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5217A - 주사용 주사기 - Google Patents

주사용 주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5217A
KR20230005217A KR1020227039895A KR20227039895A KR20230005217A KR 20230005217 A KR20230005217 A KR 20230005217A KR 1020227039895 A KR1020227039895 A KR 1020227039895A KR 20227039895 A KR20227039895 A KR 20227039895A KR 20230005217 A KR20230005217 A KR 20230005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ringe
product
syringe barrel
fluid communication
inlet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9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파벨 코롤릭
알렉산더 리베르존
인나 코건
Original Assignee
시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너지 filed Critical 시너지
Publication of KR20230005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52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36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with means for eliminating or preventing injection or infusion of air into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19Syringes having more than one chamber, e.g. including a manifold coupling two parallelly aligned syringes through separate channels to a common discharge assemb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29Syringe barr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76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 A61M5/31578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based on axial translation, i.e. components directly operatively associated and axially moved with plunger rod
    • A61M5/3158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based on axial translation, i.e. components directly operatively associated and axially moved with plunger rod performed by axially moving actuator operated by user, e.g. an injection butt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4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4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 A61M5/344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using additional parts, e.g. clamping rings or collets
    • A61M5/345Adaptors positioned between needle hub and syringe nozz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28Incorporating one-way valves, e.g. pressure-relief or non-retur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4Check- or non-return valves
    • A61M2039/2433Valve comprising a resilient or deformable element, e.g. flap valve, deformable dis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4Check- or non-return valves
    • A61M2039/2433Valve comprising a resilient or deformable element, e.g. flap valve, deformable disc
    • A61M2039/244Hinged closure member, e.g. flap val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20Blood composition characteris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20Blood composition characteristics
    • A61M2230/201Glucose concen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4Check- or non-retur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5/2066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comprising means for injection of two or more media, e.g. by mix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Pulmon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주사 가능 제품(F1)을 개인의 신체 주사 부위에 주사하기 위한 주사용 주사기(S)로서, - 상기 제1 주사 가능 제품(F1)을 포함하는 제1 주사기 배럴(101)로서, 제1 플런저(110)는 상기 제1 주사기 배럴(101) 내에 변위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기 제1 주사기 배럴; - 상기 신체 주사 부위에 삽입되기에 적합한 중공 바늘(200); - 상기 제1 주사기 배럴(101)과 상기 바늘(200)에 연결되는 어댑터(600)를 포함하고, 상기 주사용 주사기(S)는, 상기 제1 주사 가능 제품(F1)을 주사할 때 상기 중공 바늘(200)이 혈관으로 도입되지 않는 것을 보장할 수 있도록 확인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인 디바이스는, - 제2 제품(F2)을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600)에 연결되는 제2 주사기 배럴(301); 및 - 상기 제2 주사기 배럴(301) 내에 변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플런저(310)로서, 상기 제2 플런저는, 흡인되는 유체가 혈액이고 상기 중공 바늘(200)이 혈관에 도입된 경우, 상기 중공 바늘(200)의 원위 단부에 강하를 야기하여, 체액 샘플이 상기 중공 바늘(200)과 상기 어댑터(600)를 통해 상기 제2 주사기 배럴(301) 내로 흡인되어 상기 제2 주사기 배럴(301)에 포함된 제2 제품(F2)과 혼합되어 붉은 색을 나타내도록 하는, 상기 제2 플런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주사용 주사기
본 발명의 주제는 제품을 개인의 신체 주사 부위에 안전하게 주사할 수 있는 주사기이다.
본 발명은 특히 의료, 피부과 또는 미용 분야에서 사용되는 주사 시스템 및 장치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피부과 또는 미용 분야에서는 피부 필러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제품은 일반적으로 주사기를 사용하여 피하 지방 패드 내부 또는 위 상위골막에 주사하여 투여된다. 이러한 주사는 피부 붕괴 및/또는 필러 주름을 해결하기 위해 피부과 의사와 성형외과 의사가 수행하는 가장 일반적인 최소 침습 시술 중 하나이다.
필러의 투여는 때때로 부기, 괴사 또는 아나필락시스와 같은 부작용으로 인해 복잡하다. 또한 문헌에 보고된 중요한 치명적인 합병증, 예를 들어, 시각 장애, 피부 괴사 또는 실명 등이 존재한다.
가장 큰 위험은 혈관 내 주사로부터 온다. 안전한 주사를 위한 일반적인 규칙은 안전상의 이유로 주사 전에 혈액을 흡인하는 것이다. 특히, 주사할 제품으로 바늘을 프라이밍(priming)(또는 퍼지(purging))함으로써 사전에 주사기로부터 공기를 제거한다. 바늘이 개인의 피부에 삽입되면 시술자는 체액 샘플을 흡인하기 위해 플런저 후퇴 운동을 수행한다(이하 생체 내 흡인이라 함). 그런 다음 시술자는 흡인된 샘플에 혈액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한다. 만약 그런 경우 제품은 위에서 설명한 위험과 함께 혈관에 주사된다. 이 경우에, 주사 부위를 수정해야 한다.
필러 주사에 사용되는 바늘(일반적으로 29G 또는 31G 게이지 바늘)로 혈액을 흡인하는 것은 사용되는 필러의 높은 동적 점도로 인해 비실용적이다. 따라서, 시술자가 단순히 체액 샘플의 사전 흡인을 수행할 수 없어 바늘이 혈관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주사될 활성 제품에 의해 바늘에 포함된 공기를 퍼지하면 상기 제품이 부분적으로 손실된다. 그러나, 이러한 제품은 일반적으로 고가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태를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하기 목적, 즉
-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주사를 가능하게 하는 것,
- 활성 제품을 주사하기 전에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생체 내 흡인을 보장하는 것,
- 주사할 활성 제품의 손실을 줄이는 것,
- 단순한 디자인, 저렴한 제조, 신뢰성 있고 사용하기 쉬운 주사기를 제안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달성할 수 있는 주사용 주사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솔루션은 제1 주사 가능 제품을 개인의 신체 주사 부위에 주사하기 위한 주사용 주사기로서,
- 제1 주사 가능 제품을 포함하는 제1 주사기 배럴(syringe barrel)로서, 제1 플런저는 상기 제1 주사기 배럴 내에 변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주사기 배럴;
- 상기 신체 주사 부위에 도입되기에 적합한 중공 바늘(hollow needle); 및
- 상기 제1 주사기 배럴과 상기 바늘에 연결되는 어댑터(adapter)를 포함한다.
주사용 주사기는, 제1 주사 가능 제품을 주사할 때 상기 중공 바늘이 혈관으로 도입되지 않는 것을 보장할 수 있도록 확인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인 디바이스는,
- 제2 제품을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에 연결되는 제2 주사기 배럴; 및
- 상기 제2 주사기 배럴 내에 변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플런저로서, 제2 플런저는, 상기 중공 바늘이 혈관에 도입되고 흡인되는 유체가 혈액인 경우, 상기 중공 바늘의 원위 단부에 강하(depression)를 야기하여, 체액 샘플이 상기 중공 바늘과 상기 어댑터를 통해 상기 제2 주사기 배럴 내로 흡인되어 상기 제2 주사기 배럴에 포함된 제2 제품과 혼합되어 붉은 색을 나타내도록 하는, 제2 플런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주사용 주사기는 제1 주사 가능 제품의 주사 전에 중공 바늘이 주사 부위에 존재하는 혈관(예를 들어, 동맥, 정맥, 모세혈관)에 삽입되지 않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유리한 가능성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피부 필러, 국소 마취제 또는 혈관 내 주사를 피해야 하는 기타 제품과 같은 특정 주사 가능 제품이 우발적으로 혈관 내로 주사되는 위험을 피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주사기 배럴이 있는 주사기를 사용하면 활성 제품의 주사가 혈관 내 주사가 되지 않도록 (제2 주사기 배럴을 조작하여) 생체 내 흡인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동일한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그리고 동일한 바늘을 통해 (제1 주사기 배럴을 조작하여) 활성 제품을 완전히 안전하게 주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제인 방법의 다른 유리한 특성은 아래에 나열되어 있다. 이러한 특성 각각은 단독으로 또는 위에서 한정된 현저한 특성과 조합하여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특성은 적용 가능한 경우 상세한 설명에 추가로 한정된 특정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하고, 위에 한정된 현저한 특성은 이 해결에 반드시 기여하는 것은 아니다. 후자는 적용 가능한 경우 하나 이상의 분할 특허 출원의 대상이 될 수 있다:
- 유리하게는, 어댑터는,
- 제1 주사기 배럴과 유체 연통하는 제1 입구 포트,
- 제2 주사기 배럴과 유체 연통하는 제2 입구 포트,
- 바늘과 유체 연통하는 출구 포트,
- 제1 입구 포트, 제2 입구 포트 및 출구 포트를 유체 연통하도록 배치하기에 적합한 도관,
- 도관과 협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셔터로서, 셔터는 제1 입구 포트와 출구 포트 사이의 유체 연통 및/또는 제2 입구 포트와 출구 포트 사이의 유체 연통을 교대로 허용하거나 방지하도록 구성된, 셔터를 포함한다.
