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8130A - 조성물, 전사 시트, 멜라민 화장판 및 멜라민 화장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조성물, 전사 시트, 멜라민 화장판 및 멜라민 화장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8130A
KR20230008130A KR1020227040765A KR20227040765A KR20230008130A KR 20230008130 A KR20230008130 A KR 20230008130A KR 1020227040765 A KR1020227040765 A KR 1020227040765A KR 20227040765 A KR20227040765 A KR 20227040765A KR 20230008130 A KR20230008130 A KR 20230008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ubstance
mass
melamine
antivi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0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주마 쿠사푸카
마사히로 츠카모토
히카루 사토
케이수케 시탄
Original Assignee
아이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08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81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condensation resins of aldehydes, e.g. with phenols, ureas or melam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3/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properties or particular surface features, e.g. particular surface coatings; Layered products design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covered by another single c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7Six-membered rings
    • C08K5/3492Triaz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4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in the ring
    • C08K5/46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in the ring with oxygen or nitrogen in the ring
    • C08K5/47Thiaz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6Organo-metallic compounds, i.e.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metal-to-carbon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12Adsorbed ingredients, e.g. ingredients on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8L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조성물은 (A)규소알콕시드의 가수분해 축합물과, (B)친수성 용매에 분산된 오르가노 실리카졸과, (C)친수기와 소수기를 갖는 아크릴 폴리머를 포함한다. 멜라민 화장판은 코어층과, 화장층과, 상술한 조성물의 경화층을 이 순서로 포함한다. 화장층은 멜라민 수지층의 경화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조성물, 전사 시트, 멜라민 화장판 및 멜라민 화장판의 제조 방법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국제 출원은 2020년 4월 22일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20-76030호에 의거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고, 일본 특허출원 제2020-76030호의 모든 내용은 본 국제 출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개시는 조성물, 전사 시트, 멜라민 화장판(melamine decorative laminate) 및 멜라민 화장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멜라민 화장판은 멜라민 수지 함유 패턴지를 의장층으로 하고, 당해 멜라민 수지 함유 패턴지와, 코어재, 예를 들면 페놀 수지 함침지를 프레스기로 가열 가압함으로서 얻어진다. 멜라민 화장판은 패턴지의 그림무늬, 색조 등을 바꾸는 것에 의해 다양한 마무리가 된다.
이와 같은 멜라민 화장판은 표면 경도, 내열성, 내마모성 등의 여러 물성에 우수함으로써 카운터, 책상 등의 가구, 벽면, 바닥 등의 내장재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근래에는, 멜라민 화장판은 지문의 부착이 눈에 띄기 쉬워 기름 오염이 눈에 띈다는 문제나 가옥의 기밀성이 높아짐에 따른 생활 냄새가 신경이 쓰인다는 문제가 나오고 있고, 병원 등의 공공 시설에서는 보다 청결한 환경이 필요하도록 되어지고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12-176515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2017-205928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 특개2018-27694호 공보
출원인은 내지문성, 유불식성(油拂拭性, oil removal performance)을 구비하는 화장판(특허 문헌 1)을 개시하고 있지만, 특허 문헌 1의 조성물에는 소취성(odor reduction performance)을 부여하는 물질을 균일하게 분산하기 어렵고, 소취성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출원인은 소취 성능을 부여하여 생활 냄새, 약품 냄새를 저감하는 화장판(특허 문헌 2)을 개시하고 있지만, 특허 문헌 2의 방법에서는 항바이러스성 또는 항알레르겐성을 부여하는 물질을 균일하게 도공(coating) 하기가 어려워 항 바이러스성 또는 항 알레르겐성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본 개시의 한 양태는 조성물로서, (A)규소알콕시드의 가수분해 축합물과, (B)친수성 용매에 분산된 오르가노 실리카졸과, (C)친수기와 소수기를 갖는 아크릴 폴리머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한 양태는 전사 시트로서, 시트형상 기재와, 시트형상 기재의 편면에 형성된 상술한 조성물의 경화층을 갖는다.
본 개시의 한 양태는 멜라민 화장판으로서 코어층과, 화장층과, 상술한 조성물의 경화층을 이 순서로 포함한다. 화장층은 멜라민 수지층의 경화물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한 양태는 멜라민 화장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멜라민 화장판은 코어층과, 멜라민 수지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화장층과, 표층을 이 순서로 포함한다. 멜라민 화장판의 제조 방법은 상술한 조성물을 경화시켜서 표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한 양태에 의하면 소취성, 항바이러스성, 항알레르겐성 등의 기능성을 나타내는 물질(이하, 기능 발현물질이라고 함.)을 균일하게 분산할 수가 있어서 기능성에 우수한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한, 본 개시의 한 양태에 의하면 이와 같은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고, 기능성에 우수한 전사 시트 및 멜라민 화장판 및 당해 멜라민 화장판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실시예 1의 멜라민 화장판의 구성 단면도.
도 2는 실시예 32의 멜라민 화장판의 구성 단면도.
도 3은 실시예 94의 멜라민 화장판의 구성 단면도.
이하, 본 개시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A)규소알콕시드의 가수분해 축합물은 격자형상의 골격을 형성하고 있고, 후술하는 기능 발현물질을 배합하면 균일하게 분산시켜 소량의 기능 발현물질의 첨가량으로 효과를 발휘한다. 구체적인 규소알콕시드로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구조(n은 정수)를 갖는 것을 들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오르토규산 테트라메틸(Si(OCH3)4), 오르토규산 테트라에틸(Si(OC2H5)4) 및 오르토규산 테트라프로필(Si(OC3H7)4) 등이 열거되어 진다. 규소알콕시드는 주로 4염화 규소와 알킬알코올의 반응 또는 금속 규소와 알킬알코올의 반응에 의해 합성된다.
<화학식 1>
[화 1]
Figure pct00001
규소알콕시드와 물을 혼합시켜서 반응시키면 화학식 2에 나타내는 반응식(m은 정수)에 따라 가수분해가 진행한다. 가수분해액을 안정시키기 위해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셀로솔브, 혼합 알코올 등이 용매로서 이용된다.
<화학식 2>
[화 2]
Figure pct00002
규소알콕시드의 가수분해 축합물의 시판품으로서는, 「HAS-1」(SiO2 함유량 20.7~21.5질량%, 에탄올/이소프로판올/메탄올 혼합 용매), 「HAS-6」(SiO2 함유량 17.6~18.4질량%, 에탄올/메탄올 혼합 용매), 「HAS-10」(SiO2 함유량 10.0~10.4질량%, 에탄올/이소프로판올/메탄올 혼합 용매)(이상은 상품명이고, 콜코트 주식회사제이다.)가 열거되어 진다.
(B)성분인 오르가노 실리카졸로서는 예를 들면, 평균입자경 1~40㎚(더욱 바람직하게는 평균입자경 7~30㎚)의 콜로이달실리카를 유기 용매에 안정적으로 분산시킨 콜로이드 용액을 들 수 있다. 실리카 농도는 1~50질량%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겔화 방지를 위해 40질량% 이하의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콜로이달실리카의 평균입자경이란 레이저 회절·산란법으로 구해진 입자 분포에서의 적산치 50%에서의 입자경이다.
오르가노 실리카졸의 시판품으로서는 닛산화학공업 주식회사제의 「IPA-ST」, 「IPA-ST-ZL」, 「메탄올 실리카졸」, 「NPC-ST-30」, 「MEK-AC-2140Z」, 「EG-ST」, 「DMAC-ST」 등, 촉매화성공업 주식회사제의 「OSCAL」, 후소화학공업 주식회사제의 「쿠오토론(등록상표)」, 클라이언트재팬 주식회사제의 「Highlink(등록상표) OG 실리카 오르가노졸」 등이 열거되어 진다.
유기 용매 중에서도 친수성 용매에 분산된 오르가노 실리카졸은 실리카 입자 표면의 수산기량이 충분하고, 실리카 입자 표면의 수산기가 멜라민 수지와 밀착하고, 화장판의 표면 내구성에 우수한 것이 된다. 소수성 용매에 분산된 오르가노 실리카졸에서는 실리카 표면의 수산기량이 불충분하고, 멜라민 수지층의 밀착성이 열화되기 쉬워진다.
여기서, 친수성(극성) 용매란 물과의 친화성을 갖는 용매이고, 예를 들면, 분자 내에 수산기, 카르복실기, 카르보닐기 등의 친수기를 갖는 친수성 유기 용매이다. 친수성(극성) 용매로서는, 프로톤성 극성 용매 및 비프로톤성 극성 용매를 들 수 있다. 프로톤성 극성 용매의 구체례로서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이소프로판올, 에틸렌디알코올, 프로판올 등의 알코올계 용매, 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부틸셀로솔브, n-프로필셀로솔브 등의 셀로솔브계 용매를 들 수 있다. 비프로톤성 극성 용매로서는 아세톤, 디메틸술폭시드(DMSO), N,N-디메틸포름아미드(DME), 피리딘 등이 열거되어 진다.
(C)성분인 아크릴 폴리머는 안료와의 친화성을 발휘하는 친수기를 갖는 단량체와 상용성을 컨트롤하여 입체 장해를 형성하는 소수기를 갖는 단량체의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아크릴 폴리머는 친수기가 기능 발현물질을 흡착하고, 소수기가 응집을 억제함에 의해 기능 발현물질을 균일하게 분산할 수 있다. 실제로, 20~30㎚ 정도의 입자경을 갖는 오르가노 실리카졸은 응집하여 600~1000㎚로 입자경이 큰 집합체를 형성하지만 균일하게 분산됨에 의해, 기능성 조성물의 경화층의 광산란성이 높아져 광의 간섭에 의한 외관 불량을 저감할 수 있다.
