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5428A - T 세포 요법을 위한 진단 방법 - Google Patents

T 세포 요법을 위한 진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5428A
KR20230005428A KR1020227045189A KR20227045189A KR20230005428A KR 20230005428 A KR20230005428 A KR 20230005428A KR 1020227045189 A KR1020227045189 A KR 1020227045189A KR 20227045189 A KR20227045189 A KR 20227045189A KR 20230005428 A KR20230005428 A KR 20230005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y
cells
patient
fold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5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드리언 보트
제프리 에스. 위조레크
윌리엄 고
라줄 자인
제임스 엔. 코첸더퍼
스티븐 에이. 로젠버그
Original Assignee
카이트 파마 인코포레이티드
더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오브 어메리카, 애즈 리프리젠티드 바이 더 세크러테리, 디파트먼트 오브 헬쓰 앤드 휴먼 서비씨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739349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23000542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카이트 파마 인코포레이티드, 더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오브 어메리카, 애즈 리프리젠티드 바이 더 세크러테리, 디파트먼트 오브 헬쓰 앤드 휴먼 서비씨즈 filed Critical 카이트 파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20237034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8387A/ko
Publication of KR20230005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54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14Blood; Artificial blood
    • A61K35/17Lymphocytes; B-cells; T-cells; Natural killer cells; Interferon-activated or cytokine-activated lymphocy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95Sulfur, selenium, or tellurium compounds, e.g. thi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5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61K31/52Purines, e.g. aden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6Phosphorus compounds
    • A61K31/665Phosphorus compound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fosfomy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6Phosphorus compounds
    • A61K31/675Phosphorus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pyridoxal phosph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5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 A61K31/705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5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 A61K31/70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 A61K31/706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condensed or non-condensed pyrimidines
    • A61K31/707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condensed or non-condensed pyrimidines containing purines, e.g. adenosine, adenyl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0005Vertebrate antigens
    • A61K39/0011Cancer antig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0005Vertebrate antigens
    • A61K39/0011Cancer antigens
    • A61K39/001102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A61K39/001111Immunoglobulin superfamily
    • A61K39/001112CD19 or B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46Cellular immunotherapy
    • A61K39/461Cellular immunotherapy characterised by the cell type used
    • A61K39/4611T-cells, e.g. tumor infiltrating lymphocytes [TIL], lymphokine-activated killer cells [LAK] or regulatory T cells [Tr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46Cellular immunotherapy
    • A61K39/463Cellular immunotherapy characterised by recombinant expression
    • A61K39/4631Chimeric Antigen Receptors [C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46Cellular immunotherapy
    • A61K39/464Cellular immunotherapy characterised by the antigen targeted or presented
    • A61K39/4643Vertebrate antigens
    • A61K39/4644Cancer antigens
    • A61K39/464402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A61K39/464411Immunoglobulin superfamily
    • A61K39/464412CD19 or B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46Cellular immunotherapy
    • A61K39/464Cellular immunotherapy characterised by the antigen targeted or presented
    • A61K39/464838Viral antig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52Cytokines; Lymphokines; Interfer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05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4/70503Immunoglobulin superfamily
    • C07K14/7051T-cell receptor (TcR)-CD3 complex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5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animal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34Cells from the blood or the immune system
    • C12N5/0636T lymphocy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63Cytokines, i.e. immune system proteins modifying a biological response such as cell growth proliferation or differentiation, e.g. TNF, CNF, GM-CSF, lymphotoxin, MIF or their receptors
    • G01N33/6869Interleu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1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whole cells, viruses or DNA/RNA
    • A61K2039/515Animal cells
    • A61K2039/5156Animal cells expressing foreign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1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whole cells, viruses or DNA/RNA
    • A61K2039/515Animal cells
    • A61K2039/5158Antigen-pulsed cells, e.g. T-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9/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cellular immunotherapy of group A61K39/46
    • A61K2239/31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cellular immunotherapy of group A61K39/46 characterized by the route of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9/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cellular immunotherapy of group A61K39/46
    • A61K2239/38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cellular immunotherapy of group A61K39/46 characterised by the dose, timing or administration schedu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9/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cellular immunotherapy of group A61K39/46
    • A61K2239/46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cellular immunotherapy of group A61K39/46 characterised by the cancer treated
    • A61K2239/48Blood cells, e.g. leukemia or lymphom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 C07K2319/01Fusion polypeptide containing a localisation/targetting motif
    • C07K2319/03Fusion polypeptide containing a localisation/targetting motif containing a transmembrane seg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10/00Genetically modified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43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 G01N2333/52Assays involving cytokines
    • G01N2333/54Interleukins [IL]
    • G01N2333/5418IL-7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43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 G01N2333/52Assays involving cytokines
    • G01N2333/54Interleukins [IL]
    • G01N2333/5443IL-1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Immu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yc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Virology (AREA)
  • Toxicology (AREA)
  • Onc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 세포 요법을 필요로 하는 환자에서 T 세포 요법의 효능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T 세포 요법에 잘 반응할 환자를 확인하거나 또는 환자가 T 세포 요법에 잘 반응하도록 T 세포 요법 전에 환자를 컨디셔닝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컨디셔닝은 T 세포 요법 전에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를 투여하는 단계 및 T 세포 요법을 투여하기 전에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을 확인하는 단계를 수반한다.

Description

T 세포 요법을 위한 진단 방법{DIAGNOSTIC METHODS FOR T CELL THERAPY}
정부 소유권에 관한 진술
본 발명은 미국 복지보건부(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의 기관인 국립 암 연구소(National Cancer Institute) (NCI)와의 공동 연구 개발 협약(Cooperative Research and Development Agreement)의 수행에서 이루어졌다. 미국 정부는 본 발명에 특정한 권리를 지닌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T 세포 요법 효능을 지시하는 하나 이상의 시토카인의 혈청 수준을 증가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로 환자를 예비-컨디셔닝하는 것에 의한 T 세포 요법에 적합한 환자를 확인하는 방법 또는 환자를 T 세포 요법에 적합하도록 준비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질적으로 인간의 암은 비정상적인 암 세포가 되도록 유전적 또는 후성적 전환을 겪은 정상 세포로 구성된다. 그리하여, 암 세포는 정상 세포가 발현하는 것과 다른 단백질 및 다른 항원을 발현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비정상적인 종양 항원은 암 세포를 특이적으로 표적화하고 사멸시키도록 신체의 선천 면역계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암 세포는 면역 세포, 예컨대 T 및 B 림프구가 성공적으로 암 세포를 표적화하는 것을 방지하는 다양한 메카니즘을 사용한다.
인간 T 세포 요법은 강화 또는 변형된 인간 T 세포에 의존하여 환자에서 암 세포를 표적화하고 사멸시킨다. 종양 항원을 표적화할 수 있거나 또는 공지된 암 항원을 특이적으로 표적화하도록 T 세포를 유전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는 천연 발생 T 세포의 농도를 강화시키도록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요법들은 종양 크기 및 환자 생존에 대해 유망하지만 수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그러나, 소정의 T 세포 요법이 각각의 환자에서 효과적일지 여부를 예측하는 것은 어려운 것으로 증명되었다. 따라서, T 세포 요법에 잘 반응할 환자를 확인하거나 또는 환자를 T 세포 요법에 잘 반응하도록 준비시키는 것에 대한 필요가 있다.
본 개시내용은 T 세포 요법에 적합한 환자에서 암을 치료하는 방법이며, (i) 환자에게 인터류킨-15 ("IL-15"), 인터류킨-7 ("IL-7"), 및 단핵구 화학주성 단백질 1 ("MCP-1"), C-반응성 단백질 ("CRP"), 태반 성장 인자 ("PLGF"), 인터페론 감마-유도 단백질 10 ("IP-10")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시토카인의 혈청 수준을 증가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를 투여하는 단계, 및 (ii) 환자가 IL-15, IL-7,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시토카인의 증가된 혈청 수준을 나타낼 때 T 세포 요법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은 T 세포 요법에 적합한 환자에서 암을 치료하는 방법이며, 환자에게 IL-15, IL-7, 및 MCP-1, CRP, PLGF, IP-10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시토카인의 혈청 수준을 증가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환자는 IL-15, IL-7,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시토카인의 증가된 혈청 수준을 나타낼 때 T 세포 요법으로 치료되는 것인 방법을 추가로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은 T 세포 요법에 적합한 환자에서 암을 치료하는 방법이며, (i) 환자에게 IL-15, IL-7, 및 MCP-1, CRP, PLGF, IP-10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시토카인의 혈청 수준을 증가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를 투여하는 단계, (ii) 추가적인 양의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를 투여하거나 또는 유효량의 IL-15, IL-7, 및 MCP-1, CRP, PLGF, IP-10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시토카인을 투여하는 단계, 및 (iii) 환자가 IL-15, IL-7,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시토카인의 증가된 혈청 수준을 나타낼 때 T 세포 요법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또한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은 T 세포 요법에 적합한 환자를 확인하는 방법이며, 환자에게 IL-15, IL-7, 및 MCP-1, CRP, PLGF, IP-10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시토카인의 혈청 수준을 증가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을 또한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은 T 세포 요법에 적합한 환자를 확인하는 방법이며, (i) 환자에게 IL-15, IL-7, 및 MCP-1, CRP, PLGF, IP-10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시토카인의 혈청 수준을 증가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를 투여하는 단계, 및 (ii) 환자가 IL-15, IL-7,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시토카인의 증가된 혈청 수준을 나타낼 때 T 세포 요법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또한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은 T 세포 요법에 적합한 환자를 확인하는 방법이며, (i) 환자에게 IL-15, IL-7, 및 MCP-1, CRP, PLGF, IP-10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시토카인의 혈청 수준을 증가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를 투여하는 단계, (ii) 추가적인 양의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를 투여하거나 또는 유효량의 IL-15, IL-7, 및 MCP-1, CRP, PLGF, IP-10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시토카인을 투여하는 단계, 및 (iii) 환자가 IL-15, IL-7,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시토카인의 증가된 혈청 수준을 나타낼 때 T 세포 요법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또한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은 T 세포 요법을 필요로 하는 환자를 예비-컨디셔닝하기 위해 IL-15, IL-7, 및 MCP-1, CRP, PLGF, IP-10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시토카인의 혈청 수준을 증가시키는 방법이며, 환자에게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환자는 IL-15, IL-7,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시토카인의 증가된 혈청 수준을 나타낼 때 T 세포 요법으로 치료되는 것인 방법을 또한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은 T 세포 요법을 필요로 하는 환자를 예비-컨디셔닝하기 위해 IL-15, IL-7, 및 MCP-1, CRP, PLGF, IP-10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시토카인의 혈청 수준을 증가시키는 방법이며, (i) 환자에게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를 투여하는 단계, 및 (ii) 환자가 IL-15, IL-7,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시토카인의 증가된 혈청 수준을 나타낼 때 T 세포 요법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또한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은 T 세포 요법을 필요로 하는 환자를 예비-컨디셔닝하기 위해 IL-15, IL-7, 및 MCP-1, CRP, PLGF, IP-10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시토카인의 혈청 수준을 증가시키는 방법이며, (i) 환자에게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를 투여하는 단계, (ii) 추가적인 양의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를 투여하거나 또는 유효량의 IL-15, IL-7, 및 MCP-1, CRP, PLGF, IP-10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시토카인을 투여하는 단계, 및 (iii) 환자가 IL-15, IL-7,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시토카인의 증가된 혈청 수준을 나타낼 때 T 세포 요법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또한 제공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개시된 방법은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후에 IL-15, IL-7, 및 적어도 하나의 시토카인의 혈청 수준을 측정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한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개시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는 시클로포스파미드 및 퓨린 유사체를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퓨린 유사체는 펜토스타틴 및 플루다라빈으로부터 선택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T 세포 요법은 종양-침윤 림프구 (TIL) 면역요법, 자가 세포 요법, 조작된 자가 세포 요법 (eACT), 동종이형 T 세포 이식,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도 1은 예시적인 CAR-조작된 T 세포 및 그의 구축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이러한 예시적인 CAR-조작된 T 세포에서, 표적 결합 도메인은 항체에서 유래된 scFv 도메인을 포함하고, 공동자극성 도메인은 CD28로부터 유래되며, 필수적인 활성화 도메인은 CD3ζ (제타)로부터 유래된다. CAR 벡터 구축물은 바이러스 벡터에 의해 보유된 후 T 세포 게놈 내로 혼입될 수 있다. 그 후, CAR 구축물이 막횡단 단백질로서 T 세포에 의해 발현될 수 있다.
도 2A 및 2B는 항-CD-19 CAR+ T 세포로의 치료 후의 환자 질환 반응을 나타낸다. B 세포 악성종양이 있는 환자의 최상의 반응이 질환 병태에서의 퍼센트 변화로서 도 2A에서 제시된다. 빗금 막대는 완전 반응 (CR)을 지시한다. 음영진 막대는 부분적 반응을 지시한다. 백색 막대는 안정적 질환 (SD)을 지시한다. 흑색 막대는 진행성 질환 (PD)을 지시한다. 도 2B는 CAR+ T 세포 주입 후의 개월수에 관련된 환자 질환 반응을 나타낸다. 단색의 흑색 막대는 부분적 반응 (PR)을 지시하고, 회색 막대는 완전 반응 (CR)을 지시한다. "PD"로 표시된 막대 내의 중단부는 환자가 진행성 질환을 경험하였음을 지시한다. 역삼각형은 T 세포 주입 시간을 표기한다. 단색 원은 B 세포 회수 시간을 지시한다. 백색 원은 환자 혈액으로부터의 CAR+ T 세포 소거 시간을 지시한다. 수평 화살표는 환자의 반응이 진행 중임을 지시한다.
도 3은 환자를 500 mg/㎡/일 시클로포스파미드, 30 mg/㎡/일 플루다라빈, 및 2 x 106개의 항-CD19 CAR+ T 세포/kg으로 치료하는 것의 안전성, 효능 및 용량 제한 독성을 결정하는 것에 관한 1상 임상 시험의 샘플 다이어그램을 제공한다.
도 4A-4H는 300 mg/㎡/일 시클로포스파미드 및 30 mg/㎡/일 플루다라빈으로의 컨디셔닝 전 및 후의 선택된 시토카인 분석물의 혈청 수준을 나타낸다. 인터류킨 15 (IL-15; 도 4A), 단핵구 화학주성 단백질 1 (MCP-1; 도 4B), 감마-유도 단백질 10 (IP-10; 도 4C), 태반 성장 인자 (PLGF; 도 4D), 가용성 세포간 부착 분자 1 (sICAM-1; 도 4E), C-반응성 단백질 (CRP; 도 4F), 혈관 내피 성장 인자 D (VEGF-D; 도 4G), 및 대식세포 염증 단백질 1β (MIP-1b; 도 4H)의 혈청 수준이 300 mg/㎡ 시클로포스파미드 및 30 mg/㎡ 플루다라빈의 투여-전 및 투여-후로 제시된다. T 세포 요법 투여 전에 투여-전 혈청은 제-12일 내지 제-5일에 수집하였고, 투여-후 혈청은 제0일에 수집하였다 (도 4A-4H).
도 5A-H는 후속 T 세포 요법에 반응하였거나 또는 반응하지 않은 환자에서의 300 mg/㎡/일 시클로포스파미드 및 30 mg/㎡/일 플루다라빈으로의 컨디셔닝 후의 선택된 시토카인 분석물의 혈청 수준에서의 배수 변화를 나타낸다. IL-15 (도 5A), MCP-1 (도 5B), IP-10 (도 5C), PLGF (도 5D), sICAM-1 (도 5E), CRP (도 5F), VEGF (도 5G), 및 MIP-1b (도 5H)의 혈청 수준에서의 배수 변화가 반응자 및 비-반응자에 대해 제시된다. 수평선은 평균을 지시한다 (도 5A-H). 개별적인 환자의 IL-15 변화가 도 5A에서 제시되고, 각각의 환자의 질환 반응성이 부분적 반응 (PR), 완전 반응 (CR), 안정적 질환 (SD), 또는 진행성 질환 (PD)으로서 각각의 데이터 포인트 옆에 지시된다 (도 5A).
도 6A-6V는 제0일에 T 세포 요법을 받기 전에 300 mg/㎡/일 시클로포스파미드 및 30 mg/㎡/일 플루다라빈이 투여된 환자에 대한 제-10일에서 제18일까지의 다양한 시점에 측정된 선택된 시토카인 분석물의 혈청 농도를 나타낸다. 과립구 대식세포 콜로니-자극 인자 (GM-CSF; 도 6A), IL-2 (도 6B), MCP-1 (도 6C), IL-6 (도 6D), IL-10 (도 6E), MCP-4 (도 6F), CRP (도 6G), 인터페론 감마 (IFNγ; 도 6H), 그랜자임 A (도 6I), IL-15 (도 6J), IL-5 (도 6K), 그랜자임 B (도 6L), IL-8 (도 6M), IP-10 (도 6N), MIP-1b (도 6O), PLGF (도 6P), IL-16 (도 6Q), 흉선 및 활성화 조절된 케모카인 (TARC; 도 6R), 에오탁신-3 (도 6S), sICAM-1 (도 6T), 가용성 혈관 부착 분자 1 (sVCAM; 도 6U), 및 (SAA; 도 6V)의 혈청 농도가 제시된다.
도 7A-7I는 300 mg/㎡/일 시클로포스파미드 및 30 mg/㎡/일 플루다라빈의 투여-전 및 투여-후에 측정된 선택된 시토카인 분석물의 혈청 농도를 나타낸다. 투여-후 혈청을 T 세포 주입 직전에 수집하였다. IL-15 (도 7A), IL-7 (도 7B), PLGF (도 7C), CRP (도 7D), IL-5 (도 7E), IL-10 (도 7F), MCP-1 (도 7G), IP-10 (도 7H), 및 sICAM-1 (도 7I)의 혈청 농도가 제시된다. 각각의 데이터 포인트는 단일 환자를 나타낸다. 수평 막대는 평균을 나타낸다 (도 7A-7I). 윌콕슨 매칭-쌍 부호 순위 검정의 P 값을 컨디셔닝-전 및 컨디셔닝-후에 측정된 분석물에 적용하였고, 상응하는 P 값이 제시된다 (도 7A-7I). 일부 IL-7 값은 정량 상한 (ULOQ)을 초과하였다 (도 7B).
도 8A-8L은 K562 세포로의 자극 후의 음성 대조군 (K562-NGFR)과 비교된 바와 같은 항-CD19 CAR+ T 세포 (K562-CD19)에 의해 생산된 다양한 시토카인 분석물의 시험관-내 생산을 나타낸다. GM-CSF (도 8A), IL-2 (도 8B), IFNγ (도 8C), IL-5 (도 8D), IL-4 (도 8E), IL-13 (도 8F), 종양 괴사 인자 알파 (TNFα; 도 8G), IL-6 (도 8H), 그랜자임 B (도 8I), MIP-1β (도 8J), MIP-1α (도 8K), 및 가용성 CD137 (도 8L)의 농도가 대조군 및 항-CD19 CAR+ T 세포에 대해 제시된다. T1, T2, 및 면역 항상성 시토카인 (도 8A-8F) 및 염증유발성 시토카인 및 케모카인 (도 8G-8L)이 상응하게 표지된다. 생성물 T 세포를 K562-CD19 또는 대조군 K562-NGFR 세포와 함께 공동-인큐베이션하고 배지 내의 열거된 분석물의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주입 전에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도 8A-8L).
도 9A-9C는 음성 대조군 (K562-NGFR)과 비교된 바와 같은 표적 항원과의 결속 후에 다양한 시토카인을 발현하는 항-CD19 CAR+ T 세포 (K562-CD19)의 퍼센트를 나타낸다. CD107α (도 9A), 4-1BB (도 9B), 및 프로그래밍된 사멸 1 (PD-1; 도 9C)을 발현하는 세포의 퍼센트가 제시된다. 생성물 T 세포를 K562-CD19 또는 대조군 K562-NGFR 세포와 함께 공동-인큐베이션하고 배지 내의 선택된 활성화 마커의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주입 전에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도 9A-9C). 제시된 P 값은 K562-CD19 테스트 세포를 K562-NGFR 음성 대조군 세포와 비교하는 대응 T 검정의 결과를 지시한다 (도 9A-9C).
도 10은 제작 시간 (일)의 관점에서 생성물 T 세포 및 말초혈 림프구 (PBL)의 다양한 특성을 예시한다. 데이터는 생성물 대 PBL에서 검출된 항-CD-19 CAR+ T 세포의 퍼센트; 생성물 대 PBL 내의 CD8 대 CD4 비; 항-CD19 CAR+ CD8+ T 세포 집단 내의 나이브한 중심 기억 (Tcm), 이펙터 기억 (Tem), 및 이펙터 (Teff) T 세포의 상대적 출현도; 및 항-CD19 CAR+ CD4+ T 세포 집단 내의 나이브한 중심 기억 (Tcm), 이펙터 기억 (Tem), 및 이펙터 (Teff) T 세포의 상대적 출현도를 포함한다 (도 10). 주입 전의 생성물 T 세포 및 혈액에서의 피크 확장 동안의 PBL의 표현형 분석을 항-CD19 CAR+ T 세포 상에서 행하였다 (도 10). p-값은 제작 시간과 T 세포 부분집합 조성 사이의 연관의 순위 검정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NHL 환자 컨디셔닝 후에 관찰된 시토카인, 케모카인 및 다른 마커의 발현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CRP: C 반응성 단백질. PLGF: 태반 성장 인자. MCP-1: 단핵구 화학유인물질 단백질-1.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클로포스파미드 및 플루다라빈으로의 컨디셔닝 후의 시토카인, 케모카인 및 다른 마커에서 관찰된 변화의 정량을 설명한다.
도 13은 객관적 반응과 연관된 컨디셔닝 화학요법 후의 순환 IL-15 및 퍼포린에서의 변화의 규모를 나타낸다. P 값이 중복도에 대해 조정되지 않았다. CAR T 세포 주입 전에 측정된 마커 상에서 분석을 실행하였다.
도 14는 시토카인, 케모카인, 및 이펙터 분자의 바이오마커 분석을 설명한다. 마커들을 각각의 바이오마커 카테고리 내에서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을 사용하여 낮은 p-값에서 높은 p-값으로 정렬하였다. 대다수의 환자에서 변형되었고 p 값이 <0.05인 것들이 제시되었다. 41개의 측정된 마커 중에서 7개만 p<0.05와 연관되어 대다수의 환자에서 변화를 나타냈다. CAR T 세포 주입 전에 측정된 마커 상에서 분석을 실행하였다.
도 15는 면역 항상성, 염증성, 및 조정 시토카인, 케모카인 및 면역 이펙터 분자의 순차적 유도 및 소거를 설명한다. 대표적인 마커들이 제시된다. 41개의 측정된 마커 중 총 22개가 환자의 적어도 50%에서 기준선 값보다 적어도 2배 더 높게 CAR T-세포 치료 후 상승을 나타냈다: IL-15, IL-7, IL-2, 그랜자임 B, 그랜자임 A, CRP, IL-6, GM-CSF, IL-5, IFNg, IL-10, MCP-1, MCP-4, IP-10, IL-8, TARC, MIP1a, MIP1b, PLGF, VEGF-D, sICAM-1 및 FGF-2. 면역 항상성 시토카인 & 케모카인에 대해 제3일-제4일에 피크화가 관찰되었다.
도 16은 면역 항상성, 염증성, 및 조정 시토카인, 케모카인 및 면역 이펙터 분자의 순차적 유도 및 소거를 설명한다. 대표적인 마커들이 제시된다. 41개의 측정된 마커 중 총 22개가 환자의 적어도 50%에서 기준선 값보다 적어도 2배 더 높게 CAR T 세포 치료 후 상승을 나타냈다: IL-15, IL-7, IL-2, 그랜자임 B, 그랜자임 A, CRP, IL-6, GM-CSF, IL-5, IFNg, IL-10, MCP-1, MCP-4, IP-10, IL-8, TARC, MIP1a, MIP1b, PLGF, VEGF-D, sICAM-1 및 FGF-2. 면역 조정 시토카인 및 케모카인에 대해 제5일-제7일에 피크화가 관찰되었다. "ULOQ": 정량 상한.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항-CD19 CAR T 세포에 의해 유도된 치료-관련 바이오마커 및 임상 반응에서의 변화를 나타낸다. CAR T 세포 치료 후 대 기준선 (컨디셔닝-전)의 마커 수준의 최대 배수 변화. 각각의 선은 개별적인 대상체를 나타낸다. 윌콕슨 순위합 검정을 사용하여, 평가된 41개의 바이오마커 모두에 대해 반응자 대 비-반응자 군에 걸쳐 최대 배수 변화 값을 비교하였다. P-값이 중복도에 대해 조정되지 않았고, p<0.10인 바이오마커만 제시되었다: IL-7 및 sICAM-1에 대한 p 값은 <0.05였다. IL-7 (p=0.0165), IL-15 (p=0.0314) 및 IL-15 (p=0.041)의 절대 수준에서의 변화에 연관이 또한 적용가능하였다.
도 18A-18G는 시클로포스파미드 및 플루다라빈으로의 컨디셔닝 전 및 후의 분석물 수준에서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18A-18F는 IL-15 (도 18A), IP-10 (도 18B), CRP (도 18C), IL-7 (도 18D), MCP-1 (도 18E), 및 퍼포린 (도 18F)의 이전 및 이후 수준을 나타낸다. 도 18G는 다양한 분석물의 혈청 수준에서의 변화 및 상응하는 p 값을 요약한다.
도 19A-19E는 IL-15 (도 19A), IP-10 (도 19B), 및 퍼포린 (도 19C)에 대한 컨디셔닝 후의 분석물 수준에서의 변화와 CAR T 세포 요법에 대한 객관적 반응 사이의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도 19D는 도 19A-19C 각각에서 제공된 데이터의 통계적 유의성의 요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T 세포 요법, 예를 들어, 조작된 CAR T 세포 요법, 예를 들어, 자가 세포 요법 (eACT™)에 적합한 환자를 확인한 후, 환자를 T 세포 요법으로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은 특정 시토카인, 예를 들어, IL-15, IL-7,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의 혈청 수준을 증가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를 투여함으로써 환자를 예비-컨디셔닝하는 것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로 T 세포 요법 전에 환자를 예비-컨디셔닝하는 것은 내인성 림프구의 수를 감소시키고 IL-15 및 IL-7을 포함하는 환자 내에 존재하는 항상성 시토카인 및/또는 면역유발성 인자의 혈청 수준을 증가시킴으로써 T 세포 요법의 효능을 개선한다. 이는 일단 환자에게 투여되면 이식된 T 세포가 증식하기 위한 더욱 최적의 미세환경을 생성시킨다.
추가로 본 발명은 T 세포 요법을 필요로 하는 환자에서 T 세포 요법에 대한 더욱 적합한 환경을 생성시키는 방법이며, (i) 환자에게 특정 시토카인, 예를 들어, IL-15, IL-7,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의 혈청 수준을 증가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를 투여하는 단계; (ii) 환자에게 T 세포 요법의 유효성 증가와 연관되는 것으로 확인된 하나 이상의 시토카인, 예를 들어, IL-15, IL-7,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을 투여하는 단계; 또는 (iii) 환자에게 추가적인 치료, 예를 들어, 추가적인 시토카인, 추가적인 용량의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 또는 하나 이상의 시토카인을 발현하도록 조작된 T 세포를 투여하고, 이러한 추가적인 치료가 T 세포 요법의 유효성 증가와 연관되는 것으로 확인된 하나 이상의 시토카인, 예를 들어, IL-15, IL-7,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의 혈청 수준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의
본 개시내용이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기 위하여, 특정 용어가 먼저 정의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본원에서 다르게 명시적으로 제공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각각의 하기 용어는 하기에 설명된 의미를 갖는다. 추가적인 정의가 출원 전반에 걸쳐 설명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경우의 용어 "및/또는"은 2개의 특정된 특색 또는 성분 각각을 다른 하나와 함께 또는 다른 하나 없이 구체적 개시내용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원에서 "A 및/또는 B"와 같은 구절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및/또는"은 "A 및 B", "A 또는 B", "A" (단독), 및 "B" (단독)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유사하게, "A, B, 및/또는 C"와 같은 구절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및/또는"은 하기 측면 각각을 포괄하도록 의도된다: A, B, 및 C; A, B, 또는 C; A 또는 C; A 또는 B; B 또는 C; A 및 C; A 및 B; B 및 C; A (단독); B (단독); 및 C (단독).
측면이 본원에서 "포함하는"이라는 언어와 함께 기술되는 어떠한 경우에도, "로 이루어지는" 및/또는 "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는"이라는 표현으로 기술된 다른 면에서는 유사한 측면이 또한 제공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원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는 본 개시내용이 관련된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예를 들어, 문헌 [Concise Dictionary of Biomedicine and Molecular Biology, Juo, Pei-Show, 2nd ed., 2002, CRC Press]; [The Dictionary of Cell and Molecular Biology, 3rd ed., 1999, Academic Press]; 및 [Oxford Dictionary Of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Revised, 2000, Oxford University Press]가 본 개시내용에서 사용된 다수의 용어의 일반적인 사전을 통상의 기술자에게 제공한다.
단위, 접두사 및 기호는 그의 국제 단위 시스템(Systeme International de Unites) (SI) 승인형으로 표시된다. 숫자 범위는 범위를 규정하는 숫자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제공된 제목은 명세서를 전체적으로 참조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측면을 제한하지 않는다. 따라서, 하기에 정의된 용어들은 명세서 전문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충분하게 정의된다.
용어 "활성화"는 검출가능한 세포 증식을 유도하도록 충분히 자극된 면역 세포, 예를 들어, T 세포의 상태를 지칭한다. 활성화는 유도된 시토카인 생산 및 검출가능한 이펙터 기능과 연관될 수도 있다. 특히, 용어 "활성화된 T 세포"는 세포 분열이 진행 중인 T 세포를 지칭한다.
"투여하는"은 관련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방법 및 전달 시스템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작용제를 대상체에게 물리적으로 도입하는 것을 지칭한다. 본원에 개시된 제제에 대한 예시적인 투여 경로는 예를 들어 주사 또는 주입에 의한 정맥내, 근육내, 피하, 복막내, 척수 또는 다른 비경구 투여 경로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비경구 투여"라는 구절은 일반적으로 주사에 의한, 장 및 국소 투여 이외의 투여 방식을 의미하고, 비제한적으로,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척수내, 림프절내, 병변내, 낭내, 안와내, 심장내, 피내, 복막내, 경기관, 피하, 표피하, 관절내, 피막하, 지주막하, 척수강내, 경막외 및 흉골내 주사 및 주입, 뿐만 아니라 생체내 전기천공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제은 비경구 경로를 통해, 예를 들어, 경구로 투여된다. 다른 비경구 경로는 예를 들어, 비강 내로, 질에, 직장에, 설하로 또는 국소적으로 투여하는 국소, 표피 또는 점막 경로를 포함한다. 투여는, 예를 들어, 1회, 수회, 및/또는 하나 이상의 연장된 기간에 걸쳐 수행될 수도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유해 사례" (AE)는 의학적 치료의 사용과 연관된 임의의 불리하고 일반적으로 의도되지 않거나 바람직하지 않은 징후 (비정상적인 실험실 발견 포함), 증상, 의학적 발생 또는 질환이다. 유해 사례의 정의는 기존의 의학적 병태의 악화를 포함한다. 악화는 기존의 의학적 병태가 중증도, 빈도 및/또는 기간 면에서 증가되었거나 또는 악화된 결과와 연관되는 것을 가리킨다.
용어 "항체" (Ab)는, 비제한적으로, 항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당단백질 면역글로불린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항체는 디술피드 결합으로 상호연결된 적어도 2개의 중쇄 (H) 및 2개의 경쇄 (L), 또는 그의 항원-결합 부분을 포함한다. 각각의 H 사슬은 중쇄 가변 영역 (본원에서 VH로 약기됨) 및 중쇄 불변 영역을 포함한다. 중쇄 불변 영역은 3개의 불변 도메인인 CH1, CH2 및 CH3을 포함한다. 각각의 경쇄는 경쇄 가변 영역 (본원에서 VL로 약기됨) 및 경쇄 불변 영역을 포함한다. 경쇄 불변 영역은 1개의 불변 도메인인 CL을 포함한다. VH 및 VL 영역은 프레임워크 영역 (FR)으로 명명된 더욱 보존된 영역이 산재되어 있는, 상보성 결정 영역 (CDR)으로 명명된 초가변성 영역으로 추가로 세분될 수 있다. 각각의 VH 및 VL은 아미노 말단에서 카르복시 말단으로 하기 순서로 배열된 3개의 CDR 및 4개의 FR을 포함한다: FR1, CDR1, FR2, CDR2, FR3, CDR3, FR4. 중쇄 및 경쇄의 가변 영역은 항원과 상호작용하는 결합 도메인을 함유한다. Ab의 불변 영역은 면역글로불린이 면역계의 다양한 세포 (예를 들어, 이펙터 세포) 및 고전적 보체 시스템의 제1 성분 (C1q)을 포함하는 숙주 조직 또는 인자에 결합하는 것을 매개할 수 있다.
