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9417A -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nad) 농도상승제 - Google Patents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nad) 농도상승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9417A
KR20230009417A KR1020227042554A KR20227042554A KR20230009417A KR 20230009417 A KR20230009417 A KR 20230009417A KR 1020227042554 A KR1020227042554 A KR 1020227042554A KR 20227042554 A KR20227042554 A KR 20227042554A KR 20230009417 A KR20230009417 A KR 20230009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d
concentration
sesamin
adenine dinucleotide
decr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2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이스케 다케모토
Original Assignee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09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94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two or more oxygen atoms in the same ring, e.g. crown ethers, guanadrel
    • A61K31/36Compounds containing methylenedioxyphenyl groups, e.g. sesam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16Heterocyclic compounds
    • A23K20/121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or sulfur as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30Other 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 함유 성분 유래의 안전한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NAD) 농도상승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세사민류 중 1종 이상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NAD) 농도상승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NAD) 농도상승제
본 발명은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NAD) 농도상승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령자 비율이 높은 나라에서는, 건강 수명의 연장이 과제로 되어 있다. 건강 수명의 단축의 요인 중 하나로서, 가령에 따라 체내에서의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NAD+)의 생산이 저하하는 것에 따른 신체 기능 등의 저하를 들 수 있다.
여기서,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NAD+(이하, NAD라고도 함))는, 체내에서 많은 산화 환원 반응을 매개하는 보효소이다. NAD 레벨은 노화의 과정에서 저하하여, 핵 및 미토콘드리아 기능에 결함을 야기하고, 많은 가령에 따른 병리를 야기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컨대, 비특허문헌 1에서는, 노화나 노화에 관련된 질환은, 세포 내에 있어서의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NAD+) 레벨의 저하, 및 NAD+ 의존성 탈아세틸화 효소인 장수 유전자 시르투인의 효소 활성 저하와 관련된 것이 시사되어 있다. 그리고, 최근, NAD+를 증가시킴으로써 시르투인이 활성화되어, 항노화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비특허문헌 2). 이 때문에 가령에 따른 NAD+의 저하의 예방 또는 개선에 유효하고, 의약품, 특정 보건용 식품, 기능성 식품 등에의 응용이 가능한 성분의 탐색에 관하여, 정력적인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비특허문헌 2에 따르면, 세포 외 니코틴아미드 포스포리보실 트렌스페라아제(eNAMPT)의 레벨이 마우스와 인간에게서 연령과 함께 저하하는 것이 나타나 있고, eNAMPT의 증가는 NAD 레벨을 촉진하여, 노화를 억제하여, 수명을 연장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eNAMPT를 포함하는 세포 외 소포(EV)를 보충하면, 신체 활동이 개선되어, 마우스의 수명이 연장되기 때문에, 노화 억제의 잠재적인 개입이 될 수 있는 것이 시사되어 있다.
한편, 세사민 및/또는 에피세사민에 대해서는, 생체 내의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NAD)를 상승시키는 작용에 대해서는 아무런 시사도 개시도 이루어져 있지 않았다.
비특허문헌 1: Imai, S. & Guarente, L. (2014) Trends Cell Biol., 24, 464-471. "NAD+ and sirtuins in aging and disease" 비특허문헌 2: Yoshida M, Satoh A, Lin JB, Mills KF, Sasaki Y, Rensing N, Wong M, Apte RS, Imai SI., Cell Metab. (2019) 30(2): 329-342. e5. "Extracellular Vesicle-Contained eNAMPT Delays Aging and Extends Lifespan in Mice"
본 발명의 목적은 식품 함유 성분 유래의 안전한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NAD) 농도상승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한 결과, 세사민류가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NAD) 상승 작용을 갖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이하의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NAD) 농도상승제에 관한 것이다.
〔1〕세사민류 중 1종 이상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NAD) 농도상승제.
〔2〕세사민류 중 1종 이상이 세사민 및/또는 에피세사민인 상기 〔1〕에 기재된 제.
〔3〕NAD 농도를 향상, 저하 억제, 유지 또는 개선시키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제.
〔4〕NAD 농도의 상승을 통해 미토콘드리아 기능을 향상, 저하 억제, 유지 또는 개선시키는 상기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제.
〔5〕NAD 농도의 상승을 통해 미토콘드리아의 에너지 산생능을 향상, 저하 억제, 유지 또는 개선시키는 상기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제.
