 실시예로서 사각, 다각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이동체(20)에는 이동체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기 위한 위치감지센서와 후술하는 가동부재 및 회전구동수단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평구동수단(30)은 상기 이동체(20)를 거치바디(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수평구동장치(31)와, 상기 수평구동장치(31)와 상기 이동체(20)를 연결하는 동력전달체(32)를 포함한다.
이러한 수평구동수단(30)을 구성하는 수평구동장치(31)는 공지의 모터 또는 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동력전달체(32)는 동력 전달용 슬리브 또는 체인 또는 벨트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수평구동수단(30)은 LM레일과 LM가이드를 포함한 LM가이드로 구성되어 상기 이동체(20)의 이동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클램핑수단(40)은 거치바디(10)에 배치되는 이송대상물을 척킹하여 이동시 추락을 방지하고 생산설비로 이송대상물을 반입하거나 생산설비로부터 이송대상물을 반출하는 과정에서 이송대상물을 척킹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이동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클램핑수단(40)은, 상기 거치바디(10)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다수 개가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고정척(41)과, 상기 고정척(41)을 탄성 지지하는 가압수단(42)과, 상기 고정척(41)과 상기 가압수단(42)를 연결하는 링크축(43)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척(4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바디(10)의 외주면에 대응하도록 일측으로 구부러진 호(弧)형으로 이루어지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일면이 상기 거치바디(10)에 인입된 이송대상물을 맞닿는 주고정척(411)과, 상기 주고정척(411)의 타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된 지지대(412)와, 상기 지지대(412)를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거치부(413)와, 상기 한 쌍의 거치부(413)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부고정척(414)과, 상기 지지대(412)에서 한 쌍이 상호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링크축(43)의 일단이 결합되는 한 쌍의 힌지홈(415)을 포함한다.
상기 주고정척(411)은 이송대상물에 맞닿아 척킹하거나 이격되면서 언척킹되는 것으로, 이송대상물의 외면에 맞닿도록 일면이 일측으로 구부러진 호(弧)형으로 이루어지고, 다수 개가 거치바디(10)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상기 지지대(412)는 상기 주고정척(411)의 타면에서 타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대(412)는 상기 주고정척(411)의 타면을 구획하여 한 쌍의 부고정척(414)이 배치되는 거치부(413)의 일면을 형성하고, 나아가 상기 거치부(413)에 배치되는 부고정척(414)의 일면이 맞닿아 지지된다.
상기 거치부(413)는 상기 주고정척(411)에서 지지대(412)에 의해 구획되어 부고정척(414)이 배치되는 공간으로서, 이러한 거치부(413)는 상기 지지대(412)의 형태 및 개수에 따라 변경 가능한 것으로, 일예로 도면 중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412)가 주고정척(411)의 타면에서 하나가 배치되는 경우 상기 거치부(413)는 지지대(412)를 중심으로 한 쌍이 대칭되게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412)가 십자(cross)형태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거치부(413)는 지지대(412)를 중심으로 4개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부고정척(414)은 상기 거치부(413)에 배치되어 주고정척(411)이 이송대상물을 척킹하는 과정에서 위치 변위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주고정척(411)으로 집중되는 압력을 분산할 수 있어 이동 또는 반입 과정에서 주고정척(411)이 이송대상물에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힌지홈(415)은 상기 지지대(412)에서 한 쌍이 상호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링크축(43)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가압수단(42)은 상기 고정척(41)을 탄성 지지하는 것으로, 지지블럭(421)과, 상기 지지블럭(421)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링크축(43)이 삽입되는 한 쌍의 중공(422)과, 상기 지지블럭(421)에 형성된 지지공(423)과, 상기 지지블럭(421)에서 이격 배치되는 가변블럭(424)과, 일단은 상기 지지공(423)에 맞닿고 타단은 상기 가변블럭(424)에 맞닿아 상기 가변블럭(424)을 지지블럭(421)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425)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블럭(421)은 사각의 블록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중공(422)과 지지공(423)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중공(422)은 상기 지지블럭(421)에 관통 형성된 것으로, 상기 링크축(43)이 관통 삽입되고, 관통 삽입된 링크축(43)이 동작 중 내벽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링(422a)이 더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공(423)은 상기 지지블럭(421)의 외면에서 내부를 향해 요입 형성되어 후술하는 스프링(425)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도면 중 도시된 바로는 상기 한 쌍의 중공(422) 사이의 중앙에 1개가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다수 개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각각에 스프링(425)이 배치되어 압축 및 복원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압축 또는 복원시 지지블럭(421) 또는 가변블럭(424)이 위치 변위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변블럭(424)은 상기 지지블럭(421)에서 이격되게 배치되어 후술하는 링크축(43)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스프링(425)의 일단이 맞닿아 탄성지지된다.