-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관은 적어도 하나의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벽을 포함하고, 셔터는 상기 도관을 국부적으로 폐색(occlude)하도록 상기 변형 가능한 벽을 납작하게 하는 데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가압 부재의 형태이다.
-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일 가압 부재는 - 제1 입구 포트와 출구 포트 사이의 유체 연통을 방지하기 위해 제1 구역에서; 그리고 제2 입구 포트와 출구 포트 사이의 유체 연통을 방지하기 위해 제2 구역에서 변형 가능한 벽을 납작하게 하는 데 적합하다.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액추에이터는 제1 구역과 제2 구역 사이에서 가압 부재를 변위시킨다.
- 일 실시예에 따르면, - 제1 가압 부재는 제1 입구 포트와 출구 포트 사이의 유체 연통을 방지하기 위해 제1 구역에서 도관의 변형 가능한 벽을 납작하게 하는 데 적합하고, - 제2 가압 부재는 제2 입구 포트와 출구 포트 사이의 유체 연통을 방지하기 위해 제2 구역에서 도관의 변형 가능한 벽을 납작하게 하는 데 적합하다.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셔터는 제1 입구 포트와 출구 포트 사이의 유체 연통을 허용하는 개방된 위치와, 상기 제1 입구 포트와 상기 출구 포트 사이의 유체 연통을 방지하는 폐쇄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플랩 형태이다.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셔터는 제2 입구 포트와 출구 포트 사이의 유체 연통을 허용하는 개방된 위치와, 상기 제2 입구 포트와 상기 출구 포트 사이의 유체 연통을 방지하는 폐쇄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플랩 형태이다.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플런저와 제2 플런저는 전동 구동 수단에 의해 구동된다.
-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혈액 검출기는 어댑터 및/또는 제1 주사기 배럴 및/또는 제2 주사기 배럴에 설치된다.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입구 포트와 출구 포트 사이의 유체 연통은 - 제1 플런저가 제1 주사기 배럴로 밀리고, - 셔터가 제2 입구 포트와 출구 포트 사이의 유체 연통을 방지할 때 바늘을 통해 주사 부위로 제1 제품의 주사를 허용하는 데 적합하다.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입구 포트와 출구 포트 사이의 유체 연통은 - 제2 플런저가 제2 주사기 배럴로 밀리고, - 셔터가 제1 입구 포트와 출구 포트 사이의 유체 연통을 방지할 때 바늘을 통해 제2 제품의 주사를 허용하는 데 적합하다.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입구 포트와 출구 포트 사이의 유체 연통은 - 주위 압력과 온도에서, 제2 제품이 10-3 N.m-2.s 내지 10-2 N.m-2.s의 동적 점도를 갖고, - 제2 플런저가 제2 주사기 배럴로 당겨질 때 바늘을 통해 주사 부위의 체액 샘플의 흡인을 허용하는 데 적합하다.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입구 포트와 출구 포트 사이의 유체 연통은, - 제2 플런저가 제2 주사기 배럴로 당겨지고, - 셔터가 제1 입구 포트와 출구 포트 사이의 유체 연통을 방지할 때, 바늘을 통해 주사 부위의 체액 샘플의 흡인을 허용하는 데 적합하다.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위 압력과 온도에서, 제2 제품은 제1 제품보다 낮은 동적 점도를 갖는다.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제품은 주사 가능 용액 형태의 피부 필러이거나 또는 주사 가능 용액 형태의 의약품이다.
-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부 필러는 히알루론산, 콜라겐, 폴리락트산, 폴리아크릴아마이드 겔, 칼슘 수산화인회석, 수성 겔 담체에 현탁된 칼슘 수산화인회석 미소구체, 인산삼칼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미소구체, 덱스트란 비드, 비-동물 기원의 하이란 겔에 현탁된 덱스트란 비드, 소 콜라겐으로 가용화된 엘라스틴 펩타이드, 실리콘, 폴리-L-락트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팽창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PTFE)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부 필러는 보툴리눔 독소, 국소 마취제, 국소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또는 항생제, 아미노산, 항산화제와 같은 생물학적 활성제를 하나 이상 포함한다.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사 가능 의약품은 보툴리늄 독소, 국소 마취제, 국소 코르티코스테로이드, 항생제, 아미노산, 항산화제, 불투명화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물학적 활성제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제품은 생리학적 액체 식염수 용액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은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인 예로서 만들어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을 읽으면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의 개략적인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주사기의 분해도이다.
도 4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단면도로서, 셔터가 폐쇄된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한다.
도 4b는 도 4a의 어댑터를 도시하고, 셔터가 개방된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한다.
도 5a는 하나의 구성에서 도 4a 및 도 4b의 어댑터에서 주사기의 두 제품의 분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b는 다른 구성에서 도 4a 및 도 4b의 어댑터에서 주사기의 두 제품의 분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c는 다른 구성에서 도 4a 및 도 4b의 어댑터에서 주사기의 두 제품의 분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d는 다른 구성에서 도 4a 및 4b의 어댑터에서 주사기의 두 제품의 분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a는 하나의 구성에서 제2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에서 주사기의 두 제품의 분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b는 다른 구성에서 도 6a의 어댑터에서 주사기의 두 제품의 분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a는 하나의 구성에서 제3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에서 주사기의 두 제품의 분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b는 다른 구성에서 도 7a의 어댑터에서 주사기의 두 제품의 분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a는 하나의 구성에서 제4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에서 주사기의 두 제품의 분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b는 다른 구성에서 도 8a의 어댑터에서 주사기의 두 제품의 분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a는 하나의 구성에서 제5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에서 주사기의 두 제품의 분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b는 다른 구성에서 도 9a의 어댑터에서 주사기의 두 제품의 분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초기 사용 구성에 따른 주사기를 도시한다.
도 10b는 도 10a의 주사기로서, 제2 사용 구성에 따른 주사기를 도시한다.
도 11a는 제6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단면 사시도로서, 셔터는 어댑터의 3개의 유체 연통 채널 사이의 교차점에 배치된 공동 내에 수용된 것을 도시한다.
도 11b는 하나의 구성에서 도 11a의 어댑터에서 주사기의 두 제품의 분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c는 다른 구성에서 도 11a의 어댑터에서 주사기의 두 제품의 분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명확성을 위해,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객체를 설명하기 위해 '제1', '제2' 등의 서수 형용사를 사용하는 것은 단순히 유사한 객체의 다른 발생이 언급됨을 나타내며, 그렇게 설명된 객체가 시간, 공간, 분류 등에 관계없이 주어진 순서대로 있어야 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유사하게, "근위/원위", "상위/하위", 우측/좌측", "전방/후방" 등의 형용사를 사용하면 첨부된 도면의 구성에서 객체의 위치를 간단히 설명할 수 있으나, 실제로 유사한 객체가 동일한 위치에 있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주제인 주사기는 생체 내 흡인의 이전 단계 및 활성 제품, 예를 들어, 피부 필러를 개인의 신체 주사 부위에 주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치료적, 피부 또는 미용 치료의 구현에 특히 적합하다. 이러한 치료를 실행하는 것은 생체 내 흡인이 주사 부위에 주사된 활성 제품보다 낮은 점성의 유체로 수행될 때 특히 효과적이다.
