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6180A - 임플란트 시술 툴 세트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시술 툴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6180A
KR20230006180A KR1020210087045A KR20210087045A KR20230006180A KR 20230006180 A KR20230006180 A KR 20230006180A KR 1020210087045 A KR1020210087045 A KR 1020210087045A KR 20210087045 A KR20210087045 A KR 20210087045A KR 20230006180 A KR20230006180 A KR 20230006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assembly
support
unit
alig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7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9856B1 (ko
Inventor
김행오
이호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루어버트먼트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루어버트먼트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루어버트먼트코리아
Priority to KR1020210087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9856B1/ko
Priority to US17/480,605 priority patent/US20230000599A1/en
Publication of KR20230006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6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61C1/084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of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sitio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임플란트 시술 툴 세트가 제공된다.
픽스쳐를 식립하기 위한 식립 드라이버를 갖는 임플란트 시술 툴 세트에 있어서, 상기 식립 드라이버는, 상기 픽스쳐에 식립 회전력을 전달하는 결합부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제 1 지지부, 및 상기 결합부에 방사상으로 상기 제 1 지지부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식립 드라이버의 중심축 상에 위치되는 중심점에 대해 비대칭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지지부는 상기 결합부의 외주연(outer circumference) 방향 및 방사상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상기 제 1 지지부보다 큰 사이즈를 가진다.

Description

임플란트 시술 툴 세트{SURGICAL TOOL SET FOR IMPLANT}
본 개시는 임플란트 시술 툴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픽스쳐를 턱뼈에서 사전 설정된 위치 및 정렬 방향을 갖도록 식립하기 위한 임플란트 시술 툴 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는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쳐(fixture)와, 픽스쳐에 삽입 고정되는 어버트먼트(abutment)와, 어버트먼트의 상부를 감싸도록 접착되는 보철물로 구성된다.
픽스쳐는 치조골에 식립되어 치근의 역할을 하고, 보철물은 치아와 유사한 형태로 제작되어 인공치아의 외형을 이루며, 어버트먼트는 보철물을 픽스쳐에 고정시켜 보철물에 작용하는 하중을 픽스쳐와 치조골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최종 보철물은 기능성 및 미적 특성 모두를 위해 환자의 잔여 치아와 자연스럽게 맞춰지는 크기와 구성을 가져야 한다. 이를 위해, 환자의 치조골 모델이 사용되며 개별 환자에 대해 적절한 보철 처리가 필요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모델은 픽스처를 포함한다. 또한, 픽스처가 이미 식립된 상태이거나 이러한 식립 이전의 환자의 치조골에 대한 디지털 모델을 기초로 적절한 보철이 디지털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부드러운 잇몸 및 치아들의 형태에 맞게 조립식 어버트먼트가 변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픽스처과 치조골 간의 인터페이스와 유사하게, 어버트먼트가 픽스처에 대해 일방으로 배치되어야 하는 어버트먼트/픽스처 간의 인터페이스가 존재할 수 있다. 어버트먼트는 픽스처와 주변 치아를 포함하는 치조골 중 하나 또는 모두에 대해 원하는 회전 관계로 배치되도록 제작됨으로써, 시술자가 픽스처 또는 치조골 특징부에 대하여 어버트먼트를 정확한 회전 방향 또는 정렬 위치로 연결하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실제 시술에 제공되는 디지털 모델에 환자의 구강 구조, 구강 내의 시술한 개소에 적용되는 픽스쳐와 어버트먼트, 시술에 이용할 툴의 정렬 형태를 모사하는 3D 모의 시술용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어버트먼트가 원하는 위치로 정렬되기 위해서, 픽스쳐가 치조골에 특정 위치 또는 방향으로 정렬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시술용 프로그램은 모사한 구강 구조 및 시술한 개소에 대해 좌표를 설정하고, 시술 개소에서 픽스쳐 및 툴(예컨대, 슬리브(sleeve))이 위치되는 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 시술용 프로그램은 픽스쳐, 툴의 위치 좌표를 라이브러리화(library)하고, 위치 좌표 및/또는 시술 개소에서의 픽스쳐, 툴 간의 정렬 위치, 방향을 나타내는 가상 모델을 시술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시술자는 어버트먼트와 인공 치아를 하나의 일체형 유닛 또는 환자의 구강 내에 조립되는 별도의 부품으로서 수령할 수 있다. 어버트먼트와 인공 치아를 환자에게 사용하려는 시술자는 임플란트 제작자가 의도한 바와 같은 정렬을 얻기 위해, 픽스처 식립에 따른 초기, 최종 정렬 위치 및 픽스쳐에 대한 어버트먼트의 회전 배향을 미리 인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시술자는 상기 시술용 프로그램을 통해, 식립할 픽스쳐의 초기 위치 및 식립 후의 최종 위치를 확인할 수 있음과 아울러서, 식립에 사용될 시술 툴의 배열 관계를 인식하여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시술 툴은 픽스쳐의 정렬 위치 또는 방향을 확인하거나, 복수 툴 간의 상대적 배열 관계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시술자가 기존의 시술 툴로 픽스쳐를 식립하는 경우, 상기 시술용 프로그램에서 설정된 픽스쳐와 툴 간의 상대적 위치 관계에 따라, 픽스쳐를 특정 위치로 정확하게 정렬하는데 상당한 곤란함이 유발되는 실정이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는 픽스쳐를 턱뼈에서 사전 설정된 위치 및 정렬 방향을 갖도록 식립하기 위한 임플란트 시술 툴 세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양상에 따르면, 임플란트 시술 툴 세트가 제공된다. 픽스쳐를 식립하기 위한 식립 드라이버를 갖는 상기 임플란트 시술 툴 세트에 있어서, 상기 식립 드라이버는, 상기 픽스쳐에 식립 회전력을 전달하는 결합부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제 1 지지부, 및 상기 결합부에 방사상으로 상기 제 1 지지부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식립 드라이버의 중심축 상에 위치되는 중심점에 대해 비대칭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지지부는 상기 결합부의 외주연(outer circumference) 방향 및 방사상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상기 제 1 지지부보다 큰 사이즈를 가진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지지부가 복수인 경우 상기 외주연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 2 지지부는 상기 제 1 지지부들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외주연 방향에 따른 상기 제 2 지지부는 서로 인접한 제 1 지지부들을 가상으로 연결하는 외주연 사이즈보다 큰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지지부는 상기 픽스쳐와 대면하는 측단(side end)에 위치되는 제 1 지지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지지부는 상기 픽스쳐와 대면하는 측단에 제 2 지지 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 단부는 동일 레벨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식립 드라이버는 상기 결합부 상에 제공되며, 상기 픽스쳐의 정렬 위치 및 상기 픽스쳐의 정렬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는 인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식부는 상기 제 2 지지부와 상응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정렬 위치 및 상기 정렬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는 위치 식별부, 및 상기 위치 식별부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더미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식별부는 상기 인식부의 외주연 방향 및 방사상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상기 더미부보다 큰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임플란트 시술 툴 세트는 상기 픽스쳐의 식립시에 상기 픽스쳐를 지지하여 턱뼈로 가이드하는 슬리브(sleeve)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슬리브는 상기 픽스쳐가 통과하는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 주위에 배치되며, 상기 정렬 위치 및 상기 정렬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기준점을 제공하는 정렬 표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인식부는 상기 위치 식별부의 일측과 상기 더미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식립 드라이버를 이용한 상기 픽스쳐의 식립시에 상기 정렬 표지부를 인식가능한 확인 영역을 갖는 상기 정렬 식별부, 및 상기 위치 식별부의 타측과 상기 더미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정렬 식별부의 확인 영역보다 작은 사이즈로 형성된 보조 영역을 갖는 보조 식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슬리브는 상기 식립시에, 상기 픽스쳐의 식립 위치를 노출시키는 가이드 장치의 가이드 홀에 장착되도록 상기 몸통부 주변에 배치되는 복수의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정렬 표지부는 상기 복수의 연결부 중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렬 표지부가 제공되는 상기 연결부는 외측 잇몸과 상응하는 상기 가이드 홀의 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임플란트 시술 툴 세트는 상기 식립된 픽스쳐에 픽스쳐 결합체를 탑재시키는 결합체 탑재 툴을 더 포함하되, 상기 결합체 탑재 툴은 상기 픽스쳐 결합체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로드 및 상기 로드의 끝단에 배치되며 상기 픽스쳐 결합체의 탑재시에 상기 픽스쳐의 내측 체결부에 결속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픽스쳐는 상기 결합부와 대응하는 영역부에, 상기 제 1 지지부 및 상기 제 2 지지부와 결합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 제 1 픽스쳐 정렬부 및 제 2 픽스쳐 정렬부를 포함하고, 상기 픽스쳐 결합체는 결합 영역부에, 상기 제 1 지지부 및 상기 제 2 지지부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제 1 결합체 정렬부 및 제 2 결합제 정렬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픽스쳐를 턱뼈에서 사전 설정된 위치 및 정렬 방향을 갖도록 식립하기 위한 임플란트 시술 툴 세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명세서를 통해 당업자라면 파악할 수 있는 구성을 통해 도출되는 효과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 툴 세트를 이용한 픽스쳐의 식립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픽스쳐의 사시도이다.
도 3은 픽스쳐의 부분 파쇄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식립 드라이버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 툴 세트를 구성하는 식립 드라이버와 슬리브를 픽스쳐와 배열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식립 드라이버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인식부에 관한 일 실시예이다.
도 8은 도 4의 C-C'선을 따라 절단한 결합부에 관한 일 실시예이다.
도 9는 도 4의 C-C'선을 따라 절단한 결합부에 관한 다른 실시예이다.
