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7030A - 치과 부품, 치과 고정체, 및 치과 임플란트 - Google Patents

치과 부품, 치과 고정체, 및 치과 임플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7030A
KR20140067030A KR1020147006297A KR20147006297A KR20140067030A KR 20140067030 A KR20140067030 A KR 20140067030A KR 1020147006297 A KR1020147006297 A KR 1020147006297A KR 20147006297 A KR20147006297 A KR 20147006297A KR 20140067030 A KR20140067030 A KR 20140067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exing
indexing element
fixture
dental
el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6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4022B1 (ko
Inventor
다니엘 마그누슨
요셉 살테르
Original Assignee
덴츠플라이 아이에이치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덴츠플라이 아이에이치 에이비 filed Critical 덴츠플라이 아이에이치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140067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7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4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4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77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with shape following the gingival surface or the bone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sitio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1Impression means for implants, e.g. impression co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4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having a cylindrical implant connecting p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Healing ca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61C2008/0046Textured surface, e.g. roughness, microstructure

Abstract

본 발명은 지대치, 지대치 모형, 지대치 블랭크, 주문제작된 지대치, 스캔 지대치, 디지탈 전달 코핑, 인상 픽업 요소, 치유용 덮개, 또는 드라이버와 같은 치과 부품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제1인덱싱 요소 및 상기 제1인덱싱 요소의 첨단 단부의 첨단에 위치된 첨단 단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인덱싱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제2인덱싱 요소는 치과 고정체의 짝을 이루는 특징부에 유극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및 제2인덱싱 요소를 갖는 치과 부품 그리고 제3 및 제4인덱싱 요소를 갖는 치과 고정체를 포함하는 치과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며, 제1 및 제2인덱싱 요소들 사이의 임의의 유극은 제2 및 제4인덱싱 요소들 사이의 유극 보다 더 작다. 또한, 본 발명은 치과 고정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과 부품, 치과 고정체, 및 치과 임플란트{A DENTAL COMPONENT, A DENTAL FIXTURE AND A DENTAL IMPLANT}
본 발명은 치과 부품을 턱뼈(jawbone) 내로 삽입되도록 된 치과 고정체(fixture)와 결합하기 위한 또는 치과 부품을 고정체 모형(replica)과 결합하기 위한 고정체 결합 부분을 포함하는 치과 부품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턱뼈 내로 삽입되도록 된 치과 고정체, 및 치과 고정체와 그리고 상기 치과 고정체에 연결 가능한 치과 부품을 포함하는 치과 임플란트(implant)에 관한 것이다.
치과 임플란트 시스템은 손상된 또는 소실된 자연치(natural teeth)를 대체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런 시스템에 있어서, 치과 고정체는 자연치 뿌리(root)를 대체하기 위해 환자의 턱뼈에 배치된다. 그후, 하나 또는 여러개의 부분을 포함하는 지대치(abutment) 구조물이 뼈 조직으로부터 부드러운 잇몸(gingival) 조직을 통해 그리고 환자의 구강(mouth) 내로 돌출하는, 보철(prosthetic) 치아의 부분을 위해 코어(core)를 구축하도록 고정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지대치상에, 보철 또는 치관(crown)이 마지막으로 안착될 수 있다.
최종 보철은 기능성 및 심미성(aesthetics) 모두를 위해 환자의 남아있는 치아에 자연스럽게 끼워지도록 크기를 갖고 그리고 구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치기공사(dental technician)는 환자의 턱의 모델을 사용하여 개별적인 환자를 위해 적절한 보철을 엄밀하게 시험(try out)해 볼 수 있으며, 상기 모델은 고정체를 포함한다. 또한, 치기공사는 이미 설치한 고정체로 또는 이런 설치 이전에 환자의 턱의 디지탈 모델에 기초하여 적절한 보철을 디지탈 방식으로 만들어낼 수 있다. 또한, 치기공사는 부드러운 잇몸 조직의 윤곽(contour)과 어울리도록 미리 제조된 지대치를 수정할 수 있다.
일부 지대치/고정체 인터페이스는 방사방향 인덱싱(indexing) 돌출부 및 어울림(matching) 인덱싱 오목부(recess)를 갖도록 설계된다. 예를 들어, 지대치는 2개의 부품이 접합될 때 고정체의 대응하는 오목부와 짝을 이루도록 되어 있는 방사방향 돌출부를 가질 수 있다. 치과의사는 때로는 돌출부가 고정체의 오목부와 짝을 이루도록 지대치를 정렬시키는데 어려움을 경험한다. 실제로, 치과의사는 정확한 방향이 발견되고 또한 돌출부가 오목부와 결합할 때까지, 지대치를 전방으로 그리고 후방으로 회전시켜야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치과의사가 지대치와 같은 치과 부품을 현재 이용 가능한 해결책(solution)과 비교되는 고정체에 연결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이 목적 및 하기에 명백하게 될 다른 목적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한정된 바와 같이 치과 부품, 치과 고정체, 및 치과 임플란트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치과 부품을 치과 고정체에 연결할 때,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후속의 이어지는(trailing) 인덱싱 요소가 최종 회전 로크(lock)를 형성하도록 결합되기 전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선단(leading) 인덱싱 요소가 치과 부품을 고정체에 대해 정확한 회전 위치 내로 안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통찰(insight)에 기초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단 인덱싱 요소를 결합하기 위한 비교적 큰 유극(play)이 연결 과정을 추가로 촉진시킬 수 있다는 통찰에 기초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1면(aspect)에 따라, 치과 부품이 제공된다. 치과 부품은 턱뼈 내로 삽입되도록 된 치과 고정체와 치과 부품을 결합하기 위해 또는 치과 부품과 고정체 모형을 결합하기 위해 고정체 결합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체 결합 부분은 기하학적 중심 축선을 가지며, 또한 첨단(apical) 단부를 갖는 방사방향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인덱싱 요소, 및 상기 제1인덱싱 요소의 첨단 단부의 첨단에 위치된 첨단 단부를 갖는 방사방향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인덱싱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제2인덱싱 요소의 첨단 단부의 방사방향으로 가장 먼 영역은 제1인덱싱 요소의 첨단 단부의 방사방향으로 가장 먼 영역 보다 상기 중심 축선으로부터 더 짧은 방사방향 거리에 위치되며, 및/또는 제2인덱싱 요소의 첨단 단부는 제1인덱싱 요소의 첨단 단부에 비해 고정체 결합 부분의 원주방향으로 더 작은 치수를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인덱싱 요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인덱싱 요소 중 임의의 하나로부터 원주방향으로 분리되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인덱싱 요소는 단일의 제2인덱싱 요소 또는 고정체 결합 부분의 원주를 따라 비대칭적으로 배치된 분포된 적어도 2개의 제2인덱싱 요소이다.
이것은 치과 부품이 고정체에 연결되고 그리고 그에 따라 고정체를 향해 이동할 때, 적어도 하나의 제2인덱싱 요소가 고정체와 첫 번째로 짝을 이룰 것이라는 효과를 갖는다. 이 방법으로, 인덱싱 요소의 위치 탐색(finding) 기능이 고정체 결합 부분의 원주의 더 작은 부분으로 집중될 것이다. 치과의사는 고정체 결합 부분의 원주의 둘레의 모든 인덱싱 요소가 종래 기술 처럼 동시에 연결되는 것에 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인덱싱 요소가 고정체의 대응하는 수용 부분의 제 위치에 떨어질 때, 더욱 뚜렷한 인지(perception)를 경험할 것이다.
제2인덱싱 요소가 단일의 하나이거나 또는 고정체 결합 부분의 원주를 따라 비대칭적으로 분포된 적어도 2개이기 때문에, 필요하다면 제2인덱싱 요소(들)가 오직 하나의 정확한 회전 위치를 가지며, 그에 따라 치과의사가 치과 부품을 고정체에 부정확한 회전 방향으로 연결하는 것을 피하는 부품/고정체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또한, 단일의 하나 또는 비대칭적으로 분포된 여러개의 제2인덱싱 요소를 갖는 것은, 고정체의 대응하는 인덱싱 요소(들)가 결합될 때 치과의사에게 뚜렷한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결합의 순간에 치과의사에 의해 인지된 결합은, 치과 부품이 균등하게 분포된 제2인덱싱 요소를 갖는 경우 보다 더욱 명확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제1인덱싱 요소가 상기 적어도 2개의 제2인덱싱 요소들 중 임의의 하나로부터 원주방향으로 분리된다는 사실은, 상기 제1인덱싱 요소가 제2인덱싱 요소들 중 임의의 하나 보다는 고정체 결합 부분의 원주를 따라 상이한 위치에 위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달리 말하면, 기하학적 축선으로부터 제1인덱싱 요소로 인출된(drawn) 반경은 상기 축선으로부터 제2인덱싱 요소로 인출된 임의의 반경들 보다는 상기 축선으로부터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통상적으로, 치과 고정체는 치과 부품의 방사방향으로 돌출하는 인덱싱 요소를 수용하기 위해 동일한 치수의 오목부를 갖는다.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치과 부품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인덱싱 요소의 첨단 단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인덱싱 요소의 첨단 단부에 비해 원주(횡단) 방향으로 더 작은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인덱싱 요소의 첨단 단부의 방사방향으로 가장 먼 영역은, 제1인덱싱 요소의 첨단 단부의 방사방향으로 가장 먼 영역 보다는 고정체 결합 부분의 중심 축선으로부터 더 짧은 거리에 위치될 수 있다. 이것은 제2인덱싱 요소가 그 수용 오목부에 상대적으로 큰 유극에 수용될 것이기 때문에 유리하다. 예를 들어, 제2인덱싱 요소의 첨단 단부가 제1인덱싱 요소의 첨단 단부에 비해 원주(횡단) 방향으로 더 작은 치수를 가지면, 제2인덱싱 요소의 첨단 단부가 횡단 방향으로 큰 유극에 수용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제1인덱싱 요소의 첨단 단부의 첨단에 위치된 그 첨단 단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인덱싱 요소는, 이어지는 제1인덱싱 요소가 고정체의 그 대응하는 오목부에 의해 수용되기 전에, 대응하는 오목부에 의해 수용될 것이다. 상대적으로 큰 유극은 치과의사가 제2인덱싱 요소를 고정체의 대응하는 오목부와 결합시키는 것을 촉진시킨다. 따라서, 이 단계에서, 단지 제2인덱싱 요소의 첨단 단부만 결합되었을 때, 고정체에 대해 치과 부품의 작은 회전 운동이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적어도 하나의 제1인덱싱 요소가 그 대응하는 오목부와 결합하도록 따를 때, 그 오목부에 긴밀하게 끼워지도록 더욱 정확하게 적절히 치수를 갖기 때문에, 치과 부품은 적어도 하나의 제1인덱싱 요소가 그 짝을 이루는 오목부와의 결합에 들어갈 때 회전 가능하게 로킹될 것이다.
위에 제시된 예에 있어서, 제2인덱싱 요소의 첨단 단부는 제1인덱싱 요소의 첨단 단부 보다 원주 방향으로 더 작은 치수를 갖는다. 따라서, 제2인덱싱 요소의 첨단 단부는 제1인덱싱 요소의 첨단 단부 보다 더 협소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2인덱싱 요소의 첨단 단부는 제1인덱싱 요소의 첨단 단부에 비해 고정체 결합 부분의 방사 방향으로 더 작은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이런 예에 있어서, 제2인덱싱 요소의 첨단 단부는 제1인덱싱 요소의 첨단 단부 보다 더 평탄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고정체에 수용될 때 큰 방사방향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제2인덱싱 요소의 첨단 단부의 크기를 작게 함으로써 방사방향 및/또는 횡단 방향 유극과 같은 유극이 달성될 수 있더라도, 역시 다른 대안이 있다. 실제로, 분리된 항목(item)으로서 보았을 때, 제1인덱싱 요소 및 제2인덱싱 요소가 모든 방향으로 동일한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이것들을 고정체 결합 부분의 선택된 위치로 배치함으로써 원하는 효과가 계속 달성될 수 있다. 일 예는 첨단으로 테이퍼지는(tapering) 고정체 결합 부분에 있다. 제2인텍싱 요소의 첨단 단부를 제1인덱싱 요소의 첨단 단부의 첨단에 배치함으로써, 제1 및 제2인덱싱 요소가 기본적으로 동일하더라도(고정체 결합 부분상의 그 배치와는 별도로), 제2인덱싱 요소의 첨단 단부는 테이퍼지는 고정체 결합 부분 때문에 중심 축선으로부터 더 짧은 거리에 위치될 것이다. 이것은 만약 있다손 치더라도, 제1인덱싱 요소의 첨단 단부가 더 작은 방사방향 유극에 의해 수용되는 반면에, 제2인덱싱 요소의 첨단 단부가 접근하여 그리고 방사방향 유극에 고정체의 오목부에 의해 수용될 것이라는 결과를 가질 것이다. 다른 예는 큰 직경 및 짧은 직경을 갖는 미세하게 타원형인 고정체 결합 부분과 같은 비-원형이다. 제2인덱싱 요소를 짧은 직경에 배치함으로써, 중심 축선으로의 그 방사방향 거리가 제1인덱싱 요소(긴 직경에 배치된)의 방사방향 거리 보다 짧을 것이다. 미세하게 타원형인 고정체 결합 부분은 수용 인덱싱 오목부를 갖는 고정체의 원형 부품 결합 부분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제2인덱싱 요소가 제1인덱싱 요소 보다 더 큰 방사방향 유극을 가질 것이다.