그러나 주사기는, 예를 들어, 혈관 수술, 정맥 요법, 국소 통증 치료, 경막내 또는 경막외 주사 등의 경우 유사한 동적 점도를 갖고/갖거나 요법 치료의 범위 내에 있는 제품을 특히 주사 가능 의약품을 안전하게 주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서, 주사기(S)는 각각 2개의 주사기 배럴(101 및 301)을 포함한다. 각각의 주사기 배럴은 바람직하게는 원통형 형상이고, 그 내부 벽은 예를 들어 1mL 내지 20mL의 용량을 갖는 챔버(102, 302)를 형성한다. 주사기 배럴(101 및 301)은 상이한 유형 및/또는 크기일 수 있다. 각각의 주사기 배럴(101, 301)은 제품이 챔버(102, 302) 밖으로 흐르는 근위 단부(105, 305)(또는 배출 팁), 및 상기 근위 단부 반대쪽에 원위 단부(103, 303)를 갖는다. 주사기 배럴(101, 301)은 플라스틱, 강철, 유리 또는 당업자에게 적합한 임의의 다른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두 주사기 배럴(101, 301)은 자유롭게 남겨두거나(도 1, 도 10a, 도 10b) 배럴을 보호하는 커버(500) 내에 설치될 수 있다(도 2 및 도 3). 주사기 배럴(101, 301) 앞의 커버(500)의 적어도 일부는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제품(F1 및 F2)의 잔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유리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투명한 재료로 제조된다.
제1 주사기 배럴(101)(보다 구체적으로 그 챔버(102))은 제1 주사 가능 제품(F1)을 포함하도록 의도되고, 제2 주사기 배럴(301)(보다 구체적으로 그 챔버(302))은 제2 제품(F2)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주사기(S)를 사용하기 전에, 2개의 주사기 배럴(101, 301)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적절한 방법에 따라 각각의 제품(F1, F2)으로 미리 채워진다.
피부 또는 미용 용도의 경우, 제1 제품(F1)은 우선적으로 주사 가능 용액(액체, 겔, 현탁 입자) 형태의 피부 필러이다. 이 제품(F1)은 히알루론산, 콜라겐, 폴리락트산, 폴리아크릴아마이드 겔, 칼슘 수산화인회석, 수성 겔 담체에 현탁된 칼슘 수산화인회석 미소구체, 인산삼칼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미소구체, 덱스트란 비드, 비동물성 하이란 겔에 현탁된 덱스트란 비드, 소 콜라겐으로 가용화된 엘라스틴 펩타이드, 실리콘, 폴리-L-락트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팽창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PTFE)으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 제품은 또한 보툴리늄 독소, 국소 마취제, 국소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또는 항생제, 아미노산, 항산화제와 같은 생물학적 활성제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치료적 적용을 위해, 제1 제품(F1)은 주사 가능 액체 용액(액체, 현탁 입자) 형태의 의약품일 수 있다. 이 주사 가능 의약품은 보툴리눔 독소, 국소 마취제, 국소 코르티코스테로이드, 항생제, 아미노산, 항산화제, 불투명화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물학적 활성제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2 제품(F2)은 바람직하게는 중성 주사 가능 제품(즉, 피부과, 미용 또는 치료적 관점에서 개인에게 알려진 영향이 없는 것), 특히 생리학적 액체 식염수 용액, 예를 들어, 1/1000 내지 10/1000으로 희석된 염화나트륨(NaCl)과 증류수로 구성된 용액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두 제품(F1 및 F2)은 동일한 동적 점도를 갖지 않는다. 특히, 제2 제품(F2)은 제1 활성 제품(F1)보다 낮은 점도를 갖는다. 예를 들어, 주변 온도 및 압력에서, 제1 제품(F1)은 0.1 Pa.s 내지 1000 Pa.s(N.m-2.s)의 동적 점도를 가질 수 있고, 제2 제품(F2)은 10-3 Pa.s 내지 10-2 Pa.s의 동적 점도를 가질 수 있다. 제2 저점도 제품(F2)을 사용하면 임의의 특정 저항 없이 매우 간단한 방식으로 생체 내 흡인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단지 명확성과 간결성을 위해 제1 제품(F1)은 필링 유체라고 하고, 제2 제품(F2)은 식염수 용액이라고 한다. 식염수 용액은 필링 유체보다 낮은 동적 점도를 갖는다.
통상적으로, 제1 플런저(110)는 제1 몸체(101) 내에 변위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2 플런저는 제2 몸체(301) 내에 변위 가능하게 장착된다. 각각의 플런저(110, 310)는 각각의 주사기 배럴(101, 301)의 원위 단부(103, 303)로부터 삽입되고, 상기 배럴 내에 병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플런저(110, 310)가 전방으로 밀리면, 즉 플런저가 주사기 배럴(101, 301)의 근위 단부(105, 305)를 향해 이동될 때, 챔버(102, 302)의 부피는 감소하고 주사기 배럴 내부의 압력은 증가한다. 그런 다음 제품(F1, F2)은 근위 단부(105, 305)를 통해 주사기 배럴 밖으로 방출될 수 있다. 반대로, 플런저(110, 310)가 뒤로 당겨지거나 후퇴될 때, 즉 주사기 배럴(101, 301)의 원위 단부(103, 303)로 변위되면, 챔버(102, 302)의 부피가 증가하고, 상기 주사기 배럴 내 압력이 감소한다. 이러한 압력 감소는 유체가 근위 단부(105, 305)로부터 흡인될 수 있게 한다.
플런저(110, 310)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만들어진다. 플런저는 유리하게는 외부 벽에 밀봉부가 제공된다. 플런저는 각각의 주사기 배럴에 적합하고, 다양한 유형 및/또는 크기일 수 있다.
제2 플런저(310)는 제1 플런저(110)와 독립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두 플런저는 서로 독립적으로 조작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제품(F1 또는 F2)은 독립적으로 주사될 수 있고/있거나, 챔버(102, 302)의 부피는 각각의 배럴(101, 301)의 압력을 독립적으로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기 위해 독립적인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 도 10a 및 도 10b의 실시예에서, 플런저(110, 310)는 수동으로 조작 가능하다. 플런저는 푸셔(112, 312)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로드(111, 311)(플라스틱 또는 강철로 만들어짐)에 각각 연결된다. 손가락으로 푸셔(112, 312)를 수동으로 당기거나 미는 것에 의해, 시술자는 주사기 배럴(101, 301) 내부의 대응하는 플런저(110, 310)를 변위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에서, 플런저(110, 310)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구동 피니언과 선택적으로 연관된 하나 이상의 전기 회전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웜 또는 랙 유형의 전동 구동 수단(410, 430)에 의해 구동된다. 구동 수단(410, 430)은 또한 전기 배터리(420)(배터리 또는 충전식 배터리 유형)와 전자 관리 유닛(440)을 포함하는 보호 프레임(400) 내에 설치된다. 제어 버튼(411, 431) 또는 기타 전용 버튼은 프레임(400)의 외부 벽에 장착되고, 사용자가 버튼을 선택하면 플런저(110, 310)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 도 10a 및 도 10b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이 전동식 작동 모드는 각각의 플런저(110, 310)를 보다 정확하게 이동시켜 제품(F1) 및/또는 제품(F2)을 최적으로 분배할 수 있다. 플런저(110, 310)는 필요에 따라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프레임(400)은 유리하게는 커버(500)와 일체이므로 조립체는 특히 인체공학적이고 사용자가 다루기 쉬운 일체형 장치를 형성한다. 프레임(400)은 주사기 전력 버튼(온/오프 버튼), 및 적용 가능한 경우, 전기 배터리(420)의 충전 레벨 및/또는 주사기 배럴(101, 103)의 충전 레벨을 나타내는 적절한 디스플레이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관리 유닛(440)은 미리 정해진 사이클에 따라 동기적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플런저(110, 310)를 자동으로 변위시키도록 프로그래밍된다. 예를 들어, 이전 설명 부분에서 설명된 생체 내 퍼지 및/또는 흡인 단계의 순차적 실행은 미리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이는 이전 설명 부분에서 설명된 셔터(들)의 순차적 활성화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주사기(S)는 또한 각각의 주사기 배럴(101, 301)에 고유하고 공통인 중공 바늘(200)을 포함한다. 바늘(200)은 우선적으로 통상적인 피하 바늘이지만 마이크로 캐뉼러일 수 있다. 일례로서, 바늘(200)은 18G 내지 34G, 보다 구체적으로 25G 내지 30G 범위의 캘리버(caliber) 또는 게이지(gauge)를 갖는다. 예를 들어, 바늘의 길이는 0.5cm 내지 4cm이다. 바늘(200)의 원위 단부(202)는 주사 부위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당업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베벨링된 형태이다. 바늘 홀더(203)는 바늘(200)의 근위 단부에 유리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바늘을 쉽게 변경할 수 있다.
