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9357A - 딜티아젬 및 바이러스 중합효소 억제제의 병용 - Google Patents

딜티아젬 및 바이러스 중합효소 억제제의 병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9357A
KR20230009357A KR1020227027575A KR20227027575A KR20230009357A KR 20230009357 A KR20230009357 A KR 20230009357A KR 1020227027575 A KR1020227027575 A KR 1020227027575A KR 20227027575 A KR20227027575 A KR 20227027575A KR 20230009357 A KR20230009357 A KR 202300093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oxavir
diltiazem
virus
combination
vi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7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올리비에 떼리에
마누엘 로사-칼라트라바
기 부아뱅
마리오-안드레스 피쪼르노
블랑딘 파데이
Original Assignee
위니베르시테 끌로드 베르나르 리옹 Ⅰ
인스티튜트 내셔널 드 라 싼테 에 드 라 리셰르셰 메디칼르 (인 썸)
상뜨르 나쇼날 드 라 러쉐르쉬 샹띠피끄
시그니아 세러퓨틱스
유니버시티 라발
에콜 노르말 쉬페리외르 드 리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베르시테 끌로드 베르나르 리옹 Ⅰ, 인스티튜트 내셔널 드 라 싼테 에 드 라 리셰르셰 메디칼르 (인 썸), 상뜨르 나쇼날 드 라 러쉐르쉬 샹띠피끄, 시그니아 세러퓨틱스, 유니버시티 라발, 에콜 노르말 쉬페리외르 드 리옹 filed Critical 위니베르시테 끌로드 베르나르 리옹 Ⅰ
Publication of KR20230009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93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even-membered rings, e.g. azelastine, pentylenetetrazole
    • A61K31/55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even-membered rings, e.g. azelastine, pentylenetetrazole having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sulfur as ring hetero atoms, e.g. clothiapine, diltiaz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06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hree nitrogen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e.g. chlorazanil, melam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s, e.g. 1,2-oxazines
    • A61K31/53751,4-Oxazines, e.g. morpholine
    • A61K31/53831,4-Oxazines, e.g. morpholine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7Pulmonary tract; Aromatherapy
    • A61K9/0073Sprays or powders for inhalation; Aerolised or nebulised preparations generated by other means than thermal ener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6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influenza or rhino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Vir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olaryng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딜티아젬, 및 발록사비르 마르복실, 피모디비르, RO-7 및 CC-42344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이러스 중합효소 억제제 화합물의 병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바이러스 감염, 특히 인간 또는 동물 신체의 호흡기 및/또는 장관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서 상기 병용물의 치료적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딜티아젬 및 바이러스 중합효소 억제제의 병용
본 발명은 적어도 2종의 항바이러스 화합물의 신규 병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서 이의 사용을 위한 이러한 병용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특히, 본 발명은 바이러스 감염, 특히 호흡기 및/또는 장 상피 세포에 영향을 미치는,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서 이의 치료적 사용을 위한 이러한 병용물에 관한 것이다.
인간 급성 호흡기 감염 (ARI)은 전세계적으로 상담, 입원 및 사망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서, 특히 연간 2백만명을 초과하는 어린이가 사망하는 주요한 사망 원인이다.
급성 호흡기 감염의 원인이 되는 병인원 중에서, 바이러스가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한다. 실제로, 그들은 대부분의 소아 폐렴 사례에서 발견되고 성인에서 박테리아성 폐렴의 소인성 인자이다.
빈도 (계절성 유행병) 및 이환률 측면에서 가장 대표적인 바이러스 중에서, A형 및 B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우세하고 또한 재발성 광역 유행병의 위험 인자를 구성한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또한 호흡기 동시-감염 사례에서 증가된 동반이환률 및 동반사망률의 원인이 되는 병인원을 구성하고, 또한 인간 및 동물에서 항생제 치료의 유효성을 근본적으로 위협하는, 항생제-내성 박테리아 균주의 출현의 원인이 된다.
바이러스, 특히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예방적 또는 치료적 치료의 측면에서, 현재 무기는 다소 제한적이다.
현재, 백신접종이 독감 예방을 위한 주요 전략이다. 그러나, 백신의 사용은 단점을 갖는다. 예를 들어, 새로운 계절성 바이러스 균주의 출현 동안, 새로운 백신을 개발하고 처방하기 위해 6개월 내지 9개월의 기간이 필요하다. 게다가, 백신은 순환성 균주가 돌연변이될 때 효능을 상실한다. 마지막으로, 발육 계란을 기반으로 하는 통상의 백신 생산 과정을 통해서, 조류 기원의 일정 광역 유행병 균주 예컨대 H5N1 또는 H7N9에 대한 백신을 생산하는 것은 어렵거나 또는 심지어 불가능하다.
저널 (Pizzorno et al., 2019b)은 독감 치료의 상황에서 사용되는 주요 치료 화합물을 비롯하여, 그들 작용 방식을 제공한다.
치료 작용이 필요할 때, 현재 사용되는 주요한 항바이러스 화합물은 다음과 같다: 오셀타미비르/Tamiflu® (ROCHE); 잔나미비르/Relenza® (GSK); 및 발록사비르 마르복실/Xofluza® (ROCHE)로서, 미국 및 일본을 포함한 몇몇 국가에서 입수가능하다.
잔나미비르 및 오셀타미비르는 뉴라미니다제 억제제이다.
발록사비르 마르복실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중합효소 복합체의 억제제이고; 또한 최근에 다른 음성-가닥 RNA 게놈 바이러스의 중합효소의 억제제로서 특징규명되었다 (Wang et al., 2020).
비교적 효과적이지만, 이들 항바이러스 치료는 또한 상당한 단점을 갖는데, 첫째로, 상기 항바이러스 화합물에 내성인 바이러스의 출현 증가, 및 둘째로, 이들 화합물의 광범위 항바이러스 활성의 결여이다.
실제로, 이들 항바이러스 화합물은 숙주 세포가 아닌, 바이러스 결정인자를 표적으로 한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고빈도 돌연변이로 인해서 (복제 측면에서 그다지 충실하지 않은 그들 중합효소 및 상이한 바이러스 중에서 유전자 재분류의 출처인 그들의 분절화된 게놈에 내재), 통상의 항바이러스제는 반복적인 바이러스 내성을 유도한다.
발록사비르 마르복실의 경우에, 몇몇 최근 연구들은 내성 발생 위험성이 매우 높다고 지적한다. 한 제3상 임상 연구에서, 내성 균주의 발생률은 거의 10%로서, 주로 A 바이러스 (H3N2)였다. 보다 우려할만하게, 한 소아 연구에서 내성률은 거의 20%에 달하였다 (Omoto et al., 2018). 게다가, 발록사비르 마르복실에 대해 내성이 있는 돌연변이체에 대한 추가적인 최근의 한 연구는 주요한 내성 돌연변이 중 하나 (PA I38T)가 바이러스 배출의 연장 및 증상 감소의 개시의 지연을 야기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Uehara et al., 2019).
마지막으로, 발록사비르 마르복실로 치료되지 않은 일부 감염된 환자가 내성 균주를 배출하여서, 발록사비르에 내성인 바이러스의 개체 간에 양호한 전염성을 입증하고, 이들 돌연변이체 바이러스의 가능한 대규모 확산 우려를 야기한다 (Takashita et al., 2019). 그러나 내성의 임상적 영향은 특히 입원한 대상체 및 면역저하 개체에서 특히 문제가 된다.
그러므로, 이들 내성의 출현을 제한하려는 목적으로, 새로운 항바이러스 화합물을 적극적으로 찾고 있다. 특히, 적어도 2종의 항바이러스 화합물의 병용물을 기반으로 하는 병용 요법이 특히 유망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병용된 2종의 항바이러스 화합물이 상승적 활성을 갖는 경우에, 이것은 사용되는 활성 화합물의 용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만들고 따라서 유의한 항바이러스 치료 효과를 보장하면서 내성의 출현 위험성을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난 수년 동안 확인된 새로운 항바이러스 화합물 중에서, 딜티아젬을 특히 언급할 수 있는데, 이것은 바이러스보다는 숙주 세포에 작용하는 활성 화합물로서, 따라서 상이한 바이러스 감염을 치료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국제 특허 출원 공개 번호 WO 87/07508은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또는 헤르페스와 관련된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를 위한 딜티아젬의 용도를 기술한다.
국제 특허 출원 공개 번호 WO 2011/066657은 바이러스 감염 예컨대 구강 헤르페스, 생식기 헤르페스, 및 대상포진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딜티아젬의 용도를 기술한다.
국제 특허 출원 공개 번호 WO 2016/146836 및 논문 (Pizzorno et al., 2019a)은 가능하게 다른 항바이러스제와 병용하여,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을 치료하기 위한 딜티아젬의 용도를 기술한다. 딜티아젬 및 오셀타미비르의 병용물이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감염을 치료하는데 제안된다.
국제 특허 출원 공개 번호 WO2019/224489는 호흡기 상피 세포에서 III형 인터페론을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유도하는 딜티아젬의 일정 생물학적 효과를 상세하게 개시한다. 따라서, 딜티아젬은 다양한 치료적 용도에서, 특히 호흡기 및 장 상피에서 바이러스 및 박테리아 호흡기 감염의 치료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딜티아젬은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를 위한 매우 유망한 신규 치료 선택안이다.
그러나, 이 화합물의 치료적 용도의 수많은 장점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특히, 다른 항바이러스제와 병용하여 이의 사용은 예측할 수 없었던 놀라운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딜티아젬, 및 발록사비르 마르복실, 피모디비르, RO-7 및 CC-42344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이러스 중합효소 억제제 화합물의 병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특히 바이러스 감염, 특히 인간 또는 동물 신체의 호흡기 및/또는 장관 감염, 및 보다 특히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서, 약물로서 이의 사용을 위한 이러한 병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딜티아젬, 및 발록사비르 마르복실, 피모디비르, RO-7 및 CC-42344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이러스 중합효소 억제제 화합물의 병용물을, 약학 비히클에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발명은 또한 특히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서 이의 치료적 사용을 위한 이러한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특히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서 이의 동시, 별도 또는 순차적 사용을 위한, 딜티아젬, 및 발록사비르 마르복실, 피모디비르, RO-7 및 CC-42344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이러스 중합효소 억제제 화합물을 포함하는 병용물 제품에 관한 것이다.
도면 및 그들 범례에서, 단순화의 목적을 위해서, 하기 명칭 및 약어가 사용될 것이다:
- Dil 또는 DIL은 딜티아젬을 표시하고;
- FAV는 파비피라비르를 표시하고;
- BLX, Bal 또는 발록사비르는 발록사비르 (발록사비르 산)의 활성 형태를 표시한다.
도 1은 H1N1nLuc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된 배양물 중 세포에 대한 딜티아젬 + 발록사비르 병용물의 항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낸다.
도 1a: 실험 시간표.
도 1b: H1N1nLuc 바이러스에서 단일요법으로서 딜티아젬 및 발록사비르 분자의 용량-효과 곡선 (EC50의 결정).
도 1c: H1N1nLuc 재조합 바이러스에 대한 병용물에서, 딜티아젬 (DIL) 및 발록사비르 (BLX)의, 사용된 농도에 의존적인, 상승적 효과의 그래프.
도 2는 H1N1nLuc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된 배양물 중 세포에 대한 딜티아제 + 파비피라비르 병용물의 항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낸다.
도 2a: 실험 시간표
도 2b: H1N1nLuc 바이러스에서 단일요법으로서 딜티아젬 및 파비피라비르의 용량-효과 곡선 (EC50의 결정).
도 2c: H1N1nLuc 재조합 바이러스에 대한 병용물에서, 딜티아젬 (DIL) 및 파비피라비르 (FAV)의, 사용된 농도에 의존적인, 상승 또는 길항 효과의 그래프.
도 3은 인간 호흡기 상피 모델에서 A/H1N1 바이러스 그 다음에 A/H3N2 바이러스의 복제에 대한, 딜티아젬 및 발록사비르를 비롯하여, 양쪽 화합물의 병용물에 의한 치료의 효과를 나타낸다.
도 3a: 실험 시간표.
도 3b: 미처치 상피 / 용매 DMSO 처치된 상피 / 딜티아젬 (90 μM) 처치 상피 / 발록사비르 (10 nM) 처치 상피 / 딜티아젬 (90 μM) 및 발록사비르 (10 μM)의 병용물 처치 상피에 대한 감염 후 (pi) 시간 동안, A/H1N1에 의한 바이러스 감염의 바이러스 적정의 비교.