친수기로서는 카르복실기, 술폰산기, 인산기 등의 음이온성기, 아미노기, 암모늄기 등의 양이온성기를 들 수 있고, 친수기를 갖는 단량체로서 구체적으로 아크릴산,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산, 폴리(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t-부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아미드, 디메타크릴아미드, 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 에틸렌글리콜메타크릴레이트포스페이트, 2-(메타크릴로일옥시)메틸프탈레이트,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숙시네이트, 3-술포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3-술포프로필아크릴레이트 등이 열거되어 진다.
소수기로서는 알킬기, 페닐기 등이 열거되어 진다. 구체적으로는 소수기를 갖는 단량체로서는 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부틸, 아크릴산 헥실, 아크릴산 헥실에틸, 벤질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그것들의 혼합물 등이 열거되어 진다.
상술한 조성물에서 (B)성분인 오르가노 실리카졸은 (A)성분인 규소알콕시드의 가수분해 축합물 1질량부(고형분 환산)에 대해 0.5~12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9질량부 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성분의 배합 비율이 당해 하한 이상인 것에 의해 기능성 발현 효과가 향상하고, 당해 상한 이하인 것에 의해 내용제성이 향상한다.
(C)성분인 친수기와 소수기를 갖는 아크릴 폴리머는 (B)성분 1질량부(고형분 환산)에 대해 0.005~0.3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0.07질량부(고형분 환산) 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C)성분의 배합 비율이 당해 상한을 넘으면 콜로이달실리카의 응집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상기 (C)성분의 배합 비율이 당해 상한 이하면, 저굴절율층의 광의 간섭에 의한 외관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성분의 배합 비율이 당해 하한 이상이면, 배합액이 적당한 점도가 되어 균일한 저굴절율층의 성형이 가능해지고, 지문이 한층 눈에 띄기 어렵고, 인쇄지의 그림무늬가 한층 선명한 멜라민 화장판이 된다.
(A)규소알콕시드의 가수분해 축합물과, (B)친수성 용매에 분산된 오르가노 실리카졸과, (C)친수기와 소수기를 갖는 아크릴 폴리머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첨가한 기능 발현물질의 분산성을 향상시킨다. 구체적으로는, (A)성분의 격자형상의 도막 구조 내에 기능 발현물질이 들어가기 때문에, 기능 발현물질을 균일하게 도공 할 수 있고, 또한, 소량의 첨가량이라도 효율적인 기능의 발현이 가능해진다. 특히, 기능 발현물질이 고체, 구체적으로는, 평균입자경이 200~5000㎚의 고체 입자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이와 같은 효과가 얻어지기 쉽다. 여기서 말하는 평균입자경이란 레이저 회절·산란법으로 구해진 입자 분포에서의 적산치 50%에서의 입자경이다.
기능 발현물질은 (m)소취성 물질, (n)항바이러스성 물질, (o)항알레르겐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조성물에 기능 발현물질을 배합하여 호모지나이저에 의해 6000~10000rpm으로 5~10분 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모지나이저는 조성물을 고압으로 가압하고, 슬릿(간극)을 빠질 때에 강한 전단력이 조성물에 걸리기 때문에 디스퍼로 교반함에 의해 균일하게 분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기능 발현물질의 예로서 소취성을 발현하는 (m)소취성 물질에 관해 기술한다. 다공질 재료 예를 들면 활성탄 등의 물리 흡착형의 소취성 물질은 다공질 재료의 세공에 냄새(가스)가 흡착되어 소취 효과를 발휘한다. 물리 흡착형의 소취성 물질에서는 상온에서 가스를 흡착한 후에 고온의 열, 마찰열 등의 열에 접촉하면 흡착 성능이 저하되는 것에 의해 흡착한 가스가 재방출될 가능성이 있다.
한편, 화학 흡착형의 소취성 물질은 냄새를 산알칼리에 의한 중화 작용, 산화환원 작용 등의 화학 반응에 의해 다른 물질로 변화시켜서 제거하는 것이고, 일단 냄새(가스)가 흡착되고 다른 물질로 분해되면 재방출되기 어렵기 때문에 알맞게 이용할 수 있다. 화학 흡착형의 소취성 물질로서는 실리카(이산화규소), 산화구리, 알루미나, 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철, 산화지르코늄 등의 금속 산화물, 수산화지르코늄,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제1철, 수산화구리 등의 금속 수산화물이 열거되어 진다.
이들의 소취성을 발현하는 (m)소취성 물질은 내열성, 내마모성에 우수한 멜라민 화장판이 더욱이 주택 내에서 발생하는 생활 냄새 즉, 산성 취기(臭氣), 중성 취기 및 염기성 취기의 복합취에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상술한 화학 흡착형의 소취성 물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근래의 주택은 종래에 비하여 고기밀, 고단열을 강조한 사양으로 되어 있고 간극이 없는 밀폐 공간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생활 냄새가 보다 느껴지기 쉽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생활 냄새를 억제하기 위해 일반적으로는 판매되고 있는 소취제 제품이 사용된다. 그러나, 멜라민 화장판 자체가 소취성을 갖음으로써 생활 냄새를 보다 저감 할 수 있다.
화학 흡착형의 소취성 물질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산화아연, 실리카, 제올라이트, 산화구리 및 산화지르코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금속 산화물로서 산화아연과 실리카를 병용하여, 배합 비율을 질량비로 전자 : 후자=45~85 : 55~1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취성 물질은 특히 미립자 형상의 것, 구체적으로는 평균입자경이 0.2~10㎛의 것이 조성물 중에서의 분산성이 좋으며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평균입자경이란 레이저 회절·산란법으로 구해진 입자 분포에서의 적산치 50%에서의 입자경이다. 특히 아세트알데히드, 포름알데히드 등의 중성취(中性臭, neutral odors) 및 암모니아트리메틸아민 등의 염기성 취에는 변성 실리카, 예를 들면 아미노 변성 실리카가 황화수소, 메르캅탄류 등의 유황계 가스, 아세트산 이소길초산, 낙산 등의 산성취에는 산화아연이 소취 효과가 높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제올라이트로서는 제올라이트 은(銀) 함유 물질(즉, 은을 함유하는 제올라이트)이라도 좋다.
조성물 중의 (m)소취성 물질의 배합량은 조성물의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해 30~60질량부(고형분 환산)인 것이 바람직하다. (m)소취성 물질이 당해 하한에 못 미치면 소취 효과가 적어지기 쉬워지고, 당해 상한을 넘으면 멜라민 화장판 표면에 백화 얼룩이 생기기 쉬워진다. 여기서 말하는 백화 얼룩이란 멜라민 화장판 표면에 부분적으로 새하얗게 흐려진 부분이 생겨 있는 상태를 말한다.
다음에 기능 발현물질의 예로서 항바이러스성을 발현하는 (n)항바이러스성 물질에 관해 상세히 기술한다. 항바이러스성 물질로서는 산화티탄 등이 주류인 광촉매가 있다. 광촉매는, 광의 여기광으로부터 활성 산소를 발생시켜 바이러스를 불활화하여 원리적으로 반영구적으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데 광의 조사가 없으면 성능을 발휘할 수 없다는 결점이 있다.
한편, 유기계 항바이러스성 물질은 바이러스의 단백질의 외벽막을 파괴하고, 외벽막이 파괴된 바이러스는 단백질의 합성이 저해된다. 또는 유기계 항바이러스성 물질은 단백질을 변성하여 바이러스를 불활화한다. 유기계 항바이러스성 물질은 광촉매계와 비교하여 효과의 발현이 빠르다는 특징이 있다.
유기계 항바이러스성 물질로서는, 트리아진-이미다졸-티아졸계 물질, 아미노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및 아미노 변성 아크릴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유기계 항바이러스성 물질은 내용제성, 내오염성이 요구되는 멜라민 화장판에는 안성맞춤이다. 유기계 항바이러스성 물질은 특히 미립자 형상의 것, 구체적으로는, 트리아진-이미다졸-티아졸계 물질이 담지된 입자, 아미노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입자 및 아미노 변성 아크릴 폴리머 입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바람직하다. 입자 상태의 유기계 항바이러스성 물질의 평균입자경은, 조성물 중에서의 분산성이 좋기 때문에 0.5~3㎛가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평균입자경이란 레이저 회절·산란법으로 구해진 입자 분포에서의 적산치 50%에서의 입자경이다.
조성물 중의 (n)항바이러스성 물질의 배합량은 조성물의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해 35~75질량부(고형분 환산)인 것이 바람직하다. (n)항바이러스성 물질의 배합량이 당해 하한에 못 미치면 항바이러스 효과가 적어지기 쉬워지고, 당해 상한을 넘으면 멜라민 화장판 표면에 백화 얼룩이 생긴다.
다음에 기능 발현물질의 예로서 항알레르겐성을 발현하는 (o)항알레르겐성 물질에 관해 상세히 기술한다. 공기 중에는 눈에 보이지 않는 먼지가 떠돌고 있고, 먼지 중에는 삼나무 꽃가루나 진드기의 시체나 똥 등의 알레르겐 물질이 포함되고,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원인으로 되어 있다. (o)항알레르겐성 물질로서는 음이온 변성된 유기 화합물과 담지체와의 복합물이 바람직하다. 복합물이 알레르겐 물질의 단백질에 화학 흡착 반응함에 의해 알레르겐 물질의 저감 효과를 발휘한다.