어댑터(600)는 제1 주사기 배럴(101), 제2 주사기 배럴(301) 및 바늘(200)에 연결된다. 이 어댑터(600)는 플라스틱 재료, 특히 본 발명의 비치료적 및 치료적 적용과 상용 가능한 플라스틱, 예를 들어,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나일론;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염화비닐)(PVC)로 만들어질 수 있다. 어댑터(600)는 스테인리스강, 스틸 등으로 더 제조될 수 있다. 어댑터는 제1 주사기 배럴(101)과 유체 연통하는 제1 입구 포트(601), 제2 주사기 배럴(301)과 유체 연통하는 제2 입구 포트(603), 및 바늘(200)과 유체 연통하는 출구 포트(60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어댑터(600)는 30mm x 35mm x 10mm 치수의 엔벨로프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에서, 제1 입구 포트(601)는 제1 주사기 배럴(101)의 근위 단부(105)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연결부는 루어락(Luer-Lock) 유형의 잠금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주사기 배럴(301)의 근위 단부(305)에 제2 입구 포트(601)를 연결하는 것은 유사하다. 도 2 및 도 3에서, 입구 포트(601, 603)는 근위 단부(105, 305)와 밀봉되게 결합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출구 포트(602)는 예를 들어 루어락 유형의 잠금 디바이스에 의해 바늘 홀더(203)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4a에서, 어댑터(600)는 제1 입구 포트(601), 제2 입구 포트(603) 및 출구 포트(605)를 유체 연통 가능하게 배치하기에 적합한 내부 도관(C)을 갖는다. 일례로서, 도관(C)은 원형 단면을 가지며, 그 내부 직경은 0.1mm 내지 10mm로 구성된다. 실제로, 도관(C)의 단면 및/또는 내부 직경은 주사될 제품 유형 및/또는 주사 용량의 함수로 선택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도관(C)은 T 또는 Y 형상을 가지며, 그 주요 분기는 출구 포트(602)에서 나오고, 각각의 측면 분기는 입구 포트(601, 603)에서 각각 나온다.
어댑터(600)는 도관(C)과 협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셔터를 포함한다. 이 셔터는 제1 입구 포트(601)와 출구 포트(602) 사이의 유체 연통 및/또는 제2 입구 포트(603)와 출구 포트(602) 사이의 유체 연통을 교대로 허용하거나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이 셔터를 구체적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사용자는 도관(C)의 일부를 쉽게 밀봉하여 주사기 배럴(101, 301)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를 격리시키고 제품이 바늘(200)을 통과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셔터의 다른 실시예는 이제 다른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주사기(S)의 다른 사용 순서도 이 도면을 참조하여 또한 설명된다.
제1 실시예 : 도 4a 내지 도 5d
어댑터(600)는 제2 입구 포트(603)와 출구 포트(602) 사이의 유체 연통을 허용하는 개방된 위치(도 4a)와, 상기 제2 입구 포트와 상기 출구 포트 사이의 유체 연통을 방지하는 폐쇄된 위치(도 4b)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단일 셔터(70)를 포함한다. 이 셔터(70)는 상기 제2 포트와 연관된 도관(C)의 분기에서 제2 입구 포트(603)에 배열된다. 제1 입구 포트(601)와 연관된 도관(C)의 다른 분기는 자유로운데, 즉 이 기능을 수행하는 셔터 또는 다른 부재가 없다.
이 셔터(70)는 도관(C)에 설치된 플랩 시트와 협력하는 플랩 형태이다. 플랩이 시트에 닿으면 도관(C)이 밀봉되게 폐쇄된다. 그리고 플랩이 시트에서 떨어져 있으면 제품이 도관(C)으로 자유롭게 흐를 수 있다. 이 플랩은 제품(F1, F2)이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품이 일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하는 역류 방지 플랩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플랩(70)은 도관(C)에 설치된 밸브 또는 솔레노이드 밸브에 통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랩(70)은 예를 들어 개방된 위치와 폐쇄된 위치 사이에서 플랩을 스위칭하기에 적합한, 예를 들어, 푸시 버튼 또는 노브에 의해 수동으로 활성화된다. 도 10a 및 도 10b의 실시예에서, 제2 주사기 배럴(301)은 상기 배럴의 축에 수직인 축(A)을 중심으로 어댑터(600) 상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10a의 위치에서, 플랩(70)은 개방된 위치에 있다. 축(A)을 중심으로 제2 주사기 배럴(301)을 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주사기 배럴(101)로부터 멀어지게 제2 주사기 배럴을 이동시킴으로써 플랩(70)은 폐쇄된 위치에 있다(도 10b). 따라서 사용자는 플랩(70)을 개방하거나 폐쇄하기 위해 축(A)을 중심으로 제2 주사기 배럴(301)을 플립(flip)시켜야 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플랩(70)은 제2 주사기 배럴(301)의 근위 단부(305)가 제2 입구 포트(603)에 연결되도록 하는 루어락 유형의 잠금 디바이스에 통합된다. 이 디바이스를 일 방향으로, 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1/4 회전 또는 1/2 회전 회전시킴으로써 플랩(70)이 개방된 위치에 놓인다. 그리고 이 디바이스를 다른 방향으로, 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1/4 회전 또는 1/2 회전시킴으로써면 플랩(70)이 폐쇄된 위치에 놓인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플랩(70)은 예를 들어 전기 모터 또는 전자석의 형태일 수 있는 전기 기계식 액추에이터에 의해 변위되고, 그 전력 공급은 전자 관리 유닛(440)에 의해 제어된다. 이 경우에, 프레임(400)(도 2 및 도 3)에 설치된 전용 제어 버튼(450)을 활성화함으로써 플랩(70)을 개방된 위치와 폐쇄된 위치 간에 스위칭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플랩(70)은 예를 들어 상기 플랩에 연결된 로드를 갖는 잭 형태의 유압 또는 공압 액추에이터에 의해 추가로 조작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플랩(70)은 압력의 영향 하에 변위되기에 적합한 마이크로 유체 밸브의 요소이다. 예를 들어, 제2 플런저(310)가 전방으로 밀리면, 제2 배럴(301) 내의 압력이 높아져 식염수 용액(F2)을 상기 배럴 밖으로 순환시켜 도관(C)으로 침투하게 하는 경향이 있다. 그런 다음 식염수 용액(F2)은 플랩(70)에 미는 압력을 가하여 플랩을 개방시켜 상기 식염수 용액이 제2 입구 포트(603)로부터 출구 포트(602)로 흐르게 하는 경향이 있다. 마이크로 유체 밸브를 사용하면 플랩(70)을 수동으로 만들 수 있고, 즉 이것은 플랩을 동작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도 4a 및 도 4b의 어댑터(600)가 장착된 주사기(S)의 사용 순서는 이제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5a. 주사기(S)는 초기 상태에 있고, 즉 플랩(70)은 폐쇄된 위치에 있고, 2개의 플런저(110, 310)는 휴지 상태에 있다.
도 5b. 바늘(200) 내부의 공기를 퍼지하기 위해 플랩(70)은 개방된 위치에 놓이고, 제2 플런저(310)는 전방으로 밀린다. 그런 다음 식염수 용액(F2)은 제2 입구 포트(603)로부터 출구 포트(602)로 흘러들어가 바늘에 포함된 공기를 퍼지한다. 따라서 이 사전 퍼지는 특히 저렴한 중성 액체로 수행되며 어떤 경우에도 필링 유체(F1)로 수행되지 않는다. 퍼지 후, 바늘(200)은 주사 부위에 삽입된다.