도 3c: 도 3b의 범례에서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은, 상피 상에서, 감염 후 (pi) 시간 동안, A/H1N1에 의한 바이러스 감염의 경상피 저항 추적 (TEER) 측정.
도 3d: 미처치 상피 / 용매 DMSO 처치된 상피 / 딜티아젬 (90 μM) 처치 상피 / 발록사비르 (10 nM) 처치 상피 / 딜티아젬 (90 μM) 및 발록사비르 (10 μM)의 병용물 처치 상피의 감염 후 (pi) 시간 동안, A/H3N2에 의한 바이러스 감염의 바이러스 적정 비교.
도 3e: 도 3d의 범례에서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은, 상피 상에서, 감염 후 (pi) 시간 동안, A/H3N2에 의한 바이러스 감염의 경상피 저항 추적 (TEER) 측정.
도 4는 인간 호흡기 상피 모델에서 A/H1N1 WT 바이러스 (도 4b, 4c)에 대한 그들 개별 효과의 비교를 통한 발록사비르-내성 A/H1N1 I38T 바이러스 (도 4d, 4e)의 복제에 대한 딜티아젬 및 발록사비르에 의한 단일요법 치료의 효과를 나타낸다.
도 4a: 실험 시간표.
도 4b: 미처치 상피 / 용매 DMSO 처치된 상피 / 딜티아젬 (90 μM) 처치 상피 / 발록사비르 (10 nM) 처치 상피에 대한 감염 후 (pi) 시간 동안, A/H1N1에 의한 바이러스 감염의 바이러스 적정 비교.
도 4c: 도 4b의 범례에서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은, 상피 상에서, 감염 후 시간 경과에 따른, A/H1N1에 의한 바이러스 감염의 경상피 저항 추적 (TEER) 측정.
도 4d: A/H1N1 I38T (발록사비르-내성 균주)에 의한 바이러스 감염. 미처치 상피 / 용매 DMSO 처치된 상피 / 딜티아젬 (90 μM) 처치 상피 / 발록사비르 (10 nM) 처치 상피 / 발록사비르 (100 μM) 처치 상피에 대한 감염 후 (pi) 시간 동안, 바이러스 적정의 비교.
도 4e: A/H1N1 I38T (발록사비르-내성 균주)에 의한 바이러스 감염. 도 4d의 범례에서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은, 상피 상에서, 감염 후 시간 경과에 따른 경상피 저항 추적 (TEER) 측정.
도 5는 인간 상피 모델 상에서 발록사비르-내성 바이러스 균주 A/H1N1 I38T의 복제에 대한, 딜티아젬 및 발록사비르를 비롯하여, 양쪽 화합물의 병용물에 의한 치료의 효과를 나타낸다.
도 5a: 실험 시간표.
도 5b: A/H1N1 I38T (발록사비르-내성 균주)에 의한 바이러스 감염. 미처치 상피 / 용매 DMSO 처치된 상피 / 딜티아젬 (90 μM) 처치 상피 / 발록사비르 (10 nM) 처치 상피 / 딜티아젬 (90 μM) 및 발록사비르 (10 μM)의 병용물 처치 상피 에 대한 감염 후 (pi) 시간 동안 바이러스 적정의 비교.
도 5c: 도 5b의 범례에서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은, 상피 상에서, 감염 후 시간 경과에 따른, A/H1N1 I38T에 의한 바이러스 감염의 경상피 저항 추적 (TEER) 측정.
도 5d: A/H1N1 I38T (발록사비르-내성 균주)에 의한 바이러스 감염. 미처치 상피 / 딜티아젬 (90 μM) 처치 상피 / 발록사비르 (100 nM) 처치 상피 / 딜티아젬 (90 μM) 및 발록사비르 (100 μM)의 병용물 처치 상피에 대한, 감염 후 (pi) 시간 동안, 바이러스 적정의 비교.
도 5e: 도 5d의 범례에서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은, 상피 상에서, 감염 후 시간 경과에 따른 A/H1N1 I38T에 의한 바이러스 감염의 경상피 저항 추적 (TEER) 측정.
도 6은 항바이러스 선택 압력 하에서 바이러스 세포의 연속 계대의 표준 시험에서 발록사비르-내성 바이러스 균주의 출현을 관찰하기 위해 수행된 실험을 예시한다.
도 6a: 실험 시간표.
도 6b: 그래프는 도 6a에서 앞서 기술된 실험 프로토콜에 따른, 각 세포 계대에 대한 상이한 실험 부문 (미처치, 발록사비르 처치, 딜티아젬 처치 및 딜티아젬 + 발록사비르 병용물 처치)에서 사용되는 발록사비르 및 딜티아젬의 농도를 나타낸다.
표는 각 세포 계대 (유의한 세포변성 효과가 관찰됨)로부터 생성되고, 도 6a에서 앞서 기술된 각각의 4개 실험 부문 (미처치, 발록사비르 처치, 딜티아젬 처치 및 딜티아젬 + 발록사비르 병용물 처치)의 각 후속 세포 계대로부터의 MDCK 세포를 감염시키는데 사용된 감염성 상청액의 제한 희석을 표시한다.
하기 5개 도면은 각 실험 부문 (도 6a에서 앞서 기술된 미처치, 발록사비르 처치, 딜티아젬 처치, 및 딜티아젬 + 발록사비르 병용물 처치)의 마지막 세포 계대로부터 생성된 A/H1N1 바이러스에 대한 발록사비르의 중간 억제 농도 (IC50)의 결정을 예시한다.
도 6c: 상이한 증가 농도의 발록사비르가 처치된 MDCK 세포에서, 초기 세포 계대 P0로부터 생성된 A/H1N1 바이러스에 대한 발록사비르의 중간 억제 농도의 결정. 실험에 사용된 A/H1N1 바이러스에 대해 초기에 결정된 IC50은 0.2 nM로 확인되었다.
도 6d: 상이한 증가 농도의 발록사비르가 처치된 MDCK 세포에서, 미처치 실험 부문의 세포 계대 P10으로부터 생성된 바이러스에 대한 발록사비르의 중간 억제 농도의 결정. 처치하지 않은 (미처치) 10번째 세포 계대로부터 발행된 A/H1N1 바이러스에 대한 발록사비르의 계산된 IC50은 0.9 nM이다. 이러한 약간의 증가는 이 실험 부문에서 MDCK 세포의 연속 세포 증폭에 적합화된 A/H1N1 바이러스의 바이러스 복제에 기인할 수 있다.
도 6e: 상이한 증가 농도의 발록사비르로 처치된 MDCK 세포에서, 딜티아젬 처치 실험 부문의 세포 계대 P10으로부터 생성된 바이러스에 대한 발록사비르의 중간 억제 농도의 결정. 딜티아젬 처치된 10번째 세포 계대로부터 발생된 A/H1N1 바이러스에 대한 발록사비르의 계산된 IC50은 0.3 nM이다. 이러한 IC50은 실험에 사용된 A/H1N1 바이러스에 대해서 초기에 결정된 것과 본질적으로 유사하다.
도 6f: 상이한 증가 농도의 발록사비르로 처치된 MDCK 세포에서, 발록사비르 처치 실험 부문의 세포 계대 P8로부터 생성된 바이러스에 대한 발록사비르의 중간 억제 농도의 결정. 발록사비르 처치 (증가 농도)된 8번째 세포 계대로부터 발행된 A/H1N1 바이러스에 대한 발록사비르의 계산된 IC50은 7 nM이다. 이러한 IC50은 실험에 사용된 A/H1N1 바이러스에 대해 초기에 결정된 것보다 훨씬 더 높다 (IC50=0.2 nM). 초기 IC50의 35배에 상응하는, 이러한 증가는 발록사비르-내성 표현형을 갖는 바이러스의 출현을 확인시켜준다.
도 6g: 상이한 증가 농도의 발록사비르가 처치된 MDCK 세포에서, 딜티아젬 + 발록사비르 병용물 처치 실험 부문의 세포 계대 P6으로부터 생성된 바이러스에 대한 발록사비르의 중간 억제 농도의 결정. 딜티아젬 + 발록사비르 병용물 처치 (증가 농도)된 6번째 세포 계대로부터 발생된 A/H1N1 바이러스에 대한 발록사비르의 계산된 IC50은 0.8 nM이다. 이러한 IC50은 처치하지 않은 실험 부문에서 10번째 세포 계대로부터 발행된 A/H1N1 바이러스에서 발록사비르에 대해 계산된 것 (0.9 nM, 도 6d 참조)과 매우 유사하고, 실험에서 사용되고 세포 계대 P0으로부터 생성된 A/H1N1 바이러스에서 초기에 계산된 것 (IC50=0.2 nM, 도 6c 참조)에 비해서 약간 더 높다.
본 발명은 딜티아젬, 및 발록사비르 마르복실, 피모디비르, RO-7 및 CC-42344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바이러스 중합효소 억제제 화합물의 병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병용물"은 적어도 2종의 별개 활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의미하고, 양쪽 화합물은 항바이러스 작용을 갖는다.
이러한 병용물은 중량 기준으로 동일 분량의 각 항바이러스 화합물, 즉, 중량 기준으로 50% 딜티아젬 및 50% 바이러스 중합효소 억제제의 병용물, 또는 상이한 용량의 각 화합물, 예컨대 90% 딜티아젬 및 10% 바이러스 중합효소 억제제, 80% 딜티아젬 및 20% 바이러스 중합효소 억제제, 70% 딜티아젬 및 30% 바이러스 중합효소 억제제, 60% 딜티아젬 및 40 % 바이러스 중합효소 억제제, 40% 딜티아젬 및 60% 바이러스 중합효소 억제제, 30% 딜티아젬 및 70% 바이러스 중합효소 억제제, 20% 딜티아젬 및 80% 바이러스 중합효소 억제제, 또는 심지어 10% 딜티아젬 및 90% 바이러스 중합효소 억제제를 포함하고, 백분율은 병용물의 총 중량에 대해서 화합물의 중량으로 표시된다.
본 발명의 제1 구현예에 따라서, 병용물은 딜티아젬 및 발록사비르 마르복실을 포함한다. 보다 특히 병용물은 딜티아젬 및 발록사비르 마르복실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변형에서, 병용물은 딜티아젬 및 이의 활성형 (발록사비르 산)으로 발록사비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구현예에 따라서, 병용물은 딜티아젬 및 피모디비르를 포함한다. 보다 특히 병용물은 딜티아젬 및 피모디비르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3 구현예에 따라서, 병용물은 딜티아젬 및 RO-7을 포함한다. 보다 특히 병용물은 딜티아젬 및 RO-7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4 구현예에 따라서, 병용물은 딜티아젬 및 CC-42344를 포함한다. 보다 특히 병용물은 딜티아젬 및 CC-42344로 이루어진다.
다른 구현예에 따라서, 병용물은
- 딜티아젬, 발록사비르 마르복실 및 CC-42344;
- 딜티아젬, 발록사비르 마르복실 및 피모디비르;
- 딜티아젬, 발록사비르 마르복실 및 RO-7; 또는 심지어
- 딜티아젬, 및 발록사비르 마르복실, 피모디비르, RO-7 및 CC-42344의 모든 가능한 병용물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병용물은 하기에 상술된,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적어도 2종의 활성 화합물을 포함하거나 또는 그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병용물은 상승적 항바이러스 효과를 갖는데, 이의 장점 중 하나는 각각의 항바이러스 화합물에 사용되는 용량이 단일요법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용량에 비해서 감소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한편으로, 치료되는 유기체에 대한 부정적인 부작용의 출현을 제한하고, 다른 한편으로, 상기 항바이러스 화합물에 대한 바이러스 내성의 출현을 제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특허 출원은 또한 하기 기술된 바와 같은 딜티아젬 및 적어도 하나의 바이러스 중합효소 억제제 화합물의 병용물을 기술한다.
딜티아젬
딜티아젬은 CAS 번호 42399-41-7로 참조되는, 벤조티아제핀 패밀리의 구성원인 분자이다. 이러한 분자는 2개의 L-cis 및 D-cis 거울상 이성질체 또는 라세믹 혼합물의 형태일 수 있다.
딜티아젬 히드로클로라이드의 구조 화학식은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된다:
Figure pct00001
딜티아젬은 30년 넘게 알려져 있었고, 유럽 및 미국에서, 약물 규제 기관에 의해 승인되었다. 이것은 딜티아젬 히드로클로라이드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Cardizem®, Cartia®, Taztia® 및 Dilacor®가 가장 일반적인 상표명이다.