도 10a 내지 도 10f는 본 개시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 툴 세트를 구성하는 식립 드라이버와 슬리브를 이용하여 픽스쳐를 식립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에 따른 결합체 탑재 툴과 픽스쳐 결합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픽스쳐 결합체의 사시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e는 본 개시에 따른 결합체 탑재 툴을 이용하여 픽스쳐 결합체를 픽스쳐에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에 대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개시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 관계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간접적인 연결관계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구성요소들 간의 순서 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일 실시 예에서의 제1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제2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일 실시 예에서의 제2 구성요소를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요소들은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선택적인 구성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의 부분집합으로 구성되는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에 추가적으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 및 후술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위치 관계의 표현, 예컨대 상부, 하부, 좌측, 우측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재된 것이고, 본 명세서에 도시된 도면을 역으로 보는 경우에는, 명세서에 기재된 위치 관계는 반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개시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 툴 세트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 툴 세트를 이용한 픽스쳐의 식립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임플란트 시술 툴 세트는 잇몸(10)과 치아(12)를 갖는 구강 내에, 픽스쳐(30)를 턱뼈에 식립하기 위한 식립 드라이버(100), 환자의 구강에서 픽스쳐(30)의 식립 위치를 노출시키는 가이드 홀을 구비하는 가이드 장치(20), 및 가이드 홀에 장착되며, 식립 드라이버(100)에 의한 식립시에 픽스쳐(30)를 지지하여 턱뼈로 가이드하는 슬리브(sleeve; 20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장치는 예컨대 서지컬 가이드(surgical guide)일 수 있으며, 가이드 홀은 도 1에서 가이드 장치(20)에 장착된 슬리브(200) 주위에 배치된 원형의 구멍일 수 있다.
시술 툴 세트를 서술하기에 앞서, 상기 세트를 이용하여 구강 내의 시술 개소에서 원하는 정렬 위치 및/또는 정렬 방향으로 식립되는 픽스쳐(3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픽스쳐의 사시도이고, 도 3은 픽스쳐의 부분 파쇄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픽스쳐(30)는 치과용 보철의 고정 부재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픽스쳐(30)는 치과용 보철이 필요한 위치에서 치조골의 골조직 내에 미리 형성된 보어 홀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치과용 픽스처는 정상적으로는 보어 홀 내로 회전될 수 있다. 나사형 픽스쳐의 경우, 보어 홀은 사전에 암나사가 형성되거나,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예컨대, 픽스쳐(30)의 나사산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절단 리세스, 엣지, 또는 노치를 제공함으로써, 픽스쳐(30)는 자체 나사산 형성(self-tapping) 능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픽스쳐(30)의 치근측 단부는 2-4개의 절단 리세스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수의 절단 리세스도 물론 고려될 수 있다.
픽스쳐(30)는 피질골과 해면골로 이루어진 골조직에 삽입되어 인공 치근을 형성할 수 있다. 픽스쳐(30)는 대략 원기둥의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그 외주면에 나선 형상의 마루부가 형성될 수 있다. 픽스쳐(30)가 중심축을 따라 회전되면 피질골과 해면골에 삽입되면서, 미리 드릴에 의하여 골조직에 마련된 보어 홀의 내주면에 나사홈을 형성하면서 식립될 수 있다. 이때, 픽스쳐(30)로 사용되는 소재는 일반적으로 티타늄으로 이루어지나, 그 외에도 인체에 거부 반응이 없는 것이라면 다른 종류의 금속 소재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픽스쳐(30)는 골조직의 식립시에 피질골에 상응하는 제 1 영역부(32), 식립시에 해면골에 상응하는 제 2 영역부(34), 제 2 영역부(34)의 하측에 테이퍼지게 배치되는 제 3 영역부(36), 및 제 2 영역부(34)부터 제 3 영역부(36)까지 가로지르는 커팅부(44)및 픽스쳐 결합체(60)의 하단과 스크류(도 13e의 90 참조)가 결합되는 수용부(46)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영역부(32)는 픽스쳐(30)가 삽입되었을 때 대부분 피질골에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픽스쳐(30)의 상측을 형성하나, 제 1 영역부(32)의 하측 일부가 해면골에 식립될 수 있다. 제 1 영역부(32)는 외주면에 나선 형상으로 가공되는 제 1 마루부(38a)와 이보다 작은 중심축 반경(픽스쳐(30)의 중심축으로부터 방사상 방향을 향하는 반경)으로 형성된 제 1 저부(38b)를 갖는 복수의 제 1 나사부들(38)을 구비할 수 있다, 제 1 마루부(38a)와 제 1 저부(38b)는 픽스쳐(30)의 중심축의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된다. 복수의 제 1 나사부들(38)은 외주면에서 중심축의 회전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각도, 예컨대 동등한 각도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 1 마루부(38a)는 외주연 방향에 따른 소정 지점부터 점진적으로 반경이 증가하도록 가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질골 상측에서의 스트레스의 완화와 함께, 해면골 부근의 피질골에서의 고정력이 확보될 수 있다.
제 2 영역부(34)는 제 1 영역부(32)의 하측에 일체로 결합되어 배치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1 및 제 2 영역부들(32, 34) 사이에 다른 구조가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영역부(34)는 대부분 해면골에 삽입되는 부분이나, 제 2 영역부(34)의 상측 일부가 피질골에 식립될 수 있다. 제 2 영역부(34)는 외주면에 나선 형상으로 가공되는 제 2 마루부(40a)와 이보다 작은 중심축 반경으로 형성된 제 2 저부(40b)를 가지는 제 2 나사부(40)를 구비하고, 제 2 마루부(40a)와 제 2 저부(40b)는 픽스쳐(30)의 중심축의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제 2 나사부(40)는 제 1 나사부(38)에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식립 토크의 급격한 증가없이 원활하게 픽스쳐(30)가 골조직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 2 마루부(40a)는 제 1 마루부(38a)보다 작은 중심축 반경을 갖도록 가공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 2 마루부(40a)는 피질골 식립의 원활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 3 영역부(36)는 제 2 영역부(34)의 하측에 배치되어 픽스쳐(30)의 최하단을 이루며, 초기에 골조직에 삽입되어 골조직 내부에 암나사산을 형성하기 위한 진입 부분일 수 있다. 제 3 영역부(36)는 외주면에 나선 형상으로 가공되는 제 3 마루부(42a)와 이보다 작은 중심축 반경으로 가공된 제 3 저부부(42b)를 가지는 제 3 나사부(42)를 구비할 수 있다. 제 3 나사부(42)는 끝단으로 갈수록 수렴되는 경사를 갖도록 가공될 수 있으며, 제 3 마루부(42a)와 제 3 저부부(42b)는 픽스쳐(30)의 중심축의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커팅부(44)는 제 2 나사부(40)로부터 제 3 나사부(42)까지 가로지르며, 외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제공될 수 있다. 커팅부(44)는 나선형으로 감기면서 상측으로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 2 나사부(40)를 가로지는 커팅부(44)에 의해, 제 3 영역부(36)에서 제 2 영역부(34)로의 용이한 삽입이 가능하다.
수용부(46)는 제 1 및 제 2 영역부들(32, 34)에 상응하는 픽스쳐(30) 내에 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 2 영역부(34)의 홀에 스크류(90)와 체결되도록 암나사 가공되어 있을 수 있다. 수용부(46)는 제 1 영역부(32)에 상응하는 홀이 상단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직경을 갖도록 가공될 수 있다. 제 1 영역부(32)의 홀은 픽스쳐 결합체(60)의 제 1 및 제 2 결합체 정렬부들(68, 72)의 직경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픽스쳐(30)는 픽스쳐 결합체(60)와 결합하는 제 1 및 제 2 영역부들(32, 34)의 수용부(46)의 내주연(inner circumference) 방향을 따라 제 1 픽스쳐 정렬부(48), 제 2 픽스쳐 정렬부(50), 픽츠쳐 정렬부들(48, 50) 사이에 위치되는 간격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픽스쳐(30)는 식립 드라이버(100)의 결합부(110)와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영역부들(32, 34)에, 제 1 지지부(112) 및 제 2 지지부(120)와 결합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 제 1 픽스쳐 정렬부(48) 및 제 2 픽스쳐 정렬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픽스쳐 정렬부(48)는 제 1 지지부(112)와 매칭되도록, 수용부(46)에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 1 픽스쳐 정렬부(48)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으며, 내주연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 1 픽스쳐 정렬부(48)는 픽스쳐(30)의 중심축에서 외측을 향하는 반경 방향, 즉 방사상 방향으로 홈의 형태를 갖도록 가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간격부(52)는 융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픽스쳐 결합체(60)의 식립 드라이버(100)의 제 1 지지부(112) 또는 픽스쳐 결합체(60)의 제 1 결합체 정렬부(68)가 방사상 방향으로 홈으로 형성된 경우, 제 1 픽스쳐 정렬부(48)는 융기된 형태를 갖도록 가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픽스쳐 정렬부(48)가 홈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제 2 픽스쳐 정렬부(50)는 제 2 지지부(114)와 매칭하도록, 수용부(46)에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 2 픽스쳐 정렬부(50)는 제 1 픽스쳐 정렬부(48)와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픽스쳐(30)의 중심점에 대해 비대칭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 2 픽스쳐 정렬부(50)는 수용부(46)의 내주연 방향 및 방사상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제 1 픽스쳐 정렬부(48)보다 큰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2 픽스쳐 정렬부(50)는 도 5 및 도 12에 예시된 제 2 지지부(120) 및 제 2 결합체 정렬부(72)에 대응하도록,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픽스쳐 정렬부(48)가 홈 또는 돌출 형태로 형성되면, 제 2 픽스쳐 정렬부(50)도 제 1 픽스쳐 정렬부(48)와 동일한 형태를 갖도록 가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2 픽스쳐 정렬부(50)가 홈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12에 예시된 제 1 및 제 2 결합체 정렬부(68, 72), 제 1 및 제 2 지지부(120)에 매칭하는 제 1 및 제 2 픽스쳐 정렬부(50)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제 1 픽스쳐 정렬부(48)는 내주연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 2 픽스쳐 정렬부(50)가 없는 경우, 제 1 픽스쳐 정렬부(48)는 6개 배치되도록, 60도 간격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 1 픽스쳐 정렬부(48)가 도 3에서와 같이, 4개로 배열된 경우, 픽스쳐(30)의 중심점에 대칭되게 배열될 수 있다. 도 4 및 도 7에서와 같이, 1개의 제 2 결합체 정렬부(72)가 제 2 픽스쳐 정렬부(50)와의 신속하고 정확한 위치 정렬 및 가공의 편의를 위해, 내주연 방향을 따라 제 1 픽스쳐 정렬부(48)보다 큰 사이즈를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내주연 방향에 따른 제 2 픽스쳐 정렬부(50)는 가공 용이성, 픽스쳐 결합체(60)와의 오정렬 용이 확인 및 정확한 정렬을 위해, 서로 인접한 제 1 픽스쳐 정렬부들(48)을 가상으로 연결하는 내주연 사이즈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내주연 방향에 따른 제 2 픽스쳐 정렬부(50)는 픽스쳐 결합체(60)와의 오정렬시의 용이한 회전 및 신속한 위치 정렬을 위해, 서로 인접한 제 1 픽스쳐 정렬부들(48)을 가상으로 연결하는 외주연 사이즈보다 작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픽스쳐 정렬부(50)는 내주연 방향을 따라 제 1 픽스쳐 정렬부(48)보다 큰 사이즈를 갖는 것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다른 예에서는, 제 2 픽스쳐 정렬부(50)는 방사상 방향을 따라 제 1 픽스쳐 정렬부(48)보다 큰 사이즈를 갖도록 가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내주연 방향으로 큰 사이즈를 갖는 제 2 픽스쳐 정렬부(50)에 관한 실시예로 기재한다. 방사상 방향으로 큰 사이즈를 갖는 제 2 픽스쳐 정렬부의 실시예의 경우에도 제 2 픽스쳐 정렬부는 내주연 방향을 따라 제 1 픽스쳐 정렬부보다 큰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픽스쳐 정렬부(50)는 수용부(46)의 내경 방향(또는 내측 반경 방향)에 대해 대칭되도록 가공될 수 있으나, 제 2 픽스쳐 정렬부(50)의 형태 및 배열은 제 2 지지부(120) 또는 제 2 결합체 정렬부(72)와 마찬가지로, 픽스쳐(30)의 중심점에 대해 비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주연 방향을 따른 제 2 픽스쳐 정렬부(50)의 내주연이 픽스쳐(30)의 중심점에 대해 비대칭되는 범위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 2 픽스쳐 정렬부(50)의 내주연이 중심점에 대해 대칭되는 범위까지 연장되면, 제 1 픽스쳐 정렬부(48)의 개수가 과도하게 감소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식립 드라이버(100) 또는 픽스쳐 결합체(60)가 픽스쳐(30) 상에 삽입하여 회전하는 과정에서, 제 1 지지부(112) 또는 제 1 결합체 정렬부(68)가 제 2 픽스쳐 정렬부(50)에 깊게 삽입될 수 있어, 예정된 위치 정렬을 위한 추가 회전에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 2 픽스쳐 정렬부(50)는 도 3에서와 같이, 픽스쳐(30)의 중심점에 대해 모든 제 1 픽스쳐 정렬부(48)와 비대칭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특정한 고유의 위치 또는 회전 배향을 갖도록 제작된 어버트먼트가 제작자의 의도에 부합하여, 픽스쳐(30)에 정확하게 정렬 결합될 수 있다.