생체 내 흡인은 도 5b에 도시된 구성에서 쉽게 수행될 수 있다. 제2 플런저(310)는 뒤로 당겨져 제2 입구 포트(603)에서 채널(C)에 강하부를 생성한다. 그런 다음 도관(C)과 바늘(200)에 포함된 식염수 용액(F2)은 체액 샘플을 흡인하면서 출구 포트(602)로부터 제2 입구 포트(603)로 역류한다. 이 체액은 필러 유체(F1)와 혼합될 위험 없이 흡인된다. 다시 말해, 필러 유체(F1)는 흡인된 체액에 의해 오염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 생체 내 흡인도 수행될 수 있으나, 더 많은 힘으로 필러 유체(F1)를 오염시킬 위험 없이, 플랩(70)을 폐쇄하고, 제1 플런저(110)를 뒤로 당겨서 제1 입구 포트(601)에서 도관(C)에 강하부를 생성하도록 수행될 수 있다.
두 경우 모두 식염수 용액(F2)은 동적 점도가 낮기 때문에, 이 생체 내 흡인은 어려움 없이 수행되며, 작은 직경의 바늘(예를 들어, 18G 내지 34G 바늘)로도 플런저를 뒤로 당기는 저항이 매우 낮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흡인이 수행되는 주사기 배럴에 혈액이 들어가지 않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확인은 시각적일 수 있으며, 혈액이 제2 주사기 배럴(301)로 (각각 제1 주사기 배럴(101)로) 흡인되면 사용자는 식염수 용액(각각 필링 유체)의 붉은 색을 볼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혈액 검출기(610)를 주사기(S)에 통합함으로써 자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 검출기(610)는 바람직하게는 전자 관리 유닛(440)(도 3 및 도 4)에 연결된다. 이 검출기는 바람직하게는 어댑터(600)(도 4a 내지 도 5d) 및/또는 제1 주사기 배럴(101) 및/또는 제2 주사기 배럴(301)에 설치된다. 이 검출기(610)는 혈액 성분의 검출, 예를 들어, 포도당 검출에 기초할 수 있다. 포도당이 주사기(S)에서 (어댑터(600)에서 및/또는 주사기 배럴(101, 301) 중 하나에서) 검출되면, 전자 관리 유닛(440)은 바늘(200)이 혈관에 삽입되었다는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 신호를 사용자에게 방출할 수 있다.
도 5c. 사용자는 바늘(200)이 혈관에 삽입되지 않았음을 확인한 후 필링 유체(F1)의 주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플랩(70)은 폐쇄된 위치에 놓이고, 제1 플런저(110)는 전방으로 밀린다. 그런 다음 필링 유체(F1)는 바늘(200)로부터 주사되기 위해 제1 입구 포트(601)로부터 출구 포트(602)로 흐른다.
도 5d. 실제로, 필러(F1)는 개인의 여러 주사 부위에 주사된다. 2번의 주사 사이에, 사용자는 다시 한번 생체 내 흡인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필러 유체(F1)의 바늘(200)을 퍼지한다. 이를 위해, 플랩(70)은 개방된 위치에 놓이고, 제2 플런저(310)는 전방으로 밀린다. 바늘(200)의 원위 단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바늘(200)에 존재하는 필러 유체(F1)의 저항은 출구 포트(602)와 제1 입구 포트(601) 사이에 위치한 부분에서 도관(C)에 존재하는 필링 유체(F1)의 저항보다 낮다. 또한, 제2 플런저(310)를 전방으로 밀면 식염수 용액(F2)이 바늘(200) 내로 흘러들어가 바늘에서 필링 유체(F1)를 퍼지하게 된다. 따라서 매우 적은 양의 필러 유체(F1)만이 손실된다. 이 퍼지 후, 도 5b와 유사한 구성이 발견되면 안전한 생체 내 흡인이 가능하다.
제2 실시예 : 도 6a 및 도 6b
팬(70)은 상기 제1 포트와 연관된 도관(C)의 분기에서 제1 입구 포트(601)에 배열된다. 제2 입구 포트(603)와 연관된 도관(C)의 다른 분기는 자유롭다. 이 플랩(70)과 그 작동 모드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다.
도 6a. 바늘(200) 내부의 공기를 퍼지하기 위해, 플랩(70)은 폐쇄된 위치에 유지되고, 제2 플런저(310)는 전방으로 밀려 식염수 용액(F2)이 바늘(200) 내로 흘러들어가 바늘에서 공기를 퍼지한다.
생체 내 흡인은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된다. 플랩(70)은 폐쇄된 상태에 유지되고, 제2 플런저(310)는 뒤로 당겨져 바늘(200)을 통해 체액 샘플의 흡인을 야기한다. 이 생체 내 흡인은 또한 플랩(70)을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고 제1 플런저(110)를 뒤로 당겨서 제1 입구 포트(601)에서 도관(C)에 강하부를 생성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도 6b. 주사 부위로 필러 유체(F1)의 주사는 플랩(70)을 개방된 위치에 놓고 제1 플런저(110)를 전방으로 밀어서 수행된다.
2번의 주사 사이에 바늘(200)에서 필러 유체(F1)를 퍼지하기 위해, 플랩(70)이 폐쇄된 위치에 놓이고, 제2 플런저(310)가 전방으로 밀린다. 도 5d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식염수 용액(F2)은 바늘(200) 내로 흘러들어가 바늘에서 필링 유체(F1)를 퍼지한다.
제3 실시예 : 도 7a 및 도 7b
어댑터(600)는 2개의 플랩(70a, 70b)을 포함한다. 제1 플랩(70a)은 상기 제1 포트와 연관된 도관(C)의 분기에서 제1 입구 포트(601)에 배열된다. 제2 플랩(70b)은 상기 제2 포트와 연관된 도관(C)의 분기에서 제2 입구 포트(603)에 배열된다. 이들 플랩(70a, 70b) 각각과 그 작동 모드는 전술한 것과 유사하다. 이들 플랩은 또한 역류 방지 플랩의 형태일 수 있다.
도 7a. 바늘(200) 내부의 공기를 퍼지하기 위해, 제1 플랩(70a)은 폐쇄되고, 제2 플랩(70a)은 개방된다. 제2 플런저(310)를 전방으로 밀면 식염수 용액(F2)이 바늘(200) 내로 흘러들어가 바늘에서 공기를 퍼지한다.
생체 내 흡인은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된다. 제1 플랩(70a)은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고, 제2 플랩(70b)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된다. 제2 플런저(310)는 바늘(200)을 통해 체액 샘플에 흡인을 야기하도록 뒤로 당겨진다. 이러한 생체 내 흡인은 또한 제1 플랩(70a)을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고, 제2 플랩(70b)을 폐쇄하고, 제1 플런저(110)를 후방으로 당겨 제1 입구 포트(601)에서 도관(C)에 강하부를 생성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도 7b. 주사 부위로 필러 유체(F1)를 주사하는 것은 제1 플랩(70a)을 개방하고, 제2 플랩(70b)을 폐쇄하고, 제1 플런저(110)를 전방으로 미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2번의 주사 사이에 바늘(200)에서 필러 유체(F1)를 퍼지하기 위해, 제1 플랩(70a)이 폐쇄되고, 제2 플랩(70b)이 개방되고, 제2 플런저(310)가 전방으로 밀린다. 도 5d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식염수 용액(F2)은 바늘(200) 내로 흘러들어가 바늘에서 필링 유체(F1)를 퍼지한다.
제4 실시예 : 도 8a 및 도 8b
도관(C)은 적어도 하나의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벽(P)을 갖는다. 이 벽(P)은 PVC, FEP(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PTFE(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실리콘 또는 고무 기반의 유연한 열가소성 수지와 같은 탄성 변형 가능한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다. 설계를 단순화하기 위해, 도관(C) 전체는 이러한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진다.
연동 펌프와 동일한 방식으로 가압 부재(700)는 도관(C)을 국부적으로 폐색하도록 변형 가능한 벽(P)을 납작하게 할 수 있다. 가압 부재는 국부적으로 납작하게 된 다음 탄성으로 인해 원래 형상으로 복귀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압 부재(700)는 휠 또는 롤러의 형태이다.