(o)항알레르겐성 물질을 구성하는 음이온 변성된 유기 화합물만이라도 마찬가지의 저감 효과를 발휘하지만 음이온 변성된 유기 화합물만으로는 멜라민 화장판 표면에 고착시키는 것이 곤란하고 항알레르겐성의 내구성이 부족해지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음이온 변성된 유기 화합물을 고체 성분인 담지체와의 복합체로 하여 포함시키면 좋다. 담지체와의 복합체는 멜라민 화장판 표면에 물리적으로 고착할 수 있기 때문에 내구성이 요구되는 멜라민 화장판에는 특히 바람직하다.
음이온 변성된 유기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음이온 변성 직쇄 알칸, 음이온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등이 열거되어 진다. 음이온 변성 직쇄 알칸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카르복실기, 인산기, 술폰산기 등의 산성 음이온기에 의해 변성된 직쇄 알칸을 들 수 있다. 산성 음이온기의 카운터 이온으로서는 나트륨 이온, 칼륨 이온 등이 열거되어 진다. 음이온 변성 폴리비닐알코올로서는, 카르복실기, 술폰산기 등의 산성 음이온기에 의해 변성된 폴리비닐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담지체로서는, 무기 입자 또는 유기 입자, 예를 들면, 염기 변성 아크릴 입자 등의 아크릴 입자, 염기 변성 스티렌 입자 등의 스티렌 입자, 산화은(銀) 입자 등이 열거되어 진다. 담지체로서는 스티렌 입자 및 산화은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바람직하다. (o)항알레르겐성 물질은 특히 미립자 형상의 것, 구체적으로는 평균입자경이 1~8㎛의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평균입자경이란 레이저 회절·산란법으로 구해진 입자 분포에서의 적산치 50%에서의 입자경이다.
조성물 중의 (o)항알레르겐성 물질의 배합량은, 조성물의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해 3~50질량부(고형분 환산)인 것이 바람직하다. (o)항알레르겐성 물질의 배합량이 당해 하한에 못 미치면 항알레르겐 효과가 적어지기 쉬워지고, 당해 상한을 넘으면 멜라민 화장판 표면에 백화 얼룩이 생기기 쉬워진다.
다음에, 이들의 기능 발현물질 즉 (m)소취성 물질, (n)항바이러스성 물질, (o)항알레르겐성 물질을 조합시켜 이용하는 경우의 배합량에 관해 설명한다.
(m)소취성 물질과 (n)항바이러스성 물질을 조합시키는 경우는 배합 비율이 질량비로 (m)소취성 물질 : (n)항바이러스성 물질=1 : 0.5~2.5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0.60~2.0이다. 배합 비율이 당해 하한 미만인 경우 및 당해 상한을 넘는 경우는 소취성과 항바이러스성을 겸비한 제품으로서 밸런스가 약간 뒤떨어진다.
또한, 조성물 중에서의 (m)소취성 물질 및 (n)항바이러스성 물질의 합계 배합량은 조성물의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해 60~15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5~115질량부이다. 합계 배합량이 이 범위라면 외관, 소취성, 항바이러스성에 특히 우수한 화장판이 된다. 즉, 합계 배합량이 당해 하한 미만인 경우는 소취성, 항바이러스성이 약간 뒤떨어지고, 당해 상한을 넘는 경우는 외관에서 약간 백화 얼룩이 생기기 쉬워진다.
(m)소취성 물질과 (o)항알레르겐성 물질을 조합시키는 경우는 배합비율이 질량비로 (m)소취성 물질 : (o)항알레르겐성 물질=1 : 0.03~2.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0.08~1.8이다. 배합 비율이 당해 하한 미만인 경우 및 당해 상한을 넘는 경우는 소취성과 항알레르겐성을 겸비한 제품으로서 밸런스가 약간 뒤떨어진다.
또한, 조성물 중에서의 (m)소취성 물질 및 (o)항알레르겐성 물질의 합계 배합량은, 조성물의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해 30~16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5~110질량부이다. 합계 배합량이 이 범위라면 외관, 소취성, 항알레르겐성에 특히 우수한 화장판이 된다. 즉, 합계 배합량이 당해 하한 미만인 경우는 소취성, 항알레르겐성이 약간 뒤떨어지고, 당해 상한을 넘는 경우는 외관에서 약간 백화 얼룩이 생기기 쉬워진다.
(n)항바이러스성 물질과 (o)항알레르겐성 물질을 조합시키는 경우는 배합 비율이 질량비로 (n)항바이러스성 물질 : (o)항알레르겐성 물질=1 : 0.01~2.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0.06~1.50이다. 배합 비율이 당해 하한 미만인 경우 및 당해 상한을 넘는 경우는 항바이러스성과 항알레르겐성을 겸비한 제품으로서 밸런스가 약간 뒤떨어진다.
또한, 조성물 중에서의 (n)항바이러스성 물질 및 (o)항알레르겐성 물질의 합계 배합량은, 조성물의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해 15~20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5~125질량부이다. 합계 배합량이 이 범위라면 외관, 항바이러스성, 항알레르겐성에 특히 우수한 화장판이 된다. 즉, 합계 배합량이 당해 하한 미만인 경우는 항바이러스성, 항알레르겐성이 약간 뒤떨어지고, 당해 상한을 넘는 경우는 외관에서 약간 백화 얼룩이 생기기 쉬워진다.
(m)소취성 물질과 (n)항바이러스성 물질과 (o)항알레르겐성 물질을 조합시키는 경우는 배합 비율이 질량비로 (m)소취성 물질 : (n)항바이러스성 물질 : (o)항알레르겐성 물질=1 : 0.20~7.0 : 0.05~5.5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0.6~4.5 : 0.15~3.0이다. 또한, 조성물 중에서의 (m)소취성 물질, (n)항바이러스성 물질 및 (o)항알레르겐성 물질의 합계 배합량은 조성물의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해 30~17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120질량부이다. 배합 비율 및 합계 배합량이 이 범위라면 외관, 소취성, 항바이러스성, 항알레르겐성이 밸런스 좋게 우수하고, 상승 효과에 의해 적은 도포량이라도 단독으로 발휘하는 기능보다도 동등 이상의 기능을 발휘하는 화장판이 된다. 물론 소망하는 범위에서 각 기능을 두드러지게 하기 위해 (m)소취성 물질, (n)항바이러스성 물질, (o)항알레르겐성 물질의 배합량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화장층은 멜라민 수지의 경화물을 포함한다. 화장층은 평량(坪量, basis weight)이 80~140g/㎡ 정도의 화장지에 멜라민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액(이하, 멜라민 수지액이라고 함.)이 함침, 건조된 멜라민 수지 함침 패턴지를 포함한다. 멜라민 수지 함침 패턴지의 위에는 화장지의 그림무늬를 보호하기 위해 평량이 16~60g/㎡ 정도 오버레이 지(overlay paper)에 멜라민 수지액을 함침 건조한 멜라민 수지 함침 오버레이 지가 배치되고, 오버레이 층이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오버레이 층에도 멜라민 수지의 경화물을 포함한다. 화장층의 표면 또는 오버레이 층의 표면에는 표층으로서 상술한 조성물이나 더하여 기능 발현물질을 함유하는 조성물(이하, 기능성 조성물이라고 함.)의 경화층이 형성된다. 경화층을 형성하는 수단으로서는 멜라민 수지액을 화장지 또는 오버레이 지에 함침할 때에 멜라민 수지액을 함침한 후에 표면에 조성물이나 기능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도공액(coating liquid)을 도포하는 도공법, 시트형상 기재에 기능성 조성물을 도포한 전사 시트를 이용하는 전사법 등이 채용된다. 예를 들면, 전사법에서는 우선, 시트형상 기재의 편면에 기능성 조성물의 경화층이 형성된 전사 시트와, 멜라민 수지 함침 패턴지와, 코어재를 이 순서로 갖는 적층물을 열압(熱壓) 성형한다. 또는, 멜라민 수지 함침 오버레이 지를 이용하는 경우는 멜라민 수지 함침 패턴지의 위에 멜라민 수지 함침 오버레이 지를 더 배치하여 열압 성형한다. 적층물에서는 전사 시트에서의 경화층측이 멜라민 수지 함침 패턴지 또는 멜라민 수지 함침 오버레이 지와 마주 대하고 있다. 그 후, 시트형상 기재를 제거한다.
멜라민 수지액의 수식 1로 정의되는 함침률은, 70~16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수식 1>
[수 1]
Figure pct00003
전사법에서 이용하는 시트형상 기재로서는 플라스틱 필름, 금속박 등이 열거되어 진다. 플라스틱 필름으로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셀로판, 디아세틸셀룰로스 필름, 트리아세틸셀룰로스 필름, 아세틸셀룰로스부틸레이트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폴리염화비닐리덴 필름,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에틸렌비닐알코올 필름, 폴리스티렌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메틸펜텐 필름, 폴리술폰 필름, 폴리에테르케톤 필름, 폴리에테르술폰 필름, 폴리에테르이미드 필름, 폴리이미드 필름, 불소 수지 필름, 나일론 필름, 아크릴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금속박으로서는 금박, 은박, 동박, 아연박, 인듐박, 알루미늄박, 주석박, 철박(스테인리스(SUS)박을 포함), 티탄박 등이 열거되어 진다.