픽스쳐 결합체(60)의 방사상 방향으로 큰 사이즈를 갖는 제 2 결합체 정렬부의 실시예의 경우에도, 제 2 픽스쳐 정렬부는 상기 제 2 결합체 정렬부와 상응되도록, 픽스쳐(30)의 중심점에 대해 비대칭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서, 중심점에 대해 모든 제 1 픽스쳐 정렬부와 비대칭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 2 지지부(120) 또는 제 2 결합체 정렬부가 도 9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배치되는 경우, 제 2 픽스쳐 정렬부는 이하의 사항을 제외하고 도 2의 설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픽스쳐 결합체(60)와 픽스쳐(30) 간의 특정 위치 정렬을 위해, 도 9의 제 2 지지부(120) 또는 제 2 결합체 정렬부들과 상응하도록, 제 2 픽스쳐 정렬부들은 서로 중심점에 대해 비대칭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 2 픽스쳐 정렬부들은 도 9의 제 2 지지부(120)와 대응하도록, 연속적으로 배열된 제 1 픽스쳐 정렬부에 후속하여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2 픽스쳐 정렬부는 제 1 픽스쳐 정렬부들 사이에 적어도 하나씩 배치되어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고유의 위치 또는 회전 배향을 갖도록 제작된 어버트먼트가 픽스쳐(30)에 정확하게 정렬하여 결합되도록, 상기 케이스들에서 제 2 픽스쳐 정렬부들은 모든 제 1 결합체 정렬부(68)와 비대칭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방사상 방향(E)으로 큰 사이즈를 갖는 제 2 픽스쳐 정렬부의 실시예의 경우에도 제 2 픽스쳐 정렬부들은 복수로 배열될 수 있으며, 내주연 방향에 따른 실시예에 대한 상술한 사항이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픽스쳐(30)에 대한 상술한 실시예는 도 4에 예시된 식립 드라이버(100) 또는 도 11에 예시된 픽스쳐 결합체(60)와 대응하도록, 제 1 픽스쳐 정렬부(48)가 60도 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 1 지지부(112) 또는 제 1 결합체 정렬부(68)가 다른 각도로 일정하게 이격되면, 제 1 픽스쳐 정렬부(48)도 90도의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45도의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식립 드라이버(100)가 픽스쳐(30)로 진입하는 경우, 간격부(52)는 식립 드라이버(100)의 간극부(116)와 밀착되는 내경을 갖도록 가공될 수 있다. 또한, 픽스쳐 결합체(60)가 픽스쳐(30)로 진입하는 경우에, 간격부(52)는 가이드부(78)의 측벽과 밀착되는 내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픽스쳐(30) 상에 정확하게 위치 정렬하기 위한 픽스쳐 결합체(60)의 추가 회전이 용이하게 실현될 수 있다.
간격부(52)는 픽스쳐 결합체(60)와 대면하는 측단에 위치되는 픽스쳐 단부(54)를 구비할 수 있다. 픽스쳐 단부(54)는 테이퍼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픽스쳐 단부(54)의 테이퍼 형상은 식립 드라이버(100)의 제 1 및 제 2 지지 단부들(114, 122) 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픽스쳐 단부(54)의 테이퍼 형상은 픽스쳐 결합체(60)의 제 1 및 제 2 결합체 단부들(110, 116)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제 2 지지 단부들(114, 122) 및 픽스쳐 단부(54)는 접촉 마찰하므로 시술자가 식립 드라이버(100)를 안정적이면서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제 2 결합체 단부들(110, 116) 및 픽스쳐 단부(54)는 접촉 마찰하므로 시술자가 식립 드라이버(100)를 안정적이면서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픽스쳐 단부(54)는 제 1 및 제 2 지지 단부들(114, 122)과의 접촉을 통한 원활한 회전을 위해, 중심축을 따른 길이 방향에서 동일 레벨을 갖도록 가공될 수 있다. 아울러, 픽스쳐 단부(54)는 동일 레벨을 가지므로, 제 1 및 제 2 결합체 단부들(70, 74)과 접촉을 통해, 픽스쳐 결합체(60)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 만약 픽스쳐 단부(54)가 서로 다른 레벨로 배열되면, 제 1 및 제 2 픽스쳐 정렬부들(48, 50)에 따른 홈들의 높이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식립 드라이버(100) 가 픽스쳐(30) 내로 진입할 때, 서로 대응하지 않는 지지부(112, 120)와 픽스쳐 정렬부(48, 50)가 상호 결합되어 오정렬될 수 있으며, 올바른 정렬을 위한 추가 회전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개시에 따른 식립 드라이버(100) 및 슬리브(2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식립 드라이버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 툴 세트를 구성하는 식립 드라이버와 슬리브를 픽스쳐와 배열한 사시도이다.
식립 드라이버(100)는 중심축 A-A'선을 따라, 회전력을 제공하는 핸드피스(미도시)가 장착되는 장착부(102), 인식부(104), 바디부(106), 픽스쳐(30)의 픽스쳐 정렬부(48, 50)와 결합되어 픽스쳐(30)에 식립 회전력을 전달하는 결합부(110), 및 가이드 팁부(118)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102)는 치과용 핸드피스가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한 고정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치과용 핸드피스는 식립 드라이버(100)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핸드 드릴 장치로, 일측에 장착부(102)와 결합되는 연결부를 가질 수 있다. 장착부(102)는 치과용 핸드피스와 바디부(106)를 연결하며, 장착부(102)에 전달된 회전력을 바디부(106)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장착부(102)는 결합부(110)의 사이즈와 무관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식립 회전력을 안정적으로 전달하도록, 결합부(110)보다 큰 사이즈로 가공됨이 바람직하다.