가압 부재(700)는 변형 가능한 벽(P)을 2개의 별개의 영역, 즉 제1 입구 포트(601)와 출구 포트(602) 사이의 유체 연통을 방지하기 위해 제1 구역(도 8a)에서; 및 제2 입구 포트(603)와 출구 포트(602) 사이의 유체 연통을 방지하기 위해 제2 구역(도 8b)에서 납작하게 된다. 제1 구역은 상기 제1 포트와 연관된 도관(C)의 분기에서 제1 입구 포트(601) 측에 위치된다. 반대로, 제2 구역은 상기 제2 포트와 연관된 도관(C)의 분기에서 제2 입구 포트(601) 측에 위치된다.
가압 부재(700)는 2개의 납작화 구역 사이에서 가압 부재를 변위시키기에 적절한 액추에이터(710)에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액추에이터(710)는 예를 들어 상이한 납작화 구역 사이에서 가압 부재(700)를 변위시키기에 적합한, 수동으로 동작되는 푸시 버튼 또는 노브에 연결된 기계식 액추에이터이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기계식 액추에이터(710)(및/또는 가압 부재(700))는 근위 단부(105, 305)가 입구 포트(601, 603)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루어락 유형의 잠금 디바이스와 협력한다. 제1 주사기 배럴(101)과 연관된 잠금 디바이스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1/4 회전 또는 1/2 회전시키면 가압 부재(700)가 제1 구역에서 작용한다. 그리고 이 디바이스를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1/4 회전 또는 1/2 회전시키면, 가압 부재(700)는 제2 구역에서 작용한다. 또한 제2 주사기 배럴(301)과 연관된 잠금 디바이스를 회전시키면 가압 부재(700)가 제2 구역으로 변위되는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가압 부재(700)는 전기 기계식 액추에이터(710)에 의해 변위된다. 이 가압 부재는 전기 모터 또는 전자석의 형태일 수 있고, 그 전력 공급은 전자 관리 유닛(440)에 의해 제어된다. 이 경우에, 2개의 납작화 구역 사이의 가압 부재(700)의 변위는 프레임(400)(도 2 및 도 3)에 설치된 전용 제어 버튼(450)을 활성화시키는 것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710)는 또한 유압 또는 공압 액추에이터의 형태일 수 있고, 예를 들어, 가압 부재(700)에 연결된 로드를 갖는 잭의 형태일 수 있다.
도 8a. 바늘(200) 내부의 공기를 퍼지하기 위해, 가압 부재(700)가 제1 납작화 구역에서 작용하도록 놓인다. 제2 플런저(310)를 전방으로 밀면 식염수 용액(F2)이 바늘(200) 내로 흘러들어가 바늘에서 공기를 퍼지한다.
생체 내 흡인은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된다. 가압 부재(700)는 제1 납작화 구역에서 활성 상태에 유지된다. 제2 플런저(310)는 바늘(200)을 통해 체액 샘플을 흡인하도록 뒤로 당겨진다. 이러한 생체 내 흡인은 또한 가압 부재(700)를 변위시켜 가압 부재가 제2 납작화 구역에서 작용하도록 하고, 제1 플런저(110)를 후방으로 당겨 제1 입구 포트(601)에서 도관(C)에 강하부를 생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도 8b. 주사 부위로 필러 유체(F1)를 주사하는 것은, 가압 부재를 조작하여 가압 부재(700)가 제2 납작화 구역에서 작용하도록 하고, 제1 플런저(110)를 전방으로 미는 것에 의해 수행된다.
2번의 주사 사이에 바늘(200)에서 필러 유체(F1)를 퍼지하기 위해, 가압 부재(700)가 제1 납작화 구역(도 8a)에서 작용하도록 다시 놓이고, 제2 플런저(310)가 전방으로 밀린다. 도 5d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식염수 용액(F2)이 바늘(200) 내로 흘러들어가 바늘에서 필링 유체(F1)를 퍼지한다.
제5 실시예 : 도 9a 및 도 9b
이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제4 실시예와 유사하다. 그러나, 2개의 가압 부재(700a, 700b)가 사용된다. 제1 가압 부재(700a)는 제1 입구 포트(601)와 출구 포트(602) 사이의 유체 연통을 방지하기 위해 제1 구역(도 9a)에서 도관(C)의 변형 가능한 벽(P)을 납작하게 하는 데 적합하다. 제2 가압 부재(700b)는 제2 입구 포트(603)와 출구 포트(602) 사이의 유체 연통을 방지하기 위해 제2 구역(도 9b)에서 도관의 변형 가능한 벽(P)을 납작하게 하는 데 적합하다.
이들 각각의 가압 부재(700a, 700b)와 그 작동 모드는 전술한 것과 유사하다. 그러나 액추에이터(700a, 700b)는 단순히 전방/후방 병진 운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방 위치에서, 가압 부재(700a, 700b)는 변형 가능한 벽(P)을 납작하게 하고, 후퇴 위치에서 상기 벽이 원래 형상으로 복귀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간결함을 위해, 가압 부재는 변형 가능한 벽(P)을 납작하게 할 때 "활성" 또는 "활성화됨"이라고 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비활성" 또는 "비활성화됨"이라고 한다.
도 9a. 바늘(200) 내부의 공기를 퍼지하기 위해 제1 가압 부재(700a)는 제1 납작화 구역에서 활성화되고, 제2 가압 부재(700b)는 제2 납작화 구역에서 비활성화된다. 제2 플런저(310)를 전방으로 밀면 식염수 용액(F2)이 바늘(200) 내로 흘러들어가 바늘에서 공기를 퍼지한다.
생체 내 흡인은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된다. 제1 가압 부재(700a)는 활성 상태에 유지되고, 제2 가압 부재(700b)는 비활성 상태에 유지된다. 제2 플런저(310)는 바늘(200)을 통해 체액 샘플에 흡인을 야기하도록 뒤로 당겨진다. 이러한 생체 내 흡인은 또한 제2 가압 부재(700b)를 활성화하는 것에 의해, 제1 가압 부재(700a)를 비활성화하는 것에 의해, 제1 플런저(110)를 뒤로 당겨 제1 입구 포트(601)에서 도관(C)에 강하부를 생성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도 9b. 주사 부위로 필링 유체(F1)를 주사하는 것은 제1 가압 부재(700a)를 비활성화하는 것에 의해, 제2 가압 부재(700b)를 활성화하는 것에 의해, 제1 플런저(110)를 전방으로 미는 것에 의해 수행된다.
2번의 주사 사이에 바늘(200)에서 필링 유체(F1)를 퍼지하기 위해, 제1 가압 몸체(700a)가 활성화되고, 제2 가압 몸체(700b)가 비활성화되고(도 9a), 제2 플런저(310)가 전방으로 밀린다. 도 5d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식염수 용액(F2)이 바늘(200) 내로 흘러들어가 바늘에서 필링 유체(F1)를 퍼지한다.
제6 실시예 : 도 11a 내지 도 11c
어댑터(600)는 도관(C)의 3개의 유체 연통 채널(또는 분기)(V.1, V.2, V.3) 사이의 교차점에 배열된 공동(650)을 포함한다.
공동(650)은 제1 입구 포트(601)와 연관된 도관(C)의 채널(V.1)에 연결된 제1 오리피스, 제1 입구 포트(601)와 연관된 도관(C)의 채널(V.3)에 연결된 제2 오리피스, 및 출구 포트(602)와 연관된 도관(C)의 채널(V.2)에 연결된 제3 오리피스를 갖는다.
공동(650)은 셔터(700c)를 수용한다. 이 셔터는 제1 주사 가능 제품(F1)을 신체 주사 부위에 주사할 목적으로 제1 주사 가능 제품(F1)이 제1 주사기 배럴(101) 밖으로 배출될 때(도 11b) 제2 입구 포트(603)와 출구 포트(602) 사이의 유체 연통을 폐색하는 제1 위치와, 체액 샘플을 제2 주사기 배럴(301) 내로 흡인할 때(도 11c) 제1 입구 포트(601)와 출구 포트(602) 사이의 유체 연통을 폐색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공동(650) 내부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된 이동 가능 요소의 형태이다.
공동(650)의 단면은 이동 가능 부분이 공동(650) 내에서 활주할 수 있도록 이동 가능 부분의 단면에 대응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동(650)은 실질적으로 원형 또는 장방형 단면의 일반적인 관형 형상을 갖고, 셔터(700c)를 나타내는 이동 가능 요소는 공동(650)의 단면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예를 들어, 원형 단면의 공동(650)에 대해 구 또는 볼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갖는다.