〔6〕NAD 농도의 저하에 따른 노화의 억제 및/또는 지연을 위해 사용되는 상기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제.
〔7〕경구용 조성물인 상기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제.
〔8〕음식품인 상기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제.
〔9〕「NAD 농도의 저하에 따른 노화의 억제 및/또는 지연」 및/또는 「세포 노화의 억제 및/또는 지연」의 표시를 붙인 상기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제.
〔10〕세사민류 중 1종 이상을 투여하는,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NAD) 농도의 상승 방법.
〔11〕세사민류 중 1종 이상을 투여하는,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NAD) 농도의 향상, 저하 억제, 유지 또는 개선 방법.
〔12〕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NAD) 농도의 상승을 위한, 세사민류 중 1종 이상의 사용.
〔13〕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NAD) 농도의 향상, 저하 억제, 유지 또는 개선을 위한, 세사민류 중 1종 이상의 사용.
본 발명에 따른면,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NAD) 농도상승제를 제공할 수 있다. 세사민류 중 1종 이상을 섭취하면,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NAD) 농도 상승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세사민류는, 옛부터 식품으로서 섭취되어 온 성분이며, 안전성이 높고 계속적으로 섭취할 수 있는 점에서도 유리하다.
도 1은 세사민·에피세사민 혼합물(SE)(세사민:에피세사민(중량비=1:1))의 세포 내 NAD 레벨의 상승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NAD) 농도상승제는, 세사민류 중 1종 이상을 포함한다.
1종 이상의 세사민류는,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NAD) 농도를 상승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NAD) 농도의 향상, 저하 억제, 유지 또는 개선 작용을 갖고, NAD 농도의 향상을 위해, NAD 농도의 저하 억제를 위해, NAD 농도의 유지를 위해, 또는, NAD 농도의 개선을 위해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는, 가령에 의해 저하한 NAD 농도의 향상, 저하 억제, 유지 또는 개선을 위해 적합하게 사용된다.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 농도상승제는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NAD)량 상승제라고도 할 수 있다. 또한, NAD 농도는, 세포 내의 NAD 농도를 의미한다.
세사민류는,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NAD) 농도 상승 작용을 갖고, NAD 농도의 향상, 저하 억제, 유지, 혹은 개선 작용에 의해, NAD 농도의 저하에 따른 노화의 예방 또는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노화는, 신체적 기능, 생리적 기능, 정신적 기능이 약해지는 현상이라고 이해되고 있다. 노화에 의한 신체적 변화는 성숙기에 달한 후, 40세 정도부터 시작되어, 피부의 주름, 두발이나 이의 탈락, 백발화, 피로의 축적이나 회복의 저하, 시력이나 청력의 저하, 운동 기능의 저하, 근력이나 활동량의 저하, 수면의 질의 저하, 골량의 저하 등이 보이게 된다. 노화는, 그 자체로는, 병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신체적 기능, 생리적 기능의 저하는, 동맥경화, 당·지질 대사 이상, 신경 탈락 변성, 골다공증, 백내장 등의 소위 노년병의 리스크를 높이게 되고, 또한 신체적 기능의 쇠퇴에 부수하여 기억이나 학습이라고 하는 정신적 기능에 대한 노화가 발생하게 된다.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NAD) 농도를 상승시키는 것은, NAD 농도의 저하에 따른 노화의 예방 또는 개선에 유효하다.
일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NAD) 농도상승제는, NAD 농도를 향상, 저하 억제, 유지 또는 개선시키는 것이며, 가령에 의해 저하한 NAD 농도의 향상, 저하 억제, 유지 또는 개선을 위해 적합하게 사용된다. 일 양태에 있어서는, 중고령자에게 있어서의 가령에 의해 저하한 NAD 농도의 향상, 저하 억제, 유지 또는 개선을 위해 적합하게 사용된다. 중고령자는, 고령자를 포함한다. 중고령자는, 예컨대, 40세 이상의 인간이면 좋고, 고령자는, 예컨대, 60세 이상 또는 65세 이상의 인간이면 좋다.