인식부(104)는 장착부(102)의 하부에 배치되며, 식립 드라이버(100)에 의한 식립시에, 픽스쳐(30)의 정렬 위치 및 정렬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예로, 인식부(104)는 식립시에 제 2 픽스쳐 정렬부(50)의 위치 및 회전 방향을 식별하는 위치 식별부(124), 위치 식별부(124)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더미부(126), 및 더미부들(126) 사이에 마련되는 더미 간극부(128)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식별부(124)는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 2 픽스쳐 정렬부(50)와 결합되는 결합부(110)의 제 2 지지부(120)와 상응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식립 드라이버의 저면도이다. 위치 식별부(124)는 인식부(104)의 외주연 방향 및 방사상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더미부(126)보다 큰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더미 간극부(128)는 더미부들(126) 사이에 홈 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치 식별부(124)는 도 7에서와 같이, 외주연 방향을 따라 더미부(126)보다 큰 사이즈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도 4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인식부에 관한 일 실시예이다. 아울러, 식립시 픽스쳐(30)의 정렬 위치, 방향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위치 식별부(124) 및 더미부(126)는 도 4 및 도 6에 서 예시한 바와 같이, 중심축(A-A' 선)에 대한 반경 방향으로 식립 드라이버(100)의 다른 부재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식부(104)는 슬리브(200)의 삽입시에 몸통부(202)의 외주연 단부 상에 안착되도록, 위치 식별부(124) 및 더미부(126)는 슬리브(200)의 몸통부(202)보다 돌출될 수 있다. 도 6 및 7에서는 위치 식별부(124)가 더미부(126)보다 큰 사이즈를 갖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예에서, 위치 식별부 및 더미부는 동일 사이즈로 형성되며, 픽스쳐(30)의 정렬 위치 및 정렬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할 수 있도록, 위치 식별부는 시술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부분에 표지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표지부는 인식부(104)와 다른 색상의 표시, 미세한 홈 또는 돌기 등과 같이, 시각적으로 식별가능한 표지일 수 있다. 표지부는 결합부(110)의 제 2 지지부(120)와 상응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도 5 및 도 6에서는 제 2 지지부(120)가 1 개인 경우에 해당하는 인식부(104)를 예시하고 있으나, 도 9에서와 같이, 제 2 지지부(120a)가 복수인 경우, 인식부는 제 2 지지부(120a)와 결합되는 제 2 픽스쳐 정렬부(50)의 위치 및 회전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는 위치 식별부, 및 이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더미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위치 식별부는 제 2 지지부(120a)에 상응하도록, 더미부보다 큰 사이즈로 형성된 2 개의 식별부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위치 식별부(124)는 더미부와 동일 사이즈로 형성되더라도 제 2 지지부(120a)의 정렬 위치, 방향을 확인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표지부를 가질 수 있다. 표지부는 2개의 제 2 지지부(120a)를 개략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되거나, 제 2 지지부(120a) 각각을 구별할 수 있도록 서로 상이한 표지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위치 식별부는 2개의 제 2 지지부(120a)를 전부 커버하는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다. 전부 커버하는 위치 식별부도 2 개의 제 2 지지부(120a)를 개략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표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표지부는 제 2 지지부(120a) 각각을 구별할 수 있도록 서로 상이한 표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인식부(104)는 위치 식별부(124)의 일측과 더미부(126) 사이에 배치되며, 식립 드라이버(100)를 이용한 픽스쳐(30)의 식립시에 슬리브(200)의 특정 표지를 인식가능한 확인 영역을 갖는 정렬 식별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식부(104)는 위치 식별부(124)의 타측과 더미부(126) 사이에 배치되며, 정렬 식별부(130)의 확인 영역보다 작은 사이즈로 형성된 보조 영역을 갖는 보조 식별부(13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정렬 및 보조 식별부(130, 132)를 설명하기에 앞서, 도 1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개시에 따른 슬리브(200)에 대해 상세히 서술하기로 한다.
슬리브(200)는 픽스쳐(30)의 식립시에 픽스쳐(30)를 지지하여 턱뼈로 가이드할 수 있다. 슬리브(200)는 픽스쳐(30)가 통과하는 중공 구조를 갖는 몸통부(202) 및 픽스쳐(30)의 식립 위치를 노출시키는 가이드 장치(20)의 가이드 홀에 장착되도록 몸통부(202) 주변에 배치되는 복수의 연결부(204, 206)를 구비할 수 있다.
제 1 연결부(204)는 가이드 홀과 착탈가능한 걸림 구조를 구비한 제 1 연결 단부(208), 및 몸통부(202) 외측으로 돌출됨과 아울러서 몸통부(202)와 제 1 연결 단부(208) 사이에 개재되는 제 1 측단부(210)를 가질 수 있다.
제 2 연결부(206)는 몸통부(202) 주위에 제 1 연결부(204)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픽스쳐(30)의 정렬 위치 및 정렬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기준점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연결부(206)는 가이드 홀과 착탈가능한 걸림 구조를 구비한 제 2 연결 단부(212), 몸통부(202) 외측으로 돌출됨과 아울러서 몸통부(202)와 제 2 연결 단부(212) 사이에 개재되는 제 2 측단부(214), 및 제 2 측단부(214) 상에 육안으로 확인가능한 정렬 표지부(216)를 포함할 수 있다. 정렬 표지부(216)는 식립시에 픽스쳐(30)의 정렬 위치와 방향에 대한 기준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정렬 표지부(216)는 도 5에서와 같이, 그루브(groove)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른 예로, 정렬 표지부(216)는 돌기, 슬리브(200)와 다른 색상의 표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식립 과정에서 정렬 표지부(216)의 용이한 확인을 위해, 정렬 표지부(216)가 제공되는 제 2 연결부(206)는 도 1에서와 같이, 외측 잇몸과 상응하는 가이드 장치(20)에 있어서의 가이드 홀의 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도 1, 도 5에 예시된 슬리브(200)는 2개의 연결부(204, 206)를 구비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어떤 예로, 슬리브는 3 개 이상의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정렬 표지부는 3 개의 연결부 중, 외측 잇몸과 상응하는 가이드 홀의 단부와 착탈되는 연결부에 제공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다시 참조하면, 정렬 식별부(130)는 식립 과정(또는 식립 드라이버(100)의 회전 과정)에서 식립 드라이버(100) 및 픽스쳐(30)의 정렬 방향 및 위치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슬리브(200)의 정렬 표지부(216)를 인식 가능한 확인 영역을 가질 수 있다. 확인 영역은 중심축(A-A' 선)에 대한 반경 방향을 따라 위치 식별부(124) 및 더미부(126)보다 작은 반경을 갖도록 리세스되도록(recessed) 형성될 수 있다. 확인 영역은 시술자가 식립 과정에서 정렬 표지부(216)를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사이즈를 갖도록 리세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인 영역은 정렬 표지부(216)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거나, 정렬 표지부(216)의 대부분을 인식할 수 있는 사이즈로 리세스될 수 있다. 이 경우, 정렬 식별부(130)는 인식부(104)의 외주연 방향을 따라, 더미 간극부(128)보다 더 큰 사이즈로 가공될 수 있다.
보조 식별부(132)의 보조 영역은 정렬 식별부(130)의 확인 영역보다 작은 사이즈로 리세스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보조 식별부(132)는 식립 과정에서 고정된 슬리브(200)의 정렬 표지부(216)를 명확하게 인식할 수 없는 사이즈로 가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 식별부(132)는 인식부(104)의 외주연 방향을 따라, 더미 간극부(128)보다 더 작은 사이즈로 가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렬 표지부(216)와 보조 식별부(132)는 명확하게 구별되어 식립 드라이버(100) 및 픽스쳐(30)의 정렬 위치, 방향을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식립 드라이버(100)가 가이드 장치(20)에 고정된 슬리브(200) 상에 회전할 때, 시술자는 정렬 식별부(130)가 정렬 표지부(216) 부근에 위치된 것을 확인하거나, 혹은, 정렬 식별부(130)를 통해 정렬 표지부(216)를 확인하면, 시술자는 제 2 지지부(120) 또는 제 2 픽스쳐 정렬부(50)가 정렬 표지부(216)와의 소정 위치 및/또는 방향으로 정렬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주로 정렬 식별부(130)를 통해 정렬 위치, 방향을 식별하나, 보조 식별부(132)도 픽스쳐(30)의 정렬 위치, 방향을 추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시술자가 정렬 표지부(216) 부근에 위치된 보조 식별부(132)로 정렬 표지부(216)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거나, 혹은, 보조 식별부(132)가 외측 잇몸과 상응하는 가이드 홀의 단부 부근에 위치되는 것을 확인하면, 시술자는 제 2 지지부(120) 또는 제 2 픽스쳐 정렬부(50)의 정렬 위치, 방향을 식별할 수 있다.
모의 시술용 프로그램은 환자의 구강 구조를 모사하여, 임플란트 시술할 개소에서, 픽스쳐(30), 식립 드라이버(100) 및 슬리브(200) 간의 정렬 위치, 방향을 나타내는 가상 모델 및/또는 데이터를 시술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인식부(104)의 위치 식별부(124), 정렬 및 보조 식별부(132)와 슬리브(200)의 정렬 표지부(216)에 의해, 식립 드라이버(100) 및 슬리브(200)를 이용한 픽스쳐(30)의 실제 식립 과정에서, 시술용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픽스쳐(30) 및/또는 식립 드라이버(100)의 초기 위치 및 식립 후의 최종 위치를 실제 구강 구조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술자는 식립에 사용될 시술 툴 및 픽스쳐(30)의 배열 관계와 아울러서, 식립 회전에 따른 픽스쳐(30) 및 식립 드라이버(100)의 정렬 위치, 방향을 정확하게 인식하면서 실제 시술을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식립 드라이버(100)의 바디부(106)는 장착부(102)로부터 전달된 식립 회전력을 하방에 배치된 연장부(108)와 결합부(110)로 전달할 수 있다. 바디부(106)는 식립 드라이버(100)가 슬리브(200)에 삽입될 때에 슬리브(200)의 몸통부(202)과 상응하는 부분일 수 있다. 바디부(106)가 몸통부(202)에 삽입되는 경우, 안정적인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바디부(106)는 몸통부(202)의 중공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로 가공될 수 있다. 또한, 바디부(106)는 상기 중공 구조의 내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외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108)는 바디부(106)와 결합부(110)를 서로 이격되게 배열시킬 수 있으며, 바디부(106)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식립 드라이버(100)가 픽스쳐(30)에 결합되는 경우, 연장부(108)는 바디부(106)의 하측 끝단을 픽스쳐(30)에 접촉하지 않도록 기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식립 드라이버(100)의 회전 및 픽스쳐(30)의 식립이 원활하게 구현될 수 있다.
