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9300A - 디스펜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키트 - Google Patents

디스펜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9300A
KR20230009300A KR1020220076939A KR20220076939A KR20230009300A KR 20230009300 A KR20230009300 A KR 20230009300A KR 1020220076939 A KR1020220076939 A KR 1020220076939A KR 20220076939 A KR20220076939 A KR 20220076939A KR 20230009300 A KR20230009300 A KR 20230009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dispenser
chamber
fastening means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6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필승
윤재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CN202221716750.5U priority Critical patent/CN218164505U/zh
Publication of KR20230009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93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2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for transferring liquids other than fuel or lubricants
    • B67D7/0288Container connection means
    • B67D7/0294Combined with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06Upper closure
    • B65D2251/0015Upper closure of the 41-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펜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키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디스펜서는, 액상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를 역립 상태로 착탈 가능한 디스펜서로서, 상기 용기에 수용된 액상 내용물을 저장하는 챔버; 상기 챔버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용기의 입구를 체결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에 장착된 상기 용기를 지면에 역립 상태로 보관할 수 있게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챔버의 내부 압력에 따라 외부공기의 유입을 제어하는 공기제어부재; 및 상기 챔버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마련되며, 액상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펜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키트{Dispenser and Product Kit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펜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키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디스펜서를 액상 내용물이 수용된 용기에 호환성 있게 착탈 가능하면서 역립 거치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영구적으로 재사용이 가능하면서 용기에 수용된 액상 내용물의 잔량 모두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디스펜서에 적용되는 용기를 매대 진열 시 역립 상태로 진열 가능하도록 하면서 리필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매대 진열 시 브랜드 로고/문안의 가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디스펜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상 샴푸 및 세제 등은 일상생활에서 액상 형태로 일정 형태의 용기에 담겨 사용되는 생활용품이다. 그리고 용기에는 충진된 액상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용기의 목 부분에 마개 겸용 수동식 소형 펌프가 결합 설치된다. 상기 펌프는 사용자의 누름에 의해 내용물이 일정한 양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쉽게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펌프장치는 디스펜서(dispenser)라고 하는데, 펌프를 누르면 펌프 내부의 챔버(chamber) 안에 들어있던 내용물이 노즐을 통해 밖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펌프를 누르던 힘이 제거되면 용기와 펌프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펌프가 상방으로 원상복귀 되면서 용기 안의 내용물이 펌프 내의 챔버로 흡인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샴푸 및 세제 등의 보관 용기는 바닥 부분이 지면과 수평으로 형성되어 정립 상태로 보관되고, 이러한 용기에 디스펜서를 장착하여 용기의 내부에 보관된 액상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할 수 있게 한다. 일반적으로 디스펜서의 흡입관은 바닥 부분과 밀착되면 액상 내용물을 용이하게 흡입할 수 없기 때문에 흡입관이 바닥 부분과 일정한 높이로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하였으나, 흡입관과 바닥부분이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흡입관이 잔량의 용액을 모두 흡입할 수 없어 항상 바닥 부분과 흡입관의 간격만큼의 양은 사용하지 못한다. 이에 디스펜서의 흡입관을 보관 용기의 바닥 부분에 밀착하면서 흡입관의 흡입 구조 또는 용기 바닥의 형상 등의 개선을 통해 잔량을 최소화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으나, 용기가 정립형일 경우에는 바닥 부분의 잔량을 전부 사용하기가 사실상 어렵다. 즉, 내용물이 소량 남았을 경우는 펌핑에 의한 흡입관 입구에 내용물 유입 후 흡일관 주변으로 내용물이 고이지 않아 바닥부 내용물을 끌어올려 사용하기 어렵다.
잔량을 사용할 때는 디스펜서를 제거하고, 보관 용기를 거꾸로 세워 잔량을 모두 소비해야만 하는데 점도가 높은 내용물인 경우 또는 용기 내에 내용물이 토출되는 노즐 헤드가 오픈되어 있어 공기와의 접촉으로 내용물이 굳어져 바닥에 내용물이 약간 남아 있게 되면 그 내용물의 배출이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때, 남아있는 내용물을 배출하여 사용하려면 용기를 거꾸로 뒤집어 흘러나오게 하여야 하지만, 내용물의 점성으로 인하여 상단 주입구까지 이동 분출시키기 위하여는 상당한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하는 등의 제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디스펜서는 용기마다 장착되어 있고, 액상 내용물을 모두 소진한 후에는 용기와 함께 폐기하고 있어, 폐기 비용이 발생하게 되고 환경에 악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용기마다 디스펜서를 장착해야 하므로 디스펜서의 제조 비용에 따른 제품의 단가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펜서를 액상 내용물이 수용된 용기에 호환성 있게 착탈 가능하면서 역립 거치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영구적으로 재사용이 가능하면서 용기에 수용된 액상 내용물의 잔량 모두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디스펜서에 적용되는 용기를 매대 진열 시 역립 상태로 진열 가능하도록 하면서 리필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매대 진열 시 브랜드 로고/문안의 가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디스펜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스펜서를 재사용 가능하게 하고 용기를 리필 가능하게 함으로써, 폐기 비용이 발생되지 않고, 플라스틱 사용량을 저감시켜 환경에 악영향을 주지 않으며,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디스펜서의 제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디스펜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디스펜서는, 액상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를 역립 상태로 착탈 가능한 디스펜서로서, 상기 용기에 수용된 액상 내용물을 저장하는 챔버; 상기 챔버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용기의 입구를 체결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에 장착된 상기 용기를 지면에 역립 상태로 보관할 수 있게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챔버의 내부 압력에 따라 외부공기의 유입을 제어하는 공기제어부재; 및 상기 챔버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마련되며, 액상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챔버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서 마련되며, 중앙에 공기통로가 형성되는 공기유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제어부재는, 상기 공기유입부의 상부에 밀착되어 상기 챔버의 내주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 상기 공기통로를 개폐하는 기밀부; 일단이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기밀부에 연결되되,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는 지점과 상기 기밀부에 연결되는 지점이 엇갈리게 마련되는 복수의 탄성부; 및 상기 복수의 탄성부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됨에 따라 상기 복수의 탄성부 사이에 마련되는 복수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기제어부재는, 상기 토출부를 통해 액상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도록 상기 용기를 가압하여 액상 내용물 수용 공간의 압력이 적어도 대기압을 초과할 때에는 상기 탄성부에 의해 상기 기밀부가 상기 공기통로를 차단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용기에 가해진 압력을 해제하여 상기 액상 내용물 수용 공간의 압력이 상기 용기가 복원되려는 힘에 의한 음압이 생길 때에는 상기 탄성부에 의해 상기 기밀부가 상기 공기통로를 개방시켜 상기 홀을 통해 외부공기가 상기 챔버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토출부는, 상기 챔버의 내부와 연통되며, 상기 챔버 외주면에 일단이 연결되어 외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토출관; 상기 토출관의 토출구에 삽입 설치되며, 액상 내용물의 토출을 조절하는 실링밸브; 및 상기 토출관의 토출구에 결합되며, 액상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는, 액상 내용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가지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입구를 밀폐하는 가이드캡; 및 상기 가이드캡과 체결되어 상기 용기를 역립 상태로 진열 또는 보관하는 외캡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캡은, 내주면에 마련되며, 상기 용기본체의 입구와 체결되는 내체결수단; 외주면에 마련되며, 상기 외캡 또는 상기 체결부와 체결되는 외체결수단; 및 상기 외체결수단과 상기 체결부의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용기를 상기 디스펜서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파단되는 파단막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내주면에 마련되면 상기 외체결수단과 체결하는 상기 체결수단; 및 끝단이 상기 파단막 가장자리에 위치되며, 상기 챔버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되, 적어도 상기 챔버의 상단을 벗어나도록 연장되어 마련되며, 상기 파단막을 파단시키는 커팅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파단막은, 상기 가이드캡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용기를 상기 디스펜서에 장착 시 절개되는 절개선; 및 상기 절개선이 형성되지 않는 일부 구간에 형성되며, 상기 용기를 상기 디스펜서에 장착 시 파단된 상기 파단막이 상기 가이드캡에 붙어 있게 하는 파단홈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토출부는, 상기 챔버의 내부와 연통되며, 상기 챔버 외주면에 일단이 연결되어 외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토출관; 상기 챔버와 상기 토출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토출관의 