많은 제제가 이용가능한데, 특히 연장-방출 제제이다. 딜티아젬은 상이한 제형 (dosage form) 으로, 예컨대 국소 도포를 위한 크림 형태, 경구 투여를 위한 정제 또는 캡슐의 형태, 주사용 용액의 조제를 위한 분말의 형태, 또는 흡입을 위한 약학 조제물의 형태로 이용가능하다 (WO 02/094238, US 4,605,552).
인간에서 사용되는 표준 용량 용법은 칼슘 채널 억제제로서 이의 치료적 사용을 위해, 캡슐 또는 정제로 투여되는, 180 mg/일 내지 360 mg/일이다.
이 화합물에서 처음 확인된 생리적 성질은 칼슘 채널 억제이고, 그러므로 세포내 칼슘 흐름의 억제이다. 딜티아젬은 특히 심근 근육 섬유 및 혈관의 평활근 섬유에서 경막 칼슘의 진입을 억제한다. 이것은 수축성 단백질에 도달하는 세포내 칼슘 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만든다.
인간에서, 딜티아젬 투여는 심장 부하를 감소시키려는 목적을 위해서, 이의 혈관확장 작용을 위해 권고된다. 이것은 또한 심장 및 순환 장애 예컨대 협심증, 동맥 고혈압, 심근 허혈 및 빈맥의 치료에서 사용된다.
딜티아젬은 또한 신장 및 말초 방향으로부터, 안지오텐신 II의 효과를 반전시킴으로써 작용한다.
국소 도포에서, 딜티아젬은 만성 치열의 사례에서 권고될 수 있다.
특허 EP 1117408은 망막 광수용체 퇴화와 관련된 병상을 치료하기 위한 칼슘-채널 억제제 화합물로서 딜티아젬의 용도를 기술한다.
이전에 논의된 바와 같은, 바이러스 감염을 치료하기 위한 딜티아젬의 용도와 관련하여, 이것은 이미 몇몇 특허 출원에 기술되어 있다. 게다가, 이러한 새로운 항바이러스 치료 적응증에 대한 판매 승인을 수득하려는 목적을 위해서, 임상 시험이 현재 진행 중에 있다 (FLUNEXT PHRC #15-0442 ClinicalTrials.gov Identifier: NCT03212716).
바이러스 중합효소 복합체 억제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중합효소 복합체는 3개 서브유닛으로서, 염기성 단백질 1 (PB1), 염기성 단백질 2 (PB2) 및 산성 단백질 (PA)로 구성된다. 이러한 복합체는 바이러스 게놈의 전사 및 복제를 허용한다.
개발 중이고/이거나 최근에 판매 승인을 받은 항바이러스 치료는 이 중합효소 복합체의 상이한 서브유닛을 표적으로 하고, 상이한 작용 기전에 따라 작용한다:
- 발록사비르 마르복실은 PA 서브유닛에 의해 매개되는 엔도뉴클레아제 억제제이고,
- 피모디비르는 PB2 서브유닛의 억제제이고,
- 파비피라비르는 중합효소 복합체에 의해 RNA 연장을 억제하는 뉴클레오시드 유사체이다.
규제 기관에 의해 승인되고 판매되는 이러한 중합효소 복합체에 대한 최초 억제제 화합물은 발록사비르 마르복실이었다. 현재, 다른 PB2 억제제 (피모디비르) 및 PB1 억제제 (파비피라비르)는 각각 제3상 임상 시험에서 시험되고 있거나 또는 제한적인 승인을 받았다.
발록사비르 마르복실
본 출원 (특히, 도면)에서 발록사비르라고도 하는, 발록사비르 마르복실 (S-033188)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중합효소 복합체의 PA 서브유닛의 cap-의존적 엔도뉴클레아제 활성을 억제하는 분자이다. 이 분자는 살아있는 유기체에 투여 후, 바이러스 중합효소 복합체의 PA 서브유닛의 활성 부위 내 2개 망간 이온과 안정한 결합을 형성하여 바이러스 mRNA 합성의 개시를 억제하는 이의 활성 형태 "발록사비르 산"으로 대사되는 프로드러그이다. 활성 대사산물로 프로드러그의 물질대사는 빠르지만 발록사비르 산의 간 제거는 길고 (50시간 내지 90시간의 반감기), 단일 용량의 경구 투여를 가능하게 한다 (Hayden & Shindo, 2019). 본 출원에서, 용어 "발록사비르"는 CAS 번호 1985606-14-1의 프로드러그 발록사비르 마르복실의 물질대사 이후에 수득된, CAS 번호 1985605-59-1의 활성 형태 "발록사비르 산"을 의미한다.
이러한 활성 형태는 모든 시험관내 실험에 사용된다. 첫번째 시험관내 연구는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A (1.4 내지 3.1 nM의 평균 EC50) 및 B (4.5 내지 8.9 nM의 평균 EC50)를 억제하는 매우 양호한 효능을 보였다. 발록사비르는 또한 아다만탄 및 뉴라미니다제 억제제 (H274Y)에 내성인 바이러스 및 조류 저장소로부터 발생된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의 상이한 아형에 효과적인 것으로 증명되었다. 발록사비르 및 뉴라미니다제 억제제 (오셀타미비르)의 병용물은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 (H1N1)에 의한 치명적 감염으로부터 마우스를 보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상승적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병용물은 또한 치료 개시 이후 24시간에, 폐에서 바이러스 역가의 유의한 감소를 허용한다 (Fukao et al., 2019).
발록사비르 마르복실은 단일 용량 (오셀타미비르 경우 5일 치료와 대조적) 및 뉴라미니다제 억제제에 비해 증가된 항바이러스 활성으로 이루어진 치료적 용법을 허용하는 이의 긴 반감기를 고려하면 독감 감염의 치료에 혁명을 일으킬 잠재성을 갖는다.
최근의 제3상 임상 연구에서, 비입원 인플루엔자-감염 성인에서 바이러스 배출 중단까지 중간 시간은 발록사비르 마르복실 처치 그룹의 경우 48시간으로서, 오셀타미비르 처치 그룹의 72시간, 및 위약 그룹의 96시간과 비교되지만, 증상 지속기간의 차이는 2개 유형의 치료 간에 유의하지 않았다 (Hayden et al., 2018).
발록사비르 마르복실은 이 화합물이 투여된 환자의 4% 내지 5%에서 주로 소화기 부작용 (구역, 설사 등)에 매우 잘 견딘다.
대신에, 이 분자의 주요 단점 중 하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중합효소 복합체의 PA 서브유닛에서 내성 돌연변이의 신속한 출현이다. 처음 시험관내 시험으로부터, 발록사비르에 대한 바이러스의 민감도에서 10배 내지 100배 감소를 일으키는 PA의 아미노산 I38의 주요 치환 (I38T/M/ 또는 페닐알라닌 F)을 갖는 바이러스 변이체가 단리되었다 (Noshi et al., 2018). 임상적으로, 현재 매우 드물지만, 이들 치환은 항바이러스 치료의 부재 시에 발견될 수 있다 (Takashita et al., 2019). 임상 시험 동안, PA 내 I38T/M 치환은 발록사비르 마르복실이 처치된 환자의 2% 내지 24%에서 발견되었다. 게다가, 임상 징후의 지속기간은 발록사비르 마르복실이 처치되고 돌연변이된 바이러스를 갖는 환자에서 덜 감소하였다.
최근에, 발록사비르 마르복실의 항바이러스 효과는 음성 가닥 절편화 RNA 게놈을 갖는 다른 유형의 바이러스, 예컨대 중증 열성 혈소판감소 증후군 바이러스 (SFTSV) 및 하트랜드 바이러스 (HRTV), 진드기-매개 병원체에서 관찰되었다 (Wang et al., 2020)
피모디비르
피모디비르 (JNJ63623872 또는 JNJ-872 또는 VX-787)는 cap-결합 부위에 결합하여, 천연 리간드 7-메틸 GTP의 결합 및 바이러스 mRNA 합성을 방지하여서,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 중합효소 복합체의 PB2 서브유닛을 억제하는 복합체이다 (Clark et al., 2014).
피모디비르는 용량에 의존하여 주로 소화기 부작용 (구역, 설사 등)에 충분히 내약성이 있다.
2회의 제III상 임상 시험이 2017-2018 시즌 동안 수행되었다.
임의의 항-감염 치료와 관련하여, PB2 중 내성 돌연변이가 시험관내 및 생체내에서 확인되었다. PB2 중 M431I 치환은 대략 60배의 민감도 감소의 원인이 되고, 피모디비르에 의한 단일 요법으로 처치된 환자의 10%에서 발견되었다 (Trevejo et al., 2018).
RO-7
RO-7은 2016년에 발견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중합효소 복합체의 산성 단백질 PA의 엔도뉴클레아제 활성의 억제제이다. 이러한 화합물은 조류 저장소에 존재하거나 또는 인간에서 순환하는 광범위 선택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서 양호한 시험관내 활성을 갖는다 (1.1 내지 21.6 nM의 EC50). RO-7의 사용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치명적 감염으로부터 마우스를 보호하는 한편 그들 폐에서 바이러스 부하를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RO-7은 발록사비르 마르복실과 구조적으로 매우 유사하므로, PA의 아미노산 I38 치환은 또한 이 분자에 대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민감도의 감소를 야기시킨다.
CC-42344
CC-42344는 가장 최근에 확인된 화합물 중 하나이다. 이것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중합효소 복합체에 대한 PB2 서브유닛의 활성을 억제하여 작용한다. 전임상 데이터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지만 이 분자는 양호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지고, IV 또는 흡입을 통해서 경구로 투여될 수 있다.
리바비린
리바비린 (Virazole)은 수많은 DNA 및 RNA 바이러스에 대해 활성인 광범위 항바이러스 분자이다. 이것은 이의 모노포스페이트 형태로, 이노신 5'-모노포스페이트 데히드로게나제 (IMPDH)를 억제하고, 이용가능한 GTP 수준을 감소시키는, 구아노신 유사체이다. 이의 트리포스페이트 형태로, 전사된 바이러스 RNA에 도입되어서, RNA 연장을 차단하고 돌연변이원 효과를 갖는다. 그러므로, 이것은 바이러스 게놈 복제 억제제로 간주된다.
시험관내 연구에서, 리바비린은 모든 유형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해 유효한 것으로 증명되었다. 대신에, 임상 연구들은 경구 투여된 리바비린이 독감 바이러스에 효과적이지 않았다고 결론내렸다. 게다가, 관찰된 수많은 부작용들은 이의 사용을 제한한다. 그러나, 다른 항바이러스 화합물과 리바비린의 병용물을 기반으로 하는 몇몇 임상 시험들이 인간에서 진행 중에 있다.
파비피라비르
파비피라비르 또는 T-705는 특히 다양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 황열 바이러스, 구제역 바이러스를 비롯한, 다른 플라비바이러스, 아레나바이러스, 부니야바이러스 및 알파바이러스를 포함한, RNA 바이러스, 특히 오르쏘믹소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제로서 사용되는 화합물이다.
이 분자는 이들 바이러스의 중합효소의 선택적 억제를 통해 작용한다 (Yousuke et al., 2009).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이의 효과와 관련하여, 파비피라비르는 MDCK 세포 배양물에서, 뉴라미니다제 억제제에 내성인 바이러스를 포함한, 인플루엔자 A, B 및 C 바이러스에서 효능을 비롯하여, A/푸에르토리코/8/34 균주로 감염된 마우스 모델에서 효능을 보였다. 파비피라비르는 낮은 세포독성을 나타내고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중합효소를 특이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뉴클레오시드 유사체로서 작용한다.
생체내에서, 파비피라비르는 오셀타미비르에 민감하거나 또는 내성인 고도의 병원성 바이러스 A/H5N1로 감염된 마우스를 보호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증명되었다.
오셀타미비르 및 파비피라비르 병용물은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된 마우스에서 일정 농도에서 상승적인 것으로 증명되었다.
파비피라비르-내성 돌연변이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중합효소에서 확인되었다 (Goldhill et al., 2018).
인간에서 이 화합물의 치료적 용도는 2014년 이래로 일본에서 판매 승인을 받았다.
상기 병용물의 치료적 용도
이의 양태 중 하나에 따라서, 본 발명은 약물로서 이의 사용을 위한, 딜티아제, 및 발록사비르 마르복실, 피모디비르, RO-7 및 CC-42344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바이러스 중합효소 억제제 화합물의 병용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특히 인간 또는 동물 유기체의 호흡기 및/또는 장관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서 이의 치료적 사용을 위한, 딜티아젬, 및 발록사비르 마르복실, 피모디비르, RO-7 및 CC-42344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이러스 중합효소 억제제 화합물의 병용물에 관한 것이다.