인간 등의 동물의 NAD 농도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고, 예컨대, NAD+/NADH Quantification Colorimetric Kit(Biovision사)나, Amplite(등록상표) Colorimetric NAD/NADH Ratio Assay Kit(AAT Bioquest사)를 이용하여 세포 내 NAD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NAD) 농도상승제는, NAD 농도의 향상, 저하 억제, 유지 또는 개선에 의해, 예방 또는 개선을 기대할 수 있는 상태 또는 질환의 처치를 위해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 또는 질환으로서, 예컨대, 가령에 따른 신체적 기능, 생리적 기능, 정신적 기능의 쇠퇴, 구체적으로 말하면, 예컨대, 피부의 노화 증상(주름, 처짐의 발생, 피부의 탄력의 상실 등)의 발생, 노화에 의한 건조 피부(피부의 보습성의 저하), 피부의 기미, 주근깨, 피부 거칠음의 발생, 호르몬(성장 호르몬, 갑상선 호르몬, 부신 피질 호르몬, 성 호르몬, 프로락틴, 항이뇨 호르몬, 부갑상선 호르몬, 멜라토닌 등) 분비의 저하나 항진, 활성 산소에 의한 세포(뇌 세포, 심근 세포 등)의 상해, 두발이나 치아의 탈락, 시력이나 청력의 저하, 운동 기능의 저하, 골량의 저하, 체력의 저하, 기억력의 저하, 학습 능력의 저하, 면역 기능의 저하, 노년병의 발생 등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예방은, 발증을 방지하는 것, 발증을 지연시키는 것, 발증률을 저하시키는 것, 발증의 리스크를 경감하는 것 등을 포함한다. 상태 또는 질환의 개선은, 대상을 상태 또는 질환으로부터 회복시키는 것, 상태 또는 질환의 증상을 경감하는 것, 상태 또는 질환의 증상을 호전시키는 것, 상태 또는 질환의 진행을 지연시키는 것, 방지하는 것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세사민류란, 세사민 및 그 유사체를 포함하는 화합물의 총칭이다. 세사민은, 참깨에 포함되는 주요한 리그난 화합물의 일종이다. 세사민 유사체로서는, 에피세사민 외에,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평성4-9331호 공보에 기재된 디옥사비시클로[3.3.0]옥탄 유도체를 들 수 있다. 세사민류 중 1종 이상으로서, 이들 화합물 중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이용하여도 좋다. 세사민류의 구체예로서는, 세사민, 에피세사민, 세사미놀, 에피세사미놀, 세사몰, 세사몰린 등을 예시할 수 있고, 이들의 입체 이성체 또는 라세미체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세사민류의 대사물(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39579호 공보에 기재)도, 본 발명의 효과를 나타내는 한, 본 발명의 세사민류에 포함되는 세사민 유사체이며,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세사민류 중 1종 이상으로서, 세사민 및/또는 에피세사민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고, 세사민 및 에피세사민을 보다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세사민 및 에피세사민을 이용하는 경우, 이들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세사민:에피세사민(중량비)이 1:0.1∼1:9가 바람직하고, 1:0.3∼1:3이 보다 바람직하고, 1:0.5∼1:2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세사민류는, 그 형태나 제조 방법 등에 의해, 조금도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세사민의 경우는, 참깨유로부터 공지의 방법(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평성4-9331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추출한 세사민(세사민 추출물 또는 정제물이라고 함)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시판의 참깨유(액형)를 그대로 이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참깨유를 이용한 경우에는, 참깨유 특유의 풍미가 관능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평가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참깨유로부터 추출된 무미 무취인 세사민 추출물(또는 세사민 정제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참깨유를 이용한 경우, 세사민 함유량이 낮기 때문에, 바람직한 양의 세사민을 배합하고자 하면, 처방되는 조성물의 단위 투여당의 체적이 지나치게 커지기 때문에, 섭취에 문제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특히, 경구 투여용으로 제제화한 경우는, 제제(정제, 캡슐 등)가 지나치게 커져 섭취에 지장이 발생한다. 따라서, 섭취량이 적어도 된다고 하는 관점에서도 참깨유로부터의 세사민 추출물(또는 세사민 정제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합성에 의해 세사민류를 얻을 수도 있다. 그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세사민, 에피세사민에 대해서는, Beroza 등의 방법(J. Am. Chem. Soc., 78, 1242(1956))으로 합성할 수 있다. 세사민, 에피세사민의 대사물에 대해서는 Urata 등의 방법(Chem. Pharm. Bull.(Tokyo), 56(11) 1611-2(2008))으로 합성할 수 있다.