면역글로불린은 IgA, 분비성 IgA, IgG 및 IgM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통상적으로 공지된 아이소타입 중 임의의 것으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IgG 서브클래스 또한 관련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고, 인간 IgG1, IgG2, IgG3 및 IgG4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아이소타입"은 중쇄 불변 영역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Ab 클래스 또는 서브클래스 (예를 들어, IgM 또는 IgG1)를 지칭한다. 용어 "항체"는, 예를 들어, 천연 발생 및 비-천연 발생 둘 다의 Ab; 모노클로날 및 폴리클로날 Ab; 키메라 및 인간화 Ab; 인간 또는 비-인간 Ab; 완전 합성 Ab; 및 단일쇄 Ab를 포함한다. 비-인간 Ab는 인간에서의 그의 면역원성을 감소시키도록 재조합 방법으로 인간화될 수 있다.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경우에, 및 문맥적으로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용어 "항체"는 상기 언급된 면역글로불린 중 임의의 것의 항원-결합 단편 또는 항원-결합 부분을 또한 포함하고, 1가 및 2가 단편 또는 일부분, 및 단일쇄 Ab를 포함한다.
"항원 결합 분자" 또는 "항체 단편"은 전체보다 적은 항체의 임의의 부분을 지칭한다. 항원 결합 분자는 항원 상보성 결정 영역 (CDR)을 포함할 수 있다. 항체 단편의 예는 Fab, Fab', F(ab')2, 및 Fv 단편, dAb, 선형 항체, scFv 항체, 및 항원 결합 분자들로부터 형성된 다중특이적 항체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항원"은 면역 반응을 유발하거나 또는 항체가 결합할 수 있는 임의의 분자를 지칭한다. 면역 반응은 항체 생산, 또는 특이적인 면역학적으로 적격인 세포의 활성화, 또는 둘 다를 수반할 수 있다. 관련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사실상 모든 단백질 또는 펩티드를 포함하는 임의의 거대분자가 항원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항원은 내인성으로 발현될 수 있고, 즉 게놈 DNA에 의해 발현될 수 있거나, 또는 재조합으로 발현될 수 있다. 항원은 특정 조직, 예컨대 암 세포에 대해 특이적일 수 있거나, 또는 광범위하게 발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대형 분자의 단편이 항원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종양 항원이다.
용어 "자가"는 이후에 자신이 재도입될 동일한 개체로부터 유래된 임의의 물질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본원에 기술된 조작된 자가 세포 요법 (eACT™) 방법은 환자로부터 림프구를 수집한 후, 이를 예를 들어 CAR 구축물을 발현하도록 조작하고 나서, 다시 동일한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수반한다.
용어 "동종이형"은 한 개체로부터 유래된 후 동일한 종의 또 다른 개체에 도입되는 임의의 물질, 예를 들어, 동종이형 T 세포 이식을 지칭한다.
"암"은 신체 내에서의 비정상 세포의 제어되지 않은 성장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질환의 광범위한 군을 지칭한다. 조절되지 않은 세포 분열 및 성장은 이웃 조직을 침범하고 또한 림프계 또는 혈류를 통해 신체의 원위부로 전이될 수도 있는 악성 종양의 형성을 초래한다. "암" 또는 "암 조직"은 종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치료될 수 있는 암의 예는 림프종, 백혈병, 및 다른 백혈구 악성종양을 포함하는 면역계의 암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예를 들어, 골암, 췌장암, 피부암, 두경부암, 피부 또는 안구내 악성 흑색종, 자궁암, 난소암, 직장암, 항문부암, 위암, 고환암, 자궁암, 난관 암종, 자궁내막 암종, 자궁경부 암종, 질 암종, 외음부 암종, 호지킨병, 비-호지킨 림프종 (NHL), 원발성 종격동 거대 B 세포 림프종 (PMBC), 미만성 거대 B 세포 림프종 (DLBCL), 여포성 림프종 (FL), 전환된 여포성 림프종, 비장 변연부 림프종 (SMZL), 식도암, 소장암, 내분비계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부신암, 연조직 육종, 요도암, 음경암, 만성 또는 급성 백혈병, 급성 골수성 백혈병, 만성 골수성 백혈병, 급성 림프모구성 백혈병 (ALL) (비-T 세포 ALL 포함),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CLL), 소아기 고형 종양, 림프구성 림프종, 방광암, 신장 또는 요관의 암, 신우 암종, 중추 신경계 (CNS)의 신생물, 원발성 CNS 림프종, 종양 혈관신생, 척수축 종양, 뇌간 교종, 뇌하수체 선종, 카포시 육종, 표피양암, 편평 세포암, T-세포 림프종, 석면에 의해 유발된 것들을 포함한 환경적으로 유발된 암, 다른 B 세포 악성종양, 및 상기 암들의 조합으로부터 유래된 종양의 종양 크기를 감소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특정한 암은 화학요법 또는 방사선 요법에 대해 반응성일 수 있거나, 또는 암이 불응성일 수 있다. 불응성 암은 수술적 개입으로 수정될 수 없는 암을 지칭하고, 이러한 암은 처음부터 화학요법 또는 방사선 요법에 대해 무반응성이거나 또는 암이 경시적으로 무반응성이게 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항종양 효과"는 종양 부피의 감소, 종양 세포 수의 감소, 종양 세포 증식의 감소, 전이 수의 감소, 전체 또는 무진행 생존의 증가, 기대 여명의 증가, 또는 종양과 연관된 다양한 생리학적 증상의 호전으로서 나타날 수 있는 생물학적 효과를 지칭한다. 항종양 효과는 종양 발생의 방지, 예를 들어, 백신을 또한 지칭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PFS로 약기될 수 있는 용어 "무진행 생존"은 치료일로부터 악성 림프종에 대한 IWG 반응 기준(IWG Response Criteria for Malignant Lymphoma) 개정판에 따른 질환 진행일 또는 임의의 원인으로 인한 사망까지의 시간을 지칭한다.
"질환 진행"은 방사선사진 또는 다른 방법에서의 악성 병변의 측정이 유해 사례로서 보고되지 않아야 하는 것에 의해 평가된다. 징후 또는 증상의 부재 하에 질환 진행으로 인해 사망하는 것은 원발성 종양 유형 (예를 들어, DLBCL)으로서 보고되어야 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DOR로 약기될 수 있는 "반응 기간"은 대상체의 첫번째 객관적 반응에서 악성 림프종에 대한 IWG 반응 기준 개정판에 따라 질환 진행이 확인된 날 또는 사망일까지의 기간을 지칭한다.
OS로 약기될 수 있는 용어 "전체 생존"은 치료일로부터 사망일까지의 시간으로서 정의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시토카인"은 특정 항원과의 접촉에 반응하여 한 세포가 방출하는 비-항체 단백질을 지칭하고, 여기서 시토카인은 제2 세포와 상호작용하여 제2 세포에서의 반응을 매개한다. 시토카인은 세포에 의해 내인성으로 발현될 수 있거나, 또는 대상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대식세포, B 세포, T 세포, 및 비만 세포를 포함하는 면역 세포가 시토카인을 방출하여 면역 반응을 전파할 수 있다. 시토카인은 수용자 세포에서 다양한 반응울 유도할 수 있다. 시토카인은 항상성 시토카인, 케모카인, 염증유발성 시토카인, 이펙터, 및 급성기 단백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류킨 (IL) 7 및 IL-15를 포함하는 항상성 시토카인은 면역 세포 생존 및 증식을 촉진하고, 염증유발성 시토카인은 염증성 반응을 촉진할 수 있다. 항상성 시토카인의 예는 IL-2, IL-4, IL-5, IL-7, IL-10, IL-12p40, IL-12p70, IL-15, 및 인터페론 (IFN) 감마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염증유발성 시토카인의 예는 IL-1a, IL-1b, IL-6, IL-13, IL-17a, 종양 괴사 인자 (TNF)-알파, TNF-베타, 섬유모세포 성장 인자 (FGF) 2, 과립구 대식세포 콜로니-자극 인자 (GM-CSF), 가용성 세포간 부착 분자 1 (sICAM-1), 가용성 혈관 부착 분자 1 (sVCAM-1), 혈관 내피 성장 인자 (VEGF), VEGF-C, VEGF-D, 및 태반 성장 인자 (PLGF)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펙터의 예는 그랜자임 A, 그랜자임 B, 가용성 Fas 리간드 (sFasL), 및 퍼포린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급성기-단백질의 예는 C-반응성 단백질 (CRP) 및 혈청 아밀로이드 A (SAA)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케모카인"은 세포 화학주성 또는 지향성 이동을 매개하는 유형의 시토카인이다. 케모카인의 예는 IL-8, IL-16, 에오탁신, 에오탁신-3, 대식세포-유래 케모카인 (MDC 또는 CCL22), 단핵구 화학주성 단백질 1 (MCP-1 또는 CCL2), MCP-4, 대식세포 염증 단백질 1α (MIP-1α, MIP-1a), MIP-1β (MIP-1b), 감마-유도 단백질 10 (IP-10), 및 흉선 및 활성화 조절된 케모카인 (TARC 또는 CCL17)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분석물 및 시토카인의 다른 예는 케모카인 (C-C 모티프) 리간드 (CCL) 1, CCL5, 단핵구-특이적 케모카인 3 (MCP3 또는 CCL7), 단핵구 화학유인물질 단백질 2 (MCP-2 또는 CCL8), CCL13, IL-1, IL-3, IL-9, IL-11, IL-12, IL-14, IL-17, IL-20, IL-21, 과립구 콜로니-자극 인자 (G-CSF), 백혈병 억제 인자 (LIF), 온코스타틴 M (OSM), CD154, 림포톡신 (LT) 베타, 4-1BB 리간드 (4-1BBL), 증식-유도 리간드 (APRIL), CD70, CD153, CD178, 글루코코르티코이드-유도 TNFR-관련 리간드 (GITRL), 종양 괴사 인자 슈퍼패밀리 구성원 14 (TNFSF14), OX40L, TNF- 및 ApoL-관련 백혈구-발현 리간드 1 (TALL-1), 또는 TNF-관련 아폽토시스-유도 리간드 (TRAIL)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용어 "혈청 수준" 및 "혈청 농도"는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되고, 대상체의 혈청 내의 분석물의 양을 지칭한다. 소정의 분석물의 혈청 수준을 관련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토카인 혈청 수준을 효소-결합 면역흡착 검정법 (ELISA)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한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시토카인 혈청 수준을 EMD밀리포어(EMDmillipore)의 루미넥스(LUMINEX)® xMAP® 다중 검정법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투약 간격"은 본원에 개시된 제제가 대상체에게 투여되는 다중 용량들 사이에 경과된 시간의 양을 의미한다. 따라서 투약 간격은 범위로서 지시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용량은 "중량 기준 용량" 또는 "체표면적 (BSA) 기준 용량"으로서 제시될 수 있다. 중량 기준 용량은 환자의 중량을 기초로 계산된 환자에게 투여되는 용량, 예를 들어, mg/kg이다. BSA 기준 용량은 환자의 체표면적으로 기초로 계산된 환자에게 투여되는 용량, 예를 들어, mg/㎡이다. 용량 치수의 2가지 형태는 중량 기준 용량에 37을 곱하거나 또는 BSA 기준 용량을 37로 나눔으로써 인간 투약에 대해 변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간 대상체에게 투여될 60 mg/kg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용량은 동일한 대상체에게 투여될 동일한 약물의 2220 mg/㎡ 용량과 등가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투약 빈도"는 본원에 개시된 제제의 용량을 소정의 시간에 투여하는 빈도를 지칭한다. 투약 빈도는 소정의 시간당 용량의 수로서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비-컨디셔닝 작용제, 예를 들어, 시클로포스파미드는 연속 5일의 각각의 날에 단일 용량/일로서, 연속 4일의 각각의 날에 단일 용량/일로서, 연속 3일의 각각의 날에 단일 용량/일로서, 연속 2일의 각각의 날에 단일 용량/일로서, 또는 1일에 단일 용량으로서 투여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2 예비-컨디셔닝 작용제, 예를 들어, 플루다라빈은 연속 8일의 각각의 날에 단일 용량/일로서, 연속 7일의 각각의 날에 단일 용량/일로서, 연속 6일의 각각의 날에 단일 용량/일로서, 연속 5일의 각각의 날에 단일 용량/일로서, 연속 4일의 각각의 날에 단일 용량/일로서, 연속 3일의 각각의 날에 단일 용량/일로서, 연속 2일의 각각의 날에 단일 용량/일로서, 또는 1일에 단일 용량으로서 투여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플루다라빈은 연속 5일 동안 1회 용량/일로서 또는 연속 3일 동안 1회 용량/일로서 투여된다.
약물, 예비-컨디셔닝 작용제, 또는 치료제, 예를 들어, 조작된 CAR T 세포의 "치료 유효량", "유효 용량", "유효량", 또는 "치료 유효 투여량"은 단독으로 또는 또 다른 치료제와 조합되어 사용된 경우에 대상체를 질환 발병으로부터 보호하거나, 또는 질환 증상 중증도의 감소, 질환의 무증상 기간의 빈도 또는 기간의 증가, 또는 질환 고통으로 인한 손상 또는 장애의 방지에 의해 증명되는 질환 퇴행을 촉진하는 약물의 임의의 양이다. 치료제가 질환 퇴행을 촉진하는 능력을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예컨대 임상 시험 동안의 인간 대상체에서, 인간에서의 효능을 예측하는 동물 모델 시스템에서, 또는 시험관내 검정법에서 작용제의 활성을 검정함으로써 평가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림프구"는 천연 킬러 (NK) 세포, T 세포, 또는 B 세포를 포함한다. NK 세포는 선천 면역계의 대다수의 성분을 나타내는 세포독성 (세포 독성) 림프구 유형이다. NK 세포는 종양 및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를 거부한다. 이는 아폽토시스 또는 프로그래밍된 세포 사멸의 프로세스를 통해 작동한다. 이들은 세포를 사멸시키기 위해 활성화를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천연 킬러"로 명명된다. T-세포는 세포-매개-면역 (항체가 수반되지 않음)에서 주요 역할을 한다. 그의 T-세포 수용체 (TCR)가 이들을 다른 림프구 유형으로부터 구별시킨다. 면역계의 특수 기관인 흉선이 T 세포의 성숙을 주로 담당한다. 6가지 유형의 T-세포, 즉 헬퍼 T-세포 (예를 들어, CD4+ 세포), 세포독성 T-세포 (일명 TC, 세포독성 T 림프구, CTL, T-킬러 세포, 세포용해성 T 세포, CD8+ T-세포 또는 킬러 T 세포), 기억 T-세포 ((i) 줄기 기억 TSCM 세포, 예컨대 나이브 세포는 CD45RO-, CCR7+, CD45RA+, CD62L+ (L-셀렉틴), CD27+, CD28+ 및 IL-7Rα+이지만, 또한 다량의 CD95, IL-2Rβ, CXCR3, 및 LFA-1을 발현하고, 기억 세포에 독특한 수많은 기능 속성을 나타내고, (ii) 중심 기억 TCM 세포는 L-셀렉틴 및 CCR7을 발현하고, IL-2를 분비하지만 IFNγ 또는 IL-4를 분비하지 않으며, (iii) 그러나, 이펙터 기억 TEM 세포는 L-셀렉틴 또는 CCR7을 발현하지 않지만, 이펙터 시토카인 예컨대 IFNγ 및 IL-4를 생산한다), 조절성 T-세포 (Treg, 억제인자 T 세포, 또는 CD4+CD25+ 조절성 T 세포), 천연 킬러 T-세포 (NKT) 및 감마 델타 T-세포가 있다. 반면에, B-세포는 체액성 면역 (항체가 수반됨)에서 주요한 역할을 한다. 이는 항체 및 항원을 만들고, 항원-제시 세포 (APC)의 역할을 수행하며, 항원 상호작용에 의한 활성화 후에 기억 B-세포로 변한다. 포유동물에서, 미성숙 B-세포는 그의 명칭이 유래되는 골수에서 형성된다.
용어 "유전적으로 조작된" 또는 "조작된"은 코딩 또는 비-코딩 영역 또는 그의 일부분을 결실시키거나 또는 코딩 영역 또는 그의 일부분을 삽입하는 것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세포 게놈을 변형시키는 방법을 지칭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변형되는 세포는 림프구, 예를 들어, T 세포이고, 이는 환자 또는 공여자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외인성 구축물, 예를 들어, 키메라 항원 수용체 (CAR) 또는 T 세포 수용체 (TCR)를 발현하도록 세포가 변형될 수 있고, 이러한 구축물은 세포의 게놈 내로 혼입된다.
"면역 반응"은 침습 병원체, 병원체로 감염된 세포 또는 조직, 암성 또는 다른 비정상 세포, 또는 자가면역 또는 병리학적 염증의 경우의 정상 인간 세포 또는 조직을 선택적으로 표적화하고/하거나, 이에 결합하고/하거나, 이에 손상을 입히고/입히거나, 이를 파괴하고/하거나, 이를 척추동물의 신체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초래하는, 면역계의 세포 (예를 들어, T 림프구, B 림프구, 천연 킬러 (NK) 세포, 대식세포, 호산구, 비만 세포, 수지상 세포 및 호중구) 및 이러한 세포 중 임의의 것 또는 간에 의해 생산된 가용성 거대분자 (Ab, 시토카인, 및 보체를 포함함)의 작용을 지칭한다.
용어 "면역요법"은 면역 반응을 유도하거나, 강화시키거나, 억제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변형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질환을 앓고 있거나 또는 질환에 걸리거나 질환 재발을 겪을 위험에 처한 대상체를 치료하는 것을 지칭한다. 면역요법의 예는 T 세포 요법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T 세포 요법은 입양 T 세포 요법, 종양-침윤 림프구 (TIL) 면역요법, 자가 세포 요법, 조작된 자가 세포 요법 (eACT), 및 동종이형 T 세포 이식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관련 분야의 기술자는 본원에 개시된 컨디셔닝 방법이 임의의 이식된 T 세포 요법의 유효성을 강화시킬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T 세포 요법의 예가 미국 특허 공개 번호 2014/0154228 및 2002/0006409, 미국 특허 번호 5,728,388, 및 국제 공개 번호 WO 2008/081035에 기술되어 있다.
면역요법의 T 세포는 관련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공급원으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 세포가 시험관 내에서 조혈 줄기 세포 집단으로부터 분화될 수 있거나, 또는 T 세포를 대상체로부터 수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말초혈 단핵 세포, 골수, 림프절 조직, 제대혈, 흉선 조직, 감염 부위로부터의 조직, 복수, 흉막 삼출물, 비장 조직, 및 종양으로부터 T 세포를 수득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T 세포는 관련 분야에서 이용가능한 하나 이상의 T 세포주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또한 T 세포를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다수의 기술, 예컨대 피콜(FICOLL)™ 분리 및/또는 분리반출술을 사용하여 대상체로부터 수집된 단위 혈액으로부터 수득할 수 있다. T 세포 요법을 위해 T 세포를 단리하는 추가적인 방법이 미국 특허 공개 번호 2013/0287748에 개시되어 있고, 이는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eACT™"으로 약기될 수 있는 용어 "조작된 자가 세포 요법" (일명 입양 세포 전달)은 환자 자신의 T 세포를 수집하고, 이어서 하나 이상의 특정한 종양 세포 또는 악성 종양의 세포 표면에서 발현된 하나 이상의 항원을 인식하고 표적화하도록 이를 유전적으로 변경시키는 프로세스이다. 예를 들어, 키메라 항원 수용체 (CAR) 또는 T 세포 수용체 (TCR)를 발현하도록 T 세포가 조작될 수 있다. CAR 양성 (+) T 세포는 공동자극성 도메인 및 활성화 도메인을 포함하는 세포내 신호전달 부분에 연결된, 특정한 종양 항원에 대한 특이성이 있는 세포외 단일쇄 가변 단편 (scFv)을 발현하도록 조작된다. 공동자극성 도메인은, 예를 들어, CD28로부터 유래될 수 있고, 활성화 도메인은, 예를 들어, CD3-제타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도 1). 특정 실시양태에서, CAR은 2개, 3개, 4개, 또는 이를 초과하는 개수의 공동자극성 도메인을 갖도록 디자인된다. CAR scFv는, 예를 들어, CD19를 표적화하도록 디자인될 수 있고, 이는 NHL, CLL, 및 비-T 세포 ALL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모든 정상 B 세포 및 악성 B 세포를 포함하는 B 세포 계통 내의 세포가 발현하는 막횡단 단백질이다. 예시적인 CAR+ T 세포 요법 및 구축물이 미국 특허 공개 번호 2013/0287748, 2014/0227237, 2014/0099309, 및 2014/0050708에 기술되어 있고, 이러한 참고문헌들은 전문이 참조로 포함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환자"는 암 (예를 들어, 림프종 또는 백혈병)을 앓는 임의의 인간을 포함한다. 용어 "대상체" 및 "환자"는 본원에서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된다.
용어 "펩티드", "폴리펩티드", 및 "단백질"은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되고, 펩티드 결합에 의해 공유결합으로 연결된 아미노산 잔기들로 구성된 화합물을 지칭한다. 단백질 또는 펩티드는 적어도 2개의 아미노산을 함유하여야 하고, 단백질 또는 펩티드의 서열을 이룰 수 있는 아미노산의 최대 개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폴리펩티드는 펩티드 결합에 의해 서로 연결된 2개 이상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임의의 펩티드 또는 단백질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이러한 용어는 관련 분야에서 예를 들어 펩티드, 올리고펩티드 및 올리고머로 또한 통상적으로 지칭되는 짧은 사슬, 및 일반적으로 관련 분야에서 다수의 유형이 있는 단백질로서 지칭되는 더 긴 사슬 둘 다를 지칭한다. "폴리펩티드"는, 예를 들어, 생물학적으로 활성인 단편, 실질적으로 상동성인 폴리펩티드, 올리고펩티드, 동종이량체, 이종이량체, 폴리펩티드의 변이체, 변형된 폴리펩티드, 유도체, 유사체, 융합 단백질을 특히 포함한다. 폴리펩티드는 천연 펩티드, 재조합 펩티드, 합성 펩티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자극"은 자극성 분자와 그의 동족 리간드의 결합에 의해 유발된 1차 반응을 지칭하고, 여기서 결합은 신호 전달 이벤트를 매개한다. "자극성 분자"는 항원 제시 세포 상에 존재하는 동족 자극성 리간드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T 세포 상의 분자, 예를 들어, T 세포 수용체 (TCR)/CD3 복합체이다. "자극성 리간드"는 항원 제시 세포 (예를 들어, aAPC, 수지상 세포, B-세포 등) 상에 존재할 때 T 세포 상의 자극성 분자와 특이적으로 결합함으로써, 활성화, 면역 반응 개시, 증식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T 세포에 의한 1차 반응을 매개할 수 있는 리간드이다. 자극성 리간드는 펩티드가 로딩된 MHC 클래스 I 분자, 항-CD3 항체, 초효능제 항-CD28 항체, 및 초효능제 항-CD2 항체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공동자극성 신호"는 1차 신호, 예컨대 TCR/CD3 라이게이션과 조합하여, T 세포 반응, 예컨대 증식 및/또는 핵심 분자의 상향조절 또는 하향조절이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반응에 이르는 신호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공동자극성 리간드"는 T 세포 상의 동족 공동자극성 분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원 제시 세포 상의 분자를 포함한다. 공동자극성 리간드의 결합은 증식, 활성화, 분화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T 세포 반응을 매개하는 신호를 제공한다. 공동자극성 리간드는 자극성 분자에 의해, 예를 들어, T 세포 수용체 (TCR)/CD3 복합체와 펩티드가 로딩된 주요 조직적합성 복합체 (MHC) 분자의 결합에 의해 제공되는 1차 신호에 더하여 신호를 유도한다. 공동자극성 리간드는 CD7, B7-1 (CD80), B7-2 (CD86), 프로그래밍된 사멸 (PD) L1, PD-L2, 4-1BB 리간드, OX40 리간드, 유도성 공동자극성 리간드 (ICOS-L), 세포간 부착 분자 (ICAM), CD30 리간드, CD40, CD70, CD83, 인간 백혈구 항원 G (HLA-G), MHC 클래스 I 사슬-관련 단백질 A (MICA), MHC 클래스 I 사슬-관련 단백질 B (MICB), 헤르페스 바이러스 진입 매개인자 (HVEM), 림포톡신 베타 수용체, 3/TR6, 면역글로불린-유사 전사체 (ILT) 3, ILT4, 톨(Toll) 리간드 수용체에 결합하는 효능제 또는 항체, 및 B7-H3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리간드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공동자극성 리간드는 T 세포 상에 존재하는 공동자극성 분자, 예컨대 CD27, CD28, 4-1BB, OX40, CD30, CD40, PD-1, ICOS, 림프구 기능-연관 항원-1 (LFA-1), CD2, CD7, 종양 괴사 인자 슈퍼패밀리 구성원 14 (TNFSF14 또는 LIGHT), 천연 킬러 세포 수용체 C (NKG2C), B7-H3, 및 CD83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리간드이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분자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비제한적으로 포함한다.
"공동자극성 분자"는 공동자극성 리간드와 특이적으로 결합함으로써 T 세포에 의한 공동자극성 반응, 예컨대 증식이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반응을 매개하는 T 세포 상의 동족 결합 파트너이다. 공동자극성 분자는 CD27, CD28, 4-1BB, OX40, CD30, CD40, CD83, PD-1, ICOS, LFA-1, CD2, CD7, TNFSF14 (LIGHT), NKG2C, B7-H3, MHC 클래스 1 분자, B- 및 T-림프구 감쇠제 (BTLA), 및 톨 리간드 수용체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용어 "컨디셔닝" 및 "예비-컨디셔닝"은 본원에서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되고, T 세포 요법을 필요로 하는 환자를 적합한 상태에 대해 준비시키는 것을 가리킨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컨디셔닝은 T 세포 요법 이전에 내인성 림프구의 수를 감소시키는 것, 시토카인 하락을 제거하는 것,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 시토카인 또는 염증유발성 인자의 혈청 수준을 증가시키는 것, 컨디셔닝 후에 투여되는 T 세포의 이펙터 기능을 강화시키는 것, 항원 제시 세포 활성화 및/또는 이용가능성을 강화시키는 것,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한 실시양태에서, "컨디셔닝"은 하나 이상의 시토카인, 예를 들어, 인터류킨 7 (IL-7), 인터류킨 15 (IL-15), 인터류킨 10 (IL-10), 인터류킨 5 (IL-5), 감마-유도 단백질 10 (IP-10), 인터류킨 8 (IL-8), 단핵구 화학주성 단백질 1 (MCP-1), 태반 성장 인자 (PLGF), C-반응성 단백질 (CRP), 가용성 세포간 부착 분자 1 (sICAM-1), 가용성 혈관 부착 분자 1 (sVCAM-1),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의 혈청 수준을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컨디셔닝"은 IL-7, IL-15, IP-10, MCP-1, PLGF, CRP,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의 혈청 수준을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용어 "감소시키는" 및 "저하시키는"은 본원에서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되고, 원래의 것보다 적은 임의의 변화를 가리킨다. "감소시키는" 및 "저하시시키는"은 상대적인 용어여서, 이전 치수와 이후 치수 사이의 비교를 필요로 한다. "감소시키는" 및 "저하시키는"은 완전 고갈을 포함한다.
대상체의 "치료" 또는 "치료하는"은 증상, 합병증 또는 병태의 발병, 진행, 발달, 중증도 또는 재발을 역전시키거나, 경감시키거나, 호전시키거나, 억제하거나, 느리게 하거나 또는 방지하는 목적의 대상체에게 수행되는 임의 유형의 개입 또는 프로세스 또는 대상체에게 활성 작용제를 투여하는 것을 지칭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치료" 또는 "치료하는"은 부분적 완화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치료" 또는 "치료하는"은 완전 완화를 포함한다.
대안 (예를 들어, "또는")의 사용은 대안들 중 어느 하나, 둘 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용어는 "하나 이상"의 임의의 열거 또는 나열된 성분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용어 "약" 또는 "로 본질적으로 구성되는"은 관련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은 특정한 값 또는 조성에 대한 허용가능한 오차 범위 내에 있는 값 또는 조성을 지칭하고, 이는 값 또는 조성이 측정 또는 결정되는 방법, 즉 측정 시스템의 한계에 부분적으로 좌우될 것이다. 예를 들어, "약" 또는 "로 본질적으로 구성되는"은 관련 분야의 관행에 따라 1 이내 또는 1 초과의 표준 편차 내를 의미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약" 또는 "로 본질적으로 구성되는"은 10%까지의 범위 (즉, ±10%)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 3 mg은 2.7 mg 내지 3.3 mg의 임의의 수를 포함할 수 있다 (10%의 경우). 추가로, 특히 생물학적 시스템 또는 프로세스와 관련하여, 이러한 용어는 값의 10배까지 또는 5배까지를 의미할 수 있다. 특정한 값 또는 조성이 본 출원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제공되는 경우,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약" 또는 "로 본질적으로 구성되는"의 의미는 이러한 특정한 값 또는 조성에 대한 허용가능한 오차 범위 내인 것으로 가정되어야 한다.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임의의 농도 범위, 백분율 범위, 비 범위 또는 정수 범위는 열거된 범위 내의 임의의 정수, 및 적절한 경우에는 그의 분율 (예컨대 정수의 1/10 및 1/100)의 값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이 하기의 하위 섹션에서 추가로 상세하게 기술된다.
본 발명의 방법
본 발명은 초기 예비-컨디셔닝 단계 후에 T 세포 요법에 적합한 환자를 확인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 예비-컨디셔닝 단계 후에 환자를 하위 집단으로 계층화하고, 이러한 집단들을 적절한 다음 단계로 치료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확인된 한 환자 군은 제1 예비-컨디셔닝 레지멘을 투여한 후에 어떠한 추가적인 예비-컨디셔닝 레지멘도 없이 T 세포 요법에 적합한 환자들일 수 있다. 또 다른 환자 군은 1차 예비-컨디셔닝 단계로 T 세포 요법에 부적합하고 제2 예비-컨디셔닝 단계를 필요로 하는 환자들일 수 있다. 제3 환자 군은 후속적인 예비-컨디셔닝 단계 후에도 T 세포 요법에 부적합한 환자들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단계를 사용하여 환자 내의 특정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을 증가시킴으로써 환자를 T 세포 요법에 준비시키는 것을 또한 포함한다.
본 발명은 예비-컨디셔닝 레지멘을 받은 환자에서의 특정 시토카인의 증가된 발현이 T 세포 요법의 증가된 효능을 지시한다는 것을 확인한다. T 세포 요법의 증가된 효능을 지시하는 시토카인은 IL-15, IL-7, 및 단핵구 화학주성 단백질 1 ("MCP-1"), C-반응성 단백질 ("CRP"), 태반 성장 인자 ("PLGF"), 인터페론 감마-유도 단백질 10 ("IP-10"),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시토카인을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은 IL-15, IL-7, 및 MCP-1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은 IL-15, IL-7, 및 CRP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은 IL-15, IL-7, 및 PLGF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은 IL-15, IL-7, MCP-1, 및 IP-10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은 IL-15, IL-7, MCP-1, 및 CRP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은 IL-15, IL-7, MCP-1, 및 PLGF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은 IL-15, IL-7, IP-10, 및 CRP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은 IL-15, IL-7, PLGF, 및 IP-10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은 IL-15, IL-7, MCP-1, IP-10, 및 CRP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은 IL-15, IL-7, MCP-1, IP-10, 및 PLGF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은 IL-15, IL-7, MCP-1, CRP, 및 PLGF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은 IL-15, IL-7, IP-10, CRP, 및 PLGF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은 IL-15, IL-7, IP-10, MCP-1, CRP, 및 PLGF이다.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의 증가된 혈청 발현에 더하여, T 세포 요법에 적합한 환자는 추가적인 특성을 또한 나타낼 수 있다: (i) 내인성 림프구의 수 감소; (ii) T 세포의 이펙터 기능 증가; (iii) 항원 제시 세포 활성화 및/또는 이용가능성 증가; 또는 (iv) 이들의 임의의 조합.
예비-컨디셔닝 레지멘에 의해 감소되는 내인성 림프구는 입양으로 전달된 T 세포의 항종양 효과를 억제할 수 있는, 내인성 조절성 T 세포, B 세포, 천연 킬러 세포, CD4+ T 세포, CD8+ T 세포,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내인성 림프구는 항원 및 지지성 시토카인에 접근하는 것에 대해 입양으로 전달된 T 세포와 경쟁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로의 예비치료는 이러한 경쟁을 제거하여, IL-15 및 IL-7을 포함하는 내인성 시토카인 수준의 증가를 초래한다. 입양으로 전달된 T 세포가 환자에게 투여되면, 이는 증가된 수준의 내인성 IL-15 및 IL-7 및 다른 항상성 시토카인 또는 염증유발성 인자에 노출된다. 추가적으로, 예비-컨디셔닝 치료는 종양 세포 사멸을 야기하여, 환자 혈청 내의 종양 항원 증가에 이를 수 있다. 어떠한 이론에도 제한되지 않으면서, 시클로포스파미드 및 퓨린 유사체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로의 컨디셔닝은 T 세포의 항상성 확장, 활성화 및 통행에 유리할 수 있는, IL-15, IL-7, 및 하나 이상의 다른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의 유도를 통해 면역 환경을 변형시킨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T 세포 요법에 적합한 환자를 확인하는 방법이며, 환자에게 IL-15, IL-7, 및 MCP-1, CRP, PLGF, IP-10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의 혈청 수준을 증가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T 세포 요법에 적합한 환자를 확인하는 방법이며, (i) 환자에게 IL-15, IL-7, 및 MCP-1, CRP, PLGF, IP-10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의 혈청 수준을 증가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를 투여하는 단계, 및 (ii) 환자가 IL-15, IL-7,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의 증가된 혈청 수준을 나타낼 때 T 세포 요법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T 세포 요법에 적합한 환자를 확인하는 방법이며, (i) 환자에게 IL-15, IL-7, 및 MCP-1, CRP, PLGF, IP-10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의 혈청 수준을 증가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를 투여하는 단계, (ii) IL-15, IL-7,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의 혈청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iii) 환자가 IL-15, IL-7,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의 증가된 혈청 수준을 나타낼 때 T 세포 요법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또한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T 세포 요법에 적합한 환자를 확인하는 방법이며, (i) 환자에게 IL-15, IL-7, 및 MCP-1, CRP, PLGF, IP-10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의 혈청 수준을 증가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를 투여하는 단계, (ii) 추가적인 양의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를 투여하거나 또는 유효량의 IL-15, IL-7, 및/또는 MCP-1, CRP, PLGF, IP-10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을 직접적으로 투여하는 단계, 및 (iii) 환자가 IL-15, IL-7,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의 증가된 혈청 수준을 나타낼 때 T 세포 요법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또한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T 세포 요법에 적합한 환자를 확인하는 방법이며, (i) 환자에게 IL-15, IL-7, 및 MCP-1, CRP, PLGF, IP-10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의 혈청 수준을 증가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를 투여하는 단계, (ii) IL-15, IL-7,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의 혈청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iii) 추가적인 양의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를 투여하거나 또는 유효량의 IL-15, IL-7, 및/또는 MCP-1, CRP, PLGF, IP-10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을 직접적으로 투여하는 단계, (iv) 임의적으로, IL-15, IL-7,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의 혈청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v) 환자가 IL-15, IL-7,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의 증가된 혈청 수준을 나타낼 때 T 세포 요법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또한 포함한다.