상기 스프링(425)은 상기 지지블럭(421)과 가변블럭(424)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변블럭(424)을 지지블럭(421)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가변블럭(424)이 가동부재(50)이 회전에 의해 지지블럭(421)을 가압할 때 압축되었다가 가동부재(50)가 가변블럭(424)의 압력을 해제하면 가변블럭(424)을 밀어낸다.
상기 링크축(43)은 상기 고정척(41)과 상기 가압수단(42)을 연결하는 것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봉 형태로 이루어지고 길이 방향 양단 중 일단은 상기 고정척(41)에 형성된 힌지홈(41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가압수단(42)을 구성하는 가변블럭(42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배치된 링크축(43)은 후술하는 가동부재(50)의 회전에 의해 가변블럭(424)에 압력이 전달되면, 전달된 압력을 고정척(41)으로 전달하고, 이후 상기 스프링(425)이 복원될 때 가변블럭(424)과 함께 이동하면서 고정척(41)을 이송대상물로부터 이격시킨다.
한편 상기 링크축(43)의 일단에는 후술하는 가동부재(50)의 가동면(52)에 맞닿도록 배치되는 회전롤러(431)가 구비된다.
상기 가동부재(50)는 상기 클램핑수단(40)을 가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일측이 개구된 함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개구된 일측과 연통된 배치공간(51)이 형성되고, 상기 배치공간(51)의 내주면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다수 개의 가동면(52)과, 상기 거치바디(10)가 관통 삽입되는 거치바디 배치공(53)을 포함한다.
상기 가동부재(50)에 형성된 배치공간(51)에 상기 클램핑수단(40)이 배치되고, 상기 배치공간(51)을 형성하는 내주면에 방사상으로 다수 개의 가동면(52)이 형성되어 상기 링크축(43)에 구비된 회전롤러(431)가 맞닿게 배치된다.
상기 가동면(52)은 상기 거치바디(1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길이 방향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점진적으로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가동면(52)을 통해 가동부재(50)를 후술하는 회전구동수단(60)을 통해 회전시킴으로써 링크축(43)을 가압하는 힘이 조절한다.
