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6685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6685A
KR20230006685A KR1020210086633A KR20210086633A KR20230006685A KR 20230006685 A KR20230006685 A KR 20230006685A KR 1020210086633 A KR1020210086633 A KR 1020210086633A KR 20210086633 A KR20210086633 A KR 20210086633A KR 20230006685 A KR20230006685 A KR 20230006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side frame
display device
protrusion
cabi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6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민관
김현향
서정원
손준희
김다혜
안재설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6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6685A/ko
Priority to US17/690,167 priority patent/US20230007792A1/en
Priority to CN202210784725.9A priority patent/CN115631682A/zh
Publication of KR20230006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66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3Segmented electronic display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1Side-by-side or stacked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6Combining plural substrates to produce large-area displays, e.g. tiled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1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10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16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the devices being of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forming hybrid circuits
    • H01L25/162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the devices being of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forming hybrid circuits the devices being mounted on two or more different substrat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16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the devices being of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forming hybrid circuits
    • H01L25/167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the devices being of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forming hybrid circuits comprising optoelectronic devices, e.g. LED, photodi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제1 표시 패널; 상기 제1 표시 패널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 하부에 위치하고, 제1 돌출부 및 제1 오목부를 포함하는 제1 캐비닛; 및 상기 제1 표시 패널의 일 측면에 위치하는 제1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제1 캐비닛을 향하여 이동 가능하고, 그 일부가 상기 제1 오목부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 단독으로 사용 가능하면서도, 이를 복수개 연결할 경우에는 타일링 표시 장치로도 병행하여 사용이 가능한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 장치 단독으로 사용 가능하면서도, 이를 복수개 연결할 경우에는 타일링(Tiling) 표시 장치로도 병행하여 사용이 가능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 디스플레이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고 휴대가 가능한 정보 매체를 이용하려는 요구가 높아지면서, 표시 장치에 대한 요구 및 상업화가 중점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표시 장치들은, TV, 모니터 및 각종 개인용 휴대 디지털 기기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소형인 표시 기기부터, 퍼블릭 디스플레이(public display) 및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대형인 표시 기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크기로 제조되어 사용되고 있다.
다만, 단독의 대형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데에는 현재까지 기술적인 어려움이 존재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복수개의 표시 장치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표시 면적을 대형화한 타일링 표시 장치(Tiling Display Device)를 사용하고 있다.
이 때, 타일링 표시 장치의 시인성, 영상의 품질 등을 위해서는, 이를 이루는 복수개의 표시 장치들의 경계 영역을 최소화하여야 하므로, 복수개의 표시 장치들 각각은 모서리를 보호할 수 있는 기구물이 없다. 따라서, 아주 약한 접촉에도 표시 장치의 파손이 일어날 수 있어 다루기 어렵고, 타일링 표시 장치를 이루지 않고, 단독의 표시 장치로 사용하고 싶어도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표시 장치를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패널 조작(Panel Handling)이 용이하면서도, 타일링 표시 장치로 사용할 경우에는 시인성이 증가한 표시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표시 장치 단독으로 사용 가능하면서도, 이를 복수개 연결할 경우에는 타일링 표시 장치로도 병행하여 사용이 가능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표시 패널; 상기 제1 표시 패널의 하부에 위치한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 하부에 위치하고, 제1 돌출부 및 제1 오목부를 포함하는 제1 캐비닛; 및 상기 제1 표시 패널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제1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제1 캐비닛을 향하여 이동 가능하고 그 일부가 상기 제1 오목부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패널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2 표시 패널; 상기 제2 표시 패널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 하부에 위치하고, 제2 돌출부 및 제2 오목부를 포함하는 제2 캐비닛; 및 상기 제2 표시 패널의 일 측면에 위치하는 제2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제2 캐비닛을 향하여 이동 가능하고, 그 일부가 상기 제2 오목부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제1 표시 패널의 일 측면을 커버하여 상기 제1 표시 패널을 보호하고,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제2 표시 패널의 일 측면을 커버하여 상기 제2 표시 패널을 보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오목부 각각은, 상기 제1 캐비닛의 적어도 일 측면에 하나 이상 배치되고, 상기 제2 돌출부와 상기 제2 오목부 각각은, 상기 제2 캐비닛의 적어도 일 측면에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부 내에는,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과 연결되고, 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2 돌출부와 대응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체결되어 상기 연결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2 오목부를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오목부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패널과 상기 제2 표시 패널 연결 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2 오목부 내부로 이동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오목부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패널과 상기 제2 표시 패널 연결 시,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오목부로 이동하여 상기 연결부의 경사면에 접촉하여 상기 연결부에 소정의 힘을 가하여 상기 제어부를 상기 일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패널과 상기 제2 표시 패널 연결 시,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프레임들 각각은, 대응하는 캐비닛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의 두께는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부 내에는, 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부; 상기 이동부와 체결되어, 상기 이동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과 연결되어 상기 일 방향과 다른 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체결되어 상기 연결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2 제어부가 위치하고, 상기 제1 제어부와 상기 제2 제어부 각각은,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패널과 상기 제2 표시 패널 연결 시,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이동부로 이동하여 상기 이동부에 소정의 힘을 가하여 상기 제1 제어부를 상기 일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부가 상기 일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일 방향과 다른 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캐비닛은 상기 제1 표시 패널보다 작고,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은 계단 형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부 내에는,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을 향하여 돌출된 제3 돌출부를 포함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된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와 체결되어, 상기 이동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3 돌출부와 상기 이동부를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2 돌출부와 대응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패널과 상기 제2 표시 패널 연결 시,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3 돌출부 및 상기 이동부의 경사면에 접촉하여, 상기 제3 돌출부 및 상기 이동부와의 눌림 체결을 통하여, 상기 제어부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눌림 체결에 의해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은 각각 대응하는 캐비닛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하로 이동이 가능한 사이드 프레임을 적용시킴으로써, 표시 장치를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패널 조작이 용이하면서도, 타일링 표시 장치로 사용할 경우에는 시인성이 증가한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 단독으로 사용 가능하면서도, 이를 복수개 연결할 경우에는 타일링 표시 장치로도 병행하여 사용이 가능한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링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타일링 표시 장치를 이루는 복수개의 표시 장치 중 제1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Ⅰ-Ⅰ' 선에 따른 표시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링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타일링 표시 장치를 이루는 제1 및 제2 표시 장치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제1 및 제2 표시 장치들이 서로 연결되기 전의 상태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제1 및 제2 표시 장치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제1 표시 장치와 제2 표시 장치를 연결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전의 제1 및 제2 표시 장치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제1 및 제2 표시 장치들을 연결한 타일링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표시 장치를 복수개 연결한 타일링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전의 복수개의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복수개의 표시 장치를 연결한 타일링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 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어느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on)에 형성되었다고 할 경우, 상기 형성된 방향은 상부 방향만 한정되지 않으며 측면이나 하부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어떤 구성요소(일 예로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일 예로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 (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일 예로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출원에서, "연결" 또는 "접속"이라 함은 물리적 및/또는 전기적인 연결 또는 접속을 포괄적으로 의미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그 밖에 당업자가 본 발명의 내용을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래의 설명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만을 포함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링 표시 장치(TDD)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타일링 표시 장치(TDD)를 이루는 복수개의 표시 장치(DD: DD1~DD9) 중 제1 표시 장치(DD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개의 표시 장치(DD)를 포함하는 타일링 표시 장치(TDD)일 수 있다.