본 발명은 T 세포 요법을 필요로 하는 환자를 예비-컨디셔닝하기 위해 IL-15, IL-7, 및 MCP-1, CRP, PLGF, IP-10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의 혈청 수준을 증가시키는 방법이며, 환자에게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환자는 IL-15, IL-7,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의 증가된 혈청 수준을 나타낼 때 T 세포 요법으로 치료되는 것인 방법을 추가로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T 세포 요법을 필요로 하는 환자를 예비-컨디셔닝하기 위해 IL-15, IL-7, 및 MCP-1, CRP, PLGF, IP-10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의 혈청 수준을 증가시키는 방법이며, (i) 환자에게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를 투여하는 단계, 및 (ii) 환자가 IL-15, IL-7,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의 증가된 혈청 수준을 나타낼 때 T 세포 요법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T 세포 요법을 필요로 하는 환자를 예비-컨디셔닝하기 위해 IL-15, IL-7, 및 MCP-1, CRP, PLGF, IP-10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의 혈청 수준을 증가시키는 방법이며, (i) 환자에게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를 투여하는 단계, (ii) 추가적인 양의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를 투여하거나 또는 유효량의 IL-15, IL-7, 및 MCP-1, CRP, PLGF, IP-10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을 투여하는 단계, 및 (iii) 환자가 IL-15, IL-7,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의 증가된 혈청 수준을 나타낼 때 T 세포 요법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후에 IL-15, IL-7,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의 혈청 수준을 측정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IL-15의 혈청 수준이 측정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IL-7의 혈청 수준이 측정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IL-15 및 IL-7의 혈청 수준이 측정된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후에 IL-15, IL-7,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의 증가된 혈청 수준을 나타내는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이며, T 세포 요법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을 또한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제2 용량의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1 용량의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후에 IL-15, IL-7,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의 충분한 혈청 수준을 나타내지 않는 환자를 추가로 예비-컨디셔닝하는 것을 또한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후에 IL-15, IL-7,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의 어떠한 증가된 혈청 수준도 나타내지 않는 특정 환자에서, 본 발명은 유효량의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을 직접적으로 환자에게 추가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후에 환자 혈청에서 증가되는 하나 이상의 시토카인을 확인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하나 이상의 시토카인의 증가된 혈청 수준은 후속 T 세포 요법에 대한 반응성 증가와 상호관련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시토카인의 혈청 수준을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후에 측정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시토카인의 증가된 혈청 수준을 나타내지 않는 환자는 추가적인 치료에 적용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추가적인 치료는 특정 시토카인, 예를 들어, IL-15, IL-7,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의 혈청 수준을 증가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제2 용량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추가적인 치료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시토카인, 이전에 환자에게 투여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 또는 하나 이상의 시토카인, 예를 들어, IL-15, IL-7,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을 발현하도록 조작된 T 세포를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시토카인의 혈청 수준을 증가시키는 하나 이상의 다른 치료를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T 세포 요법의 투여 전에 환자에서 상향조절되는 경우에 T 세포 요법의 유효성을 증가시키는 시토카인을 확인하고, 확인된 시토카인이 다른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를 환자에게 투여하면서 또는 투여하지 않으면서 T 세포 요법 전에 환자에게 투여되거나, 또는 확인된 시토카인의 혈청 수준을 추가로 증가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용량이 증가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컨디셔닝 동안 특정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의 혈청 수준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이에 따라 시기 및 투약을 조정하고, 예를 들어,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의 원하는 혈청 수준이 달성되고 환자가 T 세포 요법을 받을 준비가 될 때까지 예비-컨디셔닝을 계속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T 세포 요법을 필요로 하는 환자에서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의 혈청 수준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환자에게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를 투여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의 혈청 수준이 증가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환자에게 IL-15, IL-7, 및 MCP-1, CRP, PLGF, IP-10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시토카인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시토카인을 투여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의 혈청 수준이 증가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환자에게 IL-15, IL-7, 및 MCP-1, CRP, PLGF, IP-10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시토카인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시토카인을 발현하도록 조작된 T 세포를 투여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의 혈청 수준이 증가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T 세포 요법에 적합한 환자에서 암을 치료하는 방법이며, 환자에게 IL-15, IL-7,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의 혈청 수준을 증가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를 투여함으로써 환자를 예비-컨디셔닝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환자는 IL-15, IL-7,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의 증가된 혈청 수준을 나타낼 때 T 세포 요법으로 치료되는 것인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IL-15, IL-7, 및 MCP-1, CRP, PLGF, IP-10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의 혈청 수준을 증가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로 환자를 예비-컨디셔닝하는 것이 환자에게 후속하여 투여되는 T 세포 요법의 유효성을 강화시킨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T 세포 요법에 적합한 환자에서 암을 치료하는 방법이며, 환자에게 IL-15, IL-7, 및 MCP-1, CRP, PLGF, IP-10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시토카인의 혈청 수준을 증가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환자는 IL-15, IL-7,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의 증가된 혈청 수준을 나타낼 때 T 세포 요법으로 치료되는 것인 방법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T 세포 요법에 적합한 환자에서 암을 치료하는 방법이며, (i) 환자에게 IL-15, IL-7, 및 MCP-1, CRP, PLGF, IP-10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의 혈청 수준을 증가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를 투여하는 단계, 및 (ii) 환자가 IL-15, IL-7,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의 증가된 혈청 수준을 나타낼 때 T 세포 요법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T 세포 요법에 적합한 환자에서 암을 치료하는 방법이며, (i) 환자에게 IL-15, IL-7, 및 MCP-1, CRP, PLGF, IP-10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의 혈청 수준을 증가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를 투여하는 단계, (ii) 추가적인 양의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를 투여하거나 또는 유효량의 IL-15, IL-7, 및 MCP-1, CRP, PLGF, IP-10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을 투여하는 단계, 및 (iii) 환자가 IL-15, IL-7,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의 증가된 혈청 수준을 나타낼 때 T 세포 요법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대상체를 T 세포 요법에 준비시키는데 효과적인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용량을 확인하는 방법이며, (i) 환자에게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 (예를 들어, 시클로포스파미드 및/또는 플루다라빈)를 투여하는 단계, (ii) IL-7, IL-15, IL-10, IL-5, IP-10, IL-8, MCP-1, PLGF, CRP, sICAM-1, sVCAM-1, 퍼포린, MIP-1b,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의 혈청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iii)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후, 대상체가 IL-7, IL-15, IL-10, IL-5, IP-10, IL-8, MCP-1, PLGF, CRP, sICAM-1, sVCAM-1,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예를 들어, IL-15, IP-10, 및/또는 IL-7의 증가된 혈청 수준, 및/또는 퍼포린 및/또는 MIP-1b의 감소된 혈청 수준을 나타내는 경우에,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 (예를 들어, 시클로포스파미드 및/또는 플루다라빈)를 대상체를 T 세포 요법에 준비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특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IL-7, IL-15, IL-10, IL-5, IP-10, IL-8, MCP-1, PLGF, CRP, sICAM-1, sVCAM-1,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예를 들어, IL-15, IP-10, 및/또는 IL-7의 증가된 혈청 수준, 및/또는 퍼포린 및/또는 MIP-1b의 감소된 혈청 수준을 나타낸 환자에게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를 투여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IL-7, IL-15, IL-10, IL-5, IP-10, IL-8, MCP-1, PLGF, CRP, sICAM-1, sVCAM-1,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예를 들어, IL-15, IP-10, 및/또는 IL-7의 증가된 혈청 수준, 및/또는 퍼포린 및/또는 MIP-1b의 감소된 혈청 수준을 나타낸 환자에게 T 세포 요법을 투여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대상체를 T 세포 요법에 준비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방법이며, (i) 환자에게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예를 들어, 시클로포스파미드 및/또는 플루다라빈)를 투여하는 단계, (ii) IL-7, IL-15, IL-10, IL-5, IP-10, IL-8, MCP-1, PLGF, CRP, sICAM-1, sVCAM-1, 퍼포린, MIP-1b,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의 혈청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iii)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후, 대상체가 IL-7, IL-15, IL-10, IL-5, IP-10, IL-8, MCP-1, PLGF, CRP, sICAM-1, sVCAM-1,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예를 들어, IL-15, IP-10, 및/또는 IL-7의 증가된 혈청 수준, 및/또는 퍼포린 및/또는 MIP-1b의 감소된 혈청 수준을 나타내는 경우에,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 (예를 들어, 시클로포스파미드 및/또는 플루다라빈)를 대상체를 T 세포 요법에 준비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특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IL-7, IL-15, IL-10, IL-5, IP-10, IL-8, MCP-1, PLGF, CRP, sICAM-1, sVCAM-1,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예를 들어, IL-15, IP-10, 및/또는 IL-7의 증가된 혈청 수준, 및/또는 퍼포린 및/또는 MIP-1b의 감소된 혈청 수준을 나타낸 환자에게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를 투여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IL-7, IL-15, IL-10, IL-5, IP-10, IL-8, MCP-1, PLGF, CRP, sICAM-1, sVCAM-1,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예를 들어, IL-15, IP-10, 및/또는 IL-7의 증가된 혈청 수준, 및/또는 퍼포린 및/또는 MIP-1b의 감소된 혈청 수준을 나타낸 환자에게 T 세포 요법을 투여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는 환자 내의 내인성 림프구의 수를 감소시킨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내인성 림프구는 조절성 T 세포, B 세포, 천연 킬러 세포, CD4+ T 세포, CD8+ T 세포,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는 항상성 시토카인, 예를 들어, IL-15 및/또는 IL-7의 이용가능성을 증가시킨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는 컨디셔닝 후에 투여된 T 세포의 이펙터 기능을 강화시킨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는 항원 제시 세포 활성화 및/또는 이용가능성을 강화시킨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는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가 없는 T 세포 요법의 항종양 효능과 비교하여 T 세포 요법의 개선된 항종양 효능을 유도한다.
시토카인 수준
본 발명은 T 세포 요법에서의 암의 효과적인 치료를 위한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의 용도를 기술한다. 특히, 본 출원은 적당한 환경을 전달된 T 세포에 제공하는 것에서 핵심 요인인 시토카인 군을 확인하여, T 세포 요법의 효능을 개선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의 혈청 수준의 상향-조절을 유도하거나 또는 이를 증가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T 세포 요법의 투여 전에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를 투여하는 것은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의 수준을 증가시켜, T 세포의 항상성 확장, 활성화 및 통행에 유리한 방식으로 면역 환경을 변형시킨다. 입양으로 전달된 T 세포가 환자에게 투여되면, 이는 증가된 수준의 내인성 시토카인에 노출된다. T 세포 효능을 지시하는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은 IL-15, IL-7, 및 MCP-1, CRP, PLGF, IP-10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T 세포 요법을 필요로 하는 환자에서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의 이용가능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또한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은 IL-15, IL-7, 및 MCP-1, CRP, PLGF, IP-10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환자에 대한 치료 옵션을 결정하는 방법이며, (i) 제1 용량의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후에 바이오마커 시토카인 (예를 들어, IL-15 또는 IL-7)의 혈청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ii)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의 증가된 수준을 나타내는 환자 (예를 들어, T 세포 요법에 반응할 가능성이 더 많은 환자)에게 T 세포 요법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환자에 대한 치료 옵션을 결정하는 방법이며, (i) 제1 용량의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후에 바이오마커 시토카인 (예를 들어, IL-15 또는 IL-7)의 혈청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ii)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의 증가된 수준을 나타내지 않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의 역치 미만인 수준을 나타내는 환자 (예를 들어, T 세포 요법에 반응할 가능성이 없는 환자)에게 제2 용량의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환자에 대한 치료 옵션을 결정하는 방법이며, (i)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후에 바이오마커 시토카인 (예를 들어, IL-15 또는 IL-7)의 혈청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ii)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의 증가된 수준을 나타내지 않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의 역치 미만인 수준을 나타내는 환자에게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을 투여하는 단계, (iii)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의 증가된 수준을 나타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시토카인의 역치를 초과하는 수준을 나타내는 환자에게 T 세포 요법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후의 혈청 IL-15 수준의 약 5배 초과, 약 10배 초과, 약 15배 초과, 약 20배 초과, 약 25배 초과, 약 30배 초과, 약 35배 초과, 약 40배 초과, 약 45배 초과, 약 50배 초과, 약 60배 초과, 약 70배 초과, 약 80배 초과, 또는 약 90배 초과의 증가는 환자가 T 세포 요법에 반응할 가능성이 더 많다는 것을 지시한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후의 혈청 IL-15 수준의 약 10배 초과의 증가는 환자가 T 세포 요법에 반응할 가능성이 더 많다는 것을 지시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후의 혈청 IL-15 수준의 약 20배 초과의 증가는 환자가 T 세포 요법에 반응할 가능성이 더 많다는 것을 지시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후의 혈청 IL-15 수준의 약 30배 초과의 증가는 환자가 T 세포 요법에 반응할 가능성이 더 많다는 것을 지시한다. IL-15의 혈청 수준을 증가시키기 위해, 외인성 IL-15 및/또는 추가적인 양의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가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후의 혈청 IL-7 수준의 약 2배 초과, 약 3배 초과, 약 4배 초과, 약 5배 초과, 약 10배 초과, 약 15배 초과, 약 20배 초과, 약 25배 초과, 약 30배 초과, 약 35배 초과, 약 40배 초과, 약 45배 초과, 약 50배 초과, 약 60배 초과, 약 70배 초과, 약 80배 초과, 또는 약 90배 초과의 증가는 환자가 T 세포 요법에 반응할 가능성이 더 많다는 것을 지시한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의 혈청 IL-7 수준의 약 2배 초과의 증가는 환자가 T 세포 요법에 반응할 가능성이 더 많다는 것을 지시한다. IL-7의 혈청 수준을 증가시키기 위해, 외인성 IL-7 및/또는 추가적인 용량의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가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후의 혈청 IP-10 수준의 약 2배 초과, 약 3배 초과, 약 4배 초과, 약 5배 초과, 약 6배 초과, 약 7배 초과, 약 8배 초과, 약 9배 초과, 약 10배 초과, 약 15배 초과, 약 20배 초과, 또는 약 30배 초과의 증가는 환자가 T 세포 요법에 반응할 가능성이 더 많다는 것을 지시한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후의 혈청 IP-10 수준의 약 2배 초과의 증가는 환자가 T 세포 요법에 반응할 가능성이 더 많다는 것을 지시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후의 혈청 IP-10 수준의 약 3배 초과의 증가는 환자가 T 세포 요법에 반응할 가능성이 더 많다는 것을 지시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후의 혈청 IP-10 수준의 약 4배 초과의 증가는 환자가 T 세포 요법에 반응할 가능성이 더 많다는 것을 지시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후의 혈청 IP-10 수준의 약 7배 초과의 증가는 환자가 T 세포 요법에 반응할 가능성이 더 많다는 것을 지시한다. IP-10의 혈청 수준을 증가시키기 위해, 외인성 IP-10 및/또는 추가적인 양의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가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후의 혈청 MCP-1 수준의 약 1.5배 초과, 약 2배 초과, 약 3배 초과, 약 4배 초과, 약 5배 초과, 약 6배 초과, 약 7배 초과, 약 8배 초과, 약 9배 초과, 약 10배 초과, 약 15배 초과, 또는 약 20배 초과의 증가는 환자가 T 세포 요법에 반응할 가능성이 더 많다는 것을 지시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후의 혈청 MCP-1 수준의 약 2배 초과의 증가는 환자가 T 세포 요법에 반응할 가능성이 더 많다는 것을 지시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후의 혈청 MCP-1 수준의 약 3배 초과의 증가는 환자가 T 세포 요법에 반응할 가능성이 더 많다는 것을 지시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후의 혈청 MCP-1 수준의 약 5배 초과의 증가는 환자가 T 세포 요법에 반응할 가능성이 더 많다는 것을 지시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후의 혈청 MCP-1 수준의 약 7배 초과의 증가는 환자가 T 세포 요법에 반응할 가능성이 더 많다는 것을 지시한다. MCP-1의 혈청 수준을 증가시키기 위해, 외인성 MCP-1 및/또는 추가적인 양의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가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후의 혈청 PLGF 수준의 약 1.5배 초과, 약 2배 초과, 약 3배 초과, 약 4배 초과, 약 5배 초과, 약 10배 초과, 약 15배 초과, 약 20배 초과, 약 25배 초과, 약 30배 초과, 약 35배 초과, 약 40배 초과, 약 45배 초과, 약 50배 초과, 약 60배 초과, 약 70배 초과, 약 80배 초과, 약 90배 초과, 또는 약 100배 초과의 증가는 환자가 T 세포 요법에 반응할 가능성이 더 많다는 것을 지시한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후의 혈청 PLGF 수준의 약 1.5배 초과의 증가는 환자가 T 세포 요법에 반응할 가능성이 더 많다는 것을 지시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후의 혈청 PLGF 수준의 약 2배 초과의 증가는 환자가 T 세포 요법에 반응할 가능성이 더 많다는 것을 지시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후의 혈청 PLGF 수준의 약 3배 초과의 증가는 환자가 T 세포 요법에 반응할 가능성이 더 많다는 것을 지시한다. PLGF의 혈청 수준을 증가시키기 위해, 외인성 PLGF 및/또는 추가적인 양의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가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후의 혈청 CRP 수준의 약 1.5배 초과, 약 2배 초과, 약 3배 초과, 약 4배 초과, 약 5배 초과, 약 9배 초과, 약 10배 초과, 약 15배 초과, 약 20배 초과, 약 25배 초과, 약 30배 초과, 약 35배 초과, 약 40배 초과, 약 45배 초과, 약 50배 초과, 약 60배 초과, 약 70배 초과, 약 80배 초과, 약 90배 초과, 또는 약 100배 초과의 증가는 환자가 T 세포 요법에 반응할 가능성이 더 많다는 것을 지시한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후의 혈청 CRP 수준의 약 1.5배 초과의 증가는 환자가 T 세포 요법에 반응할 가능성이 더 많다는 것을 지시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후의 혈청 CRP 수준의 약 2배 초과의 증가는 환자가 T 세포 요법에 반응할 가능성이 더 많다는 것을 지시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후의 혈청 CRP 수준의 약 5배 초과의 증가는 환자가 T 세포 요법에 반응할 가능성이 더 많다는 것을 지시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후의 혈청 CRP 수준의 약 9배 초과의 증가는 환자가 T 세포 요법에 반응할 가능성이 더 많다는 것을 지시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후의 혈청 CRP 수준의 약 10배 초과의 증가는 환자가 T 세포 요법에 반응할 가능성이 더 많다는 것을 지시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T 세포 요법에 적합한 환자 내의 CRP 수준이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후의 혈청 CRP 수준의 적어도 약 25배 초과의 증가만큼 증가되는 것은 환자가 T 세포 요법에 반응할 가능성이 더 많다는 것을 지시한다. CRP의 혈청 수준을 증가시키기 위해, 외인성 CRP 및/또는 추가적인 용량의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가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가 인터류킨 10 ("IL-10"), 인터류킨 5 ("IL-5"), 인터류킨 8 ("IL-8"), 가용성 세포간 부착 분자 1 ("sICAM-1"), 가용성 혈관 부착 분자 1 ("sVCAM-1"),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의 혈청 수준을 추가로 증가시킨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임의의 하나 이상의 시토카인의 혈청 수준을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일 또는 이를 투여하기 1일 이상 전, 및 T 세포 요법의 투여일로부터 T 세포 요법의 투여 21일 후까지로부터 선택된 1일 이상의 날에 측정한다.
관련 분야의 기술자는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를 사용하는 것,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외인성 시토카인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 하나 이상의 내인성 시토카인의 발현을 유도하거나 또는 그의 분해를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 하나 이상의 재조합 시토카인을 발현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트랜스제닉 세포를 투여하는 것, 및 환자 내의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의 수준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는 임의의 다른 방법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다수의 상이한 방법들에 의해 바이오마커 시토카인의 수준이 증가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T 세포 요법에 적합한 환자를 예비-컨디셔닝하는 방법이며, 환자에게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 및 유효량의 IL-15, IL-7, 및 MCP-1, CRP, PLGF, IP-10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시토카인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환자에게 투여될 시토카인은 관련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으로 수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토카인은 단리된 시토카인 또는 재조합 시토카인일 수 있다. 1회 이상의 용량의 단리된 시토카인 또는 재조합 시토카인이 T 세포 요법 전에, 또는 T 세포 요법 후에,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투여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T 세포 요법을 필요로 하는 환자를 컨디셔닝하는 방법은 환자에게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 및 1회 이상의 용량의 IL-2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IL-2의 용량은 적어도 약 10,000 IU/kg, 적어도 약 50,000 IU/kg, 적어도 약 100,000 IU/kg, 적어도 약 200,000 IU/kg, 적어도 약 400,000 IU/kg, 적어도 약 600,000 IU/kg, 적어도 약 700,000 IU/kg, 적어도 약 800,000 IU/kg, 또는 적어도 약 1,000,000 IU/kg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IL-2의 용량은 적어도 약 700,000 IU/kg이다. 한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IL-2의 용량은 약 720,000 IU/kg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IL-2는 15회의 용량까지 또는 독성이 추가적인 용량을 가로막을 때까지 8시간 마다 환자에게 투여될 것이다.
다양한 시토카인이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및/또는 T 세포 요법 후에 환자 혈청에서 강화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및/또는 T 세포 요법 후의 환자는 인터류킨 (IL) 15, IL-7, IL-10, IL-5, IL-8, IL-1, IL-1b, IL-2, IL-3, IL-4, IL-6, IL-9, IL-11, IL-12, IL-12p40, IL-12p70, IL-13, IL-14, IL-16, IL-17, IL-17a, IL-20, IL-21, 과립구 대식세포 콜로니-자극 인자 (GM-CSF), 과립구 콜로니-자극 인자 (G-CSF), 단핵구 화학주성 단백질 1 (MCP-1), MCP-4, 감마-유도 단백질 10 (IP-10), 태반 성장 인자 (PLGF), 가용성 세포간 부착 분자 1 (sICAM-1), 가용성 혈관 부착 분자 1 (sVCAM-1), C-반응성 단백질 (CRP), 혈관 내피 성장 인자 (VEGF), VEGF-C, VEGF-D, 대식세포 염증 단백질 1β (MIP-1β, MIP-1b), 백혈병 억제 인자 (LIF), 온코스타틴 M (OSM), 인터페론 (IFN) 알파, IFN-베타, IFN-감마, 종양 괴사 인자 (TNF) 알파, TNF-베타, CD154, 림포톡신 (LT) 베타, 4-1BB 리간드 (4-1BBL), 증식-유도 리간드 (APRIL), CD70, CD153, CD178, 글루코코르티코이드-유도 TNFR-관련 리간드 (GITRL), 종양 괴사 인자 슈퍼패밀리 구성원 14 (TNFSF14), OX40L, TNF- 및 ApoL-관련 백혈구-발현 리간드 1 (TALL-1), TNF-관련 아폽토시스-유도 리간드 (TRAIL), 케모카인 (C-C 모티프) 리간드 (CCL) 1, 대식세포 염증 단백질 1 알파 (MIP-1a 또는 CCL3), CCL5, 단핵구-특이적 케모카인 3 (MCP3 또는 CCL7), 단핵구 화학유인물질 단백질 2 (MCP-2 또는 CCL8), CCL13, 흉선 및 활성화 조절된 케모카인 (TARC 또는 CCL17), CCL22, FGF2, 에오탁신, MDC, 그랜자임 A, 그랜자임 B, 퍼포린, SAA, MCP-4,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시토카인 또는 염증유발성 인자의 증가된 혈청 농도를 나타낸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 및 플루다라빈의 투여 후에, 환자는 IL-15 및/또는 IP-10의 증가된 혈청 수준을 나타낸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 및 플루다라빈의 투여 후에, 환자는 퍼포린의 감소된 혈청 수준을 나타낸다.
예비-컨디셔닝 작용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는 IL-15, IL-7, 및 MCP-1, CRP, PLGF, IP-10, 및/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시토카인의 혈청 수준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임의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는 알킬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알킬화제는 멜팔란, 클로람부실, 시클로포스파미드, 메클로레타민, 무스틴 (HN2), 우라무스틴, 우라실 머스타드, 멜팔란, 클로람부실, 이포스파미드, 벤다무스틴, 카르무스틴, 로무스틴, 스트렙토조신, 알킬 술포네이트, 부술판, 티오테파 또는 그의 유사체, 이들의 임의의 유사체 또는 기능성 유도체,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한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는 시클로포스파미드를 포함한다.
시클로포스파미드 (엔독산(ENDOXAN)®, 사이톡산(CYTOXAN)®, 프로사이톡스(PROCYTOX)®, 네오사르(NEOSAR)®, 레비뮨(REVIMMUNE)®, 시클로블라스틴(CYCLOBLASTIN)®)는 강력한 면역억제 활성이 있는 질소 머스타드-유도체 알킬화제이다. 시클로포스파미드는 항신생물제로서 작용하고, 이는 림프종, 다발성 골수종, 백혈병, 균상 식육종, 신경모세포종, 난소암, 안암, 및 유방암을 포함하는 다양한 유형의 암, 뿐만 아니라 자가면역 장애를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환자에게 투여되면, 시클로포스파미드는 간에서 아크롤레인 및 포스포르아미드로 전환된다. 공동으로, 이러한 대사산물들은 휴지 중인 세포 및 분열 중인 세포 둘 다에서 이미다졸 고리의 7번 질소 원자에서 DNA의 구아닌 염기에 알킬 기를 부가함으로써 DNA를 가교시킨다. 그 결과, DNA 복제가 억제되어 세포 사멸에 이른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는 백금-기반 화학요법제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백금-기반 화학요법제는 백금, 시스플라틴, 카르보플라틴, 네다플라틴, 옥살리플라틴, 사트라플라틴, 트리플라틴 테트라니트레이트, 프로카르바진, 알트레타민, 트리아젠, 다카르바진, 미토졸로미드, 테모졸로미드, 다카르바진, 테모졸로미드, 이들의 임의의 유사체 또는 기능성 유도체,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는 퓨린 유사체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퓨린 유사체는 아자티오프린, 6-메르캅토퓨린, 메르캅토퓨린, 티오퓨린, 티오구아닌, 플루다라빈, 펜토스타틴, 클라드리빈, 이들의 임의의 유사체 또는 기능성 유도체,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는 플루다라빈을 포함한다.