용어 "예방"은 인간 또는 동물 신체에서 바이러스 감염의 출현 확률을 예방하거나 또는 적어도 감소시킨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용어 "치료"는 인간 또는 동물 신체에서 바이러스 감염을 방지한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이것은 신체 내에서 바이러스 부하를 감소시키려는 목적을 위해 치료를 투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용어 "치료"는 또한 바이러스 감염과 연관된 증상 (발열, 피로)을 약화시킨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상기 치료는 인간 및 동물, 및 특히 농장 동물 예컨대 돼지, 말 및 가금류에 동등하게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 구현예에 따라서, 본 발명은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에서 이의 치료적 사용을 위한, 딜티아젬, 및 발록사비르 마르복실, 피모디비르, RO-7 및 CC-42344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이러스 중합효소 억제제 화합물의 병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구현예에 따라서, 본 발명은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에서 이의 치료적 사용을 위한, 딜티아젬, 및 발록사비르 마르복실, 피모디비르, RO-7 및 CC-42344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바이러스 중합효소 억제제 화합물의 병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구현예에 따라서, 본 발명은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에서 이의 치료적 사용을 위한, 딜티아젬, 및 발록사비르 마르복실, 피모디비르, RO-7 및 CC-42344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바이러스 중합효소 억제제 화합물의 병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서, 상기 병용물은 딜티아젬 및 발록사비르 마르복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바이러스 감염, 특히 호흡기 및/또는 장관의 바이러스 감염을 갖는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환자에게 딜티아젬, 및 발록사비르 마르복실, 피모디비르, RO-7 및 CC-4234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이러스 중합효소 억제제 화합물의 병용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에 감수성인 개체에서 특히 호흡기 및/또는 장관의 바이러스 감염의 출현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개체에게 딜티아젬, 및 발록사비르 마르복실, 피모디비르, RO-7 및 CC-4234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이러스 중합효소 억제제 화합물의 병용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감염된 동물 또는 감염에 감수성인 동물에서, 특히 호흡기 및/또는 장관의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 및/또는 치료하기 위한 수의학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동물에게 딜티아젬, 및 발록사비르 마르복실, 피모디비르, RO-7 및 CC-4234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이러스 중합효소 억제제 화합물의 병용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이러스 감염 및 연관 바이러스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바이러스 감염"은 "표적 세포" 또는 "숙주 세포"로서 명시되는 상기 유기체의 일정 세포를 감염시킴으로써, 유기체에 침투한 바이러스에 의해 유도된 질환을 의미한다. 바이러스 감염은 일반적으로 감염된 환자 또는 동물의 증상 관찰을 기반으로 건강 관리 전문가가 진단한다. 추가 실험실 검사 (혈액 및/또는 객담 및/또는 기관지폐포액 및/또는 장관 유래 생물학적 샘플 검사)가 진단을 확증하는데 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병용물은 특히 인간 또는 동물 신체의 호흡기 및/또는 장관의 바이러스 감염, 다른 말로, 호흡기 상피 세포에 발생된 감염을 예방하고/하거나 치료하고자 한다.
"호흡기 감염"은 폐 및 호흡기, 즉, 호흡을 위해 공기가 통과하는 통로에 발생된 바이러스 감염을 의미한다. 그들은 특히 감기, 독감, 및 세기관지염을 포함한다.
바이러스 호흡기 감염에 관여되는 바이러스는 특히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RSV),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독감),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및 리노바이러스를 포함한다.
소아에서, 바이러스 호흡기 감염의 주요 원인은 리노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RSV), 엔테로바이러스, 코로나바이러스 및 일부 아데노바이러스 균주이다.
본 발명의 상황에서, 특히 급성 호흡기 감염 (ARI)일 것이다.
"장관 감염"은 특히 상부 및 하부: 입, 인두 (소화관 및 호흡기의 교차점), 식도, 위, 및 장을 포함하는 소화관에 발생되는 바이러스 감염을 의미한다.
위장염의 가장 일반적인 원인은 노로바이러스 또는 로타바이러스에 의한 바이러스 감염과 연관된다.
특정 구현예에 따라서, 치료적 병용물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것이다.
독감의 원인이 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4개 유형: A, B, C 및 D로 분류된다. 바이러스의 표면에, 감염된 유기체의 세포의 감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2개 당단백질: 헤마글루티닌 HA 및 뉴라미니다제 (NA)가 존재한다. 그들 표면 상의 HA 및 NA 당단백질의 성질에 의존하여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의 상이한 아형이 존재하는데, 16개 유형의 HA 및 9개 유형의 NA가 동물계 및 특히 철새 중에서 순환하는 바이러스에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그들이 그들 표면 상에 보유하는 당단백질 유형에 의존하여 정의될 수 있다.
인간에서, 수십년 동안 순환한 아형 A의 바이러스는 아형 H1N1, H2N2 및 H3N2로서, 특히 동물에서 인간으로, 조류 바이러스 H5N1, H7N7, H7N9, H5N2 및 H9N2의 종간 전파가 가끔 존재한다. 돼지, 조류 및 인간 기원의 신규 광역 유행성 독감 바이러스 H1N1 (돼지, 조류 및 인간 재분류를 갖는 바이러스)의 최근 출현으로 강조된 바와 같이,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심각한 공중 보건 위협을 의미한다. 독감 광역 유행은 특히 인간 집단에서 새로운 표면 당단백질 (HA 및 NA)이 부여된 바이러스의 출현에 해당하는 항원 이동의 결과이다. 이들 이동은 동물, 및 특히 조류 바이러스의 인간에서의 직접 전파를 허용하고, 이것은 아시아에서 2003년 이후 고도의 병원성 조류 H5N1, 또는 2003년 네덜란드에서 H7N7 독감의 유행병, 및 2013년 동남 아시아에서 H7N9의 사례이다. 게다가, 특히 유전적 부동 (표면 당단백질 내 돌연변이의 출현)의 결과인 특히 계절성 독감 유행병은 인간 집단, 특히 매우 어린 개체, 노령층, 면역저하 개체 및 심폐 질환자에서 증가된 이환율 및 사망률의 주요 원인이다.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A형, B형, C형 또는 D형 독감 병인원, 및 특히 숙주가 인간 또는 동물인 A형 및 B형 인플루엔자를 의미한다. "독감 바이러스"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본 출원에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고 동일한 바이러스로 명시된다.
본 발명은 특히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서 이의 치료적 사용을 위한 딜티아젬 및 발록사비르 마르복실의 병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변형에서, 이것은 특히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서 이의 치료적 사용을 위한 딜티아젬 및 발록사비르 산의 병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라서, 본 발명의 병용물은 적어도 하나의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사용된다. 유리하게, 본 발명의 병용물은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상이한 아형에 대해 광범위한 작용을 갖는다.
특정 양태에 따라서, 독감 바이러스는 아형 H1N1, H2N2, H3N2, H5N1, H7N7, H7N9, H5N2 및 H9N2로부터 선택되는 A형 바이러스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본 발명의 병용물은 적어도 하나의 B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사용된다.
바이러스 내성
본 발명은 특히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서 이의 치료적 사용을 위한, 딜티아젬, 및 발록사비르 마르복실, 피모디비르, RO-7 및 CC-42344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이러스 중합효소 억제제의 병용물에 관한 것이고,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적어도 하나의 항바이러스 화합물, 특히 항-인플루엔자 화합물, 및 보다 특히 바이러스 중합효소 억제제의 억제 작용에 내성이다.
실제로, 본 발명에 따른 병용물은 바이러스 감염을 초래하는 바이러스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특히 발록사비르 마르복실, 피모디비르, RO-7 및 CC-42344 중에서 선택되는, 바이러스 중합효소 억제제 화합물의 작용에 민감하지 않거나 또는 오직 약간 민감성인 경우에 특히 흥미롭다.
상기 제공된 바와 같이, 바이러스 중합효소를 표적으로 하는 이러한 패밀리의 화합물의 치료적 사용의 주요 단점은 이들 화합물의 억제 작용에 둔감하게 되는, 그들 작용에 내성인 바이러스 균주의 발생이다.
딜티아젬, 및 발록사비르 마르복실, 피모디비르, RO-7 및 CC-42344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이러스 중합효소 억제제 화합물의 병용 사용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1) 딜티아젬과 병용 투여 동안 적어도 하나의 바이러스 중합효소 억제제 화합물에 내성인 바이러스 균주의 출현이 분명하게 제한되거나, 또는 완전히 억제된다 (실시예 6 참조);
2) 딜티아젬 단독은 바이러스 중합효소 억제제에 내성인 바이러스 균주에 대해 효과적인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다 (실시예 4 참조, 발록사비르-내성 바이러스 균주 기반);
3) 딜티아젬 + 발록사비르 마르복실의 병용물은 딜티아젬의 존재 및 고농도의 발록사비르로 인해서 발록사비르-내성 바이러스 균주에 대해 효과적인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다 (실시예 5 참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병용물은 딜티아젬 및 발록사비르 마르복실을 포함하고, 바이러스 중합효소 억제제의 억제 작용에 내성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예를 들어 중합효소 PB2 서브유닛 내 내성 돌연변이를 나타내는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서 사용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라서, 병용물은 딜티아젬 및 발록사비르 마르복실을 포함하고, 발록사비르 마르복실의 억제 작용에 내성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사용될 것이다. 특히, 이것은 중합효소 PA 서브유닛 내 돌연변이를 보유하는 인플루엔자 A/H1N1 바이러스 균주일 것이다. 보다 정확하게, 이것은 중합효소 PA 서브유닛 내에 I38T 점 돌연변이를 보유하는 인플루엔자 A/H1N1 바이러스 균주일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라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적어도 하나의 항-인플루엔자 화합물, 특히 뉴라미니다제 억제제 예컨대 오셀타미비르 (Tamiflu®)의 억제 작용에 내성이다.
본 발명의 변형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서 이의 치료적 사용을 위한 딜티아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적어도 하나의 항바이러스 화합물, 특히 항-인플루엔자 화합물, 및 보다 특히 바이러스 중합효소 억제제의 억제 작용에 내성이다. 특히, 이러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하기 화합물 중 하나에 내성일 것이다: 발록사비르 마르복실, 피모디비르, RO-7, CC-42344 및 뉴라미니다제 억제제, 특히 오셀타미비르.
병용물에 존재하는 다른 활성제
또한 본 발명은 다른 활성제, 특히 항바이러스제 및/또는 항생제를 또한 포함하는, 딜티아젬, 및 발록사비르 마르복실, 피모디비르, RO-7 및 CC-42344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이러스 중합효소 억제제 화합물의 병용물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양태에 따라서, 항바이러스제는 당업자에게 충분히 공지되고 독감을 예방하거나 또는 치료하기 위해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항바이러스제 중에서 선택된다. 적어도 하나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해 활성인 항바이러스제는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고 Le Dictionnaire Vidal 같은 참조 문헌에 기술되어 있다. 오셀타미비르를 특히 언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딜티아젬, 발록사비르 마르복실 및 오셀타미비르의 병용물에 관한 것이다.
항생제는 당업자에게 충분히 공지된 항생제, 특히 2차 박테리아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바이러스 감염에서 사용되는 것들, 및 특히 마크롤리드 패밀리의 것 및, 보다 특히 록시트로마이신 중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은 또한 특히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서 이의 치료적 사용을 위하고, 보다 특히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적어도 3종의 활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상기 명명된 병용물 중 하나에 관한 것이다.
약학 또는 수의학 조성물
본 발명은 또한 적절한 약학 비히클 중에, 딜티아젬, 및 발록사비르 마르복실, 피모디비르, RO-7 및 CC-42344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바이러스 중합효소 억제제 화합물의 병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적절한 약학 비히클 중에, 딜티아젬, 및 발록사비르 마르복실, 피모디비르, RO-7 및 CC-42344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바이러스 중합효소 억제제 화합물의 병용물을 포함하는 수의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양태에 따라서, 이러한 약학 또는 수의학 조성물에 존재하는 바이러스 중합효소 억제제는 발록사비르 마르복실이다.