액상 내용물이 상기 챔버 내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밸브; 상기 토출관과 연결되어 상기 토출관을 통해 유입되는 액상 내용물을 저장하며,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는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에 설치되며, 액상 내용물의 토출을 조절하는 토출버튼; 상기 컨테이너의 유출구에 삽입 설치되며, 액상 내용물의 토출을 조절하는 실링밸브; 상기 컨테이너의 유출구에 결합되며, 상기 토출버튼을 눌러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 공간 압력을 높임에 의해 액상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기제어부재는, 액상 내용물 수용 공간의 압력이 적어도 대기압을 초과할 때에는 상기 탄성부에 의해 상기 기밀부가 상기 공기통로를 차단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토출버튼에 의해 액상 내용물이 외부로 강제 토출됨에 따라 상기 용기 내부의 압력이 음압이 되면, 상기 탄성부에 의해 상기 기밀부가 상기 공기통로를 개방시켜 상기 홀을 통해 외부공기가 상기 챔버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는, 액상 내용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가지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입구를 밀폐하는 가이드캡; 및 상기 가이드캡과 체결되어 상기 용기를 역립 상태로 진열 또는 보관하는 외캡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캡은, 내주면에 마련되며, 상기 용기본체의 입구와 체결되는 내체결수단; 외주면에 마련되며, 상기 외캡 또는 상기 체결부와 체결되는 외체결수단; 및 절개선이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체결수단과 상기 체결부의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용기를 상기 디스펜서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파단되는 파단막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내주면에 마련되면 상기 외체결수단과 체결하는 상기 체결수단; 및 끝단이 상기 파단막의 중앙에 위치되며, 액상 내용물이 통과하는 복수의 홀과 복수의 커팅날이 연속적으로 마련된 드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파단막을 파단시키는 커팅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캡의 상기 외체결수단은, 상기 가이드캡의 하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일정 길이 상향 연장되고, 수직 연장된 단부로부터 경사지게 상기 가이드캡의 상단 근처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홈이고, 상기 체결부의 상기 체결수단과 상기 외캡의 체결수단은 상기 외체결수단의 상기 가이드홈에 대응되는 한 쌍의 돌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캡의 상기 내체결수단은, 상기 가이드캡 상부의 내주면에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캡의 상기 외체결수단은, 상기 가이드캡 하부의 외주면에 마련되고, 상기 체결부의 상기 체결수단과 상기 외캡의 체결수단은 상기 외체결수단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챔버는, 상면이 전체 개방되고, 하면이 상기 챔버의 내측으로 일부 함몰되고, 함몰된 하면의 단부가 개방되고, 상기 공기유입부는, 상기 챔버의 함몰된 하면의 개방 부분에 가로막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제품 키트는, 상기한 디스펜서 및 상기 디스펜서에 착탈 가능한 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는 내부에 수용되는 액상 내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키트는, 디스펜서를 액상 내용물이 수용된 용기에 호환성 있게 착탈 가능하면서 역립 거치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영구적으로 재사용이 가능하면서 용기에 수용된 액상 내용물의 잔량 모두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키트는, 디스펜서에 적용되는 용기를 매대 진열 시 역립 상태로 진열 가능하도록 하면서 리필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매대 진열 시 브랜드 로고/문안의 가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키트는, 디스펜서를 재사용 가능하게 하고 용기를 리필 가능하게 함으로써, 폐기 비용이 발생되지 않고, 플라스틱 사용량을 저감시켜 환경에 악영향을 주지 않으며,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디스펜서의 제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키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키트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와 용기가 체결된 제품 키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공기제어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의 (a), (b) 및 (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키트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키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키트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키트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와 용기가 체결된 제품 키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의 (a)는 제2 실시예의 디스펜서 사시도, (b)는 가이드캡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키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키트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가이드캡과 체결부의 체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와 용기가 체결된 제품 키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키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키트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가이드캡과 체결부의 체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와 용기가 체결된 제품 키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 따른 각 제품 키트(1a, 1b, 1c, 1d)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전에, 이해를 돕기 위해 먼저 각 제품 키트(1a, 1b, 1c, 1d)를 구성하는 디스펜서(2a, 2b, 2c, 2d) 및 용기(3a, 3b, 3c, 3d)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디스펜서(2a, 2b, 2c, 2d) 및 액상 내용물이 수용된 용기(3a, 3b, 3c, 3d)는 별도로 제작되어 매대에 진열될 수 있으며, 포장 박스에 함께 포장되어 판매되거나, 개별적으로 판매될 수 있다.
디스펜서(2a, 2b, 2c, 2d)는 액상 내용물이 수용된 용기(3a, 3b, 3c, 3d)를 역립 상태로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역립 거치형일 수 있다. 디스펜서(2a, 2b, 2c, 2d)는 역립 상태로 체결된 용기(3a, 3b, 3c, 3d)의 사용 용도, 즉 수용된 액상 내용물에 따라 다양한 장소의 바닥에 거치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디스펜서(2a, 2b, 2c, 2d)는 용기(3a, 3b, 3c, 3d)를 지속적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영구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다.
용기(3a, 3b, 3c, 3d)는, 디스펜서(2a, 2b, 2c, 2d)의 토출 방식에 따라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의 디스펜서(2a, 2b)에 적용되는 용기(3a, 3b)와, 제3실시예 및 제4실시예의 디스펜서(2c, 2d)에 적용되는 용기(3c, 3d)로 구분될 수 있다.
용기(3a, 3b)는, 제1,2실시예의 디스펜서(2a, 2b)가 용기(3a, 3b) 자체를 가압함에 의해 액상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플라스틱 또는 수지와 같은 연질의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용기(3a, 3b)는 사출 제작이 용이하고, 실시하기에 따라 탄성을 가진 소재라면 어떠한 재질로도 형성 가능 가능하다.
또한, 용기(3c, 3d)는, 디스펜서(2c, 2d)가 자체에 마련되는 토출부(60c)의 토출버튼(64c)을 누름에 의해 용기(3c, 3d) 내부에 수용된 액상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초자와 같은 경질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용기(3c, 3d)는, 용기(3a, 3b)와 같이 플라스틱 또는 수지와 같은 연질의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용기(3a, 3b, 3c, 3d)는 디스펜서(2a, 2b, 2c, 2d)에 역립 상태로 체결되어 사용되므로, 역립 상태에서 브랜드 로고/문안 등 액상 내용물의 정보를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가독성 있게 표시된다.
또한, 용기(3a, 3b, 3c, 3d)는 역립 거치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역립 상태로 매대에 진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용기(3a, 3b, 3c, 3d)는 디스펜서(2a, 2b, 2c, 2d)에 역립 상태로 체결하여 사용하고, 매대 진열 시에도 역립 상태로 진열되므로, 정립 상태의 기존의 디스펜서 용기와 달리 바닥 부분이 지면에 닿을 필요가 없어, 이로 인해 바닥 부분을 미려하게 디자인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용기(3a, 3b, 3c, 3d)는 액상 내용물이 수용된 상태로 별도 제작되어 디스펜서(2a, 2b, 2c, 2d)에 체결해 사용하므로, 완제품으로 출시되는 기존의 디스펜서 용기와 달리 리필제품으로 출시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용기(3a, 3b, 3c, 3d)에 수용되는 액상 내용물은 저점도 액상 내용물로부터 고점도 액상 내용물까지 모든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상 내용물은, 바디워시액, 샴푸액, 손소독제, 주방세제 등의 HDB(Home Care & Daily Beauty) 제품, 식용유, 오일, 참기름, 간장, 물엿, 식초 등의 액상의 식료품, 클렌징폼, 클렌징크림, 바디클렌져, 바디오일,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등도 가능하며, 액상세탁세제, 섬유유연제, 표백제, 카펫세제, 유리세제, 과일세제 또는 주방세제 등의 점도가 있는 내용물이라면 어떠한 내용물도 채택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 따른 각 제품 키트(1a, 1b, 1c, 1d)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키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키트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와 용기가 체결된 제품 키트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공기제어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5의 (a), (b) 및 (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키트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품 키트(1a)는 디스펜서(2a) 및 디스펜서(2a)에 착탈 가능한 용기(3a)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디스펜서(2a)를 설명하기 전에 먼저 용기(3a)를 설명하기로 한다.
용기(3a)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 또는 수지와 같은 연질의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역립 상태로 디스펜서(2a)에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용기본체(70a), 가이드캡(80a), 외캡(90a)을 포함할 수 있다.
용기본체(70a)는 액상 내용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가지며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용된 액상 내용물을 외부로 유출하는 입구가 마련될 수 있다.
용기본체(70a)의 외표면에는 역립 상태에서 브랜드 로고/문안 등 액상 내용물의 정보가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가독성 있게 표시될 수 있다.