플루다라빈 포스페이트 (플루다라(FLUDARA)®)는 당 모이어티가 리보스 또는 데옥시리보스 대신 아라비노스라는 점에서 생리적인 뉴클레오시드와 상이한 합성 퓨린 뉴클레오시드이다. 플루다라빈은 퓨린 길항제 항대사산물로서 작용하고, 이는 다양한 림프종 및 백혈병을 포함하는 다양한 유형의 혈액 악성종양을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환자에게 투여되면, 플루다라빈은 신속하게 2-플루오로-ara-A로 탈인산화된 후, 세포 내에서 데옥시시티딘 키나제에 의해 활성 트리포스페이트인 2-플루오로-ara-ATP로 인산화된다. 그 후, 이러한 대사산물이, 아마도 DNA 폴리머라제 알파, 리보뉴클레오티드 리덕타제 및 DNA 프라이마제를 억제하는 것에 의해, DNA 복제를 방해하고, 따라서 DNA 합성을 억제한다. 그 결과, 플루다라빈 투여는 분열 중인 세포에서 세포 사멸 증가에 이른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는 시클로포스파미드 및 퓨린 유사체를 포함할 수 있다. 퓨린 유사체는 아자티오프린, 6-메르캅토퓨린, 메르캅토퓨린, 티오퓨린, 티오구아닌, 플루다라빈, 펜토스타틴, 클라드리빈, 이들의 임의의 유사체 또는 기능성 유도체,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한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는 시클로포스파미드 및 펜토스타틴을 포함한다. 한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는 시클로포스파미드 및 플루다라빈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제1 용량의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가 환자에게 투여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제1 용량은 약 300 mg/㎡/일 내지 약 2000 mg/㎡/일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제1 용량은 300 mg/㎡/일 초과 및 2000 mg/㎡/일 미만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용량은 약 350 mg/㎡/일 - 약 2000 mg/㎡/일, 적어도 약 400 mg/㎡/일 - 약 2000 mg/㎡/일, 약 450 mg/㎡/일 - 약 2000 mg/㎡/일, 약 500 mg/㎡/일 - 약 2000 mg/㎡/일, 약 550 mg/㎡/일 - 약 2000 mg/㎡/일, 또는 약 600 mg/㎡/일 - 약 2000 mg/㎡/일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용량은 약 350 mg/㎡/일 - 약 1500 mg/㎡/일, 약 350 mg/㎡/일 - 약 1000 mg/㎡/일, 약 400 mg/㎡/일 - 약 900 mg/㎡/일, 약 450 mg/㎡/일 - 약 800 mg/㎡/일, 약 450 mg/㎡/일 - 약 700 mg/㎡/일, 약 500 mg/㎡/일 - 약 600 mg/㎡/일, 또는 약 300 mg/㎡/일 - 약 500 mg/㎡/일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용량은 약 350 mg/㎡/일, 약 400 mg/㎡/일, 약 450 mg/㎡/일, 약 500 mg/㎡/일, 약 550 mg/㎡/일, 약 600 mg/㎡/일, 약 650 mg/㎡/일, 약 700 mg/㎡/일, 약 800 mg/㎡/일, 약 900 mg/㎡/일, 또는 약 1000 mg/㎡/일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제1 용량은 약 200 mg/㎡/일 내지 약 3000 mg/㎡/일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제1 용량은 200 mg/㎡/일 초과 및 3000 mg/㎡/일 미만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용량은 약 200 mg/㎡/일 - 약 3000 mg/㎡/일, 약 300 mg/㎡/일 - 약 3000 mg/㎡/일, 약 400 mg/㎡/일 - 약 3000 mg/㎡/일, 약 500 mg/㎡/일 - 약 3000 mg/㎡/일, 약 600 mg/㎡/일 - 약 3000 mg/㎡/일, 약 700 mg/㎡/일 - 약 3000 mg/㎡/일, 약 800 mg/㎡/일 - 약 3000 mg/㎡/일, 약 900 mg/㎡/일 - 약 3000 mg/㎡/일, 약 1000 mg/㎡/일 - 약 3000 mg/㎡/일, 약 1100 mg/㎡/일 - 약 3000 mg/㎡/일, 약 1200 mg/㎡/일 - 약 3000 mg/㎡/일, 약 1300 mg/㎡/일 - 약 3000 mg/㎡/일, 약 1400 mg/㎡/일 - 약 3000 mg/㎡/일, 약 1500 mg/㎡/일 - 약 3000 mg/㎡/일, 약 1600 mg/㎡/일 - 약 3000 mg/㎡/일, 약 1700 mg/㎡/일 - 약 3000 mg/㎡/일, 약 1800 mg/㎡/일 - 약 3000 mg/㎡/일, 약 1900 mg/㎡/일 - 약 3000 mg/㎡/일, 약 2000 mg/㎡/일 - 약 3000 mg/㎡/일, 약 200 mg/㎡/일 - 약 2900 mg/㎡/일, 약 400 mg/㎡/일 - 약 2800 mg/㎡/일, 약 500 mg/㎡/일 - 약 2700 mg/㎡/일, 약 600 mg/㎡/일 - 약 2600 mg/㎡/일, 약 700 mg/㎡/일 - 약 2500 mg/㎡/일, 약 800 mg/㎡/일 - 약 2400 mg/㎡/일, 약 900 mg/㎡/일 - 약 2350 mg/㎡/일, 약 1000 mg/㎡/일 - 약 2300 mg/㎡/일, 약 1100 mg/㎡/일 - 약 2250 mg/㎡/일, 또는 약 1110 mg/㎡/일 - 약 2220 mg/㎡/일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제1 용량은 200 mg/㎡/일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제1 용량은 300 mg/㎡/일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제1 용량은 500 mg/㎡/일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플루다라빈의 제1 용량은 약 20 mg/㎡/일 내지 약 900 mg/㎡/일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플루다라빈의 용량은 30 mg/㎡/일 초과 및 900 mg/㎡/일 미만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플루다라빈의 용량은 약 35 mg/㎡/일 - 약 900 mg/㎡/일, 약 40 mg/㎡/일 - 약 900 mg/㎡/일, 약 45 mg/㎡/일 - 약 900 mg/㎡/일, 약 50 mg/㎡/일 - 약 900 mg/㎡/일, 약 55 mg/㎡/일 - 약 900 mg/㎡/일, 또는 약 60 mg/㎡/일 - 약 900 mg/㎡/일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플루다라빈의 용량은 약 35 mg/㎡/일 - 약 900 mg/㎡/일, 약 35 mg/㎡/일 - 약 800 mg/㎡/일, 약 35 mg/㎡/일 - 약 700 mg/㎡/일, 약 35 mg/㎡/일 - 약 600 mg/㎡/일, 약 35 mg/㎡/일 - 약 500 mg/㎡/일, 약 35 mg/㎡/일 - 약 400 mg/㎡/일, 약 35 mg/㎡/일 - 약 300 mg/㎡/일, 약 35 mg/㎡/일 - 약 200 mg/㎡/일, 약 35 mg/㎡/일 - 약 100 mg/㎡/일, 약 40 mg/㎡/일 - 약 90 mg/㎡/일, 약 45 mg/㎡/일 - 약 80 mg/㎡/일, 약 45 mg/㎡/일 - 약 70 mg/㎡/일, 또는 약 50 mg/㎡/일 - 약 60 mg/㎡/일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플루다라빈의 용량은 약 20 mg/㎡/일, 약 25 mg/㎡/일, 약 30 mg/㎡/일, 약 35 mg/㎡/일, 약 40 mg/㎡/일, 약 45 mg/㎡/일, 약 50 mg/㎡/일, 약 55 mg/㎡/일, 약 60 mg/㎡/일, 약 65 mg/㎡/일, 약 70 mg/㎡/일, 약 75 mg/㎡/일, 약 80 mg/㎡/일, 약 85 mg/㎡/일, 약 90 mg/㎡/일, 약 95 mg/㎡/일, 약 100 mg/㎡/일, 약 200 mg/㎡/일, 또는 약 300 mg/㎡/일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플루다라빈의 용량은 약 20 mg/㎡/일, 약 25 mg/㎡/일, 약 30 mg/㎡/일, 약 35 mg/㎡/일, 약 40 mg/㎡/일, 약 45 mg/㎡/일, 약 50 mg/㎡/일, 약 55 mg/㎡/일, 약 60 mg/㎡/일, 약 65 mg/㎡/일, 약 70 mg/㎡/일, 약 75 mg/㎡/일, 약 80 mg/㎡/일, 약 85 mg/㎡/일, 약 90 mg/㎡/일, 약 95 mg/㎡/일, 또는 약 100 mg/㎡/일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플루다라빈의 용량은 약 110 mg/㎡/일, 120 mg/㎡/일, 130 mg/㎡/일, 140 mg/㎡/일, 150 mg/㎡/일, 160 mg/㎡/일, 170 mg/㎡/일, 180 mg/㎡/일, 또는 190 mg/㎡/일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플루다라빈의 용량은 약 210 mg/㎡/일, 220 mg/㎡/일, 230 mg/㎡/일, 240 mg/㎡/일, 250 mg/㎡/일, 260 mg/㎡/일, 270 mg/㎡/일, 280 mg/㎡/일, 또는 290 mg/㎡/일이다. 한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플루다라빈의 용량은 약 20 mg/㎡/일이다. 한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플루다라빈의 용량은 약 25 mg/㎡/일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플루다라빈의 용량은 약 30 mg/㎡/일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플루다라빈의 용량은 약 60 mg/㎡/일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용량은 100 mg/㎡/일 (또는 110 mg/㎡/일, 120 mg/㎡/일, 130 mg/㎡/일, 또는 140 mg/㎡/일)이고, 플루다라빈의 용량은 5 mg/㎡/일, 10 mg/㎡/일, 15 mg/㎡/일, 20 mg/㎡/일, 25 mg/㎡/일, 30 mg/㎡/일, 35 mg/㎡/일, 40 mg/㎡/일, 45 mg/㎡/일, 50 mg/㎡/일, 55 mg/㎡/일, 60 mg/㎡/일, 65 mg/㎡/일, 70 mg/㎡/일, 또는 75 mg/㎡/일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용량은 150 mg/㎡/일 (또는 160 mg/㎡/일, 170 mg/㎡/일, 180 mg/㎡/일, 또는 190 mg/㎡/일)이고, 플루다라빈의 용량은 5 mg/㎡/일, 10 mg/㎡/일, 15 mg/㎡/일, 20 mg/㎡/일, 25 mg/㎡/일, 30 mg/㎡/일, 35 mg/㎡/일, 40 mg/㎡/일, 45 mg/㎡/일, 50 mg/㎡/일, 55 mg/㎡/일, 60 mg/㎡/일, 65 mg/㎡/일, 70 mg/㎡/일, 또는 75 mg/㎡/일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용량은 약 200 mg/㎡/일 (또는 210 mg/㎡/일, 220 mg/㎡/일, 230 mg/㎡/일, 또는 240 mg/㎡/일)이고, 플루다라빈의 용량은 5 mg/㎡/일, 10 mg/㎡/일, 15 mg/㎡/일, 20 mg/㎡/일, 25 mg/㎡/일, 30 mg/㎡/일, 35 mg/㎡/일, 40 mg/㎡/일, 45 mg/㎡/일, 50 mg/㎡/일, 55 mg/㎡/일, 60 mg/㎡/일, 65 mg/㎡/일, 70 mg/㎡/일, 또는 75 mg/㎡/일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용량은 250 mg/㎡/일 (또는 260 mg/㎡/일, 270 mg/㎡/일, 280 mg/㎡/일, 또는 290 mg/㎡/일)이고, 플루다라빈의 용량은 5 mg/㎡/일, 10 mg/㎡/일, 15 mg/㎡/일, 20 mg/㎡/일, 25 mg/㎡/일, 30 mg/㎡/일, 35 mg/㎡/일, 40 mg/㎡/일, 45 mg/㎡/일, 50 mg/㎡/일, 55 mg/㎡/일, 60 mg/㎡/일, 65 mg/㎡/일, 70 mg/㎡/일, 또는 75 mg/㎡/일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용량은 300 mg/㎡/일 (또는 310 mg/㎡/일, 320 mg/㎡/일, 330 mg/㎡/일, 또는 340 mg/㎡/일)이고, 플루다라빈의 용량은 5 mg/㎡/일, 10 mg/㎡/일, 15 mg/㎡/일, 20 mg/㎡/일, 25 mg/㎡/일, 30 mg/㎡/일, 35 mg/㎡/일, 40 mg/㎡/일, 45 mg/㎡/일, 50 mg/㎡/일, 55 mg/㎡/일, 60 mg/㎡/일, 65 mg/㎡/일, 70 mg/㎡/일, 또는 75 mg/㎡/일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용량은 350 mg/㎡/일 (또는 360 mg/㎡/일, 370 mg/㎡/일, 380 mg/㎡/일, 또는 390 mg/㎡/일)이고, 플루다라빈의 용량은 5 mg/㎡/일, 10 mg/㎡/일, 15 mg/㎡/일, 20 mg/㎡/일, 25 mg/㎡/일, 30 mg/㎡/일, 35 mg/㎡/일, 40 mg/㎡/일, 45 mg/㎡/일, 50 mg/㎡/일, 55 mg/㎡/일, 60 mg/㎡/일, 65 mg/㎡/일, 70 mg/㎡/일, 또는 75 mg/㎡/일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용량은 400 mg/㎡/일 (또는 410 mg/㎡/일, 420 mg/㎡/일, 430 mg/㎡/일, 또는 440 mg/㎡/일)이고, 플루다라빈의 용량은 5 mg/㎡/일, 10 mg/㎡/일, 15 mg/㎡/일, 20 mg/㎡/일, 25 mg/㎡/일, 30 mg/㎡/일, 35 mg/㎡/일, 40 mg/㎡/일, 45 mg/㎡/일, 50 mg/㎡/일, 55 mg/㎡/일, 60 mg/㎡/일, 65 mg/㎡/일, 70 mg/㎡/일, 또는 75 mg/㎡/일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용량은 450 mg/㎡/일 (또는 460 mg/㎡/일, 470 mg/㎡/일, 480 mg/㎡/일, 또는 490 mg/㎡/일)이고, 플루다라빈의 용량은 5 mg/㎡/일, 10 mg/㎡/일, 15 mg/㎡/일, 20 mg/㎡/일, 25 mg/㎡/일, 30 mg/㎡/일, 35 mg/㎡/일, 40 mg/㎡/일, 45 mg/㎡/일, 50 mg/㎡/일, 55 mg/㎡/일, 60 mg/㎡/일, 65 mg/㎡/일, 70 mg/㎡/일, 또는 75 mg/㎡/일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용량은 500 mg/㎡/일 (또는 510 mg/㎡/일, 520 mg/㎡/일, 530 mg/㎡/일, 또는 540 mg/㎡/일)이고, 플루다라빈의 용량은 5 mg/㎡/일, 10 mg/㎡/일, 15 mg/㎡/일, 20 mg/㎡/일, 25 mg/㎡/일, 30 mg/㎡/일, 35 mg/㎡/일, 40 mg/㎡/일, 45 mg/㎡/일, 50 mg/㎡/일, 55 mg/㎡/일, 60 mg/㎡/일, 65 mg/㎡/일, 70 mg/㎡/일, 또는 75 mg/㎡/일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용량은 550 mg/㎡/일 (또는 560 mg/㎡/일, 570 mg/㎡/일, 580 mg/㎡/일, 또는 590 mg/㎡/일)이고, 플루다라빈의 용량은 5 mg/㎡/일, 10 mg/㎡/일, 15 mg/㎡/일, 20 mg/㎡/일, 25 mg/㎡/일, 30 mg/㎡/일, 35 mg/㎡/일, 40 mg/㎡/일, 45 mg/㎡/일, 50 mg/㎡/일, 55 mg/㎡/일, 60 mg/㎡/일, 65 mg/㎡/일, 70 mg/㎡/일, 또는 75 mg/㎡/일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용량은 600 mg/㎡/일 (또는 610 mg/㎡/일, 620 mg/㎡/일, 630 mg/㎡/일, 또는 640 mg/㎡/일)이고, 플루다라빈의 용량은 5 mg/㎡/일, 10 mg/㎡/일, 15 mg/㎡/일, 20 mg/㎡/일, 25 mg/㎡/일, 30 mg/㎡/일, 35 mg/㎡/일, 40 mg/㎡/일, 45 mg/㎡/일, 50 mg/㎡/일, 55 mg/㎡/일, 60 mg/㎡/일, 65 mg/㎡/일, 70 mg/㎡/일, 또는 75 mg/㎡/일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용량은 650 mg/㎡/일 (또는 660 mg/㎡/일, 670 mg/㎡/일, 680 mg/㎡/일, 또는 690 mg/㎡/일)이고, 플루다라빈의 용량은 5 mg/㎡/일, 10 mg/㎡/일, 15 mg/㎡/일, 20 mg/㎡/일, 25 mg/㎡/일, 30 mg/㎡/일, 35 mg/㎡/일, 40 mg/㎡/일, 45 mg/㎡/일, 50 mg/㎡/일, 55 mg/㎡/일, 60 mg/㎡/일, 65 mg/㎡/일, 70 mg/㎡/일, 또는 75 mg/㎡/일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용량은 700 mg/㎡/일 (또는 710 mg/㎡/일, 720 mg/㎡/일, 730 mg/㎡/일, 또는 740 mg/㎡/일)이고, 플루다라빈의 용량은 5 mg/㎡/일, 10 mg/㎡/일, 15 mg/㎡/일, 20 mg/㎡/일, 25 mg/㎡/일, 30 mg/㎡/일, 35 mg/㎡/일, 40 mg/㎡/일, 45 mg/㎡/일, 50 mg/㎡/일, 55 mg/㎡/일, 60 mg/㎡/일, 65 mg/㎡/일, 70 mg/㎡/일, 또는 75 mg/㎡/일.
일부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용량은 750 mg/㎡/일 (또는 760 mg/㎡/일, 770 mg/㎡/일, 780 mg/㎡/일, 또는 790 mg/㎡/일)이고, 플루다라빈의 용량은 5 mg/㎡/일, 10 mg/㎡/일, 15 mg/㎡/일, 20 mg/㎡/일, 25 mg/㎡/일, 30 mg/㎡/일, 35 mg/㎡/일, 40 mg/㎡/일, 45 mg/㎡/일, 50 mg/㎡/일, 55 mg/㎡/일, 60 mg/㎡/일, 65 mg/㎡/일, 70 mg/㎡/일, 또는 75 mg/㎡/일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용량은 800 mg/㎡/일 (또는 810 mg/㎡/일, 820 mg/㎡/일, 830 mg/㎡/일, 또는 840 mg/㎡/일)이고, 플루다라빈의 용량은 5 mg/㎡/일, 10 mg/㎡/일, 15 mg/㎡/일, 20 mg/㎡/일, 25 mg/㎡/일, 30 mg/㎡/일, 35 mg/㎡/일, 40 mg/㎡/일, 45 mg/㎡/일, 50 mg/㎡/일, 55 mg/㎡/일, 60 mg/㎡/일, 65 mg/㎡/일, 70 mg/㎡/일, 또는 75 mg/㎡/일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용량은 850 mg/㎡/일 (또는 860 mg/㎡/일, 870 mg/㎡/일, 880 mg/㎡/일, 또는 890 mg/㎡/일)이고, 플루다라빈의 용량은 5 mg/㎡/일, 10 mg/㎡/일, 15 mg/㎡/일, 20 mg/㎡/일, 25 mg/㎡/일, 30 mg/㎡/일, 35 mg/㎡/일, 40 mg/㎡/일, 45 mg/㎡/일, 50 mg/㎡/일, 55 mg/㎡/일, 60 mg/㎡/일, 65 mg/㎡/일, 70 mg/㎡/일, 또는 75 mg/㎡/일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용량은 900 mg/㎡/일 (또는 910 mg/㎡/일, 920 mg/㎡/일, 930 mg/㎡/일, 또는 940 mg/㎡/일)이고, 플루다라빈의 용량은 5 mg/㎡/일, 10 mg/㎡/일, 15 mg/㎡/일, 20 mg/㎡/일, 25 mg/㎡/일, 30 mg/㎡/일, 35 mg/㎡/일, 40 mg/㎡/일, 45 mg/㎡/일, 50 mg/㎡/일, 55 mg/㎡/일, 60 mg/㎡/일, 65 mg/㎡/일, 70 mg/㎡/일, 또는 75 mg/㎡/일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용량은 950 mg/㎡/일 (또는 960 mg/㎡/일, 970 mg/㎡/일, 980 mg/㎡/일, 또는 990 mg/㎡/일)이고, 플루다라빈의 용량은 5 mg/㎡/일, 10 mg/㎡/일, 15 mg/㎡/일, 20 mg/㎡/일, 25 mg/㎡/일, 30 mg/㎡/일, 35 mg/㎡/일, 40 mg/㎡/일, 45 mg/㎡/일, 50 mg/㎡/일, 55 mg/㎡/일, 60 mg/㎡/일, 65 mg/㎡/일, 70 mg/㎡/일, 또는 75 mg/㎡/일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용량은 1000 mg/㎡/일 (또는 1010 mg/㎡/일, 1020 mg/㎡/일, 1030 mg/㎡/일, 또는 1040 mg/㎡/일)이고, 플루다라빈의 용량은 5 mg/㎡/일, 10 mg/㎡/일, 15 mg/㎡/일, 20 mg/㎡/일, 25 mg/㎡/일, 30 mg/㎡/일, 35 mg/㎡/일, 40 mg/㎡/일, 45 mg/㎡/일, 50 mg/㎡/일, 55 mg/㎡/일, 60 mg/㎡/일, 65 mg/㎡/일, 70 mg/㎡/일, 또는 75 mg/㎡/일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용량은 100 mg/㎡/일 내지 650 mg/㎡/일이고, 플루다라빈의 용량은 10 mg/㎡/일 내지 50 mg/㎡/일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용량은 150 mg/㎡/일 내지 600 mg/㎡/일이고, 플루다라빈의 용량은 20 mg/㎡/일 내지 50 mg/㎡/일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용량은 200 mg/㎡/일 내지 550 mg/㎡/일이고, 플루다라빈의 용량은 20 mg/㎡/일 내지 40 mg/㎡/일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용량은 250 mg/㎡/일 내지 550 mg/㎡/일이고, 플루다라빈의 용량은 15 mg/㎡/일 내지 45 mg/㎡/일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용량은 1000 mg/㎡/일이고, 플루다라빈의 용량은 60 mg/㎡/일, 65 mg/㎡/일, 70 mg/㎡/일, 75 mg/㎡/일, 80 mg/㎡/일, 85 mg/㎡/일, 90 mg/㎡/일, 95 mg/㎡/일, 100 mg/㎡/일, 105 mg/㎡/일, 110 mg/㎡/일, 115 mg/㎡/일, 120 mg/㎡/일, 125 mg/㎡/일, 130 mg/㎡/일, 135 mg/㎡/일, 140 mg/㎡/일, 145 mg/㎡/일, 150 mg/㎡/일, 155 mg/㎡/일, 160 mg/㎡/일, 165 mg/㎡/일, 170 mg/㎡/일, 175 mg/㎡/일, 180 mg/㎡/일, 185 mg/㎡/일, 190 mg/㎡/일, 195 mg/㎡/일, 200 mg/㎡/일, 205 mg/㎡/일, 210 mg/㎡/일, 215 mg/㎡/일, 220 mg/㎡/일, 225 mg/㎡/일, 230 mg/㎡/일, 235 mg/㎡/일, 240 mg/㎡/일, 245 mg/㎡/일, 또는 250 mg/㎡/일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용량은 약 500 mg/㎡/일이고, 플루다라빈의 용량은 약 60 mg/㎡/일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용량은 약 300 mg/㎡/일이고, 플루다라빈의 용량은 약 30 mg/㎡/일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용량은 약 200 mg/㎡/일이고, 플루다라빈의 용량은 약 20 mg/㎡/일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용량은 약 200 mg/㎡/일이고, 플루다라빈의 용량은 약 30 mg/㎡/일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용량은 약 500 mg/㎡/일이고, 플루다라빈의 용량은 약 30 mg/㎡/일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용량은 약 300 mg/㎡/일이고, 플루다라빈의 용량은 약 60 mg/㎡/일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용량은 약 500 mg/㎡/일이고, 플루다라빈의 용량은 약 60 mg/㎡/일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용량은 약 1110 mg/㎡/일이고, 플루다라빈의 용량은 약 25 mg/㎡/일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용량은 약 2220 mg/㎡/일이고, 플루다라빈의 용량은 약 25 mg/㎡/일이며, 환자는 시클로포스파미드 및 플루다라빈의 투여 후에 IL-7, IL-15, IL-10, IL-5, IP-10, IL-8, MCP-1, PLGF, CRP, sICAM-1, sVCAM-1,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예를 들어, IL-15, IP-10, 및/또는 IL-7의 증가된 혈청 수준, 또는 퍼포린 및/또는 MIP-1b의 감소된 혈청 수준을 나타낸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용량은 약 60 mg/kg/일이고, 플루다라빈의 용량은 약 25 mg/㎡/일이며, 환자는 시클로포스파미드 및 플루다라빈의 투여 후에 IL-7, IL-15, IL-10, IL-5, IP-10, IL-8, MCP-1, PLGF, CRP, sICAM-1, sVCAM-1,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예를 들어, IL-15, IP-10, 및/또는 IL-7의 증가된 혈청 수준, 또는 퍼포린 및/또는 MIP-1b의 감소된 혈청 수준을 나타낸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용량은 약 30 mg/kg/일이고, 플루다라빈의 용량은 약 25 mg/㎡/일이다. 한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는 플루다라빈 전에, 후에, 또는 이와 동시에 투여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는 플루다라빈 전에 투여된다.
효과를 최대화하도록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시기를 조정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는 2종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를 포함한다. 2종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는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한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제1 예비-컨디셔닝 작용제, 예를 들어, 시클로포스파미드가 제2 예비-컨디셔닝 작용제, 예를 들어, 플루다라빈 전에 또는 후에 환자에게 투여된다.
시클로포스파미드 및 플루다라빈의 용량은 함께 또는 독립적으로 상승 또는 저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루다라빈의 용량은 감소되는 한편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용량은 증가될 수 있거나, 또는 플루다라빈의 용량은 증가되는 한편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용량은 감소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시클로포스파미드 및 플루다라빈 둘 다의 용량이 함께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용량은 300 mg/㎡/일이고, 플루다라빈의 용량은 20 mg/㎡/일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용량은 300 mg/㎡/일이고, 플루다라빈의 용량은 30 mg/㎡/일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용량은 300 mg/㎡/일이고, 플루다라빈의 용량은 60 mg/㎡/일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용량은 500 mg/㎡/일이고, 플루다라빈의 용량은 20 mg/㎡/일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용량은 500 mg/㎡/일이고, 플루다라빈의 용량은 30 mg/㎡/일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용량은 500 mg/㎡/일이고, 플루다라빈의 용량은 60 mg/㎡/일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용량은 200 mg/㎡/일이고, 플루다라빈의 용량은 20 mg/㎡/일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용량은 200 mg/㎡/일이고, 플루다라빈의 용량은 30 mg/㎡/일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용량은 200 mg/㎡/일이고, 플루다라빈의 용량은 60 mg/㎡/일이다.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T 세포 요법이 투여되는 날이 제0일로 지정된다.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는 T 세포 요법 투여 전의 임의의 시간에 투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는 T 세포 요법 투여로부터 적어도 7일, 적어도 6일, 적어도 5일, 적어도 4일, 적어도 3일, 적어도 2일, 또는 적어도 1일 전에 시작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는 T 세포 요법 투여로부터 적어도 8일, 적어도 9일, 적어도 10일, 적어도 11일, 적어도 12일, 적어도 13일, 또는 적어도 14일 전에 시작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는 T 세포 요법 투여로부터 약 7일 전에 시작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는 T 세포 요법 투여로부터 약 5일 전에 시작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제1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는 T 세포 요법 투여로부터 약 7일 전에 시작되고, 제2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는 T 세포 요법 투여로부터 약 5일 전에 시작된다. 한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제1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는 T 세포 요법 투여로부터 약 7일 및 약 6일 전에 2일 동안 환자에게 투여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제2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는 T 세포 요법 투여로부터 약 5일, 4일, 3일, 2일 및 1일 전에 5일 동안 환자에게 투여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제1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는 T 세포 요법 투여로부터 약 5일, 4일 및 3일 전에 3일 동안 환자에게 투여된다.
한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투여는 T 세포 요법 투여로부터 약 7일 전에 시작되고, 퓨린 유사체 (예를 들어, 플루다라빈 또는 펜토스타틴)의 투여는 T 세포 요법 투여로부터 약 5일 전에 시작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투여는 T 세포 요법 투여로부터 약 5일 전에 시작되고, 퓨린 유사체 (예를 들어, 플루다라빈 또는 펜토스타틴)의 투여는 T 세포 요법 투여로부터 약 5일 전에 시작된다.
효과를 최대화하도록 각각의 성분의 투여 시기를 조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는 매일 투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는 약 2일, 약 3일, 약 4일, 약 5일, 약 6일, 또는 약 7일 동안 매일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는 적어도 1일, 적어도 2일, 적어도 3일, 적어도 4일, 적어도 5일, 적어도 6일, 또는 적어도 7일 동안 매일 투여될 수 있다. 한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는 약 3일 동안 매일 투여된다.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T 세포 요법이 환자에게 투여되는 날이 제0일로 지정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 예를 들어, 시클로포스파미드는 제0일 이전의 제7일 및 제6일 (즉, 제-7일 및 제-6일)에 환자에게 투여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 예를 들어, 시클로포스파미드는 제-5일, 제-4일, 및 제-3일에 환자에게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 예를 들어, 플루다라빈은 제-5일, 제-4일, 제-3일, 제-2일, 및 제-1일에 환자에게 투여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 예를 들어, 플루다라빈은 제-5일, 제-4일, 및 제-3일에 환자에게 투여된다.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 예를 들어, 시클로포스파미드 및 플루다라빈은 동일한 날 또는 상이한 날에 투여될 수 있다. 시클로포스파미드 및 플루다라빈이 동일한 날에 투여되는 경우, 시클로포스파미드 용량은 플루다라빈 용량 전에 또는 후에 투여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 용량은 환자에게 제-7일 및 제-6일에 투여되고, 플루다라빈 용량은 환자에게 제-5일, 제-4일, 제-3일, 제-2일, 및 제-1일에 투여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 용량은 환자에게 제-5일, 제-4일, 및 제-3일에 투여되고, 플루다라빈 용량은 환자에게 제-5일, 제-4일, 및 제-3일에 투여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 예를 들어, 시클로포스파미드 및 플루다라빈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는 플루다라빈 전에 환자에게 투여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시클로포스파미드는 플루다라빈 후에 환자에게 투여된다.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는 정맥내 (IV) 또는 경구를 포함하는 임의의 경로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 예를 들어, 시클로포스파미드는 약 30분, 약 35분, 약 40분, 약 45분, 약 50분, 약 55분, 약 60분, 약 90분, 약 120분에 걸쳐 IV에 의해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 예를 들어, 플루다라빈은 약 10분, 약 15분, 약 20분, 약 25분, 약 30분, 약 35분, 약 40분, 약 45분, 약 50분, 약 55분, 약 60분, 약 90분, 약 120분에 걸쳐 IV에 의해 투여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 예를 들어, 시클로포스파미드 및 플루다라빈의 투여 후에 T 세포 요법이 환자에게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T 세포 요법은 입양 세포 요법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입양 세포 요법은 종양-침윤 림프구 (TIL) 면역요법, 자가 세포 요법, 조작된 자가 세포 요법 (eACT), 및 동종이형 T 세포 이식으로부터 선택된다. 한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eACT는 조작된 항원 특이적 키메라 항원 수용체 (CAR) 양성 (+) T 세포의 투여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eACT는 조작된 항원 특이적 T 세포 수용체 (TCR) 양성 (+) T 세포의 투여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조작된 T 세포는 환자 내의 종양을 치료한다.
다양한 다른 개입이 본원에 기술된 방법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비-컨디셔닝 작용제, 예를 들어, 시클로포스파미드 및 플루다라빈이 투여 후에 환자에서 유해 사례를 야기할 수 있다는 것이 널리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유해 사례 중 일부를 감소시키기 위해 조성물이 환자에게 또한 투여될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속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환자에게 염수 용액을 투여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염수 용액은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전에 또는 후에, 또는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전 및 후 둘 다에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염수 용액은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과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한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염수 용액은 각각의 주입일에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전 및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후에 환자에게 투여된다.
염수 용액은 정맥내 또는 경구를 예를 들어 포함하는 임의의 경로에 의해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약 0.1 L, 약 0.2 L, 약 0.3 L, 약 0.4 L, 약 0.5 L, 약 0.6 L, 약 0.7 L, 약 0.8 L, 약 0.9 L, 약 1 L, 약 1.1 L, 약 1.2 L, 약 1.3 L, 약 1.4 L, 약 1.5 L, 약 1.6 L, 약 1.7 L, 약 1.8 L, 약 1.9 L, 또는 약 2.0 L의 염수 용액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염수 용액의 NaCl은 약 0.1%, 약 0.2%, 약 0.3%, 약 0.4%, 약 0.5%, 약 0.6%, 약 0.7%, 약 0.8%, 약 0.9%, 약 1.0%, 약 1.1%, 약 1.2%, 약 1.3%, 약 1.4%, 약 1.5%, 약 1.6%, 약 1.7%, 약 1.8%, 약 1.9%, 또는 약 2.0%의 최종 농도로 용해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1.0 L의 0.9% NaCl 염수 용액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한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각각의 주입일에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전 및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후에 1.0 L의 0.9% NaCl 염수 용액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추가로, 애주번트 및 부형제가 또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스나 (소듐 2-술파닐에탄술포네이트)는 시클로포스파미드로의 치료 후에 발생할 수 있는 출혈성 방광염 및 혈뇨를 억제하는 해독제로서 작용하는 애주번트이다. 시클로포스파미드는 생체 내에서 요독성 대사산물, 예컨대 아크롤레인으로 전환될 수 있다. 메스나는 그의 술프히드릴 기와 비닐 기의 반응에 의해 이러한 대사산물을 해독하는 것을 보조한다. 이는 또한 시스테인의 소변 배출을 증가시킨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환자에게 메스나를 투여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메스나는 시클로포스파미드 및/또는 플루다라빈의 투여 전, 시클로포스파미드 및/또는 플루다라빈의 투여 후, 또는 시클로포스파미드 및/또는 플루다라빈의 투여 전 및 후 둘 다에 투여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메스나는 정맥 내로 또는 경구로 (입으로) 투여된다. 예를 들어, 경구 메스나가 경구 시클로포스파미드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원에 기술된 방법에서 외인성 시토카인이 또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내인성 림프구의 수를 감소시키는 것은 입양으로 전달된 T 세포의 확장, 활성화 및 통행에 유리할 수 있는 내인성 분자, 예컨대 시토카인의 생체이용률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가정된다. 따라서, 다양한 시토카인이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1회 이상의 용량의 IL-2, IL-15, IL-7, IL-10, IL-5, IP-10, IL-8, MCP-1, PLGF, CRP, sICAM-1, sVCAM-1,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투여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한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1회 이상의 용량의 IL-2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IL-2의 용량은 적어도 약 10,000 IU/kg, 적어도 약 50,000 IU/kg, 적어도 약 100,000 IU/kg, 적어도 약 200,000 IU/kg, 적어도 약 400,000 IU/kg, 적어도 약 600,000 IU/kg, 적어도 약 700,000 IU/kg, 적어도 약 800,000 IU/kg, 또는 적어도 약 1,000,000 IU/kg일 수 있다.
T 세포 요법
본 발명은 T 세포 요법에 적합한 환자에서 암을 치료하는 방법이며, 환자에게 IL-15, IL-7, 및 MCP-1, CRP, PLGF, IP-10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시토카인의 혈청 수준을 증가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를 투여함으로써 환자를 예비-컨디셔닝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환자는 IL-15, IL-7,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시토카인의 증가된 혈청 수준을 나타낼 때 T 세포 요법으로 치료되는 것인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예비-컨디셔닝 레지멘은 일반적으로 T 세포의 항상성 확장, 활성화 및 통행에 유리할 수 있는, IL-15, IL-7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시토카인의 유도를 통해 면역 환경을 변형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다양한 상이한 T 세포 요법들에 본원에 기술된 컨디셔닝 방법이 이로울 수 있다. 관련 분야의 기술자는 이러한 방법들이 환자에게 하나 이상의 T 세포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환자를 치료하는 임의의 방법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본원에 기술된 방법은 종양-침윤 림프구 (TIL) 면역요법, 자가 세포 요법, 조작된 자가 세포 요법 (eACT), 동종이형 T 세포 이식, 비-T 세포 이식,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입양 T 세포 요법일 수 있는 T 세포 요법의 유효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입양 T 세포 요법은 종양 세포를 인식하여 이에 결합할 수 있는 자가 또는 동종이형 T 세포를 선택하고, 시험관 내에서 강화시키고, 환자에게 투여하는 임의의 방법을 광범위하게 포함한다. TIL 면역요법은 종양 조직에 침윤할 수 있는 림프구를 단리하고, 시험관 내에서 강화시키고, 환자에게 투여하는 유형의 입양 T 세포 요법이다. TIL 세포는 자가 또는 동종이형일 수 있다. 자가 세포 요법은 환자로부터 종양 세포를 표적화할 수 있는 T 세포를 단리하고, T 세포를 시험관 내에서 강화시키고, T 세포를 동일한 환자에게 다시 투여하는 것을 수반하는 입양 T 세포 요법이다. 동종이형 T 세포 이식은 시험관 외에서 확장된 천연 발생 T 세포 또는 유전적으로 조작된 T 세포의 이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더욱 상세하게 기술된 바와 같은 조작된 자가 세포 요법은 환자 자신의 림프구를 단리하고, 종양 표적화 분자를 발현하도록 유전적으로 변형시키고, 시험관 내에서 확장시키고, 환자에게 다시 투여하는 입양 T 세포 요법이다. 비-T 세포 이식은 천연 킬러 (NK) 세포와 같은,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비-T 세포를 이용한 자가 또는 동종이형 요법을 포함할 수 있다.
한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T 세포 요법은 조작된 자가 세포 요법 (eACT™)이다. 이러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방법은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전에 환자로부터 혈액 세포를 수집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그 후, 단리된 혈액 세포 (예를 들어, T 세포)를 키메라 항원 수용체 ("조작된 CAR T 세포") 또는 T 세포 수용체 ("조작된 TCR T 세포")를 발현하도록 조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T 세포 요법은 조작된 CAR T 세포 요법 또는 조작된 TCR T 세포 요법을 포함한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조작된 CAR T 세포 또는 조작된 TCR T 세포가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을 투여한 후에 환자에게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조작된 CAR T 세포 또는 조작된 TCR T 세포는 환자 내의 종양을 치료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조작된 CAR T는 종양 크기를 감소시킨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조작된 TCR T 세포는 종양 크기를 감소시킨다.