이러한 약학 또는 수의학 조성물은 딜티아젬의 유효한 분량 및 바이러스 중합효소 억제제 화합물, 특히 발록사비르 마르복실의 유효한 분량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유효한 분량"은 유기체 내에서 바이러스 감염의 발생 및/또는 바이러스의 증식 및/또는 복제를 억제하기 위한 항바이러스 화합물의 충분한 분량을 의미한다. 이러한 억제는 예를 들어, 본 출원의 예에서 제공되는 바와 같이 바이러스 생산을 측정하여 정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험관내에서, 소위 "유효한" 분량은 다음과 같다:
- 딜티아젬 경우, 5 내지 200 μM의 농도가 바람직하고,
- 바이러스 중합효소 억제제 화합물, 특히 발록사비르 (활성형) 경우, 5 내지 200 nM의 농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서, 용어 "약학 비히클"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 이상의 허용가능한 약학 비히클 또는 부형제, 즉 개체 또는 동물에게 그의 투여가 상당한 유해 효과를 수반하지 않는, 당업자에게 충분히 공지된 비히클 또는 부형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또는 수의학 조성물은 경구, 설하, 흡입, 피하, 근육내, 정맥내, 경피, 안구 또는 직장 투여에 적합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라서, 약학 조성물은 흡입에 의한 투여에 적절한 제형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흡입은 호흡기에 의한 흡수를 의미한다. 이것은 특히 치료 목적을 위한 화합물, 현탁액 중 가스, 미세-액적 또는 분말의 형태인 일정 화합물에 대한 흡수 방법이다.
흡입, 즉, 비강 및/또는 경구 경로를 통한 약학 또는 수의학 조성물의 투여는 당업자에게 충분히 공지되어 있다.
흡입에 의한 2개 유형의 투여는 구별된다:
- 조성물이 분말의 형태일 때 취입에 의한 투여, 및
- 조성물이 에어로졸 (현탁액)의 형태, 또는 용액, 예를 들어 수용액의 형태일 때, 압력 하에 놓이는, 분무화에 의한 투여. 약학 또는 수의학 조성물을 투여하기 위해 네뷸라이저 또는 스프레이의 사용이 권장될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서 고려되는 제형은 분말, 액적의 수성 현탁액 또는 가압 용액 중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은 또한 약물로서 이의 사용을 위한, 적절한 약학 비히클에, 딜티아젬, 및 발록사비르 마르복실, 피모디비르, RO-7 및 CC-42344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이러스 중합효소 억제제 화합물의 병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특히 인간 또는 동물 신체의 호흡기 및/또는 장관의 바이러스 감염, 보다 특히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서 이의 치료적 사용을 위한, 약학적으로 적절한 비히클에, 딜티아젬, 및 발록사비르 마르복실, 피모디비르, RO-7 및 CC-42344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이러스 중합효소 억제제 화합물의 병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병용물 제품
본 발명은 또한 특히 인간 또는 동물의 호흡기 및/또는 장관의 바이러스 감염, 보다 특히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서 이의 동시, 별도 또는 순차적 사용을 위한, 딜티아젬, 및 발록사비르 마르복실, 피모디비르, RO-7 및 CC-42344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이러스 중합효소 억제제 화합물을 포함하는 병용물 제품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병용물 제품은 인간 또는 동물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딜티아젬 및 발록사비르 마르복실로 구성될 것이다.
이것은 다른 활성 화합물 및 특히 오셀타미비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에서, 용어 발록사비르는 발록사비르 산, 즉, 화합물의 활성화된 형태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며, 프로드러그인, 환자에게 투여되는 형태가 아니다.
실시예 1 - 딜티아젬 + 발록사비르 병용물은 세포 시스템 중에 재조합 H1N1nLuc 바이러스에 대한 상승적 항바이러스 효과를 갖는다.
A/H1N1nLuc로 감염된 A549 세포 (감염 다중도 (MOI) 0.01)는 감염 후 1시간에 단독 및 병용물로서 증가 농도의 딜티아젬 (6 nM 내지 100 μM) 및 발록사비르 산 (0.0625 nM 내지 1 nM) (Med Chem Tronica에서 판매, ref. HY-109025A)으로 처치되었다.
감염 세포 상청액 (감염 후 48시간에 샘플채취)에서 측정되는 발광은 바이러스 복제 수준을 반영한다 (도 1a에 도시된 실험 연대표). 2개 분자 각각의 EC50을 결정하였다 (EC50 딜티아젬 = 50102 nM; EC50 발록사비르 = 0.144 nM, 도 1b 참조).
분자의 병용물의 효과는 측정된 발광 데이터로부터 Combenefit 소프트웨어를 통한 분석으로 특징규명되었다 (색상 눈금의 표 형태로 표시, 도 1c 참조).
병용물의 상승 또는 길항 효과는 결과의 해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색상 눈금과 함께, 상승작용 점수 (Loewe 모델에 따라 분석됨)로 나타낸다. 계수 ≥ 5 (회색 내지 진회색)는 분자의 병용물의 상승적 효과를 의미하는 한편, 계수 ≤ -5 (흰색)는 분자의 병용물의 길항적 효과를 의미한다. -5 내지 5의 계수는 병용물 중 분자의 "비-간섭", 또는 심지어 상이한 치료 간 가산 효과를 의미한다. 실험 횟수 = 3.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딜티아젬 및 발록사비르 산의 병용물은 상승적 효과를 나타낸다.
2개 특정 조건이 특히 상승적이다:
i) 이의 IC50 (0.1 nM) 근처의 발록사비르 산 농도와 고농도의 딜티아젬 (1562 nm)을 연관시킨 조건;
ii) 매우 적은 용량의 발록사비르 산 (0.1 nM 미만)과 더 낮은 농도의 딜티아젬 (25 nM 미만)을 연관시킨 조건.
병용물 중 농도의 시험된 모든 조건 하에서, 길항적 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결과는 딜티아젬 및 발록사비르의 활성 형태의 병용물이 동일한 농도에서, 2개 분자 각각의 단독에 의한 단일요법 처치와 비교하여 (특히 발록사비르 내성 돌연변이의 출현 위험성을 감소시키는 점에서 유리한, 저용량의 발록사비르의 사용 조건 하에서) A549 세포에서 바이러스 복제의 매우 유의하고 상승적인 감소를 허용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실시예 2 - 딜티아젬 + 파비피라비르 병용물은 세포 시스템 중에 재조합 H1N1nLuc 바이러스에서 2개 분자 각각의 농도에 의존하여, 상승적이거나 또는 길항적이다.
A/H1N1nLuc로 감염된 A549 세포 (MOI 0,01)는 감염 후 1시간에 단독 및 병용물로서 증가 농도의 딜티아젬 (6 nM 내지 100 μM) 및 파비피라비르 (6 nM 내지 100 μM)가 처치되었다.
감염 세포 상청액 (감염 후 48시간에 샘플채취) 중에서 측정된 발광은 바이러스 복제의 수준을 반영한다 (도 2a에 도시된 실험 연대표).
각 분자의 EC50을 결정하였다 (EC50 딜티아젬= 53791 nM; EC50 파비피라비르 = 2494 nM, 도 2b 참조).
분자의 병용물의 효과는 측정된 발광 데이터로부터 Combenefit 소프트웨어를 통한 분석을 특징으로 하였다 (색상 눈금의 표 형태로 표시, 도 2c 참조).
병용물의 상승적 또는 길항적 효과는 결과의 해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색상 눈금과 함께, 상승작용 점수로 표시되었다. 계수 ≥ 5 (회색 내지 진회색)는 분자의 병용물의 상승적 효과를 의미하는 한편, 계수 ≤ -5 (흰색)는 분자의 병용물의 길항적 효과를 의미한다. -5 내지 5의 계수는 병용물 중 분자의 "비-간섭", 또는 심지어 상이한 처치 간 가산 효과를 의미한다. 실험 횟수 = 3.
수득된 결과는 이들 2개 분자 (딜티아젬 + 파비피라비르)의 병용물이 항바이러스 효과를 개선시킬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처치 용량의 유의한 감소를 허용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상이한 딜티아젬 및 파비피라비르 분자의 농도에 의존하여, 그들 병용물은 매우 이질적인 효과와 연관된다. 상승적 효과를 수득하기 위해서, 대용량의 파비피라비르 (1580 nM 초과로서, 이는 파비피라비르 내성의 발생 위험성 증가에 유리하므로 불리함)와 상이한 용량의 딜티아젬 (6 nm 내지 100 μM)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게다가, 일정 조건 하에서, 2개 분자의 병용물의 효과는 길항적일 수 있다. 이들 길항적 효과는 사용된 딜티아젬의 용량이 높을 때 (6250 nM) 관찰된다.
딜티아젬 + 발록사비르 병용물은, 따라서 바람직하지 않은 딜티아젬 + 파비피라비르 병용물과 달리, 사용되는 농도가 변화되는 경우더라도 동질적 결과를 수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든다.
실시예 3. 인간 호흡기 상피 모델에서 딜티아젬 + 발록사비르 병용물의 상승작용
A/H1N1 바이러스 및 A/H3N2 바이러스의 복제 감소는 딜티아젬 또는 발록사비르 단독에 의한 단일요법 처치와 비교하여 딜티아젬 + 발록사비르 (활성 형태) 병용물에 의한 처치에서 유의하게 더 크다.
공기-액체 계면에서 배양되는 재구성된 인간 호흡기 상피 (비강 기원) (MucilAir® HAE, Epithelix) (공급사, Epithelix의 설명서에 따름)를 A/H1N1 pdm09형 (A/리옹/969/2009 H1N1) (MOI 0.1) 또는 A/H3N2형 (A/텍사스/50/2012 H3N2) (MOI 0.01)의 원형 (비-재조합)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로 감염시킨 다음에, 딜티아젬 (90 μM), 발록사비르 (10 nM) 또는 딜티아젬 (90 μM) 및 발록사비르 (10 nM)의 병용물로 각각 감염 후 (hpi) 5시간, 24시간, 및 48시간에 전달하여 처치하거나 또는 처치하지 않았다 (미처치) (도 3a에 도시된 실험 연대표).
처치 또는 미처치된, 감염 상피의 첨단극으로부터의 샘플을 24, 48 및 72 hpi에 채취하여서 MDCK 세포 중 TCID50/mL로서 감염 적정을 통해 바이러스 복제를 측정하였다.
첨단극에서 각 샘플채취 전에, 경상피 저항성 (상피 무결성의 생리적 마커)이 또한 EVOM2 장치 및 STX2 프로브 (World Precision Instruments)를 사용해 측정되었다 (도 3c 및 3e).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처치하지 않은 (미처치) 바이러스 감염은 감염 후 48시간에 108 TCID50/mL 초과의 역가로 A/H1N1 감염성 입자의 생산을 유도한다.
딜티아젬 처치 (90 μM)는 감염 후 48시간에 2log10 및 감염 후 72시간에 적어도 1log10 까지 A/H1N1 감염성 입자의 생산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발록사비르 처치는 감염 후 48시간에 A/H1N1 감염성 입자의 생산이 4log10 까지 감소되어 실질적인 시험관내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한편, 이의 용매 단독 (DMSO)은 감염에 영향이 없다.
딜티아젬 및 발록사비르 분자의 병용물은 단일요법 처치에 비해서 항바이러스 효과를 유의하게 개선시키는데, A/H1N1 바이러스 생산이 감염 후 48시간 및 72시간에 6log10에 가깝게 감소된다.
도 3c는 도 3a에 기술된 바와 같이, A/H1N1에 의한 상피의 감염 동안 경상피 저항 추적 (TEER) 측정을 도시한다. 도 3b에서 제공하는 바와 같이, 매우 효율적인 감염과 상관있게, 감염 후 48시간 및 72시간에 미처치 상피 또는 대조군 용매 DMSO 처치 상피의 무결성의 실질적 하락을 도시한다.
대신에, 딜티아젬 처치는, 감염성 적정으로 입증된 항바이러스 효과와 상관되게, 안정하게 남아있는 TEER 값으로 감염된 상피의 무결성을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3b).
발록사비르 처치는 또한 딜티아젬 처치에서 수득된 것과 유사한 TEER 값 측정으로 감염된 상피의 무결성을 유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유사하게, 감염된 상피의 무결성은 또한 이의 항바이러스 효능과 상관되게, 양쪽 분자의 병용물에 의한 처치에서 유지된다 (도 3b).
이들 TEER 측정은 또한 병용물로 딜티아젬 및 발록사비르에 의한 처치의 세포독성 효과의 부재를 확인해 준다.
도 3d에 예시된 바와 같이, 처치없이 (미처치) 상피의 A/H3N2 바이러스 감염은 감염 후 48시간에 109 TCID50/mL 초과의 역가로 감염성 입자의 생산을 유도한다.
딜티아젬 처치 (90 μM)는 감염 후 48시간에 2log10 및 감염 후 72시간에 적어도 1log10 까지 A/H3N2 감염성 입자의 생산 감소를 가능하게 한다.