전사법으로 시트형상 기재에 기능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도공액을 도포하는 경우는 공지인 방법, 예를 들면, 스프레이 코트법, 그라비어 코트법, 바 코트법, 나이프 코트법, 롤 코트법, 블레이드 코트법, 다이 코트법, 커튼 코트법, 리버스 코트법, 콤마 코트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얻어진 전사 시트는 최상층이 되는 멜라민 수지 함침지에 도포면 즉, 기능성 조성물의 경화층 측의 면이 당접하도록 멜라민 수지 함침지상에 적층되고 코어층을 형성하는 코어재와 함께 열압 성형된다.
기능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도공액의 도포 두께에 관해 상세히 기술한다. (m)소취성 물질을 함유하는 경우의 기능성 조성물(이하, 소취성 기능 발현 조성물이라고 함.)을 포함하는 도공액의 도포 두께는 도공법, 전사법 어느 것이나 건조 상태에서 2.0~6.5㎛가 바람직하다. 도포 두께가 당해 하한 이상이면 소취 성능이 한층 발휘된다. 도포 두께가 당해 상한을 넘으면 외관의 백화 얼룩이 되기 쉽다. (n)항바이러스성 물질을 함유하는 경우의 기능성 조성물(이하, 항바이러스성 기능 발현 조성물이라고 함.)를 포함하는 도공액의 도포 두께는 도공법, 전사법 어느 것이나 건조 상태에서 1.5~3.5㎛가 바람직하다. 도포 두께가 당해 하한에 못 미치면 항바이러스 성능이 발휘되기 어렵다. 도포 두께가 당해 상한을 넘으면 외관의 백화 얼룩이 되기 쉽다. 상술한 (o)항알레르겐성 물질을 함유하는 경우의 기능성 조성물(이하, 항알레르겐성 기능 발현 조성물이라고 함.)을 포함하는 도공액의 도포 두께는, 도공법, 전사법 어느 것이나, 건조 상태에서 2.0~8.0㎛가 바람직하다. 도포 두께가 당해 하한에 못 미치면 항알레르겐 성능이 발휘되기 어렵다. 도포 두께가 당해 상한을 넘으면 외관의 백화 얼룩이 되기 쉽다.
또한, 기능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도공액의 pH는, 도공법, 전사법 어느 것이나, 3 이상이 바람직하다. pH가 3에 못 미치면 (A)성분의 격자 구조가 파괴되고, 화장판의 표면에 백화 얼룩이 생기기 쉬워진다. 도공액의 pH란 고형분 농도(기능성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술한 고형분의 도공액 중에서의 농도)가 20질량%가 되도록 조정된 도공액에서 측정된 pH를 말한다. 또한, pH의 값은, JIS Z8802 : 2011 「pH 측정 방법」에 준거하여, 글라스 전극법의 조작에 의거하여 구해진다.
또한, 기능 발현물질을 포함하지 않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도공액의 도포 두께는, 도공법, 전사법 어느 것이나, 건조 상태에서 2.0~8.0㎛가 바람직하고, 도포 두께가 당해 하한에 못 미치면, 지문의 부착이 눈에 띄기 쉽고, 도포 두께가 상한을 넘으면 외관의 백화 얼룩이 되기 쉽다. 또한, 도공액의 pH는 기능 발현물질을 포함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3 이상이 바람직하다. pH의 측정 방법도 기능 발현물질을 포함하는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코어재에는 크라프트지, 표백 크라프트지 등의 유기 섬유질 기재에 바인더가 되는 수지, 예를 들면,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액을 함침하고 건조시켜 얻어진 열경화성 수지 함침 코어지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열경화성 수지 함침 코어지 외에 글라스 섬유, 로크 울, 탄소 섬유, 세라믹 섬유 등의 무기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 직포 등을 기재로 하고, 무기 충전재 및 바인더 성분을 포함하는 슬러리를 함침하고 건조한 프리프레그를 이용해도 좋다. 불연성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내열성, 내염성에 우수하고 슬러리의 함침성이 우수한 글라스 섬유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무기 충전재로서는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등의 흡열성 금속 수산화물, 흡열성 금속 수산화물 이외의 무기 물질로서는 탄산 칼슘, 탈크, 플라이애시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1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흡열성 금속 수산화물로서는 결정수를 포함하고, 고온시에 분해되어 흡열 결합수를 방출함에 의해 불연성에 우위이기 때문에 수산화알루미늄 또는 수산화마그네슘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열성 금속 수산화물과 흡열성 금속 수산화물 이외의 무기물질을 병용하는 경우, 흡열성 금속 수산화물 이외의 무기물질 1질량부에 대해 흡열성 금속 수산화물의 배합량이 2~15질량부이면 평활하며 양호한 표면 외관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흡열성 금속 수산화물 이외의 무기물질 1질량부에 대해 흡열성 금속 수산화물의 배합량이 2질량부 이상인 것에 의해 불연성능에 우수하다. 또한, 흡열성 금속 수산화물 이외의 무기물질 1질량부에 대해 흡열성 금속 수산화물의 배합량이 15질량부 이하인 것에 의해 슬러리 중의 금속 수산화물이 침강하기 어려워지고, 그 결과, 슬러리의 함침량의 컨트롤이 용이해진다. 또한, 흡열성 금속 수산화물 이외의 무기물질 1질량부에 대해 흡열성 금속 수산화물의 배합량이 15질량부 이하인 것에 의해 화장판의 절삭에 이용하는 칼의 마모를 저감할 수 있다.
바인더로서는, 아미노-포름알데히드 수지,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 이들의 혼합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들 수 있다. 바인더 성분과 무기 충전재와의 고형분의 배합 비율은 질량비로 5~20 : 95~80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인더 성분이 많으면 불연성능이 저하되기 쉽고 적으면 프리프레그 사이의 밀착성이 열화되기 쉬워진다.
무기 섬유 기재에의 슬러리의 함침률(%)은 상술한 수식 1로 표시되는 산출 방법으로 500~300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함침률이 당해 상한을 넘으면 고형분의 탈락이 많아지고 취급하기 어렵고, 또한 함침률이 당해 하한에 못 미치면 층간 박리하기 쉬워진다.
그 밖에 코어재로서 규산 칼슘, 합판, 중밀도 섬유판, 파티클 보드 등을 이용할 수 있고 코어재에 관해서는 특히 제약은 없다.
배커재(backer material)는 멜라민 화장판의 수축에 의한 휘어짐을 억제하는 경우에, 코어재의 이면에 배치하여 적층되어 열압 성형된다. 배커재의 예로서는, 기재에 섬유질 기재를 이용한 멜라민 함침지, 페놀 함침지 등이 열거되어 진다. 섬유질 기재로서는 α-셀룰로스지, 티탄지, 크라프트지, 표백 크라프트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개시를 실시예, 실험예 및 비교예에 의해 설명하는데, 본 개시는 이하에 나타나는 예로 전혀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1. (A)성분, (B)성분 및 (C)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A)규소알콕시드의 가수분해 축합물로서, 오르토규산 테트라에틸(에틸실리케이트) 가수분해액(상품명 「HAS-1」, 콜코트 주식회사제) 100질량부(고형분 환산)와, (B)친수성 용매에 분산된 오르가노 실리카졸로서, 「NPC-ST-30」(상품명, 닛산화학공업 주식회사제, 평균입자경 10~15㎚, 에틸렌글리콜모노n-프로필에테르 분산 실리카졸, SiO2 30질량%)를 600질량부(고형분 환산)와, (C)친수기와 소수기를 갖는 아크릴 폴리머로서, 「DISPERBYK-2009」(아크릴 코폴리머의 용액, 아크릴 코폴리머 44질량%, 1-메톡시-2-프로필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 에테르)(상품명 빅케미재팬 주식회사제)를 13.2질량부(고형분 환산)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얻었다.
2. 소취성 기능 발현 조성물의 제조
상기 1.에서 제조한 (A)성분, (B)성분 및 (C)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해 산화아연 74질량% 및 아미노 변성 실리카 질량 26%를 포함하고, 평균입자경이 350㎚의 (m)소취성 물질을 40질량부 배합하여 호모지나이저로 8100rpm으로 10분 교반하여 소취성 기능 발현 조성물(M)을 얻었다.
3. 전사 시트의 제조
소취성 기능 발현 조성물(M)을 포함하는 도공액을 플라스틱 필름에 건조 후의 막두께가 4.5㎛가 되도록 도공하여 전사 시트(M)를 얻었다. 또한, 도공액은 고형분 농도 즉, 기능성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술한 고형분의 도공액 중에서의 농도가 20질량%가 되도록 조제되었다. 또한, 도공액의 pH는 5.8이었다. 도공액의 pH는 글라스 전극식 pH 미터(제품명: LAQUA 형번 F-71, 주식회사 호리바제작소제)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하, 다른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에서도 마찬가지이다.
4. 멜라민 수지 함침 패턴지(M)의 제조
평량 100g/㎡의 차색(茶色)의 화장판용의 화장지에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액(AA)을 함침하여 멜라민 수지 함침 패턴지(M)를 얻었다. 멜라민 수지 함침 패턴지(M)의 수식 1로 정의되는 함침률은 140%였다. 또한, 화장지의 표면에는 도관부를 갖는 나뭇결 모양의 그림무늬가 인쇄되어 있다.