고정체에 수용될 때 제2인덱싱 요소의 첨단 단부가 원하는 유극을 가지면 제2인덱싱 요소의 위치 탐색 기능을 달성하기에 충분하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제2인덱싱 요소는 제1인덱싱 요소의 첨단 단부 보다 더 작은 크기의 첨단 단부를 갖지만 그러나 제1인덱싱 요소의 관상(coronal) 단부와 유사한 치수를 갖는 쐐기-형상(wedge-shaped)일 수 있다. 그러나, 전체적인 제2인덱싱 요소는 유극을 제공하기 위해 적절히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단지 그 첨단 단부가 아닌 전체적인 제2인덱싱 요소는 제1인덱싱 요소 보다 적절히 더 협소하거나 및/또는 더 평탄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방사방향으로 돌출하는 제2인덱싱 요소는 적어도 2개의 방사방향으로 돌출하는 제2인덱싱 요소를 포함하며, 각각 하나는 제1인덱싱 요소의 첨단 단부에 비해 원주 방향으로 더 작은 치수의 첨단 단부를 가지며, 및/또는 제2인덱싱 요소의 각각 하나의 첨단 단부의 방사방향으로 가장 먼 영역은 제1인덱싱 요소의 첨단 단부의 방사방향으로 가장 먼 영역 보다 상기 중심 축선으로부터 더 짧은 방사방향 거리에 위치된다. 오직 하나가 아니라 방사방향으로 돌출하는 2개의 제2인덱싱 요소를 갖는 것은, 제2인덱싱 요소가 제 위치에 떨어질 때 치과의사에 의해 경험되는 뚜렷한 인지의 적은(있다손 치더라도) 타협으로, 치과 부품의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적절히(suitably), 상기 적어도 2개의 제2인덱싱 요소의 첨단 단부는 실질적으로 첨단-관상(apical-coronal) 방향으로 동일한 레벨로 배치된다.
또한, 고정체 및 구강 공동의 주변 윤곽에 대해 의도된 회전 방향을 가져야만 하는 일부 비대칭적 특징부(feature)를 갖는 치과 부품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적어도 2개의 제2인덱싱 요소를 갖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일부 치과 임플란트 조립체에 있어서, 치과 부품이 고정체, 예를 들어 고정체의 경사진 헤드 부분과 어울리는 경사진 부분을 갖는 지대치에 대해 일방향으로만 위치되어야 하는 치과 부품/고정체-인터페이스가 있을 수 있다. 이것은 비대칭적 특징부가 고정체와 그리고 치아를 둘러싸는 턱뼈 중 하나 또는 이 모두에 대해 원하는 회전 관계로 위치되어야만 하는 비대칭적 상부구조(superstructure)의 하나의 타입이다. 또한, 환자-맞춤형(patient-specific) 또는 주문제작된(customized) 지대치와 같은 주문제작된 상부구조에 대해, 이런 상부구조는 고정체 및 주변 윤곽에 대해 일정한 의도된 회전 방향을 갖도록 자주 제조될 수 있다. 위에 서술한 바를 고려한 치과 부품의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하기에 제시된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치과 부품의 고정체 결합 부분은 기하학적 중심 축선을 가지며,
상기 중심 축선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2개의 제2인덱싱 요소들 중 하나의 중심까지의 반경 및 상기 중심 축선으로부터 상기 제1인덱싱 요소의 중심까지의 반경은 제1각도를 형성하며,
상기 중심 축선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2개의 제2인덱싱 요소들 중 다른 하나까지의 반경 및 상기 중심 축선으로부터 상기 제1인덱싱 요소의 중심까지의 반경은 제2각도를 형성하며,
상기 제2각도는 상기 제1각도 및 다수의 상기 제1각도인 임의의 각도와는 상이하다. 배수(multiple)는 양(quantity)과 정수(integer)의 곱(product)이다. 달리 말하면, φ ‡nθ 이며, 여기서 θ 는 제1각도이고, φ 는 제2각도이며, 또한 n 은 양의 정수이다.
상기 제2각도가 제1각도(및 그 임의의 배수)와는 상이하기 때문에, 비대칭이 달성된다. 치과 부품을 전체 360°로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도 제1 및 제2인덱싱 요소는 주변 환경에 대해 동일한 위치 분포를 얻을 수 있다. 이것은 인덱싱 요소의 대칭적 분포와 대조를 이루며, 예를 들어 대칭적으로 분포된 4개의 인덱싱 요소를 갖는 부품은 동일한 위치 분포를 얻기 위해 예전처럼 주변 환경에 대해 90°회전될 수 있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제공된 비대칭은 고정체의 부정확한 인덱싱 요소에 포획될 제2인덱싱 요소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인덱싱 요소의 축방향 연장은 제1 및 제2인덱싱 요소가 고정체 결합 부분의 중심 축선과 직교하는 공통의 기하학적 평면에 의해 교차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이한 첨단 위치에 위치된 첨단 단부를 갖는 것과는 별도로, 제1 및 제2인덱싱 요소는 제조 관점으로부터 유리할 수 있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치과 부품이 하나의 타입의 고정체에서 하나의 특정한 회전 방향만을 갖더라도, 다른 타입의 고정체에서 다른 회전 방향을 갖는 것이 허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고정체의 짝을 이루는 인덱싱 요소가 치과 부품의 제1 및 제2인덱싱 요소들 중 임의의 하나를 수용할 수 있다. 이런 선택의 자유도는 제1 및 제2인덱싱 요소가 고정체 결합 부분의 축방향으로 완전히 분리되면 더욱 복잡해진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사방향으로 돌출하는 제1인덱싱 요소는 적어도 2개의 방사방향으로 돌출하는 제1인덱싱 요소를 포함하며, 고정체 결합 부분의 원주 방향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인덱싱 요소는 상기 제1인덱싱 요소들 중 2개 사이에 개재(interpose)된다. 따라서, 고정체 결합 부분의 중심 축선과 직교하며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2인덱싱 요소를 통해서뿐만 아니라 제1인덱싱 요소를 통해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하학적 평면이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2인덱싱 요소의 관상 연장부는, 적절히 제1인덱싱 요소의 관상 연장부와 동일한 축방향 레벨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2인덱싱 요소의 관상 연장부는 제1인덱싱 요소의 관상 연장부 보다 길거나 또는 짧을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제1 및 적어도 2개의 제2인덱싱 요소를 포함하는 인덱싱 요소의 비대칭적 분포가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반영되며, 그에 따라 상기 2개의 제2인덱싱 요스들 사이의 이격거리(spacing)는 상기 제1인덱싱 요소의 임의의 2개 사이의 이격거리와는 상이하다. 2개의 제2인덱싱 요소는 서로의 옆에 놓일 필요가 없다. 상기 2개의 제2인덱싱 요소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제1인덱싱 요소가 있을 수 있다. 또한, 2개 이상의 제2인덱싱 요소가 있다면, 그들 중 일부는 상이한 이격거리를 갖는 한 쌍의 제2인덱싱 요소가 식별(identify)되는 한, 제1인덱싱 요소들 사이의 이격거리와 동일한 거리로 이격될 수 있다. 이 비대칭의 장점이 하기에 설명될 것이다. 대응하는 짝을 이루는 제3 및 제4인덱싱 요소를 갖는 치과 고정체에 치과 부품이 연결되는 것을 가정한다면, 제3인덱싱 요소는 치과 부품의 제1인덱싱 요소와 짝을 이루도록 지정되며, 제4인덱싱 요소는 치과 부품의 제2인덱싱 요소와 짝을 이루도록 지정되며, 그후 오직 하나의 정확한 회전 방향이 있을 것이다. 제2인덱싱 요소의 첨단 단부가 선단에 있고 그리고 먼저 치과 고정체와의 접촉을 형성하는 첫 번째이기 때문에, 상기 제2인덱싱 요소의 쌍 사이의 뚜렷한 이격거리 때문에, 이들은 상이하게 이격된 제3인덱싱 요소와 부주의하게 짝을 이룰 수 없다.
적어도 하나의 제2인덱싱 요소가 안내 기능 또는 선단 기능을 형성하고 또한 적어도 하나의 이어지는 제1인덱싱 요소가 최종 회전 로킹 기능을 따르게 하기 위해, 제2인덱싱 요소가 제1인덱싱 요소와 동일한 관상-첨단 레벨로 있을 필요는 없다. 전체적인 제2인덱싱 요소는 제1인덱싱 요소의 첨단 단부의 첨단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인덱싱 요소는 고정체 결합 부분의 첨단 서브-부분(sub-portion)에서 짧은 돌출부 또는 오목부일 수 있으며, 제1인덱싱 요소의 첨단 단부는 고정체 결합 부분의 관상 서브-부분에서 그것에 관상으로(coronally) 위치된다. 일단 제2인덱싱 요소가 고정체의 어울리는 인덱싱 요소와 결합되면, 치과 부품은 고정체를 향해 그 상대 운동을 계속할 것이며, 그리고 궁극적으로 제1인덱싱 요소도 어울리는 인덱싱 요소와 결합할 것이다(선단의 제2인덱싱 요소를 수용하는 고정체의 인덱싱 요소는 치과 부품의 상기 계속된 운동을 허용하기에 충분히 긴 것으로 가정된다). 따라서, 위에 논의한 것을 고려하여,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고정체 결합 부분의 중심 축선과 직교하며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1인덱싱 요소의 첨단에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제2인덱싱 요소에 관상으로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하학적 평면이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인덱싱 요소는 상기 제1인덱싱 요소들 중 2개 사이에 개재된 적어도 3개의 방사방향으로 돌출하는 제2인덱싱 요소로서 배치되며, 상기 적어도 3개의 제2인덱싱 요소들 중 각각의 하나가 상기 제1인덱싱 요소의 첨단 단부의 첨단에 위치된다. 이것은 치과의사가 고정체에서 치과 부품의 정확한 회전 방향을 탐색하고자 할 때 증가된 안정성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인덱싱 요소는 예를 들어 2개, 3개, 4개 또는 그 이상의 인덱싱 요소일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치과 부품의 고정체 결합 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인덱싱 요소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인덱싱 요소가 방사방향으로 돌출하는 원통형 표면을 포함한다. 이것은 제조 관점에서 유리하다. 그러나, 인덱싱 요소가 다른 표면으로부터, 예를 들어 테이퍼진 표면으로부터 방사방향으로 돌출하게 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인덱싱 요소가 테이퍼진 표면상에 배치되면, 제2인덱싱 요소의 첨단 단부가 제1인덱싱 요소의 첨단 단부의 첨단에 배치되는 한, 그 치수가 동일할 수 있다(이것은 제2인덱싱 요소의 첨단 단부를 고정체 결합 부분의 중심 축선에 가깝게 가져와서 고정체와 짝을 이룰 때 더 큰 유극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제1인덱싱 요소의 개수는 제2인덱싱 요소의 개수 보다 많다. 제2인덱싱 요소의 개수가 적절히 2개 또는 3개일 수 있는 반면에, 회전 로킹을 완성하는 이어지는 제1인덱싱 요소는 증가된 강도를 위해 적절히 그 이상일 수 있다. 이것은 치과 부품이 드라이버(driver)라면 특히 유리할 수 있으며, 인덱싱 요소는 이것을 턱뼈 내로 구동시킬 때 토오크(torque)를 치과 고정체로 전달하도록 된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인덱싱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첨단 단부는 모따기부(chamfer)를 갖는다. 모따기부는 치과 고정체에서 인덱싱 요소[홈(groove)과 같은]와의 짝이룸(mating)을 촉진시킬 수 있다. 하기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치과 부품이 2개의 비대칭적으로 분포된 제2인덱싱 요소를 가질 때 다른 장점이 발견된다.
치과 부품의 고정체 결합 부분이 고정체 내로 삽입될 때, 치과의사는 치과 부품의 인덱싱 요소를 고정체의 짝을 이루는 인덱싱 요소와 정렬시키기 위해 치과 부품을 회전시킬 것이다. 2개의 제2인덱싱 요소의 제공은 이들 인덱싱 요소들 중 하나가 고정체의 잘못된 인덱싱 요소와의 결합할 위험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소시킨다. 그러나, 제2인덱싱 요소가 다른 제2인덱싱 요소의 지지 기능에도 불구하고 치과 부품의 회전에 따라 치과 고정체의 잘못된 인덱싱 요소(홈과 같은) 내로 우연히 떨어지면, 치과의사가 치과 부품상에 회전력을 계속 적용할 때, 그 제2인덱싱 요소상에 모따기부의 제공은 일시적인 부정확한 결합으로부터 제2인덱싱 요소의 상승(lifting)을 촉진시킬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인덱싱 요소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인덱싱 요소는 관상-첨단 방향으로 가늘고 긴(elongate) 연장부를 갖는다. 이것은 방사방향으로 돌출하는 인덱싱 요소가 더 짧은 연장부를 갖는 경우에 비해 회전 로크에 추가적인 강도를 제공한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치과 부품은 지대치, 지대치 모형, 지대치 블랭크(blank), 주문제작된 지대치, 스캔(scan) 지대치, 디지탈 전달 코핑(coping), 인상(impression) 픽업 요소, 치유용 덮개, 및 드라이버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부품이다.
예를 들어, 주문제작된 지대치는 환자의 주변 조직 및 치아의 윤곽에 적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치과의사가 주문제작된 지대치를 의도된 회전 방향으로 용이하게 끼울 수 있다면 유리하다.
그 회전 방향을 나타내며 또한 치과 고정체에 연결되는 일부 구별되는 특징을 갖는 디지탈 전달 코핑이 스캔될 수 있으며, 또한 그후 디지탈 파일이 지대치 제조자에게로 전송된다. 디지탈 파일은 구별되는 특징의 위치 및 방향 그리고 그에 따라 치과 고정체의 위치 및 방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것이다.
독특한 마킹(marking)을 갖는 드라이버는, 고정체가 턱뼈 및 구강 공동의 다른 주변 특징부에 대해 원하는 방향으로 삽입되었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표시부(indication)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체는 경사진 관상 단부를 가질 수 있다. 드라이버는 독특한 마킹이 고정체의 경사진 단부의 바로 상부와 정렬되도록 삽입되는 것으로 의도될 수 있다. 따라서, 턱뼈 내로 고정체의 회전 중, 치과의사는 독특한 마킹을 봄으로써 고정체 및 그 경사 단부의 회전 방향을 알 것이다. 따라서, 치과의사가 고정체에 대해 드라이버를 의도된 위치 내로 용이하게 끼울 수 있다면 유리하다.