표시 장치(DD)가 스마트폰, 텔레비전, 태블릿 PC, 이동 전화기,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 데스크탑 PC, 랩탑 PC, 넷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서버,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의료기기,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등과 같이 적어도 일 면에 표시 면이 적용된 전자 장치라면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타일링 표시 장치(TDD) (또는 멀티 스크린 표시 장치라고도 함)는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을 따라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개의 표시 장치(DD)를 포함할 수 있다. 매트릭스 형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행과 적어도 둘 이상의 열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표시 장치(DD)는, 일 예로, 제1 표시 장치(DD1), 제2 표시 장치(DD2), 제3 표시 장치(DD3), 제4 표시 장치(DD4), 제5 표시 장치(DD5), 제6 표시 장치(DD6), 제7 표시 장치(DD7), 제8 표시 장치(DD8) 및 제9 표시 장치(DD9)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표시 장치(DD)는 제1 방향(DR1)으로 서로 맞물려 배치되어 하나의 타일링 표시 장치(TDD)를 구현할 수 있다. 복수개의 표시 장치(DD)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매트릭스 형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행과 적어도 둘 이상의 열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표시 장치(DD)는 개별 영상을 표시하거나, 하나의 영상을 분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복수의 표시 장치(DD)는 서로 동일한 종류, 구조, 크기 또는 방식의 표시 패널들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개의 표시 장치(DD)는 영상이 표시되는 각각의 표시면(또는 화상 표시 면)이 일 방향(일 예로, 제3 방향(DR3))을 향하도록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표시 장치(DD)는 서로 동일한 크기(또는 면적)를 가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복수개의 표시 장치(DD) 각각은 적용되는 타일링 표시 장치(TDD)의 설계 조건 등에 부합하도록 인접한 표시 장치들과 서로 상이한 크기(또는 면적)를 가질 수도 있다.
복수개의 표시 장치(DD)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서로 평행한 두 쌍의 변들을 가지는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개의 표시 장치(DD)가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제공되는 경우, 두 쌍의 변들 중 어느 한 쌍의 변이 다른 한 쌍의 변보다 길게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수개의 표시 장치(DD)는 모두 동일한 길이의 변을 갖는 정사각 형상인 경우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복수개의 표시 장치(DD)가 직선으로 이루어진 각진 모서리부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사각형의 판상으로 제공되는 복수개의 표시 장치(DD)는 하나의 변과 또 다른 하나의 변이 접하는 모서리부가 라운드(round)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표시 장치(DD)는 적어도 일부가 가요성(flexibility)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가요성을 가지는 부분에서 접힐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복수개의 표시 장치(DD)는 감지 영역 및 비감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표시 장치(DD)는 감지 영역을 통해 영상을 표시할 뿐만 아니라, 표시 면(또는 입력 면)에서 이루어진 터치 입력을 감지하거나 전방에서 입사되는 광을 감지할 수도 있다. 비감지 영역은 감지 영역을 둘러쌀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내지 제9 표시 장치들(DD1 ~ DD9)은 실질적으로 서로 유사하거나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를 위하여 제1 내지 제9 표시 장치들(DD1 ~ DD9) 중 제1 표시 장치(DD1)를 대표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표시 장치(DD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시 패널(DP1) 및 제1 사이드 프레임(SF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시 패널(DP1)은 제1 표시 장치(DD1)의 최상층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표시 패널(DP1)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표시 패널(DP1)로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발광 소자로 이용하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OLED panel), 초소형 발광 다이오드를 발광 소자로 이용하는 초소형 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nano-scale LED Display panel), 양자점(quantum dot)과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는 양자점 유기 발광 표시 패널(quantum dot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QD OLED panel) 등과 같은 자발광이 가능한 표시 패널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표시 패널(DP1)로는 액정 표시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LCD panel), 전기영동 표시 패널(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EPD panel), 및 일렉트로웨팅 표시 패널(electro-wetting display panel, EWD panel)과 같은 비발광성 표시 패널이 사용될 수 있다. 제1 표시 패널(DP1)로 비발광성 표시 패널이 사용되는 경우, 제1 표시 장치(DD1)는 제1 표시 패널(DP1)로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표시 패널(DP1) 상에는 제1 표시 패널(DP1)의 노출면을 보호하기 위한 윈도우(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다. 윈도우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제1 표시 패널(DP1)을 보호하고, 사용자에게 입력면 및/또는 표시면을 제공할 수 있다. 윈도우는 광학 투명 점착(또는 접착) 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제1 표시 패널(DP1)과 결합할 수 있다.
윈도우는 유리 기판, 플라스틱 필름, 플라스틱 기판으로부터 선택된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다층 구조는 연속 공정 또는 접착층을 이용한 접착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윈도우는 전체 또는 일부가 가요성(flexibility)을 가질 수 있다.
제1 표시 패널(DP1)과 윈도우 사이에는 터치 센서(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제1 표시 패널(DP1)에서 영상이 출사되는 면 상에 직접 배치되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직접 배치된다"는 것은 별도의 점착층(또는 접착층)을 이용하여 부착하는 것을 제외하며, 연속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사이드 프레임(SF1)은 제1 표시 패널(DP1)의 일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 표시 패널(DP1)의 네 측면 각각에 제1 사이드 프레임(SF1)이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1 사이드 프레임(SF1)은 제1 표시 패널(DP1)의 네 측면 중 일부에만 배치될 수도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사이드 프레임(SF1)은 제1 표시 패널(DP1)을 커버하여 제1 표시 패널(DP1)을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이드 프레임(SF1)은 제1 표시 패널(DP1)에 가해지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여, 제1 표시 패널(DP1)의 파손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제1 사이드 프레임(SF1)은 제1 표시 패널(DP1)의 모서리(또는 테두리) 부분을 보호하여 파손에 취약한 제1 표시 패널(DP1)을 보호할 수 있다. 제1 사이드 프레임(SF1)은 제1 표시 패널(DP1)의 측면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마찰 등으로 인한 제1 표시 패널(DP1)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1 사이드 프레임(SF1)을 포함하는 제1 표시 장치(DD1)는 단독의 표시 장치로서 활용이 가능할 수 있다. 즉, 제1 사이드 프레임(SF1)을 포함하는 제1 표시 장치(DD1)는 표시면의 표면에 존재하는 치핑(Chipping) 또는 크랙(crack)을 최소화 함으로써 단독의 표시 장치로 활용이 가능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표시 장치(DD1)가 제1 사이드 프레임(SF1)을 포함함에 따라, 제1 표시 패널(DP1)의 측면을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일 예로, 제1 표시 패널(DP1)의 측면 챔퍼 공정)을 진행하지 않더라도 상기 제1 표시 장치(DD1)는 충분히 단독의 표시 장치로서 활용이 가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DP)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DP)은 기판(SUB)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SUB)은 대략적으로 직사각 형상을 갖는 하나의 영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기판(SUB)에 제공되는 영역의 개수는 이와 다들 수 있으며, 기판(SUB)의 형상은 기판(SUB)에 제공되는 영역에 따라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기판(SUB)은 유리, 수지(resin)와 같은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기판(SUB)은 휘거나 접힘이 가능하도록 가요성(flexibility)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단층 구조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요성을 갖는 재료로는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fon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triacetate cellulose),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판(SUB)은 가요성을 갖는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기판(SUB)을 구성하는 재료가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판(SUB)은 표시 영역(DA) 및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화소들(PXL)이 제공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일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에서는 하나의 화소(PXL)만이 도시되었으나, 실질적으로 복수개의 화소들(PXL)이 표시 영역(DA)에 배치될 수 있다.
화소들(PXL)은 표시 영역(DA)에 제공될 수 있다. 화소들(PXL) 각각은 영상을 표시하는 최소 단위일 수 있다. 화소들(PXL)은 백색광 및/또는 컬러 광을 출사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들(PXL) 각각은 적색, 녹색, 및 청색 중 어느 하나의 색을 출사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안, 마젠타, 옐로우 등의 색을 출사할 수 있다.