세사민류는, 천연물이나 음식품에 포함되어, 식경험이 풍부하며, 그 안정성의 높음이 인정되어 있는 화합물이다. 안전성이 담보된 세사민류는, 계속 섭취 및 장기적 섭취에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전성이 높은 물질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NAD) 농도상승제를 제공할 수 있다.
생체 내의 NAD는, 시르투인을 활성화하여 하류의 효소 혹은 전사 인자를 탈아세틸화시킴으로써, 미토콘드리아 기능 및 미토콘드리아의 에너지 산생에 관한 분자의 발현·합성을 촉진시킨다고 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 때문에 NAD 농도의 상승에 의해, 미토콘드리아 기능의 향상, 저하 억제, 유지 또는 개선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제는, NAD 농도의 상승을 통해 미토콘드리아 기능을 향상, 저하 억제, 유지 또는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는, NAD 농도의 상승을 통해 미토콘드리아의 에너지 산생능을 향상, 저하 억제, 유지 또는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제는, 항세포 노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미토콘드리아 기능 및 미토콘드리아의 에너지 산생능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에 기초하여 평가되면 좋고, 그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세포 외 플럭스 애널라이저를 사용하여, 측정 대상인 세포에 있어서의 ATP 합성 시에 미토콘드리아에서 사용되는 산소 소비 속도(이하, 「OCR」이라고도 기재함)를, ATP 합성 효소 저해제(예컨대, 올리고마이신 및 로테논), 및, 탈공역제(예컨대, 카르보닐시아니드-p-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히드라존(FCCP))를 첨가하면서 계속적으로 측정함으로써, 미토콘드리아 기능의 평가를 할 수 있다. 평가 항목은, 예컨대, 미토콘드리아 기능 평가에 있어서의 주요한 지표가 되는, 기초 호흡량, ATP 산생능 및 최대 호흡량에 대해서 해석함으로써, 미토콘드리아 기능을 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는, NAD 농도의 저하에 따른 노화의 억제 및/또는 지연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는, 치료적 용도(의료 용도) 또는 비치료적 용도(비의료 용도) 중 어느 것에도 적용할 수 있다. 비치료적이란, 의료 행위, 즉 인간의 수술, 치료 또는 진단을 포함하지 않는 개념이다.
본 발명의 제는, 음식품, 의약품, 의약 부외품, 사료 등의 형태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는, 그 자체가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NAD) 농도 상승을 위해, 또는, NAD 농도의 향상, 저하 억제, 유지 또는 개선을 위해 이용되는 음식품, 의약품, 의약 부외품, 사료 등이어도 좋고, 이들에 배합하여 사용되는 소재 또는 제제 등이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제는, 그 자체가 NAD 농도의 상승을 통해 미토콘드리아 기능을 향상, 저하 억제, 유지 혹은 개선시키기 위한, 또는, NAD 농도의 상승을 통해 미토콘드리아의 에너지 산생능을 향상, 저하 억제, 유지 혹은 개선시키기 위한, 음식품, 의약품, 의약 부외품, 사료 등이어도 좋고, 이들에 배합하여 사용되는 소재 또는 제제 등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는, 일례로서, 제의 형태인 채로 제공할 수 있지만, 본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제를 그대로 조성물로서, 또는, 그 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는, 경구용제, 비경구용제 중 어느 것이어도 좋지만, 바람직하게는 경구용제이다. 경구용제로서는, 음식품, 경구용의 의약품, 의약 부외품, 사료 등 그 자체여도 좋고, 또는 이들에 포함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는, 바람직하게는 음식품 또는 경구용 의약품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음식품이다.