본 발명의 제2면에 따라, 치과 임플란트가 제공된다. 치과 임플란트는 고정체 결합 부분을 포함하는 치과 부품, 및 턱뼈 내로 삽입되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고정체 결합 부분과 짝을 이루도록 된 부품 결합 부분을 포함하는 치과 고정체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체 결합 부분은 첨단 단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1인덱싱 요소, 및 첨단 단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인덱싱 요소를 가지며, 상기 부품 결합 부분은 관상 단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3인덱싱 요소, 및 관상 단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4인덱싱 요소를 가지며, 상기 제2인덱싱 요소의 첨단 단부는 제1인덱싱 요소의 첨단 단부의 첨단에 위치되며 및/또는 상기 제4인덱싱 요소의 관상 단부는 제3인덱싱 요소의 관상 단부에 관상으로 위치되며, 상기 제1인덱싱 요소는 제2인덱싱 요소가 제4인덱싱 요소와 짝을 이룬 후 제3인덱싱 요소와만 짝을 이루는 것이 가능해지며, 제1인덱싱 요소와 상기 짝을 이룬 제3인덱싱 요소 사이의 임의의 유극은 제2인덱싱 요소와 제4인덱싱 요소 사이의 유극 보다 작으며, 그에 의해 제2 인덱싱 요소와 제4인덱싱 요소 사이의 끼움에 비해 제1인덱싱 요소와 제3인덱싱 요소 사이에 더 타이트한 끼움이 제공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인덱싱 요소는 단일의 제2인덱싱 요소이거나 또는 고정체 결합 부분의 원주를 따라 비대칭적으로 분포된 적어도 2개의 제2인덱싱 요소이다.
따라서, 제2 및 제4인덱싱 요소는 고정체에 대해 치과 부품을 원하는 회전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작용할 것이다. 일단 이 회전 방향이 발견되었다면, 그리고 치과 부품이 첨단에서 계속 변위되었다면, 제1 및 제3인덱싱 요소는 그후 최종적인 회전 정지를 제공하도록 서로 결합할 것이다. 제1 및 제3인덱싱 요소가 치과 부품과 치과 고정체 사이의 작은 회전 운동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적절히 상대적으로 타이트한 끼움을 형성하는 반면에, 제2인덱싱 요소와 제4인덱싱 요소 사이의 끼움은 상대적으로 큰 유극(예를 들어, 횡방향 유극 또는 방사방향 유극)을 갖는다.
제2 및 제4인덱싱 요소들 사이의 유극은, 제2인덱싱 요소가 제4인덱싱 요소에 의해 더욱 용이하게 수용됨에 따라 이런 유극이 없는 경우 보다 치과의사가 원하는 회전 방향을 발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제1 및 제3인덱싱 요소들 사이의 타이트한 끼움은 동일한 회전 위치가 다단계 처리를 통해, 예를 들어 고정체에 연결된 치과 부품과의 느낌을 주는 것(전달 코핑과 같은), 느낌에 기초하여 모델을 만드는 것, 모델에 기초하여 다른 치과 부품(지대치와 같은)을 만드는 것, 및 후자의 치과 부품을 치과 고정체에 연결하는 것을 통해 얻어지는 것을 보장한다. 비록 작더라도 각각의 단계에서의 잠재적 회전 에러는 결국에는 큰 회전 에러를 초래할 수 있다. 제1인덱싱 요소와 제3인덱싱 요소 사이의 타이트한 끼움은 각각의 단계에서 회전 에러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제2 및 제4인덱싱 요소들 사이의 더 큰 유극은 다양한 방법으로 얻어질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제2인덱싱 요소는 제1인덱싱 요소 보다 필수적으로 더 작은 치수를 가질 필요가 없다. 실제로, 제2 및 제4인덱싱 요소는 제2 및 제4인덱싱 요소들 사이의 관계가 제1 및 제3인덱싱 요소들 사이의 임의의 유극 보다 더 큰 유극이 얻어지도록 형성되는 한, 제1 및 제3인덱싱 요소 보다 더 큰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인덱싱 요소는 치과 부품의 고정체 결합 부분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방사방향 돌출부로서 제공되며, 또한 상기 제3 및 제4인덱싱 요소는 치과 고정체의 부품 결합 부분의 표면에 방사방향 함몰부(depression)로서 제공된다. 그러나, 이것은 반대로(the other way around), 이것을 고정체상의 돌축부 및 치과 부품의 함몰부로 갖는 것도 가능하다. 제1 및 제3인덱싱 요소의 짝이룸 전에 제2 및 제4인덱싱 요소가 짝을 이루는 한, 다른 혼합된 대안도 가능하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제1, 제2, 제3, 및 제4인덱싱 요소는 치과 부품이 치과 고정체에 대해 오직 하나의 회전 방향으로만 짝을 이룰 수 있는 방식으로 고정체 결합 부분 및 부품 결합 부분의 원주를 따라 각각 분포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일부 경우에 있어서 정확한 회전 방향인 것이 자명하며, 일부 인덱싱 요소를 다른 것 앞에서 짝을 이루게 함으로써 치과 고정체에 대해 치과 부품의 결합을 촉진시키는 것이 충분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있어서, 정확한 회전 방향이 자명하지 않을 때, 치과의사 또는 다른 사람이 치과 부품을 치과 고정체에 대해 부정확한 회전 방향으로 부주의하게 배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인덱싱 요소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제2인덱싱 요소로부터 원주방향으로 분리되며,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인덱싱 요소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제4인덱싱 요소로부터 원주방향으로 분리된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제2면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의 치과 부품은 본 발명의 제1면과 관련하여 논의된 특징들을 갖는 치과 부품이다. 치과 임플란트의 고정체는 치과 부품의 특징들과 어울리는/관련된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면에 따라, 턱뼈 내로 삽입되도록 된 치과 고정체가 제공된다. 치과 고정체는 치과 부품의 고정체 결합 부분과 짝을 이루도록 된 부품 결합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부품 결합 부분은 기하학적 중심 축선을 가지며 또한 관상 단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방향으로 만입된(indenting) 첨단 인덱싱 요소, 상기 첨단 인덱싱 요소의 관상 단부에 관상으로 위치된 관상 단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방향으로 만입된 관상 인덱싱 요소를 가지며, 상기 관상 인덱싱 요소의 관상 단부의 방사방향으로 가장 먼 영역은 첨단 인덱싱 요소의 관상 단부의 방사방향으로 가장 먼 영역 보다 상기 중심 축선으로부터 더 큰 거리에 위치되며, 및/또는 상기 관상 인덱싱 요소의 관상 단부는 첨단 인덱싱 요소의 관상 단부에 비해 부품 결합 부분의 원주 방향으로 더 큰 치수를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첨단 인덱싱 요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상 인덱싱 요소 중 임의의 하나로부터 원주방향으로 분리되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상 인덱싱 요소는 단일의 관상 인덱싱 요소이거나 또는 부품 결합 부분의 원주를 따라 비대칭적으로 분포된 적어도 2개의 관상 인덱싱 요소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면의 치과 고정체는 본 발명의 제1면의 치과 부품 및 본 발명의 제2면의 치과 임플란트와 대응하는 원리에 기초하고 있다. 치과 고정체가 치과 고정체의 인덱싱 요소에 의해 수용되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의 방사방향 돌출부의 형태로 인덱싱 요소를 갖는 치과 부품과 짝을 이루는 것으로 가정하여, 아래가 서술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관상 인덱싱 요소가 적어도 하나의 첨단 인덱싱 요소에 관상으로 위치된 관상 단부를 갖기 때문에, 관상 인덱싱 요소가 먼저 치과 부품의 짝을 이룬 돌출부를 수용할 것이며, 따라서 첨단 인덱싱 요소가 그 짝을 이룬 돌출부를 수용하여 삽입을 완료하기 전에, 안내부로서 작용한다. 관상 인덱싱 요소의 관상 단부가 더 큰 치수를 갖거나 또는 중심 축선으로부터 더 큰 방사방향 거리에 배치되기 때문에, 이것은 관상 인덱싱 요소에 들어가는 방사방향 돌출부를 위해 더 큰 유극을 제공할 것이며, 그에 따라 삽입을 촉진시킨다. 첨단 인덱싱 요소의 더 작은 유극(만약 있다손 치더라도)은 타이트한 회전 로크를 제공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3면에 따른 치과 고정체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면과 관련하여 언급된 치과 고정체의 특징들 중 임의의 하나 및/또는 하기에 언급된 치과 고정체의 특징들 중 임의의 하나를 가질 수 있다.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치과 임플란트는 치과 고정체 및 치과 부품을 포함한다.
치과 고정체는 치아 보철의 정착(anchoring) 부재로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치과 고정체는 치아 보철이 요구되는 지역에서 턱뼈[상악골(maxilla) 또는 하악골(mandible)]의 뼈 조직의 미리 준비된 시추공(bore hole) 내로 삽입 가능하다. 치과 고정체는 통상적으로 시추공 내로 회전된다.
나사-타입 치과 고정체에 대해, 시추공은 미리 내측 나사를 가질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고정체 나사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축방향으로-연장되는 절단 오목부, 엣지 또는 노치(notch), 등의 제공에 의해 자체-태핑(self-tapping) 능력을 갖는 치과 고정체로 태핑되지 않은(un-tapped) 채로 남겨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체의 첨단 단부 부분은 3개의 절단 오목부와 같은, 2-4개의 절단 오목부를 가질 수 있다. 절단 오목부의 다른 개수도 용이하게 가능하다.
치과 부품은 이미 논의된 바와 같이 많은 상이한 부품들 중 임의의 하나일 수 있다. 일 예는 치과 고정체를 턱뼈 내로 삽입하기 위한 드라이버이다. 다른 예는 보철 부분을 고정체에 연결하기 위한 상부구조이다. 상부구조는 지대치, 스페이서, 또는 상악골 또는 하악골 위에 놓인 잇몸을 연결하기 위해 치과 고정체와 결합하는 다른 경점막(transmucosal)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보철 부분, 예를 들어 치관(crown), 브릿지(bridge), 또는 틀니(denture)가 지대치에 고정될 수 있다. 상부구조가 취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형태가 있다. 예를 들어, 보철 부분은 치과 고정체에 직접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그리고 이 출원을 통해 "관상(coronal)"이라는 용어는 치과 임플란트의 헤드 단부 또는 이어지는 단부를 향한 방향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치아 지대치가 치과 고정체에 연결되는 상황에 있어서, 지대치의 관상 방향은 고정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인 지대치의 부분을 향한 방향이다. 역으로, "첨단(apical)"이라는 용어는 부품의 선단 단부 또는 삽입을 향한 방향을 나타낸다. 따라서, 첨단과 관상은 반대 방향이다. 또한, "축의", "축 방향", 또는 "축방향으로"라는 용어는 이 출원 전체를 통해 관상 단부로부터 첨단 단부로 또는 그 역으로 취해진 방향을 나타낸다. "방사의", "방사방향", 또는 "방사방향으로"라는 용어는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막힌(blind) 구멍 또는 소켓은 고정체에 고정되는 상부구조를 위해 관상 단부로부터 고정체 본체의 첨단 및 관상 단부들 중간의 단부 표면으로 고정체 본체 내로 첨단으로 연장될 수 있다. 소켓은 고정체에 치과 부품의 나사 연결을 위한 내측-나사형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치과 부품을 위한 회전 로크가 내측의 다각형 측벽, 예를 들어 6각형과 같은 소켓에 또는 대안적으로 소켓의 벽의 만입부(indentation) 또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돌출부에 제공될 수 있다. 관상 부분과 같은 소켓의 부분은 첨단 단부를 향해 테이퍼질 수 있다. 테이퍼진 부분은 내측-나사형 부분에 관상으로 적절히 배치된다.
고정체는 하나의 단계 과정(procedure) 또는 2개의 단계 과정에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단계 과정에 있어서, 치료적인 또는 일시적인 지대치가 잇몸 조직을 형성하기 위해 고정체에 연결되며, 또한 치료 기간 후 상기 치료적인 또는 일시적인 지대치는 영구적인 지대치로 대체된다. 2개의 단계 과정에 대해, 고정체는 커버 나사를 가지며 또한 잇몸 조직은 고정체 및 커버 나사 위에 봉합되며, 또한 치료 기간 후 조직이 다시 열리고(open up) 그리고 커버 나사의 제거 후 지대치가 고정체에 연결된다.
치과 고정체는 관상 단부를 향해 테이퍼진 원추방향으로 테이퍼진 단부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이 관상 단부 부분의 축방향 정도(extent)는 고정체의 전체 길이에 비해 예를 들어 1.5% 내지 3.7% 와 같은 전체 길이의 겨우 4% 로 작다. 관상 단부 부분은 예를 들어 매끄러운 또는 거친[블래스팅된(blasted) 것과 같은] 표면을 갖는 나사형 표면 없이 적절히 제공될 수 있다.
고정체는 고정체의 길이방향 축선과 직교하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관상 단부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관상 단부 표면은 예를 들어 턱뼈 내에 위치되었을 때 고정체의 길이가 혀측(lingual side)상에서 크고 그리고 고정체의 구강측(buccal side)상에서 짧도록, 고정체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경사진 윤곽을 가질 수 있다. 다른 대안은 안장(saddle)-형상 또는 파도(wave)-형상 관상 단부 표면이다.
치과 고정체의 길이는 임상 상태에 따라 5-19 mm 범위일 수 있다. 치과 고정체의 외경은 3-5 mm 와 같은 2-6 mm 의 범위에 적절히 있을 수 있다.
고정체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이거나 또는 관상 단부로부터 첨단 단부를 향해 미세하게 테이퍼질 수 있다. 고정체가 미세한 테이퍼링(tapering)을 가지면, 고정체의 코어와 예를 들어 나사 상부에 의해 형성된 외주는 동일한 또는 상이한 테이퍼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고정체의 코어는 원통형일 수 있는 반면에, 나사 상부는 원추형을 서술하고 있으며 또는 역으로 고정체의 코어는 테이퍼질 수 있는 반면에 나사 상부는 일반적으로 원통형 기하학적 구조를 서술한다. 대안적으로, 고정체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원통형 및/또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테이퍼진 부분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체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부분은 예를 들어 공통의 가상 원통형 표면에 놓인 나사 상부를 가질 수 있으며, 그 원통형 표면이 고정체의 길이방향 축선과 평행하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고정체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부분은 첨단 방향이 길이방향 축선을 향해 테이퍼진 가상의 원추형 표면에 놓이는 나사 상부를 가질 수 있다.
외측의 나사형 고정체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나선(thread spiral)을 포함할 수 있다.
"피치(pitch)"라는 용어는 나사의 인접한 상부들 사이의 축방향 거리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리드(lead)"라는 용어는 고정체가 1회전 하였을 때 길이방향 축선과 평행하게 진행된 거리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며, 즉 이것은 나선의 개수에 곱해진 피치에 대응한다. 일정한 피치를 갖는 단일의 나선에 대해 리드는 피치와 동일하며, 이중 나선에 대해 리드는 피치의 2배이다.