화소들(PXL)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행과 상기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열을 따라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그러나, 화소들(PXL)의 배열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화소들(PXL)이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화소들(PXL)이 복수 개로 제공될 때, 서로 다른 면적(또는 크기)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출하는 광의 색상이 다른 화소들(PXL)의 경우, 각 색상 별로 화소들(PXL)이 다른 면적(또는 크기)이나 다른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패널(DP)의 적어도 일측에 제공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표시 영역(DA)의 형상과 비표시 영역(NDA)의 형상은 상대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에는 화소들(PXL)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미도시) 및 상기 화소들(PXL)과 구동부를 연결하는 배선(미도시)의 일부가 제공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Ⅰ-Ⅰ' 선에 따른 표시 패널(DP)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4 및 도 5에서는 각각의 전극을 단일의 전극층으로, 각각의 절연층을 단일의 절연층으로만 도시하는 등 표시 패널(DP)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층에 형성 및/또는 제공된다"함은 동일한 공정에서 형성됨을 의미할 수 있고, "상이한 층에 형성 및/또는 제공된다"함은 상이한 공정에서 형성됨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두 구성들 간의 "연결"이라 함은 전기적 연결 및 물리적 연결을 모두 포괄하여 사용하는 것임을 의미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DP)은 기판(SUB), 화소 회로층(PCL) 및 표시 소자층(DPL)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SUB) 상에는 화소 회로층(PCL)이 배치될 수 있다.
화소 회로층(PCL)은 버퍼층(BFL), 버퍼층(BFL) 상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T) 및 트랜지스터(T) 상에 제공된 보호층(PSV)을 포함할 수 있다.
버퍼층(BFL)은 기판(SUB)의 일 면 상에 제공 및/또는 형성될 수 있다. 버퍼층(BFL)은 트랜지스터(T)에 불순물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버퍼층(BFL)은 무기 재료를 포함한 무기 절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실리콘 질화물(SiNx), 실리콘 산화물(SiOx), 실리콘 산질화물(SiOxNy), 알루미늄 산화물(AlOx)과 같은 금속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버퍼층(BFL)은 단일막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적어도 이중막 이상의 다중막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버퍼층(BFL)이 다중막으로 제공되는 경우, 각 레이어는 서로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거나 서로 다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버퍼층(BFL)은 기판(SUB)의 재료 및 공정 조건 등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버퍼층(BFL) 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T) 및 상기 트랜지스터(T)에 접속된 신호 라인들이 배치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T)는 반도체층(SCL), 게이트 전극(GE) 및 소스/드레인 전극이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차례로 적층된 형태일 수 있다. 즉, 트랜지스터(T)는 반도체층(SCL), 게이트 전극(GE), 제1 단자(ET1), 및 제2 단자(ET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자(ET1)는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 중 하나의 전극일 수 있으며, 제2 단자(ET2)는 나머지 전극일 수 있다. 일 예로, 제1 단자(ET1)가 소스 전극일 경우, 제2 단자(ET2)는 드레인 전극일 수 있다.
반도체층(SCL)은 버퍼층(BFL) 상에 제공 및/또는 형성될 수 있다. 반도체층(SCL)은 제1 단자(ET1)에 접촉하는 제1 접촉 영역과 제2 단자(ET2)에 접촉하는 제2 접촉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촉 영역과 제2 접촉 영역 사이에 위치하며 게이트 전극(GE)과 중첩하는 영역은 트랜지스터(T)의 채널 영역일 수 있다.
반도체층(SCL)은 비정질 실리콘(amorphous silicon), 폴리 실리콘(poly silicon), 저온 폴리 실리콘(low temperature poly silicon), 유기 반도체 및 산화물 반도체 등으로 이루어진 반도체일 수 있다. 채널 영역은, 일 예로, 불순물이 도핑되지 않은 반도체 패턴으로서, 진성 반도체일 수 있다. 제1 접촉 영역과 제2 접촉 영역은 불순물이 도핑된 반도체일 수 있다.
게이트 전극(GE)은 반도체층(SCL)의 채널 영역과 대응되도록 게이트 절연층(GI) 상에 제공 및/또는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GE)은 게이트 절연층(GI) 상에 제공되어 반도체층(SCL)의 채널 영역과 중첩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GE)은 구리(Cu), 몰리브덴(Mo), 텅스텐(W), 알루미늄네오디뮴(AlNd), 타이타늄(Ti), 알루미늄(Al), 은(Ag) 및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단일막을 형성하거나 배선 저항을 줄이기 위해 저저항 물질인 몰리브덴(Mo), 타이타늄(Ti), 구리(Cu), 알루미늄(Al) 또는 은(Ag)의 이중막 또는 다중막 구조로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게이트 절연층(GI)은 반도체층(SCL) 및 버퍼층(BFL) 상에 전면적으로 제공 및/또는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층(GI)은 무기 재료를 포함한 무기 절연막일 수 있다. 일 예로, 게이트 절연층(GI)은 실리콘 질화물(SiNx), 실리콘 산화물(SiOx), 실리콘 산질화물(SiOxNy), 알루미늄 산화물(AlOx)과 같은 금속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게이트 절연층(GI)의 재료가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게이트 절연층(GI)은 유기 재료를 포함한 유기 절연막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게이트 절연층(GI)은 단일막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적어도 이중막 이상의 다중막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화소 회로층(PCL)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연층, 일 예로, 층간 절연층(ILD)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자(ET1)와 제2 단자(ET2) 각각은 층간 절연층(ILD) 상에 제공 및/또는 형성되며, 게이트 절연층(GI) 및 층간 절연층(ILD)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컨택 홀을 통해 반도체층(SCL)의 제1 접촉 영역 및 제2 접촉 영역에 접촉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단자(ET1)는 반도체층(SCL)의 제1 접촉 영역에 접촉하고, 제2 단자(ET2)는 상기 반도체층(SCL)의 제2 접촉 영역에 접촉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단자들(ET1, ET2) 각각은 게이트 전극(GE)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거나, 게이트 전극(GE)의 구성 물질로 예시된 물질들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층간 절연층(ILD)은 게이트 전극(GE) 상에 전면적으로 제공 및/또는 형성될 수 있다. 층간 절연층(ILD)은 게이트 절연층(GI)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거나 게이트 절연층(GI)의 구성 물질로 예시된 물질들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층간 절연층(ILD)은 단일막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적어도 이중막 이상의 다중막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트랜지스터(T)는 저온폴리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low temperature polycrystalline silicon thin film transistor, LTPS TFT)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트랜지스터(T)는 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트랜지스터(T)가 탑 게이트(top gate) 구조의 박막 트랜지스터인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트랜지스터(T)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T)는 발광 소자(LD)의 구동 전류를 제어하는 구동 트랜지스터 및 구동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 및 도 5에서는, 편의를 위하여 발광 소자(LD)의 구동 전류를 제어하는 구동 트랜지스터만을 도시하였다.
트랜지스터(T)를 포함한 화소 회로 상에 보호층(PSV)이 제공 및/또는 형성될 수 있다.