결합부(110)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연장부(108)의 하단에 배치되는 제 1 지지부(112), 제 2 지지부(120) 및 지지부들(112., 120) 사이에 위치되는 간극부(116; gap por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지지부(112)는 픽스쳐(30)와 결합하여 식립 회전력을 전달하는 결합부(110)에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 1 지지부(112)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으며, 결합부(110)의 외주연(outer circumference) 방향(도 8의 D)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 1 지지부(112)는 식립 드라이버(100)의 중심축(A-A'선)에서 외측을 향하는 반경 방향, 즉 방사상 방향(도 8의 E)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도록 가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간극부(116)는 홈(groove)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1 지지부(112)는 방사상 방향으로 홈 형태를 갖도록 가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간극부(116)는 돌출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지지부(112)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제 1 지지부(112)는 픽스쳐(30)와 대면하는 측단(side end)에 위치되는 제 1 지지 단부(114)를 구비할 수 있다. 제 1 지지 단부(114)는 테이퍼지도록(tapered) 형성될 수 있다. 제 1 지지 단부(114)의 테이퍼 형상은 픽스쳐(30)의 간격부(52)의 상단에 배치되는 픽스쳐 단부(54)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식립 드라이버(100)가 픽스쳐(30)에 위치 정렬하기 위해 회전하는 경우, 제 1 지지 단부(114) 및 픽스쳐 단부(54)는 접촉 마찰하므로 시술자가 식립 드라이버(100)를 안정적이면서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제 2 지지부(120)는 결합부(110)에 방사상으로 제 1 지지부(112)와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식립 드라이버(100)의 중심축(A-A'선) 상에 위치되는 중심점에 대해 비대칭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 2 지지부(120)는 결합부(110)의 외주연 방향(D) 및 방사상 방향(E)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제 1 지지부(112)보다 큰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2 지지부(120)는 도 8 및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도 4의 C-C'선을 따라 절단한 결합부에 관한 일 실시예고, 도 9는 도 4의 C-C'선을 따라 절단한 결합부에 관한 다른 실시예이다.
제 1 지지부(112)가 돌출되도록 형성되면, 제 2 지지부(120)는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도록 가공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1 지지부(112)는 홈으로 형성되면, 제 2 지지부(120)는 방사상 방향(E)으로 홈 형태를 갖도록 가공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2 지지부(120)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제 1 및 제 2 지지부(120)에 대해 도 8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제 1 지지부(112)는 외주연 방향(D)을 따라 등간격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 2 지지부(120)가 없는 경우, 제 1 지지부(112)는 6개 배치되도록, 60도 간격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 1 지지부(112)는 도 8에서와 같이, 4개로 배열된 경우, 중심점 또는 C-C'선에 따른 직경에 대해 대칭되게 배열될 수 있다. 도 8과 같이, 1개의 제 2 지지부(120)가 픽스쳐(30)의 제 2 픽스쳐 정렬부(50)와의 신속하고 정확한 위치 정렬을 위해, 외주연 방향(D)을 따라 제 1 지지부(112)보다 큰 사이즈를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외주연 방향(D)에 따른 제 2 지지부(120)는 가공 용이성, 픽스쳐(30)와의 오정렬 용이 확인 및 정확한 정렬을 위해, 서로 인접한 제 1 지지부들(112)을 가상으로 연결하는 외주연 사이즈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지지부(120)는 외주연 방향(D)을 따라 제 1 지지부(112)보다 큰 사이즈를 갖는 것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다른 예에서는, 제 2 지지부(120)는 방사상 방향(E)을 따라 제 1 지지부(112)보다 큰 사이즈를 갖도록 가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픽스쳐 정렬부(50)는 방사항 방향을 따라 제 1 픽스쳐 정렬부(48)보다 큰 사이즈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외주연 방향(D)으로 큰 사이즈를 갖는 제 2 지지부(120)에 관한 실시예로 기재한다. 방사상 방향(E)으로 큰 사이즈를 갖는 제 2 지지부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에도 제 2 지지부는 외주연 방향(E)을 따라 제 1 지지부보다 큰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지지부(120)는 C-C'선에 따른 직경에 대해 대칭되도록 가공될 수 있으나, 제 2 지지부(120)의 형태 및 배열은 중심점에 대해 비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주연 방향(D)을 따른 제 2 지지부(120)의 외주연이 중심점에 대해 비대칭되는 범위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 2 지지부(120)의 외주연이 중심점에 대해 대칭되는 범위까지 연장되면, 제 1 지지부(112)의 개수가 과도하게 감소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식립 드라이버(100)가 픽스쳐(30) 상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제 1 지지부(112)가 픽스쳐(30)의 제 2 픽스쳐 정렬부(50)에 깊게 삽입될 수 있어, 예정된 위치 정렬을 위한 추가 회전에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 2 지지부(120)는 도 8에서와 같이, 중심점에 대해 모든 제 1 지지부(112)와 비대칭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작자가 이미 특정한 고유의 위치 또는 회전 배향을 갖도록 제작된 픽스쳐(30)의 제 2 픽스쳐 정렬부(50)에 정확하게 결합할 수 있다. 방사상 방향(E)으로 큰 사이즈를 갖는 제 2 지지부의 실시예의 경우에도, 제 2 지지부 자체가 상술한 바와 유사하게 중심점에 대해 비대칭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서, 중심점에 대해 모든 제 1 지지부와 비대칭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 2 지지부(120)는 픽스쳐(30)와 대면하는 측단에 위치되는 제 2 지지 단부(122)를 구비할 수 있다. 제 2 지지 단부(122)는 테이퍼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2 지지 단부(122)의 테이퍼 형상은 픽스쳐 단부(54)및 제 1 지지 단부(114)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식립 드라이버(100)가 픽스쳐(30)에 위치 정렬하기 위해 회전하는 경우, 제 1 및 제 2 지지 단부(122) 및 픽스쳐 단부(54)는 접촉 마찰하므로 시술자가 식립 드라이버(100)를 안정적이면서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지지 단부(122)는 후술할 단점을 방지하기 위해, 중심축을 따른 길이 방향에서 동일 레벨을 갖도록 가공될 수 있다. 만약 제 1 지지 단부(114)가 결합부(110)의 하측 방향으로 제 2 지지 단부(122)보다 더 길게 연장되면, 식립 드라이버(100)가 픽스쳐(30) 내로 진입할 때, 제 1 지지부(112)가 제 1 픽스쳐 정렬부(48)보다 큰 사이즈를 갖는 제 2 픽스쳐 정렬부(50)에 삽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식립 드라이버(100)는 픽스쳐(30) 상에 부정확한 위치에 오정렬될 수 있으며, 추가 회전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도 9에 개시된 실시예는 제 2 지지부(120a, 120b)가 복수로 배치된 경우를 상정한 것이다. 도 9에 예시된 제 2 지지부(120a, 120b)는 이하의 사항을 제외하고 도 8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특정 위치 정렬, 예컨대 제작자가 픽스쳐 결합체(60)에 대해 지정한 1개의 고유 위치 또는 회전 배향을 위해 설정한 픽스쳐(30)에서의 2개의 제 2 픽스쳐 정렬부(50)에 매칭되도록, 도 9에 예시된 2개의 제 2 지지부들(120a, 120b)은 서로 중심점에 대해 비대칭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만약 제 2 지지부들(120a, 120b) 및 이에 상응하는 제 2 픽스쳐 정렬부들이 중심점에 대해 대칭되는 경우, 예컨대 제작자가 정점 영역부(62)의 비대칭 가공으로 인해 1개의 고유 위치가 결정되더라도, 제작자가 의도하지 않은 위치 또는 배향으로 제 2 지지부들(120a, 120b) 및 제 2 픽스쳐 정렬부들이 상호 결합될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복수의 제 2 지지부들(120a, 120b) 및 제 2 픽스쳐 정렬부들은 중심점에 대해 비대칭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 2 지지부들(120a, 120b)은 도 9에서와 같이, 연속적으로 배열된 제 1 지지부들(112)에 후속하여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2 지지부들(120a, 120b)은 제 1 지지부들(112) 사이에 적어도 하나씩 배치되어 교대로 배열될 수 있거나, 제 1 결합체 정렬부들(108a)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지지부들(120a, 120b)이 랜덤한 개수로 배열될 수도 있다. 고유의 위치 또는 회전 배향을 갖도록 제작된 식립 드라이버(100)가 픽스쳐(30)에 정확하게 정렬하여 결합되도록, 상기 케이스들에서 제 2 지지부들(120a, 120b)은 모든 제 1 결합체 정렬부(68)와 비대칭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방사상 방향(E)으로 큰 사이즈를 갖는 제 2 지지부의 실시예의 경우에도 제 2 지지부들은 복수로 배열될 수 있으며, 외주연 방향(D)에 따른 실시예에 대한 상술한 사항이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식립 드라이버(60)에 대한 상술한 실시예는 제 1 지지부(112)가 60도 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 1 지지부(112)가 90도의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45도의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가이드 팁부(118)는 결합부(110)의 하부 끝단에 제공되며, 픽스쳐(30)와의 결합시 제 1 및 제 2 지지부들(112, 120)보다 픽스쳐(30)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팁부(118)는 픽스쳐(30)의 내측 체결부(80)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식립 드라이버(100)가 픽스쳐(30)의 수용부(46)에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다. 또한, 식립 회전시에 내측 체결부(도 13e의 80 참조)가 손상되지 않음과 아울러서, 식립 드라이버(100)의 회전 및 픽스쳐(30)의 식립이 원활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10a 내지 도 10f를 참조하여, 본 개시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 툴 세트를 구성하는 식립 드라이버(100)와 슬리브(200)에 의해, 픽스쳐(30)를 식립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10a 내지 도 10f는 본 개시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 툴 세트를 구성하는 식립 드라이버와 슬리브를 이용하여 픽스쳐를 식립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동작은 인식부(104) 및 결합부(110)의 상세 구성이 도 6 내지 도 8에 예시된 구조를 구비하는 식립 드라이버(100), 도 5에 예시된 구조를 구비하는 슬리브(200), 및 도 2, 3에 예시된 픽스쳐(30)에 기초하여 설명된다.