"마이크로나사(microthread)"라는 용어는 0.2 mm 보다 크지 않은 높이를 갖는 나사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고정체는 0.05-0.15 mm 와 같은 0.02-0.2 mm 의 범위, 예를 들어 0.1 mm 의 높이를 갖는 마이크로나사를 갖는다. "매크로나사(macrothread)"라는 용어는 0.2 mm 보다 큰 높이를 갖는 나사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고정체는 0.3 mm 와 같은 0.25-0.35 mm 범위의 높이를 갖는 매크로나사를 갖는다.
적절히, 마이크로나사는 매크로나사에 관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나사는 밀집된 피질 골(crotical bone)과 결합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또한 매크로나사는 다공성 갯솜뼈(spongious bone)/해면골(cancellous bone)과 결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나사의 리드는 매크로나사의 리드에 적절히 대응한다. 매크로나사 피치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나사의 피치의 3배와 같은 2-4배일 수 있다. 마이크로나사를 갖는 고정체의 피치(상부-상부 이격거리)는 약 0,10-0.30 mm, 예를 들어 0.20-0.24 mm 일 수 있다. 매크로나사를 갖는 고정체 부분의 피치(상부-상부 이격거리)는 약 0,30-0.90 mm, 예를 들어 0.60-0.72 mm 일 수 있다.
마이크로나사는 한정된, 배향된 거칠기(roughness)로서 간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래스팅(blasting), 에칭 등에 의해 얻어진 더 작은 치수를 갖는 비-배향된 거칠기는 매크로나사뿐만 아니라 마이크로나사상에도 중첩될 수 있다.
나사 프로필은 2개의 플랭크(flank), 상기 2개의 플랭크를 상호연결하는 상부, 2개의 인접한 나사들 사이에 형성된 바닥을 포함하며, 상기 플랭크는 고정체 축선과 직교하는 평면과 예각(v)을 형성하며, 상기 예각(v)은 고정체 축선의 연장부를 포함하는 평면에 놓이며, 상기 프로필은 높이(D)를 추가로 갖는다. 상부는 굴곡될 수 있으며 또한 상부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적절히, 10°≤ v ≤ 35°에 대해 상부 반경은 0.4×D 보다 크며, 또한 35°≤ v ≤ 55°에 대해 상부 반경은 0.2×D 보다 크다.
도1은 치과 고정체에 대해 특정한 회전 방향으로 치과 고정체에 연결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치과 부품을 도시하며, 상기 치과 부품 및 치과 고정체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를 함께 제공한다. 또한, 도1은 동일한 치과 고정체에 대해 많은 상이한 회전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는 다른 치과 부품을 도시하고 있다.
도1a는 도1의 치과 고정체의 평면도이다.
도1b-1c는 도1의 치과 부품의 저면도들이다.
도2는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치과 부품의 고정체 결합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도3a-3e는 상이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치과 부품상에 제1 및 제2인덱싱 요소의 원주방향 분포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4는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치과 고정체에 연결되는 드라이버의 형태인 치과 부품을 도시하고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치과 부품을 도시하고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치과 부품을 도시하고 있다.
도7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치과 고정체를 도시하고 있다.
도8은 특정한 회전 방향으로 치과 고정체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치과 부품을 도시하며, 상기 치과 부품 및 치과 고정체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를 함께 제공한다.
도8a는 이들 부품들이 연결되었을 때 치과 부품의 인덱싱 요소와 치과 고정체의 인덱싱 요소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8b는 도8의 치과 부품의 저면도이다.
도9, 9a-9c, 및 10a-10b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치과 부품의 고정체 결합 부분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5에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치과 부품(402)이 도시되어 있다. 치과 부품(402)은 예를 들어 지대치, 지대치 모형, 또는 지대치 블랭크일 수 있다. 치과 부품(402)은 중심 관통구멍(through-hole)(444)을 가지며, 이것을 통해 본체 부분을 고정체 연결하기 위해 나사 부분(도시되지 않음)이 치과 고정체의 내측 나사로 삽입될 수 있으며 또한 연결될 수 있다. 본체 부분(440)은 고정체 결합 부분(446)을 포함하며, 테이퍼링과 같은 다른 포락면(包絡面)(enveloping surface)이 상상할 수 있는 대안일 수도 있지만, 이것은 여기에서 일반적으로 원통형 포락면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체 부분(440)은 잇몸 위로 고정체에 관상으로 연장되는 치아 치관-수용 또는 보철-수용 부분(448)을 추가로 포함한다. 여기에서 숄더(shoulder)(452)까지 관상형으로 벌어지는 것으로 도시된 연장부 부분(450)은 잇몸을 통해 연장되는 것으로 의도되며 또한 고정체 결합 부분(446)과 보철-수용 부분(448) 사이에 제공된다. 치과 부품(402)이 지대치 블랭크로서 제공되는 경우에 있어서, 연장부 부분(450) 및 보철-수용 부분(448) 중 적어도 하나는 원하는 형태로 추가로 처리될 수 있으며, 이것은 결과적인 처리된 지대치를 수용하는 환자를 위해 적절히 주문제작될 수 있다.
고정체 결합 부분(446)은 첨단 단부(462a)를 갖는 방사방향으로 돌출하는 제1인덱싱 요소(460a), 및 첨단 단부(462b)를 갖는 방사방향으로 돌출하는 제2인덱싱 요소(460b)를 갖는다. 제2인덱싱 요소(460b)의 첨단 단부(462b)는 제1인덱싱 요소(460a)의 첨단 단부(462a)의 첨단에 위치된다. 제2인덱싱 요소(460b)의 첨단 단부(462b)는 제1인덱싱 요소(460a)의 첨단 단부(462a)에 비해, 고정체 결합 부분(446)의 원주 방향으로 더 작은 치수를 갖는다. 실제로,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전체적인 제2인덱싱 요소(460b)는 제1인덱싱 요소(460a) 보다 더 협소하다.
고정체 결합 부분(446)의 원주를 따라, 제1인덱싱 요소(460a)는 제2인덱싱 요소(460b)의 위치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되며, 즉 제1인덱싱 요소(460a)는 제2인덱싱 요소(460b)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달리 표현하면, 원통형 좌표 시스템(γ, φ, z)에 있어서, z 축선은 결합 부분(446)의 중심의 기하학적 축선과 일치하며, 각도(φ)는 제1인덱싱 요소(460a) 및 제2인덱싱 요소(460b)와는 상이할 것이다.
제1인덱싱 요소(460a) 및 제2인덱싱 요소(460b)의 전체적인 축방향 연장부는 제1인덱싱 요소(460a) 및 제2인덱싱 요소(460b)가 고정체 결합 부분(446)의 중심 축선과 직교하는 공통의 기하학적 평면에 의해 교차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1인덱싱 요소(460a)의 축방향 연장부는 제2인덱싱 요소(460b)의 축방향 연장부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쳐진다.
이 치과 부품(402)은 크기 면에서 치과 부품(402)의 제1인덱싱 요소(460a)와 어울리는 인덱싱 만입부/오목부/함몰부의 형태로 인덱싱 요소를 갖는 치과 고정체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치과 부품(402)이 고정체와 접촉될 때, 제2인덱싱 요소(460b)가 선단이 될 것이며 또한 고정체의 관련된 인덱싱 만입부에 먼저 들어갈 것이다. 제2인덱싱 요소(460b)가 치수가 작기 때문에, 인덱싱 만입부에 대해 일정한 유극이 있을 것이며 그리고 따라서 짝이룸을 촉진시킨다. 일단 제2인덱싱 요소(460b)가 고정체의 그 관련된 인덱싱 만입부와 짝을 이루었다면, 치과 부품(402)의 이어지는 제1인덱싱 요소(460a)는 실질적으로 그 관련된 인덱싱 만입부와 정렬될 것이다. 따라서, 치과 부품(402)이 고정체 내로 계속 삽입될 때, 제1인덱싱 요소(460a)는 고정체의 그 관련된 인덱싱 만입부와 용이하게 짝을 이룰 것이다. 제1인덱싱 요소(460a)와 그 관련된 인덱싱 만입부 사이의 끼움이 적은(만일 있다손 치더라도) 유극을 제공하기 때문에, 치과 부품(402)의 회전 위치가 잘 형성될 것이다. 따라서, 선단의 그리고 치수가 작은 제2인덱싱 요소(460b)가 초기 안내/정렬 기능을 갖는 반면에, 이어지는 제1인덱싱 요소(460a)는 회전 로킹을 완성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시된 목적을 위해, 제1인덱싱 요소(460a) 및 제2인덱싱 요소(460b)는 고정체 결합 부분(446)상에서 서로 작은 거리로 배치되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이격거리는 상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클 수 있다. 유사하게, 숙련자는 인덱싱 요소(460a, 460b)의 다른 형상 및 치수가 용이하게 가능한 것임을 인식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 부품(502)을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치과 부품(502)은 5개의 이어지는 인덱싱 요소(560)(도면에는 단지 3개만 볼 수 있다) 및 선단의 더 협소한 하나의 제2인덱싱 요소(561)를 갖는다. 치과 부품(502)은 예를 들어 인덱싱 만입부/함몰부/오목부의 형태로 대칭적으로 분포된 6개의 인덱싱 요소를 갖는 치과 고정체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치과의사는 치과 부품(502)을 위해 6개의 회전 방향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치과의사가 원하는 회전 방향을 결정하였을 때, 치과 부품(502)은 선단의 치수가 작은 제2인덱싱 요소(561)를 고정체의 그 관련된 인덱싱 만입부와 짝을 이루는 첫 번째가 되게 함으로써, 치과 고정체에 연결된다. 그후, 이어지는 5개의 제1인덱싱 요소(560)가 고정체의 그 관련된 인덱싱 만입부와 짝을 이룰 것이다.
도6의 치과 부품(502)은 고정체 결합 부분의 둘레로 인덱싱 요소(560, 561)의 대칭적인 분포를 도시하고 있어, 치과 고정체에 대해 상이한 회전 방향을 허용하고 있는 반면에, 치과 고정체에 대해 단지 하나의 가능한 회전 방향을 갖도록 의도된 다른 실시예가 있다. 예를 들어, 도5의 치과 부품(402)은 짝을 이루는 치과 고정체가 단지 2개의 대응하는 인덱싱 만입부를 가지면, 하나의 회전 방향으로만 삽입될 수 있다. 단지 하나의 가능한 회전 가능한 방향을 갖는 실시예의 다른 예가 도1-4 및 도8에 제공된다.
도1-4 및 도8의 각각의 도면은 제1 및 제2인덱싱 요소를 갖는 치과 부품을 도시하고 있으며, 이들 도면들 중 일부는 제3 및 제4인덱싱 요소를 갖는 치과 고정체도 도시하고 있다.
도1은 치과 고정체(4)에 대해 특정한 회전 방향으로 치과 고정체(4)에 연결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치과 부품(2)을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치과 부품(2) 및 치과 고정체(4)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를 함께 제공한다. 또한, 도1은 동일한 치과 고정체(4)에 대해 많은 상이한 회전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는 다른 치과 부품(6)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에 도시된 치과 고정체(4)는 고정체(4)의 관상 단부(12)로부터 첨단으로 연장되는 관상 부분(8), 및 고정체(4)의 첨단 단부(14)로부터 관상으로 연장되는 첨단 부분(10)을 갖는다.
첨단 부분(10)은 턱뼈의 시추공 내로 고정체(4)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고정체(4)의 첨단 단부(14)를 향한 원추 테이퍼링을 가질 수 있다.
고정체(4)는 나사의 형태로 도시된 예에서 표면 구조물이 돌출하는 코어를 갖는다.
관상 부분(8)은 1개, 2개, 4개, 또는 그 이상의 나선과 같은 다른 개수가 가능하지만, 여기에서 예를 들어 3개의 나선을 갖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이크로나사(16)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마이크로나사(16)가 도시되었지만, 적어도 대안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관상 부분(8)은 분리된 나선으로서 또는 첨단 부분(10)의 나선의 연속부로서, 첨단 부분(10)과 유사하게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크로나사(18)를 갖는다. 적어도 다른 대안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마이크로나사(16) 대신에, 관상 부분은 복수의 환형 융기부(ridge)를 가질 수 있으며, 이것은 육안(naked eye)으로 마이크로나사와 동일한 시각적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대안은 비드(bead)의 원주방향 라인(line) 또는 팽창부(bulge)와 같은 비-배향된/임의로 제공된 돌출부이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첨단 부분(10)의 매크로나사(18)는 관상 부분(8)의 마이크로나사(16)와 동일한 리드를 갖는다. 그러나, 매크로나사(18)의 피치는 마이크로나사(16)의 피치의 3배인데, 그 이유는 마이크로나사(16)가 3개의 나선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매크로나사(18)를 포함하는 첨단 부분(10)은 여기에서는 하나의 나선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그러나 첨단 부분(10)은 대안적으로 2개 또는 그 이상의 나선을 가질 수 있다.
여기에 도시된 관상 부분(8)의 길이는 1.5 mm 와 같은 약 1-2 mm 일 수 있다. 그러나, 더 짧거나 또는 더 긴 길이가 용이하게 가능하다. 또한, 관상 부분(8)의 상대적 길이는 고정체(4)의 전체 길이의 5-50%와 같은 넓은 범위로, 예를 들어 10-20% 로 선택될 수 있다.
관상 부분(80)은 테이퍼진 단부 부분(20)을 포함하며, 이것은 고정체(4)의 관상 단부(12)를 향해 테이퍼진다. 테이퍼진 단부 부분(20)은 고정체(4)의 전체 길이의 4% 보다 크지 않다. 테이퍼진 단부 부분(20)의 표면은 비-나사형일 수 있으며, 매끄럽거나 또는 블라스팅될 수 있다(또는 달리 거칠 수 있다).
절단 오목부(22) 또는 홈은 첨단 단부(14)로부터 관상으로 연장된다. 절단 오목부(22)의 개수는 2개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 상악골 또는 하악골에 제공된 시추공 내로 나사결합될/회전될 때 고정체(4)의 자체-태핑을 위해 고정체(4)의 첨단 단부(14)의 원주 주위로 적절히 대칭적으로 위치되는 3개 또는 4개의 절단 오목부일 수 있다.