보호층(PSV)("패시베이션층" 또는 "비아층"이라고도 함)은 유기 절연막, 무기 절연막, 또는 무기 절연막 상에 배치된 유기 절연막을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무기 절연막은, 예를 들어, 실리콘 산화물(SiOx), 실리콘 질화물(SiNx), 실리콘 산질화물(SiOxNy), 알루미늄 산화물(AlOx)과 같은 금속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 절연막은, 예를 들어, 아크릴계 수지(polyacrylates resin), 에폭시계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계 수지(polyamides resin), 폴리이미드계 수지(polyimides rein),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unsaturated polyesters resin), 폴리페닐렌 에테르계 수지(poly-phenylen ethers resin), 폴리페닐렌 설파이드계 수지(poly-phenylene sulfides resin), 및 벤조사이클로부텐 수지(benzocyclobutene resi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층(PSV)은 트랜지스터(T)의 제1 단자(ET1)의 일부를 노출하도록 부분적으로 개구될 수 있다.
보호층(PSV) 상에는 표시 소자층(DPL)이 제공 및/또는 형성될 수 있다.
화소 회로층(PCL) 상에는 표시 소자층(DPL)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소자층(DPL)은 광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LD)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소자(LD)는 예를 들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발광 소자는 무기 발광 재료를 포함하는 무기 발광 소자 또는 양자점을 이용하여 출사되는 광의 파장을 변화시켜 발광하는 발광 소자(퀀텀닷 디스플레이 소자)일 수도 있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예를 들어, 애노드(anode), 정공 수송층, 유기 발광층, 전자 수송층, 및 캐소드(cathode)가 차례로 적층된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광 소자(LD)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AD)(또는 애노드), 발광층(EML), 제2 전극(CD)(또는 캐소드)을 포함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발광 소자(LD)는 적색 광, 녹색 광, 및 청색 광 중 하나의 광을 출사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발광 소자(LD)의 제1 전극(AD)은 트랜지스터(T)에 전기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고, 제2 전극(CD)은 전원 라인(미도시)을 통해 구동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될 수 있다. 발광 소자(LD)는 트랜지스터(T)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량에 대응하여 소정 휘도의 광(또는 빛)을 생성할 수 있다.
표시 소자층(DPL)은 제1 전극(AD)의 일부, 예를 들면, 제1 전극(AD)의 상면을 노출하는 개구부를 포함한 뱅크(BNK)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뱅크(BNK)는 화소(PXL)와 그에 인접한 화소(PXL) 각각의 화소 영역 또는 발광 영역을 정의(또는 구획)하는 구조물로서, 일 예로, 화소 정의막일 수 있다. 뱅크(BNK)는 무기 재료를 포함한 무기 절연막 또는 유기 재료를 포함한 유기 절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뱅크(BNK)는 아크릴 수지(acryl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 수지(polyamide resin),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등의 유기 절연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뱅크(BNK)의 재료가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광층(EML)은 뱅크(BNK)의 개구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발광층(EML)은 노출된 제1 전극(AD)의 일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층(EML)은 적어도 광 생성층(light generation layer)을 포함하는 다층 박막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발광층(EML)은 정공을 주입하는 정공 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정공의 수송성이 우수하고 광 생성층에서 결합하지 못한 전자의 이동을 억제하여 정공과 전자의 재결합 기회를 증가시키기 위한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주입된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에 의하여 광을 발하는 광 생성층(light generation layer), 광 생성층에서 결합하지 못한 정공의 이동을 억제하기 위한 정공 억제층(hole blocking layer), 전자를 상기 광 생성층으로 원활히 수송하기 위한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및 전자를 주입하는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전극(AD)은 보호층(PSV)을 관통하는 컨택 홀을 통해 트랜지스터(T)의 제1 단자(ET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극(AD)은 광을 반사시킬 수 있는 반사막(미도시) 또는 상기 반사막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투명 도전막(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전극(AD)은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로 이루어진 하부 투명 도전막, 하부 투명 도전막 상에 제공되며 은(Ag)으로 이루어진 반사막, 및 반사막 상에 제공되며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로 이루어진 상부 투명 도전막을 포함한 다중막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투명 도전막 및 상기 반사막 중 적어도 하나는 트랜지스터(T)의 제1 단자(ET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발광층(EML) 상에 제2 전극(CD)이 제공 및/또는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CD)은 화소(PXL)와 그에 인접한 화소(PXL)에 공통으로 제공되는 공통막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전극(CD)은 투과형 전극으로, 투명 도전성 물질(또는 재료)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도전성 물질(또는 재료)로는,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인듐 아연 산화물(indium zinc oxide, IZO), 아연 산화물(zinc oxide, ZnO), 인듐 갈륨 아연 산화물(indium gallium zinc oxide, IGZO), 인듐 주석 아연 산화물(indium tin zinc oxide, ITZO)과 같은 도전성 산화물, PEDOT(poly(3,4-ethylenedioxythiophene))와 같은 도전성 고분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2 전극(CD) 상에 커버층(CVL)이 제공 및/또는 형성될 수 있다.
커버층(CVL)은 봉지 기판이거나 다층막으로 이루어진 봉지막의 형태일 수 있다. 커버층(CVL)이 상기 봉지막의 형태인 경우, 무기막 및/또는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층(CVL)은 무기막, 유기막, 및 무기막이 차례로 적층된 형태일 수 있다. 커버층(CVL)은 외부의 공기 및 수분이 표시 소자층(DPL) 및 화소 회로층(PCL)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표시 소자층(DPL)이 제1 전극(AD), 발광층(EML), 및 제2 전극(CD)을 구비한 전면 발광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된 발광 소자(LD)를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표시 소자층(DPL)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질화물계 반도체를 성장시킨 구조로 이루어진 나노 스케일 내지 마이크로 스케일 정도로 작은 초소형의 무기 발광 소자(LD, 또는 발광 다이오드)를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발광 소자(LD)는 n형 반도체층으로 이루어진 제1 반도체층(미도시), 제1 반도체층과 상이한 타입의 반도체층(일 예로, p형 반도체층)으로 이루어진 제2 반도체층(미도시), 상기 제1 반도체층과 상기 제2 반도체층 사이에 개재된 활성층(미도시)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발광 소자(LD)는 보호층(PSV)의 일면(또는 상면)으로부터 제2 반도체층, 활성층, 및 제1 반도체층의 순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된 발광 적층체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발광 소자(LD)의 제1 반도체층 상에 제2 전극(CD)이 위치할 수 있다.
발광 소자(LD)의 제2 반도체층은 제1 및 제2 본딩 전극들(BDE1, BDE2)을 통하여 제1 전극(AD)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발광 소자(LD)의 제1 반도체층은 제2 전극(CD)과 직접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링 표시 장치(TDD)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타일링 표시 장치(TDD)를 이루는 제1 및 제2 표시 장치들(DD1, DD2)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의 제1 및 제2 표시 장치들(DD1, DD2)이 서로 연결되기 전의 상태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제1 및 제2 표시 장치들(DD1, DD2)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9의 제1 표시 장치(DD1)와 제2 표시 장치(DD2)를 연결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링 표시 장치(TDD)는 제1 표시 장치(DD1)와 제2 표시 장치(DD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및 제2 캐비닛들(CB1, CB2)의 두께 방향을 제3 방향(DR3)으로 표시하였다. 제3 방향(DR3)은 제3 방향(DR3)이 지시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표시 장치(DD1)는 제1 표시 패널(DP1), 제1 하우징(HS1), 제1 캐비닛(CB1) 및 제1 사이드 프레임(SF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HS1)은 제1 표시 패널(DP1)의 일 면(일 예로, 상부 면)에 배치되어 제1 표시 패널(DP1)의 움직임을 제어 및/또는 고정할 수 있다. 제1 표시 패널(DP1)은,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재(미도시)를 통해 탈부착 가능하게 제1 하우징(HS1)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하우징(HS1)으로부터 제1 표시 패널(DP1)의 탈부착이 용이하기 때문에, 타일링 표시 장치(TDD)에 있어서 하나의 표시 장치, 예를 들어, 제1 표시 장치(DD1)에 불량이 발생한 경우 손 쉽게 리페어가 가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하우징(HS1)은 제1 표시 패널(DP1)에 고정되어 부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하우징(HS1)은 점착(또는 접착) 부재(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제1 표시 패널(DP1)과 결합할 수 있다. 즉, 제1 하우징(HS1)은 제1 표시 패널(DP1)과 일체로 붙어 있을 수 있다.