본 발명의 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한, 세사민류 중 1종 이상에 더하여, 임의의 첨가제, 임의의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이들 첨가제 및 성분은, 제나 조성물의 형태 등에 따라 선택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 음식품, 의약품, 의약 부외품, 사료 등에 사용 가능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를, 음식품, 의약품, 의약 부외품, 사료 등으로 하는 경우, 그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제를 음식품으로 하는 경우, 세사민류 중 1종 이상에, 음식품에 사용 가능한 성분(예컨대, 식품 소재, 필요에 따라 사용되는 식품 첨가물 등)을 배합하여, 여러 가지의 음식품으로 할 수 있다. 음식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일반적인 음식품, 건강 식품, 건강 음료, 기능성 표시 식품, 특정 보건용 식품, 병자용 음식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건강 식품, 기능성 표시 식품, 특정 보건용 식품 등은, 예컨대, 세립제, 정제, 과립제, 산제, 캡슐제, 츄어블제, 드라이 시럽제, 시럽제, 액제, 음료, 유동식 등의 각종 제제 형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를 의약품 또는 의약 부외품으로 하는 경우, 예컨대, 세사민류 중 1종 이상에,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필요에 따라 첨가되는 첨가제 등을 배합하여, 각종 제 형태의 의약품 또는 의약 부외품으로 할 수 있다. 그와 같은 담체, 첨가제 등은, 의약품 또는 의약 부외품에 사용 가능한,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것이면 좋고, 예컨대, 부형제, 결합제, 붕괴제, 활택제, 항산화제, 착색제 등 중 1 또는 2 이상을 들 수 있다. 의약품 또는 의약 부외품의 투여(섭취) 형태로서는, 경구 또는 비경구(경피, 경점막, 경장, 주사 등) 투여의 형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를 의약품 또는 의약 부외품으로 하는 경우, 경구용 의약품 또는 의약 부외품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구 투여를 위한 제형으로서는, 액제, 정제, 산제, 세립제, 과립제, 당의정, 캡슐제, 현탁액, 유제, 츄어블제 등을 들 수 있다. 의약품은, 비인간 동물용 의약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를 사료로 하는 경우에는, 세사민류 중 1종 이상을 사료에 배합하면 좋다. 사료에는 사료 첨가제도 포함된다. 사료로서는, 예컨대, 소, 돼지, 닭, 양, 말 등에 이용하는 가축용 사료; 토끼, 래트, 마우스 등에 이용하는 소동물용 사료; 개, 고양이, 작은 새 등에 이용하는 펫 푸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에 포함되는 세사민류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그 형태 등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중의 세사민류의 총 함유량은, 예컨대, 그 제 중에 0.001 중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0.01 중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05 중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또한, 10 중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5 중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일 양태에 있어서, 세사민류의 총 함유량은, 제 중에 0.001∼10 중량%가 바람직하고, 0.01∼5 중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0.05∼5 중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총 함유량은, 세사민류의 화합물을 2종 이상 함유하는 경우는, 이들의 합계 함유량이다.
본 발명의 제는, 경구 조성물(경구로 섭취(경구 투여)되는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의 투여량(섭취량이라고도 할 수 있음)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의 투여량은,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 농도의 상승 효과, 또는, NAD 농도의 향상, 저하 억제, 유지 혹은 개선 효과가 얻어지는 것 같은 양이면 좋고, 투여 형태, 투여 방법, 대상의 체중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하면 좋다.
일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를, 인간(성인)을 대상으로 경구로 섭취시키는 또는 투여하는 경우, 세사민류의 총 투여량은, 1일당 체중 60 ㎏에서, 바람직하게는 0.5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이상, 또한, 바람직하게는 20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 이하이다. 일 양태에 있어서, 세사민류의 총 투여량은, 인간(성인)이면, 1일당 체중 60 ㎏에서, 바람직하게는 0.5∼2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3∼80 ㎎이다. 상기 양을, 1일 1회 이상, 예컨대, 1일 1회 또는 수회(예컨대 2∼3회)로 나누어, 섭취시키는 또는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양의 세사민류를, 인간에게 경구로 섭취시키는 또는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는, 인간에게, 체중 60 ㎏당, 1일당 상기 양의 세사민류를 섭취시키기 위해 또는 투여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총 투여량은, 세사민류의 화합물을 2종 이상 사용하는 경우는, 이들의 합계량이다. 일 양태에 있어서는, 세사민 및/또는 에피세사민을, 세사민 및 에피세사민의 총 투여량으로서 1일당 체중 60 ㎏에서, 바람직하게는 0.5∼2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3∼80 ㎎, 인간(성인)에게 경구로 섭취시키는 또는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는, 계속하여 섭취 또는 투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사민류는, 계속적으로 섭취 또는 투여됨으로써, 상기 효과가 높아지는 것이 기대된다. 일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는, 바람직하게는 1주일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주일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주일 이상 계속해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12주일 이상 계속해서 섭취 또는 투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NAD) 농도상승제에는,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NAD) 농도의 상승에 의해 발휘되는 기능, 또는, NAD 농도의 향상, 저하 억제, 유지 또는 개선에 의해 발휘되는 기능의 표시가 붙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표시로서, 예컨대, 「NAD 농도의 상승을 통한 미토콘드리아 기능의 향상, 저하 억제, 유지 또는 개선」, 「NAD 농도의 상승을 통한 미토콘드리아에 의한 에너지 산생능의 향상, 저하 억제, 유지 또는 개선」, 「NAD 농도의 저하에 의한 노화의 억제 및/또는 지연」, 「NAD 농도의 상승을 통한 노화 억제」 및 「세포 노화의 억제 및/또는 지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의 기능의 표시가 붙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는, 상기 표시가 붙은 음식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표시는, 상기 기능을 얻기 위해 이용하는 취지의 표시여도 좋다.