셔터(700c)를 나타내는 이동 가능 요소는 플라스틱, 스테인리스강, 유리, 세라믹, 또는 당업자에게 적합한 임의의 다른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11b. 제1 주사제(F1)를 주사 부위에 주사하기 위해 제1 플런저(101)는 전방으로 밀린다. 제1 주사기 배럴(101)로부터 나오는 주사 가능 제품(F1)은 도관(C)의 채널(V.1)에 연결된 제1 오리피스를 통해 공동(650)으로 들어가고, 셔터(700c)(또는 이동 가능 요소)를 공동(650) 내에서 도관(C)의 채널(V.3)에 연결된 제2 오리피스 방향으로 밀어서 제2 입구 포트(603)와 출구 포트(602) 사이의 유체 연통을 폐색한다. 그런 다음 제1 입구 포트(601)와 출구 포트(602) 사이의 유체 연통은 제1 주사 가능 제품(F1)이 주사 부위로 주사될 수 있도록 허용한다.
도 11c. 주사 부위로부터 체액 샘플의 생체 내 흡인을 수행하기 위해, 제2 플런저(310)는 뒤로 당겨져 도관(C)의 채널(V.1)에 강하부를 생성하고, 이에 의해 셔터(700c)(또는 이동 가능 요소)는 공동(650) 내에서 채널(V.1)에 연결된 제1 오리피스 방향으로 흡인되어 제1 입구 포트(601)와 출구 포트(602) 사이의 유체 연통을 폐색한다. 그런 다음 제2 입구 포트(603)와 출구 포트(602) 사이의 유체 연통은 중공 바늘(200)과 어댑터(600)를 통해 주사 부위로부터 상기 제2 주사기 배럴(301)로 신체 샘플의 흡인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제2 플런저(310)는 뒤로 당겨서 중공 바늘(200)의 원위 단부에 강하부를 생성하고, 이의 효과로 중공 바늘(200)과 어댑터(600)(채널(V2 + V3))를 통해 체액 샘플이 제2 주사기 배럴(301) 내로 흡인되게 한다. 따라서, 체액 샘플은 제1 주사 가능한 유체(F1)(예를 들어, 필러)와 혼합될 위험 없이 흡인될 수 있다.
요약하면, 셔터(70, 70a, 70b, 700, 700a, 700b, 700c)를 조작함으로써, 사용자는 주사기 배럴 중 하나 또는 다른 것을 쉽게 격리시켜 제품이 단일 바늘을 통과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바늘은 제2 주사기 배럴에 포함된 특히 저렴한 중성 제품을 사용하여 퍼지될 수 있다. 활성 제품은 개인의 치료에만 사용되므로 사용되는 양이 최적화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상이한 요소 및/또는 수단 및/또는 단계의 배열은 모든 구현예에서 이러한 배열을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다음을 포함하는 다른 대안이 제공될 수 있다:
- 주사기는 각각에 별도의 제품이 들어 있는 2개 초과의, 예를 들어, 3개 또는 4개의 주사기 배럴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어댑터(600)는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다른 입구 포트를 갖는다.
- 입구 포트(601, 603)는 예를 들어 몰딩, 접착 또는 용접에 의해 주사기 배럴(101, 301)에 제거 불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 바늘(200)은 어댑터(600)에 제거 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 제1 제품(F1)은 분말 형태(예를 들어, 어댑터에서 제2 제품(F2)과 혼합되도록 의도됨) 또는 가스 형태(예를 들어, 오존과 같은 의료용 가스)일 수 있다. 이는 제2 제품(F2)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 제2 제품(F2)은 주사용 피부 필러(액상 또는 겔), 주사용 의약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유체 또는 4개의 유체의 주사.
- 구동 수단(410, 430)은 공압 또는 유압 액추에이터(예를 들어, 잭 유형) 또는 전자기 액추에이터(예를 들어, 전자석 유형)의 형태일 수 있다.
- 활성 제품(F1)을 혈류에 주사해야 하는 경우(정맥 주사), 흡인된 체액 샘플이 실제로 혈액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생체 내 흡인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 어댑터(600)는 도관(C)의 분기에 플랩(70)을 포함하고, 다른 분기에 가압 부재(7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만 설명된 하나 이상의 특성은 다른 실시예에서만 설명된 하나 이상의 다른 특성과 결합될 수 있다. 유사하게, 하나의 실시예에서만 설명된 하나 이상의 특성은 다른 실시예로 일반화될 수 있다.

Claims (18)

  1. 제1 주사 가능 제품(F1)을 개인의 신체 주사 부위에 주사하기 위한 주사용 주사기(S)로서,
    - 상기 제1 주사 가능 제품(F1)을 포함하는 제1 주사기 배럴(101)로서, 제1 플런저(110)가 상기 제1 주사기 배럴(101) 내에 변위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기 제1 주사기 배럴;
    - 상기 신체 주사 부위에 삽입되기에 적합한 중공 바늘(200); 및
    - 상기 제1 주사기 배럴(101)과 상기 바늘(200)에 연결되는 어댑터(600)
    를 포함하고,
    상기 주사용 주사기(S)는, 상기 제1 주사 가능 제품(F1)을 주사할 때 상기 중공 바늘(200)이 혈관으로 도입되지 않는 것을 보장할 수 있도록 확인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인 디바이스는,
    - 제2 제품(F2)을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600)에 연결되는 제2 주사기 배럴(301); 및
    - 상기 제2 주사기 배럴(301) 내에 변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플런저(310)로서, 상기 중공 바늘(200)이 혈관에 도입되고 흡인되는 유체가 혈액인 경우, 상기 중공 바늘(200)의 원위 단부에 강하를 야기하여, 체액 샘플이 상기 중공 바늘(200)과 상기 어댑터(600)를 통해 상기 제2 주사기 배럴(301) 내로 흡인되어 상기 제2 주사기 배럴(301)에 포함된 제2 제품(F2)과 혼합되어 붉은 색을 나타내도록 하는, 상기 제2 플런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용 주사기(S).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600)는,
    - 상기 제1 주사기 배럴(101)과 유체 연통하는 제1 입구 포트(601),
    - 상기 제2 주사기 배럴(301)과 유체 연통하는 제2 입구 포트(603),
    - 상기 바늘(200)과 유체 연통하는 출구 포트(602),
    - 상기 제1 입구 포트(601), 상기 제2 입구 포트(603) 및 상기 출구 포트(602)를 유체 연통하도록 배치하기에 적합한 도관(C), 및
    - 상기 도관(C)과 협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셔터(70, 70a, 70b, 700, 700a, 700b, 700c)로서, 상기 셔터는 상기 제1 입구 포트(601)와 상기 출구 포트(602) 사이의 유체 연통 및/또는 상기 제2 입구 포트(603)와 상기 출구 포트(602) 사이의 유체 연통을 교대로 허용하거나 방지하도록 구성된, 상기 셔터
    를 포함하는, 주사용 주사기(S).
  3. 제1항에 있어서,
    - 상기 도관(C)은 적어도 하나의 탄성 변형 가능한 벽(P)을 갖고,
    - 상기 셔터는 상기 도관(C)을 국부적으로 폐색하기 위해 상기 변형 가능한 벽(P)을 납작하게 하는 데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가압 부재(700, 700a, 700b)의 형태인, 주사용 주사기.
  4. 제2항에 있어서, 단일 가압 부재(700)는,
    -- 상기 제1 입구 포트(601)와 상기 출구 포트(602) 사이의 유체 연통을 방지하기 위해 제1 구역에서,
    -- 상기 제2 입구 포트(603)와 상기 출구 포트(602) 사이의 유체 연통을 방지하기 위해 제2 구역에서,
    상기 변형 가능한 벽(P)을 납작하게 하는 데 적합한, 주사용 주사기.
  5. 제3항에 있어서, 액추에이터(710)는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제2 구역 사이에서 상기 가압 부재(700)를 변위시키는, 주사용 주사기.