제1 하우징(HS1)은 제1 표시 패널(DP1) 및 제1 캐비닛(CB1)과 결합하여 제1 표시 패널(DP1)을 보다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다룰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1 하우징(HS1)은 사각 모양의 하나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캐비닛(CB1)은 제1 하우징(HS1)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 하우징(HS1)과 물리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제1 캐비닛(CB1)은 제1 하우징(HS1)과 함께 제1 표시 장치(DD1)의 외부 세트(또는 샷시)를 구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캐비닛(CB1)은 제1 하우징(HS1)과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재(미도시)를 통해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캐비닛(CB1)으로부터 제1 하우징(HS1)의 탈부착이 용이하기 때문에, 타일링 표시 장치(TDD)에 있어서 하나의 표시 장치, 예를 들어, 제1 표시 장치(DD1)에 불량이 발생한 경우 손 쉽게 리페어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HS1)은 제1 캐비닛(CB1)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캐비닛(CB1)과 제1 하우징(HS1) 연결 부분에 위치하는 톱니 바퀴(미도시), Screw 등과 같은 체결 구조를 이용하여 제1 하우징(HS1)은 제1 캐비닛(CB1) 상에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하우징(HS1) 상에 위치한 제1 표시 패널(DP1)이 이동될 수 있으며, 타일링 표시 장치(TDD)에 있어서 각각의 표시 패널 간의 얼라인 조정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제1 캐비닛(CB1)은 인접한 표시 장치, 일 예로, 제2 표시 장치(DD2)의 제2 캐비닛(CB2)과 물리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캐비닛(CB1)은 제2 캐비닛(CB2)과 함께 타일링 표시 장치(TDD)의 일 면(또는 하부 면)에 배치되어, 타일링 표시 장치(TDD)의 움직임을 제어 또는 고정할 수 있다.
제1 캐비닛(CB1)은 제1 돌출부(ExL1) 및 제1 오목부(COP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출부(ExL1)와 제1 오목부(COP1) 각각은, 제1 캐비닛(CB1)의 적어도 일 측면에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도시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돌출부(ExL1)와 제1 오목부(COP1) 각각이 제1 캐비닛(CB1)의 일측면에 하나씩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돌출부(ExL1)와 제1 오목부(COP1) 각각은 제1 캐비닛(CB1)의 네 측면 모두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둘 이상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돌출부(ExL1)와 제1 오목부(COP1) 각각은 제1 캐비닛(CB1)의 적어도 일 측면 이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는 제1 캐비닛(CB1)의 일 측면에 하나의 제1 돌출부(ExL1)와 하나의 제1 오목부(COP1)가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캐비닛(CB1)의 일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돌출부(ExL1)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오목부(COP1)가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돌출부(ExL1)와 제1 오목부(COP1)는 일 방향을 따라 제1 캐비닛(CB1)의 일 측면 상에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 표시 장치(DD2)는 제2 표시 패널(DP2), 제2 하우징(HS2), 제2 캐비닛(CB2) 및 제2 사이드 프레임(SF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표시 장치(DD2)는 제1 표시 장치(DD1)와 실질적으로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제2 표시 장치(DD2)에 대한 설명은 간략히 하기로 한다.
제2 캐비닛(CB2)은 일 측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돌출부(ExL2)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오목부(COP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시 장치(DD1)와 제2 표시 장치(DD2)가 연결되어(또는 결합하여) 하나의 타일링 표시 장치(TDD)를 구현할 경우, 상기 제2 돌출부(ExL2)는 제1 표시 장치(DD1)의 제1 오목부(COP1)에 대응할 수 있고, 상기 제2 오목부(COP2)는 제1 표시 장치(DD1)의 제1 돌출부(ExL1)에 대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표시 장치(DD1)와 제2 표시 장치(DD2)는 나란히 이웃하게 배치되어 연결이 가능할 수 있다. 이 때, 제1 표시 장치(DD1)의 제1 돌출부(ExL1)는 제2 표시 장치(DD2)의 제2 오목부(COP2)를 향하여 돌출되고, 제2 표시 장치(DD2)의 제2 돌출부(ExL2)는 제1 표시 장치(DD1)의 제1 오목부(COP1)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표시 장치(DD1)와 제2 표시 장치(DD2)가 연결되어 하나의 타일링 표시 장치(TDD)를 구현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제1 표시 장치(DD1)의 제1 돌출부(ExL1)가 제2 표시 장치(DD2)의 제2 오목부(COP2)를 향하여 돌출되고, 제2 표시 장치(DD2)의 제2 돌출부(ExL2)가 제1 표시 장치(DD1)의 제1 오목부(COP1)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위치함에 따라 제1 표시 장치(DD1)와 제2 표시 장치(DD2)를 연결할 때(또는 결합할 때), 제1 돌출부(ExL1)는 제2 오목부(COP2) 내부로 이동하고, 제2 돌출부(ExL2)는 제1 오목부(COP1)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표시 장치(DD1)와 제2 표시 장치(DD2)가 결합하여 타일링 표시 장치(TDD)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제1 오목부(COP1)와 제2 오목부(COP2)를 포괄하여 명명할 때에는 오목부(COP) 또는 오목부들(COP)라 하고, 제1 돌출부(ExL1)와 제2 돌출부(ExL2)를 포괄하여 명명할 때에는 돌출부(ExL) 또는 돌출부들(ExL)이라고 한다.
오목부(COP) 내에는, 연결부(CnL) 및 제어부가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오목부(COP1) 내에는 제1 연결부(CnL1) 및 제1 제어부(SP1)가 위치할 수 있고, 제2 오목부(COP2) 내에는 제2 연결부(CnL2) 및 제2 제어부(SP2)가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사이드 프레임(SF1)의 일부는 제1 오목부(COP1)로 연장될 수 있고 제2 사이드 프레임(SF2)의 일부는 제2 오목부(COP2)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사이드 프레임(SF1)은 제1 표시 패널(DP1)의 일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사이드 프레임(SF1)은 제3 방향(DR3)과 평행한 방향, 일 예로, 상부 및 하부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제1 사이드 프레임(SF1)은 표시 패널(DP)의 네 측면 중 일부에만 배치될 수도 있으며, 네 측면 모두에 배치될 수도 있다. 각 측면에 위치한 제1 사이드 프레임(SF1)은 각각 상이하게 이동할 수도 있으며, 동일하게 이동할 수도 있다.