개방 단부를 갖는 소켓(24)이 고정체(4)의 관상 단부(12)에 제공된다. 소켓(24)은 고정체(4) 내로 첨단으로 연장된다. 소켓(24)은 시추공 위에 놓인 잇몸을 연결하고 또한 보철 부분을 지지/제공할 도시된 지대치와 같은 치과 부품(2)을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지대치 모형, 드라이버, 치유용 덮개, 인상 픽업 요소, 디지탈 전달 코핑 등과 같은 다른 치과 부품들을 수용할 수도 있다.
다양한 대안적인 구성이 가능하지만, 소켓(24)은 여기에서 원추형 관상 부분(26) 및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중간 벽 부분(28)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여기에서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부(30a-30g)로 도시된 7개의 인덱싱 요소(30a-30g)가 중간 벽 부분(28)에 제공된다(도1a 참조). 중간 벽 부분(28) 및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부(30a-30g)는 고정체(4)의 부품 결합 부분으로서 작용한다. 중간 벽 부분(28)의 관상 단부는 상기 7개의 오목부(30a-30g)에 의해 형성된 간극(gap)을 갖는 선반(shelf)(32)을 형성한다. 6개의 오목부(30a-30e, 30g)는 중간 벽 부분(28)의 원주를 따라 등간격으로 분포된다. 제7오목부(30f)는 등간격으로 분포된 상기 6개의 오목부들 중 2개(30e, 30g) 사이에 개재된다. 이것이 도1a의 평면도로 명확히 도시되어 있다.
소켓(24)은 내측 나사형 첨단 부분(34)을 추가로 갖는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치과 부품(2)은 여기에서 본체 부분(40) 및 나사 부분(42)으로 구성된 2부재형(two-piece) 지대치(2)로서 도시되었다. 지대치(2)의 본체 부분(40)은 관통 구멍(44)을 가지며, 상기 나사 부분(42)은 관통 구멍(44) 내로 삽입되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본체 부분(40)을 고정체(4)에 고정하기 위해 고정체(4)의 내측 나사(34)와 결합한다. 본체 부분(40)은 고정체 결합 부분(46)을 포함하며, 테이퍼링과 같은 다른 포락면이 가능한 대안이지만, 이것은 여기에서 일반적으로 원통형 포락면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본체 부분(40)은 잇몸 위로 고정체(4)에 관상으로 연장되는 치아 치관-수용 또는 보철-수용 부분(48)을 추가로 포함한다. 여기에서 숄더(52)까지 관상으로 벌어지는 것으로 도시된 연장부 부분(50)은, 잇몸을 통해 연장되는 것으로 의도되며 또한 고정체 결합 부분(46)과 보철-수용 부분(48) 사이에 제공된다.
여기에서 방사방향 돌출부(60a-60g)로서 도시된 7개의 인덱싱 요소(60a-60g)는 고정체 결합 부분(46)의 원통형 포락면의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제공된다(도1b 참조). 고정체(4)의 방사방향 오목부(30a-30g)의 분포와 유사하게, 치과 부품(2)상에 등간격으로 분포된 6개의 방사방향 돌출부(60a-60e)가 있으며, 제7의 방사방향 돌출부(60f)가 등간격으로 분포된 상기 6개의 방사방향 돌출부들 중 2개(60e, 60g) 사이에 개재된다. 이 구성으로, 제7방사방향 돌출부(60f) 및 그 이웃한 2개의 방사방향 돌출부(60e, 60g)는 제7방사방향 오목부(30f) 및 그 이웃한 2개의 오목부(30e, 30g)와 하나의 정확한 방법으로만 짝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치과 부품(2)이 치과 고정체(4)에 대해 연결되기에 가능한 오직 하나의 회전 방향만 있다.
방사방향 돌출부들 중 4개는 첨단 단부를 각각 갖는 제1인덱싱 요소(60a-60d)로서 간주될 수 있다[도1에서, 인덱싱 요소(60d)의 첨단 단부는 도면부호 62d 로 도시되었다]. 다른 3개의 방사방향 돌출부(60e-60g), 즉 상기 제7방사방향 돌출부(60f) 및 그 이웃한 2개의 돌출부(60e, 60g)는 제1인덱싱 요소(60a-60d)의 첨단 단부의 첨단에 위치된 첨단 단부(62e-62g)를 갖는 제2인덱싱 요소(60e-60g)로서 간주될 수 있다. 이것은 치과의사가 치과 부품(2)을 치과 고정체(4)에 정확한 회전 방향으로 연결하는 것을 촉진시킨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도5의 실시예와는 달리, 제1인덱싱 요소(60a-60d)의 개수는 제2인덱싱 요소(60e-60g)의 개수 보다 많다. 고정체 결합 부분(46)의 원주방향에 있어서, 제1인덱싱 요소(60a-60d)의 각각의 하나는 제2인덱싱 요소(60e-60g)의 위치와는 상이한 위치에 위치된다. 따라서, 제1인덱싱 요소(60a-60d)의 각각의 하나가 제2인덱싱 요소(60e-60g)의 임의의 하나로부터 원주방향으로 분리된다.
제2인덱싱 요소(60e-60g)의 밀착된 포지셔닝(positioning)은 이것들이 고정체 결합 부분(46)의 원주를 따라 비대칭적으로 분포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비대칭적 분포는 제2인덱싱 요소가 고정체 결합 부분의 둘레로 균일하게 분포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균일한 대칭적인 분포는 3개의 제2인뎅싱 요소를 고정체 결합 부분(46)의 둘레로 서로 120°로 분포되게 한다.
지대치(2)의 본체 부분(40)이 고정체(4)에 연결될 때, 상기 제2인덱싱 요소(60e-60g)를 형성하는 돌출부가 고정체(4)의 선반(32)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1인덱싱 요소(60a-60d)를 형성하는 돌출부는 선반(32)으로부터 계속 이격될 것이다. 그후, 본체 부분(40)은 제2인덱싱 요소(60e-60g)가 고정체(4)의 지정된 오목부(30e-30g)에, 즉 제7오목부(30f) 및 그 이웃한 2개의 오목부(30e, 30g)에 떨어지도록 회전된다.
따라서, 제2인덱싱 요소(60e-60g)는 제4인덱싱 요소(30e-30g)를 제공하는 제7오목부(30f) 및 그 이웃한 2개의 오목부(30e, 30g)와 먼저 결합할 것이며, 또한 그후 정확한 회전 위치를 이미 발견하였다면, 치과 부품(2)의 제1인덱싱 요소(60a-60d)가 치과 고정체(4)의 제3인덱싱 요소(30a-30d)[다른 4개의 오목부(30a-30d)]와 결합할 수 있다.
치과 부품(2)의 7개의 인덱싱 요소들(60a-60g) 중 오직 단일의 하나(예를 들어 60f)가 다른 6개의 인덱싱 요소의 첨단에 위치된 첨단 단부를 가지면, 인덱싱 요소(60a-60g)의 그 단일의 하나(예를 들어 60f)는 고정체(4)의 7개의 인덱싱 요소들(30a-30g) 중 임의의 하나와 짝을 이룰 수 있다. 그러나, 고정체의 이들 7개의 인덱싱 요소들(30a-30g) 중 오직 하나(이 예에서는 30f)는 치과 부품의 이어지는 인덱싱 요소가 고정체의 대응하는 인덱싱 요소와도 짝을 이루도록 허용하는 정확한 하나이다. 치과의사가 방사방향으로 돌출하는 7개의 인덱싱 요소들(60a-60g) 중 상기 단일의 하나(예를 들어, 60f)를 방사방향으로 만입된 6개의 인덱싱 요소들(예를 들어 30a-30e, 30g) 중 하나로 배치한다면, 치과 부품(2)의 이어지는 인덱싱 요소(예를 들어, 60a-60e, 60g)는 고정체(4)의 짝을 이루는 인덱싱 요소를 탐색하지 않지만 그러나 선반(32)과 인접할 것이다. 치과의사는 치과 부품(2)을 상승시키고 그리고 고정체(4)에 대해 치과 부품(2)의 정확한 회전 방향을 탐색하도록 다시 노력한다. 7개의 인덱싱 요소들(60a-60g) 중 다른 하나(예를 들어, 60g)가 다른 인덱싱 요소의 첨단 단부의 첨단으로 연장되는 첨단 단부를 추가로 갖게 함으로써, 상기 인덱싱 요소(이 예에서는 60g)는 고정체의 선반(32)과 접촉하여, 다른 인덱싱 요소(이 예에서는 60f)가 고정체(4)의 부정확한 오목부에 떨어질 위험을 감소시킬 것이다. 따라서, 제1인덱싱 요소의 첨단 단부의 첨단에 첨단 단부를 갖는 적어도 2개의 인덱싱 요소 및 적어도 하나의 인덱싱 요소를 구비한 치과 부품을 갖는 것은 제2인덱싱 요소가 고정체의 부정확한 오목부에 떨어질 위험을 감소시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치과의사가 치과 부품을 고정체(4)를 향해 미세하게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제2인덱싱 요소들 중 하나가 고정체의 부정확한 오목부에 계속 도달할 수 있어, 선반(32)과 접촉하는 다른 제2인덱싱 요소 때문에 비록 매우 깊지 않을지라도, 추가적인 전진을 방지한다. 제2인덱싱 요소가 부정확한 오목부에 깊이 떨어질 수 없기 때문에, 회전 운동이 제2인덱싱 요소를 용이하게 상승시킬 것이며 또한 계속된 회전 후 정확한 위치가 발견될 것이다.
이어지는 제1인덱싱 요소 보다 더 긴 첨단 연장부를 갖는 방사방향으로 돌출하는 3개의 제2인덱싱 요소를 갖는 것은 치과 부품의 인덱싱 요소와 고정체의 인덱싱 요소들과의 정확한 정렬을 촉진시킨다. 도1은 제1인덱싱 요소들(60a-60d) 중 2개(60a, 60d) 사이에 개재된 3개의 제2인덱싱 요소(60e-60g)의 유리한 분포를 도시하고 있다. 제2인덱싱 요소들(60e-60g) 중 중간의 하나(60f)는 그 양측에 제공된 2개의(60e, 60g) 제2인덱싱 요소 때문에, 고정체(4)의 부정확한 오목부(30a-30e, 30g) 내로 떨어질 수 없다. 치과 부품(4)이 고정체(2)에 연결될 때, 제2인덱싱 요소(60e-60g)는 매우 높은 가능성으로 선반(32)상에 안착될 것이며, 따라서 치과의사가 치과 부품(4)을 정확한 방향으로 회전시킬 것을 요구한다. 이런 회전 중, 치과의사가 치과 부품(4)을 절대적으로 똑바로 잡지 않는 한, 외측의 2개의 제2인덱싱 요소들(60e, 60g) 중 하나가 고정체의 부정확한 오목부 내로 아주 미세하게 낙하할 수 있다. 상기 낙하가 너무 작기 때문에, 치과의사는 정확한 정렬이 발견될 때까지 회전을 용이하게 계속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치과 부품의 고정체 결합 부분(46')을 도시한 도2에 있어서, 외측의 2개의 제2인덱싱 요소들(60'e, 60'g) 중 각각의 하나가 제2인덱싱 요소의 중간의 하나(60'f)로부터 멀리 마주하는 측상에서 각각의 모따기부(61'e, 61'g)를 갖는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런 모따기부(61'e, 61'g)는 외측의 제2인덱싱 요소들(60'e, 60'g) 중 하나가 부정확한 오목부 내로 미세하게 낙하하는 경우에 치과의사에 의한 계속적인 회전 운동을 추가로 촉진시킨다. 도2에는 2개의 더 짧은 제1인덱싱 요소(60'a, 60'g)도 도시되어 있다. 또한, 제2인덱싱 요소(60'e-60'g)의 첨단 단부가 도1에서처럼 치과 부품의 첨단 단부와 동일 평면상에 있지 않지만, 그러나 대신에 다소 관상으로 위치되는 것으로 서술될 수 있다.
도1b의 저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인덱싱 요소(60a-60d)는 제2인덱싱 요소(60e-60g) 보다 다소 넓다. 그러나, 치과 고정체(4)에 있어서, 제3 및 제4인덱싱 요소(30a-30g)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갖는다. 이것은 제2인덱싱 요소(60e-60g)와 제4인덱싱 요소(30e-30g) 사이의 큰 폭 차이로 인해 정확한 회전 방향의 탐색을 촉진시키는 이들 인덱싱 요소들 사이에 횡방향 유극이 있을 것이라는 효과를 갖는다. 달리 말하면, 방사방향으로 돌출하는 제2인덱싱 요소(60e-60g)가 방사방향으로 만입하는 제4인덱싱 요소(30e-30g)에 대해 횡방향으로/횡단방향으로 작은 치수를 갖기 때문에, 방사방향으로 돌출하는 제2인덱싱 요소들은 이것들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치수를 갖는 것 보다 제 위치에 더욱 용이하게 떨어질 것이다. 방사방향으로 돌출하는 제1인덱싱 요소(60a-60d)는 방사방향으로 만입하는 제3인덱싱 요소(30a-30d)에 치수적으로 더욱 가깝게 어울려서, 잠재적인 횡방향 유극을 감소시키며, 또한 그 대신에 치과 고정체(4)에 대해 치과 부품(2)의 실질적으로 잘 형성된 회전 위치를 보장한다. 제2인덱싱 요소(60e-60g)를 제1인덱싱 요소(60a-60d) 보다 협소하게 제조하기 보다는, 이것들을 동일한 폭으로 제조하고 또한 그 대신에 제4인덱싱 요소(30e-30g)를 제3인덱싱 요소(30a-30d) 보다 넓게 제조하는 선택이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따라서, 제2 및 제4인덱싱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으로 큰 횡방향 유극이 치과 부품 및/또는 치과 고정체의 다양한 디자인으로 달성될 수 있다.
도1에 있어서, 제2인덱싱 요소(60e-60g)는 본체 부분(40)의 첨단 단부로 계속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그러나 다른 대안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2인덱싱 요소(60e-60g)는 그 첨단 단부(62e-62g)가 제1인덱싱 요소(60a-60d)의 첨단 단부의 첨단에 위치되는 한 다소 짧게 연장될 수 있으며, 또는 제2인덱싱 요소들은 더 길게, 즉 본체 부분의 첨단 단부를 지나 연장될 수 있다(도2 참조).