  6. 제2항에 있어서,
    - 제1 가압 부재(700a)는 상기 제1 입구 포트(601)와 상기 출구 포트(602) 사이의 유체 연통을 방지하기 위해 제1 구역에서 상기 도관(C)의 변형 가능한 벽(P)을 납작하게 하는 데 적합하고,
    - 제2 가압 부재(700b)는 상기 제2 입구 포트(603)와 상기 출구 포트(602) 사이의 유체 연통을 방지하기 위해 제2 구역에서 상기 도관(C)의 변형 가능한 벽(P)을 납작하게 하는 데 적합한, 주사용 주사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상기 제1 입구 포트(601)와 상기 출구 포트(602) 사이의 유체 연통을 허용하는 개방된 위치와, 상기 제1 입구 포트와 상기 출구 포트 사이의 유체 연통을 방지하는 폐쇄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플랩(70, 70a)의 형태인, 주사용 주사기.
  8.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상기 제2 입구 포트(603)와 상기 출구 포트(602) 사이의 유체 연통을 허용하는 개방된 위치와, 상기 제2 입구 포트와 상기 출구 포트 사이의 유체 연통을 방지하는 폐쇄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플랩(70, 70b)의 형태인, 주사용 주사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C)은 상기 도관(C)의 3개의 유체 연통 경로(V.1, V.2, V.3) 사이의 교차점에 배열된 공동(650)을 포함하고, 상기 셔터(700c)는 상기 제1 주사 가능 제품(F2)을 상기 신체 주사 부위에 주사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기 제1 주사 가능 제품(F2)이 상기 제1 주사기 배럴(101) 밖으로 배출될 때 상기 제2 입구 포트(603)와 상기 출구 포트(602) 사이의 유체 연통을 폐색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유체 샘플을 상기 제2 주사기 배럴(301) 내로 흡인할 때 상기 제1 입구 포트(601)와 상기 출구 포트(602) 사이의 유체 연통을 폐색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공동(650) 내에서 활주 가능하게 장착된 이동 가능 요소 형태인, 주사용 주사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런저(110)와 상기 제2 플런저(310)는 전동 구동 수단(410, 430)에 의해 구동되는, 주사용 주사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혈액 검출기(610)가 상기 어댑터(600) 및/또는 상기 제1 주사기 배럴(101) 및/또는 상기 제2 주사기 배럴(301)에 설치되는, 주사용 주사기.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사기 배럴(301)은 상기 제2 제품(F2)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입구 포트(603)와 상기 출구 포트(602) 사이의 유체 연통은,
    - 주위 압력과 온도에서, 상기 제2 제품(F2)이 10-3 N.m-2.s 내지 10-2 N.m-2.s의 동적 점도를 갖고,
    - 상기 제2 플런저(310)가 상기 제2 주사기 배럴(301) 내로 당겨질 때
    상기 바늘(200)을 통해 상기 주사 부위에서 체액 샘플의 흡인을 허용하는, 주사용 주사기.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사기 배럴(101)은 상기 제1 주사 가능 제품(F1)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주사기 배럴(301)은 상기 제2 제품(F2)을 포함하고, 주변 압력과 온도에서 상기 제2 제품(F2)은 상기 제1 제품(F1)보다 낮은 점도를 갖는, 주사용 주사기.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사기 배럴(101)은 상기 제1 주사 가능 제품(F1)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주사기 배럴(301)은 상기 제2 제품(F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품(F1)은 주사 가능 용액 형태의 피부 필러이거나 주사 가능 용액 형태의 의약품인, 주사용 주사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필러(F1)는 히알루론산, 콜라겐, 폴리락트산, 폴리아크릴아마이드 겔, 칼슘 수산화인회석, 수성 겔 담체에 현탁된 칼슘 수산화인회석 미소구체, 인산삼칼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미소구체, 덱스트란 비드, 비-동물 기원의 하이란 겔에 현탁된 덱스트란 비드, 소 콜라겐으로 가용화된 엘라스틴 펩타이드, 실리콘, 폴리-L-락트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팽창된 폴 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PTFE)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주사용 주사기.
  16.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필러(F1)는 보툴리눔 독소, 국소 마취제, 국소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또는 항생제, 아미노산, 항산화제와 같은 생물학적 활성제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주사용 주사기.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용 의약품(F1)은 보툴리늄 독소, 국소 마취제, 국소 코르티코스테로이드, 항생제, 아미노산, 항산화제, 불투명화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물학적 활성제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주사용 주사기.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사기 배럴(301)은 상기 제2 제품(F2)을 수용하고, 상기 제2 제품(F2)은 생리학적 액체 식염수 용액인, 주사용 주사기.
KR1020227039895A 2020-04-15 2021-04-15 주사용 주사기 KR202300052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FR2003755 2020-04-15
FR2003755A FR3109318B1 (fr) 2020-04-15 2020-04-15 Seringue d’injection
PCT/FR2021/050664 WO2021209721A1 (fr) 2020-04-15 2021-04-15 Seringue d'inje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5217A true KR20230005217A (ko) 2023-01-09

Family

ID=73497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9895A KR20230005217A (ko) 2020-04-15 2021-04-15 주사용 주사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347073A1 (ko)
EP (1) EP4135793A1 (ko)
KR (1) KR20230005217A (ko)
CN (1) CN115697438A (ko)
FR (1) FR3109318B1 (ko)
WO (1) WO2021209721A1 (ko)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1778A (en) * 1981-05-27 1983-05-03 George Kozam Needle-loading multiple barrel syringe
WO2008051925A2 (en) * 2006-10-23 2008-05-02 Sibbitt Wilmer L Jr Reciprocating mixing syringes
US20110118659A1 (en) * 2009-11-13 2011-05-19 Armand Maaskamp Multi-port syringe assembly
WO2012139035A1 (en) * 2011-04-07 2012-10-11 Varav Kalle Single hand control device for ultrasound guided injections
JP2014519899A (ja) * 2011-05-24 2014-08-21 サノフィ−アベンティス・ドイチュラント・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チェックバルブの配置
JP2015516252A (ja) * 2012-05-16 2015-06-11 サノフィ−アベンティス・ドイチュラント・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投薬インターフェース
WO2014130766A1 (en) * 2013-02-21 2014-08-28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Device for delivering resuscitative dosing of epinephrine
WO2015061341A1 (en) * 2013-10-21 2015-04-30 Accuro Technologies Inc. Double barrel syringe and method to use same for placement confirmation and joint space injection
JP5938137B1 (ja) * 2015-12-15 2016-06-22 プライムテック株式会社 流体切替弁および流体輸送カートリッジ
WO2017120358A1 (en) * 2016-01-06 2017-07-13 Accuro Technologies Inc. Single valve double barrel syringe and method to use same for medical diagnostics, therapeutic use, and placement confirmation and joint space injection
WO2017184755A1 (en) * 2016-04-22 2017-10-26 Accuro Technologies Inc. Single slider double barrel syringe and method to use same for medical diagnostics, therapeutic use, and placement confirmation and joint space injection
GB201810324D0 (en) * 2018-06-22 2018-08-08 Leeds Teaching Hospital Nhs Trust Fluid delivery system
FR3083708B1 (fr) * 2018-07-13 2023-12-08 Aptar France Sas Dispositif d'injection de produit flui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697438A (zh) 2023-02-03
US20230347073A1 (en) 2023-11-02
FR3109318B1 (fr) 2023-11-10
WO2021209721A1 (fr) 2021-10-21
FR3109318A1 (fr) 2021-10-22
EP4135793A1 (fr) 2023-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76075B2 (ja) 流体運搬システム、流体運搬装置及び危険性流体を搬送する方法
US4753638A (en) Medical syringe
CN109758667B (zh) 药剂装置
EP3151907B1 (en) Tubing assembly
US8814829B2 (en) Drug delivery device for fluid restricted patients
CA2522528A1 (en) Controlled volume injection/aspiration device
JP2016524513A (ja) バイアル移送と注射の器具と方法
JP2018167058A (ja) 薬液回路およびそれを使用する薬液回路システム
JP7405741B2 (ja) 分離した充填および送達のための摺動式シリンジキャップ
KR20230005217A (ko) 주사용 주사기
US20170143894A1 (en) Inline patency check device
JPH10248928A (ja) 薬液供給具およびプライミング装置
WO2023196173A1 (en) Multi-chamber syringe with pressure valve for sequential delivery of fluids and methods of use
WO2023249866A1 (en) Multi-chamber syringe with multiple plungers for sequential delivery of fluids and methods of use