가이드캡(80a)은 용기본체(70a)의 입구를 밀폐할 수 있으며, 디스펜서(2a)의 체결부(20a)와 체결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캡(80a)은 내체결수단(81a), 외체결수단(82a), 파단막(83a)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체결수단(81a)은 용기본체(70a)의 입구와 체결될 수 있도록, 가이드캡(80a)의 내주면에 마련될 수 있다. 내체결수단(81a)은 용기본체(70a)의 입구가 나사산으로 형성될 경우 이에 대응되는 나사산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용기본체(70a)의 입구 외주면에 마련되는 체결수단(도면부호 미도시)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외체결수단(82a)은 외캡(90a) 또는 디스펜서(2a)의 체결부(20a)와 체결될 수 있도록, 가이드캡(80a)의 외주면에 마련될 수 있다. 외체결수단(82a)은 외캡(90a)의 내주면에 마련되는 체결수단(도면부호 미도시)이 나사산으로 형성될 경우 이에 대응되는 나사산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체결수단(82a)은 디스펜서(2a)의 체결부(20a)와 체결될 수 있다.
즉, 외체결수단(82a)은 외캡(90a)과 체결부(20a) 각각에 마련되는 체결수단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이때 외캡(90a)의 체결수단과 체결부(20a)의 체결수단(21a)은 동일할 수 있다.
파단막(83a)은 가이드캡(80a)의 일면을 이루며, 외체결수단(82a)과 체결부(20a)의 체결수단(21a)에 의해 용기(3a)를 디스펜서(2a)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파단될 수 있다. 파단막(83a)의 파단 부분은 절개선 또는 파단홈을 형성함에 따라 가이드캡(80a)으로부터 완전히 탈리되도록 하거나 일부가 가이드캡(80a)에 붙어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파단막(83a)은 일정한 외압에 의해 파단될 수 있도록, 두께가 얇은 박막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파단을 쉽게하기 위해 절개선 또는 파단홈을 형성하는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파단막(83a)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서는 후술할 제2실시예에서 도 10을 참고하여 설명할 것이다.
외캡(90a)은 가이드캡(80a)과 체결될 수 있으며, 용기(3a)를 역립 상태로 진열 또는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캡(90a)은 용기(3a)를 고정한 상태에서 용기(3a)가 넘어지지 않도록 지면에 밀착되는 하면의 표면적이 상면의 표면적보다 넓은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외캡(90a)의 상면에는 가이드캡(80a)의 크기에 대응되는 홈(도면부호 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으며, 홈의 내주면에는 가이드캡(80a)의 외체결수단(82a)에 대응되는 체결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외캡(90a)의 체결수단은, 후술하겠지만 체결부(20a)의 체결수단(21a)과 동일할 수 있다. 즉, 체결부(20a)의 체결수단(21a)과 외캡(90a)의 체결수단은 동일할 수 있고, 가이드캡(80a)의 외체결수단(82a)은 체결부(20a)의 체결수단(21a) 또는 외캡(90a)의 체결수단에 삽입 체결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용기(3a)의 가이드캡(80a)은 일반적으로 입구를 밀폐하는 기존 캡과 같이 뚜껑 역할을 하지만, 기존 대비 내체결수단(81a)만 유사할 뿐 외체결수단(82a) 및 파단막(83a)은 상이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이드캡(80a)으로 인해 본 실시예의 용기(3a)는 리필용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용기(3a)는 상기한 바와 같은 외캡(90a)을 마련함으로써, 역립 상태로 거치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디스펜서(2a)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디스펜서(2a)는 역립 거치형일 수 있다. 디스펜서(2a)는 용기(3a)를 역립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챔버(10a), 체결부(20a), 지지부(30a), 공기유입부(40a), 공기제어부재(50a), 토출부(60a)를 포함할 수 있다.
챔버(10a)는 상하단이 개방된 형상을 가진다. 챔버(10a)는 상단에 체결부(20a)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하단에 지지부(30a)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하단에 가로막 형태의 공기유입부(40a)가 마련될 수 있고, 외주면에 토출부(60a)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챔버(10a)는 액상 내용물이 수용된 용기(3a)가 체결부(20a)에 의해 체결된 상태에서 액상 내용물을 임시 저장할 수 있고, 용기(3a)의 용기본체(70a)를 가압함에 의해 액상 내용물을 토출부(60a)를 통해 외부로 토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챔버(10a)는 원통 형상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면 형상이 다각형 등 상하단이 개방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체결부(20a)는 상하단이 개방된 원통 형상을 가지며, 하단이 챔버(10a)의 상단과 연통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고, 용기(3a)를 역립 상태로 하여 용기(3a)의 입구를 체결할 수 있다.
체결부(20a)는 챔버(10a)의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가이드캡(80a)의 지름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되고, 연장된 부분으로부터 상측으로 가이드캡(80a)의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되어, 상하단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결부(20a)는 상단이 가이드캡(80a)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크기로 개방되고 하단이 챔버(10a)의 상단에 대응되는 크기로 개방될 수 있으며, 상단의 개방된 크기가 하단의 개방된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체결부(20a)는 체결수단(21a), 커팅수단(22a), 패킹(23a)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수단(21a)은 체결부(20a)의 내주면에 마련될 수 있다. 체결수단(21a)은 가이드캡(80a)의 외체결수단(82a)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용기(3a)를 디스펜서(2a)에 체결하여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커팅수단(22a)은 체결수단(21a)과 가이드캡(80a)의 외체결수단(82a)에 의해 용기(3a)를 디스펜서(2a)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가이드캡(80a)의 파단막(83a)을 파단할 수 있도록, 체결부(20a)의 하단 바닥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일정 길이 상향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커팅수단(22a)은 끝단이 가이드캡(80a)의 파단막(83a) 가장자리에 위치되도록 챔버(10a)의 입구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커팅수단(22a)은 파단막(83a)을 용이하게 파단할 수 있도록, 끝단을 커팅날 형상으로 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톱니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패킹(23a)은 용기(3a)를 디스펜서(2a)에 장착했을 때, 용기(3a)의 가이드캡(80a)이 체결되는 부분에서 액상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가이드캡(80a)의 단부가 밀착되는 부분인 커팅수단(22a) 외측의 체결부(20a)의 하단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다.
패킹(23a)은 링 형상으로 가이드캡(80a)의 크기와 동일할 수 있다.
지지부(30a)는 챔버(10a)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체결부(20a)에 장착된 용기(3a)를 지면에 역립 상태로 보관할 수 있게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30a)는 용기(3a)를 디스펜서(2a)에 역립으로 장착한 상태에서 지면에 밀착될 수 있으며, 챔버(10a)의 하단 가장자리로부터 수직으로 일정 길이 하향 연장되다가 지면에 접촉되는 부분의 면적이 넓어지도록 외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용기(3a)가 장착된 디스펜서(2a)가 넘어지지 않도록 한다. 지지부(30a)의 하면은 외부공기가 유입되도록 전부 또는 일부가 개방된 상태일 수 있다.
공기유입부(40a)는 챔버(10a)와 지지부(30a) 사이에서 챔버(10a)의 하단에 가로막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부에 공기제어부재(50a)가 설치될 수 있다.
공기유입부(40a)는 중앙에 공기통로(41a)가 형성되도록 챔버(10a)의 하단 내주면에 링 형상으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공기통로(41a)는 공기제어부재(50a)에 의해 개폐 가능하다. 여기서, 공기통로(41a)는 액상 내용물을 사용하지 않을 때 공기제어부재(50a)에 의한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입구가 주변보다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공기제어부재(50a)는 챔버(10a)와 지지부(30a) 사이에 마련될 수 있으며, 챔버(10a) 내부 압력에 따라 외부공기의 유입을 제어할 수 있다.
공기제어부재(50a)는 공기유입부(40a) 상부에 가로막 형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액상 내용물 수용 공간의 압력이 적어도 대기압을 초과할 때에는 차단 상태를 유지하고, 액상 내용물 수용 공간의 압력이 용기(3a)가 복원되려는 힘에 의한 음압이 생길 때에는 개방되어 외부공기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액상 내용물 수용 공간은 용기본체(70a)의 내부공간 및/또는 챔버(10a)의 내부 공간일 수 있다.