본 발명의 제를, 섭취시키는 또는 투여하는 대상(투여 대상이라고도 할 수 있음)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인간 및 인간 이외의 동물에게 섭취시킬 수 있다. 인간 이외의 동물로서는, 예컨대, 산업 동물, 펫 및 실험 동물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산업 동물이란, 소, 말, 돼지, 염소 및 양 등의 가축, 닭, 집오리, 메추리, 칠면조 및 타조 등의 가금과, 방어, 새끼 방어, 참돔, 전갱이, 잉어, 무지개 송어 및 뱀장어 등의 어류 등, 산업상 사육하는 것이 필요로 되고 있는 동물을 말한다. 펫이란 개, 고양이, 마모셋, 작은 새 및 햄스터 등의 소위 애완 동물, 컴패니언 애니멀을 말하고, 실험 동물이란 마우스, 래트, 모르모트, 비글견, 미니 돼지, 붉은털 원숭이 및 게잡이 원숭이 등, 의학, 생물학, 농학 및 약학 등의 분야에서 연구에 공용되는 동물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를, 섭취시키는 또는 투여하는 대상(투여 대상이라고 할 수도 있음)은, 바람직하게는 인간 또는 비인간 포유 동물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인간이다.
일 양태에 있어서, 투여 대상으로서, 니코틴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NAD) 농도의 상승을 필요로 하는 또는 희망하는 대상; NAD 농도의 향상, 저하 억제, 유지 또는 개선을 필요로 하는 또는 희망하는 대상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대상으로서, 예컨대, 중고령자, NAD 농도의 상승을 통해 미토콘드리아 기능을 향상, 저하 억제, 유지 또는 개선을 필요로 하는 또는 희망하는 대상, NAD 농도의 상승을 통해 미토콘드리아의 에너지 산생능을 향상, 저하 억제, 유지 또는 개선을 필요로 하는 또는 희망하는 대상, NAD 농도의 상승을 통해 세포 노화의 억제 및/또는 지연을 필요로 하는 또는 희망하는 대상 등을 들 수 있다. 중고령자는, 예컨대, 40세 이상의 인간이면 좋다. 일 양태에 있어서 중고령자 중에서도, 대상으로서 고령자가 바람직하다. 고령자는, 예컨대, 60세 이상 또는 65세 이상의 인간이면 좋다. 본 발명의 제는, 예컨대,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NAD) 농도의 상승, 또는, NAD 농도의 향상, 저하 억제, 유지 혹은 개선에 의해 예방 또는 개선을 기대할 수 있는 증상 또는 질환의 예방 등을 목적으로 하여, 건강인에 대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하의 방법도 포함한다.
세사민류 중 1종 이상을 투여하는,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NAD) 농도의 상승 방법.
세사민류 중 1종 이상을 투여하는, NAD 농도의 향상, 저하 억제, 유지 또는 개선 방법.
세사민류 중 1종 이상을 투여하는, 가령에 의해 저하한 NAD 농도의 향상, 저하 억제, 유지 또는 개선 방법.
본 발명은 이하의 사용도 포함한다.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NAD) 농도의 상승을 위한, 세사민류 중 1종 이상의 사용.
NAD 농도의 향상, 저하 억제, 유지 또는 개선을 위한, 세사민류 중 1종 이상의 사용.
가령에 의해 저하한 NAD 농도의 향상, 저하 억제, 유지 또는 개선을 위한 세사민류 중 1종 이상의 사용.
상기 방법 및 사용은, 치료적인 방법 또는 사용이어도 좋고, 비치료적인 방법 또는 사용이어도 좋다.