한 실시양태에서, 키메라 항원 수용체를 발현하도록 T 세포가 조작된다. 키메라 항원 수용체는 종양 항원에 대한 결합 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분자는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분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항원 결합 분자는 scFv, Fab, Fab', Fv, F(ab')2, 및 dAb, 및 이들의 임의의 단편 또는 조합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키메라 항원 수용체는 힌지 영역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힌지 영역은IgG1, IgG2, IgG3, IgG4, IgA, IgD, IgE, IgM, CD28, 또는 CD8 알파의 힌지 영역으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한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힌지 영역은 IgG4의 힌지 영역으로부터 유래된다.
키메라 항원 수용체는 막횡단 도메인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막횡단 도메인은 면역 세포 상의 공동-수용체인 임의의 막횡단 분자의 막횡단 도메인, 도는 면역글로불린 슈퍼패밀리의 구성원의 막횡단 도메인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막횡단 도메인은 CD28, CD8 알파, CD4, 또는 CD19의 막횡단 도메인으로부터 유래된다. 한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막횡단 도메인은 CD28 막횡단 도메인으로부터 유래된 도메인을 포함한다.
키메라 항원 수용체는 하나 이상의 공동자극성 신호전달 영역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동자극성 신호전달 영역은 CD28, OX-40, 4-1BB, CD27, 유도성 T 세포 공동자극인자 (ICOS), CD3 감마, CD3 델타, CD3 엡실론, CD247, Ig 알파 (CD79a), 또는 Fc 감마 수용체의 신호전달 영역일 수 있다. 한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공동자극성 신호전달 영역은 CD28 신호전달 영역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키메라 항원 수용체는 CD3 제타 신호전달 도메인을 추가로 포함한다.
특정한 종양 항원을 표적화하도록 키메라 항원 수용체를 조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종양 항원은 CD19, CD20, ROR1, CD22, 암배아 항원, 알파태아단백질, CA-125, 5T4, MUC-1, 상피 종양 항원, 전립선-특이적 항원, 흑색종-연관 항원, 돌연변이된 p53, 돌연변이된 ras, HER2/Neu, 폴레이트 결합 단백질, HIV-1 외피 당단백질 gpl20, HIV-1 외피 당단백질 gp41, GD2, CD123, CD33, CD138, CD23, CD30, CD56, c-Met, 메소텔린, GD3, HERV-K, IL-llR알파, 카파 사슬, 람다 사슬, CSPG4, ERBB2, EGFRvIII, VEGFR2, 조합된 HER2-HER3, 조합된 HER1-HER2,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다. 한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종양 항원은 CD19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T 세포 요법은 환자에게 T 세포 수용체를 발현하는 조작된 T 세포 ("조작된 TCR T 세포")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T 세포 수용체 (TCR)는 종양 항원에 대한 결합 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종양 항원은 CD19, CD20, ROR1, CD22, 암배아 항원, 알파태아단백질, CA-125, 5T4, MUC-1, 상피 종양 항원, 전립선-특이적 항원, 흑색종-연관 항원, 돌연변이된 p53, 돌연변이된 ras, HER2/Neu, 폴레이트 결합 단백질, HIV-1 외피 당단백질 gpl20, HIV-1 외피 당단백질 gp41, GD2, CD123, CD33, CD138, CD23, CD30, CD56, c-Met, 메소텔린, GD3, HERV-K, IL-llR알파, 카파 사슬, 람다 사슬, CSPG4, ERBB2, EGFRvIII, VEGFR2, 조합된 HER2-HER3, 조합된 HER1-HER2,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TCR은 바이러스 종양유전자에 대한 결합 분자를 포함한다. 한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바이러스 종양유전자는 인간 유두종 바이러스 (HPV), 엡스타인-바르 바이러스 (EBV), 및 인간 T-림프친화성 바이러스 (HTLV)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TCR은 고환, 태반 또는 태아 종양 항원에 대한 결합 분자를 포함한다. 한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고환, 태반 또는 태아 종양 항원은 NY-ESO-1, 윤활막 육종 X 중단점 2 (SSX2), 흑색종 항원 (MAGE),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TCR은 계통 특이적 항원에 대한 결합 분자를 포함한다. 한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계통 특이적 항원은 T 세포가 인식하는 흑색종 항원 1 (MART-1), gp100, 전립선 특이적 항원 (PSA), 전립선 특이적 막 항원 (PSMA), 전립선 줄기 세포 항원 (PSCA),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T 세포 요법은 CD19에 결합하고 CD28 공동자극성 도메인 및 CD3-제타 신호전달 영역을 추가로 포함하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를 발현하는 조작된 CAR T 세포를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T 세포 요법은 환자에게 KTE-C19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포함된 T 세포 요법은 T 세포를 환자에게 전달하는 것을 수반한다. T 세포는 치료 유효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 세포, 예를 들어, 조작된 CAR+ T 세포 또는 조작된 TCR+ T 세포의 치료 유효량은 적어도 약 104개의 세포, 적어도 약 105개의 세포, 적어도 약 106개의 세포, 적어도 약 107개의 세포, 적어도 약 108개의 세포, 적어도 약 109개, 또는 적어도 약 1010개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T 세포, 예를 들어, 조작된 CAR+ T 세포 또는 조작된 TCR+ T 세포의 치료 유효량은 약 104개의 세포, 약 105개의 세포, 약 106개의 세포, 약 107개의 세포, 또는 약 108개의 세포이다. 한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T 세포, 예를 들어, 조작된 CAR+ T 세포 또는 조작된 TCR+ T 세포의 치료 유효량은 약 1 X 105개의 세포/kg, 약 2 X 105개의 세포/kg, 약 3 X 105개의 세포/kg, 약 4 X 105개의 세포/kg, 약 5 X 105개의 세포/kg, 약 6 X 105개의 세포/kg, 약 7 X 105개의 세포/kg, 약 8 X 105개의 세포/kg, 약 9 X 105개의 세포/kg, 약 1 X 106개의 세포/kg, 약 2 X 106개의 세포/kg, 약 3 X 106개의 세포/kg, 약 4 X 106개의 세포/kg, 약 5 X 106개의 세포/kg, 약 6 X 106개의 세포/kg, 약 7 X 106개의 세포/kg, 약 8 X 106개의 세포/kg, 약 9 X 106개의 세포/kg, 약 1 X 107개의 세포/kg, 약 2 X 107개의 세포/kg, 약 3 X 107개의 세포/kg, 약 4 X 107개의 세포/kg, 약 5 X 107개의 세포/kg, 약 6 X 107개의 세포/kg, 약 7 X 107개의 세포/kg, 약 8 X 107개의 세포/kg, 또는 약 9 X 107개의 세포/kg이다. 한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T 세포, 예를 들어, 조작된 CAR+ T 세포 또는 조작된 TCR+ T 세포의 치료 유효량은 약 2 X 106개의 세포/kg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T 세포, 예를 들어, 조작된 CAR+ T 세포 또는 조작된 TCR+ T 세포의 치료 유효량은 약 1.0 X 105개의 세포/kg 내지 약 2 x 108개의 세포/kg, 약 2.0 X 105개의 세포/kg 내지 약 2 x 108개의 세포/kg, 약 3.0 X 105개의 세포/kg 내지 약 2 x 108개의 세포/kg, 약 4.0 X 105개의 세포/kg 내지 약 2 x 108개의 세포/kg, 약 5.0 X 105개의 세포/kg 내지 약 2 x 108개의 세포/kg, 약 6.0 X 105개의 세포/kg 내지 약 2 x 108개의 세포/kg, 약 7.0 X 105개의 세포/kg 내지 약 2 x 108개의 세포/kg, 약 8.0 X 105개의 세포/kg 내지 약 2 x 108개의 세포/kg, 약 9.0 X 105개의 세포/kg 내지 약 2 x 108개의 세포/kg, 약 0.5 X 106개의 세포/kg 내지 약 2 x 108개의 세포/kg, 약 2 X 106개의 세포/kg 내지 약 9 X 107개의 세포/kg, 약 3 X 106개의 세포/kg 내지 약 9 X 107개의 세포/kg, 약 4 X 106개의 세포/kg 내지 약 9 X 107개의 세포/kg, 약 5 X 106개의 세포/kg 내지 약 9 X 107개의 세포/kg, 약 6 X 106개의 세포/kg 내지 약 9 X 107개의 세포/kg, 약 7 X 106개의 세포/kg 내지 약 9 X 107개의 세포/kg, 약 8 X 106개의 세포/kg 내지 약 9 X 107개의 세포/kg, 약 9 X 106개의 세포/kg 내지 약 9 X 107개의 세포/kg, 약 1 X 107개의 세포/kg 내지 약 9 X 107개의 세포/kg, 약 2 X 107개의 세포/kg 내지 약 9 X 107개의 세포/kg, 약 3 X 107개의 세포/kg 내지 약 9 X 107개의 세포/kg, 약 4 X 107개의 세포/kg 내지 약 9 X 107개의 세포/kg, 약 5 X 107개의 세포/kg 내지 약 9 X 107개의 세포/kg, 약 6 X 107개의 세포/kg 내지 약 9 X 107개의 세포/kg, 약 7 X 107개의 세포/kg 내지 약 9 X 107개의 세포/kg, 약 8 X 107개의 세포/kg 내지 약 9 X 107개의 세포/kg, 약 2 X 106개의 세포/kg 내지 약 8 X 107개의 세포/kg, 약 2 X 106개의 세포/kg 내지 약 7 X 107개의 세포/kg, 약 2 X 106개의 세포/kg 내지 약 6 X 107개의 세포/kg, 약 2 X 106개의 세포/kg 내지 약 5 X 107개의 세포/kg, 약 2 X 106개의 세포/kg 내지 약 4 X 107개의 세포/kg, 약 2 X 106개의 세포/kg 내지 약 3 X 107개의 세포/kg, 약 2 X 106개의 세포/kg 내지 약 2 X 107개의 세포/kg, 약 2 X 106개의 세포/kg 내지 약 1 X 107개의 세포/kg, 약 2 X 106개의 세포/kg 내지 약 9 X 106개의 세포/kg, 약 2 X 106개의 세포/kg 내지 약 8 X 106개의 세포/kg, 약 2 X 106개의 세포/kg 내지 약 7 X 106개의 세포/kg, 약 2 X 106개의 세포/kg 내지 약 6 X 106개의 세포/kg, 약 2 X 106개의 세포/kg 내지 약 5 X 106개의 세포/kg, 약 2 X 106개의 세포/kg 내지 약 4 X 106개의 세포/kg, 약 2 X 106개의 세포/kg 내지 약 3 X 106개의 세포/kg, 약 3 X 106개의 세포/kg 내지 약 8 X 107개의 세포/kg, 약 4 X 106개의 세포/kg 내지 약 7 X 107개의 세포/kg, 약 5 X 106개의 세포/kg 내지 약 6 X 107개의 세포/kg, 약 6 X 106개의 세포/kg 내지 약 5 X 107개의 세포/kg, 약 7 X 106개의 세포/kg 내지 약 4 X 107개의 세포/kg, 약 8 X 106개의 세포/kg 내지 약 3 X 107개의 세포/kg, 또는 약 9 X 106개의 세포/kg 내지 약 2 X 107개의 세포/kg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조작된 CAR T 세포의 치료 유효량은 약 0.8 x 106개의 세포/kg 내지 약 1.2 x 106개의 T 세포/kg이다. 한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조작된 CAR T 세포의 치료 유효량은 2.0 X 105개의 세포/kg이다. 한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조작된 CAR T 세포의 치료 유효량은 1.0 X 106개의 세포/kg이다.
암 치료
본 발명의 방법은 대상체에서 암을 치료하거나, 종양 크기를 감소시키거나, 종양 세포를 사멸시키거나, 종양 세포 증식을 방지하거나, 종양 성장을 방지하거나, 환자로부터 종양을 제거하거나, 종양 재발을 방지하거나, 종양 전이를 방지하거나, 환자에서 완화를 유도하거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완전 반응을 유도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부분적 반응을 유도한다.
치료될 수 있는 암은 혈관화되지 않았거나, 아직 실질적으로 혈관화되지 않았거나, 또는 혈관화된 종양을 포함한다. 암은 또한 고형 또는 비-고형 종양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암은 골암, 췌장암, 피부암, 두경부암, 피부 또는 안구내 악성 흑색종, 자궁암, 난소암, 직장암, 항문부암, 위암, 고환암, 자궁암, 난관 암종, 자궁내막 암종, 자궁경부 암종, 질 암종, 외음부 암종, 호지킨병, T-세포 풍부 B 세포 림프종 (TCRBCL), 원발성 종격동 거대 B 세포 림프종 (PMBCL), 비-호지킨 림프종, 식도암, 소장암, 내분비계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부신암, 연조직 육종, 요도암, 음경암, 만성 또는 급성 백혈병, 급성 골수성 백혈병, 만성 골수성 백혈병, 급성 림프모구성 백혈병,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소아기 고형 종양, 림프구성 림프종, 방광암, 신장 또는 요관의 암, 신우 암종, 중추 신경계 (CNS)의 신생물, 원발성 CNS 림프종, 종양 혈관신생, 척수축 종양, 뇌간 교종, 뇌하수체 선종, 카포시 육종, 표피양암, 편평 세포암, T-세포 림프종, 석면에 의해 유발된 것들을 포함한 환경적으로 유발된 암, 및 상기 암들의 조합으로부터 유래된 종양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림프종 또는 백혈병인 종양을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림프종 및 백혈병은 림프구에 특이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혈액 암이다. 혈액 내의 모든 백혈구는 골수에서 발견되는 단일 유형의 다능성 조혈 줄기 세포로부터 유래된다. 이러한 줄기 세포는 골수성 선조 세포 및 림프구성 선조 세포 둘 다를 생산하고, 그 후, 이들이 신체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유형의 백혈구를 발생시킨다. 골수성 선조 세포로부터 발생하는 백혈구는 T 림프구 (T 세포), B 림프구 (B 세포), 천연 킬러 세포, 및 형질 세포를 포함한다. 림프구성 선조 세포로부터 발생하는 백혈구는 거대핵세포, 비만 세포, 호염기구, 호중구, 호산구, 단핵구, 및 대식세포를 포함한다. 림프종 및 백혈병은 환자 내의 이러한 세포 유형 중 하나 이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림프종은 적어도 2개의 하위군으로 나뉠 수 있다: 호지킨 림프종 및 비-호지킨 림프종. 비-호지킨 림프종 (NHL)은 B 림프구, T 림프구 또는 천연 킬러 세포에서 유래하는 이종성 암 군이다. 미국에서, B 세포 림프종은 보고된 사례의 80-85%를 나타낸다. 2013년에, 약 69,740건의 새로운 NHL 사례 및 이러한 질환과 관련된 19,000건을 초과하는 사망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비-호지킨 림프종은 가장 만연한 혈액학적 악성종양이고, 남성 및 여성에서 새로운 암의 7번째로 선도적인 부위이며, 모든 새로운 암 사례의 4% 및 암과 관련된 사망의 3%를 차지한다.
미만성 거대 B 세포 림프종 (DLBCL)은 NHL 사례의 약 30%를 차지하여, NHL의 가장 통상적인 하위 유형이다. 미국에서 매년 약 22,000건의 새로운 DLBCL 진단이 있다. 이는 대다수의 환자가 통상적인 화학요법 (NCCN 가이드라인 NHL 2014)으로 치유되는 공격성 림프종으로 분류된다.
DLBCL에 대한 1차 요법은 안트라사이클린-함유 레지멘과 함께 리툭시맙, 예컨대 R-CHOP (리툭시맙, 시클로포스파미드, 독소루비신, 빈크리스틴, 및 프레드니손)를 전형적으로 포함하고, 이는 객관적 반응률이 약 80%이고, 완전 반응률이 약 50%이며 (Coiffier 2002), 환자의 약 1/3이 초기 요법에 대한 불응성 질환이 있거나 또는 R-CHOP 후에 재발한다 (Sehn 2005). 1차 요법에 대한 반응 후에 재발한 환자의 경우, 환자의 약 40-60%는 추가적인 화학요법으로 제2 반응을 달성할 수 있다. 자가 줄기 세포 이식 (ASCT) 적격 환자에 대한 2차 요법에 대한 표준 치료법은 리툭시맙 및 조합 화학요법 예컨대 R-ICE (리툭시맙, 이포스파미드, 카르보플라틴, 및 에토포시드) 및 R-DHAP (리툭시맙, 덱사메타손, 시타라빈, 및 시스플라틴)를 포함하고, 이들 각각은 객관적 반응률이 약 63%이고, 완전 반응률이 약 26%이다 (Gisselbrecht 2010). 2차 요법에 반응하고 이식에 충분히 적합하다고 간주되는 환자는 고용량 화학요법 및 ASCT로의 강화요법을 받고, 이는 이식된 환자의 약 절반에서 치유적이다 (Gisselbrecht 2010). ASCT를 실패한 환자는 예후가 매우 불량하고, 치료 옵션이 없다.
원발성 종격동 거대 B 세포 림프종 (PMBCL)은 DLBCL과 비교하여 독특한 임상적, 병리학적 및 분자적 특성이 있다. PMBCL은 흉선 (수질) B 세포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DLBCL로 진단된 환자의 약 3%를 나타낸다. PMBCL은 40대의 젊은 성인 집단에서 전형적으로 확인되고, 여성이 약간 우세하다.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링은 PMBCL에서의 탈조절된 경로가 호지킨 림프종과 중첩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PMBCL의 초기 요법은 안트라사이클린-함유 레지멘과 함께 리툭시맙, 예컨대 주입형 용량-조정 에토포시드, 독소루비신, 및 시클로포스파미드과 함께 빈크리스틴, 프레드니손, 및 리툭시맙 (DA-EPOCH-R)을 일반적으로 포함하고, 이때 현장 방사선요법이 수반되거나 수반되지 않는다.
B 세포 림프종인 여포성 림프종 (FL)은 가장 통상적인 무통성 (저속-성장) 형태의 NHL이고, 모든 NHL의 약 20% 내지 30%를 차지한다. 일부 FL 환자는 더욱 공격적이고 불량한 결과와 연관된 DLBCL로 조직학적으로 전환될 것이다 (TFL). DLBCL로의 조직학적 전환은 15년 동안 약 3%의 연간 비율로 발생하고, 후속 연도에는 전환 위험이 계속 하락한다. 조직학적 전환의 생물학적 메카니즘은 미지이다. TFL의 초기 치료는 여포성 림프종에 대한 선행 요법에 영향을 받지만, 이러한 질환의 공격적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안트라사이클린-함유 레지멘과 함께 리툭시맙을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재발/불응성 PMBCL 및 TFL에 대한 치료 옵션은 DLBCL에서의 것과 유사하다. 이러한 질환의 낮은 유병률을 고려하여, 이러한 환자 집단에서의 대형 전향적 무작위화 연구가 수행되지 않았다. 화학요법 불응성 질환에 걸린 환자는 불응성 DLBCL에 걸린 환자와 유사하거나 악화된 예후를 보인다.
요약하면, 불응성, 공격성 NHL (예를 들어, DLBCL, PMBCL 및 TFL)에 걸린 대상체는 주요한 충족되지 않은 의학적 필요를 지니고, 신규 치료법으로의 추가적인 연구가 이러한 집단에서 정당화된다.
따라서, 일부 실시양태에서, 방법을 B 세포 악성종양인 림프종 또는 백혈병을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림프종 또는 백혈병은 B-세포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소세포 림프종, B-세포 전림프구성 백혈병, 림프형질세포성 림프종 (예를 들어, 발덴스트룀 마크로글로불린혈증), 비장 변연부 림프종, 모발상 세포 백혈병, 형질 세포 신생물 (예를 들어, 형질 세포 골수종 (즉, 다발성 골수종), 또는 형질세포종), 림프절외 변연부 B 세포 림프종 (예를 들어, MALT 림프종), 림프절 변연부 B 세포 림프종, 여포성 림프종 (FL), 전환된 여포성 림프종 (TFL), 원발성 피부 여포 중심 림프종, 외투 세포 림프종, 미만성 거대 B 세포 림프종 (DLBCL), 엡스타인-바르 바이러스-양성 DLBCL, 림프종성 육아종증, 원발성 종격동 (흉선) 거대 B-세포 림프종 (PMBCL), 혈관내 거대 B-세포 림프종, ALK+ 거대 B-세포 림프종, 형질모세포성 림프종, 원발성 삼출 림프종, HHV8-연관 다중심성 캐슬만병에서 발생하는 거대 B-세포 림프종, 버킷 림프종/백혈병, T-세포 전림프구성 백혈병, T-세포 거대 과립 림프구 백혈병, 공격성 NK 세포 백혈병, 성인 T-세포 백혈병/림프종, 림프절외 NK/T-세포 림프종, 장병증-연관 T-세포 림프종, 간비장 T-세포 림프종, 모구성 NK 세포 림프종, 균상 식육종 / 세자리 증후군, 원발성 피부 역형성 거대 세포 림프종, 림프종성 구진증, 말초 T-세포 림프종, 혈관면역모구성 T 세포 림프종, 역형성 거대 세포 림프종, B-림프모구성 백혈병/림프종, 재발성 유전적 이상이 있는 B-림프모구성 백혈병/림프종, T-림프모구성 백혈병/림프종, 및 호지킨 림프종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선행 치료에 대해 암이 불응성이고/이거나, 하나 이상의 선행 치료 후에 암이 재발되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암은 여포성 림프종, 전환된 여포성 림프종, 미만성 거대 B 세포 림프종, 및 원발성 종격동 (흉선) 거대 B-세포 림프종으로부터 선택된다. 한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암은 미만성 거대 B 세포 림프종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화학요법, 방사선요법, 면역요법 (T 세포 요법 및/또는 항체 또는 항체-약물 접합체로의 치료를 포함함), 자가 줄기 세포 이식,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중 하나 이상에 대해 암이 불응성이거나 또는 그 후에 암이 재발되었다. 한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암은 불응성 미만성 거대 B 세포 림프종이다.
추가적인 제한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하는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추가로 예시된다. 본 출원의 전반에 걸쳐 인용된 모든 참고문헌의 내용은 명시적으로 본원에서 참조로 포함된다.
실시예
실시예 1
B 세포 악성 종양이 있는 대상체에게 투여된 항-CD19 CAR+ T 세포의 안전성 및 실행가능성을 결정하기 위해 1/2상, 단일 군, 공개 라벨 시험을 디자인하였다.
사전 동의서에 서명하고 연구 적격성을 충족시킨 대상체가 연구에 등록되었고, 항-CD19 CAR+ T 세포의 생산을 위해 PBMC를 수득하기 위한 백혈구분리반출술을 받았다. 대상체를 제0일의 항-CD19 CAR+ T 세포의 단일 주입을 위한 준비에 있어서 입원 전에 컨디셔닝 화학요법으로 치료하였다. 그 후, 항-CD19 CAR+ T 세포 주입 3시간 후에, 일부 대상체를 인터류킨-2로 치료하였다 (제1군 단독). 제1 주입 후에 부분적 반응 (PR) 또는 완전 반응 (CR)의 반응이 있고 나서 후속하여 질환이 진행되었으면, 제2 용량의 항-CD19 CAR+ T 세포로의 재치료를 허용하였다.
3개의 대상체 군이 등록되었다. 제1군은 재치료된 1명의 대상체를 포함하여 8명의 대상체를 포함하였고, 3 x 106개 내지 30 x 106개의 항-CD19 CAR+ T 세포/kg 범위의 항-CD19 CAR+ T 세포가 투약되었다. 2일 동안의 60-120 mg/kg (2220 - 4440 mg/㎡)의 고용량 시클로포스파미드에 이어지는 5일 동안의 25 mg/㎡의 플루다라빈으로 이루어지는 컨디셔닝 레지멘 후 항-CD19 CAR+ T 세포가 투약되었다. 이러한 대상체들은 항-CD19 CAR+ T 세포 투여 후에 그의 증식을 자극하기 위해 720,000 IU/kg의 고용량 인터류킨-2 (IL-2)를 또한 받았다 (15회의 용량까지 또는 독성이 추가적인 용량을 가로막을 때까지 8시간 마다).
제2군은 재치료된 제1군으로부터의 2명의 대상체를 포함하여 15명의 대상체를 포함하였고, 이들은 고용량 시클로포스파미드 및 플루다라빈을 받았고, 다양한 용량의 항-CD19 CAR+ T 세포 투여 (1 x 106개 내지 5 x 106개의 항-CD19 CAR+ T 세포/kg) 후 인터류킨-2를 받지 않았다.
제3군은 11명의 대상체를 포함하였고, 이들은 둘 다 연속 3일 동안 제공된 300 mg/㎡의 시클로포스파미드 및 30 mg/㎡의 플루다라빈의 감소된 컨디셔닝 레지멘을 받았고, IL-2는 받지 않았다. 이러한 대상체들 중 처음 7명 및 마지막 4명은 각각 1 x 106개의 항-CD19 CAR+ T 세포 및 2 x 106개의 항-CD19 CAR+ T 세포의 항-CD19 CAR+ T 세포 주입을 받았다.
인구 통계
대상체 인구 통계 및 질환 특성이 표 1에서 제공된다. 서른두명 (32명)의 대상체가 등록되었고, 19명의 대상체 (59%)는 DLBCL 또는 PMBCL에 걸렸고, 7명의 대상체 (22%는) CLL에 걸렸으며, 6명의 대상체 (19%)는 무통성 여포성 림프종 및 비장 변연부 림프종을 포함하는 다른 무통성 NHL에 걸렸다. 대부분의 대상체는 불응성 질환에 걸렸고 (84%), 중앙값 3회의 선행 차수의 요법을 받았다. 공격성 NHL에 걸린 모든 대상체는 선행 항-CD20 요법인 백금 조합 화학요법을 받았고, 95%가 선행 안트라사이클린-기반 화학요법을 받았다.
약동학
제0일의 최초 투여 후의 다양한 시점의 말초혈 내의 항-CD19 CAR+ T 세포의 수를 qPCR 분석을 사용하여 평가하였고, 항-CD19 CAR 구축물 내에 존재하는 scFv에 대해 특이적인 항체 시약으로의 유동 세포측정법에 의해 생성된 표준 곡선에 의해 확증하였다 (Kochenderfer et al., "B-cell depletion and remissions of malignancy along with cytokine-associated toxicity in a clinical trial of anti-CD19 chimeric-antigen-receptor-transduced T cells", Blood 119:2709-20 (2012)).
표 1 - 임상 시험 대상체의 인구 통계
Figure pat00001
제1군에서, 3 x 106개 내지 30 x 106개의 항-CD19 CAR+ T 세포/kg을 주입하였다. 처음 6명의 대상체에서, 혈액 순환 내의 항-CD19 CAR+ T 세포가 주입 후 2주 내에 더 높은 수준으로 검출되어, 총 PBMC의 0.02-1%에 도달한 후, 급속하게 쇠퇴하였고, 50일 후에는 검출가능하지 않았다. 가장 높은 수의 항-CD19 CAR+ T 세포 (각각 28 및 30 x 106개의 항-CD19 CAR+ T 세포/kg)가 투약된 대상체 7 및 8은 총 PBMC의 >10%의 항-CD19 CAR+ T 세포에 도달하여 피크 백분율이 더 높았고, 혈액 내에서 항-CD19 CAR+ T 세포가 더 길게 지속되었다 (각각 >130일 및 180일).
제2군에서, 인터류킨-2 치료의 부재 하에, 항-CD19 CAR+ T 세포가 2주 내에 말초혈에서의 유사한 확장을 나타낸 후, 쇠퇴하였고, 수주 내에 순환으로부터 완전히 사라졌다 (표 2).
종합적으로, 항-CD19 CAR+ T 세포의 용량과 말초혈에서의 그의 확장 및 지속 사이에 명백한 관계가 없었다. 마찬가지로, 현재까지, 항-CD19 CAR+ T 세포 용량, 혈액에서의 항-CD19 CAR+ T 세포 확장 또는 지속, 및 이러한 요법에 관련된 임상 반응 또는 독성 사이에 각각 뚜렷한 관계가 없었다.
표 2 - 제2군의 대상체의 말초혈에서의 항-CD19 CAR+ T 세포 확장 및 지속.
Figure pat00002
제1군 및 제2군에서, 주입 7-14일 후의 1차 확장 후에 항-CD19 CAR+ T 세포의 2차 확장이 없었다. 현재까지 테스트된 대상체에서 CAR-발현 레트로바이러스의 게놈 삽입에 기인하는 종양발생성 전환의 증거가 없다. 제3군 결과는 데이터 마감 시점에 아직 입수가능하지 않았다.
효능
임상의가 안전성에 대해 32명의 대상체를, 및 효능에 대해 29명의 대상체를 평가하였다. 효능에 대해 평가가능한 29명의 대상체에 대한 전체 반응률은 76%였다. 29명의 대상체 중 열한명 (11명)의 대상체 (38%)가 CR을 달성하였고, 11/29명의 대상체 (38%)가 PR을 달성하였다 (도 2A 및 2B; 표 3).
29명의 평가가능한 대상체 중 열여섯 명 (55%)이 이들의 최초 치료로부터 여전히 반응 중이고, 이때 12명의 대상체 (재치료된 대상체 포함)의 반응 기간이 1년을 초과한다 (표 3). 3명의 반응 중인 대상체가 진행 후에 재치료되었고, 모두 진행 중인 반응이 있다 (17.4개월 내지 52.2개월 초과).
표 3에서 지시된 바와 같이, 불응성의 공격성 DLBCL/PMBCL에 걸린 19명의 대상체 중 17명이 질환 반응에 대해 평가가능하였다 (1명의 대상체는 평가가 가능하지 않았고, 1명의 대상체는 아직 평가되지 않았다). 이러한 17명의 대상체 중에서, 11명 (65%)에서 반응이 있었고, 이때 6/17명의 대상체 (35%)가 CR을 달성하였다. 중앙값 반응 기간은 7.3개월이다.
표 3 - 종양 유형에 의한 객관적 반응률 및 반응 기간.
Figure pat00003
CLL에 걸린 7명의 평가가능한 대상체 중 여섯 명 (86%)에서 반응이 있었고, 이때 4/7명의 대상체 (57%)가 CR을 달성하였다 (표 3). 중앙값 반응 기간은 22.2개월이고, 이때 진행 중인 반응이 27개월 초과 동안 있는 3명의 대상체를 포함하여 4/7명의 대상체 (57%)가 여전히 반응 중이다 (표 3).
무통성 NHL에 걸린 5명의 평가가능한 대상체 중 다섯 명 (100%)에서 반응이 있었고, 이때 1/5명의 대상체 (20%)가 CR을 달성하였다. 중앙값 반응 기간은 18.8개월이다 (표 3). 5명의 대상체 (5/5; 100%)가 여전히 반응 중이고, 이때 2명의 대상체는 45개월 초과 동안 반응하였다 (표 4).
안전성
유해 사례
치료된 마지막 대상체에 대해 유해 사례가 아직 보고되지 않았으면서 32명의 대상체가 항-CD19 CAR+ T 세포로 치료되었다. 전반적인 안전성 요약이 32명의 치료된 대상체 모두를 포함한다. 군에 의한 요약은 대상체 1010003 및 1010004에 대한 안전성 데이터를 2회 포함하는데, 한번은 이러한 대상체들이 제1군에서 치료되었을 때이고, 두번째는 이러한 대상체들이 제2군에서 치료되었을 때 (항-CD19 CAR+ T 세포로의 재치료)이다.
유해 사례의 요약
유해 사례의 요약이 표 4에서 제공된다. 전체적으로, 31명의 대상체 (97%)가 임의의 유해 사례를 경험하였고, 이때 0명의 대상체 (0%)가 3등급의 최악 등급을 경험하였고, 29명의 대상체 (91%)가 4등급의 최악 등급을 경험하였으며, 2명의 대상체 (6%)가 치명적인 유해 사례가 있었다. 20명의 대상체 (63%)가 항-CD19 CAR+ T 세포에 관련된 유해 사례를 경험하였고; 6명의 대상체 (19%)가 3의 최악 등급을, 8명의 대상체 (25%)가 4의 최악 등급을 경험하였으며, 5등급 사례를 경험한 대상체는 없었다. 열여섯명 (16명)의 대상체 (50%)가 심각한 유해 사례를 경험하였고; 3명의 대상체 (9%)가 3의 최악 등급을, 9명의 대상체 (28%)가 4의 최악 등급을, 그리고 2명의 대상체 (6%)가 5의 최악 등급을 경험하였다.
용량-제한 독성
제1군, 제2군 및 제3군에서의 DLT의 발생률은 각각 38%, 40%, 및 0%였다. 대상체 1010002를 제외하고, DLT는 주로 신경독성이었고, 2건의 크레아티닌 상승 사례, 각각 1건의 저산소증 및 저혈압 사례가 있었다. 표 6은 DLT 목록을 제공한다. 제3군에서는, DLT가 보고되지 않았다. 제3군에서의 컨디셔닝 레지멘을 2 x 106개의 항-CD19 CAR+ T 세포/kg으로 연구하였다.
표 4 - 유해 사례의 요약.
Figure pat00004
시토카인 방출 증후군
활성화된 T 세포에 의해 CD19 표적과의 결속 시 시토카인 방출이 유도된다. 광범위한 검색 전략을 사용하여, CRS에 기인할 수 있는, 치료-유발 유해 사례는 발열, 열성 호중구감소증, 저혈압, 급성 혈관 누출 증후군, 크레아티닌 상승, 신부전, 저산소증, 및 흉막 삼출을 포함한다. 스물여덟 (28) 명 (88%)의 대상체가 시토카인 방출에 기인할 수 있는 유해 사례를 보고하였고, 여기서 24명의 대상체 (75%)가 ≥ 3등급 사례를 보고하였고, 6명의 대상체 (19%)가 심각한 사례를 경험하였다. 공동-요법 예컨대 IL-2 (제1군에서 사용됨) 및 컨디셔닝 화학요법 (열성 호중구감소증을 야기함)으로 인한 유해 사례가 잠재적으로 이러한 분석을 혼란스럽게 한다.