공기제어부재(50a)는 고정부(51a), 기밀부(52a), 탄성부(53a), 홀(54a)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고정부(51a)는 링 형상일 수 있으며, 공기유입부(40a)의 상부에 밀착되어 챔버(10a)의 내주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기밀부(52a)는, 공기유입부(40a)의 공기통로(41a)를 개폐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기밀부(52a)는 링 형상의 고정부(51a) 중심에 위치될 수 있으며, 링 형상의 고정부(51a)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의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53a)는 일단이 고정부(51a)에 연결되고 타단이 기밀부(52a)에 연결되되, 고정부(51a)에 연결되는 지점과 기밀부(52a)에 연결되는 지점이 엇갈리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53a)는 고정부(51a)와 기밀부(52a) 사이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탄성부(53a)는 액상 내용물 수용 공간의 압력이 적어도 대기압을 초과할 때에는 기밀부(52a)가 공기통로(41a)를 차단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탄성부(53a)는 액상 내용물 수용 공간의 압력이 음압일 때에는 외부와의 압력(대기압) 차이로 인해 액상 내용물 수용 공간 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기밀부(52a)가 공기통로(41a)를 개방할 수 있게 한다. 이후 액상 내용물 수용 공간의 압력이 음압에서 적어도 대기압 또는 대기압보다 높아지면, 탄성부(53a)는 원래의 상태로 돌아와 기밀부(52a)가 공기통로(41a)를 차단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탄성부(53a)는 고정부(51a)에 연결되는 지점과 기밀부(52a)에 연결되는 지점이 엇갈리게 마련됨으로써, 탄성부(53a)의 이동에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기밀부(52a)를 회전시키게 되며, 이로 인해 기밀부(52a)가 회전없이 수직 이동하는 것 대비 공기통로(41a)의 개방을 더욱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공기통로(41a)의 기밀 상태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53a)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51a)와 기밀부(52a)에 엇갈리게 연결된 경우, 탄성부(53a)가 위쪽(액상 내용물 수용 공간 쪽)으로 이동할 때 기밀부(52a)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탄성부(53a)가 아래쪽으로 이동할 때 기밀부(52a)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홀(54a)은 복수의 탄성부(53a)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됨에 따라 복수의 탄성부(53a)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홀(54a)은 기밀부(52a)에 의해 공기통로(41a)가 개방되면 외부공기가 액상 내용물 수용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로 역할을 한다.
상기에서, 액상 내용물 수용 공간의 압력이 대기압 상태라 함은 용기(3a)에 수용된 액상 내용물을 사용하지 않는 상태라 할 수 있고, 액상 내용물 수용 공간의 압력이 적어도 대기압을 초과한 상태라 함은 사용자가 액상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해 용기본체(70a)를 가압한 상태라 할 수 있고, 액상 내용물 수용 공간의 압력이 음압 상태라 함은 사용자가 액상 내용물을 사용한 후 용기본체(70a)에 가해진 압력을 해제시켜 용기본체(70a)의 눌러진 부분이 원래 상태로 돌아오는 상태라 할 수 있다.
토출부(60a)는 챔버(10a)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챔버(10a) 내부의 액상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할 수 있도록 챔버(10a)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토출부(60a)는 토출관(61a), 실링밸브(62a), 노즐(63a)을 포함할 수 있다.
토출관(61a)은 챔버(10a)의 내부와 연통되어 챔버(10a) 내부의 액상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통로로서, 챔버(10a) 외주면에 일단이 연결되어 외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토출관(61a)은 경질의 재질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토출관(61a)을 탄성 재질로 형성할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용기본체(70a)를 가압하지 않고 토출관(61a)을 가압하여 액상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실링밸브(62a)는 액상 내용물의 토출을 조절할 수 있도록, 토출관(61a)의 토출구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실링밸브(62a)는 고무, 실리콘, 엘라스토머 등과 같이 연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탄성에 의해 개폐를 구현하는 판막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실링밸브(62a)는 상기한 공기제어부재(50a)와 같은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경질의 재료로 이루어져 토출부(60a)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실링밸브(62a)는 액상 내용물의 토출은 허용하되, 토출된 액상 내용물이 다시 액상 내용물 수용 공간으로 재유입되는 것은 방지할 수 있어,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노즐(63a)은 토출관(61a)의 토출구에 결합될 수 있으며, 액상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도 5의 (a), (b) 및 (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2a)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키트(1a)의 사용 상태를 설명한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펜서(2a)를 지면에 역립 상태로 거치하고, 용기(3a)를 역립 상태로 하여 디스펜서(2a)에 조립하도록 준비한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캡(80a)을 체결부(20a)에 일치시킨 후 용기(3a)를 회전시키면, 가이드캡(80a)의 외체결수단(82a)과 체결부(20a)의 체결수단(21a)에 의해 체결되어 디스펜서(2a)에 용기(3a)가 장착된다. 체결되는 과정에서 가이드캡(80a)의 파단막(83a)이 커팅수단(22a)에 의해 파단되어 제거되고, 이로 인해 용기본체(70a) 내부에 수용된 액상 내용물이 챔버(10a)로 유입되어 임시 저장된다. 사용자가 액상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해 용기본체(70a)를 가압하게 되면 액상 내용물 수용 공간의 압력이 적어도 대기압을 초과하게 되고, 이로 인해 실링밸브(62a)에 의해 노즐(63a)이 개방되어 액상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된다. 이때 공기제어부재(50a)는 공기유입부(40a)의 공기통로(41a)를 차단한 상태를 유지한다.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액상 내용물을 사용한 후 용기본체(70a)에 가해진 압력을 해제시키면, 용기본체(70a)의 눌러진 부분이 원래 상태로 돌아오면서 액상 내용물 수용 공간의 압력이 음압으로 변하게 되고, 이로 인해 공기제어부재(50a)에 의해 공기유입부(40a)의 공기통로(41a)가 개방되어 외부공기가 액상 내용물 수용 공간으로 유입된다. 이때 실링밸브(62a)는 노즐(63a)을 차단한 상태를 유지한다. 외부공기의 유입은 액상 내용물 수용 공간의 압력이 음압에서 적어도 대기압이 될 때까지 계속되어 액상 내용물 수용 공간의 압력이 적어도 대기압에 도달하게 되면, 공기제어부재(50a)에 의해 공기유입부(40a)의 공기통로(41a)가 차단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2a) 및 디스펜서(2a)에 착탈 가능한 용기(3a)를 포함하는 제품 키트(1a)는, 내용물 토출방식이 용기(3a)를 직접 누르는 방식이고, 가이드캡(80a)의 외체결수단(82a)은 체결방식이 스크류와 같은 나사체결 방식이고, 커팅수단(22a)은 원기둥 돌기 또는 원기둥 끝단이 톱니 형상이며 파단막(83a)을 직접 커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키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키트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키트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와 용기가 체결된 제품 키트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의 (a)는 제2 실시예의 디스펜서 사시도, (b)는 가이드캡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품 키트(1b)는 디스펜서(2b) 및 디스펜서(2b)에 착탈 가능한 용기(3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디스펜서(2b)를 설명하기 전에 먼저 용기(3b)를 설명하기로 한다.
용기(3b)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 또는 수지와 같은 연질의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역립 상태로 디스펜서(2b)에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용기본체(70b), 가이드캡(80b), 외캡(90b)을 포함할 수 있다.
용기본체(70b)는 액상 내용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가지며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용된 액상 내용물을 외부로 유출하는 입구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용기본체(70b)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용기본체(70a)의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중복 설명을 회피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가이드캡(80b)은 용기본체(70b)의 입구를 밀폐할 수 있으며, 디스펜서(2b)의 체결부(20b)와 체결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캡(80b)은 내체결수단(81b), 외체결수단(82b), 파단막(83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체결수단(81b)은 용기본체(70b)의 입구와 체결될 수 있도록, 가이드캡(80b)의 내주면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내체결수단(81b)은 전술한 제1실시예의 내체결수단(81a)의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중복 설명을 회피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외체결수단(82b)은 외캡(90b) 또는 디스펜서(2b)의 체결부(20b)와 체결될 수 있도록, 가이드캡(80b)의 외주면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외체결수단(82b)은 전술한 제1실시예의 외체결수단(82a)의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중복 설명을 회피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파단막(83b)은 가이드캡(80b)의 일면을 이루며, 일정한 외압에 의해 파단될 수 있도록, 주변의 두께보다 얇은 박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파단막(83b)은 외체결수단(82b)과 체결부(20b)의 체결수단(21b)에 의해 용기(3b)를 디스펜서(2b)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파단될 수 있다.
파단막(83b)의 파단 부분은 절개선 또는 파단홈을 형성함에 따라 가이드캡(80b)으로부터 완전히 탈리되도록 하거나 일부가 가이드캡(80b)에 붙어 있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도 10의 (a), (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의 (a)에 도시된 파단막(83b)은 가장자리를 따라 주변 막의 두께보다 얇은 절개선(831b)이 형성될 수 있다. 절개선(831b)은 일측 구간 일부에는 형성되지 않고 타측 일부 구간에는 파단홈(832b)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절개선(831b)과 파단홈(832b)을 갖도록 파단막(83b)을 형성할 경우, 외체결수단(82b)과 체결부(20b)의 체결수단(21b)에 의해 파단될 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단된 파단막(83b)이 가이드캡(80b)에 붙어 있게 된다. 절개선(831b)과 파단홈(832b)을 형성함으로써, 파단막(83b)은 커팅수단(22b)에 의해 완전히 분리되거나 일부 구간이 가이드캡(80b)에 힌지 형태로 붙어있을 수 있다.