세사민류 중 1종 이상을 투여함으로써,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NAD) 농도의 상승이 가능해진다. 즉, NAD 농도의 향상, 저하 억제, 유지 또는 개선이 가능해진다. 또한, 가령에 의해 저하한 NAD 농도의 향상, 저하 억제, 유지 또는 개선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NAD 농도의 상승을 통한 미토콘드리아 기능의 향상, 저하 억제, 유지 또는 개선이나, NAD 농도의 상승을 통한 미토콘드리아의 에너지 산생능의 향상, 저하 억제, 유지 또는 개선, NAD 농도의 상승을 통한 세포 노화의 억제 및/또는 지연이 가능해진다.
상기 방법 및 사용에 있어서, 세사민류 및 그 바람직한 양태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와 동일하다. 세사민류 중 1종 이상으로서, 세사민류의 화합물 1종을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사용하여도 좋다. 상기 방법 및 사용에 있어서는, 1일에 1회 이상, 예컨대, 1일 1회∼수회(예컨대 2∼3회), 세사민류 중 1종 이상을 대상에게 투여하는(섭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 및 사용에 있어서는, 세사민류를, 경구 투여하는(경구 섭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은, 바람직하게는 인간 또는 비인간 포유 동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인간에게 있어서의 사용이다.
상기 방법 및 사용에 있어서는, 원하는 작용(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NAD) 농도의 상승에 의한, 미토콘드리아 기능의 향상, 저하 억제, 유지 또는 개선 작용, 미토콘드리아의 에너지 산생능의 향상, 저하 억제 또는 유지 작용, 및/또는, 세포 노화의 억제 및/또는 지연 작용)이 얻어지는 양(유효량이라고 할 수도 있음)의 세사민류 중 1종 이상을 사용하면 좋다. 세사민류의 바람직한 투여량이나 투여 대상 등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제 또는 조성물과 동일하다. 세사민류는, 그대로 투여하여도 좋고, 이것을 포함하는 제 또는 조성물로서 투여하여도 좋다. 예컨대, 전술한 본 발명의 제 또는 조성물을 사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제 또는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세사민류 중 1종 이상의 사용도 포함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및 2, 비교예 1: 세사민·에피세사민 혼합물(SE)(세사민:에피세사민(중량비=1:1))에 의한 세포 내 NAD+ 농도(NAD 농도)의 평가 시험>
세포 내 NAD+ 농도에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1.0×105 cells/well의 HepG2 세포를 12웰 플레이트에 파종하고, 37℃, CO2(5%)의 조건에서 DMEM 배지(나카라이테스크 가부시키가이샤, 10% FBS 함유) 중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24시간 후에, 세사민·에피세사민 혼합물(SE)을 함유하지 않는 DMEM 배지(1% 알부민 함유, FBS 없음(비교예 1: 대조)), SE를 1 μM 포함하는 DMEM 배지(1% 알부민 함유, FBS 없음(실시예 1)) 혹은 SE를 10 μM 포함하는 DMEM 배지(1% 알부민 함유, FBS 없음(실시예 2))를, 각 웰 중의 배지와 교환하고, 24시간 더 배양하였다. 그 후, 첨가 배지를 제거하고, 웰 중의 세포를 D-PBS(나카라이테스크 가부시키가이샤)로 세정 후, NADH/NAD Extraction Buffer(NAD+/NADH Quantification Colorimetric Kit, Biovision사)를 첨가하여 세포 현탁액을 회수하였다. 그 후, Kit의 메뉴얼에 따라 세포 추출액을 얻어, 세포 내 NAD+ 농도를 분석하였다. 세포 내 NAD+ 농도는, 세포 추출액의 단백질 농도를 측정하여(Pierce(등록상표) BCA Protein Assay Kit, Thermo Scientific사), 단백질 농도당의 값으로서 산출하였다. 얻어진 결과(N=2의 평균)를 도 1에 나타낸다.
도 1로부터, 세포 내 NAD+ 농도는, 비교예 1의 대조군(SE를 함유하지 않는 배지)에 대하여, 실시예 1의 SE 1 μM군에서 20%, 실시예 2의 SE 10 μM군에서 37%의 증가가 인정되었다. 이상으로부터, SE 처리에 의한 세포 내 NAD+ 농도의 용량 의존적인 증가 효과를 확인하였다.

Claims (13)

  1. 세사민류 중 1종 이상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NAD) 농도상승제.