5. 프리프레그의 제조
50g/㎡의 유리 섬유 기재에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와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를 바인더 성분으로 하고 무기 충전제로서 수산화알루미늄, 탄산 칼슘 등의 무기 충전재를 포함하는 슬러리를 수식 1에 의거한 함침률이 1200%가 되도록 담그고 건조하여 프리프레그를 얻었다. 슬러리 중의 바인더 성분과 무기 충전재와의 고형분의 질량비는 8 : 92였다.
6. 배커의 제조
80g/㎡의 화장판용 화장지에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액을 수식 1로 표시되는 함침률이 150%가 되도록 함침하고 건조하여 배커를 얻었다.
7. 화장판의 제조
아래로부터 차례로 배커를 1장, 프리프레그를 5장, 멜라민 수지 함침 패턴지(M)를 1장, 전사 시트(M)를 1장 적층하고 적층물을 플랫 마무리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140℃, 100㎏/㎠, 90분간의 조건으로 열압 성형하고 플라스틱 필름을 벗겨서 멜라민 화장판을 얻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m)소취성 물질을 60질량부 배합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m)소취성 물질을 30질량부 배합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C)성분인 「DISPERBYK-2009」를 9.3질량부 배합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서 (C)성분인 「DISPERBYK-2009」를 16.8질량부 배합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1에서 (B)성분인 「NPC-ST-30」을 400질량부 배합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1에서 (B)성분인 「NPC-ST-30」을 900질량부 배합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1에서 (m)소취성 물질의 평균입자경을 200㎚로 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1에서 (m)소취성 물질의 평균입자경을 1000㎚로 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10]
실시예 1에서 소취성 기능 발현 조성물(M)을 포함하는 도공액의 건조 후의 막두께가 2.0㎛가 되도록 도공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11]
실시예 1에서 소취성 기능 발현 조성물(M)을 포함하는 도공액의 건조 후의 막두께가 6.5㎛가 되도록 도공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12]
실시예 1에서 산화아연을 45%, 아미노 변성 실리카를 55% 포함하는 (m)소취성 물질을 이용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13]
실시예 1에서 산화아연을 85%, 아미노 변성 실리카를 15% 포함하는 (m)소취성 물질을 이용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14]
1. 항바이러스성 기능 발현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의 (A)성분, (B)성분 및 (C)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해 트리아진-이미다졸-티아졸계의 유기계 합성 항바이러스성 물질로서, 평균입자경이 1000㎚, (n)항바이러스성 물질을 50질량부 배합하여, 호모지나이저로 8100rpm으로 10분 교반하여 항바이러스성 기능 발현 조성물(N)을 얻었다.
2. 전사 시트의 제조
항바이러스성 기능 발현 조성물(N)을 포함하는 도공액을 플라스틱 필름에 건조 후의 막두께가 2.2㎛가 되도록 도공하여 전사 시트(N)를 얻었다. 도공액의 pH는 8.3이었다.
3. 화장판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전사 시트(M) 대신에 상기 전사 시트(N)를 이용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15]
실시예 14에서 (C)성분인 「DISPERBYK-2009」를 26.4질량부 배합하고 (n)항바이러스성 물질을 35질량부 배합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16]
실시예 14에서 (C)성분인 「DISPERBYK-2009」를 26.4질량부 배합하고 (n)항바이러스성 물질을 75질량부 배합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17]
실시예 14에서 (C)성분인 「DISPERBYK-2009」를 9.3질량부 배합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18]
실시예 14에서 (C)성분인 「DISPERBYK-2009」를 16.8질량부 배합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19]
실시예 14에서 (C)성분인 「DISPERBYK-2009」를 26.4질량부 배합하고 항바이러스성 기능 발현 조성물을 포함하는 도공액을 건조 후의 막두께가 3.5㎛가 되도록 도공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20]
실시예 19에서 항바이러스성 기능 발현 조성물을 포함하는 도공액을 건조 후의 막두께가 1.5㎛가 되도록 도공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21]
실시예 19에서 (n)항바이러스성 물질의 평균입자경을 3000㎚로 하고 항바이러스성 기능 발현 조성물을 포함하는 도공액을 건조 후의 막두께가 2.2㎛가 되도록 도공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22]
실시예 21에서 (n)항바이러스성 물질의 평균입자경을 500㎚로 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23]
1. 항알레르겐성 기능 발현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의 (A)성분, (B)성분 및 (C)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해 (o)항알레르겐성 물질로서, 평균입자경이 2000㎚, 산성 음이온기 변성 직쇄 알칸의 나트륨염과 스티렌 입자와의 복합체인 유기계 합성 항알레르겐성 물질(「아렐바스타BV」, 세키슈매터리얼솔루션스 주식회사제)을 10질량부 배합하여 호모지나이저로 8100rpm으로 10분 교반하여 항알레르겐성 기능 발현 조성물(O)을 얻었다.
2. 전사 시트의 제조
항알레르겐성 기능 발현 조성물(O)을 포함하는 도공액을 플라스틱 필름에 건조 후의 막두께가 4.0㎛가 되도록 도공하여 전사 시트(O)를 얻었다. 또한, 도공액의 pH는 6.8이었다.
3. 화장판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전사 시트(M) 대신에 상기 전사 시트(O)를 이용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24]
실시예 23에서 (o)항알레르겐성 물질을 3질량부 배합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25]
실시예 23에서 (o)항알레르겐성 물질을 50질량부 배합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26]
실시예 23에서 (o)항알레르겐성 물질의 평균입자경을 5000㎚의 산성 음이온기 변성 직쇄 알칸의 나트륨염과 스티렌 입자와의 복합체인 유기계 합성 항알레르겐성 물질(「아렐바스타BV」, 세키슈매터리얼솔루션스 주식회사제)을 이용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27]
실시예 23에서 (o)항알레르겐성 물질로서, 평균입자경이 1000㎚의 산성 음이온기 변성 직쇄 알칸의 나트륨염과 스티렌 입자와의 복합체인 유기계 합성 항알레르겐성 물질(「아렐바스타BV」, 세키슈매터리얼솔루션스 주식회사제)을 이용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28]
실시예 23에서 항알레르겐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도공액을 건조 후의 막두께가 2.0㎛가 되도록 도공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29]
실시예 23에서 항알레르겐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도공액을 건조 후의 막두께가 8.0㎛가 되도록 도공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30]
실시예 23에서 (B)성분인 「NPC-ST-30」을 900질량부 배합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31]
실시예 23에서 (B)성분인 「NPC-ST-30」을 300질량부 배합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32]
1. 열경화성 수지 함침 코어지의 제조
평량 200g/㎡의 크라프트지에,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액을 수식 1로 정의되는 함침률이 50%가 되도록 함침하고 건조하여 열경화성 수지 함침 코어지로서의 페놀 수지 함침 코어지를 얻었다.
2. 화장판의 제조
아래로부터 차례로 페놀 수지 함침 코어지를 5장,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멜라민 수지 함침 패턴지(M)를 1장, 전사 시트(M)를 1장 적층하고 적층물을 플랫 마무리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140℃, 100㎏/㎠, 90분간의 조건으로 열압 성형하고 플라스틱 필름을 벗겨서 멜라민 화장판을 얻었다.