CRS의 임상 소견은 전형적으로 항-CD19 CAR+ T 세포 주입 후 첫주에 발생하였고, 제3군의 대상체에서 덜 통상적이었다. 제3군의 11명의 대상체 중 1명만 3등급 저혈압을 경험하였고, 4명이 3등급 발열을 경험하였다. 급성 혈관 누출 증후군, 감뇨증, 크레아티닌 상승, 및 신부전의 사례가 제1군 및 제2군의 대상체에서만 보고되었다.
표 5 - 용량 제한 독성.
Figure pat00005
신경학적 유해 사례
신경학적 유해 사례, 주로 실어증/언어장애, 착란, 운동 신경병증 및 졸림이 3개의 군 모두에서 관찰되었다. 13명의 대상체 (41%)에 중증 ≥ 3등급 신경독성이 있었고, 11명의 대상체 (34%)가 심각한 사례를 경험하였다.
신경독성으로 사망한 대상체에서 바이러스성 인플루엔자 A 감염의 정황에서의 CNS 뇌혈관 허혈증의 사례가 있었다. 이는 본 연구원에 의한 항-CD19 CAR+ T 세포에 관련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되었다.
신경독성 사례가 있는 5명의 대상체 (16%)가 신경학적 유해 사례에 대한 기도 보호를 위해 기계적 통기를 필요로 하였다; 이러한 대상체 모두가 제1군 및 제2군이었다. 제3군에서는 삽관된 대상체가 없었다.
1명의 대상체에서 발생하였고 항-CD19 CAR+ T 세포 주입 후 제110일에 발병한 4등급 척수염을 제외하고, 신경학적 유해 사례는 항-CD19 CAR+ T 세포 주입 후 제2일 내지 제17일 범위로 중앙값 발병이 6이었다. 발병 시간, 현시 및 뇌 MRI 소견을 고려하여, 본 연구원은 이러한 사례를 플루다라빈에 관련되고 항-CD19 CAR+ T 세포에 기인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신경학적 유해 사례의 1등급 이상으로의 해소에 대한 중앙값 시간은 주입 후 14일이었다.
사망
2명의 대상체가 화학요법 및 항-CD19 CAR+ T 세포 주입으로부터 30일 이내에 사망하였다. 대상체 2는 바이러스성 폐렴, 인플루엔자 A 감염, 이. 콜라이(E. coli) 감염, 호흡곤란, 및 저산소증과 동시에 발생한 뇌경색증으로 인해 연구 치료 18일 후에 사망하였다. 대상체 11은 광범위한 섬유화 종격동 림프종 병발이 있는 PMBCL에 걸렸고, 연구 치료 16일 후에 사망하였다. 부검에서 사망 원인이 결정되지 않았고, 부검 보고서는 PMBCL의 종격동 병발을 고려하여 가능한 사망 원인이 심장 부정맥인 것으로 결론지었다. 본 연구원은 어느 사례도 항-CD19 CAR+ T 세포에 관련되는 것으로 간주하지 않았다.
실시예 2
선택된 환자에게 시클로포스파미드 300 mg/㎡/일 및 플루다라빈 30 mg/㎡/일을 포함하는 컨디셔닝 화학요법을 투여하였다. 이러한 컨디셔닝 화학요법을 제-5일부터 제-3일까지 3일 동안 투여하였다. 제0일에, 제1 환자 부분집합 (환자 22-28) (표 6)은 제작 기간 10일의 신선한 항-CD19 CAR+ T 세포를 받았고, 제2 환자 부분집합 (환자 29-32)은 제작 기간 6일의 냉동보존된 항-CD19 CAR+ T 세포를 받았다.
밀리포어(Millipore)의 HCD8MAG15K17PMX 키트 (T1, T2, 면역 조정 시토카인, 케모카인, 면역 이펙터)를 사용하여 루미넥스에 의해 환자 혈청을 테스트하였다. 인터류킨 15 (IL-15), 단핵구 화학주성 단백질 1 (MCP-1), 감마-유도 단백질 10 (IP-10), 태반 성장 인자 (PLGF), 가용성 세포간 부착 분자 1 (sICAM-1), C-반응성 단백질 (CRP), 혈관 내피 성장 인자 D (VEGF-D), 대식세포 염증 단백질 1β (MIP-1β)의 수준을 컨디셔닝 전 및 후에 측정하였다.
표 6 - 환자 22-28에 대한 병태 및 결과 데이터.
Figure pat00006
환자 22-28 중에서, 치료 후 환자 22-25 및 27은 적어도 부분적 반응을 나타냈고, 환자 26 및 28은 진행성 질환을 나타냈다. 환자 22-26의 경우, IL-15, MCP-1, 및 PLGF의 수준은 환자 혈청에서 적어도 일부 증가를 나타낸 한편 (도 4A, 4B, 및 4D), IP-10, sICAM-1, CRP, VEGF-D, 및 MIP-1β의 수준은 일부 환자에서는 증가하였고 다른 환자에서는 안정적으로 유지되거나 감소하였다 (도 4C 및 4E-4H). IL-15는 환자 27 및 28에 대해서만 측정되었다 (도 4A).
부분적 또는 완전 반응이 있는 반응 환자와 진행성 질환이 있는 비-반응 환자 사이에서 마커 수준에서의 일부 차이가 관찰되었다. 반응 환자에서는 기준선에 비해 약 10배에서 약 55배까지의 범위로 IL-15 수준이 평균 약 35배만큼 증가한 한편, 비-반응 환자 각각은 IL-15 수준의 약 10배 미만의 증가가 있었다 (도 5A). 반응자에서의 MCP-1 수준은 약 2배에서 약 7배까지의 범위로 평균 약 5배만큼 증가한 한편, 비-반응자 (환자 26)는 MCP-1 수준의 4배 미만의 증가가 있었다 (도 5B). 반응자에서의 IP-10 수준은 약 2배에서 약 7배까지의 범위로 평균 약 3.5배만큼 증가한 한편, 비-반응자는 본질적으로 혈청 IP-10 수준의 변화가 없었다 (도 5C). 반응자에서의 PLGF 수준은 약 2배 이하의 약간의 증가에서 약 100배 초과의 증가까지의 범위로 평균 약 30배만큼 증가한 한편, 비-반응자에서는 혈청 PLGF 수준의 약간의 증가만 있었다 (도 5D). 반응자에서의 sICAM-1 수준은 본질적으로 변화없음에서 약 4.5배의 증가까지의 범위로 평균 약 3배만큼 증가한 한편, 비-반응자는 본질적으로 혈청 sICAM-1 수준의 변화가 없었다 (도 5E). 반응자에서의 CRP 수준은 본질적으로 변화없음에서 약 25배의 증가까지의 범위로 평균 약 10배만큼 증가한 한편, 비-반응자는 본질적으로 혈청 CRP 수준의 변화가 없었다 (도 5F). 반응자에서의 VEGF-D 수준은 본질적으로 변화없음에서 약 6배의 증가까지의 범위로 평균 약 3배만큼 증가한 한편, 비-반응자는 본질적으로 혈청 VEGF-D 수준의 변화가 없었다 (도 5G). 반응자에서의 MIP-1β 수준은 본질적으로 변화없음에서 약 3배의 증가까지의 범위로 평균 약 1.5배 만큼 증가한 한편, 비-반응자에서는 혈청 MIP-1β 수준이 약 50% 만큼 감소하였다(도 5H).
환자 30-33에게는 제작 기간 6일의 냉동 보존된 세포를 투약하였고, 과립구 대식세포 콜로니-자극 인자 (GM-CSF), 인터페론 γ (IFNγ 또는 IFNG), 인터류킨 10 (IL-10), IL-15, 인터류킨 2 (IL-2), 인터류킨 5 (IL-5), 인터류킨 6 (IL-6), 인터류킨 8 (IL-8), IP-10, MCP-1, MIP-1β, 혈청 그랜자임 A (GRNZA), 혈청 그랜자임 B (GRNZB), PLGF, CRP, 단핵구 화학주성 단백질 4 (MCP-4), 인터류킨 16 (IL-16), 흉선 및 활성화 조절된 케모카인 (TARC), 에오탁신-3, sICAM-1, 가용성 혈관 부착 분자 1 (sVCAM-1), 및 혈청 아밀로이드 A (SAA)를 포함하는 다양한 시토카인, 케모카인, 이펙터, 염증 마커, 및 부착 분자의 수준을 제-6일부터 제18일까지의 선택된 날에 측정하였다 (도 6A-6V).
실시예 3
실시예 1의 제3군에서 관찰된 림프구 고갈의 심도 및 기간을 개선하기 위해, 2 x 106개의 항-CD19 CAR+ T 세포/kg의 표적 용량으로 코호트 A1에서의 컨디셔닝 화학요법 용량이 둘 다 동시의 3일 동안 제공된 500 mg/㎡의 시클로포스파미드 및 30 mg/㎡의 플루다라빈으로 증가될 것이다. 이러한 레지멘 (코호트 A1)에서 사용된 시클로포스파미드 용량은 실시예 1로부터의 제2군 시클로포스파미드 30 mg/kg 컨디셔닝 레지멘에서 사용된 것보다 약 38% 더 낮고 (용량 제한 독성 (DLT) 발생률 29%), 플루다라빈의 용량은 실시예 1의 제3군과 동일한 더 낮은 용량이다.
더 높은 컨디셔닝 화학요법 용량 및/또는 항-CD19 CAR+ T 세포 용량을 변경시키는 것의 평가가 DLT 발생률 및 이익-위험 평가를 기초로 진행될 것이다. CAR 벡터 구축물은 실시예 1에 기술된 구축물과 동일하다. 이러한 실시예는 비드가 없는 신속한 폐쇄형 공정에 의해 생성된 항-CD19 CAR+ T 세포의 안전성 및 효능을 테스트하도록 디자인된 임상 시험을 기술한다. 공정을 폐쇄하는 것은 T 세포 생성물의 특성을 유지시킨다.
연구 디자인
불응성 NHL에 걸린 대상체에서 KTE-C19의 안전성 및 효능을 평가하는 1/2상 다기관, 공개-라벨 연구가 수행될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1상 및 2상으로 지정된 2개의 별개의 단계로 분리될 것이다.
1상 동안, DLBCL, PMBCL 또는 TFL에 걸린 약 6 내지 24명의 대상체가 KTE-C19 레지멘의 안전성을 평가하도록 등록될 것이다. 연구 스폰서 내부의 안전성 검토 팀 (SRT)이 안전성 데이터를 검토할 것이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상의 추가 연구 수행 및 2상으로의 진행에 대해 권고할 것이다.
2상 동안, 대상체는 코호트 1 및 코호트 2로 지정된 2개의 분리된 코호트에 등록할 것이다. 코호트 1은 불응성 DLBCL에 걸린 성인 대상체를 등록할 것이고, 코호트 2는 불응성 PMBCL 및 TFL에 걸린 성인 대상체를 등록할 것이다. TFL은 여포성 림프종에 대한 선행 화학요법을 받은 대상체로서 정의된다.
연구 단계에 독립적으로, 각각의 대상체는 동일한 연구 치료 일정 및 절차 요건을 따를 것이다. 각각의 대상체에 하기의 연구 기간이 진행될 것이다: 스크리닝/백혈구분리반출술 기간; 컨디셔닝 화학요법 기간; 연구 제품 (IP) 치료 기간; 치료 후 평가 기간; 장기 추적 기간.
연구 기간
개별적인 대상체에 대해, 참여 기간은 28일까지의 스크리닝 기간, 5-7일의 컨디셔닝 화학요법 치료 기간, KTE-C19 치료 기간 (7일의 병원 내 회복 기간을 포함함), 치료 후 평가 기간, 및 장기 추적 기간 (15년까지의 생존 감독)을 포함한다.
치료 후 3개월 동안 모든 유해 사례에 대해 대상체가 추적될 것이다. 3개월 후, 표적화된 유해 사례/심각한 유해 사례 (예를 들어, 혈액학적, 신경학적, 2차 악성 종양, 감염 또는 자가면역 장애) 및 대상체 혈액 내의 복제 가능 레트로바이러스 (RCR)의 존재에 대해 평가 일정 (SOA)에 개요된 간격으로 대상체가 모니터링될 것이다. 장기 추적에 대한 필요성은 치료된 대상체 내의 유전자 전달 벡터의 잠재적인 지속성을 기초로 한다.
연구 완료는 마지막 대상체가 장기 추적 기간 방문을 완료하거나, 추적을 벗어난 것으로 간주되거나, 동의를 철회하거나 또는 사망한 시간으로 정의된다. 2상의 코호트 1 내의 모든 대상체 및 전체적인 연구 집단이 각각 6개월의 질환 반응 평가를 완료하였거나, 추적을 벗어나거나, 연구를 철회하거나 또는 사망하였을 때 (어느 쪽이든 먼저 발생하는 것)에 1차 분석이 수행될 것이다.
대상체 적격성
대상체에 대한 포함 기준은 하기를 포함한다:
a) WHO 2008이 정의한 하기 유형을 포함하는, 조직학적으로 확인된 공격성 B 세포 NHL: 다른 방식으로 특정되지 않은 DLBCL, T 세포/조직구 풍부 거대 B 세포 림프종, 만성 염증과 연관된 DLBCL, 노년층의 엡스타인-바르 바이러스 (EBV)+ DLBCL; 원발성 종격동 (흉선) 거대 B 세포 림프종; 또는 여포성 림프종의 DLBCL로의 전환;
b) 대부분의 최근의 화학요법을 함유하는 레지멘에 대한 최상의 반응으로서의 안정적 질환 (안정적 질환의 기간은 ≤ 12개월이어야 한다) 또는 진행성 질환; 및 선행 자가 SCT로부터 ≤ 12개월의 질환 진행 또는 재발 중 하나 이상으로서 정의되는, 화학요법-불응성 질환;
c) 대상체가 연구원이 종양이 CD20 음성이라고 결정하지 않은 한 최소한 항-CD20 모노클로날 항체를 포함하고 안트라사이클린 함유 화학요법 레지멘을 포함하는 충분한 선행 요법을 받았어야 한다;
d) 전환된 FL에 걸린 대상체가 여포성 림프종에 대한 선행 화학요법을 받았어야 하고, 후속적으로 DLBCL로의 전환 후에 화학요법불응성 질환이 있어야 한다;
e) 악성 림프종에 대한 IWG 반응 기준 개정판에 따른 적어도 1개의 측정가능한 병변; 이전에 방사선이 조사된 병변은 방사선조사 요법의 완료 후에 진행이 문서화된 경우에만 측정가능한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f) 중추 신경계 림프종의 증거를 나타내지 않는 뇌 MRI;
g) 대상체에서 백혈구분리반출술이 계획되는 시점에 임의의 선행 방사선조사 요법 또는 전신 요법 이후에 2주 이상이 경과되었어야 한다;
h) 선행 요법으로 인한 독성이 안정적이거나 또는 ≤ 1등급으로 회복되어야 한다 (임상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독성 예컨대 탈모증 제외);
i) 대상체가 18세 이상이어야 한다;
j) 0 또는 1의 동부 종양학 협력 그룹(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ECOG) 수행 상태;
k) 대상체의 실험실 값이 하기와 같아야 한다: i) ANC ≥ 1000개/uL; ii) 혈소판 수 ≥ 50,000개/uL; iii) 길버트 증후군 환자를 제외하고, 혈청 크레아티닌 ≤ 1.5 mg/dL, 혈청 ALT/AST ≤ 2.5 ULN, 및 총 빌리루빈 ≤ 1.5 mg/dl로서 정의되는 적당한 신장, 간 및 심장 기능; 및 iv) 심장 박출률 ≥ 50%, 및 ECHO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은 심낭 삼출의 증거 없음; 및
l) 가임 여성은 혈청 또는 소변 임신 테스트가 음성이어야 한다.
대상체에 대한 배제 조건은 하기를 포함한다:
a) 적어도 3년 동안 무질환이지 않는 한, 비-흑색종 피부 암 또는 상피내암종 (예를 들어, 자궁경부, 방광 또는 유방) 또는 여포성 림프종 이외의 악성종양의 이력;
b) CLL이 릭터로 전환된 이력;
c) 사전 동의서로부터 6주 이내의 자가 줄기 세포 이식;
d) 동종이형 줄기 세포 이식의 이력;
e) 본 연구에서 KTE-C19를 받았고 재치료에 적격한 대상체를 제외한, 선행 CD19 표적화 요법;
f) 선행 키메라 항원 수용체 요법 또는 다른 유전적으로 변형된 T 세포 요법;
g) 아미노글리코시드에 기인하는 중증의 즉각적인 과민증 반응의 이력;
h) 임상적으로 유의한 활성 감염 (예를 들어, 단순 UTI, 박테리아성 인두염은 허용됨) 또는 현재 IV 항생제를 받고 있거나 또는 등록 7일 전 이내에 IV 항생제를 받았음 (예방 항생제, 항바이러스제 및 항진균제는 허가된다);
i) HIV 또는 B형 간염 (HBsAg 양성) 또는 C형 간염 바이러스 (항-HCV 양성)의 감염 이력이 공지됨;
j) 검출가능한 뇌척수액 악성 세포, 또는 뇌 전이, 또는 뇌척수액 악성 세포 또는 뇌 전이의 이력이 있는 대상체;
k) 발작 장애, 뇌혈관 허혈/출혈, 치매, 소뇌 질환, 또는 CNS 병발이 있는 임의의 자가면역 질환의 이력;
l) 심장 심방 또는 심장 심실 림프종 병발이 있는 대상체;
m) 종양 덩어리 효과 예컨대 장 폐색 또는 혈관 압박으로 인해 긴급 요법이 필요함;
n) 원발성 면역결핍증;
o) 연구 치료의 안전성 또는 효능의 평가를 방해할 가능성이 있는 임의의 의학적 상태;
p) 전신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요법이 현재 요구되거나 또는 이에 대한 필요가 예상됨; 부신 기능저하가 있는 대상체에 대한 생리학적 대체물 및 표준 용량의 국소 및 흡입 코르티코스테로이드는 허용된다; 5 mg/일 이상의 프레드니손 또는 등가 용량의 다른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인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용량은 허용되지 않는다;
q)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작용제 중 임의의 것에 대한 중증의 즉각적인 과민증 반응의 이력;
r) 컨디셔닝 레지멘의 시작으로부터 ≤ 6주의 생백신;
s) 태아 또는 유아에 대한 예비 화학요법의 잠재적으로 해로운 효과로 인해, 임신 또는 수유 중인 가임 여성; 불임 수술을 받았거나 폐경 후 적어도 2년이 지난 여성은 가임성인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t) 동의서 시점으로부터 KTE-C19 완료 후 6개월에 걸쳐 피임을 실행할 의사가 없는 양쪽 성별의 대상체; 및
u) 연구원의 판단에서, 추적 방문을 포함하여 프로토콜이 요구하는 모든 연구 방문 또는 절차를 완료하거나, 또는 참여를 위한 연구 요구사항을 준수할 것 같지 않은 대상체.
추가적으로, KTE-C19에 대한 예측적 및 약역학적 마커를 평가하기 위해 혈액 및 종양 샘플에서 바이오마커 분석이 수행될 것이다. 공격성 NHL에서의 예후성 마커가 또한 평가될 수 있다. 기준선 백혈구분리반출술 및 최종 KTE-C19 샘플이 저장될 것이고, 면역표현형결정 및/또는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링에 의해 분석될 수 있다. 나머지 샘플이 DNA, RNA, 또는 단백질 마커의 추후의 탐색적 분석을 위해 보관될 수 있다. 아카이브로 만들어진 종양 조직이 중앙 경로 검토를 위해 수집될 것이다. 추가적인 분석은 CD19 발현,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링, 및 DNA 변경 분석을 포함할 수 있다. 나머지 종양 샘플이 DNA, RNA, 또는 단백질 마커의 추후의 탐색적 분석을 위해 보관될 수 있다.
프로토콜 치료
일정
백혈구분리반출술에 의해 대상체로부터 백혈구를 수득할 것이다 (KTE-C19의 제작을 위한 약 5-10 x 109개의 단핵 세포를 표적으로 하는 목적의 12-15 리터 혈장 교환). T 세포를 함유하는 PBMC 분획을 강화시키도록 각각의 대상체의 백혈구분리반출술 생성물을 프로세싱할 것이다. 그 후, T 세포를 자극하여 확장시키고, 레트로바이러스 벡터를 형질도입하여 CAR 유전자를 도입한다. 그 후, T 세포를 확장시키고 냉동 보존하여 연구 제품을 생성시킨다. 각각의 대상체의 컨디셔닝 화학요법 레지멘의 완료 후, 대상체가 이들의 각각의 KTE-C19 주입을 받을 것이다.
연구 치료
대상체가 림프구 고갈을 유도하고 생체 내에서의 KTE-C19 확장을 위한 최적 환경을 생성시키기 위해 시클로포스파미드 및 플루다라빈으로 이루어진 비-골수제거 컨디셔닝 레지멘을 받을 것이다. 대상체는 제-5일 (또는 코호트 B의 경우에 제-7일)에 시작하여 제-1일까지 시클로포스파미드 및 플루다라빈으로의 컨디셔닝 화학요법에 착수할 것이다. 외래 환자 환경에서는 5일 컨디셔닝 화학요법 레지멘이 투여될 것이다. 연구원의 재량에 따라 7일 컨디셔닝 화학요법 레지멘이 외래 환자 또는 입원 환자 레지멘로서 투여될 수 있다.
1상:
코호트 A1 및 A2에서, 대상체는 하기의 5일 컨디셔닝 화학요법 레지멘을 받을 것이다: 주입일에 시클로포스파미드 전에 1 L의 0.9% NaCl 염수 용액으로의 IV 수분공급이 제공됨; 그 후, 제-5일, 제-4일, 및 제-3일에 60분에 걸쳐 시클로포스파미드 500 mg/㎡ IV; 그 후, 제-5일, 제-4일, 및 제-3일에 30분에 걸쳐 플루다라빈 30 mg/㎡ IV; 그 후, 플루다라빈 주입 완료 시 추가적인 1 L의 0.9% NaCl 염수 용액 (도 3). 특정 사례에서, 메스나 (소듐 2-메르캅토에탄술포네이트)가 기관의 지침에 따라 추가될 수 있다.
코호트 A3에서, 대상체는 하기의 5일 화학요법 레지멘을 받을 것이다: 주입일에 시클로포스파미드 전에 1 L의 0.9% NaCl 염수 용액으로의 IV 수분공급이 제공됨; 그 후, 제-5일, 제-4일, 및 제-3일에 60분에 걸쳐 시클로포스파미드 300 mg/㎡ IV; 그 후, 제-5일, 제-4일, 및 제-3일에 30분에 걸쳐 플루다라빈 30 mg/㎡ IV; 그 후, 플루다라빈 주입 완료 시 추가적인 1 L의 0.9% NaCl 염수 용액. 특정 사례에서, 메스나가 기관의 지침에 따라 추가될 수 있다.
코호트 A1, A2, 또는 A3에 등록된 대상체에 대해, 제-2일 및 제-1일은 제0일의 KTE-C19 주입 전의 휴식일일 것이다.
코호트 B1 및 B2에서, 대상체는 하기의 7일 화학요법 레지멘을 받을 것이다: 2.6 ml/kg/hr (최대 200 ml/hr)로 권장되고, 시클로포스파미드 주입 11시간 전에 시작되는 연속 주입으로서 투여되며, 최종 시클로포스파미드 주입 후 24시간까지 수분공급이 계속되는, 0.9% NaCl 염수 용액으로의 IV 수분공급; 제-7일 및 제-6일에 시클로포스파미드 30 mg/kg (1110 mg/㎡)이 IV 투여되고, 120분에 걸쳐 주입됨; 그 후, 제-5일, 제-4일, 제-3일, 제-2일 및 제-1일에 플루다라빈 25 mg/㎡가 IV 투여되고, 30분에 걸쳐 주입됨. 특정 사례에서, 메스나가 기관의 지침에 따라 추가될 수 있다.
코호트 B1 또는 B2에 등록된 대상체에 대해, 화학요법의 마지막 날 (제-1일)과 제0일의 KTE-C19 주입 사이에 휴식일이 없을 것이다.
KTE-C19의 경우, 코호트 A1, A3, 또는 B1의 대상체는 2 x 106개의 항-CD19 CAR+ T 세포/kg (± 20%; 1.6 x 106개의 항-CD19 CAR+ T 세포/kg 내지 2.4 x 106개의 항-CD19 CAR+ T 세포/kg)의 표적 용량으로 정맥 내로 투여된 CAR 형질도입 자가 T 세포의 단일 주입으로 이루어진 KTE-C19 치료를 받을 것이다. 1 x 106개의 항-CD19 CAR+ T 세포/kg의 최소 용량이 투여될 수 있다. 100 kg을 초과하는 대상체의 경우, 2 x 108개의 항-CD19 CAR+ T 세포의 최대 균일 용량이 투여될 것이다.
코호트 A2 또는 B2의 대상체는 1 x 106개의 항-CD19 CAR+ T 세포/kg (± 20%; 0.8 x 106개의 항-CD19 CAR+ T 세포/kg 내지 1.2 x 106개의 항-CD19 CAR+ T 세포/kg)의 표적 용량으로 정맥 내로 투여된 CAR 형질도입 자가 T 세포의 단일 주입으로 이루어진 KTE-C19 치료를 받을 것이다. 0.5 x 106개의 항-CD19 CAR+ T 세포/kg의 최소 용량이 투여될 수 있다. 100 kg을 초과하는 대상체의 경우, 1 x 108개의 항-CD19 CAR+ T 세포의 최대 균일 용량이 투여될 것이다.
2상:
1상에서 SRT가 안전한 것으로 결정한 KTE-C19 레지멘이 연구의 2상 부분으로 추진될 것이다.
재치료
PR 또는 CR을 달성한 대상체는 이들의 질환이 그 후에 진행되면 (그리고, 재발이 CD19-악성 세포인 것으로 공지되지 않으면) 2차 과정의 컨디셔닝 화학요법 및 KTE-C19를 받을 수 있다. 2차 치료 과정에 대해 적격이기 위해, 대상체는 재평가되어야 하고, 선행 CAR 요법에 관련된 배제 기준을 제외하고는 원래의 연구 적격성 기준을 계속 충족시켜야 하며, 림프종 치료를 위한 후속 화학요법을 받지 않았어야 한다. 추가로, 탈모증을 제외하고는, 플루다라빈 또는 시클로포스파미드에 관련된 임의의 독성이 안정적이어야 하고, 재치료 전에 1등급 미만으로 해소되어야 한다. 대상체당 최대 1회의 재치료 과정이 발생할 수 있다. 2상에 등록된 대상체는 동일한 KTE-C19 레지멘을 받을 것이다. 1상에 등록된 대상체는 2상에 선택된 KTE-C19 레지멘을 받을 것이다. 2상 레지멘이 아직 선택되지 않았으면, 대상체는 SRT가 안전한 것으로 결정한 마지막 KTE-C19 레지멘을 받을 것이다.
1상에서 DLT를 경험하거나 또는 2상에서 유사한 독성을 경험한 대상체는 재치료에 적격이지 않을 것이다. 추가로, 대상체에 공지된 중화 항체가 있으면, 대상체는 재치료에 적격이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비-중화 HAMA 또는 HABA 항체가 발달되는 경우, 적격성 기준을 충족시키면 대상체가 재치료될 수 있다.
치료 후 평가
KTE-C19 주입을 완료하고 병원에서 퇴원한 후 (전형적으로 제8일), 치료 후 평가 기간에 모든 대상체가 추적될 것이다. 제0일 (KTE-C19 주입)부터 계산하여, 제2주, 제4주 (± 3일), 제2개월 (± 1주), 및 제3개월 (± 1주)에 대상체가 진료소로 돌아올 것이다. 평가는 MMSE (간이 정신 상태 검사); 질환 평가를 위한 PET-CT; 신체 검사 및 활력 징후; 화학 패널, CBC와 함께 백혈구 분율, 모든 가임 여성에서의 β-HCG 임신 테스트 (혈청 또는 소변), 항-KTE-C19 항체, 림프구 부분 집합, 시토카인 수준, 항-CD19 CAR+ T 세포, 및 복제-가능 레트로바이러스 (RCR) 분석을 포함하는 검사 결과; 유해 사례/중증 유해 사례 보고; 동반 약제 문서화; 및 동의서의 선택 부분에 서명한 대상체에 대한 신선한 종양 샘플(들)의 수집을 포함할 수 있다.
형질도입된 항-CD19 CAR+ T 세포의 존재, 확장, 지속, 및 면역표현형이 혈액에서 먼저 PCR 분석에 의해 모니터링될 것이고, 유동 세포측정법에 의해 보완될 것이다. 혈액에서 혈청 시토카인의 수준이 또한 평가될 것이다. 하기의 시토카인이 패널에 포함될 수 있다: 염증유발성 및 면역 조정 시토카인인 IL-6, TNFα, IL-8, IL-1, IL-2, GM-CSF, IL 15, IL-17a, IFNγ, IL-12p40/p70; 면역 이펙터 분자인 그랜자임 A, B, 퍼포린, sFasL; 급성기 반응의 상관물인 CRP, SAA 및 케모카인 MIP-1α, MIP-3α, IP-10, 에오탁신, MCP-4. KTE-C19가 레트로바이러스 벡터로 형질도입된 T 세포를 포함하기 때문에, 치료된 환자의 혈액 내의 복제-가능-레트로바이러스 (RCR)의 존재가 또한 모니터링될 것이다.
대상체가 KTE-C19로의 재치료에 적격이면, 재치료 전의 최종 스캔이 재치료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기 위한 목적의 기준선으로 간주될 것이다.
치료 후 평가 기간 동안의 임의의 시점에, 대상체가 치료에 반응하지 않았거나 (즉, CR 또는 PR) 또는 반응 후에 진행되면, 대상체는 바로 제3개월 방문을 진행할 것이고, 장기 추적 기간에서 질환 결과에 대해 추적될 것이다.
적용가능하다면, 모든 대상체가 장기 추적 기간 동안 생존 및 질환 상태에 대해 추적될 것이다. 대상체는 치료 후 평가 기간의 제3개월 방문을 완료한 후에 장기 추적 기간을 시작할 것이다 (치료에 반응하였는지 또는 질환 진행으로 인해 바로 제3개월 방문으로 갔는지 여부를 막론함). 제0일 (KTE-C19 주입)부터 계산하여, 대상체는 제18개월까지는 3개월 (± 2주)마다, 제24개월 - 제60개월 사이에는 6개월 (± 1개월)마다 진료소로 돌아올 것이고, 제6년, 제72개월 (± 3개월)에 시작하여, 대상체는 15년까지 매년 1회 진료소로 돌아올 것이다. 이러한 방문 시 하기 절차가 완료될 것이다: 신체 검사; PET-CT 스캔; 질환 평가; CBC와 함께 백혈구 분율, 항-KTE-C19 항체, 림프구 부분 집합, 항-CD19 CAR+T 세포, 및 RCR 분석을 포함하는 검사 결과; 신경학적, 혈액학적, 감염, 자가면역 장애, 및 질환 진행까지의 2차 악성 종양을 포함하는, 표적화된 유해 사례/중증 유해 사례 보고 (24개월 동안 또는 질환 진행까지 (어느 쪽이든 먼저 발생하는 것)); 감마글로불린, 면역억제성 약물, 항감염제, 백신접종, 및 진행성 질환의 치료를 위한 임의의 요법을 포함하는, 표적화된 동반 약제 문서화 (질환 진행 후 2년 동안).
평가는 목, 흉부, 복부 및 골반의 기준선 PET-CT 스캔을 모든 다른 질환 부위의 적절한 영상화와 함께 포함할 것이다. 대상체는 KTE-C19 주입 후의 1차의 예정된 PET-CT 종양 평가를 KTE-C19 주입 4주 후에, 및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은 규칙적인 간격으로 받을 것이다.
CR에 대해 평가받고 있는 대상체에서 골수 흡인물 및 생검이 수행될 것이다. 악성 림프종에 대한 IWG 반응 기준 개정판에 따르면, 골수 흡이물 및 생검은 요법 전에 대상체가 림프종의 골수 병발에 걸렸을 때 또는 말초 혈구 계산 또는 혈액 도말에서의 새로운 이상이 치료 후의 림프종의 골수 병발의 임상적 의심을 야기하는 경우에만 수행되어야 한다. 치료에 CR을 할당하기 위해, 골수 흡인물 및 생검이 형태학에 의해 질환 증거를 나타내지 않아야 하거나, 또는 형태학에 의해 확실하지 않으면, 면역조직화학에 의해 음성이어야 한다.
연구 종점
1차
1상에 대한 1차 종점은 용량-제한 독성 (DLT)으로 정의되는 유해 사례의 발생률이다. 2상에 대한 1차 종점은 연구 조사원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은 악성 림프종에 대한 IWG 반응 기준 개정판에 의한 완전 반응 또는 부분적 반응의 발생률로서 정의되는 객관적 반응률 (ORR)이다. 분석 마감일까지 객관적 반응에 대한 기준을 충족시키지 않는 모든 대상체는 비-반응자로 간주될 것이다.