제1 사이드 프레임(SF1)은 제1 표시 패널(DP1)을 커버하여 제1 표시 패널(DP1)을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사이드 프레임(SF1)은 제1 표시 패널(DP1)뿐만 아니라, 제1 하우징(HS1) 또는 제1 캐비닛(CB1)을 커버할 수도 있다. 따라서, 외부의 충격이나 마찰 등으부터 보호하고 제1 표시 장치(DD1)의 파손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제1 연결부(CnL1)는 제1 사이드 프레임(SF1) 및 제1 제어부(SP1)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부(CnL1)는 제1 제어부(SP1)와 체결되어 제1 제어부(SP1)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움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부(CnL1)는 제3 방향(DR3)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제1 연결부(CnL1)는 제1 사이드 프레임(SF1)과 연결되어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제1 제어부(SP1)는 제1 연결부(CnL1)와 체결되어 제1 연결부(CnL1)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제어부(SP1)는 탄성력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부(SP1)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제어부(SP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어부(SP1)는 제1 오목부(COP1) 내 일 면(예를 들어, 하부 면)에 체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제어부(SP1)는 제1 연결부(CnL1)와 연결될 수 있다. 탄성력을 갖는 물질로 구성된 제1 제어부(SP1)로 인하여 제1 제어부(SP1)에 가해지는 힘의 유무에 따라 제1 연결부(CnL1) 및 제1 사이드 프레임(SF1)의 이동이 용이해질 수 있다. 일 예로, 제1 제어부(SP1)로 소정의 힘이 가해지면 제1 제어부(SP1)가 제1 오목부(COP1)의 하부 면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1 연결부(CnL1) 및 제1 사이드 프레임(SF1)이 제3 방향(DR3)을 따라 하부를 향하여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부(SP1)로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제1 제어부(SP1)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하게 되어 제1 연결부(CnL1) 및 제1 사이드 프레임(SF1) 역시 원래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연결부(CnL1)는 제1 경사면(INC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돌출부(ExL2)는 제2 경사면(INC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경사면(INC1)과 제2 경사면(INC2)은 제1 표시 장치(DD1)와 제2 표시 장치(DD2)를 보다 용이하게 결합하도록 하기 위하여 서로 대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제2 경사면(INC2)을 포함하는 제2 돌출부(ExL2)는 제1 경사면(INC1)을 포함하는 제1 연결부(CnL1)에 접촉하여 소정의 힘을 가할 수 있다. 이 때, 제1 제어부(SP1)는 일 방향, 예를 들어, 제3 방향(DR3)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경사면(INC1)과 제2 경사면(INC2)은 제1 제어부(SP1)의 일 방향으로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제어부(SP1)가 이동 시, 제1 연결부(CnL1)와 이에 연결된 제1 사이드 프레임(SF1)도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그 이동 거리는 상기 제1 오목부(COP1)의 제3 방향(DR3)으로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돌출부(ExL2)의 폭(d1)은 제2 사이드 프레임(SF2)의 폭(d2)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돌출부(ExL2)는 제2 캐비닛(CB2)의 일 측면으로부터 제1 오목부(COP1)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2 캐비닛(CB2)의 일부를 의미하고, 제2 돌출부(ExL2)의 폭(d1)은 제2 캐비닛(CB2)의 일 측면으로부터 제2 돌출부(ExL2)가 돌출된 정도를 의미할 수 있다. 제2 돌출부(ExL2)의 폭(d1)은 제2 사이드 프레임(SF2)의 폭(d2)보다 크게 설계되어 제2 사이드 프레임(SF2)이 제1 사이드 프레임(SF1)과 접촉하기 전에, 제2 돌출부(ExL2)가 제1 오목부(COP1)의 제1 제어부(SP1)에 먼저 접촉하여 소정의 힘을 상기 제1 제어부(SP1)로 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제어부(SP1)에 연결된 제1 연결부(CnL1) 및 제1 사이드 프레임(SF1)이 제1 오목부(COP1)의 하부면(또는 제1 캐비닛(CB1))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도면에 직접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돌출부(ExL1)가 제2 오목부(COP2)로 이동하면서 제2 오목부(COP2) 내의 제2 제어부(SP2)가 제2 오목부(COP2)의 하부면(또는 제2 캐비닛(CB2))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제어부(SP2)에 연결된 제2 연결부(CnL2) 및 제2 사이드 프레임(SF2)이 제2 오목부(COP2)의 하부면(또는 제2 캐비닛(CB2))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캐비닛(CB1)의 제1 오목부(COP1)와 제2 캐비닛(CB2)의 제2 돌출부(ExL2)가 서로 맞물려 결합되면, 제1 하우징(HS1) 및 제2 하우징(HS2)을 이용하여 제1 표시 패널(DP1)과 제2 표시 패널(DP2)을 도 10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제1 표시 패널(DP1)과 제2 표시 패널(DP2)이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제1 캐비닛(CB1)과 제1 하우징(HS1) 사이 및 제2 캐비닛(CB2)과 제2 하우징(HS2) 사이에 각각 위치한 별도의 체결 부재(일 예로, 톱니 바퀴, 스큐 등)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표시 패널들(DP1, DP2) 각각을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사이드 프레임(SF1)이 제1 오목부(COP1)(또는 제1 캐비닛(CB1))의 하부면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 사이드 프레임(SF2)이 제2 오목부(COP2)(또는 제2 캐비닛(CB2))의 하부면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표시 패널(DP1)과 제2 표시 패널(DP2)이 서로 바로 인접하게 위치하여 제1 표시 패널(DP1)과 제2 표시 패널(DP2) 사이의 간격이 감소할 수 있다. 이에 의한 타일링 표시 장치(TDD)는 인접한 제1 표시 장치(DD1)와 제2 표시 장치(DD2)간의 경계부 시인성이 최소화 되어, 향상된 품질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 기재한 순서와는 반대로, 제1 표시 장치(DD1)와 제2 표시 장치(DD2)의 연결을 해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탄성력이 있는 물질을 포함하는 제어부(SP)에 의해, 제1 및 제2 사이드 프레임들(SF1, SF2) 각각이 이동하였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다시 원상복귀될 수 있다. 따라서, 타일링 표시 장치(TDD)가 아닌, 단독(또는 개별)의 표시 장치(DD)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전의 제1 및 제2 표시 장치들(DD1, DD2)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제1 및 제2 표시 장치들(DD1, DD2)을 연결한 타일링 표시 장치(TDD)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의 제1 및 제2 표시 장치들(DD1, DD2)과 관련하여,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상술한 일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의 실시예에서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부분은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르며, 동일한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유사한 번호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제1 표시 장치(DD1)는 제1 표시 패널(DP1), 제1 하우징(HS1), 제1 캐비닛(CB1) 및 제1 사이드 프레임(SF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캐비닛(CB1)은 제1 오목부(COP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표시 장치(DD2)는 제2 표시 패널(DP2), 제2 하우징(HS2), 제2 캐비닛(CB2) 및 제2 사이드 프레임(SF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캐비닛(CB2)은 제2 돌출부(ExL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오목부(COP1) 내에는, 제1 이동부(MvL1), 제1 연결부(CnL1), 제1 제어부(SP_1) 및 제2 제어부(SP_2)가 포함될 수 있다.
제1 이동부(MvL1)는 제1 제어부(SP_1)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이동부(MvL1)는 제1 제어부(SP_1)와 체결되어 제1 제어부(SP_1)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움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동부(MvL1)는 제3 방향(DR3)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제어부(SP_1)는 제1 이동부(MvL1)와 체결되어 제1 이동부(MvL1)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제어부(SP_1)는 탄성력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부(SP_1)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제어부(SP_1)는 제1 오목부(COP1) 내 일 면(예를 들어, 측 면)에 체결되어, 제1 이동부(MvL1)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이동부(MvL1)는 제3 경사면(INC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이동부(MvL1)는 제1 캐비닛(CB1) 또는 제1 사이드 프레임(SF1)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이동부(MvL1)가 제1 캐비닛(CB1) 또는 제1 사이드 프레임(SF1)의 외측으로 돌출됨에 따라, 제2 사이드 프레임(SF2)이 제1 사이드 프레임(SF1)과 접촉하기 전에 제2 돌출부(ExL2)가 제1 이동부(MvL1)에 먼저 접촉하여 제1 이동부(MvL1)로 힘을 용이하게 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표시 장치(DD1)와 제2 표시 장치(DD2)가 보다 용이하게 연결(또는 결합)될 수 있다.