또한, 제2인덱싱 요소(60e-60g)의 관상 연장부도 짧을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실제로, 방사방향으로 돌출하는 제2인덱싱 요소(60e-60g)가 방사방향으로 만입하는 제4인덱싱 요소(30e-30g)와의 연결부 내로 떨어지기 위해, 제2인덱싱 요소(60e-60g)는 본체 부분(40)의 고정체 결합 부분(46)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플레이트(plate)로서 설계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일단 평탄한 플레이트가 관련의 오목부(30e-30g)에 의해 수용되면, 하기의 인덱싱 요소(60a-60d)(즉, 회전 로크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 다른 방사방향 돌출부)를 포함하는 전체 본체(40)는 치과 고정체(4) 내로 본체 부분(40)의 삽입을 완료하기 위해 원하는 방향으로 안내될 것이다.
제2인덱싱 요소(60e-60g)가 도1에 제7방사방향 돌출부(60f) 및 그 이웃한 2개의 방사방향 돌출부(60e, 60g)로서 도시되었지만, 다른 대안이 가능함을 인식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제7방사방향 돌출부(60f) 및 이웃하지 않은 돌출부[돌출부(60a, 60b, 또는 60c)와 같은]는 다른 방사방향 돌출부의 첨단 단부의 첨단에 위치된 그 첨단 단부를 가질 수 있다. 이들 2개의 방사방향 돌출부는 선단일 것이며 또한 치과 고정체(4)의 오목부들 사이에 제공된 선반(32)과 인접하는 첫 번째가 될 것이다. 이것들은 제7방사방향 돌출부(60f)가 제7방사방향 오목부(30f)와 정렬될 때 선반으로부터 떨어질 수만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용어로,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고정체 결합 부분 둘레의 제2인덱싱 요소의 분포는 제1인덱싱 요소의 분포에 대해 비대칭적이다. 달리 말하면, 제1인덱싱 요소의 임의의 쌍 사이의 이격거리 보다 상이하게 이격된 적어도 한 쌍의 제2인덱싱 요소[예를 들어 60f/60g, 또는 60f/60a, 또는 60f/60b 에 대응하는]가 있다.
도1 및 도1c는 지대치(6)의 형태인 다른 치과 부품(6)도 도시하고 있다. 이것은 방사방향 돌출부(70)의 형태로 동일한 치수를 가지며 또한 동일한 거리로 분포된 6개의 인덱싱 요소를 갖는다. 제1지대치(2)와는 달리, 이 다른 지대치(6)는 제7돌출부가 결여되어 있다. 따라서, 이 다른 지대치(6)는 6개의 상이한 회전 방향으로 치과 고정체(4)에 연결될 수 있다.
도3a-3e는 상이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치과 부품상에 제1 및 제2인덱싱 요소의 개략적인 원주방향 분포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으로부터는 보이지 않지만, 이들 예시적인 실시예의 각각에 있어서, 제2인덱싱 요소의 각각의 하나는 제1인덱싱 요소의 첨단 단부의 첨단에 위치된 첨단 단부를 갖는다.
도3a에 있어서, 치과 부품은 하나의 제1인덱싱 요소(80) 및 2개의 제2인덱싱 요소(81a, 81b)를 갖는다. 중심 축선으로부터 상기 제1인덱싱 요소(80)의 중심까지의 반경(r1) 및 중심 축선으로부터 제2인덱싱 요소들 중 하나(81a)의 중심까지의 반경(r2)은 제1각도(θ)를 형성한다. 중심 축선으로부터 상기 제2인덱싱 요소들 중 다른 하나(81b)의 중심까지의 반경(r3) 및 중심 축선으로부터 제1인덱싱 요소(80)까지의 상기 반경(r1)은 제2각도(φ)를 형성한다. 제2각도(φ)는 상기 제1각도(θ) 및 다수의 상기 제1각도(θ)인 임의의 각도와는 상이하다. 달리 말하면, φ ≠ nθ 이며, 여기서 n 은 양의 정수이다. 점선은 고정체의 수용 인덱싱 요소의 윤곽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체의 모든 인덱싱 요소가 치과 부품의 인덱싱 요소에 의해 점유되는 것은 아니다. 비대칭 때문에, 치과 부품은 하나의 정확한 회전 방향으로만 고정체와 짝을 이룰 수 있다.
도3a와 관련하여 하기에 서술될 것이다. 제1인덱싱 요소(80) 및 제2인덱싱 요소들 중 하나(81a)의 위치들을 한정하는 각도(θ)가 180°로 도시되어 있다. 치과 부품이 상이하게 제조되는 것으로 가정하면, 제1인덱싱 요소(80)의 위치와 제2인덱싱 요소들 중 다른 하나(81b)의 위치가 절환(switch)되고, 그후 2개의 제2인덱싱 요소가 서로에 대해 180°로 위치된다. 치과의사가 치과 부품을 90°로 잘못 위치시키면, 반대로 위치된 2개의 제2인덱싱 요소가 고정체의 수용 인덱싱 요소에 들어갈 수 있다. 그러나, 제1인덱싱 요소가 선반상에 안착할 것이다. 치과의사가 치과 부품을 정확한 위치로 회전시키기를 원할 때, 치과의사는 매끄럽지 않은 간헐적인 운동을 경험할 것이다. 그러나, 비대칭적으로 배치된 제2인덱싱 요소(81a, 81b)를 갖는 도3a에 도시된 구성은 위치 탐색 과정을 더욱 매끄럽게 할 것이다. 제2인덱싱 요소들 중 하나가 고정체의 부정확한 인덱싱 요소를 포획하더라도, 다른 제2인덱싱 요소는 이것이 너무 깊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것인데, 그 이유는 제2인덱싱 요소(81a, 81b) 모두가 제1인덱싱 요소(80)의 첨단 단부의 첨단에 위치된 첨단 단부를 갖기 때문이다.
도3b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3a의 실시예에 비해, 추가적인 제2인덱싱 요소(81c)가 제공된다. 3개의 인덱싱 요소(81a-81c)가 위치 탐색을 더욱 매끄럽게 한다.
도3c의 실시예에 있어서, 치과 부품은 5개의 제1인덱싱 요소(80a-80e) 및 2개의 제2인덱싱 요소(81a, 81b)를 갖는다. 5개의 제1인덱싱 요소(80a-80e) 및 제2인덱싱 요소들 중 하나(81a)가 60°간격으로 균등하게 배치된다. 제2인덱싱 요소들 중 다른 하나(81b)가 개재되며 그리고 그 이웃한 인덱싱 요소(80e, 81a)로부터 30°로 이격된다. 앞서 서술한 제1각도(θ)는 제1인덱싱 요소들(80a-80e) 중 하나가 기준 지점으로서 선택됨에 따라, 제2인덱싱 요소들 중 하나(81a)와 관련하여 n*60°의 값을 가지며, 상기 n = 1, 2, 3, 4, 5 이다. 도3c에 있어서, 제1인덱싱 요소(80b)가 선택되며(n = 2), 제1각도 θ = 120°이며, 제2각도 φ = 150°이다.
도3d의 실시예에 있어서, 치과 부품은 2개의 제1인덱싱 요소(80a, 80b) 및 2개의 제2인덱싱 요소(81a, 81b)를 갖는다. 이전의 도시와는 달리, 2개의 제2인덱싱 요소(81a, 81b)는 도3d에서 서로 이웃하지 않는다. 제1각도 θ = 90°이며, 제2각도 φ = 225°이다. 따라서,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도 φ ≠ nθ 가 유효하다.
도3e에 있어서, 분포는 도1의 분포에 대응하며, 따라서 4개의 제1인덱싱 요소(80a-80d) 및 3개의 제2인덱싱 요소(81a-81c)를 갖는다. 또한, 이것은 제1인덱싱 요소들 중 하나가 이제 제2인덱싱 요소로 대체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3c의 분포와 유사하다. 제2인덱싱 요소(81a-81c)는 제1인덱싱 요소(80a-80d) 보다 방사방향으로 더 작은 치수를 갖는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오목한 인덱싱 요소를 갖는 고정체에 위치될 때, 제1인덱싱 요소(80a-80d)와 그 짝을 이루는 인덱싱 요소의 벽들 사이의 방사방향으로의 임의의 유극 보다, 제2인덱싱 요소(81a-81c)와 고정체에서 짝을 이루는 인덱싱 요소의 벽들 사이에서 방사방향으로 더 큰 유극이 있을 것이다. 일단 정확한 회전 위치가 탐색되면, 더 큰 유극은 고정체의 짝을 이루는 오목한 인덱싱 요소 내로 제2인덱싱 요소(81a-81c)의 삽입을 촉진시킨다.
도4는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치과 고정체(304)에 연결되는 드라이버(302)의 형태인 치과 부품을 도시하고 있다. 이 예에 있어서, 치과 고정체(304)와 드라이버(302)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치과 고정체(4)와 도1에 도시된 치과 부품(2) 사이의 인터페이스에 대응한다. 따라서, 드라이버(304)는 다른 4개의 방사방향 돌출부[제1인덱싱 요소(360c, 360d): 4개로부터 단지 2개만 도4에 사시도로 도시될 수 있다]의 첨단 단부(단지 362c, 362d 만 도시되었다)의 첨단에 위치된 첨단 단부(362e-362g)를 갖는 3개의 방사방향 돌출부[제2인덱싱 요소(360e-360g)]를 갖는다. 고정체는 짝을 이루는 제3 및 제4인덱싱 요소를 각각 갖는다[이 도면에서는 오직 하나의 제3인덱싱 요소(330b) 및 2개의 제4인덱싱 요소(330f 및 330g)를 볼 수 있다]. 따라서, 도1과 관련하여 유사하게, 드라이버(302)는 고정체(304)에 대해 오직 하나의 회전 방향으로만 연결될 수 있다.
드라이버(302)는 고정체(304)를 턱뼈의 시추공 내로 회전 가능하게 구동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드라이버는 그 자체로 사용될 수 있는 부재로서 설계될 수 있으며, 또는 대안적으로 그 관상 단부에서 드라이버는 핸들, 렌치(wrench)(라쳇 렌치와 같은), 파워 드라이버 장치 등에 연결 가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드라이버(302)는 드라이버(302)의 고정체 결합 부분(346)에서 중간의 제2인덱싱 요소(360f)와 정렬되는, 여기에서 축방향 라인으로 도시된 시각적으로 뚜렷한 마킹(380)을 갖는다. 뚜렷한 마킹(380)은 드라이버(302)의 나머지와는 상이한 색깔을 가질 수 있으며, 이것은 상이한 텍스쳐(texture)를 가질 수 있으며 또는 미세하게 부풀은, 또는 드라이버의 나머지에 비해 임의의 다른 적절한 볼 수 있는 뚜렷함(distinction)을 가질 수 있다.
드라이버(302)는 고정체(304)에 대해 단일의 회전 인덱싱 위치로만 위치될 수 있어서, 드라이버(302)가 이런 고정체(304)와 결합할 때마다 고정체(304)에 대해 상기 뚜렷한 마킹(380)의 회전 위치가 항상 동일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마킹(380)에 의해 제공된 축방향 라인을 봄으로써, 사용자는 턱뼈에서 고정체(304)의 회전 위치를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치과 고정체(304)가 뼈에 삽입되기 전에 수술 및 실험 과정의 예비-계획(per-planning) 및 설계를 허용한다. 예를 들어, 치아가 없는(tooth-less) 지역의 스캔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지대치가 고정체(304)에 대해 또한 주변 조직에 대해 일정한 방향을 갖는 완전한 환자-맞춤형 임플란트가 설계될 수 있으며, 따라서 고정체(304)는 턱뼈에서 일정한 방향을 갖는다.
도4에 도시된 드라이버(302)와 같은 드라이버가 다른 치과 고정체에 적절히 사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드라이버는 평탄하지 않은 관상 단부 부분을 갖는 치과 고정체에 연결되도록 된다. 예를 들어, 고정체는 경사진 관상 단부 부분을 가질 수 있으며, 여기에서 고정체의 길이는 턱뼈의 윤곽에 어울리도록 구강측 보다 혀측에서 더 크다. 턱뼈에서 고정체의 설치 중, 드라이버의 뚜렷한 마킹은 고정체의 관상 단부 부분이 경사지는 방향을 치과의사에게 알려줄 것이며, 따라서 치과의사가 고정체의 경사를 턱뼈의 경사와 정확하게 정렬시키기 위해 적절한 조정을 하는 것을 허용한다.
도8은 특정한 회전 방향으로 치과 고정체(104)에 연결되는, 적어도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치과 부품(102)을 도시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치과 부품(102) 및 치과 고정체(104)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를 함께 제공한다. 도8a는 이들 부품들이 연결되었을 때 치과 부품의 인덱싱 요소와 치과 고정체의 인덱싱 요소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8b는 도8의 치과 부품의 저면도이다.
도8에 있어서, 치과 고정체(104)의 소켓(124)은 4개의 작은 방사방향 오목부(130a-130d) 및 하나의 큰 방사방향 오목부(130e)를 갖는다(고정체 윤곽이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도8a 참조). 도1의 치과 고정체(4)와 비교하면, 도8의 큰 오목부(130e)는 도1의 제4인덱싱 요소를 제공하는 3개의 오목부(30e-30g)와 동일한 거리로 걸쳐져 있다. 따라서, 도8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4개의 작은 오목부(130a-130d)는 상기 복수의 제3인덱싱 요소(130a-130d)로서 간주되며, 큰 오목부(130e)는 제4인덱싱 요소(130e)로서 간주된다.
도8과 유사하게, 본체 부분(140) 및 나사 부분(142)을 갖는 지대치(102)로서 제공된 치과 부품(102)은 복수의 제1인덱싱 요소(160a-160d)를 제공하는 4개의 작은 방사방향 돌출부(160a-160d) 및 제2인덱싱 요소(160e)(도8b 참조)를 제공하는 하나의 큰 방사방향 돌출부(160e)(여기에서는 다른 돌출부 보다 더 큰 폭을 갖는 것으로 도시된)를 갖는다. 방사방향으로 돌출하는 제2인덱싱 요소(160e)의 큰 치수로 인해, 이것은 방사방향으로 만입된 제3인덱싱 요소(130a-130d)를 형성하는 4개의 작은 오목부와 짝을 이룰 수 없다. 따라서, 본체 부분(140)을 위해 오직 하나의 정확한 회전 방향만 있으며, 즉 큰 돌출부[제2인덱싱 요소(160e)]는 큰 오목부[제4인덱싱 요소(130e)]와 결합하고, 또한 작은 돌출부[제1인덱싱 요소(160a-160d)]는 작은 오목부[제3인덱싱 요소(130a-130d)]와 결합한다.