먼저, 도 1 및 도 10a를 참조하면, 시술자는 서지컬 가이드와 같은 가이드 장치(20)를 환자의 치아(12) 상에 배열시킬 수 있다. 이 때, 시술자는 시술 개소로 이미 형성된 식립홀(도 10f의 56 참조)을 노출시키도록, 가이드 장치(20)의 가이드 홀을 식립홀(56)에 맞춰 배열할 수 있다. 이 때, 슬리브(200)는 가이드 홀에 탑재될 수 있다. 여기서, 정렬 표지부(216)를 갖는 제 2 연결부(206)는 외측 잇몸에 상응하는 가이드 홀의 단부에 위치되도록, 슬리브(200)가 탑재될 수 있다. 제 2 연결부(206)가 가이드 홀의 특정 위치에 탑재되는 것은 모의 시술용 프로그램에 라이러브리화 되어 있으며, 정렬 표지부(216)는 실제 식립 과정에서 식립 드라이버(100) 및 픽스쳐(30)의 정렬 위치 및 정렬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기준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시술자는 모의 시술용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가상 모델 및/또는 데이터로서, 임플란트 시술할 개소에서의 픽스쳐(30), 식립 드라이버(100) 및 슬리브(200) 간의 정렬 위치, 방향을 참조하여, 시술자는 핸드피스(미도시)에 장착된 식립 드라이버(100)와 픽스쳐(30)를 결합한 후, 픽스쳐(30)가 결합된 식립 드라이버(100)를 시술 개소에 정렬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서와 같이, 시술자는 시술용 프로그램에서 요구하는 픽스쳐(30)의 특정 위치 및 방향 정렬을 위해, 식립 드라이버(100)의 제 1 및 제 2 지지부들(112, 120)을 픽스쳐(30)의 제 1 및 제 2 픽스쳐 정렬부들(48, 5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제 2 지지부(120)는 제 1 지지부(112)와 달리 외주연 방향(D)를 따라 큰 사이즈를 가지므로, 제 2 픽스쳐 정렬부(50)에 고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후, 시술자는 도 10a에서와 같이, 인식부(104)의 정렬 식별부(130)를 정렬 표지부(216)에 배열하도록, 상기 결합된 식립 드라이버(100)를 슬리브(200) 상에 위치 정렬시키며, 정렬된 위치에서 상기 결합된 식립 드라이버(100)를 슬리브(200)로 삽입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술자는 시술용 프로그램에서 요구하는 초기 위치, 즉 상기 결합된 식립 드라이버(100)가 슬리브(200)에 초기 안착되는 정렬 위치 및/또는 방향에 따라, 실제 시술을 진행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b를 참조하면, 시술자는 핸드피스에서 발생된 식립 회전력을 이용하여 픽스쳐(30)를 식립홀(56)에 식립시킬 수 있다. 픽스쳐(30)는 식립홀(56)을 확공하면서 삽입될 수 있다. 시술자는 픽스쳐(30)의 회전 과정에서 위치 식별부(124)를 통해 식립홀(56)에서 제 2 픽스쳐 정렬부(50)의 정렬 위치 및 방향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시술자는 회전 과정에서 정렬 식별부(130), 보조 식별부(132) 및 정렬 표지부(216)에 의해 픽스쳐(30)의 정렬 위치 및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0c를 참조하면, 픽스쳐(30)가 회전하면서 식립홀(56)에 더 진입되어, 바디부(106)가 슬리브(200)의 몸통부(202)에 밀착되어 삽입될 수 있다. 몸통부(202)가 바디부(106)를 밀착 지지하므로, 시술자는 식립홀(56)의 정위치에 픽스쳐(30)를 안정적으로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시술자가 픽스쳐(3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면서 픽스쳐(30)의 정렬 위치 및 방향을 확인하는 것이 용이하다.
계속해서, 도 10d를 참조하면, 픽스쳐(30)는 회전에 의해, 인식부(104)가 몸통부(202)의 상방에 접촉할 때까지 식립홀(56)에 더 진입될 수 있다. 시술자는 식립홀(56)의 정위치에 픽스쳐(30)를 안정적으로 삽입할 수 있다. 시술자는 픽스쳐(30)를 정밀하게 회전시키면서, 위치 식별부(124), 정렬 식별부(130), 보조 식별부(132) 및 정렬 표지부(216)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픽스쳐(30)는 시술용 프로그램에서 요구하는 최종 위치로서의 정렬 위치 및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회전될 수 있다.
도 10e를 참조하면, 인식부(104)가 몸통부(202)에 접촉된 상태에서, 시술자는 시술용 프로그램에서 요구하는 최종 위치, 즉 정렬 표지부(216)가 정렬 식별부(130)에 의해 육안으로 명확하게 확인되는 위치까지, 픽스쳐(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픽스쳐가 최종 위치까지 회전되면, 시술자는 식립 드라이버(100)를 픽스쳐(30)로부터 분리하며, 가이드 장치(20)를 치아(12)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도 10f를 참조하면, 픽스쳐(30)가 식립홀(56)에서 시술용 프로그램이 요구하는 최종 위치로 식립됨이 확인될 수 있다. 여기서, 최종 위치는 예를 들면, 제 2 픽스쳐 정렬부(50)가 이웃하는 치아들과 대면하면서, 좌측 치아에 더 인접하게 정렬되는 위치와 방향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개시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 툴 세트를 구성하는 결합체 탑재 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개시에 따른 결합체 탑재 툴과 픽스쳐 결합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임플란트 시술 툴 세트는 도 10f에 예시된 식립홀(56)에 특정 위치에 식립된 픽스쳐(30)에 픽스쳐 결합체(60)를 탑재시키는 결합체 탑재 툴(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체 탑재 툴(300)은 시술자가 파지하는 헤드부(302), 헤드부(302)의 하부에 픽스쳐 결합체(60)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로드(304). 로드(304)의 끝단에 배치되며 픽스쳐 결합체(60)의 탑재시에 픽스쳐(30)의 내측 체결부(80)에 결속되는 체결부(30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306)는 픽스쳐 결합체(60)의 홀(66)과 나사 체결할 수 있도록 가공될 수 있다
픽스쳐 결합체(60)는 결합 영역부(64)에, 식립 드라이버(100)의 제 1 지지부(112) 및 제 2 지지부(1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 제 1 결합체 정렬부(68) 및 제 2 결합체 정렬부(72)를 포함할 수 있다.
픽스쳐 결합체(60)에 대해서는 도 11 및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픽스쳐 결합체의 사시도이다.
픽스쳐 결합체(60)는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쳐(30)에 결합되는 다양한 구조물 중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픽스쳐 결합체(60)는 보철물을 픽스쳐(30)와 연결하기 위한 상부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구조는 상악 또는 하악을 덮는 잇몸을 메우도록 치과용 픽스처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 스페이서, 또는 다른 잇몸 관통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크라운, 브릿지 또는 틀니와 같은 보철물은 어버트먼트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외에도, 픽스쳐 결합체(60)는 예를 들어, 주문 제작된 어버트먼트, 어버트먼트 레플리카(replica), 어버트먼트 블랭크(blank), 스캔 어버트먼트, 디지털 전사 코핑(coping), 임프레션 픽업 요소 (impression pick-up element), 및 힐링 캡(healing ca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구조물일 수 있다.
디지털 전사 코핑은 회전 배향을 나타내는 일부 구별되는 특징을 가지고 픽스쳐(30)에 연결되도록, 스캐닝될 수 있으며, 디지털 파일이 어버트먼트 제작자에게 전송된다. 디지털 파일은 구별되는 특징부의 위치 및 배향은 물론 픽스쳐(30)의 위치 및 배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주문 제작된 어버트먼트는 환자의 치아 및 주변 조직의 형태로 맞춰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시술자가 상기 주문 제작된 어버트먼트를 의도한 회전 배향으로 용이하게 맞출 수 있으면 매우 유용하다. 주문 제작된 어버트먼트 외에, 일반적인 어버트먼트도 픽스쳐(30)와 주변 형태에 대해 의도적으로 회전 배향되거나 비대칭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개시에 따른 픽스쳐 결합체(60)는 픽스쳐(30)와의 정확한 위치 정렬을 위해 구현되며, 본 개시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픽스쳐 결합체(60)는 일반적인 어버트먼트 또는 주문 제작된 어버트먼트 인 것을 예시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환자 맞춤형으로 특정한 형태의 구조를 가짐에 따라 픽스쳐와의 정확한 위치 정렬이 필요한 다양한 구조물의 픽스쳐 결합체(60)에 적용됨은 물론이다.