상기 회전구동수단(60)은 상기 가동부재(50)를 가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회전구동용모터(61)와, 상기 회전구동용모터(61)의 모터축에 결합된 피니언기어(62)와, 상기 가동부재(50)에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피니언기어(62)가 맞물리는 랙기어(63)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구동용모터(61)는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공지의 모터로서 상세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피니언기어(62)는 상기 회전구동용모터(61)의 모터축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랙기어(63)는 상기 가동부재(50)에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피니언기어(62)가 맞물린다. 이때 상기 랙기어(63)는 도면 중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부재(50)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호(弧)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회전구동수단(60)은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회전구동용모터(61)가 가동하면서 피니언기어(62)를 회전시키고, 피니언기어(62)가 맞물린 랙기어(63)를 이동시키고 동시에 가동부재(50)를 회전시킨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릴 클램핑모듈
10 : 거치바디
11 : 로드바 12 : 구름롤러
20 : 이동체
21 : 수용공간 22 : 관통공
30 : 수평구동수단
31 : 수평구동장치 32 : 동력전달체
40 : 클램핑수단
41 : 고정척 42 : 가압수단
43 : 링크축
411 : 주고정척 412 : 지지대
413 : 거치부 414 : 부고정척
415 : 힌지홈
421 : 지지블럭 422 : 중공
423 : 지지공 424 : 가변블럭
425 : 스프링
431 : 회전롤러 432 : 결합공
50 : 가동부재
51 : 배치공간 52 : 가동면
53 : 거치바디 배치공
60 : 회전구동수단
61 : 회전구동용모터
62 : 피니언기어 63 : 랙기어

Claims (7)

  1.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봉 형태로 이루어져 이송대상물의 코어가 인입되는 거치바디(10);
    상기 거치바디(1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체(20);
    상기 이동체(20)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평구동수단(30);
    상기 이동체(20)에 배치되어 상기 거치바디(10)에 인입된 이송대상물을 척킹 또는 언척킹하는 클램핑수단(40);
    상기 클램핑수단(40)을 회전시키기 위한 가동부재(50);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면서 상기 가동부재(50)를 가동하는 회전구동수단(60);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수단(40)은,
    상기 거치바디(10)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다수 개가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고정척(41)과,
    상기 고정척(41)을 탄성 지지하는 가압수단(42)과,
    상기 고정척(41)과 상기 가압수단(42)를 연결하며 일단에 상기 가동부재(50)에 맞닿는 회전롤러(431)가 구비되어, 상기 가동부재(5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척(41)을 이동시키는 링크축(43)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클램핑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척(41)은,
    상기 거치바디(10)의 외주면에 대응하도록 일측으로 구부러진 호(弧)형으로 이루어지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일면이 상기 거치바디(10)에 인입된 이송대상물을 맞닿는 주고정척(411)과,
    상기 주고정척(411)의 타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된 지지대(412)와,
    상기 지지대(412)를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거치부(413)와,
    상기 한 쌍의 거치부(413)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부고정척(414)과,
    상기 지지대(412)에서 한 쌍이 상호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링크축(43)의 일단이 결합되는 한 쌍의 힌지홈(415)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클램핑모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42)은,
    지지블럭(421)과,
    상기 지지블럭(421)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링크축(43)이 삽입되는 한 쌍의 중공(422)과,
    상기 지지블럭(421)에 형성된 지지공(423)과,
    상기 지지블럭(421)에서 이격 배치되는 가변블럭(424)과,
    일단은 상기 지지공(423)에 맞닿고 타단은 상기 가변블럭(424)에 맞닿아 상기 가변블럭(424)을 지지블럭(421)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425)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클램핑모듈.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50)는,
    일측이 개구된 함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개구된 일측과 연통된 배치공간(51)이 형성되고,
    상기 배치공간(51)의 내주면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다수 개의 가동면(52)과,
    상기 거치바디(10)가 관통 삽입되는 거치바디 배치공(5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클램핑모듈.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동면(52)은,
    상기 거치바디(1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길이 방향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점진적으로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클램핑모듈.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수단(60)은,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회전구동용모터(61)와,
    상기 회전구동용모터(61)의 모터축에 결합된 피니언기어(62)와,
    상기 가동부재(50)에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피니언기어(62)가 맞물리는 랙기어(63)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클램핑모듈.
  7.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바디(10)는,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 개의 로드바(11)와,
    상기 다수 개의 로드바(11) 각각에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 개의 구름롤러(12)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클램핑모듈.