도 10의 (b)에 도시된 판단막(83b)은 상기한 파단홈(832b)이 생략되고 절개선(831b)만 형성된 경우로서, 외체결수단(82b)과 체결부(20b)의 체결수단(21b)에 의해 파단될 때 가이드캡(80b)으로부터 완전히 탈리될 수 있다.
외캡(90b)은 용기(3b)를 역립 상태로 진열 또는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외캡(90b)은 전술한 제1실시예의 외캡(90a)의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중복 설명을 회피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디스펜서(2b)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디스펜서(2b)는 역립 거치형일 수 있다. 디스펜서(2b)는 용기(3b)를 역립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챔버(10b), 체결부(20b), 지지부(30b), 공기유입부(40b), 공기제어부재(50b), 토출부(60b)를 포함할 수 있다.
챔버(10b)는 상하단이 개방된 형상을 가진다. 챔버(10b)는 상단에 체결부(20b)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하단에 지지부(30b)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하단에 가로막 형태의 공기유입부(40b)가 마련될 수 있고, 외주면에 토출부(60b)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챔버(10b)는 액상 내용물이 수용된 용기(3b)가 체결부(20b)에 의해 체결된 상태에서 액상 내용물을 임시 저장할 수 있고, 용기(3b)의 용기본체(70b)를 가압함에 의해 액상 내용물을 토출부(60b)를 통해 외부로 토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챔버(10b)는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는 컵 형상일 수 있다.
체결부(20b)는 상하단이 개방된 원통 형상을 가지며, 하단이 챔버(10b)의 상단과 연통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고, 용기(3b)를 역립 상태로 하여 용기(3b)의 입구를 체결할 수 있다. 체결부(20b)는, 용기(3b)가 체결부(20b)에 체결되었을 때 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하단이 개방된 원통 형상의 측벽을 내측벽(도면부호 미도시)으로 하고, 내측벽의 외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외측벽(도면부호 미도시)이 형성되는 이중 측벽 구조일 수 있다.
체결부(20b)는 챔버(10b)의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가이드캡(80b)의 지름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되고, 연장된 부분으로부터 상측으로 가이드캡(80b)의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되어, 상하단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결부(20b)는 상단이 가이드캡(80b)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크기로 개방되고 하단이 챔버(10b)의 상단에 대응되는 크기로 개방될 수 있으며, 상단의 개방된 크기가 하단의 개방된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체결부(20b)는 체결수단(21b), 커팅수단(22b), 패킹(23b)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수단(21b)은 체결부(20b)의 내주면에 마련될 수 있다. 체결수단(21b)은 가이드캡(80b)의 외체결수단(82b)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용기(3b)를 디스펜서(2b)에 체결하여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커팅수단(22b)은 체결수단(21b)과 가이드캡(80b)의 외체결수단(82b)에 의해 용기(3b)를 디스펜서(2b)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가이드캡(80b)의 파단막(83b)을 파단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커팅수단(22b)은, 전술한 제1실시예의 커팅수단(22a)과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커팅수단(22b)은, 끝단이 가이드캡(80b)의 파단막(83b) 가장자리에 위치되도록, 컵 형상의 챔버(10b) 하단 내주면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되, 적어도 챔버(10b)의 상단을 벗어나도록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커팅수단(22b)은 일정 간격을 두고 적어도 두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커팅수단(22b)이 컵 형상의 챔버(10b) 하단 내주면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경우 원통과 유사한 구조가 되어 원통 내부의 액상 내용물이 토출부(60b)로 토출되지 않는 문제가 있게 된다. 즉, 커팅수단(22b)은 가이드캡(80b) 상단의 파단막(83b)이 분리되면 내용물이 챔버(10b)로 이동하여 토출관(61b)으로 유입가능하도록 틈새(221b)로 분할된 원통기둥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팅수단(22b)은 파단막(83b)을 용이하게 파단할 수 있도록, 끝단을 커팅날 형상으로 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톱니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패킹(23b)은 용기(3b)를 디스펜서(2b)에 장착했을 때, 용기(3b)의 가이드캡(80b)이 체결되는 부분에서 액상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전술한 제1실시예의 패킹(23a)의 구조 및 기능과 유사하여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지지부(30b)는 용기(3b)를 디스펜서(2b)에 장착한 상태에서 지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전술한 제1실시예의 지지부(30a)와 동일 또는 유사하여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공기유입부(40b)는 중앙에 공기통로(41b)가 형성되도록 챔버(10b)의 하단 내주면에 링 형상으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공기통로(41b)가 형성된 공기유입부(40b)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공기통로(41a)가 형성된 공기유입부(40a)와 동일 또는 유사하여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공기제어부재(50b)는 공기유입부(40b) 상부에 가로막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공기제어부재(50b)는 고정부(51a), 기밀부(52a), 탄성부(53a), 홀(54a)로 이루어지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공기제어부재(50a)와 동일 또는 유사하여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토출부(60b)는 챔버(10b)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토출관(61b), 실링밸브(62b), 노즐(63b)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토출부(60b)는 토출관(61a), 실링밸브(62a), 노즐(63a)을 포함하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토출부(60a)와 동일 또는 유사하여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2b)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키트(1b)의 사용 상태는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2a)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키트(1a)의 사용 상태와 동일 또는 유사하여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2b) 및 디스펜서(2b)에 착탈 가능한 용기(3b)를 포함하는 제품 키트(1b)는, 내용물 토출방식이 용기(3b)를 직접 누르는 방식이고, 가이드캡(80b)의 외체결수단(82b)은 체결방식이 스크류와 같은 나사체결 방식이고, 커팅수단(22b)은 틈새(221b)로 분할된 원통기둥형상이며 파단막(83b)을 밀어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가이드캡(80b)의 외체결수단(82b)은 가이드캡(80b) 하단 외곽으로 룰렛 형상의 기둥이 돌출된 구조를 이루도록 할 수 있으며, 용기(3b)와 가이드캡(80b)을 동시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용기(3b)와 가이드캡(80b)을 동시 분리할 때, 내용물 사용 후 리필 용기 교체 시 디스펜서(2b)에서 가이드캡(80b)이 강하게 체결되어 용기만 분리되면 디스펜서(2b)에서 가이드캡(80b) 별도 분리가 어려울 수 있으므로, 가이드캡(80b) 하단에 미끄럼 방지위한 룰렛 형상을 부여한 직선구간을 설치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키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키트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가이드캡과 체결부의 체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와 용기가 체결된 제품 키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품 키트(1c)는 디스펜서(2c) 및 디스펜서(2c)에 착탈 가능한 용기(3c)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디스펜서(2c)를 설명하기 전에 먼저 용기(3c)를 설명하기로 한다.
용기(3c)는 전술한 바와 같이 초자와 같은 경질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용기(3c)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용기(3a)와 같이 플라스틱 또는 수지와 같은 연질의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용기(3c)는 역립 상태로 디스펜서(2c)에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용기본체(70c), 가이드캡(80c), 외캡(90c)을 포함할 수 있다.
용기본체(70c)는 액상 내용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가지며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용된 액상 내용물을 외부로 유출하는 입구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용기본체(70c)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용기본체(70a)의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중복 설명을 회피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가이드캡(80c)은 용기본체(70c)의 입구를 밀폐할 수 있으며, 디스펜서(2c)의 체결부(20c)와 체결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캡(80c)은 내체결수단(81c), 외체결수단(82c), 파단막(83c)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체결수단(81c)은 용기본체(70c)의 입구와 체결될 수 있도록, 가이드캡(80c)의 내주면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내체결수단(81c)은 전술한 제1실시예의 내체결수단(81a)의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중복 설명을 회피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외체결수단(82c)은 외캡(90c) 또는 디스펜서(2c)의 체결부(20c)과 체결될 수 있도록, 가이드캡(80c)의 외주면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외체결수단(82c)은 전술한 제1실시예의 나사산으로 형성되는 외체결수단(82a)과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외체결수단(82c)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캡(80c)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한 쌍의 가이드홈일 수 있으며, 이러한 외체결수단(82c)의 가이드홈은, 용기(3c)를 디스펜서(2c)에 장착할 때 체결부(20c)의 체결수단(21c)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때 체결부(20c)의 체결수단(21c)은 외체결수단(82c)의 가이드홈에 대응되는 한 쌍의 돌기일 수 있다. 또한, 외체결수단(82c)의 가이드홈은, 외캡(90c)의 체결수단도 가이드할 수 있는데, 도시하지 않았지만, 외캡(90c)의 체결수단 역시 가이드홈에 대응되는 한 쌍의 돌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체결수단(82c)의 가이드홈은 가이드캡(80c)의 하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일정 길이 상향 연장되고, 수직 연장된 단부로부터 경사지게 가이드캡(80c)의 상단 근처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체결수단(82c)의 가이드홈은 용기(3c)가 디스펜서(2c)에 완전히 장착되었을 때 용기(3c)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경사 연장된 단부에 걸림턱(821c)이 마련될 수 있다.