발록사비르 처치는 감염 후 48시간에 A/H3N2 감염성 입자의 생산의 3log10 까지의 감소로 실질적인 시험관내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데 반해서, 이의 용매 단독 (DMSO)은 감염에 영향이 없다.
딜티아젬 및 발록사비르 분자의 병용물은 단일요법 처치와 비교하여 항바이러스 효과를 유의하게 개선시키는데, 감염 후 48시간 및 72시간에 A/H3N2 바이러스 생산이 5log10에 가깝게 감소된다.
도 3e에 제공되고, 도 3a에 기술된 바와 같이, A/H3N2에 의한 상피의 감염 동안 경상피 저항 추적 (TEER) 측정은 도 3d에서 측정되고 제공되는 바와 같은, 매우 효율적인 감염과 상관되게, 감염 후 48시간 및 72시간에 대조군 용매 DMSO로 처치된 상피 또는 미처치 상피의 무결성의 유의한 하락을 보여준다.
대신에, 딜티아젬 처치는 감염성 적정으로 입증된 항바이러스 효과와 상관되게, 감염 후 48시간까지 안정하게 남아있는 TEER 값으로 A/H3N2에 의해 감염된 상피의 무결성을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3d).
발록사비르 처치는 또한 감염 후 48시간에 딜티아젬 처치로 수득된 것과 유사한 TEER 값 측정으로 A/H3N2에 의해 감염된 상피의 무결성을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든다.
유사하게, 상피의 무결성은 또한 이의 항바이러스 효능과 상관되게, 양쪽 분자의 병용물에 의한 처치에 의해 유지된다 (도 3d).
이들 TEER 측정은 또한 병용물로서 딜티아젬 및 발록사비르에 의한 처치의 상피에 대한 세포독성 효과의 부재를 확인시켜 준다.
결론적으로, 도 3b 및 3d는 처치없는 감염 상태와 비교하여 딜티아젬 또는 발록사비르에 의한 처치의 유의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입증한다. 결과는 또한 동일 농도에서 각각의 2개 분자 단독에 의한 단일요법 처치와 비교하여 딜티아젬 + 발록사비르 처치의 유리한/상승적 효과를 의미하고, 병용물은 실제로 인간 호흡기 상피 모델에서 단일요법 처치와 비교하여 바이러스 복제의 유의하게 더 큰 감소를 가능하게 한다.
실시예 4 - 딜티아젬은 동일한 상피 모델에서 야생형 (WT) 재조합 A/H1N1 바이러스에 대한 이의 항바이러스 활성과 비슷한, 재구성된 인간 호흡기 상피 모델에서 발록사비르에 내성인 I38T 재조합 A/H1N1 바이러스에 대한 효과적인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다.
내성 A/H1N1 바이러스는 역유전학에 의해 생성되었다. 이것은 이의 중합효소의 PA 서브유닛 내에 I38T 내성 돌연변이를 보유한다.
공급사, Epithelix의 설명서에 따라서 공기-액체 계면에서 배양 유지된, 비강 기원의 재구성된 인간 호흡기 상피 (MucilAir® HAE, Epithelix)는 야생형 (WT, MOI 0.1)이거나 또는 발록사비르에 내성 (바이러스 중합효소의 PA 서브유닛 상에 I38T 돌연변이) (I38T, MOI 0.1)인 A H1N1 pdm09형의 재조합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로 감염되었다.
다음으로 이들 상피는 딜티아젬 (90 μM) 단독, 10 nM 또는 100 nM 농도의 발록사비르 단독, 또는 양쪽 분자의 병용물 (90 μM의 딜티아젬 및 10 nM 또는 100 nM의 발록사비르)의 3회 연속 용량을 각각 감염 후 5시간, 24시간, 및 48시간에 전달하여, 처치되었거나 또는 처치하지 않았다 (미처치) (도 4a에 도시된 실험 크로모그램).
처치 또는 미처치된, 감염된 상피의 첨단극으로부터의 샘플은 MDCK 세포에서 TCID50/mL로 감염성 적정에 의한 바이러스 복제를 측정하기 위해서 24, 48 및 72 hpi에 채취하였다.
첨단극에서 각각의 샘플채취 이전에, 경상피 저항성 (상피 무결성의 생리적 마커)은 또한 EVOM2 장치 및 STX2 프로브 (World Precision Instruments)를 사용해 측정하였다.
각 실험 조건은 이중으로 수행되었다 (n=2). 그래프는 GraphPad 소프트웨어를 사용해 생성된 평균 및 표준 편차 값을 보여준다.
도 4b는 처치없이 (미처치) 바이러스 감염이 감염 후 48시간에 108 TCID50/mL 초과의 역가로 A/H1N1 WT 감염성 입자의 생산을 유도한다는 사실을 예시한다.
딜티아젬 처치 (90 μM)는 감염 후 48시간에 2log10 및 감염 후 72시간에 0.5log10 까지 A/H1N1 감염성 입자의 생산 감소를 가능하게 한다.
발록사비르 처치는 감염 후 48시간에 A/H1N1 감염성 입자의 생산을 3log10 까지 감소시켜서 실질적인 시험관내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한편, 이의 용매 단독 (DMSO)은 감염에 유의한 영향을 갖지 않는다.
도 4c에 제공되는, 감염 동안 경상피 저항 추적 (TEER) 측정은 도 4b에 제공되는 바와 같이, 매우 효율적인 감염과 상관있게, 감염 후 48시간 및 72시간에 대조군 용매 DMSO 처치 상피 또는 미처치 상피의 무결성의 유의한 하락을 보여준다.
대신에, 딜티아젬 처치는 감염성 적정으로 입증된 항바이러스 효과와 상관되게, 감염 후 48시간까지 안정하게 유지된 채로 남은 TEER 값으로 A/H1N1에 의해 감염된 상피의 무결성을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발록사비르 처치는 감염 후 48시간 및 72시간에 안정한 TEER 값 측정으로 A/H1N1에 의해 감염된 상피의 무결성을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4d는 처치없이 (미처치) 발록사비르-내성 A/H1N1 I38T 바이러스에 의한 상피 감염은 감염 후 48시간에 108 TCID50/mL에 가까운 역가로 감염성 입자의 생산을 유도한다는 사실을 예시한다 (도 4d 참조).
10 nM의 발록사비르의 처치는 감염된 상피 모델에서 이러한 내성 A/H1N1 I38T 바이러스에 대해 항바이러스 효과를 갖지 않는다. 여전히 제한적인 채로 남아있지만, 이러한 내성 A/H1N1 I38T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수득하기 위해 발록사비르 (100 nM)에 의한 처치 용량을 상당히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감염 후 48시간에 감염성 입자의 생산의 1log10의 감소 및 감염 후 72시간에 1.5log10의 감소).
대신에, 딜티아젬 (90 μM) 단독 처치는 감염 후 48시간에 거의 2log10 및 감염 후 72시간에 거의 2log10 까지 A/H1N1 I38T 감염성 입자의 생산의 유의한 감소를 가능하게 한다.
도 4e에 예시된, A/H1N1 I38T에 의한 감염 동안 경상피 저항 추적 (TEER) 측정은 도 4e에 제공된 바와 같이, 매우 효과적인 감염과 상관있게, 감염 후 48시간 및 72시간에 미처치 상피의 무결성에서 유의한 하락을 보인다.
대조적으로, 딜티아젬 처치는 감염성 적정으로 입증된 항바이러스 효과와 상관있게, 감염 후 48시간 및 72시간에 안정한 채로 남아있는 TEER 값으로 A/H1N1 I38T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된 상피의 무결성을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4d).
대조적으로, 10 nM의 발록사비르 처치는 (도 4d)에 보고된 바와 같이 항바이러스 활성의 결여와 일관되게, 감염 후 48시간 및 72시간에 A/H1N1 I38T에 의해 감염된 상피의 무결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내성 A/H1N1 I38T 바이러스에 대한 유의한 항바이러스 활성이 도 4d에 보고된, 고용량 발록사비르 (100 nM) 단독 처치는 감염 후 48시간 및 72시간에 TEER의 안정한 값의 측정으로 보고된 바와 같이, 상피의 무결성 유지를 가능하게 한다.
실시예 5 - 딜티아젬 + 발록사비르 병용물은 오직 발록사비르가 고용량으로 사용되는 경우만의 단일요법 치료와 비교하여 발록사비르-내성 A/H1N1 I38T 바이러스의 복제의 유의하게 더 큰 감소를 유도한다.
공급사, Epithelix의 설명서에 따라서 공기-액체 계면에서 배양 유지된, 비강 기원의 재구성된 인간 호흡기 상피 (MucilAir® HAE, Epithelix)는 발록사비르에 내성인 A H1N1 pdm09형의 재조합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바이러스 중합효소의 PA 서브유닛 상에 I38T 돌연변이) (I38T, MOI 0.1)로 감염되었다.
다음으로 이들 상피는 딜티아젬 (90 μM) 단독, 10 nM 또는 100 nM의 농도의 발록사비르 단독, 또는 양쪽 분자의 병용물 (90 μM의 딜티아젬 및 10 nM 또는 100 nM의 발록사비르)의 3 연속 농도가 감염 후 5시간, 24시간 및 48시간 (hpi)에 전달되어 처리되었거나 또는 처리되지 않았다 (미처치) (도 5a에 도시된 실험 크로모그램).
처치되거나 또는 미처치된, 감염된 상피의 첨단극으로부터의 샘플은 MDCK 세포에서 TCID50/mL로 감염성 적정에 의한 바이러스 복제를 측정하기 위해서 24, 48 72 hpi에 채취되었다.
첨단극에서 각 샘플채취 이전에, 경상피 저항성 (상피 무결성의 생리적 마커)은 또한 EVOM2 장치 및 STX2 프로브 (World Precision Instruments)를 사용해 측정되었다.
도 5b는 처치없이 (미처치) 발록사비르-내성 A/H1N1 I38T 바이러스에 의한 상피의 감염은 감염 후 72시간에 108 TCID50/mL에 가까운 역가로 감염성 입자의 생산을 유도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딜티아젬 처치 (90 μM)는 감염 후 48시간에 2log10 및 감염 후 72시간에 적어도 2log10 까지 A/H1N1 I38T 감염성 입자의 생산 감소를 가능하게 한다.
대신에, 발록사비르 처치 (10 nM)는 감염에 영향이 없는 이의 용매 단독 (DMSO) 처럼 효과가 없다.
그들 개별 농도에서, 2개 분자, 딜티아젬 및 발록사비르의 병용물은 A/H1N1 I38T 감염성 입자의 생산을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지만 감염 후 48시간 및 72시간에 딜티아젬 단독 처치에 비해서 가산 또는 상승적 효과는 없다.
이 결과는 동일 농도의 2개 분자, 딜티아젬 및 발록사비르의 병용물은 특히 감염 후 48시간 및 72시간에 거의 6log10의 바이러스 생산 감소를 유도함으로써, 단일요법과 비교하여 상승적 항바이러스 효과를 갖는 A/H1N1 WT 바이러스 (발록사비르에 비내성, 도 3b 참조)에 대해 수득된 것과 상이하다.
도 5c에서 제공된, 감염 동안, 경상피 저항 추적 (TEER) 측정은 도 5b에 제공된 바와 같이, 매우 효율적인 감염과 상관있게, 감염 후 48시간 및 72시간에 대조군 용매 DMSO로 처치된 상피 또는 미처치 상피의 무결성의 유의한 하락을 보인다.
대신에, 딜티아젬 처치는 감염성 적정에 의해 입증된 항바이러스 효과와 상관되게, 감염 후 48시간 및 72시간에 안정하게 유지된 채로 남은 TEER 값으로 A/H1N1 I38T에 의해 감염된 상피의 무결성을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발록사비르 처치 (10 nM)는 (도 5b)에 보고된 바와 같이, 이의 항바이러스 불효능성과 일관되게, A/H1N1 I38T에 의해 감염된 상피의 무결성의 유지가 가능하지 않다.
역시 이의 유의한 항바이러스 효능과 일관되게, 딜티아젬 + 발록사비르 병용물은 감염 후 48시간 및 72시간에 안정한 TEER 측정과 연관된다.
도 5d는 처치없이 (미처치) 발록사비르-내성 A/H1N1 I38T 바이러스에 의한 상피 감염은 감염 후 48시간에 108 TCID50/mL에 가까운 역가로 감염성 입자의 생산을 유도한다는 사실을 예시한다.