KR1020210090685A 2021-07-12 2021-07-12 릴 클램핑모듈 KR102504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0685A KR102504610B1 (ko) 2021-07-12 2021-07-12 릴 클램핑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0685A KR102504610B1 (ko) 2021-07-12 2021-07-12 릴 클램핑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0295A true KR20230010295A (ko) 2023-01-19
KR102504610B1 KR102504610B1 (ko) 2023-03-02

Family

ID=85077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0685A KR102504610B1 (ko) 2021-07-12 2021-07-12 릴 클램핑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46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01484A (zh) * 2023-12-14 2024-01-16 常州市森迈网业有限公司 布料收卷机及收卷工艺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798B1 (ko) 2007-11-27 2009-03-04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롤 자동공급장치
JP2011079602A (ja) * 2009-10-05 2011-04-21 Ihi Corp ロール体供給装置
KR101516628B1 (ko) * 2014-01-27 2015-05-04 현대제철 주식회사 코일 교정장치
JP2019116356A (ja) * 2017-12-27 2019-07-18 株式会社ダイフク ロール体移載装置及びロール体搬送車
KR102171461B1 (ko) * 2020-05-22 2020-10-29 (주)코윈테크 롤 다이렉트 도킹 자동 가이드 운송체
KR102171473B1 (ko) 2020-07-28 2020-10-29 (주)코윈테크 권취롤 이송용 자동 가이드 운송체
KR102190264B1 (ko) * 2019-07-19 2020-12-11 (주)코윈테크 롤 자동 입출고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798B1 (ko) 2007-11-27 2009-03-04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롤 자동공급장치
JP2011079602A (ja) * 2009-10-05 2011-04-21 Ihi Corp ロール体供給装置
KR101516628B1 (ko) * 2014-01-27 2015-05-04 현대제철 주식회사 코일 교정장치
JP2019116356A (ja) * 2017-12-27 2019-07-18 株式会社ダイフク ロール体移載装置及びロール体搬送車
KR102190264B1 (ko) * 2019-07-19 2020-12-11 (주)코윈테크 롤 자동 입출고장치
KR102171461B1 (ko) * 2020-05-22 2020-10-29 (주)코윈테크 롤 다이렉트 도킹 자동 가이드 운송체
KR102171473B1 (ko) 2020-07-28 2020-10-29 (주)코윈테크 권취롤 이송용 자동 가이드 운송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01484A (zh) * 2023-12-14 2024-01-16 常州市森迈网业有限公司 布料收卷机及收卷工艺
CN117401484B (zh) * 2023-12-14 2024-03-01 常州市森迈网业有限公司 布料收卷机及收卷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4610B1 (ko) 2023-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1461B1 (ko) 롤 다이렉트 도킹 자동 가이드 운송체
KR101649730B1 (ko) 이차 전지용 전극필름 권취장치
KR102270017B1 (ko) 위치 정렬 기능이 개선된 롤 이재 장치
KR102043113B1 (ko) 2차전지셀 정렬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2차전지셀 적층 시스템
KR102504610B1 (ko) 릴 클램핑모듈
KR101604052B1 (ko) 전기자동차용 2차전지의 전극판 이송 장치
KR101921295B1 (ko) 이차전지 제조장치
EP3783690A1 (en) Battery pack manufacturing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battery pack
KR102325380B1 (ko) 릴 다이렉트 도킹 자동 가이드 운송체
KR102043112B1 (ko) 2차전지셀 반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2차전지셀 회전 시스템
KR102333754B1 (ko) 전극조립체 제조장치의 스윙 모듈
KR20220089333A (ko) 배터리 셀 제조장치
EP4159653A1 (en)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roll
CN211768853U (zh) 一种物料上料装置
CN220721900U (zh) 卷料存放设备、卷料运输设备及卷料挂轴止挡装置
KR101800485B1 (ko) 이차전지 활성화 공정에서의 스태커 크레인 작업효율 향상방법 및 그 장치
CN114144916A (zh) 电池组装载装置和使用该电池组装载装置的电池组装载方法
KR20230120233A (ko) 슬리터용 언-로딩 장비
KR102547922B1 (ko) 멀티 스태커 크레인 시스템
KR102492160B1 (ko) 스태커 크레인용 핸드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스태커 크레인장치
KR102536553B1 (ko) 이차전지 셀 이재장치
CA3239156A1 (en) Automatic separator supply apparatus
KR102547921B1 (ko) 스태커 크레인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멀티 스태커 크레인 시스템
KR20230083249A (ko) 분리막 자동 공급 장치
KR20230145702A (ko) 전극 조립체용 빈 코어 회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