픽스쳐 결합체(60)는 보철물과 결합되는 정점(apical) 영역부(62), 픽스쳐(30)와 결합되는 부분을 제공하는 결합 영역부(64) 및 이들 영역부들(62, 64)를 관통하는 홀(66)을 포함할 수 있다. 픽스쳐 결합체(60)는 결합 영역부(64)의 하단에 배치되는 제 1 결합체 정렬부(68), 제 2 결합체 정렬부(72), 결합체 정렬부들(68, 72) 사이에 위치되는 간극부(76; gap portion) 및 정렬부들(68, 72)의 하부에 제공되는 가이드부(78)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결합체 정렬부(68)는 도 8 및 도 9와 유사하게, 픽스쳐(30)와 결합되는 결합 영역부(64)에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 1 결합체 정렬부(68)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으며, 결합 영역부(64)의 외주연(outer circumference) 방향(도 8 및 도 9의 D)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 1 결합체 정렬부(68)는 픽스쳐 결합체(60)의 중심축에서 외측을 향하는 반경 방향, 즉 방사상 방향(도 8 및 도 9의 E)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도록 가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간극부(76)는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1 결합체 정렬부(68)는 방사상 방향으로 홈 형태를 갖도록 가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간극부(76)는 돌출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결합체 정렬부(68)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제 1 결합체 정렬부(68)는 픽스쳐(30)와 대면하는 측단(side end)에 위치되는 제 1 결합체 단부(70)를 구비할 수 있다. 제 1 결합체 단부(70)는 테이퍼지도록(tapered) 형성될 수 있다. 제 1 결합체 단부(70)의 테이퍼 형상은 픽스쳐(30)의 간격부(52; spacing portion)의 상단에 배치되는 픽스쳐 단부(54)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픽스쳐 결합체(60)가 픽스쳐(30)에 위치 정렬하기 위해 회전하는 경우, 제 1 결합체 단부(70) 및 픽스쳐 단부(54)는 접촉 마찰하므로 시술자가 픽스쳐 결합체(60)를 안정적이면서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제 2 결합체 정렬부(72)는 결합 영역부(64)에 방사상으로 제 1 결합체 정렬부(68)와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픽스쳐 결합체(60)의 중심축 상에 위치되는 중심점에 대해 비대칭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 2 결합체 정렬부(72)는 결합 영역부(64)의 외주연 방향(D) 및 방사상 방향(E)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제 1 결합체 정렬부(68)보다 큰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2 결합체 정렬부(72)는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결합체 정렬부(68)가 돌출되도록 형성되면, 제 2 결합체 정렬부(72)는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도록 가공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1 결합체 정렬부(68)는 홈으로 형성되면, 제 2 결합체 정렬부(72)는 방사상 방향(D)으로 홈 형태를 갖도록 가공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2 결합체 정렬부(72)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도 8과 유사한 구조의 제 1 및 제 2 결합체 정렬부(68, 72)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제 1 결합체 정렬부(68)는 외주연 방향(D)을 따라 등간격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 2 결합체 정렬부(72)가 없는 경우, 제 1 결합체 정렬부(68)는 6개 배치되도록, 60도 간격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 1 결합체 정렬부(68)는 도 8에서와 같이, 4개로 배열된 경우, 2개의 제 1 결합체 정렬부(68)가 마주보도록 180도 간격으로 배치되거나, 픽스쳐 결합체(60)의 단면에 따른 직경 방향에 대해 대칭되게 배열될 수 있다. 1개의 제 2 결합체 정렬부(72)가 픽스쳐(30)의 제 2 픽스쳐 정렬부(50)와의 신속하고 정확한 위치 정렬 및 가공의 편의를 위해, 외주연 방향(D)을 따라 제 1 결합체 정렬부(68)보다 큰 사이즈를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외주연 방향(D)에 따른 제 2 결합체 정렬부(72)는 가공 용이성, 픽스쳐(30)와의 오정렬 용이 확인 및 정확한 정렬을 위해, 서로 인접한 제 1 결합체 정렬부들(68)을 가상으로 연결하는 외주연 사이즈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외주연 방향(D)에 따른 제 2 결합체 정렬부(72)는 픽스쳐(30)와의 오정렬시의 용이한 회전 및 신속한 위치 정렬을 위해, 서로 인접한 제 1 결합체 정렬부들(68)을 가상으로 연결하는 외주연 사이즈보다 작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결합체 정렬부(72)는 외주연 방향(D)을 따라 제 1 결합체 정렬부(68)보다 큰 사이즈를 갖는 것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다른 예에서는, 제 2 결합체 정렬부(72)는 방사상 방향(D)을 따라 제 1 결합체 정렬부(68)보다 큰 사이즈를 갖도록 가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외주연 방향(D)으로 큰 사이즈를 갖는 제 2 결합체 정렬부(72)에 관한 실시예로 기재한다. 방사상 방향(E)으로 큰 사이즈를 갖는 제 2 결합체 정렬부의 실시예의 경우에도 제 2 결합체 정렬부는 외주연 방향(D)을 따라 제 1 결합체 정렬부보다 큰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결합체 정렬부(72)는 이를 통과하는 픽스쳐 결합체(60)의 직경 방향(또는 반경 방향)에 대해 대칭되도록 가공될 수 있으나, 제 2 결합체 정렬부(72)의 형태 및 배열은 중심점에 대해 비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주연 방향(D)을 따른 제 2 결합체 정렬부(72)의 외주연이 중심점에 대해 비대칭되는 범위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 2 결합체 정렬부(72)의 외주연이 중심점에 대해 대칭되는 범위까지 연장되면, 제 1 결합체 정렬부(68)의 개수가 과도하게 감소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픽스쳐 결합체(60)가 픽스쳐(30) 상에 회전하는 과정에서, 제 1 결합체 정렬부(68)가 픽스쳐(30)의 제 2 픽스쳐 정렬부(50)에 깊게 삽입될 수 있어, 예정된 위치 정렬을 위한 추가 회전에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 2 결합체 정렬부(72)는 도 8과 유사하게, 중심점에 대해 모든 제 1 결합체 정렬부(68)와 비대칭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작자가 이미 특정한 고유의 위치 또는 회전 배향을 갖도록 제작된 어버트먼트가 제작자의 의도에 부합하여, 픽스쳐(30)에 정확하게 정렬 결합될 수 있다.
방사상 방향(E)으로 큰 사이즈를 갖는 제 2 결합체 정렬부의 실시예의 경우에도, 제 2 결합체 정렬부 자체가 상술한 바와 유사하게 중심점에 대해 비대칭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서, 중심점에 대해 모든 제 1 결합체 정렬부와 비대칭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 2 결합체 정렬부(72)는 픽스쳐(30)와 대면하는 측단에 위치되는 제 2 결합체 단부(74)를 구비할 수 있다. 제 2 결합체 단부(74)는 테이퍼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2 결합체 단부(74)의 테이퍼 형상은 픽스쳐 단부(54)및 제 1 결합체 단부(7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픽스쳐 결합체(60)가 픽스쳐(30)에 위치 정렬하기 위해 회전하는 경우, 제 1 및 제 2 결합체 단부(70. 74) 및 픽스쳐 단부(54)는 접촉 마찰하므로 시술자가 픽스쳐 결합체(60)를 안정적이면서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결합체 단부(70, 74)는 후술할 단점을 방지하기 위해, 중심축을 따른 길이 방향에서 동일 레벨을 갖도록 가공될 수 있다. 만약 제 1 결합체 단부(70)가 결합 영역부(64)의 하측 방향으로 제 2 결합체 단부(74)보다 더 길게 연장되면, 픽스쳐 결합체(60)가 픽스쳐(30) 내로 진입할 때, 제 1 결합체 정렬부(68)가 제 2 픽스쳐 정렬부(50)에 삽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픽스쳐 결합체(60)는 픽스쳐(30) 상에 부정확한 위치에 오정렬될 수 있으며, 추가 회전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도 9와 유사하게, 제 2 결합체 정렬부는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픽스쳐 결합체(60)와 픽스쳐(30) 간의 특정 위치 정렬, 예컨대 제작자가 지정한 1개의 고유 위치 또는 회전 배향을 위해, 도 9와 유사하게, 2개의 제 2 결합체 정렬부들은 서로 중심점에 대해 비대칭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만약 제 2 결합체 정렬부들 및 제 2 픽스쳐 정렬부들이 중심점에 대해 대칭되는 경우, 제작자가 정점 영역부(62)의 비대칭 가공으로 인해 1개의 고유 위치가 결정되더라도, 제작자가 의도하지 않은 위치 또는 배향으로 제 2 결합체 정렬부들 및 제 2 픽스쳐 정렬부들이 결합될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복수의 제 2 결합체 정렬부들 및 제 2 픽스쳐 정렬부들은 중심점에 대해 비대칭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 2 결합체 정렬부들는 도 9와 유사하게, 연속적으로 배열된 제 1 결합체 정렬부들에 후속하여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2 결합체 정렬부는 제 1 결합체 정렬부 사이에 적어도 하나씩 배치되어 교대로 배열될 수 있거나, 제 1 결합체 정렬부들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결합체 정렬부가 랜덤한 개수로 배열될 수도 있다. 고유의 위치 또는 회전 배향을 갖도록 제작된 어버트먼트가 픽스쳐(30)에 정확하게 정렬하여 결합되도록, 상기 케이스들에서 제 2 결합체 정렬부들은 모든 제 1 결합체 정렬부와 비대칭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방사상 방향(E)으로 큰 사이즈를 갖는 제 2 결합체 정렬부의 실시예의 경우에도 제 2 결합체 정렬부들은 복수로 배열될 수 있으며, 외주연 방향(D)에 따른 실시예에 대한 상술한 사항이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픽스쳐 결합체(60)가 픽스쳐(30)의 제 1 영역부(32)의 개방 단부로 용이하게 진입함과 아울러서, 결합체 정렬부들(68, 72)가 픽스쳐 단부(54)상에 안정적으로 안착하도록, 가이드부(78)는 결합 영역부(64)의 하부 끝단에 제공되며, 픽스쳐(30)와의 결합시 제 1 및 제 2 결합체 정렬부들(68, 72)보다 픽스쳐(30)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78)는 픽스쳐(30)의 제 1 및 제 2 픽스쳐 정렬부들(48, 50) 사이에 배치되는 간격부(52)의 측벽과 밀착되는 직경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컨대 제 1 결합체 정렬부(68) 및 제 2 픽스쳐 정렬부(50) 간의 오정렬로 인해, 제 1 결합체 정렬부(68)가 제 2 픽스쳐 정렬부(50)와 같은 부정확한 위치에 있더라도, 가이드부(78)와 간격부(52)가 밀착됨으로써, 제 1 결합체 정렬부(68)가 제 2 픽스쳐 정렬부(50)에 깊게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이로 인해, 픽스쳐(30) 상에 정확하게 위치 정렬하기 위한 픽스쳐 결합체(60)의 추가 회전이 용이하게 실현될 수 있다.
픽스쳐 결합체(60)에 대한 상술한 실시예는 제 1 결합체 정렬부(68)가 60도 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 1 결합체 정렬부(68)가 90도의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45도의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3a 내지 도 13e를 참조하여, 결합체 탑재 툴(300)을 이용하여, 픽스쳐 결합체(60)가 픽스쳐(30)에 결합하는 동작에 대해 서술하기로 한다. 도 13a 내지 도 13e는 본 개시에 따른 결합체 탑재 툴을 이용하여 픽스쳐 결합체를 픽스쳐에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픽스쳐 결합체(60)는 일반적 또는 주문제작된 어버트먼트이며, 결합체 탑재 툴(300)은 어버트먼트 지그(jig)인 것으로 예시한다.
도 13a를 참조하면, 시술자는 결합체 탑재 툴(300)의 로드(304)를 픽스쳐 결합체(60)의 홀(66)에 삽입하여, 체결부(306)와 홀(66) 내에 가공된 쓰레드와 나사 체결한 후에, 체결부(306)가 홀(66)의 쓰레드를 통과하도록 결합체 탑재 툴(3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3b를 참조하면, 시술자는 픽스쳐 결합체(60)를 탑재한 결합체 탑재 툴(300)을 식립홀(56)에 삽입된 픽스쳐(30)의 수용부(46)에 삽입시킬 수 있다. 또한, 시술자는 체결부(306)가 내측 체결부(80)에 도달할 때까지, 로드(304)를 수용부(46) 내부로 더 진입시킬 수 있다.