딜티아젬 처치 (90 μM)는 감염 후 48시간에 2log10 이상으로 A/H1N1 I38T 감염성 입자의 생산 감소를 가능하게 한다.
고농도 (100 nM)로 사용한, 발록사비르 처치는 감염 후 48시간에 대략 1log10 까지 A/H1N1 I38T 감염성 입자의 생산을 감소시켰는데 반해서, 10 nM의 농도에서 처치는 내성 바이러스 I38T에 대한 효과가 없었다 (도 5b 참조).
동일한 각각의 농도로, 2개 분자, 딜티아젬 및 발록사비르의 병용물은 단일요법 처치와 비교하여 감염 후 48시간, 및 특히 72시간에 A/H1N1 I38T 감염성 입자의 생산을 더욱 감소시킨다 (3log10 까지 A/H1N1 I38T 감염성 입자의 감소). 그러므로 발록사비르 (고농도 = 100 nM)와 딜티아젬 병용물의 이득은 인간 호흡기 상피 모델에서 내성 A/H1N1 I38T 바이러스 대비 유의하다.
이러한 병용물은 특히 발록사비르-내성 바이러스 균주에 대해 관련있으며, 이에 대해서 발록사비르 용량을 상당히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도 5e에 제공된, 감염 동안 경상피 저항 추적 (TEER) 측정은 도 5d에 제공된 바와 같이, 매우 효과적인 감염과 상관되게, 감염 후 48시간 및 72시간에 미처치 상피의 무결성의 유의한 하락을 보인다.
대신에, 고농도 (100 nM)로 딜티아젬 또는 발록사비르의 처치는 감염성 적정으로 입증된 항바이러스 효과와 상관되게, 감염 후 48시간 및 72시간에 안정한 채로 남은 TEER 값으로 A/H1N1 I38T에 의해 감염된 상피의 무결성 유지를 가능하게 한다 (도 5d).
이의 유의한 항바이러스 효능과 역시 일관되게 (도 5d 참조), 딜티아젬 + 발록사비르 병용물은 감염 후 48시간 및 72시간에 안정한 TEER 측정과 연관된다.
결론적으로, 실시예 4 및 5에서 수득되고 제공된 결과는,
(i) 10 nM의 발록사비르 기준 처치가 효능이 없는, 재조합A/H1N1 I38T 바이러스의 발록사비르 내성 표현형 (중합효소의 PA 서브유닛 내 I38T 돌연변이)을 확인시켜준다 (도 4d ).
(ii) 도 4d는 또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수득하기 위해 발록사비르 처치 용량 (100 nM)을 상당히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하지만, 이러한 내성 A/H1N1 I38T 바이러스에 비해서 여전히 제한적이라는 것을 입증한다.
(iii) 유의하게, 결과는 또한 딜티아젬이 동일한 상피 모델에서 야생형 (WT) 재조합 A/H1N1 바이러스에 대한 이의 항바이러스 활성과 비교하여, 재구성된 인간 호흡기 상피 모델에서 발록사비르에 내성인 I38T 재조합 A/H1N1 바이러스에 대해 유의하게 효과적인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4b 및 4d 비교).
(iv) 도 5b에 다시 제공된 결과는 딜티아젬 (90 μM) 및 발록사비르 (10 nM)의 병용 처치가 A/H1N1의 야생형 균주로 감염된 상기도의 호흡기 상피에서 바이러스 복제의 유의한 감소를 허용한다는 것을 확인시켜 준다.
(v) 대신에, 딜티아젬 (90 μM) + 발록사비르 (10 nM)의 이러한 병용물은 내성 A/H1N1 I38T 바이러스에 대한 단일요법에서 딜티아젬에 의한 처치에 비해 임의의 가산 이득을 제공하지 않는다 (도 5b).
(vi) 100 nM의 발록사비르와의 병용물에서 딜티아젬 (90 μM)은 동일한 인간 호흡기 상피 모델에서 동일 농도의 각각의 2개 분자의 단일요법 처치와 비교하여 내성 A/H1N1 I38T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의 관점에서 유의한 이득을 제공한다 (도 5d).
실시예 6 - 발록사비르와 병용물로 딜티아젬의 사용은 항바이러스 선택 압력 하에서 바이러스의 연속 세포 계대의 표준 시험에서 발록사비르-내성 바이러스의 출현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증가 농도의 발록사비르)
24-웰 플레이트 중 MDCK 세포는 0.001의 MOI로 원형 A/H1N1 WT 바이러스 (발록사비르 및 딜티아젬의 중간 억제 농도 (IC50)는 각각 0.2 nM 및 5 μM임)에 의해 감염되어서, 바이러스의 제1 세포 계대 (P0)를 구성하였다.
이러한 바이러스의 연속 세포 계대의 4개 상이한 부문이 하기 정의된 바와 같은, 선택 압력 존재 또는 부재의 조건 하에서 수행되었다:
(i) 처치 없음 (NT),
(ii) 25 μM의 고정 농도의 딜티아젬 (Dil) 처치,
(iii) 1 nM 내지 128 nM의 증가 농도의 발록사비르 처치, 및
(iv) 앞의 (iii) 처럼 1 nM 내지 128 nM의 동일한 증가 농도의 발록사비르와 병용물로서 25 μM의 고정 농도의 딜티아젬 (Dil) 처치.
계대 P0로부터, 세포는 이전이 기술된 상이한 조건에 따라서 감염 후 1시간에 처치되었거나 또는 처치되지 않았고 (NT), 감염 상청액은 감염 후 48시간 (D +2)에 샘플채취되었다. 이들 감염성 샘플은 연속 희석되었고 (10-1 내지 10-6), 각 희석물은 24-웰 플레이트의 MDCK 세포 상에 침착되어서, 계대 P0 이후 세포 계대 (P1)를 구성하였다.
이러한 감염 후 1시간에, 세포는 이전에 기술된 상이한 조건에 따라 처치되었거나 또는 미처치 (NT)되었다. 이러한 세포 계대 P1 (감염 후 48시간, D +4)의 종료 시에, 각각의 처치 부문 (I, ii, iii 및 iv)에 대해서, 감염된 웰의 상청액은 소위 "제한" 희석, 즉 유의한 세포변성 효과 (CPE)가 관찰된 P0로부터 생성된 10-1 내지 10-6 의 희석 중 마지막에서 채취되었다.
이들 감염 상청액은 연속 희석 (10-1 내지 10-6)되었고 각 희석물을 24-웰 플레이트의 MDCK 세포 상에 침착시켜서, 계대 P1 이후 세포 계대 (P2)를 구성하였다.
과정은 각 연속 세포 계대에 대해 이러한 방식에 따랐다. 딜티아젬 농도는 실험 전반에서 고정된 채로 유지하였다. 발록사비르 농도는 처음 2회 계대 (P0 및 P1) 동안 1 nM로 고정하였고, 그 다음에 10번째 계대에서 최대 128 nM 까지 각 계대에서 두배로 하기 전에, 다음 2회 계대 (P3 및 P4) 동안 두배로 하였다 (실험 도 6a의 연대표 참조).
실험의 종료 시에, 유의한 CPE를 나타내는 각 처치 팔부의 마지막 세포 계대로부터 생성된 감염성 상청액은 MDCK 세포에서 TCID50/mL로 적정하였다. 이들 상청액의 바이러스에 대한 발록사비르의 중간 억제 농도는 또한 사용된 초기 야생형 바이러스와 비교하여 발록사비르-내성 표현형의 출현을 특징규명하기 위해서, MDCK 세포에서 TCID50/mL의 제한 희석으로 적정 방법을 통해서 계산하였다.
미처치 및 딜티아젬-처치 실험 부문 경우에, 10번째 계대로부터 생성된 감염성 상청액을 사용하였다. 발록사비르 처치 부문 경우에, 8번째 세포 계대로부터 생성된 감염성 상청액을 사용하였다. 딜티아젬 + 발록사비르 병용물 처치 부문 경우에, 6번째 세포 계대로부터 생성된 감염성 상청액이 사용되었다 (각각 이들 실험 부문에 대해 7번째 및 9번째 세포 계대에서 바이러스가 상실되었기 때문, 도 6a 및 6b 참조).
따라서 MDCK 세포는 문제의 감염성 상청액으로 감염시켰고, 그 다음에 감염 후 1시간에 별도로 다양한 증가 농도의 발록사비르 (0.04 nM 내지 160 nM)를 처치하였다. 동시에, MDCK 세포는 또한 0.001의 MOI로 세포 계대 P0에서 초기에 사용된 A/H1N1 WT 바이러스로 감염시켰고 (도 6a 및 6b 참조), 이어서 감염 후 1시간에 별도로 상이한 증가 농도의 발록사비르 (0.04 nM 내지 160 nM)로 처치하였거나 또는 하지 않았다.
감염성 상청액은 48 hpi에 샘플채취하고 나서, 바이러스 부하는 MDCK 세포에서 TCID50의 제한 희석 방법을 통해서 적정하였다. 결과는 A/H1N1 바이러스가 감염되고 미처치된 대조군 세포와 비교하여 상대 값으로 표시되었다 (도 6c 내지 6g). 이들 감염성 바이러스 적정으로부터, 발록사비르의 중간 억제 농도를 계산하였고 하기 표 1에 보고한다.
결과의 상세한 설명
도 6b의 그래프는 도 6a에서 앞서 기술된, 각 세포 계대에 대한 상이한 실험 부문 (미처치, 발록사비르 처치, 딜티아젬 처치 및 딜티아젬 + 발록사비르 병용물 처치)에서 사용된 발록사비르 및 딜티아젬의 농도를 나타낸다. 표는 각 세포 계대로부터의 감염성 상청액의 제한 희석물 (유의한 세포변성 효과가 관찰됨)을 제공하며, 각각의 4개 실험 부문 (미처치, 발록사비르 처치, 딜티아젬 처치 및 딜티아젬 + 발록사비르 병용물 처치)에서 각각의 후속 세포 계대로부터의 MDCK 세포를 감염시키는데 사용되었다.
미처치 및 딜티아젬-처치 실험 부문은 10회 세포 계대 동안 유지되었다. 처치없는 부문 경우에, 각 세포 계대에 사용된 제한 희석은 항상 10-6 이었다. 딜티아젬 처치 부문 경우에, 사용된 제한 희석은 그래프 및 표에 표시된 바와 같이, 10-5 내지 10-6 으로 가변적이었다.
발록사비르-처치 부문과 관련하여, 각 세포 계대에 사용된 제한 희석은 사용된 발록사비르의 농도가 8 nM인, 6번째 세포 계대까지 10-5 으로 안정하게 유지시켰다. 이 세포 계대로부터, 후속 세포 계대에 사용된 제한 희석은, 사용된 발록사비르의 농도가 64 nM인, 9번째 세포 계대에서 복제성 바이러스의 상실까지 증가 농도의 발록사비르 (8 nM 내지 32 nM)가 사용되면서 점차적으로 감소되었다 (10-4 내지 10-1).
딜티아젬 + 발록사비르 병용물 처치 부문에서, 사용된 제한 희석 (유의한 세포변성 효과가 관찰됨)은 첫번째 세포 계대 (10-3)로부터 더 낮았고 6번째 세포 계대까지 10-3 내지 10-2 로 안정하게 유지되었다. 복제성 바이러스의 상실은 발록사비르 및 딜티아젬의 사용된 농도가 각각 16 nM 및 25 μM인, 7번째 세포 계대 동안 관찰되었다.
이들 결과는 발록사비르 처치 부문에서, 발록사비르의 초기 중간 억제 농도 (IC50)가 0.2 nM인, A/H1N1 바이러스가 32 nM의 발록사비르 농도 조건까지 8번째 세포 계대까지 복제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들 결과는 이들 실험 조건 하에서 발록사비르에 의해 발휘된 선택 압력이 내성 바이러스 표현형을 유도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대신에, 이러한 바이러스 내성 표현형은 딜티아젬 처치 부문에서 관찰되지 않았는데, 미처치 부문처럼, 각 세포 계대에 대해 사용된 제한 희석이, 10번째 세포 계대까지 바이러스의 상실없이, 10-5 내지 10-6 에서 안정하게 유지되었기 때문이다.
이들 결과는 또한 병용물 처치 부문에서 발록사비르에 딜티아젬의 첨가 (딜티아젬 25 μM + 1 nM 내지 8 nM의 증가 농도의 발록사비르)는 동일 농도의 딜티아젬 또는 발록사비르 단독 처치와 비교하여 바이러스 억제의 상승적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i) 각 세포 계대에서 사용된 제한 희석이 첫번째 세포 계대 (10-3)로부터 이 실험 부문에서 항상 더 낮았고, (ii) 복제성 바이러스가 보다 빠르게 (7번째 세포 계대로부터) 상실되었기 때문이다.