  2. 제1항에 있어서, 세사민류 중 1종 이상이 세사민 및/또는 에피세사민인 농도상승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NAD 농도를 향상, 저하 억제, 유지 또는 개선시키는 농도상승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NAD 농도의 상승을 통해 미토콘드리아 기능을 향상, 저하 억제, 유지 또는 개선시키는 농도상승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NAD 농도의 상승을 통해 미토콘드리아의 에너지 산생능을 향상, 저하 억제, 유지 또는 개선시키는 농도상승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NAD 농도의 저하에 따른 노화의 억제 및/또는 지연을 위해 사용되는 농도상승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구용 조성물인 농도상승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식품인 농도상승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NAD 농도의 저하에 따른 노화의 억제 및/또는 지연」 및/또는 「세포 노화의 억제 및/또는 지연」의 표시를 붙인 농도상승제.
  10. 세사민류 중 1종 이상을 투여하는,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NAD) 농도의 상승 방법.
  11. 세사민류 중 1종 이상을 투여하는,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NAD) 농도의 향상, 저하 억제, 유지 또는 개선 방법.
  12.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NAD) 농도의 상승을 위한, 세사민류 중 1종 이상의 용도.
  13.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NAD) 농도의 향상, 저하 억제, 유지 또는 개선을 위한, 세사민류 중 1종 이상의 용도.
KR1020227042554A 2020-05-11 2021-05-07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nad) 농도상승제 KR202300094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83461 2020-05-11
JP2020083461 2020-05-11
PCT/JP2021/017469 WO2021230145A1 (ja) 2020-05-11 2021-05-07 ニコチンアミドアデニンジヌクレオチド(nad)濃度上昇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9417A true KR20230009417A (ko) 2023-01-17

Family

ID=78525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2554A KR20230009417A (ko) 2020-05-11 2021-05-07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nad) 농도상승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WO2021230145A1 (ko)
KR (1) KR20230009417A (ko)
CN (1) CN115867270A (ko)
AU (1) AU2021271499A1 (ko)
TW (1) TW202200129A (ko)
WO (1) WO20212301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87281B (zh) * 2022-11-22 2024-04-09 阿基米德(广州)化妆品研究有限公司 一种超分子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1876A1 (en) * 2011-04-15 2012-10-18 Nestec S.A. Methods for regulating sirtuin gene expression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1: Imai, S. & Guarente, L. (2014) Trends Cell Biol., 24, 464-471. "NAD+ and sirtuins in aging and disease"
비특허문헌 2: Yoshida M, Satoh A, Lin JB, Mills KF, Sasaki Y, Rensing N, Wong M, Apte RS, Imai SI., Cell Metab. (2019) 30(2): 329-342. e5. "Extracellular Vesicle-Contained eNAMPT Delays Aging and Extends Lifespan in M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1271499A1 (en) 2022-12-15
TW202200129A (zh) 2022-01-01
WO2021230145A1 (ja) 2021-11-18
CN115867270A (zh) 2023-03-28
JPWO2021230145A1 (ko) 2021-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97496B1 (en) Composition containing riboflavin and sesamin-class compounds
US20210128664A1 (en) Agent for Activating Astrocyte Glucose Metabolism
US20180071248A1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circadian rhythm
KR20230009417A (ko)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nad) 농도상승제
KR101775087B1 (ko) 멀베로푸란 g, 상게논 g 및 상게놀 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트레스 또는 우울 증상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230146A1 (ja) Nr及び/又はnmnとセサミン類とを含有する組成物
WO2021205975A1 (ja) 細胞老化抑制用組成物及び細胞老化を抑制する方法
KR20200063772A (ko) 진세노사이드 Re를 포함하는 거저리 유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EP4082612A1 (en) Composition containing sesamin and pqq
WO2022071117A1 (ja) 抗疲労用組成物及びエネルギー産生能の向上、低下抑制又は維持のための組成物
WO2023223943A1 (ja) 血管内皮機能改善用組成物
WO2021065661A1 (ja) 筋肉量の低下抑制、低下予防、維持、回復又は増加用組成物
KR20120055159A (ko) 감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불면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WO2024095303A1 (ja) エネルギー産生の向上、低下抑制又は維持用組成物
WO2017130638A1 (ja) アストロサイトのグルコース代謝活性化剤
TW202123954A (zh) 生活活動量之維持、預防降低、抑制降低或改善用組成物
KR20200037172A (ko) 큰뱀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06283A (ko) 비파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27662A (ko) 큰뱀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 증상, 스트레스 또는 인지기능 장애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036631A (ko) 카테킨 생체 이용률 증진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