[실시예 33]
실시예 2에서 프리프레그 대신에 페놀 수지 함침 코어지를 이용하고 배커를 이용하지 않은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34]
실시예 3에서 프리프레그 대신에 페놀 수지 함침 코어지를 이용하고 배커를 이용하지 않은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35]
실시예 32에서 (m)소취성 물질의 평균입자경을 200㎚로 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36]
실시예 32에서 (m)소취성 물질의 평균입자경을 1000㎚로 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37]
실시예 32에서 소취성 기능 발현 조성물을 포함하는 도공액을 건조 후의 막두께가 2.5㎛가 되도록 도공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38]
실시예 32에서 소취성 기능 발현 조성물을 포함하는 도공액을 건조 후의 막두께가 6.5㎛가 되도록 도공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39]
실시예 14에서 프리프레그 대신에 페놀 수지 함침 코어지를 이용하고 배커를 이용하지 않은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40]
실시예 15에서 프리프레그 대신에 페놀 수지 함침 코어지를 이용하고 배커를 이용하지 않은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41]
실시예 16에서 프리프레그 대신에 페놀 수지 함침 코어지를 이용하고 배커를 이용하지 않은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42]
실시예 19에서 프리프레그 대신에 페놀 수지 함침 코어지를 이용하고 배커를 이용하지 않은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43]
실시예 20에서 프리프레그 대신에 페놀 수지 함침 코어지를 이용하고 배커를 이용하지 않은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44]
실시예 39에서 (n)항바이러스성 물질의 평균입자경을 3000㎚로 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45]
실시예 39에서 (n)항바이러스성 물질의 평균입자경을 500㎚로 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46]
실시예 23에서 프리프레그 대신에 페놀 수지 함침 코어지를 이용하고 배커를 이용하지 않은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47]
실시예 24에서 프리프레그 대신에 페놀 수지 함침 코어지를 이용하고 배커를 이용하지 않은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48]
실시예 25에서 프리프레그 대신에 페놀 수지 함침 코어지를 이용하고 배커를 이용하지 않은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49]
실시예 26에서 프리프레그 대신에 페놀 수지 함침 코어지를 이용하고 배커를 이용하지 않은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50]
실시예 27에서 프리프레그 대신에 페놀 수지 함침 코어지를 이용하고 배커를 이용하지 않은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51]
실시예 28에서 프리프레그 대신에 페놀 수지 함침 코어지를 이용하고 배커를 이용하지 않은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52]
실시예 29에서 프리프레그 대신에 페놀 수지 함침 코어지를 이용하고 배커를 이용하지 않은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53]
실시예 1에서 (m)소취성 물질로서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54]
실시예 1에서 (m)소취성 물질로서 산화구리를 이용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55]
실시예 1에서 (m)소취성 물질로서 산화지르코늄을 이용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56]
실시예 14에서 (n)항바이러스성 물질로서 아미노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입자를 이용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57]
실시예 14에서 (n)항바이러스성 물질로서 아미노 변성 아크릴 입자를 이용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58]
실시예 23에서 (n)항알레르겐성 물질의 음이온 변성된 유기 화합물로서 산성 음이온기 변성 직쇄 알칸의 나트륨염 대신에 산성 음이온기 변성 폴리비닐알코올을 이용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59]
실시예 23에서 (n)항알레르겐성 물질의 담지체로서 스티렌 입자 대신에 산화은 입자를 이용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60]
실시예 1에서 소취성 기능 발현 조성물(M) 대신에 실시예 1에서 얻은 (A)성분, (B)성분 및 (C)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61]
실시예 1에서 하기 멜라민 수지 함침 패턴지(Mt)를 이용하고 하기의 제조 방법을 이용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멜라민 수지 함침 패턴지(Mt)의 제조>
평량 100g/㎡의 차색의 화장판용의 화장지에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액(AA)을 수식 1로 정의되는 함침률이 140%가 되도록 함침하였다. 그리고, 당해 화장지에 실시예 1의 소취성 기능 발현 조성물(M)을 포함하는 도공액을 건조 후의 막두께가 4.5㎛가 되도록 도공하여 멜라민 수지 함침 패턴지(Mt)를 얼었다. 또한, 화장지의 표면에는 도관부를 갖는 나뭇결 모양의 그림무늬가 인쇄되어 있다.
<화장판의 제조>
아래로부터 차례로 배커를 1장, 프리프레그를 5장, 멜라민 수지 함침 패턴지(Mt)를 1장 적층하고 플랫 마무리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140℃, 100㎏/㎠, 90분간의 조건으로 열압 성형하여 멜라민 화장판을 얻었다.
[실시예 62]
실시예 14에서 하기 멜라민 수지 함침 패턴지(Nt)를 이용하고 하기의 제조 방법을 이용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멜라민 수지 함침 패턴지(Nt)의 제조>
평량 100g/㎡의 차색의 화장판용의 화장지에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액(AA)을 수식 1로 정의되는 함침률이 140%가 되도록 함침하여 함침지를 얻었다. 그리고, 당해 함침지의 표면에 실시예 14의 항바이러스성 기능 발현 조성물(N)을 포함하는 도공액을 건조 후의 막두께가 2.2㎛가 되도록 도공하여 멜라민 수지 함침 패턴지(Nt)를 얼었다. 또한, 화장지의 표면에는 도관부를 갖는 나뭇결 모양의 그림무늬가 인쇄되어 있다.
<화장판의 제조>
아래로부터 차례로 배커를 1장, 프리프레그를 5장, 멜라민 수지 함침 패턴지(Nt)를 1장 적층하고 플랫 마무리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140℃, 100㎏/㎠, 90분간의 조건으로 열압 성형하여 멜라민 화장판을 얻었다.
[실시예 63]
실시예 23에서 하기 멜라민 수지 함침 패턴지(Ot)를 이용하고 하기의 제조 방법을 이용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멜라민 수지 함침 패턴지(Ot)의 제조>
평량 100g/㎡의 차색의 화장판용의 화장지에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액(AA)을 수식 1로 정의되는 함침률이 140%가 되도록 함침하여 함침지를 얻었다. 그리고, 당해 함침지의 표면에 실시예 23의 항알레르겐성 기능 발현 조성물(O)을 포함하는 도공액을 건조 후의 막두께가 4.0㎛가 되도록 도공하여 멜라민 수지 함침 패턴지(Ot)를 얻었다. 또한, 화장지의 표면에는 도관부를 갖는 나뭇결 모양의 그림무늬가 인쇄되어 있다.
<화장판의 제조>
아래로부터 차례로 배커를 1장, 프리프레그를 5장, 멜라민 수지 함침 패턴지(Ot)를 1장 적층하고 플랫 마무리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140℃, 100㎏/㎠, 90분간의 조건으로 열압 성형하여 멜라민 화장판을 얻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A)규소알콕시드의 가수분해 축합물 대신에 아크릴 수지와 실록산이 복합화된 실록산 그라프트형 폴리머(상품명 「ZX-036」, 수산기가 119, 용제종 아세트산 부틸/2-프로판올, 후지화성공업 주식회사제)를 이용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B)친수성 용매에 분산된 오르가노 실리카졸 대신에 소수성 실리카졸(상품명 「사이로호빅」, 후지시리시아화학 주식회사제)을 이용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서 (C)친수기와 소수기를 갖는 아크릴 폴리머 대신에 (x)반응성(메타)아크릴 폴리머로서 메타크릴로일 관능기 함유 아크릴 폴리머(상품명 「RA-3705MB」, 네가미공업 주식회사제) 100질량부를 이용하고 열중합 개시제로서, 1,6-비스(t-부틸퍼옥시카르보닐옥시)헥산(상품명 「카야렌6-70」, 카야쿠아크조 주식회사제) 0.4질량부 배합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4]
비교예 3에서 기능 발현물질을 함유하지 않는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5~비교예 9]
비교예 3에서 표 4-1 및 표 4-2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변경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64~실시예 78]
실시예 1에서 표 5-1 및 표 5-2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변경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또한, 실시예 64~실시예 78에서는 (m)소취성 물질로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소취성 물질을 (n)항바이러스성 물질로서 실시예 14와 마찬가지의 항바이러스성 물질을 (o)항알레르겐성 물질로서 실시예 23과 같은 항알레르겐성 물질을 각각 사용하였다.
[실시예 79~실시예 93]
실시예 1에서 표 6-1 및 표 6-2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변경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또한, 실시예 79~실시예 93에서는 (m)소취성 물질로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소취성 물질을 (n)항바이러스성 물질로서 실시예 14와 마찬가지의 항바이러스성 물질을 (o)항알레르겐성 물질로서 실시예 23과 같은 항알레르겐성 물질을 각각 사용하였다.
단, 실시예 88에서는 (A)성분으로서 「HAS-1」 대신에 오르토규산 테트라에틸(에틸실리케이트)의 가수분해 축합물인 「HAS-6」을 이용하였다. 실시예 89에서는 (A)성분으로서 「HAS-1」 대신에 오르토규산 테트라에틸(에틸실리케이트)의 가수분해 축합물인 「HAS-10」을 이용하였다. 실시예 90에서는 (B)성분으로서 「NPC-ST-30」 대신에 「IPA-ST」(상품명, 닛산화학공업 주식회사제, 평균입자경 10~15㎚, 이소프로필알코올 분산 실리카졸, SiO2 30질량%)를 이용하였다. 실시예 91에서는 (B)성분으로서 「NPC-ST-30」 대신에 「MEK-AC-2140Z」(상품명, 닛산화학공업 주식회사제, 평균입자경 10~15㎚, 메틸에틸케톤 분산 실리카졸, SiO2 40질량%)를 이용하였다. 실시예 92에서는 (C)성분으로서 「DISPERBYK-2009」 대신에 「DISPERBYK-2000」(아크릴 코폴리머의 용액, 아크릴 코폴리머 40질량%, 1-메톡시-2-프로필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상품명, 빅케미재팬 주식회사제)를 이용하였다. 실시예 93에서는 (C)성분으로서 「DISPERBYK-2009」 대신에 「DISPERBYK-2008」(아크릴 코폴리머의 용액, 아크릴 코폴리머 60질량%, 폴리프로필렌글리콜 40%, 상품명, 빅케미재팬 주식회사제)를 이용하였다.
[실시예 94]
<멜라민 수지 함침 오버레이 지의 제조>
평량 22g/㎡의 오버레이 지에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수지액(AA)을 함침하고 멜라민 수지 함침 오버레이 지를 얻었다. 멜라민 수지 함침 오버레이의 수식 1로 정의되는 함침률은 260%였다.
<화장판의 제조>
실시예 79와 마찬가지의 전사 시트를 준비하였다.
또한, 수식 1로 정의되는 함침률이 100%가 되도록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멜라민 수지 함침 패턴지를 얻었다.
또한, 실시예 32와 마찬가지의 페놀 수지 함침 코어지를 준비하였다.
아래로부터 차례로 페놀 수지 함침 코어지를 5장, 멜라민 수지 함침 패턴지를 1장, 멜라민 수지 함침 오버레이 지를 1장, 전사 시트를 1장 적층하고 적층물을 플랫 마무리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140℃, 100㎏/㎠, 90분간의 조건으로 열압 성형하고 플라스틱 필름을 벗겨서 멜라민 화장판을 얻었다.