제2인덱싱 요소(160e)는 제1인덱싱 요소(160a-160d)의 첨단 단부의 첨단에 위치된 첨단 단부(162e)를 갖는다[도8에 있어서, 제1인덱싱 요소(160d)의 첨단 단부는 도면부호 162d 로 도시되어 있다]. 모든 첨단 단부가 동일한 레벨로 있다면, 치과의사는 작은 돌출부[제1인덱싱 요소(160a-160d)]를 부정확한 오목부에 우연히 배치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치과 부품(102)의 본체 부분(140)이 고정체 축선에 대해 다소 비스듬히 삽입된 경우일 수 있다. 이런 잘못된 배치 후 본체 부분(140)은 완전히 삽입될 수 없으며 그리고 치과의사가 아마 무언가 잘못되었다는 것을 알아차리더라도, 상기 잘못된 배치는 물론 치과의사의 짜증의 원인인 일부 재밍(jamming)을 유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인덱싱 요소(160a-160d)의 첨단 단부의 첨단에 위치된 첨단 단부(162e)를 갖는 제2인덱싱 요소(160e)를 가짐으로써, 제1 및/또는 제2인덱싱 요소를 잘못된 짝이룸 오목부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기껏해야, 제2인덱싱 요소(160e)를 제공하는 큰 돌출부가 고정체(140)의 소켓(124)에서 선반(132)과 인접할 것이며, 또한 궁극적으로 본체 부분(140)의 회전 후 큰 오목부[제4인덱싱 요소(130e)]의 위치로 떨어질 것이다. 제2인덱싱 요소(160e)와 제4인덱싱 요소(130e) 사이의 이 정렬이 달성되었을 때만, 제1인덱싱 요소(160a-160d)가 제3인덱싱 요소(130a-130d)와 결합할 수 있을 것이다.
도8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인덱싱 요소(160e)와 제4인덱싱 요소(130e) 사이의 유극은 제1인덱싱 요소(160a-160d)와 각각의 제3인덱싱 요소(130a-130d) 사이의 임의의 유극 보다 크다. 따라서, 고정체(104)의 제4인덱싱 요소(130e)는 치과 부품(102)의 제2인덱싱 요소(160e)가 용이하게 수용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큰 치수를 갖는다. 제1인덱싱 요소(160a-160d)와 제3인덱싱 요소(130a-130d) 사이의 더 타이트한 끼움은 원하는 회전 로킹을 달성시킨다.
도7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치과 고정체(204)를 도시하고 있다.
도7에 있어서, 치과 고정체(204)의 소켓(224)은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된 6개의 방사방향 만입부/함몰부/오목부를 갖는다. 이들 방사방향 오목부들 중 5개는 첨단 인덱싱 요소(230)를 제공한다. 제6방사방향 오목부는 다른 5개의 오목부 보다 넓으며 또한 관상 인덱싱 요소(231)를 제공한다. 또한, 부품 결합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방사방향 오목부(230, 231)가 소켓(224)의 중간 벽 부분(228)에 제공되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벽 부분(228)의 관상 단부는 선반(232, 233)을 형성한다. 상기 협소한 제6오목부(231)는 다른 5개의 오목부(230)의 관상 단부에 관상으로 위치된 관상 단부를 갖는다. 선반의 영역은 상기 제6오목부(231)에 의해 완전히 절결(cut-away)되는 반면에, 다른 5개의 오목부(230)는 선반의 부분 절결만을 제공한다. 또한, 제6오목부(231) 옆의 선반의 영역(232)은 선반의 다른 영역(233)에 관상으로 위치된다.
따라서, 제6오목부(231)(관상 인덱싱 요소)는 다른 오목부(230)(첨단 인덱싱 요소)가 회전 로킹을 위해 치과 부품의 그 각각의 짝을 이루는 인덱싱 요소를 수용하기 전에, 치과 부품의 짝을 이루는 인덱싱 요소를 안내하도록 작용할 것이다.
도9, 9a-9c, 및 10a-10b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치과 부품의 고정체 결합 부분(510)의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고정체 결합 부분(510)의 도시된 부분은 첨단 방향으로 테이퍼진다. 고정체 결합 부분(510)은 방사방향으로 돌출하는 제1인덱싱 요소(520) 및 방사방향으로 돌출하는 제2인덱싱 요소(530)를 갖는다. 고정체 결합 부분(510)의 나머지로부터 떼어서 보면, 제1인덱싱 요소(520) 및 제2인덱싱 요소(530)는 원주방향 및 방사방향으로 동일한 치수를 갖는다. 따라서, 그 두께 및 폭은 도9b 및 10b의 횡단면도에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동일하다(도9 및 10a의 선B-B를 따라 각각 취한 횡단면도). 추가적으로, 도9b 및 10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인덱싱 요소(520, 530)의 횡단면은 실질적으로 사다리꼴이다. 이것은 도9의 선A-A를 따라 취한 횡단면도인 도9a에서도 볼 수 있다.
제2인덱싱 요소(530)는 제1인덱싱 요소(520)의 첨단 단부(522)의 첨단에 위치된 첨단 단부(532)를 갖는다. 따라서, 치과 부품이 짝을 이루는 인덱싱 만입부(560, 570)(점선으로 도시된)를 갖는 고정체의 부품 결합 부분(550)과 결합될 때, 도9 및 9c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처음에 오직 제2인덱싱 요소(530)의 첨단 단부(532)만 대응하는 짝을 이루는 인덱싱 만입부(570)에 들어갈 것이다. 계속적인 삽입 후(도9c 및 10a의 도면과 비교하여), 이어지는 제1인덱싱 요소(520)의 첨단 단부(522)도 부분적으로 삽입된 제1인덱싱 요소(520)를 도시한 도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짝을 이루는 인덱싱 요소(560) 내로 삽입될 것이다.
제1인덱싱 요소(520)의 첨단 단부(522)의 방사방향으로 가장 먼 영역은 고정체 결합 부분(550)의 기하학적 중심 축선(x)으로부터 거리(R1)에 위치된다. 유사하게, 제2인덱싱 요소(530)의 첨단 단부(532)의 방사방향으로 가장 먼 영역은 고정체 결합 부분(550)의 기하학적 중심 축선(x)으로부터 거리(R2)에 위치된다. 제1인덱싱 요소(520) 및 제2인덱싱 요소(530)가 동일한 폭 및 두께를 갖더라도, 테이퍼진 결합 부분(510)의 첨단 부분에 그 첨단 단부(532)를 갖는 제2인덱싱 요소(530) 때문에, 상기 방사방향 거리(R2)는 상기 방사방향 거리(R1) 보다 짧다. 이것은 그 각각의 수용 인덱싱 만입부(570, 560)에 들어갈 때 제1인덱싱 요소(520) 보다 제2인덱싱 요소(530)에 대해 더 큰 방사방향 유극이 얻어진다는 효과를 가지며, 이것은 도9b 및 10b를 비교했을 때 알 수 있다. 또한, 사다리꼴 형상 때문에, 상기 형상이 두 인덱싱 요소(520, 530)에 대해 동일하더라도, 이것들이 상이한 레벨로 위치되기 때문에, 사람은 그 인덱싱 만입부(570)에 들어갈 때 제2인덱싱 요소(530)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더 큰 유극이 있을 거라는 것을 알아차릴 수 있다.
도면들이 방사방향 돌출부의 형태인 인덱싱 요소를 갖는 치과 부품 및 방사방향 오목부의 형태인 인덱싱 요소를 갖는 치과 고정체를 도시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치과 부품의 인덱싱 요소가 대신에 방사방향 오목부일 수 있고 또한 고정체의 인덱싱 요소가 방사방향 돌출부일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또한, 도면이 고정체의 소켓[암형(female) 부품으로서 작용하는] 내로 삽입되는 고정체 결합 부분을 갖는 수형 부품으로서 치과 부품을 도시하고 있더라도, 다른 실시예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고정체는 뼈 능선(crest)을 지나 연장되도록 적절히 적응될 수 있는 정상(summit) 부분을 가질 수 있으며, 또한 치과 부품의 첨단 단부는 치과 부품 내로 관상으로 연장되는 소켓을 가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소켓이 정상 부분상에 위치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또한, 방사방향으로 돌출하는 또는 만입하는 인덱싱 요소가 이런 부품/고정체 인터페이스를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인덱싱 요소가 가늘고 긴 돌출부 및 오목부로서 도시되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이것들은 가늘고 길지 않다. 또한, 인덱싱 요소의 횡단면은 굴곡형, 3각형, 직사각형, 사다리꼴, 또는 임의의 다른 등변(regular) 또는 부등변 형상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치과 부품의 인덱싱 요소의 개수는 필수적으로 치과 고정체의 인덱싱 요소의 개수와 동일할 필요가 없음을 인식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도1에 있어서, 회전 로크의 효과가 다소 약화되더라도, 제1인덱싱 요소를 형성하는 방사방향 돌출부들 중 하나가 제거될 수 있다.
2: 치과 부품 4: 치과 고정체
6: 지대치 8: 관상 부분
10: 첨단 부분 12: 관상 단부
22: 오목부 24: 소켓
40: 본체 부분 42: 나사 부분
46: 고정체 결합 부분 48: 보철-수용 부분

Claims (17)

  1. 턱뼈 내로 삽입되도록 된 치과 고정체와 치과 부품을 결합하기 위해 또는 치과 부품과 고정체 모형을 결합하기 위해 고정체 결합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체 결합 부분은 기하학적 중심 축선을 가지며, 또한 첨단 단부를 갖는 방사방향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인덱싱 요소 및 상기 제1인덱싱 요소의 첨단 단부의 첨단에 위치된 첨단 단부를 갖는 방사방향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인덱싱 요소를 포함하는 치과 부품으로서:
    상기 제2인덱싱 요소의 첨단 단부의 방사방향으로 가장 먼 영역은 제1인덱싱 요소의 첨단 단부의 방사방향으로 가장 먼 영역 보다 상기 중심 축선으로부터 더 짧은 방사방향 거리에 위치되며, 및/또는 제2인덱싱 요소의 첨단 단부는 제1인덱싱 요소의 첨단 단부에 비해 고정체 결합 부분의 원주방향으로 더 작은 치수를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인덱싱 요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인덱싱 요소 중 임의의 하나로부터 원주방향으로 분리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인덱싱 요소는 단일의 제2인덱싱 요소 또는 고정체 결합 부분의 원주를 따라 비대칭적으로 분포된 적어도 2개의 제2인덱싱 요소인
    치과 부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방향으로 돌출하는 제2인덱싱 요소는 방사방향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2개의 제2인덱싱 요소를 포함하며, 각각의 제2인덱싱 요소는 제1인덱싱 요소의 첨단 단부에 비해 원주방향으로 더 작은 치수의 첨단 단부를 가지며, 및/또는 제2인덱싱 요소들 중 각각의 제2인덱싱 요소의 첨단 단부의 방사방향으로 가장 먼 영역은 제1인덱싱 요소의 첨단 단부의 방사방향으로 가장 먼 영역 보다 상기 중심 축선으로부터 더 짧은 방사방향 거리에 배치되는
    치과 부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축선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2개의 제2인덱싱 요소들 중 하나의 중심까지의 반경 및 중심 축선으로부터 상기 제1인덱싱 요소의 중심까지의 반경은 제1각도(θ)를 형성하며,
    상기 중심 축선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2개의 제2인덱싱 요소들 중 다른 하나까지의 반경 및 상기 중심 축선으로부터 제1인덱싱 요소의 중심까지의 반경은 제2각도(φ)를 형성하며,
    상기 제2각도(φ)는 상기 제1각도(θ) 및 다수의 상기 제1각도(θ)인 임의의 각도와는 상이하므로, φ ≠ nθ 이며, 여기서 n 은 양의 정수인
    치과 부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덱싱 요소의 축방향 연장부는 제1 및 제2인덱싱 요소가 고정체 결합 부분의 중심 축선과 직교하는 공통의 기하학적 평면에 의해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치과 부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사방향으로 돌출하는 제1인덱싱 요소는 적어도 2개의 방사방향으로 돌출하는 제1인덱싱 요소를 포함하며, 고정체 결합 부분의 원주 방향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인덱싱 요소가 상기 제1인덱싱 요소들 중 2개 사이에 개재되는
    치과 부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인덱싱 요소는 상기 제1인덱싱 요소들 중 2개 사이에 개재된, 적어도 3개의 방사방향으로 돌출하는 제2인덱싱 요소로서 배치되며, 상기 적어도 3개의 제2인덱싱 요소들 중 각각의 제2인덱싱 요소는 상기 제1인덱싱 요소의 첨단 단부의 첨단에 위치된 첨단 단부를 갖는
    치과 부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인덱싱 요소의 개수는 제2인덱싱 요소의 개수 보다 많은
    치과 부품.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인덱싱 요소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인덱싱 요소는 관상-첨단 방향으로 가늘고 긴 연장부를 갖는
    치과 부품.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체 결합 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인덱싱 요소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인덱싱 요소가 방사방향으로 돌출하는 원통형 표면을 포함하는
    치과 부품.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인덱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첨단 단부는 모따기부를 갖는
    치과 부품.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대치, 지대치 모형, 지대치 블랭크, 주문제작된 지대치, 스캔 지대치, 디지탈 전달 코핑, 인상 픽업 요소, 치유용 덮개, 및 드라이버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부품인
    치과 부품.