파단막(83c)은 가이드캡(80c)의 일면을 이루며, 일정한 외압에 의해 파단될 수 있도록, 주변의 두께보다 얇은 박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파단막(83c)은 외체결수단(82c)과 체결부(20c)의 체결수단(21c)에 의해 용기(3c)를 디스펜서(2c)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파단될 수 있다.
파단막(83c)은 주변 막의 두께보다 얇은 절개선(831c)이 형성될 수 있다. 절개선(831c)은 후술할 체결부(20c)의 커팅수단(22c)에 대응되도록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절개선(831c)이 방사상으로 형성됨으로 인하여 외체결수단(82c)과 체결부(20c)의 체결수단(21c)에 의해 파단될 때, 파단막(83c)의 파단 부분이 가이드캡(80c)에 붙어 있게 된다.
외캡(90c)은 용기(3c)를 역립 상태로 진열 또는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외캡(90c)은 전술한 제1실시예의 외캡(90a)과 비교할 때, 외캡(90a)의 체결수단이 가이드캡(80c)의 외주면에 한 쌍의 가이드홈으로 형성되는 외체결수단(82c)에 대응되도록 한 쌍의 돌기로 형성되는 것이 다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디스펜서(2c)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디스펜서(2c)는 역립 거치형일 수 있다. 디스펜서(2c)는 용기(3c)를 역립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챔버(10c), 체결부(20c), 지지부(30c), 공기유입부(40c), 공기제어부재(50c), 토출부(60c)를 포함할 수 있다.
챔버(10c)는 상하단이 개방된 형상을 가진다. 챔버(10c)는 상면이 전체 개방되고, 하면이 챔버(10c)의 내측으로 일부 함몰되고, 함몰된 하면의 단부가 개방될 수 있다.
챔버(10c)는 상단에 체결부(20c)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하단에 지지부(30c)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함몰된 하면의 개방 부분에 가로막 형태의 공기유입부(40c)가 마련될 수 있고, 외주면에 토출부(60c)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챔버(10c)는 액상 내용물이 수용된 용기(3c)가 체결부(20c)에 의해 체결된 상태에서 액상 내용물을 임시 저장할 수 있고, 후술할 토출부(60c)의 토출버튼(64c)을 가압함에 의해 액상 내용물을 토출부(60c)를 통해 외부로 토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챔버(10c)는 원통 형상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면 형상이 다각형 등 상하단이 개방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체결부(20c)는 상하단이 개방된 원통 형상을 가지며, 하단이 챔버(10c)의 상단과 연통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고, 용기(3c)를 역립 상태로 하여 용기(3c)의 입구를 체결할 수 있다.
체결부(20c)는 챔버(10c)의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가이드캡(80c)의 지름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되고, 연장된 부분으로부터 상측으로 가이드캡(80c)의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되어, 상하단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결부(20c)는 상단이 가이드캡(80c)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크기로 개방되고 하단이 챔버(10c)의 상단에 대응되는 크기로 개방될 수 있으며, 상단의 개방된 크기가 하단의 개방된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체결부(20c)는 체결수단(21c), 커팅수단(22c), 패킹(23c)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수단(21c)은 체결부(20c)의 내주면에 마련될 수 있다. 체결수단(21c)은 가이드캡(80c)의 외체결수단(82c)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용기(3c)를 디스펜서(2c)에 체결하여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체결수단(21c)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캡(80c)의 외체결수단(82c)이 한 쌍의 가이드홈으로 형성됨에 따라, 외체결수단(82c)의 가이드홈에 대응되는 한 쌍의 돌기일 수 있다.
커팅수단(22c)은 챔버(10c)의 상단 개방 부분에 설치될 수 있으며, 체결수단(21c)과 가이드캡(80c)의 외체결수단(82c)에 의해 용기(3c)를 디스펜서(2c)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가이드캡(80c)의 파단막(83c)을 파단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커팅수단(22c)은, 전술한 제1실시예의 커팅수단(22a)과 다르게 챔버(10c)의 상단 개방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커팅수단(22c)은 끝단이 상기한 파단막(83c)의 중앙에 위치되는 드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커팅수단(22c)은 상기한 파단막(83c)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절개선(831c)에 대응되도록 드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커팅수단(22c)은 챔버(10c)의 상단 개방 부분에 설치됨으로 인해 용기본체(70c)에 수용된 액상 내용물이 챔버(10c)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액상 내용물이 통과하는 복수의 홀(221c)과 절개선(831c)에 대응되는 복수의 커팅날(222c)이 연속적으로 마련된 드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패킹(23c)은 용기(3c)를 디스펜서(2c)에 장착했을 때, 용기(3c)의 가이드캡(80c)이 체결되는 부분에서 액상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전술한 제1실시예의 패킹(23a)의 구조 및 기능과 유사하여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지지부(30c)는 용기(3c)를 디스펜서(2c)에 장착한 상태에서 지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전술한 제1실시예의 지지부(30a)와 기능적으로는 유사하지만, 형상이 다를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지지부(30c)는 챔버(10c)의 하단 가장자리로부터 수평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다가 수직으로 일정 길이 하향 연장되도록 하여, 높이와 어깨부분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30c)를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은 후술할 본 실시예의 토출부(60c)에 액상 내용물의 토출을 위한 토출버튼(64c)이 마련되고, 토출버튼(64c)을 누를 때 토출부(60c)를 안정되게 고정시키기 위함이다.
공기유입부(40c)는 중앙에 공기통로(41c)가 형성되도록 챔버(10c)의 하단 내주면에 링 형상으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공기통로(41c)가 형성된 공기유입부(40c)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공기통로(41a)가 형성된 공기유입부(40a)와 동일 또는 유사하여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공기유입부(40c)는 챔버(10c)의 함몰된 하면의 개방 부분에 가로막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제1실시예의 공기유입부(40a)와 다를 수 있다.
공기제어부재(50c)는 공기유입부(40c) 상부에 가로막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공기제어부재(50c)는 고정부(51a), 기밀부(52a), 탄성부(53a), 홀(54a)로 이루어지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공기제어부재(50a)와 동일 또는 유사하여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토출부(60c)는 체결부(20c)와 공기유입부(40c) 사이의 챔버(10c)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지지부(30c)의 어깨부분과 측면에 고정될 있다.
토출부(60c)는 토출관(61c), 역류방지밸브(62c), 컨테이너(63c), 토출버튼(64c), 고정링(65c), 실링밸브(66c), 노즐(67c)을 포함할 수 있다.
토출관(61c)은 챔버(10c)의 내부와 연통되어 챔버(10c) 내부의 액상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통로로서, 챔버(10c) 외주면에 일단이 연결되어 외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역류방지밸브(62c)는 챔버(10c)와 토출관(61c)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역류방지밸브(62c)는 토출관(61c)의 액상 내용물이 챔버(10c) 내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역류방지밸브(62c)는 '十'자의 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토출관(61c)의 입구에 돌기 결합, 억지 끼움 등의 다양한 결합 방식에 의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컨테이너(63c)는 유입구(도면부호 미도시)에 토출관(61c)이 연결되어 토출관(61c)을 통해 유입되는 액상 내용물을 저장할 수 있으며, 지지부(30c)의 어깨부분과 측면에 고정될 있다.
토출버튼(64c)은 컨테이너(63c)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액상 내용물의 토출을 조절할 수 있다. 토출버튼(64c)은 고정링(65c)에 의해 컨테이너(63c)에 고정될 수 있다.
토출버튼(64c)은 TPE(Thermo Plastic Elastomer)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해 액상 내용물이 노즐(67c)을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토출버튼(64c)을 눌러 컨테이너(63c)의 내부 공간의 압력을 높이면, 역류방지밸브(62c)가 액상 내용물의 역류를 막고, 실링밸브(66c) 및 노즐(67c)을 통해 액상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용기본체(70c) 내부 압력은 토출버튼(64c)에 의해 액상 내용물이 외부로 강제 토출됨에 따라 음압이 되고, 이에 따라 공기제어부재(50c)에 의해 외부공기가 내부로 유입된다. 공기제어부재(50c)에 의해 외부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원리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공기제어부재(50a)를 통해 이해될 것이다.