제1 연결부(CnL1)는 제1 사이드 프레임(SF1) 및 제2 제어부(SP_2)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부(CnL1)는 제2 제어부(SP_2)와 체결되어 제2 제어부(SP_2)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움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부(CnL1)는 제3 방향(DR3)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제1 연결부(CnL1)는 제1 사이드 프레임(SF1)과 연결되어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제2 제어부(SP_2)는 제1 연결부(CnL1)와 체결되어 제1 연결부(CnL1)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제어부(SP_2)는 탄성력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제어부(SP_2)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제어부(SP_2)는 제1 오목부(COP1)의 일 면(예를 들어, 상부 면)에 고정되고 제1 연결부(CnL1)와 체결될 수 있다. 제2 제어부(SP_2)는 제1 제어부(SP_1)의 이동에 따라(또는 제1 제어부(SP_1)에 가해지는 힘의 유무에 따라) 제1 연결부(CnL1) 및 제1 사이드 프레임(SF1)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연결부(CnL1)는 제1 경사면(INC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경사면(INC1)과 제3 경사면(INC3)은 서로 대응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이동부(MvL1)가 이동할 경우, 제1 연결부(CnL1)도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제2 돌출부(ExL2)는 도 11 및 도 12에서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한, 빗면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돌출부(ExL2)의 폭(d1)은 제2 사이드 프레임(SF2)의 폭(d2)과 동일할 수 있다. 제2 돌출부(ExL2)의 폭(d1)이 제2 사이드 프레임(SF2)의 폭(d2)과 동일하도록 제2 돌출부(ExL2)를 설계함으로써, 제1 표시 장치(DD1)와 제2 표시 장치(DD2) 사이의 간격을 감소시키거나 없앨 수 있다.
제1 표시 장치(DD1)와 제2 표시 장치(DD2)를 연결하거나 결합할 때, 제2 돌출부(ExL2)가 제1 이동부(MvL1)와 대응하도록 제1 캐비닛(CB1) 및/또는 제2 캐비닛(CB2)이 이동될 수 있다. 제2 돌출부(ExL2)는 제1 이동부(MvL1)로 이동하여, 제1 이동부(MvL1)에 소정의 힘을 가할 수 있다. 이 때, 제1 제어부(SP_1)는 일 방향, 예를 들어, 제3 방향(DR3)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이동부(MvL1)가 이동함에 따라, 제1 연결부(CnL1) 및 제2 제어부(SP_2)가 상기 일 방향과는 다른 타 방향, 예를 들어 제3 방향(DR3)과 수평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표시 장치(DD)를 복수개 연결한 타일링 표시 장치(TDD)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표시 패널(DP), 하우징(HS), 캐비닛(CB) 및 사이드 프레임(SF)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SF)은 계단 형상일 수 있다.
캐비닛(CB)은 표시 패널(DP)보다 작고, 계단 형상을 가진 사이드 프레임(SF)에 대응하는 형상의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도 14를 참조하면, 제1 표시 장치(DD1)와 제2 표시 장치(DD2) 연결 시, 제1 및 제2 사이드 프레임(SF1, SF2)은 일 방향뿐만 아니라 일 방향과는 다른 타 방향, 예를 들어 제3 방향(DR3)과 수평한 방향 및 수직한 방향으로 모두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표시 장치(DD1)와 제2 표시 장치(DD2) 연결 후, 제1 및 제2 표시 패널(DP1, DP2) 및 제1 및 제2 하우징(HS1, HS2)이 이동하지 않아도, 제1 표시 패널(DP1)과 제2 표시 패널(DP2) 사이의 갭(Gap) 없이 연결이 가능하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전의 제1 및 제2 표시 장치(DD1, DD2)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제1 및 제2 표시 장치(DD1, DD2)를 연결한 타일링 표시 장치(TDD)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의 제1 및 제2 표시 장치들(DD1, DD2)과 관련하여,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상술한 일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15 및 도 16의 실시예에서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부분은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르며, 동일한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유사한 번호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제1 표시 장치(DD1)는 제1 표시 패널(DP1), 제1 하우징(HS1), 제1 캐비닛(CB1) 및 제1 사이드 프레임(SF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캐비닛(CB1)은 제1 오목부(COP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표시 장치(DD2)는 제2 표시 패널(DP2), 제2 하우징(HS2), 제2 캐비닛(CB2) 및 제2 사이드 프레임(SF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캐비닛(CB2)은 제2 돌출부(ExL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오목부(COP1) 내에는, 연결부(CnL), 이동부(MvL) 및 제어부(SP)가 포함될 수 있으며, 제1 사이드 프레임(SF1)의 그 일부가 제1 오목부(COP1)로 연장될 수 있다.
연결부(CnL)는 제1 사이드 프레임(SF1) 및 이동부(MvL)와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CnL)는 이동부(MvL)와 고정적으로 부착되지 않고, 이동이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연결부(CnL)와 이동부(MvL) 사이에 별도의 체결 부재(일 예로, 톱니 바퀴, 스큐 등)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부(CnL)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연결부(CnL)는 돌출된 부분(PT)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CnL)는 돌출된 부분(PT)을 포함함에 따라, 제2 돌출부(ExL)와 접촉 시 소정의 힘을 보다 용이하게 받을 수 있다.
이동부(MvL)는 제1 경사면(INC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돌출부(ExL2)는 제2 경사면(INC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경사면(INC1)과 제2 경사면(INC2)은 제1 표시 장치(DD1)와 제2 표시 장치(DD2)를 보다 용이하게 결합하도록 하기 위하여 서로 대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제2 경사면(INC2)을 포함하는 제2 돌출부(ExL2)는 제1 경사면(INC1)을 포함하는 이동부(MvL)에 접촉하여 눌림 체결을 형성할 수 있다.
눌림 체결은 제1 표시 장치(DD1)와 제2 표시 장치(DD2) 연결 시, 제2 돌출부(ExL2)가 연결부(CnL) 또는 이동부(MvL)에 접촉하여, 연결부(CnL) 또는 이동부(MvL)에 소정의 힘을 가함으로써, 제어부(SP)를 제3 방향(DR3)과 평행한 방향 또는 제3 방향(DR3)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시 장치(DD1)와 제2 표시 장치(DD2) 연결 시, 제2 돌출부(ExL2)는 이동부(MvL) 및 돌출된 부분(PT)과 대응하게 위치하여 이동할 수 있다. 제2 돌출부(ExL2)는 이동부(MvL) 및 돌출된 부분(PT)에 소정의 힘을 가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SP)는 일 방향, 예를 들어, 제3 방향(DR3)과 수평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또한, 연결부(CnL)는 일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일 방향과 다른 타 방향, 예를 들어, 제3 방향(DR3)과 수직한 방향으로도 이동할 수 있다.
연결부(CnL)에 연결된 제1 사이드 프레임(SF1)은 제어부(SP) 및 연결부(CnL)가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함에 따라, 일 방향뿐만 아니라 일 방향과는 다른 타 방향, 예를 들어 제3 방향(DR3)과 수평한 방향 및 제3 방향(DR3)과 수직한 방향으로 모두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표시 장치(DD1)와 제2 표시 장치(DD2) 연결 후, 제1 및 제2 표시 패널(DP1, DP2) 및 제1 및 제2 하우징(HS1, HS2)이 이동하지 않아도, 제1 표시 패널(DP1)과 제2 표시 패널(DP2) 사이의 갭 없이 연결이 가능하다.