도 6c는 초기 세포 계대 P0로부터 생성된 A/H1N1 바이러스에 대한 발록사비르의 중간 억제 농도의 결정을 보고한다. 실험에서 사용된 A/H1N1 바이러스에 대해 초기에 결정된 IC50은 0.2 nM로 확인된다.
도 6d는 미처치 실험 부문의 세포 계대 P10으로부터 생성된 바이러스에 대한 발록사비르의 중간 억제 농도의 결정을 보고한다. 처치없이 (미처치) 10번째 세포 계대로부터 발행된 A/H1N1 바이러스에 대한 발록사비르의 계산된 IC50은 0.9 nM이다. 이러한 약간의 증가는 이러한 실험 부문에서 MDCK 세포에서 연속 세포 증폭에 적합화된 A/H1N1 바이러스의 바이러스 복제에 기인할 수 있다.
도 6e는 딜티아젬 처치 실험 부문의 세포 계대 P10으로부터 생성된 바이러스에 대한 발록사비르의 중간 억제 농도의 결정을 보고한다. 딜티아젬 처치의 10번째 세포 계대로부터 발행된 A/H1N1 바이러스에 대한 발록사비르의 계산된 IC50은 0.3 nM이다. 이러한 IC50은 실험에 사용된 A/H1N1 바이러스에 대해 초기에 결정된 것과 본질적으로 유사하다. 이러한 결과는 10회 연속 세포 계대 동안 25 μM의 일정 농도에서 딜티아젬 처치는 발록사비르에 대한 A/H1N1 바이러스의 민감성을 변형시키지 않는다 (그리고 발록사비르 내성 표현형을 갖는 바이러스의 출현을 유도시키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시켜 준다.
도 6f는 발록사비르 처치된 실험 부문의 세포 계대 P8로부터 생성된 바이러스에 대한 발록사비르의 중간 억제 농도의 결정을 보고한다.
발록사비르 처치 (증가 농도)된 8번째 세포 계대로부터 발행된 A/H1N1 바이러스에 대한 발록사비르의 계산된 IC50은 7 nM이다. 이러한 IC50은 실험에 사용된 A/H1N1 바이러스에 대해서 초기에 결정된 것 (IC50=0.2 nM)에 비해서 훨씬 더 높다.
초기 IC50의 35배에 상응하는 이러한 증가는 발록사비르 내성 표현형을 갖는 바이러스의 출현을 확인시켜 주는데, 도 6b에 기술된 관찰과 일관된다 (이 실험 부문에서 첫번째 세포 계대로부터 사용된 더 낮은 희석 한계, 8번째 세포 계대에서 32 nM의 발록사비르 농도 조건까지 효과적인 바이러스 복제).
도 6g는 딜티아젬 + 발록사비르 병용물 처치된 실험 부문의 세포 계대 P6으로부터 생성된 바이러스에 대한 발록사비르의 중간 억제 농도의 결정을 보고한다.
딜티아젬 + 발록사비르 병용물 처치 (증가 농도)된 6번째 세포 계대로부터 발행된 A/H1N1 바이러스에 대한 발록사비르의 계산된 IC50은 0.8 nM이다. 이러한 IC50은 처치없는 실험 부문에서 10번째 세포 계대로부터 발생된 A/H1N1 바이러스에서 발록사비르에 대해 계산된 것 (0.9 nM, 도 6d 참조)과 매우 유사하고 실험에 사용되고 세포 계대 P0로부터 생성된 A/H1N1 바이러스에서 초기에 계산된 것 (IC50=0.2 nM, 도 6c 참조)에 비해 약간 더 높다. 이러한 약간의 증가는 이 실험 부문에서 MDCK 세포에서 연속 세포 증폭에 적합화된 A/H1N1 바이러스의 바이러스 복제에 기인할 수 있다는 사실과 별개로, 발록사비르 처치 실험 부문의 세포 계대 P8로부터의 A/H1N1 바이러스에 대해 계산된 것 (IC50=7 nM, 도 6f 참조)에 비해서 매우 분명하게 더 낮다는 것이 명확하게 규명되어, 이러한 실험 부문에서 발록사비르 내성 표현형을 갖는 바이러스의 출현의 부재를 의미한다. 이들 결과는 발록사비르와 병용물로 딜티아젬의 사용이 항바이러스 선택 압력 (증가 농도의 발록사비르) 하에서 바이러스의 연속 세포 계대의 표준 시험에서 발록사비르-내성 바이러스의 출현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든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이한 실험 부문의 마지막 세포 계대로부터 생성된 A/H1N1 바이러스에 대한 발록사비르의 중간 억제 농도는 하기 표 1에 제공된다.
표 1:
Figure pct00002
결론적으로, 선택 압력 조건 하에서 A/H1N1 바이러스의 MDCK 세포에서 연속 세포 계대의 이러한 실험의 결과는 예상한 바와 같이, 증가 농도의 발록사비르의 사용이 발록사비르 내성 표현형을 갖는 A/H1N1 바이러스의 출현을 유도하였고, 다른 한편으로 증가 농도의 발록사비르의 동일 조건 하에서, 25 μM의 일정 농도로 딜티아젬의 병용물 중 첨가는 발록사비르 내성 표현형을 갖는 A/H1N1 바이러스의 출현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유사하게 예상된 바와 같이, 미처치 실험 조건은 발록사비르 내성 표현형을 갖는 A/H1N1 바이러스의 출현을 유도하지 않았다.
유사하게, 딜티아젬 단독 처치의 실험 조건은 또한 발록사비르 내성 표현형을 갖는 A/H1N1 바이러스의 출현을 유도하지 않는다.
설명에서 인용 순서에 따른 참조 문헌
특허
WO 87/07508
WO 2011/066657
WO 2016/146836
WO 2019/224489
WO 02/094238
US 4,605,552
논문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Claims (10)

  1. 딜티아젬, 및 발록사비르 마르복실, 피모디비르, RO-7 및 CC-42344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바이러스 중합효소 억제제 화합물의 병용물.
  2. 제1항에 있어서, 약물로서 이의 사용을 위한 것인 병용물.
  3. 특히 인간 또는 동물 신체의 호흡기 및/또는 장관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서 이의 사용을 위한 병용물.
  4. 제3항에 있어서, 바이러스 감염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용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적어도 하나의 항바이러스 화합물, 특히 항-인플루엔자 화합물, 및 보다 특히 바이러스 중합효소 억제제의 억제 작용에 내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용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병용물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활성제, 특히 항바이러스제 및/또는 항생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용물.
  7. 약학 비히클에, 제1항 또는 제6항에 기재된 바와 같은 딜티아젬 및 적어도 하나의 바이러스 중합효소 억제제의 병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흡입에 의한 투여에 적절한 제형 (dosage form) 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특히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서 이의 치료적 사용을 위한 것인 약학 조성물.
  10. 특히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서 이의 동시, 별도 또는 순차적 사용을 위한, 딜티아젬, 및 발록사비르 마르복실, 피모디비르, RO-7 및 CC-42344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바이러스 중합효소 억제제 화합물을 포함하는 병용물 제품.
KR1020227027575A 2020-01-13 2021-01-12 딜티아젬 및 바이러스 중합효소 억제제의 병용 KR202300093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FR2000255 2020-01-13
FR2000255A FR3106055B1 (fr) 2020-01-13 2020-01-13 Combinaison de diltiazem et autres agents antiviraux
PCT/FR2021/050049 WO2021144528A1 (fr) 2020-01-13 2021-01-12 Combinaison de diltiazem et des inhibiteurs de polymerase(s) viral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9357A true KR20230009357A (ko) 2023-01-17

Family

ID=72178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7575A KR20230009357A (ko) 2020-01-13 2021-01-12 딜티아젬 및 바이러스 중합효소 억제제의 병용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30075092A1 (ko)
EP (1) EP4090334A1 (ko)
JP (1) JP2023510005A (ko)
KR (1) KR20230009357A (ko)
CN (1) CN115515597B (ko)
CA (1) CA3164270A1 (ko)
FR (1) FR3106055B1 (ko)
IL (1) IL294664A (ko)
WO (1) WO2021144528A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26089A1 (de) 1983-07-20 1985-02-07 Gödecke AG, 1000 Berlin Zur inhalation bestimmte darreichungsform von calcium-antagonisten
US4849412A (en) 1986-06-05 1989-07-18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viral infections
FR2784030B1 (fr) 1998-10-02 2002-12-20 Inst Nat Sante Rech Med Utilisation de bloqueurs des canaux calciques et/ou cgmp-dependants pour le traitement de pathologies de la retine
WO2002094238A1 (en) 2001-05-24 2002-11-28 Alexza Molecular Delivery Corporation Delivery of anti-migraine compounds through an inhalation route
CA2687013C (en) 2009-12-03 2018-09-04 Kenneth W. Adams Method and composition for treatment and prevention of broad spectrum virus ailments
FR3033701B1 (fr) * 2015-03-19 2021-01-15 Univ Claude Bernard Lyon Nouvelles compositions antivirales pour le traitement de la grippe
JP2020516634A (ja) * 2017-04-12 2020-06-11 バーテックス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インフルエンザウイルス感染の処置方法および併用療法
FR3081325B1 (fr) 2018-05-23 2020-10-09 Univ Claude Bernard Lyon Diltiazem pour son utilisation dans le traitement des infections microbien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515597B (zh) 2024-06-28
IL294664A (en) 2022-09-01
US20230075092A1 (en) 2023-03-09
FR3106055B1 (fr) 2022-01-28
CN115515597A (zh) 2022-12-23
CA3164270A1 (fr) 2021-07-22
WO2021144528A1 (fr) 2021-07-22
FR3106055A1 (fr) 2021-07-16
EP4090334A1 (fr) 2022-11-23
JP2023510005A (ja) 2023-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5798B1 (ko) 코로나 바이러스에 연관된 감염의 치료를 위한 항바이러스 조성물
EP1954258B1 (en) Materials and methods for treating influenza viral infections with a cysteamine compound
Calfee et al. New approaches to influenza chemotherapy: neuraminidase inhibitors
KR102646962B1 (ko) 독감을 치료하기 위한 신규한 항바이러스 조성물
Kumaki et al. In vitro and in vivo efficacy of fluorodeoxycytidine analogs against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H5N1, seasonal, and pandemic H1N1 virus infections
EA022840B1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набор, их применение и способ профилактики и лечения симптома, состояния или заболевания, связанного с инфекцией вируса гриппа
KR20140027987A (ko)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복제를 억제하는 방법 및 약학조성물
CN103687599A (zh) 氯喹或氯丙嗪或其衍生物或它们的混合物在制备用于治疗和/或预防肺感染和损伤的药物中的用途
Shin et al. Comparison of anti-influenza virus activity and pharmacokinetics of oseltamivir free base and oseltamivir phosphate
Bantia et al. A single intramuscular injection of neuraminidase inhibitor peramivir demonstrates antiviral activity against novel pandemic A/California/04/2009 (H1N1) influenza virus infection in mice
CN101340902B (zh) 用半胱胺化合物处理病毒感染的材料和方法
JP2022546424A (ja) Mek阻害剤とキャップ依存性エンドヌクレアーゼ阻害剤との組み合わせ
KR20230009357A (ko) 딜티아젬 및 바이러스 중합효소 억제제의 병용
Kakuta et al. Efficacy of a single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laninamivir (an active metabolite of laninamivir octanoate) in an influenza virus infection mouse model
WO2017201030A1 (en) Methods of treating viral infection
CA2465062C (en) Preventive and/or therapeutic agent for viral infection
US20230248680A1 (en) Use of rigosertib to treat rna virus infections
JP2010528053A (ja) インフルエンザ感染症を治療するための物質および方法
JP2023517639A (ja) SARS-CoV-2ウイルスによって引き起こされるウイルス感染を処置するためのジルチアゼムを含む組成物
Cole Baloxavir marboxil. Influenza virus cap-dependent endonuclease (CEN) inhibitor, Anti-influenza agent
WO2021211098A1 (en) Prevention and treatment of viral infection-induced organ failure
US20220296606A1 (en) Novel antiviral compositions for treating the flu
JP4683844B2 (ja) インフルエンザウイルス感染予防剤
RU2431476C2 (ru) Материалы и способы лечения вирусных инфекций с помощью соединения цистеамина
US20120157519A1 (en) Tellerium-containing compounds for treating viral infe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