[실시예 95]
실시예 94에서 실시예 80의 전사 시트를 이용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96]
실시예 94에서 실시예 81의 전사 시트를 이용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실험예 1~실험예 6]
실시예 1에서 표 7-1 및 표 7-2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변경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실험예 7~실험예 10]
실시예 1에서 표 8-1 및 표 8-2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변경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실험예 11~실험예 22]
실시예 1에서 표 9-1 및 표 9-2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변경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상기 실시예, 실험예 및 비교예에 관해, (A)성분, (B)성분 및 (C)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기능성 조성물의 배합 비율, 기능 발현물질의 입자경 및 pH, 도포량 및 코어층의 코어재의 종류를 표 1-1~표 9-2에 표시한다.
또한, 표 중 A, B, C, m, n 및 o는, 각각 이하와 같다.
A: 규소알콕시드의 가수분해 축합물
B: 친수성 용매에 분산된 오르가노 실리카졸
C: 친수기와 소수기를 갖는 아크릴 폴리머
m: 소취성 물질
n: 항바이러스성 물질
o: 항알레르겐성 물질
또한, 표 중의 A, B 및 C의 질량부의 수치는 고형분을 기준으로 하는 값이다.
또한, m, n 및 o의 배합량의 수치는 조성물의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한 고형분의 배합 비율이다.
[표 1-1]
Figure pct00004
[표 1-2]
Figure pct00005
[표 2-1]
Figure pct00006
[표 2-2]
Figure pct00007
[표 3-1]
Figure pct00008
[표 3-2]
Figure pct00009
[표 4-1]
Figure pct00010
[표 4-2]
Figure pct00011
[표 5-1]
Figure pct00012
[표 5-2]
Figure pct00013
[표 6-1]
Figure pct00014
[표 6-2]
Figure pct00015
[표 7-1]
Figure pct00016
[표 7-2]
Figure pct00017
[표 8-1]
Figure pct00018
[표 8-2]
Figure pct00019
[표 9-1]
Figure pct00020
[표 9-2]
Figure pct00021
[평가 방법]
상기 실시예, 실험예 및 비교예에 관한 멜라민 화장판을 이하의 방법에 의해 외관, 기능성(소취성, 항바이러스성 또는 항알레르겐성), 내약품성 및 불연성의 관점에서 평가하였다.
(1) 외관
멜라민 화장판의 외관을 JIS K6902 : 2007 「열경화성 수지 고압 화장판 시험 방법」에 의거하여 검사하였다. 또한, 아울러서 손바닥으로 5초간 멜라민 화장판의 표면에 접촉한 후에 손을 떼고 표면을 육안으로 관찰함에 의해 지문이 눈에 띄는지의 여부를 평가하였다. 멜라민 화장판의 외관의 평가는 이하의 기준으로 행하였다.
○: 이상 없음(표면에 백화 얼룩이 생기지 않고 지문도 눈에 띄지 않는다).
△1: 약간 표면에 백화 얼룩이 생기지만 화장층의 나뭇결 모양의 그림무늬의 도관부는 인식할 수 있다. 지문은 눈에 띄지 않는다.
△2: 표면에 백화 얼룩은 생기고 있지는 않지만 지문이 약간 눈에 띈다.
Х: 현저하게 표면에 백화 얼룩이 생기고 화장층의 나뭇결 모양의 그림무늬가 불선명하고 도관부가 인식될 수 없다. 지문은 눈에 띄지 않는다.
또한, 표면에 백화 얼룩이 생기면 지문은 눈에 띄기 어려워진다.
(2) 소취율(%)
(2-1) 황화수소 소취 성능: 100㎜Х200㎜로 잘라낸 시험편을 유효 면적이 200㎠가 되도록 알루미늄 테이프로 이면과 측면을 피복하였다. 시험편을 테트라백 중에 넣은 후, 주머니 내에서 농도가 4ppm이 되도록 황화수소 가스 3l을 주입하고 24시간 경과 후의 황화수소 잔존 농도를 측정하였다. 이 측정치에 의해 소취된 황화수소의 총량을 산출하고 황화수소 가스의 소취율(%)로 하였다.
(2-2) 암모니아 소취 성능: 100㎜Х200㎜로 잘라낸 시험편을 유효 면적이 200㎠가 되도록 알루미늄 테이프로 이면과 측면을 피복하였다. 시험편을 테트라백의 중에 넣은 후 주머니 내에서 농도가 100ppm이 되도록 암모니아 가스 3l을 주입하고 24시간 경과 후의 암모니아 잔존 농도를 측정하였다. 이 측정치에 의해 소취된 암모니아의 총량을 산출하고 소취율(%)로 하였다.
(3) 항바이러스 성능 파지(phage) 시험
시험 바이러스: 박테리오 파지 Qβ
시험 규격: JIS R 1756 : 2020 「파인 세라믹스-가시광 응답형 광촉매 재료의 항바이러스성 시험 방법-박테리오 파지 Qβ를 이용하는 방법」
측정 시간: 24시간
50㎜Х50㎜로 잘라낸 시험편에 시험균 바이러스 박테리오 파지 Qβ를 접촉시키고 24시간 후에 시험균 용액을 회수하고, 바이러스 감염가를 산출하였다. 산출한 바이러스 감염가에 의해 항바이러스 활성치를 하기 산출식에 의거하여 산출하였다.
항바이러스 활성치=log(미가공품의 바이러스 감염가)-log(가공품의 바이러스 감염가)
또한, 미가공품이란 조성물의 경화층이 형성되지 않은 멜라민 화장판이고 가공품이란 각 실시예, 각 실험예 및 각 비교예에 관한 멜라민 화장판이다.
(4) 항알레르겐 성능 암모니아
시험균: 진드기 알레르겐(Der fII), 삼나무 알레르겐(Cry jI)
측정 시간: 24시간
측정 방법: ELISA법
50㎜Х50㎜로 잘라낸 시험편에 접착제로 40㎜Х40㎜의 테두리를 제작하였다. 테두리 내에 일정 농도로 조제한 알레르겐 용액을 0.4㎖ 적하하고 필름을 밀착시켰다.
24시간 경과 후의 용액을 회수하고 ELISA법(효소 면역 측정법)으로 알레르겐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측정치와 미가공품의 농도차를 산출하고 알레르겐의 저감률(%)로 하였다.
(5) 내약품성
<사용 약품>
q: 오스반액 0.025% 용액
r: 크레졸 비누물 5.0% 용액
s: 차아염소산 나트륨 6.0% 용액
t: 1% 염산 수용액
u: 1%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시험 방법>
시험편을 세정후 건조하여 시험액 0.2㎖를 시험편에 적하하고 24시간 방치한 후, 시험액을 물로 씻어내고 시험편의 변화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이하의 평가 방법에 의해 평가하였다.
<평가 방법>
○: 변화 없음
△: 침식은 없지만 색조, 광택이 변화
Х: 침식되어 있다
(6) 불연성
ISO 5660에 준거한 콘 칼로리 미터에 의한 20분 시험의 발열성 시험을 행하였다. 평가 방법에서 총 발열량이 8MJ/㎡ 이하이고 최고 발열 속도가 10초 이상 계속하여 200kW/㎡를 넘지 않으며 시험 후의 시험체에서 이면까지 관통하는 갈라짐, 잔금 등이 없는 경우 ○로 하였다. 이 3 조건을 하나라도 충족시키지 않는 것을 Х로 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0-1~표 18-2에 표시한다.
[표 10-1]
Figure pct00022
[표 10-2]
Figure pct00023
[표 11-1]
Figure pct00024
[표 11-2]
Figure pct00025
[표 12-1]
Figure pct00026
[표 12-2]
Figure pct00027
[표 13-1]
Figure pct00028
[표 13-2]
Figure pct00029
[표 14-1]
Figure pct00030
[표 14-2]
Figure pct00031
[표 15-1]
Figure pct00032
[표 15-2]
Figure pct00033
[표 16-1]
Figure pct00034
[표 16-2]
Figure pct00035
[표 17-1]
Figure pct00036
[표 17-2]
Figure pct00037
[표 18-1]
Figure pct00038
[표 18-2]
Figure pct00039
[고찰]
표 16-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험예 1에서는 (m)소취성 물질의 배합량이 적고 소취 성능이 약간 뒤떨어지고 있다. 실험예 2에서는 (m)소취성 물질의 배합량이 많고 외관에서 약간 백화 얼룩이 생겼다(△1). 실험예 3에서는 (n)항바이러스성 물질의 배합량이 적고 항바이러스 성능이 약간 뒤떨어지고 있다. 실험예 4에서는 (n)항바이러스성 물질의 배합량이 많고, 외관에서 약간 백화 얼룩이 생겼다(△1). 실험예 5에서는 (o)항알레르겐성 물질의 배합량이 적고 항알레르겐성이 약간 뒤떨어지고 있다. 실험예 6에서는 (o)항알레르겐성 물질의 배합량이 많고, 외관에서 약간 백화 얼룩이 생겼다(△1).