복수의 표시 장치(DD)들은 예를 들면, 제1 방향(DR1)으로 서로 맞물려 배치되어 하나의 타일링 표시 장치(TDD)를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표시 패널(DP1) 및 제2 표시 패널(DP2) 사이의 갭이 최소화되거나 실질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제1 표시 패널(DP1)과 제2 표시 패널(DP2) 사이에서 경계 영역, 특히, 제1 표시 장치(DD1) 또는 제2 표시 장치(DD2)를 단독으로 사용 시 이를 보호하기 위한 기구물이었던 제1 사이드 프레임(SF1) 또는 제2 사이드 프레임(SF2)이 제1 표시 패널(DP1) 또는 제2 표시 패널(DP2)의 하부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표시 장치(DD1)의 보호 장치인 제1 사이드 프레임(SF1) 영역과 상기 제2 표시 장치(DD2)의 보호 장치인 제2 사이드 프레임(SF2) 영역이 타일링 표시 장치(TDD)에서 시인되는 것을 방지 또는 완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경계 영역에서도 보다 자연스러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타일링 표시 장치(TDD)의 화면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단절감을 완화하고 보다 자연스러운 화면을 구성하여 영상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TDD: 타일링 표시 장치
DD1 ~ DD9: 제1 내지 제9 표시 장치
DP1, DP2: 제1 및 제2 표시 패널
HS1, HS2: 제1 및 제2 하우징
CB1, CB2: 제1 및 제2 캐비닛
ExL1, ExL2: 제1 및 제2 돌출부
COP1, COP2: 제1 및 제2 오목부
SF1, SF2: 제1 및 제2 사이드 프레임
SP: 제어부

Claims (20)

  1. 제1 표시 패널;
    상기 제1 표시 패널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 하부에 위치하고, 제1 돌출부 및 제1 오목부를 포함하는 제1 캐비닛; 및
    상기 제1 표시 패널의 일 측면에 위치하는 제1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제1 캐비닛을 향하여 이동 가능하고, 그 일부가 상기 제1 오목부로 연장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패널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2 표시 패널;
    상기 제2 표시 패널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 하부에 위치하고, 제2 돌출부 및 제2 오목부를 포함하는 제2 캐비닛; 및
    상기 제2 표시 패널의 일 측면에 위치하는 제2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제2 캐비닛을 향하여 이동 가능하고, 그 일부가 상기 제2 오목부로 연장되는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제1 표시 패널의 일 측면을 커버하여 상기 제1 표시 패널을 보호하고,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제2 표시 패널의 일 측면을 커버하여 상기 제2 표시 패널을 보호하는 표시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오목부 각각은, 상기 제1 캐비닛의 적어도 일 측면에 하나 이상 배치되고,
    상기 제2 돌출부와 상기 제2 오목부 각각은, 상기 제2 캐비닛의 적어도 일 측면에 하나 이상 배치되는 표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부 내에는,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과 연결되고, 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2 돌출부와 대응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체결되어 상기 연결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2 오목부를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오목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표시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패널과 상기 제2 표시 패널 연결 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2 오목부 내부로 이동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오목부 내부로 이동하는 표시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패널과 상기 제2 표시 패널 연결 시,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오목부로 이동하여 상기 연결부의 경사면에 접촉하여 상기 연결부에 소정의 힘을 가하여 상기 제어부를 상기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표시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패널과 상기 제2 표시 패널 연결 시,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프레임들 각각은, 대응하는 캐비닛을 향하여 이동하는 표시 장치.
  11.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의 두께는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의 두께보다 큰 표시 장치.
  12.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부 내에는,
    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부;
    상기 이동부와 체결되어, 상기 이동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과 연결되어 상기 일 방향과 다른 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체결되어 상기 연결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2 제어부가 위치하고,
    상기 제1 제어부와 상기 제2 제어부 각각은,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의 두께와 동일한 표시 장치.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패널과 상기 제2 표시 패널 연결 시,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이동부로 이동하여 상기 이동부에 소정의 힘을 가하여 상기 제1 제어부를 상기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표시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부가 상기 일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일 방향과 다른 타 방향으로 이동하는 표시 장치.
  1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캐비닛은 상기 제1 표시 패널보다 작고,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은 계단 형상인 표시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부 내에는,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을 향하여 돌출된 제3 돌출부를 포함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된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와 체결되어, 상기 이동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3 돌출부와 상기 이동부를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2 돌출부와 대응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패널과 상기 제2 표시 패널 연결 시,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3 돌출부 및 상기 이동부의 경사면에 접촉하여, 상기 제3 돌출부 및 상기 이동부와의 눌림 체결을 통하여, 상기 제어부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표시 장치.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눌림 체결에 의해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은 각각 대응하는 캐비닛을 향하여 이동하는 표시 장치.
KR1020210086633A 2021-07-01 2021-07-01 표시 장치 KR2023000668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633A KR20230006685A (ko) 2021-07-01 2021-07-01 표시 장치
US17/690,167 US20230007792A1 (en) 2021-07-01 2022-03-09 Display device
CN202210784725.9A CN115631682A (zh) 2021-07-01 2022-06-29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633A KR20230006685A (ko) 2021-07-01 2021-07-01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6685A true KR20230006685A (ko) 2023-01-11

Family

ID=84785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6633A KR20230006685A (ko) 2021-07-01 2021-07-01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007792A1 (ko)
KR (1) KR20230006685A (ko)
CN (1) CN115631682A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26213B1 (en) * 2007-04-13 2011-04-19 Daktronics, Inc. Electronic sign having slotted frame cabinets
KR100898682B1 (ko) * 2008-04-22 2009-05-22 오리온피디피주식회사 멀티비전용 유니버설 거치대
US20110057215A1 (en) * 2009-09-09 2011-03-10 Shun-Chih Chen Light-Emitting Diode Display Module
KR101957241B1 (ko) * 2012-05-04 2019-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디오 월 배열 자동 검출방법 및 비디오 월 시스템
CN204593249U (zh) * 2012-06-26 2015-08-26 瑞力盟照明有限公司 模块化灯光系统
US8929083B2 (en) * 2013-03-16 2015-01-06 ADIT Media, LLC Compound structural frame and method of using same for efficient retrofitting
US9761157B2 (en) * 2013-03-16 2017-09-12 Adti Media Llc Customized sectional sign assembly kit and method of using kit for construction and installation of same
CA2943199C (en) * 2014-12-29 2020-10-27 Planar Systems, Inc. Mount with hidden magnetically actuated positioning
US9830885B2 (en) * 2015-10-26 2017-11-28 Nanolumens Acquisition, Inc. Modular flexible display system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631682A (zh) 2023-01-20
US20230007792A1 (en) 2023-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5090B2 (en) Display device with structure for preventing organic material overflow
KR20180045968A (ko) 표시 장치
US11683951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KR20180038603A (ko) 터치 스크린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US11567595B2 (en) Display device
US11882728B2 (en) Multi-screen display device for reducing a non-display area between display panel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12466909A (zh) 显示装置以及制造该显示装置的方法
US20230134423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US20220077271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KR20230006685A (ko) 표시 장치
EP4120351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114171557A (zh) 显示面板、显示装置和制造显示装置的方法
US11693502B2 (en) Display device
US20240118760A1 (en) Input sens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765953B2 (en) Display apparatus including overlapping elements
US20230172022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668184B1 (ko) 표시 장치
KR20230160677A (ko) 표시패널 및 표시패널의 제조방법
KR20230050548A (ko)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
KR20230172084A (ko) 표시장치
KR20230076904A (ko) 표시 장치
KR20220007775A (ko)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40066313A (ko) 표시 장치
KR20210043106A (ko) 표시 장치
KR20230132659A (ko)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