2차
1상의 대상체들 사이의 객관적 반응률이 요약될 것이다. 2상의 대상체들 사이의 객관적 반응률이 IRRC에 따라 결정될 것이고, 이는 IRRC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은 악성 림프종에 대한 IWG 반응 기준 개정판에 의한 완전 반응 또는 부분적 반응의 발생률로서 정의된다. 분석 데이터 마감일까지 객관적 반응에 대한 기준을 충족시키지 않는 모든 대상체는 비-반응자로 간주될 것이다. 객관적 반응을 경험하는 대상체에 대한 반응 지속기간 (DOR)은 대상체의 최초의 객관적 반응일에 후속하여 악성 림프종에 대한 IWG 반응 기준 개정판에 따른 질환 진행 또는 사망 (원인과 관계 없음)이 확인되는 날짜로서 정의된다. 분석 데이터 마감일까지 진행에 대한 기준 또는 사망을 충족시키지 않는 대상체는 이들의 마지막으로 평가가능한 질환 평가일에 검열될 것이고, 이들의 반응은 진행 중인 것으로 기록될 것이다.
용량-제한 독성 (DLT)
용량-제한 독성은 KTE-C19 주입 후 최초의 30일 이내에 발병하는 하기의 KTE-C19-관련 사례로서 정의된다:
a) 세포 전달일로부터 21일 초과로 지속되는 4등급 호중구감소증
b) 세포 전달일로부터 35일 초과로 지속되는 4등급 혈소판감소증
c) 기도 보호를 위한 삽관을 요구하는 4등급 착란을 포함하여, 삽관을 요구하는 임의의 KTE-C19-관련 유해 사례는 DLT인 것으로 간주된다.
d) DLT로 간주되지 않는 하기의 병태를 제외한, 3일 초과로 지속되는 모든 다른 3등급 독성 및 모든 4등급 독성: i) 2주 이내에 1등급 이하로, 및 4주 이내에 기준선으로 해소되는 실어증/언어장애 또는 착란/인지 장애; ii) 3등급 발열; iii) 호중구감소증 및 혈소판감소증이 상기 기술된 DLT 정의를 충족시키는 경우를 제외한, 림프구감소증, 헤모글로빈 감소, 호중구감소증 및 혈소판감소증으로서 정의되는 골수억제 (혈소판 수가 50X109개/L 미만인 환경에서의 출혈, 및 호중구감소증의 환경에서의 문서화된 박테리아 감염을 포함함); iv) 표준 요법으로 세포 투여로부터 24시간 이내에 2등급 이하로 되돌릴 수 있는, 세포 주입으로부터 2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즉각적인 과민증 반응 (세포 주입에 관련됨); 및 v) 3 또는 4등급 저감마글로불린혈증.
CRS는 개정된 등급화 시스템 (Lee 2014)에 따라 등급이 매겨질 것이다. CRS에 기인하는 유해 사례는 DLT의 결정을 위한 전반적인 CRS 등급화 평가에 맵핑될 것이다.
1상 동안, DLBCL, PMBCL 또는 TFL에 걸린 약 6-24명의 대상체가 KTE-C19 레지멘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등록될 것이다. 각각의 코호트 내의 대상체가 이들의 각자의 KTE-C19 주입의 완료 후 최초의 30일 이내에 DLT에 대해 평가될 것이다. DLT의 대상체 발생률이 6명의 대상체 중 ≤ 1명이면, 코호트 B1이 연구될 수 있거나 또는 연구가 2상 시험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결정은 전체적인 이익/위험 및 이용가능한 바이오마커 데이터를 기초로 할 것이다.
그러나, 1상 동안 6명의 등록된 대상체 중 2명이 프로토콜로 정의된 DLT를 나타내면, SRT가 처음 6명의 대상체에서 투여된 것과 동일한 용량으로 2개의 추가적인 3명의 대상체의 세트 (총 12명까지의 대상체)를 등록하는 것을 권장할 수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처음 9명 중 ≤ 2명 또는 12명의 대상체 중 ≤ 3명이 DLT를 나타내면 추가적인 코호트 또는 2상 연구로의 진행이 속행될 것이다.
DLT의 대상체 발생률이 > 2/6, >3/9, 또는 >4/12명의 대상체이면, 다른 KTE-C19 레지멘을 추가적인 6-12명의 대상체에서 연구할 수 있다 (도 3). 상기와 동일한 DLT 규칙이 적용된다.
실시예 4
자가 림프구에 항-CD19 CAR 구축물 유전자를 보유하는 g-뮤린 레트로바이러스를 형질도입한 후, 확장시켜 원하는 세포 용량을 달성함으로써 T 세포 생성물이 생성되었다. 항-CD19 CAR+ T 세포 생성물 특성을 수확 시점에 또는 CD19+ 세포와의 공동-배양 후에 공동-배양 상청액의 유동 세포측정법 및 다중 시토카인 분석에 의해 평가하였다. 생성물 특성화를 위한 CAR+ T 세포 공동-배양을 1:1의 이펙터 대 표적 비로 K562-CD19 세포 또는 K562-NGFR 대조군 세포로 수행하였다. 표준 인큐베이션 시간은 18시간이었다. 재발/불응성 B 세포 악성 종양이 있는 환자를 시클로포스파미드 및 플루다라빈으로 컨디셔닝한 후, 항-CD19 CAR+ T 세포를 투약하였다.
시토카인 및 케모카인 수준을 EMD밀리포어의 루미넥스® xMAP® 다중 검정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데이터 취득 및 분석을 루미넥스 200™ 기구 및 엑스포넨트(xPONENT)® 3.1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IL-7의 경우,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샘플에 아무 것도 섞지 않고 실행시키면서 인간 IL-7 퀀티카인(Quantikine) HS ELISA 키트 (HS750)를 사용하였다. 혈행 내의 CAR T 세포의 빈도를 정량적 PCR 분석에 의해 측정하였다. 환자에게 제-5일 및 제-4일의 300 mg/㎡ 시클로포스파미드 및 제-5일, 제-4일, 및 제-3일의 30 mg/㎡ 플루다라빈으로 구성되는 예비-컨디셔닝 레지멘을 투여하였다. 환자 혈청을 시클로포스파미드 및 플루다라빈의 투여 전에 제-12일 내지 제-5일에 ("전"), 제0일의 CAR+ T 세포 투여 직후에 ("후"), 및 제18일까지 CAR+ T 세포 투여 후의 선택된 날에 수집하였다. 도 6에 제시된 바와 같이, GF-CSF, IL-2, MCP-1, IL-6, IL-10, MCP-4, CRP, IFN 감마, 그랜자임 A, IL-15, IL-5, 그랜자임 B, IL-8, IP-10, MIP-1b, PLGF, IL-16, TARC, 에오탁신-3, sICAM-1, sVCAM-1, 및 SAA의 혈청 농도를 컨디셔닝 전 및 후, 및 CAR+ T 세포 투여 후의 선택된 날에 측정하였다. 특정 시토카인의 농도가 300 mg/㎡ 시클로포스파미드 및 30 mg/㎡ 플루다라빈으로의 컨디셔닝 후에 환자 혈청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7A-7I 및 18A-18E). 특히, IL-15, IL-7, PLGF, CRP, 및 MCP-1의 농도가 시클로포스파미드 및 플루다라빈으로의 컨디셔닝 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도 7A-7D, 7G, 18A, 및 18C-18E). IL-5, IL-10, IP-10, 및 s-ICAM1의 농도에서도 증가가 관찰되었다 (도 7E-7F, 7H-7I, 및 18B). 반대로, 퍼포린은 시클로포스파미드 및 플루다라빈으로의 컨디셔닝 후에 감소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18F). 도 18G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양한 다른 분석물의 혈청 농도가 예비-컨디셔닝 후에 증가 또는 감소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추가적인 환자를 테스트하였고, 결과가 도 11-17에서 설명된다. 추가적으로, 예비-컨디셔닝 후의 IL-15 (도 19A) 및 IP-10 (도 19B)의 증가된 혈청 수준 및 퍼포린 (도 19C)의 감소된 혈청 수준이 CAR T 세포로 치료된 환자에서의 양성 객관적 반응과 유의하게 상호관련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AR+ T 세포 주입 후의 말초혈 림프구 (PBL) 및 혈청을 각각 유동 세포측정법 및 다중 시토카인 분석에 의해 평가하였다. 주입 전의 항-CD19 CAR+ T 세포 시토카인 생산을 K562-NGFR 음성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도 8). T1, T2, 및 면역 항상성 시토카인인 GM-CSF, IL-2, IFN 감마, IL-5, IL-4, 및 IL-13, 및 염증유발성 시토카인 및 케모카인인 TNF 알파, IL-6, 그랜자임 B, MIP-1b (베타), MIP-1a (알파), 및 sCD137의 농도가 음성 대조군에 비해 항-CD19 CAR+ T 세포 샘플에서 더 높았다 (도 8A-8L). 추가적으로, 표적 항원과 주입 전의 생성물 T 세포의 결속이 그의 활성을 조정할 수 있는 수용체, 예컨대 CD107a (알파), 401BB, 및 PD-1의 상향조절에 이른다 (도 9A-9C).
다색 유동 세포측정법을 데이터 획득 및 분석을 위한 FlowJo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BD FACSCanto II 상에서 수행하였다. 더 짧은 제작 공정으로 CD4+, 나이브, 및 중심 기억 T 세포를 더 많이 나타내는 CAR+ T 세포 생성물이 산출되었다 (도 10). 주입 후에, CAR+ T 세포는 분화된 T 세포 및 일부 중심 기억 또는 나이브 T 세포를 주로 포함하는 다각적인 부분집합 조성을 나타낸다 (도 10).
항-CD19 CD28제타 CAR+ T 세포는 임상적으로 효과적이고, 림프종 및 백혈병 둘 다에서 내구성 반응을 유도한다. 혈행 내의 오래 지속되는 CAR+ T 세포 없이 내구성 임상 반응이 일어날 수 있어, 정상적인 B 세포 회수를 허용한다. 시클로포스파미드 및 플루다라빈으로의 컨디셔닝이 T 세포의 항상성 확장, 활성화 및 통행에 유리할 수 있는 분자의 유도를 통해 면역 환경을 변형시킨다. CAR+ T 세포 치료가 순환 시토카인 및 케모카인이 신속하게 상승되고 후속적으로 치료 후 3주 이내에 해소되는 것을 초래한다.
실시예 5
대상체를 300 mg/㎡ 이상의 용량의 시클로포스파미드 및 30 mg/㎡ 이상의 플루다라빈으로 이루어지는 비-골수제거 컨디셔닝 레지멘로 치료하는 것의 안전성 및 효능을 테스트하기 위해 연구가 수행될 것이다. 추가로 림프구 고갈을 유도하고 생체 내에서의 KTE-C19의 확장을 위한 더욱 최적인 환경을 생성시키기 위해 이러한 컨디셔닝 화학요법 작용제의 용량이 사용될 것이다.
등록된 대상체에 항-CD19 CAR+ T 세포의 생산을 위한 PBMC를 수득하기 위해 백혈구분리반출술이 진행될 것이다. 그 후, 대상체가 제-5일 내지 제-3일에 투여되는 500 mg/㎡/일 시클로포스파미드 및 60 mg/㎡/일 플루다라빈을 포함하는 컨디셔닝 화학요법을 받을 것이다. 그 후, 대상체가 제0일에 IV에 의해 항-CD19 CAR+ T 세포/kg의 용량을 받을 것이다. 출발 용량으로서, 대상체는 2 x 106개의 항-CD19 CAR+ T 세포/kg (± 20%)을 받을 수 있고, 이는 대상체의 반응성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다.
컨디셔닝 화학요법 및 항-CD19 CAR+ T 세포의 투여 후, 대상체가 유해 효과, 혈청 시토카인 수준, T 세포 수, 및 질환 반응에 대해 모니터링될 것이다. IL-2, IL-4, IL-5, IL-6, IL-7, IL-8, IL-10, IL-15, IL-16, IL-21, MCP-1, IP-10, PLGF, sICAM-1, CRP, VEGF, VEGF-C, VEGF-D, sVCAM-1, MIP-1β, FGF2, IL-1b, 에오탁신, GM-CSF, IFN 감마, IL-12p40, MDC, IL-12p70, IL-13, IL-17A, MIP-1a, TNFa, TNFb, 그랜자임 A, 그랜자임 B, 퍼포린, SAA, MCP-4, 및 TARC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다양한 시토카인, 케모카인, 이펙터, 염증 마커, 및 부착 분자의 혈청 수준이 컨디셔닝 화학요법의 효과를 결정하기 위해 컨디셔닝 전 및 후에 측정될 것이다. 시클로포스파미드, 플루다라빈, 및 항-CD19 CAR+ T 세포 각각의 투여 전에 또는 후에 혈청이 수집될 것이고, 모든 수준이 컨디셔닝 화학요법 전의 수준과 비교될 것이다. 질환 반응성과 컨디셔닝 후의 하나 이상의 시토카인의 수준 사이의 임의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질환 반응성이 컨디셔닝 후의 각각의 환자의 시토카인 프로파일과 비교될 것이다.
시클로포스파미드 및 플루다라빈의 최대 허용가능 용량을 결정하기 위해 유해 효과의 발생이 면밀하게 모니터링될 것이다. 필요하다면 유해 효과가 의학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임상 효능을 개선하고 유해 효과를 제한하기 위해 시클로포스파미드 및 플루다라빈 중 하나 또는 둘 다의 용량이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다. 초기의 부분적 반응에 이어서 질환 진행을 나타내는 임의의 대상체는 시클로포스파미드 및/또는 플루다라빈의 동일하거나 상이한 수준에서의 2차 치료를 받을 수 있다. 본 출원 전반에 걸쳐, 다양한 발표물이 괄호 안에서 저자명 및 날짜에 의해 또는 특허 번호 또는 특허 공개 번호에 의해 참조된다. 이러한 발표물들에 대한 완전한 인용을 청구항 바로 앞의 명세서 끝부분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본원에 기술 및 청구된 발명의 날짜 이후로 관련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은 최신 기술을 더욱 충분히 기술하기 위해 이러한 발표물들의 개시내용은 이에 의해 전문이 본 출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그러나, 본원에서의 참고문헌의 인용은 이같은 참조문헌이 본 발명의 선행 기술임을 인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원에 기술된 다양한 측면, 실시양태 및 옵션 모두는 임의의 모든 변형으로 조합될 수 있다.
실시예 6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로의 예비-컨디셔닝에 대한 시토카인 반응성을 기초로 환자가 T 세포 요법에 반응할 가능성을 예측하기 위해 연구가 수행될 것이다. T 세포 요법에 적합한 암을 앓고 있는 환자가 이러한 연구를 위해 선택될 것이다.
임의의 개입 전에 환자 혈액이 수집될 것이다. 그 후, 환자에게 본 발명에 따른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를 투여함으로써 환자가 예비-컨디셔닝될 것이다. 예를 들어, 환자가 T 세포 요법 전에 2 또는 3일 동안 300 또는 500 mg/㎡/일의 시클로포스파미드로, 및 3, 4 또는 5일 동안 30 또는 60 mg/㎡/일의 플루다라빈으로 치료될 수 있다. 그 후, 예비-컨디셔닝 후 및 T 세포 요법을 투여하기 직전에, 예를 들어, T 세포 요법 투여와 동일한 날에 환자 혈액이 다시 수집될 것이다. 그 후, 환자가 T 세포 요법을 투여받을 것이고, 질환 반응성, 예를 들어, 진행성 질환, 부분적 반응, 또는 완전 반응에 대해 모니터링될 것이다.
예비-컨디셔닝 전 및 후에 수집된 혈액이 IL-15, IL-7, 및 MCP-1, CRP, PLGF, IP-10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시토카인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다양한 시토카인의 혈청 수준에 대해 분석될 것이다. 각각의 시토카인의 배수 변화가 각각의 환자에 대해 기록될 것이고, 전체적인 질환 반응성과 비교될 것이다. 임의의 하나 이상의 시토카인의 증가 또는 감소가 전체적인 질환 반응성을 예측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상관 연구가 수행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모든 발표물, 특허 및 특허 출원은 각각의 개별적인 발표물, 특허 또는 특허 출원이 참조로 포함되는 것으로 구체적 및 개별적으로 지시된 것과 동일한 정도로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그러나, 본원에서의 참고문헌의 인용은 이같은 참조문헌이 본 발명의 선행 기술임을 인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이 일반적으로 기술되었으므로, 본원에서 제공된 실시예를 참조로 추가적인 이해를 수득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오직 예시를 목적으로 하고, 제한적인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Claims (122)

  1. T 세포 요법에 적합한 환자에서 암을 치료하는 방법이며, (i) 환자에게 인터류킨-15 ("IL-15"), 인터류킨-7 ("IL-7"), 및 단핵구 화학주성 단백질 1 ("MCP-1"), C-반응성 단백질 ("CRP"), 태반 성장 인자 ("PLGF"), 인터페론 감마-유도 단백질 10 ("IP-10")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시토카인의 혈청 수준을 증가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를 투여하는 단계, 및 (ii) 환자가 IL-15, IL-7,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시토카인의 증가된 혈청 수준을 나타낼 때 T 세포 요법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T 세포 요법에 적합한 환자에서 암을 치료하는 방법이며, 환자에게 IL-15, IL-7, 및 MCP-1, CRP, PLGF, IP-10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시토카인의 혈청 수준을 증가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환자는 IL-15, IL-7,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시토카인의 증가된 혈청 수준을 나타낼 때 T 세포 요법으로 치료되는 것인 방법.
  3. T 세포 요법에 적합한 환자에서 암을 치료하는 방법이며, (i) 환자에게 IL-15, IL-7, 및 MCP-1, CRP, PLGF, IP-10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시토카인의 혈청 수준을 증가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를 투여하는 단계, (ii) 추가적인 양의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를 투여하거나 또는 유효량의 IL-15, IL-7, 및 MCP-1, CRP, PLGF, IP-10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시토카인을 투여하는 단계, 및 (iii) 환자가 IL-15, IL-7,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시토카인의 증가된 혈청 수준을 나타낼 때 T 세포 요법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T 세포 요법에 적합한 환자를 확인하는 방법이며, 환자에게 IL-15, IL-7, 및 MCP-1, CRP, PLGF, IP-10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시토카인의 혈청 수준을 증가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5. T 세포 요법에 적합한 환자를 확인하는 방법이며, (i) 환자에게 IL-15, IL-7, 및 MCP-1, CRP, PLGF, IP-10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시토카인의 혈청 수준을 증가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를 투여하는 단계, 및 (ii) 환자가 IL-15, IL-7,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시토카인의 증가된 혈청 수준을 나타낼 때 T 세포 요법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T 세포 요법에 적합한 환자를 확인하는 방법이며, (i) 환자에게 IL-15, IL-7, 및 MCP-1, CRP, PLGF, IP-10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시토카인의 혈청 수준을 증가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를 투여하는 단계, (ii) 추가적인 양의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를 투여하거나 또는 유효량의 IL-15, IL-7, 및 MCP-1, CRP, PLGF, IP-10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시토카인을 투여하는 단계, 및 (iii) 환자가 IL-15, IL-7,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시토카인의 증가된 혈청 수준을 나타낼 때 T 세포 요법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T 세포 요법을 필요로 하는 환자를 예비-컨디셔닝하기 위해 IL-15, IL-7, 및 MCP-1, CRP, PLGF, IP-10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시토카인의 혈청 수준을 증가시키는 방법이며, 환자에게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환자는 IL-15, IL-7,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시토카인의 증가된 혈청 수준을 나타낼 때 T 세포 요법으로 치료되는 것인 방법.
  8. T 세포 요법을 필요로 하는 환자를 예비-컨디셔닝하기 위해 IL-15, IL-7, 및 MCP-1, CRP, PLGF, IP-10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시토카인의 혈청 수준을 증가시키는 방법이며, (i) 환자에게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를 투여하는 단계, 및 (ii) 환자가 IL-15, IL-7,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시토카인의 증가된 혈청 수준을 나타낼 때 T 세포 요법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T 세포 요법을 필요로 하는 환자를 예비-컨디셔닝하기 위해 IL-15, IL-7, 및 MCP-1, CRP, PLGF, IP-10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시토카인의 혈청 수준을 증가시키는 방법이며, (i) 환자에게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를 투여하는 단계, (ii) 추가적인 양의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를 투여하거나 또는 유효량의 IL-15, IL-7, 및 MCP-1, CRP, PLGF, IP-10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시토카인을 투여하는 단계, 및 (iii) 환자가 IL-15, IL-7,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시토카인의 증가된 혈청 수준을 나타낼 때 T 세포 요법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후에 IL-15, IL-7, 및 적어도 하나의 시토카인의 혈청 수준을 측정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가 환자 내의 내인성 림프구의 수를 감소시키는 것인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내인성 림프구가 조절성 T 세포, B 세포, 천연 킬러 세포, CD4+ T 세포, CD8+ T 세포,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환자 내의 IL-7의 혈청 수준이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전의 IL-7 혈청 수준과 비교하여 투여 후에 적어도 2배, 적어도 3배, 적어도 4배, 적어도 5배, 적어도 10배, 적어도 15배, 적어도 20배, 적어도 25배, 적어도 30배, 적어도 35배, 적어도 40배, 적어도 45배, 적어도 50배, 적어도 60배, 적어도 70배, 적어도 80배, 또는 적어도 90배 증가되는 것인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환자 내의 IL-15의 혈청 수준이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전의 IL-15 혈청 수준과 비교하여 투여 후에 적어도 5배, 적어도 10배, 적어도 15배, 적어도 20배, 적어도 25배, 적어도 30배, 적어도 35배, 적어도 40배, 적어도 45배, 적어도 50배, 적어도 60배, 적어도 70배, 적어도 80배, 또는 적어도 90배 증가되는 것인 방법.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환자 내의 MCP-1의 혈청 수준이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전의 MCP-1 혈청 수준과 비교하여 투여 후에 적어도 1.5배, 적어도 2배, 적어도 3배, 적어도 4배, 적어도 5배, 적어도 6배, 적어도 7배, 적어도 8배, 적어도 9배, 적어도 10배, 적어도 15배, 또는 적어도 20배 증가되는 것인 방법.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환자 내의 PLGF의 혈청 수준이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전의 PLGF 혈청 수준과 비교하여 투여 후에 적어도 1.5배, 적어도 2배, 적어도 3배, 적어도 4배, 적어도 5배, 적어도 10배, 적어도 15배, 적어도 20배, 적어도 25배, 적어도 30배, 적어도 35배, 적어도 40배, 적어도 45배, 적어도 50배, 적어도 60배, 적어도 70배, 적어도 80배, 적어도 90배, 또는 적어도 100배 증가되는 것인 방법.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환자 내의 CRP의 혈청 수준이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전의 CRP 혈청 수준과 비교하여 투여 후에 적어도 1.5배, 적어도 2배, 적어도 3배, 적어도 4배, 적어도 5배, 적어도 약 9배, 적어도 10배, 적어도 15배, 적어도 20배, 적어도 25배, 적어도 30배, 적어도 35배, 적어도 40배, 적어도 45배, 적어도 50배, 적어도 60배, 적어도 70배, 적어도 80배, 적어도 90배, 또는 적어도 100배 증가되는 것인 방법.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환자 내의 IP-10의 혈청 수준이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전의 IP-10 혈청 수준과 비교하여 투여 후에 적어도 2배, 적어도 3배, 적어도 4배, 적어도 5배, 적어도 6배, 적어도 7배, 적어도 8배, 적어도 9배, 적어도 10배, 적어도 15배, 적어도 20배, 또는 적어도 30배 증가되는 것인 방법.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예비-컨디셔닝 작용제가 환자 내의 인터류킨 10 ("IL-10"), 인터류킨 5 ("IL-5"), 인터류킨 8 ("IL-8"), 가용성 세포간 부착 분자 1 ("sICAM-1"), 가용성 혈관 부착 분자 1 ("sVCAM-1"),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의 혈청 수준을 추가로 증가시키는 것인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환자 내의 IL-10의 혈청 수준이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전의 IL-10 혈청 수준과 비교하여 투여 후에 적어도 2배, 적어도 3배, 적어도 4배, 적어도 5배, 적어도 6배, 적어도 7배, 적어도 8배, 적어도 9배, 적어도 10배, 또는 적어도 20배 증가되는 것인 방법.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환자 내의 IL-5의 혈청 수준이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전의 IL-5 혈청 수준과 비교하여 투여 후에 적어도 2배, 적어도 3배, 적어도 4배, 적어도 5배, 적어도 6배, 적어도 7배, 적어도 8배, 적어도 9배, 적어도 10배, 적어도 15배, 적어도 20배, 적어도 30배, 적어도 40배, 적어도 50배, 적어도 60배, 적어도 70배, 적어도 80배, 적어도 90배, 또는 적어도 100배 증가되는 것인 방법.
  22. 제19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환자 내의 IL-8의 혈청 수준이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전의 IL-8 혈청 수준과 비교하여 투여 후에 적어도 2배, 적어도 5배, 적어도 10배, 적어도 15배, 적어도 20배, 적어도 25배, 적어도 30배, 적어도 35배, 적어도 40배, 적어도 45배, 적어도 50배, 적어도 60배, 적어도 70배, 적어도 80배, 적어도 90배, 또는 적어도 100배 증가되는 것인 방법.
  23. 제19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환자 내의 sICAM-1의 혈청 수준이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전의 sICAM-1 혈청 수준과 비교하여 투여 후에 적어도 1.5배, 적어도 2배, 적어도 3배, 적어도 4배, 적어도 5배, 적어도 6배, 적어도 7배, 적어도 8배, 적어도 9배, 적어도 10배, 적어도 15배, 적어도 20배, 적어도 25배, 또는 적어도 30배 증가되는 것인 방법.
  24. 제19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환자 내의 sVCAM-1의 혈청 수준이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전의 sVCAM-1 혈청 수준과 비교하여 투여 후에 적어도 1.5배, 적어도 2배, 적어도 2.5배, 적어도 3배, 적어도 3.5배, 적어도 4배, 적어도 4.5배, 또는 적어도 5배 증가되는 것인 방법.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가 알킬화제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알킬화제가 멜팔란, 클로람부실, 시클로포스파미드, 메클로레타민, 무스틴 (HN2), 우라무스틴, 우라실 머스타드, 멜팔란, 클로람부실, 이포스파미드, 벤다무스틴, 카르무스틴, 로무스틴, 스트렙토조신, 알킬 술포네이트, 부술판, 티오테파 또는 그의 유사체,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가 백금-기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인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백금-기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가 백금, 시스플라틴, 카르보플라틴, 네다플라틴, 옥살리플라틴, 사트라플라틴, 트리플라틴 테트라니트레이트, 프로카르바진, 알트레타민, 트리아젠, 다카르바진, 미토졸로미드, 테모졸로미드, 다카르바진, 테모졸로미드,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29.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가 시클로포스파미드인 방법.
  30. 제1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가 퓨린 유사체인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퓨린 유사체가 아자티오프린, 6-메르캅토퓨린, 메르캅토퓨린, 티오퓨린, 티오구아닌, 플루다라빈, 펜토스타틴, 클라드리빈,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32.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가 시클로포스파미드 및 퓨린 유사체인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퓨린 유사체가 아자티오프린, 6-메르캅토퓨린, 메르캅토퓨린, 티오퓨린, 티오구아닌, 플루다라빈, 펜토스타틴, 클라드리빈,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34. 제3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가 시클로포스파미드 및 펜토스타틴인 방법.
  35. 제3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가 시클로포스파미드 및 플루다라빈인 방법.
  36. 제32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유효량이 약 300 mg/㎡/일 내지 약 2000 mg/㎡/일인 방법.
  37. 제32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유효량이 300 mg/㎡/일 초과 및 2000 mg/㎡/일 미만인 방법.
  38. 제35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루다라빈의 유효량이 약 20 mg/㎡/일 내지 약 900 mg/㎡/일인 방법.
  39. 제35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루다라빈의 유효량이 30 mg/㎡/일 초과 및 900 mg/㎡/일 미만인 방법.
  40. 제32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유효량이 약 350 mg/㎡/일 - 약 2000 mg/㎡/일, 적어도 약 400 mg/㎡/일 - 약 2000 mg/㎡/일, 약 450 mg/㎡/일 - 약 2000 mg/㎡/일, 약 500 mg/㎡/일 - 약 2000 mg/㎡/일, 약 550 mg/㎡/일 - 약 2000 mg/㎡/일, 또는 약 600 mg/㎡/일 - 약 2000 mg/㎡/일인 방법.
  41. 제32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유효량이 약 350 mg/㎡/일 - 약 1500 mg/㎡/일, 약 350 mg/㎡/일 - 약 1000 mg/㎡/일, 약 400 mg/㎡/일 - 약 900 mg/㎡/일, 약 450 mg/㎡/일 - 약 800 mg/㎡/일, 약 450 mg/㎡/일 - 약 700 mg/㎡/일, 약 500 mg/㎡/일 - 약 600 mg/㎡/일, 또는 약 300 mg/㎡/일 - 약 500 mg/㎡/일인 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유효량이 약 350 mg/㎡/일, 약 400 mg/㎡/일, 약 450 mg/㎡/일, 약 500 mg/㎡/일, 약 550 mg/㎡/일, 약 600 mg/㎡/일, 약 650 mg/㎡/일, 약 700 mg/㎡/일, 약 800 mg/㎡/일, 약 900 mg/㎡/일, 또는 약 1000 mg/㎡/일인 방법.
  43. 제35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루다라빈의 유효량이 약 35 mg/㎡/일 - 약 900 mg/㎡/일, 약 40 mg/㎡/일 - 약 900 mg/㎡/일, 약 45 mg/㎡/일 - 약 900 mg/㎡/일, 약 50 mg/㎡/일 - 약 900 mg/㎡/일, 약 55 mg/㎡/일 - 약 900 mg/㎡/일, 또는 약 60 mg/㎡/일 - 약 900 mg/㎡/일인 방법.
  44. 제35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루다라빈의 유효량이 약 35 mg/㎡/일 - 약 900 mg/㎡/일, 약 35 mg/㎡/일 - 약 800 mg/㎡/일, 약 35 mg/㎡/일 - 약 700 mg/㎡/일, 약 35 mg/㎡/일 - 약 600 mg/㎡/일, 약 35 mg/㎡/일 - 약 500 mg/㎡/일, 약 35 mg/㎡/일 - 약 400 mg/㎡/일, 약 35 mg/㎡/일 - 약 300 mg/㎡/일, 약 35 mg/㎡/일 - 약 200 mg/㎡/일, 약 35 mg/㎡/일 - 약 100 mg/㎡/일, 약 40 mg/㎡/일 - 약 90 mg/㎡/일, 약 45 mg/㎡/일 - 약 80 mg/㎡/일, 약 45 mg/㎡/일 - 약 70 mg/㎡/일, 또는 약 50 mg/㎡/일 - 약 60 mg/㎡/일인 방법.
  45. 제44항에 있어서, 플루다라빈의 유효량이 약 35 mg/㎡/일, 약 40 mg/㎡/일, 약 45 mg/㎡/일, 약 50 mg/㎡/일, 약 55 mg/㎡/일, 약 60 mg/㎡/일, 약 65 mg/㎡/일, 약 70 mg/㎡/일, 약 75 mg/㎡/일, 약 80 mg/㎡/일, 약 85 mg/㎡/일, 약 90 mg/㎡/일, 약 95 mg/㎡/일, 약 100 mg/㎡/일, 약 200 mg/㎡/일, 또는 약 300 mg/㎡/일인 방법.
  46. 제35항에 있어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유효량이 약 500 mg/㎡/일이고, 플루다라빈의 유효량이 60 mg/㎡/일인 방법.
  47. 제1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가 적어도 1일, 적어도 2일, 적어도 3일, 적어도 4일, 적어도 5일, 적어도 6일, 또는 적어도 7일 동안 매일 투여되는 것인 방법.
  48. 제1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가 약 3일 동안 매일 투여되는 것인 방법.
  49. 제35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클로포스파미드가 플루다라빈 전에, 후에 또는 이와 동시에 투여되는 것인 방법.
  50. 제49항에 있어서, 시클로포스파미드가 플루다라빈 전에 투여되는 것인 방법.
  51. 제1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회 이상의 용량의 IL-2를 투여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52. 제51항에 있어서, IL-2의 각각의 용량이 적어도 약 10,000 IU/kg, 적어도 약 50,000 IU/kg, 적어도 약 100,000 IU/kg, 적어도 약 200,000 IU/kg, 적어도 약 400,000 IU/kg, 적어도 약 600,000 IU/kg, 적어도 약 700,000 IU/kg, 적어도 약 800,000 IU/kg, 또는 적어도 약 1,000,000 IU/kg인 방법.
  53. 제1항 내지 제5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 세포 요법이 종양-침윤 림프구 (TIL) 면역요법, 자가 세포 요법, 조작된 자가 세포 요법 (eACT), 동종이형 T 세포 이식,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54. 제1항 내지 제5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전에 환자로부터 혈액 세포를 수집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55. 제54항에 있어서, 키메라 항원 수용체 ("조작된 CAR 세포") 또는 T 세포 수용체 ("조작된 TCR 세포")를 발현하도록 혈액 세포를 조작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56. 제1항 내지 제5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 세포 요법이 조작된 CAR 세포 요법 또는 조작된 TCR 세포 요법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57. 제56항에 있어서, 조작된 CAR 세포 또는 조작된 TCR 세포 요법이 환자 내의 종양을 치료하는 것인 방법.
  58. 제1항 내지 제5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가 T 세포 요법의 투여로부터 적어도 7일, 적어도 6일, 적어도 5일, 적어도 4일, 적어도 3일, 적어도 2일, 또는 적어도 1일 전에 시작되는 것인 방법.