표 17-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험예 7에서는 기능성 조성물이 (A)성분, (B) 및 (C)성분을 포함하는 것이지만 (A)성분의 고형분 1질량부에 대해 (B)성분의 배합량이 0.5질량부 미만이고, 소취 성능이 약간 뒤떨어지고, 내약품성도 약간 뒤떨어지고 있다. 실험예 8에서는 기능성물 조성물이 (A)성분, (B)성분 및 (C)성분을 포함하는 것이지만 (A)성분의 고형분 1질량부에 대해 (B)성분의 배합량이 12질량부를 넘고 있고, 외관에서 지문은 눈에 띄지 않는 것이지만 약간 백화 얼룩이 생겼다(△1). 실험예 9에서는 기능성 조성물이 (A)성분, (B)성분 및 (C)성분을 포함하는 것이지만 (B)성분의 고형분 1질량부에 대해 (C)성분의 배합량이 0.005질량부 미만이고, 백화 얼룩은 생기지 않는 것이지만 지문이 약간 눈에 띄었다(△2). 실험예 10에서는 기능성 조성물이 (A)성분, (B)성분 및 (C)성분을 포함하는 것이지만 (B)성분의 고형분 1질량부에 대해 (C)성분의 배합량이 0.3질량부를 넘고 있고, 외관에서 지문은 눈에 띄지 않는 것이지만 약간 백화 얼룩이 생겼다(△1).
표 18-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험예 11에서는 소취성이 약간 뒤떨어지고 있다. 실험예 12에서는 외관에서 지문은 눈에 띄지 않는 것이지만 약간 백화 얼룩이 생겼다(△1). 실험예 13에서는 항바이러스성이 약간 뒤떨어지고 있다. 실험예 14에서는 외관에서 지문은 눈에 띄지 않는 것이지만 약간 백화 얼룩이 생겼다(△1). 실험예 15에서는 소취성이 약간 뒤떨어지고 있다. 실험예 16에서는 외관에서 지문은 눈에 띄지 않는 것이지만 약간 백화 얼룩이 생겼다(△1). 실험예 17에서는 항알레르겐성이 약간 뒤떨어지고 있다. 실험예 18에서는 외관에서 지문은 눈에 띄지 않는 것이지만 약간 백화 얼룩이 생겼다(△1). 실험예 19에서는 항바이러스성이 약간 뒤떨어지고 있다. 실험예 20에서는 외관에서 지문은 눈에 띄지 않는 것이지만 약간 백화 얼룩이 생겼다(△1). 실험예 21에서는 항알레르겐성이 약간 뒤떨어지고 있다. 실험예 22에서는 외관에서 지문은 눈에 띄지 않는 것이지만 약간 백화 얼룩이 생겼다(△1).
2: 기능성 조성물의 경화층 3: 멜라민 수지 함침 패턴지
4: 프리프레그 5: 페놀 수지 함침 코어지
6: 코어층 7: 배커(backer)
8: 멜라민 수지 함침 오버레이 지 11: 멜라민 화장판
12: 멜라민 화장판 13: 멜라민 화장판

Claims (15)

  1. 조성물로서,
    (A)규소알콕시드의 가수분해 축합물,
    (B)친수성 용매에 분산된 오르가노 실리카졸, 및
    (C)친수기와 소수기를 갖는 아크릴 폴리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m)소취성 물질, (n)항바이러스성 물질 및 (o)항알레르겐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m)소취성 물질을 포함하되,
    상기 조성물 중의 상기 (m)소취성 물질의 배합량이 상기 조성물의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해 30~60질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n)항바이러스성 물질을 포함하되,
    상기 조성물 중의 상기 (n)항바이러스성 물질의 배합량이 상기 조성물의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해 35~75질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o)항알레르겐성 물질을 포함하되,
    상기 조성물 중의 상기 (o)항알레르겐성 물질의 배합량이 상기 조성물의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해 3~50질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m)소취성 물질을 포함하되,
    상기 (m)소취성 물질은 화학 흡착형의 소취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 흡착형의 소취성 물질은 산화아연, 실리카, 제올라이트, 산화구리 및 산화지르코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n)항바이러스성 물질을 포함하되,
    상기 (n)항바이러스성 물질은 트리아진-티아졸-이미다졸계 물질, 아미노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및 아미노 변성 아크릴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2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o)항알레르겐성 물질을 포함하되,
    상기 (o)항알레르겐성 물질은 음이온 변성된 유기 화합물과 담지체와의 복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변성된 유기 화합물은 음이온 변성 직쇄 알칸 및 음이온 변성 폴리비닐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조성물.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담지체는, 스티렌 입자 및 산화은 입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멜라민 화장판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3. 전사 시트로서,
    시트형상 기재, 및
    상기 시트형상 기재의 편면에 형성된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의 경화층,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 시트.
  14. 멜라민 화장판(melamine decorative laminate)으로서,
    코어층,
    멜라민 수지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화장층, 및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의 경화층,
    을 이 순서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라민 화장판.
  15. 멜라민 화장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멜라민 화장판은 코어층, 멜라민 수지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화장층, 및 표층(surface layer)을 이 순서로 포함하고,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경화시켜서 상기 표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227040765A 2020-04-22 2020-10-06 조성물, 전사 시트, 멜라민 화장판 및 멜라민 화장판의 제조 방법 KR202300081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76030 2020-04-22
JPJP-P-2020-076030 2020-04-22
PCT/JP2020/037838 WO2021215028A1 (ja) 2020-04-22 2020-10-06 組成物、転写シート、メラミン化粧板及びメラミン化粧板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8130A true KR20230008130A (ko) 2023-01-13

Family

ID=78270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0765A KR20230008130A (ko) 2020-04-22 2020-10-06 조성물, 전사 시트, 멜라민 화장판 및 멜라민 화장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2) JPWO2021215028A1 (ko)
KR (1) KR20230008130A (ko)
CN (1) CN115461405A (ko)
TW (1) TW202140676A (ko)
WO (1) WO2021215028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76515A (ja) 2011-02-25 2012-09-13 Aica Kogyo Co Ltd メラミン化粧板
JP2017205928A (ja) 2016-05-18 2017-11-24 アイカ工業株式会社 アミノ−ホルムアルデヒド樹脂含浸紙の製造方法、及び化粧板の製造方法
JP2018027694A (ja) 2015-11-17 2018-02-22 イビデン株式会社 化粧板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4501A (ja) * 1997-10-21 1999-05-11 Nippon Paint Co Ltd 熱硬化性樹脂組成物
JP2005314616A (ja) * 2004-04-30 2005-11-10 Shin Etsu Chem Co Ltd シリコーンコーティング組成物及び被覆物品
KR101356275B1 (ko) * 2007-01-31 2014-02-06 아이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멜라민 화장 적층 시트
JP2012082287A (ja) * 2010-10-08 2012-04-26 Aica Kogyo Co Ltd 樹脂組成物および成型物
KR101861880B1 (ko) * 2010-12-22 2018-05-28 스미또모 베이크라이트 가부시키가이샤 표면층 재료 및 멜라민 화장판
EP2823962B1 (en) * 2012-03-07 2020-06-03 Sumitomo Bakelite Co., Ltd. Melamine resin decorative sheet and method for repairing a finished surface
JP6451376B2 (ja) * 2015-01-20 2019-01-16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低屈折率膜形成用液組成物
EP3695724A4 (en) * 2017-10-12 2021-06-09 Ibiden Co., Ltd. ANTIVIRAL SUBSTRATE, ANTIVIRAL COMPOSI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NTIVIRAL SUBSTRATE, ANTIMICROBIAL SUBSTRATE, ANTIMICROBIAL COMPOSI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TIMICROBIA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76515A (ja) 2011-02-25 2012-09-13 Aica Kogyo Co Ltd メラミン化粧板
JP2018027694A (ja) 2015-11-17 2018-02-22 イビデン株式会社 化粧板
JP2017205928A (ja) 2016-05-18 2017-11-24 アイカ工業株式会社 アミノ−ホルムアルデヒド樹脂含浸紙の製造方法、及び化粧板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1215028A1 (ko) 2021-10-28
JP2023007526A (ja) 2023-01-19
TW202140676A (zh) 2021-11-01
WO2021215028A1 (ja) 2021-10-28
CN115461405A (zh) 2022-12-09
JP7349464B2 (ja) 2023-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28263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декоративного слоистого листа и покрытый переводной лист
RU2564347C2 (ru) Порошковое покрытие
JP4177105B2 (ja) 黄土を含む不燃性パネル及びこれを利用した不燃性装飾パネル
KR101875588B1 (ko) 밝은 색상의 표면층
US20110247748A1 (en) Powder overlay
JP5881840B2 (ja) 分散性の改善された処理済み無機顔料およびその紙製品における使用
JP2017177802A (ja) 化粧板
JP5750493B2 (ja) 被覆材
KR101861880B1 (ko) 표면층 재료 및 멜라민 화장판
CN105916679B (zh) 装饰板
JP6775341B2 (ja) 化粧板
KR20230008130A (ko) 조성물, 전사 시트, 멜라민 화장판 및 멜라민 화장판의 제조 방법
US3445327A (en) Abrasive-resistant decorative laminates and method for making same
RU2719829C1 (ru) Декорирующая бумага для ламината
JP7299277B2 (ja) 粘着剤付き化粧シート及び構造体
JP5244258B2 (ja) 板状硬化体
JP4201114B2 (ja) 化粧材
JP5654899B2 (ja) メラミン化粧板
JP5517643B2 (ja) メラミン化粧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5128084B2 (ja) 光触媒部材
EP4379132A1 (en) Recoatable decorative laminate panels
CA3190281A1 (en) Resin-containing composition with antimicrobial properties, in particular biocidal properties, for surface coatings on paper layers or wood-based panels
JP6352707B2 (ja) 基体
TWI474922B (zh) 表面層材料及三聚氰胺裝飾薄板
JP2018202835A (ja) 化粧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