실링밸브(62c)는 액상 내용물의 토출을 조절할 수 있도록, 컨테이너(63c)의 유출구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실링밸브(62c)는 고무, 실리콘 등과 같이 연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탄성에 의해 개폐를 구현하는 판막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실링밸브(62c)는 상기한 공기제어부재(50c)와 같은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경질의 재료로 이루어져 컨테이너(63c)의 유출구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실링밸브(62c)는 액상 내용물의 토출은 허용하되, 토출된 액상 내용물이 다시 액상 내용물 수용 공간으로 재유입되는 것은 방지할 수 있어,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노즐(63c)은 컨테이너(63c)의 유출구에 결합될 수 있으며, 토출버튼(64c)을 눌러 컨테이너(63c)의 내부 공간 압력을 높임에 의해 액상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2c)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키트(1c)의 사용 상태는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2a)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키트(1a)의 사용 상태와 동일 또는 유사하여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제1실시예에서 용기본체(70a)를 가압하는 것이 아니라 토출부(60c)에 마련되는 토출버튼(64c)의 조작에 의해 액상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는 것이 상이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2c) 및 디스펜서(2c)에 착탈 가능한 용기(3c)를 포함하는 제품 키트(1c)는, 내용물 토출방식이 별도의 토출버튼(64c)을 누르는 방식이고, 가이드캡(80c)의 외체결수단(82c)은 체결방식이 스크류와 같은 나사체결 방식이고, 커팅수단(22c)은 드릴 형상이며 파단막(83c)을 밀어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키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키트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가이드캡과 체결부의 체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와 용기가 체결된 제품 키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제품 키트(1d)는 디스펜서(2d) 및 디스펜서(2d)에 착탈 가능한 용기(3d)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디스펜서(2d)를 설명하기 전에 먼저 용기(3d)를 설명하기로 한다.
용기(3d)는 전술한 바와 같이 초자와 같은 경질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용기(3d)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용기(3a)와 같이 플라스틱 또는 수지와 같은 연질의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용기(3d)는 역립 상태로 디스펜서(2d)에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용기본체(70d), 가이드캡(80d), 외캡(90d)을 포함할 수 있다.
제4실시예에서, 용기(3d)는 가이드캡(80d)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이 전술한 제3실시예의 용기(3c)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중복 설명을 회피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고, 상이한 구성인 가이드캡(80d) 및 이와 관련된 구성들 위주로 설명한다.
가이드캡(80d)은 용기본체(70d)의 입구를 밀폐할 수 있으며, 디스펜서(2d)의 체결부(20d)와 체결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캡(80d)은 내체결수단(81d), 외체결수단(82d), 파단막(83d)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가이드캡(80d)은 제3실시예의 가이드캡(80c)과 달리 상부와 하부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가이드캡(80d) 상부의 내주면에 내체결수단(81d)이 마련되고, 가이드캡(80d) 하부의 외주면에 외체결수단(82d)이 마련될 수 있다.
내체결수단(81d)은 용기본체(70d)의 입구와 체결될 수 있도록, 가이드캡(80d) 상부의 내주면에 마련될 수 있다. 내체결수단(81d)은 용기본체(70d)의 입구가 나사산으로 형성될 경우 이에 대응되는 나사산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체결수단(82d)은 외캡(90d) 또는 디스펜서(2d)의 체결부(20d)과 체결될 수 있도록, 가이드캡(80d) 하부의 외주면에 마련될 수 있다. 외체결수단(82d)은 외캡(90d)의 내주면에 마련되는 체결수단(도면부호 미도시) 또는 체결부(20d)의 체결수단(21d)이 나사산으로 형성될 경우 이에 대응되는 나사산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파단막(83d)은 가이드캡(80d)의 상부와 하부의 경계 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일정한 외압에 의해 파단될 수 있도록, 주변의 두께보다 얇은 박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파단막(83d)은 외체결수단(82d)과 체결부(20d)의 체결수단(21d)에 의해 용기(3d)를 디스펜서(2d)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파단될 수 있다.
파단막(83d)은 주변 막의 두께보다 얇은 절개선(831d)이 형성될 수 있다. 절개선(831d)은 후술할 체결부(20d)의 커팅수단(22d)에 대응되도록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절개선(831d)이 방사상으로 형성됨으로 인하여 외체결수단(82d)과 체결부(20d)의 체결수단(21d)에 의해 파단될 때, 파단막(83d)의 파단 부분이 가이드캡(80d)에 붙어 있게 된다.
외캡(90d)은 용기(3d)를 역립 상태로 진열 또는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외캡(90d)은 전술한 제3실시예의 외캡(90c)과 비교할 때, 외캡(90d)의 체결수단이 가이드캡(80d) 하부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외체결수단(82d) 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다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디스펜서(2d)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디스펜서(2d)는 역립 거치형일 수 있다. 디스펜서(2d)는 용기(3d)를 역립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채10d), 체결부(20d), 지지부(30d), 공기유입부(40d), 공기제어부재(50d), 토출부(60d)를 포함할 수 있다.
제4실시예에서, 디스펜서(2d)는 챔버(10d) 및 체결부(20d)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이 전술한 제3실시예의 디스펜서(2c)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중복 설명을 회피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고, 상이한 구성인 챔버(10d)와 체결부(20d) 및 이들과 관련된 구성들 위주로 설명한다.
챔버(10d)는 상하단이 개방된 형상을 가진다. 챔버(10d)는 상면이 전체 개방되고, 하면이 챔버(10d)의 내측으로 일부 함몰되고, 함몰된 하면의 단부가 개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챔버(10d)는 전술한 제3실시예의 챔버(10c)와 비교하여, 함몰된 하면이 토출부(60d)의 토출관(61c) 쪽으로 기울어지는 것 이외에는 동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챔버(10d)의 하면을 기울어지게 형성한 것은 액상 내용물을 토출부(60d)로 더욱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체결부(20d)는 상하단이 개방된 원통 형상을 가지며, 하단이 챔버(10d)의 상단과 연통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고, 용기(3d)를 역립 상태로 하여 용기(3d)의 입구를 체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체결부(20d)는 전술한 제3실시예의 챔버(10c)와 비교하여, 제3실시예의 가이드캡(80c)과 상이하게 구성되는 상부의 내주면에 내체결수단(81d)이 마련되고 하부의 외주면에 외체결수단(82d)이 마련되는 가이드캡(80d)에서, 가이드캡(80d) 하부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외체결수단(82d)과 체결되는 것 이외에는 동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제4실시예)에서 언급하지 않고 도면에만 도시된 미설명 도면 부호들은 전술한 제3실시예의 도면 부호와 비교하여 숫자 뒤에 문자 "c"와 "d"를 표기하여 서로 다른 실시예임을 구분하였고, 다만 상기에서 언급하지 않고 도면에 제3실시예와 동일한 숫자로 표기한 구성의 경우 동일한 구성임을 의미하는 바, 이에 전술한 제3실시예를 통해 상기한 본 실시예의 미설명 구성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2d) 및 디스펜서(2d)에 착탈 가능한 용기(3d)를 포함하는 제품 키트(1d)는, 내용물 토출방식이 별도의 토출버튼(64d)을 누르는 방식이고, 가이드캡(80d)의 외체결수단(82d)은 체결방식이 돌기와 홈의 체결 방식이고, 커팅수단(22d)은 드릴 형상이며 파단막(83d)을 밀어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커팅수단(22d)은 전술한 제2실시예의 커팅수단(22b)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실시예들의 조합 또는 상기 실시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공지 기술의 조합을 또 다른 실시예로서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기술내용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예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조합 또는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용이하게 도출 가능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기술내용들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a, 1b, 1c, 1d: 제품 키트 2a, 2b, 2c, 2d: 디스펜서
3a, 3b, 3c, 3d: 용기
10a, 10b, 10c, 10d: 챔버 20a, 20b, 20c, 20d: 체결부
21a, 21b, 21c, 21d: 체결수단 22a, 22b, 22c, 22d: 커팅수단
221b: 분할 돌출 원기둥의 틈새 221c, 221d: 홀
222c, 222d: 커팅날 23a, 23b, 23c, 23d: 패킹
30a, 30b, 30c, 30d: 지지부 40a, 40b, 40c, 40d: 공기유입부
41a, 41b, 441c, 41d: 공기통로 50a, 50b, 50c, 50d: 공기제어부재
51a: 고정부 52a: 기밀부
53a: 탄성부 54a: 홀
60a, 60b, 60c, 60d: 토출부 61a, 61b, 61c, 61d: 토출관
62a, 62b: 실링밸브 63a, 63b: 노즐
62c, 62d: 역류방지밸브 63c, 63d: 컨테이너
64c, 64d: 토출버튼 65c, 65d: 고정링
66c, 66d: 실링밸브 67c, 67d: 노즐
70a, 70b, 70c, 70d: 용기본체 80a, 80b, 80c, 80d: 가이드캡
81a, 81b, 81c, 81d: 내체결수단 82a, 82b, 82c, 82d: 외체결수단
821c: 걸림턱 83a, 83b, 83c, 83d: 파단막
831b, 831c, 831d: 절개선 832b: 파단홈
90a, 90b, 90c, 90d: 외캡

Claims (14)

  1. 액상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를 역립 상태로 착탈 가능한 디스펜서로서,
    상기 용기에 수용된 액상 내용물을 저장하는 챔버;