도 13c를 참조하면, 시술자는 결합체 탑재 툴(300)을 회전시켜 체결부(306)를 내측 체결부(80)와 나사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픽스쳐 결합체(60)가 픽스쳐(30) 상에 안정적으로 배열되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
도 13d를 참조하면, 시술자가 결합체 탑재 툴(300)에 의해 지지되는 픽스쳐 결합체(60)를 회전시키면서, 제 1 및 제 2 결합체 정렬부들(68, 72)을 제 1 및 제 2 픽스쳐 정렬부들(48, 50)에 위치시킬 수 있다. 결합체 탑재 툴(300)에 의해, 픽스쳐 결합체(60)와 픽스쳐(30) 간의 고유의 결합 위치가 신속하게 인식되어, 시술자는 시술용 프로그램에서 요구하는 회전 배향으로 픽스쳐 결합체(60)를 픽스쳐(30)에 정렬시킬 수 있다.
정렬이 완료된 후, 시술자는 결합체 탑재 툴(300)을 픽스쳐 결합체(60)로부터 인출하고, 도 13e에서와 같이, 스크류(90)를 픽스쳐 결합체(60)의 홀(66)을 통해 삽입하여 픽스쳐(30)의 내측 체결부(80)와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10)

  1. 픽스쳐를 식립하기 위한 식립 드라이버를 갖는 임플란트 시술 툴 세트에 있어서, 상기 식립 드라이버는,
    상기 픽스쳐에 식립 회전력을 전달하는 결합부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제 1 지지부; 및
    상기 결합부에 방사상으로 상기 제 1 지지부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식립 드라이버의 중심축 상에 위치되는 중심점에 대해 비대칭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지지부는 상기 결합부의 외주연(outer circumference) 방향 및 방사상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상기 제 1 지지부보다 큰 사이즈를 갖는, 임플란트 시술 툴 세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가 복수인 경우 상기 외주연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 2 지지부는 상기 제 1 지지부들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외주연 방향에 따른 상기 제 2 지지부는 서로 인접한 제 1 지지부들을 가상으로 연결하는 외주연 사이즈보다 큰 사이즈를 갖는, 임플란트 시술 툴 세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는 상기 픽스쳐와 대면하는 측단(side end)에 위치되는 제 1 지지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지지부는 상기 픽스쳐와 대면하는 측단에 제 2 지지 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 단부는 동일 레벨을 갖도록 형성되는, 임플란트 시술 툴 세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립 드라이버는 상기 결합부 상에 제공되며, 상기 픽스쳐의 정렬 위치 및 상기 픽스쳐의 정렬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는 인식부를 더 포함하는, 임플란트 시술 툴 세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부는 상기 제 2 지지부와 상응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정렬 위치 및 상기 정렬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는 위치 식별부, 및 상기 위치 식별부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더미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식별부는 상기 인식부의 외주연 방향 및 방사상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상기 더미부보다 큰 사이즈를 갖는, 임플란트 시술 툴 세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시술 툴 세트는 상기 픽스쳐의 식립시에 상기 픽스쳐를 지지하여 턱뼈로 가이드하는 슬리브(sleeve)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슬리브는 상기 픽스쳐가 통과하는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 주위에 배치되며, 상기 정렬 위치 및 상기 정렬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기준점을 제공하는 정렬 표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인식부는 상기 위치 식별부의 일측과 상기 더미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식립 드라이버를 이용한 상기 픽스쳐의 식립시에 상기 정렬 표지부를 인식가능한 확인 영역을 갖는 상기 정렬 식별부, 및 상기 위치 식별부의 타측과 상기 더미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정렬 식별부의 확인 영역보다 작은 사이즈로 형성된 보조 영역을 갖는 보조 식별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시술 툴 세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상기 식립시에, 상기 픽스쳐의 식립 위치를 노출시키는 가이드 장치의 가이드 홀에 장착되도록 상기 몸통부 주변에 배치되는 복수의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정렬 표지부는 상기 복수의 연결부 중 하나에 제공되는, 임플란트 시술 툴 세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표지부가 제공되는 상기 연결부는 외측 잇몸과 상응하는 상기 가이드 홀의 단부에 장착되는, 임플란트 시술 툴 세트.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시술 툴 세트는 상기 식립된 픽스쳐에 픽스쳐 결합체를 탑재시키는 결합체 탑재 툴을 더 포함하되,
    상기 결합체 탑재 툴은 상기 픽스쳐 결합체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로드 및 상기 로드의 끝단에 배치되며 상기 픽스쳐 결합체의 탑재시에 상기 픽스쳐의 내측 체결부에 결속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시술 툴 세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쳐는 상기 결합부와 대응하는 영역부에, 상기 제 1 지지부 및 상기 제 2 지지부와 결합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 제 1 픽스쳐 정렬부 및 제 2 픽스쳐 정렬부를 포함하고,
    상기 픽스쳐 결합체는 결합 영역부에, 상기 제 1 지지부 및 상기 제 2 지지부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제 1 결합체 정렬부 및 제 2 결합제 정렬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시술 툴 세트.
KR1020210087045A 2021-07-02 2021-07-02 임플란트 시술 툴 세트 KR102619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045A KR102619856B1 (ko) 2021-07-02 2021-07-02 임플란트 시술 툴 세트
US17/480,605 US20230000599A1 (en) 2021-07-02 2021-09-21 Surgical tool set for impla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045A KR102619856B1 (ko) 2021-07-02 2021-07-02 임플란트 시술 툴 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6180A true KR20230006180A (ko) 2023-01-10
KR102619856B1 KR102619856B1 (ko) 2024-01-04

Family

ID=84786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7045A KR102619856B1 (ko) 2021-07-02 2021-07-02 임플란트 시술 툴 세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30000599A1 (ko)
KR (1) KR10261985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2883A (ja) * 1997-05-24 2000-10-03 フリアデント・ゲー・エム・ベー・ハー 歯科用インプラントおよび歯科用インプラントをともなう装置
KR200412097Y1 (ko) * 2006-01-11 2006-03-22 주식회사 덴티스 마운트 없는 인공치아 고정체 시술용 드라이버
KR20070110062A (ko) * 2005-02-05 2007-11-15 프리아덴트 게엠베하 치과용 임플란트
KR20140067030A (ko) * 2011-09-14 2014-06-03 덴츠플라이 아이에이치 에이비 치과 부품, 치과 고정체, 및 치과 임플란트
CN104812331A (zh) * 2012-10-02 2015-07-29 斯特劳曼控股公司 插入工具
KR20170013678A (ko) * 2015-07-28 2017-02-07 주식회사 디오 정렬기준이 표시된 치아 임플란트 시술용 서지컬 가이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34765B1 (ko) * 2016-11-11 2018-03-06 주식회사 디오 치아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70095A1 (en) * 2011-09-14 2013-03-20 Dentsply IH AB A dental component and a dental implant
EP2929854B1 (en) * 2014-03-18 2017-08-23 Dio Corporation Dental implant insertion s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0433936B2 (en) * 2015-12-01 2019-10-08 Evollution Ip Holdings, Inc. Scan body with snap-in retention capability
CH714832A1 (de) * 2018-03-22 2019-09-30 Z Systems Ag Dentalimplantatsystem.
US20210386513A1 (en) * 2020-06-16 2021-12-16 Biomet 3I, Llc Components for use with a surgical guide for dental implant placement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2883A (ja) * 1997-05-24 2000-10-03 フリアデント・ゲー・エム・ベー・ハー 歯科用インプラントおよび歯科用インプラントをともなう装置
KR20070110062A (ko) * 2005-02-05 2007-11-15 프리아덴트 게엠베하 치과용 임플란트
KR200412097Y1 (ko) * 2006-01-11 2006-03-22 주식회사 덴티스 마운트 없는 인공치아 고정체 시술용 드라이버
KR20140067030A (ko) * 2011-09-14 2014-06-03 덴츠플라이 아이에이치 에이비 치과 부품, 치과 고정체, 및 치과 임플란트
CN104812331A (zh) * 2012-10-02 2015-07-29 斯特劳曼控股公司 插入工具
KR20170013678A (ko) * 2015-07-28 2017-02-07 주식회사 디오 정렬기준이 표시된 치아 임플란트 시술용 서지컬 가이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34765B1 (ko) * 2016-11-11 2018-03-06 주식회사 디오 치아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9856B1 (ko) 2024-01-04
US20230000599A1 (en) 2023-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47528B2 (en) Positioning and installing surgical drilling devices and related devices and systems
CN106232050B (zh) 定位及安装手术钻孔装置以及相关装置及系统
KR20100066506A (ko) 임플란트 식립용 천공기구, 핸드피스, 핸드피스용 어댑터 및 서지컬 가이드
KR200476682Y1 (ko) 치아 임플란트용 가이드 스탠트
JP2004521671A (ja) インプラント支持義歯を設けるための位置決め装置
KR101385882B1 (ko) 수술가이드를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 시술에 사용되는 수술가이드용 유니버셜 임플란트 수술키트
KR101550759B1 (ko)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
KR100993666B1 (ko) 정밀유도 식립을 위한 임플란트용 스텐트 제작에 사용되는 고정핀 어셈블리
US11730573B2 (en) Fixation pin
EP1900338B1 (en) Positioning device for dental implant
KR20180011103A (ko) 골내 단일 치아 임플란트를 위한 삽입 키트
KR101834765B1 (ko) 치아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
KR102204414B1 (ko) 힐링 어버트먼트
EP3925567B1 (en) Surgical drill
JP6940735B2 (ja) インプラント用フィクスチャー植立のための方向確認ピンとガイドタップドリルキット
KR102619856B1 (ko) 임플란트 시술 툴 세트
US20240023978A1 (en) Surgical Guide
US20130108987A1 (en) Analog positioner
KR20110015953A (ko)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
KR20220159730A (ko) 픽스쳐 결합체, 픽스쳐 및 이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어셈블리
JP2019088549A (ja) インプラント窩チェック用器具
KR20190031846A (ko) 가이드스텐트를 이용하는 범용 임플란트 시술 키트
US11617631B2 (en) Surgical guide tool for single dental implant positioning
KR101963696B1 (ko) 치과 시술용 가이드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