  12. 치과 임플란트로서,
    고정체 결합 부분을 포함하는 치과 부품; 및
    턱뼈 내로 삽입되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고정체 결합 부분과 짝을 이루도록 된 부품 결합 부분을 포함하는 치과 고정체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체 결합 부분은,
    첨단 단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1인덱싱 요소, 및
    첨단 단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인덱싱 요소를 가지며,
    상기 부품 결합 부분은,
    관상 단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3인덱싱 요소, 및
    관상 단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4인덱싱 요소를 가지며,
    상기 제2인덱싱 요소의 첨단 단부는 제1인덱싱 요소의 첨단 단부의 첨단에 위치되며 및/또는 상기 제4인덱싱 요소의 관상 단부는 제3인덱싱 요소의 관상 단부의 첨단에 위치되며,
    상기 제1인덱싱 요소는 제2인덱싱 요소가 제4인덱싱 요소와 짝을 이룬 후 제3인덱싱 요소와만 짝을 이루는 것이 가능해지며,
    상기 제1인덱싱 요소와 상기 짝을 이룬 제3인덱싱 요소 사이의 임의의 유극은 제2인덱싱 요소와 제4인덱싱 요소 사이의 유극 보다 더 작으며, 그에 의해 제2 및 제4인덱싱 요소들 사이의 끼움에 비해 제1 및 제3인덱싱 요소들 사이에 더 타이트한 끼움이 제공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인덱싱 요소는 단일의 제2인덱싱 요소이거나 또는 고정체 결합 부분의 원주를 따라 비대칭적으로 분포된 적어도 2개의 제2인덱싱 요소인
    치과 임플란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인덱싱 요소는 치과 부품의 고정체 결합 부분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방사방향 돌출부로서 제공되며, 또한 상기 제3 및 제4인덱싱 요소는 치과 고정체의 부품 결합 부분의 표면에 방사방향 함몰부로서 제공되는
    치과 임플란트.
  14. 제12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제2, 제3, 및 제4인덱싱 요소는 치과 부품이 치과 고정체에 대해 오직 하나의 회전 방향으로만 짝을 이룰 수 있는 방식으로 고정체 결합 부분 및 부품 결합 부분의 원주를 따라 각각 분포되는
    치과 임플란트.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인덱싱 요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인덱싱 요소 중 임의의 하나로부터 원주방향으로 분리되며,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인덱싱 요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4인덱싱 요소 중 임의의 하나로부터 원주방향으로 분리되는
    치과 임플란트.
  16.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과 부품은 청구항 1-11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치과 부품인
    치과 임플란트.
  17. 턱뼈 내로 삽입되도록 되어 있고 또한 치과 부품의 고정체 결합 부분과 짝을 이루도록 된 부품 결합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부품 결합 부분은 기하학적 중심 축선을 가지며 또한 관상 단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방향으로 만입된 첨단 인덱싱 요소, 상기 첨단 인덱싱 요소의 관상 단부에 관상으로 위치된 관상 단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방향으로 만입된 관상 인덱싱 요소를 갖는 치과 고정체로서,
    상기 관상 인덱싱 요소의 관상 단부의 방사방향으로 가장 먼 영역은 첨단 인덱싱 요소의 관상 단부의 방사방향으로 가장 먼 영역 보다 상기 중심 축선으로부터 더 먼 거리에 위치되며, 및/또는 상기 관상 인덱싱 요소의 관상 단부는 첨단 인덱싱 요소의 관상 단부에 비해 부품 결합 부분의 원주 방향으로 더 큰 치수를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첨단 인덱싱 요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상 인덱싱 요소 중 임의의 하나로부터 원주방향으로 분리되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상 인덱싱 요소는 단일의 관상 인덱싱 요소이거나 또는 부품 결합 부분의 원주를 따라 비대칭적으로 분포된 적어도 2개의 관상 인덱싱 요소인
    치과 고정체.
KR1020147006297A 2011-09-14 2012-09-10 치과 부품, 치과 고정체, 및 치과 임플란트 KR1020540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34524P 2011-09-14 2011-09-14
US61/534,524 2011-09-14
EP11181247A EP2570097A1 (en) 2011-09-14 2011-09-14 A dental component, a dental fixture and a dental implant
EP11181247.5 2011-09-14
PCT/EP2012/067643 WO2013037730A1 (en) 2011-09-14 2012-09-10 A dental component, a dental fixture and a dental impla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7030A true KR20140067030A (ko) 2014-06-03
KR102054022B1 KR102054022B1 (ko) 2019-12-09

Family

ID=45444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6297A KR102054022B1 (ko) 2011-09-14 2012-09-10 치과 부품, 치과 고정체, 및 치과 임플란트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8974227B2 (ko)
EP (2) EP2570097A1 (ko)
JP (1) JP6084978B2 (ko)
KR (1) KR102054022B1 (ko)
CN (1) CN103781437B (ko)
AU (1) AU2012307552B2 (ko)
BR (1) BR112014005113B1 (ko)
CA (1) CA2846188C (ko)
RU (1) RU2615125C2 (ko)
WO (1) WO201303773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6180A (ko) * 2021-07-02 2023-01-10 주식회사 트루어버트먼트코리아 임플란트 시술 툴 세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764079A1 (en) * 2011-01-20 2012-07-20 Straumann Holding Ag Assembly of a dental implant and an insertion tool
KR102085066B1 (ko) 2011-06-02 2020-03-05 엠아이에스 임플란츠 테크놀러지스 리미티드 치과용 임플란트
ES2661371T3 (es) 2013-01-31 2018-03-28 Sic Invent Ag Cofia de impresión
US20140272788A1 (en) * 2013-03-14 2014-09-18 Biomet 3I, Llc Twist lock interface for abutment and implant assembly
ES2809470T3 (es) 2013-07-26 2021-03-04 Sic Invent Ag Implante dental, pilar, sistema de implante y juego de implantación
DE102014118723A1 (de) * 2013-12-17 2015-06-18 Epiphanostics GmbH Enossales Einzelzahnimplantat
JP2017506122A (ja) 2014-02-20 2017-03-02 エムアイエス インプランツ テクノロジーズ リミテッド 歯科インプラント
TWI571246B (zh) * 2014-07-10 2017-02-21 財團法人金屬工業研究發展中心 牙科植體及包含該牙科植體之牙科植入物
ES2583904B1 (es) * 2015-03-10 2017-07-10 Terrats Medical, S.L. Pilar dental de escaneo y procedimiento para su montaje y fijación a un implante dental o a una réplica del mismo
US20170325917A1 (en) * 2016-05-12 2017-11-16 Taiwan Shan Yin International Co., Ltd. Root assembly with position recognition
RU2017102870A (ru) * 2017-01-27 2018-07-27 Никита Сергеевич Черновол Дентальный имплантат
US10159495B1 (en) 2017-08-21 2018-12-25 Stryker Corporation Drill bit for a handheld surgical instrument
CA3073178A1 (en) 2017-08-17 2019-02-21 Stryker Corporation Surgical handpiece for measuring depth of bore holes and related accessories
US11896239B2 (en) 2017-08-17 2024-02-13 Stryker Corporation Surgical handpiece system for depth measurement and related accessories
EP3505135B1 (en) * 2017-12-26 2022-07-27 I2 Implantologia, S.L. System for establishing the spatial positioning of jaws
USD981561S1 (en) 2018-12-21 2023-03-21 Stryker Corporation Self-aligning surgical drill bit
EP3763320B1 (fr) * 2019-07-08 2021-10-20 Anthogyr Implant dentaire auto-taraudant ameliore
USD954950S1 (en) 2020-11-18 2022-06-14 Stryker Corporation Measurement head for a surgical tool
KR20220071408A (ko) * 2020-11-24 2022-05-31 주식회사 디오 치과용 컴포넌트와 그 시술용 홀더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2883A (ja) * 1997-05-24 2000-10-03 フリアデント・ゲー・エム・ベー・ハー 歯科用インプラントおよび歯科用インプラントをともなう装置
US20050065525A1 (en) * 2001-09-06 2005-03-24 Noble Biocare Ab (Publ) Implant, and tightening member and spacer member for such an implant
US20070059666A1 (en) 2005-09-15 2007-03-15 Albert Zickman Dental implant system
US20070092851A1 (en) * 2001-04-05 2007-04-26 Neoss Limited Implant
KR20070110062A (ko) * 2005-02-05 2007-11-15 프리아덴트 게엠베하 치과용 임플란트
US20070281278A1 (en) * 2006-05-31 2007-12-06 Lars Jorneus Transfer coping for dental implants
KR20090117813A (ko) * 2007-03-06 2009-11-12 아스트라 테크 에이비 치과용 임플란트, 지대치 구조, 및 치과용 임플란트의 이식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12385U (zh) * 1992-01-31 1992-08-12 卫生部口腔种植科技中心 螺旋状人工牙种植体
DE19534979C1 (de) * 1995-09-20 1997-01-09 Imz Fertigung Vertrieb Enossales Einzelzahnimplantat mit Verdrehsicherung
US5904483A (en) * 1995-11-17 1999-05-18 Wade; Curtis K. Dental implant systems and methods
DE19633570C1 (de) 1996-08-21 1998-01-02 Imz Fertigung Vertrieb Enossales Einzelzahnimplantat mit Verdrehsicherung und Stanzwerkzeug sowie Positionierhilfe zur Fertigstellung eines solchen Einzelzahnimplantats
DE59812002D1 (de) 1997-05-24 2004-10-28 Straumann Holding Ag Waldenbur Support zum halten und/oder bilden eines zahnersatzes
DE59811764D1 (de) 1997-05-24 2004-09-09 Straumann Holding Ag Waldenbur Vorrichtung zur bildung eines zahnersatzes
WO1999052464A1 (de) * 1998-04-08 1999-10-21 Imz Fertigungs- Und Vertriebsgesellschaft Für Dentale Technologie Mbh Enossales einzelzahnimplantat
SE9802605D0 (sv) * 1998-07-23 1998-07-23 Astra Ab Dental implant component
ATE292427T1 (de) 1998-07-29 2005-04-15 Franz Sutter Vorrichtung zum halten und/oder bilden eines zahnersatzes
US6358052B1 (en) * 1999-07-15 2002-03-19 L. Paul Lustig Dental implant system and method for effecting a dental restoration using the same
ITCO990029A1 (it) 1999-10-22 2001-04-22 Gideon Raphael Tock Complesso di elementi implanto protesici ad incastro di accoppiamentoavente unica posizione obbligata.
US6382977B1 (en) 2000-03-02 2002-05-07 Nobel Biocare Usa, Inc. Snap-in impression coping
US7104797B2 (en) * 2003-03-18 2006-09-12 Jeff Rassoli Rotationally immobilized dental implant and abutment system
US7179088B2 (en) * 2003-03-18 2007-02-20 Cagenix, Inc. Lobed dental implant
CH696800A5 (de) 2003-12-18 2007-12-14 Franz Dr H C Sutter Implantat zum Halten und /oder Bilden eines Zahnersatzes und verschiedene Zubehörteile zu einem Implantat.
US20050136380A1 (en) 2003-12-19 2005-06-23 Niznick Gerald A. Endosseous dental implant
US7108510B2 (en) * 2004-06-25 2006-09-19 Niznick Gerald A Endosseous dental implant
WO2006047901A1 (de) * 2004-11-08 2006-05-11 Straumann Holding Ag Zahnimplantat
EP1728486A1 (en) 2005-06-03 2006-12-06 Straumann Holding AG Coupling for a multi-part dental implant system
MX2008010463A (es) * 2006-02-16 2008-11-12 Saban Francisco Javier Garcia Conjunto de implante dental y dispositivo de toma de impresion dental.
ITGE20080054A1 (it) * 2008-06-11 2009-12-12 Alberto Rebaudi Impianto per il fissaggio di protesi dentarie
US8075313B2 (en) * 2009-01-19 2011-12-13 Aeton Medical Llc Transfer copings and related methods for taking implant impressions
EP2470111B1 (en) * 2009-08-26 2013-07-17 Straumann Holding AG Dental implant and kit including said dental implant
EP2444023A1 (en) 2010-10-20 2012-04-25 Astra Tech AB A dental component, a dental fixture, a dental implant assembly and a dental implant system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2883A (ja) * 1997-05-24 2000-10-03 フリアデント・ゲー・エム・ベー・ハー 歯科用インプラントおよび歯科用インプラントをともなう装置
US20070092851A1 (en) * 2001-04-05 2007-04-26 Neoss Limited Implant
US20050065525A1 (en) * 2001-09-06 2005-03-24 Noble Biocare Ab (Publ) Implant, and tightening member and spacer member for such an implant
KR20070110062A (ko) * 2005-02-05 2007-11-15 프리아덴트 게엠베하 치과용 임플란트
US20070059666A1 (en) 2005-09-15 2007-03-15 Albert Zickman Dental implant system
US20070281278A1 (en) * 2006-05-31 2007-12-06 Lars Jorneus Transfer coping for dental implants
KR20090117813A (ko) * 2007-03-06 2009-11-12 아스트라 테크 에이비 치과용 임플란트, 지대치 구조, 및 치과용 임플란트의 이식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6180A (ko) * 2021-07-02 2023-01-10 주식회사 트루어버트먼트코리아 임플란트 시술 툴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70097A1 (en) 2013-03-20
RU2615125C2 (ru) 2017-04-03
AU2012307552A1 (en) 2014-03-06
BR112014005113A2 (pt) 2017-04-18
US8974227B2 (en) 2015-03-10
CN103781437A (zh) 2014-05-07
CA2846188A1 (en) 2013-03-21
US20150147725A1 (en) 2015-05-28
EP2755594A1 (en) 2014-07-23
BR112014005113B1 (pt) 2020-11-24
CA2846188C (en) 2019-02-05
WO2013037730A1 (en) 2013-03-21
RU2014113080A (ru) 2015-10-20
KR102054022B1 (ko) 2019-12-09
CN103781437B (zh) 2016-12-28
JP6084978B2 (ja) 2017-02-22
JP2014530033A (ja) 2014-11-17
US20130244203A1 (en) 2013-09-19
AU2012307552B2 (en) 2016-11-24
EP2755594B1 (en) 2019-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4022B1 (ko) 치과 부품, 치과 고정체, 및 치과 임플란트
US11517406B2 (en) Dental component and a dental implant
EP2629695B1 (en) A dental component, a dental fixture and a dental implant assembly
US20120164599A1 (en) Dental fixture, a dental component and a dental implant assembly
EP2680782A1 (en) Dental implant assembly
EP2444026A1 (en) A dental component, a dental fixture and a dental implant assembly
EP2444025A1 (en) A dental component, a dental implant assembly and a dental implant system
KR20220159730A (ko) 픽스쳐 결합체, 픽스쳐 및 이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