  59. 제58항에 있어서, 제1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가 T 세포 요법 투여로부터 약 7일 전에 시작되고, 제2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가 T 세포 요법 투여로부터 약 5일 전에 시작되는 것인 방법.
  60. 제58항에 있어서, 제1 예비-컨디셔닝 작용제가 T 세포 요법 투여로부터 약 7일 및 약 6일 전에 2일 동안 환자에게 투여되는 것인 방법.
  61. 제60항에 있어서, 제2 예비-컨디셔닝 작용제가 T 세포 요법 투여로부터 약 5일, 4일, 3일, 2일 및 1일 전에 5일 동안 환자에게 투여되는 것인 방법.
  62. 제1항 내지 제5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가 T 세포 요법 투여로부터 약 5일 전에 시작되는 것인 방법.
  63. 제62항에 있어서, 제1 예비-컨디셔닝 작용제가 T 세포 요법 투여로부터 약 5일, 4일 및 3일 전에 3일 동안 환자에게 투여되는 것인 방법.
  64. 제1항 내지 제6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가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가 없는 T 세포 요법의 항종양 효능과 비교하여 T 세포 요법의 개선된 항종양 효능을 유도하는 것인 방법.
  65. 제1항 내지 제6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및 T 세포 요법 후의 환자가 IL-15, IL-7, IL-10, IL-5, IP-10, IL-8, MCP-1, PLGF, CRP, sICAM-1, sVCAM-1, IL-1, IL-2, IL-3, IL-4, IL-6, IL-9, IL-11, IL-12, IL-13, IL-14, IL-15, IL-16, IL-17, IL-20, 과립구 대식세포 콜로니-자극 인자 (GM-CSF), 과립구 콜로니-자극 인자 (G-CSF), 혈관 내피 성장 인자 D (VEGF-D), 대식세포 염증 단백질 1β (MIP-1β), 백혈병 억제 인자 (LIF), 온코스타틴 M (OSM), 인터페론 (IFN) 알파, IFN-베타, IFN-감마, 종양 괴사 인자 (TNF) 알파, TNF-베타, CD154, 림포톡신 (LT) 베타, 4-1BB 리간드 (4-1BBL), 증식-유도 리간드 (APRIL), CD70, CD153, CD178, 글루코코르티코이드-유도 TNFR-관련 리간드 (GITRL), 종양 괴사 인자 슈퍼패밀리 구성원 14 (TNFSF14), OX40L, TNF- 및 ApoL-관련 백혈구-발현 리간드 1 (TALL-1), TNF-관련 아폽토시스-유도 리간드 (TRAIL), 케모카인 (C-C 모티프) 리간드 (CCL) 1, 대식세포 염증 단백질 1 알파 (MIP-1a 또는 CCL3), CCL5, 단핵구-특이적 케모카인 3 (MCP3 또는 CCL7), 단핵구 화학유인물질 단백질 2 (MCP-2 또는 CCL8), CCL13, 흉선 및 활성화 조절된 케모카인 (TARC 또는 CCL17), CCL22,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시토카인 또는 염증유발성 인자의 증가된 혈청 수준을 나타내는 것인 방법.
  66. 제1항 내지 제6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종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되는 것인 방법.
  67. 제66항에 있어서, 제1 예비-컨디셔닝 작용제가 제2 예비-컨디셔닝 작용제 전에 또는 후에 환자에게 투여되는 것인 방법.
  68. 제55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작된 CAR 세포가 키메라 항원 수용체를 발현하는 것인 방법.
  69. 제68항에 있어서, 키메라 항원 수용체가 종양 항원에 대한 결합 분자를 포함하는 방법.
  70. 제69항에 있어서, 결합 분자가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분자인 방법.
  71. 제70항에 있어서, 결합 분자가 scFv, Fab, Fab', Fv, F(ab')2, dAb,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항원 결합 분자인 방법.
  72. 제68항 내지 제7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키메라 항원 수용체가 힌지 영역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73. 제72항에 있어서, 힌지 영역이 IgG1, IgG2, IgG3, IgG4, IgA, IgD, IgE, IgM, CD28, 또는 CD8 알파의 것인 방법.
  74. 제73항에 있어서, 힌지 영역이 IgG4의 것인 방법.
  75. 제68항 내지 제7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키메라 항원 수용체가 막횡단 도메인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76. 제75항에 있어서, 막횡단 도메인이 CD28, CD8 알파, CD4, 또는 CD19로부터 유래된 막횡단 도메인인 방법.
  77. 제76항에 있어서, 막횡단 도메인 CD28 막횡단 도메인인 방법.
  78. 제68항 내지 제7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키메라 항원 수용체가 공동자극성 신호전달 영역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
  79. 제78항에 있어서, 공동자극성 신호전달 영역이 CD28, OX-40, 4-1BB, CD27, 유도성 T 세포 공동자극인자 (ICOS), CD3 감마, CD3 델타, CD3 엡실론, CD247, Ig 알파 (CD79a), 또는 Fc 감마 수용체로부터 유래된 신호전달 영역인 방법.
  80. 제79항에 있어서, 공동자극성 신호전달 영역이 CD28 신호전달 영역인 방법.
  81. 제68항 내지 제8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키메라 항원 수용체가 CD3 제타 신호전달 도메인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
  82. 제69항 내지 제8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종양 항원이 CD19, CD20, 제1형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유사 고아 수용체 ("ROR1"), CD22, 암배아 항원, 알파태아단백질, CA-125, 5T4, 뮤신 1 ("MUC-1"), 상피 종양 항원, 전립선-특이적 항원, 흑색종-연관 항원, 돌연변이된 p53, 돌연변이된 ras, HER2/Neu, 폴레이트 결합 단백질, HIV-1 외피 당단백질 gpl20, HIV-1 외피 당단백질 gp41, GD2, CD123, CD33, CD138, CD23, CD30, CD56, c-Met, 메소텔린, GD3, HERV-K, IL-llR 알파, 카파 사슬, 람다 사슬, 콘드로이틴 술페이트 프로테오글리칸 ("CSPG4"), ERBB2, EGFRvIII, VEGFR2, 조합된 HER2-HER3, 조합된 HER1-HER2,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83. 제68항 내지 제8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작된 CAR 세포가 종양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인 방법.
  84. 제55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작된 TCR 세포가 T 세포 수용체를 발현하는 것인 방법.
  85. 제84항에 있어서, T 세포 수용체가 종양 항원에 대한 결합 분자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86. 제85항에 있어서, 종양 항원이 CD19, CD20, ROR1, CD22, 암배아 항원, 알파태아단백질, CA-125, 5T4, MUC-1, 상피 종양 항원, 전립선-특이적 항원, 흑색종-연관 항원, 돌연변이된 p53, 돌연변이된 ras, HER2/Neu, 폴레이트 결합 단백질, HIV-1 외피 당단백질 gpl20, HIV-1 외피 당단백질 gp41, GD2, CD123, CD33, CD138, CD23, CD30, CD56, c-Met, 메소텔린, GD3, HERV-K, IL-llR알파, 카파 사슬, 람다 사슬, CSPG4, ERBB2, EGFRvIII, VEGFR2, 조합된 HER2-HER3, 조합된 HER1-HER2,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87. 제84항에 있어서, T 세포 수용체가 바이러스 종양유전자에 대한 결합 분자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88. 제87항에 있어서, 바이러스 종양유전자가 인간 유두종 바이러스 (HPV), 엡스타인-바르 바이러스 (EBV), 및 인간 T-림프친화성 바이러스 (HTLV)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89. 제84항에 있어서, T 세포 수용체가 고환, 태반 또는 태아 종양 항원에 대한 결합 분자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90. 제89항에 있어서, 고환, 태반, 또는 태아 암 항원이 NY-ESO-1, 윤활막 육종 X 중단점 2 (SSX2), 및 흑색종 항원 (MAGE)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91. 제84항에 있어서, T 세포 수용체가 계통 특이적 항원에 대한 결합 분자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92. 제91항에 있어서, 계통 특이적 항원이 T 세포가 인식하는 흑색종 항원 1 (MART-1), gp100, 전립선 특이적 항원 (PSA), 전립선 특이적 막 항원 (PSMA), 및 전립선 줄기 세포 항원 (PSCA)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93. 제55항 내지 제67항 및 제84항 내지 제9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작된 TCR 세포가 환자 내의 종양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인 방법.
  94. 제55항 내지 제9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작된 CAR 세포 또는 조작된 TCR 세포의 치료 유효량이 적어도 약 104개의 세포, 적어도 약 105개의 세포, 적어도 약 106개의 세포, 적어도 약 107개의 세포, 적어도 약 108개의 세포, 적어도 약 109개의 세포, 또는 적어도 약 1010개의 세포인 방법.
  95. 제55항 내지 제9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작된 CAR 세포의 치료 유효량이 약 104개의 세포, 약 105개의 세포, 약 106개의 세포, 약 107개의 세포, 약 108개의 세포, 약 109개의 세포, 또는 약 1010개의 세포인 방법.
  96. 제55항 내지 제9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작된 CAR 세포의 치료 유효량이 약 2 X 106개의 세포/kg, 약 3 X 106개의 세포/kg, 약 4 X 106개의 세포/kg, 약 5 X 106개의 세포/kg, 약 6 X 106개의 세포/kg, 약 7 X 106개의 세포/kg, 약 8 X 106개의 세포/kg, 약 9 X 106개의 세포/kg, 약 1 X 107개의 세포/kg, 약 2 X 107개의 세포/kg, 약 3 X 107개의 세포/kg, 약 4 X 107개의 세포/kg, 약 5 X 107개의 세포/kg, 약 6 X 107개의 세포/kg, 약 7 X 107개의 세포/kg, 약 8 X 107개의 세포/kg, 또는 약 9 X 107개의 세포/kg인 방법.
  97. 제83항 또는 제93항에 있어서, 종양이 골암, 췌장암, 피부암, 두경부암, 피부 또는 안구내 악성 흑색종, 자궁암, 난소암, 직장암, 항문부암, 위암, 고환암, 자궁암, 난관 암종, 자궁내막 암종, 자궁경부 암종, 질 암종, 외음부 암종, 호지킨병, 비-호지킨 림프종, 식도암, 소장암, 내분비계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부신암, 연조직 육종, 요도암, 음경암, 만성 또는 급성 백혈병, 급성 골수성 백혈병, 만성 골수성 백혈병, 급성 림프모구성 백혈병,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소아기 고형 종양, 림프구성 림프종, 방광암, 신장 또는 요관의 암, 신우 암종, 중추 신경계 (CNS)의 신생물, 원발성 CNS 림프종, 종양 혈관신생, 척수축 종양, 뇌간 교종, 뇌하수체 선종, 카포시 육종, 표피양암, 편평 세포암, T-세포 림프종, 석면에 의해 유발된 것들을 포함한 환경적으로 유발된 암, 및 상기 암들의 조합으로부터 유래되는 종양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98. 제69항 내지 제9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종양 항원이 CD19인 방법.
  99. 제98항에 있어서, 종양이 림프종 또는 백혈병인 방법.
  100. 제99항에 있어서, 림프종 또는 백혈병이 B-세포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소세포 림프종, B-세포 전림프구성 백혈병, 림프형질세포성 림프종 (예를 들어, 발덴스트룀 마크로글로불린혈증), 비장 변연부 림프종, 모발상 세포 백혈병, 형질 세포 신생물 (예를 들어, 형질 세포 골수종 (즉, 다발성 골수종), 또는 형질세포종), 림프절외 변연부 B 세포 림프종 (예를 들어, MALT 림프종), 림프절 변연부 B 세포 림프종, 여포성 림프종, 전환된 여포성 림프종, 원발성 피부 여포 중심 림프종, 외투 세포 림프종, 미만성 거대 B 세포 림프종 (DLBCL), 엡스타인-바르 바이러스-양성 DLBCL, 림프종성 육아종증, 원발성 종격동 (흉선) 거대 B-세포 림프종, 혈관내 거대 B-세포 림프종, ALK+ 거대 B-세포 림프종, 형질모세포성 림프종, 원발성 삼출 림프종, HHV8-연관 다중심성 캐슬만병에서 발생하는 거대 B-세포 림프종, 버킷 림프종/백혈병, T-세포 전림프구성 백혈병, T-세포 거대 과립 림프구 백혈병, 공격성 NK 세포 백혈병, 성인 T-세포 백혈병/림프종, 림프절외 NK/T-세포 림프종, 장병증-연관 T-세포 림프종, 간비장 T-세포 림프종, 모구성 NK 세포 림프종, 균상 식육종 / 세자리 증후군, 원발성 피부 역형성 거대 세포 림프종, 림프종성 구진증, 말초 T-세포 림프종, 혈관면역모구성 T 세포 림프종, 역형성 거대 세포 림프종, B-림프모구성 백혈병/림프종, 재발성 유전적 이상이 있는 B-림프모구성 백혈병/림프종, T-림프모구성 백혈병/림프종, 및 호지킨 림프종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101. 제1항 내지 제10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환자에게 염수 용액을 투여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02. 제101항에 있어서, 염수 용액이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전에 투여되는 것인 방법.
  103. 제1항 내지 제10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환자에게 메스나 (소듐 2-메르캅토에탄술포네이트)를 투여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04. 제103항에 있어서, 메스나가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전에 투여되는 것인 방법.
  105. 제35항에 있어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유효량이 약 200 mg/㎡/일인 방법.
  106. 제35항에 있어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유효량이 200 mg/㎡/일 내지 3000 mg/㎡/일이고, 시클로포스파미드 및 플루다라빈의 투여 후에 환자가 IL-7, IL-15, IL-10, IL-5, IP-10, IL-8, MCP-1, PLGF, CRP, sICAM-1, sVCAM-1,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의 증가된 혈청 수준, 또는 퍼포린 및/또는 MIP-1b의 감소된 혈청 수준을 나타내는 것인 방법.
  107. 제35항 내지 제39항, 제43항 내지 제45항, 제47항 내지 제104항 및 제10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유효량이 1000 mg/㎡/일 내지 2000 mg/㎡/일인 방법.
  108. 제35항 내지 제41항, 제43항 내지 제45항, 제47항 내지 제104항, 제106항 및 제10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유효량이 약 1110 mg/㎡/일인 방법.
  109. 제35항 내지 제39항, 제47항 내지 제104항, 제106항 및 제10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유효량이 약 300 mg/㎡/일인 방법.
  110. 제35항 내지 제41항, 제43항 내지 제45항, 제47항 내지 제104항, 제106항 및 제10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유효량이 약 30 mg/kg/일인 방법.
  111. 제35항 내지 제42항 및 제47항 내지 제1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루다라빈의 유효량이 약 20 mg/㎡/일인 방법.
  112. 제35항 내지 제42항 및 제47항 내지 제1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루다라빈의 유효량이 약 25 mg/㎡/일인 방법.
  113. 제35항 내지 제42항 및 제47항 내지 제1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루다라빈의 유효량이 약 30 mg/㎡/일인 방법.
  114. 제35항 내지 제39항 및 제47항 내지 제10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유효량이 약 200 mg/㎡/일이고, 플루다라빈의 유효량이 약 20 mg/㎡/일인 방법.
  115. 제35항 내지 제39항 및 제47항 내지 제10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유효량이 약 300 mg/㎡/일이고, 플루다라빈의 유효량이 약 30 mg/㎡/일인 방법.
  116. 제35항 내지 제39항 및 제47항 내지 제10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유효량이 약 300 mg/㎡/일이고, 플루다라빈의 유효량이 약 60 mg/㎡/일인 방법.
  117. 제35항 내지 제41항 및 제47항 내지 제10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유효량이 약 500 mg/㎡/일이고, 플루다라빈의 유효량이 약 30 mg/㎡/일인 방법.
  118. 제35항 내지 제41항, 제47항 내지 제104항 및 제10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유효량이 약 1110 mg/㎡/일이고, 플루다라빈의 유효량이 약 25 mg/㎡/일인 방법.
  119. 제106항에 있어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유효량이 약 2220 mg/㎡/일이고, 플루다라빈의 유효량이 약 25 mg/㎡/일이며, 시클로포스파미드 및 플루다라빈의 투여 후에 환자가 IL-7, IL-15, IL-10, IL-5, IP-10, IL-8, MCP-1, PLGF, CRP, sICAM-1, sVCAM-1,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의 증가된 혈청 수준, 또는 퍼포린 및/또는 MIP-1b의 감소된 혈청 수준을 나타내는 것인 방법.
  120. 제55항 내지 제93항 및 제97항 내지 제1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작된 CAR T 세포의 치료 유효량이 약 1.0 X 105개의 세포/kg 내지 약 2 x 108개의 세포/kg, 약 2.0 X 105개의 세포/kg 내지 약 2 x 108개의 세포/kg, 약 3.0 X 105개의 세포/kg 내지 약 2 x 108개의 세포/kg, 약 4.0 X 105개의 세포/kg 내지 약 2 x 108개의 세포/kg, 약 5.0 X 105개의 세포/kg 내지 약 2 x 108개의 세포/kg, 약 6.0 X 105개의 세포/kg 내지 약 2 x 108개의 세포/kg, 약 7.0 X 105개의 세포/kg 내지 약 2 x 108개의 세포/kg, 약 8.0 X 105개의 세포/kg 내지 약 2 x 108개의 세포/kg, 약 9.0 X 105개의 세포/kg 내지 약 2 x 108개의 세포/kg, 약 2 X 106개의 세포/kg 내지 약 9 X 107개의 세포/kg, 약 3 X 106개의 세포/kg 내지 약 9 X 107개의 세포/kg, 약 4 X 106개의 세포/kg 내지 약 9 X 107개의 세포/kg, 약 5 X 106개의 세포/kg 내지 약 9 X 107개의 세포/kg, 약 6 X 106개의 세포/kg 내지 약 9 X 107개의 세포/kg, 약 7 X 106개의 세포/kg 내지 약 9 X 107개의 세포/kg, 약 8 X 106개의 세포/kg 내지 약 9 X 107개의 세포/kg, 약 9 X 106개의 세포/kg 내지 약 9 X 107개의 세포/kg, 약 1 X 107개의 세포/kg 내지 약 9 X 107개의 세포/kg, 약 2 X 107개의 세포/kg 내지 약 9 X 107개의 세포/kg, 약 3 X 107개의 세포/kg 내지 약 9 X 107개의 세포/kg, 약 4 X 107개의 세포/kg 내지 약 9 X 107개의 세포/kg, 약 5 X 107개의 세포/kg 내지 약 9 X 107개의 세포/kg, 약 6 X 107개의 세포/kg 내지 약 9 X 107개의 세포/kg, 약 7 X 107개의 세포/kg 내지 약 9 X 107개의 세포/kg, 약 8 X 107개의 세포/kg 내지 약 9 X 107개의 세포/kg, 약 2 X 106개의 세포/kg 내지 약 8 X 107개의 세포/kg, 약 2 X 106개의 세포/kg 내지 약 7 X 107개의 세포/kg, 약 2 X 106개의 세포/kg 내지 약 6 X 107개의 세포/kg, 약 2 X 106개의 세포/kg 내지 약 5 X 107개의 세포/kg, 약 2 X 106개의 세포/kg 내지 약 4 X 107개의 세포/kg, 약 2 X 106개의 세포/kg 내지 약 3 X 107개의 세포/kg, 약 2 X 106개의 세포/kg 내지 약 2 X 107개의 세포/kg, 약 2 X 106개의 세포/kg 내지 약 1 X 107개의 세포/kg, 약 2 X 106개의 세포/kg 내지 약 9 X 106개의 세포/kg, 약 2 X 106개의 세포/kg 내지 약 8 X 106개의 세포/kg, 약 2 X 106개의 세포/kg 내지 약 7 X 106개의 세포/kg, 약 2 X 106개의 세포/kg 내지 약 6 X 106개의 세포/kg, 약 2 X 106개의 세포/kg 내지 약 5 X 106개의 세포/kg, 약 2 X 106개의 세포/kg 내지 약 4 X 106개의 세포/kg, 약 2 X 106개의 세포/kg 내지 약 3 X 106개의 세포/kg, 약 3 X 106개의 세포/kg 내지 약 8 X 107개의 세포/kg, 약 4 X 106개의 세포/kg 내지 약 7 X 107개의 세포/kg, 약 5 X 106개의 세포/kg 내지 약 6 X 107개의 세포/kg, 약 6 X 106개의 세포/kg 내지 약 5 X 107개의 세포/kg, 약 7 X 106개의 세포/kg 내지 약 4 X 107개의 세포/kg, 약 8 X 106개의 세포/kg 내지 약 3 X 107개의 세포/kg, 또는 약 9 X 106개의 세포/kg 내지 약 2 X 107개의 세포/kg인 방법.
  121. 대상체를 T 세포 요법에 준비시키는데 효과적인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용량을 확인하는 방법이며, (i) 환자에게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를 투여하는 단계, (ii) IL-7, IL-15, IL-10, IL-5, IP-10, IL-8, MCP-1, PLGF, CRP, sICAM-1, sVCAM-1, 퍼포린, MIP-1b,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의 혈청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iii)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후, 대상체가 IL-7, IL-15, IL-10, IL-5, IP-10, IL-8, MCP-1, PLGF, CRP, sICAM-1, sVCAM-1,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예를 들어, IL-15, IP-10, 및/또는 IL-7의 증가된 혈청 수준, 및/또는 퍼포린 및/또는 MIP-1b의 감소된 혈청 수준을 나타내는 경우에,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를 대상체를 T 세포 요법에 준비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특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2. 대상체를 T 세포 요법에 준비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방법이며, (i) 환자에게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를 투여하는 단계, (ii) IL-7, IL-15, IL-10, IL-5, IP-10, IL-8, MCP-1, PLGF, CRP, sICAM-1, sVCAM-1, 퍼포린, MIP-1b,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의 혈청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iii)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의 투여 후, 대상체가 IL-7, IL-15, IL-10, IL-5, IP-10, IL-8, MCP-1, PLGF, CRP, sICAM-1, sVCAM-1,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예를 들어, IL-15, IP-10, 및/또는 IL-7의 증가된 혈청 수준, 및/또는 퍼포린 및/또는 MIP-1b의 감소된 혈청 수준을 나타내는 경우에, 하나 이상의 예비-컨디셔닝 작용제를 대상체를 T 세포 요법에 준비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특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27045189A 2015-05-28 2016-05-27 T 세포 요법을 위한 진단 방법 KR202300054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34799A KR20230148387A (ko) 2015-05-28 2016-05-27 T 세포 요법을 위한 진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67738P 2015-05-28 2015-05-28
US62/167,738 2015-05-28
US201562262111P 2015-12-02 2015-12-02
US62/262,111 2015-12-02
PCT/US2016/034885 WO2016191755A1 (en) 2015-05-28 2016-05-27 Diagnostic methods for t cell therapy
KR1020177037018A KR102481922B1 (ko) 2015-05-28 2016-05-27 T 세포 요법을 위한 진단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7018A Division KR102481922B1 (ko) 2015-05-28 2016-05-27 T 세포 요법을 위한 진단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4799A Division KR20230148387A (ko) 2015-05-28 2016-05-27 T 세포 요법을 위한 진단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5428A true KR20230005428A (ko) 2023-01-09

Family

ID=5739349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4799A KR20230148387A (ko) 2015-05-28 2016-05-27 T 세포 요법을 위한 진단 방법
KR1020227045189A KR20230005428A (ko) 2015-05-28 2016-05-27 T 세포 요법을 위한 진단 방법
KR1020177037018A KR102481922B1 (ko) 2015-05-28 2016-05-27 T 세포 요법을 위한 진단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4799A KR20230148387A (ko) 2015-05-28 2016-05-27 T 세포 요법을 위한 진단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7018A KR102481922B1 (ko) 2015-05-28 2016-05-27 T 세포 요법을 위한 진단 방법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2) US11779601B2 (ko)
EP (2) EP4218778A3 (ko)
JP (3) JP6917903B2 (ko)
KR (3) KR20230148387A (ko)
CN (2) CN114452395A (ko)
AU (2) AU2016268863B2 (ko)
BR (2) BR122023022076A2 (ko)
CA (1) CA2986793A1 (ko)
CL (1) CL2017003005A1 (ko)
DO (1) DOP2017000272A (ko)
EA (1) EA201792642A1 (ko)
ES (1) ES2944962T3 (ko)
HK (2) HK1246150A1 (ko)
IL (2) IL255888B2 (ko)
MA (1) MA45281A (ko)
MX (2) MX2017015190A (ko)
PH (1) PH12017502153A1 (ko)
PL (1) PL3302507T3 (ko)
PT (1) PT3302507T (ko)
SG (2) SG10201913620QA (ko)
SI (1) SI3302507T1 (ko)
WO (1) WO20161917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48544A4 (en) 2013-01-28 2016-08-03 St Jude Childrens Res Hospital CHIMERIC RECEPTOR WITH NKG2D SPECIFICITY FOR CELL THERAPY AGAINST CANCER AND INFECTION DISEASES
US10428305B2 (en) 2014-05-15 2019-10-01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Modified natural killer cells that express IL15 and uses thereof
JP7197979B2 (ja) 2015-05-28 2022-12-28 カイト ファーマ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T細胞療法のために患者をコンディショニングする方法
BR122023022076A2 (pt) 2015-05-28 2024-01-16 Kite Pharma, Inc. Agente pré-condicionantes, seus usos e métodos para identificar uma dose de um ou mais agentes de pré-condicionamento e para verificar a eficácia dos mesmos
CA3056591A1 (en) 2017-03-27 2018-10-04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Stimulatory cell lines for ex vivo expansion and activation of natural killer cells
CA3056439A1 (en) 2017-03-27 2018-10-04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Truncated nkg2d chimeric receptors and uses thereof in natural killer cell immunotherapy
WO2018187332A1 (en) 2017-04-03 2018-10-11 Kite Pharma, Inc. Treatment using chimeric receptor t cells incorporating optimized polyfunctional t cells
AU2018275894A1 (en) 2017-06-02 2019-12-12 Juno Therapeutics, Inc. Articles of manufacture and methods for treatment using adoptive cell therapy
JP6630026B1 (ja) * 2018-04-27 2020-01-15 隆代 大田 免疫チェックポイント阻害剤によるがん治療の効果を評価するためのバイオマーカー
WO2019232510A1 (en) * 2018-06-01 2019-12-05 Kite Pharma, Inc. Chimeric antigen receptor t cell therapy
US20210155941A1 (en) 2018-06-22 2021-05-27 Kite Pharma Eu B.V.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aking engineered t cells
CN109207430A (zh) * 2018-09-25 2019-01-15 华东师范大学 一种嵌合抗原受体nk细胞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20180882A1 (en) 2019-03-05 2020-09-10 Nkarta, Inc. Cd19-directed chimeric antigen receptors and uses thereof in immunotherapy
GB201911066D0 (en) 2019-08-02 2019-09-18 Achilles Therapeutics Ltd T cell therapy
WO2021151008A1 (en) * 2020-01-24 2021-07-29 Juno Therapuetics, Inc. Methods for dosing and treatment of follicular lymphoma and marginal zone lymphoma in adoptive cell therapy
EP4142746A1 (en) 2020-04-28 2023-03-08 Achilles Therapeutics UK Limited T cell therapy
JP2023552773A (ja) * 2020-12-04 2023-12-19 セルジーン コーポレーション 炎症関連可溶性因子の阻害剤と組み合わせたキメラ抗原受容体(car)t細胞療法の使用
US20220323500A1 (en) 2021-04-09 2022-10-13 Achilles Therapeutics Uk Limited Cancer immunotherapy
GB202109886D0 (en) 2021-07-08 2021-08-25 Achilles Therapeutics Uk Ltd Assay
AU2022299605A1 (en) 2021-06-22 2024-01-04 Achilles Therapeutics Uk Limited A method for producing antigen-specific t cells
US20230392119A1 (en) 2022-05-27 2023-12-07 Kite Pharma,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eparing engineered lymphocytes for cell therapy
US20240148790A1 (en) 2022-10-28 2024-05-09 Kite Pharma, Inc. Expedited administration of engineered lymphocytes
WO2024092227A1 (en) 2022-10-28 2024-05-02 Kite Pharma, Inc. Factors for optimizing immunotherapy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8388A (en) 1989-10-03 1998-03-17 Terman; David S. Method of cancer treatment
US5595756A (en) * 1993-12-22 1997-01-21 Inex Pharmaceuticals Corporation Liposomal compositions for enhanced retention of bioactive agents
US6406699B1 (en) 1999-10-05 2002-06-18 Gary W. Wood Composition and method of cancer antigen immunotherapy
US20030031652A1 (en) 2001-04-16 2003-02-13 Bernhard Hering Systems and methods for inducing mixed chimerism
US7718196B2 (en) 2001-07-02 2010-05-1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Rapamycin-resistant T cells and therapeutic uses thereof
US8034334B2 (en) 2002-09-06 2011-10-1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Immunotherapy with in vitro-selected antigen-specific lymphocytes after non-myeloablative lymphodepleting chemotherapy
GB0700058D0 (en) 2007-01-03 2007-02-07 Scancell Aps Anti-tumor vaccine based on normal cells
CN103038343A (zh) * 2010-03-23 2013-04-10 英特瑞克斯顿股份有限公司 条件表达治疗蛋白的载体,包含所述载体的宿主细胞,及其应用
CN106220739A (zh) 2010-12-09 2016-12-14 宾夕法尼亚大学董事会 嵌合抗原受体‑修饰的t细胞治疗癌症的用途
BR112013018311A2 (pt) 2011-01-18 2017-03-21 Univ Pennsylvania sequência de ácido nucleico isolada, receptor de antígeno quimérico isolado, célula t geneticamente modificada, vetor, e, uso de uma célula t geneticamente modificada.
EP2532740A1 (en) 2011-06-11 2012-12-12 Michael Schmück Antigen-specific CD4+ and CD8+ central-memory T cell preparations for adoptive T cell therapy
MX2014003176A (es) 2011-09-16 2015-08-05 Univ Pennsylvania Celulas t diseñadas mediante arn para el tratamiento de cancer.
ES2607148T3 (es) 2012-05-08 2017-03-29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Métodos y composiciones para infusión de poblaciones seleccionadas de linfocitos alogénicos con prendimiento transitorio para tratar cáncer
US10117896B2 (en) 2012-10-05 2018-11-06 The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Use of a trans-signaling approach in chimeric antigen receptors
WO2014204762A1 (en) * 2013-06-19 2014-12-24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In vivo targeting of cells with ligand-conjugated particles
KR20160093012A (ko) 2013-11-05 2016-08-05 코그네이트 바이오서비시즈, 인코포레이티드 암 치료를 위한 체크포인트 억제제 및 치료제의 배합물
JP7197979B2 (ja) 2015-05-28 2022-12-28 カイト ファーマ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T細胞療法のために患者をコンディショニングする方法
BR122023022076A2 (pt) 2015-05-28 2024-01-16 Kite Pharma, Inc. Agente pré-condicionantes, seus usos e métodos para identificar uma dose de um ou mais agentes de pré-condicionamento e para verificar a eficácia dos mesmos
TW202313671A (zh) 2016-04-01 2023-04-01 美商凱特製藥公司 嵌合抗原和t細胞受體及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3302507T3 (pl) 2023-08-28
AU2022231653A1 (en) 2022-10-06
JP2023123716A (ja) 2023-09-05
ES2944962T3 (es) 2023-06-27
JP6917903B2 (ja) 2021-08-11
CA2986793A1 (en) 2016-12-01
US11779601B2 (en) 2023-10-10
EP4218778A3 (en) 2023-08-23
HK1246150A1 (zh) 2018-09-07
JP2021121625A (ja) 2021-08-26
US20240082307A1 (en) 2024-03-14
EP3302507A1 (en) 2018-04-11
KR20230148387A (ko) 2023-10-24
IL284172A (en) 2021-08-31
DOP2017000272A (es) 2018-02-15
KR102481922B1 (ko) 2022-12-28
EP3302507B1 (en) 2023-02-22
JP7305704B2 (ja) 2023-07-10
MX2017015190A (es) 2018-07-06
IL255888B (en) 2022-11-01
BR122023022076A2 (pt) 2024-01-16
CN114452395A (zh) 2022-05-10
SG10201913623PA (en) 2020-03-30
MA45281A (fr) 2018-04-11
EP3302507A4 (en) 2019-01-09
SI3302507T1 (sl) 2023-10-30
US20180344767A1 (en) 2018-12-06
SG10201913620QA (en) 2020-03-30
MX2021014047A (es) 2021-12-10
WO2016191755A1 (en) 2016-12-01
PH12017502153A1 (en) 2018-05-28
EP4218778A2 (en) 2023-08-02
HK1251960A1 (zh) 2019-05-03
EA201792642A1 (ru) 2018-10-31
CL2017003005A1 (es) 2018-05-11
JP2018516919A (ja) 2018-06-28
AU2016268863B2 (en) 2022-06-23
AU2016268863A1 (en) 2017-12-07
CN107921064A (zh) 2018-04-17
BR112017025120A2 (pt) 2018-08-07
IL255888B2 (en) 2023-03-01
IL255888A (en) 2018-01-31
PT3302507T (pt) 2023-05-23
KR20180011251A (ko) 2018-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1922B1 (ko) T 세포 요법을 위한 진단 방법
JP7238030B2 (ja) T細胞療法のために患者をコンディショニングする方法
OA19260A (en) Diagnostic Methods for T Cell Therapy.
OA18685A (en) Methods of Conditioning Patients for T Cell Therap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