    상기 챔버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용기의 입구를 체결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에 장착된 상기 용기를 지면에 역립 상태로 보관할 수 있게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챔버의 내부 압력에 따라 외부공기의 유입을 제어하는 공기제어부재; 및
    상기 챔버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마련되며, 액상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부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서 마련되며, 중앙에 공기통로가 형성되는 공기유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제어부재는,
    상기 공기유입부의 상부에 밀착되어 상기 챔버의 내주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
    상기 공기통로를 개폐하는 기밀부;
    일단이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기밀부에 연결되되,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는 지점과 상기 기밀부에 연결되는 지점이 엇갈리게 마련되는 복수의 탄성부; 및
    상기 복수의 탄성부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됨에 따라 상기 복수의 탄성부 사이에 마련되는 복수의 홀을 포함하는 디스펜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제어부재는,
    상기 토출부를 통해 액상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도록 상기 용기를 가압하여 액상 내용물 수용 공간의 압력이 적어도 대기압을 초과할 때에는 상기 탄성부에 의해 상기 기밀부가 상기 공기통로를 차단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용기에 가해진 압력을 해제하여 상기 액상 내용물 수용 공간의 압력이 상기 용기가 복원되려는 힘에 의한 음압이 생길 때에는 상기 탄성부에 의해 상기 기밀부가 상기 공기통로를 개방시켜 상기 홀을 통해 외부공기가 상기 챔버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디스펜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상기 챔버의 내부와 연통되며, 상기 챔버 외주면에 일단이 연결되어 외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토출관;
    상기 토출관의 토출구에 삽입 설치되며, 액상 내용물의 토출을 조절하는 실링밸브; 및
    상기 토출관의 토출구에 결합되며, 액상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디스펜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액상 내용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가지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입구를 밀폐하는 가이드캡; 및
    상기 가이드캡과 체결되어 상기 용기를 역립 상태로 진열 또는 보관하는 외캡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캡은,
    내주면에 마련되며, 상기 용기본체의 입구와 체결되는 내체결수단;
    외주면에 마련되며, 상기 외캡 또는 상기 체결부와 체결되는 외체결수단; 및
    상기 외체결수단과 상기 체결부의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용기를 상기 디스펜서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파단되는 파단막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내주면에 마련되면 상기 외체결수단과 체결하는 상기 체결수단; 및
    끝단이 상기 파단막 가장자리에 위치되며, 상기 챔버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되, 적어도 상기 챔버의 상단을 벗어나도록 연장되어 마련되며, 상기 파단막을 파단시키는 커팅수단을 포함하는 디스펜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단막은,
    절개선 및 파단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절개선은,
    상기 가이드캡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용기를 상기 디스펜서에 장착 시 절개되고,
    상기 파단홈은,
    상기 절개선이 형성되지 않는 일부 구간에 형성되며, 상기 용기를 상기 디스펜서에 장착 시 파단된 상기 파단막이 상기 가이드캡에 붙어 있게 하는 디스펜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상기 챔버의 내부와 연통되며, 상기 챔버 외주면에 일단이 연결되어 외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토출관;
    상기 챔버와 상기 토출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토출관의 액상 내용물이 상기 챔버 내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밸브;
    상기 토출관과 연결되어 상기 토출관을 통해 유입되는 액상 내용물을 저장하며,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는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에 설치되며, 액상 내용물의 토출을 조절하는 토출버튼;
    상기 컨테이너의 유출구에 삽입 설치되며, 액상 내용물의 토출을 조절하는 실링밸브;
    상기 컨테이너의 유출구에 결합되며, 상기 토출버튼을 눌러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 공간 압력을 높임에 의해 액상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디스펜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제어부재는,
    액상 내용물 수용 공간의 압력이 적어도 대기압을 초과할 때에는 상기 탄성부에 의해 상기 기밀부가 상기 공기통로를 차단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토출버튼에 의해 액상 내용물이 외부로 강제 토출됨에 따라 상기 용기 내부의 압력이 음압이 되면, 상기 탄성부에 의해 상기 기밀부가 상기 공기통로를 개방시켜 상기 홀을 통해 외부공기가 상기 챔버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디스펜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액상 내용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가지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입구를 밀폐하는 가이드캡; 및
    상기 가이드캡과 체결되어 상기 용기를 역립 상태로 진열 또는 보관하는 외캡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캡은,
    내주면에 마련되며, 상기 용기본체의 입구와 체결되는 내체결수단;
    외주면에 마련되며, 상기 외캡 또는 상기 체결부와 체결되는 외체결수단; 및
    절개선이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체결수단과 상기 체결부의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용기를 상기 디스펜서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파단되는 파단막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내주면에 마련되면 상기 외체결수단과 체결하는 상기 체결수단; 및
    끝단이 상기 파단막의 중앙에 위치되며, 액상 내용물이 통과하는 복수의 홀과 복수의 커팅날이 연속적으로 마련된 드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파단막을 파단시키는 커팅수단을 포함하는 디스펜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캡의 상기 외체결수단은,
    상기 가이드캡의 하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일정 길이 상향 연장되고, 수직 연장된 단부로부터 경사지게 상기 가이드캡의 상단 근처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홈이고,
    상기 체결부의 상기 체결수단과 상기 외캡의 체결수단은 상기 외체결수단의 상기 가이드홈에 대응되는 한 쌍의 돌기인 디스펜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캡의 상기 내체결수단은,
    상기 가이드캡 상부의 내주면에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캡의 상기 외체결수단은,
    상기 가이드캡 하부의 외주면에 마련되고,
    상기 체결부의 상기 체결수단과 상기 외캡의 체결수단은 상기 외체결수단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디스펜서.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상면이 전체 개방되고, 하면이 상기 챔버의 내측으로 일부 함몰되고, 함몰된 하면의 단부가 개방되고,
    상기 공기유입부는,
    상기 챔버의 함몰된 하면의 개방 부분에 가로막 형태로 마련되는 디스펜서.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디스펜서; 및
    상기 디스펜서에 착탈 가능한 용기를 포함하는 제품 키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내부에 수용되는 액상 내용물을 포함하는 제품 키트.
KR1020220076939A 2021-07-08 2022-06-23 디스펜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키트 KR202300093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221716750.5U CN218164505U (zh) 2021-07-08 2022-07-05 分液器及包括其的产品套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89808 2021-07-08
KR1020210089808 2021-07-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9300A true KR20230009300A (ko) 2023-01-17

Family

ID=85111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6939A KR20230009300A (ko) 2021-07-08 2022-06-23 디스펜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930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46144B2 (en) Portable refillable cream dispenser
US7258251B2 (en) Multi-chambered dispensing container
KR101590936B1 (ko) 회전식 화장품 용기
WO2015166442A2 (en) Portable refillable cream dispenser
KR101573430B1 (ko) 두 가지 내용물을 동시에 배출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
AU2012288456A1 (en) Portable refillable cream dispenser
KR20140109015A (ko) 잔량 개선을 위한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20100119253A (ko) 화장품 강제 토출 용기
EP3367860B1 (en) Dispenser
JP5208876B2 (ja) 二重容器
JP2019177908A (ja) 積層剥離容器
KR20230009300A (ko) 디스펜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키트
JP6366518B2 (ja) スクイズフォーマー容器
JP2014080239A (ja) レフィルタイプの吐出容器
CN218164505U (zh) 分液器及包括其的产品套件
JP6604876B2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容器
JP6391487B2 (ja) スクイズ吐出容器
JP2002002757A (ja) ポンプ付き容器
JP2015044611A (ja) 付替え式吐出容器
JP6925725B2 (ja) 二重容器
JP6932454B2 (ja) 吐出容器
JP6910715B2 (ja) 二重容器、注出具付き容器及びプリフォーム
KR200384796Y1 (ko) 미끄럼 노즐버튼을 갖는 펌프식 화장품용기
JP6762133B2 (ja) 吐出容器、それを用いた吐出製品および吐出容器の製造法
JP2006341861A (ja) 容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